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450B1 -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450B1
KR102430450B1 KR1020220022985A KR20220022985A KR102430450B1 KR 102430450 B1 KR102430450 B1 KR 102430450B1 KR 1020220022985 A KR1020220022985 A KR 1020220022985A KR 20220022985 A KR20220022985 A KR 20220022985A KR 102430450 B1 KR102430450 B1 KR 102430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air
condensed water
forming tank
pipe
tank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2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중현
Original Assignee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프터레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2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28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humi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가 전기 발전 부재와, 동력 제공 부재와, 공기 압축기와,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 공급이 없는 오프그리드 방식으로 자체 발전을 통해 공기 중의 습기만을 이용하여 물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해안가, 사막, 섬 등과 같이 물을 구하기 힘들면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주변 환경의 여건에 무관하게 식수, 조경용수, 농업용수 등으로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Air compresse type condensate water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안가, 사막, 섬 등과 같이 물을 구하기 힘들면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곳에서는, 식수, 조경용수, 농업용수 등으로 이용할 물이 부족한데, 이러한 물 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물 부족 문제의 해소를 위한 방식 중의 하나로 제시될 수 있는 것이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처럼, 빗물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빗물을 이용하는 위 방식을 포함한 종래의 방식들에 의하면, 비가 오지 않는 경우에는 물을 구하기 힘든 등 주변 환경의 여건에 따라 안정적인 물 공급이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 10-1611948호, 등록일자: 2016.04.06., 발명의 명칭: 빗물을 이용한 식수생성장치
본 발명은 해안가, 사막, 섬 등과 같이 물을 구하기 힘들면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주변 환경의 여건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전기 발전 부재; 상기 전기 발전 부재에서 생산된 상기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동력 제공 부재; 상기 동력 제공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여 압축시킴으로써 압축 공기를 형성하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형성된 상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 탱크 부재; 외부 수요처로 공급될 비료가 수용되는 비료 공급 부재;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에서 상기 압축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과 상기 비료 공급 부재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및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사이의 틈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 공기 누설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로 상기 압축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면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가 상대적으로 더 압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 공기 누설 차단 부재는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유입되는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벽체에 형성되되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을 따라 유동된 것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에 있던 것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 공기 유동홀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곡률로 만곡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를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 쪽으로 유도시키는 압축 공기 유도 돌기와,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측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의 주변을 따라 링 형태로 둘러진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측 팽창체와,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배관측 팽창체와 접하도록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 측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주변을 따라 링 형태로 둘러진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탱크측 팽창체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대적으로 근접된 부분인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말단부와 상기 탱크측 팽창체를 연통시켜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말단부를 통해 유동되는 것의 일부가 상기 탱크측 팽창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탱크측 팽창체가 팽창되도록 하는 압축 공기 환원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 쪽의 면인 내면과 상기 배관측 팽창체를 연통시켜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를 통해 유도되는 것의 일부가 상기 배관측 팽창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관측 팽창체가 팽창되도록 하는 돌기측 유동관과, 상기 돌기측 유동관의 입구 부분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의 말단부와 상대적으로 더 이격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의 일부를 상기 돌기측 유동관 쪽으로 유도시키는 유동관향 유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연통되는 부분에 비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연통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좁아지도록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로부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따라 유동되는 것의 압력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로부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통해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을 통해 유동되고,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을 통해 유동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로 유입되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의 압력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통해 유동되면서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 상태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말단을 통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에 있던 것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의 틈을 통해 임의로 누설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통해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압축 공기 환원관을 통해 환원된 다음 상기 탱크측 팽창체로 유입되어 상기 탱크측 팽창체가 팽창되고,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를 따라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유동관향 유도 돌기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돌기측 유동관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배관측 팽창체로 유입되어 상기 배관측 팽창체가 팽창됨으로써, 상기 탱크측 팽창체와 상기 배관측 팽창체가 서로 면접촉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사이가 밀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에 의하면,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가 전기 발전 부재와, 동력 제공 부재와, 공기 압축기와,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 공급이 없는 오프그리드 방식으로 자체 발전을 통해 공기 중의 습기만을 이용하여 물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해안가, 사막, 섬 등과 같이 물을 구하기 힘들면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주변 환경의 여건에 무관하게 식수, 조경용수, 농업용수 등으로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100)는 전기 발전 부재(110)와, 동력 제공 부재(125)와, 공기 압축기(130)와,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100)는 물 탱크 부재(140), 비료 공급 부재(150), 공기 발전 부재(155), 공압 청소 부재(16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는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것으로서, 태양광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패널, 풍력을 이용한 풍력 발전기 등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수단들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발전을 수행함에 따라, 외부에서 전기 공급이 없이 오프그리드 방식으로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100)가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는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에서 생산된 상기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전기 모터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에서 생산된 상기 전기는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로 실시간으로 직접 공급될 수도 있고, 상기 절기 발전 부재에서 생산된 상기 전기가 충전 컨트롤러(115)를 경유한 다음 배터리 부재(120)에 충전되었다가, 상기 배터리 부재(120)로부터 상기 전기가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로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 압축기(130)는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외기(외부 공기)를 도입하여 압축시킴으로써 압축 공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의 회전축에 상기 공기 압축기(130)를 구성하는 압축팬의 회전축이 연결되는 형태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는 상기 공기 압축기(130)에서 형성된 상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는 외부에 대하여 밀폐된 용기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압축기(130)와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는 압축기 탱크 연결 배관(165)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공기 압축기(130)에서 형성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로 유입된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로 상기 압축 공기가 지속적으로 유입됨에 따라,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면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의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공기 압축기(130)에서 압축되었을 상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압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에 함유되어 있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형성되고, 상기 응축수가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바닥에 고이게 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에서 상기 응축수가 형성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물 탱크 부재(140)는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에서 형성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것으로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바닥과 상기 물 탱크 부재(140)는 탱크 간 연결 물 배관(166)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바닥에 고인 상기 응축수가 상기 물 탱크 부재(14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73은 상기 탱크 간 연결 물 배관(166)을 개폐시키는 탱크 간 연결 물 개폐 밸브이다.
상기 물 탱크 부재(140)의 바닥에는 수위 감지 센서(103)가 설치되어, 상기 수위 감지 센서(103)에서 감지되는 상기 물 탱크 부재(140)의 내부의 상기 응축수의 수위가 후술되는 제어부(10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에서 상기 압축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 예를 들어 상부와 상기 물 탱크 부재(140)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 예를 들어 상부가 탱크 간 연결 공기 배관(168)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탱크 간 연결 공기 배관(168)을 통해 상기 물 탱크 부재(140)의 내부의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관수 시설 등 물이 필요한 외부 수요처(102)에 대한 물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물 탱크 부재(140)로 유입되어, 상기 물 탱크 부재(140)로 유입된 상기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물 탱크 부재(140)에 저장된 상기 응축수가 밀려 나가면서 상기 외부 수요처(10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75는 상기 탱크 간 연결 공기 배관(168)을 개폐시키는 탱크 간 연결 공기 개폐 밸브이다.
상기 물 탱크 부재(140)의 바닥과 상기 외부 수요처(102)는 탱크 수요처 연결 배관(167)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물 탱크 부재(140)로부터 밀려난 상기 응축수는 상기 탱크 수요처 연결 배관(167)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외부 수요처(10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74는 상기 탱크 수요처 연결 배관(167)을 개폐시키는 탱크 수요처 연결 개폐 밸브이다.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는 상기 외부 수요처(102)로 공급될 액상 비료 등의 비료가 수용되는 것이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에서 상기 압축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 예를 들어 상부와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 예를 들어 상부가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169)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169)을 통해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의 내부의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외부 수요처(102)에 대한 비료 공급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로 유입되어,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로 유입된 상기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에 수용된 상기 비료가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로부터 밀려 나갈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76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169)을 개폐시키는 비료 공급향 연결 개폐 밸브이다.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와 상기 탱크 수요처 연결 배관(167)은 비료 공급출 연결 배관(170)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로부터 밀려난 상기 비료가 상기 비료 공급출 연결 배관(170)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탱크 수요처 연결 배관(167)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응축수, 즉 상기 물 탱크 부재(140)에 저장되어 있다가 상기 외부 수요처(102)로 공급되는 중인 상기 응축수에 혼합됨으로써, 상기 비료가 상기 응축수와 함께 상기 외부 수요처(10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77은 상기 비료 공급출 연결 배관(170)을 개폐시키는 비료 공급출 연결 개폐 밸브이다.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는 에어 터빈을 포함하여 발전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와 별도로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에서 상기 압축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 예를 들어 상부와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의 입구가 공기 발전향 연결 배관(172)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배관(172)을 통해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로 유입되어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를 구성하는 상기 에어 터빈을 구동시켜 줌으로써,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를 구성하고 상기 에어 터빈과 연결된 발전기에서 발전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79는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배관(172)을 개폐시키는 공기 발전향 연결 개폐 밸브이다.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에서 생산된 전기는 상기 충전 컨트롤러(115)를 경유한 다음 상기 배터리 부재(120)에 충전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가 구비됨에 따라, 관수 등 상기 외부 수요처(102)에 대한 물 공급이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에서 발전이 이루어져서 상기 배터리 부재(120)가 충전될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100)의 작동 효율이 향상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는 상기 에어 터빈의 최대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알피엠(rpm) 측정기를 포함하여, 상기 알피엠 측정기에 의해 상기 에어 터빈의 미리 설정된 최대 알피엠이 측정되면,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개폐 밸브(179)에 의해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배관(172)이 닫혀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로의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이 차단되고, 상기 알피엠 측정기에 의해 측정된 상기 에어 터빈의 알피엠이 미리 설정된 정상 범위 구간으로 떨어지게 되면,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개폐 밸브(179)에 의해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배관(172)이 다시 열려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로의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이 재개되면서 상기 에어 터빈의 작동의 속도가 증진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한정된 상기 압축 공기를 이용해서 상기 에어 터빈이 안정적으로 장시간 동안 이용 가능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개폐 밸브(179)에 의해 상기 공기 발전향 연결 배관(172)이 닫혀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로의 상기 압축 공기의 공급이 차단된 경우에도, 관성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유지시켜주기 위하여 상기 에어 터빈에는 플라이휠이 더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공압 청소 부재(160)는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가 상기 태양광 발전 패널인 경우,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의 표면을 청소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에서 상기 압축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 예를 들어 상부와 상기 공압 청소 부재(160)의 입구가 공압 청소향 연결 배관(171)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공압 청소향 연결 배관(171)을 통해 상기 공압 청소 부재(160)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공압 청소 부재(160)로 유입된 다음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의 표면이 청소될 수 있게 된다.
도면 번호 178은 상기 공압 청소향 연결 배관(171)을 개폐시키는 공압 청소향 연결 개폐 밸브이다.
상기 제어부(101)는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100)의 상기된 각 구성들, 상기된 각 개폐 밸브들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에서 생산되어 상기 배터리 부재(120)에 축전된 상기 전기에 의해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가 작동되면,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와 연결된 상기 공기 압축기(130)가 작동되면서 외기를 도입하여 압축하여 상기 압축 공기를 형성한다.
상기 압축 공기는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로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에서 상기 응축수가 형성된다.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에서 형성된 상기 응축수는 상기 물 탱크 부재(140)에 수용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상기 외부 수요처(102)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비료가 상기 응축수와 함께 상기 외부 수요처(102)로 함께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로 유입된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는 상기 물 탱크 부재(140)로 유입되어 상기 물 탱크 부재(140)로부터 상기 응축수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로 유입되어 상기 비료 공급 부재(150)로부터 상기 비료가 토출될 수 있도록 하는 압력을 제공하거나, 상기 공기 발전 부재(155)로 유입되어 발전에 이용되거나, 상기 공압 청소 부재(160)로 유입되어 상기 절기 발전 부재를 청소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100)가 상기 전기 발전 부재(110)와, 상기 동력 제공 부재(125)와, 상기 공기 압축기(130)와,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135)를 포함함에 따라, 외부로부터 전기 공급이 없는 오프그리드 방식으로 자체 발전을 통해 공기 중의 습기만을 이용하여 물을 생성할 수 있게 되어, 해안가, 사막, 섬 등과 같이 물을 구하기 힘들면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주변 환경의 여건에 무관하게 식수, 조경용수, 농업용수 등으로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의 구성 중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부분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는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와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부에 수용된 압축 공기가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 사이의 틈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 공기 누설 차단 부재(2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압축 공기 누설 차단 부재(280)는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유입되는 압축 공기 도입홀(281)과,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과 연통되도록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벽체에 형성되되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을 따라 유동된 것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의 접촉 부분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의 접촉 부분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부에 있던 것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 공기 유동홀(282)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곡률로 만곡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를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 쪽으로 유도시키는 압축 공기 유도 돌기(283)와,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 측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의 주변을 따라 링 형태로 둘러진 형태로 형성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측 팽창체(285)와,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배관측 팽창체(285)와 접하도록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 측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의 주변을 따라 링 형태로 둘러진 형태로 형성되고 고무 등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탱크측 팽창체(288)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과 상대적으로 근접된 부분인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의 말단부와 상기 탱크측 팽창체(288)를 연통시켜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의 말단부를 통해 유동되는 것의 일부가 상기 탱크측 팽창체(288)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탱크측 팽창체(288)가 팽창되도록 하는 압축 공기 환원관(284)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283)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 쪽의 면인 내면과 상기 배관측 팽창체(285)를 연통시켜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283)를 통해 유도되는 것의 일부가 상기 배관측 팽창체(285)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관측 팽창체(285)가 팽창되도록 하는 돌기측 유동관(286)과, 상기 돌기측 유동관(286)의 입구 부분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283)의 말단부와 상대적으로 더 이격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283)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의 일부를 상기 돌기측 유동관(286) 쪽으로 유도시키는 유동관향 유도 돌기(287)를 포함한다.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과 연통되는 부분에 비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과 연통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좁아지도록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로부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을 따라 유동되는 것의 압력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로부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의 접촉 부분의 밀폐력이 더욱 증진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부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을 통해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283)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을 통해 유동된다.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을 통해 유동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로 유입되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의 압력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을 통해 유동되면서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 상태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의 말단을 통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의 접촉 부분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부에 있던 것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의 접촉 부분의 틈을 통해 임의로 누설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을 통해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압축 공기 환원관(284)을 통해 환원된 다음 상기 탱크측 팽창체(288)로 유입되어 상기 탱크측 팽창체(288)가 팽창되고,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283)를 따라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유동관향 유도 돌기(287)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돌기측 유동관(286)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배관측 팽창체(285)로 유입되어 상기 배관측 팽창체(285)가 팽창됨으로써, 상기 탱크측 팽창체(288)와 상기 배관측 팽창체(285)가 서로 면접촉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281)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282) 사이가 밀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밀폐 수단을 구비하지 않더라도,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을 통해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235)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269) 사이가 밀폐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에 의하면, 해안가, 사막, 섬 등과 같이 물을 구하기 힘들면서 공기 중의 습도가 높은 곳에서, 주변 환경의 여건에 무관하게 안정적인 물 공급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110 : 전기 발전 부재
125 : 동력 제공 부재
130 : 공기 압축기
135 :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

Claims (5)

  1.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전기 발전 부재;
    상기 전기 발전 부재에서 생산된 상기 전기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동력 제공 부재;
    상기 동력 제공 부재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구동력에 의해 외기를 도입하여 압축시킴으로써 압축 공기를 형성하는 공기 압축기;
    상기 공기 압축기에서 형성된 상기 압축 공기가 유입되는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에서 형성된 상기 응축수를 저장하는 물 탱크 부재;
    외부 수요처로 공급될 비료가 수용되는 비료 공급 부재;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에서 상기 압축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과 상기 비료 공급 부재에서 공기가 존재하는 부분을 연결하는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및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사이를 밀폐시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에 수용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와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사이의 틈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 공기 누설 차단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로 상기 압축 공기가 유입됨에 따라,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증가되면서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가 상대적으로 더 압축되고, 그에 따라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수분이 응축되어 응축수가 형성되고,
    상기 압축 공기 누설 차단 부재는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관통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유입되는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연통되도록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벽체에 형성되되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을 따라 유동된 것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으로 분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을 통해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에 있던 것이 누설되는 것을 차단하는 압축 공기 유동홀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내벽으로부터 소정 곡률로 만곡되도록 돌출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따라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를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 쪽으로 유도시키는 압축 공기 유도 돌기와,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 측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의 주변을 따라 링 형태로 둘러진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배관측 팽창체와,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이 서로 연통되는 부분에서 상기 배관측 팽창체와 접하도록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 측에 배치되되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주변을 따라 링 형태로 둘러진 형태로 형성되고 탄성을 가진 물질로 이루어지며 그 내부가 빈 형태로 형성되는 탱크측 팽창체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대적으로 근접된 부분인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말단부와 상기 탱크측 팽창체를 연통시켜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말단부를 통해 유동되는 것의 일부가 상기 탱크측 팽창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탱크측 팽창체가 팽창되도록 하는 압축 공기 환원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 쪽의 면인 내면과 상기 배관측 팽창체를 연통시켜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를 통해 유도되는 것의 일부가 상기 배관측 팽창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관측 팽창체가 팽창되도록 하는 돌기측 유동관과,
    상기 돌기측 유동관의 입구 부분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의 말단부와 상대적으로 더 이격된 부분에서 돌출되어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의 내면을 따라 유동되는 것의 일부를 상기 돌기측 유동관 쪽으로 유도시키는 유동관향 유도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중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연통되는 부분에 비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연통되는 부분이 상대적으로 더 좁아지도록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로부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따라 유동되는 것의 압력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로부터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고,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로부터 유출되어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을 통해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을 통해 유동되고,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을 통해 유동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로 유입되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통해 유동되는 상기 압축 공기의 압력이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통해 유동되면서 상대적으로 커지게 된 상태로 상기 압축 공기가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의 말단을 통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으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압축 공기 중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에 있던 것이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벽면과 상기 비료 공급향 연결 배관의 접촉 부분의 틈을 통해 임의로 누설되는 현상이 차단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을 통해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압축 공기 환원관을 통해 환원된 다음 상기 탱크측 팽창체로 유입되어 상기 탱크측 팽창체가 팽창되고, 상기 압축 공기 유도 돌기를 따라 유동되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유동관향 유도 돌기에 의해 유도되어 상기 돌기측 유동관을 통해 유동된 다음 상기 배관측 팽창체로 유입되어 상기 배관측 팽창체가 팽창됨으로써, 상기 탱크측 팽창체와 상기 배관측 팽창체가 서로 면접촉되면서 밀착되어, 상기 압축 공기 도입홀과 상기 압축 공기 유동홀 사이가 밀폐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는
    에어 터빈을 포함하여 발전할 수 있는 공기 발전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상기 공기 발전 부재로 유입되어 상기 에어 터빈을 구동시켜 줌으로써, 상기 공기 발전 부재에서 발전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는
    상기 전기 발전 부재가 태양광 발전 패널인 경우, 상기 전기 발전 부재의 표면을 청소해 수 있는 공압 청소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응축수 형성 탱크 부재의 내부의 상기 압축 공기 중의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공압 청소 부재로 유입된 다음 상기 전기 발전 부재로 분사됨으로써, 상기 전기 발전 부재의 표면이 청소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KR1020220022985A 2022-02-22 2022-02-22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KR102430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985A KR102430450B1 (ko) 2022-02-22 2022-02-22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2985A KR102430450B1 (ko) 2022-02-22 2022-02-22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450B1 true KR102430450B1 (ko) 2022-08-09

Family

ID=8284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2985A KR102430450B1 (ko) 2022-02-22 2022-02-22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045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459A (ko) * 2003-07-25 2005-02-02 김범식 양액 자동혼합장치 및 양액 자동혼합방법
KR20090055449A (ko) * 2007-11-28 2009-06-02 이상하 압축공기등을 이용하여 다중발전하는 방법
KR101611948B1 (ko) 2014-03-04 2016-04-12 구제진 빗물을 이용한 식수생성장치
CN205557675U (zh) * 2016-04-23 2016-09-07 郭爱华 一种室内空气制水装置
KR20200038210A (ko) * 2020-03-25 2020-04-10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2459A (ko) * 2003-07-25 2005-02-02 김범식 양액 자동혼합장치 및 양액 자동혼합방법
KR20090055449A (ko) * 2007-11-28 2009-06-02 이상하 압축공기등을 이용하여 다중발전하는 방법
KR101611948B1 (ko) 2014-03-04 2016-04-12 구제진 빗물을 이용한 식수생성장치
CN205557675U (zh) * 2016-04-23 2016-09-07 郭爱华 一种室内空气制水装置
KR20200038210A (ko) * 2020-03-25 2020-04-10 인피니티에너지주식회사 태양광 패널의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2948B2 (en) Energy storage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energy and recovering the stored energy using the system
US7216483B2 (en) Power generating system utilizing buoyancy
US20100133837A1 (en) Method for accumulation and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JP2005226652A (ja) 圧力蓄積構造体
WO2008082221A1 (en) Device for generating electricity using buoyancy
KR102430450B1 (ko) 공기 압축 방식 응축수 급수 장치
JP7198632B2 (ja) 風力発電システム
EP1105644A1 (en) Device and method for the exploitation of wave energy
CN208900286U (zh) 海上风力发电机组
RU2005199C1 (ru) Вакуумна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
RU2318955C2 (ru) Гид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RU2214530C1 (ru) Гидрогаз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JP2004124866A (ja) 沈水式発電装置
RU2127373C1 (ru) Гидроэлектростанция
KR20020075097A (ko) 조력발전 방법 및 그 장치
WO2024032878A1 (en) A submersible hydroelectric generator apparatu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12241706A (ja) 圧縮空気式発電装置
JP7449901B2 (ja) 圧縮空気貯蔵発電装置
RU2010995C1 (ru) Волновая 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CN218563792U (zh) 虹吸式发电装置
JP2004225683A (ja) エネルギーの備蓄と変換の方法とその装置
CN117231295A (zh) 风包正压自动放水装置
SU1206376A1 (ru) Гидроаккумулирующа электростанци
JP3146196U (ja) 空気圧による発電装置
KR20100119294A (ko) 수력발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