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9129B1 -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9129B1
KR102429129B1 KR1020210024632A KR20210024632A KR102429129B1 KR 102429129 B1 KR102429129 B1 KR 102429129B1 KR 1020210024632 A KR1020210024632 A KR 1020210024632A KR 20210024632 A KR20210024632 A KR 20210024632A KR 102429129 B1 KR102429129 B1 KR 102429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art
snoring
sleep apnea
body support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9459A (ko
Inventor
양형채
송민근
성충만
박준현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병원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병원
Publication of KR20210109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9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91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06Oscillating, balancing or vibrating mechanisms connected to the bedst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3/00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 A47C23/04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 A47C23/043Spring mattresses with rigid frame or forming part of the bedstead, e.g. box springs; Divan bases; Slatted bed bases using springs in compression, e.g. coiled using wound springs

Landscapes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베이스프레임과, 대상체의 몸통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롤(roll)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몸통지지부와, 상기 대상체의 머리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롤(roll)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롤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울이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noring and sleep apnea using posture changeable bed}
본 발명은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반복적인 기도폐쇄, 호흡기류의 감소와 수면중단으로 인한 과도한 졸음, 두통 등의 다양한 수면장애의 증상이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경우 불충분한 수면으로 인해 과다 주간 졸리움증이 유발되고, 이로 인해 교통사고의 위험성의 증가, 학교나 직장생활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고, 뇌인지 기능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이외에도 정신신경학적, 심폐혈관계, 뇌혈관계 등에서 다양한 합병증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치료로서, 지속성 기도양압기, 수면중 자세변환, 수술, 구강인두 훈련등이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지속성 기도양압기의 경우 사용이 불편하고 경한 수면무호흡 환자에의 적용이 어려우며, 수술 및 구강인두 훈련은 그 적용과 효과에 한계가 있다.
수면 중 자세변환의 경우 특별한 부작용없이 시행할 수 있는 방법이지만, 수면중 고정된 자세를 계속 유지하기가 어려우며, 자세의 의식적인 변환이 어렵기 때문에 적용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수면 중 자세를 변환시킴으로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해소할 수 있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머리와 몸통의 자세변환을 독립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자세변환의 정도를 환자에 따라 차별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침대를 제공한다.
일 양상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베이스프레임과, 대상체의 몸통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롤(roll)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몸통지지부와, 상기 대상체의 머리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롤(roll)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롤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울이는 제어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코골이 소리가 상기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영역 폐쇄는 연구개 전후방 폐쇄, 혀 기저부 폐쇄 및 후두개 폐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울였던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몸통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30ㅀ이고, 상기 머리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60ㅀ이고, 상기 소정 각도는 10ㅀ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로 한번에 기울일 수 있다.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는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는 상기 몸통지지부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키는 리프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몸통지지부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로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및 상기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몸통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몸통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평행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지지부의 상기 좌우방향 폭의 중심을 지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몸통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기울어지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지지하는 제 2 위치; 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2 위치를 평행이동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몸통지지부에 대해 상기 가이드몸체가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 1 롤링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이드몸체가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 2 롤링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상기 롤방향 회전은 유압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머리지지부는 피치(pitch)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양상에 따른, 베이스프레임과, 대상체의 몸통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롤(roll)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몸통지지부와, 상기 대상체의 머리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롤(roll)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은,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몸통지지부 및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롤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울이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코골이 소리가 상기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특정 영역 폐쇄는 연구개 전후방 폐쇄, 혀 기저부 폐쇄 및 후두개 폐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울였던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통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30ㅀ이고, 상기 머리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60ㅀ이고, 상기 소정 각도는 10ㅀ일 수 있다.
상기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로 한번에 기울이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상자의 수면 중 자세를 변환시킴으로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상자의 몸통과 머리의 독립적으로 변환할 수 있어서 보다 효과적으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측면도이다.
도 5,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동작을 몸통지지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동작을 머리지지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부", "~기", "~블록", "~부재",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용어들은 FPG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메모리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처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스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한 발명의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측면도이다.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1)는 침대에 누워있는 대상자의 자세를 변환시켜 줌으로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등을 해소시킬 수 있다.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1)는 베이스프레임(10)과,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는 침대(1)에 누워있는 대상자의 몸통(M1)과 머리(M2)를 각각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은 지면과 나란하게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프레임(10)은 몸통지지부(20)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스프레임(10)은 몸통지지부(20)만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베이스프레임(10)은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를 모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프레임(10)은 몸통에 대응되는 부분에만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10)은 몸통을 포함하되, 머리를 제외한 다른 신체부분에 대응되는 부분에도 위치할 수 있다.
몸통지지부(20)는 대상자의 몸통(M1)을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몸통지지부(20)는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롤(roll)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몸통지지부(20)는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좌우방향(W2, 도 5, 6 참고)으로 기울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대상자의 머리(M2)를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몸통지지부(2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베이스프레임(10)에 연결되어,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으며, 별도의 구성과 연결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는 지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동작되는 모든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대상자의 머리를 롤(roll)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머리지지부(30)는 피치(pitch)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머리지지부(30)는 대상자의 머리를 좌우방향(W2)으로 회전시키거나, 고개를 숙이거나 젖히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5,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동작을 몸통지지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앞선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몸통지지부(20)는 베이스프레임(10)과 나란한 제 1 몸통위치(20a)와, 제 1 몸통위치(20a)로부터 제 1 각도(A) 기울어진 제 2 몸통위치(20b)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몸통위치(20b)는 제 1 몸통위치(20a)로부터 롤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일 수 있다. 제 2 몸통위치(20b)는 제 1 몸통위치(20a)로부터 회전하여 제 1 각도(A, 도 6 참고) 기울어진 위치일 수 있다. 제 1 각도(A)는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0ㅀ < A ≤ 30ㅀ
즉, 몸통지지부(20)는 롤(roll)방향 회전을 통해 최대 기울임 각도 30ㅀ까지 기울어질 수 있다.
침대(1)는 몸통지지부(20)의 위치를 변환하는 리프팅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리프팅부(40)는 몸통지지부(20)를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리프팅부(40)는 몸통지지부(20)를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동작시킬 수 있다. 리프팅부(40)는 몸통지지부(20)를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회전되도록 구성되면 이를 만족하며, 그 실시예에 대해서는 한정되지 않는다. 일례로, 리프팅부(40)는 유압을 통해 몸통지지부(20)를 회전시킬 수도 있으며, 본 실시예의 도면 및 설명과 같이 탄성부재(42)와 가이드부재(44)에 의해 구성될 수도 있다.
리프팅부(40)는 복수의 탄성부재(42)와, 가이드부재(44)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재(42)는 몸통지지부(20)를 베이스프레임(10)으로부터 탄성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복수의 탄성부재(42)는 몸통지지부(20)가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몸통지지부(20)를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탄성지지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재(42)는 그 일단이 베이스프레임(10)에 연결되며, 그 타단이 몸통지지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탄성부재(42)는 베이스프레임(10)과 몸통지지부(20)에서 양 구성이 마주하는 면에 배열될 수 있다. 몸통지지부(20)의 어느 일지점에서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 상기 일지점과 대응되는 탄성부재(42)가 압축되며,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압축된 탄성부재(42)가 탄성복귀하여 몸통지지부(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다.
가이드부재(44)는 베이스프레임(10)과 몸통지지부(20) 사이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베이스프레임(10)으로부터 몸통지지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는 복수의 탄성부재(42)가 배열되는 베이스프레임(10)과 몸통지지부(20) 사이에 배치되어, 몸통지지부(20)에 외력이 발생하여도 외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탄성부재(42)가 압축되지 않도록 몸통지지부(20)를 지지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는 복수개가 마련되어, 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즉, 제 1 방향(w1, 도 4 참고)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가이드부재(44)는 제 1 방향(w1)과 수직한 제 2 방향(w2)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 1 방향(w1)은 몸통(M1)의 길이방향인 상하방향이며, 제 2 방향(w2)은 좌우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재(44)는 몸통지지부(20)의 중앙을 지지하는 제 1 위치(44a)와, 제 1 위치(44a)로부터 이동하여 몸통지지부(20)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지지하는 제 2 위치(44b)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대상자의 몸통(M1)이 몸통지지부(20)에 의해 지지될 때, 복수의 가이드부재(44)가 도 5와 같이 제 1 위치(44a)에 위치하는 경우 몸통지지부(20)는 복수의 가이드부재(44)와 복수의 탄성부재(42)에 의해 지지되어, 몸통지지부(20)가 베이스프레임(10)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가이드부재(44)가 도 6과 같이 제 2 위치(44b)에 위치하는 경우 복수의 탄성부재(42) 중 몸통(M1)의 좌측에 있는 탄성부재(42)들이 가압되면서 몸통지지부(20)가 좌측을 향해 기울어질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부재(44)들에 의해 몸통지지부(20)의 우측이 지지됨으로서, 몸통(M1)의 우측에 있는 탄성부재(42)들은 가압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부재(44)가 제 2 위치(44b)에 위치한 경우, 몸통지지부(20)는 복수의 가이드부재(44)가 제 1 위치(44a)로부터 이동된 거리에 따라 기울기의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가이드부재(44)의 제 2 위치(44b)가 제 1 위치(44a)보다 멀수록, 몸통지지부(20)는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한 기울기인 제 1 각도(A)가 더 크도록 동작할 수 있다.
리프팅부(40)는 가이드부재(44)가 이동가능하도록 가이드레일(49)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49)은 베이스프레임(10)과 몸통지지부(20)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이드레일(49)은 몸통지지부(20)의 하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에 위치할 수도 있으며, 베이스프레임(10)의 상면과 몸통지지부(20)의 하면 모두에 위치할 수도 있다.
가이드부재(44)는 가이드몸체(46)와, 제 1, 2 롤링부(48a, 48b)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46)는 가이드부재(44)의 몸체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몸체(46)는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수직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이드몸체(46)는 제 1, 2 롤링부(48a, 48b)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0)과 몸통지지부(20) 사이를 평행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롤링부(48a)는 가이드몸체(46)의 일단에 형성되며, 몸통지지부(20)에 대해 가이드몸체(46)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2 롤링부(48b)는 가이드몸체(46)의 타단에 형성되며, 베이스프레임(10)에 대해 가이드몸체(46)가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 1, 2 롤링부(48a, 48b) 중 적어도 하나의 롤링부는 가이드레일(4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롤링부(48a)가 몸통지지부(20) 하면에 위치한 가이드레일(49)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롤링부(48b)도 베이스프레임(10) 상면에 설치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4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도 7,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의 동작을 머리지지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앞선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머리지지부(30)는 몸통지지부(20)와 독립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롤(roll)방향 회전축(X1, 도 2, 3, 4, 7, 8 참고)과, 피치(pitch)방향 회전축(X2, 도 2, 3 참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머리지지부(30)는 롤방향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좌우방향(W2)으로 기울어질 수 있으며, 피치방향 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상하방향(W1)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머리지지부(30)에 안착되는 대상자의 머리(M2)를 롤방향 회전축(X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좌우방향으로 기울이거나, 피치방향 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뒤로 젖히거나 앞으로 숙이도록 할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베이스프레임(10)과 나란한 제 1 머리위치(30a)와, 제 1 머리위치(30a)로부터 제 2 각도(B, 도 8 참고) 기울어진 제 2 머리위치(30b)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 2 머리위치(30b)는 제 1 머리위치(30a)로부터 롤방향으로 회전한 위치일 수 있다. 제 2 머리위치(30b)는 제 1 머리위치(30a)로부터 회전하여 제 2 각도(B) 기울어진 위치일 수 있다. 제 2 각도(B)는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0ㅀ < B ≤ 60ㅀ
즉, 머리지지부(30)는 롤(roll)방향 회전을 통해 최대 기울임 각도 60ㅀ까지 기울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각도(A)와 제 2 각도(B)는 다음을 만족할 수 있다.
A ≤ B
즉, 머리지지부(30)는 몸통지지부(20)와 동일한 각도 또는 더 큰 각도로 회전할 수 있다. 일례로, 몸통지지부(20)가 10ㅀ 기울어진 경우, 머리지지부(30)는 10ㅀ이상의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머리지지부(30)는 제 1, 2 머리위치(30a, 30b)로부터 피치방향으로 틸팅된 제 3 머리위치(30c, 도 3 참고)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머리지지부(30)는 피치방향 회전축(X2)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머리(M2)가 젖혀지거나, 숙여지도록 동작할 수 있다.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에 있어서, 몸통 또는 머리를 회전 또는 이동시키는 것만으로도 많은 부분 해소될 수 있다. 그러나 수면과정에서, 몸통을 일정각도 이상 회전시키는 경우, 수면을 방해할 수 있다. 이를 해결할 수 있도록, 본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1)는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를 독립적으로 동작가능하게 구성하되, 머리지지부(30)가 몸통지지부(20)보다 더 회전가능하게 구성함으로서, 코골이 및/또는 수면무호흡증을 해소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900)는 침대(1), 센서부(910) 및 제어부(9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침대(1)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센서부(910)는 침대(1) 또는 침대(1) 주변에 배치되거나 침대(1)에 누워있는 대상자에 착용되어, 대상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91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이크로폰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 침대(1)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기울기를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20)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롤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울일 수 있다. 여기서, 특정 영역 폐쇄는 연구개 전후방 폐쇄, 혀 기저부 폐쇄, 후두개 폐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920)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 즉, 연구개 전후방 폐쇄, 혀 기저부 폐쇄 또는 후두개 폐쇄에 기인한 코골이 소리인지, 다른 원인에 의한 코골이 소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과정에서,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울였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초기 기울임 각도(0ㅀ)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release)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10ㅀ일 수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900)가 몸통지지부(20)의 기울기만을 조정한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제어부(920)는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고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몸통지지부(20)를 10ㅀ 기울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10ㅀ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몸통지지부(20)가 10ㅀ로 기울어진 상태로 소정 기간(예컨대, 5분) 경과 후에도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 몸통지지부(20)를 10ㅀ더 기울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20ㅀ로 조정하고,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몸통지지부(20)를 10ㅀ 기울임 해제하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초기 기울임 각도인 0ㅀ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몸통 지지부(20)가 20ㅀ로 기울어진 상태로 소정 기간(예컨대, 5분) 경과 후에도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 몸통지지부(20)를 10ㅀ더 기울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최대 기울임 각도인 30ㅀ로 조정하고,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몸통지지부(20)를 10ㅀ 기울임 해제하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10ㅀ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몸통지지부(20)가 최대 기울임 각도인 30ㅀ로 기울어진 상태로 소정 기간(예컨대, 5분) 경과 후에도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해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몸통지지부(20)를 초기 기울임 각도인 0ㅀ로 조정하고,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몸통지지부(20)를 10ㅀ 기울임 해제하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20ㅀ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임 및 기울임 해제 방식은 머리지지부(30)의 기울기만을 조정하는 경우와, 몸통지지부(20) 및 머리지지부(30) 모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920)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로 한번에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920)는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 기울임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울였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초기 기울임 각도(0ㅀ)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release)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에서, 제어부(920)는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고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몸통지지부(20)를 최대 기울임 각도인 30ㅀ로 한번에 기울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30ㅀ로 조정할 수 있다. 제어부(920)는 몸통지지부(20)가 최대 기울임 각도인 30ㅀ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해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초기 기울임 각도인 0ㅀ로 조정하고,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몸통지지부(20)의 기울임 각도를 20ㅀ -> 10ㅀ -> 0ㅀ로 10ㅀ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할 수 있다.
이러한 기울임 및 기울임 해제 방식은 머리지지부(30)의 기울기만을 조정하는 경우와, 몸통지지부(20) 및 머리지지부(30) 모두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경우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은 도 9의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9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침대에 누워있는 대상자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1001).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2). 예를 들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 즉, 연구개 전후방 폐쇄, 혀 기저부 폐쇄 또는 후두개 폐쇄에 기인한 코골이 소리인지, 다른 원인에 의한 코골이 소리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1002), 침대(1)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예컨대 10ㅀ) 기울일 수 있다(1003).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정 기간(예컨대 5분) 경과 후에도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1004), 기울어진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임 각도가 최대 기울임 각도(얘컨대, 몸통지지부(20)는 30ㅀ, 머리지지부(30)는 60ㅀ)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1005).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기울어진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임 각도가 최대 기울임 각도가 아니면, 침대(1)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예컨대 10ㅀ) 더 기울일 수 있다(1003).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기울어진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임 각도가 최대 기울임 각도이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해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울어진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임 각도를 초기 기울임 각도인 0ㅀ로 조정할 수 있다(1006).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소정 기간(예컨대 5분) 경과 후에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1004), 기울어진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예컨대 10ㅀ) 기울임 해제할 수 있다(1007).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기울임 해제한 후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임 각도가 초기 기울임 각도(예컨대 0ㅀ)이면(1008) 절차를 종료하고, 기울임 해제한 후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임 각도가 초기 기울임 각도(예컨대 0ㅀ)가 아니면(1008) 단계 1004로 돌아가 코골이 소리를 감지할 수 있다(1004).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1002),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로 한번에 기울일 수 있다(1009).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 기울임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1010),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해소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기울어진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울임 각도를 초기 기울임 각도인 0ㅀ로 조정할 수 있다(1006).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가 최대 기울임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1010), 기울였던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초기 기울임 각도(0ㅀ)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release)할 수 있다(1011).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 수면에 방해되지 않도록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일 수 있다. 또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는 특정 영역 폐쇄 이외의 원인에 기인한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면 대상자를 살짝 깨울 수 있도록 몸통지지부(20)와 머리지지부(30)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로 한번에 기울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을 해소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들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작성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과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다양한 실시 형태가 포함되도록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침대 10 : 베이스프레임
20 : 몸통지지부 20a : 제 1 몸통위치
20b : 제 2 몸통위치 30 : 머리지지부
30a : 제 1 머리위치 30b : 제 2 머리위치
30c : 제 3 머리위치 40 : 리프팅부
42 : 탄성부재 44 : 가이드부재
900 :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910 : 센서부
920 : 제어부

Claims (20)

  1. 베이스프레임과, 대상체의 몸통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롤(roll)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몸통지지부와, 상기 대상체의 머리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롤(roll)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롤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울이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코골이 소리가 상기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 폐쇄는 연구개 전후방 폐쇄, 혀 기저부 폐쇄 및 후두개 폐쇄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울였던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30ㅀ이고, 상기 머리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60ㅀ이고, 상기 소정 각도는 10ㅀ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로 한번에 기울이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는 독립적으로 동작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는 상기 몸통지지부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회전시키는 리프팅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프팅부는,
    상기 몸통지지부를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지지하는 복수의 탄성부재로서, 좌우방향으로 이격배치되는 복수의 탄성부재; 및
    상기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상기 몸통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몸통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평행위치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통지지부의 상기 좌우방향 폭의 중심을 지지하는 제 1 위치; 및
    상기 몸통지지부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기울어지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이격된 위치를 지지하는 제 2 위치; 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는,
    상기 제 1, 2 위치를 평행이동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몸체;
    상기 몸통지지부에 대해 상기 가이드몸체가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일단에 마련되는 제 1 롤링부; 및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가이드몸체가 이동하도록 상기 가이드몸체의 타단에 마련되는 제 2 롤링부;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지지부와, 머리지지부의 상기 롤방향 회전은 유압에 의해 수행되도록 구성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지지부는 피치(pitch)방향으로 틸팅가능하게 구성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14. 베이스프레임과, 대상체의 몸통을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롤(roll)방향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몸통지지부와, 상기 대상체의 머리를 지지하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대해 상기 롤(roll)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는 머리지지부를 포함하는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결과에 따라 상기 몸통지지부 및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롤방향으로 회전시켜 기울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의 주파수를 분석하여 상기 코골이 소리가 상기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인지를 판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영역 폐쇄는 연구개 전후방 폐쇄, 혀 기저부 폐쇄 및 후두개 폐쇄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까지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이는 과정에서 상기 대상체의 코골이 소리가 감지되지 않으면, 기울였던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소정 각도씩 단계적으로 기울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30ㅀ이고, 상기 머리지지부의 최대 기울임 각도는 60ㅀ이고, 상기 소정 각도는 10ㅀ인,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감지된 코골이 소리가 특정 영역 폐쇄에 기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몸통지지부와 상기 머리지지부 중 적어도 하나를 최대 기울임 각도로 한번에 기울이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방법.
KR1020210024632A 2020-02-27 2021-02-24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 KR1024291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4635 2020-02-27
KR1020200024635 2020-0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459A KR20210109459A (ko) 2021-09-06
KR102429129B1 true KR102429129B1 (ko) 2022-08-04

Family

ID=77782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632A KR102429129B1 (ko) 2020-02-27 2021-02-24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91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761B2 (ja) 1996-02-26 2000-03-21 三鷹光器株式会社 顕微鏡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761U (ja) * 1995-09-19 1996-04-02 滝沢 松藏 寝返りベッド
JPH10215992A (ja) * 1997-02-10 1998-08-18 Moritaka Shimad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22761B2 (ja) 1996-02-26 2000-03-21 三鷹光器株式会社 顕微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459A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6027897A5 (ko)
AU767060B2 (en) Patient motion monitoring system for proton therapy
Voorhees Dynamic posturography findings in central nervous system disorders
JP2016027897A (ja) 寝姿勢制御ベッドシステム
KR101672088B1 (ko) 삼킴 장애 구강 훈련장치
KR102429129B1 (ko) 자세변환이 가능한 침대를 이용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치료 장치 및 방법
EP3476380B1 (en) Modular turn assist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CN109475460A (zh) 用于上肢康复的便携式装置
JP6461117B2 (ja) システムを位置合わせするための方法、及び眼の前方領域の少なくとも1つの要素の位置データを検出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10741296B2 (en) Imaging table and radiation imaging system
JP2013138793A (ja) 生体動作補助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4175278B2 (ja) 睡眠時無呼吸症候群防止装置
US20180133085A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head and neck assessment or intervention
US11701087B2 (en) Method for head and neck assessment or intervention
WO2019153076A1 (en) Head tracking frame for dental navigation
EP3320848B1 (en) Positioning apparatus for head and neck assessment or intervention
WO2020115773A1 (en)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d providing therapeutic treatment for sleep disordered breathing
JP6950837B2 (ja) センサユニットおよび、ベッド装置
TW202042864A (zh) 放射治療系統、控制醫療儀器的控制方法及控制裝置
CN105902281A (zh) 一种踝关节扫描辅助施压设备
EP3701925B1 (en) Oblique hinged panels and bladder apparatus for sleep disorders
Kemlin et al. Closed-loop control of the centre of pressure in post-stroke patients with balance impairments
KR102101666B1 (ko) 목 교정기
CN208573358U (zh) 一种婴儿偏头矫正枕头
JP3093992B2 (ja) 姿勢矯正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