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728B1 -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728B1
KR102427728B1 KR1020210065455A KR20210065455A KR102427728B1 KR 102427728 B1 KR102427728 B1 KR 102427728B1 KR 1020210065455 A KR1020210065455 A KR 1020210065455A KR 20210065455 A KR20210065455 A KR 20210065455A KR 102427728 B1 KR102427728 B1 KR 102427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hase
gain
electronic device
mod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54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건섭
우병석
허종완
이성재
황기민
Original Assignee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방과학연구소 filed Critical 국방과학연구소
Priority to KR10202100654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7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7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85Space-based or airborne stations; Stations for satellite systems
    • H04B7/1851Systems using a satellite or space-based relay
    • H04B7/18519Operations control, administration or maintena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2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 H04B1/123Neutralising, balancing, or compensation arrangements using adaptive balancing or compensa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개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널링(nulling) 패턴은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OPERATING METHOD FOR ELECTRONIC APPARATUS FOR PROCESSING INTERFERENCE SUPRRESSED SIGNAL USING HIGER ORDER SIGNAL AND ELECTRONIC APPARATUS SUPPORTING THEREOF}
본 발명은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과 위상을 제어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 및 이의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세대 통신 시스템에서는 고속의 전송 속도를 가지는 다양한 서비스들을 사용자들에게 제공하기 위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차세대 통신 시스템의 일 예로 제안된 위성 통신 시스템은, 복수의 위성 및 복수의 서비스 영역들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복수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단말들은 상기 위성 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고속의 다양한 서비스들을 제공받을 수 있다.
하지만 위성 통신 시스템이 복수의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단말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각 서비스 영역들 간에 간섭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영역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의 위성들 간 또는 상기 각 서비스 영역 내에 존재하는 복수의 단말들 간에도 간섭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위성 통신 시스템을 구성하는 복수의 위성들이 인접해 있는 경우, 인접한 위성을 통해 위성 통신에 기반한 서비스를 제공 받으려는 단말들에서 큰 간섭이 발생하며, 이러한 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해 서비스 영역 별로, 단말 별로, 또는 위성 빔 별로 한정된 자원을 분할, 예컨대 주파수를 분할하여 사용하는 방안이 제안될 수 있다.
관련하여 KR10207559B1 건 등의 선행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전자 장치가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과 위상의 제어를 통해 특정한 널링 패턴이 형성된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간섭의 영향이 경감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은, 신호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가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널링(nulling) 패턴은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에 기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신호는 기본 모드 신호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합 또는 차 연산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제1 비콘(beacon)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제2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간섭과 관련된 널 포인트(null point)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널 포인트는 상기 제1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합 연산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널 포인트는 상기 제1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차 연산에 기반하여 판단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간섭과 관련된 널 포인트(null point)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널링 패턴이 상기 널 포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상기 널 포인트는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가장 큰 각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프로세서 (processor);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널링(nulling) 패턴은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processor);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instruction) 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memory)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널링(nulling) 패턴은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들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이 반영된 여러 가지 실시예들이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이하 상술할 상세한 설명을 기반으로 도출되고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 장치가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과 위상의 제어를 통해 특정한 널링 패턴이 형성된 신호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간섭의 영향을 경감시킨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수신부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이득 및 위상 조정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차 모드 신호의 이득 및 위상 조정에 따라 형성되는 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 특징들을 결합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구성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도면에 대한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의 요지를 흐릴 수 있는 절차 또는 단계 등은 기술하지 않았으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수준에서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절차 또는 단계는 또한 기술하지 아니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사용되는 특정(特定) 용어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이 구현될 수 있는 신호 처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들에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 처리 시스템은 셀(1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 또는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셀(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는, 단말(User Equipment), 위성(Satellite), 기지국(Base Station),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 또는 네트워크 노드(Network Node) 등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통신 노드 중 하나 또는 일부를 의미할 수 있다. 즉, 도 1의 신호 처리 시스템은 각종 통신 노드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본 개시에서 신호 처리 시스템의 주체로서 기술하는 통신 노드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사용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신호 처리 시스템은 셀(1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와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 사이에 구현되거나, 또는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복수의 통신 노드들에 해당하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 사이에 구현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셀(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는 각각의 장치에 구현된 신호 처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바에 국한되지 않고, 더 다양한 전자 장치와 서버들에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셀(1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는, 복수 개의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와 무선 및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대단위의 저장 용량을 갖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장치들이 셀(1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는, 복수 개의 셀(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와 무선 및 유선 통신을 수행하며, 일정한 저장 용량을 갖는 스토리지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는 데스크탑 피시, 태블릿 피시, 모바일 단말 등의 개인 사용자에 의해 이용될 수 있는 장치일 수 있다. 이외에도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다른 전자 장치들이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로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은 그 동작을 위한 다양한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모듈들은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현되는(또는, 물리적 장치에 포함되는) 물리적 장치(예: 셀(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를 포함한 통신 노드)가 지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현된 컴퓨터 코드 내지는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instruction) 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현되는 물리적 장치는 복수 개의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복수 개의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복수 개의 모듈들은 물리적 장치가 복수 개의 모듈들에 대응하는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시스템은 그 동작을 위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처리 시스템에 포함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현되는(또는, 물리적 장치에 포함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 및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호 처리 시스템이 구현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매체에 저장되고,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지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프로세서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노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셀(100) 또는 사용자 장치(200)로 대표되는 통신 노드는 입/출력부(210), 통신부(220), 스토리지(230) 및 프로세서(240)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사용자 입력을 받거나 또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출력하는 각종 인터페이스나 연결 포트 등일 수 있다. 입/출력부(210)는 입력 모듈과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는데, 입력 모듈은 사용자로부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사용자 입력은 키 입력, 터치 입력, 음성 입력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을 받을 수 있는 입력 모듈의 예로는 전통적인 형태의 키패드나 키보드, 마우스는 물론,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 센서,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영상 인식을 통해 제스처 등을 인식하는 카메라, 사용자 접근을 감지하는 조도 센서나 적외선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근접 센서,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을 통해 사용자 동작을 인식하는 모션 센서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거나 입력받는 다양한 형태의 입력 수단이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입력 모듈은 위에 나열한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 패널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이나 터치 필름을 통해 터치를 감지하는 압전식 또는 정전식 터치 센서, 광학적인 방식에 의해 터치를 감지하는 광학식 터치 센서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외에도 입력 모듈은 자체적으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장치 대신 사용자 입력을 입력 받는 외부의 입력 장치를 연결시키는 입력 인터페이스(USB 포트, PS/2 포트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 출력 모듈은 각종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 모듈은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 진동을 발생시키는 햅틱 장치 및 그 외의 다양한 형태의 출력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출력 모듈은 상술한 개별 출력 수단을 연결시키는 포트 타입의 출력 인터페이스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 형태의 출력 모듈은 텍스트, 정지 영상,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Liquid Crystal Display),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디스플레이, 평판 디스플레이(FPD: Flat Panel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transparent display), 곡면 디스플레이(Curved Display),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holographic display), 프로젝터 및 그 외의 영상 출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입력 모듈의 터치 센서와 일체로 구성된 터치 디스플레이의 형태일 수도 있다.
통신부(220)는 다른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노드(100 또는 200)는 통신부를 통해 다른 장치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노드(100 또는 200)는 통신부를 이용해 상호 간 통신을 수행하거나, 기타 다른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 즉 데이터의 송수신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는 LAN(Local Area Network)를 통해 인터넷 등에 접속하는 유선 통신 모듈, 이동 통신 기지국을 거쳐 이동 통신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이동 통신 모듈, 와이파이(Wi-Fi) 같은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이나 블루투스(Bluetooth), 직비(Zigbee)와 같은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계열의 통신 방식을 이용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 GPS(Global Positioning System)과 같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을 이용하는 위성 통신 모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토리지(230)는 각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임시적으로 또는 반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노드(100 또는 200)의 스토리지에는 통신 노드(100 또는 200)를 구동하기 위한 운용 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웹 사이트를 호스팅하기 위한 데이터나 점자 생성을 위한 프로그램 내지는 어플리케이션(예를 들어, 웹 어플리케이션)에 관한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또, 스토리지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모듈들을 컴퓨터 코드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스토리지(230)의 예로는 하드 디스크(HDD: 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rive), 플래쉬 메모리(flash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스토리지는 내장 타입 또는 탈부착 가능한 타입으로 제공될 수 있다.
프로세서(240)는 통신 노드(100 또는 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40)는 각종 정보의 연산 및 처리를 수행하고 통신 노드(100 또는 200)의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40)는 신호 처리를 위한 프로그램 내지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을 것이다. 프로세서(240)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에 따라 컴퓨터나 이와 유사한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프로세서(240)는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회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하드웨어적인 프로세서(240)를 구동시키는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에는 통신 노드(100 또는 200)의 동작은 프로세서(24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즉, 상술한 신호 처리 시스템에 구현되는 모듈들이 실행되는 경우, 모듈들은 프로세서(240)가 통신 노드(100 또는 200)를 이하의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요약하면, 다양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양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하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기반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내용들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정의되지 않은 동작, 기능, 용어 등은 앞서 설명한 내용들에 기반하여 수행되고 설명될 수 있다.
위성 통신은 지상 단말이 위성 중계기를 거쳐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통신 시스템을 의미한다. 고층 대기권 및 우주에는 수많은 위성이 정해진 궤도에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사용 주파수 역시 동일한 경우가 많아, 지상 단말이 위성으로 전파를 송수신하는데 있어 전파 간섭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단말이 위성을 통한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인접 위성의 통신으로 인한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며, 특히 이동 단말의 경우 소형화를 위해 안테나 반사판의 크기를 줄임에 따라 빔 폭이 넓어져 전파 간섭의 발생률이 높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필요할 수 있다.
간섭을 억제하기 위한 기존의 방법으로서, 편파를 달리 구성하여 편파 분리도를 통해 인접 위성에 의한 간섭 신호를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법은 동일한 편파를 사용하는 인접 위성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인접 위성에 의한 간섭 신호를 분리하기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에서는 동일한 편파를 사용하는 인접 위성이더라도, 단말이 한 개의 안테나 반사판으로 기본 모드 신호와 고차 모드 신호를 생성하고 두 신호의 진폭(이득)과 위상을 활용하여 빔 패턴에서 원하는 각도에 널링(nulling)을 형성하는 방안을 통해, 파라볼릭 안테나의 빔 패턴에 대해 간섭을 억제하기 위해 특정 각도에 널링이 형성된 널링 패턴을 생성하여 인접 위성의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이하의 본 개시에서는, 전자 장치가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위상과 이득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특정한 널링 패턴(nulling pattern)이 형성되어 간섭의 영향이 억제되는 신호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신 노드에 해당하는 전자 장치가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함을 전제로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를 위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는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제1 신호는 기본 모드 신호에 해당하는 신호일 수 있으며, 제2 신호는 상기 기본 모드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고차 모드 신호에 해당하는 신호일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는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의 수신을 전 주파수 대역에 걸쳐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기본 모드 신호는 안테나의 기본 모드 방사 패턴에 따라 여기되는 신호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기본 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안테나가 지향하는 방향은 기본 모드 신호에 대한 수신 세기가 최대가 되는 방향일 수 있다. 또한 고차 모드 신호는 전자 장치의 안테나의 빔 축이 위성 방향으로부터 벗어났을 때 전자 장치 내 급전혼조립체로 여기되는 신호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상기 전자 장치의 수신부를 통해 기본 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내에 구비된 급전혼조립체를 통해 고차 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자 장치는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처리 장치들을 상기 전자 장치 내에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전자 장치 내에서 수신된 기본 모드 신호와 고차 모드 신호가 처리되는 경로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도 4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때 도 4에 도시된 빔 패턴은, 전자 장치의 안테나 빔 축이 통신 노드의 안테나 빔 축과 일치된 경우에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일 수 있다. 도 4에서 기본 모드 신호의 빔 패턴은 Sum pattern으로, 고차 모드 신호의 빔 패턴은 Difference pattern으로 표시되어 있다.
동작 301에서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의 빔 패턴은 도 4에 개시된 빔 패턴의 예시와 같을 수 있으며, 전자 장치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을 위한 이득 및 위상을 제어하여,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의 합 또는 차 연산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의 널링을 구현하는 등 합 또는 차 연산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을 조절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303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의 조정은, 전자 장치 내 고차 모드 신호의 처리 경로에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와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를 배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이득 증폭기는 제어 전압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이득을 변환시키는 증폭기를 의미하며, 위상 변환기는 일정한 주파수에 따라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위상을 변환시키는 변환기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 내 가변 이득 증폭기 및 위상 변환기와 이를 통해 조정되는 제2 신호의 이득 및 위상은, 전자 장치 내 비콘(beacon) 수신 장치를 통해 제어 및 감시될 수 있다.
동작 301에 따라 전자 장치가 획득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비콘 신호로 변환될 수 있으며, 제1 신호 및 제2 신호 각각에 대한 비콘 신호의 합 또는 차 연산에 기반하여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의 조정이 제어 및 감시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수신된 제1 신호 및 제2 신호는 전자 장치 내에서 비콘 신호 대역을 필터링하기 위한 비콘 하향 변환 조립체로 전달될 수 있으며, 비콘 신호 대역에 따라 필터링된 신호가 비콘 수신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즉, 제1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 및 제2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가 전자 장치 내 비콘 수신 장치로 전달될 수 있으며, 비콘 수신 장치는 해당 비콘 신호들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합 또는 차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각 비콘 신호에 대한 합 또는 차 연산에 따라 획득되는 결과에 기반하여, 전자 장치는 신호 생성을 위한 간섭과 관련된 피크(peak) 및 널(null) 각도에 대응되는 널 포인트(null point)를 판단하고, 최종적으로 처리할 신호의 빔 패턴에 대해 특정 각도를 널링 하여 널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해 제2 신호를 대상으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동작은, 신호 생성을 위한 간섭과 관련된 피크 및 널 각도에 대응되는 널 포인트를 판단하고, 생성된 신호가 상기 널 포인트를 포함하는 널링 패턴을 가지도록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생성된 신호가 가지는 널링 패턴에 포함된 널 포인트는, 상기 생성된 신호에 대한 인접 통신 노드로부터의 간섭이 가장 큰 각도에 해당할 수 있으며, 해당 각도에서의 널을 형성함에 따라 전자 장치는 신호를 수신할 때에 인접 통신 노드로부터 발생하는 가장 큰 간섭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동작 305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신호는 제1 신호 및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제2 신호를 합 또는 차 연산한 신호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는 동작 301에 따라 수신한 제1 신호와, 동작 301에 따라 수신하여 동작 303에 따라 이득 및 위상이 제어된 제2 신호를 합 또는 차 연산한 신호를 최종 처리 대상의 신호로서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및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제2 신호를 합 또는 차 연산하여 제3 신호를 생성하는 동작은, 전자 장치 내 기본 모드 신호의 처리 경로에 신호 결합기(combiner)를 배치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즉, 고차 모드 신호의 처리 경로를 통해 처리되는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진 제2 신호는, 기본 모드 신호의 처리 경로에 배치된 신호 결합기로 전달되어 기본 모드 신호인 제1 신호와 합 또는 차 연산하여 제3 신호로 생성되고, 제3 신호는 전자 장치 내 모뎀(modem)으로 전달될 수 있다. 모뎀으로 전달되는 제3 신호는 기본 모드 신호와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고차 모드 신호의 합 또는 차 연산을 통해 공간적으로 특정 각도가 널링 된 널 포인트를 포함한 널링 패턴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으며, 따라서 인접 위성의 전파 간섭을 억제할 수 있는 널링 패턴을 가지는 신호일 수 있다.
도 5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수신부 블록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서, 전자 장치는 외부의 통신 노드 등으로부터 기본 모드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 내에 구비된 급전혼조립체를 통해 고차 모드 신호 역시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는 서로 다른 신호 처리 경로를 통해 처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자 장치는 일반적인 수신 신호 처리 경로를 통해 기본 모드 신호를 처리하되, 기본 모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처리 경로에 스플리터(splitter)를 구비하고 기본 모드 신호를 비콘 하향 변환 조립체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일반적인 수신 신호 처리 경로를 통해 고차 모드 신호를 처리하되,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을 제어하는 가변 이득 증폭기(variable gain amplifier)와 위상을 제어하는 위상 변환기(phase shifter)를 구비하고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처리 경로에 스플리터를 구비하여 이득과 위상에 제어된 고차 모드 신호를 비콘 하향 변환 조립체로 전달할 수 있다.
도 5에서 각 처리 경로의 스플리터를 통해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가 비콘 하향 변환 조립체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획득된 기본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비콘 신호들이 비콘 수신 장치로 전달될 수 있다. 비콘 수신 장치는 각 비콘 신호들에 대한 합 또는 차 연산을 통해 간섭 억제를 위한 피크 및 널 각도에 대응되는 널 포인트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정 널 포인트를 형성하기 위한 이득과 위상의 조정을 제어 및 감시할 수 있다.
도 6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신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이득 및 위상 조정에 대한 수학적 모델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을 조정하고 위상을 조정하여, 이득과 위상이 조정된 고차 모드 신호를 기본 모드 신호와 합 또는 차 연산하고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생성하여 처리하는 수학적 모델링을 포함한다. 도 6에서, 전자 장치가 수신하는 고차 모드 신호는 수학식 1과 같이 특정한 이득 및 특정한 위상을 가진 신호일 수 있다.
[수학식 1]
I_h + jQ_h
이 때 전자 장치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을 G 배로 조정하여 수학식 2와 같은 신호를 획득할 수 있으며,
[수학식 2]
G*I_h + G*jQ_h
수학식 2와 같이 획득된 신호에 대한 위상을
Figure 112021058621122-pat00001
도 만큼 조정하기 위해 획득된 신호에
Figure 112021058621122-pat00002
를 곱하여, 수학식 3과 같은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수학식 3]
Figure 112021058621122-pat00003
수학식 3의 형태를 가진 고차 모드 신호는 이득이 G 배 만큼, 위상이
Figure 112021058621122-pat00004
도 만큼 조정된 신호에 해당하며,
[수학식 4]
I_f + jQ_f
전자 장치는 이득과 위상이 조정된 수학식 3의 신호를 수학식 4의 기본 모드 신호와 합 또는 차 연산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전자 장치가 생성하는 간섭이 억제된 신호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라 특정한 널 포인트를 포함하는 널링 패턴이 형성된 신호일 수 있으며, 형성되는 널 포인트는 인접 위성으로부터의 간섭이 가장 센 각도에 해당하는 지점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전자 장치는 인접 위성으로부터의 간섭이 가장 센 각도에서의 간섭 영향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도 7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고차 모드 신호의 이득 및 위상 조정에 따라 형성되는 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기 전, 일반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를 합산한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a)에서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기 전 합산된 신호는 실선으로 표시된 패턴을 가지며, 5도에 널 포인트가 포함된 널링 패턴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b)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만을 조정한 후, 일반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를 합산한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에서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을 3dB 만큼 증가시킨 조정 후 합산된 신호는 실선으로 표시된 패턴을 가지며, 4도에 널 포인트가 포함된 널링 패턴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c)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한 후, 일반 모드 신호 및 고차 모드 신호를 합산한 신호에 대한 빔 패턴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 7(b)에서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을 3dB 만큼 증가시키고 위상을 40도 만큼 감소시킨 조정 후 합산된 신호는 실선으로 표시된 패턴을 가지며, 3도에 널 포인트가 포함된 널링 패턴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7(a) 내지 도 7(c)의 예시를 통해,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제어함에 따라 서로 다른 피크 및 널 각도에 대응되는 널 포인트가 형성되고, 그에 따라 각 신호에 대응하는 널링 패턴이 다르게 형성됨을 파악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고차 모드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제어하여 원하는 각도에 대응되는 널 포인트가 포함된 널링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한 전자 장치가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따르면, 인접 위성에 의해 간섭이 발생하는 빔 패턴의 각도를 파악하는 경우, 전자 장치는 처리 대상이 될 수신 신호의 빔 패턴에 대해 원하는 각도에 널 포인트가 형성된 널링 패턴을 생성하여 전파 간섭을 억제하거나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가 소형 단말에 해당하는 경우, 수신 신호에 대한 간섭량을 줄여 안테나 반사판의 크기를 줄임에 따라 빔 폭이 넓어져 전파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신호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 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 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 등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 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 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이와 같은 메모리 또는 컴퓨터를 포함한 차량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전자 장치가 신호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널링(nulling) 패턴은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신호 처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는 기본 모드 신호인,
    신호 처리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합 또는 차 연산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신호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제1 비콘(beacon)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제2 비콘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간섭과 관련된 널 포인트(null point)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널 포인트는 상기 제1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합 연산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신호 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널 포인트는 상기 제1 비콘 신호 및 상기 제2 비콘 신호의 차 연산에 기반하여 판단되는,
    신호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간섭과 관련된 널 포인트(null point)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널링 패턴이 상기 널 포인트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호 처리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널 포인트는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간섭의 크기가 가장 큰 각도인,
    신호 처리 방법.
  9.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있어서,
    프로세서 (processor); 및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명령어들은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가: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널링(nulling) 패턴은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0.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processor); 및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 (instruction) 을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메모리 (memory) 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통신 노드(node)로부터 전송되는 제1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고차 모드 신호인 제2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이득 및 위상을 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을 가지는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제3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도록 상기 프로세서를 제어하고,
    상기 제3 신호에 대한 널링(nulling) 패턴은 상기 조정된 이득 및 위상에 기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210065455A 2021-05-21 2021-05-21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27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55A KR102427728B1 (ko) 2021-05-21 2021-05-21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5455A KR102427728B1 (ko) 2021-05-21 2021-05-21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728B1 true KR102427728B1 (ko) 2022-08-01

Family

ID=8284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5455A KR102427728B1 (ko) 2021-05-21 2021-05-21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72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5785A1 (en) * 2004-06-10 2005-12-29 Harris Corporation,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phased array antenna providing nulling and related methods
JP2009278368A (ja) * 2008-05-14 2009-11-26 Panasonic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10118385A (ko) * 2010-04-23 2011-10-31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 방향으로 널을 형성하는 위상배열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7134A (ko) * 2013-07-10 2015-01-20 국방과학연구소 다중모드 모노펄스 신호 수신을 위한 단일 출력 채널 저잡음 증폭 장치 및 그 장치의 출력 방법
KR101554287B1 (ko) * 2014-05-23 2015-09-18 국방과학연구소 파일럿 신호를 이용한 다중모드 모노펄스 안테나용 진폭 위상 보정 장치
KR101773481B1 (ko) * 2016-06-08 2017-08-31 국방과학연구소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85785A1 (en) * 2004-06-10 2005-12-29 Harris Corporation,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Communications system including phased array antenna providing nulling and related methods
JP2009278368A (ja) * 2008-05-14 2009-11-26 Panasonic Corp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KR20110118385A (ko) * 2010-04-23 2011-10-31 국방과학연구소 재밍 신호 방향으로 널을 형성하는 위상배열안테나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50007134A (ko) * 2013-07-10 2015-01-20 국방과학연구소 다중모드 모노펄스 신호 수신을 위한 단일 출력 채널 저잡음 증폭 장치 및 그 장치의 출력 방법
KR101554287B1 (ko) * 2014-05-23 2015-09-18 국방과학연구소 파일럿 신호를 이용한 다중모드 모노펄스 안테나용 진폭 위상 보정 장치
KR101773481B1 (ko) * 2016-06-08 2017-08-31 국방과학연구소 위상배열 안테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1467B1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무선 신호 송신 방법
KR102505071B1 (ko) 전자 장치의 상태에 기반하여 빔포밍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US20170061953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ancelling noise using plurality of microphones
US11665654B2 (en) Electronic device and bandwidth adaptation-based power control method in electronic device
US10028050B2 (en) Speaker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31401B2 (en) Terminal detection method and terminal
WO2016188394A1 (zh) 降噪方法、降噪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WO2016188379A1 (zh)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终端、存储介质
US20150381238A1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 activity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20180151169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210313682A1 (en) Method for adjusting phase of signal to be input to multiple antennas, and electronic device implementing method
US2016037046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time-of-flight calculations using distributed light sources
KR102500149B1 (ko) 빔 폭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180102751A (ko) 빔포밍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 및 동작 방법
KR10261055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배치하는 장치 및 방법
US9467794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dio channel setup
KR102427728B1 (ko) 고차 모드 신호를 이용하여 간섭이 억제된 신호를 처리하는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9294140B2 (en) Radio frequency interference mitigation
CN112492505A (zh) 一种位置信息获取方法及电子设备
CN112104384B (zh) 用于优化天线的性能的电子装置的结构及其方法
JP6482876B2 (ja) 異種アンテナからの同時のヌリングおよびビーム集束
GB2608216A (en) Unlocking and/or awakening device based on ultra-wideband location tracking
BR102013032020A2 (pt) antenas em fase, acústicas, integradas
JP2014220676A (ja) 光空間通信システム、通信局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10036632B2 (en) System to perform radio frequency interferometry using optical fiber sensing signal processing techniqu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