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198B1 - A Fishing Bag Handle - Google Patents

A Fishing Bag Hand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198B1
KR102425198B1 KR1020200012748A KR20200012748A KR102425198B1 KR 102425198 B1 KR102425198 B1 KR 102425198B1 KR 1020200012748 A KR1020200012748 A KR 1020200012748A KR 20200012748 A KR20200012748 A KR 20200012748A KR 102425198 B1 KR102425198 B1 KR 10242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bag
grip
handles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27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98776A (en
Inventor
박진철
Original Assignee
(주)아티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티누스 filed Critical (주)아티누스
Priority to KR102020001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5198B1/en
Publication of KR20210098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877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19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6Containers or holders for hooks, lines, sinkers, fli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20Keepnets or other containers for keeping captured fish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가방 본체 전,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2손잡이부를 가방 본체 위로 모은 상태에서 서로 연결 고정시키도록 하여 이동시에 사용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2손잡이부의 그립부를 잡고 들어주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제 1, 2손잡이의 그립부가 서로 모여진 상태로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한 손으로 손잡이의 그립부를 잡더라도 그립부의 풀림없이 손 쉽게 잡고 이동할 수 있는 낚시용 가방 손잡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g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gathered over the body of the bag, so that when moving, the user holds the grip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moving.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just by lifting it. In particular, since the grip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aught and fixed together, even if you hold the grip part of the handle with one hand, the fishing bag handle can be easily held and moved without loosening the grip part. to provide.

Description

낚시용 가방 손잡이{A Fishing Bag Handle}{A Fishing Bag Handle}

본 발명은 낚시용 가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가방 덮개 상면에 올려져 있는 제 1, 2손잡이를 위로 들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2손잡이가 서로 걸려지도록 하여 낚시 가방의 부피를 줄이면서도 이동시에 낚시 가방을 손 쉽게 들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가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shing bag handle, and more particularly,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lift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g cover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aught with each other, It relates to a fishing bag handle that reduces the volume of a fishing bag and allows you to easily carry and move the fishing bag when moving.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낚시용 가방은 본체에 커버를 지퍼로 연결하여 본체 내부공간에 낚시 용품을 넣거나, 낚시질을 할 때 밑밥을 넣어 두었다가 낚시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물을 넣고 낚시중에 잡은 물고기를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As is well known, the fishing bag connects the cover to the main body with a zipper to put fishing gear in the inner space of the main body, puts the ground rice when fishing, and uses it at the fishing ground, or puts water and catches the fish caught while fishing. It is designed to be put in.

이러한 낚시용 가방은 통상 EVA 소재의 판체를 고주파 융착 가공하여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이 강하고, 청소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또한 필요에 따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보관시 부피를 줄여줄 수 있도록 하고 있다.These fishing bags are usually formed by high-frequency fusion processing of a plate body made of EVA material, so that they are durable, easy to clean, and can be folded as needed to reduce the volume during storage.

상기한 낚시용 가방과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 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6-0089140 호(명칭: 낚시용 가방)을 예로 들 수 있다.As a representative prior art related to the above-mentioned fishing bag, the Republic of Korea Patent Offic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089140 (name: fishing bag) can be given as an example.

상기 선행기술은 가방 본체의 대향하는 외측벽에 각각 설치된 베어링부와, 대략 U자 형상의 양단에 축이 형성되고, 당해 축이 상기 베어링부에 지지되어, 대략 U자 형상의 중앙부가 가방 본체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기립하는 기립 자세와, 당해 중앙부가 가방 본체의 저부 부근에 위치하도록 넘어지는 도복 자세의 사이에서 자세 변화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손잡이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낚시용 가방에 있어서, 상기 기립 자세로부터 도복 자세까지 자세 변화하는 동안에, 상기 손잡이의 대략 U자 형상을 탄성 변형시키는 불안정 균형 위치를 가지고, 또한 당해 불안정 균형 위치로부터 기립 자세 및 도복 자세를 향하여 당해 탄성 변형이 복원하도록 상기 축이 경사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In the prior art, bearing portions respectively provided on opposite outer walls of the bag body, shafts are formed at both ends of a substantially U-shape, the shafts are supported by the bearings, and a substantially U-shaped central portion is above the bag body. A fishing bag compris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handle for changing a posture between a standing posture standing up to be positioned at , and a prostration postur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is positioned near the bottom of the bag body, the handle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from the standing posture Technical gist that the shaft has an unstable balance position that elastically deforms the approximately U-shape of the handle during the posture change to is doing with

그러나 선행기술은 가방 본체 전, 후방에 설치되어 있는 손잡이가 가방 본체 위에서 서로 연결 고정되는 구조가 아님에 따라 손잡이를 이용하여 낚시용 가방을 운반할 때에는 가방 본체 전, 후방에 위치하는 손잡이를 각각 가방 본체 위로 올린 다음, 이들 손잡이를 잡고 운반하게 됨으로서 낚시용 가방을 운반하는데 많은 번거로움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handles install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bag body do not have a structure that is connected and fixed to each other on the bag body, when carrying a fishing bag using the handle, the handles located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bag body are used respectively. After lifting on the main body, there is a lot of hassle in carrying the fishing bag by holding and carrying these handles.

특히, 낚시는 갯바위와 같이 공간이 매우 협소한 지역에서 행하게 되는 데, 선행기술과 같은 구조의 낚시용 가방을 바닥에 놓을 경우, 손잡이가 양측으로 펼쳐지게 됨으로서 필요 이상으로 가방의 부피를 늘려 낚시를 하는 동안 사용자의 발에 손잡이가 걸려 넘어지거나 하는 등의 안전사고 발생과 함께 걸리적거림으로 인한 많은 불편함을 가져오게 된다.In particular, fishing is performed in an area where space is very narrow, such as Gaetbawi Rock. When a fishing bag with the same structure as in the prior art is placed on the floor, the handle is spread out on both sides to increase the volume of the bag more than necessary. During the operation, safety accidents such as tripping or tripping on the user's feet bring a lot of inconvenience due to stumbling.

또한 이동시 낚시 가방을 들어야 할 때, 두 개의 손잡이 사이 간격이 비교적 넓어 한 손으로 손잡이를 잡기에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손의 악력이 약한 사람은 이동시 손잡이를 놓치는 경우가 많아 사용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you need to lift a fishing bag while moving, the gap between the two handles is relatively wide, making it inconvenient to hold the handle with one hand.

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6-0089140 호Hwanggongbo Publication No. 10-2006-0089140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가방 덮개 상면에 올려져 있는 제 1, 2손잡이를 손으로 들어주는 동작에 따라 상기 제 1, 2손잡이의 그립부가 서로 모여진 상태로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한 손으로 손잡이의 그립부를 잡더라도 그립부의 풀림없이 손 쉽게 잡고 이동할 수 있도록 한 낚시용 가방 손잡이를 제공한다.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he grip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holding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g cover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A fishing bag handle is provided so that it can be easily grasped and moved without loosening the grip part even when holding the grip part of the handle with one hand by locking them together in a state of being gathered together.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방 본체, 상기 가방 본체의 개방된 상면에 지퍼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로 구성한 낚시용 가방에 설치되는 낚시용 가방 손잡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그립바, 상기 그립바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구성되며 가방 본체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바, 상기 그립바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자석, 상기 그립바의 상면 양쪽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는 상향 걸림턱, 상기 상향 걸림턱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향 걸림홈으로 구성하여 상기 덮개의 상면에 올려지는 제 1손잡이, 상기 제 1손잡이의 위쪽에 포개어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그립바, 상기 그립바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구성되며 가방 본체의 타측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바. 상기 그립바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손잡이의 자석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 상기 그립바의 하면 양쪽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제 1손잡이를 위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손잡이의 상향걸림홈에 걸려지는 하향걸림턱, 상기 하향 걸림턱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손잡이를 위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손잡이의 상향 걸림턱이 걸려지도록 하는 하향 걸림홈으로 구성한 제 2손잡이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shing bag handle installed in a fishing bag consisting of a bag body, a cover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with a zipper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bag body, the user can hold it by hand A grip bar that is configured to be bent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grip bar, a connecting bar hinged to one side of the bag body, a magne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bar, and a “∧” shap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bar A first handl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composed of an upward locking jaw integrally formed with the upward locking jaw and an upward locking groove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ward locking jaw, which is superim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handle and can be held by the user A grip bar that is configured to be vertic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grip bar, and a connecting bar that is hing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g body. A magnet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bar and capable of being adsorbed to the magnet of the first handle, is integrally formed in a "∨" shape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bar, and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first handle upward, the second 1 A downward locking jaw hooked on the upward locking groove of the handle, a downward locking groove that is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wnward locking jaw and allows the upward locking jaw of the first handle to be caught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first handle upwar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econd handle.

상기 지퍼는 상기 가방 본체의 측벽 상단과 상기 덮개의 측벽 하단 사이에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의 외곽면에는 굴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굴곡면부와 상기 지퍼 사이에는 구획링이 더 설치되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The zipper is connected between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ag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ver, a curved surface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and a partition ring is further installed between the curved surface and the zipper desirable.

상기 가방 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가방 본체 보다 내구성이 뛰어난 재질로 성형된 바닥커버부재가 부착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bottom cover member molded of a material superior to that of the bag body is attach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g body.

본 발명은 가방 본체 전, 후방에 구비되어 있는 제 1, 2손잡이부를 가방 본체 위로 모은 상태에서 서로 연결 고정시키도록 하여 이동시에 사용자는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제 1, 2손잡이부의 그립부를 잡고 들어주는 것만으로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특히 제 1, 2손잡이의 그립부가 서로 모여진 상태로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한 손으로 손잡이의 그립부를 잡더라도 그립부의 풀림없이 손 쉽게 잡고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bag body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state of being gathered over the bag body, so that when moving, the user only holds and lifts the grip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particular, since the grip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aught and fixed together in a gathered state, even if the grip part of the handle is held with one hand, it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asily hold and move the grip part without loosening the grip part.

또한 본 발명은 빗물이 지퍼를 통해 가방 본체 내부로 스며드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또한 갯바위 등 바닥이 울퉁불퉁하거나 날카롭더라도 가방 본체의 바닥이 쉽게 찢겨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수명을 높인 효과를 가진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rainwater from penetrating into the bag body through the zipper in advance, and also prevents the bottom of the bag body from being easily torn or damaged even when the bottom such as gaetbawi is rough or sharp, thereby increasing the service life.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에서 제 1, 2손잡이가 덮개 위에 포개어진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제 1, 2손잡이의 그립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걸림 고정된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그립부가 상, 하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제 1손잡이 구조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제 2손잡이 구조를 발췌하여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과 도 7은 제 1, 2손잡이의 사용상태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들.
도 8은 도 1의 낚시용 가방의 저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1 is a view three-dimensionally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superimposed on a cover in a fishing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or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overlap each other and are locke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art in FIG. 2 is separated up and down;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the first handle structure of Figure 1 extracted.
FIG. 5 is a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handle of FIG. 1 .
6 and 7 are views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use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Figure 8 is a view three-dimensionally showing the bottom of the fishing bag of Figure 1.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etailed description to be described later, representativ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presented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embodiments that can be presented as the present invention is replaced by the description 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낚시용 가방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제 1, 2손잡이의 그립부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걸림 고정된 상태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2에서 그립부가 상, 하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three-dimens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figuration of a fishing bag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three-dimens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are caught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It is a view,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grip part is separated up and down in FIG. 2 .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낚시용 가방은 직사각박스 타입으로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고, 양측에는 어깨끈이 연결 구성되는 가방 본체(10)와, 상기 가방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 지퍼(30)로 개폐 가능하게 덮혀지는 덮개(2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fishing bag is a rectangular box type, the upper end is open, the inner space is formed, the bag body 10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shoulder straps on both sides, and the bag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ver 20 that is openably covered with a zipper 30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

상기 낚시용 가방의 가방 본체(10) 내부 공간부에는 낚시질을 할 때 사용되는 밑밥을 넣어 두거나, 아니면 물을 넣고 낚시중에 잡은 물고기를 넣어 보관하게 된다.In the inner space of the bag body 10 of the fishing bag, ground rice used for fishing is put, or water is put and fish caught while fishing is put in and stored.

상기한 가방 본체(10)의 양측에는 제 1, 2손잡이(40, 60)가 힌지 결합된다.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hinged to both sides of the bag body 10 .

상기 제 1, 2손잡이(40, 60)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덮개(20)의 상면에 포개어지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한 손으로 서로 포개어져 있는 제 1, 2손잡이(40, 60)를 위로 들어주는 동작에 따라 제 1, 2손잡이(40, 60)의 그립부(42, 62)가 서로 걸림 고정되도록 하여 풀림 없이 한 손으로 제 1, 2손잡이(40, 60)를 잡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superim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 in a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with one hand by the user. The grip parts 42 and 62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caught and fixed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lifting to be able to move

첨부된 도 4는 제 1손잡이(40)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4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first handle 40 is extracted.

도 4에서와 같이, 제 1손잡이(40)는 그립바(42)와, 상기 그립바(42)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구성되는 연결바(44)로 구성한다.As shown in FIG. 4 , the first handle 40 includes a grip bar 42 and a connection bar 44 that is vertic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grip bar 42 .

상기 연결바(44)는 상기 가방본체(10)의 일측에 힌지(46)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46)를 기점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The connecting bar 44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bag body 10 by a hinge 46 , and is configured to rotate with the hinge 46 as a starting point.

상기 그립바(42)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그립바(42)의 상면 중앙에는 자석(48)이 내장되고, 상기 자석(48)의 양쪽으로 상향 걸림턱(50)이 일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The grip bar 42 is a part directly gripped by the user's hand, and a magnet 48 is built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bar 42 , and upward locking jaws 5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gnet 48 . It has an integrally formed structure.

상기 상향 걸림턱(50)은 단면상에서 "∧"형상을 가지며 제 1, 2손잡이(40, 60)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들려지는 과정에서 제 2손잡이의 그립바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 걸림홈에 걸려지며 제 1, 2손잡이를 서로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The upward locking jaw 50 has a "∧" shape in cross section and is caught in a downward locking groove formed in the grip bar of the second handle while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lifted while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and the 1st and 2nd handles are caught and fixed to each other.

상기 제 1손잡이(40)의 자석(48)은 제 1, 2손잡이(40, 60)가 서로 걸림 고정되며 제 2손잡이(60)의 자석(48)에 흡착되며 제 1, 2손잡이(40, 60)의 걸림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킨다.The magnet 48 of the first handle 40 has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interlocked and fixed to each other, and is adsorbed to the magnet 48 of the second handle 60,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60) is firmly maintained.

상기 그립바(42)에 형성되어 있는 상향 걸림턱(50)의 내면에는 상향 걸림홈(52)이 함몰 형성된다.An upward locking groove 52 is reces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ward locking jaw 50 formed on the grip bar 42 .

상기 상향 걸림홈(52)은 제 1, 2손잡이(40, 60)가 서로 포개어진 상태로 들려지는 과정에서 제 2손잡이(60)의 그립바(62)에 형성되어 있는 하향 걸림턱(70)이 걸려지도록 하여 제 1, 2손잡이(40, 60)를 서로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The upward locking groove 52 is a downward locking jaw 70 formed in the grip bar 62 of the second handle 60 while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lifted in a state of being superimposed on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caught and fixed to each other so that they are hooked.

상기 그립바(42)의 상향 걸림홈(52)과 연결바(44) 사이에는 라운드부(54)가 굴곡지게 형성되는 데, 상기 라운드부(54)는 제 1손잡이(40)의 위에 포개어져 있는 제 2손잡이(60)가 사용자가 손으로 제 1손잡이(40)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제 2손잡이(60)의 하향 걸림턱이 제 1손잡이(40)의 상향 걸림홈(52)에 정확하고 신속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A round part 54 is formed to be curved between the upwardly engaging groove 52 of the grip bar 42 and the connecting bar 44 , and the round part 54 is superimposed on the first handle 40 .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first handle 40 with the user's hand, the downward engaging jaw of the second handle 60 is precisely in the upward engaging groove 52 of the first handle 40, and It serves as a guide so that it can be quickly inserted.

첨부된 도 5는 제 2손잡이(60)의 구조를 발췌하여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second handle 60 is extracted.

도 5에서와 같이, 제 2손잡이(60)는 전술한 제 1손잡이(40)와 같이 그립바(62)와, 상기 그립바(62)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구성되는 연결바(64)로 구성하되, 상기 제 2손잡이(60)의 그립바(62) 및 연결바(64)는 상기 제 1손잡이(40)의 그립바(42) 및 연결바(44) 위에 포개어진 상태가 되도록 한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handle 60 includes a grip bar 62 like the first handle 40, and a connecting bar 64 bent vertically at both ends of the grip bar 62, respectively. However, the grip bar 62 and the connecting bar 64 of the second handle 60 are superimposed on the grip bar 42 and the connecting bar 44 of the first handle 40. .

상기 연결바(64)는 상기 가방본체(10)의 타측에 힌지(66)로 결합되며, 상기 힌지(66)를 기점으로 회전하도록 구성한다.The connecting bar 64 is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bag body 10 by a hinge 66, and is configured to rotate with the hinge 66 as a starting point.

상기 그립바(62)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그립바(62)의 하면 중앙에는 자석(68)이 내장되고, 상기 자석(68)의 양쪽으로 하향 걸림턱(70)이 일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The grip bar 62 is a part directly gripped by the user's hand. A magnet 68 is built-in in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bar 62, and downward engaging protrusions 7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gnet 68. It has an integrally formed structure.

상기 하향 걸림턱(70)은 단면상에서 "∨"형상을 가지며 제 1손잡이(40) 위에 제 2손잡이(60)가 포개어진 상태로 들려지는 과정에서 제 1손잡이(40)의 그립바(42)에 형성되어 있는 상향 걸림홈(52)에 걸려지며 제 1, 2손잡이(40, 60)의 그립바(42, 62)를 서로 걸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 2손잡이(60)의 하향 걸림턱은(70) 위로 들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손잡이(40)의 라운드부(54)를 타고 넘어가며 제 1손잡이(40)의 상향 걸림홈(52)에 정확히 안내되어 진다.The downward locking jaw 70 has a "∨" shape in cross section and the grip bar 42 of the first handle 40 in the process of being lifted in a state in which the second handle 60 is overlapped on the first handle 40. The grip bars 42 and 62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hooked and fixed to each other while being caught in the upward locking groove 52 formed in the . At this time, the downward engaging jaw of the second handle 60 rides over the round portion 54 of the first handle 40 in the process of being lifted up 70, and the upward engaging groove 52 of the first handle 40 ) is precisely guided.

상기 제 1손잡이(40)의 상향걸림턱(50)이 제 2손잡이(60)의 하향걸림홈(72)에 걸리고, 또한 제 2손잡이(60)의 하향 걸림턱(70)이 제 1손잡이(40)의 상향걸림홈(52)에 걸려지며 제 1, 2손잡이(40, 60)의 그립부(42, 62)가 서로 걸림 고정된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손잡이(60)의 자석(68)은 상기 제 1손잡이(40)의 자석(48)에 흡착되며 제 1, 2손잡이(40, 60)의 걸림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킨다.The upward engaging jaw 50 of the first handle 40 is caught in the downward engaging groove 72 of the second handle 60, and the downward engaging jaw 70 of the second handle 60 is connected to the first handle ( 40), the grip parts 42 and 62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locked to each other and at the same time, the magnet 68 of the second handle 60 is adsorbed to the magnet 48 of the first handle 40 and firmly maintains the engaging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 1, 2손잡이(40, 60)는 연결대(44, 64)를 가방 본체의 양측에 각각 힌지(46, 66) 결합시켜 상기 힌지(46, 66)를 기점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 구성하며, 또한 낚시를 하는 동안에는 제 1손잡이(40)를 덮개(20)의 위에 올려지도록 한 다음, 상기 제 1손잡이(40) 위로 제 2손잡이(60)가 포개어지도록 한 상태로 사용한다.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nect the connecting rods 44 and 64 to both sides of the bag body by hinges 46 and 66, respectively, and rotatably connect the hinges 46 and 66 as a starting point. Also, during fishing, the first handle 40 is placed on the cover 20 and then the second handle 60 is used in a state where the first handle 40 is overlapped.

이 상태에서 낚시용 가방을 운반하고자 할 때에는 도 6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손을 제 1손잡이(40)와 덮개(20) 사이로 삽입시킨 다음, 상기 제 1손잡이(40)를 위로 들어주면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2손잡이(40, 60)는 위로 들려지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손잡이(40)의 상향걸림턱(50)은 상기 제 2손잡이(60)의 하향걸림홈(72)에 걸리고, 또한 제 2손잡이(60)의 하향 걸림턱(70)이 제 1손잡이(40)의 상향걸림홈(52)에 걸려지며 제 1, 2손잡이(40, 60)의 그립바(42, 62)는 상, 하로 위치한 상태로 서로 걸림 고정된 상태가 됨과 동시에 상기 제 2손잡이(60)의 자석(68)은 상기 제 1손잡이(40)의 자석(48)에 흡착되며 제 1, 2손잡이(40, 60)의 그립부(42, 62) 걸림 상태를 견고히 유지시키게 된다. When you want to transport the fishing bag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6 , the user's hand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handle 40 and the cover 20 , and then the first handle 40 is lifted upward in FIG. 7 . As shown, in the process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lifted upward, the upward engaging jaw 50 of the first handle 40 is caught in the downward engaging groove 72 of the second handle 60, and Also, the downward engaging jaw 70 of the second handle 60 is caught in the upward engaging groove 52 of the first handle 40 and the grip bars 42 and 62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positioned in an up and down state, and at the same time become a locked state, and at the same time, the magnet 68 of the second handle 60 is adsorbed to the magnet 48 of the first handle 40, and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 60) to firmly maintain the gripping state of the grip parts 42 and 62.

즉, 상기와 같이 제 1, 2손잡이(40, 60)의 그립부(42, 62)가 걸림 상태가 되면 사용자는 한 손으로 제 1, 2손잡이(40, 60)의 그립바(42, 62)를 잡으려 할 때, 손에 과한 힘을 주지 않더라도 그립부(42, 62)를 서로 분리됨 없이 파지할 수 있음으로서 손으로 낚시용 가방을 들어 손 쉽게 원하는 곳으로 들고 운반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grip parts 42 and 62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are caught as described above, the user uses the grip bars 42 and 62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s 40 and 60 with one hand. When trying to catch , it is possible to hold the grip parts 42 and 62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ven without applying excessive force to the hand, so that the fishing bag can be easily held and carried to a desired place by hand.

한편, 덮개(20)는 가방 본체(10)의 개방된 상단에 지퍼(30)로 개폐 가능하게 덮혀진다.On the other hand, the cover 20 is covered with a zipper 30 on the open upper end of the bag body 10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상기 지퍼(30)는 가방 본체(10)의 측벽 상단과 덮개의 측벽 하단을 서로 개폐 가능하게 연결 구성한다.The zipper 30 connects the upp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bag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ver so as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each other.

상기 덮개(20)의 외곽면은 라운드지도록 굴곡면부(22)를 형성한다. 상기 굴곡면부(22)는 덮개(20)로 떨어진 빗물이 상기 굴곡면부(22)를 타고 아래로 떨어지도록 유도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20 forms a curved surface portion 22 so as to be rounded. The curved surface portion 22 induces rainwater that has fallen to the cover 20 to fall down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22 .

상기 덮개(20)의 굴곡면부(22) 아래에는 구획링(24)이 설치된다. 상기 구획링(24)은 상기 덮개(20)의 굴곡면부(22)와 상기 지퍼(30) 사이를 구획시켜 굴곡면부(22)를 타고 내려온 빗물이 지퍼(30)로 흘러내려가지 않도록 차단한다.A partition ring 24 is installed under the curved surface portion 22 of the cover 20 . The partition ring 24 divides between the curved surface portion 22 of the cover 20 and the zipper 30 , and blocks rainwater that has descended on the curved surface portion 22 from flowing down to the zipper 30 .

즉, 가방본체(10)와 덮개(20)는 빗물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방수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는 반면, 지퍼(30)는 직물지의 원단으로 제작됨에 따라 빗물이 쉽게 스며들 수 있다. 따라서 지퍼(30)를 가방 본체(10)의 측벽 상단과 덮개(20)의 측벽 하단 사이에 설치하고 여기에 다시 덮개(20)의 굴곡면부(22) 및 구획링(24)이 더해져 덮개(20)로 떨어진 빗물이 지퍼(30)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하여 빗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the bag body 10 and the cover 20 are made of a waterproof material to prevent rainwater from penetrating, whereas the zipper 30 is made of fabric, so rainwater can easily permeate. Therefore, the zipper 3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side of the side wall of the bag body 10 and the lower end of the side wall of the cover 20 , and the curved surface portion 22 and the partition ring 24 of the cover 20 are added to the cover 20 . ) to prevent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zipper 30, thereby preventing rainwater from penetrating.

첨부된 도 8은 낚시용 가방의 저면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8 is a three-dimensional view of the bottom of the fishing bag.

도 8에서와 같이 가방 본체(10)의 바닥면에는 별도의 바닥커버부재(80)가 고주파 접착된다.As shown in FIG. 8 , a separate bottom cover member 80 is high-frequency bond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bag body 10 .

상기 바닥커버부재(80)는 가방 본체(10)의 바닥면을 포위한 상태로 고주파 접착되며 갯바위 등의 날카로운 바위등에 가방 본체의 바닥이 찢겨지거나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The bottom cover member 80 is high-frequency bonded in a state of envelop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bag body 10, and protects the bottom of the bag body from being torn or damaged by sharp rocks such as gaetbawi.

상기 바닥커버부재(80)는 상단은 개방된 상태에서 내부에는 상기 가방 본체의 바닥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성형히되, 상기 가방 본체(10) 보다는 내구성이 강한 재질로 성형함이 바람직하다.The bottom cover member 80 is molded so as to form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bottom of the bag body inside while the top is open,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tronger than the bag body 10 .

상기 바닥커버부재(80)의 하단 네모서리면에는 엠보싱 형태의 논슬립부(90)가 더 구비되며, 상기 논슬립부(90)는 바닥에 직접 접촉한 상태에서 낚시용 가방이 바닥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한다.An embossed non-slip part 90 is further provided on the lower quadrangular surface of the bottom cover member 80, and the non-slip part 90 prevents the fishing bag from sliding on the floor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oor.

10: 가방본체 20: 덮개
30: 지퍼 40: 제 1손잡이
42: 그립바 44: 연결바
46: 힌지 48: 자석
50: 상향걸림턱 52: 상향걸림홈
60: 제 2손잡이 62: 그립바
64: 연결바 66: 힌지
68: 자석 70: 하향걸림턱
72: 하향걸림홈 80: 바닥커버부재
10: bag body 20: cover
30: zipper 40: first handle
42: grip bar 44: connecting bar
46: hinge 48: magnet
50: upward locking jaw 52: upward locking groove
60: second handle 62: grip bar
64: connecting bar 66: hinge
68: magnet 70: down-hanging jaw
72: downward locking groove 80: bottom cover member

Claims (3)

가방 본체(10), 상기 가방 본체(10)의 개방된 상면에 지퍼(30)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20)로 구성한 낚시용 가방에 설치되는 낚시용 가방 손잡이에 있어서,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그립바(42);
상기 그립바(42)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구성되며 가방 본체(10)의 일측에 힌지(46) 결합되는 연결바(44);
상기 그립바(42)의 상면 중앙에 설치되는 자석(48);
상기 그립바(42)의 상면 양쪽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는 상향 걸림턱(50);
상기 상향 걸림턱(50)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는 상향 걸림홈(52)으로 구성하여 상기 덮개(20)의 상면에 올려지는 제 1손잡이(40);
상기 제 1손잡이(40)의 위쪽에 포개어지며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그립바(62);
상기 그립바(62)의 양단에 각각 수직으로 절곡 구성되며 가방 본체(10)의 타측에 힌지(66) 결합되는 연결바(64);
상기 그립바(62)의 하면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제 1손잡이(40)의 자석(48)에 흡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석(68);
상기 그립바(62)의 하면 양쪽에 "∨"형상으로 일체 형성되며 상기 제 1손잡이(40)를 위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손잡이(40)의 상향걸림홈(52)에 걸려지는 하향걸림턱(70);
상기 하향 걸림턱(70)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손잡이(40)를 위로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손잡이(40)의 상향 걸림턱(50)이 걸려지도록 하는 하향 걸림홈(72)으로 구성한 제 2손잡이(60)로 구성하며;
상기 그립바(42)의 상향 걸림홈(52)과 연결바(44)의 사이에는 라운드부(54)가 굴곡지게 형성되며, 상기 라운드부(54)는 상기 제 1손잡이(40)를 들어 올리는 과정에서 상기 제 1손잡이(40)의 상기 연결바(44) 위에 올려져 있는 상기 제 2손잡이(60)의 하향걸림턱(70)을 상기 제 1손잡이(40)의 상향 걸림홈(52)으로 안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가방 손잡이.

In the bag body (10), the bag handle for fishing installed in the bag for fishing consisting of a cover (20) that is installed openly and openably with a zipper (30) on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bag body (10),
a grip bar 42 that allows the user to hold it by hand;
a connecting bar 44 that is vertic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grip bar 42 and is hinged 46 on one side of the bag body 10;
a magnet (48)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bar (42);
an upward locking jaw 50 integrally formed in a "∧" shape on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grip bar 42;
a first handle 4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20 by having an upward locking groove 52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upward locking jaw 50;
a grip bar (62) superimposed on the first handle (40) and allowing a user to hold it by hand;
a connecting bar (64) which is vertically bent at both ends of the grip bar (62) and is hinged (66) to the other side of the bag body (10);
a magnet (68)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bar (62) and capable of being adsorbed to the magnet (48) of the first handle (40);
It is integrally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grip bar 62 in a "∨" shape, and is caught in the upward locking groove 52 of the first handle 40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first handle 40 upward. chin (70);
A downward locking groove 72 that is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downward locking jaw 70 and allows the upward locking jaw 50 of the first handle 40 to be caught in the process of lifting the first handle 40 upward. Consists of a second handle (60) composed of;
A round part 54 is formed to be bent between the upwardly engaging groove 52 of the grip bar 42 and the connecting bar 44 , and the round part 54 lifts the first handle 40 . In the process, the downward locking jaw 70 of the second handle 60 placed on the connection bar 44 of the first handle 40 is moved to the upward locking groove 52 of the first handle 40 . Fishing bag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to guid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12748A 2020-02-03 2020-02-03 A Fishing Bag Handle KR10242519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48A KR102425198B1 (en) 2020-02-03 2020-02-03 A Fishing Bag Hand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2748A KR102425198B1 (en) 2020-02-03 2020-02-03 A Fishing Bag Hand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776A KR20210098776A (en) 2021-08-11
KR102425198B1 true KR102425198B1 (en) 2022-07-25

Family

ID=773139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2748A KR102425198B1 (en) 2020-02-03 2020-02-03 A Fishing Bag Hand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5198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077A (en) 2002-09-18 2004-04-08 Daiwa Seiko Inc Container for fishing
KR100784292B1 (en) 2006-07-12 2007-12-12 서윤숙 Krill bag
JP2014155478A (en) * 2013-02-18 2014-08-28 Shimano Inc Fishing bag
KR101582310B1 (en) * 2014-01-27 2016-01-04 (주)아티누스 bag handle for fish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66465B2 (en) 2005-02-03 2011-04-06 株式会社シマノ Fishing b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5077A (en) 2002-09-18 2004-04-08 Daiwa Seiko Inc Container for fishing
KR100784292B1 (en) 2006-07-12 2007-12-12 서윤숙 Krill bag
JP2014155478A (en) * 2013-02-18 2014-08-28 Shimano Inc Fishing bag
KR101582310B1 (en) * 2014-01-27 2016-01-04 (주)아티누스 bag handle for fi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8776A (en) 2021-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289617A1 (en) Protective cover for use with handbags and a method for its use
US20150314956A1 (en) Yard clean-up tools and methods
US20160102427A1 (en) Oversized,Convertible Laundry Duffel Bag
KR102425198B1 (en) A Fishing Bag Handle
WO2013192090A1 (en) Portable bag holder and kit
JP3207275U (en) Carrying bag
US5911463A (en) Leaf and yard debris receptacle
CA2433204A1 (en) Dual purpose christmas tree bag
US4495862A (en) Limb bundler and bag holder
FR2654642A1 (en) Bag for golf clubs with shoulder transportation strap
KR101688959B1 (en) Fortable folding type box
CN101088331B (en) Fishing tackle box
JP4057632B1 (en) Fixture with barb
CN204811595U (en) Multi -functional fishing tackle package of dismantlement formula that can reflect light
JP2006006575A (en) Backpack
KR20140017360A (en) Alpine stick integrated with tongs
CN209703403U (en) A kind of shovel dog excrement folder
CN204335610U (en) One can push-and-pull fishing gear bag
KR20240049406A (en) a wheeled bag
KR101582310B1 (en) bag handle for fishing
JP3157890U (en) Bag with a hand
US1738470A (en) Fruit-picker's bag
JP3082428U (en) Travel case
KR102296495B1 (en) Safety tongs for earthen pot
US10336537B1 (en) Leaf lifter and method of 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