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223B1 - 건축용 가설지지대 - Google Patents

건축용 가설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223B1
KR102425223B1 KR1020210101698A KR20210101698A KR102425223B1 KR 102425223 B1 KR102425223 B1 KR 102425223B1 KR 1020210101698 A KR1020210101698 A KR 1020210101698A KR 20210101698 A KR20210101698 A KR 20210101698A KR 102425223 B1 KR102425223 B1 KR 102425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ior
height adjustment
adjustment tool
temporary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6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감우
Original Assignee
이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감우 filed Critical 이감우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1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용 가설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와 천장 등을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가설지지대의 높낮이를 높낮이조절구를 조작해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높낮이조절구를 위치고정장치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설지지대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하부받이판(21)을 하단에 구비하고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파이프형 내관(20)과, 상부받이판(41)을 상단에 구비하고 상기 내관(20)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외관(40)과, 상기 외관(40)의 하단에 위치하여 내관(20)의 조절나사부와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높낮이조절구(30)를 포함해 구성된 가설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외관(40)은, 높낮이조절구와 마주하는 하단부에 조절구삽입홈(43)을 갖는 하단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30)는, 외관(40)의 하단이 안착되는 외관받침면(31)의 외측으로 상기 조절구삽입홈(43)에 끼워지게 절곡 형성하여 선단의 외관삽입턱(32)과 하측 외면에 걸림면(33)이 구비되어,
상기 외관(40)의 조절구삽입홈(43)에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삽입되며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외관(40)의 하측 외면에 설치되어 고정몸체(60)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한 고정쇠(80)의 걸림구(81)를 상기 걸림면(33)에 걸어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위치고정장치(50)가 더 포함되어 달성한다.

Description

건축용 가설지지대 {A support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가설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벽체와 천장 등을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가설지지대의 높낮이를 높낮이조절구를 조작해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높낮이조절구를 위치고정장치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설지지대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공사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슬라브를 구축하기 위한 거푸집을 설치하는데, 상기 거푸집에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소정의 강도를 얻기까지 고정하중 및 시공하중 등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지지대가 설치된다.
상기 가설지지대의 구성은 크게 하부받이판을 하단에 구비하고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파이프형 내관과, 상부받이판을 상단에 구비하고 상기 내관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외관과, 상기 외관의 하단에 위치하여 내관의 조절나사부와 체결되며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높낮이조절구를 포함해 구성된다.
상기의 건축용 가설 지지대는 높낮이조절구에 형성된 손잡이를 회전시켜 건축물 바닥과 건축물의 상부면에 하부받이판과 상부받이판이 견고히 지지되도록 그 높낮이를 조정하는데, 상기 높낮이조절구와 내관의 조절나사부는 단순한 나사 회전식 구조를 갖고 있어, 상기 조절나사부를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외관에 위치되어야 하는 높낮이조절구가 이탈되어 가설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정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으며, 작업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상기 높낮이조절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스넵링을 이용한 구조가 제시된 바 있으나, 상기 높낮이조절구를 외관에 삽입한 다음 스넵링을 장착하는데 어려움이 있었고, 높낮이 조절과정에서 쉽게 분리되어 가설 지지대 설치작업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44361호 건축용 동바리 (등록일자 2009년 04월 24일)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가설지지대의 외관에 인출이동이 가능한 위치고정장치를 장착시켜, 높낮이조절구를 외관에 견고하게 조립되게 하는 건축용 가설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 본 발명은, 위치고정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여 가설지지대의 설치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에도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위치고정장치를 탈거 및 장착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이동 및 보관시에도 훼손을 방지할 수 있는 건축용 가설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외관에 위치고정장치가 조립되면서도 상기 위치고정장치가 용이하게 회전되어 가설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건축용 가설지지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받이판(21)을 하단에 구비하고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파이프형 내관(20)과, 상부받이판(41)을 상단에 구비하고 상기 내관(20)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외관(40)과, 상기 외관(40)의 하단에 위치하여 내관(20)의 조절나사부와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높낮이조절구(30)를 포함해 구성된 가설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외관(40)은, 높낮이조절구와 마주하는 하단부에 조절구삽입홈(43)을 갖는 하단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30)는, 외관(40)의 하단이 안착되는 외관받침면(31)의 외측으로 상기 조절구삽입홈(43)에 끼워지게 절곡 형성하여 선단의 외관삽입턱(32)과 하측 외면에 걸림면(33)이 구비되어,
상기 외관(40)의 조절구삽입홈(43)에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삽입되며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외관(40)의 하측 외면에 설치되어 고정몸체(60)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한 고정쇠(80)의 걸림구(81)를 상기 걸림면(33)에 걸어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위치고정장치(50)가 더 포함되어 달성한다.
또, 상기 제1위치고정장치(50)는, 내측에 핀설치공간(61)이 형성되며, 전면에 핀관통홀(63)이 형성된 고정몸체(60)와;
상기 핀설치공간(61)에 리턴스프링(72)과 이동핀(71)이 구비되고, 상기 핀관통홀(63)을 통과한 이동핀(71)의 선단부를 너트부재(73)로 고정한 리턴부재(70)와;
"ㄴ" 형상을 갖게 절곡되어 하단부에 걸림구(8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60)의 외측에서 이동핀(71)에 조립되어 상기 이동핀(71)과 연동해 수평 이동하는 고정쇠(80)를 포함해 구성된다.
또, 상기 외관(40)은, 외주연에 요(凹)홈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홈(45)이 형성되고, 제1위치고정장치(50)의 고정쇠(80)는, 상단에 이탈방지홈(45)에 삽입되게 이탈방지돌기(83)가 절곡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받이판(21)을 하단에 구비하고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파이프형 내관(20)과, 상부받이판(41)을 상단에 구비하고 상기 내관(20)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외관(40)과, 상기 외관(40)의 하단에 위치하여 내관(20)의 조절나사부와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높낮이조절구(30)를 포함해 구성된 가설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외관(40)은, 높낮이조절구와 마주하는 하단부에 조절구삽입홈(43)을 갖는 하단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30)는, 외관(40) 하단이 안착되는 외관받침면(31)의 외측으로 상기 조절구삽입홈(43)에 끼워지게 절곡 형성하여 선단의 외관삽입턱(32)과 하측 외면에 걸림면(33)이 구비되어,
상기 외관(40)의 조절구삽입홈(43)에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삽입되며 상호 연결하면서,
상부판(68)과 하부판(69)이 "ㄷ"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단플랜지(42)와 걸림면(33)을 감싸며 조립되어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위치고정장치(55)가 더 포함되어 달성한다.
상기 제2위치고정장치(55)는,
하단플랜지(42)의 외경에 대응해 만곡지게 구비된 상부판(68)과 하부판(69)이 "ㄷ" 형상을 갖게 절곡되어 내측에 플랜지삽입공간(67)을 형성한 고정커버(66)와
상기 하단플랜지(42)와 상부판(68)을 연결하는 고정핀(77)에 조립되고, 일단부가 고정커버(66)에 지지되어 플랜지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리턴스프링(76)을 포함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플랜지(42)의 조절구삽입홈(43)에는, 내측단에 링끼움홈(43a)을 단턱지게 더 형성하여, 볼(91)이 포함된 링부재(90)가 장착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한, 상기 고정쇠(80)의 걸림구(81) 또는 고정커버(66)의 하부판(69)에는,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과 마주하는 저면에 삽입안내면(81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높낮이조절구(30)가 내관(20)에 체결되면서 승강이동할 때, 상기 외관삽입턱(32)의 선단부가 삽입안내면(81a)에 접촉되며 고정쇠(80) 또는 고정커버(66)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포함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가설지지대의 외관에 인출이동이 가능한 위치고정장치를 장착시켜, 높낮이조절구가 외관에 견고하게 조립된 상태에서 회전시켜 가설지지대의 높낮이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다.
또, 위치고정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하고, 가설지지대의 설치과정에서 발생되는 충격에도 불량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 가설지지대의 이동 및 보관시에도 위치고정장치의 훼손을 방지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관에 조립된 위치고정장치와의 마찰면에 접촉면적을 최소화하면서 구름이동이 가능한 링부재를 구비하여, 비교적 적은 힘으로 높이조절구를 회전시킬 수 있어 가설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을 간편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건축용 가설지지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건축용 가설지지대의 제1위치고정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인 제1위치고정장치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위치고정장치의 실시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위치고정장치의 실시구성을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제1위치고정장치의 실시구성에 대한 작동과정을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구성을 도시한 요부 확대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구성을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건축용 가설지지대의 제2위치고정장치에 대한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인 제2위치고장장치의 동작 상태도.
본 발명인 건축용 가설지지대는, 벽체와 천장 등을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한 가설지지대의 높낮이를 높낮이조절구를 조작해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면서, 높낮이조절구를 위치고정장치로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가설지지대의 설치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가설지지대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기술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그 특징들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실시 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되는 건축용 가설지지대(10)는, 하부받이판(21)을 하단에 구비하고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파이프형 내관(20)과, 상부받이판(41)을 상단에 구비하고 상기 내관(20)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외관(40)과, 상기 외관(40)의 하단에 위치하여 내관(20)의 조절나사부와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높낮이조절구(30)를 포함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관(40)은, 높낮이조절구(30)와 마주하는 하단부에 조절구삽입홈(43)을 갖는 하단플랜지(42)가 용접 등으로 일체 형성되게 한다.
또, 상기 높낮이조절구(30)에는, 외관(40)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외관받침면(31)의 외측둘레로 상기 조절구삽입홈(43)에 끼워지게 상향 절곡된 외관삽입턱(32)이 형성되며, 상기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 외관삽입턱(32)의 하측 저면에는 걸림면(33)이 구비되게 한다.
이때, 상기 외관(40)의 하단플랜지(42)에 형성된 요(凹)홈의 조절구삽입홈(43)에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삽입되어 상호 연결되는데, 상기 높낮이조절구(30)의 걸림면(33)은 하단플랜지(42)의 하측선단과 같은 높이를 갖거나 보다 길게 형성하여 후술(後述)되는 제1위치고정장치(50)를 이용해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시키도록 한다.
상기 제1위치고정장치(50)는, 크게 외관(40)의 하측에서 하단플랜지(42)에 근접해 고정되는 고정몸체(60)에 리턴스프링(72)을 갖는 이동핀(71)이 조립되고, 상기 이동핀(71)에 높낮이조절구(30)의 걸림면(33)에 걸려 고정시키는 고정쇠(80)를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위치고정장치(50)의 고정몸체(60)는, 내부에 핀설치공간(61)이 형성되어 외관(40)에 용접 고정되며, 전면에는 핀관통홀(63)이 구비된다.
또, 상기 고정몸체(60)에 조립되는 리턴부재(70)는 핀설치공간(61)에 리턴스프링(72)과 이동핀(71)이 구비되는데, 상기 이동핀(71)의 헤드가 외관(40)에 지지되면서, 핀축에 리턴스프링(72)이 끼워지고, 고정몸체(60)의 전면에 형성된 핀관통홀(63)을 통과한 이동핀(71)의 선단부에 너트부재(73)를 체결시켜 고정한다.
여기에, 상기 고정몸체(60)와 너트부재(73)의 마주하는 내측에는 "ㄴ" 형상을 갖는 고정쇠(80)가 위치하여, 상기 이동핀(71)과 너트부재(73)가 체결되면서 고정몸체(60)에 지지되도록 한다.
또, 상기 고정쇠(80)는 하부에 하단플랜지(42)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걸림구(81)가 형성되어, 상기 하단플랜지(42)의 내측에서 조립된 높낮이조절구(30)의 걸림면(33)에 걸려져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쇠(80)는 고정몸체(60)의 외측에서 이동핀(71)에 조립되어 상기 이동핀(71)과 연동해 수평 이동하면서 걸림구(81)가 걸림면(33)에 걸려져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게 되며, 상기 이동핀(71)을 당겨 고정쇠(80)가 이동핀(71)의 길이방향으로 유동되게 되면, 걸림면(33)에 대한 걸림구(81)의 단속이 해제되어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이동핀(71)의 단부에 당김고리 등을 더 구비시켜, 보다 용이하게 이동핀(71)을 외측으로 당겨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데, 상기 이동핀(71)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도 4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외관(40)은, 외주연에 요(凹)홈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홈(45)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하단플랜지(42)와 근접한 하측에 고정몸체(60)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몸체(60)는 전술(前述)된 구성과 같이 내부에 리턴스프링(72)을 갖는 이동핀(71)이 조립되고, 상기 이동핀(71)에 고정쇠(80) 및 너트부재(73)를 체결시켜 고정한다.
또, 제1위치고정장치(50)의 고정쇠(80)는, 상단에 이탈방지홈(45)에 삽입될 수 있게 이탈방지돌기(83)가 절곡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걸림구(81)가 걸림면(33)에 걸려져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면서도, 상측이 이탈방지돌기(83)가 외관(40)의 이탈방지홈(45) 내에 지지되어 높낮이조절구(30)를 회전시키기 위한 충격 등에도 상기 고정쇠(80)의 걸림구(81)가 안정적으로 높낮이조절구(30)의 걸림면(33)을 받쳐 고정함으로써 작업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쇠(80)의 걸림구(81)는 저면에 삽입안내면(81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높낮이조절구(30)가 내관(20)에 체결되면서 승강이동할 때, 상기 외관삽입턱(32)의 선단부가 삽입안내면(81a)에 접촉되면서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즉, 도 6a에서와 같이 외관(40)에 고정설치된 제1위치고정장치(50)의 고정쇠(80)는 리턴스프링(72)의 탄성으로 하단플랜지(42)의 내측 조절구삽입홈(43)에 걸림구(81)가 위치되는 초기상태로 건축 현장 등에 공급된다.
또, 도 6b에서와 같이 벽체와 천장 등을 콘크리트로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의 수평 및 수직 상태를 일정하게 맞추기 위해 높낮이조절구(30)를 조작하는 경우에 높낮이조절구(30)가 내관(20)에 체결되면서 승강이동할 때, 상기 외관삽입턱(32)의 선단부가 걸림구(81)의 저면에 형성된 삽입안내면(81a)에 접촉되면서 상기 걸림구(81)를 외측으로 밀어내면서 동시에 너트부재(73)를 포함한 이동핀(71)이 수평이동하며 리턴스프링(72)을 압축한다.
그리고, 도 6c에서와 같이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조절구삽입홈(43)내에 삽입완료되면 상기 리턴스프링(72)의 복귀탄성으로 고정쇠(80)가 원복되면서 상기 하단플랜지(42)의 내측에서 조립된 높낮이조절구(30)의 걸림면(33)에 걸림구(81)가 걸려져 고정된다.
즉, 상기 고정쇠(80)는 작업자가 리턴부재(70)를 수동으로 잡아당겨 하단플랜지(42)에 높낮이조절구(30)가 삽입되게 한 다음에 걸림면(33)에 걸림구(81)를 걸어 고정하는 수동방식이거나 또는 하단플랜지(42)에 높낮이조절구(30)가 결합되며 동시에 고정쇠(80)의 후퇴 및 복귀에 따른 자동방식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하단플랜지(42)의 조절구삽입홈(43)에는, 도 7에서와 같이 내측단에 요(凹)홈 형상을 갖는 링끼움홈(43a)을 단턱지게 더 형성하여, 볼(91)이 포함된 링부재(90)가 장착되게 구성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도 8a에서와 같이 조절구삽입홈(43)의 링끼움홈(43a)에 C-링 등의 링부재(90)와, 도 8b에서와 같이 조절구삽입홈(43)에 위치고정홈을 형성해 링부재(90)의 절개된 양단부가 끼워져 조립되게 하는 구성도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링끼움홈(43a)에 설치되는 링부재(90)는 조절구삽입홈(43)과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에 최소한의 면적으로 접촉되게 하여, 상기 높낮이조절구(30)를 회전시키는 작업에서 마찰력을 최소화해 보다 용이하게 높낮이조절구(30)를 회전시켜 가설지지대(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것이며, 상기 링부재(90)의 구성에 대해서는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특정한 것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9 및 도 10에서와 같이 외관(40)은, 높낮이조절구와 마주하는 하단부에 조절구삽입홈(43)을 갖는 하단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30)는, 외관(40) 하단이 안착되는 외관받침면(31)의 외측으로 상기 조절구삽입홈(43)에 끼워지게 절곡 형성하여 선단의 외관삽입턱(32)과 하측 외면에 걸림면(33)이 구비되어, 상기 외관(40)의 조절구삽입홈(43)에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삽입되어 상호 연결하면서, 상부판(68)과 하부판(69)이 "ㄷ"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된 제2위치고정장치(55)를 상기 하단플랜지(42)와 걸림면(33)을 감싸며 조립되어 구성하여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 제2위치고정장치(55)는, 하단플랜지(42)의 외경에 대응해 만곡지게 구비된 상부판(68)과 하부판(69)이 "ㄷ" 형상을 갖게 절곡되어 내측에 플랜지삽입공간(67)이 구비된 고정커버(66)를 고정핀(77)으로 상부판(68)이 상기 하단플랜지(42)에 조립되게 하고, 상기 고정핀(77)에는 일단부가 고정커버(66)에 지지된 리턴스프링(76)이 더 구비되어, 고정커버(66)를 항상 플랜지방향으로 잡아 당기도록 탄성력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커버(66)의 일단에는 손잡이(미부호)를 외측으로 돌출 형성시켜 작업자가 손잡이를 잡고 쉽게 외측으로 회전시켜 높낮이조절구(30)를 분리시키거나, 내측으로 회전시켜 높낮이조절구(30)의 걸림면(33)에 하부판(69)이 걸려져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한 구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가설지지대 20. 내관
30. 높낮이조절구 31. 외관받침면
32. 외관삽입턱 33. 걸림면
40. 외관 42. 하단플랜지
43. 조절구삽입홈 50. 제1위치고정장치
55. 제2위치고정장치 60. 고정몸체
66. 고정커버 70. 리턴부재
80. 고정쇠 90, 링부재

Claims (7)

  1. 하부받이판(21)을 하단에 구비하고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파이프형 내관(20)과, 상부받이판(41)을 상단에 구비하고 상기 내관(20)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외관(40)과, 상기 외관(40)의 하단에 위치하여 내관(20)의 조절나사부와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높낮이조절구(30)를 포함해 구성된 가설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외관(40)은, 높낮이조절구와 마주하는 하단부에 조절구삽입홈(43)을 갖는 하단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30)는, 외관(40)의 하단이 안착되는 외관받침면(31)의 외측으로 상기 조절구삽입홈(43)에 끼워지게 절곡 형성하여 선단의 외관삽입턱(32)과 하측 외면에 걸림면(33)이 구비되어,
    상기 외관(40)의 조절구삽입홈(43)에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삽입되며 상호 연결하면서,
    상기 외관(40)의 하측 외면에 설치되어 고정몸체(60)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한 고정쇠(80)의 걸림구(81)를 상기 걸림면(33)에 걸어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1위치고정장치(50)가 더 포함되되;
    상기 외관(40)은, 외주연에 요(凹)홈 형상을 갖는 이탈방지홈(45)이 형성되고,
    제1위치고정장치(50)의 고정쇠(80)는, 상단에 이탈방지홈(45)에 삽입되게 이탈방지돌기(83)가 절곡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지지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고정장치(50)는,
    내측에 핀설치공간(61)이 형성되며, 전면에 핀관통홀(63)이 형성된 고정몸체(60)와;
    상기 핀설치공간(61)에 리턴스프링(72)과 이동핀(71)이 구비되고, 상기 핀관통홀(63)을 통과한 이동핀(71)의 선단부를 너트부재(73)로 고정한 리턴부재(70)와;
    "ㄴ" 형상을 갖게 절곡되어 하단부에 걸림구(81)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몸체(60)의 외측에서 이동핀(71)에 조립되어 상기 이동핀(71)과 연동해 수평 이동하는 고정쇠(80)를 포함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지지대.
  3. 삭제
  4. 하부받이판(21)을 하단에 구비하고 조절나사부가 구비된 파이프형 내관(20)과, 상부받이판(41)을 상단에 구비하고 상기 내관(20)이 삽입되는 파이프형 외관(40)과, 상기 외관(40)의 하단에 위치하여 내관(20)의 조절나사부와 체결되어 높낮이 조절용으로 사용되는 높낮이조절구(30)를 포함해 구성된 가설지지대(10)에 있어서;
    상기 외관(40)은, 높낮이조절구와 마주하는 하단부에 조절구삽입홈(43)을 갖는 하단플랜지(42)가 형성되고,
    상기 높낮이조절구(30)는, 외관(40) 하단이 안착되는 외관받침면(31)의 외측으로 상기 조절구삽입홈(43)에 끼워지게 절곡 형성하여 선단의 외관삽입턱(32)과 하측 외면에 걸림면(33)이 구비되어,
    상기 외관(40)의 조절구삽입홈(43)에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이 삽입되며 상호 연결하면서,
    상부판(68)과 하부판(69)이 "ㄷ"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하단플랜지(42)와 걸림면(33)을 감싸며 조립되어 높낮이조절구(30)의 위치를 고정하는 제2위치고정장치(55)가 더 포함되되;
    상기 제2위치고정장치(55)는,
    하단플랜지(42)의 외경에 대응해 만곡지게 구비된 상부판(68)과 하부판(69)이 "ㄷ" 형상을 갖게 절곡되어 내측에 플랜지삽입공간(67)을 형성한 고정커버(66)와
    상기 하단플랜지(42)와 상부판(68)을 연결하는 고정핀(77)에 조립되고, 일단부가 고정커버(66)에 지지되어 플랜지방향으로 잡아 당기는 리턴스프링(76)을 포함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지지대.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4항 에 있어서,
    상기 하단플랜지(42)의 조절구삽입홈(43)에는,
    내측단에 링끼움홈(43a)을 단턱지게 더 형성하여, 볼(91)이 포함된 링부재(90)가 장착되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지지대.
  7. 제 1항 또는 제 4항 에 있어서,
    고정쇠(80)의 걸림구(81) 또는 고정커버(66)의 하부판(69)에는,
    높낮이조절구(30)의 외관삽입턱(32)과 마주하는 저면에 삽입안내면(81a)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높낮이조절구(30)가 내관(20)에 체결되면서 승강이동할 때, 상기 외관삽입턱(32)의 선단부가 삽입안내면(81a)에 접촉되며 고정쇠(80) 또는 고정커버(66)를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용 가설지지대.
KR1020210101698A 2021-07-13 2021-08-03 건축용 가설지지대 KR1024252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91607 2021-07-13
KR1020210091607 2021-07-1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5223B1 true KR102425223B1 (ko) 2022-07-27

Family

ID=82701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698A KR102425223B1 (ko) 2021-07-13 2021-08-03 건축용 가설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223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1296A (ja) * 1996-09-26 1998-04-21 Sanyo Sangyo Kk 解体用スクリュージャッキ
KR100843509B1 (ko) * 2007-01-24 2008-07-03 김중삼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200444361Y1 (ko) 2008-07-11 2009-05-07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동바리
KR200448168Y1 (ko) * 2009-07-21 2010-03-18 박한웅 서포트의 높이조절부재 고정장치
KR20180082104A (ko) * 2017-01-10 2018-07-18 백문자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200116398A (ko) * 2019-11-19 2020-10-12 박지현 건축용 가설 지지대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01296A (ja) * 1996-09-26 1998-04-21 Sanyo Sangyo Kk 解体用スクリュージャッキ
KR100843509B1 (ko) * 2007-01-24 2008-07-03 김중삼 건축용 파이프 서포트
KR200444361Y1 (ko) 2008-07-11 2009-05-07 주식회사 신영 건축용 동바리
KR200448168Y1 (ko) * 2009-07-21 2010-03-18 박한웅 서포트의 높이조절부재 고정장치
KR20180082104A (ko) * 2017-01-10 2018-07-18 백문자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KR101885992B1 (ko) * 2017-03-13 2018-08-06 차명길 거푸집 지지용 서포트
KR20200116398A (ko) * 2019-11-19 2020-10-12 박지현 건축용 가설 지지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56895B2 (en) Insert bolt having anti-turn function
US7290742B2 (en) Adjustable support tool for vertical and horizontal mounting
JP4268745B2 (ja) 電線絶縁保護管の端末固定具
KR102425223B1 (ko) 건축용 가설지지대
CA2826804C (en) Support apparatus and extendable pole accessory for supporting crown moulding or other elongated workpieces on a wall surface
KR20080041983A (ko)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20170011274A (ko) 비계베이스
JP2009257033A (ja) オフセット引戸用ガイド
US20010029715A1 (en) Drywall installation apparatus
KR100756266B1 (ko) 건축용 동바리
KR101643398B1 (ko) 벽체 옹벽용 관통슬리브 고정장치
EP1640526A2 (en) Device for fixing awnings and the like
JP4533736B2 (ja) 足場用幅木
KR102358795B1 (ko) 활선 작업용 전선 고정 홀더 및 이 홀더가 부착된 보조 완철
JP4255407B2 (ja) 庇の取付け構造
KR200466401Y1 (ko) 길이조절기능을 구비한 지지와이어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JPH043535Y2 (ko)
KR20070121967A (ko) 스프링클러의 레듀사의 상하승강을 유도하는 조절커버
KR101779063B1 (ko) 거푸집용 클램프
KR200235273Y1 (ko) 형광램프 착탈장치
JP2001153124A (ja) フック取付け装置
JP3223245U (ja) 排水管接続具、及び該排水管接続具を備えた排水具セット
KR102543125B1 (ko)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장치
JP4143586B2 (ja) 床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