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064B1 -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064B1
KR102421064B1 KR1020200139559A KR20200139559A KR102421064B1 KR 102421064 B1 KR102421064 B1 KR 102421064B1 KR 1020200139559 A KR1020200139559 A KR 1020200139559A KR 20200139559 A KR20200139559 A KR 20200139559A KR 102421064 B1 KR102421064 B1 KR 102421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ding
user terminal
location
virtual time
time caps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9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5275A (ko
Inventor
최유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덕게임즈
최유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덕게임즈, 최유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덕게임즈
Priority to KR1020200139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0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5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5275A/ko
Priority to KR1020220085082A priority patent/KR1024629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064B1/ko
Priority to KR1020220142632A priority patent/KR102616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5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communications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97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time stamps, e.g. generation of time stam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을 포함함-,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System, Server and Method for Separating Recycling Waste}
본 발명은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서버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과 전자기기의 발달로 언제 어디서나 편하게 누구나 스마트폰 또는 컴퓨터를 통해 메신저, E-mail, SNS로 원하는 사람에게 메시지를 보낼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손쉽게 원하는 사람과 메시지를 주고받게 되면서 손 편지, 엽서, 타임캡슐 등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받았을 때의 감수성과 설렘, 그 장소에서만 느낄 수 있는 기분의 전달은 어렵다. 하지만, 이미 다수의 사람이 인터넷과 전자기기의 사용에 익숙해진 시점에서 시대를 거슬러 손 편지, 엽서, 타임캡슐 등이 활성화되는 것은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에는 손 편지와 엽서의 경우 이미 여러 메신저에서 편지지 양식 또는 엽서 양식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가 내용을 입력하면 양식대로 원하는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손 편지와 엽서는 현재 활성화되어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기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형태로 발전되고 있다.
타임캡슐의 경우, 특수금속으로 만든 통에 현대의 문명과 생활을 미래를 위해 보존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이지만 친구, 연인이나 가족 사이에서 편지나 기념할 물건을 넣어서 일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열어보며 추억을 되새기는 용도로 사용되어왔다. 이러한 타임캡슐의 경우, 현재 통신기술과 접목하여 새로운 형태로의 발전이 진행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타임캡슐도 손 편지 또는 엽서와 마찬가지로 현재 활성화되어 사용되는 스마트폰과 인터넷 기술을 접목시킨 새로운 형태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068040호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상의 타임캡슐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콘텐츠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열람 대상에게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열람 대상에게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열람 조건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게 전송하여 상기 열람 대상이 상기 열람 조건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서버가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을 포함함-,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대상에게 전송하는 음성, 이미지, 영상, 메시지 및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시간과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열람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열람 불가 알림 및 열람 불가 이유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힌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힌트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카메라로 정해진 위치를 촬영하는 경우 생성되거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일정 속도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람 정답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이미지 또는 제1 음성 문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간의 일치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일치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제2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제2 음성 문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음성 문장정보와 상기 제2 음성 문장정보 간의 일치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일치도가 제2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람 대상은,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기 설정된 속도 범위로 움직이는 대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통신부, 메모리 및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하고-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정답을 포함함-,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장치,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의 타임캡슐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콘텐츠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열람 대상에게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함으로 실물로 된 타임캡슐과 달리 분실위험 없는 가상의 타임캡슐을 주고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람 대상에게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열람 조건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게 전송하여 상기 열람 대상이 상기 열람 조건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자 외에 오픈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에 대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전송한 가상 타임캡슐을 열람 대상이 열람 시간에 열람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한 위치가 변동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의미를 간략히 설명한다. 그렇지만, 용어의 설명은 본 명세서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므로,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는 사항으로 기재하지 않은 경우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의미로 사용하는 것이 아님을 주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에 대해 각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1)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시스템(1)은 도 1 내지 도 2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나 더 많은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은 가상의 타임캡슐을 생성하고, 사용자가 특정 위치에서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콘텐츠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지정한 열람 대상에게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함으로 실물로 된 타임캡슐과 달리 분실위험 없는 가상의 타임캡슐을 주고받을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1)은 상기 열람 대상에게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열람 조건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게 전송하여 상기 열람 대상이 상기 열람 조건정보에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 후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함으로 사용자가 지정한 대상자 외에 오픈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성이 높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시스템(1)은 가상 타임캡슐을 전송하고자 하는 제1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전송받을 대상인 제2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2),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서버(30) 및 통신망(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는 제1 통신부(110), 제1 카메라(120), 제1 디스플레이부(130), 제1 메모리(140), 제1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사용자 단말기(20) 사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서버(30) 사이 또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1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1 사용자 단말기(1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것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1 카메라(120)는 제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120)는 제1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타임캡슐 열람을 위한 조건으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사용자는 상기 가상 타임캡슐 열람을 위한 조건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제1 카메라(120)를 이용하여 특정 장소에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부(13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제1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제1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4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4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제1 메모리(140)에 저장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 상에 설치되어, 제1 제어부(150)에 의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제어부(1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제1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제어부(1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설치된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150)는 제1 메모리(1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1 제어부(1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제2 통신부(210), 제2 카메라(220), 제2 디스플레이부(230), 제2 메모리(240), 제2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10)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와 제1 사용자 단말기(10) 사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와 서버(30) 사이 또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부(210)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통신부(210)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단말기(10)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10)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것만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2 카메라(220)는 제2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카메라(220)는 제2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상 타임캡슐 열람을 위한 조건으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사용자는 상기 가상 타임캡슐 열람을 위한 조건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제2 카메라(220)를 이용하여 특정 장속에서 이미지 또는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제2 디스플레이부(230)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제2 사용자 단말기(20)와 제2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함과 동시에, 제2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4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4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제2 메모리(240)에 저장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 상에 설치되어, 제2 제어부(250)에 의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5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제2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제어부(25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설치된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2 제어부(250)는 제2 메모리(24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제어부(25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 제2 사용자 단말기(20)에 상기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30)는 제3 통신부(310), 제3 메모리(320) 및 제3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신부(310)는 서버(3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서버(30)와 제1 사용자 단말기(10) 사이, 서버(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20) 사이 또는 서버(30)와 외부 서버(미도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통신부(310)는 서버(3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메모리(320)는 서버(3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3 메모리(320)는 서버(3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서버(3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서버(30)의 기본적인 기능을 위하여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제3 메모리(320)에 저장되고, 상기 서버(30) 상에 설치되어, 제3 제어부(330)에 의하여 상기 서버(30)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3 제어부(3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서버(3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3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제3 메모리(3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30)는 제3 메모리(3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2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3 제어부(33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서버(3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또한, 제3 제어부(330)는 제3 메모리(32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응용 프로그램은 상술한 제1 사용자 단말기(10), 제2 사용자 단말기(20) 각각의 동작 제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동작 제어 또는 모니터링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형태일 수 있고, 제3 제어부(330)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의 명령을 기반으로 제1 사용자 단말기(10)와 제2 사용자 단말기(20)에 대한 동작을 제어하거나 또는 각각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3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정답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3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입력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상기 가상 타임캡슐에 대해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3 제어부(330)는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제3 제어부(3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통신망(40)은 제1 사용자 단말기(10), 제2 사용자 단말기(20) 및 서버(30) 간의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통신망(40)은 다양한 형태의 통신망이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통신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 Coax), FTTC(Fiber to The Curb), 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통신망(40)은 상기에 제시된 통신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통신방식 이외에도 기타 널리 공지되었거나 향후 개발될 모든 형태의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받을 수 있다(S301). 제1 사용자 단말기(1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 설치된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30)로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하기를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서버(30)로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
서버(30)는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위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S302). 서버(3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받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위한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3). 여기서,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열람 설정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을 포함할 수 있다.
열람 조건정보 중 열람 위치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또는 서버(30)에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가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한 시간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한 상세 위치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위치는 gps 위치, AP 정보,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의 현재 위치에 구비되는 QR코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정보일 수 있다.
열람 조건정보 중 열람 시간은 사용자가 상기 열람 대상이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확인해보기를 원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일 예로 열람 시간은 사용자가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을 요청한 시간이 2020년 7월 23일인 경우, 상기 요청한 시간에서 1년이 지난 2021년 7월 23일일 수 있다.
열람 조건정보 중 열람 대상은 사용자가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전달하기를 원하는 대상일 수도 있다. 열람 대상은 상기 사용자가 사용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대상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람 대상은 상기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면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받을 수 있다. 또는 열람 대상은 상기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기 설정된 속도 범위로 움직이는 대상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열람 대상은 상기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한 경우, 상기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뛰거나 걸을 때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받을 수 있다.
열람 조건정보 중 열람 설정은 무제한 확인이 가능한 타임캡슐, 확인 가능한 한도가 있는 타임캡슐, 사용자가 지정한 열람 대상 1명만 확인할 수 있는 타임캡슐, 기 설정된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타임캡슐, 기 설정된 시점에만 활성화되는 타임캡슐, 첫 열람 대상이 나오면, 그 다음 열람 대상에게 전달되며, 계속 릴레이 되면서 콘텐츠는 계속 바뀌는 타임캡슐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열람 조건정보 중 열람 문제와 열람 정답은 사용자가 생성한 가상 타임캡슐을 상기 열람 대상이 열람하기 전에 인증해야 하는 필수 질문과 정답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열람 문제는 "우리가 제일 좋아하는 스파게티 집은 어디일까? 간판을 찍어서 인증해주세요."이고, 상기 제1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은 제1 이미지인 간판에 대한 이미지일 수 있다. 또한, 제2 열람 문제는 "우리가 가장 많이 다시 본 영화 제목은? 음성으로 인증해주세요."이고, 상기 제2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은 "OOOO" 제1 음성 문장정보일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할 수 있다(S304).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대상에게 전송하는 음성, 이미지, 영상, 메시지 및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S305). 여기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는 가상 타임캡슐을 열 수 있는 열람 위치와 열람 시간도 포함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306).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열람 대상의 입력에 따라 기 설치된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상기 가상 타임캡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서버(30)로 가상 타임캡슐 열람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서버(30)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는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07).
단계 S307에서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서버(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할 수 있다(S308).
단계 S307에서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하나라도 해당되지 않는 경우, 서버(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열람 불가 알림 및 열람 불가 이유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S309). 서버(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시간과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가 상기 열람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열람 불가 알림 및 열람 불가 이유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서버(30)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S310). 여기서, 상기 열람 정답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부터 수신된 제1 이미지 또는 제1 음성 문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서버(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제1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간의 일치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일치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서버(30)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제2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제2 음성 문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음성 문장정보와 상기 제2 음성 문장정보 간의 일치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일치도가 제2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310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서버(30)는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S311).
단계 S310에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힌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312). 여기서, 힌트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카메라로 정해진 위치를 촬영하는 경우 생성되거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일정 속도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생성될 수 있다.
단계 S312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상기 수신한 힌트를 통해 다시 답변을 생성하여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에서는 단계 S301 내지 단계 S312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도 3a 내지 도 3b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단계 S301 내지 단계 S312 중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3a 내지 도 3b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가 전송한 가상 타임캡슐을 열람 대상이 열람 시간에 열람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왼쪽을 보면, 사용자가 특정 건물(401) 5층에서 2020년 07월 09일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콘텐츠인 메시지 및 메시지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30)는 상기 정보에 열람 위치인 '특정 건물(401) 5층', 열람 시간인 '2021년 07월 09일'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4의 오른쪽을 보면, 열람 대상이 특정 건물(401) 5층에서 2021년 07월 09일에 제2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서버(30)로 가상 타임캡슐 열람을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서버(30)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콘텐츠인 메시지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한 위치가 변동된 경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의 왼쪽을 보면, 사용자가 특정 건물(501) 3층에서 2020년 03월 04일에 제1 사용자 단말기(10)를 통해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콘텐츠인 음성 및 상기 음성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를 서버(30)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버(30)는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버(30)는 상기 정보에 열람 위치인 '특정 건물(501) 3층', 열람 시간인 '2025년 03월 04일'을 포함하여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도 5의 오른쪽을 보면, 사용자가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한 특정 건물(501)이 있던 위치에 새롭게 단층으로 설계된 전시관(502)이 건축될 수 있다. 이때 열람 대상이 특정 건물(501)이 있던 장소에 세워진 전시관(502) 앞에서 2025년 03월 04일에 제2 사용자 단말기(20)를 통해 상기 서버(30)로 가상 타임캡슐 열람을 요청과 동시에 위치 변동 확인 요청을 할 수 있다. 이때, 제2 사용자 단말기(20)는 서버(30)로 제2 사용자 단말기(20)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버(30)는 상기 장소 변동 확인 요청에 포함되는 영상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한 특정 건물(501)이 있던 위치가 변동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서버(30)는 상기 특정 건물(501)이 있던 장소에 전시관(502)이 건축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10)로 위치 변동 알림을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위치 변동 확인 완료와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콘텐츠인 음성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20)로 송신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제1 사용자 단말기
20: 제2 사용자 단말기
30: 서버
40: 통신망

Claims (10)

  1. 서버가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하는 단계-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을 포함함-;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힌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카메라로 정해진 위치를 촬영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일정 속도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힌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현재 시간 및 상기 가상 타임캡슐 열람 요청과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한 건물에 대한 장소 변동 확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장소 변동 확인 요청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한 건물이 있던 위치의 변동을 확인하고, 상기 변동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장소 변동 확인 완료와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열람 대상에게 전송하는 음성, 이미지, 영상, 메시지 및 쿠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시간이 상기 열람 시간과 일치하지 않거나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가 상기 열람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열람 불가 알림 및 열람 불가 이유를 포함한 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정답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제1 이미지 또는 제1 음성 문장정보를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제1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제2 이미지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이미지와 상기 제2 이미지 간의 일치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일치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제2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제2 음성 문장정보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제1 음성 문장정보와 상기 제2 음성 문장정보 간의 일치도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된 일치도가 제2 임계값 이상일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람 대상은,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거나, 상기 기 설정된 반경 내에서 기 설정된 속도 범위로 움직이는 대상을 포함하는,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방법.
  9.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기 위한 서버에 있어서,
    통신부;
    메모리; 및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될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의 열람 허용을 위한 열람 조건정보가 수신될 경우, 상기 수신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 및 열람 조건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가상 타임캡슐을 생성하고-상기 열람 조건정보는 열람을 허용할 열람 위치, 열람 시간, 열람 대상 및 열람 문제에 대한 열람 정답을 포함함-,
    상기 가상 타임캡슐이 생성됨을 알리는 정보를 상기 열람 대상에 해당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현재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의 현재 위치 및 시간이 상기 열람 위치 및 열람 시간에 해당될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에 해당될 경우, 상기 가상 타임캡슐 내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콘텐츠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답변이 상기 열람 정답과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힌트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카메라로 정해진 위치를 촬영하는 경우 또는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가 일정 속도로 일정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힌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현재 위치, 현재 시간 및 상기 가상 타임캡슐 열람 요청과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한 건물에 대한 장소 변동 확인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장소 변동 확인 요청에 포함된 영상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가상 타임캡슐 생성을 요청한 건물이 있던 위치의 변동을 확인하고, 상기 변동 확인이 완료되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장소 변동 확인 완료와 상기 열람 문제에 대한 답변을 요청하는, 서버.
  10. 컴퓨터와 결합하여,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KR1020200139559A 2020-10-26 2020-10-26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421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559A KR102421064B1 (ko) 2020-10-26 2020-10-26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220085082A KR102462937B1 (ko) 2020-10-26 2022-07-11 콘텐츠 열람이 가능한 가상 타임캡슐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142632A KR102616600B1 (ko) 2020-10-26 2022-10-31 분실 위험이 없고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9559A KR102421064B1 (ko) 2020-10-26 2020-10-26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82A Division KR102462937B1 (ko) 2020-10-26 2022-07-11 콘텐츠 열람이 가능한 가상 타임캡슐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5275A KR20220055275A (ko) 2022-05-03
KR102421064B1 true KR102421064B1 (ko) 2022-07-14

Family

ID=815912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9559A KR102421064B1 (ko) 2020-10-26 2020-10-26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KR1020220085082A KR102462937B1 (ko) 2020-10-26 2022-07-11 콘텐츠 열람이 가능한 가상 타임캡슐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142632A KR102616600B1 (ko) 2020-10-26 2022-10-31 분실 위험이 없고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5082A KR102462937B1 (ko) 2020-10-26 2022-07-11 콘텐츠 열람이 가능한 가상 타임캡슐 제공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0220142632A KR102616600B1 (ko) 2020-10-26 2022-10-31 분실 위험이 없고 보안성이 강화된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서버,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42106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833B1 (ko) * 1999-07-07 2001-11-01 윤종용 비고정 연속 숫자음을 이용한 화자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6037B1 (ko) * 2018-04-16 2019-04-04 정영학 증강현실 기반의 타임캡슐 제공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0951B1 (ko) * 2000-03-03 2003-02-05 김영철 인터넷 타임캡슐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68040A (ko) 2001-04-17 2001-07-13 김수곤 네트워크를 통한 디지털 컨텐츠 유통 방법
KR20150116499A (ko) * 2014-04-07 2015-10-16 김영민 타임캡슐형 정보전달 서비스 장치,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697710B1 (ko) * 2014-05-09 2017-01-18 이찬석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구비하는 학습 제공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7833B1 (ko) * 1999-07-07 2001-11-01 윤종용 비고정 연속 숫자음을 이용한 화자 검증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966037B1 (ko) * 2018-04-16 2019-04-04 정영학 증강현실 기반의 타임캡슐 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2937B1 (ko) 2022-11-04
KR20220103678A (ko) 2022-07-22
KR20220055275A (ko) 2022-05-03
KR20220152969A (ko) 2022-11-17
KR102616600B1 (ko)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8564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al-time remote control of mobile applications
US10522154B2 (en) Voice signature for user authentication to electronic device
RU2625338C1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и система для установления беспроводного сетевого соединения
US10592695B1 (en) Staggered secure data receipt
RU2655971C2 (ru) Способ,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доступа термина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к беспроводной сети
US93800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logging into a user account
CN105204743A (zh) 用于语音和视频通讯的交互控制方法及装置
KR102293422B1 (ko) 단말기 및 그것의 동작 방법
WO2008142138A2 (en) Controlling access to digital images based on device proximity
JP2021068472A (ja) 顔認証システム、顔認証方法、生体認証システム、生体認証方法及び記録媒体
McRae et al. Internet of things (IoT): education and technology
US11558844B2 (en) Method for registering a target device with a network
CN113014863A (zh) 认证用户的方法及系统以及计算机可读记录介质
CN110730162B (zh) 一种页面的验证方法、移动终端、可读存储介质
US2020027251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terminal,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and control method
WO2013176837A1 (en) Learning information on usage of one or more device(s) for cumulative inference of user situation
CN110008926B (zh) 用于识别年龄的方法和装置
US10917762B2 (en) Communications system with common electronic interface
WO2019133766A1 (en) Generating a feed of content for presentation by a client device to users identified in video data captured by the client device
KR102421064B1 (ko) 위치 기반의 가상 타임캡슐을 제공하는 시스템, 서버 및 방법
EP3729851A1 (en) Method for detecting the possible taking of screenshots
US11397798B2 (en) Providing access of an application based on real world actions in IOT collaborative environment
JP2013161400A (ja) 携帯端末、撮影画像公開方法、プログラム
US10818194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ccess to information, instructions and/or training material
KR101760770B1 (ko) 네트워크 디바이스 간 정보 공유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