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244B1 -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 Google Patents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244B1
KR102428244B1 KR1020210022780A KR20210022780A KR102428244B1 KR 102428244 B1 KR102428244 B1 KR 102428244B1 KR 1020210022780 A KR1020210022780 A KR 1020210022780A KR 20210022780 A KR20210022780 A KR 20210022780A KR 102428244 B1 KR102428244 B1 KR 1024282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user
smoking cessation
function
management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유안
김현우
김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에이치글로벌
황유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에이치글로벌, 황유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에이치글로벌
Priority to KR1020210022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2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at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등록 기능; 상기 사용자의 금연 의욕을 고취시키는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금연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금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기능;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체크하는 금연 체크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금연 컨텐츠에 참여한 경우 보상 수단을 지급하는 보상 지급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제에 저장되며,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상기 사용자가 제시한 흡연 지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검증 가능한 데이터로 확보하여, 비대면 상태에서도 지속적인 금연 관리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NO-SMOKING MANAGEMENT APPLICATION}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금연 컨텐츠를 제공하고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에 관한 것이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담배는 폐암을 비롯한 식도암, 구강암, 췌장암 등 각종 암과 사망의 주요 원인이며, 심혈관질환, 만성호흡기질환 등 만성질환의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담배의 해로움은 널리 알려져 있으나, 담배에 대한 의존성을 일으키는 물질인 니코틴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담배가 건강에 해롭다는 것을 알면서도 담배에 중독되어 끊지 못한다. 니코틴은 뇌의 보상회로를 활성화시켜 물질 추구와 갈망을 일으키므로 계속적으로 니코틴을 추구하게 되어 결국 중독에 이르게 된다.
2019년 국내 현재흡연율(지금까지 살아오면서 5갑(100개비) 이상 흡연을 해본 사람이 현재까지 흡연을 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20.3%이다. 2009년 26.7% 이래로, 2015년 22.3%, 2019년에는 20.3%로 점차 현재흡연율이 감소하고 있다. 즉, 담배를 피워본 적이 있는 사람 중에 금연하는 사람이 점점 늘고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미국에서의 조사에 따르면, 흡연자의 약 70%가 금연을 고려하고 이 중 46%가 1년 이내에 금연을 시도하고 있음에도 자신의 의지만으로 금연을 시도했을 경우, 성공률은 약 3~7%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해마다 연초에 많은 사람들이 금연을 결심하고 담배 판매량도 일시적으로 낮아지지만, 3~4월이 되면 다수가 금연에 실패하여 담배 판매량이 다시 원래의 판매량으로 회복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흡연자의 의지만으로 금연을 유지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임을 알 수 있다.
이에 금연을 장려하기 위한 정책으로서, 전국 보건소 또는 민간단체 등에서 금연 교육 및 금연 지원 클리닉을 운영하며, 금연 치료 지원 등 금연지원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 특히 금연은 장기적으로 유지해야 하므로, 관리자에 의해 흡연자의 흡연 여부가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금연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가 장기적으로 흡연자를 관리함에 있어서, 흡연자의 흡연 여부를 주기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기록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흡연자가 금연 관리를 받기 위해서 관리자가 근무하는 금연센터 등에 직접 방문해서 금연 상태를 측정하고, 금연 프로그램을 이수하며, 금연 관련 정보를 제공받았다. 만약 흡연자가 금연센터에 방문하는 것이 어려울 경우에는 방문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금연센터에서 흡연자에게 방문하여 금연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대면 진행은 시간·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이고, 직접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의 문제들로 인해, 처음 설정한 금연 성공 기간을 완료하지 못하고 중간에 중단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사용자와 관리자가 비대면인 상태에서도 장소·시간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사용자가 금연 관련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고, 사용자 스스로 금연 상태를 측정 및 모니터링할 수 있는 연구 개발을 진행하였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0447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78681호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금연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금연 관리가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앞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 및 장점들은 아래 설명에 의해 더욱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등록 기능; 상기 사용자의 금연 의욕을 고취시키는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금연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금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기능;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체크하는 금연 체크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금연 컨텐츠에 참여한 경우 보상 수단을 지급하는 보상 지급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제에 저장되며,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상기 사용자가 제시한 흡연 지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검증 가능한 데이터로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텐츠 제공 기능은, 상기 금연 컨텐츠에 상기 사용자의 참여가 가능한 참여형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일방향으로 제공되는 정보제공형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상기 참여형 컨텐츠에 참여한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에 대한 데이터 또는 상기 흡연 지표의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금연 성공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상 지급 기능은, 상기 금연 체크 기능에서 상기 사용자의 금연 성공이 검증된 경우에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도구로부터 생성된 상기 흡연 지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상기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흡연 여부가 검사되는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촬영 기능은, 흡연 여부 검사 전, 상기 검사 도구를촬영하는 제1 촬영 기능; 상기 검사 도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흡연 여부가 검사되는 과정을 촬영하는 제2 촬영 기능; 및 흡연 여부 검사 후, 상기 검사 도구를 촬영하는 제3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촬영 기능은, 상기 검사 도구에 상기 사용자의 타액이 묻는 과정을 포함하여 촬영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므로, 관리자와 직접적인 대면없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리하게 금연을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지속적으로 금연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한다. 이러한 컨텐츠에 대해 사용자가 적절한 수행을 달성한 경우 사용자에게 그에 상응하는 보상 수단을 지급하는데, 이를 통해 사용자가 성취감을 느끼며 금연 의지를 유지할 수 있어 장기간의 지속적인 노력이 요구되는 금연의 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흡연 여부를 입력하고, 검사 도구를 이용해서 흡연 검사를 수행하는 두 차례의 진단을 수행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흡연에 대한 자가진단을 할 수 있어 경각심을 가질 수 있으며, 두 차례의 진단 결과를 통해 흡연 여부를 검증하므로 보다 신뢰성있는 판단을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검사 도구는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사할 수 있어 사용자는 간단하고 용이하게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사용자가 검사 도구로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을 촬영하도록 함으로써 관리자 입장에서도 검사 결과 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는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도구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과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행되는 촬영 기능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이 예시적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 참조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 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을 이용하는 전체 구성도를 나타낸다.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사용자 단말(3) 또는 관리자 단말(5)에 각각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다. 다만,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사용자와 관리자 간 정보전달 또는 관리 수단으로서 사용자와 관리자를 매개하는 기능을 수행하므로 도 1과 같이 서버에 구축된 것으로 나타낸다. 사용자 단말(3) 또는 관리자 단말(5)은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의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개별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소지하는 단말로서, 애플리케이션 설치 및 구동이 가능하다면 종류를 제한하지 않고 적용가능하다. 대표적인 예로 스마트폰, 태플릿 PC 또는 PC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3)은 촬영 가능하도록 카메라(33) 또는 웹캠이 구비될 수 있다.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사용자 등록 기능(10), 컨텐츠 제공 기능(30), 금연 체크 기능(50) 및 보상 지급 기능(7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 기능(10)은 사용자 단말(3)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의 정보는 각 사용자를 구별할 수 있는 개인 정보로 성명, 아이디, 성별, 생년월일, 연락처, 흡연 여부 등의 필수입력사항과 흡연 기간, 하루 평균 흡연량, 금연 시작일 등의 선택입력사항이 있을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흡연자뿐만 아니라 비흡연자도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흡연 여부에 따라 입력되는 사용자 정보는 상이할 수 있다. 이것으로부터 후술하는 컨텐츠 제공 기능(30)에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컨텐츠 내용은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 등록 기능(10)은 사용자로부터 금연 서비스 신청을 입력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각자의 상황에 따라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에 등록된 여러 금연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금연 관리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등록 기능(10)은 접속자가 관리자인 경우 관리자 식별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컨텐츠 제공 기능(30)은 사용자의 금연 의욕을 고취시키는 정보 또는 사용자의 금연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금연 컨텐츠(301)를 제공할 수 있다. 금연 컨텐츠(301)는 사용자의 참여가 가능한 참여형 컨텐츠 또는 사용자에게 일방향으로 제공되는 정보제공형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참여형 컨텐츠는 사용자가 참여가능한 금연 상담, 금연 캠프 또는 금연 관리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참여형 컨텐츠는 사용자의 참여가 계속되면서 사용자의 흡연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금연 성공 여부에 대한 성공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정보제공형 컨텐츠는 사용자의 금연 의욕을 고취시키는 건강정보, 뉴스정보, 참여형 컨텐츠의 일정 또는 모집 등에 관한 정보, 금연 성공 수기 등을 포함하여 글, 이미지 또는 영상 등의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금연 컨텐츠(301)는 사용자가 흡연자인 경우와 비흡연자인 경우에 상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금연 체크 기능(50)은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사용자 단말(3)부터 체크받아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검증 가능한 데이터로 확보할 수 있다. 금연 체크 기능(50)은 흡연 여부를 측정하는 특정 시점에서 이전의 일정 기간 동안 사용자가 흡연하였는지를 체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스스로 흡연 여부를 금연 체크 기능(50)에 입력할 수 있다. 금연 체크 기능(50)의 금연 상태 체크는 사용자의 금연 관리 서비스가 진행되는 동안 복수회 수행될 수 있다.
금연 체크 기능(50)은 사용자가 제시한 흡연 지표(701) 정보를 확보하여 저장할 수 있다. 흡연 지표(701)는 사용자가 흡연 여부를 측정하는 특정 시점으로부터 그 이전의 일정 기간 동안 흡연을 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일 수 있다. 흡연 지표(701)로는 코티닌 또는 니코틴의 수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정량적인 데이터 외에 코티닌 또는 니코틴의 검출 유무인 정성적인 정보도 포함될 수 있다.
흡연 지표(701)는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도구(7)로부터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금연 체크 기능(50)은 사용자 스스로 체크한 금연 상태에 대한 정보와, 검사 도구(7)로 측정된 흡연 지표(701)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금연 체크 기능(30)은 검사 도구(7)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흡연 여부가 검사되는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 기능(510)을 포함할 수 있다. 검사 도구(7)는 코티닌 또는 니코틴의 농도를 검사 기준으로 하여 체외에서 흡연 여부를 검사할 수 있다. 흡연 지표(701)는 검사 도구(7)의 일부 영역으로, 검사 결과가 표시될 수 있다.
촬영 기능(510)은 제1 촬영 기능(511), 제2 촬영 기능(513) 및 제3 촬영 기능(5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영 기능(511)은 흡연 여부 검사 전에 검사 도구(7)를 촬영하여 검사 도구(7)가 사용 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제2 촬영 기능(513)은 검사 도구(7)를 통해 사용자의 흡연 여부가 검사되는 과정을 촬영할 수 있다. 제2 촬영 기능(513)은 검사 도구(7)에 사용자의 타액이 묻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검사 도구(7)는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검사 도구(7)를 입에 물거나 검사 도구(7)에 타액이 묻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때, 제2 촬영 기능(513)에서 사용자가 검사 도구(7)를 직접 이용하여 흡연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을 촬영함으로써 검사 과정 및 검사 결과를 신뢰할 수 있다. 제3 촬영 기능(515)은 흡연 여부 검사를 완료한 후, 검사 도구(7) 또는 흡연 지표(701)를 촬영할 수 있다. 제3 촬영 기능(515)에서 촬영된 흡연 지표(701)는 사용자의 흡연 여부에 대한 정보가 포함할 수 있다.
제1 촬영 기능(511) 내지 제3 촬영 기능(515)은 본 구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의된 것으로 실제로는 촬영 기능(510) 내에서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통합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즉, 촬영 기능(510)은 제1 촬영 기능(511) 내지 제3 촬영 기능(515)이 구분되지 않고, 흡연 검사를 하기 전 상태부터 검사 후 흡연 지표(701)를 촬영하는 것까지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촬영할 수 있다.
금연 체크 기능(50)은 참여형 컨텐츠에 참여한 사용자의 금연 상태에 대한 데이터 또는 흡연 지표(701)의 정보를 통해 사용자의 금연 성공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금연 체크 기능(50)은 사용자 금연 상태가 체크된 금연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1차적으로 금연 성공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1차적으로 금연 성공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금연 체크 기능(50)은 2차적으로 사용자가 제시한 흡연 지표(701)를 통해 금연 성공 여부를 검증할 수 있다. 그러나, 1차적으로 금연에 실패한 경우에는 2차 검증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6개월 동안 진행되는 참여형 컨텐츠에 사용자가 참여한 경우,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2개월을 주기로 3차례 흡연 여부 검사를 수행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금연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금연 체크 기능(50)에서 사용자가 각 검사 때마다 자신의 상태를 흡연/금연 중 어느 하나를 체크하도록 하여 총 3차례 체크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촬영 기능(510)은 사용자가 검사 도구(7)를 이용하여 흡연 검사를 수행하는 과정을 촬영하여 검사 결과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할 수 있다. 금연 체크 기능(50)에 체크된 사용자의 금연 상태가 3차례 모두 금연이라고 체크된 경우, 금연 체크 기능(50)은 1차적으로 사용자가 금연에 성공했다고 판단할 수 있다. 1차적으로 금연에 성공했다고 판단한 경우, 금연 체크 기능(50)은 촬영 기능(510)에서 촬영된 사용자의 검사 과정에 대한 데이터와 검사 결과인 흡연 지표(701)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금연 성공을 검증할 수 있다.
보상 지급 기능(70)은 사용자가 금연 컨텐츠(301) 중 정보제공형 컨텐츠를 확인 또는 시청하고, 관련 문제를 푸는 경우 보상 수단을 지급할 수 있다. 또한, 보상 지급 기능(70)은 사용자가 금연 컨텐츠(301)에 참여한 경우 보상 수단을 지급할 수 있다. 보상 지급 기능(70)은 금연 체크 기능(50)에서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금연 성공이 검증된 경우,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금연 상태에 대한 데이터와 흡연 지표(701)의 정보가 모두 금연인 것으로 검증된 경우에 보상을 지급할 수 있다. 보상 수단은 포인트 또는 마일리지일 수 있으며, 보상 수단은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에서 사용자가 활동함에 따라 적립되어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물건을 구매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의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도구(7)를 나타낸다. 일반적인 흡연 검사 장치는 호기 일산화탄소를 측정하는데, 전자담배를 이용하는 경우 호기 일산화탄소 측정이 불가하여 정확성이 낮다. 반면, 본 발명의 검사 도구(7)는 타액에 포함된 코티닌 또는 니코틴을 검사 대상으로 하여 코티닌 또는 니코틴의 농도에 따라 흡연 여부를 검사할 수 있으므로 담배 종류에 제한없이 흡연 측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검사 도구(7)는 20ng/ml 이상의 코타닌이 검출되는 경우 흡연인 것으로 측정할 수 있다.
검사 도구(7)는 흡연 지표(701)와 검사부(703)를 포함할 수 있다. 검사부(703)는 사용자가 입에 물어 타액이 묻는 부위이다. 흡연 지표(701)는 흡연 검사 결과가 표시되어 사용자의 흡연 상태를 판단하는 지표일 수 있다. 흡연 지표(701)는 흡연 여부에 따라 ‘음성(-), 양성(+) 또는 특수(무반응)’의 세 가지 경우로 나타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흡연 지표(701)는 C와 T가 적힌 직사각형의 형태로, 흡연 여부에 따라 직사각형 내부에 붉은 선을 생성할 수 있다. 비흡연자가 검사 도구(7)로 흡연 검사를 하면 음성(-)으로서 C, T 두 곳에 모두 붉은 선이 생길 수 있다. 이는 금연을 유지한 지 오래되거나 비흡연자인 경우에 해당할 수 있다. 흡연자 중에서 코티닌 농도가 20ng/ml 이상 검출된 경우에는 양성(+)으로 C에만 붉은 선이 생길 수 있다. 드물게 C, T 모두 선이 없는 특수(무반응)인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합성니코틴 사용자이거나 코티닌 농도가 1~20ng/ml 미만의 간접흡연자인 경우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과 검사 도구(7)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 도 3a는 촬영 기능(510) 중 제1 촬영 기능(511)으로서 흡연 검사를 수행하기 전, 검사 도구(7)를 촬영하여 검사 도구(7)가 사용 전 상태임을 확인하는 모습이다. 제1 촬영 기능(511)은 흡연 지표(701)가 보이도록 촬영해달라고 요구하여 흡연 지표(701)에 붉은 선이 없는 상태를 촬영함으로써 검사 도구(7)가 사용 전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b는 제2 촬영 기능(513)으로서 사용자가 검사 도구(7)의 검사부(703)를 입에 물어 검사를 진행하는 모습이다. 제2 촬영 기능(513)은 진행상태를 나타내는 로딩바(5130)를 나타내어 로딩바(5130)가 완료될 때까지 일정 시간 동안 충분히 검사부(703)에 타액을 묻게 할 수 있다. 이때, 제2 촬영 기능(513)은 검사 도구(7)와 검사 도구(7)를 물고 있는 사용자가 함께 촬영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인이 아닌 사용자가 직접 흡연 검사를 수행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c는 제3 촬영 기능(515)으로서 흡연 여부 검사가 완료된 후, 흡연 여부에 대한 결과가 나타난 흡연 지표(701)를 촬영하여 흡연 상태를 확인하는 모습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에 표시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보상 수단(앱 포인트) 적립 내역, 금연 현황, 금연 서비스 등록, 사용자의 금연 의욕을 고취시키는 정보 또는 사용자의 금연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금연 컨텐츠(301), 1:1 상담문의, 커뮤니티 정보 등을 초기화면으로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도 4a와 같은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의 초기화면에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4b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금연 컨텐츠 또는 금연 정보(301) 중 사용자의 금연 의욕을 고취시킬 수 있는 정보제공형 컨텐츠가 나열된 모습을 나타낸다. 컨텐츠 제공 기능(3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된 정보제공형 컨텐츠를 사용자가 확인하거나 관련 문제를 풀면, 이후 보상 지급 기능(70)은 그에 상응하는 보상 수단을 사용자 단말(3)에 지급할 수 있다.
도 4c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을 통해 적립된 사용자 개인의 보상 수단을 나타낸 모습이다.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사용자의 금연 기간, 금연 활동 내역을 기반으로 보상 수단을 앱 포인트로 적립할 수 있다.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앱 포인트의 적립 범위에 따라 차등적인 혜택으로 변환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4d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을 통해 관리되는 사용자 개인의 금연 현황을 나타낸 모습이다. 금연 현황은 사용자가 금연을 목표한 기간, 금연 지속 기간, 금연을 통해 절약한 비용, 하루 걸음 수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은 사용자의 목표 금연 기간에 대해 현재 금연을 지속한 기간을 그림으로 제시하고, 금연을 통해 절약한 돈, 금연을 통해 연장된 수명을 수치화하여 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목표 달성 의지를 고취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1)을 통해 수행되는 촬영 기능(510)을 나타낸다. 촬영 기능(510)은 사용자 단말(3)에 구비된 카메라(33)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도 5a는 촬영 전 카메라(33)를 확인하고 사용자에게 촬영 가이드를 제시하는 모습이고, 도 5b는 촬영 기능(510)을 통해 촬영되는 사용자의 모습을 나타낸다. 촬영 기능(510)은 금연 여부를 체크함에 있어서 도 5b와 같이, 사용자의 얼굴과 촬영 과정을 영상으로 촬영하므로 촬영된 금연판단 데이터에 대해 신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설명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와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에 의하여 정해져야 한다.
1 :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10 : 사용자 등록 기능
30 : 컨텐츠 제공 기능
301 : 금연 컨텐츠
50 : 금연 체크 기능
510 : 촬영 기능
511 : 제1 촬영 기능
513 : 제2 촬영 기능
5130 : 로딩바
515 : 제3 촬영 기능
70 : 보상 지급 기능
3 : 사용자 단말
33 : 카메라
5 : 관리자 단말
7 : 검사 도구
701 : 흡연 지표
703 : 검사부

Claims (8)

  1.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의 정보를 입력받는 사용자 등록 기능;
    상기 사용자의 금연 의욕을 고취시키는 정보 또는 상기 사용자의 금연을 위한 서비스를 포함하는 금연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 기능;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에 관한 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가 제시한 흡연 지표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를 검증 가능한 데이터로 확보하는 금연 체크 기능; 및
    상기 사용자가 상기 금연 컨텐츠에 참여한 경우 보상 수단을 지급하는 보상 지급 기능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되며,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도구에 상기 사용자의 타액이 묻는 과정을 포함한 흡연 검사 전 과정을 촬영하는 촬영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제공 기능은,
    상기 금연 컨텐츠에 상기 사용자의 참여가 가능한 참여형 컨텐츠 또는 상기 사용자에게 일방향으로 제공되는 정보제공형 컨텐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상기 참여형 컨텐츠에 참여한 상기 사용자의 금연 상태에 대한 데이터 또는 상기 흡연 지표의 정보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금연 성공 여부를 검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지급 기능은,
    상기 금연 체크 기능에서 상기 사용자의 금연 성공이 검증된 경우에 보상을 지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연 체크 기능은,
    타액으로 흡연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 도구로부터 생성된 상기 흡연 지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 기능은,
    흡연 여부 검사 전, 상기 검사 도구를 촬영하는 제1 촬영 기능;
    상기 검사 도구를 통해 상기 사용자의 흡연 여부가 검사되는 과정을 촬영하는 제2 촬영 기능; 및
    흡연 여부 검사 후, 상기 검사 도구를 촬영하는 제3 촬영 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촬영 기능은,
    상기 검사 도구에 상기 사용자의 타액이 묻는 과정을 포함하여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KR1020210022780A 2021-02-19 2021-02-19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KR1024282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80A KR102428244B1 (ko) 2021-02-19 2021-02-19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780A KR102428244B1 (ko) 2021-02-19 2021-02-19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244B1 true KR102428244B1 (ko) 2022-08-04

Family

ID=82834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780A KR102428244B1 (ko) 2021-02-19 2021-02-19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2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6741B1 (ko) * 2022-11-30 2023-08-16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니코틴 중독에 대한 개선을 위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조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0276B1 (ko) * 2023-08-08 2023-12-06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니코틴에 대한 절제 정도를 참조로 하여 특정 사용자에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WO2024071711A1 (ko) * 2022-09-27 2024-04-04 (주) 로완 흡연 모니터링을 통한 혈관 관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4479A (ko) 2015-07-02 2017-01-11 (주)에프앤아이 온라인 기반의 금연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778681B1 (ko) 2015-06-05 2017-09-14 최동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흡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681B1 (ko) 2015-06-05 2017-09-14 최동범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흡연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04479A (ko) 2015-07-02 2017-01-11 (주)에프앤아이 온라인 기반의 금연 클리닉 서비스 방법 및 그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웹페이지, 스마트한 금연을 위한 '금연 어플리케이션' 추천!, [online], 2016.01.27. 1부.* *
인터넷 뉴스, 김현성.용산구 비대면 금연클리닉 참가자 모집, [online], 2020.08.18. 1부.* *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71711A1 (ko) * 2022-09-27 2024-04-04 (주) 로완 흡연 모니터링을 통한 혈관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66741B1 (ko) * 2022-11-30 2023-08-16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니코틴 중독에 대한 개선을 위하여 특정 사용자에게 조정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610276B1 (ko) * 2023-08-08 2023-12-06 주식회사 메디마인드 니코틴에 대한 절제 정도를 참조로 하여 특정 사용자에게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244B1 (ko) 금연관리 애플리케이션
Robinson et al. Week long topography study of young adults using electronic cigarettes in their natural environment
Dallery et al. Internet‐based contingency management to promote smoking cess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study
Yamin et al. E-cigarettes: a rapidly growing Internet phenomenon
Bobo et al. Effect of smoking cessation counseling on recovery from alcoholism: findings from a randomized community intervention trial
Waters et al. Attentional shifts to smoking cues in smokers
Mudde et al. The reach and effectiveness of a national mass media-led smoking cessation campaign in The Netherlands.
Kamboj et al. Cue exposure and response prevention with heavy smokers: a laboratory-based randomised placebo-controlled trial examining the effects of D-cycloserine on cue reactivity and attentional bias
Dicpinigaitis et al. Investigation of the urge‐to‐cough sensation in healthy volunteers
Fong et al. Problem and pathological gambling in a sample of casino patrons
JP2023509913A (ja) 禁煙におけるco値の使用
Kim et al. Association between 24‐hour combined multichannel intraluminal impedance‐pH monitoring and symptoms or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laryngopharyngeal reflux
Raiff et al. The feasibility, acceptability, and initial efficacy of a remotely delivered, financial-incentive intervention to initiate vaping abstinence in young adults.
Weitkunat et al. Assessment of cigarette smoking in epidemiologic studies
Berg et al. Results of a feasibility and acceptability trial of an online smoking cessation program targeting young adult nondaily smokers
Li et al. Assessing young adults’ ENDS use via ecological momentary assessment and a smart bluetooth enabled ENDS device
Valera et al. A qualitative study of smoking behaviors among newly released justice-involved men and women in New York City
Cole et al. Quantification of smoking characteristics using smartwatch technology: pilot feasibility study of new technology
Hirai et al. A new method for objectively evaluating childhood nocturnal cough
Tomko et al. An electronic, smart lighter to measure cigarette smoking: A pilot study to assess feasibility and initial validity
Herbec et al. Decrease in resting heart rate measured using smartphone apps to verify abstinence from smoking: an exploratory study
Fu et al. Real-world vaping experiences and smoking cessation among cigarette smoking adults
Shiffman et al. Three approaches to quantifying cigarette consumption: Data from nondaily smokers.
Witman et al. Medicaid incentives for preventing chronic disease: effects of financial incentives for smoking cessation
Robinson et al. Characterization and validation of the second-generation wPUM topography monito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