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123B1 -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 Google Patents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123B1
KR102421123B1 KR1020190165350A KR20190165350A KR102421123B1 KR 102421123 B1 KR102421123 B1 KR 102421123B1 KR 1020190165350 A KR1020190165350 A KR 1020190165350A KR 20190165350 A KR20190165350 A KR 20190165350A KR 102421123 B1 KR102421123 B1 KR 102421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e dust
insect screen
frame
shaf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535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74554A (en
Inventor
김정회
이다민
Original Assignee
김정회
이다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회, 이다민 filed Critical 김정회
Priority to KR10201901653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123B1/en
Publication of KR20210074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455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1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E06B2009/524Mesh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및 흡탈진방식의 순환장치를 방충망에 적용하여 다양한 대기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의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의 방충망 프레임과,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충망, 상기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마련된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방충망의 외측방향에 설치되며, 소정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에 의해 무한 회전하는 벨트 방식의 미세먼지 차단망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한다. 미세먼지 차단망의 회전에 따라 와이어에는 물이 묻게 되고, 따라서 물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미세먼지를 더 잘 흡착할 수 있어, 미세먼지 차단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screen with a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that can remove various air pollutants by applying a wet and dust-absorbing and desorption type circulation device to the insect scree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ctangular frame-shaped insect screen frame, an insect screen installed inside the insect screen frame, first and second shafts provided on the upper frame and lower frame of the frame, and the insect screen install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screen, and a predetermined power source It includes a belt-type fine dust blocking net that rotates infinitely by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driven by the . And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and the second shaft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As the fine dust blocking net rotates, the wire gets wet with water, so fine dust can be better absorb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maximizing the fine dust blocking effect.

Description

미세먼지 저감 기능의 방충망 조립체{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본 발명은 방충망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습식 및 흡탈진방식의 순환장치를 방충망에 적용하여 다양한 대기 오염원을 제거할 수 있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의 방충망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sect scree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nsect screen with a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that can remove various air pollutants by applying a wet and dust absorption type circulation device to the insect screen.

건물이나 주택에는 통풍 및 환기를 위하여 창문이 설치된다. 그러나 창문 개방시 외부로부터 모기, 나방, 파리 등과 같은 해충이 침입하게 되므로, 이러한 해충들의 실내 유입을 방지하도록 창문에 방충망을 설치하고 있다. Windows are installed in buildings and houses for ventilation and ventilation. However, when the window is opened, pests such as mosquitoes, moths, flies, etc. enter from the outside.

그러나 이러한 방충망은 최근들어 심해지고 있는 황사나 미세먼지, 초미세먼지(이하 미세먼지라 칭하기로 함) 등을 차단할 수 없다. 방충망의 구멍을 통해 유입되는 미세먼지 등은 실내 공기 질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치는 실정이다. 그래서 소정 입자크기의 미세먼지 유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충망 대신 또는 방충망과 함께 미세먼지 차단망을 이중구조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However, these insect screens cannot block yellow dust, fine dust, and ultrafine du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fine dust), which are getting worse in recent years. Fine dust, etc. introduced through holes in insect screens has a serious adverse effect on indoor air quality.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inflow of fine dust of a predetermined particle size, there are more cases in which the fine dust blocking net is installed in a double structure instead of or together with the insect screen.

이러한 미세먼지의 차단 구조가 적용된 예를 살펴보면, 2019년 10월 1일자로 등록된 한국등록특허 10-2029719호('선행기술 1')를 보면, 방충망 프레임의 내부 외측 방향에 그물망 구조를 가진 방충망을 결합하고, 방충망에 정전기를 발생시켜 방충망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려는 미세먼지를 집진하여 제거하는 구조가 개시된 방충망을 이용한 미세먼지 차단시스템이 공개된 바 있다. Looking at an example in which such a fine dust blocking structure is applied, see Korean Patent No. 10-2029719 ('Prior Art 1') registered on October 1, 2019, an insect screen having a mesh structure o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screen frame A system for blocking fine dust using an insect screen has been disclosed, in which a structure for collecting and removing fine dust that is about to flow into a room through the screen is disclosed by combining the device and generating static electricity in the screen.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 1은 방충망에 전기적으로 정전기 발생 및 제거장치가 연결되어야 하며, 창문의 개방정도를 센싱하는 센서, 또한 창문이 개방된 경우에 정전기 발생 및 제거장치를 구동하여 방충망에 접촉되는 미세먼지를 흡착 및 제거하도록 하는 제어부 등의 구성이 반드시 필요하다. 그만큼 시스템 구성이 복잡하고 설치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However, in this prior art 1, a device for generating and removing static electricity must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creen, and a sensor for sens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window, and also a device for generating and removing static electricity when the window is opened, to drive the device for generating and removing static electricity to contact the screen. A configuration such as a control unit that adsorbs and removes is absolutely necessary. As such, the system configuration is complicated and installation is not easy.

다른 선행문헌으로, 2019년 10월 8일에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10-2019-0113203호('선행기술 2')를 살펴보면, 방충망의 일측에 미세먼지 차단방충망을 설치하여 미세먼지를 차단하도록 하는 미세먼지 차단방충망이 공개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 2는 방충망과 차단방충망이 2중으로 프레임에 고정된 구조이다. 즉 기존 방충망의 내측에 차단방충망을 설치하는 구조이다.As another prior document, looking at 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9-0113203 ('Prior Art 2') published on October 8, 2019, a fine dust blocking screen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creen to block fine dust. A fine dust-blocking insect screen is being released. The prior art 2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sect screen and a screen block are fixed to the frame in a double layer. That is, it is a structure in which a blocking insect screen is installed inside the existing insect screen.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 2는 차단방충망이 창문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랜 사용에 따라서 차단 방충망에 미세먼지 등이 그대로 달라붙을 수 있어, 그때마다 차단 방충망을 분해 후 청소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만약 청소를 하지 않는 경우 방충망의 미세한 통로를 먼지 등이 막아, 미세먼지를 차단할 수는 있지만 환기나 통풍 기능이 전혀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in the prior art 2, the blocking screen is fixed to the window frame. Therefore, according to long-term use, fine dust may stick to the blocking screen as it is, and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blocking screen must be disassembled and cleaned each time. If cleaning is not done, dust can block the fine passages of the insect screen, but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ine dust, but ventilation or ventilation functions cannot be performed at all.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간단한 구조 변경만으로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의 저감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n insect screen assembly capable of maximizing the effect of reducing fine dust introduced into a room only by a simple structural chang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방충망의 외측에 마련된 차단망이 계속 순환구동하면서 미세먼지를 습식방식으로 흡착 포집하여, 미세먼지의 유입을 충분히 차단할 수 있게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sect screen assembly capable of sufficiently blocking the inflow of fine dust by adsorbing and collecting fine dust in a wet manner while the blocking net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insect screen continues to circulate.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각틀 형상의 방충망 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충망; 상기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마련된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방충망의 외측방향에 설치되며, 소정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에 의해 무한 회전하는 벨트 방식의 미세먼지 차단망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rectangular frame-shaped insect screen frame; an insect screen installed inside the insect screen frame; first and second shafts provided o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frame; and a belt-type fine dust blocking net install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sect screen and rotated infinitely by a first shaft or a second shaft driven by a predetermined power source, wherein the lower frame include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is formed, and the second shaft provides an insect screen assembly, characterized in that it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의 외측 표면의 태양광 패널;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만들어진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Preferably, a solar pane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or the lower frame; It is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by us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as a power source.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은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따른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흡착한다. Preferably,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adsorbs fine dust by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water contained in the storage unit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바람직하게, 상기 전기 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 운동에 따라 자유낙하하는 낙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Preferably, fine dust can be removed by using falling water that freely falls according to a pump motion driven by the electric energy.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은, 종배열로 다수의 와이어가 배치되게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 표면에는 버(burr)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a vertical arrangement, and a burr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ire.

바람직하게,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은, 다수의 와이어가 종횡방향으로 배열되어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와이어 표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burr)가 형성된다. Preferably, in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a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mesh, and burrs protruding upward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all the wir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s.

바람직하게,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은, 다수의 와이어가 상부 횡 방향의 다수의 미세 홀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을 통하여 펌핑된 물이 상부 미세홀을 거쳐 와이어를 타고, 상기 종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와이어 표면에 낙수가 흐르도록 유로 가이드가 형성된다.Preferably,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is formed as a mesh in which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plurality of fine holes in the upper transverse direction, and water pumped through the mesh is passed through the upper fine holes and rides the wire. , a flow path guide is formed so that the falling water flows on the surfaces of all the wir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저감 기능의 방충망 조립체에 따르면, 방충망의 외측방향으로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미세먼지 차단망이 설치된다. 그리고 미세먼지 차단망은 벨트 방식으로 무한 회전하는 구조이다. 따라서 실외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를 종래보다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insect screen assembly having the function of reducing fine dus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fine dust blocking network for adsorbing fine dust by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sect screen is installed. And the fine dust blocking net is a belt-type structure that rotates infinitely.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lock fine dust flowing into the room from the outside more effectively than before.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망에 흡착된 미세먼지가 다시 물과의 접촉에 의해 제거되는 효과도 기대할수 있다. 그러기 때문에 미세먼지 차단망을 분리하여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expect the effect that the fine dust adsorbed to the fine dust blocking net is removed by contact with water again.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hassle of having to separate and clean the fine dust blocking net.

또한 본 발명은 미세먼지 차단망을 태양열을 이용하여 구동시킬 수 있어, 상시전원이나 배터리 사용에 따른 불편함을 방지할 수 있고,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프레임 내에 설치가능하기 때문에, 전원선 등을 연결해야 하는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drive the fine dust shielding network using solar heat, so it is possible to prevent inconvenience caused by the use of constant power or battery, and since it can be installed in the frame even if a battery is used, a power line, etc. must be connected no problem arise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방충망 조립체의 전면도
도 2는 도 1의 방충망 조립체에 적용된 프레임과 종래 프레임의 비교를 위한 구성도
도 3은 도 1의 방충망 조립체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하부 프레임의 A부 확대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미세먼지 차단망 및 미세먼지 차단망에 구비된 와이어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1 is a front view of an insect screen assembly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comparison of the frame applied to the insect screen assembly of Figure 1 and the conventional frame;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insect screen assembly of Figure 1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the lower frame of Figure 3;
5 and 6 are views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wire provided in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and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Object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echnical configuration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intentions or customs of users and operators.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Only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it will only b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본 실시 예는 소정 구동력에 의하여 무한 반복 순환하며,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나 오염물 등을 흡착 제거하도록 미세먼지 차단망이 방충망의 프레임에 설치되어, 미세먼지의 내부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방충망 조립체를 제공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ycle is infinitely repeated by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and a fine dust blocking net is installed in the frame of the insect screen to adsorb and remove fine dust or contaminants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thereby effectively preventing the internal penetration of fine dust. There is a technical feature to provide a screen assembly that ha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하고 있는 방충망 조립체(1)의 전면도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사각형상의 방충망 프레임(10)이 제공된다. 그리고 방충망 프레임(10)은 상/하/좌/우 개별 프레임(20, 30, 40, 50)이 서로 연결되는 구조이며, 소정 길이 및 너비를 가지도록 성형된다. As in the front view of the insect screen assembly (1) shown in Figure 1,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insect screen frame (10). And the insect screen frame 10 has a structure in which upper/lower/left/right individual frames 20, 30, 40, and 5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width.

본 실시 예에서 방충망 프레임(10)의 하부 프레임(30)은 일반적인 프레임 형상과 상이하다. 일반적인 하부 프레임 구조와 본 실시 예의 하부 프레임 구조의 비교는 도 2를 보면 알 수 있다. 도 2(a)는 종래 하부 프레임의 단면도, 도 2(b)는 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30)의 단면도로서, 이를 보면, 일정 형성과 골격을 가지는 본체(310) 및 본체(310) 하측에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끼워지는 레일 홈(32), 그리고 본체(31) 상측에 소정 크기의 저장공간(3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저장공간(33)에는 물과 같은 액체가 저장되는 공간을 말하며, 구동력에 의해 순환되는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물과 접촉되도록 만들어지는 공간이라 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the lower frame 30 of the insect screen frame 10 is different from a general frame shape. A comparison between the general lower frame structure and the lower frame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seen with reference to FIG. 2 . 2(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lower frame, and FIG. 2(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ower frame 3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 rail groove 32 into which a guide rail (not shown) is fitted on the lower side, and a storage space 33 of a predetermined size ar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31 . The storage space 33 refers to a space in which a liquid such as water is stored, and it will be referred to as a space in which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circulated by the driving force is made to come into contact with water.

즉 본 실시 예의 하부 프레임(30)은 일반적인 방충망 프레임의 하부 프레임과 비교하면 물을 저장하는 저장공간(33)이 더 성형되는 것에 차이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at is, the lower frame 30 of this embodiment will be different in that the storage space 33 for storing water is further molded compared to the lower frame of the general insect screen frame.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방충망 프레임(10)에서 상부 프레임(20)과 하부 프레임(30)에는 제1, 제2 샤프트(60, 70)가 설치된다. 상부 프레임(20)에 마련된 제1 샤프트(60)와 하부 프레임(30)에 마련된 제2 샤프트(70)에는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감싸질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따라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100)은 소정 구동력에 의해 샤프트(60, 70)가 회전하는 것에 따라 무한궤도방식으로 순환 회전된다.1 and 3 , first and second shafts 60 and 70 are installed in the upper frame 20 and the lower frame 30 in the insect screen frame 10 of this embodiment. The first shaft 60 provided in the upper frame 20 and the second shaft 70 provided in the lower frame 30 ar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so that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can be wrapped, thus blocking the fine dust The mesh 100 is cyclically rotated in an endless track method as the shafts 60 and 70 rotate by a predetermined driving force.

제1 샤프트(60)에는 구동축(61)이 연결되고, 구동축(61)은 구동모터(미도시)와 연결된다. 물론 이러한 구동축이 없고 구동모터와 샤프트(60)을 직접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나, 그 사이에는 하나 이상의 기어군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샤프트(60)와 제2 샤프트(70)에 모두 구동력이 인가되게 할 수 있으나, 도면과 같이 어느 하나의 샤프트(즉, 제1 샤프트)만 회전하게 되면 다른 샤프트(즉, 제2 샤프트) 및 미세먼지 차단망도 회전할 수 있다. 즉 제2 샤프트(70)에 구동축을 연결할 수 있거나 2개의 샤프트(60, 70) 모두에 구동축을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A driving shaft 61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60 , and the driving shaft 61 is connected to a driving motor (not shown). Of course, there is no such a drive shaft and it is also possible to directly connect the drive motor and the shaft 60, but it is preferable that one or more gear groups are installed therebetween. In addition, although the driving force may be applied to both the first shaft 60 and the second shaft 70, as shown in the figure, when only one shaft (ie, the first shaft) rotates, the other shaft (ie, the second shaft) ) and fine dust blocking net can also be rotated. That is, the driving shaft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shaft 70 or the driving shaft may be connected to both shafts 60 and 70 .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100)의 무한 회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샤프트(60) 및 제2 샤프트(70) 중 어느 하나의 샤프트에만 동력원이 제공되면 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동력원은 태양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하부 프레임(30)의 외측면에는 태양광 패널(200)이 설치된다. 태양광 패널(200)을 이용하여 빛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여 발전시킨다. 이러한 에너지 변환에 대한 구성은 일반적이라 할 수 있어 본 발명에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Infinite rotation of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as described above, only needs to be provided with a power source to any one of the first shaft 60 and the second shaft 70 .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power source may use solar energy. To this end, the solar panel 200 is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frame 30 . The solar panel 200 is used to convert light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to generate electricity. The configuration for such energy conversion can be said to be general, so it will be omitted in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3과 같이 태양광 패널(200)은 하부 프레임(30)과 평행하게 설치하고 있으나, 태양광을 더 수광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될 수도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although the solar panel 200 is installed parallel to the lower frame 30 as shown in FIG. 3, it may be installed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to further receive sunlight.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는 태양광 패널(2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광 패널(200)이 하부 프레임(30)에 마련된다면 구동모터 역시 하부 프레임(30)에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이 경우 제2 샤프트(70)에만 구동력이 인가되면 된다. Preferably, since the driving motor is preferably installed adjacent to the solar panel 200 , if the solar panel 200 is provided in the lower frame 30 as shown, the driving motor is also installed in the lower frame 30 . will have to be installed In this case, the driving force only needs to be applied to the second shaft 70 .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태양광 패널(200)이 사용될 경우 태양광 패널(200)에 의해 생산되는 전기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축전지(미도시)가 프레임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전기 에너지의 저장에 의하여 야간에도 미세먼지 차단망(100)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hen the photovoltaic panel 200 is used, it is preferable that a storage battery (not shown) capable of storing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photovoltaic panel 200 is provided in the frame. This is because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can be driven even at night by storing electrical energy.

한편 태양광 패널(200)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것 대신에 소형 배터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배터리는 프레임 내에 설치하고, 구동모터에 공급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Meanwhile,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small battery instead of using the solar panel 200 as a power source. In this case, the battery should be installed in the frame and able to supply the driving motor.

상기 하부 프레임(30)의 구조는 도 4를 참조하여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The structure of the lower frame 3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

제1 샤프트(60) 및 제2 샤프트(70)에 감아진 미세먼지 차단망(100)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해야, 미세먼지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즉 팽팽한 상태가 되어야만 와이어에 물이 충분히 묻게 되고, 물의 표면장력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세먼지 차단망(100)의 텐션을 유지하는 텐션 조절장치(80)가 설치된다.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wound around the first shaft 60 and the second shaft 70 must always be kept in a taut state to more effectively block fine dust. That is, only when the wire is in a taut state, the wire is sufficiently soaked with water, and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can be effectively used. Therefore, the tension adjusting device 80 for maintaining the tension of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is installed.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끼워지는 레일 홈(32)이 요입되게 형성되며, 상측에 저장공간(33)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An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seen that the rail groove 32 into which the guide rail (not shown) is fitted is formed to be concave, and the storage space 33 is formed on the upper side.

상기 저장공간(33)에 제2 샤프트(70)가 위치한다. 이렇게 하면 제2 샤프트(70)가 회전할 때 그 제2 샤프트(7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회전하는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물을 흡수하게 되고, 따라서 물의 표면장력에 의하여 미세먼지 등을 더 용이하게 흡착할 수 있을 것이다.A second shaft 70 is positioned in the storage space 33 . In this way, when the second shaft 70 rotates,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which rotates while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70, absorbs water, and thus the fine dust is removed by the surface tension of the water. more easily adsorbed.

도면부호 1은 방충망 프레임(10)에 설치된 방충망이다. 즉 본 발명은 방충망 프레임(10)에 방충망(1) 및 방충망(1)의 외측으로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함께 구성되는 것이다. Reference numeral 1 denotes an insect screen installed in the insect screen frame 10 .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sect screen (1) and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are configured together on the outside of the insect screen (1) in the insect screen frame (10).

본 실시 예에 따른 미세먼지 차단망(100)은 제1 샤프트(60)와 제2 샤프트(70)의 외주면을 감싸면서 설치되고, 동력원에 의해 제2 샤프트(70)가 회전하는 것에 의하여 무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미세먼지 차단망(100)은 가로/세로방향으로 다수의 와이어(110)가 교차하여 일정한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개별 와이어(110)는 그 표면이 버(burr)(120, 도 6)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버(120)가 형성된 와이어(110)를 사용하면,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나 오염물을 더 잘 흡착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와이어는 투명한 낚시 줄을 사용할 수 있다.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installed while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first shaft 60 and the second shaft 70, and the second shaft 70 rotates by a power source to rotate infinitely. will do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is formed such that a plurality of wires 110 cross in the horizontal/vertical direction to have a predetermined size, and the individual wires 110 have a burr (120, FIG. 6) on the surface thereof. formed to have a shape. If the wire 110 with the burr 120 is used as described above, fine dust or contaminants can be better adsorbed by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In an embodiment, the wire may use a transparent fishing line.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100)을 형성하는 와이어의 형태는 도 5 및 도 6을 함께 참조한다. 미세먼지 차단망(100)은 도 5(a)와 같이 소정 길이의 와이어(110)를 일렬 종배열 형태로 배치하여 구성할 수 있거나, 도 5(b)와 같이 그물망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또는 와이어(110)를 사선으로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는 모두 차단하고자 하는 대상(미세먼지, 초미세먼지, 황사 등)이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형성하면 된다. For the shape of the wire forming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see FIGS. 5 and 6 together.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may be configured by arranging wires 110 of a predetermined length in a row and vertical arrangement as shown in FIG. 5( a ), or may be configured in a mesh shape as shown in FIG. Alternatively, the wire 110 may be formed in an oblique line. All of these can be appropriately formed according to the object to be blocked (fine dust, ultrafine dust, yellow dust, etc.) or use.

또한 와이어(110)는 도 6과 같이 버(120)가 형성되거나 버가 형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 버(120)가 형성된 경우 흡착율은 더 좋다. In addition, the wire 110 may have a burr 120 or no burr as shown in FIG. 6 . When the burr 120 is formed, the adsorption rate is better.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충망 조립체(100)에 대한 작용을 살펴본다. Let's look at the action on the insect screen assembly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방충망 조립체(100)의 구성을 보면, 방충망 프레임(10)의 내측에는 기존의 방충망(1)이 설치되고, 방충망(1)의 외측방향에는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설치된 상태이다. 따라서 창문을 개방할 경우 미세먼지 차단망(100)과 방충망(1)의 2중 구조에 의해 어느 정도의 미세먼지 저감효과는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insect screen assembly 100, the existing insect screen 1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insect screen frame 10, and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insect screen 1. Therefore, when the window is opened, a certain amount of fine dust reduction effect can be expected by the double structure of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and the insect screen 1 .

미세먼지 차단효과가 미비하다고 생각될 경우, 또는 미세먼지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미도시하고 있는 스위치를 조작하여 구동모터를 구동시킨다.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blocking fine dust is insufficient, or in order to block fine dust more effectively, the user operates a switch (not shown) to drive the driving motor.

그러면 구동모터와 연계된 제2 샤프트(7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2 샤프트(70)의 외주면을 감싸고 있는 미세먼지 차단망(100)도 이동하게 되며 제1 샤프트(60)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제1, 제2 샤프트(60, 70)가 회전하는 것이고, 이러한 샤트프(60, 70)의 회전운동에 따라 미세먼지 차단망(100)도 무한 회전하는 것이다.Then, when the second shaft 70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surroundi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econd shaft 70 also moves, and the first shaft 60 is also moved together. will rotate Therefore, the first and second shafts 60 and 70 are substantially rotated, and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also rotates infinitely according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hafts 60 and 70 .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회전하면, 미세먼지 차단망(100)은 제2 샤프트(70)가 위치한 저장공간(33) 내로 들어갔다가 나오게 된다. 그러면 미세먼지 차단망(100)을 구성하는 와이어(110)의 표면에는 저장공간(33)에 수용된 물과 접촉하면서 물이 묻게 되며, 이때 물은 와이어(110)의 표면에 형성된 버(120)에 의해 더 많이 묻게 된다. When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rotates,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goes into and out of the storage space 33 where the second shaft 70 is located. Then, the surface of the wire 110 constituting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is covered with water while in contact with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33 , and at this time, the water is applied to the burr 120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wire 110 . asked more by

이렇게 와이어(110)에 물이 묻게 된 상태로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회전하면, 외부에서 침투하는 미세먼지나 오염물은 물에 더 쉽게 흡착되며, 따라서 그 만큼 내부로 통과하는 미세먼지나 오염물을 차단할 수 있다.When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rotates while the wire 110 is wet with water, fine dust or contaminants penetrating from the outside are more easily adsorbed to the water, and accordingly, the fine dust or contaminants that pass into the inside are more easily absorbed. can be blocked.

그리고 미세먼지 차단망(100)에 흡착된 미세먼지나 오염물은 다시 미세먼지 차단망(100)이 저장공간(330) 내로 들어가 물속에 잠길 때, 물과의 접촉에 따라 제거된다. 이처럼 제거된 미세먼지 차단망(100)은 와이어(110)에 물이 묻은 상태로 다시 회전하면서 미세먼지나 오염물을 흡착하게 되고, 전원공급이 차단될 때까지 이러한 과정은 반복된다. In addition, fine dust or contaminants adsorbed to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are removed according to contact with water when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100 enters the storage space 330 and is submerged in water. The fine dust blocking net 100 thus removed adsorbs fine dust or contaminants while rotating again with water on the wire 110, and this process is repeated until the power supply is cut off.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se various func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hat modifications, variations, and other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 방충망
10: 방충망 프레임
20, 30, 40, 50: 상/하/좌/우 프레임
32: 레일홈
33: 저장공간
60: 제1 샤프트
61: 구동축
70: 제2 샤프트
80: 텐션장치
100: 미세먼지 차단망
110: 와이어
120: 버(burr) 형성
200: 태양광 패널
1: insect screen
10: insect screen frame
20, 30, 40, 50: top/bottom/left/right frame
32: rail groove
33: storage space
60: first shaft
61: drive shaft
70: second shaft
80: tension device
100: fine dust blocking net
110: wire
120: burr (burr) formation
200: solar panel

Claims (5)

사각틀 형상의 방충망 프레임;
상기 방충망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충망;
상기 프레임의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에 마련된 제1 샤프트 및 제2 샤프트; 및
상기 방충망의 외측방향에 설치되며, 소정 동력원에 의해 구동하는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에 의해 무한 회전하는 벨트 방식의 미세먼지 차단망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 프레임에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샤프트는 상기 저장공간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은,
다수의 와이어가 종횡방향으로 배열되어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횡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와이어 표면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는 버(burr)가 형성되거나,
다수의 와이어가 상부 횡 방향의 다수의 미세 홀을 통하여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그물망으로 형성되고, 상기 그물망을 통하여 펌핑된 물이 상부 미세홀을 거쳐 와이어를 타고, 상기 종방향으로 배열된 모든 와이어 표면에 낙수가 흐르도록 유로 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의 방충망 조립체.
Square frame-shaped insect screen frame;
an insect screen installed inside the insect screen frame;
first and second shafts provided on the upper frame and the lower frame of the frame; and
It is installed in the outer direction of the insect screen and includes a belt-type fine dust blocking net that is infinitely rotated by a first shaft or a second shaft driven by a predetermined power sourc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water is formed in the lower frame,
The second shaft is located inside the storage space,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mesh, and a burr protruding upward is formed on the surface of all the wir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direction, or
A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a plurality of fine holes in the upper transverse direction to form a mesh, and water pumped through the mesh rides the wire through the upper fine holes, and the surface of all the wire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ect screen assembly with a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flow guide is formed to flow the falling wat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 또는 하부 프레임의 외측 표면의 태양광 패널; 및
상기 태양광 패널에 의해 만들어진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하여 상기 제1 샤프트 또는 제2 샤프트를 회전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의 방충망 조립체.
The method of claim 1,
a solar panel on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frame or lower frame; and
The insect screen assembly of the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driving motor for rotationally driving the first shaft or the second shaft by using the electric energy generated by the solar panel as a power source.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먼지 차단망은,
상기 제2 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저장공간에 수용된 물과의 접촉에 따른 물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미세먼지를 흡착하는 미세먼지 저감 기능의 방충망 조립체.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fine dust blocking network,
An insect screen assembly having a fine dust reduction function for adsorbing fine dust by using the surface tension of water according to the contact with the water accommodated in the storage sp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shaft.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65350A 2019-12-12 2019-12-12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KR1024211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50A KR102421123B1 (en) 2019-12-12 2019-12-12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5350A KR102421123B1 (en) 2019-12-12 2019-12-12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54A KR20210074554A (en) 2021-06-22
KR102421123B1 true KR102421123B1 (en) 2022-07-15

Family

ID=76600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5350A KR102421123B1 (en) 2019-12-12 2019-12-12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123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30B1 (en) * 2012-11-21 2014-05-14 박경갑 Insect interception screen having function of air purification
CN208122734U (en) * 2018-04-24 2018-11-20 冀焕让 A kind of mosquito-proof, dustproof screen window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4980B1 (en) * 2016-07-27 2019-09-24 (주)엘지하우시스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filtering ne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5230B1 (en) * 2012-11-21 2014-05-14 박경갑 Insect interception screen having function of air purification
CN208122734U (en) * 2018-04-24 2018-11-20 冀焕让 A kind of mosquito-proof, dustproof screen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4554A (en)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058347B (en) Household screen window washer
KR102429469B1 (en) Smart Ventilator Capable of Filtering Fine Particles
KR102432767B1 (en) Air Cleaning System Capable of Filtering Fine Particles
CN203620439U (en) Ventilated multiple-interlayer water-curtain type dust removal device
KR102421123B1 (en) Insect net assembly having a harmful dust reduction function
CN105664621A (en) Roller shutter washing type air dust fall filter
CN105057285A (en) Filtering net self-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indoor unit
KR101841086B1 (en) Net equipment for window having a characteristic of protecting fine dust and heavy metal using metal fiber
JP2013107050A (en) Electrical dust collection device, and dust collection member
KR101964903B1 (en) Air Cleaning Apparatus For Open Space
CN216346860U (en) Plasma generator and air purifier with self-cleaning mechanism
CN108720532B (en) Dustproof intelligent household curtain
CN204912195U (en) Filter screen is machine in clean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CN212156696U (en) Novel wisdom LED module for street lamp
CN214635199U (en) Dust removal and peculiar smell removal air cabinet for kitchen
CN208122734U (en) A kind of mosquito-proof, dustproof screen window
KR20200137279A (en) air cleaner with dampening filter
CN205605025U (en) Air purification window gives sound insulation
CN114405185A (en) Be applied to automatic ash removal device of module that charges
JP2006071135A (en) Filter cleanup device and air conditioning system equipped therewith
CN219247696U (en) Constant-pressure water supply frequency converter with dustproof and dampproof structure
CN218587254U (en) Intelligent construction monitor
KR101784259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of blade type
CN117128493A (en) Smart city self-cleaning lighting system and working method thereof
CN218882092U (en) Photovoltaic shut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