KR102430706B1 - 연결용 파이프 - Google Patents

연결용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706B1
KR102430706B1 KR1020220040237A KR20220040237A KR102430706B1 KR 102430706 B1 KR102430706 B1 KR 102430706B1 KR 1020220040237 A KR1020220040237 A KR 1020220040237A KR 20220040237 A KR20220040237 A KR 20220040237A KR 102430706 B1 KR102430706 B1 KR 1024307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pe
stopper
protrusio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0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윤
김유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봇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봇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봇기술
Priority to KR1020220040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7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10Sleeveless joints between two pipes, one being introduced into the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2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is made by inserting one member axially into the other and rotating it to a limited extent, e.g. with bayonet a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의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연결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파이프의 일단에서, 원주 외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돌출부 주위에 빈 공간인 제1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용 파이프의 타단에서, 다른 파이프의 삽입부가 수용되도록 확관되어 형성되며, 원주 내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스토퍼 주위에 빈 공간인 제2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는 삽입 시에는 상기 연결돌출부가 상기 제2 공간을 통해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어느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를 회전해서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가 겹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파이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연결용 파이프{tailback connecting pipe}
본 발명은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연결용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한 형태의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연결용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유체를 수송하는 파이프는 일정 길이로 생산되므로 이를 이어야 먼 거리 수송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두 개 이상의 파이프를 용접하여 붙였거나, 파이프와 파이프 사이에 연결하는 별도의 연결장치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용접기술을 이용하여 파이프를 서로 붙이는 경우에는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분리하기 위해서는 절단 외에는 방법이 없었다.
또한, 별도의 연결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파이프 외에 별도의 연결장치가 필요하기 때문에 부품이 늘어나고 작업이 복잡하여 비용부담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별도의 연결장치 없이 파이프를 서로 연결할 수 있는 연결용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일한 형태의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연결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파이프의 일단에서, 원주 외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돌출부 주위에 빈 공간인 제1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용 파이프의 타단에서, 다른 파이프의 삽입부가 수용되도록 확관되어 형성되며, 원주 내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스토퍼 주위에 빈 공간인 제2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는 삽입 시에는 상기 연결돌출부가 상기 제2 공간을 통해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어느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를 회전해서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가 겹쳐진다.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한 개의 파이프 삽입 후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가 겹쳐진 뒤에 상기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돌출부를 고정시키는 겹침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겹침유지부는 상기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돌출부가 겹쳐진 후 상기 연결스토퍼의 좌측과 우측에 대응되는 상기 연결돌출부의 일면 위치에 형성되는 볼트구멍과 상기 볼트구멍에 체결되어 상기 연결스토퍼를 고정시키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겹침유지부는 상기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돌출부가 겹쳐진 후 상기 연결스토퍼 또는 상기 연결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먼지마개일 수 있다.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끝까지 삽입했을 때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은 별도의 연결장치가 없이도 파이프의 수용부에 다른 파이프의 삽입부를 넣고 파이프 하나를 돌려 연결스토퍼와 연결돌출부가 겹치게 함으로써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이프를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겸침유지부를 포함함으로써 두 개의 서로 다른 파이프를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1000)는 일단에 형성되는 수용부(100)와 타단에 형성되는 삽입부(200)를 포함한다.
삽입부(200)는 연결용 파이프(1000)의 일단에서, 원주 외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돌출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수용부(100)는 연결용 파이프(1000)의 타단에서, 다른 파이프(2000)의 삽입부가 수용되도록 확관되어 형성되며, 원주 내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스토퍼(110)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두 개 이상의 연결용 파이프(1000, 2000)는 각각에 구비되어 있는 수용부(100)와 삽입부(200)가 서로 끼워지며 이어질 수 있다.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1000, 2000)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연결돌출부(210)와 연결스토퍼(110)는,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가 삽입되도록 서로 엇갈리는 위치이며, 삽입 후에는 어느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를 회전해서 서로 겹치지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2000)의 삽입부(200)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돌출부(210)와 다른 연결용 파이프(1000)의 수용부(100)에 구비되어 있는 연결스토퍼(110) 각각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스토퍼(110) 사이에는 연결돌출부(2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1 공간(p1)이 구비되어 있고, 연결돌출부(210) 사이에는 연결스토퍼(110)가 삽입될 수 있는 제2 공간(p2)가 구비될 수 있다.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2000)의 연결돌출부(210)가 다른 연결용 파이프(1000)의 제1 공간(p1)을 통해 삽입되고, 다른 연결용 파이프(1000)의 연결스토퍼(110)는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2000)의 제2 공간(p2)을 통해 삽입될 수 있다.
삽입 후에는 두 개 중 어느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를 회전시켜서 각각의 연결돌출부(210)와 연결스토퍼(110)가 겹치도록 위치를 조정시킴으로써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1000, 20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1000, 2000)에 각각 구비되어 있는 연결돌출부(210)와 연결스토퍼(110)의 크기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지만, 그 크기에 따라 제1 공간(p1)과 제2 공간(p2)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1000)의 연결스토퍼(110)와 연결돌출부(210)는 서로 연계하여 설계되며 파이프 소재와 구경, 배관환경에 따라 크기, 형태, 두께, 소재, 굵기 등 다양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삽입부(200)를 수용부(100)에 끝까지 삽입했을 때 서로 마주하고 있는 연결돌출부(210)와 연결스토퍼(110)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p3)가 생길 수 있다.
연결용 파이프의 소재에 따라 열팽창계수가 달라지므로 이러한 소정의 연결돌출부(210)와 연결스토퍼(110) 사이에 소정의 거리(p3)를 둠으로써 파이프의 열수축팽창을 흡수할 수 있다. 배관상황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으나 상수도용 금속 배관인 경우 보통 6M파이프의 0.1-0.2%인 6-12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연결용 파이프(1000)의 수용부(100)에는 기밀재(120)와 기밀재 설치공간을 확보하기 위한 기밀와셔(130)가 추가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에 다른 연결용 파이프가 삽입된 후 연결돌출부와 연결스토퍼가 겹쳐진 뒤에 연결돌출부와 연결스토퍼를 고징시킬 수 있는 겸침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공통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로 포함된 겸침유지부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1000)에 구비되는 겸침유지부(310)는 연결돌출부(210)의 일면 위치에 형성되는 볼트구멍(312)과 볼트구멍(312)에 체결되는 볼트(31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의 (a)는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1000, 2000)가 삽입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4의 (b)는 삽입된 후 어느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를 90도 회전시켜서 연결돌출부(210)와 연결스토퍼(110)가 겹쳐진 상태이다.
연결돌출부(210)와 연결스토퍼(110)가 겹쳐진 후 연결스토퍼(110)의 좌측과 우측에 대응되는 연결돌출부(210)의 일면 위치에 형성된 볼트구멍(312)에 볼트(311)를 체결하여 연결스토퍼(110)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 두 개가 연결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공통적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추가로 포함된 겸침유지부를 중점으로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용 파이프는 파이프(1000)에 구비되는 겸침유지부(330)는 연결스토퍼(110)와 연결돌출부(210)가 겹쳐진 후 연결스토퍼(110) 또는 연결돌출부(210) 사이의 공간(p1, p2)에 끼워지는 먼지마개(330)를 일 수 있다.
연결스토퍼(110)와 연결돌출부(210)가 겹쳐진 후 생기는 공간에 고무재질의 먼지마개(330)를 삽입함으로써 연결스토퍼(110)와 연결돌출부(210)를 고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불순물을 차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본 발명 파이프는 연결작업이 쉽고 효과는 현저하며 대구경 스테인리스나 플라스틱 배관에 적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부식에 강한 상하수도망 건설에 유용하다.
100: 수용부 110: 연결스토퍼
120: 기밀재 130: 기밀와셔
200: 삽입부 210: 연결돌출부
311: 볼트 312: 볼트구멍
330: 먼지마개 1000, 2000: 연결용 파이프

Claims (6)

  1. 동일한 형태의 두 개 이상의 파이프가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연결용 파이프에 있어서,
    상기 연결용 파이프의 일단에서, 원주 외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돌출부 주위에 빈 공간인 제1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삽입부; 및
    상기 연결용 파이프의 타단에서, 다른 파이프의 삽입부가 수용되도록 확관되어 형성되며, 원주 내면 일부에서 돌출되어 파이프 둘레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스토퍼 주위에 빈 공간인 제2 공간이 구비되어 있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서로 끼워지며 이어지는 두 개의 연결용 파이프는 삽입 시에는 상기 연결돌출부가 상기 제2 공간을 통해 삽입되고, 삽입 후에는 어느 하나의 연결용 파이프를 회전해서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가 겹쳐지며,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는 복수 개로 형성되며,
    한 개의 파이프 삽입 후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가 겹쳐진 뒤에 상기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돌출부를 고정시키는 겹침유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겹침유지부는 상기 연결스토퍼와 상기 연결돌출부가 겹쳐진 후 상기 연결스토퍼 또는 상기 연결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먼지마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파이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를 상기 수용부에 끝까지 삽입했을 때 상기 연결돌출부와 상기 연결스토퍼 사이에는 소정의 거리가 생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파이프.
KR1020220040237A 2022-03-31 2022-03-31 연결용 파이프 KR1024307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237A KR102430706B1 (ko) 2022-03-31 2022-03-31 연결용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0237A KR102430706B1 (ko) 2022-03-31 2022-03-31 연결용 파이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706B1 true KR102430706B1 (ko) 2022-08-10

Family

ID=82846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0237A KR102430706B1 (ko) 2022-03-31 2022-03-31 연결용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70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562U (ko) * 1989-11-10 1991-07-10
KR20010050021A (ko) * 1999-08-09 2001-06-15 에어러큅 코포레이션 연결장치
KR100528714B1 (ko) * 2003-09-30 2005-11-15 주식회사 대현테크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KR20100007251A (ko) * 2008-07-11 2010-01-22 이은희 파이프 접속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69562U (ko) * 1989-11-10 1991-07-10
KR20010050021A (ko) * 1999-08-09 2001-06-15 에어러큅 코포레이션 연결장치
KR100528714B1 (ko) * 2003-09-30 2005-11-15 주식회사 대현테크 조립 연결용 합성수지관
KR20100007251A (ko) * 2008-07-11 2010-01-22 이은희 파이프 접속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0781B1 (ko) 밀폐 조립체 및 개구에 밀폐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밀폐방법
KR101076060B1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이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도관을 동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시스템
KR20150119226A (ko) 개구를 통하여 연장하는 케이블을 밀봉 고정하기 위한 시스템
JP5954671B2 (ja) 拡張可能なシール機構
RU2697585C2 (ru) Уплот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DK2644960T3 (en) Combination of two tubes and a pipeline connector with compensator
KR102430706B1 (ko) 연결용 파이프
US7100946B2 (en) Bulkhead assembly for use in pipe-in-pipe systems
JP2008175270A (ja) 二重配管の内管振れ止め構造並びにその固定方法及び施工方法
KR101449428B1 (ko) 파이프 커플링
EP1313190B1 (en) Mechanical seal for a cable installed in a corrugated duct
KR101452357B1 (ko) 관이음 장치
KR200449225Y1 (ko) 반도체 가스배관의 피팅 고정부재
KR100779183B1 (ko) 하수관 연결소켓
US3638972A (en) Branch pipe fitting for fluid pressure pipeline
JP6057155B2 (ja) ロックリング
KR200415417Y1 (ko) 지중매설관의 연결장치
KR101573346B1 (ko) 이탈방지용 배관
KR101040685B1 (ko) 관 고정용 환봉 연결구
JP2008185093A (ja) 支管継手装置及び支管接続構造
KR20090124412A (ko) 관 결합 장치 및 이 장치를 이용한 관 결합 방법
KR200348065Y1 (ko) 벽체 수도관 지지구조
KR100701459B1 (ko) 맨홀의 이송관 연결구
US11725763B2 (en) Pipe fitting with inner and outer seals
EP3447356A1 (en) Pipe repair method and k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