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3914B1 - 비콘시스템 - Google Patents

비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3914B1
KR102423914B1 KR1020210116885A KR20210116885A KR102423914B1 KR 102423914 B1 KR102423914 B1 KR 102423914B1 KR 1020210116885 A KR1020210116885 A KR 1020210116885A KR 20210116885 A KR20210116885 A KR 20210116885A KR 102423914 B1 KR102423914 B1 KR 102423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beacon
sound source
information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16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로세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로세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로세움
Priority to KR10202101168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3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3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3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8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enabling tracking or indicating presenc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7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with central registr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08Associated control or indicating means
    • G10H1/0025Automatic or semi-automatic music composition, e.g. producing random music, applying rules from music theory or modifying a musical pie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10/00Aspects or methods of musical processing having intrinsic musical character, i.e. involving musical theory or musical parameters or relying on musical knowledge, as applied in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10/101Music Composition or musical creation; Tools or processes therefor
    • G10H2210/111Automatic composing, i.e. using predefined musical r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시스템으로서, 피아노 및 드럼을 포함한 악기부; 및 상기 악기부와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시스템{Beacon System}
본 발명은 비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원 등에서 출결을 학부모에게 제공하는 방법으로 출석과 동시에 출결 인증을 학부모의 단말기로 제공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출석만하고 수업을 듣지 않는 원생의 경우를 제대로 케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학원에서 제공하는 카드칩 등 출결 확인을 위한 장치에 내장되어 있는 GPS를 통해 원생들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고 있었으나, 이는 원생이 카드칩 등 출결 확인을 위한 장치를 조작하거나 타원생에게 맡기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어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원생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체크하고 학부모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 10-1848675호
본 발명의 목적은 비콘을 통해 원생들이 특정 장소에 출입하면 비콘이 학부모의 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기에서 특정 음악이 나오도록 할 수 있는 비콘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시스템은, 피아노 및 드럼을 포함한 악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시스템은, 상기 악기부와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참조 음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악기의 조합을 생성하여 음원을 제작하는 음원 제조 서버; 및 다수의 비콘을 통해 원생의 출입 여부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출입 관리 서버는,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상기 비콘과 통신하여 상기 비콘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정보를 제공한 비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원생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생의 단말기 정보와 함께 학부모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비콘에서 제공받은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콘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학부모단말기로 상기 원생의 출입여부와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콘은, 건물 출입문, 건물 내부 천장, 물품보관함 또는 이동 가능한 음향제공부재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제공부재는, 하단 지지바에 마련되어 있는 물품보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품보관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의 거치패널과, 상기 거치패널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제1 체결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첩패널과, 상기 거치패널과 상기 중첩패널의 끝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모서리절곡부를 포함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가 상기 하단 지지바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치패널은, 서로 이동 가능하게 중첩되도록 설치되며 이동에 따라 거치면적의 넓이를 조절하여 거치물품이 올려지는 공간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거치패널의 바닥면에 적어도 둘 이상 소정거리 이웃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첩패널은, 상기 거치패널 상부에 중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패널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첩패널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장공의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어 있는 천공홈으로 상기 제1 체결부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중첩패널이 이동 시에 상기 제1 체결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천공홈의 안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서리절곡부는, 상기 거치패널이나 상기 중첩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 상기 거치패널이나 상기 중첩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또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서리절곡부는, 상기 중첩패널이 상기 거치패널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제2 체결부가 관통 삽입되는 체결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지지바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가압력을 극대화하는 'V'자 형상의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널; 및 회전하여 상기 고정패널을 상기 거치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거치부가 상기 하단 지지바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체결부는, 상단 머리부분은 상기 거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중앙 몸체부분은 상기 거치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고, 하단 말단부분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된 회전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공은, 어느 하나의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체결공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제2 체결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고정패널이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은, 피아노 및 드럼을 포함한 악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은, 상기 악기부와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참조 음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악기의 조합을 생성하여 음원을 제작하는 음원 제조 서버; 및 다수의 비콘을 통해 원생의 출입 여부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원 제조 서버는, 상기 참조 음원을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구조추출부와, 상기 구조추출부에서 출력된 상기 시간별 구조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참조 음원의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특성분석부와, 상기 시간별 구조에 대한 정보와 상기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특성이 유사한 구조를 묶어 유사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구조태깅부를 포함하는 제1 음원생성부; 상기 제1 음원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유사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상기 참조 음원의 장르와 멜로디를 추출하고, 추출한 상기 참조 음원의 장르와 멜로디는 유사하되 상기 참조 음원과 다른 구조를 갖는 신규 음원을 생성하는 제2 음원생성부; 상기 제2 음원생성부에서 생성한 상기 신규 음원과 화음 또는 상기 악기부에서 생성한 음을 상기 신규 음원의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단위 별로 조합하여 다수의 조합 음원을 생성하는 제3 음원생성부; 상기 신규 음원 또는 상기 조합 음원을 상기 참조 음원과 비교하여 구조의 유사율을 분석하는 음원분석부; 및 상기 음원분석부에서 분석한 구조의 유사율이 기 설정된 유사율 미만으로 분석되는 경우, 상기 신규 음원 또는 상기 조합 음원을 추출하는 음원추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콘은, 건물 출입문, 건물 내부 천장, 물품보관함 또는 이동 가능한 음향제공부재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음향제공부재는, 하단 지지바에 마련되어 있는 물품보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물품보관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의 거치패널과, 상기 거치패널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제1 체결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첩패널과, 상기 거치패널과 상기 중첩패널의 끝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모서리절곡부를 포함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가 상기 하단 지지바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거치패널은, 서로 이동 가능하게 중첩되도록 설치되며 이동에 따라 거치면적의 넓이를 조절하여 거치물품이 올려지는 공간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거치패널의 바닥면에 적어도 둘 이상 소정거리 이웃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첩패널은, 상기 거치패널 상부에 중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패널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중첩패널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장공의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어 있는 천공홈으로 상기 제1 체결부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중첩패널이 이동 시에 상기 제1 체결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천공홈의 안내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서리절곡부는, 상기 거치패널이나 상기 중첩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 상기 거치패널이나 상기 중첩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또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서리절곡부는, 상기 중첩패널이 상기 거치패널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제2 체결부가 관통 삽입되는 체결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지지바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가압력을 극대화하는 'V'자 형상의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널; 및 회전하여 상기 고정패널을 상기 거치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거치부가 상기 하단 지지바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 체결부는, 상단 머리부분은 상기 거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중앙 몸체부분은 상기 거치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고, 하단 말단부분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된 회전홈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체결공은, 어느 하나의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체결공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제2 체결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고정패널이 회전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비콘시스템은 비콘을 통해 원생들이 특정 장소에 출입하면 비콘이 학부모의 단말기로 신호를 전달하여 단말기에서 특정 음악이 나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비콘을 다수 개 설치하여 원생들의 출입 여부뿐만 아니라 원생들의 대략적인 위치까지 확인할 수 있어 출석만 하였는지 수업을 듣고 있는지의 여부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 및 비콘 시스템과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 및 비콘 시스템과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시스템의 물품보관부재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시스템(10)은 음원 제조 시스템(500) 및 비콘시스템(900)과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500)은 악기부(510, 550, 590)와 통신하고 참조 음원을 이용하여 음원을 제작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시스템(900)은 비콘(700)과 비콘(700)을 통해 원생의 출입 여부를 관리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와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비콘(700)은 건물 출입문(950), 건물 내부 천장, 물품보관함(970, 990) 또는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악기부에서 반주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음향제공부재(910)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 및 비콘 시스템과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참조 음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악기의 조합을 생성하여 음원을 제작하는 음원 제조 서버(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음원 제조 서버(110)는 제1 음원생성부(111), 제2 음원생성부(113), 제3 음원생성부(115), 음원분석부(117) 및 음원추출부(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음원생성부(111)는 참조 음원을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시간별 구조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는 구조추출부(1111)와, 구조추출부에서 출력된 시간별 구조에 대한 정보를 분석하여 참조 음원의 특성 정보를 생성하는 특성분석부(1115)와, 시간별 구조에 대한 정보와 특성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특성이 유사한 구조를 묶어 유사구조 정보를 생성하는 구조태깅부(1119)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음원생성부(113)는 제1 음원생성부(111)에서 생성한 유사구조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참조 음원의 장르와 멜로디를 추출하고, 추출한 참조 음원의 장르와 멜로디는 유사하되 참조 음원과 다른 구조를 갖는 신규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제3 음원생성부(115)는 제2 음원생성부(113)에서 생성한 신규 음원과 화음 또는 악기부(510, 550, 590)에서 생성한 음을 신규 음원의 기 설정된 일정한 시간 단위 별로 조합하여 다수의 조합 음원을 생성할 수 있다.
음원분석부(117)는 신규 음원 또는 조합 음원을 참조 음원과 비교하여 구조의 유사율을 분석할 수 있다.
음원추출부(119)는 음원분석부(117)에서 분석한 구조의 유사율이 기 설정된 유사율 미만으로 분석되는 경우, 신규 음원 또는 조합 음원을 추출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서버(100)는 비콘(700)을 통행 원생의 출입 여부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서버(190)를 포함할 수 있다.
출입 관리 서버(190)는 통신부(191), 위치확인부(193), 정보저장부(195) 및 신호생성부(197)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91)는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비콘(700)과 통신하여 비콘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위치확인부(193)는 통신부(191)로 정보를 제공한 비콘(70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정보저장부(195)는 단말기의 정보를 원생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원생의 단말기 정보와 함께 학부모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신호생성부(197)는 비콘(700)에서 제공받은 단말기의 정보와 정보저장부(195)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하고, 비콘(700)으로부터 제공받은 단말기의 정보와 정보저장부(195)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학부모단말기로 원생의 출입여부와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는 원생의 출입 여부와 위치 정보에 따라 각각 다른 알림음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생이 출입한 경우와 원생이 제1 특정 장소(강의실 등)에 위치한 경우, 원생이 제2 특정 장소(로비 등 강의실을 제외한 공간)에 위치한 경우에 따라 각각 다른 알림음을 발생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콘 시스템의 물품보관부재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음향제공부재(910)의 하단 지지바(9101)에 마련되어 있는 물품보관부재는 크게 거치부(911) 및 고정부(91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거치부(911)는 서로 이동 가능하게 중첩되도록 설치되되 그 이동에 따라 거치면적(F)의 넓이를 조절하여 거치물품이 올려질 수 있는 공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거치패널(9111), 제1 체결부(9112), 중첩패널(9113) 및 모서리절곡부(9114)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거치패널(9111)은 전체적으로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거치패널(9111)은 실외(야외)는 물론, 실내에서 사용시에 그 사용처에 따라 금속이나 플라스틱의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학원 등의 내부 공간에서 사용 시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견뎌 질 수 있는 금속 재질이 사용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할 수 있다.
물론, 거치패널(9111) 상부에 중첩되게 설치되어 거치패널(9111) 상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후술하는 중첩패널(9113) 역시, 동종의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이종의 재질로 사용될 수도 있음에 유의할 수 있다.
제1 체결부(9112)는 거치패널(9111)의 바닥면에 적어도 둘 이상 소정거리 이웃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거치패널(9111)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천공홈(91131)의 두께에 따라 사용자는 제1 체결부(9112)를 풀거나 조일 수 있도록 하여 제1 체결부(9112)의 돌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중첩패널(9113)은 전체적으로 판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술한 거치패널(9111) 상면에 중첩되게 설치되어 거치패널(9111) 상면을 따라 중첩패널(9113)이 전/후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중첩패널(9113)에는 상술한 제1 체결부(9112)와 대향되는 위치에 장공의 형상으로 천공홈(91131)이 천공 형성되어 제1 체결부(9112)가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첩패널(9113)이 이동시에 제1 체결부(9112)를 축으로 하여 천공홈(91131)의 안내에 따라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서리절곡부(9114)는 거치패널(9111)이나 중첩패널(91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수직 또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패널(9111)과 중첩패널(9113) 끝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실시예로 설명할 수 있다.
아울러 거치패널(9111)과 중첩패널(9113) 양측에 형성된 모서리절곡부(9114)는 서로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하여 중첩패널(9113)이 이동시에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거치패널(9111)과 중첩패널(9113) 후방 끝단에 형성된 모서리절곡부(9114)는 중첩패널(9113)이 동시에 거치패널(9111)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스토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거치패널(9111)과 중첩패널(9113)에 각각 형성된 모서리절곡부(9114)는 그 끝단에 고무 등과 같은 연성재질의 모서리보호부(91141)가 더 결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거나 중첩패널(9113)이 거치패널(9111)을 따라 이동시에 그 충격에 의해 파손 또는 소음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거치부(911)는 거치패널(9111)에 구비된 중첩패널(9113)의 이동에 따라 거치면적(F)을 넓이거나 좁혀 사용장소에 따라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중첩패널(9113)은 거치패널(9111) 상부에 중첩되게 구비되어 제1 체결부(9112)를 축으로 하여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설명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며 필요에 따라 거치패널(9111) 내부에 형성된 거치레일에 중첩패널(9113)이 삽입되되 수납홈의 안내에 따라 중첩패널(9113)이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납홈을 통해 중첩패널(9113)이 이동시에는 제1 체결부(9112)는 생략도 가능하다.
나아가 거치부(911)는 하나의 하단 지지바(9101)에 길이방향으로 다수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912)는 상술한 거치부(911)가 하단 지지바(9101) 등에 적어도 하나 이상 고정 설치되되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하단 지지바(9101) 길이방향으로 그 높이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제2 체결부(9121)와 고정패널(9122) 및 회전부(912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체결부(9121)는 거치부(911)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9117)에 결합되되, 머리부분은 거치부(911)의 내측 즉 수납품이 올려지는 측으로 배치되고 몸체부분은 거치부(911)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후술할 고정패널(9122)에 형성된 체결공(91223)에 나사 결합되고, 말단부는 회전부(9123)에 형성된 회전홈(91231)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회전부(9123)을 조이거나 해제하여 고정패널(9122)을 거치부(911)측으로 가압함으로써 고정패널(9122)과 거치부(911)가 하단 지지바(9101)를 사이에 두고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고정패널(9122)은 전체적으로 소정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양측에는 각각 제2 체결부(9121)가 관통 삽입되는 체결공(91223)이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고정패널(9122)의 길이 중앙부에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하단 지지바(9101)와의 접촉면적을 늘려 가압력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V'자 형상의 가압홈(91221)이 형성되어 그 가압홈(91221) 내면에 하단 지지바(9101) 외면이 가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ㄴ
이때, 한 쌍의 체결공(91223) 중 어느 하나는 그 하부에 개방부(91225)가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체결공(91223)에 관통 삽입된 제2 체결부(9121)를 축으로 하여 고정패널(912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한 쌍의 제2 체결부(9121)를 풀지 않아도 하단 지지바(9101)에서 거치부(911)를 분리하거나 하단 지지바(9101)에 설치된 거치부(911)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물품보관부재는 종래와는 차별적으로 고정부(912)를 풀거나 조이는 동작을 통해 하단 지지바(9101)에 거치부(911)가 용이하게 탈착되어 설치가 간편하며, 필요에 따라 거치패널(9111) 상부에 설치된 중첩패널(9113)을 이동시켜 거치물품이 올려지는 거치면적(F)을 넓이거나 줄이도록 함으로써, 많은 양의 거치물품을 수납하는 선반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하나의 하단 지지바(9101)에 다수의 거치부(911) 설치 시에 서로 다른 바닥면적을 갖도록 설치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거치면적(F)을 달리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가 가능하여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거치물품의 거치가 용이한 효과를 갖는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9121)의 상단완충부(800)는 제1 지지부(810)와, 승강부(820)와, 제2 지지부(8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810)는 모서리절곡부(9114)와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모서리절곡부(9114)에 밀착 고정되는 탄성을 갖는 제1 밀착패드(811)와, 제1 밀착패드(811) 상에 설치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내부홈(8121)이 형성된 제1 프레임(812)과, 제1 프레임(812)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1 밀착패드(811) 상에 설치되는 직립지지부(813)와, 제1 프레임(812) 내부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자성부재(814) 및 제1 자성부재(814)을 지지하는 자성부재 지지부(8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밀착패드(811)는 하면이 모서리절곡부(9114)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 지지부(830)와 승강부(820)를 통해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제1 밀착패드(811)는 직립지지부(813)보다 넓은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프레임(812)은 내부에 제1 내부홈(812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단에는 제1 프레임(812)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자성부재(814)가 상방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돌출턱(8125)이 형성될 수 있다.
직립지지부(813)는 제1 프레임(812) 하부에 형성되어 제1 프레임(812)을 모서리절곡부(9114)에 수직으로 밀착 고정되어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812)의 외측으로 확장 형성될 수 있다.
제1 자성부재(814)는 제1 프레임(812)의 하부로부터 상부로 삽입되며, 후술하는 자성부재 지지부(815)에 의해 제1 프레임(812)의 상부 일정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성부재 지지부(815)는 제1 자성부재(814)를 제1 프레임(812)의 상부 일정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제1 프레임(812)의 제1 내부홈(8121)에 설치되어 제1 자성부재(814)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탄성지지부(8151)를 적용할 수 있다.
탄성지지부(8151)는 제1 프레임(812)의 제1 내부홈(8121)에 삽입되어 제1 자성부재(814)를 일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후술하는 제2 지지부(830)에 비교적 큰 하중이나 외력이 작용하여 승강부(820)에 설치된 제2 자성부재(822)가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동하는 경우, 이와 대응되는 제1 자성부재(814) 또한 타측 방향으로 소폭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830)에 작용하는 하중이나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자성부재(814)를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킨다.
승강부(820)는 제1 지지부(81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 지지부(810)에 설치된 제1 자성부재(814)와의 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제1 지지부(810) 상에 자기 부상하는 것으로서, 제1 프레임(812)이 내측으로 통과 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2 내부홈(8211)이 형성된 제2 프레임(821)과, 제2 프레임(821) 내부에 배치되는 제2 자성부재(822)와, 제2 내부홈(8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돌출되어 제2 자성부재(822) 안착되는 자성부재 안착부(823)와, 제2 자성부재(822)가 제2 프레임(82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프레임(8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자성부재(822)를 제2 프레임(821) 내부에 구속시키는 자성부재 구속부(8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821)은 내부에 제2 내부홈(8211)이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후술하는 제2 지지부(830)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프레임(821)의 내부에는 제2 자성부재(822)을 지지하기 위해 제2 내부홈(8211)의 내주면으로부터 제2 내부홈(8211)의 중심을 향해 소정길이 돌출된 자성부재 안착부(823)가 구비되고, 제 2하우징(210)의 상단과 자성부재 안착부(823) 사이에 대응되는 제2 내부홈(8211)의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자성부재 구속부(824)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자성부재(822)는 제1 지지부(810)에 설치된 제1 자성부재(814)에 대해 반발력 즉, 척력이 발생하도록 제2 내부홈(8211) 내부에 삽입되고, 자성부재 안착부(823) 상에 안착될 수 있다.
자성부재 구속부(824)는 자성부재 안착부(823) 상에 안착된 제2 자성부재(822)가 제1 자성부재(814)에 대한 반발력에 의해 제2 프레임(821)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2 프레임(82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2 자성부재(822)를 제2 프레임(821) 내부의 일정 높이에 구속시킨다.
자성부재 구속부(824)는 제2 내부홈(8211)에 삽입될 수 있게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에는 제2 내부홈(8211)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된 구속부 본체(8241)와, 구속부 본체(8241)의 상부로부터 구속부 본체(8241)의 반경 방향으로 소정 길이 확장되어 구속부 본체(8241)를 제2 내부홈(8211)과 용이하게 나사 결합시킬 수 있도록 된 구속부 상부(824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구속부 상부(8242)는 후술하는 제3 프레임(83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지지부(830)는 승강부(820)를 따라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 프레임(821)이 내측으로 통과할 수 있게 길이방향을 따라 제3중공(311)이 형성되고 제2 프레임(821)과 나사 결합 가능하게 형성된 제3 프레임(831)과, 제3 프레임(83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제2 지지부(830)의 가장자리 일부를 지지하는 외측지지부(832)와, 제3 프레임(831)의 상부에 배치되고 탄성을 갖는 제2 밀착패드(8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3 프레임(831)은 내부에 제3중공(311)이 형성되되 상부는 폐쇄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제2 프레임(821)의 외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에 나사 결합될 수 있게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외측지지부(832)는 모서리절곡부(9114)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제3 프레임(831)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확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체결부(9121)의 상단완충부(800)는 제1 자성부재(814)와 제2 자성부재(822)가 상호 간에 작용하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거치부(911)의 모서리절곡부(9114)을 자기부상식으로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부(830)에 구비된 제2 밀착패드(833)와, 모서리절곡부(9114)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810)에 구비된 제1 밀착패드(811)에 의해 소음 및 진동이 전달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소음을 획기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제2 지지부(830)를 제1 지지부(810)에 대해 회전시켜 상단완충부(800)의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으며, 비교적 큰 하중이나 외력이 상단완충부(800)에 작용할 때 제1 자성부재(814)를 하방으로 소정 폭 밀려나도록 지지하는 자성부재 지지부(815)를 통한 완충 효과 또한 기대할 수 있어 이를 통한 소음 및 진동 전달을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제2 체결부(9121)의 상단완충부(800)는 승강부(820)에서 제1 지지부(810)로 전달되는 진동을 흡수하거나, 승강부(820)가 제1 지지부(810)를 따라 진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진동방지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컨텐츠 제공 시스템
100: 컨텐츠 제공 서버

Claims (3)

  1. 피아노 및 드럼을 포함한 악기부;를 포함하는, 비콘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악기부와 통신하는 컨텐츠 제공 서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 제공 서버는,
    참조 음원을 이용하여 다양한 악기의 조합을 생성하여 음원을 제작하는 음원 제조 서버; 및
    다수의 비콘을 통해 원생의 출입 여부를 관리하는 출입 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 관리 서버는,
    소정의 장소에 위치한 상기 비콘과 통신하여 상기 비콘으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존재하는 단말기의 정보를 제공받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로 정보를 제공한 비콘의 위치를 확인하는 위치확인부;
    상기 단말기의 정보를 원생별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상기 원생의 단말기 정보와 함께 학부모단말기의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저장부; 및
    상기 비콘에서 제공받은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정보를 비교하고, 상기 비콘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단말기의 정보와 상기 정보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단말기의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 상기 학부모단말기로 상기 원생의 출입여부와 현재 위치 정보를 송신하는 신호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은,
    건물 출입문, 건물 내부 천장, 물품보관함 또는 이동 가능하며 상기 악기부에서 반주하는 음악을 제공하는 음향제공부재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음향제공부재는,
    하단 지지바에 마련되어 있는 물품보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물품보관부재는,
    소정의 면적을 갖는 판 형상의 거치패널과, 상기 거치패널과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제1 체결부와,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첩패널과, 상기 거치패널과 상기 중첩패널의 끝단에 각각 돌출 형성된 모서리절곡부를 포함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가 상기 하단 지지바에 고정 설치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패널은,
    서로 이동 가능하게 중첩되도록 설치되며 이동에 따라 거치면적의 넓이를 조절하여 거치물품이 올려지는 공간을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체결부는,
    상기 거치패널의 바닥면에 적어도 둘 이상 소정거리 이웃하게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중첩패널은,
    상기 거치패널 상부에 중첩되게 설치되어 상기 거치패널의 상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중첩패널은,
    상기 제1 체결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장공의 형상으로 천공 형성되어 있는 천공홈으로 상기 제1 체결부가 관통 삽입되어 상기 중첩패널이 이동 시에 상기 제1 체결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천공홈의 안내에 따라 이동하고,
    상기 모서리절곡부는,
    상기 거치패널이나 상기 중첩패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끝단에 상기 거치패널이나 상기 중첩패널의 길이 방향으로 수직 또는 직각으로 절곡되게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모서리절곡부는,
    상기 중첩패널이 상기 거치패널의 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거치부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에 결합되는 제2 체결부;
    소정의 길이를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에 상기 제2 체결부가 관통 삽입되는 체결공이 천공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지지바와의 접촉 면적을 늘려 가압력을 극대화하는 'V'자 형상의 가압홈이 형성되어 있는 고정패널; 및
    회전하여 상기 고정패널을 상기 거치부 측으로 가압하여 상기 고정패널과 상기 거치부가 상기 하단 지지바를 중심으로 하여 고정되거나 분리 가능하도록 하는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단 머리부분은 상기 거치부의 내측으로 배치되고, 중앙 몸체부분은 상기 거치부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상기 고정패널에 형성된 상기 체결공에 나사 결합되고, 하단 말단부분은 상기 회전부에 형성된 회전홈에 나사 결합되고,
    상기 체결공은,
    어느 하나의 하부에 개방부가 형성되어 다른 하나의 체결공에 관통 삽입된 상기 제2 체결부를 축으로 하여 상기 고정패널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비콘시스템.
  2. 삭제
  3. 삭제
KR1020210116885A 2021-09-02 2021-09-02 비콘시스템 KR102423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85A KR102423914B1 (ko) 2021-09-02 2021-09-02 비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16885A KR102423914B1 (ko) 2021-09-02 2021-09-02 비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3914B1 true KR102423914B1 (ko) 2022-07-21

Family

ID=82610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16885A KR102423914B1 (ko) 2021-09-02 2021-09-02 비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391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41B1 (ko) * 2014-12-16 2015-07-09 강동길 블루투스비콘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KR101848675B1 (ko) 2016-08-19 2018-04-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3629A (ko) * 2017-02-14 2018-08-22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이용한 음악 교육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041B1 (ko) * 2014-12-16 2015-07-09 강동길 블루투스비콘을 이용한 위치추적 시스템
KR101848675B1 (ko) 2016-08-19 2018-04-1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콘을 이용한 스마트 출석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20180093629A (ko) * 2017-02-14 2018-08-22 이엠디에스코리아 주식회사 디지털 음원 데이터를 이용한 음악 교육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35728A (en) Fastening device for portable equipment and method of using same
KR102423914B1 (ko) 비콘시스템
US20140165816A1 (en) Guitar neck and body attachment mechanism
US6399865B1 (en) Musical instrument stand
ATE438979T1 (de) Erzeugung von identifizierungsinformationen
US8915356B1 (en) Key management system and organizer
US3126450A (en) Portable electronic public address apparatus
KR102423907B1 (ko) Ai를 이용한 음원 제조 시스템
US20080170361A1 (en) Receiving Device Structure For Receiving Computer Peripherals And Computer Main Body
US20070052334A1 (en) Sliding track assembly
US6930247B2 (en) Cage mounting assembly
KR200483125Y1 (ko) 소형 전기기구 삽입 인출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전자교탁
PL204441B1 (pl) Element tłumiący
US5531516A (en) Cabinet for compact disk containers
ID23382A (id) Sistim dan metode untuk mengidentifikasi dan peralatan tambahan untuk pembuktian, peralatan bantu dan atau peralatan pengoperasian untuk perlengkapan
HK1055829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producing information.
US10773740B2 (en) Oncoming train alarm assembly
KR200344177Y1 (ko) 멀티미디어 기기가 구비된 강의대
DE60044585D1 (de) Trägerplattenanordnung
US5911169A (en) Recording sensor mounting rail for keyboard operated musical instrument
US5779060A (en) Structure of rack
CN208768291U (zh) 音响、音箱及其扩声结构
CN217243363U (zh) 一种课座椅
KR20040095376A (ko) 알에프아이디를 이용한 무인 전시물 안내 시스템 및안내방법
Kessler Schubert's late three-key expositions: influence, design, and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