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0428B1 -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 Google Patents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0428B1
KR102430428B1 KR1020210015172A KR20210015172A KR102430428B1 KR 102430428 B1 KR102430428 B1 KR 102430428B1 KR 1020210015172 A KR1020210015172 A KR 1020210015172A KR 20210015172 A KR20210015172 A KR 20210015172A KR 102430428 B1 KR102430428 B1 KR 10243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ata
beacon data
beacon
curren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1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류지구
심철준
Original Assignee
(주)아이지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지코 filed Critical (주)아이지코
Priority to KR10202100151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0428B1/en
Priority to KR1020220096555A priority patent/KR1025970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042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7/00Synchronisation
    • G04G7/02Synchronisation by ra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3Protecting confidentiality, e.g. by encryp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3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 H04W12/64Location-dependent; Proximity-dependent using geofenced are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trol system includ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includes: a real time clock (RTC) module calculating a first current time; an encryption module generating beacon data by performing encryption based on the first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for encryp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transmitting the generated beacon data to a second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includes: a communication module receiving the beacon data; an RTC module calculating a second current time; an encryption module generating encrypted data by performing encryption based on the second current time and the specific data; and a control unit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ased on a comparison between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controlling terminals through beacon data.

Description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본 발명은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비콘 데이터를 통해 단말기를 통제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erminal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rminal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through beacon data.

이동통신기술과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이하 "IP"라 함) 기반의 유무선 인터넷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동통신 기술과 유무선 인터넷 기술이 결합된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Wired and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based 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Internet Protocol (hereinafter referred to as "IP") is rapidly developing. have.

특히, 상기 이동통신 기술이 적용되는 이동통신망과 유무선 인터넷 기술이 적용된 유무선 인터넷망 둘 모두에 접속, 즉 상기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고, 이동 중에도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여 인터넷을 할 수 있으며,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 음성 및 메시지 통신, 근거리 데이터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을 이용한 사용자 인증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및 스마트패드와 같은 스마트기기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보급이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 기기의 보급 및 유무선 데이터 통신 기술의 발전으로 이동통신단말기는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사람들에게 다양한 편리성을 제공하고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connect to bot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to which the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is applied and a wired/wireless Internet network to which the wired/wireless Internet technology is applied, that is, to access the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network, to perform data communication while moving to the Internet, and to use the camera. The spread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such as smart phones and smart devices that provide various functions such as shooting, voice and message communication, and user authentication usin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is becoming common. With the spread of smart devices and the development of wired and wireless data communication technolog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provide various functions, and thus provide various conveniences to people.

이동통신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을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시스템들이 개발되어 왔으며, 이러한 시스템들 중 하나가 학원 및 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이동통신단말기의 NFC 또는 위치를 기반으로 하여 학생들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통제하는 통제 시스템이다. Various service systems using various functions of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have been developed, and one of these systems controls the operation of student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based on NFC or location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in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private institutes and schools. It is a control system that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 비콘(beacon)을 이용할 수 있다. 비콘은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단말로서, 통신 단말간 페어링(pairing)절차가 불필요하고, 저전력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비콘은 일대다는 물론 다대다 통신이 가능한 특성으로 인해 광고, 정보 전송, 홈오토메이션, 결제 등 다양한 비콘 서비스에 이용되고 있다. 이런한 비콘을 이용하여 수업 중이나 시험 중에는 단말기의 동작을 통제할 필요가 있다. A beacon may be used as another means for controlling the terminal. A beacon is a short-rang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Bluetooth Low Energy (BLE) technology, and has advantages in that a pairing procedure between communication terminals is unnecessary and communication can be performed with low power. In addition, beacons are used in various beacon services such as advertisements, information transmission, home automation, and payment due to their characteristics of enabling one-to-many as well as many-to-many communication. It is necessary to use these beacon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during class or during an exam.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7360호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4736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콘 데이터를 통해 단말기를 통제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through beacon dat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단말기 통제 시스템은,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말기는,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real rime clock) 모듈;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 모듈;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RTC 모듈;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암호화 모듈; 및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erminal control system for solving the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RTC (real rime clock) module for calculating a first current time; an encryption module for generating beacon data by performing encryption based on the first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for encryption; and a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beacon data to a second terminal. including, wherein the second terminal comprises: a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beacon data; RTC module for calculating a second current time; an encryption module for generating encrypted data by performing encryption based on the second current time and the specific data; and a controller configured to control the second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현재 시간이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인 경우, 상기 제2 현재 시간을 상기 제1 현재 시간으로 결정하여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new beacon data in a preset time unit,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same beacon data within the preset time unit, and the second terminal determines that the second current time is the preset time. If it is within a time unit, the encrypted data may be generated by determining the second current time as the first current time.

또한,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차단모드 또는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terminal receives an operation mode signal indicating that it is a blocking mode or a cancellation mode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and the controller compares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blocking mode. , if both are the sam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are deactivated, and when the operation mode is the cancellation mode,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are compared, and if both are the sam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can be activat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Also, when the second terminal leaves the place where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the control unit may activat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또한, 상기 제1 단말기는, 비콘 데이터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Also, the first terminal may generate the beacon data based on an input requesting to generate the beacon data.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상기 본 발명에 의하면, 비콘 데이터를 통해 단말기를 통제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및 통제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terminal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through beacon dat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of a termin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stated component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and "and/or" includes each and ever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e recited elements. Although "first", "second" and the like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thes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of course.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irst component mentioned below may be the second component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예시적인"이라는 단어는 본 명세서에서 "예시 또는 예증으로서 사용된"의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예시적인"것으로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반드시 바람직한 것으로서 해석되거나 다른 실시예들보다 이점을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The word "exemplary" is used herein in the sense of "used as an illustration or illustration." Any embodiment described herein as “exemplary” is not necessarily to be construed as preferred or advantageous over other embodiments.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FPGA 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엘리먼트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엘리먼트들, 클래스 엘리먼트들 및 태스크 엘리먼트들과 같은 엘리먼트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엘리먼트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엘리먼트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엘리먼트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Also, as used herein, the term “unit” refers to a hardware element such as software, FPGA, or ASIC, and “unit” performs certain roles. However, "part" is not meant to be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 “uni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fresh one or more processors. Thus, by way of example, “part” refers to elements such as software elements, object-oriented software elements, class elements, and task elements, and processes, functions, properties, procedures, subroutines, and programs. It includes segments of code, drivers, firmware, microcode, circuitry, data, databases, data structures, tables, arrays and variables. The functionality provided within elements and “parts”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elements and “parts” or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elements and “par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모든 “부”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부”가 수행하는 동작을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수도 있다.Also, in this specification, all “units” may be controlled by at least one processor, and at least one processor may perform operations performed by the “units” of the present disclosure.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은 기능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의 관점에서 설명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부’ 또는 ‘모듈’ 등으로 지칭될 수 있는 블록은 논리 게이트, 집적 회로, 마이크로 프로세서, 마이크로 컨트롤러, 메모리, 수동 전자 부품, 능동 전자 부품, 광학 컴포넌트, 하드와이어드 회로(hardwired circuits) 등과 같은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회로에 의해 물리적으로 구현되고, 선택적으로 펌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described in terms of a function or a block performing a function. Blocks, which may be referred to as 'parts' or 'modules' of the present disclosure, etc., include logic gates, integrated circuits, microprocessors, microcontrollers, memories, passive electronic components, active electronic components, optical components, hardwired circuits, and the like. It may be physically implemented by analog or digital circuitry, such as, and optionally driven by firmware and software.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엘리먼트를 제어하기 위해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using at least one software program running on at least one hardware device and may perform a network management function to control an elem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will have the meaning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are not to be interpreted ideally or excessively unless clearly specifically defined.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 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Spatially relative terms "below", "beneath", "lower", "above", "upper", etc. It can be used to easily describe the correlation between a component and other components. A spatially relative term should be understood as a term that includes different directions of components during use or operation in addition to the directions shown in the drawings. For example, when a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 is turned over, a component described as "beneath" or "beneath" of another component is placed "above" of the other component. can get Accordingly, the exemplary term “below” may include both directions below and above. Components may also be oriented in other orientations, and thus spatially relative terms may be interpreted according to orient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termin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말기 통제 시스템(100)은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control system 100 may include a first terminal 110 and a second terminal 120 .

비콘은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 정보를 전달하고 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파악하는 근거리 통신 기술이다. 비콘은 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의 무선통신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로서, 최대 70 m 반경까지 단말기(스마트폰을 포함한 스마트 기기)와 통신할 수 있어, 단말기에 태그할 필요 없이 비콘이 설치된 특정 장소나 매장에 방문객들이 입장하는 순간 안내 서비스나 모바일 쿠폰이 지급될 수 있다. 또한, 저전력의 BLE(Bluetooth Low Energy) 기술을 지원하는 비콘 단말기를 사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량이 적은 장점이 있다. GPS의 경우 수십 미터의 오차가 있는 반면, 비콘은 5 cm 정도까지의 정교한 위치 측정이 가능하므로, 특히 실내에서의 비콘을 이용한 단말기를 통제할 때 유리할 수 있다.Beacon is a short-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that transmits information using Bluetooth communication and identifies the loc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A beacon is a device that uses a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y based on the Bluetooth 4.0 (BLE) protocol, and can communicate with a terminal (smart devices including smartphones) up to a radius of up to 70 m. A guide service or a mobile coupon may be provided as soon as visitors enter the store. In addition, since a beacon terminal supporting low-power BLE (Bluetooth Low Energy) technology is used, battery consumption is small. In the case of GPS, there is an error of several tens of meters, whereas a beacon can measure a precise location of up to 5 cm, which can be advantageous, especially when controlling a terminal using a beacon indoors.

본 발명에서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는 예를 들어, 컴퓨터, UMPC(Ultra Mobile PC), 워크스테이션, 넷북(net-book),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포터블(portable) 컴퓨터, 웹 타블렛(web tablet), 무선 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 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같은 전자 장치 중 하나로서, 일 실시예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실행이 가능한 모든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are, for example, a computer, an Ultra Mobile PC (UMPC), a workstation, a net-book, 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and a portable (portable). ) As one of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omputer, a web tablet, a wireless phone,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nd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an application related to an embodiment It may include any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being installed and executed.

본 발명에서, 제1 단말기(110)는 비콘 단말기 역할을 수행하거나 비콘 단말기 모듈을 포함하는 전자장치일 수 있다. 또한, 제2 단말기(120)는 특정 영역(130) 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1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여 여러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나아가, 제2 단말기(120)는 암호화를 위해 제1 단말기(110)와 마찬가지로 비콘 단말기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110 may serve as a beacon terminal or may be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beacon terminal module. Also, when the second terminal 120 is located within the specific area 130 , the second terminal 120 may be an electronic device that receives the beacon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110 and determines whether to activate various functions. Furthermore, the second terminal 120 may include a beacon terminal module, like the first terminal 110, for encryption.

제1 단말기(110)는 특정 영역(130) 내에 위치하는 제2 단말기(120)로 비콘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단말기(120)는 수신된 비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터넷 및 전화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The first terminal 110 transmits beac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120 located within the specific area 13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may control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ased on the received beacon data. have.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의 신호 세기를 미리 조절하여 제1 단말기(110)의 신호를 제2 단말기(120)가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해둔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가 비콘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서 제2 단말기(120)가 제어될 수 있는 영역으로, 상기 특정 영역(130)은 제1 단말기(110)의 신호세기의 조절을 통해 확대 또는 축소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area 130 may be a range set so that the second terminal 120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110 by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terminal 110 in advance. Accordingly, the specific area 130 is an area in which the second terminal 120 can be controlled by the first terminal 110 transmitting beacon data, and the specific area 130 is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terminal 110 . It can be enlarged or reduced by adjusting the

제2 단말기(120)는 제2 단말기(12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이용하여 수신된 비콘 데이터에 기초하여 인터넷 및 전화 기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110)가 비콘 데이터를 전송하면 제2 단말기(120)는 수신된 비콘 데이터와 제2 단말기(120)에서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제2 단말기(120)의 기능을 통제(또는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무선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120 may control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ased on the received beacon data using an application program or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120 . Therefore, when the first terminal 110 transmits beacon data, the second terminal 120 compares the received beacon data with the encrypted data generated by the second terminal 120 to control the function of the second terminal 120 . (or control)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program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may be downloaded through an external serv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또한, 제1 단말기(110) 역시 제2 단말기(120)와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first terminal 110 may include the same application program or application as the second terminal 120 .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통제 시스템의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of a terminal control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의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는 도 1의 제1 단말기(110) 및 제2 단말기(120)와 각각 대응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of FIG. 2 may correspond to the first terminal 110 and the second terminal 120 of FIG. 1 , respective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RTC(real time clock)(220), 암호화 모듈(230) 및 통신 모듈(240)을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210 may include a real time clock (RTC) 220 , an encryption module 230 , and a communication module 240 .

RTC(220)는 현재의 시간을 유지시키는 컴퓨터 시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RTC(220)는 엡손(Epson), 인터실(Intersil), IDT, 맥심(Maxim), NXP반도체, 텍사스인스트루먼트(Texas Instruments), 또는 ST 마이크로일렉트로닉스(ST Microelectronics) 등의 제조사에서 생산된 것일 수 있다.The RTC 220 may be a computer clock that keeps the current tim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TC 220 is produced by manufacturers such as Epson, Intersil, IDT, Maxim, NXP Semiconductors, Texas Instruments, or ST Microelectronics. it could be

RTC(220)는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RTC(220)는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때 마다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암호화 모듈(230)로 제공하고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제공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 RTC 220 may calculate (or calculate) the current time by increasing the counter value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RTC 220 calculates the current time whenever new beacon data is generated and provides it to the encryption module 230 , and the encryption module 230 provides beacon data that is encrypted data based on the current time provided from the RTC 220 . can creat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하여 암호화 과정을 통해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모듈(230)은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는 암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되어 제1 단말기(210)에 저장되어 있는 숫자 및/또는 문자의 조합일 수 있다. 달리 말해, 상기 특정 데이터는 외부의 다른 암호화 장치 또는 복호화 장치가 암호화 모듈(230)과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복호화 할 수 없도록 하기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키(KEY)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ryption module 230 may obtain the current time from the RTC 220 and generate beacon data that is encrypted data through an encryption process. Specifically, the encryption module 230 may generate beacon data using the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for encryption. In this case, the specific data may be a combination of numbers and/or letters preset for encryption and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210 . In other words, the specific data may be a key set in advance to prevent another external encryption or decryption device from generating or decrypting the same beacon data as the encryption module 230 .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 설치되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가 동일한 시간을 기초로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한다면,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는 항상 동일한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으므로, 동일한 암호화 데이터가 생성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ecific data may be shared through applications installed in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 Therefore, if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generate encrypted data based on the same time,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always store the same specific data, The same encrypted data may be generated.

또한, 상기 특정 데이터는 제1 단말기(210)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될 수 있으며, 변경된 특정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단말기(250)로 공유될 수 있다.Also, the specific data may be changed by an administrator or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210 , and the changed specific data may be shared to the second terminal 250 through an application.

본 발명에서 암호화 모듈(230)은 DES, TDES, AES, SEED, RSA, ARIA, SEED, ARIA 또는 3DES 등의 암호화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아리아(ARIA) 암호화 알고리즘은 국가 보안 기술 연구소(National Security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된 민관 겸용 블록 대칭키 암호화 알고리즘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ryption module 230 may generate beacon data using an encryption algorithm such as DES, TDES, AES, SEED, RSA, ARIA, SEED, ARIA, or 3DES. Here, the ARIA encryption algorithm is a public-private block symmetric key encryption algorithm developed by the National Security Research Institute.

비콘 데이터 생성을 완료한 제1 단말기(210)는 상기 비콘 데이터를 통신 모듈(240)을 통해 제2 단말기(270)로 전송할 수 있다.The first terminal 210 that has completed generating the beacon data may transmit the beac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7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40)은 제1 단말기(210)의 현재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비콘 데이터와 함께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동작모드는 차단모드 및 해지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transmit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the first terminal 210 together with beacon data. The operation mode may include a blocking mode and a release mode.

차단모드는 제2 단말기(250)의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비활성화 시키는 모드이며, 해지모드는 다시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키는 모드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동작모드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는 수업을 시작하는 경우 동작모드를 차단모드로 선택하고 수업이 종료된 이후는 상기 동작모드를 해지모드로 선택할 수 있다.The blocking mode may be a mode for inactivating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of the second terminal 250 , and the canceling mode may be a mode for activating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again. In an embodiment, the operation mode may be selected by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210 . For example, the user may select an operation mode as a blocking mode when starting a class, and may select the operation mode as a cancellation mode after the class ends.

또는, 제1 단말기(210)는 평상시에는 해지모드로 동작하다가 필요한 경우 차단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제1 단말기(210)는 평상시에는 차단모드로 동작하다가 필요한 경우 해지모드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대학교 강의실에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경우, 수업 또는 시험 외 시간에는 해지모드로 동작하다가 수업 또는 시험시간에는 차단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반대로, 고등학교와 같이 핸드폰 등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장소에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경우, 등교시간부터 하교시간까지는 차단모드로 동작하다가 하교시간 이후부터는 해지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first terminal 210 may normally operate in the cancellation mode, and may operate in the blocking mode if necessary. Conversely, the first terminal 210 may normally operate in the blocking mode, and may operate in the cancel mode if necessary.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210 is installed in a university lecture room, it may operate in the cancel mode during non-class or test time, and may operate in the cut-off mode during class or test time. Conversely, when the first terminal 210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mobile phone cannot be used, such as a high school, it may operate in the blocking mode from the start time to the dismissal time, and then operate in the cancel mode after the school ti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는 10분 단위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 제1 단말기(210)는 다음번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까지는 실시간으로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TC(220)에서 10시 00분 시간을 계산하고 암호화 모듈(230)에서 10시 00분을 기초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게 된다면, 제1 단말기(210)는 10시 10분 전까지 상기 10시 00분을 기초로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는 초, 분, 시, 일, 주 및 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에서 공유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210 may generate new beacon data in a preset time unit. 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210 may generate new beacon data every 10 minutes. Also, within the preset time unit, the first terminal 210 may transmit the same beac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50 in real time until the next new beacon data is generated. For example, if the RTC 220 calculates the time at 10:00 and the encryption module 230 generates beacon data based on 10:00, the first terminal 210 performs the Beacon data generated based on 10:00 can be transmitted. In this case, the preset time unit may include seconds, minutes, hours, days, weeks, and months. Also, the preset time unit may be shared by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through an application.

또한,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주기는 초, 분 및 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기 전인,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 내에 특정 영역(130)에 진입한 제2 단말기(120)는 모두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결정된 시간 단위가 10분이고, 10시 00분에 새로운 비콘 데이터가 생성되면, 10시 05분에 특정 영역(130)에 진입한 제2 단말기와 10시 07분에 특정 영역(130)에 진입한 제2 단말기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생성한 이후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도 있다.Also, the first terminal 210 may periodically transmit the same beacon data within a preset time unit. In this case, the period may include seconds, minutes, hours, and the like. Accordingly, all of the second terminals 120 entering the specific area 130 within a predetermined time unit before generating new beacon data may receive the same beacon data. For example, if the predetermined time unit is 10 minutes and new beacon data is generated at 10:00, the second terminal enters the specific area 130 at 10:05 and the specific area 130 at 10:07. ) entering the second terminal may receive the same beacon data. Also, the first terminal 210 may periodically generate the same beacon data within a preset time unit and then transmit it to the second terminal 25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로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거나 전송하는 것 외에도,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따라 비콘 데이터 생성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는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을 설정하여 제1 단말기(210)를 셋팅하고, 제1 단말기(210)는 미리 설정된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에 따라 비콘 데이터 생성을 시작하거나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말기(210)는 특정 시간 동안 비콘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강의실에 제1 단말기(210)가 설치된 경우, 제1 단말기(210)는 수업(또는 시험) 등의 시작 시간에 맞추어 차단모드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고 수업 종료 시간에 맞추어 해지모드로 비콘 데이터를 일정 시간 동안 생성하고 비콘 데이터 생성을 종료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생성 시작 시간과 종료 시간은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원하는 경우 언제든 새롭게 셋팅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generating or transmitting the same beacon data in a preset time unit, the first terminal 210 starts or ends beacon data generation according to a preset data generation start time and end time. can do. Specifically,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210 sets the first terminal 210 by setting the data generation start time and end time, and the first terminal 210 sets the data generation start time and end time according to the preset data generation start time and end time. Beacon data generation can be started or stopped. Also, the first terminal 210 may generate beacon data for a specific time. For example, when the first terminal 210 is installed in a lecture room, the first terminal 210 generates beacon data in the blocking mode according to the start time of a class (or exam), etc., and enters the cancel mode according to the end time of the class. Beacon data can be gen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the beacon data generation can be terminated. The data generation start time and end time can be newly set whenever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210 desir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단말기(210)의 사용자가 제1 단말기(210)를 소지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비콘 데이터 생성 요청을 제1 단말기(210)에 입력하여 제1 단말기(210)로 하여금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erminal 210 may generate beacon data according to a user's request of the first terminal 210 . For example, when the user of the first terminal 210 possesses the first terminal 210 , the user selects an operation mode and inputs a beacon data generation request to the first terminal 210 to the first terminal ( 210 ). 210) to generate beacon data.

비콘 데이터 생성이 완료되면, 암호화 모듈(230)은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통신 모듈(24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RTC(220)도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암호화 모듈(230)에 제공한 상기 현재 시간을 통신 모듈(240)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모듈(240)은 비콘 데이터 또는 비콘 데이터 및 현재 시간을 네트워크(블루투스 4.0(BLE) 프로토콜 기반)를 통해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숭한 미리 설정 시간 단위가 제2 단말기(250)에 공유되지 않은 경우라면, 제2 단말기(250)는 RTC(220)가 계산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When the beacon data generation is completed, the encryption module 230 may provide the generated encrypted data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 Also, the RTC 220 may provide the current time provided to the encryption module 230 to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to generate beacon data. Accordingly,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may transmit beacon data or beacon data and the current time to the second terminal 250 through a network (based on Bluetooth 4.0 (BLE) protocol). In one embodiment, if the preset time unit is not shared with the second terminal 250 , the second terminal 250 may generate encrypted data based on the current time calculated by the RTC 220 .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는 별도의 전원 장치(미도시)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irst terminal 21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power supply (not shown), when there is no need to generate the beacon data, the beacon data is not gen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power is cut off. It may not b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50)는 통신 모듈(260), RTC(270), 암호화 모듈(280) 및 제어부(29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second terminal 25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260 , an RTC 270 , an encryption module 280 , and a control unit 29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240, 260)은 다양한 유형의 통신방식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210)는 와이파이칩, 블루투스 칩, 무선 통신 칩, NFC 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s 240 and 260 may communicate with various types of external devices according to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ethods. The communication unit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Wi-Fi chip, a Bluetooth chip, a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an NFC chip.

와이파이 칩, 블루투스 칩은 각각 WiFi 방식,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파이 칩 또는 블루투스 칩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SSID 및 세션 키 등과 같은 각종 연결 정보를 먼저 송수신하여, 이를 이용하여 통신 연결한 후 각종 정보들을 송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칩은 IEEE, 지그비, 3G(3rd Generati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규격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는 칩을 의미한다. NFC 칩은 135kHz, 13.56MHz, 433MHz, 860~960MHz, 2.45GHz 등과 같은 다양한 RF-ID 주파수 대역들 중에서 13.56MHz 대역을 사용하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으로 동작하는 칩을 의미한다.The Wi-Fi chip and the Bluetooth chip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 WiFi method and a Bluetooth method, respectively. In the case of using a Wi-Fi chip or a Bluetooth chip, various types of connection information such as an SSID and a session key are first transmitted and received, and then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and received after communication connection using the same. Th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refers to a chip that performs communication according to various communication standards such as IEEE, ZigBee, 3rd Generation (3G),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 and Long Term Evolution (LTE). The NFC chip refers to a chip operating in an NFC (Near Field Communication) method using a 13.56 MHz band among various RF-ID frequency bands such as 135 kHz, 13.56 MHz, 433 MHz, 860 to 960 MHz, 2.45 GHz, and the lik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단말기(250)의 통신 모듈(260)은 제1 단말기(210)가 전송한 비콘 데이터, 동작모드 신호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of the second terminal 25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beacon data, an operation mode signal, and a current time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210 .

제2 단말기(250)의 RTC(270)는 제1 단말기(210)의 RTC(220)와 동일하게 현재의 시간을 유지시키는 컴퓨터 시계일 수 있다. 따라서, RTC(270)는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The RTC 270 of the second terminal 250 may be a computer clock that maintains the current time in the same way as the RTC 220 of the first terminal 210 . Accordingly, the RTC 270 may calculate (or calculate) the current time by increasing the counter value in real time.

따라서, RTC(270)는 제2 단말기(270)가 새로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때마다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암호화 모듈(280)로 제공하고 암호화 모듈(280)은 RTC(270)로부터 제공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Therefore, the RTC 270 calculates the current time each time the second terminal 270 generates new encrypted data and provides it to the encryption module 280, and the encryption module 280 at the current time provided from the RTC 270. Based on the encryption data can be generat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모듈(280)은 RTC(270)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하여 암호화 과정을 통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암호화 모듈(280)은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는 암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 단말기(210)와 공유하고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ncryption module 280 may obtain the current time from the RTC 270 and generate encrypted data through an encryption process. Specifically, the encryption module 280 may generate encrypted data using the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for encryption. In this case, the specific data may be data shared with the first terminal 210 that is preset for encryption.

이 경우, 제1 단말기(210)가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과 제2 단말기(250)가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은 차이가 생길 수밖에 없으므로, 비콘 데이터와 암호화 데이터는 항상 다를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해 제1 단말기(210)와 제2 단말기(250)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 제2 단말기(250)가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라면, 암호화 모듈(280)은 RTC(270)에서 계산한 현재 시간을 비콘의 RTC(220) 가 계산한 현재 시간과 동일한 시간으로 간주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가 10분이고 제1 단말기(210)가 10시 00분 시간에 기초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한 경우, 암호화 모듈(280)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RTC(270)로부터 획득한 시간이 10시 06분 10초 일지라도 현재 시간은 10시에서 10분이 경과하지 않았으므로, 암호화 모듈(280)은 현재 시간을 10시 00분으로 간주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re is inevitably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erminal 210 generates the beacon data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erminal 250 generates the encrypted data,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are always different. Accordingly, in order to correct this,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need to share a preset time unit. If the second terminal 250 generates encrypted data within the preset time unit, the encryption module 280 compares the current time calculated by the RTC 270 with the current time calculated by the RTC 220 of the beacon. Encrypted data can be generated by considering the same time. For example, when the preset time unit is 10 minutes and the first terminal 210 generates beacon data based on the 10:00 minute time, the encryption module 280 receives the encrypted data from the RTC 270 to generate the encrypted data. Even if the acquired time is 10:06:10, since the current time has not elapsed from 10 to 10 minutes, the encryption module 280 may generate the encrypted data by considering the current time as 10: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를 통해 RTC(220)가 계산한 시간이 함께 수신된 경우라면, 암호화 모듈(280)은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를 확인할 필요 없이, 곧바로 수신된 현재 시간 및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단말기(250)에 제1 단말기(210)와 동일한 특정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면 비콘 데이터와 제2 단말기(250)에서 생성된 암호화 데이터는 동일할 수밖에 없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time calculated by the RTC 220 is also received through the network, the encryption module 280 does not need to check a preset time unit, and the received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Encrypted data may be generated based on the In this case, if the same specific data as the first terminal 210 is stored in the second terminal 250 ,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generated in the second terminal 250 are inevitably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암호화 모듈(280)이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경우, 제어부(290)는 상기 암호화 데이터와 수신된 비콘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비교에 기초하여 제어부(290)는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제2 단말기(2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통신 모듈(260)을 통해 제1 단말기(210)로부터 차단모드 또는 해지모드임을 나타내는 동작모드 신호를 수신하고,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ncryption module 280 generates encrypted data, the controller 290 may compare the encrypted data with the received beacon data. Based on the comparison, the controller 290 may control the second terminal 250 by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290 receives the operation mode signal indicating that the blocking mode or the cancellation mode is in the blocking mode or the cancellation mode from the first terminal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and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of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You can decide whether to activate or no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단말기(210)가 현재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임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290)는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1 단말기(210)가 현재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임을 전송한 경우, 제어부(290)는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제2 단말기(250)는 반드시 제1 단말기(210)로부터 현재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단말기(250)는 외부 서버(미도시) 로부터 제2 단말기(25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현재 동작모드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경우처럼, 제2 단말기(250)가 위치 기반으로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를 결정한다면,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는 별도의 동작모드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irst terminal 210 transmits that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the blocking mode, the control unit 290 compares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and when both are the sam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are provided. can be deactivated. Conversely, when the first terminal 210 transmits that the current operation mode is the cancellation mode, the controller 290 compares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and when both are the sam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can be activated. However, the second terminal 250 does not necessarily need to receive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on mode from the first terminal 210 . For example, the second terminal 250 may receive information on the current operation mode from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250 . In addition, as in the case described later, if the second terminal 250 determines activation of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ased on location,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may not need a separate operation mode. ha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90)는 제2 단말기(250)가 비콘이 설치된 장소를 벗어나는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단말기(250)는 위치추적기술을 이용하여 제2 단말기(250)의 현재 위치을 파악하고, 제어부(290)는 제2 단말기(250)이 특정 영역(130)을 벗어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다시 활성화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위치추적기술은 기지국 지오펜싱 기술,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Low-Energy, BLE), 와이파이 위치 측위 기술(WiFi Positioning System, WPS), 비가청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사운드 큐알(Sound QR, SQ),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및 적외선 기반 위치추적 기술(IR, infrared)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cond terminal 250 leaves the place where the beacon is installed, the controller 290 may 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Specifically, the second terminal 250 uses the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to determine the current location of the second terminal 250 , and the controller 290 controls the second terminal 250 when the second terminal 250 deviates from the specific area 130 , the Internet and re-enable the phone function. In this case, the location tracking technology is a base station geofencing technology, Bluetooth communication (Bluetooth Low-Energy, BLE), a Wi-Fi positioning system (WiFi Positioning System, WPS), a sound QR (Sound QR, SQ) using an inaudible frequency band ),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and an infrared-based positioning technology (IR, infrar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3 and 4 are flowcharts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말기(210)는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50)는 수신된 비콘 데이터를 기초로 전화 및 인터넷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3 , the first terminal 210 may generate beacon data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250 and transmit it to the second terminal 250 . Also, as shown in FIG. 4 , the second terminal 250 may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phone and Internet functions based on the received beacon data.

본 발명의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의 각 단계들은 RTC(220, 270), 암호화 모듈(230, 280), 통신 모듈(240, 260) 및 제어부(290)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Each step of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25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 various forms including the RTC (220, 270), the encryption module (230, 280),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260) and the control unit (290) may be performed by an electronic device of

이하에서는 도 3 및 4를 참조하여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가 본 발명에 따른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는 방법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2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

상술한 제2 단말기(250) 통제 시스템에 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에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고, 반대로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에대해 설명된 실시예들은 단말기(250) 통제 시스템에 대한 실시예들에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단말기(250)를 통제하기 위한 방법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제2 단말기(250) 통제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그 실시예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전자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At least some or all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for the above-described second terminal 250 control system can be applied to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250 , and conversely,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250 . At least some or all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for the terminal 250 are applicable to the embodiments for the control system. 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250 according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is performed by the second terminal 250 control system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electronic devices. can be performed by

먼저, 제1 단말기(210)의 RTC(220)는 현재 시간을 계산할 수 있다 [S310].First, the RTC 220 of the first terminal 210 may calculate the current time [S310].

RTC(220)는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RTC(220)는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때 마다 현재 시간을 계산하여 암호화 모듈(230)로 제공할 수 있다. The RTC 220 may calculate (or calculate) the current time by increasing the counter value in real time. Accordingly, the RTC 220 may calculate the current time whenever new beacon data is generated and provide it to the encryption module 230 .

다음으로,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획득한 현재 시간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320].Next, the encryption module 230 may generate beacon data that is encrypted data based on the current time obtained from the RTC 220 [S320].

구체적으로, 암호화 모듈(230)은 RTC(220)로부터 현재 시간을 획득하여 암호화 과정을 통해 암호화 데이터인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암호화 모듈(230)은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encryption module 230 may obtain the current time from the RTC 220 and generate beacon data that is encrypted data through an encryption process. In this case, the encryption module 230 may generate beacon data using the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for encryption.

다음으로, 제1 단말기(210)는 통신 모듈(240)을 통해 비콘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S330]. Next, the first terminal 210 may transmit beacon data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40 [S330].

이 경우, 제1 단말기(210)는 비콘 데이터만을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하거나 비콘 데이터와 함께 동작모드 신호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단말기(25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210 may transmit only the beac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50 or transmit at least one of the operation mode signal and the current time together with the beac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250 .

제2 단말기(250)는 비콘 데이터와 제2 단말기(250)가 생성한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second terminal 250 may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y comparing the beacon data with the encrypted data generated by the second terminal 250 .

먼저, 제2 단말기(250)는 통신 모듈(260)을 통해 제1 단말기(210)가 전송한 비콘 데이터, 동작모드 신호 및 현재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할 수 있다 [S410].First, the second terminal 250 may receive at least one of the beacon data, the operation mode signal, and the current time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210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60 [S410].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는 RTC(270)를 통해 실시간으로 카운터값을 증가시켜 현재 시간을 계산(또는 연산)할 수 있다 [S420]. 이 경우, 단계 S410 및 단계 S420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반대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Next, the second terminal 250 may calculate (or calculate) the current time by increasing the counter value in real time through the RTC 270 [S420]. In this case, steps S410 and S420 may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는 암호화 모듈(280)을 통해 RTC(270)로부터 획득한 현재 시간 및 특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S430]. 이 경우, 상기 특정 데이터는 암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1 단말기(210)와 공유하고 있는 데이터일 수 있다.Next, the second terminal 250 may generate encrypted data based on the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obtained from the RTC 270 through the encryption module 280 [S430]. In this case, the specific data may be data shared with the first terminal 210 that is preset for encryption.

다음으로, 제2 단말기(250)의 제어부(290)는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제2 단말기(250)를 제어할 수 있다 [S440].Next, the controller 290 of the second terminal 250 may compare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to determine whether to 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to control the second terminal 250 [S440].

구체적으로, 제어부(290)는 제1 단말기(210)의 현재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어부(290)는 제1 단말기(210)의 현재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인 경우, 비콘 데이터 및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the first terminal 210 is the blocking mode, the controller 290 compares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and when both are the same, the control unit 290 may de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Conversely, when the current operation mode of the first terminal 210 is the cancellation mode, the controller 290 compares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and when both are identical, the controller 290 may 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본 발명세서 상기 동작모드는 제1 단말기(210)에 의해 전송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즉, 동작모드에 관련된 정보는 외부 서버(미도시) 로부터 제2 단말기(25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2 단말기(250)로 전송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단말기(250)가 위치 기반으로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를 결정한다면, 제1 단말기(210) 및 제2 단말기(250)는 별도의 동작모드가 필요하지 않을 수도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mode may be transmitted by the first terminal 210,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mode may b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server (not shown) to the second terminal 250 through an application installed in the second terminal 250 .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if the second terminal 250 determines activation of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ased on location, the first terminal 210 and the second terminal 250 may not require a separate operation mode. hav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기기(machine)(예를 들어, 단말기(210, 250) 또는 컴퓨터)에 의해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storage medium)(예를 들어,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기의 프로세서(예를 들어, 프로세서(31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 중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호출하고, 그것을 실행할 수 있다. 이것은 기기가 상기 호출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운영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은 컴파일러에 의해 생성된 코드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를 들어,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in a storage medium (eg, memory) readable by a machine (eg, terminals 210 and 250 or a computer). It can be implemented as software that For example, the processor (eg, the processor 310 ) of the device may call at least one of one or more instructions stored from a storage medium and execute it. This enables the device to be operated to perform at least one function according to the at least one instruction called. The one or more instructions may includ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or code executable by an interpreter. The device-readable storage medium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ere, th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is a tangible device and only means that it does not include a signal (eg, electromagnetic wave), and this term is used when data is semi-permanently stored in the storage medium. and temporary storage. For example, th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may include a buffer in which data is temporarily sto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를 들어,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ncluded and provided in a computer program product. Computer program products may be traded between sellers and buyers as commodities.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is distributed in the form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eg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 or through an application store (eg Play Store™) or on two user devices. It can be distributed (eg downloaded or uploaded) directly or online between devices (eg smartphones). In the case of online distribu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computer program product (eg, a downloadable app) is stored at least in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memory of a manufacturer's server, a server of an application store, or a relay server. It may be temporarily stored or temporarily created. As mentioned above, althoug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00 : 단말기 통제 시스템
110 : 제1 단말기
120 : 제2 단말기
210 : 제1 단말기
250 : 제2 단말기
100: terminal control system
110: first terminal
120: second terminal
210: first terminal
250: second terminal

Claims (5)

제1 단말기 및 제2 단말기를 포함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으로,
상기 제1 단말기는,
제1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제1 RTC(real rime clock) 모듈;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암호화를 위한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1 암호화 모듈; 및
상기 생성된 비콘 데이터를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제2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1 통신 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비콘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제2 현재 시간을 계산하는 제2 RTC 모듈;
상기 제2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암호화를 수행하여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제2 암호화 모듈; 및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의 비교를 기초로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제2 단말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현재 동작모드에 관한 정보를 상기 비콘 데이터와 함께 전송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동작모드가 차단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동작모드가 해지모드인 경우, 상기 비콘 데이터 및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비교하여 양자가 동일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1 현재 시간이 상기 비콘 데이터와 함께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현재 시간 및 상기 특정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고,
상기 제1 단말기는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마다 새로운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 내에서는 상기 제2 단말기로 동일한 비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상기 제1 단말기와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미리 설정된 시간 단위를 공유함으로써, 상기 제1 현재 시간이 상기 제2 단말기와 공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가 상기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과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암호화 데이터를 생성하는 시점의 차이를 보정하고,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신호 세기를 미리 조절하여 상기 제1 단말기의 신호를 상기 제2 단말기가 수신할 수 있도록 설정해둔 범위이고,
상기 특정 영역은 상기 제1 단말기의 신호세기 조절을 통해 확대 또는 축소 가능하고,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특정 영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비콘 데이터를 통해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단말기가 상기 특정 영역을 벗어난 경우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다시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A terminal control system comprising a first terminal and a second terminal,
The first terminal,
a first real time clock (RTC) module for calculating a first current time;
a first encryption module for generating beacon data by performing encryption based on the first current time and specific data for encryption; and
a first communication module for transmitting the generated beacon data to a second terminal located in a specific area; including,
The second terminal,
a second communication module for receiving the beacon data;
a second RTC module for calculating a second current time;
a second encryption module for generating encrypted data by performing encryption based on the second current time and the specific data;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second terminal by determining whether to 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based on the comparison of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The first terminal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operation mode together with the beacon data,
When the operation mode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is the blocking mode, the second terminal compares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and deactivates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if both are the same, and the operation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If the mode is the unlock mode, compare the beacon data and the encrypted data to activate the Internet and phone functions if both are the same,
When the first current time is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together with the beacon data, the second terminal generates the encrypted data based on the first current time and the specific data,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new beacon data for every preset time unit, and periodically transmits the same beacon data to the second terminal within a preset time unit, and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By sharing a time unit, when the first current time is not shared with the second terminal, a difference between the time when the first terminal generates the beacon data and the time when the second terminal generates the encrypted data is corrected do,
The specific area is a range set so that the second terminal can receive the signal of the first terminal by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terminal in advance,
The specific area can be enlarged or reduced by adjust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first terminal,
The second terminal determines whether to activate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through the beacon data received from the first terminal when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within the specific area, wherei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second terminal is located in the specific area A terminal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et and telephone functions are re-activated when out of the ran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데이터를 암호화를 위해 미리 설정되어 상기 제1 단말기 및 상기 제2 단말기에 저장되어 있는 숫자 및 문자 중 적어도 하나의 조합이고,
상기 특정 데이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관리자 또는 사용자에 의해 변경 가능하고, 상기 변경된 특정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제2 단말기에 공유 가능한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It is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numbers and letters preset for encryption of the specific data and stored in the first terminal and the second terminal,
The specific data may be changed by an administrator or a user of the first terminal, and the changed specific data may be shared with the second terminal through an application, a terminal control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비콘 데이터 생성을 요청하는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비콘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first terminal,
A terminal control system for generating the beacon data based on an input requesting to generate the beacon data.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는,
대학교 강의실에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경우, 수업 또는 시험 시간 외 시간에는 해지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활성화하고, 시험 시간에는 차단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2 단말기의 인터넷 및 전화 기능을 비활성화하고,
핸드폰을 사용할 수 없도록 하는 장소에 상기 제1 단말기가 설치된 경우, 등교 시간부터 하교 시간까지 차단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통제 시스템.
4. The method of claim 3,
The first terminal,
When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university lecture room, it operates in the cancellation mode outside class or test hours to activate the Internet and phone functions of the second terminal, and operates in a blocking mode during the test time to activate the Internet of the second terminal and disable the phone function,
When the first terminal is installed in a place where a mobile phone cannot be used, the terminal control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operates in a blocking mode from the start time to the school time.
삭제delete
KR1020210015172A 2021-02-03 2021-02-03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KR102430428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72A KR102430428B1 (en) 2021-02-03 2021-02-03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KR1020220096555A KR102597073B1 (en) 2021-02-03 2022-08-03 System, meth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range using beacon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72A KR102430428B1 (en) 2021-02-03 2021-02-03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555A Division KR102597073B1 (en) 2021-02-03 2022-08-03 System, meth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range using beacon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0428B1 true KR102430428B1 (en) 2022-08-08

Family

ID=8284531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72A KR102430428B1 (en) 2021-02-03 2021-02-03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KR1020220096555A KR102597073B1 (en) 2021-02-03 2022-08-03 System, meth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range using beacon data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6555A KR102597073B1 (en) 2021-02-03 2022-08-03 System, method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a communication terminal within range using beacon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3042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360A (en) 2008-10-29 2010-05-1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students' going to school and return hom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60115480A (en)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케이티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KR20160140651A (en) * 2014-04-04 2016-12-07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Transmission of beacon message
KR20180081308A (en) * 2017-01-06 2018-07-16 (주)비콘테크놀로지 Security system using advertising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and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47360A (en) 2008-10-29 2010-05-10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Information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for students' going to school and return home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KR20160140651A (en) * 2014-04-04 2016-12-07 알리바바 그룹 홀딩 리미티드 Transmission of beacon message
KR20160115480A (en) * 2015-03-27 2016-10-06 주식회사 케이티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to wireless communication, and beaco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access point information
KR20180081308A (en) * 2017-01-06 2018-07-16 (주)비콘테크놀로지 Security system using advertising based on bluetooth low energy,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516A (en) 2022-08-17
KR102597073B1 (en) 2023-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044329A1 (en) Spatially enabled secure communications
US10616941B2 (en) Method, electronic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 through vibration
RU2335855C2 (en) Emergency callback using mobile terminal in limited operation mode
US10020951B2 (en) Crowdsourcing-based detection, identification, and tracking of electronic devices
US20160156772A1 (en) Automatic Switching of Modes and Mode Control Capabilities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10650825B2 (en) Communication device
US20140133656A1 (en) Preserving Security by Synchronizing a Nonce or Counter Between Systems
US10068398B1 (en) Release monitoring through check-in and tethering system
JP2016534675A (en) Advertisement packet interleaving for improved detectability and security
TWI582450B (en) Tracking device and tracking device control method
KR10194706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distributed setup for a device-to-device session
JP2015142171A (en) Wireless terminal device, positional information output method and positional information output method
KR102430428B1 (en) Terminal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EP2563048B1 (en) Adjusting an audio notification mode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KR20160146753A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102299402B1 (en) Terminal control system using beacon data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KR102561784B1 (en) Terminal control system using beacon data and method for controling the user terminal
CN110072280B (en) Space positioning method, system and wireless communication equipment
KR101581693B1 (en) Low power bluetooth signal transmission device data set up security system and its method
US20210326665A1 (en) Two-dimensional barcode encryption method, two-dimensional barcode transmission system and storage medium
US11238135B2 (en) License authentication method in wireless access point, wireless access point apparatus performing said license authentication, license activation method in client apparatus, and client apparatus interworking with wireless access point
KR20090081286A (en) Secure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locked function using local-wireless communication
JP6096721B2 (en) Virtual geographic area management apparatus, receiving terminal, virtual geographic area management method and program
JP2019050446A (en) Access control method and device thereof
KR101978175B1 (en) Smart Instrument Charge and Storage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