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798B1 - 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798B1
KR102427798B1 KR1020200154571A KR20200154571A KR102427798B1 KR 102427798 B1 KR102427798 B1 KR 102427798B1 KR 1020200154571 A KR1020200154571 A KR 1020200154571A KR 20200154571 A KR20200154571 A KR 20200154571A KR 102427798 B1 KR102427798 B1 KR 1024277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latch
housing
rotation plat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45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67858A (en
Inventor
박상현
이창혁
Original Assignee
박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현 filed Critical 박상현
Priority to KR10202001545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798B1/en
Publication of KR20220067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678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7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7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1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 latch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10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 E05D11/1028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 E05D11/105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 E05D11/1064Devices for preventing movement between relatively-movable hinge parts for maintaining the hinge in two or more positions, e.g. intermediate or fully open the maintaining means acting perpendicularly to the pivot axis with a coil spring perpendicular to the pivot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02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for aircraft or spacecra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부를 구획하는 도어 측에 배치되어 구조물을 도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관절부의 일단에서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관절부의 타단에서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회동플레이트의 인입에 의해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door that divides the inside and outside to fix the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the housing comprising: a housing connected to a first structure and including a receiving part for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A joint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fixing pin, including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rotate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structure toward the first structure by an elastic force at one end of the joint part; a rotatio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are drawn in or drawn out into the receiving space during rotation; and a reciprocating block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plate by the retrac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Description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조립체{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A latch for fixing a door structure and a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내외부를 구획하는 도어 측에 배치되어 구조물을 도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으로서,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atch that is disposed on the side of a door dividing an interior and exterior to closely fix a structure to the door, and to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and a door including the same.

일반적으로 항공기의 동체(fuselage) 내부 및 외부에는 다수의 퀵 액세스 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런 퀵 액세스 도어는 도어 프레임 일 측단에 힌지로 결합되어 있거나, 도어 프레임으로부터 완전히 분리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통상적으로 개폐 및 잠금 장치의 하나인 래치를 구비한다. 래치는 잠금 동작시 도어 프레임과 퀵 액세스 도어 간의 구속력을 빠르게 발생시키며, 사용자의 개방 동작에 따라 래치의 걸쇠부가 도어 프레임의 결합 구멍으로부터 신속하게 릴리스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래치는 손잡이를 잡아당길 때 고정쇠가 축방향으로 이송되는 슬라이딩 타입과, 개방 및 잠금 버튼을 누를 때 고정 쇠가 힌지축을 따라 유한한 회전각으로 회전하는 푸시 버튼식 등이 있다. 여기서 푸시 버튼식 래치의 경우 정비용 패널, 캐노피(canopy), 엔진 및 장치의 덮개 등과 같이 항공기 기체의 다수 곳에 설치 된다. 그러나 종래의 래치는 잠금과 풀림 상태에서 유한한 회전각으로 가동되는 구성이 외부로 노출되어 타 구성과의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부식에 취약할 수 있다.In general, a plurality of quick access doors are installed inside and outside the fuselage of an aircraft. Such a quick access door is hinged to one side end of the door frame or is configured to be completely separated from the door frame, and typically includes a latch, which is one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s. The latch quickly generates a binding force between the door frame and the quick access door during the locking operation, and the latch portion of the latch quickly releases from the coupling hole of the door frame according to the user's opening operation. Such latches include a sliding type in which the clamp is moved in the axial direction when the handle is pulled, and a push button type in which the clamp rotates at a finite angle of rotation along the hinge axis when the opening and locking buttons are pressed. Here, in the case of a push-button latch, it is installed in many places of the aircraft body, such as a maintenance panel, a canopy, and a cover of an engine and device. However, in the conventional latch, a configuration that is operated at a finite rotation angle in a locked and unlocked state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terference with other components may occur and may be vulnerable to corros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3-0024393 호 (2003. 03. 26)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3-0024393 (March 26, 2003)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내에 수분의 유입 및 생성을 방지하여 하우징 내에서 얼음이 생기는 것을 예방함으로써 래치의 동작에 있어서 기 결정된 회동구간 내에서 정상적인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event the formation of ice in the housing by preventing the inflow and generation of moisture into the housing, thereby enabling normal rotation within a predetermined rotation section in the operation of the latch.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하우징에 인입 및 인출되면서 회동을 통한 가동이 되는 회동플레이트가 캐빈의 외측으로 미노출되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ensure that, in chang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the rotation plate, which is moved in and out of the housing while being drawn in and ou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bin.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가동되는 구성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이 상태변경에 방해요소가 되는 것을 제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remove the air pressure generated by the movable configuration as an obstacle to the state change in the change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본 발명은 내외부를 구획하는 도어 측에 배치되어 구조물을 도어에 밀착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관절부의 일단에서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관절부의 타단에서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회동플레이트의 인입에 의해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가 제공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door that divides the inside and outside to fix the structure in close contact with the door, the housing comprising: a housing connected to a first structure and including a receiving part for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A joint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fixing pin, including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rotate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structure toward the first structure by an elastic force at one end of the joint part; a rotatio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are drawn in or drawn out into the receiving space during rotation; and a reciprocating block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plate by the retrac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그리고, 회동플레이트의 인출 시에 왕복블럭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body for returning the reciprocating block to the origin when the rotation plate is withdrawn.

또한, 제1탄성체의 탄성력은 제2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may act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또한, 하우징은, 관절부의 일부는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관절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include an opening into which a part of the joint part is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joint part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또한,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일측면 및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잠금 상태에서, 일측면 및 타측면 간에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eriphery of the opening, at least one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may further include a sealing portion for blocking the inflow of flui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a locked state.

또한,관절부는,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제1관절; 하우징의 타측면으로 노출되고 회동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관절; 및 제1관절 및 제3관절을 연결하는 제2관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portion, a first joint expos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a third joint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and a second joint connecting the first joint and the third joint.

또한, 수용부는, 회동플레이트가 수용공간으로의 인입시에 회동플레이트의 이동궤적을 따라 만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ccommodation unit may include a guide surfac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rotation plate when the rotation plate is drawn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수용부의 내측면은, 왕복블럭의 측면과 슬라이드되며 왕복블럭이 직선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일방향을 향해 직선연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may be slid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block and extend linearly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reciprocating block can be linearly reciprocated.

또한, 왕복블럭은 제1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일방으로 이동되고, 일방의 반대방향인 타방으로 제2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이동하여 수용부 내에서 왕복운동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ciprocating block may be moved in one direc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and may be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other sid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to reciprocate within the accommodating part.

또한, 하우징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수용공간 내측으로의 유입 및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의 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배기공을 유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discharge one or more exhaust holes for maintaining the air press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by allowing the ai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flow into and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배기공의 유체통과 단면적의 총합은, 왕복블럭이 수용공간 내측으로 진입하는 속도와 비례하여 증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tal of the fluid passag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haust hole may be design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speed at which the reciprocating block enters the receiving space.

또한, 배기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 수용부의 외표면 측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되, 유체통과 단면적은 외표면 측에 형성된 배기공의 단면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ho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whil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and the fluid passage cross-sectional area may b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haust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

또한, 배기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ho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a diameter is reduced whil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또한, 배기공은, 왕복블럭이 수용공간 내측으로 최대로 진입한 상태에서 수용공간에 노출되는 면적 상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hole may be formed on an area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in a state in which the reciprocating block enters the receiving space to the maximum.

또한, 배기공은 복수 개를 포함하고, 복수 개의 배기공은 수직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온도차에 따른 대류를 통해 수용공간 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hole includes a plurality, and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are disposed at different positions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ventilat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convection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difference.

제1공간 및 제2공간을 구획하고, 설치공이 형성된 제1구조물; 제1공간 및 제2공간 중 하나에 위치되어, 제1구조물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구조물; 및 설치공에 설치되고, 제1구조물로부터 제2구조물을 가압고정시키는 래치;를 포함하고, 래치는,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관절부의 일단에서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관절부의 타단에서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회동플레이트의 인입에 의해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가 제공된다.a first structure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having an installation hole; a second structure positioned in one of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tructure; and a latch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and configured to press and fix the second structure from the first structure, wherein the latch includes: a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structure and including a receiving part for providing an accommodation space; A joint portion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the fixing pin, including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rotate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structure toward the first structure by an elastic force at one end of the joint part; a rotation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are drawn in or drawn out into the receiving space during rotation; And a reciprocating block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plate by the retrac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including, a door assembly is provided.

그리고, 제1공간 및 제2공간 중 하나의 공간에서 회동플레이트를 조작함으로써 제2구조물이 제1구조물로 선택적으로 가압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And, by manipulating the rotation plate in one of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press and fix the second structure to the first structure.

또한, 하우징은, 수용공간에 수용된 공기가 수용공간 내측으로의 유입 및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의 유출이 가능하도록 하여 수용공간 내의 기압이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하나 이상의 배기공을 유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housing may discharge one or more exhaust holes for maintaining the air press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by allowing the air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flow into and out of the accommodation space.

또한, 배기공의 유체통과 단면적의 총합은, 왕복블럭이 수용공간 내측으로 진입하는 속도와 비례하여 증가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tal of the fluid passage and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haust hole may be designed to increase in proportion to the speed at which the reciprocating block enters the receiving space.

또한, 배기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 수용부의 외표면 측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되, 유체통과 단면적은 외표면 측에 형성된 배기공의 단면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ho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ameter decreases whil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to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accommodation part, and the fluid passage cross-sectional area may be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exhaust hol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

또한, 배기공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 내측으로부터 수용공간의 외측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Taper) 형상을 갖을 수 있다.In addition, the exhaust hole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may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a diameter is reduced while extending from the inside of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of the receiving spa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의 수용공간에 대응되는 왕복블럭을 배치시킴으로써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atch for blocking the inflow of moisture by arranging a reciprocating block corresponding to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우징 내에 수분의 유입 및 생성을 차단하여 부식으로부터 래치의 내구성을 개선시키는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atch that improves durability of the latch from corrosion by blocking the inflow and generation of moisture in the housing.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가동되는 구성이 외측으로 미노출되도록 외부로부터 은폐될 수 있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changing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latch including a housing that can be concealed from the outside so that the movable component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잠금 및 풀림 상태의 변경에 있어서, 가동되는 구성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이 상태변경에 방해요소가 되는 점을 극복할 수 있도록 공기배출로가 확보된 래치를 제공할 수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latch with an air exhaust path to overcome the point that the air pressure generated by the movable configuration becomes a hindrance to the state change in the change of the locking and unlocking state.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가 장착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구조물의 내측면(노출되지 않는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구조물의 외측면(노출되는 측면) 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분해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우징의 사시측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을 제외한 래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잠금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의 풀림 상태에서의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플레이트의 가동여부에 따라 왕복블럭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잠금 상태에서 왕복블럭이 가동플레이트에 의해 미가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풀림 상태에서 왕복블럭이 가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공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equipped with a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a)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ide (unexposed side) of the structure, Figure 1 (b) is a view of the structure A drawing showing the outer side (exposed sid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latc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Figure 5 (b) is a perspectiv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latch except for a hous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latch in a lock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ide view of a latch in an unlock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eciprocating block according to whether the movable plate is mov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iprocating block is pressed by the movable plate in the unlocked state,
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exhaust hole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merely an example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nd,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the following examples are only one means for effectively explaining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본 발명의 래치(100) 및 이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는 항공기나 선박 등의 외장에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캐빈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캐빈 외부에서 외장의 표면에 고정된 구조물의 탈락을 조작할 수 있고 경우에 따라, 외장으로부터 도어를 탈락시킬 수도 있다. 물론, 내부 및 외부에서의 조작이 전술한 바에 의해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므로 이에 구속되지 않음은 당연하고, 캐빈의 내부에서 외표면에 고정된 구조물(예를 들어, 도어)의 탈락을 조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래치(100)는 빠르고 손쉽게 단속되어야 하며, 부식성도 우수할수록 유리하다. 따라서, 수분의 배출 또는 표면처리 등을 통해 화학적으로 부식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래치(100)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도 이러한 조건을 만족한다. 특히, 구조적으로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을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도 1 내지 도 10을 통해 이러한 특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latc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door assembly including the same are used for the purpose of fixing a door structure to an exterior of an aircraft or a ship. In general, when the cabin is formed, the detachment of the structure fixed to the surface of the exterior can be manipulated from the outside of the cabin, and in some cases, the door can be removed from the exterior. Of course, since the operation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is not limited by the above, it is natural that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also natural to manipulate the dropping of a structure (eg, a door) fixed to the exterior surface from the inside of the cabin. It is possible.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latch 100 should be quickly and easily intercepted, and the better the corrosion resistance, the more advantageous. Therefore, it can be protected from corrosion chemically through the discharge of moisture or surface treatment. The latch 100 and the door assembly including the la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also satisfy these conditions. In particular, it structurally includes features for achieving the above-mentioned purpose. Hereinafter, these featur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10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가 장착된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구조물의 내측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b)는 구조물의 외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ructure equipped with a la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a) is a view showing the inner surface of the structure, Figure 1 (b) is the outer surface of the structure the drawing shown,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구조물(200)에 래치(100)가 결합되고, 상기 래치(100)는 제1구조물(200)로부터 제2구조물(30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고정을 위해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래치(100)가 제2구조물(300)에 대하여 고정력을 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구조물(200) 또는 제2구조물(300)은 도어가 될 수 있다. 도어는 내외부가 연통되도록 개방이 가능한 구조물을 의미하므로, 제1구조물(200)을 의미할 수도 있고 제2구조물(300)을 의미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1A and 1B , a latch 100 is coupled to a first structure 200 , and the latch 100 holds a second structure 300 from the first structure 200 . can be fixed. For this fixing,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latches 100 apply a fixing force to the second structure 300 as shown. Here, the first structure 200 or the second structure 300 may be a door. Since the door means a structure that can be opened so that the inside and outside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t may mean the first structure 200 or the second structure 300 .

한편, 래치(100)의 조작은 내외부가 구분된 공간 중 내측에서 조작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작을 설명하기 위해 보다 구체적인 래치(10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 요구되므로 이하의 도 2를 통해 래치(100)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the latch 100 may be operated from the inside of the space in which the inside and outside are divided. In order to explain such an operation, a more specific description of the structure of the latch 100 is required, and thus, components constituting the latch 10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below.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분해사시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a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래치(100)는 하우징(120), 관절부(110), 회동플레이트(140), 가압부재(117) 및 왕복블럭(130)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우징(120)은 제1구조물(200)에 결합되는 플레이트(121), 관절부(110)가 관통되는 개구부(121a), 가압부재(117)가 인입 및 인출되는 수용부(122)를 포함한다. 나아가, 하우징(120)은 강도향상 및 관절부(110)와의 결합을 위해 보강리브(121b)를 더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2 , the latch 100 includes a housing 120 , a joint part 110 , a rotation plate 140 , a pressing member 117 , and a reciprocating block 130 . Specifically, the housing 120 includes a plate 121 coupled to the first structure 200, an opening 121a through which the joint 110 passes, and a receiving part 122 through which the pressing member 117 is drawn in and out. include Furthermore, the housing 120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rib (121b) for strength improvement and coupling with the joint part (110).

그리고, 관절부(110)는 제1관절(111), 제2관절(112) 및 제3관절(11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은 각각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통해 상기 보강리브(121b)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관절(112)은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과 양단이 각각 연결되어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의 회동범위에 따라 가동범위가 종속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제1관절(111)은 제2구조물(300)을 제1구조물(200)에 가압하는 가압부재(117)와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joint part 110 may include a first joint 111 , a second joint 112 , and a third joint 113 . Here, the first joint 111 and the third joint 113 may be connected to the reinforcing rib 121b through the first fixing pin 111b and the second fixing pin 113a,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second joint 112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joint 111 and the third joint 113, respectively, so that the range of motion is dependent depending on the rotation range of the first joint 111 and the third joint 113. can be determined as In addition, the first joint 111 may be coupled to the pressing member 117 for pressing the second structure 300 to the first structure 200 .

상기 가압부재(117)는 가압헤드(117a), 가압핀(117b) 및 잠금너트(117c)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핀(117b)은 핀 타입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제1관절(111)의 일부를 관통한 단속홀(111a)과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속홀(111a)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래치(100)의 잠금상태(제2구조물(300)을 가압하는 상태)에서의 가압부재(117)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가압부재(117)의 기 결정된 위치가 결정되면 잠금너트(117c)에 의해 가압핀(117b)이 제1관절(111)에 고정될 수 있다.The pressing member 117 may include a pressing head 117a, a pressing pin 117b, and a lock nut 117c. The pressing pin 117b may be formed in a pin type, so that a male screw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be coupled to the intermittent hole 111a penetrating a portion of the first joint 111 . For example, the intermittent hole 111a may be coupled with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With this structure, the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117 in the locked state of the latch 100 (the state in which the second structure 300 is pressed) can be selectively determined. When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pressing member 117 is determined, the pressing pin 117b may be fixed to the first joint 111 by the lock nut 117c.

상기 가압핀(117b)의 일단에는 가압헤드(117a)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압헤드(117a)는 제2구조물(300)을 직접 접촉을 통해 가압을 수행할 수 있다. 가압헤드(117a)는 가압핀(117b)과 유니버셜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구조에 평면인 제2구조물(300)의 표면이 다소 경사지도록 마련되는 경우에도 가압방향(P)으로 면접촉을 통해 제2구조물(300)을 가압고정시킬 수 있다.A pressing head 117a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pressing pin 117b. The pressing head 117a may perform pressing through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structure 300 . The pressing head 117a may be coupled to the pressing pin 117b in a universal joint manner. Even when the surface of the second structure 300, which is flat in the coupling structure, is provided to be slightly inclined, the second structure 300 may be pressed and fixed through surface contact in the pressing direction P.

한편, 제1관절(111)은 제2관절(11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관절(112)에는 제1탄성체(150)가 결합되어, 관절부(110)의 움직임에 따라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관절부(110)는 제1관절(111), 제2관절(112) 및 제3관절(113)이 연동되어 움직이므로, 상기 탄성력은 제1관절(111), 제2관절(112) 및 제3관절(113)에 연동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탄성력은 제2관절(112)과 연결된 제3관절(113)로 전달될 수 있다. 제3관절(113)로 전달된 탄성력은 제3관절(113)을 회동시키며 제 3관절과 연결된 회동플레이트(140)도 함께 회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joint 11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112 . The first elastic body 150 is coupled to the second joint 112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joint part 110 . Since the joint part 110 moves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joint 111 , the second joint 112 and the third joint 113 , the elastic force is the first joint 111 , the second joint 112 and the third joint. It may be transmitted interlockingly to the joint 113 . For example, the elastic force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joint 113 connected to the second joint 112 . The elastic force transmitted to the third joint 113 rotates the third joint 113 and may also rotate the rotation plate 140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상기 회동플레이트(140)는 전술한 연동적인 회동에 의해 수용부(122) 내측으로 일부가 인입될 수 있다. 여기서 인입된 회동플레이트(140)에 의해 수용부(122)에 배치된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을 따라 수용공간(122a)이 연장형성된 방향으로 진입될 수 있다. 여기서, 제2탄성체(131)는 수용공간(122a) 내에서 왕복블럭(130)을 지지하고 있으나 제1탄성체(150)의 탄성력이 제2탄성체(131)의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하여 제2탄성체(131)는 압축되게 된다.The rotation plate 140 may be partially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22 by the above-described interlocking rotation. Here, the reciprocating block 130 disposed in the receiving portion 122 by the retracted rotation plate 140 may enter the receiving space 122a along the receiving space 122a in the extending direction. Here, the second elastic body 131 supports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n the receiving space 122a, but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150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131, so that the second elastic body ( 131) is compressed.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사시도이다.3 and 4 are perspective views of a latch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관절부(110)는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고정이란 고착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되, 위치이동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은 하우징(120)에 형성된 보강리브(121b)를 관통하며 관절부(110)와 결합되는데 관절부(110)의 회동이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중심으로 발생하므로 회전중심인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은 이동하지 않고 회전만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joint part 110 may be fixed by a first fixing pin 111b and a second fixing pin 113a. Here, fixed does not mean sticking, but means that it is rotatably connected, but does not cause positional movement. That is, the first fixing pin 111b and the second fixing pin 113a pass through the reinforcing rib 121b formed in the housing 120 and are coupled to the joint part 110, and the rotation of the joint part 110 is the first fixing pin. (111b) and the second fixing pin (113a) is generated as a center, so that the rotation center of the first fixing pin (111b) and the second fixing pin (113a) does not move means that only rotation occurs.

제1고정핀(111b)은 관절부(110)의 제1관절(111)과 연결되고, 제2고정핀(113a)은 관절부(110)의 제3관절(113)과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관절(112)은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의 회동에 연동되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The first fixing pin 111b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111 of the joint part 110 , and the second fixing pin 113a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113 of the joint part 110 . Accordingly, the second joint 112 is interlocked with the rotation of the first joint 111 and the third joint 113 that are rotated around the first fixing pin 111b and the second fixing pin 113a to generate movement. can

도 4를 참조하면, 제3관절(113)과 회동플레이트(140) 간의 연결은 체결부(140a)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회동플레이트(140)가 플레이트(121)와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된 도 4와 같은 상태는 잠금상태일 수 있다. 반면, 수용공간(122a) 측으로 회동플레이트(140)가 적어도 일부 인입된 상태가 풀림상태일 수 있다. 즉, 제1구조물(200)에 결합공(C)을 통해 체결된 래치(100)는 내부공간이 회동플레이트(140)가 노출된 공간일 수 있고 외부공간이 가압부재(117)가 위치된 공간이 외부공간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 의해 회동플레이트(140)가 조작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가압부재(117)는 제2구조물(300)을 가압하거나 가압을 해제할 수 있다. 물론, 이는 제1구조물(200)에 의해 구획된 서로 다른 공간에 각각의 구성이 위치되는 것을 의미할 뿐 반드시 내외부에 전술한 구성이 위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Referring to FIG. 4 , the connection between the third joint 113 and the rotation plate 140 may be made by being fastened by the fastening part 140a. A state in which the rotation plate 140 is disposed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late 121 as shown in FIG. 4 may be a locked state. On the other hand, a stat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rotation plate 140 is drawn toward the receiving space 122a may be in an unlocked state. That is, in the latch 100 fastened to the first structure 200 through the coupling hole C, the inner space may be a space in which the rotation plate 140 is exposed, and the outer space is a space in which the pressing member 117 is located. This can be an outdoor space. Accordingly, the rotation plate 140 may be operated by the user, and accordingly, the pressing member 117 may press or release the pressure of the second structure 300 . Of course, this only means that each component is located in different spaces partitioned by the first structure 200 , bu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are located inside and outside.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5(a)는 하우징(12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하우징(120)의 사시측 단면도이다.5 is a view showing a housing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 a )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using 120 , and FIG. 5 ( b ) is a perspective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using 120 .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20)은 제1구조물(200)과 결합되도록 관통된 결합공(C)이 복수개 마련되고, 개구부(121a)를 포함한다. 개구부(121a)는 래치(100)가 잠금 상태일때는 제3관절(113) 이 관통되는 위치에 있고, 풀림상태에서는 제2관절(112)이 관통되는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하우징(120)에는 실링부재(142)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121c)가 마련된다. 안착부(121c)는 플레이트(121)로부터 음각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원형으로 형성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Referring to FIG. 5 , the housing 12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C penetrated so as to be coupled to the first structure 200 , and includes an opening 121a. The opening 121a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hrough which the third joint 113 passes when the latch 100 is in the locked state, and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hrough which the second joint 112 passes in the unlocked state. In addition, the housing 120 is provided with a seating portion 121c on which the sealing member 142 can be mounted. The seating portion 121c may be engraved from the plate 121 . As shown, although it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it is not limited thereto.

나아가, 하우징(120)은 수용부(122)를 포함한다. 수용부(122)는 내측에 수용공간(122a)을 형성할 수 있다. 수용공간(122a)은 직선형으로 길게 연장형성되고, 수용공간(122a)으로 왕복블럭(130)이 가압되어 진입될 수 있는데, 왕복블럭(130)은 진입방향을 기준으로 측면이 수용부(122)의 내측면을 슬라이딩하며 진입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housing 120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122 . The accommodating part 122 may form an accommodating space 122a inside. Receiving space (122a) is formed to extend long in a straight line, and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s press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2a) can be entered. It can be entered by sliding the inner surface of the

상기 왕복블럭(130)의 진입은 수용공간(122a)이 폐쇄된 경우에 수용공간(122a)의 압력이 증가하여 왕복블럭(130)이 진입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22a)의 압력을 대기압과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수용공간(122a)의 공기가 수용부(122) 외측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수용부(122)에는 배기공(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배기공(120a)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고,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에 최대로 진입한 경우에도 수용공간(122a)측에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reciprocating block 130 enters the receiving space 122a is closed, the pressure of the receiving space 122a increases, so that the reciprocating block 130 may not enter. Therefore, in order to keep the pressur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equal to atmospheric pressure, the exhaust hole 120a is formed in the accommodation portion 122 so that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22. can One or more exhaust holes 120a may be formed, and even when the reciprocating block 130 enters the receiving space 122a to the maximum, 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122a side.

한편, 수용부(122)는 플레이트(121)로부터 일방향으로 수용공간(122a)을 형성하며 돌출되며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22)가 형성하는 수용공간(122a) 내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회동플레이트(140)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될 수 있다. 이는 제3관절(113)의 회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기 인입이므로, 호 형태의 궤적을 형성하며 수용공간(122a) 내로 회동플레이트(140)가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궤적과의 간섭을 회피하고 수용공간(122a)의 확보를 위한 구조로서 하우징(120)은 플레이트(121)와 수용부(122) 사이에 만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123)을 마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ceiving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plate 121 to form the receiving space (122a) in one direction. At least a portion of the rotating plate 140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2a formed by the receiving part 122 as described above. Since this is the inlet made by the rotation of the third joint 113, the rotation plate 140 can be introduced into the receiving space 122a while forming an arc-shaped trajectory. Therefore, as a structure for avoiding such interference with the trajectory and securing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the housing 120 provides a guide surface 123 formed as a curved surface between the plate 121 and the accommodation portion 122. can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20)을 제외한 래치(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latch 100 excluding the housing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관절부(110)의 일단인 제1관절(111)과 가압부재(117)가 연결되고, 관절부(110)의 타단인 제3관절(113)과 회동플레이트(140)가 결합된다. 회동플레이트(140)는 체결부(140a)를 통해 제3관절(113)과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140a)는 제3관절(113)과 회동플레이트(140) 간의 결합과정에서 실링부재(142) 및 실링가압부(141)를 함께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first joint 111 , which is one end of the joint part 110 , and the pressing member 117 are connected, and the third joint 113 , which is the other end of the joint part 110 , and the rotation plate 140 are coupled. do. The rotation plate 140 may be coupled to the third joint 113 through the fastening portion 140a. The fastening part 140a may couple the sealing member 142 and the sealing pressure part 141 together in the coupling process between the third joint 113 and the rotation plate 140 .

한편, 제2관절(112)은 제1연결핀(112a), 제2연결핀(112b) 및 제3연결핀(1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핀(112a)은 제1관절(111)과 연결되도록 하고, 제3연결핀(112c)은 제3관절(113)과 연결되도록 한다. 제2연결핀(112b)은 제1탄성체(150)의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제1연결핀(112a)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탄성체(150)는 회동에 의해 가동되는 만큼 탄성복원력이 발생하여 탄성력을 직접적으로는 제1관절(111) 및 제2관절(112)로 전달할 수 있고, 간적접으로는 제2관절(112)을 통해 제3관절(113)로 전달할 수 있다.Meanwhile, the second joint 112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pin 112a, a second connection pin 112b, and a third connection pin 112c. The first connection pin 112a is connected to the first joint 111 , and the third connection pin 112c is connected to the third joint 113 . One end of the first elastic body 15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ng pin 112b,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pin 112a. Accordingly, the first elastic body 150 generat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as much as it is moved by rotation, so that the elastic force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first joint 111 and the second joint 112, and indirectly to the second joint. It can be delivered to the third joint 113 through (112).

나아가, 잠금상태 및 풀림상태로의 변경 중에 관절부(110)가 하우징(120)에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관절부(110)는 기구학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는 제2관절(112)이 직선상으로 연장되지 않고 전체연장구간 중에서 절곡 포인트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2관절(112)은 제1연결핀(112a), 제2연결 및 제3연결핀(112c)은 동일선 상에 위치되지 않고 제2연결핀(112b)이 위치한 지점에서 절곡되어 기 결정된 각도만큼 각도이격되어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풀림상태로의 변경 중에 하우징(120)의 개구부(121a)를 관통하면서 이동될 수 있다.Furthermore, the joint part 110 may be mechanically designed so that the joint part 110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ousing 120 during the change to the locked state and the unlocked state. This includes that the second joint 112 does not extend in a straight line and includes a bending point among the entire extension section. For example, the second joint 112 is bent at a point where the first connection pin 112a, the second connection pin, and the third connection pin 112c are not located on the same line and the second connection pin 112b is located. It may be extended by being angularly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angle. Due to this structure, it can move while passing through the opening 121a of the housing 120 during the change to the unlocked state.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잠금 상태에서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래치(100)의 풀림 상태에서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the latch 100 in a lock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side view of the latch 100 in an unlocked st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관절부(110)는 제1고정핀(111b) 및 제2고정핀(113a)을 중심으로 유한한 범위로 회동되는 제1관절(111) 및 제3관절(113)에 의해 움직임이 발생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제1관절(111)은 제1고정핀(111b)을 회전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고, 제3관절(113)은 제2고정핀(113a)을 회전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8에 도시된 풀림상태의 래치(100)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7 and 8, the joint part 110 is a first joint 111 and a third joint 113 which are rotated in a finite range around the first fixing pin 111b and the second fixing pin 113a. ) can cause movement. Based on the state shown in Fig. 7, the first joint 111 may be rotated counterclockwise with the first fixing pin 111b as the center of rotation, and the third joint 113 is the second fixing pin 113a. can be rotated clockwise around the center of rotation. Through this, the shape of the latch 100 in the unlocked state shown in FIG. 8 may be changed.

전술한 관절부(110)의 움직임에 따른 왕복블럭(130)의 이동에 의해 수용공간(122a)은 압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하우징(120)에는 이러한 압축공간 내의 압력을 배기하여 대기압과 동일한 압력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배기공(120a)이 마련될 수 있다. 배기공(120a)은 수용공간(122a)과 수용부(122)의 외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122a may be compressed by the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aforementioned joint portion 110 . The housing 1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n exhaust hole 120a for evacuating the pressure in the compression space to maintain the same pressure as the atmospheric pressure. The exhaust hole 120a may communicate the accommodating space 122a and the external sp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2 .

이러한 구조는 수용부(122)가 배기공(120a)을 제외한 개방측을 통해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는 수용공간(122a) 내부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이 목적이며 수분이 유입되는 경우 저하된 온도에 의해 수용부(122) 내부에서 냉각되어 얼음으로 상태변화되는 경우에,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 내에서의 이동이 어려워진다. 왕복블럭(130)의 이동이 어려워지고 고착된 경우에는 래치의 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므로 제1구조물로부터 제2구조물을 고정하거나 릴리즈시키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의 유입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구조가 될 수 있다.This structure may be a structure in which the receiving part 122 can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through the open side except for the exhaust hole 120a. The purpose of this is to block the inflow of moisture into the accommodating space 122a, and when moisture is introduced into the accommodating part 122 due to the lowered temperature,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s cooled and changed to ice. Movement within this accommodation space becomes difficult. The movement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becomes difficult, and when it is fixed, the operation of the latch becomes impossible, so that it is impossible to fix or release the second structure from the first structure. That is,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it may be a structure for fundamentally blocking the inflow of moisture.

나아가, 항공기의 외장에 본 발명의 래치(100)가 적용된 경우 고도차이가 크게 발생함에 따라 압력차에 의해 온도변화가 비교적 크게 발생하게 되고, 그로 인한 결로현상으로 수용부(122) 내에 수분이 생성될 수 있다. 이러한 수분을 대기압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기공(120a)을 통해 제어함으로써 수분의 발생을 방지하거나, 수분이 발생된 경우에도 복수 개의 배기공(120a)을 통한 환기가 이루어짐에 따라 수분이 환기과정에서 증발되어 제거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latch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exterior of the aircraft, as the height difference occurs, the temperature change is relatively large due to the pressure difference, and moisture is gener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2 due to the dew condensation. can be By controlling such moisture through the exhaust hole 120a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atmospheric pressure, the generation of moisture is prevented, or even when moisture is generated, as ventilation is performed through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120a, moisture evaporates in the ventilation process. and can be removed.

따라서, 이러한 배기공(120a)의 형성위치는 수용부(122) 측(바람직하게는, 왕복블럭(130)의 진입방향 단부측)에 마련될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에 진입되는 방향으로 왕복블럭(130) 측에 관통공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왕복블럭(130)의 진입에 따른 압력의 증가는 방지될 수 있으나 수용공간(122a) 내부에 생성된 수분은 환기되기 어렵게 된다.Accordingly,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exhaust hole 120a may be provided on the receiving portion 122 side (preferably, the entry direction end side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For example, when a through hole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reciprocating block 130 enters the receiving space 122a, an increase in pressure according to the entry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can be prevented. Moisture generated inside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is difficult to ventilate.

나아가, 전술한 왕복블럭(130)의 상기 진입으로 인해 수용공간(122a) 내의 공기가 수용부(122) 외측으로 배출되는 것과 관련하여 이하의 도 9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Furthermore, in relation to the discharge of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portion 122 due to the entry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described above, i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9 below.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플레이트의 가동여부에 따라 왕복블럭(130)의 위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9(a)는 잠금 상태에서 왕복블럭(130)이 가동플레이트에 의해 미가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b)는 풀림 상태에서 왕복블럭(130)이 가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according to whether the movable plate is movab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view showing a state being pressed, Figure 9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s pressed by the movable plate in the released state.

상기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 내측으로 진입되는 경우에는 제2탄성체(131)가 압축되어 탄성력이 발생할 수 있다. 다만, 제1탄성체(150)의 탄성력이 보다 크게 작용하기 때문에 회동플레이트(140)는 지속적으로 왕복블럭(130)을 가압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reciprocating block 130 enters the receiving space 122a, the second elastic body 131 is compressed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However, since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150 acts larger, the rotation plate 140 can maintain a state of continuously pressing the reciprocating block 130 .

반면에 래치(100)가 제2구조물(300)을 가압하고 있는 잠금상태에서는 제2탄성체(131)에 의하여 왕복블럭(130)은 수용공간(122a)의 개방부 측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도 수용공간이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구간과 적어도 일부가 면접촉을 통해 배치되어 수분이나 이물이 수용공간(122a)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locked state in which the latch 100 presses the second structure 300 , the reciprocating block 130 may be located on the open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by the second elastic body 131 . Even in this case, a section in which the receiving space extends in a straight line and at least a part thereof are disposed through a surface contact to prevent moisture or foreign substances from flowing into the receiving space 122a.

도 9를 참조하면, 래치(100)는 잠금상태일 수 있다. 회동플레이트(140)에 의해 왕복블럭(130)이 가압되고 있지 않는 상태이므로, 수용공간(122a)의 개방부 측에 왕복블럭(130)이 제2탄성체(131)에 의해 지지되며 위치될 수 있다. 이때는 제2구조물(300)을 래치(100)가 고정하고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캐빈의 외부와 배기공(120a)을 통해 연통된 하우징(120)의 수용공간(122a)은 제1유로(F1)의 경로로 공기가 이동되며 환기될 수 있다. 이러한 환기는 항공기나 배의 경우에 보다 더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이동에 따른 유체흐름이 발생하되 그 속도가 빠를수록 유입되는 공기량이 많아 환기효율이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 개의 배기공(120a)은 공기흐름을 기준으로 전측 및 후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전측에 배치된 배기공(120a)은 공기 유입을 위한 배기공(120a)으로 기능하고, 후측에 배치된 배기공(120a)은 공기 유출을 위한 배기공(120a)으로 기능한다.Referring to FIG. 9 , the latch 100 may be in a locked state. Since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s not being pressed by the rotating plate 140,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s supported by the second elastic body 131 on the open 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and can be positioned. . In this case, the second structure 300 may be in a state in which the latch 100 is fixed.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of the housing 120 communicated with the outside of the cabin through the exhaust hole 120a may be ventilated by moving air through the path of the first flow path F1. Such ventilation can be more effective than in the case of aircraft or ships. That is, a fluid flow occurs according to movement, but the faster the speed, the greater the amount of air introduced, so ventilation efficiency can be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is effect, the plurality of exhaust holes 120a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based on the air flow. The exhaust hole 120a disposed on the front side functions as an exhaust hole 120a for introducing air, and the exhaust hole 120a disposed on the rear side functions as an exhaust hole 120a for air outflow.

다른 예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외부공기 흐름이 발생하여 강제대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공기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에서는 수직방향으로 거리 이격이 되도록 배치되어 온도차에 의한 자연대류를 유도하는 구조로 복수 개의 배기공(120a)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수용공간(122a) 내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의 아래에 위치된 공기와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의 위에 위치된 공기가 열교환을 통해 혼합되는 과정에서 대류가 발생하고 대류발생에 의해 공기의 이동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배기공(120a)을 통해 수용공간(122a) 내의 공기가 유입유출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a structure in which forced convection is not made due to external air flow occurring and air flow is not made smoothly, the structure i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to induce natural convection due to temperature difference. A plurality of exhaust holes 120a may be disposed. That is, in the process of mixing the air located below the relatively low temperature and the air located above the relatively high temperature in the receiving space 122a through heat exchange, convection occurs, and the movement of air occurs due to the generation of convection. In the proces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flows in and out through the exhaust hole 120a.

한편, 왕복블럭(130)이 이동됨에 따라, 수용공간(122a) 내의 압력은 증가될 수 있는데, 이 때 배기공(120a)을 통해 수용공간(122a) 내부의 공기를 수용부(122)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특히, 도 9(b)를 참조하면, 제2유로(F2)가 형성된 경로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배기공(120a)을 통한 공기의 유출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으면, 회동플레이트(140)가 제1탄성체(150)에 의해 가압되며 수용공간(122a) 내부로 인입되는 것이 지연되므로, 래치(100)에 의한 제2구조물(300)의 릴리즈도 지연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s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s moved, the pressure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may be increased. At this time, the air in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through the exhaust hole 120a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on unit 122 . can be discharged In particular, referring to FIG. 9(b) , air may move in a path in which the second flow path F2 is formed. At this time, if the outflow of air through the exhaust hole 120a is not made immediately or is not sufficiently made, the rotation plate 140 is pressed by the first elastic body 150 and the entry into the receiving space 122a is delayed. Therefore, the release of the second structure 300 by the latch 100 is also delayed.

따라서, 배기공(120a)을 통한 유체통과 단면적은 왕복블럭(130)의 수용공간(122a)으로의 진입속도와 비례하여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유체통과 면적은 배기공(120a)이 형성하는 유체통과 단면적의 총합으로 복수개인 경우에도 각각의 배기공(120a)이 형성하는 유체통과 단면적의 총합이라고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fluid passage through the exhaust hole 120a may be determined in size in proportion to the speed of entry into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 Here, the fluid passage area is the sum of the fluid passage cross-sectional areas formed by the exhaust holes 120a, and can be said to be the sum of the fluid passage cross-sectional areas formed by each exhaust hole 120a even when there are a plurality of them.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기공(120a)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that the exhaust hole (120a) is formed in a tapered shap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을 참조하면, 수용부(122)에 형성된 배기공(120a)은 수용공간(122a) 측에 형성된 지름과 수용부(122)의 외측에 형성된 지름이 상이하도록 배기공(120a)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공간(122a) 측에 형성된 수용부(122) 내벽면 측의 지름인 제1직경(D1)은 수용부(122) 외측인 외표면 측에 형성된 제2직경(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용공간(122a)으로부터 외측으로 배기되는 공기는 유체통과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보다 고압으로 배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공기흐름 방향의 전후측에 마련된 배기공(120a)의 경우 특히 전측에 마련된 배기공(120a)의 경우 마주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극복하고 공기가 원활하게 배기되기 위해 보다 고압으로 배기시키기 위함이다. 또한, 내측에 생성된 수분의 배출을 도모하고 수용부(122) 외표면에 형성된 수분의 유입량을 보다 감소시키기 위함이다.Referring to FIG. 10 , the exhaust hole 120a formed in the accommodating part 122 has a tapered shape so that the diameter formed on the accommodating space 122a side and the diamet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2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can be formed with Specifically, the first diameter (D1), which is the diameter of the inner wall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22 formed on the receiving space (122a) side, is larger than the second diameter (D2) formed on the outer surfac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22. can That is, the air exhausted to the outside from the accommodation space 122a may be exhausted at a higher pressure while reducing the fluid passage cross-sectional area. In this structure, in the case of the exhaust hole 120a provided on the front and back sides of the air flow dire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xhaust hole 120a provided on the front side, the air flow can be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and in order to overcome this, the air is smoothly exhausted. This is for exhausting at a higher pressure. In addition, this is to promote the discharge of moisture generated inside and to further reduce the amount of moistu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art 122 .

또한, 왕복블럭(130)이 수용공간(122a)으로 최대로 진입한 경우에도 배기공(120a)이 유효하게 기능하기 위하여 왕복블럭(130)의 최대진입거리(E)보다 더 진입방향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왕복블럭(130)의 최대진입 시에도 수용공간(122a)에 노출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even when the reciprocating block 130 enters the accommodating space 122a to the maximum, the exhaust hole 120a is provided on the entry direction side more than the maximum entry distance E of the reciprocating block 130 in order to function effectively. can be That is, 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exposed to the receiving space 122a even when the reciprocating block 130 enters the maximum.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100 : 래치 110 : 관절부
111 : 제1관절 111a : 단속홀
111b : 제1고정핀 112 : 제2관절
112a : 제1연결핀 112b : 제2연결핀
112c : 제3연결핀 113 : 제3관절
113a : 제2고정핀 117 : 가압부재
117a : 가압헤드 117b : 가압핀
117c : 잠금너트 120 : 하우징
120a : 배기공 121 : 플레이트
121a : 개구부 121b : 보강리브
121c : 안착부 122 : 수용부
122a : 수용공간 123 : 가이드면
130 : 왕복블럭 131 : 제2탄성체
140 : 회동플레이트 140a : 체결부
140b : 체결공 141 : 실링가압부
142 : 실링부재 150 : 제1탄성체
200 : 제1구조물 300 : 제2구조물
C : 결합공 F1 : 제1유로
F2 : 제2유로 P : 가압방향
D1 : 제1직경 D2 : 제2직경
E : 진입거리
100: latch 110: joint part
111: joint 1 111a: intermittent hole
111b: first fixing pin 112: second joint
112a: first connection pin 112b: second connection pin
112c: 3rd connection pin 113: 3rd joint
113a: second fixing pin 117: pressing member
117a: press head 117b: press pin
117c: lock nut 120: housing
120a: exhaust hole 121: plate
121a: opening 121b: reinforcing rib
121c: seating part 122: receiving part
122a: accommodation space 123: guide surface
130: reciprocating block 131: second elastic body
140: rotation plate 140a: fastening part
140b: fastening hole 141: sealing pressure part
142: sealing member 150: first elastic body
200: first structure 300: second structure
C: coupling hole F1: first flow path
F2: second flow path P: pressurization direction
D1: first diameter D2: second diameter
E: entry distance

Claims (22)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상기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상기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상기 관절부의 타단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기 인입에 의해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a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structure and including an accommodating part for providing an accommodating space;
a joint par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fixing pi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rotate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structure toward the first structure by the elastic force at one end of the joint part;
a rotation plate that is drawn in or drawn out into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rotated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part; and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including; a reciprocating block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plate by the retrac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기 인출 시에 상기 왕복블럭을 원점으로 복귀시키는 제2탄성체를 더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body for returning the reciprocating block to the origin when the rotation plate is withdrawn.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탄성체의 탄성력은 상기 제2탄성체의 탄성력보다 크게 작용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wherein the elastic force of the first elastic body is greater than the elastic force of the second elastic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관절부의 일부는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나머지 일부는 타측면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관절부의 일부가 삽입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using is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including an opening into which a part of the joint part is inserted so that a part of the joint part is expos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the other part is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둘레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일측면 및 상기 타측면 간에 유체의 유입을 차단하는 실링부를 더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It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perimeter of the opening,
The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further comprising a sealing part on at least one of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to block the inflow of the fluid between th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a locked st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제1관절;
상기 하우징의 타측면으로 노출되고 상기 회동플레이트와 연결되는 제3관절; 및
상기 제1관절 및 상기 제3관절을 연결하는 제2관절;을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joint part,
a first joint expos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pressing member;
a third joint exposed to the other side of the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rotation plate; and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including; a second joint connecting the first joint and the third join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관절은,
상기 제1관절로부터 상기 제3관절로 연장되는 연장구간 중 연장방향이 절곡되는 절곡점을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econd joint is
A latch for fixing a door structure including a bending point at which an extension direction is bent among an extension sec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joint to the third join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수용공간으로의 인입시에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이동궤적을 따라 만곡면으로 형성된 가이드면을 포함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eceiving unit,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including a guide surface formed as a curved surface along the movement trajectory of the rotation plate when the rotation plate enters the accommodation spa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은,
상기 왕복블럭의 측면과 슬라이드되며 상기 왕복블럭이 직선왕복운동될 수 있도록 일방향을 향해 직선연장되는, 도어 구조물을 고정시키는 래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 latch for fixing the door structure, which slides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reciprocating block and extends linearly in one direction so that the reciprocating block can linearly reciprocate.
제1공간 및 제2공간을 구획하고, 설치공이 형성된 제1구조물;
상기 제1공간 및 제2공간 중 하나에 위치되어, 제1구조물에 접촉되도록 배치되는 제2구조물; 및
상기 설치공에 설치되고, 상기 제1구조물로부터 상기 제2구조물을 가압고정시키는 래치;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는,
상기 제1구조물에 연결되고, 수용공간을 마련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고정핀으로 연결되고, 서로 복수 개의 연결핀으로 연결된 복수 개의 관절구조를 포함하는, 관절부;
상기 복수 개의 연결핀에 양단이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제1탄성체;
상기 관절부의 일단에서 상기 탄성력에 의해 제2구조물을 상기 제1구조물 측으로 가압지지하는 가압부재;
상기 관절부의 타단에서 상기 복수 개의 관절구조가 회동시에 상기 수용공간 내측으로 인입 또는 인출이 되는 회동플레이트; 및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상기 인입에 의해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수용공간의 내측으로 이동하는 왕복블럭;을 포함하는, 도어 어셈블리.
a first structure partitioning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having an installation hole;
a second structure positioned in one of the first space and the second space and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structure; and
a latch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and pressurizing and fixing the second structure from the first structure; and
the latch,
a housing connected to the first structure and including an accommodating part for providing an accommodating space;
a joint part connected to the housing and a fixing pin,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lurality of connecting pins;
a first elastic body having both ends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onnection pins to generate an elastic forc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rotated;
a pressing member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econd structure toward the first structure by the elastic force at one end of the joint part;
a rotation plate that is drawn in or drawn out into the receiving space when the plurality of joint structures are rotated at the other end of the joint part; and
A reciprocating block that is pressed by the rotation plate by the retraction of the rotation plate and moves to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on sp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54571A 2020-11-18 2020-11-18 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KR1024277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571A KR102427798B1 (en) 2020-11-18 2020-11-18 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571A KR102427798B1 (en) 2020-11-18 2020-11-18 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858A KR20220067858A (en) 2022-05-25
KR102427798B1 true KR102427798B1 (en) 2022-07-29

Family

ID=81800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571A KR102427798B1 (en) 2020-11-18 2020-11-18 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798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9585A1 (en) 2015-11-10 2017-05-11 Airbus Operations Gmbh Aircraft do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753B1 (en) 2001-09-18 2003-09-29 한국항공우주산업 주식회사 Latch for quick access door of aircraft
US11111705B2 (en) * 2018-12-18 2021-09-07 Rohr, Inc. Latch having shear load carrying capabilit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29585A1 (en) 2015-11-10 2017-05-11 Airbus Operations Gmbh Aircraft door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67858A (en) 2022-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31187B2 (en) Out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and housing thereof
US6302453B1 (en) Bi-directional handle and latch assembly
US4068510A (en) Double cylinder safety lock
CN1751165B (en) Adjustable width coupler latch lock
US6988752B2 (en) Pinless inside door handle assembly
CN104806089A (en) Door latch assembly for motor vehicles
US7448656B1 (en) Dual action structural latch
KR102427798B1 (en) Latch that can be fixed door structure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US10890019B2 (en) Reversible electric door lock
US20060028057A1 (en) Locking mechanism with rotatable features
KR102427802B1 (en) Latch comprising blocking structure of inflow and door assembly comprising the same
CN113557345A (en) Hinge lock
US5971448A (en) Door lock assembly for automotive vehicles
CN111201360B (en) Folding door with door lock
JP2006230696A (en) Locking device of game machine
KR20020015823A (en) An automotive door having the structure of anti-robbery
US20040182617A1 (en) Pivot lock
KR100834212B1 (en) Door latch of sliding door improved connecting structure
CN214524372U (en) Multifunctional nacelle cover mechanism
KR200197619Y1 (en) Disk drive sliding case system
KR101405423B1 (en) Lever type door lock
JP2007107197A (en) Auxiliary lock for door
US20200300001A1 (en) Aircraft door latch apparatus and related methods for use of the same
US20230048007A1 (en) Modular latch system
KR200410521Y1 (en) Lock adjustment device for airtight do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