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2484B1 -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2484B1
KR102422484B1 KR1020160011272A KR20160011272A KR102422484B1 KR 102422484 B1 KR102422484 B1 KR 102422484B1 KR 1020160011272 A KR1020160011272 A KR 1020160011272A KR 20160011272 A KR20160011272 A KR 20160011272A KR 102422484 B1 KR102422484 B1 KR 102422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ette
current block
entry
map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3564A (ko
Inventor
이배근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60093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3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19Adaptive subdivision aspects, e.g. subdivision of a picture into rectangular or non-rectangular coding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spatial prediction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1/002D [Two Dimensional] image generation
    • G06T11/001Texturing; Colouring; Generation of texture or colou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05Selection of the reference unit for prediction within a chosen coding or prediction mode, e.g. adaptive choice of position and number of pixels used for pred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Selection from among a plurality of transforms or standards, e.g. selection between discrete cosine transform [DCT] and sub-band transform or selection between H.263 and H.264
    • H04N19/122Selection of transform size, e.g. 8x8 or 2x4x8 DCT; Selection of sub-band transforms of varying structure or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9Scanning of coding units, e.g. zig-zag scan of transform coefficients or flexible macroblock ordering [FM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4Decod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video decoders which are asymmetric with respect to the enco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04N19/463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by compressing encoding parameters before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3Run-length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7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 G06F3/1475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using display panels with conversion of CRT control signals to flat panel control signals, e.g. adapting the palette mem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Discrete Mathema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은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고,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고,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HD(High Definition) 영상 및 UHD(Ultra High Definition) 영상과 같은 고해상도, 고품질의 영상에 대한 수요가 다양한 응용 분야에서 증가하고 있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이 될수록 기존의 영상 데이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데이터량이 증가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무선 광대역 회선과 같은 매체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기존의 저장 매체를 이용해 저장하는 경우, 전송 비용과 저장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영상 데이터가 고해상도, 고품질화 됨에 따라 발생하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효율의 영상 압축 기술들이 활용될 수 있다.
영상 압축 기술로 현재 픽쳐의 이전 또는 이후 픽쳐로부터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간 예측 기술,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픽쳐에 포함된 화소값을 예측하는 화면 내 예측 기술, 출현 빈도가 높은 값에 짧은 부호를 할당하고 출현 빈도가 낮은 값에 긴 부호를 할당하는 엔트로피 부호화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이 존재하고 이러한 영상 압축 기술을 이용해 영상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압축하여 전송 또는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고해상도 영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과 함께, 새로운 영상 서비스로서 입체 영상 컨텐츠에 대한 수요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고해상도 및 초고해상도의 입체 영상 콘텐츠를 효과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비디오 압축 기술에 대하여 논의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팔레트 모드에 기반한 예측 또는 복원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복호화함에 있어서,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은,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플래그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를 특정하기 위해 부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상기 재사용 플래그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를 특정하기 위해 부호화된 정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상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은,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결정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플래그는 부호화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유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에 1을 더한 값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팔레트 예측 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종료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부호화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상기 재사용 플래그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에 1을 더한 값으로 부호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상기 부호화된 팔레트 예측 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것을 종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팔레트 모드에 기반하여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예측 또는 복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팔레트 맵을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유도함으로써, 팔레트 엔트리 부호화/복호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팔레트 인덱스를 인덱스 모드 또는 카피 모드에 기반하여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팔레트 인덱스를 런 부호화 기반의 바이너리 벡터를 이용하여 부호화함으로써,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호화/복호화 대상 블록의 샘플 값을 이스케이프 모드에 기반하여 복원함으로써, 팔레트 엔트리 범위를 벗어나는 샘플을 효과적으로 부호화/복호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팔레트 모드(palette mode) 기반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재사용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를 제한적으로 시그날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런 부호화 기반의 바이너리 벡터의 형태로 재사용 플래그를 시그날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신택스 palette_predictor_run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블록에 대한 팔레트 맵(palette map)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팔레트 인덱스 정보와 팔레트 인덱스 런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카피 모드(COPY MODE)에 기반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팔레트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에 기반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고려하여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하,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 부호화 장치(100)는 픽쳐 분할부(110), 예측부(120, 125), 변환부(130), 양자화부(135), 재정렬부(160), 엔트로피 부호화부(165), 역양자화부(140), 역변환부(145), 필터부(150) 및 메모리(1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부들은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서로 다른 특징적인 기능들을 나타내기 위해 독립적으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부들이 분리된 하드웨어나 하나의 소프트웨어 구성단위로 이루어짐을 의미하지 않는다. 즉, 각 구성부는 설명의 편의상 각각의 구성부로 나열하여 포함한 것으로 각 구성부 중 적어도 두 개의 구성부가 합쳐져 하나의 구성부로 이루어지거나, 하나의 구성부가 복수개의 구성부로 나뉘어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이러한 각 구성부의 통합된 실시예 및 분리된 실시예도 본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일부의 구성 요소는 본 발명에서 본질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필수적인 구성 요소는 아니고 단지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선택적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구성 요소를 제외한 본 발명의 본질을 구현하는데 필수적인 구성부만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고, 단지 성능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적 구성 요소를 제외한 필수 구성 요소만을 포함한 구조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픽쳐 분할부(110)는 입력된 픽쳐를 적어도 하나의 처리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이때, 처리 단위는 예측 단위(Prediction Unit: PU)일 수도 있고, 변환 단위(Transform Unit: TU)일 수도 있으며,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일 수도 있다. 픽쳐 분할부(110)에서는 하나의 픽쳐에 대해 복수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의 조합으로 분할하고 소정의 기준(예를 들어, 비용 함수)으로 하나의 부호화 단위, 예측 단위 및 변환 단위 조합을 선택하여 픽쳐를 부호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픽쳐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픽쳐에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서는 쿼드 트리 구조(Quad Tree Structure)와 같은 재귀적인 트리 구조를 사용할 수 있는데 하나의 영상 또는 최대 크기 부호화 단위(largest coding unit)를 루트로 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부호화 유닛은 분할된 부호화 단위의 개수만큼의 자식 노드를 가지고 분할될 수 있다. 일정한 제한에 따라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부호화 단위는 리프 노드가 된다. 즉, 하나의 코딩 유닛에 대하여 정방형 분할만이 가능하다고 가정하는 경우, 하나의 부호화 단위는 최대 4개의 다른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를 수행하는 단위의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고,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위의 의미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측 단위는 하나의 부호화 단위 내에서 동일한 크기의 적어도 하나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지고 분할된 것일 수도 있고, 하나의 부호화 단위 내에서 분할된 예측 단위 중 어느 하나의 예측 단위가 다른 하나의 예측 단위와 상이한 형태 및/또는 크기를 가지도록 분할된 것일 수도 있다.
부호화 단위를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 단위를 생성시 최소 부호화 단위가 아닌 경우, 복수의 예측 단위 NxN 으로 분할하지 않고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예측부(120, 125)는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 인터 예측부(120)와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에 대해 인터 예측을 사용할 것인지 또는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것인지를 결정하고, 각 예측 방법에 따른 구체적인 정보(예컨대, 인트라 예측 모드, 모션 벡터, 참조 픽쳐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예측이 수행되는 처리 단위와 예측 방법 및 구체적인 내용이 정해지는 처리 단위는 다를 수 있다. 예컨대, 예측의 방법과 예측 모드 등은 예측 단위로 결정되고, 예측의 수행은 변환 단위로 수행될 수도 있다. 생성된 예측 블록과 원본 블록 사이의 잔차값(잔차 블록)은 변환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예측을 위해 사용한 예측 모드 정보, 모션 벡터 정보 등은 잔차값과 함께 엔트로피 부호화부(165)에서 부호화되어 복호화기에 전달될 수 있다. 특정한 부호화 모드를 사용할 경우, 예측부(120, 125)를 통해 예측 블록을 생성하지 않고, 원본 블록을 그대로 부호화하여 복호화부에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터 예측부(120)는 현재 픽쳐의 이전 픽쳐 또는 이후 픽쳐 중 적어도 하나의 픽쳐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현재 픽쳐 내의 부호화가 완료된 일부 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부(120)는 참조 픽쳐 보간부, 모션 예측부, 움직임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참조 픽쳐 보간부에서는 메모리(155)로부터 참조 픽쳐 정보를 제공받고 참조 픽쳐에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휘도 화소의 경우, 1/4 화소 단위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터 계수를 달리하는 DCT 기반의 8탭 보간 필터(DCT-based Interpolation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색차 신호의 경우 1/8 화소 단위로 정수 화소 이하의 화소 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필터 계수를 달리하는 DCT 기반의 4탭 보간 필터(DCT-based Interpolation Filter)가 사용될 수 있다.
모션 예측부는 참조 픽쳐 보간부에 의해 보간된 참조 픽쳐를 기초로 모션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모션 벡터를 산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FBMA(Full search-based Block Matching Algorithm), TSS(Three Step Search), NTS(New Three-Step Search Algorithm)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모션 벡터는 보간된 화소를 기초로 1/2 또는 1/4 화소 단위의 모션 벡터값을 가질 수 있다. 모션 예측부에서는 모션 예측 방법을 다르게 하여 현재 예측 단위를 예측할 수 있다. 모션 예측 방법으로 스킵(Skip) 방법, 머지(Merge) 방법, AMVP(Advanced Motion Vector Prediction) 방법, 인트라 블록 카피(Intra Block Copy) 방법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125)는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인 현재 블록 주변의 참조 픽셀 정보를 기초로 예측 단위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예측 단위의 주변 블록이 인터 예측을 수행한 블록이어서, 참조 픽셀이 인터 예측을 수행한 픽셀일 경우, 인터 예측을 수행한 블록에 포함되는 참조 픽셀을 주변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 블록의 참조 픽셀 정보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즉, 참조 픽셀이 가용하지 않는 경우, 가용하지 않은 참조 픽셀 정보를 가용한 참조 픽셀 중 적어도 하나의 참조 픽셀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에서 예측 모드는 참조 픽셀 정보를 예측 방향에 따라 사용하는 방향성 예측 모드와 예측을 수행시 방향성 정보를 사용하지 않는 비방향성 모드를 가질 수 있다. 휘도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모드와 색차 정보를 예측하기 위한 모드가 상이할 수 있고, 색차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휘도 정보를 예측하기 위해 사용된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 또는 예측된 휘도 신호 정보를 활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예측 단위의 좌측에 존재하는 픽셀,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을 기초로 예측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때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변환 단위를 기초로 한 참조 픽셀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만 N x N 분할을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은 예측 모드에 따라 참조 화소에 AIS(Adaptive Intra Smoothing) 필터를 적용한 후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참조 화소에 적용되는 AIS 필터의 종류는 상이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현재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는 현재 예측 단위의 주변에 존재하는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부터 예측할 수 있다. 주변 예측 단위로부터 예측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를 예측하는 경우,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가 동일하면 소정의 플래그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동일하다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만약 현재 예측 단위와 주변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상이하면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예측부(120, 125)에서 생성된 예측 단위를 기초로 예측을 수행한 예측 단위와 예측 단위의 원본 블록과 차이값인 잔차값(Residual) 정보를 포함하는 잔차 블록이 생성될 수 있다. 생성된 잔차 블록은 변환부(130)로 입력될 수 있다.
변환부(130)에서는 원본 블록과 예측부(120, 125)를 통해 생성된 예측 단위의 잔차값(residual)정보를 포함한 잔차 블록을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DST(Discrete Sine Transform), KLT와 같은 변환 방법을 사용하여 변환시킬 수 있다. 잔차 블록을 변환하기 위해 DCT를 적용할지, DST를 적용할지 또는 KLT를 적용할지는 잔차 블록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초로 결정할 수 있다.
양자화부(135)는 변환부(130)에서 주파수 영역으로 변환된 값들을 양자화할 수 있다. 블록에 따라 또는 영상의 중요도에 따라 양자화 계수는 변할 수 있다. 양자화부(135)에서 산출된 값은 역양자화부(140)와 재정렬부(160)에 제공될 수 있다.
재정렬부(160)는 양자화된 잔차값에 대해 계수값의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재정렬부(160)는 계수 스캐닝(Coefficient Scanning) 방법을 통해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1차원의 벡터 형태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재정렬부(160)에서는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방법을 이용하여 DC 계수부터 고주파수 영역의 계수까지 스캔하여 1차원 벡터 형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대신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열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직 스캔, 2차원의 블록 형태 계수를 행 방향으로 스캔하는 수평 스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즉, 변환 단위의 크기 및 인트라 예측 모드에 따라 지그-재그 스캔, 수직 방향 스캔 및 수평 방향 스캔 중 어떠한 스캔 방법이 사용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는 재정렬부(160)에 의해 산출된 값들을 기초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는 예를 들어,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다양한 부호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는 재정렬부(160) 및 예측부(120, 125)로부터 부호화 단위의 잔차값 계수 정보 및 블록 타입 정보, 예측 모드 정보, 분할 단위 정보, 예측 단위 정보 및 전송 단위 정보, 모션 벡터 정보, 참조 프레임 정보, 블록의 보간 정보, 필터링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부호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165)에서는 재정렬부(160)에서 입력된 부호화 단위의 계수값을 엔트로피 부호화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140) 및 역변환부(145)에서는 양자화부(135)에서 양자화된 값들을 역양자화하고 변환부(130)에서 변환된 값들을 역변환한다. 역양자화부(140) 및 역변환부(145)에서 생성된 잔차값(Residual)은 예측부(120, 125)에 포함된 움직임 추정부, 움직임 보상부 및 인트라 예측부를 통해서 예측된 예측 단위와 합쳐져 복원 블록(Reconstructed Block)을 생성할 수 있다.
필터부(150)는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정부, ALF(Adaptive Loop Filter)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블록킹 필터는 복원된 픽쳐에서 블록간의 경계로 인해 생긴 블록 왜곡을 제거할 수 있다. 디블록킹을 수행할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블록에 포함된 몇 개의 열 또는 행에 포함된 픽셀을 기초로 현재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 적용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블록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는 경우 필요한 디블록킹 필터링 강도에 따라 강한 필터(Strong Filter) 또는 약한 필터(Weak Filter)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함에 있어 수직 필터링 및 수평 필터링 수행시 수평 방향 필터링 및 수직 방향 필터링이 병행 처리되도록 할 수 있다.
오프셋 보정부는 디블록킹을 수행한 영상에 대해 픽셀 단위로 원본 영상과의 오프셋을 보정할 수 있다. 특정 픽쳐에 대한 오프셋 보정을 수행하기 위해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일정한 수의 영역으로 구분한 후 오프셋을 수행할 영역을 결정하고 해당 영역에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 또는 각 픽셀의 에지 정보를 고려하여 오프셋을 적용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ALF(Adaptive Loop Filtering)는 필터링한 복원 영상과 원래의 영상을 비교한 값을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에 포함된 픽셀을 소정의 그룹으로 나눈 후 해당 그룹에 적용될 하나의 필터를 결정하여 그룹마다 차별적으로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ALF를 적용할지 여부에 관련된 정보는 휘도 신호는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 별로 전송될 수 있고, 각각의 블록에 따라 적용될 ALF 필터의 모양 및 필터 계수는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적용 대상 블록의 특성에 상관없이 동일한 형태(고정된 형태)의 ALF 필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메모리(155)는 필터부(150)를 통해 산출된 복원 블록 또는 픽쳐를 저장할 수 있고, 저장된 복원 블록 또는 픽쳐는 인터 예측을 수행 시 예측부(120, 125)에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기(200)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 재정렬부(215), 역양자화부(220), 역변환부(225), 예측부(230, 235), 필터부(240), 메모리(245)가 포함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에서 영상 비트스트림이 입력된 경우, 입력된 비트스트림은 영상 부호화기와 반대의 절차로 복호화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는 영상 부호화기의 엔트로피 부호화부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를 수행한 것과 반대의 절차로 엔트로피 복호화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부호화기에서 수행된 방법에 대응하여 지수 골롬(Exponential Golomb), CAVLC(Context-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CABAC(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과 같은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는 부호화기에서 수행된 인트라 예측 및 인터 예측에 관련된 정보를 복호화할 수 있다.
재정렬부(215)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된 비트스트림을 부호화부에서 재정렬한 방법을 기초로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1차원 벡터 형태로 표현된 계수들을 다시 2차원의 블록 형태의 계수로 복원하여 재정렬할 수 있다. 재정렬부(215)에서는 부호화부에서 수행된 계수 스캐닝에 관련된 정보를 제공받고 해당 부호화부에서 수행된 스캐닝 순서에 기초하여 역으로 스캐닝하는 방법을 통해 재정렬을 수행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220)는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양자화 파라미터와 재정렬된 블록의 계수값을 기초로 역양자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부(225)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수행한 양자화 결과에 대해 변환부에서 수행한 변환 즉, DCT, DST, 및 KLT에 대해 역변환 즉, 역 DCT, 역 DST 및 역 KLT를 수행할 수 있다. 역변환은 영상 부호화기에서 결정된 전송 단위를 기초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기의 역변환부(225)에서는 예측 방법, 현재 블록의 크기 및 예측 방향 등 복수의 정보에 따라 변환 기법(예를 들어, DCT, DST, KLT)이 선택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측부(230, 235)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제공된 예측 블록 생성 관련 정보와 메모리(245)에서 제공된 이전에 복호화된 블록 또는 픽쳐 정보를 기초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영상 부호화기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게 인트라 예측을 수행시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동일할 경우, 예측 단위의 좌측에 존재하는 픽셀, 좌측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 상단에 존재하는 픽셀을 기초로 예측 단위에 대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지만, 인트라 예측을 수행시 예측 단위의 크기와 변환 단위의 크기가 상이할 경우, 변환 단위를 기초로 한 참조 픽셀을 이용하여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해서만 N x N 분할을 사용하는 인트라 예측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측부(230, 235)는 예측 단위 판별부, 인터 예측부 및 인트라 예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측 단위 판별부는 엔트로피 복호화부(210)에서 입력되는 예측 단위 정보, 인트라 예측 방법의 예측 모드 정보, 인터 예측 방법의 모션 예측 관련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입력 받고 현재 부호화 단위에서 예측 단위를 구분하고, 예측 단위가 인터 예측을 수행하는지 아니면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인터 예측부(230)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현재 예측 단위의 인터 예측에 필요한 정보를 이용해 현재 예측 단위가 포함된 현재 픽쳐의 이전 픽쳐 또는 이후 픽쳐 중 적어도 하나의 픽쳐에 포함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예측 단위에 대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현재 예측 단위가 포함된 현재 픽쳐 내에서 기-복원된 일부 영역의 정보를 기초로 인터 예측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인터 예측을 수행하기 위해 부호화 단위를 기준으로 해당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예측 단위의 모션 예측 방법이 스킵 모드(Skip Mode), 머지 모드(Merge 모드), AMVP 모드(AMVP Mode), 인트라 블록 카피 모드 중 어떠한 방법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35)는 현재 픽쳐 내의 화소 정보를 기초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 단위가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 예측 단위인 경우,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예측 단위의 인트라 예측 모드 정보를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235)에는 AIS(Adaptive Intra Smoothing) 필터, 참조 화소 보간부, DC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AIS 필터는 현재 블록의 참조 화소에 필터링을 수행하는 부분으로써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에 따라 필터의 적용 여부를 결정하여 적용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 및 AIS 필터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참조 화소에 AIS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AIS 필터링을 수행하지 않는 모드일 경우, AIS 필터는 적용되지 않을 수 있다.
참조 화소 보간부는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참조 화소를 보간한 화소값을 기초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는 예측 단위일 경우, 참조 화소를 보간하여 정수값 이하의 화소 단위의 참조 화소를 생성할 수 있다. 현재 예측 단위의 예측 모드가 참조 화소를 보간하지 않고 예측 블록을 생성하는 예측 모드일 경우 참조 화소는 보간되지 않을 수 있다. DC 필터는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가 DC 모드일 경우 필터링을 통해서 예측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복원된 블록 또는 픽쳐는 필터부(240)로 제공될 수 있다. 필터부(240)는 디블록킹 필터, 오프셋 보정부, ALF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기로부터 해당 블록 또는 픽쳐에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 및 디블록킹 필터를 적용하였을 경우, 강한 필터를 적용하였는지 또는 약한 필터를 적용하였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기의 디블록킹 필터에서는 영상 부호화기에서 제공된 디블록킹 필터 관련 정보를 제공받고 영상 복호화기에서 해당 블록에 대한 디블록킹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다.
오프셋 보정부는 부호화시 영상에 적용된 오프셋 보정의 종류 및 오프셋 값 정보 등을 기초로 복원된 영상에 오프셋 보정을 수행할 수 있다.
ALF는 부호화기로부터 제공된 ALF 적용 여부 정보, ALF 계수 정보 등을 기초로 부호화 단위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ALF 정보는 특정한 파라메터 셋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메모리(245)는 복원된 픽쳐 또는 블록을 저장하여 참조 픽쳐 또는 참조 블록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또한 복원된 픽쳐를 출력부로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코딩 유닛(Coding Unit)을 부호화 단위라는 용어로 사용하지만, 부호화뿐만 아니라 복호화를 수행하는 단위가 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팔레트 모드(palette mode) 기반하여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애니메이션이나 그래픽이 포함되어 있는 영상의 경우, 전부 또는 일부 영역의 영상이 특정 화소값으로만 구성되어 있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터 예측 또는 인트라 예측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 해당 영역을 구성하는 특정 화소값을 부호화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팔레트 모드라 한다. 팔레트 모드는 블록 단위(예를 들어, 코딩 유닛, 예측 유닛)로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블록 단위로 팔레트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정보(palette_mode_flag)를 시그날링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팔레트 모드로 부호화된 현재 블록에 대한 팔레트 맵(palette map)을 구성할 수 있다(S300).
팔레트 맵은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와 각각의 팔레트 엔트리를 식별하는 맵 인덱스(map index)로 구성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은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이하, 이전 팔레트 맵이라 함)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전 블록은 현재 블록 이전에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블록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 또는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은 이전 블록이 사용한 팔레트 엔트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이전 블록에서 사용된 팔레트 엔트리 중 현재 블록에서 재사용되는 팔레트 엔트리를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라 부르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은 이전 블록과 동일한 팔레트 맵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현재 블록이 이전 블록과 동일한 팔레트 맵을 이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palette_share_flag)를 시그날링할 수 있다. 여기서, 동일한 팔레트 맵이라 함은 팔레트 맵의 크기(또는, 팔레트 맵에 포함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동일하고, 팔레트 맵에 포함된 팔레트 엔트리가 동일함을 의미한다. palette_share_flag의 값이 1이면, 현재 블록은 이전 블록과 동일한 팔레트 맵을 이용하고, 그 값이 0이면, 현재 블록은 이전 블록과 팔레트 맵의 크기 또는 팔레트 맵에 포함된 팔레트 엔트리 중 적어도 하나가 상이한 팔레트 맵을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현재 블록은 이전 팔레트 맵의 일부 팔레트 엔트리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특정하는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 이하 재사용 플래그라 함)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전 팔레트 맵의 팔레트 엔트리 각각에 상기 재사용 플래그의 값이 할당되며, 상기 재사용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i])는 이전 팔레트 맵에서 맵 인덱스 i에 대응하는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재사용 플래그의 값이 0인 경우에는 이전 팔레트 맵에서 맵 인덱스 i에 대응하는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재사용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재사용되지 아니한다. 이전 플레트 맵으로부터 재사용 플래그의 값이 1인 팔레트 엔트리를 추출하고, 이를 순차적으로 배열하여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재사용 플래그는 팔레트 엔트리 별로 부호화된 플래그의 형태로 시그날링될 수도 있고, 런 부호화 기반의 바이너리 벡터의 형태로 시그날링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또는 현재 블록이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서 일부 팔레트 엔트리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이전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특정하는 재사용 플래그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를 특정하는 팔레트 예측 런(palette_predictor_run) 값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또한,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은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날링된 팔레트 엔트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시그날링된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이 사용하는 팔레트 엔트리 중 이전 팔레트 맵에 포함되지 않은 팔레트 엔트리를 의미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더 살펴 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또는 픽셀 단위)로 소정의 스캔 순서에 따라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유도할 수 있다(S310).
본 발명의 스캔 순서로는 수평 방향 스캔, 수직 방향 스캔, 수평 방향 트래버스 스캔, 수직 방향 트래버스 스캔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현재 블록은 인덱스 모드(INDEX MODE), 카피 모드(COPY MODE) 또는 이스케이프 모드(ESCAPE MODE)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이스케이프 모드(ESCAPE MODE)는 별도의 모드로 정의될 수도 있고, 인덱스 모드(INDEX MODE)의 일례로 이해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인덱스 모드(INDEX MODE)는 현재 블록에서 사용되는 팔레트 인덱스를 특정하기 위해 부호화된 팔레트 인덱스 정보에 기반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팔레트 인덱스 정보는 0에서 (palette size-1) 사이의 값을 가지며, 여기서 palette size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의 크기 또는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인덱스 모드에서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날링된 팔레트 인덱스 정보의 값이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로 할당될 수 있다. 인덱스 모드에 기반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카피 모드(COPY MODE)는 이웃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피 모드에서는 이웃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에 기초하여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예측할 수도 있고, 이웃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복사하여 그대로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로 설정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이웃 샘플은 현재 샘플의 상단, 하단, 좌측 또는 우측에 인접한 샘플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웃 샘플은 현재 샘플과 동일 수평 라인 또는 동일 수직 라인에 위치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카피 모드는 현재 샘플의 상단에 인접한 샘플이 사용한 팔레트 엔트리를 현재 샘플의 팔레트 엔트리로 사용하는 카피 어보브 모드(COPY_ABOVE MODE) 또는 현재 샘플의 좌측에 인접한 샘플이 사용한 팔레트 엔트리를 현재 샘플의 팔레트 엔트리로 사용하는 카피 레프트 모드(COPY_LEFT MOD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스캔 순서에 따라 카피 어보브 모드 또는 카피 레프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이 수평 방향 스캔 또는 수평 방향 트래버스 스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피 어보브 모드를 사용하고, 현재 블록이 수직 방향 스캔 또는 수직 방향 트래버스 스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카피 레프트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의 스캔 시작 위치는 좌상단 샘플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현재 블록의 다른 코너 샘플(예를 들어, 좌하단 샘플, 우상단 샘플, 우하단 샘플)이 스캔 시작 위치로 이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현재 블록의 스캔 순서 및 스캔 시작 위치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 또는 좌측에 인접한 샘플과 동일한 팔레트 엔트리를 사용할 수도 있고, 하단 또는 우측에 인접한 샘플과 동일한 팔레트 엔트리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피 모드는 카피 라이트 모드(COPY_RIGHT MODE) 및/또는 카피 언더 모드(COPY_UNDER MODE)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는, 스캔 순서와 관계없이 카피 어보브 모드 또는 카피 레프트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를 위해 스캔 모드를 특정하는 플래그(use_copy_above_flag)를 시그날링할 수 있다. 상기 use_copy_above_flag는 슬라이스 헤더,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 또는 블록 단위에서 시그날링될 수 있다. use_copy_above_flag의 값이 1이면, 해당 슬라이스 또는 블록에서 카피 어보브 모드를 사용할 수 있고, 그 값이 0이면, 해당 슬라이스 또는 블록에서 카피 레프트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카피 모드에 기반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현재 블록의 각 샘플 별로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이하, 팔레트 인덱스 모드라 함)을 특정하는 모드 식별자(palette_index_mode)에 기반하여 상술한 인덱스 모드, 카피 모드 등과 같은 팔레트 인덱스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모드 식별자의 값이 1이면, 현재 블록의 현재 샘플은 카피 모드를 사용하고, 그 값이 0이면, 현재 샘플은 인덱스 모드 또는 이스케이프 모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모드 식별자는 현재 블록이 하나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만을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use_one_palette_mode_flag)에 기반하여 제한적으로 시그날링될 수 있다. 상기 use_one_palette_mode_flag는 블록 단위(예를 들어, 코딩 유닛 단위, 예측 유닛 단위)로 시그날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e_one_palette_mode_flag의 값에 따라 현재 블록이 하나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만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모드 식별자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날링되지 않고, 영상 복호화 장치에 기-설정된 팔레트 인덱스 모드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블록의 각 샘플에 대한 모드 식별자의 값을 1 또는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면, use_one_palette_mode_flag의 값에 따라 현재 블록이 하나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상기 모드 식별자가 시그날링될 수 있다.
또는, 상기 모드 식별자는 현재 블록 내 적어도 하나의 샘플이 카피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palette_above_present_flag)에 기반하여 제한적으로 시그날링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alette_above_present_flag의 값에 따라 현재 블록 내 샘플 중 적어도 하나가 카피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모드 식별자는 비트스트림으로 통해 시그날링될 수 있다. 반면, palette_above_present_flag의 값에 따라 현재 블록의 샘플들이 카피 모드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모드 식별자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날링되지 않으며, 영상 복호화 장치에 기-설정된 팔레트 인덱스 모드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로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블록의 각 샘플에 대한 모드 식별자의 값을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후술할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를 고려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획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살펴 보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 단계에서 유도된 팔레트 인덱스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을 복원할 수 있다(S320).
구체적으로, S300 단계에서 구성된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S310 단계에서 유도된 팔레트 인덱스에 기초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을 복원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상기 유도된 팔레트 인덱스와 동일한 값의 맵 인덱스를 가진 팔레트 엔트리를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샘플을 복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팔레트 맵으로부터 추출된 팔레트 엔트리의 값을 현재 블록의 샘플의 예측 값 또는 복원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유도된 팔레트 인덱스의 값이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동일한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은 S300 단계에서 구성된 팔레트 맵의 팔레트 엔트리를 이용하여 복원될 수 없다. 다시 말해, 팔레트 맵의 맵 인덱스는 0에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1) 사이의 값을 가지므로, 상기 유도된 팔레트 인덱스의 값이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동일한 경우라 함은 S300 단계에서 구성된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 내에는 상기 유도된 팔레트 인덱스에 대응하는 팔레트 엔트리가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현재 블록 내에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동일한 값의 팔레트 인덱스를 가진 샘플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샘플은 이스케이프 모드(ESCAPE MODE)로 부호화된 것으로 유추될 수 있다. 여기서, 이스케이프 모드라 함은 S300 단계에서 구성된 팔레트 맵의 팔레트 엔트리를 이용하지 않고, 대신에 추가적으로 시그날링되는 팔레트 이스케이프 값(palette escape value)에 기반하여 샘플 값을 복원하는 방법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동일한 값의 팔레트 인덱스를 가진 샘플은 상기 추가적으로 시그날링되는 팔레트 이스케이프 값을 이용하여 복원될 수 있다.
한편,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 (또는, 현재 블록의 palette size)에 기초하여 이스케이프 모드를 적응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현재 블록에 관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기-정의된 문턱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이스케이프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 (palette_escape_val_present_flag, 이하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라 함)가 시그날링될 수 있다. 여기서,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의 값이 1이면, 팔레트 모드로 부호화된 현재 블록에서 적어도 하나의 샘플이 이스케이프 모드를 사용함을 나타내고, 그 값이 0이면, 현재 블록은 이스케이프 모드를 사용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현재 블록에 대한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 상술한 팔레트 이스케이프 값(palette escape value)이 추가적으로 시그날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블록이 이용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0보다 큰 경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샘플을 이스케이프 모드에 기반하여 복원하는 것이 허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현재 블록이 이용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0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가 시그날링될 수 있다. 반대로, 현재 블록이 사용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0인 경우, 현재 블록이 이스케이프 모드에 기반하여 복원되는 것이 허용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경우,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는 시그날링되지 않으며, 영상 복호화 장치는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의 값을 기-정의된 값(예를 들어, 0)으로 유도할 수 있다. 다만, 기-정의된 문턱값은 0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부호화 효율을 고려하여 0이 아닌 임의의 상수값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재사용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를 제한적으로 시그날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관한 재사용 개수 정보(num_previous_palette_entry)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400).
여기서, 재사용 개수 정보라 함은 이전 팔레트 맵의 팔레트 엔트리 중에서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를 나타내기 위해서 부호화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i번째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특정하는 재사용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i])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410).
상기 재사용 플래그는 이전 팔레트 맵의 크기(또는, 이전 팔레트 맵에 포함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만큼 시그날링되며, i 는 상술한 이전 팔레트 맵의 팔레트 엔트리를 식별하는 맵 인덱스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0 내지 (이전 팔레트 맵의 크기-1) 값의 범위 내에 속할 수 있다.
S410 단계에서 획득된 재사용 플래그의 값이 1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420).
확인 결과, 상기 재사용 플래그의 값이 1이면, 1 값을 가진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 numPredPreviousPalette 값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S430). 예를 들어, 상기 변수 numPredPreviousPalette 값은 1만큼 증가될 수 있다.
반면, 재사용 플래그의 값이 0이면, (i+1)번째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특정하는 재사용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i+1])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410).
S430 단계에서 증가된 변수 numPredPreviousPalette 값과 S400 단계에서 획득된 개수 정보가 동일한지 여부를 비교할 수 있다(S440).
만일, 변수 numPredPreviousPalette 값과 S400 단계에서 획득된 개수 정보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i+1)번째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특정하는 재사용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i+1])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410). 다만, 변수 numPredPreviousPalette 값과 S400 단계에서 획득된 개수 정보가 동일한 경우, i 값보다 큰 값의 맵 인덱스를 가진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수 numPredPreviousPalette 값과 S400 단계에서 획득된 개수 정보가 동일한 경우, i 값은 이전 팔레트 맵의 크기와 같거나 큰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 값은 이전 팔레트 맵의 크기에 1을 더한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i 값을 이전 팔레트 맵의 크기와 같거나 큰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i+1)번째 팔레트 엔트리에 관한 재사용 플래그가 시그날링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런 부호화 기반의 바이너리 벡터의 형태로 재사용 플래그를 시그날링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은 0 내지 7의 맵 인덱스를 가진 8개의 팔레트 엔트리를 사용한 것으로 가정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이전 블록의 0 내지 7번의 팔레트 엔트리 각각에 대해서 해당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를 결정하고, 만일 해당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재사용 플래그의 값을 1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 중에서 0번, 1번, 3번, 7번의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고, 나머지 팔레트 엔트리는 재사용되지 않는 경우, 11010001로 표현되는 바이너리 벡터(binary vector)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의 개수(즉,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 중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 또는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보다 앞선 0의 개수 중 적어도 하나를 부호화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로 시그날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의 개수가 4개이므로,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로 4를 부호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보다 앞선 0의 개수 즉, 0, 0, 1, 3을 순차적으로 부호화할 수도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영상 부호화 장치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에 관한 정보(num_previous_palette_entry) 또는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보다 앞선 0의 개수에 관한 정보(palette_entry_run)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는, 바이너리 벡터에서 1보다 앞선 0의 개수에 관한 정보(palette_entry_run) 즉, 0, 0, 1, 3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바이너리 벡터 즉, 11010001을 복원할 수 있다. 바이너리 벡터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1 값이 발생하면, 1 값에 대응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삽입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일부 팔레트 엔트리를 선택적으로 재사용하여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신택스 palette_predictor_run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은 0 내지 11의 맵 인덱스가 할당된 12개의 팔레트 엔트리로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먼저,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신택스 palette_predictor_run을 부호화하는 과정을 살펴 보도록 한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포함된 0 내지 11의 팔레트 엔트리 각각에 대해서 해당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만일 해당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경우에는 해당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의 값을 1로,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0으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 중에서 0번, 1번, 3번, 7번의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고, 나머지 팔레트 엔트리는 재사용되지 않는 경우, 110100010000로 표현되는 바이너리 벡터(binary vector)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의 개수(즉,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 중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 또는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보다 앞선 0의 개수를 특정하기 위한 palette_predictor_run 중 적어도 하나를 부호화하여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 중에서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팔레트 엔트리를 특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이너리 벡터에서 1보다 앞선 0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인 numPreviousZero를 이용하여 palette_predictor_run을 부호화할 수 있다. numPreviousZero의 값이 0보다 큰 경우, (numPreviousZero+1)의 값을 palette_predictor_run으로 부호화할 수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numPreviousZero의 값이 0인 경우), numPreviousZero의 값(예를 들어, 0)을 palette_predictor_run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7번 팔레트 엔트리 이후로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지 않는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7번 팔레트 엔트리 이후로는 더 이상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지 않음을 시그날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을 1로 부호화할 수 있다. 즉,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1이면, 이는 현재 블록에서 더 이상 palette_predictor_run이 부호화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부호화된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에 기초하여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과정의 종료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 6의 경우를 살펴 보면, 이전 블록의 0번 및 1번 팔레트 엔트리의 경우, 1보다 앞선 0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 numPreviousZero의 값이 0이므로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으로 0을 각각 부호화할 수 있다. 이전 블록의 3번 팔레트 엔트리의 경우, 1보다 앞선 0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 numPreviousZero의 값이 1이므로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으로 (numPreviousZero+1)의 값 즉, 2를 부호화할 수 있다. 이전 블록의 7번 팔레트 엔트리의 경우, 1보다 앞선 0의 개수를 나타내는 변수 numPreviousZero의 값이 3이므로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으로 (numPreviousZero+1)의 값 즉, 4를 부호화할 수 있다. 7번 팔레트 이후로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지 않으므로,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으로 1을 부호화할 수 있다.
현재 블록에 대한 palette_predictor_run은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 중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즉, 바이너리 벡터에서 1의 개수)만큼 부호화될 수도 있고, 바이너리 벡터에서 1의 개수에 1을 더한 만큼 부호화될 수도 있다. 현재 블록에 대해 부호화되는 palette_predictor_run의 개수는 이전 팔레트 맵의 맵 인덱스 중 최대값(MaxIndex)과 현재 블록에 재사용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의 맵 인덱스 중 최대값(MaxReuseIdx)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MaxReuseIdx이 MaxIndex과 동일한 경우, palette_predictor_run은 바이너리 벡터에서 1의 개수만큼 부호화되고,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예를 들어, MaxReuseIdx이 MaxIndex보다 작은 경우)에는 바이너리 벡터에서 1의 개수에 1을 더한 만큼 부호화될 수도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시그날링된 palet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idx]의 값이 1이면, 맵 인덱스 idx에 해당하는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됨을 나타내고, 그 값이 0이면, 맵 인덱스 idx에 해당하는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의 초기값은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맵 인덱스 (idx-1)의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idx-1]의 값이 1이고, 맵 인덱스 idx에 대해서 palette_predictor_run을 획득할 수 있다.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1보다 큰 경우, 맵 인덱스 (idx+palette_predictor_run-1)를 가진 팔레트 엔트리에 대해서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idx+palette_predictor_run-1]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0인 경우, 맵 인덱스 idx를 가진 팔레트 엔트리에 대해서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idx]의 값을 1로 설정할 수 있다.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1인 경우, 이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에서 더 이상 재사용되는 팔레트 엔트리가 없음을 나타내며, 현재 블록에 대해 재사용되는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 중 최대 맵 인덱스의 값은 (idx-1)이 될 것이다.
영상 복호화 장치에서 palet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살펴 보도록 한다. 먼저,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서 0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alette_predictor_run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0이므로, 0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0]의 값은 1로 설정되고, 0번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포함된다.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서 1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alette_predictor_run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0이므로, 1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1]의 값은 1로 설정되고, 1번 팔레트 엔트리 역시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포함된다.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서 2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alette_predictor_run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2이므로, (idx+palette_predictor_run-1)에 위치한 팔레트 엔트리 즉, 3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3]의 값은 1로 설정되고, 3번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포함된다.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서 4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alette_predictor_run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4이므로, (idx+palette_predictor_run-1)에 위치한 팔레트 엔트리 즉, 7번 팔레트 엔트리에 대한 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7]의 값은 1로 설정되고, 7번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에 포함된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며, 이러한 과정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palette_predictor_run의 값이 1이 나올 때까지 수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현재 블록에 대한 팔레트 맵(palette map)을 구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현재 블록은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과 동일한 팔레트 맵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이를 위해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의 크기(또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이전 블록이 사용한 팔레트 맵의 크기(또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동일하고, 현재 블록이 이전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와 동일한 팔레트 엔트리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palette_share_flag)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alette_share_flag의 값이 1인 경우, 현재 블록에 대한 팔레트 맵의 크기와 팔레트 엔트리가 이전 블록과 동일함을 나타낼 수 있다. 반면, palette_share_flag의 값이 0인 경우(즉, 현재 블록에 대한 팔레트 맵의 크기 또는 팔레트 엔트리 중 적어도 하나가 이전 블록과 상이한 경우), 현재 블록은 이전 팔레트 맵의 일부 팔레트 엔트리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고, 이전 팔레트 맵의 팔레트 엔트리 외에 추가적인 팔레트 엔트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전 팔레트 맵의 팔레트 엔트리 전부 또는 일부를 선택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팔레트 엔트리의 재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previous_palette_entry_flag[i])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revious_palette_entry_flag[i]의 값이 1이면, 이전 팔레트 맵에서 i번째 팔레트 엔트리가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됨을 나타내고, 그 값이 0이면, 상기 i번째 팔레트 엔트리는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낼 수 있다. previous_palette_entry_flag[i]는 이전 팔레트 맵에 포함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만큼 시그날링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이 이전 팔레트 맵에 속하지 않는 팔레트 엔트리(이하,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라 함)를 추가적으로 이용하는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는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 그리고 그 개수만큼의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를 부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전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동일한 경우, 이는 현재 블록이 적어도 하나의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를 사용함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영상 부호화 장치는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에서 1을 뺀 값(palette_num_signalled_entries_minus1, 이하 제1 시그날링 엔트리 개수 정보라 함)을 부호화할 수 있다. 이전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영상 부호화 장치는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palette_num_signalled_entries, 이하 제2 시그날링 엔트리 개수 정보라 함)를 부호화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와 이전 팔레트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동일한지 여부를 고려하여 시그날링 엔트리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paletteNumPredictedEntries)와 이전 블록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previousPaletteSize)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2 시그날링 엔트리 개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00). 이 경우, 현재 블록의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는 제2 시그날링 엔트리 개수 정보의 값과 동일한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paletteNumPredictedEntries와 previousPaletteSize가 동일한 경우, 제1 시그날링 엔트리 개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S710). 이 경우, 현재 블록의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는 제1 시그날링 엔트리 개수 정보의 값에 1을 더한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현재 블록의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만큼 시그날링 팔레트 엔트리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S720). 이전 팔레트 맵으로부터의 예측된 팔레트 엔트리와 상기 시그날링된 팔레트 엔트리를 이용하여 현재 팔레트 맵을 구성할 수 있다. 현재 팔레트 맵의 크기(또는, 현재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 CurrentPaletteSize)는 이전 팔레트 맵의 크기(또는, 이전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 및/또는 paletteNumPredictedEntries와 previousPaletteSize 간의 동일 여부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이 유도될 수 있다.
(1) palette_share_flag의 값이 1인 경우
CurrentPaletteSize = previousPaletteSize
(2) palette_share_flag의 값이 0이고, paletteNumPredictedEntries와 previousPaletteSize가 동일한 경우
CurrentPaletteSize = previousPaletteSize + palette_num_signalled_entries_minus1 + 1
(3) palette_share_flag의 값이 0이고, paletteNumPredictedEntries와 previousPaletteSize가 상이한 경우
CurrentPaletteSize = previousPaletteSize + palette_num_signalled_entries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팔레트 인덱스 정보와 팔레트 인덱스 런에 기반하여 현재 블록의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팔레트 인덱스 정보와 팔레트 인덱스 런(palette index run)이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 부호화되는 과정에 대해서 살펴 보기로 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현재 블록은 인덱스 모드로 부호화되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샘플은 0 내지 3 범위에서의 팔레트 인덱스를 사용하며, 현재 블록의 좌상단 샘플을 시작 위치로 하는 수평 방향 트래버스 스캔이 사용됨을 가정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현재 블록이 사용하는 팔레트 인덱스를 수평 방향 트래버스 스캔 순서에 따라 1차원 형태로 배열하면, {0, 2, 2, 2, 3, 3, 3, 3, 2, 0, 0, 0, 0, 1, 1, 1}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상기 1차원 형태의 배열을 연속적인 그리고 동일한 값의 팔레트 인덱스들로 그룹핑할 수 있다. 즉, 상기 1차원 형태의 배열은 하나의 0으로 구성된 제1 그룹, 3개의 2로 구성된 제2 그룹, 4개의 3으로 구성된 제3 그룹, 하나의 2로 구성된 제4 그룹, 4개의 0으로 구성된 제5 그룹, 그리고 3개의 1로 구성된 제 6그룹으로 그룹핑될 수 있다. 각 그룹 별로 팔레트 인덱스의 중복성을 제거하여 다음 표 1과 같이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 및/또는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의 개수를 특정하고, 이를 부호화하여 팔레트 인덱스 정보 및/또는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의 개수에 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그룹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
팔레트
인덱스 정보
팔레트 인덱스 런
1 {0} 0 0 0
2 {2, 2, 2} 2 2 2
3 {3, 3, 3, 3} 3 3 3
4 {2} 2 2 0
5 {0, 0, 0, 0} 0 0 3
6 {1, 1, 1} 1 1 2
즉, 각 그룹 별로 팔레트 인덱스의 중복성을 제거함으로써 {0, 2, 3, 2, 0, 1}을 획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는 {0, 2, 3, 2, 0, 1}로 특정되며,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의 개수는 6개로 특정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는 각 그룹 별로 동일한 팔레트 인덱스가 반복되는 횟수(이하, 팔레트 인덱스 런(palette index run))를 부호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 1과 같이 제1 그룹은 하나의 0으로 구성되는바, 팔레트 인덱스 런은 0으로 결정되고, 제2 그룹에서는 스캔 순서 (1)을 가진 샘플에서 팔레트 인덱스 2가 사용된 이후에 스캔 순서 (2)와 (3)을 가진 샘플에서 연속적으로 동일한 팔레트 인덱스 2를 사용하므로, 팔레트 인덱스 런은 2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는 상기 결정된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을 그대로 부호화할 수도 있고, 부호화 효율을 위해 MSB(most significant bit)와 refinement bit로 나누어 부호화할 수도 있다.
상술한 과정을 통해 영상 부호화 장치에서는 현재 블록에서 사용된 팔레트 인덱스는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의 개수에 관한 정보,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 또는 팔레트 인덱스 런 중 적어도 하나로 부호화될 수 있다.
부호화 과정에서 현재 샘플에서 스캔 순서 상 마지막 샘플까지 동일한 팔레트 인덱스가 발생하는 경우(run-to-end)가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에 run-to-end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기 위해 팔레트 인덱스 런(palette index run)을 소정의 상수값으로 설정하여 부호화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을 3으로 설정함으로써, 현재 샘플부터 스캔 순서 상 현재 블록의 마지막 샘플까지 모두 동일한 팔레트 인덱스를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다.
현재 샘플이 스캔 순서 상 어느 위치에 있는지 또는 어느 행/열에 속하는지에 따라, run-to-end를 나타내는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을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샘플이 첫번째 행에 속하는 경우에는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을 8로 설정하여 run-to-end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고, 현재 샘플이 세번째 행에 위치한 경우에는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을 8로 설정하여 run-to-end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다. 또는, 현재 샘플의 스캔 순서가 현재 블록의 크기 (nCbs*nCbs)의 중간값보다 큰 경우에는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을 6으로 설정하여 run-to-end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 있고, 반대로 현재 샘플의 스캔 순서가 현재 블록의 크기 (nCbs*nCbs)의 중간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을 2로 설정하여 run-to-end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낼 수도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팔레트 인덱스 정보와 팔레트 인덱스 런을 획득하고, 이를 이용하여 현재 블록의 각 샘플 별로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 인덱스 정보는 부호화 대상인 팔레트 인덱스의 개수에 관한 정보에 따른 개수만큼 획득될 수 있으며, 각각의 팔레트 인덱스 정보에 대응하는 팔레트 인덱스 런을 순차적으로 획득하여 현재 블록의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0, 2, 3, 2, 0, 1}의 팔레트 인덱스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팔레트 인덱스 정보 0에 대응하는 팔레트 인덱스 런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만일 팔레트 인덱스 정보 0에 대응하는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이 0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스캔 순서 (0)을 가진 샘플에 팔레트 인덱스 0을 할당할 수 있다. 그런 다음, 팔레트 인덱스 정보 2에 대응하는 팔레트 인덱스 런을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팔레트 인덱스 정보 2에 대응하는 팔레트 인덱스 런의 값이 2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는 현재 블록의 스캔 순서 (1) 내지 (3)을 가진 샘플에 팔레트 인덱스 2를 스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할당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현재 블록의 모든 샘플에 대해서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는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에 기초하여 부호화/복호화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 보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카피 모드(COPY MODE)에 기반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유도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카피 모드는 현재 샘플 이전에 복호화된 이웃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복사하여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로 사용하는 모드일 수 있다. 여기서, 이웃 샘플은 현재 샘플에 인접한 상단 또는 좌측 이웃 샘플을 의미할 수도 있고, 현재 샘플에 인접하지 않는 상단 또는 좌측 이웃 샘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상단 이웃 샘플은 현재 샘플과 동일한 열(column)에 존재할 수 있고, 좌측 이웃 샘플은 현재 샘플과 동일한 행(row)에 존재할 수 있다. 카피 모드에 사용되는 이웃 샘플(이하, 참조 샘플이라 함)을 특정하기 위해서 오프셋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오프셋은 현재 샘플과 참조 샘플 간의 위치 차이(예를 들어, 행 차이 또는 열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오프셋은 현재 샘플과 참조 샘플 간의 위치 차이로 부호화될 수도 있고, 해당 오프셋에서 일정 상수값을 뺀 값(예를 들어, copy_previous_offest_minus1, copy_previous_offest_minus2)으로 부호화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는 부호화된 오프셋에 일정 상수값을 더하여 오프셋을 복원할 수 있다.
현재 샘플과 동일한 오프셋을 가진 샘플들이 연속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런(run) 부호화를 통해 각 샘플 별로 오프셋을 부호화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샘플과 동일한 오프셋을 가진 연속적인 샘플의 개수를 나타내는 값(copy_run, 이하, 카피 런이라 함)을 부호화할 수 있다. 카피 런의 값은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샘플이 카피 어보브 모드(COPY_ABOVE MODE)를 사용하는 경우, 카피 런의 값은 현재 블록의 너비(width)보다 클 수 없다. 카피 런의 값이 현재 블록의 너비보다 큰 경우에는 아직 복호화되지 않은 이웃 샘플을 참조 샘플로 사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는, 현재 샘플이 인접하지 않는 이웃 샘플을 참조 샘플로 사용하는 경우, 카피 런의 값은 오프셋(offset)*현재 블록의 너비(nCbs)보다 클 수 없다. 마찬가지로, 카피 런의 값이 오프셋(offset)*현재 블록의 너비(nCbs)보다 큰 경우에는 아직 복호화되지 않은 이웃 샘플을 참조 샘플로 사용하게 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참조 샘플은 현재 블록(예를 들어, 코딩 블록 또는 예측 블록) 내의 샘플로 제한될 수도 있고, 현재 블록에 인접한 이웃 블록까지 포함하는 소정의 영역 내의 샘플로 제한될 수도 있다.
만일, 참조 샘플이 현재 블록에 인접한 이웃 블록에 속하는 경우, 해당 참조 샘플은 오프셋 및/또는 블록 식별 정보(block identification information)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식별 정보라 함은 참조 샘플을 포함한 이웃 블록을 특정하는 정보를 의미하며, 이웃 블록의 위치/크기 정보, 블록 파티션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블록 식별 정보에 의해 특정된 이웃 블록 내에서, 현재 샘플과 동일 위치의 샘플로부터 상기 오프셋만큼 이동한 위치의 샘플을 참조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참조 샘플이 현재 블록 내의 샘플로 제한된 경우, 현재 블록 내 현재 샘플의 위치(예를 들어, 현재 샘플이 위치한 행 및/또는 열)에 따라 부호화된 오프셋을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샘플이 현재 블록의 3번째 행에 위치하고, 현재 샘플이 인접하지 않은 이웃 샘플을 참조 샘플로 사용하는 경우, 현재 샘플은 부호화된 오프셋을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샘플에 관한 오프셋은 0으로 유도되며,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는 1번째 행에 위치한 참조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복사하여 유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팔레트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캔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팔레트 모드에서 사용하는 스캔 순서에는 수평 방향 스캔, 수직 방향 스캔, 수평 방향 트래버스 스캔, 수직 방향 트래버스 스캔 등이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 방향 스캔은 현재 블록의 각각의 열(row)을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캔하는 방식이고, 수직 방향 스캔은 현재 블록의 각각의 행(column)을 위에서 아래쪽으로 스캔하는 방식이다.
수평 방향 트래버스 스캔은 현재 블록의 홀수 열(row)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스캔하고, 짝수 열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스캔하는 방식이다. 수직 방향 트래버스 스캔은 현재 블록의 홀수 행(column)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스캔하고, 짝수 행은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스캔하는 방식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현재 블록의 좌상단 샘플을 스캔 시작 위치로 설정한 경우를 전제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현재 블록의 다른 코너 샘플을 스캔 시작 위치로 설정할 수도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에 기반하여 팔레트 인덱스를 획득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현재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CurrentPaletteSize)에 기초하여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palette_escape_val_present_flag)를 획득할 수 있다(S1100). 예를 들어, CurrentPaletteSize가 0이 아닌 경우에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를 획득할 수 있다. 이는, 현재 팔레트 맵에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가 존재하는 경우에 한하여 현재 블록 내 적어도 하나의 샘플이 이스케이프 모드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결정함을 의미한다.
palette_escape_val_present_flag와 CurrentPaletteSiz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각 샘플 별 팔레트 인덱스 모드 및/또는 팔레트 인덱스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1을 참조하면, palette_escape_val_present_flag와 CurrentPaletteSize의 값이 1이 아닌 경우에,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팔레트 인덱스 모드를 식별하는 모드 식별자(palette_run_type_flag)를 획득할 수 있다(S1110).
palette_run_type_flag의 값에 따라 카피 모드 또는 인덱스 모드 중 어느 하나가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palette_escape_val_present_flag 또는 CurrentPaletteSize 중 적어도 하나가 1이 아닌 경우, palette_run_type_flag는 시그날링되지 않으며,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 모드는 이스케이프 모드로 설정될 수 있다.
S1110 단계에서 획득된 palette_run_type_flag에 따라 현재 샘플이 인덱스 모드를 사용하는 경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팔레트 인덱스(palette_index_idc)를 획득할 수 있다(S1120).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palette_index_idc는 palette_escape_val_present_flag와 CurrentPaletteSize의 값이 1이 아닌 경우에 한하여 획득될 수 있다.
만일 palette_escape_val_present_flag 또는 CurrentPaletteSize 중 적어도 하나가 1인 경우, palette_index_idc는 비트스트림을 통해 시그날링되지 않고, CurrentPaletteSize의 값에 기초하여 유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palette_index_idc는 현재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에 관한 변수(CurrentPaletteSize)와 소정의 상수값을 입력으로하는 덧셈 연산 또는 뺄샘 연산을 통해 유도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상수값은 CurrentPaletteSize에 의존적으로(dependent) 결정되는 가변적인 값일 수도 있고, 기-정의된 고정된 상수값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palette_index_idc는 CurrentPaletteSize에 1을 더한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실시예로서,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고려하여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부호화/복호화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인덱스 모드를 위한 팔레트 인덱스는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로 부호화될 수 있다.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부호화할 때,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보다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가 큰 경우,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는 재조정되어(adjust) 부호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2(a)를 참조하면,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가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adjustedRefIndex)보다 큰 경우,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를 (paletteIndex-1)로 재조정하고, (paletteIndex-1) 값을 팔레트 인덱스 정보의 값으로 부호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복호화 과정에서는 시그날링된 팔레트 인덱스 정보의 값에 1을 더한 값으로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를 유도할 수 있다.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와 적어도 하나의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를 비교하여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를 유도할 수 있다.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와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를 비교한 결과,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가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와 같거나 큰 경우,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는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의 값에 1을 더한 값으로 유도될 수 있다.
만일,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와 비교하는 경우,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와 같거나 작은 값을 가진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의 개수를 카운팅하여, 해당 개수만큼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의 값을 증가시켜서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를 유도할 수 있다.
또는, 복수의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와 비교하는 경우, 기-정의된 순서대로 비교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이전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에 제1 이전 샘플의 제1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_1)와 제2 이전 샘플의 제2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_2)가 포함되고, 제1 이전 샘플에서 제2 이전 샘플의 순서로 비교 과정이 수행되는 경우를 살펴 보도록 한다.
먼저,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와 제1 이전 샘플의 제1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_1)를 비교할 수 있다. 만일, 현재 샘플에 관한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의 값이 제1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_1)와 같거나 큰 경우,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는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의 값에 1을 더한 값으로 유도되고, 그렇지 아니한 경우에는 팔레트 인덱스 정보(palette_index_idc)의 값과 동일하게 유도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앞서 유도된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와 제2 이전 샘플의 제2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_2)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라 앞서 유도된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에 1을 더하거나 또는 그와 동일한 값으로 최종적인 현재 샘플의 팔레트 인덱스(paletteIndex)를 유도하게 된다.

Claims (15)

  1.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유도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현재 블록에 관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이스케이프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상기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 팔레트 이스케이프 값 (palette escape value)을 유도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플래그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유도되되,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를 특정하기 위해 부호화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방법.
  5.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되,
    상기현재 블록에 관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이스케이프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상기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 팔레트 이스케이프 값 (palette escape value)을 유도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상기 재사용 플래그를 유도하되,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를 특정하기 위해 부호화된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상기 시그날링된 팔레트 예측 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것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디코딩 장치.
  9.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는 단계;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현재 블록에 관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이스케이프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상기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 팔레트 이스케이프 값 (palette escape value)을 유도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재사용 플래그는 부호화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유도되되,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에 1을 더한 값으로 부호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된 팔레트 예측 런의 값이 1인 경우,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를 획득하는 단계는 종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방법.
  13.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palette map)으로부터 현재 블록의 적어도 하나의 팔레트 엔트리(palette entry)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팔레트 엔트리를 포함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을 구성하며, 상기 현재 블록의 샘플 단위로 팔레트 인덱스(palette index)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맵과 상기 팔레트 인덱스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블록을 복원하는 예측부를 포함하되,
    현재 블록에 관한 팔레트 엔트리의 개수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한하여 이스케이프 모드의 사용 여부를 나타내는 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를 유도하고,
    상기 현재 블록에 대한 상기이스케이프 프레즌트 플래그의 값이 1인 경우에  팔레트 이스케이프 값 (palette escape value)을 유도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는 상기 이전 블록의 팔레트 맵에 속한 팔레트 엔트리가 상기 현재 블록의 팔레트 엔트리로 재사용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사용 플래그(PredictorPaletteEntryReuseFlag)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예측부는,
    부호화된 팔레트 예측 런(pallete_predictor_run)에 기초하여 상기 재사용 플래그를 유도하되,
    상기 팔레트 예측 런은 0이 아닌 재사용 플래그들 사이에 존재하는 0인 재사용 플래그의 개수에 1을 더한 값으로 부호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신호 인코딩 장치.
KR1020160011272A 2015-01-29 2016-01-29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22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4540 2015-01-29
KR1020150014541 2015-01-29
KR20150014539 2015-01-29
KR20150014540 2015-01-29
KR20150014541 2015-01-29
KR1020150014539 2015-01-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3564A KR20160093564A (ko) 2016-08-08
KR102422484B1 true KR102422484B1 (ko) 2022-07-20

Family

ID=56543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1272A KR102422484B1 (ko) 2015-01-29 2016-01-29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77243B2 (ko)
KR (1) KR102422484B1 (ko)
CN (2) CN111970515B (ko)
WO (1) WO20161222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7111A (ko) *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70832B1 (ko) * 2014-10-20 2022-11-28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96896B1 (ko) * 2015-01-15 2023-11-01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477244B2 (en) * 2015-01-29 2019-11-12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restoring a video signal using palette entry and palette mode
KR20160118945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EP3298785A4 (en) * 2015-06-03 2019-02-13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OURCE SHARING BETWEEN INTRA BLOCK COPY MODE AND INTER-PREDICTION MODE IN VIDEO CODING SYSTEMS
JP2022548582A (ja) * 2019-09-12 2022-11-21 バイトダン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映像符号化におけるパレット予測子の使用

Family Cites Families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83633A (en) * 1997-04-15 1999-03-16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of variable run length image encoding using sub-palette
US6937759B2 (en) 2002-02-28 2005-08-30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reducing image by palette modification
US6987807B2 (en) 2002-04-19 2006-01-17 Seiko Epson Corporation Frame compression using differential codes and an escape code
CN1251492C (zh) 2002-04-19 2006-04-12 精工爱普生株式会社 利用基数近似或利用差分码和转义码的帧压缩
US6937652B2 (en) 2002-04-19 2005-08-30 Seiko Epson Corporation Frame compression using radix approximation
CA2468867C (en) 2002-10-02 2011-05-03 Lg Electronics Inc. Recording medium having a data structure for managing reproduction of graphic data and recording and reproducing methods and apparatuses
CA2563122C (en) 2004-04-21 2012-02-28 Slipstream Data Inc.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color image encoding
US7525552B2 (en) 2004-04-21 2009-04-28 Slipstream Data Inc. Method, system and software product for color image encoding
TWI317914B (en) 2006-08-03 2009-12-01 Via Tech Inc Color-displayed method, color-changed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AU2006246497B2 (en) 2006-11-30 2010-02-11 Canon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hybrid image compression
EP1988703A1 (en) 2007-05-02 2008-11-05 TTPCOM Limited Image transformation
US20090010533A1 (en) 2007-07-05 2009-01-08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an encoded image
KR101631280B1 (ko) 2009-07-28 2016-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킵 모드에 기초한 영상을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JP5218333B2 (ja) 2009-08-21 2013-06-2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8600179B2 (en) 2009-09-17 2013-12-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based on skip mode
US20110110416A1 (en) 2009-11-12 2011-05-12 Bally Gaming, Inc. Video Codec System and Method
US20110112667A1 (en) 2009-11-12 2011-05-12 Bally Gaming, Inc. Gaming Audio Codec System and Method
AU2009243440A1 (en) 2009-11-30 2011-06-16 Canon Kabushiki Kaisha Optimised rendering of palette images
JP5281624B2 (ja) 2010-09-29 2013-09-04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画像符号化方法,画像復号方法,画像符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およびそれらのプログラム
CN102088604B (zh) 2011-02-10 2013-06-26 深圳创维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影片缩略图的压缩方法及压缩装置
US9154792B2 (en) 2011-11-08 2015-10-06 Qualcomm Incorporated Progressive coding of position of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US9357185B2 (en) 2011-11-08 2016-05-31 Qualcomm Incorporated Context optimization for last significant coefficient position coding
CN102523367B (zh) 2011-12-29 2016-06-15 全时云商务服务股份有限公司 基于多调色板的实时图像压缩和还原方法
CN102833463A (zh) 2012-08-13 2012-12-1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图片处理方法及设备
US20140192866A1 (en) 2013-01-09 2014-07-10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Data Remapping for Predictive Video Coding
US9654777B2 (en) * 2013-04-05 2017-05-16 Qualcomm Incorporated Determining palette indices in palette-based video coding
JP6136644B2 (ja) * 2013-06-28 2017-05-31 富士電機株式会社 半導体圧力センサ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729875B2 (en) 2013-07-08 2017-08-08 Sony Corporation Palette coding mode
US9558567B2 (en) * 2013-07-12 2017-01-31 Qualcomm Incorporated Palette prediction in palette-based video coding
JP6537511B2 (ja) 2013-12-10 2019-07-03 キヤノン株式会社 Hevcにおける改良型パレットモード
GB2528431B (en) * 2014-05-21 2020-11-18 Canon Kk Improved encoding process using a palette mode
WO2015096808A1 (en) 2013-12-27 2015-07-02 Mediatek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tax redundancy removal in palette coding
CN106031171B (zh) 2013-12-27 2019-08-30 联发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跨块预测的调色板编码的方法和装置
KR102494913B1 (ko) 2014-03-14 2023-02-06 브이아이디 스케일, 인크. 스크린 콘텐츠 코딩을 위한 팔레트 코딩
BR112016021413A2 (pt) 2014-03-17 2017-08-15 Nokia Technologies Oy Método, e aparelho
US10362336B2 (en) * 2014-03-25 2019-07-23 Qualcomm Incorporated Palette predictor signaling with run length code for video coding
US10291940B2 (en) 2014-05-23 2019-05-14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runs with escape in palette-based video coding
CA3077920C (en) * 2014-06-20 2021-11-09 Hfi Innovation Inc. Method and apparatus of binarization and context-adaptive coding for syntax in video coding
US10477204B2 (en) * 2014-06-20 2019-11-12 Sharp Kabushiki Kaisha Harmonized palette coding
US10237557B2 (en) * 2014-06-20 2019-03-19 Hfi Innovation Inc. Method of run-length coding for palette predictor
US9749628B2 (en) * 2014-07-07 2017-08-29 Hfi Innovation Inc. Methods of handling escape pixel as a predictor in index map coding
US10687064B2 (en) 2014-08-04 2020-06-16 Qualcomm Incorporated Palette mode encoding and decoding with inferred pixel scan order
US9544607B2 (en) * 2014-08-25 2017-01-10 Hfi Innovation Inc. Method of palette index signaling for image and video coding
US10158866B2 (en) 2014-09-26 2018-12-18 Qualcomm Incorporated Parsing dependency reduction for palette index coding
KR20160037111A (ko) * 2014-09-26 2016-04-05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6052977A1 (ko) 2014-10-01 2016-04-07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CN106797469A (zh) * 2014-10-06 2017-05-31 Vid拓展公司 改进的用于屏幕内容编码的调色板编码
US10097837B2 (en) * 2014-10-10 2018-10-09 Qualcomm Incorporated Palette run hiding in palette-based video coding
KR102470832B1 (ko) * 2014-10-20 2022-11-28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596896B1 (ko) * 2015-01-15 2023-11-01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477244B2 (en) * 2015-01-29 2019-11-12 Kt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restoring a video signal using palette entry and palette mode
US9986248B2 (en) * 2015-01-29 2018-05-29 Qualcomm Incorporated Palette mode coding for video coding
CN107431817B (zh) * 2015-01-29 2020-03-24 Vid拓展公司 用于调色板译码的方法及装置
US20160227254A1 (en) 2015-01-30 2016-08-04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palette run in palette-based video coding
US9942551B2 (en) * 2015-01-30 2018-04-10 Qualcomm Incorporated Palette index grouping for video coding
KR20160118945A (ko) * 2015-04-02 2016-10-12 주식회사 케이티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WO2016161967A1 (en) 2015-04-08 2016-10-13 Mediatek Inc. Methods of palette mode coding in video coding
KR102060871B1 (ko) 2015-04-08 2019-12-30 에이치에프아이 이노베이션 인크. 비디오 코딩에서의 팔레트 모드 콘텍스트 코딩 및 이진화를 위한 방법
US10448058B2 (en) * 2015-05-21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Grouping palette index at the end and index coding using palette size and run value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Vadim Seregin, et al. Non-SCCE3: Run-length coding for palette predictor, JCT-VC of ITU-T and ISO/IEC. JCTVC-R0228, 2014-07-02, pp. 1-3*
Wei-Pu, et al. AHG10: Simplification of Palette Based Coding, JCT-VC of ITU-T and ISO/IEC. JCTVC-Q0047WD-r1, 2014-03-28, pp. 1-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22251A1 (ko) 2016-08-04
CN107409224A (zh) 2017-11-28
KR20160093564A (ko) 2016-08-08
CN111970515A (zh) 2020-11-20
US10477243B2 (en) 2019-11-12
CN111970515B (zh) 2024-03-29
CN107409224B (zh) 2020-09-08
US20180020236A1 (en) 2018-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15121B1 (ko) 쿼드 트리를 이용한 블록 정보 부/복호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장치
US1174347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video signal
KR102596896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22484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484713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edicting and restoring a video signal using palette entry and palette escape mode
KR102422485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470832B1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US1046987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and restoring a video signal using palette entry
US20200112714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video signal
KR20220019731A (ko) 비디오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160122080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4040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60131939A (ko) 비디오 신호 처리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