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951B1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 - Google Patent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951B1
KR102429951B1 KR1020210194309A KR20210194309A KR102429951B1 KR 102429951 B1 KR102429951 B1 KR 102429951B1 KR 1020210194309 A KR1020210194309 A KR 1020210194309A KR 20210194309 A KR20210194309 A KR 20210194309A KR 102429951 B1 KR102429951 B1 KR 102429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
fine dust
planting
wind path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3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송영근
김지환
김도희
박은희
신우림
김종희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194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99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9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20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 G06F30/28Design optimisation, verification or simulation using fluid dynamics, e.g. using Navier-Stokes equations or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lgebra (AREA)
  • Architecture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method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which includes the steps of: a first step of acquiring data composed of an urban structure composed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and meteorological values necessary for wind path analysis of a target area by a data input unit;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by simulation providing uni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by using the acquired data; and a third step in which a result providing unit grasps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using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Description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및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본 발명은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대기 순환에 따른 바람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식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lanting structure for a wind road for reducing and dispersing fine dust,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and system for reducing and dispersing fine dust that can provide a planting technology for increasing wind comfort according to atmospheric circulation It relates to a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최근에 미세먼지와 관련된 문제가 사회적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교통수단을 통해 발생되는 오염원이 증가하고 있지만 이에 따른 적절한 대응이 이뤄지고 있지 않다.Recently, problems related to fine dust have emerged socially, and pollutants generated through transportation are increasing, but appropriate responses are not being made.

도시 및 도시 외곽 지역에 위치한 숲이 미세먼지를 차단하고, 도시 내 대기오염물질을 저감할 수 있는 점은 선행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으나 이를 위해서는 식재를 어떻게 해야 도시 외곽의 바람을 끌어올 수 있는지에 대한 정확한 기술 개발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It is known from previous studies that forests located in cities and suburban areas can block fine dust and reduce air pollutants in cities. The exact technology has not been developed.

한편, 최근 춘천시에서는 바람길 조성을 위해 2019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100km 구간의 식재를 조성하였으며, 2050년까지 1억 그루 심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울산시는 2019년부터 2022년까지 200억 원을 투입해 도심 곳곳의 20ha의 대규모 숲 조성을 통해 미세먼지 저감과 열섬현상 완화 등을 목표로 바람길 조성 사업을 진행중에 있다.Meanwhile, Chuncheon City recently planted a 100km section from 2019 to 2021 to create a wind path, and aims to plant 100 million trees by 2050. Ulsan City is investing 20 billion won from 2019 to 2022 to create a wind path with the goal of reducing fine dust and alleviating the heat island phenomenon through the creation of large-scale forests of 20 hectares throughout the city center.

또한, 정부에서는 대기질 개선과 미세먼지 대응을 위하여 2019년 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하여 「미세먼지 저감 및 관리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여 미세먼지 저감을 위하여 정부 차원에서 대응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정부에서도 예산을 투입하여 미세먼지 오염원 발생 자체에 대한 저감 사업을 펼침과 동시에 이를 분산시킬 수 있는 기술을 개발 중에 있다.In addition, the government enacted the 「Special Act on Fine Dust Reduction and Manage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citizens in 2019 to improve air quality and respond to fine dust, and the government is responding to fine dust reduction. In this way, the government is also investing a budget to implement a project to reduce the generation of fine dust pollutants itself, and at the same time, is developing a technology that can disperse it.

이와 같이 식재 구조를 통한 미세먼지 저감 및 분산 기술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As su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reducing and dispersing fine dust through the planting structure.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10-1721695호(2017.03.30)Patent Document 1: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721695 (2017.03.30)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식재 구조를 활용하여 바람길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정체되어 있는 미세먼지가 저감 및 분산될 수 있는 대기 순환에 따른 바람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식재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 and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wind path by utilizing a planting structure and increases wind comfort according to atmospheric circulation through which stagnant fine dust can be reduced and dispersed We want to provide planting technology for

또한, 본 발명을 조경 분야의 식재와 공학 분야의 유체역학분야에 적용하여,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다른 오염원을 함께 살펴볼 수 있으며, 바람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바람 쾌적성 변화, 열섬효과 완화까지도 함께 응용하여 적용하고자 한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ield of planting in the landscaping field and the hydrodynamic field in the engineering field, not only fine dust but also other pollutants can be looked at together, and changes in wind comfort felt by humans depending on the wind and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effect are also applied. want to apply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은, 데이터 입력부가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단계; 시뮬레이션 제공부가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는 제2 단계; 및 결과 제공부가 상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도시구조에 따른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을 파악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 method for providing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the data input unit includes an urban structure consisting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road analysis of a target site and , a first step of acquiring data composed of weather values;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by the simulation providing unit using the acquired data; and a third step in which the result providing unit uses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to identify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는 상기 건물의 사이에 관목 또는 교목이 식재되고, 상기 식재는 관목만 있는 관목 단일식재, 교목만 있는 묘목 단일식재 또는 관목과 교목이 있는 다층식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rban structure consisting of the planting, a shrub or a tree is planted between the buildings, and the planting is a single planting of a shrub having only a shrub, a single planting of a single planting of only a tree, or a single planting of a shrub and a tree. It may be configured including a multi-layered planting materia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상기 대상지의 주풍향, 풍속 및 미세먼지 오염원을 포함하는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step, the data input unit includes an urban structure consisting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the target site, and the mai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fine dust pollution source of the target site. It is possible to acquire data composed of the weather values.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단계는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가 Ansys FLUENT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지의 기하학적(geometry) 모델을 제작 후, 상기 모델을 메쉬로 변환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econd step, 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creates a geometry model of the target site using Ansys FLUENT, then converts the model into a mesh to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can do.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의 이후에, 상기 결과 제공부가 상기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또는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구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에 따른 상기 도시구조의 식재구조를 제공하는 제4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hird step, the result providing unit derives a section in which the wind path is required or a section in which the flow of wind is not smooth, and the plant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ucture according to the derivation A fourth step of providing;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3 단계의 이후에, 상기 결과 제공부가 상기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도시구조를 선정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third step, a fifth step in which the result providing unit selects an excellent urban structure u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can b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은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는 시뮬레이션 구성부; 및 상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도시구조에 따른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 결과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system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ata input unit that acquires data consisting of an urban structure consisting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road analysis of a target site, and meteorological values ; a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using the acquired data; and a resul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results of the flow of wind roads and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using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상기 대상지의 주풍향, 풍속 및 미세먼지 오염원을 포함하는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nput unit consists of an urban structure including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the target site, and meteorological values including the mai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fine dust pollution source of the target site. data can be obtained.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는 Ansys FLUENT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지의 기하학적(geometry) 모델을 제작 후, 상기 모델을 메쉬로 변환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may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by producing a geometry model of the target site using Ansys FLUENT, and then converting the model into a mesh.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또는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구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에 따른 상기 도시구조의 식재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 providing unit may derive a section requiring the wind length or a section in which the flow of wind is not smooth, and provide the plant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ucture according to the derivation.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도시구조를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ult providing unit may select and provide an excellent urban structure u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재 구조를 활용하여 바람길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정체되어 있는 미세먼지가 저감 및 분산될 수 있는 대기 순환에 따른 바람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식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nting technology for forming a wind path by utilizing a planting structure and improving wind comfort according to atmospheric circulation through which stagnant fine dust can be reduced and dispersed.

또한, 본 발명을 조경 분야의 식재와 공학 분야의 유체역학분야에 적용하여,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다른 오염원을 함께 살펴볼 수 있으며, 바람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바람 쾌적성 변화, 열섬효과 완화까지도 함께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ield of planting in the landscaping field and the hydrodynamic field in the engineering field, not only fine dust but also other pollutants can be looked at together, and changes in wind comfort felt by humans depending on the wind and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effect are also applied. can be appl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 식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 식재 구조에 따른 바람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바람길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미세먼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of providing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mul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ul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wind according to the modul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wind path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4 to 1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ne dust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ly various transformation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in describing the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explanation, and does not mean the size actually applied.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nnected" or "connected" with another element, the one elem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but in particula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i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through another element in the middle. In addition,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모델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providing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imulation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 식재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듈 식재 구조에 따른 바람의 유동을 도시한 도면이다.In addition, Figure 3 is a view for explaining a modul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the flow of wind according to the module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부터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

먼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데이터 입력부가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한다(S110).Firs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ta input unit acquires data composed of a city structure composed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a target site, and weather values (S110).

이때, 상기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상기 대상지의 주풍향, 풍속 및 미세먼지 오염원을 포함하는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ata input unit may acquire data composed of a city structure including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the target site, and meteorological values including the mai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fine dust pollution source of the target site.

이와 같이,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필요 데이터 취득 시에는, 현재 대상지의 바람길을 확인하기 위하여 건물, 도로, 식재를 확인해야 하며, 바람길의 영향은 단순히 식재 구조뿐만 아니라 건물이 방풍 역할 혹은 바람길 역할을 하기 때문에 바람길 조성이 필요한 지역의 건물 구조와 식재 구조를 파악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이와 함께 대상지의 주풍향과 풍속, 미세먼지 오염원 설정이 필요하다.In this way, when acquiring necessary data for wind path analysis,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must be checked to confirm the wind path of the current target site, and the effect of the wind path is not just the planting structure, but also the building acts as a windbreak or wind path. Because it plays a rol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building structure and planting structure in the area where wind path creation is requir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set the main wind direction and speed of the target site, as well as the source of fine dust pollution.

이후에는, 시뮬레이션 제공부가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한다(S120).Thereafter, the simulation providing unit constructs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using the acquired data (S120).

이때,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가 바람길 분석의 정확성이 높은 Ansys FLUENT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지의 기하학적(geometry) 모델을 제작 후, 상기 모델을 메쉬로 변환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may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by producing a geometry model of the target site using ANSYS FLUENT with high accuracy of wind path analysis, and then converting the model into a mesh.

이후, 결과 제공부가 상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도시구조에 따른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을 파악한다(S130).Thereafter, the result providing unit uses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to grasp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 S130 ).

이때, 상기 결과 제공부가 상기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또는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구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에 따른 상기 도시구조의 식재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결과 제공부가 시뮬레이션 구동 이후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구간 및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등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식재구조를 제안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sult providing unit may derive a section requiring the wind length or a section in which the flow of wind is not smooth, and provide the plant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ucture according to the derivation. That is, the result providing unit can identify a section in which the flow of wind is not smooth and a section in which a wind length is required after the simulation driving, and propose a planting structure accordingly.

그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도시구조를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ult providing unit may select and provide an excellent urban structure us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는 상기 건물의 사이에 관목 또는 교목이 식재되고, 상기 식재는 관목만 있는 관목 단일식재, 교목만 있는 묘목 단일식재 또는 관목과 교목이 있는 다층식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urban structure made of plant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hrub or a tree is planted between the buildings, and the planting is a single planting of a shrub with only a shrub, a single planting of a single planting with only an arbor, or a single planting of a single plant with a shrub and a tre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ulti-layer planting material.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목 단일식재, 교목 단일식재, 교목과 관목 다층식재, 군집 식재로 나누어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3 , the module can be configured by dividing the single planting of shrubs, single planting of trees, multi-layered planting of trees and shrubs, and group planting.

또한, 도 4의 (a)는 도시내의 건물(410)의 사이에 교목(420)을 배치하고 북풍일 때의 바람의 유동을 시뮬레이션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의 (b)는 도시내의 건물(410)의 사이에 교목(420)을 배치하고 서풍일 때의 바람의 유동을 시뮬레이션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4의 (c)는 도시내의 건물(410)의 사이에 교목(420)을 2열로 배치하고 북풍일 때의 바람의 유동을 시뮬레이션을 도시하고 있다.In addition, Fig. 4 (a) shows a simulation of the wind flow when the trees 420 are placed between the buildings 410 in the city and the wind flows in the north wind, and Fig. 4 (b) is the building (b) in the city. The trees 420 are arranged between the 410) and the wind flow is simulated when the wind is in the west wind, and in FIG. 4 (c), the trees 420 are arranged in two rows between the buildings 410 in the city. and the wind flow in the case of the north wind is shown in the simulation.

이와 같은 교목, 관목의 배치 시에는 현실을 반영하여 유체 저항값, 다공성등을 고려하여 식생 모델을 구성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시뮬레이션 시에는 자연풍은 KBC 2016 건축 구조 기준 개정안을 기준으로 지표면 조도 선정을 기준으로 설정하고, 풍속은 2019-2020년 겨울철 주풍향과 평균풍속으로 사용했다(풍속3m/s) 등의 조건을 설정하여 실행할 수 있다.When placing such trees and shrubs, the vegetation model can be constructed by considering the fluid resistance value and porosity by reflecting the reality. It is set as a standard, and the wind speed can be executed by setting conditions such as the main wind direction and average wind speed in winter 2019-2020 (wind speed 3m/s).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에 의하면,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도시구조에 따른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을 파악하고,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식재구조를 선정하여, 보다 쾌적한 도시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the wind path and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is identified us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and the wind A more pleasant urban environment can be provided by selecting an excellent planting structure using information on roads and the flow of fine dust.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미세먼지는 매해 대두되고 있는 문제로 특히나 봄과 겨울철에 문제가 심각하나, 식재를 통해 바람길 형성과 바람이 불지 않을 경우 식재되어 있는 식생에 미세먼지가 흡착되게 함으로써 미세먼지 저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으며, 식재를 할 경우 단순히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도시에서 발생하는 그늘 제공 등을 통해 열섬현상 완화효과까지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ne dust is a problem that is emerging every year, and the problem is particularly serious in spring and winter. It can bring about the effect of reducing fine dust, and when planting, it can provide not only fine dust but also the mitigation effect of the heat island effect by providing shade generated in the city.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의 구성도이다.5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providing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후부터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system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5 .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200)은 컴퓨터 단말, 서버 또는 별도의 전용 장치로 구성되어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의 시뮬레이션 및 결과와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 결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도시구조를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The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system 200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computer terminal, a server, or a separate dedicated device to simulate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nd results and the flow results of the wind path and fine dust can be provided, and an excellent urban structure can be selected and provided us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200)은 데이터 입력부(210), 시뮬레이션 구성부(220) 및 결과 제공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데이터 입력부(210),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220) 및 상기 결과 제공부(230)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적으로 구성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system 200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input unit 210 , a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220 , and a result providing unit 230 . ), and the data input unit 210, 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220, and the result providing unit 230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or software to perform their respective functions. .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 입력부(210)는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한다.More specifically, the data input unit 210 acquires data composed of a city structure composed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a target site, and weather values.

또한, 상기 데이터 입력부(210)는 상기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상기 대상지의 주풍향, 풍속 및 미세먼지 오염원을 포함하는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 input unit 210 may acquire data consisting of a city structure consisting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the target site, and meteorological values including the mai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fine dust pollution source of the target site. have.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는 상기 건물의 사이에 관목 또는 교목이 식재되고, 상기 식재는 관목만 있는 관목 단일식재, 교목만 있는 묘목 단일식재 또는 관목과 교목이 있는 다층식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urban structure made of the planting, a shrub or a tree is planted between the buildings, and the planting is a single planting of a shrub having only a shrub, a single planting of a seedling having only a tree, or a single planting of a shrub and a tree.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ulti-layered planting material.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220)는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한다.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220 configures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using the acquired data.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220)는 Ansys FLUENT를 이용하여 상기 대상지의 기하학적(geometry) 모델을 제작 후, 상기 모델을 메쉬로 변환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220 may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by producing a geometry model of the target site using Ansys FLUENT, and then converting the model into a mesh.

그에 따라, 상기 결과 제공부(230)는 상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도시구조에 따른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sult providing unit 230 may use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to provide the flow results of the wind path and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시뮬레이션 구성부가 Ansys FLUENT중 오염물질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Species Transport Model 또는 Discrete Phase Mode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pecies Transport Model을 사용하는 방법은 화학물질들을 오염원으로 할 수 있으며(예: CO2, SO2, NO2등 Gas형태) 화학반응과 무반응 확산등을 묘사할 수 있으며, 상기 Discrete Phase Model을 사용하는 방법 오염물질을 입자(solid, 예시: pm2.5, pm10등)형태로 발사하는 형식으로 오염물질확산 시뮬레이션을 묘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ation component may use the Species Transport Model or the Discrete Phase Model as a method for simulating pollutants among ANSYS FLUENTs. The method using the Species Transport Model can use chemicals as pollutants (eg, gas form such as CO2, SO2, NO2, etc.) and can describe chemical reactions and non-reactive diffusion. Contaminant diffusion simulation can be described in the form of launching pollutants in the form of particles (solid, for example: pm2.5, pm10, etc.).

이러한 시뮬레이션 구성부의 구현 결과는 후술하는 결과 제공부(230)에 제공되어,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바람 유동이 필요한 구간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며, 결과 제공부를 통해 식생 구조의 설계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구현하게 된다.The implementation result of this simulation component is provided to the result providing unit 230 to be described later to provide information necessary for a section requiring a wind length and a section requiring wind flow, and enabling the design of a vegetation structure to be implemented through the result providing section function will be implemented.

또한, 상기 결과 제공부(230)는 상기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또는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구간을 도출하고, 상기 도출에 따른 상기 도시구조의 식재구조를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도시구조를 선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ult providing unit 230 derives a section where the wind path is required or a section in which the flow of wind is not smooth, and can provide the plant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ucture according to the derivation, as well as the wind path and It is possible to select and provide an excellent urban structure using information on the flow of fine dust.

도 6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바람길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to 13 are views for explaining a wind path simul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13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서울시 강남구청 일대를 실제로 구성하여 바람길 유동을 살펴보았으며, 도 6은 식재가 없을 때, 도 7은 식재가 있을 경우를 가정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을 구동한 것으로서, 이때 G는 강남구청을 의미하며, N, E, S, W는 각각 북, 동, 남, 서를 의미하며, T는 tree로서 식재를 했을 때를 의미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S. 6 to 13, the flow of the wind path was observed by actually configuring the Gangnam-gu Office area in Seoul. As the dynamic simulation was driven, G stands for Gangnam-gu Office, N, E, S, and W stand for north, east, south, and west respectively, and T stands for when planting as a tree.

도 8을 참조하면, 결과를 전반적으로 보면 식생전보다 식생후에 대상지 내부에서 풍속이 많이 저감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도 9를 참조하면, 풍속이 제일 많이 저감하는 경우는 서풍방향의 식생전후 차이가 제일 많이 나타났다 저감율은 -21.24%가 나타났으며, 풍속 저감율이 가장 낮은 경우는 동풍방향이다 변화율은 -18.10%이다.Referring to FIG. 8, when looking at the results as a whole, there is a phenomenon that the wind speed is reduced a lot inside the target site after vegetation than before vegetation. The reduction rate was -21.24%, and the lowest wind speed reduction rate was in the direction of the east wind. The change rate was -18.10%.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풍속 변화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GN-GTN은 GN 전체 풍속결과에서 GTN을 뺀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에서 빨간색일수록 풍속이 저감되는 지역이고, 파란색일수록 풍속이 증가하는 지역이다. 또 11을 참조하면 북풍의 경우 식생전후 풍속 변화량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변화량은 19.82m/s로 나타났으며, 남풍의 경우 풍속 변화량이 변화량이 가장 낮은 10.02m/s로 나타났다.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amount of change in wind spe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GN-GTN shows a result of subtracting GTN from the total GN wind speed result. In FIG. 10 , red indicates an area where the wind speed is reduced, and blue indicates an area where the wind speed increases. Also, referring to 11, in the case of the north wind, the change in wind speed before and after vegetation was the largest.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생전후 대상지 내부 세부지역의 풍속변화율을 살펴보기 위해 대상지내 토지 유형별로 오픈스페이스, 대로, 소로 3가지 유형을 나누어서 풍속변화율을 살펴보았으며, 도 13에서와 같이 서풍인 경우 대로에서 식생전후 변화량이 -46.63%로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동풍인 경우 소로에서 식생전후 가장 작은 풍속 변화율인 -18.57%로 나타났다.As shown in FIG. 12, in order to examine the wind speed change rate in the detailed area inside the target site before and after vegetation, the wind speed change rate was examined by dividing three types of open space, main road, and small road by land type in the target site. In the case of the highway, the change in wind speed before and after vegetation was -46.63%, which was the largest, and in the case of east wind, the change in wind speed before and after vegetation was -18.57%, the smallest in the small road.

도 14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른 미세먼지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4 to 19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fine dust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지 내부 교차로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확산이 식생영향을 얼마나 받는지 시뮬레이션 하기 위해 5가지 식생시나리오를 선정했으며, 도 14의 a는 식생이 없는 경우, 도 14의 b는 교목만 있는 경우, 도 14의 c는 관목과 교목이 일렬로 배치되는 경우, 도 14의 d는 관목만 있는 경우, 도 14의 e는 c유형기반에서 건물 쪽에 관목을 추가한 경우이다. 이때, 교목높이는 7m, 수관폭과 수관높이는 4m, 관목높이와 폭은 1m로 설정하였다As shown in FIG. 14, five vegetation scenarios were selected to simulate how much the spread of pollutants occurring at the intersection within the site is affected by vegetation. 14C is a case in which shrubs and trees are arranged in a line, d in FIG. 14 is a case in which only shrubs are present, and FIG. 14E is a case in which a shrub is added to the building side based on the type c.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tree was set at 7 m, the width of the crown and the height of the crown were 4 m, and the height and width of the shrub were set at 1 m.

또한, 도 15는 십자 교차로 유형에 도 14의 5가지 식생유형을 적용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6은 T자형 교차로에 도 14의 5가지 식생유형을 적용한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Also, FIG. 15 show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five vegetation types of FIG. 14 to the crossroad type, and FIG. 16 shows the results of applying the five vegetation types of FIG. 14 to the T-shaped intersection.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서는 시뮬레이션 구성부가 Ansys FLUENT중 오염물질 시뮬레이션 방법으로서 Species Transport Model 또는 Discrete Phase Model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Species Transport Model을 사용하는 방법은 화학물질들을 오염원으로 할 수 있으며(예: CO2, SO2, NO2등 Gas형태) 화학반응과 무반응 확산등을 묘사할 수 있으며, 상기 Discrete Phase Model을 사용하는 방법 오염물질을 입자(solid, 예시: pm2.5, pm10등)형태로 발사하는 형식으로 오염물질확산 시뮬레이션을 묘사할 수 있다.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imulation component may use the Species Transport Model or the Discrete Phase Model as a method for simulating pollutants among ANSYS FLUENTs. The method using the Species Transport Model can use chemicals as pollutants (eg, gas form such as CO2, SO2, NO2, etc.) and can describe chemical reactions and non-reactive diffusion. Contaminant diffusion simulation can be described in the form of launching pollutants in the form of particles (solid, for example: pm2.5, pm10, etc.).

도 17 내지 도 1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뮬레이션 결과로서 풍향이 북풍인 경우로서, 풍속을 관찰하면 교차로 구조때문에 X축 풍속은 정체된 상태이고, 외부에서 불어오는 바람영향도 받지 못한다. 식생전후 결과를 보면 식생후 교차로 중간지역에서 가속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최고풍속이 높아지면서 전체지역에서 평균풍속은 저감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풍속 최고 저감율은 -40.51%였다.17 to 19 are simulation result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case in which the wind direction is the north wind. When the wind speed is observed, the X-axis wind speed is in a stagnant state due to the intersection structure, and it is not affected by the wind blowing from the outside. If you look at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vegetation, the phenomenon of acceleration occurs in the middle area of the intersection after vegetation. As the maximum wind speed increased, the average wind speed decreased in the entire region, and the maximum wind speed reduction rate was -40.51%.

또한, 오염물질의 경우 식생전보다 식생후 식생주변에 농도가 증가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식생주변에서 최고 농도가 증가하고, 평균농도는 큰 변화가 없었다 오염물질 최고농도 최고 증가율은 150%이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pollutants, the concentration increases around vegetation after vegetation than before vegetation. The maximum concentration increased around vegetation, and the average concentration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e maximum increase rate of the maximum concentration of pollutants was 150%.

이때, 만약 식생이 없으면 오염원이 도로를 넘어서 주거지역이나 인도로 유입될 수 있으나, 식생이 있을 경우 오염원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re is no vegetation, the pollutant may flow into the residential area or sidewalk over the road, but if there is vegetation, the pollutant can be prevented.

즉, 식재를 했을 때 대로변을 중심으로 풍속이 감소되는 현상도 발생이 되지만, 식재를 통해 건물 밀집 공간으로 미세먼지가 침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추고, 도로변을 따라 미세먼지가 분산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도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주거 밀집 공간이나 인도변으로 오염원이 확산될 수 있는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other words, when planting, the wind speed decreases around the roadside, but planting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fine dust penetrating into the dense building space and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ine dust being dispersed along the roadside. This means that fine dust generated from roads can reduce the possibility of the source of pollution spreading to dense residential areas or sidewalks.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식재 구조를 활용하여 바람길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정체되어 있는 미세먼지가 저감 및 분산될 수 있는 대기 순환에 따른 바람 쾌적성을 높이기 위한 식재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nting technology for forming a wind path by utilizing a planting structure and improving wind comfort according to atmospheric circulation through which stagnant fine dust can be reduced and dispersed.

또한, 본 발명을 조경 분야의 식재와 공학 분야의 유체역학분야에 적용하여, 미세먼지뿐만 아니라 다른 오염원을 함께 살펴볼 수 있으며, 바람에 따라 인간이 느끼는 바람 쾌적성 변화, 열섬효과 완화까지도 함께 응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field of planting in the landscaping field and the hydrodynamic field in the engineering field, not only fine dust but also other pollutants can be looked at together, and changes in wind comfort felt by humans depending on the wind and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effect are also applied. can be appli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200: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
210: 데이터 입력부
220: 시뮬레이션 구성부
230: 결과 제공부
200: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system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210: data input unit
220: simulation component
230: result providing unit

Claims (12)

데이터 입력부가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1 단계;
시뮬레이션 구성부가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는 제2 단계; 및
결과 제공부가 상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도시구조에 따른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을 파악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에서, 대상지의 기하학적(geometry) 모델을 제작 후, 상기 모델을 메쉬로 변환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고,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또는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구간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상기 도시구조의 식재구조를 제공하되,
상기 건물의 사이에 관목 또는 교목이 식재되고, 관목만 있는 관목 단일식재, 교목만 있는 묘목 단일식재 또는 관목과 교목이 있는 다층식재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a first step of obtaining, by a data input unit, data composed of a building, road, and plantings necessary for wind path analysis of a target site, and data composed of a weather value;
a second step of constructing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using the obtained data by a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and
a third step in which the result providing unit uses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to identify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In 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after producing a geometry model of the target site, the model is converted into a mesh to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and a section where wind length is required or a section where wind flow is not smooth is derived, To provide a plant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ucture according to this,
A shrub or tree is planted between the buildings, including a single planting of a shrub with only a shrub, a single planting of a seedling with only a tree, or a multi-layered planting with a shrub and a tree,
A method of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단계는,
상기 데이터 입력부가 상기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상기 대상지의 주풍향, 풍속 및 미세먼지 오염원을 포함하는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step is
An urban structure comprising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necessary for the data input unit to analyze the wind path of the target site;
A method of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by acquiring data composed of meteorological values including the mai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fine dust pollution source of the target si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 단계의 이후에,
상기 결과 제공부가 상기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도시구조를 선정하는 제5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
4. The method of claim 3,
After the third step,
a fifth step in which the result providing unit selects an excellent urban structure us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method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further comprising.
청구항 1에 따른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방법을 구현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데이터 입력부;
상기 취득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는 시뮬레이션 구성부; 및
상기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이용해 도시구조에 따른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 결과를 제공하는 결과 제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시뮬레이션 구성부에서, 대상지의 기하학적(geometry) 모델을 제작 후, 상기 모델을 메쉬로 변환하여 전산유체역학 시뮬레이션 모델을 구성하고, 바람길이 필요한 구간 또는 바람의 유동이 원활하지 않은 구간을 도출하고, 이에 따른 상기 도시구조의 식재구조를 제공하되,
상기 건물의 사이에 관목 또는 교목이 식재되고, 관목만 있는 관목 단일식재, 교목만 있는 묘목 단일식재 또는 관목과 교목이 있는 다층식재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
In a system for implementing the method for providing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a data input unit for acquiring data composed of a city structure composed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a target site, and data composed of weather values;
a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configured to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using the acquired data; and
It includes; a result providing unit that provides the results of the flow of wind roads and fine dust according to the urban structure using the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In the simulation configuration unit, after producing a geometry model of the target site, the model is converted into a mesh to construct a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imulation model, and a section where wind length is required or a section where wind flow is not smooth is derived, To provide a planting structure of the urban structure according to this,
A shrub or tree is planted between the buildings, including a single planting of a shrub with only a shrub, a single planting of a seedling with only a tree, or a multi-layered planting with a shrub and a tree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system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삭제dele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입력부는,
상기 대상지의 바람길 분석에 필요한 건물, 도로 및 식재로 이루어진 도시구조와,
상기 대상지의 주풍향, 풍속 및 미세먼지 오염원을 포함하는 기상 값으로 구성된 데이터를 취득하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
8. The method of claim 7,
The data input unit,
An urban structure consisting of buildings, roads and plantings required for wind path analysis of the target site,
A system for providing a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fine dust reduction and dispersion that acquires data composed of meteorological values including the main wind direction, wind speed, and fine dust pollution source of the target si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결과 제공부는,
상기 바람길 및 미세먼지의 유동에 따른 정보를 이용해 우수한 도시구조를 선정하여 제공하는 미세먼지 저감과 분산을 위한 바람길 식재 구조 제공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result providing unit,
A wind road planting structure providing system for reducing and dispersing fine dust that selects and provides an excellent urban structure using th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wind path and the flow of fine dust.
KR1020210194309A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 KR1024299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309A KR102429951B1 (en)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309A KR102429951B1 (en)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9951B1 true KR102429951B1 (en) 2022-08-08

Family

ID=82845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309A KR102429951B1 (en) 2021-12-31 2021-12-31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95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695B1 (en) 2015-09-17 2017-03-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Urban Climate Impact Assessment method of Reflecting Urban Planning Scenarios and Analysis System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1695B1 (en) 2015-09-17 2017-03-30 한국외국어대학교 연구산학협력단 Urban Climate Impact Assessment method of Reflecting Urban Planning Scenarios and Analysis System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hastri et al. Flip flop of day-night and summer-winter surface urban heat island intensity in India
Hirabayashi et al. Development of a distributed air pollutant dry deposition modeling framework
Macêdo et al. Vehicle atmospheric pollution evaluation using AERMOD model at avenue in a Brazilian capital city
Xiu et al. A socio-ecological perspective of urban green networks: the Stockholm case
Charles et al. Connecting air quality regulating ecosystem services with beneficiaries through quantitative serviceshed analysis
Jellouli et al. Forest fire modelling using cellular automata: application to the watershed Oued Laou (Morocco)
Dbouk et al. Risk assessment of pollen allergy in urban environments
Fameli et al. Effect of the land use change characteristics on the air pollution patterns above the greater Athens area (GAA) after 2004
KR102429951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wind path planting structure for particulate matter reduction and dispersion
Réquia Júnior et al. A spatial multicriteria model for determining air pollution at sample locations
Chao et al. Multi-scale spatial patterns of Gelugpa monasteries of Tibetan Buddhism in Tibetan inhabited regions, China
de Farias et al. Urban environmental changes in South America: a study on air pollution and urban heat island over Rio de Janeiro
Hsiang et al. Countries without borders: reterritorializing the Maldives
Song et al. Landscape-Based Fire Resilience: Identifying Interaction Between Landscape Dynamics and Fire Regimes in the Mediterranean Region
Feldkamp et al. Automatic generation of route networks for microscopic traffic simulations
Tiwari et al.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land surface temperature, land use/land cover and spectral indices using geospatial techniques
Aini et al. The effect of tree planting within roadside green space on dispersion of CO2 from transportation
Goulart et al.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concentration field from localized releases in a regular building array
Hernández-Moreno et al. Quantification of primary PM2. 5 Mass Exchange in three Mexican Megalopolis Metropolitan Areas
Sanaa et al. Ecological systems as computer networks: long distance sea dispersal as a communication medium between island plant populations
Shaji et al. Study on correlation between vehicle emissions and air quality in Porto
Srifuengfung et al. Investigation of the ventilation rate around different urban morphological property types: High rise-vs-low rise in Bangkok’s high density areas
Lee et al. Convection-permitting simulations reveal expanded rainfall extremes of tropical cyclones affecting South Korea due to anthropogenic warming
Ivanov Urban air pollution regression-kriging mapping of the city of Sofia
Michaels et al. Implementation of an albedo-based drag partition into the WRF-Chem v4. 1 AFWA dust emission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