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473B1 -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473B1
KR102421473B1 KR1020150138416A KR20150138416A KR102421473B1 KR 102421473 B1 KR102421473 B1 KR 102421473B1 KR 1020150138416 A KR1020150138416 A KR 1020150138416A KR 20150138416 A KR20150138416 A KR 20150138416A KR 102421473 B1 KR102421473 B1 KR 102421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candidate
communication device
band
histor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373A (ko
Inventor
김도윤
유현석
박원석
유정균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38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473B1/ko
Priority to US15/094,231 priority patent/US10218451B2/en
Priority to TW105112020A priority patent/TWI709313B/zh
Priority to CN201610325748.8A priority patent/CN106561011B/zh
Publication of KR201700393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3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86Search parameters, e.g. search strategy, accumulation length, range of search,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04L27/2655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L27/2662Symbol synchronisation
    • H04L27/2665Fine synchronisation, e.g. by positioning the FFT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03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 H04J2011/0006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with CDM/C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03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 H04J2011/0013Combination with other multiplexing techniques with TDM/TD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신호 및 제2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주파수 이력 정보(frequency history informa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제1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각의 수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정해진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한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Communication device performing carrier search in TD-SCDMA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TDD 기반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셀 서치를 위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TDD 시스템인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방식은 일반적으로 수신전력에 기반하고 있다. 도 1은, 수신전력에 기초하여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스 1 내지 케이스 4에서는 상기 TD-SCDMA 시스템에서의 1-주파수 네트워크인 경우에서의 주파수 스캔 결과(다시 말하면, 고속 푸리에 변환(FFT) 결과)를 나타내고, 케이스 5 내지 케이스 8에서는 상기 TD-SCDMA 시스템에서의 N-주파수 네트워크인 경우에서의 주파수 스캔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N-주파수 네트워크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차 주파수(primary frequency)와 2차 주파수(secondary frequency)가 서로 상이한 네트워크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2차 주파수는,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워킹 주파수(working frequency)"라고 언급될 수 있다. 수신전력을 기초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스캔 결과가 도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정보는 본 개시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백그라운드(background) 정보로서만 제시될 뿐이다. 상기 내용 중 어느 것이라도 본 발명에 관한 종래 기술로서 적용 가능할지 여부에 관해, 어떤 결정도 이루어지지 않았고, 또한 어떤 주장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TD-SCDMA 시스템에서의 N-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셀 서치를 수행하는 방법에 따르면, 수신전력만을 기초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바, 도 1의 상기 케이스 6의 경우에 있어서, 2차 주파수인 f2가 셀 서치를 위한 주파수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2차 주파수를 기초로 셀 서치를 수행하게 되어, 정확한 셀 서치를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르면, TD-SCDMA 신호 수신을 위해 넓은 대역폭(예를 들어, LTE 대역폭(bandwidth)을 사용한 TD-SCDMA 신호 수신)을 단일의 무선 경로(single Rx path)를 통하여 지원하는 디바이스가 제공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넓은 대역폭을 단일의 무선 경로를 통하여 지원하면서도, 수신전력 및 주파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셀 서치를 위한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술한 종래의 기술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셀 서치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넓은 대역폭을 단일의 무선 경로를 통하여 지원하면서도, 수신전력 및 주파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셀 서치를 위한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술한 종래의 기술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셀 서치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넓은 대역폭을 단일의 무선 경로를 통하여 지원하면서도, 수신전력 및 주파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셀 서치를 위한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술한 종래의 기술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셀 서치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넓은 대역폭을 단일의 무선 경로를 통하여 지원하면서도, 수신전력 및 주파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셀 서치를 위한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술한 종래의 기술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셀 서치를 수행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을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신호 및 제2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주파수 이력 정보(frequency history informa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제1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각의 수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정해진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한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신호 및 제2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제1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전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각각의 수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정해진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한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은, 주파수 이력 정보(frequency history informa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신호 및 제2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신호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제1 신호 각각에 대한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각의 수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정해진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한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개시에 따르면, 넓은 대역폭을 단일의 무선 경로(예를 들어, LTE 광(wide) 대역폭)를 통하여 지원하면서도, 수신전력 및 주파수 이력 정보를 기초로 셀 서치를 위한 후보 주파수를 결정하여, 상술한 종래의 기술보다 신속하고 정확한 캐리어 서치 및/또는 셀 서치를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기 기술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효과가 본 개시에 내재되어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수신전력에 기초하여 셀 서치를 수행하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밴드(예를 들면, 밴드 A)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후보 주파수 셋 및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는 기능 또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주파수 이력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밴드(예를 들면, 밴드 F)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개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 1 사용자 기기와 제 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개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 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 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제어 모듈"은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제어 모듈(예: 임베디드 제어 모듈), 또는 저장 모듈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제어 모듈(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개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개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개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개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 및 사용자 단말이 설명된다. 본 개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람, 통신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장치(예를 들면, 인공지능 디바이스)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사람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사용하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는, 트랜시버(201), 프로세서(202), 메모리(203), 아날로그 LPF(Low Pass Filter, 204) 및 A/D(analog/digital) 컨버터(20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랜시버(201)는,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와 외부 장치(예를 들면, 제1 외부 전자 장치(230), 제2 외부 전자 장치(240), 또는 서버(250))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트랜시버(201)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220)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트랜시버(201)"는, "통신 모듈"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와 같은 다양한 용어들로 대체되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TD-SCDMA(Time Division-Synchronous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220)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2)는, 통신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2)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2)는,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라는 용어는, 일부 실시예들에서는, "제어 모듈", "제어부(unit)" 또는 "컨트롤러(controller)"와 같은 다양한 용어들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2)는, 신호의 수신 및/또는 처리를 위하여 상기 아날로그 LPF(204) 및 상기 A/D 컨버터(205)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3)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203)는,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03)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커널, 미들웨어,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API))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a에서는, 상기 메모리(203)가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에 포함되는 경우가 도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메모리(203)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의 제조 과정에서 생략되어 제조될 수도 있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가 구비된 사용자 단말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은,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 디스플레이(212)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21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2)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312)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12)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210)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출력 인터페이스(214)는 상기 사용자 단말(210)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 단말(210)은, 저장 모듈(예를 들면, 메모리) 또는 프로세서(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1 밴드(예를 들면, 밴드 A)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제1 밴드(예를 들면, 상기 TD-SCDMA가 지원하는 밴드 A)에 포함되는 신호(예를 들면,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는 동작(3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 A는 15MHz의 대역폭(2010MHz 내지 2025MHz)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파라미터 값은,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중심 주파수 값, 상기 아날로그 LPF(204)의 대역폭 및 상기 A/D 컨버터(205)의 샘플링 레이트(sampling rat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중심 주파수는 2017.4 MHz 또는 2017.6 MHz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아날로그 LPF(204)의 대역폭은 15Mhz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A/D 컨버터(205)의 샘플링 레이트는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아날로그 LPF(204)가 15MHz의 대역폭을 지원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상기 아날로그 LPF(204)의 대역폭은 상기 15MHz보다 작은 대역폭으로 나뉘어져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동작 300은 상기 프로세서(20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에 대한 DC 오프셋을 추정 및 제거하는 동작(310) 및 상기 DC 오프셋이 제거된 신호에 대해서 미리 지정된 측정 주기에 따라 고속 푸리에 변환(FFT)을 수행하는 동작(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을 통하여 상기 수신된 제1 신호에 대한 수신전력이 측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은, 5msec 구간(즉, 1-서브프레임)을 기본 단위로 하여 수행될 수 있고,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의 결과로서 M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서 수행된 평균값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동작 310 및 상기 동작 320은 상기 프로세서(20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고속 푸리에 변환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셀 서치를 위한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는 동작(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은, 상기 측정된 수신전력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세기(또는, 크기) 이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동작 320에 따라 결정된 수신 전력의 순위 셋(4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 중에서, 미리 지정된 수신전력 세기 이상의 세기를 가지는 주파수들(예를 들면, f1 내지 f4)이 제1 후보 주파수 셋(41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동작 330은 상기 프로세서(20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한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는 동작(3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400, 5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주파수(502)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주파수(504)가 테이블의 형식으로 상기 메모리(203)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주파수 이력정보(500)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주파수가 fs0인 경우에 제1 주파수는 fp0 이었음을 나타낸다.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400, 500)는, 상기 통신 디바이스(200) 또는 상기 사용자 단말(210)이 상기 N-주파수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한 기록을 기초로 생성되고, 상기 메모리(203)에 저장될 수 있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410)의 각각의 주파수(즉, f1 내지 f4)를 2차 주파수로 가정한 경우에,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420)를 참조하면, 주파수 f1에 대응하는 1차 주파수에 대한 이력은 없으며, 주파수 f2에 대응하는 1차 주파수는 f7이며, 주파수 f3에 대응하는 1차 주파수는 f3이며, 주파수 f4에 대응하는 1차 주파수는 f3일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202)는, 상기 주파수 f3는 이미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410)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410)에 상기 주파수 f7을 추가(다른 말로, 업데이트)하여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430)을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420, 500)에 저장된 제1 주파수(502) 및 제2 주파수(504)의 밴드 타입(예를 들면, 밴드 A, 밴드 F)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420)에 저장된 1차 주파수 및 2차 주파수는 서로 동일한 주파수(즉, 상술한 "주파수 f3")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주파수 이력 정보"라는 용어는 "N-주파수 정보"라는 용어로 대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의 각각의 주파수에 대한 동기 검출을 수행하는 동작(350) 및 상기 동기 검출 수행 결과,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36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동기 검출을 수행하는 순서는 상기 수신전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360 동작은,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각각의 모든 주파수에 대한 동기 검출을 상기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상기 셀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검출된 경우, 상기 순서에 따라 가장 센 수신 전력을 가지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을 연결 셀(또는, 대상(target) 셀)로 결정할 수 있다.
또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360 동작은, 상기 수신전력이 높은 순서에 따라 상기 동기 검출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검출되면 나머지 주파수에 대한 동기 검출은 수행하지 아니하고, 상기 동기 검출의 결과를 기초로 상기 셀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검출된 셀을 연결 셀(다른 말로, 대상(target) 셀)로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430)에 새롭게 추가되는 주파수(예를 들면, 상기 "주파수 f7")에 대한 동기 검출을 수행하는 순서는 마지막 순서로 지정될 수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2)는 상기 새롭게 추가되는 주파수에 우선권을 부여하여 가장 먼저 동기 검출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으며, 이 외에도 다양한 방법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200)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동기 검출 결과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전력 순위 셋(400)에 포함된 주파수들 중에서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제외한 다른 주파수들에 대해서 동기 검출을 수행하는 동작(3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370은, 상기 프로세서(20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TD-SCDMA시스템에서 셀 서치를 위하여 종래의 기술에 따라 모든 캐리어 주파수의 수신전력을 측정한다면, 밴드 A 및 밴드 F의 총 261(=68 + 193)개의 캐리어를 모두 측정해야 한다. 만약, 최소 5(msec) 단위로 상기 수신전력을 측정한다고 가정하면, 셀 서치를 위한 수행시간은 1.305초(sec)가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밴드 A 및 밴드 F 모두에 대해서 수신전력을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밴드 수)*5(서브프레임 길이)*M(평균 서브프레임(average subframe) 수)(msec)로서, 종래 기술에 따른 셀 서치를 위한 수행시간보다 감소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소모 전력을 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평균 서브프레임 수를 10으로 가정하면, 상기 수신전력을 측정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100(msec)가 될 수 있다. 이는 상기 1.305초(sec)보다 1/10 이하로 감소된 시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밴드(예를 들면, 밴드 F)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 도면이다. 상기 밴드 F는, 40MHz의 대역폭(1880 MHz- 1920 MHz)을 가질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제2 밴드(예를 들면, 밴드 F)에서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은, 상기 도 3의 동작 300에서 "제1 신호"가 "제2 신호"로 변경된 내용 이외에 대해서는 도 3과 관련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동작 600에서는, 상기 중심 주파수를 1900 MHz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아날로그 LPF(204)의 대역폭은 40Mhz이상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A/D 컨버터(205)의 샘플링 레이트는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기 위하여 미리 지정된 값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날로그 LPF(204)의 대역폭은 상기 40MHz보다 작은 대역폭으로 나뉘어져 설정될 수도 있다. 상기 동작 600은 상기 프로세서(202)에 의하여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도 3에 도시된 동작들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에 따라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도 6에 도시된 동작들에 따라 상기 제2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 후, 상기 도 3에 도시된 동작들에 따라 상기 제1 신호에 대한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제어 모듈(예: 상기 프로세서(202))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제어 모듈이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메모리(203)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또는 플래시 저장 모듈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개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에서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통신 디바이스
201: 트랜시버
202: 프로세서
203: 메모리
204: 아날로그 LPF
205: A/D 컨버터
210: 사용자 단말

Claims (20)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신호들 및 제2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주파수 이력 정보(frequency history informa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각의 수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하여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된 주파수 중에서,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서 2차 주파수로 사용되었던 제2 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은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하여 1차 주파수로 사용된 제2 주파수를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는,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 따른 밴드 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TD-SCDMA에 따른 밴드 F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은, 상기 측정된 수신전력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세기 이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는, N-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상기 1차 주파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1차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주파수는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서 상기 2차 주파수에 매핑되고, 및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의 상기 2차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와 동일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전력을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된 상기 제1 주파수에 대한 동기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
  8.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신호들 및 제2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수신전력을 측정하는 과정과,
    상기 측정된 각각의 수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저장된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하여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된 주파수 중에서,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서 2차 주파수로 사용되었던 제2 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은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하여 1차 주파수로 사용된 제2 주파수를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는,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에 따른 밴드 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TD-SCDMA에 따른 밴드 F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은, 상기 측정된 수신전력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세기 이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는, N-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상기 1차 주파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1차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주파수는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서 상기 2차 주파수에 매핑되고, 및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의 상기 2차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와 동일한 것인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전력을 측정하는 과정은, 고속 푸리에 변환(fast Fourier transform: FFT)의 수행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수신전력을 측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은,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된 상기 제1 주파수에 대한 동기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방법.
  15.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하는 단말(User Equipment; UE)에 있어서,
    주파수 이력 정보(frequency history information)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 디바이스는,
    제1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1 신호들 및 제2 밴드에 포함되는 복수의 제2 신호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신호를 수신하는 트랜시버; 및
    상기 트랜시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수신된 복수의 제1 신호들 각각에 대한 수신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각각의 수신전력의 세기에 따라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을 업데이트(update)하여 제2 후보 주파수 셋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되는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된 주파수 중에서,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서 2차 주파수로 사용되었던 제2 주파수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은 상기 제2 주파수에 대응하여 1차 주파수로 사용된 제2 주파수를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하여 결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밴드는, TD-SCDMA(time division synchronous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 따른 밴드 A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밴드는, 상기 TD-SCDMA에 따른 밴드 F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후보 주파수 셋은, 상기 측정된 수신전력의 세기가 미리 지정된 세기 이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주파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는, N-주파수 네트워크에서, 상기 1차 주파수에 관한 정보 및 상기 1차 주파수에 대응하는 상기 2차 주파수에 관한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1차 주파수는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에서 상기 2차 주파수에 매핑되고, 및 상기 주파수 이력 정보의 상기 2차 주파수는 상기 제2 주파수와 동일한 것인, 사용자 단말.
  20.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후보 주파수 셋에 포함된 상기 제1 주파수에 대한 동기 검출을 수행하여 상기 제1 주파수에 대응하는 셀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KR1020150138416A 2015-10-01 2015-10-01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21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16A KR102421473B1 (ko) 2015-10-01 2015-10-01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15/094,231 US10218451B2 (en) 2015-10-01 2016-04-08 Communication device for performing carrier search in TD-SCDMA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TW105112020A TWI709313B (zh) 2015-10-01 2016-04-18 在td-scdma系統中執行載波搜尋的通訊裝置及其控制方法、以及包含通訊裝置的使用者設備
CN201610325748.8A CN106561011B (zh) 2015-10-01 2016-05-17 用于执行载波搜索的通信装置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416A KR102421473B1 (ko) 2015-10-01 2015-10-01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373A KR20170039373A (ko) 2017-04-11
KR102421473B1 true KR102421473B1 (ko) 2022-07-18

Family

ID=58448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416A KR102421473B1 (ko) 2015-10-01 2015-10-01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218451B2 (ko)
KR (1) KR102421473B1 (ko)
CN (1) CN106561011B (ko)
TW (1) TWI7093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02792B (zh) * 2019-10-18 2022-08-1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终端的接入方法、频段分配方法、装置及服务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725A (ja) * 2002-01-21 2005-08-25 シーメンス モービル 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タイムスロットシステムにおいて初期セルサーチを行う方法及び移動局
US20120195264A1 (en) 2009-10-05 2012-08-02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20150146627A1 (en) * 2013-11-22 2015-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plmn search tim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53C (zh) * 2000-03-27 2003-12-17 信息产业部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码分多址数字移动通信系统的小区初始搜索方法
KR100539779B1 (ko) * 2002-12-31 2006-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주파수 탐색 방법
CN1263322C (zh) 2003-08-06 2006-07-05 大唐移动通信设备有限公司 Td-scdma移动通信系统小区初始搜索中的增益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5725A (ja) * 2002-01-21 2005-08-25 シーメンス モービル コミュニケイションズ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タイムスロットシステムにおいて初期セルサーチを行う方法及び移動局
US20120195264A1 (en) 2009-10-05 2012-08-02 Ntt Docomo, Inc.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sta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power control method
US20150146627A1 (en) * 2013-11-22 2015-05-2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plmn search ti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720117A (zh) 2017-06-01
CN106561011A (zh) 2017-04-12
KR20170039373A (ko) 2017-04-11
US10218451B2 (en) 2019-02-26
CN106561011B (zh) 2020-03-27
TWI709313B (zh) 2020-11-01
US20170099116A1 (en)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8875B2 (en) Method for managing beacon, terminal device, server and storage medium
EP3384710B1 (en) Method for selecting external electronic device based on data traffic rate
US9104444B2 (en) Mobile application configuration
US9507008B1 (en) Location determination by correcting for antenna occlusion
EP3016455A1 (en) Mobile communication using a plurality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11190959B2 (en)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KR102341280B1 (ko)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US201202809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acilitating interacting with a multimodal user interface
KR20170046443A (ko) 주파수 간의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40138795A (ko) 모바일 장치의 위치 추정 장치, 시스템 및 방법
US20180227921A1 (en) System and method for improved band-channel scanning and network switching
US201503011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satellite system
WO201609518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ding nodes to a computing cluster
US9681258B2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radio communication method, computer-readable medium, slave device, and master device
US10431180B1 (en) Predictive pre-rendering of content and updating of pre-rendered content prior to display
US10649753B2 (en) Enabling user device application modularity
KR102421473B1 (ko) Td-scdma 시스템에서 캐리어 서치를 수행하는 통신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375627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단말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114800A (ko) 전자 장치에서 신호 품질 향상 방법 및 장치
US11171701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communications and method for operating same
US2016003728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a scanning operation
US9998317B2 (en) Method of detecting synchronization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16013335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위치 추정 장치 및 방법
KR102541244B1 (ko) 위치 추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전자 장치
US9374762B2 (en) Electronic device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utilizing geolocation service prov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