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84B1 -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 Google Patents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84B1
KR102423984B1 KR1020200068328A KR20200068328A KR102423984B1 KR 102423984 B1 KR102423984 B1 KR 102423984B1 KR 1020200068328 A KR1020200068328 A KR 1020200068328A KR 20200068328 A KR20200068328 A KR 20200068328A KR 102423984 B1 KR102423984 B1 KR 1024239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toothpick
periodontal
solid
w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83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51463A (en
Inventor
대경 이
Original Assignee
대경 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경 이 filed Critical 대경 이
Priority to KR102020006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984B1/en
Publication of KR20210151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14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8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6Implements for therapeutic treatment
    • A61C19/063Medicament applicators for teeth or gums, e.g. treatment with fluo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0Halogens; Compounds thereof
    • A61K8/21Fluoride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3Guanid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0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2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six 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치주 관리에 사용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로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마련된 이쑤시개 몸체, 및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뾰족하게 마련되고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형체가 담지된 이쑤시개 팁을 포함할 수 있다.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used for periodontal care, a toothpick body provided to be gripped and used, and a sharply provided end of the toothpick body, and at least one solid of a drug or mouthwash is supported. toothpick tips.

Description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본 발명은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이쑤시개의 단부에 고형의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를 담지시켜 치주 관리에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치주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eriodontal care that can be effectively used for periodontal management by loading a solid drug or mouthwash on the end of the toothpick, and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periodontal care It's about toothpicks.

일반적으로, 치주 관리(dental care, teeth care)는 치아와 잇몸 및 구강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치약과 칫솔, 치실 또는 치간 칫솔, 구강청정제, 및 각종 치료 약제 등을 이용하여 실시하고 있다.In general, periodontal care (dental care, teeth care) is for effectively managing teeth, gums, and oral cavity, and is performed using toothpaste and toothbrush, dental floss or interdental toothbrush, mouthwash, and various treatment agents.

과거에는 치주 관리가 치료 목적으로 전문의료기관에서 제공받는 의료 서비스로 인식되었지만, 최근에는 개인 위생 및 예방의 중요성이 널리 알려지고 개인이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치주 관리용 물품이 개발됨에 따라 개인적으로 치주 관리를 수행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다.In the past, periodontal care was recognized as a medical service provided by a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 for the purpose of treatment. It is becoming common to do.

즉, 치과와 보건소 등과 같은 전문의료기관에서 전문적인 서비스로 치주 관리를 제공 받거나, 개인이 치주 관리용 물품을 구매하여 평상시에 예방 목적으로 치주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In other words, periodontal management can be provided as a professional service from specialized medical institutions such as dentists and public health centers, or an individual can purchase periodontal care products and perform periodontal management for preventive purposes on a regular basis.

이를 위하여, 최근에는 치아 또는 잇몸, 구강에 대한 각종 질환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기 위한 구강청정제 또는 약제가 다양하게 개발 및 판매되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구강청정제 또는 약제를 입 안의 환부에 정확하고 간편하게 제공하기 위한 치주 관리용 의료기구도 개발 및 판매되고 있다.To this end, in recent years, various oral fresheners or pharmaceuticals for treating or preventing various diseases of teeth, gums, and oral cavity have been developed and sold, as well as mouth fresheners or medicines to accurately and conveniently provide mouthwashes or pharmaceuticals to the affected areas in the mouth. Medical devices for periodontal management are also being developed and sold.

상기와 같은 치주 관리용 의료기구는, 의사나 간호사 등과 같은 전문 의료 인력뿐만 아니라 별도의 의료 지식이 없는 환자나 일반인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eriodontal management medical device as described above is preferably design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conveniently used not only by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such as doctors or nurses, but also by patients or ordinary people without separate medical knowledge.

예를 들면,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공개특허공보 제2017-0135792호(발명의 명칭: 치주관리용 이쑤시개, 공개일: 2017.12.08)에는, 구강 내 약물을 도포하기 위한 치주관리용 이쑤시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치주관리용 이쑤시개는 치주관리용 약물이 수용된 약물용기를 눌러서 이쑤시개부를 통해 치아 사이에 치주관리용 약물을 도포하는 구조이다.For example, i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7-0135792 (title of invention: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publication date: 2017.12.08)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for applying intraoral drugs is disclosed has been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as described above has a structure in which a drug for periodontal care is applied between teeth through a toothpick by pressing a drug container containing a drug for periodontal care.

최근에는 치주 관리에 대한 사회적 관심 및 시장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치주 관리용 의료기구가 개발되고 경쟁이 심화되는 추세이다.Recently, as social interest and market for periodontal care have expanded, various medical devices for periodontal management have been developed and competition has intensified.

그로 인해서, 치주 관리용 의료기구의 상품성 및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의사나 환자 및 일반 사용자의 요구를 적극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즉, 사용과 취급 및 보관이 간편하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치주 관리용 의료기구의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actively reflect the needs of doctors, patients, and general users in order to secure the marketability and competitiveness of medical devices for periodontal management. That is, there is an urgent need to develop a medical device for periodontal management that is easy to use, handle, and store, and is inexpensive.

한국공개특허 제2017-0135792호(공개 2017.12.08)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7-0135792 (published on Dec. 8, 2017)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치주 관리에 사용되는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를 이쑤시개의 단부에 담지시켜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를 치아, 잇몸 및 구강에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를 제공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that can effectively provide the drug or mouthwash to teeth, gums and oral cavity by supporting the drug or mouthwash used for periodontal care on the end of the toothpick.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쑤시개처럼 사용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높여 치주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고, 생산 단가를 줄여 상품성도 증가시킬 수 있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를 제공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that can increas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periodontal management by using it like a toothpick, and can also reduce production cost and increase marketability.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치주 관리에 사용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로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마련된 이쑤시개 몸체, 및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뾰족하게 마련되고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형체가 담지된 이쑤시개 팁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used for periodontal care, a toothpick body provided to be gripped and used, and a solid body provided at an end of the toothpick body to be pointed and at least one of a drug or a mouthwash includes a loaded toothpick tip.

바람직하게, 상기 이쑤시개 팁에는 상기 고형체를 담기 위한 담지 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상기 담지 공간은 상기 이쑤시개 팁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a supporting space for containing the solid body may be provided in the toothpick tip, and a plurality of supporting spaces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othpick tip.

바람직하게,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고,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대응하는 직경으로 마련된 팁 몸체부, 및 상기 팁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 형상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팁 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담지 공간은 상기 팁 홈부들의 내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oothpick tip includes a tip body that protrudes from an end of the toothpick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pick body and has a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and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bod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ip grooves arranged in a radial shape. In this case, the holding space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tip grooves.

바람직하게,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 중심에서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고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된 팁 몸체부, 및 상기 팁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 형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팁 날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담지 공간은 상기 팁 날개부들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oothpick tip includes a tip body which protrudes from the center of an end of the toothpick body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pick body and is provided with a smaller diameter than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and radiates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bod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ip wings protruding in the shape. In this case, the supporting spa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ip wing portions, respectively.

상기 팁 몸체부의 일단부는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팁 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팁 날개부들은 상기 팁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ip body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oothpick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tip body may extend in a rod shape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pick body. In this case, the tip wings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height decreases from one end of the tip body to the other end.

한편,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팁 날개부들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형체가 상기 담지 공간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팁 날개부와 상기 고형체의 부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고형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형체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othpick tip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s, respectively, and increases the adhesion between the tip wing portion and the solid body to prevent the solid body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space to stably stabilize the solid body. It may further include a solid support for supporting.

상기 고형체 지지부는, 상기 고형체가 걸리도록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에 돌출된 걸림 돌기부,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에 요철 형상으로 마련된 요철부,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이 가공된 거칠기 가공부, 및 상기 고형체와의 부착력이 상기 팁 날개부보다 높은 소재로 상기 팁 날개부들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The solid support portion may include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to catch the solid body, an uneven portion provided in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and the tip wing portion to increas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wing portion It may be provided as at least one of a surface-processed roughness processing part, and a coating part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s with a material having higher adhesion to the solid body than the tip wing part.

상기 고형체 지지부는, 치주 관리시 상기 고형체가 상기 담지 공간의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팁 몸체부에서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e solid support portion may b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 set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from the tip body portion to prevent the solid material from abnormally remaining in the interior of the support space during periodontal management.

바람직하게,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고형체를 안정적으로 담지하도록 표면 거칠기를 설정 수준 이상으로 높게 형성하거나 요철부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시킬 수 있다.Preferably, the toothpick tip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higher than a set level to stably support the solid body, or may provide concavo-convex portions on th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바람직하게,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일체로 마련되거나, 교체가 가능하도록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oothpick tip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or may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to be replaced.

바람직하게, 상기 이쑤시개 팁은, 치주 관리시 치아 또는 잇몸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상기 고형체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탄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Preferably, the toothpick tip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so that the solid body can be provided smoothly without damaging the teeth or gums during periodontal care.

바람직하게, 상기 약제의 고형체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chlorhexidine gluconate)를 고형화시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강청정제의 고형체는 멘톨(menthol), 티몰(thymol), 살리실산 메틸(methyl salicylate), 유칼립톨(eucalyptol), 불소, 세틸피리디늄염화물수화물(CPC, cetylpyridinium chloride monohydrate), 또는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물질을 고형화시켜 마련될 수 있다.Preferably, the solid of the drug may be prepared by solidifying chlorhexidine gluconate. In addition, the solid of the mouthwash is menthol (menthol), thymol (thymol), methyl salicylate (methyl salicylate), eucalyptol (eucalyptol), fluorine, cetylpyridinium chloride hydrate (CPC, cetylpyridinium chloride monohydrate), or benzine chloride It may be prepared by solidifying any one of tonium (benzethonium chloride) al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yp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는,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마련된 이쑤시개 팁에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의 고형체를 담지시킨 구조로 형성되므로, 이쑤시개 팁을 치아, 잇몸 또는 구강 점막 등에 접촉시키는 방식으로 치주 관리가 필요한 부위에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의 고형체를 매우 간편하게 제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를 이용한 치주 관리를 효과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Since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a solid body of a drug or mouthwash is supported on a toothpick tip provided at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the toothpick tip is in contact with teeth, gums or oral mucosa, etc. Thus, it is possible to very easily provide a solid substance of a drug or mouthwash to a site requiring periodontal management, and accordingly, periodontal management using a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can be effectively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는, 일반적인 이쑤시개와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의료 전문 인력뿐만 아니라 환자 또는 일반인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를 이용하여 치주 관리의 편의성 및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same way as a general toothpick, not only medical professionals but also patients or the general public can use it conveniently, and thereby the convenience and product of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saints can be obtained. 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and efficiency of periodontal management by using a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는, 이쑤시개 팁에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의 고형체를 담지시킨 단순한 구조이므로, 제조 단가를 줄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사용 목적 및 상황에 따라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를 일회용으로 사용하거나 이쑤시개 팁을 교체해서 반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in which a solid body of a drug or mouthwash is supported on a toothpick tip, it is possible to secure price competitiveness by reducing the manufacturing cost, and depending on the purpose and situation of use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can be used for single use or can be used repeatedly by replacing the toothpick tip.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는, 이쑤시개 팁에서 담지 공간을 형성하는 팁 날개부들의 표면에 팁 날개부와 고형체의 부착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고형체 지지부가 마련된 구조이므로, 이쑤시개 팁의 담지 공간에 담긴 고형체가 담지 공간의 외측을 향해 임의로 이탈되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고형체를 이쑤시개 팁의 담지 공간에 안정적으로 담지시켜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의 품질 안정성 및 상품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ructure in which a solid support for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tip wing and the solid is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forming the supporting space in the toothpick tip.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solids contained in the support space of the tip are arbitrarily separated toward the outside of the support space, and the quality stability and marketability of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can be sufficiently improved by stably loading the solids in the support space of the toothpick tip.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는, 고형체 지지부를 이쑤시개 팁의 팁 날개부의 표면에 형성하되 팁 몸체부의 반경 방향을 따라 설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고형체 지지부를 형성하므로, 팁 날개부와 고형체의 부착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고형체의 일부가 담지 공간의 내부에 잔류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치주 관리시 고형체의 일부가 담지 공간의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잔류되지 않으므로, 고형체의 불필요한 낭비를 방지할 수 있고,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의 사용시 치주 관리 효과의 저하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olid support portion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of the toothpick tip, but forms a solid support portion at a position spaced apart by a set distanc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p body portion, so the tip It is possible to prevent in advance the problem that a part of the solid body remains inside the supporting space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adhesion between the wing portion and the solid body.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since a part of the solid body does not remain abnormally inside the support space during periodontal management, unnecessary waste of the solid body can be prevented, and the periodontal management effect is reduced when using a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It can be blocked in adva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변형예가 각각 도시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shown i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 section taken along line AA shown in FIG. 2 .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shown in FIG. 1 .
5 to 11 are views each showing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s to the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 example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의 사용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의 다른 예에 대한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a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shown in FIG. 1 ,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2 . 4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 of another example of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shown in FIG.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는 이쑤시개 몸체(110) 및 이쑤시개 팁(120)을 포함할 수 있다.1 to 4 , a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toothpick body 110 and a toothpick tip 120 .

본 실시예의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는, 치아(10)와 잇몸(20) 및 구강 점막(미도시) 등에 대한 각종 질환과 상처에 대처하기 위한 치주 관리에 사용되는 의료기구이다. 상기와 같은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는 통상적인 막대형 이쑤시개 형태로 마련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간 칫솔 등과 같은 다른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가 통상의 막대형 이쑤시개 형태인 것으로 한정하여 설명한다.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of this embodiment is a medical instrument used for periodontal management to cope with various diseases and wounds on the teeth 10 and the gums 20 and the oral mucosa (not shown).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care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onventional rod-type toothpick,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other forms such as an interdental toothbrush.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is limited to a conventional rod-type toothpick type.

또한, 본 실시예의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는,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형체(140)를 치아(10)와 잇몸(20) 및 구강 점막 등에 제공하여 치주 관리를 수행하되, 각종 질환과 상처가 발생된 부위 또는 발생이 의심되는 부위에 고형체(140)를 정확하고 간편하게 제공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는, 치주 관리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의료기관의 전문 의료 인력에 의해 전문적으로 사용되거나, 뿐만 아니라 치주 관리가 필요한 환자 또는 일반인에 의해 개인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care of this embodiment provides at least one solid body 140 of a drug or an oral freshener to the teeth 10 and the gum 20 and the oral mucosa to perform periodontal management, It can be provided to accurately and conveniently provide the solid body 140 to a site where various diseases and wounds have occurred or a site where the occurrence is suspected.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as described above may be used professionally by professional medical personnel of a medical institution that professionally provides periodontal management services, or may be used personally by patients or general public in need of periodontal management as well.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의 고형체(140)는 약제나 구강청정제를 고형화시켜 만들어진 치주 관리용 약품으로서, 치주 관리시 치아(10)와 잇몸(20) 및 구강 점막 등에 도포하여 각종 질환과 상처를 치료하거나 예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olid body 140 of the drug or mouthwash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periodontal care drug made by solidifying the drug or mouthwash, and is applied to teeth 10 and gum 20 and oral mucosa during periodontal care. It can treat or prevent various diseases and wounds.

일례로, 약제의 고형체(140)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chlorhexidine gluconate)를 고형화시켜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약제는 외과기계의 살균 및 피부 소독에 사용되는 소독제 또는 소독약의 일종이며, 상처를 깨끗이 하거나 치태를 예방하거나 아구창을 치료하거나 도뇨관이 막히지 않게 하기 위해서도 사용되고 있다.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약제는 액체나 파우더 형태로 주로 사용된다. For example, the solid body 140 of the drug may be prepared by solidifying chlorhexidine gluconate (chlorhexidine gluconate). The chlorhexidine gluconate drug as described above is a kind of disinfectant or antiseptic used for sterilization of surgical instruments and skin disinfection, and is also used to clean wounds, prevent plaque, treat thrush, or prevent catheter obstruction. Chlorhexidine gluconate is mainly used in liquid or powder form.

또한, 구강청정제의 고형체(140)는 멘톨(menthol), 티몰(thymol), 살리실산 메틸(methyl salicylate), 유칼립톨(eucalyptol), 불소, 세틸피리디늄염화물수화물(CPC, cetylpyridinium chloride monohydrate), 또는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물질을 고형화시켜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유칼립톤은 허브 추출물로서 항균, 치석 구취 제거에 사용될 수 있고, 살리실산 메틸은 소염제의 일종이다. 세틸피리디늄염화물수화물은 플라그 제거의 효과를 가지며, 염화벤제토늄은 살균력이 우수하다. In addition, the solid body of the mouthwash 140 is menthol (menthol), thymol (thymol), methyl salicylate (methyl salicylate), eucalyptol (eucalyptol), fluorine, cetylpyridinium chloride hydrate (CPC, cetylpyridinium chloride monohydrate), or It may be prepared by solidifying any one of benzethonium chloride alon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kinds. Here, eucalyptone can be used as an herbal extract for antibacterial, tartar and bad breath removal, and methyl salicylate is a kind of anti-inflammatory agent. Cetylpyridinium chloride hydrate has the effect of removing plaque, and benzethonium chloride has excellent sterilization power.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형체(140)'를 '고형체(140)'로 간단하게 기재하기로 한다.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olid body 140 of at least any one of pharmaceuticals or mouthwash' will be simply described as 'solid body 140'.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쑤시개 몸체(110)는,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쑤시개 몸체(110)는 파지가 용이한 봉 형상으로 형성되되, 손으로 안정감 있게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부(112)가 마련될 수 있다. 1 to 3 , the toothpick body 110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be gripped and used. The toothpick body 110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in a rod shape that is easy to grip, and a handle 112 for stably gripping by hand may be provided.

이쑤시개 몸체(110)의 단부에는 이쑤시개 팁(120)과 연결되기 위한 몸체 연결부(114)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몸체 연결부(114)는 후술하는 이쑤시개 팁(120)의 팁 연결부(126)와 일체로 연결되거나 팁 연결부(126)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At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110 , a body connection part 114 for connection with the toothpick tip 120 may be provided. The body connection part 114 as described above may be integrally connected with the tip connection part 126 of the toothpick tip 120 to be described later o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tip connection part 126 .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쑤시개 팁(120)은 이쑤시개 몸체(110)의 단부에 뾰족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치주 관리에 사용되기 위한 고형체(140)가 담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쑤시개 팁(120)은 통상적인 이쑤시개의 첨단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로서, 치주 관리시 치아, 잇몸 또는 구강 점막 등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고형체(140)를 원활하게 제공하도록 탄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이쑤시개 팁(120)이 탄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고무 재질로 형성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탄성과 유연성이 높고 인체에 유해성이 없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이라도 적용될 수 있다.1 to 3, the toothpick tip 120 of this embodiment may be provided in a pointed shape at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110, and a solid body 140 for use in periodontal care may be supported. . The toothpick tip 120 as described above is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tip portion of a conventional toothpick, and provides elasticity and flexibility to smoothly provide the solid body 140 without damaging the teeth, gums or oral mucosa during periodontal care. It may be formed of a material having For example, in this embodiment, the toothpick tip 120 is formed of a rubber material having excellent elasticity and flexibility,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may be applied as long as it has high elasticity and flexibility and is not harmful to the human body.

상기와 같은 이쑤시개 팁(120)은 고형체(140)를 안정적으로 담지할 수 있도록 표면 거칠기를 설정 수준 이상으로 높게 형성하거나 요철부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할 수 있다. 즉, 이쑤시개 팁(120)의 표면을 설정 수준 이상으로 거칠게 형성하거나 또는 이쑤시개 팁(120)의 표면에 돌기 또는 엠보싱 등과 같은 요철부를 일정 간격으로 마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고형체(140)가 이쑤시개 팁(120)의 표면에 쉽고 안정적으로 많은 양을 부착시킬 수 있다. The toothpick tip 120 as described above may have a surface roughness higher than a set level or provide concavo-convex portions on th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tably support the solid body 140 . That is, the surface of the toothpick tip 120 may be roughened beyond a set level, or irregularities such as protrusions or embossing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oothpick tip 120 at regular intervals, and thus the solid body 140 may be a toothpick. A large amount can be easily and stab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ip 120 .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쑤시개 팁(120)에는 고형체(140)를 담기 위한 담지 공간(S)이 마련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상기와 같은 담지 공간(S)은 이쑤시개 팁(120)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마련될 수 있다.However, in this embodiment, the toothpick tip 120 will be described as being provided with a supporting space (S) for containing the solid body (140). A plurality of supporting spaces S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othpick tip 120 .

예를 들면, 이쑤시개 팁(120)은 팁 몸체부(122), 복수개의 팁 날개부(124) 및 팁 연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oothpick tip 120 may include a tip body portion 122 , a plurality of tip wing portions 124 , and a tip connection portion 126 .

팁 몸체부(122)는 이쑤시개 몸체(110)의 단부 중심에서 이쑤시개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될 수 있다. 일례로, 팁 몸체부(122)는 이쑤시개 몸체(110)의 단부보다 작은 직경의 봉 형상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팁 몸체부(122)의 일단부는 이쑤시개 몸체(110)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고, 팁 몸체부(122)의 타단부는 이쑤시개 몸체(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 형상으로 연장될 수 있다.The tip body part 122 may protrude long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toothpick body 110 from the center of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110 . For example, the tip body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be longer in the shape of a rod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110 . One end of the tip body 122 may be connected to an end of the toothpick body 110 , and the other end of the tip body 122 may extend in a ro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pick body 110 .

여기서, 팁 몸체부(122)는 팁 날개부(124)들을 지지할 뿐만 아니라 이쑤시개 팁(120)의 형상을 결정하도록 이쑤시개 몸체(110)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팁 몸체부(122)는, 치주 관리시 작용되는 힘에 따라 부드럽게 휘어질 수 있고, 뿐만 아니라 치주 관리의 사용 환경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절곡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팁 몸체부(122)는 유연하게 탄성 변형되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소성 변형되도록 마련되되, 담지 공간(S)의 크기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최대한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tip body portion 122 may be formed to have a relatively smaller diameter than the toothpick body 110 to support the tip wing portions 124 as well as to determine the shape of the toothpick tip 120 . Accordingly, the tip body 122 may be gently bent according to the force applied during periodontal care, and may be bent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of periodontal care. The tip body portion 122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to be flexibly elastically deformed or plastically deformed into a desired shape, and is preferably formed to have a smallest diameter as possible in order to increase the size of the supporting space (S).

팁 날개부(124)들은 팁 몸체부(12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팁 날개부(124)들은 팁 몸체부(122)의 외주면에 팁 몸체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팁 날개부(124)들은 이쑤시개 팁(120)의 형상이 뾰족하게 형성되도록 팁 몸체부(122)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The tip wing portions 124 may protrude radially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body portion 122 . The tip wing portions 124 as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to extend lo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body portion 122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body portion 122 . In this case, the tip wings 124 may be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height decreases from one end of the tip body 122 to the other end so that the shape of the toothpick tip 120 is sharp.

이하,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팁 날개부(124)가 팁 몸체부(122)의 중심으로 팁 몸체부(12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방사 형상으로 마련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의 설계 조건 및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일례로, 팁 날개부(124)들은 2~4개 또는 7개 이상으로 마련되거나, 서로 간의 이격 각도도 서로 상이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팁 날개부(124)들은 팁 몸체부(122)에서 동일한 길이로 돌출되거나, 팁 몸체부(122)에서 서로 다른 길이로 돌출될 수 있다.Hereinafter, in this embodiment, six tip wing portions 124 are described as provided in a radial shap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p body portion 122 as the center of the tip body portion 122, but the present embodimen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chang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esign condition and situation of the dragon toothpick. For example, the tip wing portions 124 may be provided in 2 to 4 or 7 or more, or may be provided at different angles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tip wings 124 may protrude from the tip body 122 to have the same length, or from the tip body 122 to have different lengths.

이때, 담지 공간(S)은 팁 날개부(124)들 사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담지 공간(S)이 6개의 팁 날개부(124) 사이에 형성되므로, 이쑤시개 팁(120)의 둘레를 따라 6개의 담지 공간(S)이 마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arrying space (S) may be provided between the tip wing portions (124), respectively. That is,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supporting space (S) is formed between the six tip wing portions 124 , six supporting spaces (S)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othpick tip 120 .

팁 연결부(126)은 이쑤시개 몸체(110)의 몸체 연결부(114)와 연결되도록 팁 몸체부(122)의 일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팁 연결부(126)는 몸체 연결부(114)에 일체로 연결되거나, 교체가 가능하도록 몸체 연결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The tip connection part 126 may be provided at one end of the tip body part 122 to be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114 of the toothpick body 110 . The tip connection part 126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114 or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114 to be replaceable.

일례로, 팁 연결부(126)는 접착, 융착, 용접 등의 연결 방식으로 몸체 연결부(114)에 일체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이쑤시개 몸체(110)와 이쑤시개 팁(120)이 일체로 형성되므로, 복수개의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를 준비한 후 하나씩 사용하되,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를 사용한 후 그대로 버리거나, 이쑤시개 팁(120)만 세척, 살균, 소독하여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를 재사용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tip connection part 126 may b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114 by a connection method such as bonding, fusion, or welding. In this case, since the toothpick body 110 and the toothpick tip 120 are integrally formed, a plurality of toothpicks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are prepared and used one by one, but after using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discard it as it is, Only the toothpick tip 120 may be washed, sterilized, and disinfected to reuse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다른 예로, 팁 연결부(126)는 체결, 조립, 테이핑, 클래핑 등의 장착 방식으로 몸체 연결부(114)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는, 이쑤시개 몸체(110)와 이쑤시개 팁(120)이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므로, 복수개의 이쑤시개 팁(120)를 준비한 후 이쑤시개 몸체(110)의 단부에 하나씩 교체하여 사용하되, 이쑤시개 몸체(110)에서 분리된 이쑤시개 팁(120)은 그대로 버리거나 세척, 살균, 소독하여 재사용할 수도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tip connection part 126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body connection part 114 by a mounting method such as fastening, assembling, taping, or clamping. In this case, since the toothpick body 110 and the toothpick tip 120 are separably formed, a plurality of toothpick tips 120 are prepared and then used by replacing one at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110, but the toothpick body 110 ) separated from the toothpick tip 120 may be discarded as it is or reused by washing, sterilizing, or disinfecting.

상기와 다르게, 이쑤시개 몸체(110)와 이쑤시개 팁(120)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도 있다.Unlike the above, the toothpick body 110 and the toothpick tip 120 may be integrally injection-molded.

한편, 도 4에는 이쑤시개 팁(120)에 대한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쑤시개 팁(120)은 팁 몸체부(122), 복수개의 팁 홈부(128) 및 팁 연결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FIG. 4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toothpick tip 120 . As shown in FIG. 4 , the toothpick tip 120 of this embodiment may include a tip body 122 , a plurality of tip grooves 128 , and a tip connection part 126 .

여기서, 본 실시예의 팁 몸체부(122)와 팁 연결부(126)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팁 몸체부(122) 및 팁 연결부(126)와 동일하게 형성되므로,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 since the tip body portion 122 and the tip connection portion 126 of this embodiment are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ip body portion 122 and the tip connection portion 126 shown in FIGS. 1 to 3 ,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do.

반면에, 본 실시예의 팁 홈부(128)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팁 날개부(124)들 대신에 담지 공간을 형성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팁 홈부(128)들은 팁 몸체부(122)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 홈으로서 팁 몸체부(122)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특히, 팁 홈부(128)들은 팁 몸체부(1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ip groove portion 128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to form a supporting space instead of the tip wing portions 124 shown in FIGS. 1 to 3 . The tip groove portions 128 as described above are grooves formed to a predetermined depth in the tip body portion 122 , and may be radially dispos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ip body portion 122 . In particular, the tip groove portions 128 may be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body portion 122 .

이때, 담지 공간(S)은 팁 홈부(128)들의 내부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담지 공간(S)이 6개의 팁 홈부(128)의 내부에 형성되므로, 이쑤시개 팁(120)의 둘레를 따라 6개의 담지 공간(S)이 마련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arrying space (S)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tip groove (128). That is,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supporting space (S) is formed inside the six tip grooves 128 , six supporting spaces (S) may be provided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othpick tip 120 .

이하에서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의 이쑤시개 팁(120)이 팁 날개부(124)들을 포함하는 구조로 마련된 것으로 한정하여 다양한 종류의 변형예를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y limiting that the toothpick tip 120 of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care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cluding the tip wing portions 124 .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의 사용 방법 및 작용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Looking at the method of use and the effect of operation of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먼저,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의 이쑤시개 팁(120)에 형성된 담지 공간(S)에 고형체(140)를 담지시킨다.First, the solid body 140 is supported in the support space (S) formed in the toothpick tip 120 of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care.

예를 들면, 이쑤시개 팁(120)의 담지 공간(S)들에 액상의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를 넣은 후 고형화시키거나,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의 고형체(140)를 이쑤시개 팁(120)의 담지 공간(S)들에 삽입시키도록 이쑤시개 팁(120)의 담지 공간(S)들에 고형체(140)를 밀어 넣을 수 있다.For example, a liquid drug or mouthwash is put into the holding spaces (S) of the toothpick tip 120 and then solidified, or the solid body 140 of the drug or mouthwash is placed in the holding space (S) of the toothpick tip 120 ( The solid body 140 may be pushed into the supporting spaces (S) of the toothpick tip 120 to be inserted into the S).

상기와 같이 담지 공간(S)들에 고형체(140)가 담지되면, 치주 관리시 이쑤시개 몸체(1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이쑤시개 팁(120)을 입 속의 원하는 부위에 소정의 압력으로 밀착시키거나 밀착 상태에서 적당한 압력으로 문지르면서 고형체(140)를 바른다.When the solid body 140 is supported in the supporting spaces (S) as described above, the toothpick tip 120 in a state of holding the toothpick body 110 during periodontal management is closely adhered to the desired part in the mouth with a predetermined pressure or The solid body 140 is applied while rubbing with an appropriate pressure in a close contact stat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쑤시개 팁(120)을 치아들 사이에 형성된 치간에 찔러 넣으면, 팁 날개부(124)들이 치간에 삽입되는 과정에서 압착되어 담지 공간(S)들에 담긴 고형체(140)가 이쑤시개 팁(120)의 외측으로 밀려나와 치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치아와 잇몸에 도포된다. 또한, 이쑤시개 팁(120)을 치아 또는 잇몸에 밀착시킨 상태로 문지르면, 팁 날개부(124)들이 밀착되는 과정에서 담지 공간(S)들에 담긴 고형체(140)가 이쑤시개 팁(120)의 외측으로 밀려나와 치아 또는 잇몸에 도포된다.As shown in Figure 1, when the toothpick tip 120 is inserted between the teeth formed between the teeth, the tip wing portions 124 are compressed in the process of being inserted between the teeth and the solid body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s (S) ( 140) is pushed out of the toothpick tip 120 and is applied to a pair of teeth and gums forming an interdental space. In addition, when the toothpick tip 120 is rubbed in close contact with the teeth or gums,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s (S) in the process of the tip wing parts 124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toothpick tip 120 is outside of the toothpick tip 120 . It is pushed out and applied to the teeth or gums.

즉, 본 실시예에서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를 이용하여 치아, 잇몸 또는 구강 점막의 환부에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의 고형체(140)를 간편하게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That is, in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provide the solid body 140 of the drug or mouthwash to the affected part of the teeth, gums or oral mucosa using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care.

특히,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는 통상의 이쑤시개를 사용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전문 지식이 없는 환자나 일반인도 간편하게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In particular, since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can be used in a simple way using a conventional toothpick, it is possible to conveniently use it even for patients or ordinary people without specialized knowledge.

도 5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에 대한 다양한 종류의 변형예가 각각 도시된 도면이다.5 to 11 are views each showing various types of modifications of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내지 도 11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참조부호와 동일 유사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서술하도록 한다.In FIGS. 5 to 11 , reference numerals similar to those shown in FIGS. 1 to 4 denote the same members,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different points from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mainly described.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와 상이한 점은, 이쑤시개 팁(220)의 팁 날개부(124)와 고형체(140)의 부착력을 증가시켜 고형체(1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형체 지지부(240)를 더 포함한다는 점에 있다.1 to 11 ,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fferent from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shown in FIGS. 1 to 4 , the toothpick tip 220 . It is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solid support part 240 for stably supporting the solid body 140 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tip wing part 124 and the solid body 140 of the.

즉, 고형체 지지부(240)는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와 접촉되는 팁 날개부(124)들의 표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형체 지지부(240)는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의 비정상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고형체(140)를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더 견고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That is, the solid support portion 240 may be respectively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124 in contact with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The solid support part 240 as described above is a configuration for preventing the abnormal separation of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and the solid body 140 is more firm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 can be attached.

예를 들면, 고형체 지지부(240)는 걸림 돌기부(241), 요철부(242), 거칠기 가공부(243), 및 코팅부(244)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형체(140)를 안정적으로 지지 고정할 수 있다면 고형체 지지부(240)의 구조 및 재질도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olid support portion 240 may be provided as at least one of the locking protrusion 241 , the uneven portion 242 , the roughness processing portion 243 , and the coating portion 244 .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f the solid body 140 can be stably supported and fixed,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solid body support unit 240 may be variously modifi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걸림 돌기부(241)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돌기 형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는 담지 공간(S)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걸림 돌기부(241)에 걸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걸림 돌기부(241)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서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복수개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 the locking protrusion 241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tip wing 124 in a protrusion shape. That is,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may be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241 in a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space (S). The locking protrusion 241 as described above is a protrusion protruding in various cross-sectional shapes from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 and a plurality of protrusions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일례로, 도 5에 도시된 걸림 돌기부(241)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서 삼각 형상의 단면으로 돌출되되, 팁 날개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특히, 걸림 돌기부(241)는 서로 이웃하게 배치된 팁 날개부(124)들의 마주보는 면에 팁 몸체부(122)의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locking protrusion 241 shown in FIG. 5 may protrude from the surface of the tip wing 124 in a triangular cross-section, and may exten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wing 124 . In particular, the locking protrusions 241 may be staggered with respect to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p body 122 on the opposite surfaces of the tip wing parts 124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와 같이 걸림 돌기부(241)들이 팁 날개부(124)들의 표면에 각각 마련되면,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가 걸림 돌기부(241)들에 걸려 지지되기 때문에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외부 충격 및 하중의 작용에 의해서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cking protrusions 241 are provided on the surfaces of the tip wing parts 124 , respectively,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carrying space S is caught and supported by the locking protrusions 241 , so the solid body 140 is supported. )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space (S),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solid body 140 is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space (S) by the action of an external shock and load.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철부(242)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요철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는 담지 공간(S)에서 이탈되는 방향으로 요철부(242)에 걸릴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요철부(242)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요철 구조물이 형성되도록 마련되거나, 팁 날개부(124)가 요철 구조로 절곡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6 , the concavo-convex portion 242 may be provided in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unit 124 . That is,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may be caught in the concave-convex portion 242 in a direction to be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space (S). The concave-convex portion 242 as described above may be provided such that a concave-convex structur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unit 124 , or the tip wing unit 124 may be provided such that the concave-convex structure is bent.

실제로, 도 6에 도시된 요철부(242)는, 팁 몸체부(122)의 반경 방향을 따라 팁 날개부(124)들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반복 절곡시킨 구조로 마련되되, 요철부(242)의 절곡 라인이 팁 날개부(124)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In fact, the uneven portion 242 shown in FIG. 6 is provid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tip wing portions 124 are repeatedly bent in a zigzag shape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p body portion 122, the bending of the uneven portion 242 A line may be formed to be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ip wing portion 124 .

상기와 같이 요철부(242)들이 팁 날개부(124)들에 각각 마련되면,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가 요철부(242)들의 골 부분에 삽입된 상태로 요철부(242)들의 산 부분에 걸림되므로,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외부 충격 및 하중의 작용에 의해서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uneven portions 242 are provided on the tip wing portions 124, respectively, as described above,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is inserted into the valleys of the uneven portions 242, and the uneven portions ( 242), so that the solid body 140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space (S), and thereby the solid body 140 by the action of an external impact and load is held in the supporting space (S). ) can be prevented from escaping to the outside.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칠기 가공부(243)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킨 부위로서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가공 성형될 수 있다. 즉,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 거칠기에 의해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강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거칠기 가공부(243)는 통상의 거칠기 가공법을 이용하여 팁 날개부(124)의 표면을 적정 거칠기로 성형한 것으로서, 고형체(140)의 물성치에 따라 팁 날개부(124)의 표면 거칠기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 the roughness processing part 243 is a region in which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wing part 124 is increased and may be processed and mold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 That is,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may be strongly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tip wing 124 by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wing 124 . The roughness processing part 243 as described above is formed by molding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to an appropriate roughness using a conventional roughness processing method, and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solid body 140 . The roughness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일례로, 도 7에 도시된 거칠기 가공부(243)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형성된 거친 표면으로 형성되되,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동일한 거칠기로 마련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roughness processing part 243 shown in FIG. 7 may be formed with a rough surfa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 and may be provided with the same roughness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 124 .

상기와 같이 거칠기 가공부(243)가 팁 날개부(124)들의 표면 전체에 마련되면,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가 높은 부착력으로 거칠기 가공부(243)에 부착되기 때문에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외부 충격 및 하중의 작용에 의해서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roughness processing portion 243 is provid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s 124 as described above,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is attached to the roughness processing portion 243 with a high adhesive force. The shape 140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space (S),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solid body 140 is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space (S) by the action of external impact and load. ca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팅부(244)는 고형체(140)와의 부착력이 팁 날개부(124)보다 높은 소재로 팁 날개부(124)들의 표면에 코팅될 수 있다. 즉,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는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부(244)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코팅부(244)는 고형체(140)와의 부착력이 높은 고팅층으로서, 고형체(140)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소재를 선택하여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 코팅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8 , the coating part 244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s 124 with a material having a higher adhesive force with the solid body 140 than the tip wing part 124 . That is,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carrying space (S) may be attached to the coating portion 244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124). The coating portion 244 as described above is a coating layer having high adhesion to the solid body 140 , and may be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124 by selecting an appropriate material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olid body 140 .

일례로, 도 8에 도시된 코팅부(244)는, 코팅부(244)의 제조성을 증대시키도록 팁 날개부(124)의 표면과 함께 팁 몸체부(122)의 표면에도 마련될 수 있다. 즉, 코팅부(244)는 담지 공간(S)의 벽면을 형성하는 팁 날개부(124)들과 팁 몸체부(122)의 표면에 모두 코팅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ating portion 244 shown in FIG. 8 may b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tip body portion 122 together with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124 to increase the manufacturability of the coating portion 244 . That is, the coating portion 244 may be coated on both the tip wing portions 124 forming the wall surface of the supporting space (S) and the surface of the tip body portion 122 .

상기와 같이 코팅부(244)가 팁 날개부(124)들의 표면 전체에 코팅되면, 담지 공간(S)에 담긴 고형체(140)가 높은 부착력으로 코팅부(244)에 부착되기 때문에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고, 그로 인해서 외부 충격 및 하중의 작용에 의해서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외부로 이탈되는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When the coating portion 244 is coat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s 124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olid body 140 contained in the supporting space S is attached to the coating portion 244 with high adhesion, the solid body ( 140) can be stably fixed to the inside of the supporting space (S), thereby preventing the problem that the solid body 140 is separated to the outside of the supporting space (S) by the action of external impact and load .

한편, 도 9 내지 도 1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형체 지지부(240)는, 고형체(140)의 이탈을 방지하되, 치주 관리시 고형체(140)가 담지 공간(S)의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잔류하는 문제도 미연에 방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고형체(140)는 담지 공간(S)의 내부에 배치되는데,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100)의 사용시 담지 공간(S)의 내부에 담긴 고형체(140) 중에서 일부는 팁 몸체부(122)와 가까운 부위에 잔류될 가능성이 있다. 상기와 같이 고형체(140)의 일부가 담지 공간(S)의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잔류되면, 고형체(140)의 사용 효율이 떨어져 치주 관리의 효과도 저하될 수 있고, 치주 관리에 사용되는 않는 고형체(140)의 발생으로 인해 고형체(140)의 낭비가 증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1 , the solid body support 24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solid body 140 from being separated, and the solid body 140 has a supporting space during periodontal management ( It can be formed to prevent the problem of abnormally remaining inside the S). That is, the solid body 140 is disposed inside the support space (S), and when the toothpick 100 for periodontal management is used, some of the solid bodies 140 contained in the support space (S) are part of the tip body part 122 ) is likely to remain in the vicinity of the As described above, if a portion of the solid body 140 is abnormally left inside the supporting space (S), the efficiency of use of the solid body 140 may decrease and the effect of periodontal management may be reduced, and the Waste of the solid body 140 may be increased due to the generation of the solid body 140 .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형체 지지부(240)는 팁 몸체부(122)에서 팁 날개부(124)의 표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된 부위에만 배치되거나, 또는 팁 몸체부(122)에서 팁 날개부(124)의 표면을 따라 멀어짐에 따라 고형체(140)와의 부착력이 증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고형체 지지부(240)의 구조가 반영된 이쑤시개 팁(220)이 도 9 내지 도 11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solid support portion 240 is disposed only in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tip body portion 122 by a set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124, or the tip body portion ( As the distance from the tip wing portion 124 along the surface of the 122 to the solid body 140 is increased, it may be provided. The toothpick tip 220 in which the structure of the solid support 240 is reflected as described above is specifically illustrated in FIGS. 9 to 11 .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이쑤시개 팁(220)의 고형체 지지부(240)는, 도 5에 도시된 이쑤시개 팁(120)과 동일한 걸림 돌기부(241)로 제공되되, 해당 걸림 돌기부(241)가 팁 몸체부(122)에서 팁 날개부(124)의 표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설정 거리로 이격된 부위에 마련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the solid support 240 of the toothpick tip 220 shown in FIG. 9 is provided with the same engaging protrusion 241 as the toothpick tip 120 shown in FIG. The protrusion 241 may be provided at a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tip body portion 122 by a set distance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124 .

즉, 팁 날개부(124)의 표면에는 팁 몸체부(122)의 반경 방향을 따라 팁 몸체부(122)에 인접한 제1 영역(L1) 및 팁 몸체부(122)와 설정 거리 이격되도록 팁 날개부(124)의 단부와 인접한 제2 영역(L2)로 구획될 수 있다. 이때, 제1 영역(L1)과 제2 영역(L2)의 구획 라인은 팁 몸체부(122)와 팁 날개부(124)의 연결 지점에서 팁 날개부(124)를 따라 반경 방향으로 적절히 이격될 수 있다.That is,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124 , the tip wing is spaced apart by a set distance from the first region L1 adjacent to the tip body 122 and the tip body 122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tip body 122 . It may be divided into a second region L2 adjacent to the end of the portion 124 . At this time, the dividing line of the first region (L1) and the second region (L2) is to be appropriately spaced in the radial direction along the tip wing portion 124 at the connection point of the tip body portion 122 and the tip wing portion 124. can

상기와 같이 걸림 돌기부(241)가 제2 영역(L2)에만 배치된 구조로 마련됨으로써, 고형체(140)가 제2 영역(L2)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241)에 걸려 담지 공간(S)에서 비정상적으로 이탈되는 문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고, 걸림 돌기부(241)가 제1 영역(L1)에 생략되어 고형체(140)와 팁 날개부(124)의 부착력이 제1 영역(L1)에서 증가되지 않기 때문에 고형체(140)가 제1 영역(L1)에 잔류되지 않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providing a structure in which the locking protrusion 241 is disposed only in the second region L2, the solid body 140 is caught by the locking protrusion 241 formed in the second region L2 and in the supporting space (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the problem of abnormal separation, and the locking protrusion 241 is omitted in the first region L1 , so tha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olid body 140 and the tip wing 124 is increased in the first region L1 . Therefore, the solid body 140 may not remain in the first region L1.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0에 도시된 이쑤시개 팁(220)의 고형체 지지부(240)는, 도 9에 도시된 이쑤시개 팁(120)과 동일하게 형성된 걸림 돌기부(241)로 제공되되, 팁 날개부(124)의 제2 영역(L2)에 제공된 걸림 돌기부(241)들의 돌출 길이가 팁 몸체부(122)에서 멀어짐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0, the solid support 240 of the toothpick tip 220 shown in FIG. 10 is provided as a locking protrusion 241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oothpick tip 120 shown in FIG.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locking protrusions 241 provided in the second region L2 of the tip wing 124 may be gradually increased as the distance from the tip body 122 increases.

상기와 같이 걸림 돌기부(241)들의 돌출 길이가 팁 몸체부(122)에서 멀어짐에 따라 증가되면, 고형체(140)와 팁 날개부(124)의 부착력에 의해서 고형체(140)의 일부가 담지 공간(S)의 내부에 잔류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 length of the locking protrusions 241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tip body part 122 increases as described above, a part of the solid body 140 is supported b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olid body 140 and the tip wing part 124 .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remaining inside the space (S).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에 도시된 이쑤시개 팁(220)의 고형체 지지부(240)는, 도 8에 도시된 이쑤시개 팁(120)과 동일하게 형성된 코팅부(244)로 제공되되, 팁 날개부(124)의 제2 영역(L2)에만 코팅부(244)가 제공되고, 팁 날개부(124)의 제1 영역(L1)에는 코팅부(244)가 생략되거나 고형체(140)와의 부착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비부착용 코팅부(245)가 코팅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the solid support 240 of the toothpick tip 220 shown in FIG. 11 is provided with a coating 244 formed in the same manner as the toothpick tip 120 shown in FIG. The coating portion 244 is provided only in the second region L2 of the tip wing 124 , and the coating 244 is omitted or the solid body 140 in the first region L1 of the tip wing 124 . A non-adhesive coating portion 245 may be coated to reduce adhesion with the .

즉, 도 11에서는 코팅부(244)가 팁 날개부(124)의 제2 영역(L2)에 코팅되되, 비부착용 코팅부(245)가 팁 날개부(124)의 제1 영역(L1)에 코팅된 것으로 설명한다.That is, in FIG. 11 , the coating portion 244 is coated on the second region L2 of the tip wing 124 , and the non-adhesive coating 245 is on the first region L1 of the tip wing 124 . Described as coated.

코팅부(244)가 팁 날개부(124)의 제2 영역(L2)에만 마련됨으로써, 고형체(140)가 제2 영역(L2)에 형성된 코팅부(244)에 부착되어 담지 공간(S)에서 비정상적으로 이탈되는 문제를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반면에, 비부착용 코팅부(244)가 팁 날개부(124)의 제1 영역(L1)에 마련됨으로써, 고형체(140)와 팁 날개부(124)의 부착력이 제1 영역(L1)에서 감소되어 고형체(140)가 제1 영역(L1)에 잔류되지 않고 모두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The coating portion 244 is provided only in the second region L2 of the tip wing portion 124, so that the solid body 140 is attached to the coating portion 244 formed in the second region L2 to support space (S).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prevent the problem of abnormal deviation from On the other hand, since the non-adhesive coating portion 244 is provided in the first region L1 of the tip wing 124 ,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solid body 140 and the tip wing 124 is increased in the first region L1 . As a result, the solid body 140 does not remain in the first region L1 and all can be smoothly discharg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specific matters such as specific components and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but these are only provided to help a more general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ese descriptions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not only the claims to be described below, but also all those with equivalent or equivalent modifications to the claims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110: 이쑤시개 몸체
120, 220: 이쑤시개 팁
122: 팁 몸체부
124: 팁 날개부
126: 팁 연결부
128: 팁 홈부
130: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의 고형체
240: 고형체 지지부
S: 담지 공간
100: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110: toothpick body
120, 220: toothpick tip
122: tip body portion
124: tip wing
126: tip connection
128: tip groove
130: solids of pharmaceuticals or mouthwashes
240: solid support portion
S: loading space

Claims (12)

치주 관리에 사용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로서,
파지하여 사용하도록 마련된 이쑤시개 몸체; 및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뾰족하게 마련되고, 약제 또는 구강청정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형체가 담지된 이쑤시개 팁;을 포함하며,
상기 이쑤시개 팁에는 상기 고형체를 담기 위한 담지 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담지 공간은 상기 이쑤시개 팁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마련되며,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서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돌출되도록 마련된 팁 몸체부; 및
상기 팁 몸체부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방사 형상으로 돌출된 복수개의 팁 날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담지 공간은 상기 팁 날개부들 사이에 각각 마련되며,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팁 날개부들의 표면에 각각 형성되고, 상기 고형체가 상기 담지 공간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팁 날개부와 상기 고형체의 부착력을 증가시켜 상기 고형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고형체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A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used for periodontal management,
a toothpick body provided to be gripped and used; and
A toothpick tip provided sharply at the end of the toothpick body, and in which at least one solid of a drug or mouthwash is supported;
The toothpick tip is provided with a supporting space for containing the solid,
A plurality of the supporting spaces are provided to be spaced apar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toothpick tip,
The toothpick tip is,
a tip body provided to protrude from an end of the toothpick body in a lengthwise direction of the toothpick body; and
A plurality of tip wing portions projecting radial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p body portion;
The support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tip wing parts, respectively,
The toothpick tip is,
a solid support part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s, and stably supporting the solid body by increasing the adhesion between the tip wing part and the solid body to prevent the solid body from being arbitrarily separated from the supporting space; A toothpick for periodontal managemen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팁 몸체부의 일단부는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단부에 연결되고, 상기 팁 몸체부의 타단부는 상기 이쑤시개 몸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봉 형상으로 연장되며,
상기 팁 날개부들은 상기 팁 몸체부의 일단부에서 타단부로 갈수록 돌출 높이가 낮아지는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According to claim 1,
One end of the tip body is connected to an end of the toothpick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tip body extends in a rod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oothpick body,
The tip wing portions are toothpicks for periodontal car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in a shape in which the protrusion height is lowered from one end of the tip body to the other en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 지지부는,
상기 고형체가 걸리도록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에 돌출된 걸림 돌기부,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에 요철 형상으로 마련된 요철부,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 거칠기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이 가공된 거칠기 가공부, 및 상기 고형체와의 부착력이 상기 팁 날개부보다 높은 소재로 상기 팁 날개부들의 표면에 코팅된 코팅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According to claim 1,
The solid support portion,
A lock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tip wing to catch the solid body, a concave-convex portion provided in a concave-convex shape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and roughness processing in which the surface of the tip wing is processed to increase the surface roughness of the tip wing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of a part, and a coating part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arts with a material having a higher adhesion with the solid body than the tip wing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형체 지지부는,
치주 관리시 상기 고형체가 상기 담지 공간의 내부에 비정상적으로 잔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팁 몸체부에서 상기 팁 날개부의 표면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설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According to claim 1,
The solid support portion,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a set distance in a radial direction along the surface of the tip wing portion from the tip body portion to prevent the solid body from abnormally remaining inside the support space during periodontal management.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쑤시개 팁은 상기 고형체를 안정적으로 담지하도록 표면 거칠기를 설정 수준 이상으로 높게 형성하거나 요철부를 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마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pick tip is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rface roughness is formed to be higher than a set level or provided with irregularities on the surface at regular intervals so as to stably support the solid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쑤시개 팁은, 치주 관리시 치아 또는 잇몸에 상처를 주지 않으면서 상기 고형체의 제공이 원활하도록 탄성 및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According to claim 1,
The toothpick tip is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and flexibility so as to provide the solid body smoothly without damaging the teeth or gums during periodontal ca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의 고형체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chlorhexidine gluconate)를 고형화시켜 마련되고,
상기 구강청정제의 고형체는 멘톨(menthol), 티몰(thymol), 살리실산 메틸(methyl salicylate), 유칼립톨(eucalyptol), 불소, 세틸피리디늄염화물수화물(CPC, cetylpyridinium chloride monohydrate), 또는 염화벤제토늄(benzethonium chloride) 중 어느 하나를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한 물질을 고형화시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 관리용 이쑤시개.
According to claim 1,
The solid of the drug is prepared by solidifying chlorhexidine gluconate,
The solids of the mouthwash are menthol, thymol, methyl salicylate, eucalyptol, fluorine, cetylpyridinium chloride monohydrate (CPC, cetylpyridinium chloride monohydrate), or benzethonium chloride ( benzethonium chloride), a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pared by solidifying any one of a single or a mixture of two or more types.
KR1020200068328A 2020-06-05 2020-06-05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KR10242398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28A KR102423984B1 (en) 2020-06-05 2020-06-05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8328A KR102423984B1 (en) 2020-06-05 2020-06-05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463A KR20210151463A (en) 2021-12-14
KR102423984B1 true KR102423984B1 (en) 2022-07-21

Family

ID=78935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8328A KR102423984B1 (en) 2020-06-05 2020-06-05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984B1 (e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1935A (en) * 1994-05-10 1998-01-27 Whitehill Oral Technologies, Inc. Dental floss
KR19980010264U (en) * 1996-08-03 1998-05-15 김명선 toothpick
KR100462903B1 (en) * 2002-06-14 2004-12-29 한상기 proxa brush including gargle fluid and disinfectant
KR20050040879A (en) * 2005-03-15 2005-05-03 유경진 A dental cleaner for one ti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 same
KR200473104Y1 (en) * 2012-07-03 2014-06-13 (주)아모레퍼시픽 interdental cleaner
KR20170135792A (en) 2017-11-28 2017-12-08 대경 이 Toothpick for Periodontal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1463A (en) 2021-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50736B2 (en) Oral care implement
US5775346A (en) Interproximal dental appliances
US5829976A (en) Medicament-containing interproximal dental brush
JP5883943B2 (en) Biodegradable brush
US5320531A (en) Absorbent finger sleeve for use in dentistry or medicine
US5466153A (en) Prop for use in dentistry and oral surgery
JPS601018B2 (en) Plaque removal and gingival pine surge equipment
Mandal et al. New dimensions in mechanical plaque control: An overview
US20140261538A1 (en) Tongue-mounted cleaning article
US20100291503A1 (en) Tongue block
US8215959B2 (en) Tongue-mounted cleaning article
Salles et al. Effectiveness of brushing associated with oral irrigation in maintenance of peri-implant tissues and overdentures: clinical parameters and patient satisfaction
EP3229725B1 (en) An interdental brush with a protective tip
KR102423984B1 (en) Toothpick for periodontal care
Vinel et al. Non-surgical periodontal treatment: SRP and Innovative Therapeutic Approaches
KR101833425B1 (en) Device for the preventive and acut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JP6648380B2 (en) Oral care device
US20060068364A1 (en) Methods and device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gingival recession
US20060289032A1 (en) Dental floss for treatment of periodontitis
US20050087208A1 (en) PerioFloss for treatment of periodontitis
KR20160141577A (en) Suction device for dental treatment
JPH105251A (en) Toothpick
JP4386303B2 (en) Dental treatment equipment
RANI Knowledge and Awareness of Use of Ozone Therapy in Dentistry
KR20040086889A (en) Pocket of the mou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