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236B1 -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조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조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236B1
KR102428236B1 KR1020200185899A KR20200185899A KR102428236B1 KR 102428236 B1 KR102428236 B1 KR 102428236B1 KR 1020200185899 A KR1020200185899 A KR 1020200185899A KR 20200185899 A KR20200185899 A KR 20200185899A KR 102428236 B1 KR102428236 B1 KR 102428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es
information
acr
eec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7881A (ko
Inventor
김혜성
김성훈
이지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US17/758,34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30053805A1/en
Priority to PCT/KR2020/019292 priority patent/WO2021137579A1/ko
Publication of KR202100878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78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2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 G06F9/5027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 G06F9/505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to service a request the resource being a machine, e.g. CPUs, Servers, Terminals considering the lo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6Multiprogramming arrangements
    • G06F9/50Allocation of resources, e.g. of th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 G06F9/5083Techniques for rebalancing the load in a distributed system
    • G06F9/5088Techniques for rebalancing the load in a distributed system involving task mig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6Management of faults, events, alarms or notifications
    • H04L41/0681Configuration of trigger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16IP multimedia subsystem [I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Architectures or entities
    • H04L65/1063Application servers providing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73Registration or de-regist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289Intermediate processing functionally located close to the data consumer application, e.g. in same machine, in same home or in same sub-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34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involving the movement of software or configur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1Discovery or management thereof, e.g. service location protocol [SLP] or web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5Push-based network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60Scheduling or organising the servicing of application requests, e.g. requests for application data transmissions using the analysis and optimisation of the required network resources
    • H04L67/63Routing a service request depending on the request content or contex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2Network node acting on behalf of an other network entity, e.g. prox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4G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버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서버 방법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application serve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application context)의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제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조정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ORDINATING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SYSTEM}
본 개시는 통신 시스템에 대한 내용으로, 단말이 저지연 (low-latency) 또는 광대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자신과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edge data network)와 연결을 수립하고, 해당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EES (edge enabler server)에서 운용되고 있는 에지 호스팅 환경 (edge hosting environment) 혹은 에지 컴퓨팅 플랫폼 (edge computing platform)에서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버 (application server)에 접속하여, 데이터 서비스를 이용하는 MEC (mobile edge computing)에 대한 것이다.
4G 통신 시스템 상용화 이후 증가 추세에 있는 무선 데이터 트래픽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선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5G 통신 시스템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은 4G 네트워크 이후 (Beyond 4G Network) 통신 시스템 또는 LTE 시스템 이후 (Post LTE) 이후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고 있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달성하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은 초고주파(mmWave) 대역 (예를 들어, 60기가(60G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빔포밍(beamforming),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아날로그 빔형성(analog beam-forming), 및 대규모 안테나 (large scale antenna)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또한 시스템의 네트워크 개선을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진화된 소형 셀, 개선된 소형 셀 (advanced small cell),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cloud radio access network: cloud RAN), 초고밀도 네트워크 (ultra-dense network), 기기 간 통신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D2D), 무선 백홀 (wireless backhaul), 이동 네트워크 (moving network), 협력 통신 (cooperative communication), CoMP (Coordinated Multi-Points), 및 수신 간섭제거 (interference cancellation) 등의 기술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 밖에도, 5G 시스템에서는 진보된 코딩 변조(Advanced Coding Modulation: ACM) 방식인 FQAM (Hybrid FSK and QAM Modulation) 및 SWSC (Sliding Window Superposition Coding)과, 진보된 접속 기술인 FBMC(Filter Bank Multi Carrier), NOMA(non orthogonal multiple access), 및SCMA(sparse code multiple access) 등이 개발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은 인간이 정보를 생성하고 소비하는 인간 중심의 연결 망에서,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으로 진화하고 있다. 클라우드 서버 등과의 연결을 통한 빅데이터(Big data) 처리 기술 등이 IoT 기술에 결합된 IoE (Internet of Everything) 기술도 대두되고 있다. IoT를 구현하기 위해서, 센싱 기술, 유무선 통신 및 네트워크 인프라, 서비스 인터페이스 기술, 및 보안 기술과 같은 기술 요소 들이 요구되어, 최근에는 사물간의 연결을 위한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IoT 환경에서는 연결된 사물들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여 인간의 삶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지능형 IT(Internet Technology)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IoT는 기존의 IT(information technology)기술과 다양한 산업 간의 융합 및 복합을 통하여 스마트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스마트 그리드, 헬스 케어, 스마트 가전, 첨단의료서비스 등의 분야에 응용될 수 있다.
이에, 5G 통신 시스템을 IoT 망에 적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센서 네트워크(sensor network), 사물 통신(Machine to Machine, M2M), MTC(Machine Type Communication)등의 기술이 5G 통신 기술이 빔 포밍, MIMO, 및 어레이 안테나 등의 기법에 의해 구현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빅데이터 처리 기술로써 클라우드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cloud RAN)가 적용되는 것도 5G 기술과 IoT 기술 융합의 일 예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를 통해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서비스 지속성을 위한 EAS 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수행 방법이 제공된다. 단말에게 에지 컴퓨팅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EAS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소스 (source) EAS로부터 타겟 (target) EAS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application context)를 전달하는 절차는 여러 장치 (예를 들어, EES, 혹은 단말 내 EEC (edge enabler client),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application client) 들에 의해 트리거 (trigger)될 수 있다. 다만, 다수의 장치들에 의해 동시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전달하는 절차가 시작될 수 있으므로, 이를 조정 (coordination)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장치들에 의해 동시에 트리거 되어 시작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절차로 인한 시그널링이 중복적으로 장치들 간 송수신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에 부하를 가져올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내에서 다른 장치에 의해 트리거 되어 처리되고 있는 (in-progress)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단말이 인지하지 못한 경우,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트리거 함으로써 무선 자원의 추가적인 소모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단말의 이동에 따른 다양한 에지 컴퓨팅 deployment 시나리오 (scenario) 중 일부 시나리오에서는 단말이 소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나는 경우, 소스 EEC 및 소스 EAS 와의 통신이 불가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한 단말이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소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소스 EES 및 소스 EAS를 포함하는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다.) 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 (initiate)하고, 상기 단말이 상기 절차의 완료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또한, 본 개시를 통해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3GPP 시스템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을 통해서 획득하는 방법 (예를 들어, UE service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획득)이 제공된다. 특히, 본 개시에서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즉, 본 개시는 단말이 이동함에 따라, 3GPP 시스템을 통해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수행해야 하는 동작에 따른 오버헤드를 줄이고, 지속성을 유지하면서 해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는 단말에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3GPP 시스템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ES가 3GPP NF (network function) 중 하나인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를 subscribe 하고, NEF가 다른 3GPP NF 들로부터 대상 단말에 대한 정보를 받아오기 위해 subscribe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3GPP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반복적인 subscribe/unsubscribe를 수행해야 하는 오버헤드가 3GPP 시스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즉, 단말 관련 정보를 에지 컴퓨팅 장치 (예를 들어, EES)에게 exposure 해주는 NF와 단말 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NF사이의 subscribe/unsubscribe 설정이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이 소스 EES의 서비스 지역에서 타겟 EES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면, 3GPP 시스템을 통한 단말 관련 정보 (예: 위치 정보 혹은 단말 식별 정보 등) 획득에 대한 지속성이 끊어진다. 단말의 이동에 따라, 해당 단말 관련 정보를 exposure 해주는 NF (예를 들어, NEF)와 subscription 되어 있는 EES가 바뀌기 때문이다. 5G 시스템을 예로 들면, 기존 소스 EES는 해당 단말에 대해서 NEF로의 event exposure subscription을 취소하는 동작 (unsubscribe)을 수행하고, 상기 NEF는 다른 3GPP NF에 대해서 관련 정보를 받아오기 위한 subscription을 취소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NF 사이의 subscribe, unsubscribe 설정이 반복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고안될 필요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서버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서버의 방법은,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application serve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application context)의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제2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의 방법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application context)의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제1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제1 서버가 제공된다. 상기 제1 서버는, 송수신부 및; 단말 및 어플리케이션 서버 (application serve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application context)의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와 관련된 제2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제2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며,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는 것으로 확인된 경우, 상기 단말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서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가 진행 중임을 나타내는 지시자를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이 제공된다. 상기 단말은, 송수신부; 및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application context)의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제1 정보를 제1 서버에 전송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와 관련된 제2 정보를 상기 제1 서버로부터 수신하도록 상기 송수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2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의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정보는 상기 제1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EES가 EEC, EAS의 능력 (capability)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 (initiation)을 다수의 장치들이 중복적으로 수행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불필요한 시그널링으로 인한 오버헤드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이 이동하여, 소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내 EES 및 EAS와 통신이 더 이상 불가한 deployment 시나리오에서도 상기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절차가 완료되었음을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의 이동에 따라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EES/EAS의 변동에 따라, 3GPP 시스템을 통해 획득 가능한 단말 관련 정보를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 제공해주는 NF 과 다른 3GPP NF 간 발생하는 동작의 오버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관련 정보를 에지 컴퓨팅 장치 (예를 들어, EES)에게 exposure 해주는 3GPP NF과 단말 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3GPP NF사이의 subscribe/unsubscribe 설정의 반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다음의 설명을 통해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의 구현 시나리오 중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내 EEC, EES, 및 EAS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 (coordination)이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이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EES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EES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EES에서 단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NEF에 subscribe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이다.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에 따라 정해져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망 객체 (network entity) 및 에지 컴퓨팅시스템의 객체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편의를 위하여, 본 개시에서는 5G 시스템 규격에서 정의하는 용어와 명칭들을 사용하지만 상기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서, UE service API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단말 관련 정보 획득 및 제공에 필요한 API이며, 본 개시의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는 다음의 항목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해당 단말 정보를 exposure 해주는 NF (예를 들어, NEF, SCEF (service capability exposure function))의 ID, 어드레스 (address) 및 subscription correlation ID (에지 컴퓨팅 장치가 exposure 해주는 NF 에게 subscribe 되어있는 이벤트를 식별할 수 있는 reference ID), 해당 NF가 속한 슬라이스 (slice)의 S-NSSAI, application function에 의해 지원되는 이벤트 ID, or 도메인 네임 (domain name) 과 같은 NEF discovery에 활용되는 정보.
- 단말에 대한 정보: UE ID (예를 들어, GPSI, external identifier, external group identifier), EEC ID, UE IP 어드레스.
- 단말이 서비스 받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관련 정보: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받고 있는 application ID (application client ID),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EAS ID/어드레스, 혹은 EAS 인스턴스 (instance) ID,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정보 (edge computing service provider information).
한편, 본 개시에서 function 또는 기능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상기 function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source edge enabler server는 source EES, 소스 EES, S-EES, 제1 서버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소스 EES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개시에서 source edge application server는 source EAS, 소스 EAS, S-EAS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소스 EAS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개시에서 target edge enabler server는 target EES, 타겟 EES, 목적 EES, T-EES, 제2 서버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타겟 EES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본 개시에서 target edge application server는 target EAS, 타겟 EAS, 목적 EAS, T-EAS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타겟 EAS으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본 개시에서 edge enabling client는 EEC, 단말 내 EEC, 단말 등으로 지칭될 수 있으며, 이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용어에 의해 지칭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EEC로 지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의 구현 시나리오 중 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UPF (user plane function) (또는, UPF를 수행할 수 있는 네트워크 엔티티 (network entity))은 송수신하는 패킷 (packet)을 전달하는 게이트웨이 (gateway)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에지 컴퓨팅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하여 EES는 UPF 가까이에 위치할 수 있다. UPF는 데이터 패킷을 인터넷 (Internet)을 거치지 않고,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에 바로 전달함으로써, 저지연 (low-latency) 전송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UPF는 인터넷으로 연결되는 데이터 네트워크에도 연결될 수 있다.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는 에지 컴퓨팅시스템은 EES,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 (edge data network configuration server) 및 EEC로 구성될 수 있다. EES는 에지 호스팅 환경(혹은 에지 컴퓨팅 플랫폼)를 구축하고 있으며, 에지 호스팅 환경 내 구동되고 있는 EAS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다.
EES는 단말과 교섭 (negotiation)하여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application client)와 에지 호스팅 환경 내 EAS를 연결해주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에지 컴퓨팅시스템을 지원하는 단말에는 EEC가 내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단말과 상기 EES 간 교섭은 EEC 및 EES의 상호 연동을 통해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교섭과 같은 EEC와 EES 간 상호 연동이 수행되는 계층 (layer)을 edge enabling layer라 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단말은 스마트 폰 뿐만이 아니라, IoT (internet of things) 장치 및 차량 (vehicle), 드론 (drone), 로봇 (robot) 등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는 EES들의 deployment 정보를 알고 있으며, 에지 컴퓨팅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단말에게 전달하기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설정 정보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연결 (edge data network connection) 정보 (예를 들어, 데이터 네트워크 명칭 (data network name), S-NSSAI 등),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edge data network service area) (예: cell list, list of tracking area, PLMN ID), EES 연결 (edge enabler server connection) 정보 (예: URI)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특정위치에서 접속 가능한 EES에 대한 정보를 확인 (또는, 획득)할 수 있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가 특정 EES의 에지 호스팅 환경에서 구동 중인 EAS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다면, 단말도 EEC를 통해서 해당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AS는 에지 컴퓨팅 시스템 내에서 구동되는 제 3자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의미한다. 에지 호스팅 환경이 제공하는 인프라스트럭처 (infrastructure)에서 구동되는 제3자 어플리케이션 서버이다. EAS는 단말과 가까운 위치에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단말에 초 저지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EAS에서, 단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의 상위 계층에 대한 정보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application context)라 지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실시간 게임 어플리케이션을 사용 시, 상기 게임 어플리케이션 사용에 따라 현재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및 플레이 단계를 재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들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에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이 다른 EAS에 연결되어 기존 서비스를 끊김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는 새로 연결될 EAS에 재배치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서 구동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에게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는 EAS가 이용 가능한 상태여야 한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내 EAS의 이용가능 여부 (availability)는 에지 호스팅 환경 내 구동 여부 및 EAS의 상태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단말 내에는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상기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와 에지 컴퓨팅서비스를 연동해주는 EEC, 그리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접속하는 MT (mobile terminal)이 포함될 수 있다.
단말의 어플리케이션은 제 3자가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서, 특정 응용서비스를 위하여 단말 내에서 구동되는 클라이언트 응용 프로그램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 내에는 여러 어플리케이션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여러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MEC (mobile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
단말 내 EEC는 에지 컴퓨팅서비스 이용에 필요한 단말 내 동작을 수행하는 클라이언트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EEC는 어떤 어플리케이션이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지 판단하고, 에지 컴퓨팅서비스를 제공하는 EAS에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의 데이터가 전달될 수 있도록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network interface)를 연결해주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에지 컴퓨팅서비스를 이용하여 데이터 연결을 수립하기 위한 동작은 단말 내 MT을 통해 3GPP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통신 Layer에서 수행할 수 있다. 3GPP 통신 Layer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한 동작 (예를 들어, 모뎀 동작)을 수행하는 Layer를 의미할 수 있으며, 데이터 통신을 위한 무선 연결을 수립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단말을 등록하고, 이동통신 시스템에 데이터 전송을 위한 연결을 수립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등의 역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상술한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수행에 대한 필요성을 판단 (확인)하는 방법 및 타겟 EES 또는 타겟 EAS를결정하는 방법은 이하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단말 내 EEC, EES, 및 EAS 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Step 1a에서 단말 내 EEC는 EES에 상기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 시작 능력 정보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 UE capability)를 알려줄 수 있다. 즉, EEC는 EES에 상기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을지에 대한 능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능력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은 EEC가 EES에 등록 절차 (EEC 등록 절차 (registration)) (최초 등록 절차 및 등록 업데이트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를 수행 시 또는 상기 EES에 등록 요청 (registration request)를 전송할 때 수행될 수 있다. 즉, EEC는 등록 절차에서 EES에 전송하는 메시지 또는 상기 등록 요청에 능력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능력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의 실행 직후 별도의 절차를 통해서 수행될 수도 있다.
● 상기 능력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에서, EEC는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및 MT 등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EES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 시작 능력 정보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 UE capability)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단말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시작 가능 여부
-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고려될 수 있는 정보 또는 필요한 정보 (예를 들어,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서비스 영역 (edge data network service area),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성능 지표 (required application key performance indicator) (or QoS)
-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시작 동작의 수행에 예상되는 소요 시간
또한, Step 1b에서 EAS는 EES에게 상기 EAS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 시작 능력 정보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 EAS capability)를 알려줄 수 있다. 즉, EAS는 EES에 자신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을지에 대한 능력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능력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은 EAS가 EES에 등록 절차 (EAS 등록 절차 (registration)) (최초 등록 절차 및 등록 업데이트 절차를 포함할 수 있다.)를 수행 시 또는 상기 EES에 등록 요청을 전송할 때 수행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능력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은 EES로부터 EEC 등록에 대한 알림 (notification)을 수신하고, 별도의 동작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 상기 능력 정보를 전달하는 동작에서, EAS는 자신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EES에 전달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EAS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 시작 능력 정보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 EAS capability)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 EAS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시작가능 여부
-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고려될 수 있는 정보 또는 필요한 정보
■ 사용자 평면 (user plane) 경로 관리 이벤트 알림 (UP path management event notification)에 대한 subscribe 여부 혹은 subscribe 가능 여부
■ 자신이 서비스하는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 대한 서비스 가능 여부 (예를 들어, 부하에 따른 load balancing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시작여부, 요구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주요 성능 지표 (required application KPI) (or QoS))
-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시작 동작의 수행에 예상되는 소요 시간
한편, EEC 또는 EAS는 각각 Step 1a 또는 Step 1b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능력 정보 (capability to initiate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대신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을 EES에 위임 (delegation)하기 위하여, 상기 EES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에 대한 위임 요청 (delegation request for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위임 요청을 수신한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이 필요한지 판단하는 사전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전 동작은 단말의 위치를 트래킹 (tracking) 또는 사용자 평면 경로 관리 이벤트의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해, EES가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에 관련 이벤트 알림 (event notification) 서비스에 대한 subscribe 요청을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Step 2에서 EES는 EEC와 EAS로부터 각각 수신된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 UE capability 와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 EAS capability에 기반하여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모드 (이하, 재배치 모드라 지칭하기로 한다.)를 선택 (또는,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재배치 모드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는 주체에 대한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기 위한 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정보들에 기반하여 동작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EES, EAS, EEC는 선택된 재배치 모드에 따라, 자신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상기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 조건에 따라 동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EES는 단말 또는 EAS의 능력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도 미리 결정된 방법 또는 정보 (예를 들어, EES가 미리 단말 또는 EAS의 능력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상기 정보에 기반하여)에 기반하여 재배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S는 EEC 및 EAS로부터 능력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로부터 관련 정보를 받을 수 있다. EEC가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정보를 받기 위해, 상기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에 최초 (초기) 프로비저닝 요청 (initial provisioning request)를 전송하면서 상기 EEC의 능력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는 해당 정보를 상기 EEC가 접속을 수행할 EES에 전송할 수 있다. 해당 정보의 전송은 EEC가 EES에 접속하기 전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는 EEC가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관련 정보 및 단말 관련 정보 (예를 들어, public local mobile network ID 와 같은 연결 정보 (connectivity information), 혹은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EEC가 접속을 수행할 EES를 알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개시의 도 2에서는 EES가 EEC로부터 수신된 단말의 capability에 대한 정보 및 EAS로부터 수신된 상기 EAS의 capability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치 모드를 선택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었으나,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EES는 EEC로부터 단말의 capability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치 모드를 선택할 수 있거나, EAS로부터 수신된 상기 EAS의 capability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재배치 모드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한편, 재배치 모드는 단말 별로 설정되거나, 어플리케이션 별로 설정되거나 (e.g. EAS별로 다른 모드 설정), 혹은 EES별로 (따라서, EES에 등록된 EAS에 대한 설정 정보는 동일할 수 있다)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EES가 재배치 모드를 선택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 EES는 수신된 단말 또는 EAS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시작 능력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어떤 장치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을 허용할지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차의 시작을 허용하는 장치를 하나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 때, 상기 재배치 모드를 선택함에 있어, EES는 자신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시작 능력을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 다수의 장치로부터의 시작을 허용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필요한 상황을 대처하기 위함이다 (e.g. EAS의 서비스 공급 능력 상실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단말의 위치 이동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필요한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신속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실행을 위해, EES는 단말 및 EAS 모두 상기 절차를 시작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재배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 EES는 자신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를 시작 해야 하는 조건과 단말 및 EAS각각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 조건에 대한 설정을 아래 예시와 같이 지정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는 아래 제시된 예시에 국한되지 않는다).
- 예 1) EEC는 서비스 지역 이탈에 따른 시작 수행, EAS는 부하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서비스 제공 불가로 인한 시작수행.
- 예 2) EEC는 서비스 지역 이탈에 따른 시작 수행, EES는 EAS의 비정상 종료 혹은 이상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이 경우 EAS는 시작을 금지할 수 있다.
- 예 3) EEC및 EES에서 서비스 지역 이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수행, EAS에서는 서비스 제공 불가로 인한 시작 수행
Step 3에서 EES는 EEC와 EAS에게 설정 혹은 조정된 재배치 모드를 알릴 수 있다 (notify). 단말 별로 재배치 모드가 다르게 설정되는 경우,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EEC ID 등)를 포함시킬 수 있다. 이 때, 재배치 모드는 아래의 예시와 같이 알릴 수 있다. 다만, 아래의 예시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예로 든 것이지, 본 개시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EES는 다양한 방법에 기반하여 단말 및 EAS에 재배치 모드를 알릴 수 있다.
● 예 1)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에 대한 허용 여부만 전달하는 경우, 각 장치 별 허용 여부를 모두 전달 (예를 들어, {EEC: O, EES: X, EAS: O})하거나, 허용 여부를 받는 장치만의 initiation 허용 여부 (예를 들어, {O} or {X})를 전달할 수 있다.
● 예 2)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에 대한 허용 여부 및 고려 조건 (Step 2의 예시 참고)을 같이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Step 4a에서 EEC는 EES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반영하여 재배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위치 정보와 EES의 서비스 지역을 비교하는 동작을 수행을 지속하거나,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또는,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및 모뎀으로부터 재배치 필요 조건 (즉,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는데 고려되는 조건)에 대한 모니터링 (monitoring), 또는 리포팅 (reporting) 동작에 대한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EES는 상기 재배치 모드에 따라 자신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EEC는 EES로부터 수신된 재배치 모드에 대한 설정 정보를 상기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및 MT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및 MT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과 관련된 설정이 추가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Step 4b에서 EES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 (relocation in-progress indication)을 어느 장치에 전송할 것인 지 결정할 수 있다. 즉, EES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EES는 설정된 재배치 모드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 장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재배치 진행 지시자의 전송을 줄일 수 있다.
즉,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 장치에게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절차가 진행 중임을 알려, 중복적인 동작을 방지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없는 장치에게는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불필요한 재배치 진행 지시자의 전송으로 인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EEC가 타겟 EES와 새롭게 연결되는 경우, EEC는 이전 소스 EES 로부터 수신된 재배치 모드에 대한 정보를 타겟 EES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와 같다.
● 재배치 진행 지시자: 다수의 장치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이 허용된 경우, 하나의 장치로부터 상기 컨텍스트 재배치를 위한 절차가 이미 시작되었음을 다른 장치로 알려 중복된 절차 진행을 방지하기 위해 전송 (전달)되는 메시지 (또는, 지시자)이다.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는 컨텍스트 재배치를 위한 절차가 시작되었다는 정보와 함께 상기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장치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결정된 재배치 모드에 따라 EES는 해당 단말에 대한 사용자 평면 경로 관리 이벤트 알림 (user plane path management event notifications)을 subscribe하거나 취소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EES는 새롭게 연결된 타겟 EES를 지칭할 수 있다.
● 결정된 재배치 모드에 따라 새로운 단말이 타겟 EES의 서비스 지역으로 들어온 사실을 확인한 경우, 타겟 EES는 상기 단말이 기존에 연결되어 있었던 소스 EES에게 단말이 자신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알릴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에 대해 재배치 절차의 시작이 허용된 경우, 타겟 EES는 단말이 자신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EEC 등록 절차를 통해서 인지하고, 소스 EES에게 해당 사실을 통보할 수 있다.)
Step 4c에서 EAS는 EES로부터 수신된 재배치 모드에 기반하여, 해당 단말에 대한 사용자 평면 경로 관리 이벤트 알림 (user plane management event notifications)를 subscribe하거나, 취소할 수도 있다.
이하, 상술한 재배치 모드에 기반하여, 본 개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 (coordination)이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를 참조하면, 도 3은 단말과 소스 EES의 통신 가능 범위가 소스 EES의 서비스 지역에 제한되어 있는 deployment 시나리오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소스 EES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source EES based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절차가 시작된 후, 단말이 소스 EES와의 통신이 더 이상 불가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EES (혹은 소스 EAS)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시작되고, 절차가 완료되기 전 단말이 타겟 EES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tep 0에서 소스 EES 혹은 소스 EAS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단말이 타겟 EES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상기 재배치 절차가 완료되기 전의 어떠한 시점에서 이동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Step 1에서 소스 EES 또는 소스 EAS는 설정된 재배치 모드에 기반하여, 재배치 진행 지시자 (relocation-in-progress indication)를 각 장치들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재배치 모드는 도 2에서 상술한 방법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재배치 모드는 EES에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는, EES 또는 EAS가 각 장치의 능력을 알고 있는 경우, 도 2에서 별도의 능력 정보의 교환 없이 재배치 모드가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EES 또는 EAS는 설정된 재배치 모드에 따라 결정된 장치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내용을 참고한다.
이 때, 소스 EES 또는 소스 EAS는 재배치 모드 (예를 들어, 소스 EES가 선택 (결정)한 재배치 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을 허용한 장치들 (예를 들어, EEC 또는 소스 EAS(s))에게만,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함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재배치 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소스 EES 또는 소스 EAS는 모든 장치에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모든 장치는 상기 소스 EES의 서비스 영역에 속한 장치 (EEC, EAS) 또는 다른 EES을 포함할 수 있다.
●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이미 진행 중임을 알리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시자는 단말의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컨텍스트의 재배치가 진행되는 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g. application ID 혹은 EAS (instance) ID). 또한, 소스 EAS에 전송하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는 단말 혹은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e.g. EEC ID,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unction으로부터 할당 받은 ID).
상술한 바에 따르면, 단말에 대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이 허용되지 않는 경우, EES 또는 EAS는 해당 단말의 EEC에 상술한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하지 않음으로써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소스 EAS로부터 시작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 대한 정보를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통해 상기 소스 EES가 다른 소스 EAS에게 알려 중복적인 절차의 시작을 방지할 수 있다.
Step 2에서 단말 내 EEC는 타겟 EES와 등록 (registration)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EEC가 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서 자신이 타겟 EES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타겟 EES에 알릴 수 있다.
Step 3에서 타겟 EES는 EEC 등록 이벤트 알림 (EEC registration event notification)을 소스 EES에게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EES는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여 EEC 등록 이벤트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예를 들어, EEC ID,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unction으로부터 할당 받은 ID 등을 의미할 수 있다.
Step 4에서 타겟 EES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EEC에게 전송할 수 있다.
● 즉, 타겟 EES는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을 막기 위해, 상기 단말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조건 (예를 들어, 상기 지시자를 전송하기 전에 단말이 소스 EES의 서비스 지역을 벗어난 경우)에 따라 Step 1에서 상기 지시자가 전달되지 않는 경우, 타겟 EES는 상기 지시자를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는, Step 1의 동작의 수행여부와 무관하게 타겟 EES는 상기 지시자를 단말에 전송할 수도 있다.
●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는 절차가 이미 진행 중임을 알리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단말의 어떤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서 컨텍스트 재배치가 진행되는 지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pplication ID 혹은 EAS (instance) ID).
한편, Operation A에서, 소스 EES는 타겟 EES로부터 수신된 EEC 등록 이벤트 알림을 기반으로 단말이 자신의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이 소스 EES의 서비스 지역을 이탈한 경우, 단말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완료된 후 EEC 등록 취소 (de-registration)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Operation B에서 단말은 재배치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단말은 타겟 EES로부터 수신된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기반으로, 기존에 설정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 조건이 만족하더라도 상기 절차의 시작을 수행하지 않도록 재배치 모드를 조정할 수 있다. 상기 조정 동작은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별로 적용될 수도 있고 구동되고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 대해 일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 내 포함된 어플리케이션 및 EAS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Operation C에서 타겟 EES는 소스 EES 대신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 (application data traffic)에 대해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완료된 타겟 EAS로의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소스 EES가 단말에 대한 application function request to influence traffic routing을 더 이상 수행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는, 타겟 EES는 단말 내 EEC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완료를 알리고, EEC에게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 리라우팅 (re-routing)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이 수행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단말과 소스 EES의 통신 가능 범위가 소스 EES의 서비스 지역에 제한되어 있는 deployment 시나리오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소스 EES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source EES based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절차가 시작된 후, 단말이 소스 EES와의 통신이 더 이상 불가한 모든 시나리오에 대해서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tep 0에서 단말 또는 해당 단말 내 EEC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여 소스 EES에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context relocation request) (또는,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절차가 완료되기 전에 단말이 타겟 EES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재배치절차가 완료되기 전의 어떠한 시점에서 이동한 경우에도 본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Step 1에서 소스 EES는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 EAS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 EAS는 설정된 재배치 모드에 따라 상기 indication을 전송할 장치 (예를 들어, 소스 EAS)를 확인할 수 있다. 재배치 모드의 설정 방법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는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e.g. EEC ID,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unction으로부터 할당 받은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스 EES는 EEC에서 절차가 시작되었다는 것을 단말 (또는, EEC)로부터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context relocation request) (또는,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함으로써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은 Step 0 또는 Step 1의 이전에 상기 단말로부터 소스 EES에 전송될 수 있다.
Step 2에서 단말 내 EEC는 타겟 EES와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EEC가 등록 절차를 수행하지 않는 경우, 별도의 시그널링을 통해서 자신이 타겟 EES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였다는 것을 타겟 EES에 알릴 수 있다.
EEC는 소스 EES에 이미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하였으므로 타겟 EES에게 같은 동작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의 전송 동작)을 바로 수행하지 않는다. 즉, EEC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실패를 알기 전까지 혹은 미리 정의된 타이머가 완료되기 전까지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타겟 EES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EEC는 등록 절차 혹은 별도의 절차를 통해서 타겟 EES 에게 소스 EES로부터 수신된 재배치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Step 3에서 타겟 EES는 EEC 등록 이벤트 알림을 소스 EES에게 전송할 수 있다.
● 타겟 EES는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해서 소스 EES에 EEC 등록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EEC ID,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unction으로부터 할당 받은 ID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tep 4에서 소스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소스 EES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조정은 하기와 같이 예로 들 수 있다.
● 소스 EES는 단말이 타겟 EES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한 사실을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정 (조정)할 수 있다.
■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complete)를 단말에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EC에게 사전에 수신된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EEC에 전송하지 않도록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을 통해, 소스 EES와 단말 간 통신이 불가한 상황에서, 반복적인 시그널의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오버헤드를 감소시킬 수 있다.
Step 5에서 타겟 EES는 EEC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를 전송할 수 있다. 소스 EES와 단말 간의 통신이 불가능하므로, 타겟 EES가 소스 EES 대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를 전송함으로써, 단말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가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다.
상기의 Step 4 및 Step 5의 동작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소스 EES는 단말이 타겟 EES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한 사실을 인지하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정할 수 있다.
■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를 단말에게 전송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EEC에게 사전에 수신된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EEC에 전송하지 않도록 절차를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을 통해, 소스 EES와 단말 간 통신이 불가한 경우, 반복적인 시그널링의 전송을 방지함으로써 오버헤드 감소시킬 수 있다.
■ 타겟 EES는 소스 EES 대신 EEC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타겟 EES는 application function influence on traffic routing을 수행하여 단말 대신 application data traffic에 대한 리라우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Step 6에서 EEC는 소스 EES 대신 타겟 EES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를 수신하고, application data traffic에 대한 리라우팅 (re-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은 타겟 EES의 서비스 지역으로 이동하여 수행한 EEC 등록 절차를 통해서, 자신이 타겟 EES 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를 수신할 것을 인지할 수 있다. 한편, 타겟 EES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트래픽에 대한 리라우팅을 수행한 경우, 단말은 본 동작 (application data traffic에 대한 리라우팅을 수행하는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도 5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소스 EES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소스 EES는 재배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소스 EES는 EEC와 EAS에게 상기 결정된 재배치 모드를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재배치 모드의 결정 방법은 상술한 방법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한편, 상기 재배치 모드의 결정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재배치 모드의 결정이 생략되는 경우 (즉 재배치 모드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 시, 소스 EES는 모든 장치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재배치 모드는 각 장치에서 결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재배치 모드를 전달하는 절차 역시 생략될 수 있다.
이후, 소스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시작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스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장치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소스 EES는 상기 재배치 모드가 결정된 경우, 상기 결정된 mode에 기반하여, 재배치진행 지시자를 전달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1.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장치가 소스 EES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 소스 EES는 상기 결정된 장치에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스 EES는 EEC 및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을 수행하지 않은 EAS에 상기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EES는 타겟 EES로부터 EEC 등록 알림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이 수신된 경우, 상기 소스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후, EEC 등록 취소 (de-registration)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스 EES는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스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후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EES는 EEC 등록 취소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2.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장치가 EEC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소스 EES는 소스 EAS에게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지시자에 따라 소스 EA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소스 EES는 소스 EES로부터 EEC 등록 알림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이 수신된 경우, 소스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조정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소스 EES는 단말이 타겟 EES로 이동한 사실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를 전송하지 않도록 절차를 수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정을 통해 반복적인 시그널링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알림이 수신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스 EES는 EEC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의 결과를 전달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타겟 EES의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타겟 EES는 EEC 등록 절차가 수행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EEC 등록 절차가 수행된 경우, 상기 타겟 EES는 EEC 등록 알림을 소스 EES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EES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장치를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장치가 EEC인 경우, 상기 타겟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알림 메시지를 EEC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의 이동에 따라 단말이 소스 EES와 통신할 수 없는 경우, 타겟 EES가 소스 EES 대신 단말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알림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반복적인 시그널링 전송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장치가 소스 EES 또는 소스 EAS인 경우, 상기 타겟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완료된 후 AF request to influence traffic routing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들의 deployment 시나리오 외에, 단말과 소스 EES 간의 통신이 소스 EES의 서비스 지역 외에서도 보장되는 경우에 대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다.
● 소스 EES는 자신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경우, 단말의 EEC 및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든 소스 EAS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소스 EES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하기 전에 미리 상기 소스 EES에 의해 결정된 재배치 모드에 따라,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장치를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드의 조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수행하지 않을 장치에는 지시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필요가 없다. 상기 재배치 모드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EEC에 전송하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는 단말의 어떤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 대한 컨텍스트 재배치가 진행되고 있는 지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소스 EAS에 전송하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는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EEC ID,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unction으로부터 할당 받은 I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식별자는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다.
●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스 EAS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한 경우, 소스 EES는 단말의 EEC 및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소스 EAS에게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EEC에 전송되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는 단말의 어떤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 대한 컨텍스트 재배치가 진행되고 있는지 식별할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소스 EAS에 전송하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는 단말 혹은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를 들어, EEC ID,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unction으로부터 할당 받은 I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 단말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여 소스 EES가 상기 단말로부터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소스 EES는 해당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소스 EAS에게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소스 EES 기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source EES based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절차 (소스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내 장치들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는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Step 0에서 소스 EES는 재배치 모드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를 EEC 및 소스 EAS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Step 0는 생략될 수 있다.
그리고, Step 1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시작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는 EEC, 소스 EAS, 소스 EES에서 각각 시작 (또는, 트리거)될 수 있다.
EEC 또는 소스 EAS에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시작 또는 트리거 된 경우, 소스 EES는 EEC로부터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수신하거나 (Step 2a) 혹은 소스 EAS 로부터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Step 2b). 또한, 소스 EES는 자신이 직접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수신하거나, S-EES는 자신이 직접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절차를 시작한 경우, 상기 소스 EES는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다른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스 EES는 상기 결정된 재배치 모드를 기반으로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장치 (EEC 혹은 소스 EAS)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재배치 모드가 결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스 EES는 모든 장치에 상기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EES는 Step 3에서 타겟 EES 정보를 획득하고, Step 4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타겟 EES에 전송할 수 있다.
타겟 EES는 소스 EES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수신한 이후 (step 4 이후), EEC 등록 절차가 수행되면 소스 EES에 EEC 등록 알림을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알림은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EEC 등록 알림을 받은 소스 EES는 진행되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수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스 EES는 더 이상 EEC와 통신이 불가함을 확인하고,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의 전송 및 AF influence on traffic routing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소스 EES의 동작은 타겟 EES가 대신 수행하거나, 일부 동작 (application data traffic re-routing)은 단말 내 EEC가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또는 response)는 Step 12b에서 타겟 EES가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소스EES가 타겟 EES로부터 EEC 등록 알림을 수신하지 못한 경우, Step 12a에서 소스 EES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완료 (또는 response)를 EEC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스 EES 또는 타겟 EES는 Step 13b 또는 Step 13c에서 AF request to influence on traffic routing을 트리거 할 수 있다.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동일하며 이하에서는 생략한다.
도 8은 본 개시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을 위해 수행될 수 있는 동작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상술한 실시예들이 타겟 EES 기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target EES based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절차 (단말 내 EEC,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혹은 MT이 시작하고 타겟 EES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보내는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동작을 도시한 실시예이다.
EEC는 Step 1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 여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시작되는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EEC는 Step 2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타겟 EES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에는 단말 정보 (예를 들어, UE ID 또는 IP 주소), S-EAS 정보, 어플리케이션 정보, EEC registration context I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요청에는 재배치 모드에 대한 정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보는 생략될 수 있다.
타겟 EES가 EEC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수신한 이후 (Step2 이후), 상기 타겟 EES는 해당 단말이 연결되어 있었던 소스 EES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EEC는 타겟 EES에게, 소스 EES로부터 수신된 재배치 모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타겟 EES는 상기 정보 (재배치 모드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할 장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EES는 상기 정보를 이용하여 소스 EES에 상기 지시자를 전송 것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모드에 따르면, 단말만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 경우, 타겟 EES는 상기 소스 EES에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전송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재배치 진행 지시자에는 단말 혹은 해당 단말 내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예: EEC ID, UE ID, UE IP 어드레스, 혹은 authentication and authorization function으로부터 할당 받은 ID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EES는 해당 재배치 진행 지시자를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소스 EAS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재배치 진행 지시자는 도 8의 Step 5 및 Step 6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에 포함되어 소스 EES 및 소스 EAS로 전송될 수 있다. 해당 지시자의 포함 및 전송 여부는 상술한 실시 예와 같이, EEC로부터 제공받은 재배치 모드에 대한 정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서버는 송수신부 (910), 제어부 (920), 저장부 (9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EES, EAS 또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송수신부 (9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910)는 예를 들어, 다른 서버와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920)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9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930)는 상기 송수신부 (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9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고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010), 제어부 (1020), 저장부 (10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0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020)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0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030)는 상기 송수신부 (10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0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다수의 장치들로부터 시작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에서 조정 (coordination)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시작을 위한 최적의 장치 선택을 가능하게 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목적을 위해 단말 (또는, 단말 내 EEC), EAS및 EEC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조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단말 (또는, 단말 내 EEC)과 EAS 각각이 EAS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시작할 수 있는지에 대한 능력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itiation capability)를 알리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하나의 장치에서 시작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의 진행에 대한 정보를 다른 장치 (예를 들어, EEC, EES, EAS 등)에 알리는 방법을 제안한다.
한편, 상술한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는 단말에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3GPP 시스템을 통해서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EES가 3GPP NF (network function) 중 하나인 NEF (network exposure function)를 subscribe 하고, NEF가 다른 3GPP NF 들로부터 대상 단말에 대한 정보를 받아오기 위해 subscribe를 수행함으로써, 상기 단말에 대한 정보를 3GPP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이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반복적인 subscribe/unsubscribe를 수행해야 하는 오버헤드가 3GPP 시스템 내에서 발생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오버헤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 관련 정보를 에지 컴퓨팅 장치 (예를 들어, EES)에게 exposure 해주는 3GPP NF과 단말 관련 정보를 제공해주는 3GPP NF사이의 subscribe/unsubscribe 설정의 반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타겟 EES는 단말과 EEC 등록 절차 수행 시, 소스 EES 관련 정보가 단말로부터 제공되면,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 전달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이 EEC 등록 절차를 통해 제공하는 소스 EES정보 (또는, 소스 서버 정보)는 소스 서버 (소스 EES)의 식별자만을 포함하거나 소스 서버 (소스 EES)의 주소 (address)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소스 서버 정보는 소스 서버의 식별자 및 소스 서버의 주소 정보를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 소스 서버와 단말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필요한 다양한 정보 (예; 단말 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던 소스 EAS 정보 (식별자 및 주소 정보),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받고 있었던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 식별자 및 관련 정보, 어플리케이션 클라이언트에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UE service API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식별자만을 제공받으면 타겟 EES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로부터 소스 EES의 주소 정보를 받아와야 한다.
따라서, 타겟 EES는 단말이 제공받고 있던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겟 EES는 단말이 stateful application service를 이용하고 있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stateful application service란 끊김없는 서비스가 제공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연속된 동작 상태 정보가 필요한 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간 interactive 게임 어플리케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타겟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는지 여부 (또는, 필요한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는 타겟 EES가 소스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수신하였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체적인 예는 후술한다.
단말이 stateless application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었던 경우, 후술하는 도 12의 UE service API context 전달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의 standalone procedure 이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이 stateful application 서비스를 받고 있어,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 UE service API context 전달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단말이 제공받고 있는 어플리케이션 서비스 특성 (stateful 또는 stateless)를 판단하는 구체적인 실시예 들은 아래와 같다.
- 단말 (EEC)이 요청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EAS 서비스 프로파일 (service profile) 정보를 기반으로 판단, 또는
- 단말이 제공하는 소스 EAS 정보에 기반하여 판단, 또는
-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 수신 여부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
다만, 본 개시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특성을 판단하는 방법은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권리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타겟 서버는 어플리케이션의 특성을 판단하는 과정 없이 각 실시예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이 만족되면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서버는 단말의 등록 절차 수행 후에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상응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타겟 서버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수행하는 경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상응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단말의 EEC는 단말이 이동한 타겟 EES와 EEC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tep 0). 상기 등록 절차 수행 시 단말은 소스 EES ID 및 소스 EES의 주소 정보 (address information) (예를 들어, FQDN (fully qualified domain name), IP 어드레스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타겟 EES가 소스 EES를 확인하고,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을 전송하기 위함이다.
타겟 EES는 단말의 EEC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EES의 주소를 찾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EES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에게 쿼리 (query)를 통해서 상기 소스 EES의 주소를 받아올 수 있다. 또는, 타겟 EES에는 소스 EES의 주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타겟 EES는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EES의 주소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타겟 EES는 확인된 소스 EES에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Step 1).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에는 다음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자신에게 등록 절차를 수행한 단말의 EEC ID: 해당 식별자는 단말이 authentication/authorization을 수행하면서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function로부터 제공 받은 식별자 (identifier), 혹은 소스 EES에서 EEC 등록 절차에서 부여한 ID (EEC 등록 context ID)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EEC ID 외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예를 들어, GPSI (generic public subscription identifier)와 같은 식별자 정보) 또는 UE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같이 전송하거나, 상기 EEC ID 대신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또는 UE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 타겟 EES 정보: 타겟 EES FQDN, 타겟 EES IP 어드레스, 타겟 EES ID,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정보 (예를 들어, ECSP 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음
- 타겟 EES에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던 EAS정보 (어플리케이션 ID, EAS ID, EAS 카테고리 (category) 등).
소스 EES에서는 타겟 EES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던, EAS 및 3GPP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관련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소스 EES는 상기 식별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에 관련된 정보를 exposure 해주었던 3GPP NF (예를 들어, NEF 또는 SCEF)에 대한 정보를 타겟 EES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 (UE service API context 응답)를 타겟 EES에게 전달할 수 있다 (Step 2).
상기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는 NEF ID/어드레스, subscription correlation ID, notification correlation ID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ubscription correlation ID는 consumer NF 와 provider NF 사이의 subscription 정보 (e.g. 어떤 단말에 대한 정보인지, 제공하는 정보, 어떠한 장치들 간의 subscription인지,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연관된 NF들에 대한 정보)에 대한 식별자이다. Subscription correlation ID를 활용하여 수정 (modification)을 수행할 subscription을 특정 지을 수 있다. Event provider NF(예를 들어, NEF)가 consumer NF (예를 들어, EES 혹은 EAS)에 상기 Subscription correlation ID를 제공할 수 있다.
NEF ID/어드레스를 사용하여 subscription을 수행해야 하는 NEF를 찾고, NEF와 소스 EES 간 단말에 대해 수행되어 있는 subscription을 식별하기 위해 subscription correlation ID가 필요하다. NEF 및 수정 대상 subscription에 대한 식별 완료 후, 타겟 EES는 대상 NEF에 대한 subscribe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NEF와 소스 EES 사이의 subscription을 수정할 수 있다.
타겟 EES는 소스 EES에게 수신된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하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Step 3).
- Case 1: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있는 NEF인 경우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NEF ID/어드레스 기반으로 판단)
◆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subscription ID, notification target address (타겟 EES 정보) 및 notification correlation ID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대상 NEF에 subscribe 수행.
◆ NEF는 타겟 EES의 subscribe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subscribe correlation ID를 기반으로, 기존 소스 EES와의 subscription 관련 정보를 식별한다. 그리고, notification target address를 소스 EES address에서 타겟 EES address로 변경할 수 있다. 즉, NEF와 3GPP 시스템의 NF(예를 들어, AMF (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SMF (session management function), PCF (policy control function)) 사이의 southbound 인터페이스 관련 설정은 유지하고, NEF가 상위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로 exposure 하는 (예를 들어, 3GPP 시스템의 application function 으로서의 EES) northbound API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Northbound API는 NEF가 상위 레이어 (어플리케이션 레이어)의 application function (예를 들어, EES, EAS)에 exposure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Southbound 인터페이스는 NEF와 3GPP 시스템의 NF (예를 들어, AMF, SMF, PCF 등) 사이의 하위 계층 (어플리케이션 레이어 보다 하위 레이어) 인터페이스를 의미한다.
- Case 2: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없는 NEF인 경우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NEF ID/어드레스 기반으로 판단)
◆ 타겟 EES는 자신이 subscribe하여 연동 중이던 NEF에게 새로운 subscribe를 수행
● NEF에게 단말을 특정 지을 수 있도록 단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식별정보는 GPSI, external ID, UE IP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타겟 EES는 Step 3에 따른 subscription 결과 (subscription indication)를 소스 EES에게 전달할 수 있다 (Step 4). subscription 성공 시 (step 3, case 1), 소스 EES는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UE service API context 관련 정보를 지우고 단말 (EEC)에 대해 등록 취소 절차 (de-registration)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소스 EES는 NEF에 unsubscribe 요청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Step 5).
subscription 실패 시 (step3, case 2), 소스 EES는 NEF에 unsubscribe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Step 5 동작은 하기와 같다.
Case 1: 타겟 EES에서 NEF에 대한 subscription 성공
◆ 소스 EES에 저장되어 있는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지운다.
◆ EEC 등록 취소 절차를 수행한다.
◆ NEF에 대한 unsubscribe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Case 2: 타겟 EES가 소스EES에서 보내준 NEF에 대한 subscription 실패
◆ 소스 EES는 NEF에 해당 단말에 대한 unsubscribe 동작을 수행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를 참고하면, 단말의 EEC는 단말이 이동한 타겟 EES와 EEC 등록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Step 0). 상기 등록 절차 수행 시 단말은 소스 EES ID 및 소스 EES의 어드레스 정보 (예를 들어, FQDN, IP 어드레스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타겟 EES가 소스 EES를 확인하고,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을 전송하기 위함이다.
타겟 EES는 단말의 EEC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EES의 주소를 찾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타겟 EES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에게 쿼리를 통해서 상기 소스 EES의 주소를 받아올 수 있다. 또는, 타겟 EES에는 소스 EES의 주소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단말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EES의 주소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타겟 EES는 확인된 소스 EES에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Step 1).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에는 다음의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자신에게 등록 절차를 수행한 단말의 EEC ID: 해당 식별자는 단말이 authentication/authorization을 수행하면서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function로부터 제공 받은 식별자 (identifier), 혹은 소스 EES에서 EEC 등록 절차에서 부여한 ID (EEC 등록 context ID)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EEC ID 외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예를 들어, GPSI (generic public subscription identifier)와 같은 식별자 정보) 또는 UE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같이 전송하거나 상기 EEC ID 대신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또는 UE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 타겟 EES 정보: 타겟 EES FQDN, 타겟 EES IP 어드레스, 타겟 EES ID,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정보 (예를 들어 ECSP ID)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음. 이 때, 3GPP 시스템의 NEF의 notification target 어드레스로 사용될 수 있는 타겟 EES 주소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타겟 EES에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던 EAS정보 (어플리케이션 ID, EAS ID, EAS 카테고리 (category) 등).
- 타겟 EES이 subscribe 한 NEF 정보 혹은 이용 가능한 NEF 정보 (NEF ID/어드레스)
이후, 소스 EES는 타겟 EES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EES 가 이용 가능한 NEF 가 자신이 해당 단말에 대해서 subscribe 한 NEF 인지 확인할 수 있다 (Step 2).
- 소스 EES가 subscribe 하고 이용했던 NEF인 경우, 소스 EES는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했던, EAS 및 3GPP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관련 정보를 식별하고 관련 subscription correlation ID를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소스 EES는 식별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에 관련된 정보를 exposure 해주었던 3GPP NF (예를 들어, NEF 또는 SCEF)에 대한 subscription을 수정할 수 있다. 또한, 소스 EES는 notification target 어드레스를 타겟 EES 주소로 수정하고 관련 notification correlation ID를 저장할 수 있다.
- 소스 EES가 subscribe 하고 이용했던 NEF가 아닌 경우, 소스 EES는 다음 Step 3를 통해서 modification 실패 메시지를 타겟 EES에 전달한다.
그리고, 소스 EES는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 (UE service API context response)를 타겟 EES에게 전달할 수 있다 (Step 3). 상기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는 상기 수정된 subscriptio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Subscription 수정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indication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는 NEF ID/어드레스, subscription correlation ID, notification correlation ID, notification target address, event ID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subscription correlation ID는 해당 subscription에 대한 modification 및 deletion 과 같은 관리 동작 지원하는데 필요한 것으로 event provider NF (예를 들어, NEF)이 consumer NF (예를 들어, EES 혹은 EAS)에 제공될 수 있다.
타겟 EES는 소스 EES로부터 수신된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 및 subscription 수정 결과를 기반으로 아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1: subscription modification 성공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있는 NEF인 경우)
◆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 (예를 들어 subscription ID, notification target address (타겟 EES 정보) 및 notification correlation ID 중 적어도 하나) 저장.
Case 2: subscription modification 실패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없는 NEF인 경우)
◆ 타겟 EES는 자신이 subscribe하여 연동 중이던 NEF에게 새로운 subscribe를 수행
● NEF에게 단말을 특정 지을 수 있도록 단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식별정보는 GPSI, external ID, UE IP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도 1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소스 EES 기반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절차를 도시한다.
해당 절차를 통해 stateful application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해서,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소스 EAS 내 저장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정보를 타겟 EAS로 전달한다.
상기 과정에서 소스 EES가 타겟 EES 에게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할 때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같이 전송함으로써, 도 11 내지 13의 별도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UE service context API 전달을 수행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구체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도 14의 절차는 상술한 도 11의 절차에 따라 수행되거나 혹은 stateful application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절차 수행 시에 수행될 수 있다.
Step 1 내지 3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으므로 여기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소스 EES는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에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추가하여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 NEF ID/어드레스, subscription correlation ID (대상 단말에 대한 NEF로의 소스 EES의 subscription을 특정 지을 수 있는 reference ID), EEC ID, EEC 등록 context ID 중 적어도 하나
이후, 타겟 EES는 Step 5에서 타겟 EAS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하고, Step 6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EES는 Operation A에서 NEF에 subscribe 할 수 있다 (subscribe to NEF)
◆ 소스 EES에서 지시된 NEF에 subscribe 가능한 경우, subscription correlation ID를 활용해서 subscribe를 수행함으로써 NEF와 소스 EES 사이의 subscription을 modification 할 수 있다.
◆ 소스 EES에서 지시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 불가한 경우, 타겟 EES에서 subscribe하고 있는 NEF에게 대상 단말에 대한 새로운 subscribe 동작을 수행한다. NEF에게 GPSI, external ID, UE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를 제공하여 대상 단말을 특정 지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EES는 Step 7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을 소스 EES에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 내에는 NEF에 대한 subscribe 결과 (Operation A의 결과: 소스 EES와 연결된 NEF를 타겟 EES가 subscribe 가능 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소스 EES는 Operation B에서, 타겟 EES의 subscription indication에 따라 하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Case 1: 타겟 EES가 소스 EES에서 지시한 NEF에 대한 subscription 성공
● 소스 EES에 저장되어 있는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지운다.
● EEC 등록 취소 절차를 수행한다.
● NEF에 대한 unsubscribe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 Case 2: 타겟 EES가 소스 EES에서 지시한 NEF에 대한 subscription 실패
● 소스 EES는 NEF에 해당 단말에 대한 unsubscribe 동작을 수행한다.
도 15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Step 1 내지 4는 타겟 EES가 단말의 EEC로부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따라 타겟 EAS와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송수신하는 과정으로 구체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타겟 EES는 Step 5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소스 EES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타겟 EES는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을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타겟 EES는 단말의 EEC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EES의 주소를 찾아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는, 타겟 EES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에 쿼리를 통해서 소스 EES의 주소를 받아올 수 있다.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에는 다음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 자신에게 등록 절차를 수행한 단말 혹은 EEC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 EEC ID: 해당 식별자는 단말이 authentication/authorization을 수행하면서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function 로부터 제공 받은 식별자 (identifier), 혹은 소스 EES에서 EEC 등록 절차에서 부여한 ID (EEC 등록 context ID)일 수도 있다.
-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GPSI 혹은 external ID 또는 UE IP 어드레스 와 같은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같이 전송하거나 EEC ID 대신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 또는 UE IP 어드레스 중 적어도 하나를 전송할 수 있다.
● 타겟 EES 정보: 타겟 EES FQDN, 타겟 EES IP 어드레스, 타겟 EES ID,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정보 (예를 들어, ECSP ID) 중 적어도 하나.
● 타겟 EES에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던 EAS 정보 (어플리케이션 ID, EAS ID, EAS 카테고리 (category) 등)
이후, 소스 EES는 Step 6에서 소스 EAS에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요청을 전송하고, Step 7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EES는 Step 8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을 타겟 EES에 전송할 수 있다. 이 때, 소스 EES는 상기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응답에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소스 EES에서는 타겟 EES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기반으로,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했던, EAS 및 3GPP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관련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상기 식별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에 관련된 정보를 exposure 해주었던 3GPP NF (예를 들어, NEF 또는 SCEF)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관련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포함한 응답 메시지를 타겟 EES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는 NEF ID/어드레스, subscription correlation ID, notification correlation ID 등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EES는 Operation A에서 NEF에 subscribe할 수 있다 (subscribe to NEF service). 이 때, 타겟 EES는 Step 8에서 수신된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인 동작은 하기와 같다.
Case 1: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있는 NEF인 경우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NEF ID/어드레스 기반으로 판단)
◆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subscription ID 및 notification target 어드레스 (타겟EES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NEF에 subscribe 수행. 추가적으로 notification correlation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 NEF는 타겟 EES의 subscribe 요청 내 subscribe correlation ID를 기반으로 기존 소스 EES와의 subscription 관련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notification target 어드레스를 소스 EES 어드레스에서 타겟 EES 어드레스로 변경할 수 있다. 즉, southbound 설정 (인터페이스)은 유지하고, northbound API 설정 (인터페이스)을 변경할 수 있다.
Case 2: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없는 NEF인 경우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NEF ID/어드레스 기반으로 판단)
◆ 타겟 EES는 자신이 subscribe하여 연동 중이던 NEF에게 새로운 subscribe를 수행
● NEF에게 단말을 특정 지을 수 있도록 단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단말 식별정보는 GPSI, external ID, UE IP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타겟 EES는 Step 9에서 Operation A의 결과를 소스 EES에게 전달할 수 있다.
소스 EES가 알려준 NEF에 대한 subscription 성공 시 (case 1), 로컬에 저장되어 있는 UE service API context 관련 정보를 지우고, 단말 (EEC)에 대해 등록 취소 절차를 수행한다. 또한, 소스 EES는 NEF에 unsubscribe 요청을 수행하지 않는다.
소스 EES가 알려준 NEF에 대한 subscription 실패 시 (case 2), NEF에 관련 단말에 대한 unsubscribe 요청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의 Operation B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소스 EES는 Operation B에서 타겟 EES의 subscription indication에 기반하여 하기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Case 1: 타겟 EES에서 소스 EES에서 지시한 NEF에 대한 subscription 성공
◆ 소스 EES에 저장되어 있는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지운다 (또는, 삭제한다).
◆ EEC 등록 취소 절차를 수행한다.
◆ NEF에 대한 unsubscribe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Case 2: 타겟 EES가 소스 EES에서 보내준 NEF에 대한 subscription 실패
◆ 소스 EES는 NEF에 해당 단말에 대한 unsubscribe 동작을 수행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UE service API context를 전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Step 0에서, 단말 내 EEC는 타겟 EES과 EEC 등록 절차 수행 시 소스 EES ID, 소스 EES의 어드레스 정보 (예를 들어, FQDN, IP 어드레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타겟 EES가 소스 EES를 확인 (또는, 식별)하여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을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타겟 EES는 단말 내 EEC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소스 EES의 주소를 찾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로부터 쿼리를 통해 상기 소스 EES의 주소를 수신 (획득)할 수 있다.). 이후, Step 1에서, 타겟 EES는 소스 EES에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UE service API context 요청에는 다음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 자신에게 등록 절차를 수행한 단말의 EEC ID: 해당 식별자는 단말이 authentication/authorization을 수행하면서 authentication authorization function 로부터 제공 받은 identifier, 혹은 소스 EES에서 EEC 등록 절차에서 부여한 ID (EEC registration context ID)일 수도 있다.
- EEC ID 외 단말을 식별할 수 있는 GPSI 와 같은 식별자 정보 혹은 UE IP 어드레스를 보낼 수도 있다.
● 타겟 EES 정보: 타겟 EES FQDN, 타겟 EES IP 어드레스, 타겟 EES ID,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자 정보 (예를 들어, ECSP I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3GPP 시스템의 NEF의 notification target address 로 사용될 수 있는 타겟 EES 주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타겟 EES에 연결된 해당 단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EAS 정보 (어플리케이션 ID, EAS ID, EAS 카테고리 등)
● 타겟 EES에서 해당 단말을 위해서 EAS에게 제공할 service API 관련 정보
● 타겟 EES이 subscribe 한 NEF 정보 혹은 이용 가능한 NEF 정보 (NEF ID/어드레스)
Step 2에서, 소스 EES에서는 타겟 EES로부터 받은 정보를 기반으로, 타겟 EES가 이용 가능한 NEF가 자신이 해당 단말에 대해서 subscribe를 수행 했었던 NEF 인지 확인할 수 있다.
● 소스 EES가 subscribe 하고 이용했던 NEF인 경우, 대상 단말 및 해당 단말에 서비스를 제공했던 EAS 및 3GPP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받은 단말 관련 정보를 식별하고 관련 subscription correlation ID를 찾을 수 있다 (확인할 수 있다). 식별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단말에 관련된 정보를 exposure 해주었던 3GPP NF (예를 들어, NEF 또는 SCEF)에 대한 subscription을 수정할 수 있다. notification target address를 타겟 EES 주소로 수정하고 관련 notification correlation ID를 저장할 수 있다.
● 소스 EES가 subscribe 하고 이용했던 NEF가 아닌 경우, 다음 Step 3를 통해서 modification 실패 메시지를 타겟 EES에 전달한다.
Step 3에서, 소스 EES는 자신이 수행한 subscription 수정 관련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응답 메시지 (UE service API context response)에 포함하여 타겟 EES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는 Subscription 수정 결과를 나타낼 수 있는 지시자 (ind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응답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는 정보는 NEF ID/어드레스, subscription correlation ID, notification correlation ID, notification target address, event ID 등이 될 수 있다. Subscription correlation ID는 해당 subscription에 대한 수정 및 삭제와 같은 관리 동작 지원하는데 필요한 정보이다. 한편, 상기 응답 메시지에는 Subscription correlation ID 외 subscribe 한 서비스 관련 transaction을 특정 지을 수 있는 정보가 포함되어 전달될 수 있다 (예: transaction reference ID, AF Transaction ID 등). 한편, Subscription 수정의 성공 여부와 별개로, 타겟 EES에 list of capability exposure services (소스 EES에서 해당 단말에 대해서 소스 EAS에 제공한 서비스의 목록)와 exposure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 연동했던 NEF에 대한 정보 (주소 및 ID)을 같이 제공할 수 있다.
Step 4에서, 타겟 EES는 소스EES에게 받은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 및 subscription 수정 결과를 기반으로 아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 Case 1: subscription 수정 성공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있는 NEF인 경우)
◆ 소스 EES에서 제공받은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저장 (subscription ID, notification target address (타겟 EES info) 및 notification correlation ID 저장).
- Case 2: subscription 수정 실패 (소스 EES에서 subscribe한 NEF가 타겟 EES에서 subscribe할 수 없는 NEF인 경우)
◆ 타겟 EES는 자신이 subscribe하여 연동 중이던 NEF에게 새로운 subscribe를 수행
● NEF에게 단말을 특정 지을 수 있도록 단말 식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단말 식별정보는 GPSI, external ID, UE IP 어드레스 등이 될 수 있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소스 EES에서 단말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NEF에 subscribe를 수행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소스 EES는 단말에 대한 event exposure service에 대해 subscribe를 수행할 때, 자신과 연결 가능한 EES들을 notification target으로 확인하고, 이들을 대표로 상기 event exposure service에 대해 subscribe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소스 EES는 주변의 EES 및 EAS를 대신하여, NEF에 3GPP event exposure service의 subscription을 수행하고, 각 EES 및 EAS에 해당하는 이벤트에 대한 ID와 notification target address를 매핑하여 컨텍스트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소스 EES는 단말이 타겟 EES의 서비스 영역으로 이동한 경우, 사전 subscription을 대신 수행한 EES 목록에 타겟 EES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타겟 EES가 소스 EES에서 사전에 subscribe를 대신 수행한 EES인 경우, 소스 EES는 타겟 EES에 해당하는 notification target address 및 notification correlation ID를 확인할 수 있다.
소스 EES는 확인된 notification target address 및 notification correlation ID에 기반하여, 앞으로 발생할 event에 대한 notification 대상 주소를 타겟 EES 주소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7에서 설명한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17에서 설명한 방법을 통해 본 개시의 소스 EES는 수정할 이벤트 및 notification target address, subscription correlation ID 등을 알 수 있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서버는 송수신부 (1810), 제어부 (1820), 저장부 (18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서버는 EES, EAS 또는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될 수 있다.
송수신부 (18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송수신부(1810)는 예를 들어, 다른 서버와 특정 인터페이스를 통해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820)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서버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8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830)는 상기 송수신부 (18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8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단말은 송수신부 (1910), 제어부 (1920), 저장부 (19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제어부는, 회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특정 통합 회로 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라고 정의될 수 있다.
송수신부 (1910)는 다른 네트워크 엔티티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 (1920)은 본 개시에서 제안하는 실시예에 따른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 (1920)는 상기에서 기술한 순서도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각 블록 간 신호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저장부(1930)는 상기 송수신부 (1910)를 통해 송수신되는 정보 및 제어부 (1920)을 통해 생성되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들은 3GPP 5G system의 network exposure function 인 NEF 와 연동하는 동작을 중심으로 작성이 되었다. 하지만, 3GPP 시스템에서 단말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UE service API를 exposure 해주는 network function을 NEF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동작은 PCF 혹은 SMF와 같은 network function을 수행하는 장치가 직접 에지 컴퓨팅 시스템으로 exposure을 수행할 수 있다. 3GPP 4G 시스템을 통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제공 시나리오에서는 SCEF 가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이 될 수 있다.
또한, exposure된 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에지 컴퓨팅 내 장치를 EES로 한정하지 않는다. EAS 혹은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 또한 3GPP 시스템을 통해서 exposure 된 단말 관련 정보를 직접 획득하여 사용 가능하다. 즉, 본 개시의 동작의 주체는 EES 외 EAS 및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 등이 될 수 있으며, 이를 통칭하여 서버라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의 교환은 EES 사이 만이 아니라 다양한 장치들 사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EES<-> EAS 및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 <-> EES, 혹은 EES들 간 교환, EAS들 간 교환, 에지 데이터 네트워크 설정 서버 간 교환에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언급되는 UE service API를 통해 획득 가능한 정보는 3GPP 시스템에서 제공 가능한 모든 단말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의 위치, 3GPP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단말 식별자뿐 만이 아니라, 단말을 서비스 하는 NF 에 대한 정보, 단말에 제공되는 통신 서비스 품질 (QoS), 단말에 적용되는 정책 등에 대한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가 UE service API를 통해 에지 컴퓨팅 서비스로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는 기존 소스 EES가 subscribe한 NF에 관련된 정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3GPP 시스템 network function을 찾기 위해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NSSAI, Event ID supported by Application Function, External identifier, External Group Identifier, or domain name 과 같은 NEF discovery에 활용되는 정보들 중 적어도 하나). 또한, UE service API 특정 단수의 단말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정 단말들로 이루어진 그룹에 대한 정보 획득을 위한 API도 포함하며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 또한 이를 고려하여 단말들로 이루어진 그룹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UE service API context에 포함되는 단말 그룹에 대한 정보는 그룹 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에 대한 정보를 3GPP 시스템을 통해서 획득하는 방법 (예를 들어, UE service API 제공)을 제공한다. 특히, 본 개시에서는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이용하는 단말의 이동하는 경우에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즉, 단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에 이동성을 지원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3GPP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단말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EES 간 송수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제공받은 UE service API context 정보를 기반으로 EES 혹은 EAS가 3GPP network function에 대한 subscription을 수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는 3GPP network function의 northbound API에 대한 subscription에 대한 것이다.
또한, NEF와 같이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위해 northbound API를 제공하는 3GPP network function이 다른 3GPP network function에 맺은 subscription을 단말의 이동성에 상관없이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해당 subscription은 3GPP network function 사이의 subscription이며 위의 UE service API 제공을 위해 맺어진 것이다.
한편, 본 개시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에서 설명의 순서가 반드시 실행의 순서와 대응되지는 않으며, 선후 관계가 변경되거나 병렬적으로 실행 될 수도 있다.
또는, 본 개시의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은 본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부의 구성 요소가 생략되고 일부의 구성요소만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방법은 발명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각 실시예에 포함된 내용의 일부 또는 전부가 조합되어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메시지에 포함되는 정보들은 본 개시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일부의 정보가 생략되거나, 추가적인 정보가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6)

  1. 통신 시스템에서 EES(edge enabler server)의 방법에 있어서,
    단말의 EEC(edge enabler client)로부터, 상기 EEC가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ACR(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C가 지원하는 ACR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등록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EAS(edge application server)로부터, 상기 EA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AS가 지원하는 ACR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등록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EE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S가 지원하는 ACR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EES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등록 요청 메시지, 상기 제2 등록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EES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ACR 모드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EC가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C가 지원하는 ACR 정보는 상기 EEC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지 여부와 관련되고,
    상기 EA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AS가 지원하는 ACR 정보는 상기 EAS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지 여부와 관련되며,
    상기 EE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S가 지원하는 ACR 정보는 상기 EES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지 여부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R 모드는 상기 EEC에 대한 제1 ACR 모드, 상기 EAS에 대한 제2 ACR 모드, 또는 상기 EES에 대한 제3 ACR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ACR 모드는 상기 제1 등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확인되고,
    상기 제2 ACR 모드는 상기 제2 등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확인되며,
    상기 제3 ACR 모드는 상기 EES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CR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EEC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ACR 모드는 상기 EEC가 지원하는 ACR 시나리오에 대응되고,
    상기 제2 ACR 모드는 상기 EAS가 지원하는 ACR 시나리오에 대응되며,
    상기 제3 ACR 모드는 상기 EES가 지원하는 ACR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EEC에 의해 수행되는 ACR 절차는 상기 제1 ACR 모드에 기반하고,
    상기 EAS에 의해 수행되는 ACR 절차는 상기 제2 ACR 모드에 기반하며,
    상기 EES에 의해 수행되는 ACR 절차는 상기 제3 ACR 모드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ACR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EEC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통신 시스템에서 EES(edge enabler server)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되고,
    단말의 EEC(edge enabler client)로부터, 상기 EEC가 서비스 연속성을 위한 ACR(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C가 지원하는 ACR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등록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
    EAS(edge application server)로부터, 상기 EA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AS가 지원하는 ACR 정보를 포함하는 제2 등록 요청 메시지를 획득하고,
    상기 EE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S가 지원하는 ACR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EES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제1 등록 요청 메시지, 상기 제2 등록 요청 메시지, 또는 상기 EES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반하여, ACR 모드를 확인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S.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EC가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C가 지원하는 ACR 정보는 상기 EEC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지 여부와 관련되고,
    상기 EA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AS가 지원하는 ACR 정보는 상기 EAS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지 여부와 관련되며,
    상기 EES가 상기 ACR을 지원하는지에 대한 정보 및 상기 EES가 지원하는 ACR 정보는 상기 EES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지 여부와 관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S.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ACR 모드는 상기 EEC에 대한 제1 ACR 모드, 상기 EAS에 대한 제2 ACR 모드, 또는 상기 EES에 대한 제3 ACR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ACR 모드는 상기 제1 등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확인되고,
    상기 제2 ACR 모드는 상기 제2 등록 요청 메시지에 기반하여 확인되며,
    상기 제3 ACR 모드는 상기 EES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확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S.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ACR 모드에 대한 정보를 상기 EEC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S.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ACR 모드는 상기 EEC가 지원하는 ACR 시나리오에 대응되고,
    상기 제2 ACR 모드는 상기 EAS가 지원하는 ACR 시나리오에 대응되며,
    상기 제3 ACR 모드는 상기 EES가 지원하는 ACR 시나리오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S.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EEC에 의해 수행되는 ACR 절차는 상기 제1 ACR 모드에 기반하고,
    상기 EAS에 의해 수행되는 ACR 절차는 상기 제2 ACR 모드에 기반하며,
    상기 EES에 의해 수행되는 ACR 절차는 상기 제3 ACR 모드에 기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S.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이 서비스 영역을 벗어난 경우, 상기 제1 ACR 모드에 기반하여, 상기 EEC에 의해 ACR 절차가 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EES.
  15. 삭제
  16. 삭제
KR1020200185899A 2020-01-03 2020-12-29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2428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758,348 US20230053805A1 (en) 2020-01-03 2020-12-29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system
PCT/KR2020/019292 WO2021137579A1 (ko) 2020-01-03 2020-12-29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조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1043 2020-01-03
KR1020200001039 2020-01-03
KR20200001039 2020-01-03
KR1020200001043 2020-01-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7881A KR20210087881A (ko) 2021-07-13
KR102428236B1 true KR102428236B1 (ko) 2022-08-04

Family

ID=76858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5899A KR102428236B1 (ko) 2020-01-03 2020-12-29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조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4061033A4 (ko)
KR (1) KR102428236B1 (ko)
CN (1) CN11490271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01963A (ko) 2020-06-30 2022-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 컴퓨팅 시스템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230116368A (ko) * 2022-01-28 2023-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지 컴퓨팅 시스템을 위한 통신 방법 및 장치
CN114599022A (zh) * 2022-01-30 2022-06-07 华为技术有限公司 设备选择的方法以及装置
WO2023185710A1 (zh) * 2022-03-29 2023-10-05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应用上下文迁移场景的确定方法及通信装置
WO2024068022A1 (en) * 2022-10-01 2024-04-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 edge applications
WO2024076126A1 (ko) * 2022-10-04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에지 컴퓨팅 연동 컨텍스트 재배치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793A1 (en) 2017-12-12 2019-06-20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dge computing relocatio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48516B2 (en) * 2010-09-15 2014-09-30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apparatus for relocating and restoring connections through a failed serving gateway and traffic offloading
EP3163943B1 (en) * 2014-06-24 2020-01-08 Nec Corporation Control node and network node, and method carried out using these
KR102201676B1 (ko) * 2016-05-10 2021-01-13 소니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가부시키가이샤 Mec 애플리케이션의 재배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서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17793A1 (en) 2017-12-12 2019-06-20 Sony Mobile Communications Inc Edge computing reloc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G SA Study on application architecture for enabling Edge Applications (Release 17)’, 3GPP TR 23.758 V17.0.0(2019.12.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061033A4 (en) 2023-01-11
EP4061033A1 (en) 2022-09-21
KR20210087881A (ko) 2021-07-13
CN114902711A (zh)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8236B1 (ko)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어플리케이션 컨텍스트 재배치 조정 방법 및 장치
KR102461025B1 (ko) 단말이 Temporary User ID(임시 사용자 식별자)를 이용해 5G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방안
US2023005380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pplication context relocation in edge computing system
KR102470370B1 (ko) 네트워크 가상화 및 세션 관리 방법 및 장치
KR102577006B1 (ko) 4g 및 5g 네트워크 이동 시 네트워크 슬라이스 지원 방법 및 장치
JP7086082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でアクセス及び移動性管理機能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KR102346620B1 (ko) 네트워크 노출 기능을 발견하고 및 체이닝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449475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지원 가능한 네트워크 정보에 기반한 단말의 네트워크 접속 방법 및 장치
US11937314B2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for edge computing system
KR102412288B1 (ko) 제 3자 응용 서버에서 단말의 무선 연결 타입 변경을 확인하는 방법
KR20210136761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 관련 정보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00143134A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01963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에지 컴퓨팅 시스템 및 이동통신 네트워크 간의 연동 방법 및 그 장치
KR20200115155A (ko) Edge Computing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단말에 연결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021332A (ko) 모바일 네트워크에서 에지 컴퓨팅 서비스 지속성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22540445A (ja) 通信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要素
KR20210104522A (ko) 에지 컴퓨팅 시스템에서 무선 통신 네트워크 타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2022520838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データを伝送するための方法及びその装置
US20220225061A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devi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edge computing
KR2022013513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관리를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6580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분할 컴퓨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20230116405A1 (en) Method and device for session breakout of home routed session in visited plm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10144205A (ko) 네트워크 슬라이싱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세션 수립 방법 및 장치
KR20220138775A (ko) 에지 컴퓨팅 서비스 정보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3007358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 기능 체인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