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940B1 - 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 Google Patents

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940B1
KR102428940B1 KR1020200129526A KR20200129526A KR102428940B1 KR 102428940 B1 KR102428940 B1 KR 102428940B1 KR 1020200129526 A KR1020200129526 A KR 1020200129526A KR 20200129526 A KR20200129526 A KR 20200129526A KR 102428940 B1 KR102428940 B1 KR 10242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gf2
hfgf2
polypeptide
various variants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52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4042A (en
Inventor
이정현
임형순
안영준
이경원
정예은
차기원
이원규
우주랑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재단법인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CN202080081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4746436A/en
Priority to PCT/KR2020/016065 priority patent/WO2021107473A1/en
Priority to US17/779,210 priority patent/US20230076299A1/en
Priority to EP20894591.5A priority patent/EP4067374A4/en
Priority to JP2022530732A priority patent/JP7441948B2/en
Publication of KR202100640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404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94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43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C07K14/475Growth factors; Growth regulators
    • C07K14/50Fibroblast growth factor [FGF]
    • C07K14/503Fibroblast growth factor [FGF] basic FGF [bFG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03Embryonic cells ; Embryoid bodies
    • C12N5/0606Pluripotent embryonic cells, e.g. embryonic stem cells [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96Artificially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e.g. iP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15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bFGF, FGF-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ynecology & Obstetrics (AREA)
  • Dermatology (AREA)
  • Reproductive Health (AREA)
  • Cell Bi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Birds (AREA)
  • Immu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Abstract

FGF2 활성을 가지며 온도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이 향상된 폴리펩타이드가 제공된다. 폴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에서 28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치환되거나, 78번째 시스테인(C)이 이소류신(I) 또는 류신(L)으로 치환되거나, 96번째 시스테인(C)이 이소류신(I) 또는 트립토판(W)으로 치환되거나 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한다. A polypeptide having FGF2 activity and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is provided. In SEQ ID NO: 1, aspartic acid (D) at position 28 is substituted with glutamic acid (E), cysteine at position 78 (C) is substituted with isoleucine (I) or leucine (L), or cysteine at position 96 (C) in SEQ ID NO: 1 and at least one or more substitutions selected from those substituted with isoleucine (I) or tryptophan (W).

Description

온도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FGF2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its use

본 기재는 온도 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FGF2 폴리펩타이드 및 그 용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n FGF2 polypeptid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uses thereof.

FGF(Fibroblast Growth Factor)는 세포의 성장, 증식, 분화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인자이다. 인체의 각 조직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FGF들이 생성되며, 이들은 세포의 분화와 증식에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 등 각 조직에서 FGF들의 농도는 점진적으로 낮아지며, 이에 따라 세포의 재생 및 분열 기능이 약화되어 피부에 주름이 형성되고 탄력이 감소하게 된다. FGF (Fibroblast Growth Factor) is a factor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gulating cell growth,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Various types of FGFs are generated to maintain the function of each tissue in the human body, and they perform unique functions in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However, as aging progresses, the concentration of FGFs in each tissue, such as the skin, is gradually lowered. Accordingly, cell regeneration and division functions are weakened, so that wrinkles are formed in the skin and elasticity is reduced.

다양한 FGF 중에서 FGF2(Fibroblast Growth Factor 2)는 주로 155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은 약 18kDa이다. FGF2는 광범위한 유사분열(mitogenic) 및 세포 생존 활성(cell survival activity)을 가지며, 상처 치유, 혈관 생성, 그리고 신경계의 성장에서 강력한 매개체로서의 역할을 한다.Among the various FGFs, FGF2 (Fibroblast Growth Factor 2) is mainly composed of 155 amino acids and has a molecular weight of about 18 kDa. FGF2 has broad mitogenic and cell survival activity, and plays a role as a potent mediator in wound healing, angiogenesis, and growth of the nervous system.

따라서, FGF2는 혈관신생 촉진, 상처 치유 촉진, 연골형성 또는 골형성의 촉진 및 신경발생을 촉진시키는 의약품으로 개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재생, 주름 제거 또는 탄력 증가를 위한 화장품 원료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세포를 만능성 상태로 유지하는 기능 때문에 인간 만능성 줄기 세포(PSC) 배양용 배지 등에도 주요인자로 첨가되고 있다. Therefore, FGF2 is being developed as a pharmaceutical for promoting angiogenesis, promoting wound healing, promoting cartilage or bone formation, and promoting neurogenesis, as well as being widely used as a cosmetic raw material for skin regeneration, wrinkle removal, or elasticity increase. In addition, due to the function of maintaining the cells in a pluripotent state, it is added as a major factor to the culture medium for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PSC).

이와 같이 인체내에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FGF2는 열역학적으로 안정성이 상피세포성장인자(EGF), 인슐린유사성장인자(IGF) 그리고 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VEGF) 등에 비해 크게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단백질 분해효소에 의해서 절단되기 쉬운 문제도 있다. 따라서 FGF2가 산업적인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FGF2의 열역학적 안정성 및/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이 담보되는 것이 필수적인 조건이다. As described above, it is reported that FGF2, which has various functions in the human body, is thermodynamically inferior to epithelial growth factor (EGF), insulin-like growth factor (IGF),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lso,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easy to be cleaved by proteolytic enzymes. Therefore, in order for FGF2 to be suitably used for industrial use, it is an essential condition to ensure thermodynamic stability and/or protease resistance of FGF2.

본 개시는 온도 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FGF2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n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본 개시는 온도 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FGF2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또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n FGF2 polypeptid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본 개시는 온도 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FGF2 폴리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인간 만능성 줄기 세포 배양 배지를 제공하고자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to provide a culture medium for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comprising an FGF2 polypeptid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실시예들에 따른 온도 안정성을 향상시킨 FGF2 폴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에서 28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치환되거나, 78번째 시스테인(C)이 류신(L) 또는 이소류신(I)으로 치환되거나, 96번째 시스테인(C)이 트립토판(W) 또는 이소류신(I)으로 치환되는 것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치환을 포함하고, FGF2 고유의 활성을 가지는 온도안정성을 향상시킨(thermally stable) 폴리펩타이드이다. In the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aspartic acid (D) at position 28 in SEQ ID NO: 1 is substituted with glutamic acid (E), or cysteine at position 78 is leucine (L) or isoleucine (I) It contains at least one substitution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ubstituted with or the 96th cysteine (C) is substituted with tryptophan (W) or isoleucine (I), and has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with FGF2 intrinsic activity (thermally stable) poly is a peptide.

실시예들에 따른 조성물은 온도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폴리펩타이드 및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한다. Compositions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 a polypeptid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a pharmaceutically or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실시예들에 따른 인간 만능성 줄기 세포 배양 배지는 온도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Human pluripotent stem cell culture medium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a polypeptide hav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s an active ingredient.

실시예들에 따른 FGF2 폴리펩타이드는 제품제조 후 야생형 인간 FGF2 폴리펩타이드와 비교시 향상된 온도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나타낸다. The FGF2 polypeptide according to the Examples exhibits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compared to the wild-type human FGF2 polypeptide after product manufacture.

온도안정성 및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킨 폴리펩타이드는 유통과 보관 과정 중에도 기존의 야생 인간 FGF2 제품과 달리 활성 유지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를 약제학적 또는 화장용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미분화성 증식을 유도하는 활성이 인간 만능성 줄기 세포 배양 배지의 유효성분으로 사용시 야생형 FGF2 대비 오랜 기간 유지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 Polypeptides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can maintain activity during distribution and storage, unlike existing wild human FGF2 products. Therefore, it can be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in a pharmaceutical or cosmetic composition. In addition, it has the advantage that the activity inducing undifferentiated proliferation can be maintained for a long period of time compared to wild-type FGF2 when used as an active ingredient of human pluripotent stem cell culture medium.

도 1은 야생형 FGF2의 폴리펩타이드(서열번호 1)이다.
도 2는 야생형 FGF2과 FGF2 변이체(pQE80_hFGF2(S137P), pQE80_hFGF2 (D28E, S137P))의 SDS-PAGE를 나타낸다.
도 3은 야생형 FGF2(△9N-hFGF2)와 FGF2 변이체(△9N-hFGF2(D28E, S137P), △9N-hFGF2(D28E, C78L, C96I, S137P), △9N-hFGF2(D28E, C78I, C96I, S137P), △9N-hFGF2(D28E, C78L, C96W, S137P), △9N-hFGF2(D28E, C78I, C96W, S137P))의 37℃에서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SDS-PAGE를 나타낸다.
도 4는 야생형 FGF2(△9N-hFGF2)와 FGF2 변이체(△9N-hFGF2(D28E, S137P), △9N-hFGF2(D28E, C78L, C96I, S137P), △9N-hFGF2(D28E, C78I, C96I, S137P), △9N-hFGF2(D28E, C78L, C96W, S137P),△9N-hFGF2(D28E, C78I, C96W, S137P))의 45℃에서의 안정성을 측정하기 위한 SDS-PAGE를 나타낸다.
도 5는 야생형 FGF2과 FGF2 변이체(pQE80_hFGF2(S137P), pQE80_hFGF2 (D28E, S137P))의 37℃에서의 세포증식활성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6은 야생형 FGF2(△9N-hFGF2)와 FGF2 변이체(△9N-hFGF2(D28E, S137P), △9N-hFGF2(D28E, C78L, C96I, S137P), △9N-hFGF2(D28E, C78I, C96I, S137P))의 37℃에서의 세포증식활성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7은 야생형 FGF2(△9N-hFGF2)와 FGF2 변이체(△9N-hFGF2(D28E, S137P), △9N-hFGF2(D28E, C78L, C96I, S137P), △9N-hFGF2(D28E, C78I, C96I, S137P))의 42℃에서의 세포증식활성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야생형 FGF2(△9N-hFGF2)의 단백질 분해 효소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한 SDS-PAGE를 나타낸다.
도 9는 FGF2 변이체(△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의 단백질 분해 효소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기 위한 SDS-PAGE를 나타낸다.
1 is a polypeptide of wild-type FGF2 (SEQ ID NO: 1).
2 shows SDS-PAGE of wild-type FGF2 and FGF2 mutants (pQE80_hFGF2(S137P), pQE80_hFGF2 (D28E, S137P)).
3 shows wild-type FGF2 (Δ9N-hFGF2) and FGF2 variants (Δ9N-hFGF2 (D28E, S137P), Δ9N-hFGF2 (D28E, C78L, C96I, S137P), Δ9N-hFGF2 (D28E, C78I, C96I, S137P), Δ9N-hFGF2 (D28E, C78L, C96W, S137P), Δ9N-hFGF2 (D28E, C78I, C96W, S137P)) at 37 ° C. SDS-PAGE for determining the stability is shown.
4 shows wild-type FGF2 (Δ9N-hFGF2) and FGF2 variants (Δ9N-hFGF2 (D28E, S137P), Δ9N-hFGF2 (D28E, C78L, C96I, S137P), Δ9N-hFGF2 (D28E, C78I, C96I, S137P), Δ9N-hFGF2 (D28E, C78L, C96W, S137P), and Δ9N-hFGF2 (D28E, C78I, C96W, S137P)) at 45° C. are shown SDS-PAGE to determine the stability.
5 is a graph measuring changes in cell proliferation activity at 37° C. of wild-type FGF2 and FGF2 variants (pQE80_hFGF2(S137P), pQE80_hFGF2 (D28E, S137P)).
6 shows wild-type FGF2 (Δ9N-hFGF2) and FGF2 variants (Δ9N-hFGF2 (D28E, S137P), Δ9N-hFGF2 (D28E, C78L, C96I, S137P), Δ9N-hFGF2 (D28E, C78I, C96I, S137P)) is a graph measuring the change in cell proliferation activity at 37 ℃.
7 shows wild-type FGF2 (Δ9N-hFGF2) and FGF2 variants (Δ9N-hFGF2 (D28E, S137P), Δ9N-hFGF2 (D28E, C78L, C96I, S137P), Δ9N-hFGF2 (D28E, C78I, C96I, S137P)) is a graph measuring the change in cell proliferation activity at 42 ℃.
8 shows SDS-PAGE for measuring the resistance of wild-type FGF2 (Δ9N-hFGF2) to proteolytic enzymes.
FIG. 9 shows SDS-PAGE for measuring the resistance of FGF2 variants (Δ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to proteolytic enzymes.

이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여러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만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it. The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 described herein.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일부 용어들의 정의가 아래에 달리 정의되지 않은 한, 본원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Unless the definitions of some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otherwise defined below, 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herein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본 개시에서 기술된 기법 및 공정들은 일반적으로 통례적인 방법에 따라 수행되며, 이는 본원 전체에 제시된다. 일반적으로, 본 개시에 사용된 명명 및 분자 생물학, 생화학, 분석 화학 및 세포 배양에서의 실험 절차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공지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와 동일하다.The techniques and processes described in this disclosure are generally performed according to conventional methods, which are presented throughout this application. In general, the nomenclature and laboratory procedures in molecular biology, biochemistry, analytical chemistry and cell culture used in this disclosure are well known in the art and are the same as commonly used.

변이체variant

본 개시는 부위 특이적인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열적으로 안정화된 FGF2 폴리펩타이드를 제공한다. 본 개시에서는 생물정보 분석 및 컴퓨터를 이용한 단백질 설계를 통해 기존에 알려져 있지 않던 신규 위치에서 가장 최적의 아미노산을 합리적으로 예측한 후 부위-특이적인 돌연변이 유발에 의해 돌연변이를 제조하였다.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FGF2 polypeptides that are thermally stabilized by site-directed mutagenesis. In the present disclosure, mutations were prepared by site-specific mutagenesis after rationally predicting the most optimal amino acid at a new position that was not previously known through bioinformation analysis and protein design using a computer.

도 1은 야생형 인간 FGF2 폴리펩타이드 서열을 나타낸다. 1 shows the wild-type human FGF2 polypeptide sequence.

본 개시에서 용어 '야생형'은 종의 구성원들에서 가장 공통적인 아미노산 서열을 가진 천연형 FGF2를 의미한다. 본 개시에서, 야생형 FGF2는 아미노산 155개 길이의 (서열번호 1, 도 1) 18 kDa 단백질인 인간 FGF2이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wild type' refers to a native FGF2 having the most common amino acid sequence among members of the species. In the present disclosure, wild-type FGF2 is human FGF2, an 18 kDa protein 155 amino acids long (SEQ ID NO: 1, FIG. 1).

본 개시에서 '단편'은 FGF2 활성을 가진 FGF2 폴리펩타이드의 기능성 단편을 지칭한다. 또한, 서열번호 1의 서열과 85%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가진 FGF2 폴리펩타이드의 기능성 단편을 지칭한다. FGF2 폴리펩타이드의 단편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나 이상의 치환을 적어도 가진다. 적어도 96%, 97%, 98%, 99% 또는 100%의 서열 동일성이 바람직하다. 단편은 온전한 폴리펩타이드 서열 및 구조의 일부로만 구성되는 폴리펩타이드로 의도되며, 변이체의 C-말단 결손 또는 N-말단 결손이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단편은 본 발명에 따른 대상 FGF2 단백질의 세포 결합 영역과 헤파린 결합 세그먼트를 보유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disclosure, a 'fragment' refers to a functional fragment of a FGF2 polypeptide having FGF2 activity. In addition, it refers to a functional fragment of the FGF2 polypeptide having 85% or more sequence identity with the sequence of SEQ ID NO: 1. Fragments of the FGF2 polypeptide also have at least one or more substitutions according to the invention. At least 96%, 97%, 98%, 99% or 100% sequence identity is preferred. Fragments are intended to be polypeptides that consist only of part of the intact polypeptide sequence and structure, and variants may have C-terminal deletions or N-terminal deletions. Such a functional fragment may have a cell-binding region and a heparin-binding segment of the subject FGF2 prot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에서 '서열 동일성'은 동일한 아미노산 잔기가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FGF2 폴리펩타이드에서 발견되는 것을 의미한다. FGF2 폴리펩타이드의 아미노산 서열의 명시된 연속 세그먼트를 정렬하여 기준 분자에 해당되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과 비교하였을 때, 야생형 인간 FGF2 폴리펩타이드가 기준으로서 사용된다. 서열 동일성의 %는, 양쪽 서열에서 동일한 아미노산 잔기가 존재하는 위치의 수를 측정함으로써 일치된 위치의 수를 산정하고, 이를 기준 분자와 비교하는 세그먼트의 전체 위치 개수로 나누고, 이에 100을 곱하여, 서열 동일성의 %를 산출함으로써, 계산한다. 서열 정렬 방법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기준 서열은 본 발명에 따른 특정 대응되는 인간 야생형 FGF2 단백질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마우스, 랫, 토끼, 영장류, 돼지, 개, 소, 말 및 인간 등의 포유류 종의 경우, FGF2는 고도로 보존되어 있으며, 광범위한 종들에서 85%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서열 동일성은 적어도 96%, 97%, 98%, 또는 99% 이상 또는 100%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FGF2 단백질의 전장에서 나머지 15% 이하의 아미노산은 예를 들어 FGF2 종의 다른 소스를 이용하거나 또는 당해 기술 분야에 일반적으로 공지된 적합한 비-FGF2 펩타이드 서열 또는 태그의 부가로 인해, 가변적일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야생형 FGF2에 대해 85% 이상의 동일성을 가진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른 FGF2 단백질은, FGF 패밀리의 다른 멤버들은 일반적으로 매우 낮은 서열 동일성을 가지므로, 비슷한 FGF2 이외의 다른 단백질을 포함할 가능성은 낮다.In the present disclosure, 'sequence identity' means that identical amino acid residues are found in the FGF2 polypeptid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specified contiguous segments of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FGF2 polypeptide are aligned and compared to the specific amino acid sequence corresponding to the reference molecule, the wild-type human FGF2 polypeptide is used as a reference. The % sequence identity is calculated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positions in which the same amino acid residue is present in both sequences, dividing it by the total number of positions in the segment compared to the reference molecule, and multiplying this by 100. It is calculated by calculating the % identity. Sequence alignment methods are well known in the art. Reference sequence as used herein refers to the specific corresponding human wild-type FGF2 prot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mammalian species such as mouse, rat, rabbit, primate, pig, dog, bovine, horse and human, FGF2 is highly conserved and exhibits greater than 85% sequence identity across a wide range of species. Preferably, the sequence identity is at least 96%, 97%, 98%, or 99% or greater or 100%. The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know that the remaining 15% or less amino acids in the full length of the FGF2 prote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using, for example, other sources of FGF2 species or suitable non-FGF2 peptide sequences generally known in the art or It will be appreciated that, due to the addition of tags, this may be variable. The FGF2 protei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at least 85% identity to wild-type FGF2 is unlikely to include similar proteins other than FGF2, since other members of the FGF family generally have very low sequence identity.

본 발명자는 야생형 인간 FGF2에서 28번째 위치 또는 137번째 위치가 FGF2 폴리펩타이드의 열적 안정성 및/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과 연관된 위치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FGF2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는 시스테인 중 78번째 위치 또는 96번째 위치의 시스테인이 열적 안정성 및/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과 연관된 위치임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position 28 or position 137 in wild-type human FGF2 is a position associated with thermal stability and/or protease resistance of the FGF2 polypeptid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cysteine at the 78th or 96th position among the cysteines exposed on the surface of FGF2 is a position associated with thermal stability and/or protease resistance.

열적 안정성 및/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과 연관된 위치에서 가장 적절한 아미노산으로 바꾸는 것 발명자의 노력(inventive step)을 요하는 것이다. Changing to the most appropriate amino acid at a position associated with thermal stability and/or protease resistance requires an inventor's inventive step.

본 발명자는 28번째 위치의 아스파르트산(D)를 글루탐산(E)으로 치환함으로써 열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inventors confirmed that thermal stability can be improved by substituting glutamic acid (E) for aspartic acid (D) at the 28th position.

또한, 137번째 위치의 세린(S)을 프롤린(P)으로 치환함으로써 열적 안정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mal stability could be further improved by substituting proline (P) for serine (S) at the 137th position.

또한, 28번째 위치와 137번째 위치를 함께 치환함으로써 열적 안정성을 보다 더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mal stability can be further improved by substituting both the 28th position and the 137th position.

78번째 위치와 96번째 위치의 경우에는 SDM((http://marid.bioc.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와 Discovery studio 2019(BIOVIA)을 통해 19개의 돌연변이 후 안정화 비교를 진행하여 확인하였다. In the case of position 78 and position 96, stabilization comparison after 19 mutations was performed through SDM ((http://mari.bioc.cam.ac.uk, University of Cambridge) and Discovery studio 2019 (BIOVIA) and confirmed. did.

78번째 위치의 경우 SDM 분석결과에서는 류신(L)으로 돌연변이시킬 경우에 예측 값(Predicted pseudo △G) 0.33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Discovery studio에서는 이소류신(I)으로 돌연변이시킬 경우에 돌연변이 에너지 변화 값(kcal/mol)이 -1.20으로 가장 안정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In the case of the 78th position, the SDM analysis result showed the highest predicted value (Predicted pseudo ΔG) of 0.33 when mutated to leucine (L), and the mutation energy change value ( kcal/mol) was predicted to be the most stable as -1.20.

96번째 위치의 경우 SDM 분석결과에서는 이소류신(L)으로 돌연변이시킬 경우에 예측 값(Predicted pseudo △G) 0.19으로 가장 높게 나왔으며, Discovery studio에서는 트립토판(W)으로 돌연변이시킬 경우에 돌연변이 에너지 변화 값(kcal/mol)이 -0.39으로 가장 안정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In the case of the 96th position, in the case of SDM analysis, the predicted value (Predicted pseudo ΔG) of 0.19 was the highest when mutated to isoleucine (L), and the mutation energy change value ( kcal/mol) was -0.39, which was predicted to be the most stable.

US9169309, US2017-0291931, EP3380508, US20180319857 등에서는 78번째의 시스테인을 세린(S), 티로신(Y)으로 치환하거나, 96번째의 시스테인을 세린(S), 티로신(Y), 트레오닌(T) 또는 아스파라긴(N) 등으로 치환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치환된 아미노산의 경우에는 대다수가 친수성이며 전하가 없는 아미노산인 반면, 본 개시에서는 치환된 아미노산은 소수성 아미노산으로 종래의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예측할 수 없는 범주로 볼 수 있다. In US9169309, US2017-0291931, EP3380508, US20180319857, etc., cysteine at position 78 is substituted with serine (S) or tyrosine (Y), or cysteine at position 96 is replaced with serine (S), tyrosine (Y), threonine (T) or asparagine (N) and the like are disclosed. In the case of these substituted amino acids, the majority are hydrophilic and uncharged amino acids, whereas in the present disclosure, substituted amino acids are hydrophobic amino acids and can be viewed as a category that cannot be easily predicted from the prior art.

따라서, 본 개시에서 가능한 변이체는 아래 표 1에 개시된 다양한 변이체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Accordingly, the variants possible in the present disclosure may be any one of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below.

## 변이체 variant 1One (D28E)(D28E) 22 (C78I)(C78I) 33 (C78L)(C78L) 44 (C96I)(C96I) 55 (C96W)(C96W) 66 (S137P)(S137P) 77 (D28E, C78I)(D28E, C78I) 88 (D28E, C78L)(D28E, C78L) 99 (D28E, C96I)(D28E, C96I) 1010 (D28E, C96W)(D28E, C96W) 1111 (D28E, C137P)(D28E, C137P) 1212 (C78I, C96I)(C78I, C96I) 1313 (C78I, C96W)(C78I, C96W) 1414 (C78L, C96I)(C78L, C96I) 1515 (C78L, C96W)(C78L, C96W) 1616 (C78I, S137P)(C78I, S137P) 1717 (C78L, S137P)(C78L, S137P) 1818 (C96I, S137P)(C96I, S137P) 1919 (C96W, S137P)(C96W, S137P) 2020 (D28E, C78I, C96I)(D28E, C78I, C96I) 2121 (D28E, C78I, C96W)(D28E, C78I, C96W) 2222 (D28E, C78L, C96I)(D28E, C78L, C96I) 2323 (D28E, C78L, C96W)(D28E, C78L, C96W) 2424 (D28E, C78I, S137P)(D28E, C78I, S137P) 2525 (D28E, C78L, S137P)(D28E, C78L, S137P) 2626 (D28E, C96I, S137P)(D28E, C96I, S137P) 2727 (D28E, C96W, S137P)(D28E, C96W, S137P) 2828 (C78I, C96I, S137P)(C78I, C96I, S137P) 2929 (C78I, C96W, S137P)(C78I, C96W, S137P) 3030 (C78L, C96I, S137P)(C78L, C96I, S137P) 3131 (C78L, C96W, S137P)(C78L, C96W, S137P) 3232 (D28E, C78I, C96I, S137P)(D28E, C78I, C96I, S137P) 3333 (D28E, C78I, C96W, S137P)(D28E, C78I, C96W, S137P) 3434 (D28E, C78L, C96I, S137P)(D28E, C78L, C96I, S137P) 3535 (D28E, C78L, C96W, S137P)(D28E, C78L, C96W, S137P)

위의 다양한 변이체들 중, 단일 위치의 돌연변이도 열적 안정성 및/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2개 이상의 돌연변이가 열적 안정성 및/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 향상에 바람직할 수 있다. 나아가서, 3개 내지 4개의 돌연변이가 보다 열적 안정성 및/또는 단백질 분해효소 저항성 향상에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FGF2의 코딩 유전자를 클로닝한 다음 형질전환된 유기체, 바람직하게는 미생물에서 발현시킨다. 숙주 유기체는 발현 조건에서 FGF2를 생산하도록 외래 유전자를 발현한다. 또한, 합성 재조합 FGF2는 진핵 생물, 예를 들어, 효모 또는 인간 세포에서 만들어질 수 있다. FGF2는 재조합 생산 방법에 따라 146개 아미노산 형태, 153-155 아미노산 형태 또는 이의 혼합 형태일 수 있다. Among the above various variants, a single position mutation may also improve thermal stability and/or protease resistance, but two or more mutations may be desirable for improving thermal stability and/or protease resistance. Furthermore, three to four mutations may be desirable for more thermal stability and/or improved protease resistance. In general, the coding gene for FGF2 is cloned and then expressed in a transformed organism, preferably a microorganism. The host organism expresses a foreign gene to produce FGF2 under expression conditions. In addition, synthetic recombinant FGF2 can be made in eukaryotes such as yeast or human cells. FGF2 may be in the form of 146 amino acids, 153-155 amino acids, or a mixture thereof depending on the recombinant production method.

본원에 제시된 설명은, 야생형 FGF2에서의 일부 변화가 야생형 단백질 보다 높은 온도안정성과 긴 반감기를 가진 FGF2 돌연변이를 구축함을 최초로 입증해준다.The description presented herein demonstrates for the first time that some changes in wild-type FGF2 construct FGF2 mutants with higher temperature stability and longer half-life than wild-type protein.

본원에 기술된 치환을 삽입하기 위해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FGF2 단백질은, 본원에 지정된 기준을 충족하는 한, 즉, 야생형 FGF2의 바람직한 생물 활성을 보유하면서 열-안정화되는 한, 예를 들어, 마우스, 랫, 토끼, 영장류, 돼지, 개, 소, 말 및 인간 등의 임의의 포유류에서 유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대상 FGF2 단백질은 인간 소스로부터 유래된다. 그러나, 비교의 기준으로 사용되는 서열번호 2의 인간 FGF2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에 대해 8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96% 이상, 97% 이상, 98% 이상 또는 99% 이상의 서열 동일성을 가진, 포유류 FGF2에 대한 모든 생물학적으로 활성인 변이체들이,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다.The FGF2 protein according to the invention used to insert the substitutions described herein can be, for example, a mouse, as long as it meets the criteria specified herein, i.e. is heat-stabilized while retaining the desired biological activity of wild-type FGF2. , rats, rabbits, primates, pigs, dogs, cattle, horses and humans. Preferably, the FGF2 protein of interest is from a human source. However, having 85% or more, most preferably about 96% or more, 97% or more, 98% or more or 99% or more sequence identity to the amino acid sequence of the human FGF2 protein of SEQ ID NO: 2 used as a basis of comparison, mammalian All biologically active variants for FGF2 can 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일부 구현예에서,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안정적인 FGF2 폴리펩타이드는, 검출, 정제, 특정 조직 또는 세포에의 태깅, 개선된 안정성, 연장된 활성, 개선된 발현 등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부가적인 FGF 펩타이드 이외의 서열 또는 태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the stable FGF2 polypeptides according to the invention described herein can be used to facilitate detection, purification, tagging to specific tissues or cells, improved stability, extended activity, improved expression, etc. It may further comprise a tag or sequence other than any additional FGF peptide known in the art.

약제학적 및 화장품 조성물Pharmaceutical and cosmetic compositions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는 약제학적으로 또는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약제학적 및/또는 화장품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provided as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 compositions together with a pharmaceutically or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는 혈관신생 촉진, 상처 치유 촉진, 연골형성 또는 골형성의 촉진, 또는 신경발생 촉진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 또는 주름개선, 피부탄력 개선, 피부노화 방지, 탈모 방지 또는 발모촉진, 피부보습 개선, 검버섯 제거 또는 여드름 치료와 같은 피부 상태의 개선을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 투여될 수 있다.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는 "원상태" 형태 또는, 원한다면, 염, 에스테르, 아미드, 전구약물, 유도체, 등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 상기 염, 에스테르, 아미드, 전구약물 또는 유도체는 약리적으로 적합하고, 즉, 본 방법(들)에 효과적인 물질에서 선택될 수 있다. 펩타이드의 염, 에스테르, 아미드, 전구약물 및 다른 유도체는 합성 유기 화학 분야의 숙련가에게 공지되고, 예를 들면, 공지의 표준 절차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promote angiogenesis, promote wound healing, promote chondrogenesis or bone formation, or subjects in need of promoting neurogenesis or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skin aging prevention, hair loss prevention or hair growth It can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in need of improvement of a skin condition, such as promotion, improvement of skin moisture, removal of age spots or treatment of acne.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administered in "native" form or, if desired, in the form of salts, esters, amides, prodrugs, derivatives, etc., provided that the salts, esters, amides, prodrugs or derivatives are used. can be selected from substances that are pharmacologically compatible, ie, effective for the method(s). Salts, esters, amides, prodrugs and other derivatives of peptides are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synthetic organic chemistry and can be prepared using, for example, standard known procedures.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피하, 비경구, 국소, 경구, 코 (또는 그렇지 않으면 흡입된), 직장, 또는 국소 투여를 위해, 예컨대 에어로졸, 크림, 세럼 그리고 패취형태의 경피투여형 제품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조성물은 투여 방법에 따라서 다양한 단위 복용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단위 복용 형태는, 비제한적으로 분말, 정제, 알약, 캡슐, 로젠지, 좌약, 패치, 비강 스프레이, 주사제, 이식가능 지속 방출 제형, 지질 복합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re transdermally administered as products for subcutaneous, parenteral, topical, oral, nasal (or otherwise inhaled), rectal, or topical administration, such as in the form of aerosols, creams, serums and patches. can be formulated. The composition may be administered in various unit dosage forms depending on the method of administration. Suitable unit dosage form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wders, tablets, pills, capsules, lozenges, suppositories, patches, nasal sprays, injections, implantable sustained release formulations, lipid complexes, and the lik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이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조합되어 화장품 조성물을 형성할 경우 충전제(예를 들면 히알루론 충전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마이크로구형체 및 콜라겐 충전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국소, 피하, 또는 경피 투여용일 수 있다. When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re combined with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to form a cosmetic composition, fillers (e.g., hyaluronic fillers, polymethylmethacrylate (PMMA) microspheres and collagen fillers), etc. may additionally include. The composition may preferably be for topical, subcutaneous, or transdermal administration.

본 조성물은 주사용 조성물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be an injectable composition.

본 조성물은 콜라겐 (예를 들면, 소, 돼지, 또는 인간 콜라겐)히알루론산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콜라겐은 합성 콜라겐일 수 있으며, 히알루론산은 닭벼슬 또는 미생물의 발효 산물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collagen (eg bovine, porcine, or human collagen) hyaluronic acid. The collagen may be synthetic collagen, and the hyaluronic acid may be a chicken meal or a fermentation product of a microorganism.

본 조성물은 마취제 (예를 들면, 리도카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The composition may further comprise an anesthetic (eg, lidocaine).

본 조성물은 피부 크림(예를 들면, 얼굴 크림)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may be a skin cream (eg, a face cream).

본 조성물은 세럼 또는 토너형태의 액상형 제제일 수 있다. The composition may be a liquid formulation in the form of a serum or toner.

본 조성물은 겔상태의 반고형 제제 일 수 있다.The composition may be a semi-solid preparation in a gel state.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연방 또는 주 정부의 관리 기관에 의해 승인되거나 U.S. 약전 또는 동물, 더 상세하게는 인간에서 또는 동물, 더 상세하게는 인간에 대해 사용하기 위한 다른 일반적으로 인식된 약전에서 열거된 것을 포함한다. "담체"는, 예를 들면, 본 개시에서 기재된 1 이상의 펩타이드와 함께 투여되는 희석제, 아쥬반트, 부형제,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의미한다.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s may be approved by a federal or state regulatory agency or may be approved by the U.S. include those listed in the pharmacopoeia or other generally recognized pharmacopeias for use in animals, more particularly in humans or animals, more particularly humans. “Carrier” means, for example, a diluent, adjuvant, excipient, adjuvant or vehicle with which one or more peptides described herein are administered.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예를 들면, 조성물을 안정화시키거나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의 흡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키는 것으로 작용하는 1 이상의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은 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탄수화물, 예컨대 글루코오스, 수크로오스, 또는 덱스트란, 항산화제, 예컨대 아스코르브산 또는 글루타티온, 킬레이트제, 저분자량 단백질, 보호 및 흡수 인핸서 예컨대 지질, 펩타이드의 청소능 또는 가수분해를 감소시키는 화합물, 또는 다른 부형제, 안정제 및/또는 pH 조절 완충제일 수 있다.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may contain, for example, one or more physiologically acceptable compounds that act to stabilize the composition or increase or decrease absorption of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Physiologically acceptable compounds may include, for example, carbohydrates such as glucose, sucrose, or dextran, antioxidants such as ascorbic acid or glutathione, chelating agents, low molecular weight proteins, protective and absorption enhancers such as lipids , a compound that reduces the clearance or hydrolysis of the peptide, or other excipients, stabilizers and/or pH adjusting buffers.

특히 정제, 캡슐, 겔 캡, 등의 제조에서 사용되는 다른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은, 비제한적으로 결합제, 희석제/충전제, 붕해제, 윤활유, 및 현탁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Other physiologically acceptable compounds, particular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tablets, capsules, gel caps, and the like,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binders, diluents/fillers, disintegrants, lubricants, and suspending agents.

경구 복용 형태(예를 들면, 정제)를 제조하기 위해서 부형제, 임의의 붕해제, 결합제 및 임의의 윤활유 등이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에 부가되고 수득한 조성물은 압축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압축된 생성물은 맛을 차단하거나 장의 용해 또는 지속 방출을 위해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코팅될 수 있다. To prepare an oral dosage form (eg, a tablet) excipients, optional disintegrants, binders and optional lubricants, etc. are added to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nd the resulting composition can be compressed. If desired, the compressed product may be coated using known methods for taste masking or enteric dissolution or sustained releas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과 제형화될 수 있는 다른 생리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은 미생물의 성장 또는 작용을 방지하는데 특히 유용한 습윤제, 유화제, 분산제 또는 보존제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형제는 멸균되고 오염물질이 없는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Other physiologically acceptable compounds that may be formulated with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include wetting agents, emulsifying agents, dispersing agents or preservatives that are particularly useful for preventing the growth or action of microorganisms. Excipients can be used in a sterile, contaminant-free stat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화장품 용도를 위한 제형에 편입되어 국소로 도포될 수 있고 피부 크림 (예를 들면, 얼굴 크림) 또는 바디 로션, 주름-제거 크림으로서 제형될 수 있거나 화장품, 햇볕차단제, 또는 보습제에 편입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incorporated into formulations for cosmetic use and applied topically and may be formulated as skin creams (eg, face creams) or body lotions, wrinkle-removing creams, or as cosmetic, sunscreen agents. , or may be incorporated into a moisturizer.

또한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충전제, 보습제, 비타민 (예를 들면, 비타민 E), 및/또는 착색제/염색약을 임의로 추가로 포함하는 제형에 편입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also be incorporated into formulations optionally further comprising fillers, humectants, vitamins (eg, vitamin E), and/or colorants/dyes.

적합한 주사가능 화장품 제형은 1 이상의 충전제 물질과 함께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을 편입하는 제형을 비제한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주사가능 화장품 주름 충전제로서 사용가능한 예시적인 물질은, 비제한적으로, 일시적 (흡수성) 충전제 예컨대 콜라겐 (예를 들면, 합성 콜라겐, 소 콜라겐, 돼지 콜라겐, 인간 콜라겐, 등), 히알루론산 겔, 칼슘 하이드록실인회석 (전형적으로 겔의 형태로 이식됨), 또는 폴리-L-락트산 (PLL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펩타이드는 영구적 (비-흡수성) 충전제를 함유하는 주사가능 화장품 제형에 또한 편입될 수 있다. 예증적인 "영구적" 충전제는, 비제한적으로,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비드 (PMMA 마이크로구형체)를 포함할 수 있다. Suitable injectable cosmetic formulation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formulations incorporating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together with one or more filler substances. Exemplary materials usable as injectable cosmetic wrinkle filler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emporary (absorbable) fillers such as collagen (eg, synthetic collagen, bovine collagen, porcine collagen, human collagen, etc.), hyaluronic acid gel, calcium hydride. lyxylapatite (typically implanted in the form of a gel), or poly-L-lactic acid (PLLA), and the like. The peptides may also be incorporated into injectable cosmetic formulations containing permanent (non-absorbable) fillers. Exemplary “permanent” fillers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polymethylmethacrylate beads (PMMA microspheres).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진피 충전제, 주사가능 제형 등에 편입되거나 함께 투여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주사가능 제형은 마취제 (예를 들면, 리도카인 또는 그것의 유사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주사가능 제형은 실질적으로 멸균되거나 멸균되고/거나 피하 주사가능 충전제용 관리 기관 지침에 부합한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incorporated into or administered with dermal fillers, injectable formulations, etc. Such injectable formulations may further comprise an anesthetic (e.g., lidocaine or an analog thereof). . The injectable formulation is substantially sterile or sterile and/or conforms to institutional guidelines for subcutaneous injectable fillers.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당해기술에서 공지된 임의의 경로를 사용하여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고, 그 경로는 예를 들면, 주사로 (예를 들면, 정맥내, 복강내, 피하, 근육내, 또는 진피내), 흡입, 경피 적용, 직장 투여, 질 투여, 또는 경구 투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투여 경로는 피하, 경피, 또는 국소 적용을 포함한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administered to a subject using any route known in the art, which route may be, for example, by injection (e.g., intravenous, intraperitoneal, subcutaneous, intramuscular). intradermal, or intradermal), inhalation, transdermal application, rectal administration, vaginal administration, or oral administration. Preferred routes of administration include subcutaneous, transdermal, or topical application.

효과적인 양의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국소 (즉, 비-전신) 투여를 통해, 예컨대 말초 근육내, 선상내, 및 피하 투여를 비제한적으로 포함하는 말초 투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Effective amounts of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administered via topical (ie, non-systemic) administration,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peripheral intramuscular, intravascular, and subcutaneous administration.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의 투여는 임의의 편리한 방식, 예를 들면, 주사로, 정맥내 및 동맥 스텐트 (용출 스텐트 포함), 카테터, 경구 투여, 흡입, 경피 적용, 직장 투여, 등일 수 있다. Administration of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in any convenient manner, for example, by injection, intravenous and arterial stents (including eluting stents), catheter, oral administration, inhalation, transdermal application, rectal administration, and the like. .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투여 전에 예를 들면, 상기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제형화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투여될 특정한 조성물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조성물을 투여하기 위해 사용된 특정한 방법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formulated with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prior to administration, eg, as described above. A pharmaceutically acceptable carrier is determined in part by the particular composition to be administered, as well as by the particular method used to administer the composition.

대상체에서 투여된 용량은, 본원에서 기재된 방법의 맥락에서, 경시적으로 상기 대상체에서 유익한 치료적 반응 (예를 들면, 증가된 피하 지방생성)에 영향을 미치기에 충분해야 한다. 용량은 이용된 특정한 비히클/전달 방법의 효능, 투여 부위, 투여 경로, 및 상기 대상체의 상태, 뿐만 아니라 치료될 대상체의 체중 또는 표면적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용량의 크기는 또한, 특정한 대상체에서 특정한 펩타이드의 투여를 동반하는 임의의 부정적인 부작용의 존재, 성, 및 정도에 의해 결정될 것이다. The dose administered in a subject should, in the context of the methods described herein, be sufficient to affect a beneficial therapeutic response (eg, increased subcutaneous adipogenesis) in the subject over time. The dose will be determined by the efficacy of the particular vehicle/delivery method employed, the site of administration, the route of administration, and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as well as the body weight or surface area of the subject being treated. The size of the dose will also be determined by the presence, sex, and extent of any adverse side effects that accompany administration of a particular peptide in a particular subject.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당해분야의 숙련가에게 잘 알려진 표준 방법에 따라 전신으로(예를 들면, 경구로, 또는 주사제로서) 투여될 수 있다. 펩타이드는 로젠지, 에어로졸 스프레이, 구강청결제, 코팅된 면봉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강에 투여될 수 있다. 다양한 구강, 및 설하 제형 역시 고려될 수 있다.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일정 기간에 걸쳐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주사제로서 제형화될 때 데포(depot)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administered systemically (eg, orally, or as an injection) according to standard method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eptides may be administered to the oral cavity in various forms, such as lozenges, aerosol sprays, mouthwashes, coated swabs, and the like. A variety of buccal, and sublingual formulations are also contemplated.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administered as a depot formulation when formulated as an injectable to provide treatment over a period of tim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예를 들면, 피부 표면에, 국소 병변 또는 창상에, 수술 부위 등에 국소로 투여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administered topically, for example, to the skin surface, to a local lesion or wound, to a surgical site, or the lik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종래의 경피 약물 전달 시스템, 즉, 경피 "패치"를 이용하여 피부를 통해 전달될 수 있고,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전형적으로 피부에 부착될 약물 전달 장치로서 제공되는 적층된 구조 내에 함유될 수 있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delivered through the skin using a conventional transdermal drug delivery system, i.e., a transdermal "patch", and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re typically for drug delivery that will adhere to the skin. It may be contained within a layered structure provided as a device.

국소 전달을 위한 다른 제형은, 비제한적으로, 연고, 겔, 스프레이, 유체, 및 크림을 포함한다. 연고는 전형적으로 바셀린 또는 다른 석유 유도체에 기초한 반고형 조제물일 수 있다. 다른 담체 또는 비히클과 마찬가지로, 연고 기제는 불활성이고, 안정하고, 무자극이고 비감작이어야 한다. 선택된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을 함유하는 크림은 전형적으로 점성 액체 또는 반고체 에멀젼, 종종 수중유 또는 유중수일 수 있다. 크림 기제는 전형적으로 수세척성이고, 오일상, 유화제 및 수성상을 함유한다. 사용될 특정 연고 또는 크림 기제는, 당해분야의 숙련가에게 의해 인정될 바와 같이, 최적의 약물 전달을 위해 제공될 기제이다. Other formulations for topical deliver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ointments, gels, sprays, fluids, and creams. Ointments may be semi-solid preparations, typically based on petrolatum or other petroleum derivatives. As with other carriers or vehicles, the ointment base must be inert, stable, non-irritating and non-sensitizing. Creams containing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selected Table 1 may typically be viscous liquid or semi-solid emulsions, often oil-in-water or water-in-oil. Cream bases are typically water washable and contain an oil phase, an emulsifier and an aqueous phase. The particular ointment or cream base to be used is one that will provide for optimal drug delivery, as will be apprecia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희석을 위해 준비된 저장 용기(예를 들면, 미리측정된 부피로), 또는 다량의 물, 알코올, 과산화수소, 또는 다른 희석제에의 첨가를 위해 준비된 가용성 캡슐 내에, "농축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펩타이드는 추후 재구성을 위해 동결건조될 수 있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re in a storage container ready for dilution (e.g., in a pre-measured volume), or in a soluble capsule ready for addition to a large amount of water, alcohol, hydrogen peroxide, or other diluent, " as a "concentrate". For example, the peptide can be lyophilized for later reconstitution.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다양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많은 적용에서 용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피하 지방은 피부에 풍만함과 견고함을 제공하므로, 피하 지방의 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은 성형수술 절차에서 용도를 갖는다. 노화하는 피부는 적은 피하 지방을 함유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기재된 하나 이상의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을 원하는 부위에 투여하여 피하 지방 형성을 촉진하는 것은 더 풍만하고 더 어려보이는 피부를 야기할 수 있다. 이 접근법은 종종 낮은 성공률을 나타내는 과정인, 신체의 다른 부위(예를 들면, 허벅지 또는 엉덩이)로부터 지방세포를 이식하는 현재의 방법을 대체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have various uses.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find use in many applications. For example, since subcutaneous fat provides fullness and firmness to the skin, enhancing the formation of subcutaneous fat has use in cosmetic surgery procedures. Aging skin contains less subcutaneous fat. Therefore, administration of one or more of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described in the present disclosure to a desired site to promote subcutaneous fat formation can result in fuller and younger looking skin. This approach can replace current methods of transplanting fat cells from other parts of the body (eg, thighs or buttocks), a process often with low success rates.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피하 지방 조직을 선택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예를 들면, 내장 지방 및/또는 다른 지방 조직을 실질적으로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피하 지방 조직을 향상시키기 위해) 투여될 수 있다.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의 투여에 반응하여, 지방세포 형성이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일어나고, 대상에서 선택된 피하 부위 안에서 부피가 추가될 수 있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administered to selectively enhanc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e.g., to enhanc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without substantially increasing visceral fat and/or other adipose tissue). . In response to administration of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dipocyte formation occurs in dermal fibroblasts, and volume can be added within a selected subcutaneous site in a subject.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흉터를 줄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을 흉터 부위를 줄이고/거나 흉터 부위의 외관을 개선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흉터는, 예를 들면, 화상에 의해 생성된 흉터, 수술에 의해 생성된 흉터, 여드름에 의해 생성된 흉터, 생검에 의해 생성된 흉터, 또는 부상으로 생긴 흉터일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used to reduce scarring. This can be achieved by administering one or more of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in an amount sufficient to reduce the scar area and/or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scar area. A scar may be, for example, a scar produced by a burn, a scar produced by surgery, a scar produced by acne, a scar produced by a biopsy, or a scar produced by an injury.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예를 들면,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기 위해, 다양한 화장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대상의 부위에 피부의 외관을 개선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투여는 입술, 눈꺼풀, 뺨, 이마, 턱, 목 등과 같은 영역에의 피하 투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주름을 줄이고, 처지는 피부를 줄이고, 피부의 표면 질감을 개선하고, 주름을 줄이거나, 제거하거나, 메우고, 노인 반점을 제거하거나 줄이고, 및/또는 눈 아래의 다크써클을 제거하는 이들 방법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이들 화장 적용은 예시적이며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used in various cosmetic procedures, for example,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skin. This may be accomplished by administering one or more peptides to the site of the subject in an amount sufficient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skin. Such administration may include subcutaneous administration to areas such as the lips, eyelids, cheeks, forehead, chin, neck, and the like. The peptides are used in these methods to reduce wrinkles, reduce sagging skin, improve the surface texture of the skin, reduce, remove or fill in wrinkles, remove or reduce age spots, and/or remove dark circles under the eyes etc. can be used. These cosmetic applications are exemplary and not intended to be limiting.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대상의 부위에서 조직 부피를 개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대상의 부위에서 조직 부피를 증가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조직 부피의 증가는 유방 조직을 견고하게 하거나 증대시키는 것 및/또는 엉덩이 조직 또는 신체 또는 얼굴의 다른 부위를 견고하게 하거나 증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used to improve tissue volume at the site of a subject. This may be accomplished by administering one or more of the peptides described herein in an amount sufficient to increase tissue volume at the site of the subject. For example, increasing tissue volume may include firming or augmenting breast tissue and/or firming or augmenting hip tissue or other parts of the body or face.

이 때 사용되는 FGF2는 0.01 내지 10ppm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10 ppm 이상에서는 과다한 양으로 이상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부작용의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실제적 사용범위는 0.01~10 ppm이며, 바람직하게는 0.01~2 ppm 일 수 있다.In this case, FGF2 used may be used in an amount of 0.01 to 10 ppm. Above 10 ppm, there is a possibility of side effects that may induce adverse reactions in excessive amounts. Therefore, the practical use range is 0.01 to 10 ppm, preferably 0.01 to 2 ppm.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또한 대상의 부위 내의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본원에 기재된 하나 이상의 펩타이드를 원하는 부위에서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드럽게 하는 것은 여드름에 의해 흉터난 피부를 부드럽게 하는 것, 셀룰라이트의 부위를 부드럽게 하는 것, 임신선을 부드럽게 하거나 줄이는 것, 및/또는 주름을 펴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also be used to soften the skin in the area of a subject. This may be accomplished by administering one or more of the peptides described herein in an amount sufficient to soften the skin at the desired site. The smoothing may include smoothing skin scarred by acne, smoothing out areas of cellulite, smoothing or reducing stretch marks, and/or smoothing wrinkles.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대상에서 줄기세포를 피하 지방의 형성으로 동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것은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을 줄기세포를 피하 지방의 형성으로 동원하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면, 다양한 재건 수술 과정 등에서 유용성을 갖는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used to recruit stem cells to the formation of subcutaneous fat in a subject. This can be achieved by administering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in an amount sufficient to recruit stem cells to the formation of subcutaneous fat. This has utility, for example, in various reconstructive surgical procedures and the lik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대상에서 조직을 재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재건은, 예를 들면, 유방재건(예를 들면 종양을 제거하는 수술 후), 또는 얼굴 또는 팔다리 재건(예를 들면 자동차 사고 또는 화상 후)을 포함할 수 있다. 이것은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을 조직 재건 과정 동안 또는 이후에 조직의 부피를 증가시키는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조직 이식 물질 또는 피부 또는 부상된 조직의 치유를 향상시키는 다른 절차와 함께 임의로 사용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used to reconstruct tissue in a subject. Such reconstruction may include, for example, breast reconstruction (eg, after surgery to remove a tumor), or face or limb reconstruction (eg, after an automobile accident or burn). This can be achieved by administering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in an amount that increases the volume of the tissue during or after the tissue reconstruction process.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optionall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issue graft materials or other procedures that enhance the healing of skin or injured tissu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걸을 때 상기 대상에 의해 경험되는 뒷꿈치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충분한 양으로 투여함으로써 대상에서 뒷꿈치 통증을 감소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can be used to reduce heel pain in a subject by administering in an amount sufficient to reduce heel pain experienced by the subject when walking.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체온조절을 증가시키고/거나 면역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피하 지방의 확대를 위해 투여될 수 있다. 대상은 질환을 예방하거나, 비제한적으로 심혈관 질환을 포함하는 증가된 장기 지방과 연관된 진행중인 질환, 및 다른 비만 연관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로 처리될 수 있다.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administered for augmentation of subcutaneous fat to increase thermoregulation and/or improve immune function. Subjects can be treated with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to prevent disease or to treat ongoing disease associated with increased organ fat,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cardiovascular disease, and other obesity associated diseases.

이들 방법 중 어느 것에서의 투여는 국소 또는 전신일 수 있고,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경로, 예컨대 국소, 피하, 경피, 경구, 코, 질, 및/또는 직장 투여에 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피하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얼굴 크림과 같은 피부 크림의 형태로 국소 투여되거나, 또는 경피 패치를 통해 경피로 투여될 수 있다. Administration in any of these methods may be topical or systemic, and may be by any route described herein, such as topical, subcutaneous, transdermal, oral, nasal, vaginal, and/or rectal administration. Preferably,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may be administered by subcutaneous injection. Alternatively,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bove may be administered topically in the form of a skin cream such as a face cream, or may be administered transdermally through a transdermal patch.

상기 용도 및 방법이 인간에서의 용도와 관련하여 기재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또한 동물, 예를 들면, 수의적 용도에 적합하다. 따라서 어떤 바람직한 유기체는, 비제한적으로 인간, 비-인간 영장류, 개과, 말, 고양이, 돼지, 유제류, 토끼류 등을 포함한다.Although the above uses and methods are described with respect to use in humans, they are also suitable for use in animals, eg, veterinary use. Accordingly, certain preferred organisms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humans, non-human primates, canines, horses, cats, pigs, ungulates, rabbits, and the like.

배지 badge

표 1에 개시되어 있는 다양한 변이체들은 적어도 5번의 계대 배양 동안에 미-분화된 상태로 만능성 줄기 세포를 유지시키는데 필요한 양에 해당하는 '배지학적 유효량'으로 포함되어 인간 만능성 줄기 세포 배지로 제공될 수 있다. The various variants disclosed in Table 1 are included in a 'medially effective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mount necessary to maintain the pluripotent stem cells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for at least 5 passages to be provided as a human pluripotent stem cell medium. can

인간 배아 줄기 세포 및 유도된 만능성 줄기 세포 둘 다를 포함하는, 본 개시에서, 용어 '인간 만능성 줄기 세포'는, 동일한 자신의 후대와 인간 신체의 실제 모든 세포 타입을 생성할 수 있게 하는 만능성을 형성하는 능력 - 자가-재생력 (self-renewal capacity) - 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ing both human embryonic stem cells and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the term 'human pluripotent stem cells' refers to pluripotent stem cells that are capable of generating virtually all cell types in the human body with the same progeny.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ility to form - self-renewal capacity.

본 개시에서, 용어 '줄기 세포를 만능성 상태로 유지시킨다'는 것은 실제 모든 세포 타입으로 분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미-분화된 상태로 세포를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만능성 상태는 FGF2가 가장 중요한 성장인자인 성장인자들의 줄기성(stemness)-지지 칵테일에 의존한다. FGF2는 여러가지 방식으로 자가-재생을 지원한다: 미토겐-활성화된 단백질 키나제 경로를 직접 활성화하고, 형질전환 성장인자 β1 및 액티빈 신호전달을 간접적으로 촉매한다 (Greber, et al. 2008, Stem Cells25, 455-464). FGF2는, 세포 부착 및 생존 기능을 통해, 인간 PSC의 만능성에 복합적으로 기여한다 (Eisellova, et al. 2009, Stem Cells 27, 1847-1857).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term 'maintaining stem cells in a pluripotent state' means maintaining the cells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having the ability to differentiate into virtually any cell type. This pluripotent state depends on a stemness-supporting cocktail of growth factors, with FGF2 being the most important growth factor. FGF2 supports self-renewal in several ways: directly activating the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pathway and indirectly catalyzing transforming growth factor β1 and activin signaling (Greber, et al. 2008, Stem Cells25). , 455-464). FGF2, through cell adhesion and survival functions, contributes to the pluripotency of human PSCs complexly (Eisellova, et al. 2009, Stem Cells 27, 1847-1857).

본 개시는 조작된 대상 FGF2의 특징 규명, 단백질에서의 치환 효과 입증, 인간 PSC 배양에서 단백질의 이용 방법, 및 인간 PSC를 미분화된 상태로 배양하는데 적합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내열성 FGF2 단백질을 포함하는 배지를 제공한다. 본원에 제공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인간 배아 줄기 세포 (ESC)는 의사에 의한 사전동의 하에 수득된 배반포기 배아로부터 유래되었다. 29-41회 계대의 특징이 잘 규명된 인간 ESC 세포주 (Adewumi, et al. 2007, Nat Biotechnol 25, 803-816) CCTL14 (Centre of Cell Therapy Line)를 사용하였다. 인간 유도된 만능성 줄기 세포 (iPSC)에서와 같이, 야마나카의 칵테일 (Yamanaka's cocktail) 및 센다이 바이러스 형질감염 (Sendai virus transfection)에 의한 피부 섬유모세포의 리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유래된 AM13 세포주는 34-41회 계대 상태를 사용하였다 (Kruta et al. 2014, Stem Cells and Development 23, 2443-2454).The present disclosure provides a method for characterizing an engineered subject FGF2, demonstrating the effect of substitution in a protein, methods of using the protein in human PSC culture, and comprising one or more thermostable FGF2 proteins described herein suitable for culturing human PSCs in an undifferentiated state. provide badges. The human embryonic stem cells (ESCs) used in the examples provided herein were derived from blastocyst embryos obtained with the informed consent of the physician. A well-characterized human ESC cell line (Adewumi, et al. 2007, Nat Biotechnol 25, 803-816) CCTL14 (Center of Cell Therapy Line) was used for passages 29-41. As in human induced pluripotent stem cells (iPSCs), the AM13 cell line, derived using Yamanaka's cocktail and reprogramming of dermal fibroblasts by Sendai virus transfection, was used as the 34-41 cell line. Accounting status was used (Kruta et al. 2014, Stem Cells and Development 23, 2443-2454).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험예들을 제시하나, 하기 실험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ereinafter, preferred experimental examples are presented to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실험예 1: pQE80 벡터를 이용한 돌연변이체들의 구축, 정제 및 열적 안정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1: Construction, purification and thermal stability analysis of mutants using the pQE80 vector

FGF2의 1개 위치의 돌연변이(S137P)와 2개 위치의 돌연변이(D28E, S137P)를 합성하고, His-Tag를 가진 pQE80L 벡터에 서브클로닝하였다. FGF2가 삽입된 재조합 벡터를 Rosetta(DE3)pLysS 세포에 형질전환하여 발현하였다. Mutations at one position (S137P) and two positions (D28E, S137P) of FGF2 were synthesized and subcloned into pQE80L vector with His-Tag. The recombinant vector into which FGF2 was inserted was transformed into Rosetta(DE3)pLysS cells and expressed.

10ml LB media(Ambrothia) (0.25g 사용)에 접종하고 암피실린(Ampicillin, 50mg/ml)을 10ul을 첨가 후 37℃에 전 배양하였다. 10ml LB media (Ambrothia) (0.25g used) was inoculated and 10ul of ampicillin (Ampicillin, 50mg/ml) was added and then pre-cultured at 37°C.

전배양액 10ml과 암피실린(Ampicillin, 50mg/ml) 1ml을 1L LB media(ambrothia)(25g 사용)에 접종하여 37℃에서 본 배양하였다. OD600의 수치가 0.6일 때 4℃냉장고에서 배양액을 10분간 냉각시켜준 후 베타-디-1-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 (β-D-l-thiogalactopyranoside; IPTG) 0.5mM을 첨가하여 20℃에서 20시간 발현을 유도한 대장균 세포를 얻었다.10ml of the pre-culture solution and 1ml of ampicillin (Ampicillin, 50mg/ml) were inoculated into 1L LB media (ambrothia) (25g used) and cultured at 37°C. When the value of OD600 is 0.6, the culture medium is cooled in a refrigerator at 4°C for 10 minutes, and then 0.5 mM of beta-di-1-thiogalactopyranoside (β-D-1-thiogalactopyranoside; IPTG) is added at 20°C for 20 hours. E. coli cells induced for expression were obtained.

발현된 pQE80_FGF2는 용해완충용액(20mM Tris pH 8.0, 200mM NaCl, 3mM DTT)에 녹여서 초음파 처리 후 13000 r.p.m에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한 다음 정제하였다. The expressed pQE80_FGF2 was dissolved in a lysis buffer solution (20mM Tris pH 8.0, 200mM NaCl, 3mM DTT), sonicated, and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30 minutes, followed by purification.

원심분리 후, 최적으로 용해된 상층액은 Heparin 비즈가 있는 컬럼에 주입하였다. 컬럼에 주입된 pQE80_FGF2 단백질 부피의 3배 되는 첫 번째 세척(wash) 완충용액(20mM Tris pH 8.0, 200mM NaCl, 3mM DTT)과 두 번째 세척(wash) 완충용액 (20mM Tris pH 8.0, 500mM NaCl, 3mM DTT)으로 씻고, 60ml 용리완충용액(elution buffer), 20mM Tris pH 8.0, 1800mM NaCl, 3mM DTT)으로 용리하여 1차 정제하였다. After centrifugation, the optimally dissolved supernatant was injected into a column with Heparin beads. The first wash buffer (20 mM Tris pH 8.0, 200 mM NaCl, 3 mM DTT) and the second wash buffer (20 mM Tris pH 8.0, 500 mM NaCl, 3 mM) equal to three times the volume of pQE80_FGF2 protein injected into the column. DTT), and eluted with 60ml elution buffer, 20mM Tris pH 8.0, 1800mM NaCl, 3mM DTT) for primary purification.

마지막으로 pQE80_FGF2 단백질 분획은 HiLoadTM 16/60 Superdex 75(Amersham Biosciences) 컬럼과 1X PBS 버퍼(137mM NaCl, 2.7mM KCl, 10mM Na2HPO4, 2mM KH2PO4, pH 7.4), (WELGENE)를 이용한 젤 여과 방법에 의해 정제되었다.Finally, the pQE80_FGF2 protein fraction was purified by gel filtration using a HiLoad™ 16/60 Superdex 75 (Amersham Biosciences) column and 1X PBS buffer (137 mM NaCl, 2.7 mM KCl, 10 mM Na2HPO4, 2 mM KH2PO4, pH 7.4), (WELGENE). became

정제된 FGF2 단백질 들은 1X PBS 버퍼를 기본 사용하여 0.5mg/ml 농도로 37℃에서 0, 2, 4, 6일 동안 반응하였으며 코마쉬 블루 염색시약으로 염색하여 15% SDS-PAGE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도 2에 그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Purified FGF2 proteins were reacted for 0, 2, 4, and 6 days at 37°C at a concentration of 0.5 mg/ml using 1X PBS buffer. . The result is illustrated in FIG. 2 .

도 2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5% SDS-PAGE를 통해 확인된 FGF2 폴리펩타이드 밴드들로부터 두 변이 폴리펩타이드 (pQE80_hFGF2(S137P), pQE80_hFGF2 (D28E, S137P)) 모두 변이되지 않은 hFGF2 (야생형) 폴리펩타이드 보다 SDS-PAGE상 안정성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ure 2, both mutated polypeptides (pQE80_hFGF2 (S137P), pQE80_hFGF2 (D28E, S137P)) from the FGF2 polypeptide bands identified through 15% SDS-PAGE) hFGF2 (wild-type) poly It can be seen that the stability on SDS-PAGE was improved than that of the peptide.

실험예 2: pET17b 벡터를 이용한 돌연변이체들의 구축, 정제 및 열적 안정성 분석Experimental Example 2: Construction, purification and thermal stability analysis of mutants using the pET17b vector

FGF2의 1개 위치의 돌연변이(S137P), 2개 위치의 돌연변이(D28E, S137P), 4개 위치의 돌연변이((D28E, C78L, C96I, S137P), (D28E, C78L, C96W, S137P), (D28E, C78I, C96I, S137P), (D28E, C78I, C96W, S137P))를 합성하고, His를 가진 pET17b 벡터에 서브클로닝하였다. FGF2가 삽입된 재조합 벡터를 Rosetta(DE3)pLysS 세포에 형질전환하여 발현하였다. Mutation at position 1 (S137P), mutation at position 2 (D28E, S137P), mutation at position 4 ((D28E, C78L, C96I, S137P), (D28E, C78L, C96W, S137P), (D28E) , C78I, C96I, S137P), (D28E, C78I, C96W, S137P)) were synthesized and subcloned into pET17b vector with His. The recombinant vector into which FGF2 was inserted was transformed into Rosetta(DE3)pLysS cells and expressed.

10ml LB media(Ambrothia) (0.25g 사용)에 접종하고 암피실린(Ampicillin, 50mg/ml)을 10ul을 첨가 후 37℃에 전 배양하였다. 10ml LB media (Ambrothia) (0.25g used) was inoculated and 10ul of ampicillin (Ampicillin, 50mg/ml) was added and then pre-cultured at 37°C.

전배양액 10ml과 암피실린(Ampicillin, 50mg/ml) 1ml을 1L LB media(ambrothia)(25g 사용)에 접종하여 37℃에서 본 배양하였다. OD600의 수치가 0.6일 때 4℃냉장고에서 배양액을 10분간 냉각시켜준 후 베타-디-1-티오갈락토피라노사이드 (β-D-l― thiogalactopyranoside; IPTG) 0.5mM을 첨가하여 20℃에서 20시간 발현을 유도한 대장균 세포를 얻었다.10ml of the pre-culture solution and 1ml of ampicillin (Ampicillin, 50mg/ml) were inoculated into 1L LB media (ambrothia) (25g used) and cultured at 37°C. When the value of OD600 is 0.6, the culture medium is cooled in a refrigerator at 4°C for 10 minutes, and then 0.5 mM of beta-di-1-thiogalactopyranoside (β-D-1-thiogalactopyranoside; IPTG) is added at 20°C for 20 hours. E. coli cells induced for expression were obtained.

발현된 pET17b_FGF2는 용해완충용액(20mM Tris pH 8.0, 200mM NaCl, 3mM DTT)에 녹여서 초음파 처리 후 13000 r.p.m에 30분 동안 원심분리를 수행한 다음 정제하였다. The expressed pET17b_FGF2 was dissolved in a lysis buffer solution (20 mM Tris pH 8.0, 200 mM NaCl, 3 mM DTT), sonicated, centrifuged at 13000 r.p.m for 30 minutes, and then purified.

원심분리 후, 최적으로 용해된 상층액은 Heparin 비즈가 있는 컬럼에 주입하였다. 컬럼에 주입된 pET17b_FGF2 단백질 부피의 3배 되는 첫 번째 세척(wash) 완충용액(20mM Tris pH 8.0, 200mM NaCl, 3mM DTT)과 두 번째 세척(wash) 완충용액 (20mM Tris pH 8.0, 500mM NaCl, 3mM DTT)으로 씻고, 60ml 용리완충용액(elution buffer), 20mM Tris pH 8.0, 1800mM NaCl, 3mM DTT)으로 용리하여 1차 정제하였다. After centrifugation, the optimally dissolved supernatant was injected into a column with Heparin beads. The first wash buffer (20 mM Tris pH 8.0, 200 mM NaCl, 3 mM DTT) and the second wash buffer (20 mM Tris pH 8.0, 500 mM NaCl, 3 mM) equal to three times the volume of pET17b_FGF2 protein injected into the column. DTT), and eluted with 60ml elution buffer, 20mM Tris pH 8.0, 1800mM NaCl, 3mM DTT) for primary purification.

4개 위치 돌연 변이체들은 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서 완충용액과 용리완충용액 모두에서 3mM DTT를 포함하지 않도록 제조한 용액을 사용하여 정제하였다. The 4-position mutants were purified by affinity chromatography using a solution prepared not to contain 3 mM DTT in both buffer and elution buffer.

마지막으로 pET17b_FGF2 단백질 분획은 HiLoadTM 16/60 Superdex 75(Amersham Biosciences) 컬럼과 1X PBS 버퍼(137mM NaCl, 2.7mM KCl, 10mM Na2HPO4, 2mM KH2PO4, pH 7.4), (WELGENE)를 이용한 젤 여과 방법에 의해 정제되었다.Finally, the pET17b_FGF2 protein fraction was purified by gel filtration using a HiLoad™ 16/60 Superdex 75 (Amersham Biosciences) column and 1X PBS buffer (137 mM NaCl, 2.7 mM KCl, 10 mM Na2HPO4, 2 mM KH2PO4, pH 7.4), (WELGENE). became

37℃안정성 실험37℃ stability test

정제된 FGF2 단백질 들은 1X PBS 버퍼를 기본 사용하여 0.5mg/ml 농도로 37℃에서 0, 3, 6, 9일 동안 반응하였으며 코마쉬 블루 염색시약으로 염색하여 15% SDS-PAGE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도 3에 그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Purified FGF2 proteins were reacted for 0, 3, 6, and 9 days at 37°C at a concentration of 0.5 mg/ml using 1X PBS buffer. . The result is illustrated in FIG. 3 .

도 3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5% SDS-PAGE를 통해 확인된 FGF2 폴리펩타이드 밴드들로부터 변이체들의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3 , it can be seen that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variants was improved from the FGF2 polypeptide bands identified through 15% SDS-PAGE.

밀도 측정은 imageJ 프로그램(Wanyne Rasband)을 사용하여 SDS-PAGE 젤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아래 표 2에 기재되어 있다. For density measurement, the density of the SDS-PAGE gel was measured using the imageJ program (Wanyne Rasb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변이체variant 0일0 days 3일3 days 6일6 days 9일9 days △9N_hFGF29N_hFGF2 100100 8484 6969 6565 △9N_hFGF2(D28E, S137P)△9N_hFGF2 (D28E, S137P) 100100 100100 6565 1717 △9N_hFGF2(D28E, C78L, C96I, S137P)△9N_hFGF2 (D28E, C78L, C96I, S137P) 100100 8686 102102 8989 △9N_hFGF2(D28E, C78I, C96I, S137P)△9N_hFGF2 (D28E, C78I, C96I, S137P) 100100 9898 102102 103103 △9N_hFGF2(D28E, C78L, C96W, S137P)△9N_hFGF2 (D28E, C78L, C96W, S137P) 100100 9999 9696 9494 △9N_hFGF2(D28E, C78I, C96W, S137P)△9N_hFGF2 (D28E, C78I, C96W, S137P) 100100 112112 9292 6565

단위 %표 2의 결과로부터 4개 위치의 변이체들이 야생형 hFGF2 보다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9N-hFGF2(D28E, C78L, C96I, S137P), △9N-hFGF2(D28E, C78L, C96W, S137P), △9N-hFGF2(D28E, C78I, C96I, S137P)의 경우에 다른 변이체들 대비 열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It can be seen from the results in Table 2 of the unit % that the mutants at the four positions have improved thermal stability than wild-type hFGF2.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Δ9N-hFGF2 (D28E, C78L, C96I, S137P), Δ9N-hFGF2 (D28E, C78L, C96W, S137P), Δ9N-hFGF2 (D28E, C78I, C96I, S137P) compared to other variants It can be seen that the thermal stability is relatively better.

45℃ 안정성 실험45℃ Stability Test

정제된 FGF2 단백질 들은 1X PBS 버퍼를 기본 사용하여 0.5mg/ml 농도로 45℃에서 0, 1, 2, 3, 4, 5, 6일 동안 반응하였으며 코마쉬 블루 염색시약으로 염색하여 15% SDS-PAGE 전기영동을 실시하였다. 도 4에 그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Purified FGF2 proteins were reacted for 0, 1, 2, 3, 4, 5, and 6 days at 45°C at a concentration of 0.5 mg/ml using 1X PBS buffer as a basis. PAGE electrophoresis was performed. The result is illustrated in FIG. 4 .

도 4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15% SDS-PAGE를 통해 확인된 FGF2 폴리펩타이드 밴드들로부터 변이체들의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4 , it can be seen that the thermal stability of the variants was improved from the FGF2 polypeptide bands identified through 15% SDS-PAGE.

밀도 측정은 imageJ 프로그램(Wanyne Rasband)을 사용하여 SDS-PAGE 젤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아래 표 3에 기재되어 있다. For density measurement, the density of the SDS-PAGE gel was measured using the imageJ program (Wanyne Rasb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0일0 days 1일1 day 2일2 days 3일3 days 4일4 days 5일5 days 6일6 days 7일7 days △9N_hFGF29N_hFGF2 100100 00 00 00 00 00 00 00 △9N_hFGF2(D28E, S137P)△9N_hFGF2 (D28E, S137P) 100100 7373 5454 3737 1717 99 33 22 △9N_hFGF2(D28E, C78L, C96I, S137P)△9N_hFGF2 (D28E, C78L, C96I, S137P) 100100 9393 6262 4141 3838 1616 2222 1515 △9N_hFGF2(D28E, C78L, C96W, S137P)△9N_hFGF2 (D28E, C78L, C96W, S137P) 100100 7676 2020 55 00 00 00 00 △9N_hFGF2(D28E, C78I, C96I, S137P)△9N_hFGF2 (D28E, C78I, C96I, S137P) 100100 8484 7272 5454 4949 3838 3535 3131 △9N_hFGF2(D28E, C78I, C96W, S137P)△9N_hFGF2 (D28E, C78I, C96W, S137P) 100100 5858 2121 1515 00 00 00 00

표 3의 결과로부터 모든 변이체들이 야생형 hFGF2 보다 열적 안정성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9N-hFGF2(D28E, C78L, C96I, S137P), △9N-hFGF2(D28E, C78I, C96I, S137P)의 경우에 다른 변이체들 대비 열적 안정성이 상대적으로 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From the results of Table 3, it can be seen that all mutants have improved thermal stability than wild-type hFGF2. In particular, it can be seen that Δ9N-hFGF2 (D28E, C78L, C96I, S137P) and Δ9N-hFGF2 (D28E, C78I, C96I, S137P) have relatively better thermal stability compared to other variants.

실험예 3: pQE80 벡터를 이용한 돌연변이체들의 세포증식능 확인Experimental Example 3: Confirmation of cell proliferative ability of mutants using pQE80 vector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돌연변이체들에 대해서 BALB3T3 세포를 사용하였고, 10%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배양 및 유지하였다. FGF2에 의한 세포증식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세포는 인슐린(insulin) 10 ug/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 uM, 트랜스페린(transferrin) 10 ug/ml, 아셀렌산나트륨(sodium selenite) 10 ng/ml, 오브알부민(ovalbumin) 100 ug/ml, 피브로넥틴(fibronectin) 5 ug/ml을 포함하는 F12/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For the mutant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1, BALB3T3 cells were used, and cultured and maintain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bovine serum. In order to confirm the cell proliferation activity by FGF2, the cells were insulin 10 ug/ml, dexamethasone 1 uM, transferrin 10 ug/ml, sodium selenite 10 ng/ml, It was cultured in F12/DMEM medium containing 100 ug/ml of ovalbumin and 5 ug/ml of fibronectin.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수 0.5 x 104 /well 로 배양하였고, 헤파린(heparin) (10 ug/ml) 과 함께 FGF2 (0.3 ng/ml)로 42시간 처리하였다. 세포수 증가는 WST-8 [2-(2-methoxy-4-nitr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를 사용하여, 전자 매개체(electron mediator)와 세포내 탈수소효소(dehydrogenases)에 의해 형성되는 WST-8 포르마잔(formazan) 생성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WST-8 포르마잔 생성 정도는 흡광도 (450 nm)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실험은 3번 반복하였고, '평균 ± 표준편차'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FGF2 단백질들은 37℃에서 0, 2, 4, 6일 동안 각각 보관한 후, 세포증식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Cells were cultured in a 96-well plate at 0.5 x 10 4 /well, and treated with FGF2 (0.3 ng/ml) together with heparin (10 ug/ml) for 42 hours. Cell number increase was performed using WST-8 [2-(2-methoxy-4-nitr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 I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production level of WST-8 formazan formed by an electron mediator and intracellular dehydrogenases. The degree of WST-8 formazan produc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absorbance (450 nm). The experiment was repeated 3 times, and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FGF2 proteins were stored at 37°C for 0, 2, 4, and 6 days, respectively, and cell proliferation activity changes were confirmed.

그 결과가 도 5에 예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hFGF2는 37℃ 보관 후 2일 조건에서 활성 감소가 관찰되었고, 37℃ 보관 4일 이후로는 37℃ 보관 0일 단백질의 60% 수준의 활성만이 관찰되었다. 반면, hFGF2 S137P 변이체는 37℃ 보관 2일 조건에서 hFGF2 보다 더 낮아진 활성이 관찰되었고, 37℃ 보관 4일 조건에서는 37℃ 보관 0일 단백질의 60% 수준의 활성만이 관찰되었다. 반면, hFGF2 D28E+S137P 변이체는 37℃ 보관 날짜가 길어질수록 활성 감소가 나타나기는 하나, hFGF2와 hFGF2 S137P 변이체보다는 활성 감소가 훨씬 적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 The results are illustrated in FIG. 5 . Referring to FIG. 5 , a decrease in activity of hFGF2 was observed under the condition of 2 days after storage at 37°C, and only 60% of the activity of the protein was observed on day 0 of storage at 37°C after 4 days of storage at 37°C. On the other hand, the hFGF2 S137P mutant was observed to have lower activity than hFGF2 under the condition of storage for 2 days at 37°C, and only 60% of the activity of the protein at 37°C for storage on day 0 was observed under the condition of storage for 4 days at 37°C.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that the hFGF2 D28E+S137P mutant shows a decrease in activity as the storage date at 37° C. is longer, but shows a much less decrease in activity than the hFGF2 and hFGF2 S137P mutants.

실험예 4: pET17b 벡터를 이용한 돌연변이체들의 세포증식능 확인Experimental Example 4: Confirmation of cell proliferative ability of mutants using pET17b vector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돌연변이체들에 대해서 BALB3T3 세포를 사용하였고, 10% bovine serum을 포함한 DMEM 배지에서 배양 및 유지하였다. FGF2에 의한 세포증식활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세포는 인슐린(insulin) 10 ug/ml, 덱사메타손(dexamethasone) 1 uM, 트랜스페린(transferrin) 10 ug/ml, 아셀렌산나트륨(sodium selenite) 10 ng/ml, 오브알부민(ovalbumin) 100 ug/ml, 피브로넥틴(fibronectin) 5 ug/ml 을 포함하는 F12/DMEM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For the mutant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BALB3T3 cells were used, and cultured and maintained in DMEM medium containing 10% bovine serum. In order to confirm the cell proliferation activity by FGF2, the cells were insulin 10 ug/ml, dexamethasone 1 uM, transferrin 10 ug/ml, sodium selenite 10 ng/ml, It was cultured in F12/DMEM medium containing 100 ug/ml of ovalbumin and 5 ug/ml of fibronectin.

96 웰 플레이트에 세포수 0.5 x 104 /well 로 배양하였고, 헤파린(heparin) (10 ug/ml) 과 함께 FGF2 (0.3 ng/ml)로 42시간 처리하였다. 세포수 증가는 WST-8 [2-(2-methoxy-4-nitr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를 사용하여, 전자 매개체(electron mediator)와 세포내 탈수소효소(dehydrogenases)에 의해 형성되는 WST-8 포르마잔(formazan) 생성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확인하였다. WST-8 포르마잔 생성 정도는 흡광도 (450 nm)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실험은 3번 반복하였고, '평균 ± 표준편차' 방식으로 표현하였다. FGF2 단백질들은 37℃에서 0, 3, 6, 9, 12일 동안 각각 보관한 후, 세포증식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Cells were cultured in a 96-well plate at 0.5 x 10 4 /well, and treated with FGF2 (0.3 ng/ml) together with heparin (10 ug/ml) for 42 hours. Cell number increase was performed using WST-8 [2-(2-methoxy-4-nitrophenyl)-3-(4-nitrophenyl)-5-(2,4-disulfophenyl)-2H-tetrazolium, monosodium salt], It was confirmed by measuring the production level of WST-8 formazan formed by an electron mediator and intracellular dehydrogenases. The degree of WST-8 formazan production can be confirmed through absorbance (450 nm). The experiment was repeated 3 times, and express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FGF2 proteins were stored at 37°C for 0, 3, 6, 9, and 12 days, respectively, and cell proliferation activity changes were confirmed.

그 결과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9_hFGF2 (야생형)은 37℃ 보관 3일 조건에서 활성이 감소되어 있었고, 37℃ 보관 6일 이후로는 활성을 거의 잃어버리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9_hFGF2 D28E+S137P 변이체는 야생형 단백질 보다 오래 활성을 가지는 결과를 보였으며, 37℃ 9일 보관 후로는 활성이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들과 다르게, △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변이단백질과 △9_hFGF2 D28E + C78I + C96I + S137P 변이체는 37℃ 12일 보관 조건까지도 활성에 감소가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들에 따른 변이체들이 37℃에서는 단백질의 활성이 안정적으로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results are illustrated in FIG. 6 . Referring to FIG. 6 , it was confirmed that Δ9_hFGF2 (wild type) had reduced activity under the condition of storage at 37°C for 3 days, and almost lost activity after 6 days of storage at 37°C. Δ9_hFGF2 D28E+S137P mutant showed a longer activity than the wild-type protein, and showed a decrease in activity after 9 days of storage at 37°C. Unlike these, Δ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mutant and Δ9_hFGF2 D28E + C78I + C96I + S137P mutant showed no decrease in activity even under the storage condition of 37°C for 12 days.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tein activity was stably maintained at 37° C. in the variants according to the Examples.

FGF2 단백질들은 45℃에서 0, 1, 2, 3, 4, 5, 6, 7일동안 각각 보관한 후, 세포증식활성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가 도 7에 예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9_hFGF2 (야생형)은 45℃ 보관 1일 조건에서부터 활성이 급격히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고, 45℃ 보관 2일 조건에서부터 활성을 거의 잃어버리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9_hFGF2 D28E+S137P 변이단백질은 야생형 단백질 보다 오랫동안 활성이 관찰되는 결과를 보였으나, 45℃ 2일 보관 이후로 활성을 떨어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들과 다르게, △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변이단백질과 △9_hFGF2 D28E + C78I + C96I + S137P 변이단백질의 활성이 45℃에서 보관날짜에 따라 조금씩 감소하기는 하지만, 야생형보다는 오랫동안 활성이 유지되며, 45℃ 6일 보관에서도 여전히 2배 이상의 증식 활성능이 유지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FGF2 proteins were stored at 45°C for 0, 1, 2, 3, 4, 5, 6, and 7 days, respectively, and cell proliferation activity changes were confirmed. The results are illustrated in FIG. 7 . Referring to FIG. 7 , it was confirmed that Δ9_hFGF2 (wild type) had a sharp decrease in activity from 45° C. storage for 1 day, and almost lost activity from 45° C. storage for 2 days. The Δ9_hFGF2 D28E+S137P mutant protein showed a result that the activity was observed longer than that of the wild-type protein, but showed a decrease in activity after storage for 2 days at 45°C. Unlike these, the activity of △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mutant protein and △9_hFGF2 D28E + C78I + C96I + S137P mutant protein decreases slightly depending on the storage date at 45℃, but the activity is maintained longer than the wild type. ,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proliferative activity of more than 2 times was still maintained even after storage at 45°C for 6 days.

실험예 5: pET17b 벡터를 이용한 돌연변이체들의 단백질 분해효소 절단에 대한 저항성 확인Experimental Example 5: Confirmation of resistance to protease cleavage of mutants using pET17b vector

실험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9_hFGF2 (야생형)과 △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변이단백질의 단백질 분해효소 절단에 대한 저항성을 측정하였다. Resistance to protease cleavage of Δ9_hFGF2 (wild type) and Δ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mutant proteins prepa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perimental Example 2 was measured.

도 8 및 도 9는 각각 △9_hFGF2 (야생형)과 △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변이단백질의 SDS-PAGE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8 및 도 9에서 1번은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 후 인큐베이션 없이 바로 측정한 경우를, 2번은 단백질 분해효소 처리 후 37 ℃에서 3시간 인큐베이션한 후 측정한 경우를, 3 내지 14번은 FGF2 0.25mg/mL에 대해서 12가지의 서로 다른 종류의 단백질 분해효소를 각각 0.0025mg/mL 처리한 후 37℃ 에서 3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다. 8 and 9 show the results of SDS-PAGE measurement of Δ9_hFGF2 (wild type) and Δ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mutant proteins, respectively. In FIGS. 8 and 9, No. 1 is a case measured immediately after protease treatment without incubation, No. 2 is a case measured after protease treatment and incubation at 37° C. for 3 hours, and No. 3 to 14 FGF2 0.25 mg/mL , shows the results measured after treatment with 0.0025 mg/mL of each of 12 different types of proteolytic enzymes and incubation at 37° C. for 3 hours.

각 밴드의 밀도 측정은 imageJ 프로그램(Wanyne Rasband)을 사용하여 SDS-PAGE 젤의 밀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가 아래 표 4에 기재되어 있다. To measure the density of each band, the density of the SDS-PAGE gel was measured using the imageJ program (Wanyne Rasb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4 below.

번호number 단백질 분해효소proteolytic enzyme △9_hFGF2 (야생형)△9_hFGF2 (wild type) △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1One XX 100100 100100 22 XX 8585 8989 33 α-Chymotrypsin (α-C)α-Chymotrypsin (α-C) 3333 8383 44 Trypsin (TR)Trypsin (TR) 2121 6868 55 Elastase (EL)Elastase (EL) 7070 8282 66 Papain (PA)Papain (PA) 8484 9595 77 Subtilisin (SU)Subtilisin (SU) 2020 7979 88 Endoproteinase Glu-C (EG-C)Endoproteinase Glu-C (EG-C) 8282 9393 99 Proteinase K (P-K)Proteinase K (P-K) 3535 7979 1010 Clostripain (Endoproteinase-Arg-C) (CL)Clostripain (Endoproteinase-Arg-C) (CL) 4646 8585 1111 Pepsin (PE)Pepsin (PE) 9090 8484 1212 Thermolysin (TH)Thermolysin (TH) 4747 8181 1313 Bromelain (BR)Bromelain (BR) 8585 9090 1414 Actinase (A-E)Actinase (A-E) 1111 6666

도 8 및 도 9의 결과와 표 4의 내용으로부터 △9_hFGF2 (야생형) 보다 △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변이단백질이 단백질 분해효소에 대한 저항성이 전반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From the results of FIGS. 8 and 9 and the contents of Table 4, it can be seen that Δ9_hFGF2 D28E + C78L + C96I + S137P mutant protein has overall improved resistance to protease than Δ9_hFGF2 (wild type).

특히, α-Chymotrypsin (α-C), Trypsin (TR), Subtilisin (SU), Proteinase K (P-K), Clostripain (Endoproteinase-Arg-C) (CL), Thermolysin (TH), Actinase (A-E) 에 대한 저항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다. In particular, for α-Chymotrypsin (α-C), Trypsin (TR), Subtilisin (SU), Proteinase K (P-K), Clostrripain (Endoproteinase-Arg-C) (CL), Thermolysin (TH), Actinase (A-E) It can be seen that the resistance is relatively significantly improved.

상기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권리범위는 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구현되는 형태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various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thereto. The implemented form can be implemented with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ccompanying drawings of the invention, and it is natural that this also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1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120> 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130> DPP20204187KR <150> KR 10-2019-0152362 <151> 2019-11-25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GF2 of Homo Sapines <400> 1 Met Ala Ala Gly Ser Ile Thr Thr Leu Pro Ala Leu Pro Glu Asp Gly 1 5 10 15 Gly Ser Gly Ala Phe Pro Pro Gly His Phe Lys Asp Pro Lys Arg Leu 20 25 30 Tyr Cys Lys Asn Gly Gly Phe Phe Leu Arg Ile His Pro Asp Gly Arg 35 40 45 Val Asp Gly Val Arg Glu Lys Ser Asp Pro His Ile Lys Leu Gln Leu 50 55 60 Gln Ala Glu Glu Arg Gly Val Val Ser Ile Lys Gly Val Cys Ala Asn 65 70 75 80 Arg Tyr Leu Ala Met Lys Glu Asp Gly Arg Leu Leu Ala Ser Lys Cys 85 90 95 Val Thr Asp Glu Cys Phe Phe Phe Glu Arg Leu Glu Ser Asn Asn Tyr 100 105 110 Asn Thr Tyr Arg Ser Arg Lys Tyr Thr Ser Trp Tyr Val Ala Leu Lys 115 120 125 Arg Thr Gly Gln Tyr Lys Leu Gly Ser Lys Thr Gly Pro Gly Gln Lys 130 135 140 Ala Ile Leu Phe Leu Pro Met Ser Ala Lys Ser 145 150 155 <110>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120> 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130> DPP20204187KR <150> KR 10-2019-0152362 <151> 2019-11-25 <160> 1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55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FGF2 of Homo Sapines <400> 1 Met Ala Ala Gly Ser Ile Thr Thr Leu Pro Ala Leu Pro Glu Asp Gly 1 5 10 15 Gly Ser Gly Ala Phe Pro Pro Gly His Phe Lys Asp Pro Lys Arg Leu 20 25 30 Tyr Cys Lys Asn Gly Gly Phe Phe Leu Arg Ile His Pro Asp Gly Arg 35 40 45 Val Asp Gly Val Arg Glu Lys Ser Asp Pro His Ile Lys Leu Gln Leu 50 55 60 Gln Ala Glu Glu Arg Gly Val Val Ser Ile Lys Gly Val Cys Ala Asn 65 70 75 80 Arg Tyr Leu Ala Met Lys Glu Asp Gly Arg Leu Leu Ala Ser Lys Cys 85 90 95 Val Thr Asp Glu Cys Phe Phe Phe Glu Arg Leu Glu Ser Asn Asn Tyr 100 105 110 Asn Thr Tyr Arg Ser Arg Lys Tyr Thr Ser Trp Tyr Val Ala Leu Lys 115 120 125 Arg Thr Gly Gln Tyr Lys Leu Gly Ser Lys Thr Gly Pro Gly Gln Lys 130 135 140 Ala Ile Leu Phe Leu Pro Met Ser Ala Lys Ser 145 150 155

Claims (8)

서열번호 1에서 28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치환되고,
78번째 시스테인(C)이 이소류신(I) 또는 류신(L)으로 치환되고,
96번째 시스테인(C)이 이소류신(I)으로 치환되고,
137번째 세린(S)이 프롤린(P)으로 치환되고,
FGF2 활성을 가지며 야생형 인간 FGF2 폴리펩타이드와 비교시 온도안정성이 향상된 폴리펩타이드.
Aspartic acid (D) at position 28 in SEQ ID NO: 1 is substituted with glutamic acid (E),
cysteine at position 78 (C) is substituted with isoleucine (I) or leucine (L),
the 96th cysteine (C) is substituted with isoleucine (I),
Serine (S) at position 137 is substituted with proline (P),
A polypeptide having FGF2 activity and having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s compared to a wild-type human FGF2 polypept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28번째 아스파르트산(D)이 글루탐산(E)으로 치환되고,
상기 78번째 시스테인(C)이 이소류신(I)으로 치환된 폴리펩타이드.
The method of claim 1,
The 28th aspartic acid (D) is substituted with glutamic acid (E),
A polypeptide in which the 78th cysteine (C) is substituted with isoleucine (I).
삭제delete 제1 항 또는 제5 항에 따른 폴리펩타이드; 및
화장용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A polypeptide according to claim 1 or 5; and
A composition comprising a cosmetically acceptable carrier.
제1 항 또는 제5 항에 따른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간 만능성 줄기 세포 배양 배지. A human pluripotent stem cell culture medium comprising the polypeptide according to claim 1 or 5 as an active ingredient.
KR1020200129526A 2019-11-25 2020-10-07 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KR102428940B1 (en)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81543.4A CN114746436A (en) 2019-11-25 2020-11-16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application thereof
PCT/KR2020/016065 WO2021107473A1 (en) 2019-11-25 2020-11-16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use thereof
US17/779,210 US20230076299A1 (en) 2019-11-25 2020-11-16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use thereof
EP20894591.5A EP4067374A4 (en) 2019-11-25 2020-11-16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use thereof
JP2022530732A JP7441948B2 (en) 2019-11-25 2020-11-16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olytic enzyme resistance and its u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52362 2019-11-25
KR1020190152362 2019-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42A KR20210064042A (en) 2021-06-02
KR102428940B1 true KR102428940B1 (en) 2022-08-03

Family

ID=76372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526A KR102428940B1 (en) 2019-11-25 2020-10-07 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940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8630A1 (en) 1993-09-24 1995-03-30 American Cyanamid Company Surface loop structural analogues of fibroblast growth factors
WO2004069298A1 (en) 2003-02-06 2004-08-19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Fgf-2 derived proteins for the preparation of biomaterials or medical devices such as stents
US20050148511A1 (en) 2002-05-09 2005-07-07 Oren Bogin FGF variant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US20100298220A1 (en) 2009-05-20 2010-11-25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ibroblast growth factor mutants having improved functional half-life and methods of their use
US20180319857A1 (en) 2016-01-22 2018-11-08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Fgf2 truncations and mutants and us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178B1 (en) * 2008-01-29 2010-09-14 (주)케어젠 Mono?Pegylated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Variants and Uses Thereof
KR101754272B1 (en) * 2015-04-03 2017-07-06 (주)피앤피바이오팜 A human basic fibroblast factor-2 mutant with high stability and use of the same
LT3380508T (en) * 2015-11-27 2020-11-10 Masarykova Univerzita Thermostable fgf2 polypeptide, use thereof
WO2019103528A2 (en) * 2017-11-24 2019-05-31 주식회사 차바이오랩 Serum-free culture medium composition
WO2020208050A1 (en) * 2019-04-11 2020-10-15 Merck Patent Gmbh Cell culture media comprising keto acid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5008630A1 (en) 1993-09-24 1995-03-30 American Cyanamid Company Surface loop structural analogues of fibroblast growth factors
US20050148511A1 (en) 2002-05-09 2005-07-07 Oren Bogin FGF variants and methods for use thereof
WO2004069298A1 (en) 2003-02-06 2004-08-19 Institut National De La Sante Et De La Recherche Medicale (Inserm) Fgf-2 derived proteins for the preparation of biomaterials or medical devices such as stents
US20100298220A1 (en) 2009-05-20 2010-11-25 Florida State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ibroblast growth factor mutants having improved functional half-life and methods of their use
US20180319857A1 (en) 2016-01-22 2018-11-08 Salk Institute For Biological Studies Fgf2 truncations and mutants and uses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tem Cells, 201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4042A (en) 202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8328B1 (en) Bioactive keratin peptides
CN101370821B (en) Novel peptide and uses thereof
US11679143B2 (en) FGF21 variant, fusion protein and application thereof
CA2216741C (en) A novel protei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RU2764197C1 (en) Insulin analogues with reduced affinity to insulin receptor and their use
US9963484B2 (en) Polynucleotide encoding a fusion protei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AU2003210722A1 (en) Bioactive keratin peptides
MX2008011707A (en) Medicaments and proteins based on tgf-beta monomers for the treatment of wounds.
KR102077983B1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and skin whitening
EP3909974A1 (en) Human hepatocyte growth factor mutant and uses thereof
KR20160136342A (en) Compositions comprising osteopontin derivatives for the inhibition of hair growth
CN105008396A (en) Peptides that stimulate subcutaneous adipogenesis
CN101914561B (en) Fusion protein with antibacterial and repairing function and prod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thereof
EP4067374A1 (en) Fgf2 polypeptide with improved temperature stability and protease resistance and use thereof
MX2008011705A (en) Proteins, nucleic acids and medicaments.
KR102428940B1 (en) Thermally stable and protease resistant fgf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KR102440312B1 (en) Thermally stable fgf7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US20230287073A1 (en) Thermally stable fgf7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KR20220074225A (en) Fgf11 isoform2 polypeptide and use of the same
KR102462330B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skin aging or wrinkle
KR101873816B1 (en) A decapeptide having activity of Epidermal growth facto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220056365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skin aging or wrinkle
KR20220130144A (en) Cosmetic formulations for topical administration comprising novel peptides that improve skin appearance and regeneration
KR20150001370A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improving skin wrink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