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6599B1 -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 뉴스 탐지 서버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 뉴스 탐지 서버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26599B1 KR102426599B1 KR1020190156574A KR20190156574A KR102426599B1 KR 102426599 B1 KR102426599 B1 KR 102426599B1 KR 1020190156574 A KR1020190156574 A KR 1020190156574A KR 20190156574 A KR20190156574 A KR 20190156574A KR 102426599 B1 KR102426599 B1 KR 1024265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ntence
- word
- query
- core
- v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9000013598 ve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9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13135 deep lear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15654 memor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3528 artificial neural net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835 invest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422 calculation algorith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3136 deep learning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931 aggreg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058 natural language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403 short-term memor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85 targe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46 bilat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27 detri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74 mater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7 morph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06 norma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06 recur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4—Lexical analysis, e.g. tokenisation or colloc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chine Trans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짜 뉴스 탐지 방법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가짜 뉴스 탐지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핵심 문장 추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핵심 문장 추출 모델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 대응 여부 확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단어 매칭 모듈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의미적 대응 여부 확인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의미적 대응 여부 확인 모듈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문법적 대응 여부 확인 모듈의 일부를 보여주는 계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문법적 대응 여부 확인을 위한 문장 구조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의미적 대응 여부 확인 방법의 알고리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문법적 대응 여부 확인 방법의 알고리즘 예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문법적 대응 여부 확인 방법의 입력 문장, 형태소 분석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문법적 대응 여부 확인 방법의 어절 단위 문장 분석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문장 패턴 생성 결과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NNG | 일반 명사 |
NNP | 고유명사 |
NNB | 의존 명사 |
NNBC | 단위를 나타내는 명사 |
NR | 수사 |
NP | 대명사 |
VV | 동사 |
VA | 형용사 |
VX | 보조 용언 |
VCP | 긍정 지정사 |
VCN | 부정 지정사 |
MM | 관형사 |
MAG | 일반 부사 |
MAJ | 접속 부사 |
IC | 감탄사 |
JKS | 주격 조사 |
JKC | 보격 조사 |
JKG | 관형격 조사 |
JKO | 목적격 조사 |
JKB | 부사격 조사 |
JKV | 호격 조사 |
JKQ | 인용격 조사 |
JX | 보조사 |
JC | 접속 조사 |
EP | 선어말 어미 |
EF | 종결 어미 |
EC | 연결 어미 |
ETN | 명사형 전성어미 |
ETM | 관형형 전성어미 |
XPN | 체언 접두사 |
XSN | 명사 파생 접미사 |
XSV | 동사 파생 접미사 |
XSA | 형용사 파생 접미사 |
XR | 어근 |
SF | 마침표, 물음표, 느낌표 |
SE | 줄임표 ?? |
SSO | 여는 괄호 (, [ |
SSC | 닫는 괄호 ), ] |
SC | 구분자 , · / : |
SY | 기타 기호 |
SL | 외국어 |
SH | 한자 |
SN | 숫자 |
Claims (13)
- 가짜 뉴스 탐지 서버에 의해 수행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방법에 있어서,
질의 문장 및 탐지 대상 뉴스 기사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탐지 대상 뉴스 기사 내에서 상기 질의 문장과 관련된 기사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단어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의미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의미적 대응 여부에 따라,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문법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의미적 대응 여부 결과와 상기 문법적 대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핵심 문장의 참 또는 거짓을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문장 추출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장 및 상기 기사 문장을 어근과 접미사를 포함하는 단어 구성 단위로 분해하는 단계;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구성 단위와 상기 기사 문장의 단어 구성 단위를 벡터화하고 서로 비교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구성 단위와 상기 코사인 유사도가 가장 높은 단어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기사 문장을 상기 핵심 문장으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장을 단어별로 분해하고 각 단어의 배치 순서대로 저장하여 단어 매칭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핵심 문장을 단어별로 분해하고 각 단어의 배치 순서대로 저장하여 단어 매칭 세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매칭 세트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매칭 세트를 서로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를 완전 단어 매칭, 부분 단어 매칭으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가 완전 단어 매칭된 것으로 출력된 경우,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이 의미적 대응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문법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의미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벡터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질의 문장의 단어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벡터를 한국어 뉴스 기사를 미리 학습한 단어 임베딩 벡터와 매칭하는 단계;
상기 매칭된 질의 문장의 단어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벡터에 딥러닝을 적용하여 각각 문맥 관련 임베딩 벡터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질의 문장의 문맥 관련 임베딩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 문맥 관련 임베딩 벡터에 딥러닝을 적용하여 각각 질의 문장 매칭 벡터 및 핵심 문장 매칭 벡터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질의 문장 매칭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 매칭 벡터에 딥러닝을 적용하여 문맥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Contextual Aggregated Question Matching Vector)와 문맥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Contextual Aggregated Key Sentence Set Matching Vector)로 추출하는 단계;
상기 문맥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와 상기 문맥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에 마지막 단계 일치 벡터(Last Time Step Matching Vector)을 매칭하여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Aggregated Question Matching Vector)와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Aggregated Key Sentence Set Matching Vector)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와 상기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를 기초로 인공신경망과 정규화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의미적 유사도를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문법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들의 순서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들의 순서를 각각 설정하는 단계;
상기 순서가 설정된 질의 문장의 단어들과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들을 형태소 분석하여 각 형태소별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분류된 질의 문장 단어의 형태소와 상기 핵심 문장 단어의 형태소를 어절을 기초로 분류하는 단계;
상기 어절을 기초로 분류된 질의 문장의 패턴과 상기 핵심 문장의 패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질의 문장의 패턴과 핵심 문장의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이 상호 변형 가능한 문장인지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방법. - 가짜 뉴스 탐지 서버에 있어서,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 방법 프로그램이 기록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프로그램의 실행에 따라,
질의 문장 및 탐지 대상 뉴스 기사를 수신하고, 상기 탐지 대상 뉴스 기사 내에서 상기 질의 문장과 관련된 기사 문장을 핵심 문장으로 추출하고,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대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단어 매칭 여부에 따라,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의미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의미적 대응 여부에 따라,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문법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의미적 대응 여부 결과와 상기 문법적 대응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핵심 문장의 참 또는 거짓을 판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핵심 문장을 추출하는 것은,
상기 질의 문장 및 상기 기사 문장을 어근과 접미사를 포함하는 단어 구성 단위로 분해하고,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구성 단위와 상기 기사 문장의 단어 구성 단위를 벡터화하고 서로 비교하여 코사인 유사도를 산출하고,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구성 단위와 상기 코사인 유사도가 가장 높은 단어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상기 기사 문장을 상기 핵심 문장으로 추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질의 문장을 단어별로 분해하고 각 단어의 배치 순서대로 저장하여 단어 매칭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핵심 문장을 단어별로 분해하고 각 단어의 배치 순서대로 저장하여 단어 매칭 세트를 생성하고,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매칭 세트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매칭 세트를 서로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를 완전 단어 매칭, 부분 단어 매칭으로 분류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 서버.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 결과가 완전 단어 매칭된 것으로 출력된 경우,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이 의미적 대응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문법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의미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벡터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질의 문장의 단어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벡터를 한국어 뉴스 기사를 미리 학습한 단어 임베딩 벡터와 매칭하고, 상기 매칭된 질의 문장의 단어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 벡터에 딥러닝을 적용하여 각각 문맥 관련 임베딩 벡터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질의 문장의 문맥 관련 임베딩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 문맥 관련 임베딩 벡터에 딥러닝을 적용하여 각각 질의 문장 매칭 벡터 및 핵심 문장 매칭 벡터로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질의 문장 매칭 벡터와 상기 핵심 문장 매칭 벡터에 딥러닝을 적용하여 문맥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Contextual Aggregated Question Matching Vector)와 문맥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Contextual Aggregated Key Sentence Set Matching Vector)로 추출하고, 상기 문맥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와 상기 문맥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에 마지막 단계 일치 벡터(Last Time Step Matching Vector)을 매칭하여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Aggregated Question Matching Vector)와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Aggregated Key Sentence Set Matching Vector)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집계 질의 문장 매칭 벡터와 상기 집계 핵심 문장 매칭 벡터를 기초로 인공신경망과 정규화를 이용하여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의미적 유사도를 산출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 서버.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의 문법적 대응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상기 질의 문장의 단어들의 순서와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들의 순서를 각각 설정하고, 상기 순서가 설정된 질의 문장의 단어들과 상기 핵심 문장의 단어들을 형태소 분석하여 각 형태소별로 분류하고, 상기 분류된 질의 문장 단어의 형태소와 상기 핵심 문장 단어의 형태소를 어절을 기초로 분류하고, 상기 어절을 기초로 분류된 질의 문장의 패턴과 상기 핵심 문장의 패턴을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질의 문장의 패턴과 핵심 문장의 패턴을 서로 비교하여 상기 질의 문장과 상기 핵심 문장이 상호 변형 가능한 문장인지 확인하는 것을 포함하는,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뉴스 탐지 서버.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80151166 | 2018-11-29 | ||
KR1020180151166 | 2018-11-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4943A KR20200064943A (ko) | 2020-06-08 |
KR102426599B1 true KR102426599B1 (ko) | 2022-07-29 |
Family
ID=71089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56574A Active KR102426599B1 (ko) | 2018-11-29 | 2019-11-29 |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 뉴스 탐지 서버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2659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881694B (zh) * | 2020-08-05 | 2024-08-23 | 科大讯飞股份有限公司 | 篇章要点检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KR102598430B1 (ko) * | 2021-01-12 | 2023-11-07 | 최희준 | 금융 정보 예측을 위한 인공 지능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금융 정보 예측 방법 |
CN112966069B (zh) * | 2021-01-13 | 2023-05-19 | 西安交通大学 | 一种基于普遍认知与个体认知的虚假新闻检测系统及方法 |
CN112988959B (zh) * | 2021-01-13 | 2023-07-14 | 西安交通大学 | 基于证据推断网络的虚假新闻可解释性检测系统及方法 |
KR20240094050A (ko) | 2022-11-17 | 2024-06-25 |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 독자 정보를 활용하는 가짜뉴스 판별 방법 및 장치 |
CN118747221A (zh) * | 2024-07-02 | 2024-10-08 | 西安电子科技大学 | 一种可信网络虚假信息识别方法和装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65598A (ja) | 2006-12-28 | 2008-07-17 |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風評情報抽出装置及び風評情報抽出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9339B1 (ko) * | 2014-11-27 | 2016-10-25 |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 채팅 말뭉치 구축 방법 및 채팅 말뭉치 구축 시스템 |
-
2019
- 2019-11-29 KR KR1020190156574A patent/KR10242659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8165598A (ja) | 2006-12-28 | 2008-07-17 |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 風評情報抽出装置及び風評情報抽出方法 |
Non-Patent Citations (6)
Title |
---|
K. Shu et al., Fake News Detection on Social media: A Data Mining Perspective, http://arXiv:1708.01967v3 (2017.12.19.) |
R. Ian, Satirical fake News and/as American Political Discourse, Journal of American Culture, 35(3), pp.258-275 (2012) |
S. Chopra et al., Towards Automatic Identification of Fake News: Headline-Article Stance Detection with LSTM Attention Models, Stanford CS224d Deep Learning for NLP final project (2017) |
Yue Wang et al., Sentence Similarity Learning Method based on Attention Hybrid Model, ISAI 2018 (2018.6.22) |
운영석 외, 페이크 뉴스 탐지 기술 동향과 시사점,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주간기술동향 (2017.10.04) |
이동호 외, 딥러닝 기법을 이용한 가짜뉴스 탐지, 2018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5권제1호 pp.384-387 (2018.05.)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64943A (ko) | 2020-06-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426599B1 (ko) | 한국어 문법 변환 기반 가짜 뉴스 탐지 서버 및 그 방법 | |
KR102020756B1 (ko) | 머신러닝을 이용한 리뷰 분석 방법 | |
KR102490752B1 (ko) | 인공 신경망을 이용한 심층 문맥 기반 문법 오류 정정 | |
RU2619193C1 (ru) | Многоэтапное распознавание именованных сущностей в текстах на естественном языке на основе морфологических и семантических признаков | |
RU2646386C1 (ru) | Извлечение информаци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льтернативных вариантов семантико-синтаксического разбора | |
US8527522B2 (en) | Confidence links between name entities in disparate documents | |
US11170169B2 (en) |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independent contextual embedding | |
Gokul et al. | Sentence similarity detection in Malayalam language using cosine similarity | |
RU2640297C2 (ru) | Определение степеней уверенности, связанных со значениями атрибутов информационных объектов | |
WO2005064490A1 (en) | System for recognising and classifying named entities | |
Woo et al. | Validation of text data preprocessing using a neural network model | |
CN114330303B (zh) | 文本纠错方法及相关设备 | |
CN111091009A (zh) | 一种基于语义分析的文档关联审核方法 | |
Ren et al. | Detecting the scope of negation and speculation in biomedical texts by using recursive neural network | |
CN108717459A (zh) | 一种面向用户评论信息的移动应用缺陷定位方法 | |
Fusco et al. | pNLP-mixer: An efficient all-MLP architecture for language | |
Agrawal et al. | Sentiment analysis of short informal text by tuning BERT-Bi-LSTM model | |
Aytan et al. | Deep learning-based Turkish spelling error detection with a multi-class false positive reduction model | |
CN119397022A (zh) | 文本分类方法和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 |
Nagata et al. | Variance matters: Detecting semantic differences without corpus/word alignment | |
İnce | Spell checking and error correcting application for Turkish | |
Lai et al. | An unsupervised approach to discover media frames | |
Sampath et al. | Hybrid Tamil spell checker with combined character splitting | |
Sriramya | Abstractive text summarization employing ontology-based knowledge-aware multi-focus conditional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OKAM-CGAN) with hybrid pre-processing methodology | |
Yellin et al. | Paths to relation extraction through semantic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5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6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07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207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