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7449B1 -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 Google Patents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7449B1
KR102427449B1 KR1020210031564A KR20210031564A KR102427449B1 KR 102427449 B1 KR102427449 B1 KR 102427449B1 KR 1020210031564 A KR1020210031564 A KR 1020210031564A KR 20210031564 A KR20210031564 A KR 20210031564A KR 102427449 B1 KR102427449 B1 KR 1024274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p
seating
space
seated
sea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도균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31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744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74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74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63Receptacles adapted to store one or more piles of used stackable containers, e.g. beverage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B65F1/1638Electromechanically operated 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a disposable cup and, more specifically, to an apparatus for collecting a disposable cup, which separates and stores a drink and a cup. The apparatus for collecting a disposable cup comprises: a housing unit having a movement guide pipe formed therethrough to guide the movement of a cup toward an inner space thereof; a seating unit having a seating space for seating the cup passing through the movement guide pipe, and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up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 hole forming unit for forming a hole in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by position movement; a rotating unit for limiting the rise of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or dropping the cup by rotation; an accommodating unit having a liquid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liquid flowing in the seating space and a cup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the cup falling from the seating space; and a water purification unit for filtering out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liquid accommodating space, through a filter and supplying the same to the movement guide pipe.

Description

일회용 컵 수거 장치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본 발명은 일회용 컵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와 컵을 분리하여 저장하는 일회용컵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for storing beverages and cups separately.

테이크아웃 음료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일회용 컵의 사용도 함께 증가하였으며, 일회용 컵은 연간 생활폐기물의 1/3을 차지하고 있다.As the consumption of take-out beverages increases, the use of disposable cups also increases, and disposable cups account for 1/3 of the annual household waste.

커피전문점 내에서는 사용자가 일회용 컵에서 음료를 직접 분리한 후 컵을 배출하도록 복수의 수거공간을 갖는 수거 테이블을 구비하고 있으나, 내부에 음료가 담긴 상태에서 그대로 수거공간으로 버려지거나, 수거 테이블 위에 그대로 놓여 지는 일회용 컵의 비율이 여전히 높다.In the coffee shop, a collection table having a plurality of collection spaces is provided so that the user can separate the beverage from the disposable cup and then discharge the cup. The proportion of disposable cups placed still remains high.

일회용 컵에서 음료가 분리된 후 버려졌다 하더라도, 일회용 컵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세척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이로 인해 일회용 컵을 재활용하는 것에 상당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Even if the beverage is separated from the disposable cup and discarded, a washing process is required to recycle the disposable cup, which causes considerable time and cost to recycle the disposable cup.

한편, 국내에선 정수기 시장이 매년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폐기되는 폐필터의 양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폐필터는 대부분 정수능력이 남아있는 채로 버려지고 있으며, 매립, 소각 등의 방법으로 폐기되고 있다. 현재, 연간 폐필터 폐기 비용으로 약 12억원이 사용되고 있다.Meanwhile, the domestic water purifier market is expanding every year, and accordingly, the amount of discarded waste filters is also increasing. Most of the waste filters are discarded with their water purification capacity remaining, and they are disposed of through landfilling and incineration. Currently, about 1.2 billion won is used as an annual waste filter disposal cost.

따라서, 수거된 일회용 컵에서 음료와 컵을 분리하여 저장하고, 정수기 폐필터를 통해 버려진 음료를 정수하여 컵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에 대한 요구가 생기게 되었다.Accordingly, there has been a demand for a disposable cup collecting device that separates and stores beverages and cups from the collected disposable cups, purifies the discarded beverage through a waste filter of a water purifier, and washes the cups.

한국등록특허 제10-2002712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2002712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수거된 일회용 컵에서 컵과 음료를 분리하여 저장하고, 정수기 폐필터를 통해 버려진 음료를 정수하여 컵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that separates and stores cups and beverages from the collected disposable cups, purifies the discarded beverages through a waste filter of a water purifier, and washes the cup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공간으로 컵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관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이동 안내관을 통과한 컵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안착공간 내 컵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안착부와, 위치 이동 동작에 의해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에 홀을 형성하는 홀형성부와, 회전 동작에 의해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거나 컵을 낙하시키는 회전부와, 안착공간에서 흐르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공간 및 안착공간에서 낙하되는 컵을 수용하는 컵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와, 펌핑 동작에 의해 액체 수용공간으로부터 유입한 액체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이동 안내관으로 공급하는 정수부를 포함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part through which a movement guide tub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up into the inner space is formed, and a seating space in which the cup passing through the movement guide tube is seated, , A seating part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up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 hole forming part forming a hole in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by a position movement operation, and a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by a rotation operation A rotating part for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of or dropping a cup, a accommodating part having a liquid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liquid flowing from the seating space and a cup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a cup falling from the seating space, and a liquid accommodating space by a pumping operation It provides a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including a water purification unit for filtering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filter through the movement guide tu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홀형성부는 안착부의 하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안착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니들이 직립되게 마련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e forming part is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a plurality of needles passing through the seating part are provided to be upright, and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는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단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그 위치에 따라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1회전바와,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제1회전바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회전에 따라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을 낙하시키는 제2회전바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art is locat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nd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nd a first rotating bar that limits the rise of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ccording to the position. It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 bar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and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bar for dropping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ccording to rot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부는 제1회전바와 제2회전바와 수직하게 결합되어 제1회전바 및 제2회전바를 연결하는 수직바와,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안착 정보를 바탕으로 수직바에 90° 회전하는 회전력과 270° 회전하는 회전력을 시간차를 두고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ng part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to connect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and 90° to the vertical bar based on the se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It may further include an actuator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and a rotational force of 270° with a time differe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정수부는 액체를 정수하여 세척수를 생성하는 필터와, 필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탱크와, 액체 수용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필터로 공급하는 제1펌프와,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이동 안내관으로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purifying unit includes a filter for generating washing water by purifying the liquid, a tank for receiving and storing washing water from the filter, a first pump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accommodating space to the filter, and a tank; It may include a second pump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moving guide tub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컵 내에 수용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컵에 구멍을 형성하고, 세척수를 공급하여 컵에 대한 세척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컵으로부터 배출된 액체를 필터링해 세척수를 생산함으로써 별도의 세척수 공급이 요구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washing of the cup by forming a hole in the cup so that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can be discharged, and supplying washing wat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upply of washing water by filtering the liquid discharged from the cup to produce washing water.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수거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수거 장치의 내부를 도시하는 우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수거 장치의 회전부의 동작 과정을 도시하는 참고 평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Figure 3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inside of the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 .
5 is a reference plan view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the rotating part of the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회용 컵 수거 장치(1)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disposable cup collecting apparatus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일회용 컵 수거 장치(1)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부(10), 하우징부(10)의 내부로 이동된 컵이 안착되는 안착부(20), 안착부(20)에 안착된 컵에 홀을 형성하는 홀형성부(30), 안착부(20)에 안착된 컵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거나 컵을 낙하시키는 회전부(40), 액체 수용공간(51) 및 컵 수용공간(52)을 갖는 수용부(50) 및 액체를 정수하여 공급하는 정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disposable cup collecting device 1 has a housing part 10 forming an exterior, a seating part 20 on which the cup moved to the inside of the housing part 10 is seated, and a hole in the cup seated on the seating part 20 . Receiving part having a hole forming part 30 to form, a rotating part 40 for limiting upward movement of the cup seated on the seating part 20 or dropping the cup, a liquid accommodating space 51 and a cup accommodating space 52 (50) and may include a water purifying unit 60 for supplying purified liquid.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일회용 컵 수거 장치(1)의 각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ach configuration of the disposable cup collecting device 1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3 .

하우징부(10)는 내부공간(11)을 갖는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면에 이동 안내관(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고, 일측면에 내부공간(11)을 개폐하는 도어(13)가 형성될 수 있다.The housing unit 10 may be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having an inner space 11, a movement guide tube 12 may be formed through the upper surface, and a door 13 for opening and closing the inner space 11 on one side. ) can be formed.

이동 안내관(12)은 내부에 상하로 개구된 일정한 직경의 이동 안내로(1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그 하부에 이동 안내로(121)의 중심을 향해 물을 배출하는 유로(122)가 통공 형성될 수 있다. The movement guide tube 12 may have a movement guide passage 121 of a certain diameter opened up and down therein, and a passage 122 for discharging water toward the center of the movement guide passage 121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A through hole may be formed.

도 4를 참조하면, 유로(122)는 이동 안내관(12)의 하부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 위치하며, 정수부(60)와 연결되는 링 형태의 메인유로(1221) 및 메인유로(1221)에서 내주면을 향해 연장되는 복수의 배출유로(1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배출유로(1222)는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flow path 122 is located between the lower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ement guide tube 12 ,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main flow path 1221 and the main flow path 1221 connected to the water purification unit 60 .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222 extending toward the. In this case, the plurality of discharge passages 1222 may be radially disposed.

안착부(20)는 이동 안내관(1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내부공간(11)에 마련될 수 있다. 안착부(20)는 이동 안내관(12)을 통과한 컵이 안착되는 상부가 개구된 안착공간(21)이 형성될 수 있고, 안착공간(21)내 컵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22)가 구비될 수 있다.The seating portion 2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11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movement guide tube 12 . The seating portion 20 may have a seating space 21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on which the cup passing through the movement guide tube 12 is seated, and a sensor 22 for detecting whether the cup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 ) may be provided.

센서(22)는 컵이 안착공간(21) 내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면, 안착 정보를 제1액추에이터(31), 제2액추에이터(44), 제1펌프(63) 및 제2펌프(64)에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센서(22)는 무게감지센서일 수 있으며, 무게에 따라 컵의 안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When the sensor 22 determines that the cup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 the seating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first actuator 31 , the second actuator 44 , the first pump 63 and the second pump 64 . can provide At this time, the sensor 22 may be a weight sensor, and may determine whether the cup is seated according to the weight.

또한, 안착부(20)의 하면에는 안착공간(21) 내 액체의 배출을 위한 복수의 배출홀(23)이 형성될 수 있으며, 홀형성부(30)의 니들(301)이 관통 가능한 복수의 니들홀(24)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23 for discharging the liquid in the seating space 2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0 , and a plurality of needles 301 of the hole forming part 30 can pass through. A needle hole 24 may be formed.

홀형성부(30)는 위치 이동 동작에 의해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C)에 홀을 형성하도록 내부공간(11) 내 안착부(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hole forming part 30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art 20 in the inner space 11 to form a hole in the cup C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by a positional movement operation.

홀형성부(30)는 안착부(20)의 하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안착부(20)를 관통 가능한 복수의 니들(301)이 직립되게 마련된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하 이동에 따라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에 홀을 형성할 수 있다.The hole forming part 30 is disposed opposite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20 and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plate in which a plurality of needles 301 capable of penetrating the seating part 20 are provided to be upright and seated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up seated in the space 21 .

홀형성부(30)는 복수의 배출홀(30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홀(302)은 안착부(20)의 배출홀(23)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hole forming unit 30 may b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discharge holes 302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discharge hole 30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scharge hole 23 of the seating unit 20 . .

또한, 홀형성부(30)는 제1액추에이터(31)로부터 상하 방향 이동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제1액추에이터(31)는 센서(22)로부터 전달받은 안착 정보를 바탕으로 상승 후 하강하는 이동력을 홀형성부(30)에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hole forming unit 30 may receive a vertical movement force from the first actuator 31 . The first actuator 31 may provide a moving force that rises and then descends based on the se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22 to the hole forming unit 30 .

회전부(40)는 회전 동작에 의해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C)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거나,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C)을 낙하시키도록 내부공간(11) 내 안착부(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40 limits the upward movement of the cup (C)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by a rotational operation, or in the inner space (11) to drop the cup (C)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It may be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ating portion 20 .

회전부(40)는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C)의 상단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그 위치에 따라 컵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1회전바(41),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C)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위치하며 회전에 따라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을 밀어 낙하시키는 제2회전바(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바(42)는 제1회전바(41)와 수직하게 배치되어, 상호 다른 방향을 향할 수 있다.The rotating part 40 is locat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C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and is seated in the first rotation bar 41 that restricts the rise of the cup according to the position, and the seating space 21 . It is located at a lower height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C) and may include a second rotation bar 42 that pushes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to fall.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on bar 42 may be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 bar 41 and may face different directions.

또한, 회전부(40)는 제1회전바(41)와 제2회전바(42)와 수직하게 결합되어 제1회전바(41)와 제2회전바(42)를 연결하는 수직바(43) 및 수직바(43)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액추에이터(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tating part 40 is vertically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ar 41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2 to connect the first rotating bar 41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2 to the vertical bar 43 .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actuator 44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to the vertical bar (43).

제2액추에이터(44)는 센서(22)로부터 전달받은 안착 정보를 바탕으로 수직바(43)에 90° 회전하는 회전력과 270° 회전하는 회전력을 시간차를 두고 제공할 수 있다.The second actuator 44 may provide a rotational force of 90° rotation and a rotational force of 270° rotation to the vertical bar 43 with a time difference based on the se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22 .

수직바(43)가 90° 회전하기 전, 제1회전바(41) 및 제2회전바(42)는 도 5의 (a)와 같이 안착공간(21)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바(41)는 제2회전바(42)보다 그 끝단이 안착공간(21)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Before the vertical bar 43 rotates 90°, the first rotating bar 41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2 may be in a state that is not located above the seating space 21 as shown in FIG. 5 (a). have. In this case, the end of the first rotating bar 41 may be disposed closer to the seating space 21 than the second rotating bar 42 .

수직바(43)가 90° 회전하면, 제1회전바(41)는 도 5의 (b)와 같이 안착공간(21)의 상측 중심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회전바(42)는 수직바(43)가 90° 회전하기 전 제1회전바(41)의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회전바(41)는 안착공간(21)에 위치한 컵의 상승을 제한할 수 있다. When the vertical bar 43 rotates 90°, the first rotating bar 41 may be located in the upper center of the seating space 21 as shown in FIG. 5(b),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2 is vertical. The bar 43 may be positioned at the position of the first rotating bar 41 before the 90° rotation. At this time, the first rotating bar 41 may limit the rise of the cup located in the seating space 21 .

수직바(43)가 90° 회전한 후에 270° 회전하면, 도 5의 (c)와 같이 제1회전바(41) 및 제2회전바(42)는 수직바(43)가 회전하기 전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으며, 안착공간(21)의 상측에 위치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때, 제2회전바(42)는 회전 시 안착공간(21)에 안착된 컵(C)을 밀어 회전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에 위치한 컵 수용공간(52)으로 낙하시킬 수 있다. 이때, 컵(C)은 제2회전바(42)에 의해 안착부(20)의 측벽을 타고 넘어 낙하될 수 있다.When the vertical bar 43 rotates 90° and then rotates 270°, the first rotating bar 41 and the second rotating bar 42 are positioned before the vertical bar 43 rotates, as shown in FIG. may be returned to, and may be in a state that is not located above the seating space 21 . At this time, the second rotating bar 42 may push the cup C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during rotation to fall into the cup receiving space 52 locat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direction. At this time, the cup (C) may fall over the side wall of the seating portion 20 by the second rotating bar (42).

이와 같은 회전부(40)의 동작은 센서(22)로부터 안착 정보 수신시마다 반복될 수 있다. Such an operation of the rotating unit 40 may be repeated whenever seating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the sensor 22 .

수용부(50)는 안착부(20)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내부공간(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안착공간(21)에서 배출홀(23)을 통해 배출되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공간(51) 및 회전부(40)에 의해 안착공간(21)에서 낙하되는 컵을 수용하는 컵 수용공간(5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액체 수용공간(51) 및 컵 수용공간(52)는 상부가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5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11 so as to be located below the seating part 20 , and a liquid accommodating space for accommodating liquid discharged from the seating space 21 through the discharge hole 23 ( 51 ) and a cup accommodating space 52 accommodating a cup falling from the seating space 21 by the rotating part 40 may be formed. In this case, the liquid accommodating space 51 and the cup accommodating space 52 may be formed in an open top form.

정수부(60)는 내부공간(11)에 마련될 수 있으며, 펌프(63, 64)의 펌핑 동작에 의해 액체 수용공간(51)으로부터 유입한 액체를 필터(61)를 통해 필터링하여 이동 안내관(12)으로 공급할 수 있다.The water purification unit 60 may be provided in the inner space 11, and filters the liquid flowing in from the liquid receiving space 51 by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pumps 63 and 64 through the filter 61 to move the guide tube ( 12) can be supplied.

정수부(60)는 액체를 여과시켜 정수하여 세척수를 생성하는 필터(61), 필터(61)에 의해 생성된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탱크(62), 액체 수용공간(51)에 저장된 액체를 필터(61)로 공급하는 제1펌프(63), 탱크(62)에 저장된 세척수를 이동 안내관(12)으로 공급하는 제2펌프(64)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ter purification unit 60 filters the liquid stored in the filter 61 for generating washing water by filtering the liquid, the tank 62 receiving and storing the washing water generated by the filter 61, and filters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accommodating space 51 . It may include a first pump 63 for supplying to the 61 , and a second pump 64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ank 62 to the movement guide pipe 12 .

필터(61)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액체 수용공간(51)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차례로 필터링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여 세척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각 필터(61)는 서로 다른 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The filter 61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may generate washing water by sequentially filtering the liquid supplied from the liquid accommodating space 51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In this case, each filter 61 may remove different substances.

탱크(62)는 필터(61)와 연결될 수 있으며, 내부에 세척수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The tank 62 may be connected to the filter 61, and an accommodating space (not shown) in which washing water can be accommodated may be formed therein.

제1펌프(63)는 필터(61)와 수용부(50)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센서(22)로부터 전달받은 안착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할 수 있다. 제1펌프(63)의 유입관(631)은 액체 수용공간(5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으며, 유출관(632)은 어느 하나의 필터(61)와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pump 6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lter 61 and the receiving unit 50 , and may operate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se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22 . The inlet pipe 631 of the first pump 63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iquid accommodating space 51 , and the outlet pipe 632 may b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filters 61 .

제2펌프(64)는 탱크(62)와 이동 안내관(12) 사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센서(22)로부터 전달받은 안착 정보를 바탕으로 기설정된 시간동안 작동할 수 있다. 제2펌프(64)의 유입관(641)은 탱크(62)의 하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유출관(642)은 메인유로(122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펌프(64)의 유출관(642)의 외주연에 세척수를 가열하는 열선(미도시)이 나선 형태로 감길 수 있다.The second pump 64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ank 62 and the movement guide tube 12 , and may operate for a preset time based on the se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22 . The inlet pipe 641 of the second pump 64 may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tank 62 , and the outlet pipe 642 may be connected to the main flow path 1221 . At this time, a heating wire (not shown) for heating the washing water may be woun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outlet pipe 642 of the second pump 64 in a spiral shape.

본 발명에서 센서(22)는 컵(C)이 안착공간(21)에 안착된 것으로 판단하면, 기설정된 순서에 따라 제1액추에이터(31), 제2액추에이터(44), 제1펌프(63) 및 제2펌프(64)에 안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센서(22)는 제2액추에이터(44) 제1액추에이터(31), 제1펌프(63), 제2펌프(64) 순으로 안착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ensor 22 determines that the cup C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the first actuator 31, the second actuator 44, and the first pump 63 according to a preset order.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seating information to the second pump 64 . At this time, the sensor 22 may provide seating information in the order of the second actuator 44 , the first actuator 31 , the first pump 63 , and the second pump 64 .

한편, 제2액추에이터(44)에 의해 제공되는 90° 회전하는 회전력과 270° 회전하는 회전력 간에 시간차는 제1액추에이터(31), 제1펌프(63), 제2펌프(64)의 작동이 완료되는데 걸리는 시간 이상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270° 회전하는 회전력은 제2펌프(64)의 작동이 완료되고 난 후에 제공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ime difference between the rotational force that rotates 90° and the rotational force that rotates 270° provided by the second actuator 44 completes the operation of the first actuator 31 , the first pump 63 , and the second pump 64 . It can be set to a value that is longer than the time it takes to complete. That is, the rotational force for rotating 270° may be provided after the operation of the second pump 64 is completed.

본 발명은 안착공간(21) 내 컵이 안착되면, 컵 내에 수용된 음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컵에 구멍을 형성하고, 세척수를 공급하여 컵에 대한 세척을 실시하며, 세척이 완료된 컵을 컵 수용공간(52)에 보관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up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21, a hole is formed in the cup so that the beverage accommodated in the cup can be discharged, washing water is supplied to wash the cup, and the cup after washing is placed in the cup receiving space. (52) can be stor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일회용 컵 수거 장치
10 : 하우징부
20 : 안착부
30 : 홀형성부
40 : 회전부
50 : 수용부
60 : 정수부
1: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10: housing part
20: seating part
30: hole forming part
40: rotating part
50: receptacle
60: integer part

Claims (5)

내부공간으로 컵의 이동을 안내하는 이동 안내관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부와,
상기 이동 안내관을 통과한 컵이 안착되는 안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공간 내 컵의 안착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안착부와,
위치 이동 동작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에 홀을 형성하는 홀형성부와,
회전 동작에 의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승 이동을 제한하거나 컵을 낙하시키는 회전부와,
상기 안착공간에서 흐르는 액체를 수용하는 액체 수용공간 및 상기 안착공간에서 낙하되는 컵을 수용하는 컵 수용공간을 갖는 수용부와,
펌핑 동작에 의해 상기 액체 수용공간으로부터 유입한 액체를 필터를 통해 필터링하여 상기 이동 안내관으로 공급하는 정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
A housing part through which a movement guide tube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up into the inner space is formed;
A seating space is formed in which the cup passing through the movement guide tube is seated, and a seating part having a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cup is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 hole forming part for forming a hole in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by a position movement operation;
A rotating part for limiting the upward movement of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by the rotation operation or for dropping the cup;
a accommodating part having a liquid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ing a liquid flowing from the seating space and a cup accommodating space accommodating a cup falling from the seating space;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ater purifying unit for filtering the liquid introduced from the liquid receiving space by a pumping operation through a filter and supplying it to the movement guide tub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형성부는,
상기 안착부의 하면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상기 안착부를 관통하는 복수의 니들이 직립되게 마련되어, 상하 이동에 따라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에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hole forming part,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which is dispos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seating part, and a plurality of needles passing through the seating part are provided to stand upright, and a hole is formed in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ccording to vertical mov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단보다 높은 높이에 위치하며, 그 위치에 따라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승을 제한하는 제1회전바와,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의 상단보다 낮은 높이에 상기 제1회전바와 수직하게 위치하며, 회전에 따라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컵을 낙하시키는 제2회전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otating part,
A first rotating bar located at a height high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nd limiting the rise of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ccording to its position;
Disposable cup collection, which is positioned perpendicular to the first rotation bar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end of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nd comprises a second rotation bar for dropping the cup seated in the seating space according to rota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상기 제1회전바와 상기 제2회전바와 수직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회전바 및 상기 제2회전바를 연결하는 수직바와,
상기 센서로부터 전달받은 안착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수직바에 90° 회전하는 회전력과 270° 회전하는 회전력을 시간차를 두고 제공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otating part,
a vertical bar coupled to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to connect the first rotating bar and the second rotating bar;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ctuator that provides a rotational force of 90° and a rotational force of 270° to the vertical bar with a time difference based on the seat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sens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부는,
액체를 정수하여 세척수를 생성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로부터 세척수를 공급받아 저장하는 탱크와,
상기 액체 수용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상기 필터로 공급하는 제1펌프와,
상기 탱크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이동 안내관으로 공급하는 제2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컵 수거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water purification unit,
a filter that purifies the liquid to produce washing water;
a tank for receiving and storing the washing water from the filter;
a first pump for supplying the liquid stored in the liquid accommodating space to the filter;
Disposable cup collec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 pump for supplying the washing water stored in the tank to the movement guide tube.
KR1020210031564A 2021-03-10 2021-03-10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KR1024274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64A KR102427449B1 (en) 2021-03-10 2021-03-10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564A KR102427449B1 (en) 2021-03-10 2021-03-10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7449B1 true KR102427449B1 (en) 2022-07-29

Family

ID=82606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564A KR102427449B1 (en) 2021-03-10 2021-03-10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7449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107A (en) * 1998-06-24 2000-01-11 Miyaki Denki Seisakusho:Kk Vessel collecting device
KR20020000712A (en) 2000-06-26 2002-01-05 포만 제프리 엘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polymeric compositions
KR20190080470A (en) * 2017-12-28 2019-07-08 채혁주 Collcet device of disposable papaer cup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07107A (en) * 1998-06-24 2000-01-11 Miyaki Denki Seisakusho:Kk Vessel collecting device
KR20020000712A (en) 2000-06-26 2002-01-05 포만 제프리 엘 Plate for liquid crystal display, method and polymeric compositions
KR20190080470A (en) * 2017-12-28 2019-07-08 채혁주 Collcet device of disposable papaer cu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50220B2 (en) System for dispensing substances into a washing machine
US6413435B1 (en) Separator unit capable of less-dense solids and/or buoyant solids removal
CN102573596B (en) Washer such as a dishwasher or a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operating a washer
HK1098650A1 (en) Compact cyclonic bagless vacuum cleaner
JP2017508571A (en) Beverage cartridge holder with movable outlet
AU2016212208A1 (en) Valve, valve actuating device, cartridge and adapter for a liquid treatment system
KR102162253B1 (en) Preparation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RU2008130406A (en) FILTERING CARTRIDGE FOR JUGS
KR102427449B1 (en) Appratus for coleecting disposable cup
WO2008051323A2 (en) Liquid filter cartridge
JP2009529403A (en) Filtration apparatus and filtration method
WO2002024296A2 (en) Separator unit capable of less-dense solids and/or buoyant solids removal
CN110280554B (en) Clinical laboratory's test piece carrier cleaning machine
US5470470A (en) Liquid filter fiber module disposed in an inflatable belt
CN116323006A (en) Separator insert and separator
KR20110026842A (en) A water purifier
KR20100089483A (en) Method for cleaning water purifing apparatus
KR20210061128A (en) Control method of capsule beverage extraction device
JP5507824B2 (en) Treated water vending equipment
RU2004101611A (en) DISPOSABLE CARTRIDGE FOR HOUSEHOLD WATER TREATMENT SYSTEM
KR101202885B1 (en) Water purifier
US2491801A (en) Centrifugal liquid cleaner
KR100662648B1 (en) Cyclone unit and dirt collect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0472378Y1 (en) a faucet of smart type
CN210481116U (en) Waste water recovery and treatment device for medicinal bottle wash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