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4579B1 - 과압 배출구 - Google Patents

과압 배출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4579B1
KR102424579B1 KR1020220017671A KR20220017671A KR102424579B1 KR 102424579 B1 KR102424579 B1 KR 102424579B1 KR 1020220017671 A KR1020220017671 A KR 1020220017671A KR 20220017671 A KR20220017671 A KR 20220017671A KR 102424579 B1 KR102424579 B1 KR 10242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frame
sub
main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설하
Original Assignee
(주)삼성방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방재 filed Critical (주)삼성방재
Priority to KR1020220017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4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2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sliding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Impact Printer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압 배출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과압 배출구는 내부에 메인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의 방호 구역과 연통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방호 구역에 반대되는 일 측에서 상기 메인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방호 구역을 향하는 일 측에서 상기 메인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메인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각각 밀착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공간과 외부의 배출 구역의 연통을 차단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호 구역에서 체류되던 유체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메인 공간과 상기 배출 구역이 연통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방호 구역에서 상기 배출 구역으로 유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과압 배출구{Pressure relief vent}
본 발명은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호 구역의 압력 변화에 따라 능동적으로 작동되어 압력을 배출할 수 있는 구조의 과압 배출구에 관한 것이다.
과압 배출구는 일 공간과 타 공간을 연통 가능하게 연결한다. 과압 배출구는 물리적으로 구획된 공간이 연통되는 부분에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과압 배출구는 상기 공간 중 어느 하나의 공간의 압력이 증가되면, 다른 하나의 공간을 향해 이동되어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과 상기 다른 하나의 공간을 연통한다. 이에 따라, 압력이 증가된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에서 체류되던 기체가 상기 다른 하나의 공간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의해, 상기 어느 하나의 공간과 상기 다른 하나의 공간의 압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과압 배출구는 특히 방호 구역(fire zone)에서 발생된 압력을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방호 구역에서 화재 등이 발생될 경우, 이를 소화하기 위해 분사되는 불활성 소화가스에 의해 방호 구역의 압력이 상승되면, 과압 배출구가 개방되어 방호 구역과 외부를 연통한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에 배치되는 다양한 장비 또는 시설물 등의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화재 등에 의한 압력 변화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 과압 배출구는 상기 일 공간 및 상기 타 공간을 밀폐할 수 있어야 한다. 동시에, 화재 등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된 경우, 과압 배출구는 신속하게 개방되어 상기 일 공간 및 상기 타 공간을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더 나아가, 상기 일 공간 및 상기 타 공간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는 경우, 과압 배출구는 다시 상기 일 공간 및 상기 타 공간을 밀폐하여 연통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과압 배출구는 신속하면서도 신뢰성 있는 동작이 보장되어야 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10038호는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화재 감지센서에 의해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방호 구역의 압력을 주기적으로 감지하고, 감지된 정보에 따라 자동개폐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는, 그 장치 자체의 손상은 발생되지 않은 상황임을 전제한다. 즉, 화재 등이 발생되어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 자체가 손상된 경우, 방호 구역의 개폐가 신뢰성 있게 수행되기 어렵다.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31033호는 과압배출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레일 및 레일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장치를 포함하여, 방호 구역의 압력 변경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는 과압배출장치를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 선행문헌이 개시하는 과압배출장치는 레일을 가이드하기 위한 별도의 가이더가 요구된다. 따라서, 과압배출장치의 사용이 지속됨에 따라, 가이더 또는 레일이 마모될 경우, 레일의 이동이 방해받을 염려가 있다. 상기의 경우, 과압배출장치의 작동 신뢰성이 저하될 염려 또한 존재한다.
한국등록실용신안문헌 제20-0410038호 (2006.03.03.) 한국등록특허문헌 제10-1331033호 (2013.11.2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는 구조의 과압 배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작동의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는 구조의 과압 배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로 다른 공간의 밀폐 및 연통이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는 구조의 과압 배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한 구조의 과압 배출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메인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의 방호 구역과 연통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방호 구역에 반대되는 일 측에서 상기 메인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방호 구역을 향하는 일 측에서 상기 메인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메인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 및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각각 밀착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공간과 외부의 배출 구역의 연통을 차단하는 밀폐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방호 구역에서 체류되던 유체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메인 공간과 상기 배출 구역이 연통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방호 구역에서 상기 배출 구역으로 유동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된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서브 프레임을 향하는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이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메인 면; 및 상기 메인 면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방호 구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메인 외주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공간은, 상기 메인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관통 형성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반대되는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공간을 덮는 서브 면; 상기 서브 면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서브 외주; 및 상기 서브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서브 면 및 상기 서브 외주에 둘러싸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일 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메인 공간과 연통되는 서브 함몰부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반대되는 일 측에 배치되며,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방호 구역과 상기 결합 공간을 연통하는 결합 개구부; 및 상기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 개구부를 둘러싸며 연장되는 결합 리브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결합 리브와 연속되며, 상기 결합 공간을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연장되는 결합 외주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서브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밀폐 외주; 및 상기 밀폐 외주와 연속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의 방사상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폐 외주의 단부를 둘러싸는 밀폐 베이스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폐 베이스는, 상기 서브 외주의 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밀폐 결합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 프레임, 상기 서브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체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서브 프레임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부분 중 상기 방호 구역을 향하는 일 측에 형성된 결합 관통공에 관통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프레임의 부분 중 상기 일 측에 형성된 지지 관통공에 관통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기 외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부재 각각까지의 거리가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의 각 모서리(corner)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의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 부재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결합 부재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상기 결합 프레임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일 단부와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복원력을 저장하게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가습 배출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기 외면을 지지하는 제1 결합 헤드; 상기 제1 결합 헤드와 연속되며, 상기 메인 공간 및 상기 결합 공간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결합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와 연속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 프레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2 결합 헤드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 몸체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 및 상기 제2 결합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에 의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하게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의 내면을 지지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는 작동 신뢰성이 유지될 수 있다.
과압 배출구는 방호 구역과 연통되는 메인 프레임 및 결합 프레임을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에는 서브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된 메인 공간은 서브 프레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은 체결부에 의해 결합 프레임과 결합된다. 체결부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여, 서브 프레임에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방호 구역의 압력이 상승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성 부재는 초기 형상을 유지하며 서브 프레임이 메인 공간을 폐쇄한 상태로 유지한다.
방호 구역의 압력이 상승되면, 서브 프레임은 상기 압력에 의해 이동되어 메인 공간이 개방된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과 배출 구역이 연통되어 압력이 배출 구역으로 배출되며 방호 구역의 압력이 하강될 수 있다.
이때, 탄성 부재는 서브 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압력의 배출이 충분히 수행되어 방호 구역과 배출 구역의 압력이 평형을 이루면, 방호 구역에서 서브 프레임에 인가하는 압력의 크기가 탄성 부재에 저장된 복원력에 비해 감소된다. 이에, 탄성 부재는 초기 형상으로 복원되며 서브 프레임이 다시 이동되어 메인 공간이 폐쇄될 수 있다.
따라서, 방호 구역의 압력의 변화에 따라 과압 배출구가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의 압력 변화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는 오작동의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과압 배출구는 전기적 신호만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되지 않고, 기구적인 특성에 의해 작동되게 구성된다. 과압 배출구는 전기적 신호의 인가 없이도 방호 구역의 압력 및 탄성 부재가 저장하는 복원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방호 구역에서 발생된 화재 또는 가스 등에 의해 과압 배출구가 가열되더라도, 과압 배출구의 오작동의 가능성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는 서로 다른 공간의 밀폐 및 연통이 신뢰성 있게 수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호 구역과 연통되는 메인 공간은 이와 접촉되는 서브 프레임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에는 밀폐 부재가 결합된다. 밀폐 부재는 서브 프레임의 단부를 감싸게 배치되며, 메인 프레임과 접촉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 부재는 소정의 마찰력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 부재는 탄성 부재가 인가하는 복원력에 의해 형상 변형되며, 메인 프레임 및 서브 프레임에 각각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구역과 메인 공간, 달리 표현하면 배출 구역과 방호 구역이 신뢰성 있게 밀폐되어 서로 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방호 구역의 압력에 의해 서브 프레임이 이동되면, 이에 결합된 밀폐 부재 또한 함께 이동되어 메인 공간이 배출 구역과 연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구역과 메인 공간, 달리 표현하면 배출 공간과 방호 구역이 신뢰성 있게 연통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 적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과압 배출구는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동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력부는 상술한 구성에 더하여, 방호 구역에서 감지된 상태에 대한 정보를 근거로 연산된 제어 정보에 따라, 서브 프레임을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 과압 배출구는 기구적 작동뿐만 아니라 전기적으로도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압 배출구의 작동 신뢰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형태의 변형 예가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과압 배출구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과압 배출구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과압 배출구를 도시하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과압 배출구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과압 배출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과압 배출구를 도시하는 A-A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의 작동 과정을 도시하는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해당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해당 구성은 본 발명의 출원 시점에서 이를 대체할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가 있을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연통"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연통은 관로, 파이프, 배관 등의 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통전"이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부재가 서로 전류 또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전은 도선 부재 등에 의한 유선의 형태 또는 블루투스, Wi-Fi, RFID 등의 무선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방호 구역"이라는 용어는, 화재 등의 사고가 발생될 가능성이 있는 구역을 의미한다. 또한, 방호 구역은 그 내부의 압력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구역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배출 구역"이라는 용어는, 벽(W)에 의해 방호 구역과 물리적으로 이격되는 구역을 의미한다. 과압 배출구(10)는 방호 구역과 배출 구역을 연통하여, 방호 구역에서 발생된 가스 등이 방호 구역에서 배출 구역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가스"라는 용어는 방호 구역에서 발생되어, 방호 구역의 압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유체를 의미한다. 일 실시 예에서, 가스는 발생된 화재를 소화하기 위한 소화용 가스, 물질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 가스 등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가스"라는 용어는 가스가 인가하는 압력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상측", "하측", "좌측", "우측", "전방 측" 및 "후방 측"이라는 용어는 첨부된 도 1에 도시된 좌표계를 참조하여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10)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10)는 방호 구역과 배출 구역을 물리적으로 구획하는 벽(W)에 설치될 수 있다. 과압 배출구(10)의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벽(W)에 구비되는 루버(L)와 연통된다. 즉, 과압 배출구(10)는 루버(L)를 개방하거나 폐쇄하여 방호 구역과 상기 배출 구역을 연통하거나 연통을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과압 배출구(10)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또는 사각판형으로 구비된다. 과압 배출구(10)의 형상은 과압 배출구(10)가 결합되는 벽(W) 또는 루버(L)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과압 배출구(10)는 벽(W)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8 및 도 9를 더 참조하면, 과압 배출구(10)가 방호 구역을 폐쇄한 상태에서, 그 전방 측에 위치되는 서브 프레임(200)만이 외측으로 노출된다. 이에 따라, 과압 배출구(10)의 외측이 벽(W)에서 돌출된 정도가 최소화되어, 과압 배출구(10) 주변의 작업 환경이 개선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과압 배출구(10)는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결합 프레임(300), 밀폐 부재(400) 및 체결부(500)를 포함한다.
메인 프레임(100)은 과압 배출구(1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한다. 메인 프레임(100)은 과압 배출구(10)의 구성 요소 중 가장 큰 크기 또는 부피를 갖게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과압 배출구(10)의 다른 구성 요소가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벽(W)에 수용된다. 메인 프레임(100)의 일부, 후술될 메인 면(110)만이 벽(W)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벽(W)에 수용되고, 과압 배출구(10)의 다른 구성 요소와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이때, 메인 프레임(100)이 연장되는 방향은 벽(W)의 두께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메인 프레임(100)의 형상은 이에 결합되는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면 서브 프레임(200), 결합 프레임(300), 밀폐 부재(400) 및 체결부(5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열 절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방호 구역에서 발생된 화재 등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메인 프레임(100)은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의 이동에 따른 손상을 방지하여, 내구 연한이 증가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철(Fe) 스테인리스(Stainless steel)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벽(W)에 고정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과압 배출구(10)가 작동되는 경우에도 임의로 이동되거나 요동되지 않는다.
메인 프레임(100)은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서브 프레임(200)을 그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후방 측에서 서브 프레임(200)을 지지한다.
메인 프레임(100)은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방호 구역에서 유출된 가스는 상기 공간을 거쳐 배출 구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결합 프레임(300)에 의해 벽(W) 또는 루버(L)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의 후방 측이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메인 프레임(100)은 밀폐 부재(400)와 접촉된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서브 프레임(200)과 접촉되는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면이 밀폐 부재(400)와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이 밀착 결합되어, 배출 구역과 방호 구역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에는 체결부(500)가 관통된다. 체결부(500)는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00) 및 결합 프레임(300)에 결합시킨다. 체결부(500)의 일부 구성 요소, 구체적으로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에서 메인 프레임(100)에 관통되어 연장될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그 연장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 사이에 위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전방 측에서 후방 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서브 프레임(200), 메인 프레임(100) 및 결합 프레임(300)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방 측은 배출 구역을 향하는 방향이고, 상기 후방 측은 방호 구역을 향하는 방향임이 이해될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프레임(100)은 메인 면(110), 메인 외주(120), 메인 공간(130) 및 메인 함몰부(140)를 포함한다.
메인 면(110)은 메인 프레임(100)의 일 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면(110)은 메인 프레임(100)의 전방 측 면을 형성한다.
메인 면(110)의 일 측은 서브 프레임(200) 및 밀폐 부재(400)가 접촉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면(110)의 전방 측은 밀폐 부재(400)의 밀폐 베이스(420) 및 이에 의해 지지되는 서브 프레임(200)의 서브 외주(220)가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메인 면(110) 및 이에 접촉된 밀폐 베이스(420)(및 이에 둘러싸이는 서브 외주(220))는 메인 공간(130)과 서브 함몰부(230)를 밀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에서 화재 등이 발생되지 않은 경우, 메인 공간(130) 및 서브 함몰부(230)는 배출 구역과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메인 면(110)의 타측은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면(110)의 후방 측은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 외주(330)와 결합된다. 메인 면(110)의 후방 측은 결합 외주(330)와 함께 결합 공간(340)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메인 면(110)은 메인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면(110)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메인 면(110)의 각 모서리는 메인 외주(120)와 연속된다. 또한, 메인 면(110)의 내부에는 메인 공간(130)이 관통 형성된다. 메인 면(110)의 후방 측은 메인 함몰부(140)의 일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을 감싸게 구성된다.
메인 외주(120)는 메인 프레임(100)의 외주를 형성한다. 메인 외주(120)는 메인 면(110)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외주(120)는 메인 면(1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다.
각 측에서 연장되는 메인 외주(120)는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외주(120)의 정단면은 메인 면(110)의 모서리가 연속된 형상, 즉 정사각형임이 이해될 것이다.
메인 외주(120)는 결합 프레임(3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메인 면(1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외주(120)는 서브 프레임(200)에 반대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메인 외주(120)는 메인 프레임(100)을 방사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인 외주(120)는 메인 프레임(100)이 결합된 벽(W)의 내주와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과 벽(W) 사이의 공간이 폐쇄되어, 방호 구역과 배출 구역 간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메인 외주(120)는 메인 함몰부(14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외주(120)는 메인 함몰부(140)의 방사상 외측 방향, 즉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메인 공간(130)은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메인 공간(130)은 방호 구역에서 유출된 가스가 배출 구역으로 진행되는 경로를 형성한다.
메인 공간(130)은 메인 프레임(100)의 내부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메인 공간(130)은 메인 면(110)의 내부에 관통 형성된다.
메인 공간(130)은 서브 함몰부(230) 및 결합 공간(340)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200)의 이동에 의해 메인 공간(130)은 방호 구역 및 배출 구역과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공간(130)의 전방 측은 서브 함몰부(230)와 연통되고, 메인 공간(130)의 후방 측은 결합 공간(340)과 연통된다.
메인 공간(130)은 서브 함몰부(230) 및 결합 공간(34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공간(130)은 메인 외주(120)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며, 메인 면(110)에 상응하게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이때, 메인 공간(130)은 그 단면의 크기가 서브 면(210) 및 이를 둘러싸는 서브 외주(220)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 프레임(200)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메인 공간(130)은 서브 프레임(200) 및 이에 결합된 밀폐 부재(400)에 의해 덮여 폐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메인 공간(130)과 배출 구역 간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메인 공간(130)에는 체결부(500)가 수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500)의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는 메인 공간(130)에 관통되어, 서브 프레임(200)의 외측(즉, 전방 측) 및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즉, 후방 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방호 구역의 가스가 메인 공간(130)을 통해 유동되어 방호 구역의 압력이 감소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메인 함몰부(140)는 메인 프레임(100)이 결합 프레임(300)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공간이다. 메인 함몰부(140)는 메인 면(110) 및 메인 외주(12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메인 함몰부(140)의 전방 측은 메인 면(110)에 둘러싸이고, 메인 함몰부(140)의 방사 방향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은 메인 외주(120)에 둘러싸인다.
메인 함몰부(140)는 메인 면(110)의 각 측 중 결합 프레임(300)을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형성된다.
메인 함몰부(140)에는 결합 프레임(300)이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 외주(330)의 전방 측 일부가 메인 함몰부(140)에 수용된다.
메인 함몰부(140)는 외부에 노출되는 일 부분 및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다른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즉, 메인 함몰부(140)의 부분 중 결합 외주(330)의 방사상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은 외측으로 노출된다. 또한, 메인 함몰부(140)의 부분 중 결합 외주(330)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은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다른 부분은 결합 공간(340)의 일부로 정의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은 방호 구역의 압력 변화에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서브 프레임(200)의 이동에 의해, 방호 구역 및 배출 구역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은 배출 구역을 향하는 일 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프레임(200)은 과압 배출구(10)의 전방 측을 형성한다.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결합 프레임(30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서브 프레임(200)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은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 프레임(200)은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00)에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방향(즉, 전방 측) 및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즉, 후방 측)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상기 결합은 체결부(50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과 밀착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과압 배출구(10)가 방호 구역과 배출 구역의 연통을 차단하는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200) 및 이에 결합된 밀폐 부재(400)는 메인 면(110)과 밀착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메인 공간(130)이 밀폐되어 방호 구역과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은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결합 프레임(300)은 체결부(500)와 결합되어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서브 프레임(200)은 밀폐 부재(400)와 결합된다. 서브 프레임(200)은 그 외주 및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측, 즉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하측, 좌측, 우측 및 후방 측이 밀폐 부재(400)에 둘러싸인다. 서브 프레임(200)은 밀폐 부재(400)를 통해 메인 프레임(100)과 접촉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프레임(10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프레임(200)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모서리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서브 프레임(200)의 형상은 메인 프레임(100)의 형상에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서브 프레임(200)의 단면의 크기는 메인 프레임(100)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이 겹쳐졌을 때, 서브 프레임(200)의 서브 외주(220)는 메인 프레임(100)의 메인 외주(120)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서브 프레임(200)의 단면의 크기는 메인 공간(130)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공간(130)을 완전히 덮으며 메인 프레임(100)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과 밀착된(즉, 밀착 부재(400)를 통해)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공간(130)을 폐쇄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된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200)은 메인 공간(130)과 배출 구역을 연통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프레임(200)은 서브 면(210), 서브 외주(220), 서브 함몰부(230) 및 서브 관통공(240)을 포함한다.
서브 면(210)은 서브 프레임(200)의 일 면을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면(210)은 서브 프레임(200)의 전방 측 면을 형성한다.
서브 면(210)에는 복수 개의 관통공(240)이 관통 형성된다. 복수 개의 관통공(240)에는 각각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서브 면(210)의 일 측은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면(210)의 전방 측은 관통된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접촉되어 이들을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면(210)은 그 전방 측에 위치되는 결합 부재(510)의 제1 결합 헤드(511) 및 가이드 부재(550)의 제1 가이드 헤드(551)를 지지하게 구성된다.
서브 면(210)은 메인 공간(130)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브 면(210)은 그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메인 공간(130)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서브 면(210)의 타측은 서브 함몰부(2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동시에 메인 공간(130)을 덮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면(210)의 후방 측은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게 배치되어, 메인 공간(130)을 덮게 배치된다.
이때, 서브 면(210)의 상기 타측, 즉 후방 측에는 너트 부재(560)가 접촉, 결합될 수 있다. 너트 부재(56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가 이동될 수 있도록, 결합 부재(510)와 가이드 부재(550)를 서브 프레임(200)에 결합시킨다.
서브 면(210)은 서브 프레임(2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면(210)은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의 길이가 같은 정사각형으로 형성된다.
서브 면(210)의 각 모서리는 서브 외주(220)와 연속된다. 또한, 서브 면(210)은 서브 함몰부(2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게 형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면(210)은 서브 함몰부(230)의 후방 측을 둘러싸게 구성된다. 서브 면(2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서브 관통공(240)이 형성된다.
서브 외주(220)는 서브 프레임(200)의 외주를 형성한다. 서브 외주(220)는 서브 면(210)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외주(220)는 서브 면(210)의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된다.
각 측에서 연장되는 서브 외주(220)는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따라서, 서브 외주(220)의 정단면은 서브 면(210)의 모서리가 연속된 형상, 즉 정사각형임이 이해될 것이다.
서브 외주(220)는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서브 면(210)과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된다. 이에 따라, 서브 외주(220)는 서브 프레임(200)을 방사 방향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외주(220)는 메인 외주(120)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서브 외주(220)는 메인 공간(130)을 방사 방향에서 둘러싸게 배치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서브 외주(220)는 메인 공간(130)을 방사 방향에서 폐쇄한다. 이에 따라, 메인 공간(130)과 외부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서브 외주(220)는 서브 함몰부(230)를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외주(220)는 서브 함몰부(230)의 방사상 외측 방향, 즉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을 둘러싸게 형성된다.
서브 함몰부(230)는 서브 프레임(200)이 메인 공간(130)과 연통되는 부분이다. 서브 함몰부(230)는 메인 면(110), 서브 면(210) 및 서브 외주(22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정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함몰부(230)의 전방 측은 서브 면(210)에 둘러싸인다. 서브 함몰부(230)의 방사 방향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상측, 하측, 좌측 및 후방 측은 서브 외주(220)에 둘러싸인다. 또한, 서브 함몰부(230)의 후방 측은 메인 면(11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이며, 다른 부분은 메인 공간(130)과 연통된다.
서브 함몰부(230)는 서브 면(210)의 각 측 중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형성된다.
서브 함몰부(230)는 메인 공간(130)과 연통된다. 방호 구역에서 메인 공간(130)으로 유동된 가스는 서브 함몰부(230)로 유동되어, 서브 함몰부(230)를 둘러싸는 서브 면(210)을 가압하여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서브 함몰부(230)에는 체결부(500)의 너트 부재(560)가 수용된다. 너트 부재(560)는 서브 함몰부(230)에 수용되어, 서브 함몰부(230)를 둘러싸는 서브 면(21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접촉, 결합될 수 있다.
서브 관통공(240)은 체결부(500)가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서브 관통공(240)은 서브 면(210)의 내부에, 그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서브 관통공(240)은 체결부(500)의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관통공(24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판 형상의 공간으로 형성된다.
서브 관통공(240)에는 체결부(500)가 관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관통공(240)에는 체결부(500)의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가 관통 결합된다.
서브 관통공(24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서브 관통공(240)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서브 관통공(240)은 총 다섯 개 구비된다. 다섯 개의 서브 관통공(240) 중 상측의 좌측 및 우측, 하측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되는 네 개의 서브 관통공(240)에는 결합 부재(510)가 관통 결합된다. 또한, 상기 네 개의 서브 관통공(240)을 연결하는 가상의 직선이 교차되는 지점 중 내측에 위치되는 한 개의 서브 관통공(240)에는 가이드 부재(550)가 관통 결합된다.
서브 관통공(240)의 개수 및 배치 방식은 체결부(500) 및 체결부(500)와의 결합 관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300)은 과압 배출구(10)가 벽(W) 또는 루버(L)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과압 배출구(10)는 결합 프레임(300)에 의해 벽(W) 또는 루버(L)에 고정 지지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300)은 방호 구역을 향하는 타 측에 치우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300)은 과압 배출구(10)의 후방 측을 형성한다. 결합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100)을 사이에 두고 서브 프레임(200)을 마주하게 배치된다. 결합 프레임(300)은 벽(W), 루버(L) 및 메인 프레임(100)에 둘러싸여, 외측으로 임의 노출되지 않는다.
결합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300)과 메인 프레임(100)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프레임(300)은 결합 외주(330)가 메인 프레임(100)의 메인 함몰부(140)에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그 단부가 메인 면(110)의 후방 측과 결합된다.
결합 프레임(300)은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결합 프레임(300)은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300)은 서브 프레임(2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방향이 방호 구역 및 배출 구역을 향하는 방향임은 상술한 바와 같다.
결합 프레임(300)은 체결부(500)와 결합된다. 결합 프레임(300)은 체결부(500)와의 결합 구조에 의해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300)은 결합 리브(310)에 형성된 복수 개의 관통공(350)에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가 관통 결합된다.
후술될 바와 같이,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을 향해 연장되어, 서브 면(210)의 외측으로 그 단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300)은 그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며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결합 프레임(300)의 상기 공간은 외부, 구체적으로 방호 구역과 연통되어, 방호 구역에서 체류되는 가스가 유입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300)의 상기 공간은 메인 공간(130)과 연통되어, 유입된 가스는 메인 공간(130)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300)은 메인 공간(130)을 덮으며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메인 공간(130)은 결합 프레임(300)의 내부에 형성된 상기 공간을 통해서만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결합 프레임(300)은 메인 프레임(100)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300)은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의 모서리를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사각기둥 형상이다. 결합 프레임(300)의 형상은 메인 프레임(100)의 형상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결합 프레임(300)의 단면의 크기는 메인 프레임(100)의 단면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 프레임(300)과 메인 프레임(100)이 결합되었을 때,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 외주(330)는 메인 프레임(100)의 메인 외주(120)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결합 프레임(300)의 단면의 크기는 메인 공간(130)의 단면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 프레임(300)은 결합 외주(330)가 메인 공간(130)의 외주를 둘러싸며 메인 프레임(100)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프레임(300)은 결합 리브(310), 결합 개구부(320), 결합 외주(330), 결합 공간(340) 및 관통공(350)을 포함한다.
결합 리브(310)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형의 일부를 형성한다. 결합 리브(310)는 결합 프레임(300)의 부분 중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형성한다.
결합 리브(310)는 결합 프레임(300)의 내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310)는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 외주(330)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된다.
결합 리브(310)는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또는 결합 프레임(300)이 연장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310)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 리브(310)의 내부에는 관통공(350)이 형성된다. 관통공(350)은 결합 리브(31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결합 리브(310)는 결합 개구부(320)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310)는 결합 개구부(320)의 방사 방향의 내측을 둘러싸며 연장된다.
결합 리브(310)에 의해, 결합 프레임(300)의 강성이 보강될 수 있다. 또한, 결합 프레임(300)과 벽(W) 또는 루버(L)를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관통공(350)이 결합 리브(310)에 형성됨에 따라, 결합 프레임(300) 및 이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10) 전체의 크기가 소형화될 수 있다.
결합 리브(3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리브(310)는 서로 교차되게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310)는 두 개 구비된다. 어느 하나의 결합 리브(310)는 좌상측에서 우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다른 하나의 결합 리브(310)는 우상측에서 좌하측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어느 하나의 결합 리브(310) 및 상기 다른 하나의 결합 리브(310)는 서로 교차된다. 두 개의 결합 리브(310)가 교차되는 부분에는 관통공(350) 중 지지 관통공(352)이 형성된다.
결합 리브(310)에는 체결부(50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500)는 결합 리브(310)에 형성되는 관통공(350)에 관통 결합되어, 결합 리브(31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310)는 결합 부재(510), 탄성 부재(520), 실린더 부재(530), 와셔 부재(540) 및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된다.
결합 리브(310)에 의해 부분적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공간은 결합 개구부(320)로 정의된다.
결합 개구부(320)는 결합 프레임(300)의 부분 중 결합 리브(310)가 형성된 상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320)는 개방 형성되어 방호 구역과 연통된다. 또한, 결합 개구부(320)는 결합 프레임(300)의 내부에 형성된 결합 공간(340)과 연통된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과 결합 공간(340)이 연통될 수 있다.
결합 개구부(320)는 결합 리브(310) 및 결합 외주(33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320)의 외측은 결합 외주(330)에 둘러싸이고, 결합 개구부(320)의 내측은 결합 리브(310)에 둘러싸인다.
결합 개구부(320)는 결합 프레임(300)의 상기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에 관통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320)는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개구부(320)는 서로 물리적으로 이격 배치되어, 각각 방호 구역과 결합 공간(340)을 연통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320)는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되어 총 네 개 형성된다.
결합 개구부(320)는 방호 구역과 결합 공간(340)을 연통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개구부(320)는 외측을 향하는 일 모서리를 밑변으로 하고, 내측을 향하는 한 쌍의 모서리를 빗변으로 하는 이등변삼각형의 형상이다.
서로 인접한 결합 개구부(320)는 결합 리브(310)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게 배치된다. 결합 리브(310) 및 결합 개구부(320)가 각각 복수 개 형성되는 실시 예에서, 결합 리브(310) 및 결합 개구부(320)는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결합 외주(330)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주를 형성한다. 결합 외주(330)는 결합 리브(310) 및 결합 개구부(320)의 방사 방향에서 연장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외주(330)는 메인 외주(120) 및 서브 외주(220)와 같은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외주(330)는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각각 연장된다.
각 측에서 연장되는 결합 외주(330)는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외주(330)의 정단면은 결합 프레임(300)의 단면 형상, 즉 정사각형임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외주(330)는 메인 프레임(100)을 향해 연장 형성된다. 결합 외주(330)는 메인 프레임(100)의 메인 함몰부(140)에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외주(330)의 전방 측 부분은 메인 함몰부(140)에 수용되어, 그 단부는 메인 면(110)의 후방 측과 결합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외주(330)와 메인 면(110)은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결합 프레임(300)과 메인 프레임(100)이 결합될 수 있다.
결합 외주(330)는 결합 공간(340)을 부분적으로 둘러싼다. 결합 공간(340)으로 유입된 가스는 결합 외주(330)가 둘러싸는 방향으로는 유동되지 않는다. 이에, 결합 외주(330)는 결합 공간(340)의 일 부분을 폐쇄한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외주(330)는 결합 공간(340)을 방사 방향에서 둘러싸게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합 외주(330)는 결합 공간(340)을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둘러싸게 배치된다.
결합 공간(340)은 결합 프레임(3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이다. 결합 공간(340)은 외부와 연통되어, 가스가 유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 공간(340)은 방호 구역과 연통되어, 방호 구역의 가스가 결합 공간(340)으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 공간(340)은 배출 구역과 연통되어, 유입된 가스가 배출 구역으로 배출될 수 있다.
결합 공간(340)은 결합 개구부(320)와 연통된다. 방호 구역은 결합 개구부(320)를 통해 결합 공간(340)과 연통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340)과 결합 개구부(320)는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 방향, 즉 전후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된다.
결합 공간(340)은 결합 리브(310) 및 결합 외주(330)에 둘러싸인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340)의 후방 측은 결합 리브(310)에 부분적으로 둘러싸인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공간(340)의 후방 측의 다른 부분은 결합 개구부(320)에 의해 방호 구역과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340)의 방사 방향의 외측은 결합 외주(330)에 둘러싸인다. 결합 공간(340)으로 유입된 가스는 상기 방사 방향을 통해 유출되지 않게 된다.
결합 공간(340)은 메인 공간(130)과 연통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공간(340)의 전방 측은 개방 형성되어 메인 공간(130)의 후방 측과 연통된다. 결합 공간(340)으로 유입된 가스는 메인 공간(130)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결합 공간(340)은 배출 구역과 연통된다. 구체적으로, 결합 공간(340)에 유입된 가스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서브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되면,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결합 공간(340)에 유입된 가스가 배출 구역으로 유동될 수 있다.
결합 공간(340)에는 체결부(500)가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체결부(500)는 관통공(350)에 관통 결합된 후, 결합 공간(340), 메인 공간(130) 및 서브 함몰부(230)를 차례로 가로질러 서브 면(210)에 형성된 서브 관통공(240)에 관통될 수 있다.
관통공(350)은 체결부(500)가 관통 결합되는 부분이다. 관통공(350)은 두께 방향의 각 단부가 개방 형성되어, 체결부(50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체결부(500)는 관통공(350)에 관통된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200)을 가압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체결부(500)는 그 길이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공(350)에 관통 결합된다.
관통공(350)은 체결부(500)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 결합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350)은 원형의 단면을 갖고 결합 리브(310)의 두께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공간이다.
관통공(350)은 결합 리브(310) 또는 결합 리브(310)와 연결되는 결합 프레임(300)의 일 면(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에 형성된다. 관통공(350)은 결합 리브(310) 및 상기 일 면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관통공(350)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관통공(350)은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관통공(350)은 결합 관통공(351), 지지 관통공(352) 및 고정 관통공(353)을 포함한다.
결합 관통공(351)은 체결부(500)의 결합 부재(510)가 관통 결합되는 부분이다. 결합 관통공(351)은 결합 리브(310)의 단부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결합 관통공(351)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관통공(351)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 리브(310)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관통공(351)은 네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결합 리브(310)의 외측 단부에 각각 인접하게 배치된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관통공(351)은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 리브(310)의 좌상측, 우상측, 좌하측 및 우하측 단부에 각각 배치된다.
결합 관통공(351)은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서브 관통공(240)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 개의 결합 관통공(351)과 복수 개의 서브 관통공(240)은 결합 부재(51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관통공(352)은 체결부(500)의 가이드 부재(550)가 관통 결합되는 부분이다. 지지 관통공(352)은 결합 리브(310)의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지지 관통공(352)은 서로 다른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 리브(310)가 교차되는 지점에 위치된다. 이에, 지지 관통공(352)은 결합 프레임(300)의 단면에 위치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 관통공(352)은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복수 개의 서브 관통공(240) 중 어느 하나의 서브 관통공(240)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관통공(352)과 상기 어느 하나의 서브 관통공(240)은 가이드 부재(55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겹쳐지게 배치될 수 있다.
고정 관통공(353)은 과압 배출구(10)를 벽(W) 또는 루버(L)와 결합시키는 체결 부재(미도시)가 관통 결합되는 부분이다. 고정 관통공(353)은 결합 프레임(300)의 상기 일 면,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에 형성된다.
고정 관통공(353)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고정 관통공(353)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결합 프레임(300)의 상기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고정 관통공(353)은 네 개 구비되어, 전후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각 쌍의 고정 관통공(353)은 각각 결합 리브(310), 결합 개구부(320) 및 지지 관통공(352)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 개의 결합 관통공(351)과 복수 개의 고정 관통공(353)은 서로 다른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에 따라, 과압 배출구(10)의 설치 위치 및 설계 자유도가 향상될 수 있다.
밀폐 부재(400)는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의 밀폐 상태를 유지한다. 밀폐 부재(400)는 메인 프레임(100) 및 서브 프레임(200)과 각각 밀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메인 공간(130) 및 서브 함몰부(230)와 배출 구역 간의 임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밀폐 부재(40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밀폐 부재(400)는 서브 프레임(200)의 부분 중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측에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밀폐 부재(400)는 서브 프레임(200)의 서브 외주(220) 및 서브 외주(220)의 단부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밀폐 부재(400)는 복수 개의 부재가 결합되는 부분을 밀폐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밀폐 부재(400)는 서브 외주(220)의 외측에서, 서브 외주(220)를 따라 연장 형성된 밴드(band) 형태로 구비된다.
밀폐 부재(400)는 소정의 마찰력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 부재(400)와 서브 프레임(200)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밀폐 부재(400)와 메인 프레임(100) 간의 접촉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위함이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 부재(400)는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 부재(400)는 서브 프레임(200)을 향하는 메인 면(110)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과 접촉된다. 또한, 밀폐 부재(400)는 서브 외주(220) 및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서브 외주(220)의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를 둘러싸게 형성된다.
밀폐 부재(400)의 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서브 프레임(200)은 상기 개구부에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밀폐 부재(400)는 밀폐 외주(410) 및 밀폐 베이스(420)를 포함한다.
밀폐 외주(410)는 밀폐 부재(400)의 일 부분을 형성한다. 밀폐 외주(410)는 서브 외주(220)를 둘러싸며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밀폐 외주(410)는 서브 외주(220)의 외측에서, 서브 외주(220)가 형성되는 위치, 즉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에서 각각 연장된다. 각 측에서 연장되는 밀폐 외주(410)는 서로 연속될 수 있다.
밀폐 외주(410)는 소정의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밀폐 외주(410)는 전후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 외주(410)는 서브 외주(220)의 폭 이상의 길이의 폭을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밀폐 외주(410)는 서브 외주(220)를 완전히 덮게 배치되어, 서브 외주(220)의 임의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밀폐 외주(410)는 소정의 두께를 갖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 외주(410)는 서브 외주(220)의 두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밀폐 외주(410)는 서브 외주(220)를 배출 구역과 물리적, 전기적, 열적으로 이격시킬 수 있다.
밀폐 외주(410)는 밀폐 베이스(420)와 연속된다. 밀폐 외주(410)의 폭 방향의 단부 중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밀폐 베이스(420)와 연속된다.
밀폐 베이스(420)는 밀폐 부재(400)의 다른 부분을 형성한다. 밀폐 베이스(420)는 서브 프레임(200)의 다른 부분을 둘러싸게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밀폐 베이스(420)는 서브 외주(220)의 단부 중 메인 면(110)을 향하는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를 둘러싼다.
밀폐 베이스(420)는 서브 외주(22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밀폐 베이스(42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 및 상기 한 쌍과 연속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른 한 쌍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밀폐 베이스(420)는 서브 외주9220)의 상기 단부, 즉 후방 측 단부를 둘러싸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은 직접 접촉되지 않고, 밀폐 부재(400), 구체적으로 밀폐 베이스(420)를 통해 접촉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밀폐 부재(400)는 소정의 마찰력 및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는 바,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이 접촉되는 부분이 신뢰성 있게 밀폐될 수 있다.
더 나아가, 과압 배출구(10)의 작동이 지속됨에 따라, 서브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의 이격 및 접촉이 반복될 수 있다. 이때, 고강성의 소재로 형성되는 서브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이 직접 접촉될 경우, 서로에 의한 손상 가능성이 배제될 수 없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10)는 밀폐 부재(400)가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 사이에 위치되어, 서브 프레임(200)의 이동 및 접촉에 따른 충격이 완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의 손상 가능성이 감소되어, 과압 배출구(10)의 내구 연한이 증가될 수 있다.
밀폐 베이스(420)의 일 부분은 서브 외주(220)의 내주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부재(400)는 서브 외주(220)를 둘러싸는 밀폐 외주(410), 밀폐 외주(410)와 연속되며 서브 외주(220)의 단부 및 메인 면(110) 사이에 위치되는 밀폐 베이스(420)를 포함한다. 이때, 밀폐 베이스(420)는 그 단부가 서브 외주(220)의 내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되어, 서브 외주(220)의 내주를 부분적으로 둘러쌀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메인 프레임(100)과 서브 프레임(200) 사이가 안정적으로 밀폐되고, 서브 프레임(200)과 밀폐 부재(400) 간의 결합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서브 프레임(200)과 밀폐 부재(400)를 결합시키기 위한 접착 물질(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50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 프레임(300)을 결합한다. 이때, 체결부(500)는 서브 프레임(200)을 메인 프레임(100) 또는 결합 프레임(30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200)은 체결부(500)에 결합된 상태에서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즉, 후방 측) 또는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방향(즉, 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체결부(500)는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체결부(500)의 일부 구성 요소는 메인 공간(130)에 관통되어 연장될 수 있다.
체결부(50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체결부(500)의 일부 구성 요소는 서브 함몰부(230) 및 서브 관통공(240)에 관통될 수 있다. 체결부(500)의 다른 구성 요소는 서브 면(21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체결부(500)의 또 다른 구성 요소는 서브 면(210)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다른 구성 요소 및 상기 또 다른 구성 요소는 서브 면(210)과 결합되어, 서브 면(21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체결부(500)는 가스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서브 프레임(200)이 이동됨에 따라 복원력을 저장하고, 상기 압력의 인가가 해제되면 저장된 복원력을 통해 서브 프레임(200)을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체결부(500)는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체결부(500)의 일부 구성 요소는 결합 공간(340) 및 관통공(350)에 관통될 수 있다. 체결부(500)의 다른 구성 요소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체결부(50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체결부(500)는 서브 프레임(200) 또는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되되, 각각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체결부(500)는 결합 부재(510), 탄성 부재(520), 실린더 부재(530), 와셔 부재(540) 및 가이드 부재(550)를 포함한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 프레임(300)을 결합한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되어,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과 각각 결합된다. 결합 부재(510)의 일 부분은 서브 관통공(240)에 관통되어, 서브 면(210)의 외측에 노출된다.
결합 부재(510)의 다른 부분은 서브 면(210)의 외측에서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까지 연장되며, 서브 함몰부(230), 메인 공간(130) 및 결합 공간(340)에 관통된다. 결합 부재(510)의 또 다른 부분은 관통공(350)에 관통되어,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이 이동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부재(510)가 전방 측으로 이동됨에 따라, 결합 부재(510)에 결합되는 탄성 부재(520)가 압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상기 복원력에 의해, 별도의 외력 인가 없이도 서브 프레임(200) 및 이에 결합된 결합 부재(51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는 탄성 부재(52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510)는 탄성 부재(520)의 내부에 형성되며, 탄성 부재(52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에 관통 결합된다. 결합 부재(510)는 탄성 부재(520)를 가압하며 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는 와셔 부재(54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510)는 와셔 부재(5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관통 결합된다. 와셔 부재(540)는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 부재(510)의 제2 결합 헤드(51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가 이동됨에 따라, 제2 결합 헤드(512)는 와셔 부재(540)와 접촉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는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결합 부재(510)는 메인 공간(130)에 관통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결합 부재(510)는 서브 함몰부(230) 및 서브 관통공(240)을 관통하여 서브 프레임(200)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결합 부재(510)의 제1 결합 헤드(511)는 서브 면(2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결합 부재(510)의 결합 몸체(513)의 부분 중 서브 함몰부(230)에 수용되며 서브 면(21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너트 부재(560)에 의해 서브 면(210)과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결합 헤드(511)는 서브 면(210)을 사이에 두고 너트 부재(56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헤드(511), 서브 면(210) 및 너트 부재(560)는 서로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결합 부재(510)는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결합 부재(510)는 결합 공간(340) 및 결합 관통공(351)을 관통하여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결합 부재(510)의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된다.
결합 부재(51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결합 부재(510)는 복수 개의 결합 관통공(351) 및 서브 관통공(240)에 각각 관통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510)는 네 개 구비되어, 네 개의 결합 관통공(351) 및 서브 관통공(240)에 각각 관통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510)는 제1 결합 헤드(511), 제2 결합 헤드(512) 및 결합 몸체(513)를 포함한다.
제1 결합 헤드(511)는 결합 부재(51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헤드(511)는 결합 부재(510)의 전방 측 단부를 형성한다.
제1 결합 헤드(511)는 서브 면(21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결합 헤드(511)는 서브 면(210)의 외측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 제1 결합 헤드(511)는 서브 면(210)을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제1 결합 헤드(511)는 서브 면(210)을 외측에서 지지, 가압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헤드(51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 이때, 제1 결합 헤드(511)의 단면의 직경은 서브 관통공(240)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헤드(511)는 서브 면(210)을 사이에 두고 너트 부재(56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결합 헤드(511)에 반대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는 제2 결합 헤드(512)가 위치된다. 제1 결합 헤드(511)는 결합 몸체(513)를 통해 제2 결합 헤드(512)와 연속된다.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부재(51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부재(510)의 후방 측 단부를 형성한다.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몸체(513)를 통해 제1 결합 헤드(511)와 연속된다.
서브 프레임(200)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부재(51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의 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에 의해 서브 프레임(200)이 가압되면, 제2 결합 헤드(512)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전방 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결합 헤드(512)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 측을 향해 이동되면, 제2 결합 헤드(512)와 결합 프레임(300)의 후방 측 면, 구체적으로 그 사이에 위치되는 와셔 부재(540)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결합 부재(51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의 전방 측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서브 프레임(200)은 제2 결합 헤드(512)가 와셔 부재(540)와 접촉될 때까지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몸체(513)를 통해 제1 결합 헤드(511)와 연속된다.
결합 몸체(513)는 결합 부재(510)가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결합 몸체(513)는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결합 몸체(513)는 서브 관통공(240), 서브 함몰부(230), 메인 공간(130), 결합 공간(340) 및 결합 관통공(351)에 각각 관통된다. 달리 표현하면, 결합 몸체(513)는 서브 관통공(240)과 결합 관통공(351) 사이에서 연장된다.
결합 몸체(513)는 제1 결합 헤드(511) 및 제2 결합 헤드(512)와 각각 연속된다. 제1 결합 헤드(511) 및 제2 결합 헤드(512)는 각각 결합 몸체(513)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결합 헤드(511)는 결합 몸체(513)의 전방 측 단부에, 제2 결합 헤드(512)는 결합 몸체(513)의 후방 측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결합 몸체(513)의 연장 길이는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200)은 상기 두께의 합과 결합 몸체(513)의 연장 길이의 차이만큼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결합 몸체(513)는 제1 결합 헤드(511) 및 제2 결합 헤드(512)와 결합되어,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결합 몸체(513)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결합 몸체(513)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에는 너트 부재(56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520)는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되게 이동된 서브 프레임(200)이 다시 초기 위치로 복귀되기 위한 복원력을 저장한다. 방호 구역에서 유입된 가스에 의한 가압 상태가 해제되면, 탄성 부재(520)는 저장한 복원력을 결합 프레임(300)에 제공하여, 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을 초기 위치고 복귀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520)는 결합 프레임(3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탄성 부재(520)는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 관통공(351)에 관통 결합되는 결합 부재(510)가 관통된다.
탄성 부재(520)는 결합 부재(510)의 연장 방향과 같은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탄성 부재(520)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결합 프레임(300)을 향하는 일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 단부는 와셔 부재(540)를 통해 결합 프레임(300)의 후방 측 면과 접촉된다. 탄성 부재(520)의 연장 방향의 단부 중 결합 프레임(300)에 반대되는 타 단부,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는 제2 결합 헤드(512)에 접촉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520)는 결합 부재(510) 및 결합 프레임(300)을 탄성 지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결합 부재(510)는 서브 프레임(200)과도 결합되는 바, 탄성 부재(520)는 서브 프레임(200)을 탄성 지지한다고 할 수도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탄성 부재(520)는 결합 부재(510)에 복원력을 제공하여, 결합 부재(510)와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을 초기 상태로 복귀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52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고, 결합 부재(5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코일 스프링(coil spring)의 형태로 구비된다.
탄성 부재(52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520)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51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탄성 부재(520)는 결합된 각각의 결합 부재(510) 및 서브 프레임(200)을 탄성 지지하게 구성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탄성 부재(520)는 네 개 구비되어, 네 개의 결합 부재(510)와 각각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탄성 부재(52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결합 부재(510)가 관통 결합된다.
탄성 부재(520)에 의해 과압 배출구(10)가 작동되는 과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을 유지시킨다. 또한,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가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때, 이를 가이드한다.
실린더 부재(530)에 의해,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는 결합 프레임(3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실린더 부재(530)에 의해,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의 이동이 가이드되어, 서브 프레임(200)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프레임(3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실린더 부재(530)는 관통공(350) 중 결합 관통공(351) 및 지지 관통공(352)에 관통 결합된다.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된다. 실린더 부재(530)의 내부에는 중공이 형성되어,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가 관통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같은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실린더 부재(530)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실린더 부재(530)의 연장 방향의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결합 공간(340)에 수용된다. 실린더 부재(530)의 연장 방향의 타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은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일 실시 예에서, 실린더 부재(530)의 상기 타측 단부는 제2 결합 헤드(512) 또는 제2 가이드 헤드(522)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실린더 부재(530)는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실린더 부재(530)는 이에 결합된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함께 서브 프레임(200)의 이동에 의해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실린더 부재(530)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린더 부재(530)의 내주면, 즉 상기 중공을 둘러싸는 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결합 몸체(513)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 또는 가이드 몸체(533)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되어,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실린더 부재(530)는 내부에 중공이 관통 형성된 원기둥 형상이다. 이에, 실린더 부재(530)의 단면은 환형(ring shape)임이 이해될 것이다.
실린더 부재(53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실린더 부재(530)는 다섯 개 구비되어 네 개의 결합 부재(510) 및 단수 개의 가이드 부재(550)와 각각 결합된다.
결합 부재(510)와 결합되는 실린더 부재(530)는 결합 관통공(351)에 관통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되는 실린더 부재(530)는 지지 관통공(352)에 관통 결합된다.
와셔 부재(54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되어,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한다. 와셔 부재(540)가 구비됨에 따라,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는 결합 프레임(300)과 임의 분리되지 않게 된다.
와셔 부재(54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 프레임(300)의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와셔 부재(540)는 내부에 중공이 형성된 평와셔(flat washer)로 구비된다.
와셔 부재(540)의 상기 중공에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의 결합 몸체(513) 또는 가이드 몸체(553)가 관통될 수 있다.
와셔 부재(540)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에서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와셔 부재(540)는 결합 프레임(300)의 상기 외측과 제1 결합 헤드(511) 또는 제1 가이드 헤드(551) 사이에 위치된다.
와셔 부재(54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와셔 부재(540)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와셔 부재(540)는 다섯 개 구비되어, 네 개의 결합 부재(510) 및 단수 개의 가이드 부재(550)와 각각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 프레임(300)을 지지한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 및 결합 프레임(300)에 대해 이동될 때, 서브 프레임(200)의 이동을 전후 방향의 직선 운동으로 제한한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과 각각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50)의 일 부분은 서브 관통공(240)에 관통되어, 서브 면(210)의 외측에 노출된다.
가이드 부재(550)의 다른 부분은 서브 면(210)의 외측에서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까지 연장되며, 서브 함몰부(230), 메인 공간(130) 및 결합 공간(340)에 관통된다. 가이드 부재(550)의 또 다른 부분은 관통공(350)에 관통되어,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이 이동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전방 측 또는 후방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50)는 와셔 부재(540)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550)는 와셔 부재(54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에 관통 결합된다. 와셔 부재(540)는 결합 프레임(300)과 가이드 부재(550)의 제2 가이드 헤드(5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50)가 이동됨에 따라, 제2 가이드 헤드(552)는 와셔 부재(540)와 접촉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50)는 메인 프레임(100)과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50)는 메인 공간(130)에 관통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함몰부(230) 및 서브 관통공(240)을 관통하여 서브 프레임(200)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부재(550)의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의 외측에 위치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550)의 가이드 몸체(553)의 부분 중 서브 함몰부(230)에 수용되며 서브 면(210)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은 너트 부재(560)에 의해 서브 면(210)과 결합된다.
달리 표현하면,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을 사이에 두고 너트 부재(56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헤드(551), 서브 면(210) 및 너트 부재(560)는 서로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결합에 의해,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부재(550)는 결합 프레임(300)과 결합된다. 가이드 부재(550)는 결합 공간(340) 및 지지 관통공(352)을 관통하여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까지 연장된다. 가이드 부재(550)의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에 위치된다.
가이드 부재(550)는 단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단수 개의 가이드 부재(550)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510)와 같은 거리만큼 이격될 수 있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550)는 결합 프레임(300)의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550)는 좌상측, 좌하측, 우상측 및 우하측에 치우쳐 위치되는 네 개의 결합 부재(510)와 각각 같은 거리만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의 가스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서브 프레임(200)이 이동되면, 복수 개의 결합 부재(510)가 함께 이동되되, 가이드 부재(550)에 의해 그 단면 방향, 즉 상측, 하측, 좌측 또는 우측으로 치우치지 않게 이동될 수 있다. 달리 표현하면, 복수 개의 결합 부재(51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은 그 단면의 형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며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에서 가스 등이 발생될 경우, 서브 프레임(200) 및 이에 결합된 결합 부재(510)가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과압 배출구(10)가 신뢰성 있게 작동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부재(550)는 제1 가이드 헤드(551), 제2 가이드 헤드(552) 및 가이드 몸체(553)를 포함한다.
제1 가이드 헤드(551)는 가이드 부재(550)의 연장 방향의 일 단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헤드(551)는 가이드 부재(550)의 전방 측 단부를 형성한다.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에 위치된다.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의 외측을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었을 때,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을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을 향해 가압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을 외측에서 지지, 가압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의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이다. 이때, 제1 가이드 헤드(551)의 단면의 직경은 서브 관통공(240)의 단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을 사이에 두고 너트 부재(560)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제1 가이드 헤드(551)에 반대되는 일 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단부에는 제2 가이드 헤드(552)가 위치된다. 제1 가이드 헤드(551)는 가이드 몸체(553)를 통해 제2 가이드 헤드(552)와 연속된다.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가이드 부재(550)의 연장 방향의 타 단부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가이드 부재(550)의 후방 측 단부를 형성한다.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에 위치된다.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가이드 몸체(553)를 통해 제1 가이드 헤드(551)와 연속된다.
서브 프레임(200)이 이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 도시된 실시 예에서 후방 측 면과 이격되게 배치된다.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가이드 부재(55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의 전방 측 이동 거리를 제한한다.
구체적으로, 가스에 의해 서브 프레임(200)이 가압되면, 제2 가이드 헤드(552)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전방 측을 향해 이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가이드 헤드(552)가 소정의 거리만큼 전방 측을 향해 이동되면, 제2 가이드 헤드(552)와 결합 프레임(300)의 후방 측 면, 구체적으로 그 사이에 위치되는 와셔 부재(540)와 접촉된다.
상기 접촉에 의해, 가이드 부재(550) 및 이에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의 전방 측 이동 거리가 제한될 수 있다. 즉, 서브 프레임(200)은 제2 가이드 헤드(552)가 와셔 부재(540)와 접촉될 때까지 메인 프레임(100)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가이드 몸체(553)를 통해 제1 가이드 헤드(551)와 연속된다.
가이드 몸체(553)는 가이드 부재(550)가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 사이에서 연장되는 부분이다.
가이드 몸체(553)는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몸체(553)는 서브 관통공(240), 서브 함몰부(230), 메인 공간(130), 결합 공간(340) 및 지지 관통공(352)에 각각 관통된다. 달리 표현하면, 가이드 몸체(553)는 서브 관통공(240)과 지지 관통공(352) 사이에서 연장된다.
가이드 몸체(553)는 제1 가이드 헤드(551) 및 제2 가이드 헤드(552)와 각각 연속된다. 제1 가이드 헤드(551) 및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각각 가이드 몸체(553)의 연장 방향의 각 단부와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1 가이드 헤드(551)는 가이드 몸체(553)의 전방 측 단부에,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가이드 몸체(553)의 후방 측 단부에 결합된다.
이때, 가이드 몸체(553)의 연장 길이는 메인 프레임(100), 서브 프레임(200) 및 결합 프레임(300)의 두께의 합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200)은 상기 두께의 합과 가이드 몸체(553)의 연장 길이의 차이만큼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가이드 몸체(553)는 제1 가이드 헤드(551) 및 제2 가이드 헤드(552)와 결합되어, 서브 프레임(200)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가이드 몸체(553)는 원형의 단면을 갖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원통 형상이다.
가이드 몸체(553)의 외주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에는 너트 부재(560)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너트 부재(56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를 서브 프레임(200)과 결합시킨다. 너트 부재(560)에 의해,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는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될 수 있다.
너트 부재(560)는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너트 부재(560)에는 결합 몸체(513) 또는 가이드 몸체(553)가 관통된다. 이를 위해, 너트 부재(560)의 내부에는 중공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너트 부재(560)는 결합 몸체(513) 또는 가이드 몸체(553)와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너트 부재(560)는 결합 몸체(513) 또는 가이드 몸체(553)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실시 예에서, 너트 부재(560)의 중공을 둘러싸는 내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결합 몸체(513) 또는 가이드 몸체(553)의 외주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너트 부재(560)는 서브 면(210)에 밀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너트 부재(560)는 서브 면(210)을 사이에 두고 제1 결합 헤드(511) 또는 제1 가이드 헤드(551)를 마주하게 배치된다.
너트 부재(560)는 복수 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너트 부재(560)는 복수 개의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와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너트 부재(560)는 다섯 개 구비되어, 네 개의 결합 부재(510) 및 단수 개의 가이드 부재(550)와 각각 결합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10)의 변형 예가 도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과압 배출구(10)에 동력부(600)가 더 구비되어,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도 과압 배출구(10)가 작동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도, 과압 배출구(10)는 여전히 방호 구역에서 발생된 가스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변형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10)는 그 작동을 위한 수단이 추가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10)는 복수 개의 수단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에서 발생된 가스가 신속하게 배출 구역으로 유동될 수 있어, 방호 구역의 압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동력부(600)의 구성 및 작동 방식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동력부(600)는 서브 프레임(200) 또는 체결부(500)와 결합된다. 동력부(600)는 서브 프레임(200) 또는 체결부(5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브 프레임(200) 및 체결부(500)는 서로 결합되어 함께 이동된다. 이에, 동력부(600)는 서브 프레임(200) 및 체결부(500) 중 어느 하나 이상과 결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동력부(600)는 외부의 전원(미도시)과 통전된다. 동력부(600)가 작동되기 위해 필요한 전력은 외부의 전원(미도시)에서 전달될 수 있다.
동력부(600)는 외부의 단말(미도시)과 통전된다. 동력부(600)가 작동되기 위한 제어 신호는 외부의 단말(미도시)에서 전달될 수 있다.
동력부(600)는 서브 프레임(200) 또는 체결부(500)와 결합되어 이들을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동력부(600)는 메인 공간(130)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동력부(600)는 결합 프레임(300)의 외측에, 체결부(500)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동력부(600)는 제어부(610), 센서부(620) 및 구동부(630)를 포함한다.
제어부(610)는 외부의 전원(미도시) 및 단말(미도시)과 통전되어, 전력 및 제어 신호를 전달받는다. 제어부(610)는 센서부(620)와 통전되어, 센서부(620)가 감지한 정보를 전달받아 제어 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610)는 센서부(620)의 작동에 필요한 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구동부(630)와 통전된다. 제어부(610)는 전달된 전력 및 연산된 제어 정보를 구동부(630)에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610)는 정보의 입력, 연산 및 출력이 가능한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610)는 CPU,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620)는 방호 구역의 상태에 대한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감지한다. 센서부(620)가 감지한 정보는 제어부(610)로 전달되어, 구동부(63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정보의 연산을 위해 활용된다. 센서부(620)는 제어부(610)와 통전된다.
센서부(620)는 방호 구역의 상태를 연산할 수 있는 임의의 형태의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서부(620)는 방호 구역의 온도, 압력 등과 관련된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구동부(630)는 센서부(620)가 감지한 정보에 따라 제어부(610)가 연산한 제어 정보에 의해 작동된다. 구동부(630)는 제어부(610)와 통전된다.
구동부(630)는 서브 프레임(200)을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되는 방향 또는 메인 프레임(100)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구성된다.
구동부(630)는 연결된 임의의 부재를 일 방향 및 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임의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630)는 모터, 유압 실린더, 랙 앤 피니언 기어(rack and pinion gear)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동부(630)는 방호 구역의 압력이 감소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서브 프레임(200)을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되게 이동시키게 구성됨이 이해될 것이다.
이하,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과압 배출구(10)의 작동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력부(600)에 대한 설명은 생략된다. 동력부(600)에 의해 과압 배출구(10)가 작동되는 과정은 상술한 동력부(600)의 구성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이 접촉된 상태의 과압 배출구(1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벽(W)을 기준으로 좌측은 배출 구역, 우측은 방호 구역임이 이해될 것이다.
상기 상태에서, 서브 프레임(200)에 결합된 밀폐 부재(400)가 메인 면(110)과 밀착 결합된다. 이에 따라, 메인 공간(130), 서브 함몰부(230), 결합 개구부(320) 및 결합 공간(340)은 방호 구역과는 연통되되, 배출 구역과의 연통이 차단된다.
이때, 제1 결합 헤드(511) 및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에 접촉된다. 또한, 제2 결합 헤드(512) 및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결합 프레임(300)의 후방 측면 또는 결합 리브(310)와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10을 참조하면, 서브 프레임(200)과 메인 프레임(100)이 이격된 상태의 과압 배출구(10)가 도시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방호 구역에서 발생된 가스 또는 방호 구역에 유입된 가스에 의해 방호 구역의 압력이 증가되어, 가스의 배출이 요구되는 상황임이 이해될 것이다.
방호 구역의 가스는 유동되어 과압 배출구(10)의 내부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방호 구역의 가스는 결합 개구부(320), 결합 공간(340), 메인 공간(130) 및 서브 함몰부(230)를 차례로 통과하여 서브 면(210)까지 유동된다.
가스의 유동이 지속됨에 따라, 유입된 가스가 서브 면(210)을 가압한다. 상기 가압에 의해, 서브 프레임(200)이 메인 프레임(100)과 이격되는 방향,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전방 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메인 면(110)에 밀착 결합되었던 밀폐 부재(400) 또한 서브 프레임(200)과 함께 이동되어 메인 면(110)과 이격된다. 이에 따라, 메인 공간(130)이 배출 구역과 연통되어, 메인 공간(130)으로 유입된 가스가 배출 구역으로 유출될 수 있다.
상기 상태가 지속됨에 따라, 방호 구역에서 체류되던 가스는 방호 구역과 배출 구역의 압력이 평형을 이룰 때까지 방호 구역에서 배출 구역으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방호 구역의 압력이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상태에서, 제1 결합 헤드(511) 및 제1 가이드 헤드(551)는 서브 면(210)의 외측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서브 면(210)을 사이에 두고 제1 결합 헤드(511) 및 제1 가이드 헤드(551)를 마주하게 배치되는 너트 부재(560)는 서브 면(210)의 내측에 접촉되어, 서브 면(210)을 전방 측으로 가압함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제2 결합 헤드(512) 및 제2 가이드 헤드(552)는 결합 프레임(300)을 향해 이동되어, 결합 리브(310)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와셔 부재(540)에 인접하게 위치된다. 일 실시 예에서, 결합 부재(510) 및 가이드 부재(550)는 제2 결합 헤드(512) 및 제2 가이드 헤드(552)가 와셔 부재(540)와 접촉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 결합 헤드(512) 또는 제2 가이드 헤드(552)와 와셔 부재(540) 사이에 위치되는 탄성 부재(520)는, 제2 결합 헤드(521) 또는 제2 가이드 헤드(552)의 이동에 의해 가압되며 복원력을 저장한다.
방호 구역의 압력이 충분히 하강되면, 가스가 서브 프레임(200)에 인가하는 압력의 크기가 복원력의 크기보다 작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 부재(520)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되며(즉, 다시 인장되며) 저장한 복원력을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에 제공한다. 이에 따라, 서브 프레임(200)은 다시 메인 프레임(100)을 향해 이동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이때,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의 이동시, 실린더 부재(530)가 이들의 직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 부재(510) 또는 가이드 부재(550) 및 이들과 결합된 서브 프레임(200)이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과압 배출구 100: 메인 프레임
110: 메인 면 120: 메인 외주
130: 메인 공간 140: 메인 함몰부
200: 서브 프레임 210: 서브 면
220: 서브 외주 230: 서브 함몰부
240: 서브 관통공 300: 결합 프레임
310: 결합 리브 320: 결합 개구부
330: 결합 외주 340: 결합 공간
350: 관통공 351: 결합 관통공
352: 지지 관통공 353: 고정 관통공
400: 밀폐 부재 410: 밀폐 외주
420: 밀폐 베이스 500: 체결부
510: 결합 부재 511: 제1 결합 헤드
512: 제2 결합 헤드 513: 결합 몸체
520: 탄성 부재 530: 실린더 부재
540: 와셔 부재 550: 가이드 부재
551: 제1 가이드 헤드 552: 제2 가이드 헤드
553: 가이드 몸체 560: 너트 부재
600: 동력부 610: 제어부
620: 센서부 630: 구동부
W: 벽 L: 루버

Claims (15)

  1. 내부에 메인 공간이 형성되어, 외부의 방호 구역과 연통되는 메인 프레임;
    상기 방호 구역에 반대되는 일 측에서 상기 메인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
    상기 방호 구역을 향하는 일 측에서 상기 메인 공간을 덮으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며, 그 내부에 상기 메인 공간과 연통되는 결합 공간이 형성되는 결합 프레임;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측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서 상기 서브 프레임 및 상기 메인 프레임과 각각 밀착 결합되어, 상기 메인 공간과 외부의 배출 구역의 연통을 차단하는 밀폐 부재;
    상기 결합 프레임의 면 중 상기 방호 구역을 향하는 일 면 및 상기 서브 프레임에 각각 관통되어,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측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그 연장 방향의 타 단부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면과 이격되게 위치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부재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결합 부재보다 짧은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에 의해 압축되어 복원력을 저장하게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외측에,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타 단부와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면 사이에 위치되어, 그 연장 방향의 일 단부는 상기 결합 부재의 상기 타 단부에 의해 지지되고, 그 연장 방향의 타 단부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면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방호 구역에서 체류되던 유체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서브 프레임이 상기 메인 프레임과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메인 공간과 상기 배출 구역이 연통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방호 구역에서 상기 배출 구역으로 유동되는,
    과압 배출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상기 서브 프레임을 향하는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이 접촉되거나 이격되는 메인 면; 및
    상기 메인 면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방호 구역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메인 외주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공간은, 상기 메인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관통 형성되는,
    과압 배출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반대되는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메인 공간을 덮는 서브 면;
    상기 서브 면의 외측 모서리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연장 형성되는 서브 외주; 및
    상기 서브 외주의 방사상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서브 면 및 상기 서브 외주에 둘러싸이고, 상기 메인 프레임을 향하는 일 측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메인 공간과 연통되는 서브 함몰부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반대되는 일 측에 배치되며,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방호 구역과 상기 결합 공간을 연통하는 결합 개구부; 및
    상기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 개구부를 둘러싸며 연장되는 결합 리브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프레임은,
    상기 결합 리브와 연속되며, 상기 결합 공간을 방사상 외측에서 둘러싸며 연장되는 결합 외주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부재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서브 외주를 따라 연장되는 밀폐 외주; 및
    상기 밀폐 외주와 연속되며, 상기 서브 프레임의 방사상 내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상기 밀폐 외주의 단부를 둘러싸는 밀폐 베이스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베이스는, 상기 서브 외주의 단부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을 밀폐 결합하는,
    과압 배출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 상기 서브 프레임 및 상기 결합 프레임과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체가 인가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서브 프레임과 함께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 부재; 및
    상기 결합 프레임의 부분 중 상기 일 측에 형성된 지지 관통공에 관통되고,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면까지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부재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부재 각각까지의 거리가 같은 위치에 배치되는,
    과압 배출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복수 개 구비되어, 복수 개의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의 각 모서리(corner)에 각각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의 중심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과압 배출구.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부재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외측에 위치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의 상기 외면을 지지하는 제1 결합 헤드;
    상기 제1 결합 헤드와 연속되며, 상기 메인 공간 및 상기 결합 공간을 관통하여 연장되는 결합 몸체; 및
    상기 결합 몸체와 연속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 프레임의 외측을 지지하는 제2 결합 헤드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몸체가 관통 결합되며, 상기 결합 프레임의 상기 일 측 및 상기 제2 결합 헤드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결합 부재의 이동에 의해 형상 변형되며 복원력을 저장하게 구성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결합 몸체와 결합되어, 상기 서브 프레임의 내면을 지지하는 너트 부재를 포함하는,
    과압 배출구.
KR1020220017671A 2022-02-10 2022-02-10 과압 배출구 KR10242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71A KR102424579B1 (ko) 2022-02-10 2022-02-10 과압 배출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17671A KR102424579B1 (ko) 2022-02-10 2022-02-10 과압 배출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4579B1 true KR102424579B1 (ko) 2022-07-25

Family

ID=82608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671A KR102424579B1 (ko) 2022-02-10 2022-02-10 과압 배출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457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38Y1 (ko) 2005-10-26 2006-03-03 김종원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
KR101331033B1 (ko) 2012-04-02 2013-11-26 정상규 과압배출장치
KR20140006131U (ko) * 2013-05-28 2014-12-08 (주)미도이앤씨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200476303Y1 (ko) * 2013-07-31 2015-02-16 (주)미도이앤씨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20170035244A (ko) * 2015-09-22 2017-03-30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038Y1 (ko) 2005-10-26 2006-03-03 김종원 가스 소화 설비용 자동폐쇄 장치
KR101331033B1 (ko) 2012-04-02 2013-11-26 정상규 과압배출장치
KR20140006131U (ko) * 2013-05-28 2014-12-08 (주)미도이앤씨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200476303Y1 (ko) * 2013-07-31 2015-02-16 (주)미도이앤씨 가스소화설비용 과압배출댐퍼
KR20170035244A (ko) * 2015-09-22 2017-03-30 (주)미도이앤씨 덮개 폐쇄 기능을 구비한 과압용 자동 개폐 덮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3320A (ko) 차량 차축 현가를 위한 유압제어 시스템
KR102424579B1 (ko) 과압 배출구
CN201444730U (zh) 用于工业控制系统的移动式手工操纵装置的壳体
AU2014343680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JP2023504834A (ja) 圧力開放装置、およびその圧力開放装置を備えるバッテリーハウジング
GB1564890A (en) Pneumatic or hydraulic pressure sensors
KR20120064007A (ko) 선박용 충격흡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안 방법
WO2016133732A1 (en) Variable noise attenuating system for a power cell of a hydraulic hammer
JP2017170596A (ja) ロボットおよび外力検知装置
US11746922B2 (en) Pneumatic lost motion/binary device system and method
JP5903316B2 (ja) エアー防振フロア
JP5863514B2 (ja) 圧力調整弁及び流水検知装置
KR101854749B1 (ko) 압축 가스를 이용하는 방폭 벽
KR101833098B1 (ko) 밸브 배열체
CN114288599A (zh) 紧凑的快开阀和灭火系统
ITBS20080090A1 (it) Dispositivo anticaduta particolarmente per presse idrauliche
CN102853107B (zh) 一种水路开关阀
CN103225706A (zh) 压电阀
WO2020060523A3 (en) A valve structure minimazing force required for valve control and a thermostat assembly therefor
ES2360676T3 (es) Disposición de tecla para un aparato eléctrico o electrónico en un automóvil.
JP3117682U (ja) 家具等の転倒防止クッション材
KR200495639Y1 (ko) 피드 게이트 밸브 장치 및 야금로
JP6996079B2 (ja) シール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ガスホルダ
JP4195830B2 (ja) バルブヘッド
US3985985A (en) Brake fluid level sens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