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35B1 -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 Google Patents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35B1
KR102423935B1 KR1020200162886A KR20200162886A KR102423935B1 KR 102423935 B1 KR102423935 B1 KR 102423935B1 KR 1020200162886 A KR1020200162886 A KR 1020200162886A KR 20200162886 A KR20200162886 A KR 20200162886A KR 102423935 B1 KR102423935 B1 KR 102423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chamber
home appliance
home appliances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2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75113A (en
Inventor
이혜진
박창순
최대근
정병관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00162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935B1/en
Publication of KR20220075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51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3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flow meas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45Means for power supply or devices using electrical power in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가전제품이 위치하게 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 유입부; 상기 챔버의 정면에 글러브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챔버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포집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되, 일 말단이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로 이동시키는 유로관;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는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mber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located; an external air inle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and supplying purified external air into the chamber; a manip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glove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chamb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xing part located inside the chamber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ne dust collecting unit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and collect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and a flow path pipe located inside the chamber, one e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and moving the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It provides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Description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및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본 발명은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전제품의 작동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내부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밀폐된 챔버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and more particularly, to a home appliance including a closed chamb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inside to efficiently collect fine dus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It relates to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products and a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using the same.

대기 중 미세먼지는 WTO에 의해서 2013년에 발암유발물질로 지정되었고, 중국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에 의해서 국민들의 생활이 불편해짐에 따라 미세먼지의 농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Fine dust in the atmosphere was designated as a carcinogen in 2013 by the WTO, and interest in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increasing as people's lives become uncomfortable due to fine dust coming from China.

미세먼지는 건강뿐 아니라 라이프스타일과 시장 경제까지 좌우하는 환경 요인이 되어, 생활 속에서 조금이라도 미세먼지의 영향을 줄이고자 하는 소비자들 요구에 부응하는 제품들이 큰 호응을 얻고 있고, 이러한 이유로 가정에서는 주로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생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초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Fine dust has become an environmental factor that affects not only health, but also lifestyle and market economy, and products that meet consumers' demands to reduce the impact of fine dust in their daily lives are gaining a great response. The use of air purifiers and humidifiers that filter out fine dust (ultra-fine dust) that is mainly introduced from outside or generated in daily life is increasing.

하지만, 정작 실내에서 사용자와 밀착해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However, the reality is that fine dust generated from home appliances that are used in close contact with users indoors is overlooked.

가전제품 중 미세먼지를 방출하는 대표적인 제품인 헤어드라이어, 청소기, 선풍기, 믹서기 등에 적용된 모터나 히터 등 내부 부품에서 금속성 미세먼지(탄소, 구리 등)가 방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측정 및 검출 기준과 이를 위한 측정장치 등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Metallic fine dust (carbon, copper, etc.) is emitted from internal parts such as motors and heaters applied to hair dryers, vacuum cleaners, fans, mixers, etc., which are typical products that emit fine dust among home appliances. Measuring devices are not provided.

상기 미세먼지를 방출하는 가전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기 전 상기 가전제품이 방출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고, 방출된 미세먼지의 방출량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Before the home appliances emitting the fine dust are released to the market, there is a need for a device capable of collecting fine dust emitted by the home appliance and measuring the amount of emitted fine dust.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058820 호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2058820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가전제품의 작동 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포집할 수 있도록 내부의 유동을 제어할 수 있는 밀폐된 챔버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including a closed chamber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therein so as to efficiently collect fine dust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이용하는 가전제품의 미세먼지의 포집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technical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in home appliances using the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내부에 가전제품이 위치하게 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 유입부; 상기 챔버의 정면에 글러브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챔버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포집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되, 일 말단이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로 이동시키는 유로관;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는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mber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located; an external air inle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and supplying purified external air into the chamber; a manip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glove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chamb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xing part located inside the chamber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ne dust collecting unit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and collect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and a flow path pipe located inside the chamber, one e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and moving the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It provides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공기 유입부는 하나 이상의 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inlet may include one or more fan filt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글러브와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unit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ring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glov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는 미세먼지 포집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may include a fine dust collecting filt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먼지 포집 필터는 PTFE, PVDF, PCTE, PETE, PES, NY 및 Filter pap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may include any one or more of PTFE, PVDF, PCTE, PETE, PES, NY and Filter pap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와 연결되어,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내부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nternal air intake unit located outside the chamber,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and sucking air inside the chamber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의 측부에 위치하는 전선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배출구는 상기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comprises a wire outlet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the wire outlet can enter and exit the wi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자동전원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자동 전원 스위치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전제품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power switch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chamber, wherein the automatic power switch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unit,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자동 전원 스위치는 스마트폰과 어플로 연동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power switch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and an application.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챔버 내부에 가전제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 내부를 밀폐시키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에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전제품이 작동되어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lacing a home appliance inside a chamber,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supplying purified outside air into the chamber and sucking the air inside the chamber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supplying power to operate home appliances in the chamber; and collecting fine dust discharged by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It provides a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comprising 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may be performed automaticall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may be performed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phon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 이후, 포집된 미세먼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collecting the fine dust, the step of analyzing the collected fine dus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외부의 미세먼지를 차단한 밀폐된 챔버를 포함하여, 포집된 미세먼지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The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led chamber that blocks external fine dust,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of the collected fine dust.

또한, 외부공기 유입부, 유로관 및 내부공기 흡입부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챔버 내부 공기의 유동을 단 방향으로 제어하여, 최적의 미세먼지 포집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ncludes an external air inlet, a flow pipe, and an internal air intake, and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in one direction, thereby providing optimal conditions for collecting fine dust.

또한, 자동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외부의 수동제어 없이 가전제품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미세먼지 포집 및 측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ine dust collection and measurement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without external manual control, including the automatic power switch.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을 챔버 내부에 위치시키고, 전원을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가전제품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using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method of placing a home appliance to be measured inside a chamber and operating a power supply, thereby removing fine dust emitted from the home applia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efficiently.

나아가, 상기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밀착되어 사용되는 가전제품의 모터나 히터 등 내부 부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 및 측정하고, 허용치 이상의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가전제품을 배제하여 시장에 출시하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미세먼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more, by using the fine dust coll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s, home appliances that collect and measure fine dust generated from internal parts such as motors and heaters of home appliances that are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and discharge fine dust above the allowable value By excluding it and releasing it to the mark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ltimately reduc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ine dust on users.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포집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포집필터의 이미지이다.
도 4는 상기 도 3의 미세먼지 포집필터의 분진 발생 여부 평가 결과 이미지이다.
도 5는 상기 도 3의 미세먼지 포집필터의 SEM 이미지이다.
도 6은 상기 도 3 의 이물 성분 분석(SEM-EDS) 결과이다.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mage of a fine dust collecting filter including fine dust collected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image of the evaluation result of whether or not dust is generated in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of FIG. 3 .
FIG. 5 is an SEM image of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of FIG. 3 .
FIG. 6 is a result of foreign material analysis (SEM-EDS) of FIG. 3 .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herein are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모식도이다. 1 and 2 are schematic diagrams of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내부에 가전제품이 위치하게 되는 챔버(10); 상기 챔버(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10) 내부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 유입부(20); 상기 챔버(10)의 정면에 글러브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30);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40); 상기 챔버(10)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포집부(60);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하되, 일 말단이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와 연결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로 이동시키는 유로관(50); 및 상기 챔버(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와 연결되어,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내부공기 흡입부(70)를 더 포함한다. 1 and 2, the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amber 10 in which the home appliances are located; an external air inlet 2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10 and supplying purified external air into the chamber 10; a control unit 30 connected to the glove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chamber 1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xing part 40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10 and collect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A flow path pipe (50)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one e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and mov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 and an internal air suction unit 70 positioned outside the chamber 10 a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to suck air inside the chamber 10 .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상세한 구성은 하기의 양태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following aspects.

본 발명의 일 양태는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을 제공한다.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본 발명의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챔버(10) 내부에 가전제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10) 내부를 밀폐시키는 단계; 상기 챔버(10) 내부에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챔버(10) 내부의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전제품이 작동되어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lacing the home appliance in a chamber 10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supplying purified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and sucking the air inside the chamber 10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supplying power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inside the chamber 10; and collecting fine dust discharged by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의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상기 양태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고, 상기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내부에 가전제품이 위치하게 되는 챔버(10); 상기 챔버(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10) 내부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 유입부(20); 상기 챔버(10)의 정면에 글러브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30);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40); 상기 챔버(10)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포집부(60);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하되, 일 말단이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와 연결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로 이동시키는 유로관(50); 및 상기 챔버(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와 연결되어,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내부공기 흡입부(70)를 더 포함한다.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using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of the above aspect, and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is a chamber 10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located. ; an external air inlet 20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10 and supplying purified external air into the chamber 10; a control unit 30 connected to the glove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chamber 10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xing part 40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10 and collect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A flow path pipe (50)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one e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and mov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 and an internal air suction unit 70 positioned outside the chamber 10 a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to suck air inside the chamber 10 .

먼저, 본 발명의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챔버(10) 내부에 가전제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10) 내부를 밀폐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First,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placing the home appliance in the chamber 10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

최근, 건강을 위협하는 미세먼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고, 외부에서 유입되거나 생활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걸러내는 공기청정기, 가습기 등의 에어가전 제품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Recently, interest in fine dust that threatens health is increasing, and the use of air home appliances such as air purifiers and humidifiers that filter fine dust that is introduced from the outside or generated in daily life is increasing.

하지만, 정작 실내에서 사용자와 밀착해서 사용하는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며, 가전제품 중 헤어드라이어, 청소기, 선풍기, 믹서기 등에 적용된 모터나 히터 등 내부 부품에서 탄소, 구리 등의 금속성 미세먼지가 방출되고 있다.However, the reality is that fine dust generated by home appliances that are used in close contact with users indoors is overlooked. Metallic fine dust is being emitted.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가전제품 작동 시, 발생하게 되는 미세먼지에 대한 측정 및 검출 기준과 이를 위한 측정장치 등은 마련되고 있지 않았다. However, conventionally, measurement and detection standards for fine dust generated during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and a measuring device for the same have not been prepared.

본 발명은 상기 미세먼지를 방출하는 가전제품이 시장에 출시하기 전에 미세먼지 방출량을 측정하여 최종적으로는 사용자가 생활 밀착형으로 사용하는 가전제품으로부터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하여 도출되었다.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amount of fine dust emitted before the home appliance that emits fine dust is released on the market, and finally, in order to reduce the direct or indirect effect of fine dust generated from home appliances that users use in close contact with life. was deriv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되는 가전제품은 작동 시, 미세먼지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전제품, 예를 들면, 헤어드라이어, 청소기, 선풍기, 믹서기 중 어느 하나 일 수 있으나, 미세먼지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는 가전제품이고, 상기 챔버(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는 것이라면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may be any one of a home appliance that can generate fine dust during operation, for example, a hair dryer, a vacuum cleaner, a fan, and a blender. However, it is not limited as long as it is a home appliance that may generate fine dust and can be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

상기 챔버(10) 내부에서 상기 가전제품을 상기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의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40)에 의하여 고정되게 된다. In the chamber 10, the home appliance is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of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is fixed by a fixing part 40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부(40)는 고정 지그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가전제품을 유로관(50)의 공기가 유입되는 일 단, 즉, 공기가 배출되는 미세먼지 포집부(60)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 일 단과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상기 가전제품을 위치시킬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xing part 40 may include a fixing jig, etc., and the household appliance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ow path pipe 50 through which air is introduced, that is, the fine air is discharged. The home appliance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adjacent to one end opposite to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60 .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가전제품이 헤어드라이어인 경우, 상기 고정부(40)는 상기 헤어드라이어의 송풍구가 유로관(50)의 공기가 유입되는 일 단, 즉, 공기가 배출되는 미세먼지 포집부(60)와 연결된 일단의 반대편 일 단과 맞 닿아 위치하도록 상기 가전제품을 위치시킬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me appliance is a hair dryer, the fixing part 40 is the air outlet of the hair dryer at one end through which the air of the flow path pipe 50 is introduced, that is, the fine air is discharged. The home appliance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one end opposite to the one end connected to the dust collecting unit 60 .

상기 챔버(10) 내부는 상기 가전제품이 고정 된 후, 밀폐된다.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is sealed after the home appliance is fixed.

상기 챔버(10) 내부가 밀폐됨으로써, 외부에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 있고, 이로써,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하게 되는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만을 포집할 수 있다. By seal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 it is possible to block fine dust flowing in from the outside, and thus,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ine dust generated in the home appliance positioned inside the chamber 10 . It can only collect dust.

상기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상기 챔버(10) 내부가 밀폐됨으로써, 후술하는 포집된 미세먼지의 측정공정에 있어서, 외부의 요인을 배제할 수 있어,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In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since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is sealed, external factors can be excluded in the measurement process of the collected fine dust to be described later,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챔버(10) 내부에 가전제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10) 내부를 밀폐시키는 단계 이후, 밀폐된 챔버(10) 내부의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step of placing the home appliance inside the chamber 10 and sealing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inside the sealed chamber 10 is added can be included as

상기 밀폐된 챔버(10) 내부의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단계는 상기 챔버(10)의 정면에 글러브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3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The step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inside the sealed chamber 10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operation unit 30 positioned in connection with the glove at the front of the chamber 10 and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

상기 조작부(30)에 연결되는 글러브는 상기 챔버(10)의 내부를 향하여 위치될 수 있고, 사용자는 상기 글러브를 통하여, 상기 챔버(10)가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고정, 배치, 조작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The glove connected to the manipulation unit 30 may be positioned toward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 and the user may use the glove to fix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while maintaining the sealed state of the chamber 10 . , placement, and manipul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작부(30)는 글러브와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챔버(10)의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30)와 글러브는 고정링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고정링은 상기 조작부(30)를 통하여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3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슬라이딩도어 또는 외부 차단문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ipulation unit 30 is connected to the glove, in order to maintain the sealed state of the chamber 10, the manipulation unit 30 and the glove are connected through a fixing ring, etc. can The fixing ring may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through the manipulation unit 30 . In addition, the manipulation unit 30 may be configured to additionally include a sliding door or an external blocking door to block the inflow of external air, but is not limited thereto.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챔버(10) 내부에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Next, in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purified external air is supplied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and the air inside the chamber 10 is sucked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controlling; include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0) 내부에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공정은 상기 챔버(10)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10) 내부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 유입부(2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supplying the purified external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10, the external air for supplying the purified external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It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let 2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외부공기 유입부(20)는 하나 이상의 팬 필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팬 필터는 상기 외부공기 유입부(20)가 상기 밀폐된 챔버(10) 내부에 외부의 미세먼지가 걸러진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외부 공기를 정화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side air inlet 20 may include one or more fan filters, wherein the fan filter is external to the inside of the sealed chamber 10 in which the outside air inlet 20 is closed. It can play a role in purifying the outside air so that it can play a role in supplying purified outside air that has been filtered out of fine dust.

예를 들면, 상기 팬 필터는 흡입 팬, 멤브레인 필터 등의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흡입 팬이 외부공기를 흡입시킴과 동시에, 상기 멤브레인 필터가 외부의 미세먼지를 차단 시키고, 정화된 공기만을 챔버(10) 내부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팬 필터의 유닛 구성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것이면,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the fan filter may include a unit such as a suction fan and a membrane filter, and at the same time as the suction fan sucks in outside air, the membrane filter blocks external fine dust, Only air can be supplied into the chamber 10 . In this case, the unit configuration of the fan filter is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it is obvious in the technical field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정은 상기 챔버(10)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와 연결되어,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내부공기 흡입부(70)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sucking air inside the chamber 10 is located outside the chamber 10 a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to remove the air inside the chamber 10 . The suction may be performed through the internal air suction unit 7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 유동의 흐름은 단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고, 구체적인 예를 들면, 상기 외부공기 유입부(20)에서 유입된 정화된 외부공기는 밀폐된 챔버(10) 내로 유입되고, 상기 유로관(50)을 통하여 이동 한 후, 미세먼지 포집부(60)를 통하여 상기 내부공기 흡입부(70)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of the air flow inside the chamber 10 can be controlled in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purified outside air introduced from the outside air inlet 20 is sealed. is introduced into the chamber 10 , and after moving through the flow pipe 50 , it can be discharged to the internal air intake unit 70 through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0) 내부에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는 후술하는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챔버(10) 내부의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수 초 내지 수 분간 수행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챔버(10) 내부를 정화된 외부 공기로만 채워, 이후, 가전제품을 작동 시킨 후,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만을 포집하게 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controlling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by supplying purified external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and sucking the air inside the chamber 10 will be described later. It may be performed for several seconds to several minutes before the step of supplying power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inside the chamber 10, and through this,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is filled only with purified external air, and then, the home appliance After operating, it is possible to collect only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챔버(10) 내부의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Next,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upplying power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s inside the chamber 1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챔버(10) 내부에 위치하는 가전제품은 상기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고, 이때,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챔버(10)의 측부에 위치하는 전선배출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me appliance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may be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me appliance, and in this case,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amber It may further include a wire outlet 80 located on the side of (10).

상기 전선배출구(80)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하며, 상기 전선배출구(80)를 통하여 상기 챔버(10) 내부는 밀폐 분위기를 유지하면서, 상기 챔버(10)의 외부로부터 상기 가전제품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The wire outlet 80 serves as a passage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can enter and exit, and the chamber 10 through the wire outlet 80 maintains an airtight atmosphere inside the chamber 10. It is possible to apply power to the home appliance from the outsid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부는 상기 챔버(1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위치하는 자동전원 스위치와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wer supply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n automatic power switch located outside or inside the chamber 10 .

상기 자동전원 스위치는 상기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가전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상기 자동 전원스위치는 타이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가전제품이 일정시간 동안 일정한 패턴으로 작동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The automatic power switch may serv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by using the power applied from the power supply unit. For example, the automatic power switch may include a timer so that the home appliance is operat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t can be controlled so that it can be operated in a certain pattern during the period.

또한, 상기 자동전원 스위치는 스마트폰과 어플로 연동될 수 있는데, 상기 자동전원 스위치가 스마트폰과 어플로 연동되는 경우, 상기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하여 가전제품의 작동 시간 또는 패턴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automatic power switch may be linked with a smartphone and an application. When the automatic power switch is linked with a smartphone and an application, the step of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includes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using the application of the smartphone. You will be able to control the time or pattern.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측정장치는 상기 자동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외부의 수동제어 없이 가전제품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미세먼지 포집 및 측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The device for measur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automatic power switch and automat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without external manual control, thereby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collecting and measuring fine dus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챔버(10) 내부의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자동전원 스위치를 이용함으로써,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간편한 방법으로 또는 기 설정된 패턴에 의하여 자동으로 수행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of supplying power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inside the chamber 10 is performed automatically by using the automatic power switch, in a simple way using a smart phone or by a preset pattern. can be perform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가전제품이 작동되어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Next,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 of collecting fine dust discharged by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상기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는, 챔버(10)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포집부(60)를 통하여 수행된다. The step of collecting the fine dust is performed through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10 and collect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는 챔버(10) 내부에 위치하는 유로관(50)의 일 말단과 연결되어, 미세먼집 포집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may b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ow pipe 50 located inside the chamber 10 and may include a fine dust collecting filter.

상기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챔버(10) 내부의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통하여, 가전제품이 작동되게 되면, 상기 가전제품에서 미세먼지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home appliance is operated through the step of supplying the power to operate the home appliance inside the chamber 10, fine dust may be generated in the home appliance.

이때, 상기 미세먼지는 상기 챔버(10) 내부에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챔버(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에서 형성된 공기의 흐름을 따라 상기 유로관(50)을 통하여, 상기 유로관(50)의 말단과 연결된 미세먼지 포집부(60)로 이동 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ne dust supplies purified external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10 and sucks the air inside the chamber 10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along the flow path pipe 50 , it may be mov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low path pipe 50 .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는 상기 유로관(50)을 통하여 이동되는 챔버(10) 내부 공기 및 미세먼지 중 공기만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may selectively pass only air among the air and fine dust inside the chamber 10 that is moved through the flow pipe 50 .

이때, 상기 미세먼지는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60)의 미세먼지 포집필터에 걸려져서 위치하게 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fine dust may be positioned while being caught by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60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미세먼지 포집필터는 멤브레인형 필터일 수 있고, PM 10, PM 2.5, PM 1 등의 원하는 미세먼지 포집에 맞는 다양한 사이즈의 필터 사용이 가능하고, 미세먼지를 포집할 수 있는 필터 재질, 예를 들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PCTE(Polycarbonate Track Etched), PETE(Polyester Track Etched), PES(Polyethersulfone), NY(nylon) 및 Filter pap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may be a membranous filter, and filters of various sizes suitable for desired fine dust collection, such as PM 10, PM 2.5, PM 1, etc., can be used and collect fine dust. Any one of filter materials that can be used, for example,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PVDF (Polyvinylidene Fluoride), PCTE (Polycarbonate Track Etched), PETE (Polyester Track Etched), PES (Polyethersulfone), NY (nylon) and Filter paper It may be configured including the abov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상기 가전제품이 작동되어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 이후, 포집된 미세먼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alyzing the collected fine dust after the step of collecting fine dust discharged by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구체적으로, 상기 포집된 미세먼지를 분석하는 단계는 상기 가전제품이 작동되어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에서 형성되는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가 포집된 미세먼지 포집필터를 챔버(10)로부터 분리하여, 상기 미세먼지의 포집 유무, 입자 형태 및 성분 등을 분석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분석의 목적에 따라 추가적인 장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Specifically, in the step of analyzing the collected fine dust,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in which the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which is formed in the step of collecting the fine dust emitted by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is collected from the chamber 10 Separation may be performed by analyz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collection of the fine dust, particle shape and composition, and may be performed using additional equipmen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analysis.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는 외부의 미세먼지를 차단한 밀폐된 챔버를 포함하여, 포집된 미세먼지 측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The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led chamber that blocks external fine dust,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measurement of the collected fine dust.

또한, 외부공기 유입부, 유로관 및 내부공기 흡입부를 포함하고, 이를 이용하여, 챔버 내부 공기의 유동을 단 방향으로 제어하여, 최적의 미세먼지 포집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t includes an external air inlet, a flow pipe, and an internal air intake, and by using thi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in one direction, thereby providing optimal conditions for collecting fine dust.

또한, 자동전원스위치를 포함하여, 외부의 수동제어 없이 가전제품의 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미세먼지 포집 및 측정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fine dust collection and measurement by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home appliances without external manual control, including the automatic power switch.

본 발명의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은, 측정하고자 하는 가전제품을 챔버 내부에 위치시키고, 전원을 조작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상기 가전제품에서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using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imple method of placing a home appliance to be measured inside a chamber and operating a power supply, thereby removing fine dust emitted from the home appliance.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measure efficiently.

나아가, 상기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을 이용하여, 사용자와 밀착되어 사용되는 가전제품의 모터나 히터 등 내부 부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 및 측정하고, 허용치 이상의 미세먼지를 배출하는 가전제품을 배제하여 시장에 출시하게 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사용자에게 미세먼지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줄일 수 있게 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Furthermore, by using the fine dust collection method of home appliances, home appliances that collect and measure fine dust generated from internal parts such as motors and heaters of home appliances that are used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 and discharge fine dust above the allowable value By excluding it and releasing it to the market, there is an effect that can ultimately reduc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fine dust on users.

실시예Example

실시예 1.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Example 1. Collection of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A사의 헤어드라이기의 송풍구를 유로관의 일 말단에 밀착되도록 챔버 내부에 위치시키고, 100 싸이클(30 초 ON/ 10 분 OFF)로 작동 시켜, 상기 A사의 헤어드라이기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였다.The air outlet of Company A's hair dryer was placed inside the chamb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low path tube, and it was operated for 100 cycles (30 sec ON / 10 min OFF) to collect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A company's hair dryer.

실시예 2.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Example 2. Collection of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상기 실시예 1에서, 상기 A사의 헤어드라이기 대신 B사의 헤어드라이기를 이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미세먼지를 포집하였다. In Example 1, fine dust was colle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except that a hair dryer of Company B was used instead of Company A's hair dryer.

실험예 1. 미세먼지 포집필터 확인Experimental Example 1. Confirmation of fine dust collecting filter

대조군으로, 미세먼지가 포집되지 않은 미세먼지 포집필터 및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포집된 미세먼지를 포함하는 미세먼지 포집필터의 이미지를 도 3에 도시하였다. As a control, images of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in which fine dust is not collected and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including the fine dust collected in Examples 1 and 2 are shown in FIG. 3 .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미세먼지가 미세먼지 포집필터에 포집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3 , in the case of Examples 1 and 2, it was confirmed that fine dust was collected by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 분진 발생여부 평가(OM; organic matter)- Assessment of dust generation (OM; organic matter)

대조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미세먼지 포집필터의 분진 발생여부를 평가하고, 이미지를 도 4에 도시하였다. Whether or not dust was generated in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control group, Examples 1 and 2 was evaluated, and the image is shown in FIG. 4 .

도 4를 참조하면, 대조군과 비교하여 실시예1의 경우에는 색상변화가 거의 없으나, 실시예 2의 경우에는 검은색으로 색상변화가 뚜렷히 나타났으며, 그리드가 선명하게 드러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4 , there was little color change in Example 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ut in Example 2, a color change was clearly shown to black,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grid was clearly revealed.

또한, 직경 10 μm 이상 크기의 분진을 카운팅한 결과, 단위면적당 대조군의 평균 0.5 개, 실시예 1의 경우 평균 0.5 개, 실시예 2의 경우 평균 3.5 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as a result of counting dust having a diameter of 10 μm or more, it was confirmed that an average of 0.5 particles per unit area of the control group, 0.5 particles in Example 1, and an average of 3.5 particles in Example 2 were counted.

- 분진 입자 형상 확인- Check the shape of dust particles

대조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미세먼지 포집필터의 분진 입자의 형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SEM)으로 이미지를 촬영하고, 도 5에 도시하였다. An image was taken with an electron microscope (SEM) to confirm the shape of the dust particles of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control group, Examples 1 and 2, and is shown in FIG. 5 .

도 5를 참조하면, 1,000 배 및 3,000 배 관찰 결과, 필터의 형상만 관찰 되었으며, 약 2 μm 크기의 미세먼지 입자는 특별히 관찰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5 , as a result of observations of 1,000 times and 3,000 times, only the shape of the filter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fine dust particles with a size of about 2 μm were not particularly observed.

- 이물 성분 분석(SEM-EDS)- Foreign material analysis (SEM-EDS)

대조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미세먼지 포집필터에 포집된 미세먼지의 입자 형상 및 성분을 분석하여, 결과를 도 6에 도시하였다. The particle shape and component of the fine dust collected in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of the control group, Examples 1 and 2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FIG. 6 .

도 6의 a)를 참조하면, 대조군의 경우, 주성분은 탄소(C) 및 불소(F)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Referring to FIG. 6 a),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it was confirmed that the main components were carbon (C) and fluorine (F).

반면, 도 6의 b)를 참조하면, 실시예 1의 경우, 실오라기성, 무정형, 입자형 등의 미세먼지가 다양하게 관찰되었으며, 탄소(C), 산소(O), 질소(N) 등이 주요한 조성을 이루고 있으며, 나트륨(Na), 규소(Si), 염소(Cl), 칼륨(K) 등의 금속산화물이 미량 혼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b) of FIG. 6, in the case of Example 1, various fine dust such as fine dust, amorphous, particulate, etc. was observed, and carbon (C), oxygen (O), nitrogen (N), etc. It has a major composi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a trace amount of metal oxides such as sodium (Na), silicon (Si), chlorine (Cl), and potassium (K) were mixed.

또한, 도 6의 c)를 참조하면, 실시예 2 의 경우, 대체로 무정형 형태의 미세먼지가 관찰되었으며, 탄소(C), 질소(N), 규소(Si), 황(S)과 같은 유기성 원소가 주요한 조성을 이루고 있으며, 나트륨(Na), 알루미늄(Al), 칼슘(Ca), 철(Fe)등의 금속산화물과 염화물 등이 미량 혼재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referring to c) of FIG. 6 , in the case of Example 2, fine dust in an amorphous form was observed, and organic elements such as carbon (C), nitrogen (N), silicon (Si), and sulfur (S) is the main composition, and it was confirmed that trace amounts of metal oxides and chlorides such as sodium (Na), aluminum (Al), calcium (Ca), and iron (Fe) were mix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챔버
20: 외부공기 유입부
30: 조작부
40: 고정부
50: 유로관
60: 미세먼지 포집부
70: 내부공기 흡입부
80: 전선배출구
10: chamber
20: outside air inlet
30: control panel
40: fixed part
50: Euro tube
60: fine dust collecting unit
70: internal air intake
80: wire outlet

Claims (13)

내부에 가전제품이 위치하게 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 유입부;
상기 챔버의 정면에 글러브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챔버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포집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되, 일 말단이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로 이동시키는 유로관; 및
상기 챔버의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자동전원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자동전원 스위치는 상기 가전제품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연결되어, 상기 가전제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a chamber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located;
an external air inle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and supplying purified external air into the chamber;
a manip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glove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chamb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xing part located inside the chamber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ne dust collecting unit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and collect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a flow path pipe located inside the chamber, one e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and mov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and
Including; an automatic power switch located inside or outside the chamber;
The automatic power switch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home appliance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공기 유입부는 하나 이상의 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side air inlet includes one or more fan filter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글러브와 연결되는 부분에 고정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manipulation unit is a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fixing ring at a portion connected to the glov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는 미세먼지 포집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is a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fine dust collecting filt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포집 필터는 PTFE, PVDF, PCTE, PETE, PES, NY 및 Filter paper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fine dust collecting filter is a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y one or more of PTFE, PVDF, PCTE, PETE, PES, NY and Filter pap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외부에 위치하고,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와 연결되어,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내부공기 흡입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outside the chamber, and is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further comprising an internal air suction unit for sucking the air inside the cha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측부에 위치하는 전선배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선배출구는 상기 전원부와 연결되는 전선이 출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 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wire outlet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The wire outlet is a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wire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enters and exits.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전원 스위치는 스마트폰과 어플로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utomatic power switch is a device for collecting fine dust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inked with a smartphone and an application.
내부에 가전제품이 위치하게 되는 챔버; 상기 챔버의 상면에 위치하고, 상기 챔버 내부로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는 외부공기 유입부; 상기 챔버의 정면에 글러브와 연결되어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작부;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의 위치를 고정하는 고정부; 상기 챔버의 측부에 위치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미세먼지 포집부; 및 상기 챔버 내부에 위치하되, 일 말단이 상기 미세먼지 포집부와 연결되고, 상기 가전제품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를 이동시키는 유로관; 을 포함하고, 상기 챔버 내부는 밀폐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용 미세먼지 포집장치를 이용한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에 있어서,
챔버 내부에 가전제품을 위치시키고, 상기 챔버 내부를 밀폐시키는 단계;
상기 챔버 내부에 정화된 외부 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공기의 유동 흐름을 제어하는 단계;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챔버 내부의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가전제품이 작동되어 배출되는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자동으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
a chamber in which the home appliance is located; an external air inlet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hamber and supplying purified external air into the chamber; a manipulation unit connected to the glove and positioned on the front of the chambe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xing part located inside the chamber and fixing the position of the home appliance; a fine dust collecting unit located on the side of the chamber and collecting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and a flow pipe located inside the chamber, one end connected to the fine dust collecting unit, and configured to move fine dust generated from the home appliance; In the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of home appliances using a fine dust collecting device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chamber is sealed,
placing the home appliance in the chamber and sealing the interior of the chamber;
supplying purified outside air to the inside of the chamber and sucking the air inside the chamber to control the flow of air inside the chamber;
supplying power to operate home appliances in the chamber; and
Including; collecting fine dust discharged by the operation of the home appliance;
The step of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is a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for a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automatically.
삭제delet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전제품을 작동시키는 단계는 스마트폰의 어플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step of operating the home appliance is a method of collecting fine dust in a home applian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erformed using an application of a smart phone.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단계 이후,
포집된 미세먼지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전제품의 미세먼지 포집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After the step of collecting the fine dust,
Fine dust collecting method for home appliance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the step of analyzing the collected fine dust.
KR1020200162886A 2020-11-27 2020-11-27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KR10242393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86A KR102423935B1 (en) 2020-11-27 2020-11-27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2886A KR102423935B1 (en) 2020-11-27 2020-11-27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113A KR20220075113A (en) 2022-06-07
KR102423935B1 true KR102423935B1 (en) 2022-07-25

Family

ID=8198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2886A KR102423935B1 (en) 2020-11-27 2020-11-27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935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50Y1 (en) 2000-05-06 2000-09-15 유현우 Dust elimination equipment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KR100764519B1 (en) 2006-03-03 2007-10-08 주식회사 에코프로 A Large chamber type pollution and air quality tester
KR101967116B1 (en) 2018-12-17 2019-08-27 최기동 PC clean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007B1 (en) * 2014-07-21 2016-07-04 전두근 Dust removal apparatus
KR101643053B1 (en) * 2014-11-11 2016-07-26 최옥선 A Dust Remover for Electronics
KR102058820B1 (en) 2019-06-11 2019-12-26 문선영 Fine dust measur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7150Y1 (en) 2000-05-06 2000-09-15 유현우 Dust elimination equipment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KR100374415B1 (en) 2000-05-06 2003-03-04 유현우 Dust elimination equipment for electric home appliances
KR100764519B1 (en) 2006-03-03 2007-10-08 주식회사 에코프로 A Large chamber type pollution and air quality tester
KR101967116B1 (en) 2018-12-17 2019-08-27 최기동 PC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5113A (en)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7831458U (en) A kind of kitchen ventilator with air-cleaning function
KR100873410B1 (en) A collection test system for air cleaner
KR101539020B1 (en) A clean room vacuum cleaner equipped with a low quiet and low heat generation structure
JP2015217209A (en) Air cleaning system
DE602005013628D1 (en) Vacuum cleaner with thermal fuse for the engine
TW201633987A (en) Vacuum cleaner
WO2017126146A1 (en) Air cleaner
KR102198919B1 (en) Apparatus to measure gas and method to clean thereof
CN106716023B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KR102423935B1 (en) Fine dust collection device for home appliances and method for collecting fine dust from home appliances
KR20170105333A (en) Air cleaner
MY150951A (en) Air conditioner
JP2010516382A (en) Vacuum cleaner
KR20130003240A (en) Vacuum cleaner
JP20055167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inhalable air
KR20040047082A (en) Cooker Having Air Cleaning Apparatus
KR20190015673A (en) Oxygen Generator for Air Cleaning
CN205380112U (en) Industry dust catcher stops device with automatic opening
KR200421933Y1 (en) Vacuum cleaner with ventilating function
SE0303221D0 (en) Vacuum cleaner filtration system
JP2015054185A (en) Vacuum cleaner
KR100544875B1 (en) Air cleaner capable of confirming filter exchange time
JP5104966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KR102085135B1 (en) Method for Indicating Fine Dust Information Released from Air Outlet of Vaccum Cleaner and Vaccum Cleaner Using Same
JP2013017971A (en) Air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