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970B1 -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970B1
KR102425970B1 KR1020180051391A KR20180051391A KR102425970B1 KR 102425970 B1 KR102425970 B1 KR 102425970B1 KR 1020180051391 A KR1020180051391 A KR 1020180051391A KR 20180051391 A KR20180051391 A KR 20180051391A KR 102425970 B1 KR102425970 B1 KR 102425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ss
mobile terminal
speed
target
ss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162A (ko
Inventor
양해석
김승규
이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8005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97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71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1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34Reselection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6Reselecting a communication resource in the serving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24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 H04W36/30Reselection being triggered by specific parameters by measured or perceived connection quality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랜 환경에서 통신 장치의 BSS(Basic Service Set) 이동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가,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리포트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하면, 상기 이동단말을 접속시킬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단말을 상기 타깃 BSS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in wireless lan environment}
본 발명은 무선랜 환경에서 통신 장치의 BSS(Basic Service Set) 이동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랜 통신에서 단말의 BSS(Basic Service Set) 이동은 액세스포인트와 액세스포인트 간에 또는 듀얼밴드 이상을 지원하는 액세스포인트 밴드 간 등 다양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BSS는 동일한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서비스 영역으로서, 무선랜 시스템은 복수의 BSS를 지원한다.
그런데 액세스포인트와 이동단말 간에 BSS를 변경하는 과정에서, 이동 전과 이동 후의 BSS의 SSID(Service Set ID)가 서로 다르거나, 이동 전/후의 BSS의 SSID(Service Set ID)가 서로 같은 경우, BSS 이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2.4GHz와 5GHz의 듀얼밴드를 지원하는 액세스포인트와 이동단말 간에 BSS 이동이 정상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2.4GHz BSS의 SSID와 5GHz BSS의 SSID가 서로 다른 환경에서, 2.4GHz BSS에서 접속한 이동단말이 5GHz BSS에 접속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는 있는 경우에, 액세스포인트가 전송속도가 높은 5GHz BSS로 변경 요청하더라도, 이동단말은 거절 메시지를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하고 BSS 이동을 수행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반대로, 5GHz BSS에 접속한 단말이 5GHz의 신호가 미약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액세스포인트가 신호가 좋은 2.4GHz BSS로 변경 요청하더라도, 이동단말은 거절 메시지를 액세스포인트로 전송하고 BSS 이동을 수행하지 않는다.
2.4GHz BSS의 SSID와 5GHz BSS의 SSID가 동일한 환경에서, 2.4GHz BSS에서 접속한 이동단말이 5GHz BSS에 접속 가능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 액세스포인트가 전송속도가 높은 5GHz BSS로 변경 요청하더라도, 이동단말은 5GHz BSS로 이동 후 다시 단말의 자체 로밍으로 인해 2.4GHz BSS로 돌아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반대로, 5GHz BSS에 접속한 단말이 5GHz의 신호가 미약한 위치에 있는 경우에, 액세스포인트가 신호가 좋은 2.4GHz BSS로 변경 요청하더라도, 이동단말은 이동단말은 2.4GHz BSS로 이동 후 다시 단말의 자체 로밍으로 인해 5GHz BSS로 돌아가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렇게 종래의 무선랜 환경에서는 서로 다른 SSID를 가지는 BSS의 이동, 또는 서로 같은 SSID를 가지는 BSS의 이동이 원활하게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무선랜 환경에서 SSID의 상이함에 관계없이 BSS 이동이 원활하게 가능하도록 통신장치의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측면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가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은,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리포트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하면, 상기 이동단말을 접속시킬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단말을 상기 타깃 BSS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 및 주변 BSS의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이고, 수신신호세기가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가 상기 이동단말 주변에 존재하면,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임계세기 이하이면,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 주변의 BSS 중에서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여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BSS 중에서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로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이고, 상기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고속 이동 허용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단말이 고속 BSS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는,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약속된 필드에 기록된 BTM(BSS Transition Management) 요청 프레임일 수 있다.
상기 BTM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옵션 서브요소(optional subelement)에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기록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2측면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장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리포트를 분석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하면, 이동단말을 접속시킬 타깃 BSS를 결정하여,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단말을 상기 타깃 BSS로 접속시킨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3측면에 따른, 접속 제어 장치가,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은, 각 BSS의 부하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BSS의 부하율 중에서, 부하율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비율을 초과하여 과부하된 BSS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 결과 과부화된 BSS가 존재하면, 이 BSS에 접속중인 이동단말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부하율이 상기 임계비율 이하인 타 BSS를 타깃 BSS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을 상기 타깃 BSS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SSID 동일함 또는 상이함에 영향받지 않으며, 더불어 이동 전후의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유사한 경우에도, 원활한 BSS 이동을 제어하여 최적의 무선랜 품질을 지원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의 밴드를 지원하는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을 우선적으로 고속의 BSS로 접속되도록 유도하여, 빠른 통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액세스포인트의 BSS별로 로드 밸런싱을 수행함으로써, 액세스포인트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부하를 분산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IEEE 표준에 정의된 BTM 요청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이웃 리포트 요소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옵션 서브요소 필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각각의 서브요소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BTM 응답 프레임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TM 상태 코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동단말의 무선랜 환경 정보 수집하고 접속을 제어하는 접속 제어 장치는 액세스포인트 또는 액세스 컨트롤러 등 다양한 장치가 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실시예는 액세스포인트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환경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Access Point)(200)는 이동단말(100)이 무선 접속하는 노드로서, 하나 이상의 BSS(Basic Service Set)를 구축한다. 상기 BSS는 동일한 주파수 밴드를 사용하는 서비스 영역으로, 무선랜 환경에서 복수 개의 BSS가 서로 중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BSS는 SSID(Service Set ID)가 할당된다. 상기 SSID는 BSS의 식별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SSID를 통해서 이동단말(100)이 액세스포인트(200)의 BSS에 접속한다. 여기서 BSS로 접속하는 것은, 상기 BSS에서 설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액세스포인트(200)에 접속하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에서는 액세스포인트(200)가 SSID#1를 가지면 제1주파수 대역을 형성하는 BSS#1를 구축하고, 더불어 SSID#2를 가지며 제2주파수 대역을 형성하는 BSS#2를 구축하는 것으로 예시한다. 도 1에서는 BSS#1이 BSS#2 보다 서비스 영역이 더 넓다.
이동단말(100)은 액세스포인트(200)에 접속 가능한 단말로서, UE, SS, STA 등으로도 불리기도 한다. 상기 이동단말(100)은 현 위치에서 수집된 무선랜 환경 정보가 포함된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한다. 상기 리포트는 이동단말(100)이 현재 접속중인 BSS의 SSID와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형태에 따라, 상기 리포트는 현재 접속중인 BSS의 SSID와 수신신호세기 및 주변 BSS의 SSID와 수신신호세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동단말(100)은 주기적으로 상기 리포트를 수집하여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또는 액세스포인트(200)의 요청에 따라 상기 리포트를 수집하여 상기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단말(100)은 BTM(BSS Transition Management) 메시지를 통하여, 서로 다른 SSID 간에도 BSS 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동단말(100)은 하나 이상의 SSID가 기록되고, SSID별 접속 암호가 기록된 무선랜 프로파일을 저장한다. 상기 무선랜 프로파일에는 SSID별 접속 우선순위가 기록된다. 상기 이동단말(100)은 무선랜 프로파일을 이용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BSS 중에서 어느 하나로 접속한다. 또한, 이동단말(100)은 액세스포인트(200)로부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BTM 메시지를 수신하면, 상기 SSID를 가지는 타깃 BSS로 접속한 후, 상기 SSID의 우선순위를 높게 설정하여, 상기 타깃 BSS와의 접속을 유지한다.
액세스포인트(20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한 리포트를 분석하여,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결정할 수 있다. 액세스포인트(200)는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결정한 경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BTM 메시지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하여, 이동단말(100)이 상기 SSID를 가지는 타깃 BSS로 접속하도록 제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포인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액세스포인트(200)는 접속 제어 장치로서, 메모리, 메모리 제어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CPU), 주변 인터페이스, 입출력(I/O) 서브시스템, 입력 장치 및 통신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다른 불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주변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른 구성요소에 의한 메모리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메모리는 각종 정보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다.
주변 인터페이스는 액세스포인트(200)의 입출력 주변 장치를 프로세서 및 메모리와 연결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명령어 세트를 실행하여 액세스포인트(200)를 위한 여러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한다. I/O 서브시스템은 디스플레이 장치, 입력 장치와 같은 입출력 주변장치와 주변 인터페이스 사이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프로세서는 액세스포인트(200)에 연관된 동작을 수행하고 명령어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로서, 예를 들어, 메모리로부터 검색된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액세스포인트(200)의 컴포넌트 간의 입력 및 출력 데이터의 수신과 조작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회로는 외부 포트를 통한 통신 또는 RF 신호에 의한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 회로는 전기 신호를 RF 신호로 또는 그 반대로 변환하며 이 RF 신호를 통하여 통신 네트워크, 다른 이동형 게이트웨이 장치 및 통신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액세스포인트(200)는, 저장부(210), 리포트 수집부(220), 이동 판단부(230) 및 이동 요구부(2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어 메모리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저장부(210)는 디스크 장치, 메모리 등과 같은 저장수단으로서, 리포트를 축적하여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리포트에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무선신호세기를 포함하며, 추가적으로 주변 BSS의 무선신호세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이동 판단부(230)는 액세스포인트(200)의 BSS별 부하율, 저장부(210)에 저장된 리포트 중에서 하나 이상을 고려하여, 이동단말(100)을 다른 BSS로 이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리포트를 수신하면, 상기 리포트에서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무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BSS가 무선신호세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리포트에서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SSID와 수신신호세기 및 주변 BSS의 SSID 수신신호세기를 분석하여,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값 이하이고, 더불어 무선신호세기가 상기 임계값을 초과하는 주변 BSS(즉, 접속중이지 않은 주변의 BSS)가 존재하면, 상기 주변 BSS로의 이동을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결정한 주변 BSS를 타깃 BSS로 설정한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액세스포인트(200)가 듀얼 밴드 이상을 지원하고 상기 리포트에 주변 BSS의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리포트에서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SSID와 수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상기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고속 BSS 또는 저속 BSS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즉, 이동 판단부(100)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액세스포인트(200)에서 지원하는 고속 BSS 또는 저속 BSS인지를 리포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상기 고속 BSS는 5GHz 대역을 가지는 BSS일 수 있으며, 저속 BSS는 2.4GHz 대역을 가지는 BSS일 수 있다. 판별 결과,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고속 BSS이고,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임계값 이하이면, 이동 판단부(230)는 타깃 BSS를 저속 BSS로 결정하여, 이동단말(100)을 액세스포인트(200)의 고속 BSS에서 저속 BSS로 이동시키는 것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판별 결과,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 BSS이고,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고속 이동 허용값을 초과하면,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액세스포인트(200)의 고속 BSS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타깃 BSS를 액세스포인트(200)의 고속 BSS로 결정하여, 상기 이동단말(100)을 저속 BSS에서 고속 BSS로 이동시키는 것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고속 이동 허용값은 상기 임계값보다 큰 값으로서, 이동단말(100)이 고속 BSS의 영역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으로서 활용된다.
다시 설명하면, 액세스포인트(200)가 듀얼밴드 주파수 이상의 대역을 지원하는 경우,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상기 액세스포인트(200)에 접속중인 BSS가 고속 BSS 또는 저속 BSS인지 여부를 확인하고, 또한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를 확인하여, 이렇게 확인한 결과를 토대로 이동단말(100)을 동일한 액세스포인트(200)에서 지원하는 고속 BSS 또는 저속 BSS 중 어느 하나로 이동시킬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이동 판단부(230)는 액세스포인트(200)에서 관리하는 각 BSS의 부하율을 확인하고, 특정 BSS의 부하율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비율을 초과하면, 특정 BSS에 접속중인 이동단말(100)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을 선택하고, 이 이동단말을 다른 BSS로의 접속시키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이동 판단부(230)는 타깃 BSS를 결정할 때에, 이동단말(100)이 고속 BSS로 접속 가능한 지 여부를 리포트 분석을 통해 확인하고, 이동단말(100)이 고속 BSS로 접속 가능하면 상기 고속 BSS를 타깃 BSS로 우선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동 요구부(240)는 타깃 BSS의 SSID가 기록된 메시지를 전송하여,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제어한다. 이때, 이동 요구부(240)는 BTM 메시지의 특정 필드에 상기 타깃 BSS의 SSID를 기록하여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IEEE 표준에 정의된 BTM 요청 프레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BTM 요청 프레임은, 카테고리 필드(31), VNM 액션 필드(32),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33), 요청 모드 필드(34), 분리화 타이머 필드(35), 유효 인터벌 필드(36), BSS 종료 지속시간 필드(37), 세션 정보 URL 필드(38) 및 BSS 전이 후보 리스트 엔트리 필드(39)를 포함한다.
상기 도 3에 따른 BTM 요청 프레임의 BSS 전이 후보 리스트 엔트리 필드(39)는 이웃 리포트 요소(Neighbor Report element)를 포함한다.
도 4는 이웃 리포트 요소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이웃 리포트 요소는 요소 ID 필드(41), 길이 필드(42), BSSID 필드(42), BSSID 정보 필드(44), 동작 클래스 필드(45), 채널 번호 필드(46), PHY 타입 필드(47) 및 하나 이상의 옵션 서브요소 필드(48)를 포함한다.
도 5는 옵션 서브요소 필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옵션 서브요소 필드(48)는 서브요소 아이디 필드(51), 길이 필드(52) 및 데이터 필드(5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 옵션 서브요소 필드(48)를 이용하여 타깃 BSS의 SSID를 기록한다. 즉, 이동 요구부(240)는 서브요소 아이디 필드(51)를 이용하여 다른 BSS로 접속하는 것을 이동단말(100)로 요구할 수 있다.
서브요소 아이디 필드(51)는 서브요소의 식별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또한, 길이 필드(52)는 상기 BSS로의 이동을 지시하는 것과 관련된 서브요소의 길이를 나타내는 필드일 수 있다. 데이터 필드(53)는 타깃 BSS의 SSID가 기록되는 필드일 수 있다.
도 6은 각각의 서브요소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으로서, 도 6에서는 이동단말(100)을 이동시킬 타깃 BSS의 SSID가 '38' 식별정보를 가지는 서브요소로서 정의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타깃 BSS의 SSID는 BTM 메시지에 정의된 옵션 서브요소(optional subelement)에 기록되고, 이러한 BTM 메시지가 이동단말(100)로 전송되어,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제어한다.
한편, 이동단말(100)은 BTM 요청 프레임을 수신하면, BTM 응답 프레임을 이용하여 BSS 이동을 수락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도 7은 BTM 응답 프레임을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상기 BTM 응답 프레임은 카테고리 필드(71), WNM 액션 필드(72), 다이얼로그 토큰 필드(73), BTM 상태 코드 필드(74), BSS 종료 지연 필드(75), 타깃 BSSID 필드(76) 및 BSS 전이 후보 리스트 엔트리 필드(77)를 포함한다. 상기 상태 코드는 0에서부터 255까지의 코드가 기록되는데, 예약된 상태 코드 중에서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BSS 이동 요청을 거절하는 것을 나타내는 코드를 정의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BTM 상태 코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이동을 지시한 BSS로의 접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태 코드가 도 8에 따른 코드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예컨대, 이동을 지시한 BSS로의 접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태코드를 '9'로 정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태코드 '9'로 기록된 BTM 요청 프레임이 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되면, 액세스포인트(200)는 상기 이동단말(100)이 타깃 BSS의 접속 암호를 알지 못하여, 상기 타깃 BSS로 이동할 수 없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이동단말(100)은 BTM 메시지에 포함된 SSID를 가지는 BSS(즉, 타깃 BSS)로 이동한 경우, 무선랜 프로파일에 상기 SSID를 최우선순위로 설정하여, 상기 SSID를 가지는 타깃 BSS로 계속적인 접속을 유지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액세스포인트(200)의 리포트 수집부(220)는 이동단말(100)로부터 리포트를 수신하여, 이 리포트를 저장부(210)에 저장한다(S901). 상기 리포트에는 이동단말(100)이 접속한 BSS의 무선신호세기와 SSID가 기록된다. 또한, 상기 리포트에는 이동단말(100) 주변 BSS(즉, 이동단말이 접속중이지 않은 이웃 BSS)의 무선신호세기와 SSID가 추가적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리포트를 분석하여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무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이 무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세기 이하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903, S905).
다음으로,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무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세기를 초과하면, 상기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 또는 고속 BSS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어서,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 BSS이면, 상기 수신한 리포트에 포함된 주변 BSS 중에서 고속 BSS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저장부(210)에는 저속 SSID 목록과 고속 SSID 목록을 저장할 수 있으며, 상기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고속 SSID 목록/저속 SSID 목록과 상기 리포트에 포함된 BSS의 SSID를 비교하여,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이거나 이동단말(100) 주변에 분포된 BSS가 고속 또는 저속 BSS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 BSS이고 이동단말(100) 주변에 고속 BSS가 존재하면, 상기 고속 BSS의 무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세기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어서,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고속 BSS의 무선신호세기가 상기 임계세기 이하이면, 이동단말(100)의 BSS 변경을 진행하지 않고, 그대로 유지한다. 즉,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 BSS이고 동시에 상기 저속 BSS의 신호세기가 임계세기를 초과하나, 이동단말(100)의 주변에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가 감지되지 않으면, 이동단말(100)의 BSS 변경을 진행하지 않는다. 또한,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고속 BSS이고 고속 BSS의 신호세기가 임계세기를 초과하면, 이동단말(100)의 BSS 변경을 진행하지 않는다.
한편,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 BSS이고, 이동단말(100)의 주변에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한 고속 BSS가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면, 상기 고속 BSS를 타깃 BSS로 결정한다(S907)
한편,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신호세기가 상기 임계세기 이하이면, 이동단말(100) 주변에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존재하면, 고속 BSS를 타깃 BSS로 결정한다. 이때,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 주변에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한 고속 BSS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한 저속 BSS를 타깃 BSS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로서, 액세스포인트(200)가 듀얼 밴드를 지원하고 상기 리포트 주변 BSS의 정보가 기록되지 않은 경우,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리포트에서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의 SSID와 수신신호세기를 확인하고, 이렇게 확인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고속 BSS 또는 저속 BSS인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판별 결과,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고속 BSS이고,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임계값 이하이면, 이동 판단부(230)는 타깃 BSS를 액세스포인트(200)의 저속 BSS로 결정할 수 있다. 반면에,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 BSS이고,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고속 이동 허용값을 초과하면,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고속 BSS 영역에 위치한 것으로 판단하여 타깃 BSS를 액세스포인트(200)의 고속 BSS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이동 판단부(230)는 BSS별 부하율을 고려하여,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선택적으로 진행수 도 있다. 한편, 이동 판단부(230)는 이동단말(100)이 접속중인 BSS가 고속 BSS이고 이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임계값을 초과하거나, 접속중인 BSS가 저속 BSS이고 이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상기 고속 이동 허용값을 이하이면, 이동단말(100)의 BSS 이동을 진행하지 않는다.
타깃 BSS가 결정되면, 이동 요구부(240)는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BTM 메시지(즉, BTM 요청 프레임)를 생성하여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S909, S911). 즉. 이동 요구부(240)는 타깃 BSS의 SSID가 약속된 필드(즉, 옵션 서브요소 필드)에 기록된 BTM 메시지(즉, BTM 요청 프레임)를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단말(100)은 상기 BTM 메시지의 약속된 필드(즉, 옵션 서브요소 필드)에 기록된 SSID를 확인하고, 이 SSID를 가지는 타깃 BSS로 접속을 시도한다(S913, S915). 이때, 이동단말(100)은 무선랜 프로파일에서 상기 SSID와 대응되는 접속 암호를 추출하고, 이 접속 암호를 상기 BSS를 관할하는 액세스포인트(2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BSS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동단말(100)은 타깃 BSS로 접속에 성공하면, 접속 성공 코드가 포함된 BTM 응답 메시지(즉, BTM 응답 프레임)를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하고, 상기 SSID의 접속 우선순위를 최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타깃 BSS의 접속을 유지시킨다(S917). 부연하면, 이동단말(100)이 타깃 BSS로의 접속이 되더라도, 주변 전파 환경에 따라(또는 이동에 따라) 더욱 강한 무선신호세기를 가지는 주변 BSS가 감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단말(100)은 상기 타깃 BSS에서, 더욱 강한 신호세기를 가지는 주변 BSS로 다시 접속할 수 있으며, 액세스포인트(200)는 이동단말(100)의 리포트에 따라, 상기 바로 전의 타깃 BSS(즉, 상기 SSID를 가지는 타깃 BSS)로 접속되도록 BTM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단말(100)은 BSS 변경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단말(100)은 BTM 메시지에 포함된 SSID를 가지는 타깃 BSS로 접속이 성공한 경우, 상기 SSID를 우선순위를 가장 높게 설정하여, 상기 SSID를 가지는 타깃 BSS와 접속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이동단말(100)은 접속 암호를 알 수 없어, 상기 타깃 BSS으로의 접속에 실패하면, 이동을 지시한 타깃 BSS로의 접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태코드가 기록된 BTM 응답 메시지(즉, BTM 응답 프레임)를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하고, 타깃 BSS로의 이동없이 기존의 BSS와 접속을 유지한다.
그러면, 액세스포인트(200)의 이동 요구부(240)는 상기 BTM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코드를 토대로, 접속 암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100)이 타깃 BSS로 접속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BTM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이동단말(100)로 전송하지 않는다.
한편, 복수의 BSS를 관할하는 액세스포인트(200)는 BSS의 부하율에 따라 이동단말(100)의 접속을 제어하여 부하를 분산시킬 수도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에 따른 설명에서는, 액세스포인트(200)가 듀얼밴드를 지원하고, 이에 따라 상기 액세스포인트(200)가 복수의 BSS를 형성하는 것으로 가정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액세스포인트(200)의 이동 판단부(230)는 각각의 BSS에 접속중인 이동단말(100)의 개수, 또는 각각의 BSS별 트래픽을 확인하여, 각각 BSS별 부하율을 계속적으로 확인한다(S1001).
다음으로, 이동 판단부(230)는 각 BSS의 부하율 중에서 어느 하나가 사전에 설정된 임계비율을 초과하는지 여부를 판별한다. 도 10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1BSS 부하율이 임계비율을 초과하여, 상기 이동 판단부(230)가 제1BSS에서 과부하가 발생한 것으로 인지한 것으로 설명된다(S1003).
이어서, 이동 판단부(230)는 상기 제1BSS에 접속중인 모든 이동단말(100)을 확인하고, 각 이동단말(100)로부터 수신한 최신 리포트를 분석하여, 상기 제1BSS에 접속중인 이동단말(100) 중에서 제2BSS로 이동시킬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100)을 선택한다(S1005). 즉, 이동 판단부(230)는 각 이동단말(100)의 리포트를 분석하여, 제1BSS에 접속중인 이동단말(100) 중에서 제2BSS의 수신신호세기를 임계세기 초과하여 감지한 이동단말(100)을 상기 제2BSS로 이동시킬 이동단말(100)로 선택한다. 또는 이동 판단부(230)는 제1BSS에 접속중인 이동단말(100) 중에서, 제1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한 범위에 해당하는 이동단말(100)을 상기 제2BSS로 이동시킬 이동단말(100)로 선택할 수도 있다. 이때, 이동 판단부(230)는 제1BSS의 부하율과 제2BSS의 부하율을 모두를 고려하여, 제2BSS로 이동시킬 이동단말의 개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렇게 제2BSS로 이동시킬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이 선택되면, 이동 판단부(230)는 액세스포인트(200)가 관할하는 BSS 중에서, 부하율이 상기 임계비율 이하인 BSS를 타깃 BSS로 결정한다. 도 10을 참조한 설명에서는, 제2BSS가 상기 임계비율 이하의 부하율을 가져, 타깃 BSS로 결정된 것으로 설명된다.
이어서, 이동 요구부(240)는 타깃 BSS인 제2BSS의 SSID가 포함된 BTM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BTM 메시지(즉, BTM 요청 프레임)를 S095 단계에서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S1007, S1009). 이때. 이동 요구부(240)는 타깃 BSS의 SSID가 약속된 필드(즉, 옵션 서브요소 필드)에 기록된 BTM 메시지(즉, BTM 요청 프레임)를 상기 이동단말(100)로 전송한다.
그러면, 이동단말(100)은 상기 BTM 메시지의 약속된 필드(즉, 옵션 서브요소 필드)에 기록된 SSID를 확인하고, 이 SSID를 가지는 타깃 BSS인 제2BSS로 접속을 시도한다(S1011, S1013). 이때, 이동단말(100)은 무선랜 프로파일에서 상기 SSID와 대응되는 접속 암호를 추출하고, 이 접속 암호를 상기 BSS를 관할하는 액세스포인트(200)로 제공함으로써, 상기 BSS로 접속을 시도할 수 있다.
이동단말(100)은 접속에 성공하면, 접속 성공 코드가 포함된 BTM 응답 메시지(즉, BTM 응답 프레임)를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하고(S1015), 상기 SSID를 접속 우선순위를 최우선순위로 설정하고, 상기 SSID를 가지는 BSS와 접속을 유지한다. 한편, 이동단말(100)은 접속 암호를 알 수 없어 상기 제2BSS으로의 접속에 실패하면, 이동을 지시한 BSS로의 접속이 불가능함을 알리는 상태코드가 포함된 BTM 응답 메시지(즉, BTM 응답 프레임)를 액세스포인트(200)로 전송하고, 제2BSS로의 이동없이 기존의 제1BSS와의 접속을 유지한다. 그러면, 액세스포인트(200)의 이동 요구부(240)는 상기 BTM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상태코드를 토대로, 접속 암호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100)이 타깃 BSS로 접속할 수 없음을 인지하고, 상기 제2BSS의 SSID가 포함된 BTM 메시지를 반복적으로 이동단말(100)로 전송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는 많은 특징을 포함하는 반면, 그러한 특징은 본 발명의 범위 또는 특허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개별적인 실시예에서 설명된 특징들은 단일 실시예에서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반대로, 본 명세서에서 단일 실시예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다양한 실시예에서 구현되거나, 적절히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동작들이 특정한 순서로 설명되었으나, 그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바와 같은 특정한 순서로 수행되는 것으로, 또는 일련의 연속된 순서, 또는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모든 설명된 동작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 환경에서 멀티태스킹 및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아울러, 상술한 실시예에서 다양한 시스템 구성요소의 구분은 모든 실시예에서 그러한 구분을 요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프로그램 구성요소 및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단일 소프트웨어 제품 또는 멀티플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기록매체(시디롬, 램,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등)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더 이상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이동단말 200 : 액세스포인트
210 : 저장부 220 : 리포트 수집부
230 : 이동 판단부 240 : 이동 요구부

Claims (15)

  1. 접속 제어 장치가,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리포트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하면, 상기 이동단말을 접속시킬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단말을 상기 타깃 BSS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말은, 저속 BSS로부터 고속 BSS로 이동하거나, 고속 BSS로부터 저속 BSS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타깃 BSS로 접속되면, 상기 이동단말의 무선랜 프로파일에서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최우선순위로 설정되는 접속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 및 주변 BSS의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이고, 수신신호세기가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가 상기 이동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면,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임계세기 이하이면,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의 주변의 BSS 중에서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여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BSS 중에서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이고, 상기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고속 이동 허용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단말이 고속 BSS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타깃 BSS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시지는,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약속된 필드에 기록된 BTM(BSS Transition Management) 요청 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TM 요청 프레임에 포함된 옵션 서브요소(optional subelement)에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8. 삭제
  9.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가 실행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리포트를 분석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하면, 이동단말을 접속시킬 타깃 BSS를 결정하여,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이동단말을 상기 타깃 BSS로 접속시키고,
    상기 이동단말은, 저속 BSS로부터 고속 BSS로 이동하거나, 고속 BSS로부터 저속 BSS로 이동하고,
    상기 이동단말이 상기 타깃 BSS로 접속되면, 상기 이동단말의 무선랜 프로파일에서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최우선순위로 설정되는 접속 제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 및 주변 BSS의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이고, 수신신호세기가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가 상기 이동단말의 주변에 존재하면,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임계세기 이하이면, 상기 이동단말의 BSS 이동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이동단말의 주변의 BSS 중에서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는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어느 하나의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임계세기를 초과하여 수신신호세기를 가지는 BSS 중에서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 정보를 상기 리포트에서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이동단말이 접속중인 BSS가 저속이고, 상기 접속중인 BSS의 수신신호세기가 사전에 설정된 고속 이동 허용값을 초과하면 상기 이동단말이 고속 BSS 범위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고속 BSS를 상기 타깃 BSS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장치.
  14. 접속 제어 장치가, 무선랜 환경에서 이동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각 BSS의 부하율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한 BSS의 부하율 중에서, 부하율이 사전에 설정된 임계비율을 초과하여 과부하된 BSS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단계;
    상기 판별의 결과에 따라 과부화된 BSS가 존재하면, 이 BSS에 접속중인 이동단말 중에서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을 선택하는 단계;
    부하율이 상기 임계비율보다 이하인 타 BSS를 타깃 BSS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포함된 메시지를 상기 선택한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로 전송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을 상기 타깃 BSS로 접속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은, 저속 BSS로부터 고속 BSS로 이동하거나, 고속 BSS로부터 저속 BSS로 이동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이 상기 타깃 BSS로 접속되면,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의 무선랜 프로파일에서 상기 타깃 BSS의 SSID가 최우선순위로 설정되는 접속 제어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이동단말을 선택하는 단계는,
    각각의 이동단말로부터 수신한 리포트를 분석하여, 상기 과부하된 BSS에 접속한 이동단말 중에서 상기 타깃 BSS의 수신신호세기를 임계세기 초과하여 감지한 이동단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제어 방법.
KR1020180051391A 2018-05-03 2018-05-03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2425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91A KR102425970B1 (ko) 2018-05-03 2018-05-03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391A KR102425970B1 (ko) 2018-05-03 2018-05-03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62A KR20190127162A (ko) 2019-11-13
KR102425970B1 true KR102425970B1 (ko) 2022-07-26

Family

ID=68535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391A KR102425970B1 (ko) 2018-05-03 2018-05-03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97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9295A1 (en) * 2013-04-05 2016-01-28 Kyocera Corporation Network selection control method and user termina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488B1 (ko) * 2010-09-28 2017-02-03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핸드오버 결정 방법 및 이를 위한 기지국
KR101358800B1 (ko) * 2012-04-23 2014-02-10 에스케이브로드밴드주식회사 듀얼밴드의 와이파이를 이용한 인터넷 전화기 및 이의 와이파이 로밍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029295A1 (en) * 2013-04-05 2016-01-28 Kyocera Corporation Network selection control method and user terminal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2296호 (2012.04.05.)*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119123호 (2013.10.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162A (ko) 2019-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61075A1 (en) Cell camping method, related device and storage medium
TWI461075B (zh) 用於在無線頻段中對複數個通道之掃描參數進行最佳化之方法
KR101069328B1 (ko) 컴퓨터로 구현되는 방법, 컴퓨터화 시스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팅 장치
KR101069346B1 (ko) 개선된 무선 네트워크 셀 경계 탐지를 통한 무선네트워크에서의 개선된 수직 로밍
US104921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data transmission service over multiple networks
US2013005831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tting channel in wireless network
WO2016192225A1 (zh) 一种漫游切换控制方法和中央控制单元
US20160249357A1 (en) Soft access point master mode using dual wideband channels
US10716043B2 (en) Access point handover method and device
CN103561436B (zh) 一种网络重定向方法及装置
CN111800892B (zh) 无线双频网络的连接方法、系统、设备及存储介质
CN110177384B (zh) 接入方法、装置、无线接入点及可读存储介质
JP2019062330A (ja) 移動通信装置、チャネルスキャン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60073294A1 (en) Providing wifi radio availability information
US11503452B2 (en) Systems and methods providing a station with a suggestion to transition from Wi-Fi to LTE
KR101247817B1 (ko) 네트워크 선택 시스템, 네트워크 선택 방법 및 모바일 시스템
US20160316499A1 (en) Identification of a broadband connection
US200701334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ement of a wireless environment
KR102425970B1 (ko) 무선랜 환경에서 접속 제어 방법 및 장치
US20140073319A1 (en) System and method for roaming band preference
CN108174422B (zh) 高低频切换方法、配置终端的方法及装置
JP6954670B2 (ja) 基地局装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186849B1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부하 균형화 방법
KR101422717B1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의 핸드오프 방법 및 장치
KR20150045165A (ko) 밴드 스티어링 방법 및 무선 액세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