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632B1 -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 Google Patents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632B1
KR102420632B1 KR1020200110011A KR20200110011A KR102420632B1 KR 102420632 B1 KR102420632 B1 KR 102420632B1 KR 1020200110011 A KR1020200110011 A KR 1020200110011A KR 20200110011 A KR20200110011 A KR 20200110011A KR 102420632 B1 KR102420632 B1 KR 102420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tag
button
display unit
camera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01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30616A (en
Inventor
박영진
Original Assignee
디엑스랩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디엑스랩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디엑스랩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632B1/en
Publication of KR20210130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061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63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05B49/002Keys with mechanical characteristics, e.g. notches, perforations, opaque mar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05D5/04Flat flaps
    • E05D5/046Flat flaps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9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the pass containing active electronic elements, e.g. smartcard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5/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H02H5/12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non-electric working conditions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responsive to undesired approach to, or touching of, live parts by living beings
    • E05Y2900/606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99/00Subject-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Of Power-Distribution Network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태그 기반의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원제어장치가 위치하는 전기실에 차단기 스위치의 위치를 안내하는 네비게이터 및 상기 전기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가 설치된 경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tag-based safety system.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se in which a navigator guiding the position of a circuit breaker switch in an electrical room in which a power control device is located and a camera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electrical room are installed.

Description

전자태그 기반의 안전 시스템{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Electronic tag-based safety system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본 발명은 전자태그 기반의 안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전자태그의 발행, 표시, 및 관리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nic tag-based safety system, and also to an apparatus for issuing, displaying, and managing an electronic tag.

또한 본 발명은 전원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LOTO(Lockout/Tagout) 시스템 및/또는 SLMS(Smart LOTO Management System)에서 활용될 수 있다.Also,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rver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 power control device, and specifically, it can be utilized in a Lockout/Tagout (LOTO) system and/or a Smart LOTO Management System (SLMS).

산업 현장에는 공정의 설비를 가동하기 위해 수많은 동력 기계, 기구(펌프, 팬 등)들이 설치되어 있고 여기에 동력인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고·저압 전기차단기들이 있다. 각 회사들은 적절한 생산성과 효율성을 목적으로 공정 설비 및 기기 장치들에 대한 정기 점검과 유지보수작업을 하는 한편 불시 고장 발생 시 수리 작업도 시행하고 있다. 이러한 점검정비 및 수리 작업은 작업자들에 대한 안전이 반드시 확보된 상태에서 착수되어야 하며 산업안전보건법에도 이를 규정하고 있으며 각 회사들은 이를 준수하기 위해 작업 전·후 전원차단과 관련된 내부 관리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 중에 있으며, 이때 사용되는 툴(tool)이 소위 "Red 태그(이하" 태그"라 함)"이다. 종이 카드 형태의 태그를 작성하여 작업 대상 기기의 전기차단기 스위치를 내린 후 그 차단기에 붙여 놓아 작업이 끝날 때까지 차단기의 조작을 금지시켜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하고 있는 시스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차단기 조작자의 실수나 오류, 작업자의 임의조작 등에 의한 사고가 발생하여 인명 상해와 경우에 따라서 설비손상을 일으켜 막대한 손실을 입게 된다.In industrial sites, numerous power machines and devices (pumps, fans, etc.) are installed to operate the equipment of the process, and there are high and low voltage electric circuit breakers to supply electricity as power. Each company conducts regular inspection and maintenance of process equipment and equipment for the purpose of proper productivity and efficiency, while also performing repair work in case of unexpected failure. Such inspection, maintenance and repair work must be undertaken with the safety of workers secured, and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also stipulates this. It is in operation, and the tool used at this time is the so-called "Red tag (hereinafter referred to as "tag"). This is a system that secures the safety of workers by creating a tag in the form of a paper card, turning off the electric circuit breaker switch of the device to be worked, and putting it on the circuit breaker to prohibit operation of the circuit breaker until the work is finished. Nevertheless, accidents caused by mistakes or errors of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or arbitrary operation by the operator occur, resulting in personal injury and, in some cases, equipment damage, resulting in huge losses.

이를 착안하여 차단기 조작 및 관리상의 사람에 의한 오류나 실수를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산업 현장에서의 안전사고를 막기 위해 본 발명은 개선(enhanced)되고 자동화(automated)된, 전자태그의 발행, 표시, 및 관리를 위한 장치와, 전원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하려고 한다.With this in mind, the present invention is enhanced and automated to fundamentally block human errors or mistakes in circuit breaker operation and management to prevent safety accidents at industrial sites, and issuance, display, and management of electronic tags We intend to propose a device for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태그의 발행, 표시, 및 관리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issuing, displaying, and managing an electronic tag.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원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server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 power control devic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will be able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 기반의 전자태그 발행(및/또는 생성) 및 관리 시스템과, 판넬 부착형 전자태그, 전자식 Door Lock 시스템, 차단기 보안 커버와의 연계 방법, 다중(Multi) Tag 발행(및/또는 생성) 시스템, 전기실 입구 내부 위치 표시 시스템, 위치 및 IoT 기반 실시간 감시 시스템, 정보 활용 분석 및 보고 시스템, 저압반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및 연계하는 방법 등을 제안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linking a web-based electronic tag issuance (and/or generation) and management system, a panel-attached electronic tag, an electronic door lock system, and a circuit breaker security cover, and multi-tag issuance ( and/or generation) system, an electric room entrance internal location display system, a location and IoT-based real-time monitoring system, an information utilization analysis and reporting system, and a method for establishing and linking a low-platen monitoring system are propos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단기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전자태그 표시부(20) 및 차단기 스위치(60)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장치(10)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는 특정 기기의 전원 상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태그를 표시하는 차단기 제어 시스템을 제안한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control device 10 including an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and a circuit breaker switch 60 in a circuit breaker control system, wherein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displays the power state of a specific device. We propose a circuit breaker control system that displays an electronic tag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the information.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도어부(80); 상기 도어부와 상기 전원제어장치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힌지부(91, 92); 및 상기 도어부를 고정 가능한 잠금부(93); 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device includes a door part (80); hinges (91, 92) connecting the door part and one side of the power control device; and a locking part 93 capable of fixing the door part; may include.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는 터치 인식 기능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화면; 상기 특정 기기의 전원 상태에 상응하여 점등되는 제1 알람 표시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알람 표시부; 및 적어도 하나의 입력부; 를 포함할 수 있다.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includes a display screen includ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a plurality of alarm display units including a first alarm display unit that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specific device; and at least one input unit; may include.

상기 차단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전원제어장치를 제어하는 관리서버(110);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자태그를 생성하여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circuit breaker control system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110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device; and the management server may control to generate the electronic tag and display it through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상기 전원제어장치는, 도어부(80); 상기 도어부와 상기 전원제어장치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힌지부(91, 92); 및 상기 도어부를 고정 가능한 잠금부(93);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자태그를 생성되면 상기 잠금부가 잠금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자태그의 회수에 상응하는 신호가 상기 관리서버에 의해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power control device, the door unit (80); hinges (91, 92) connecting the door part and one side of the power control device; and a locking part 93 capable of fixing the door part;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controls the locking unit to be locked when the electronic tag is generated, and controls the locking unit to be unlocked when a signal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the electronic tag is received from the terminal by the management server. can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전원제어장치를 제어하는 서버 및 그 시스템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idered to have a technical effect in terms of proposing a server and a system for controlling an enhanced power control devic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식 Door Lock을 제안하기에(Normal 상태에는 항상 잠겨 있고, 전자태그 발생 승인 후 자동 Door Lock Open, 차단 후 Door Lock에 의해 자동 잠김, 전자태그 회수 승인 후 자동 Door Lock Open, 차단기 연결 후 Door Lock에 의해 자동 잠김 등), 권한이 없는자(또는 관리자)에 의해 임의 조작 불가능하고 휴먼 에러 발생 차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n electronic door lock (always locked in a normal state, automatic door lock open after electronic tag generation approval, automatic lock by door lock after blocking, automatic door lock after electronic tag collection approval) Open, automatic locking by Door Lock after connecting a breaker), it can provide technical effects in that it cannot be arbitrarily manipulated by unauthorized persons (or administrators) and can block the occurrence of human error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온라인(online)화 및 디지털(Digital)화된 전자태그의 발행(및/또는 생성), 회수, 승인 절차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ignificant in that online and digitalized electronic tags are issued (and/or generated), retrieved, and approved procedures are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자태그에서 flickering을 통해 위치 표시, 신입 작업자 등 정보 미흡으로 인한 문제 차단을 함으로써 조작 유닛 위치의 파악을 용이하게 한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in that it facilitates the grasp of the operation unit location by blocking problems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display and new workers through flickering in the electronic ta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각 전자태그에서 음성 안내 기능 부가로 사람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에러를 최소화한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in that it minimizes an error caused by a person by adding a voice guidance function to each electronic ta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SLMS(Smart LOTO Management System) 시스템에서 내용 입력, Tag 부착 위치 등을 파악함으로써 원천적으로 혼선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prevent confusion by identifying the content input and tag attachment location in the SLMS (Smart LOTO Management System) system.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현장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하여, 조작 상태를 알 수 있고, 임의 조작 시 알람을 띄워 줌으로써 감시/감독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자태그 발행(및/또는 생성)/회수/승인/조작 등의 이력을 데이터베이스화 하여 이력 관리는 물론 분석을 통한 개선점 발굴, 최적화 등에 활용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onitors the state of the field in real time, so that the operation state can be known, and an alarm is raised during arbitrary operation to facilitate monitoring/supervision. In addition, the history of electronic tag issuance (and/or creation)/collection/approval/manipulation, etc. can be converted into a database and utilized for history management as well as discovery and optimization of improvement points through analysis.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웹기반 시스템을 제안하므로 향후 모바일 등에서 확인 가능하도록 기능 확장이 용이하며, 제3의 시스템과 연계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확장성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In addition, since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web-based system, it is easy to expand functions so that it can be checked in the future on mobile, etc.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기존 통신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초기 투자 비용 최소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echnical effect in that the initial investment cost can be minimized by utilizing an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effects,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전원제어장치의 전자태그 출력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 및 네비게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의 제어 모듈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benefits as described above of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B and 1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lectronic tag output unit of a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al room and a nav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odule of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noted that throughout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note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features, and structure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escriptions of technical contents that are well know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n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This is to more clearly conve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omitting unnecessary description.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For the same reason, some component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n each figure, the sam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At this time, it will be understood that each block of the flowchart diagrams and combinations of the flowchart diagrams may be performed by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be embodied in a processor of a general purpose computer, special purpos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the instruc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of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are not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It creates a means to perform functions. Thes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stored in a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that may direct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implement a function in a particular manner, and thus the computer-usable or computer-readable memor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instructions stored in the flowchart block(s) to produce an article of manufacture containing instruction means for performing the function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The computer program instructions may also be mounted on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such that a series of operational steps are performed on the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to create a computer-executed process to create a computer or other programmable data processing equipment. It is also possible that instructions for performing th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 steps for performing the functions described in the flowchart block(s).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Additionally, each block may represent a module, segment, or portion of code that includes one or more executable instructions for executing specified logical function(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in some alternative implementations it is also possible for the functions recited in the blocks to occur out of ord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hat two blocks shown in succession are actually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that the blocks are sometimes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according to the corresponding function.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I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 example of a specific system will be the main subject, but the main subject matter to be claimed in this specification is to extend the scope disclosed herein to other communication systems and services having a similar technical background. It can be applied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deviate significantly, and this will be possible at the discretion of a person with technical knowledge skilled in the art.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전원제어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A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10)는 전자태그의 발행, 표시, 및 관리를 위한 장치일 수 있으며, 도 1a를 참조하면, 상기 전원제어장치(10)는 전자태그 표시부(20), 제1 버튼(30), 제2 버튼(40), 제3 버튼(50), 및/또는 스위치(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전원제어장치(10)에 구비되는 제1 버튼(30), 제2 버튼(40), 제3 버튼(50), 및/또는 스위치(60)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상기 전원제어장치(10)는 상기 제1 버튼(30), 제2 버튼(40), 제3 버튼(50), 및/또는 스위치(6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20) 만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스위치(60)는 차단기, 차단 스위치, 및/또는 차단기 스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The power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device for issuing, displaying, and managing an electronic tag. Referring to FIG. 1A , the power control device 10 includes an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 a first button 30 , a second button 40 , a third button 50 , and/or a switch 60 . However, the first button 30, the second button 40, the third button 50, and/or the switch 60 provided in the power control device 10 may be optional components, for example, The power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t least one of the first button 30, the second button 40, the third button 50, and/or the switch 60, as another example, It may include only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 Here, the switch 60 may represent a breaker, a disconnect switch, and/or a breaker switch.

본 발명에서 스위치(60)를 내리는 것은 특정기기에 전기가 흐르지 않는 것, 전원장치(130)로부터 상기 특정기기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것 등에 상응할 수 있다.Turning off the switch 60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correspond to that no electricity flows to a specific device, that power is not supplied from the power supply 130 to the specific device, and the like.

한편, 도 1a에서는 전원제어장치(10)에 물리적인 스위치(60)가 구비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제어장치(10)에 구비되는 스위치(60)는 회로 스위치일 수도 있다. 이때의 스위치(60)는 복수의 회로 스위치들을 포함하는 회로 차단기(서킷 브레이커, Circuit Breaker)일 수도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FIG. 1A shows that the physical switch 60 is provided in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this is only an example, and the switch 60 provided in the power control device 10 is a circuit switch. may be At this time, the switch 60 may be a 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including a plurality of circuit switches.

여기서 전원제어장치(10)는, 일 예로, 일종의 MCC(Motor Control Center) 및/또는 상기 MCC의 패널(또는 패널 보드)일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장치(10)는, 다른 예로, 화공 플랜트 또는 발전 플랜트와 관련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일 수 있다. 화공플랜트는 정유, 석유화학, 화학플랜트를 의미하고, 발전플랜트는 원자력, 화력, 열병합 등의 발전소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power control device 10 may be, for example, a type of Motor Control Center (MCC) and/or a panel (or panel board) of the MCC. The power control device 10 may be, as another example, a device for controlling power related to a chemical plant or a power plant. A chemical plant may mean a refinery, petrochemical, or chemical plant, and a power plant may mean a power plant such as nuclear power, thermal power, or cogeneration.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20)는 차단기 제어 화면(및/또는 전원제어장치(10)를 제어하는 플랫폼, 차단기 리스트(breaker list))을 출력(및/또는 표시)할 수 있으며, 발행 감독, 정비 책임자(의 이름, 직함 등), 조작 책임자(의 이름, 직함 등), 발행 승인(예; 발행 승인됨, 발행 승인 안됨 등), 투입 승인, 회수 승인, 차단기 명(명칭), 차단기 번호, 설비명(기기, 설비의 명칭), 전자태그(electrical tag) 발행 횟수(및/또는 개수), 및/또는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및/또는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전자태그 표시부(20)는 기기명(예; 특정기기의 명칭), 전자태그의 식별번호, 작업내용, 작업기간, 조작 승인자, 감독자, 시행자 정보 등을 나타내는 정보를 출력(및/또는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may output (and/or display) a breaker control screen (and/or a platform that controls the power control device 10, a breaker list), and is responsible for issuing supervision and maintenance (name, title, etc.), person in charge of operation (name, title, etc.), approval of issuance (eg, approval of issuance, approval of issuance, etc.) It is possible to output (and/or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e name of equipment and equipment), the number (and/or number) of electronic tags issued, and/or time. In addition,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outputs (and/or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e device name (eg, the name of a specific device), the identification number of the electronic tag, the work content, the work period, the operation approver, the supervisor, the operator information, and the like. can

제1 버튼(30)은, 일 예로, 전원장치(13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및/또는 전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전원제어장치(10)의 전원을 오프(off)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 여기서 전원장치(130)는 전력을 공급하는 장치, 대용량 충전장치, 발전기, 소형 발전소, 소형 플랜트, ESS(energy save system) 등에 상응할 수 있다.The first button 30 may be, for example, a button for blocking power (and/or current,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130 , and as another example, turn off the power of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It may be a button for (off). Here, the power supply 130 may correspond to a device for supplying power, a large-capacity charging device, a generator, a small power plant, a small plant, an energy save system (ESS), and the like.

제2 버튼(40)은, 일 예로, 전원장치(13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및/또는 전류, 전압)을 연결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전원제어장치(10)의 전원을 온(on)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second button 40 may be, for example, a button for connecting power (and/or current,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130 , and as another example, turn on the power of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It may be a button for (on).

제3 버튼(50)은, 일 예로, 전원장치(130)(및/또는 전원제어장치(10))를 재가동(및/또는 재실행)하기 위한 버튼일 수 있다.The third button 50 may be, for example, a button for restarting (and/or re-executing) the power supply 130 (and/or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다만, 상기 제1 버튼(30) 내지 제3 버튼(50)이 상기 전원장치(130)에 구비되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며, 전원제어장치(10)는 상기 제1 버튼(30) 내지 제3 버튼(50) 중 일부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제1 버튼(30) 내지 제3 버튼(5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However, it is only an example that the first button 30 to the third button 50 are provided in the power device 130 , and the power control device 10 includes the first button 30 to the third button 30 . Only a part of the buttons 50 may be included, or the first button 30 to the third button 50 may not be included.

스위치(60)는 차단기에 상응하는 부재(장치)일 수 있으며, 전원장치(130)로부터 출력되는 전력(및/또는 전류, 전압)을 차단하기 위한 부재(장치)일 수 있다.The switch 60 may be a member (device) corresponding to a circuit breaker, and may be a member (device) for blocking power (and/or current, voltage) output from the power supply device 130 .

또한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10)는 일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열리는 도어부(80) 및 힌지부(91, 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80)는 패널, 도어, 덮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상기 도어부(80)가 제1 버튼(30), 제2 버튼(40), 제3 버튼(50), 및 스위치(60)를 덮는 크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도면화의 편의를 위해 일 예를 선택한 것에 불과하며, 다른 예로 상기 도어부(80)는 상기 전원제어장치(10)의 일 측면을 모두 덮거나, 전자태그 표시부(20), 제1 버튼(30), 제2 버튼(40), 제3 버튼(50), 스위치(60)를 모두 덮는 넓이로 구성될 수도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A , the power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door part 80 and hinge parts 91 and 92 that are opened by being rotated about one axis. The door part 80 may include a panel, a door, a cover, and the like. In FIG. 1A , the door part 80 is shown in a size that covers the first button 30 , the second button 40 , the third button 50 , and the switch 60 , but this is for convenience of drawing. One example is selected for this purpose, and as another example, the door part 80 covers all one side of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or the electronic tag display part 20 , the first button 30 , and the second button 40 , the third button 50 , and the switch 60 may be configured to cover all of them.

또한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10)는 잠금부(93)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잠금부(93)는 상기 도어부(80)를 고정시키는 고정 수단일 수 있으며, 상기 잠금부(93)가 잠기거나 풀리는 동작은 관리서버(110)의 제어 모듈(21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또한 도 1a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전원제어장치(10)는 상기 잠금부(93)의 잠금 여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및/또는 소정의 발광 장치(예; LED 램프 등)를 포함할 수도 있다.Also, referring to FIG. 1A , the power control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ocking part 93 , and the locking part 93 is configured to fix the door part 80 . It may be a fixing means, and the locking or unlocking operation of the locking unit 93 may be controlled by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 Also, although not shown in FIG. 1A , the power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 display indicating whether the locking unit 93 is locked and/or a predetermined light emitting device (eg, an LED lamp).

전자태그 표시부(20)는 전자태그, 전자태그의 발행(및/또는 생성) 여부, 전자태그의 회수(및/또는 반환) 여부, 알람 신호(예; 음성 신호), 및/또는 차단기 상태를 표시하거나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는 전자태그(Tag) 발행 No., 기기명, 승인자, 감독자, 작업 내용, 작업기간, 작업 시행사 등을 포함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알람 신호는 Unit, Equipment, 전자태그 발행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람 신호는 도어부(80) 및/또는 잠금부(93)에 사용자의 터치 등이 감지되는 경우에 표시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차단기 상태는 운전중, 정지, 차단기 OFF 등을 포함하거나 표시할 수 있다.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displays an electronic tag, whether the electronic tag is issued (and/or generated), whether the electronic tag is retrieved (and/or returned), an alarm signal (eg, a voice signal), and/or a breaker status or you can print it out. The electronic tag may include or display an electronic tag issuance No., device name, approver, supervisor, work content, work period, work executor, and the like. The alarm signal may indicate whether a unit, equipment, or electronic tag is issued. In addition, the alarm signal may be displayed or output when a user's touch is detected on the door part 80 and/or the lock part 93 . The breaker state may include or display during operation, stop, breaker OFF, and the like.

또한 전자태그 표시부(20)는 전자태그가 발행(및/또는 생성)되는 경우에는 i) 해당 차단기의 SLMS2000 LCD 화면 Flickering, ii) 운전원이 확인 Push하면 Tag Display 대기 Mode, 전자 Door Lock Released, iii) 차단기 Off or Draw-Out되면 Tag Display, 및/또는 iv) Door Close 후 전자 Door Lock에 의해 자동 잠김 등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tag is issued (and/or generated),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i) Flickering the SLMS2000 LCD screen of the circuit breaker, ii) When the operator confirms and pushes, Tag Display Standby Mode, Electronic Door Lock Released, iii) When the breaker is Off or Draw-Out, tag display and/or automatic locking by electronic door lock after closing the door may be implemented.

또한 전자태그 표시부(20)는 전자태그가 회수(및/또는 반환)되는 경우에는 i) Tag 회수 및 차단기 투입 승인되면 해당 "차단기 투입 승인 완료"로 LCD 화면 표시, ii) 운전원 확인 Push, Door Lock Released, iii) 차단기 투입되면 초기 화면 "BKR No. & 기기명"으로 전환, 및/또는 iv) 전자 Door Lock에 의해 자동 잠김 등이 구현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electronic tag is retrieved (and/or returned),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displays the LCD screen as “Completed approval for closing the breaker” when i) tag collection and breaker input is approved, ii) operator confirmation push, door lock Released, iii) When the breaker is inserted, the initial screen "BKR No. & Device Name" is switched, and/or iv) automatic locking by the electronic door lock can be implemented.

또한 전자태그 표시부(20)는 도어부(80) 및/또는 잠금부(93)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도어부(80)를 열거나 잠금부(93)를 해제하지 않고 전자태그 표시부(20)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차단기 Door를 Open 하지 않고 스위치를 조작할 경우, i) 차단기 스위치 위에 보안 커버 부착, ii) 보안 커버에 전자식 Door Lock 설치로 자동 Open/Close, iii) 전자 Tag는 Door Lock에 Open/Close Signal 제공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Tag 발생/회수 절차는 Door Open식 차단기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Also,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may operate in conjunction with the door unit 80 and/or the lock unit 93 . When the user operates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without opening the door unit 80 or releasing the lock unit 93 , the following operation may be implemented. For example, if the user operates the switch without opening the breaker door, i) attach the security cover on the breaker switch, ii) automatically open/close by installing the electronic door lock on the security cover, iii) the electronic tag is placed on the door lock Provision of Open/Close Signal may be implemented. In addition, the tag generation/recovery procedure can be implemented in the same way as the door open type breaker.

도 1b 및 도 1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따른 전원제어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B and 1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display of a power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b를 참조하면, 전원제어장치(10)의 전자태그 표시부(20)는 디스플레이 화면(70a), 제1 알람 표시부(70b), 제2 알람 표시부(70c), 제3 알람 표시부(70d), 제1 입력 버튼(70e), 제2 입력 버튼(70f), 및 스피커(70g)를 포함할 수 있다.1B,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of the power control device 10 includes a display screen 70a, a first alarm display unit 70b, a second alarm display unit 70c, a third alarm display unit 70d, It may include a first input button 70e, a second input button 70f, and a speaker 70g.

디스플레이 화면(70a)은 LCD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디스플레이) 및/또는 터치 스크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스피커(70g)는 전원제어장치(10), 전자태그와 관련되는 정보를 녹음된 음성, 기계 음성, 효과음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The display screen 70a may include an LCD panel (liquid crystal 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and/or a touch screen, and the speaker 70g records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control device 10 and the electronic tag in a recorded voice. , machine voice, sound effect, etc.

제1 알람 표시부(70b)는 전원장치(130)(및/또는 전원제어장치(10))의 전원상태에 상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상태가 온(on)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알람 표시부(70b)는 발광하거나 점등(및/또는 점멸)할 수 있다.The first alarm display unit 70b may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ower state of the power supply device 130 (and/or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For example, when the power state corresponds to on, the first alarm display unit 70b may emit light or light (and/or blink).

제2 알람 표시부(70c)는 전원장치(130)(및/또는 전원제어장치(10))의 운전상태에 상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운전상태가 '운전중'에 상응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알람 표시부(70c)는 발광하거나 점등(및/또는 점멸)할 수 있다.The second alarm display unit 70c may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operation state of the power supply device 130 (and/or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For example, when the operating state corresponds to 'in operation', the second alarm display unit 70c may emit light or light (and/or blink).

제3 알람 표시부(70d)는 전원장치(130)(및/또는 전원제어장치(10))의 정지상태에 상응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전원장치(130)(및/또는 전원제어장치(10))가 정지되거나 동작을 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제3 알람 표시부(70d)는 발광하거나 점등(및/또는 점멸)할 수 있다.The third alarm display unit 70d may display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top state of the power supply device 130 (and/or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For example, when the power device 130 (and/or the power control device 10) is stopped or does not operate, the third alarm display unit 70d may emit light or light (and/or blink). .

제1 입력 버튼(70e) 및/또는 제2 입력 버튼(70f)은, 예를 들면, 소정의 물리적인 신호를 인식하는 버튼일 수 있으며, 일 예로 감압식 버튼(압력을 감지하는 버튼)이거나, 다른 예로 정전식 버튼(정전기의 발생 및/또는 변화를 감지하는 버튼)일 수 있다.The first input button 70e and/or the second input button 70f may be buttons for recognizing a predetermined physical signal, for example, a pressure-sensitive button (a button for sensing pressure), or other For example, it may be a capacitive button (a button that detects the generation and/or change of static electricity).

예를 들면, 제1 입력 버튼(70e)은 차단기 on/off에 상응하는 버튼일 수 있으며, 제2 입력 버튼(70f)은 '확인'(및/또는 '입력', '선택')에 상응하는 버튼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input button 70e may be a button corresponding to a circuit breaker on/off, and the second input button 70f may be a button corresponding to 'confirm' (and/or 'input', 'select'). It could be a button.

도 1c를 참조하면, 전원제어장치(10)의 전자태그 표시부(20)는 제4 알람 표시부(70h), 제5 알람 표시부(70i), 제6 알람 표시부(70j)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C ,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of the power control device 10 may include a fourth alarm display unit 70h, a fifth alarm display unit 70i, and a sixth alarm display unit 70j.

제4 알람 표시부(70h)는 전자태그가 발행(및/또는 생성) 중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전자태그가 발행 중인 경우에는 상기 제4 알람 표시부(70h)는 발광하거나 점등(및/또는 점멸)할 수 있다.The fourth alarm display unit 70h may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tag is being issued (and/or generated). For example, when a specific electronic tag is being issued, the fourth alarm display unit 70h may emit light or light (and/or blink).

제5 알람 표시부(70i)는 전자태그가 회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특정 전자태그가 회수된 경우에는 상기 제5 알람 표시부(70i)는 발광하거나 점등(및/또는 점멸)할 수 있다. 상기 '전자태그가 회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 예로,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가 상기 차단기 조작자의 단말을 통하여 '전자태그 회수'에 상응하는 정보 입력, 버튼 선택 등을 하는 경우에 상기 관리서버(110)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The fifth alarm display unit 70i may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tag has been retrieved. For example, when a specific electronic tag is retrieved, the fifth alarm display unit 70i may emit light or light (and/or blink). The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tag has been recovered' may be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 as a specific example, a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plant manager) )) may be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when the information input corresponding to 'electronic tag collection', button selection, etc. is inputted through the terminal of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제6 알람 표시부(70j)는 전자태그에 대한 요청이 없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일 예로, 소정의 시간 동안 전자태그에 대한 요청이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6 알람 표시부(70j)는 발광하거나 점등(및/또는 점멸)할 수 있다.The sixth alarm display unit 70j may display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re is no request for the electronic tag. For example, when there is no request for the electronic tag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sixth alarm display unit 70j may emit light or light (and/or blink).

또한 전자태그 표시부(20)는 다중(multi) 전자태그와 관련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1) 해당 부서에서 Tag 발행 요청 : 전자 Tag 상에 붉은 색 표시, 2) 타 부서에서도 Tag 발행 요청 가능하며, Tag 발행 수 만큼 붉은 색으로 버튼 점등, 3) 발행 Tag 표시 버튼 터치 시, 해당 Tag 내용 표시 됨, 4) 작업 완료 후 Tag 회수 시, 녹색으로 해당 버튼 점등, 5) 모든 Tag 회수 후 차단기 On 하면, 모든 표시 버튼 점멸 (비활성화), 6) 점멸되는 버튼은 터치 안될 수 있다. 상기 1)과 관련하여, 제1 부서(및/또는 상기 제1 부서의 사용자)가 전자태그의 발행(및/또는 생성)을 요청한 경우, 상기 제4 알람 표시부(70h)는 소정의 점등 신호를 출력(및/또는 점등)할 수 있다. 상기 2)와 관련하여, 제2 부서(및/또는 상기 제2 부서의 사용자)가 전자태그의 발행(및/또는 생성)을 요청한 경우, 상기 제4 알람 표시부(70h)는 소정의 점등 신호를 출력(및/또는 점등)할 수 있으며, 발행되는 전자태그의 개수만큼 점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may relate to a multi-electronic tag, and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1) Request for tag issuance from the relevant department: Red color is displayed on the electronic tag, 2) Tag issuance can be requested from other departments, and the button lights up in red as many as the number of tags issued, 3) When the button to display the issued tag is touched, the tag contents 4) When the tag is retrieved after work is completed, the corresponding button is turned on in green, 5) If the breaker is turned on after all tags are retrieved, all display buttons are flickering (deactivated), 6) the flickering button cannot be touched. In relation to 1) above, when the first department (and/or the user of the first department) requests issuance (and/or creation) of the electronic tag, the fourth alarm display unit 70h displays a predetermined lighting signal. It can output (and/or light up). In relation to 2), when the second department (and/or the user of the second department) requests issuance (and/or generation) of the electronic tag, the fourth alarm display unit 70h displays a predetermined lighting signal. It can be output (and/or turned on) and can be turned on as much as the number of issued electronic tag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ower control device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 관리 시스템(100)은 전원제어장치(10), 관리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 the power control devic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ower control device 10 , a management server 110 , and a user terminal 120 .

관리서버(11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며, 관리서버(110)는 전원제어장치(10)를 직접 제어하거나, 사용자 단말(120)을 통하여 상기 전원제어장치(10)를 간접적으로 제어할 수도 있다.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3 , and the management server 110 directly controls the power control device 10 or controls the power control device 10 through the user terminal 120 . It can also be controlled indirectly.

사용자 단말(120)은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예; 스마트폰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단말기 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팜톱(palmtop) 컴퓨터,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웹 패드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디지털 기기,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소정의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120 is a terminal used by a user (e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ncluding a smart phone, but also a desktop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workstation, a palmtop computer, and a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 a digital device equipped with a memory means such as a web pad and equipped with a microprocessor to have arithmetic capability, a predetermined device including an input/output interface, etc.).

사용자 단말(120)은 전원관리장치를 제어(및/또는 관리)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은 관리서버(110)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20)에서 실행되는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을 통하여 제1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보는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관리서버(110)에게 전달되고, 상기 관리서버(110) 및/또는 저장 모듈(250)에 기록될 수 있다. 제1 정보는 상기 사용자의 개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사용자의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본 발명의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을 통하여 결제한 금액 및/또는 내역(결제내역)에 대한 정보, 상기 사용자가 지급받거나 사용한 리워드(포인트)에 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The user terminal 120 may execute a website and/or a mobile app that provides a platform for controlling (and/or managing) the power management device. The website and/or mobile app may be op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 The user may input the first information through a website and/or a mobile app executed in the user terminal 120 . The first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from the user terminal 120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 and may be recorded in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storage module 250 . The first information may includ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user. Here, th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user's name, ID (identifier), password, street name address, phone number, mobile phone number, email address, and/or a reward (eg, point, etc.)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 ) may include information indicating In addition, the first information includes information on the amount and/or details (payment details) paid by the user through the website and/or mobile app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nformation on the rewards (points) paid or used by the user. may include

관리서버(110)는 상기 제1 정보가 소정의 기준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기반하여 특정 프로세스를 실행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관리서버(110)는 상기 제1 정보에 포함되는 개인 정보에 기반하여 본인 인증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determine whether to execute a specific process based on whether the first information satisfies a predetermined criterion. For example, 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control to execute an identity authentication process based on personal information included in the first informat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원제어장치 관리 시스템(100)은 전원제어장치(10)에 상응하는 제1 전원제어장치(530), 제2 전원제어장치(540), 및 제3 전원제어장치(550)를 포함하고, 관리서버(110) 및 사용자 단말(120)(또는 네비게이터(51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ower control device management system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ower control device 530 , a second power control device 540 , and a third power control device corresponding to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It includes the device 550 , and may include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 the user terminal 120 (or the navigator 51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management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서버(110)는 제어 모듈(210), 통신 모듈(220), 입력 모듈(230), 출력 모듈(240), 및 저장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include a control module 210 , a communication module 220 , an input module 230 , an output module 240 , and a storage module 250 .

제어 모듈(2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module 210 may directly/indirectly control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to implement the operation/step/proces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10 may include at least one processor, and the processor may include at least one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or at least one graphics processing device (GPU).

또한 제어 모듈(21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10 generates control information (eg, commands) based o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 (Internet of Things), IIoT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and ICT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technologies. and/or manage.

통신 모듈(220)은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으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transmit/receive various data, signals, and information to 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may include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eg, a cellular communication module,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or a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communication module) or a wired communication module (eg, a local area network (LAN) communication module; or a power line communication module).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is a first network (eg, a short-range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Bluetooth, WiFi direct, or 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or a second network (eg, a cellular network, the Internet, or a computer network (eg, LAN or It can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through a tele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AN). These various types of communication module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eg, a single chip) or may be implemented as a plurality of components (eg, multiple chips) separate from each other.

입력 모듈(230)은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관리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30)은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지문인식센서, 홍채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The input module 230 transmits commands or data to be used for components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eg, the control module 210, etc.) to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 from outside (eg, a user (eg, a first user, a second user, etc.), an administrator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 etc.). In addition, the input module 230 is a touch recognition capable display installed in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a touch pad, a button-type recognition module, a voice recognition sensor, a fingerprint recognition sensor, an iris recognition sensor, a microphone, a mouse , or a keyboard. Here, the touch recognition capable display, the touch pad, and the button-type recognition module may recognize a touch through the user's body (eg, a finger) through a pressure-sensitive and/or capacitive method.

출력 모듈(240)은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제어 모듈(21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2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4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put module 240 is generated by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or acquir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220 (eg, voice signal), information, data, It is a module for displaying images and/or various objects. For example, the output module 240 may include a display, a screen, a displaying unit, a speaker, and/or a light emitting device (eg, an LED lamp).

또한,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은 저장 모듈(storage module)(25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250)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50)은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 빅데이터(big data) 서버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 / or the user terminal 120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module (storage module) 250, the basic for the operation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 / or the user terminal (120) It stores data such as programs, applications, and sett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250 is a flash memory type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etc.), magnetic memory, magnetic disk, optical disk, RAM (Random Access Memory, RAM),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Only Memory, ROM), PROM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may include at least one storage medium. In addition, the storage module 250 may include a cloud server, a big data server, and the like.

또한 저장 모듈(250)은 사용자 단말(120)을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또는 관리서버(110)의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리워드(reward)(예; 포인트 등)를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은 상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Also, the storage module 250 may store personal information of a customer (a first user) who uses the user terminal 120 and/or personal information of a manager (a second user)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 Here, personal information includes a name, ID (identifier), password, street name address, phone number, mobile phone number, email address, and/or a reward (eg, point, etc.) gen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 information may be included. In addition, the control module 210 may perform various operations using various images, programs, contents, data, etc.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50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여기서 SBO는 급전 운영 담당자(Switch Board Operator)를 의미할 수 있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SBO may mean a switch board opera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전자태그(및/또는 전자태그 표시부(20))에 대한 제1 이벤트(예; 전자태그의 발행(및/또는 생성))가 수행되는 단계(X-1단계), 잠금부(93)에 대한 제2 이벤트(예; 잠금부(93)가 잠금되는 동작)가 수행되는 단계(X-2단계), 전자태그(및/또는 전자태그 표시부(20))에 대한 제3 이벤트(예; 전자태그의 발행(및/또는 생성))을 요청하는 단계(X-3단계), 및/또는 잠금부(93)에 대한 제4 이벤트(예; 잠금부(93)의 잠금이 해제되는 동작)가 수행되는 단계(X-4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순서는 변경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내용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In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event (eg, issuance (and/or generation) of the electronic tag) for the electronic tag (and/or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is performed (X-1) step), a second event for the locking unit 93 (eg, an operation in which the locking unit 93 is locked) is performed (step X-2), the electronic tag (and/or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requesting a third event (eg, issuance (and/or creation) of an electronic tag) for the (X-3 step), and/or a fourth event for the locking unit 93 (eg, the locking unit 93) ) may include a step (step X-4) in which the lock is released), the order may be changed, and may be specifically implemented based on the following contents.

도 4를 참조하면, 특정기기에 대한 이벤트(불량) 및/또는 현장작업사항이 발생하면(S1), 사용자A(예; 현장감독)는 전자태그의 발행(및/또는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2). 예를 들면, 사용자A는 자신의 단말(120) 및/또는 관리서버(110)을 통하여 전자태그의 발행을 요청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A는 자신의 단말(120) 및/또는 관리서버(110)을 통하여 상기 특정기기에 상응하는 특정 전자태그의 발행을 요청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when an event (defect) and/or field work for a specific device occurs (S1), user A (eg, field supervisor) may request issuance (and/or creation) of an electronic tag. (S2). For example, user A may input information requesting issuance of the electronic tag through his/her terminal 12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110 . For example, user A may input information requesting issuance of a specific electronic tag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device through his/her terminal 120 and/or the management server 110 .

이를 위해 단말(120)은 본 발명의 전자태그의 요청/생성/회수/기록관리 등과 관련되는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으며, 상기 웹사이트 및/또는 모바일앱은 관리서버(110)에 의해 운용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terminal 120 may execute a website and/or a mobile app (application) that provides a platform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related to request/generation/collection/record management of the electronic ta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he website and/or mobile app may be operat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

그리고, 사용자B(예; SBO)는 대장기록을 관리서버(110)를 통하여 발행(및/또는 생성)하거나 입력할 수 있으며(S3), 사용자C(예; 발전차장)는 전자태그의 발행을 상기 관리서버(110)를 통하여 승인할 수 있으며(S4), 상기 관리서버(110)는 전자태그를 발행(및/또는 생성)하여 출력할 수 있다(S5). 여기서 관리서버(110)가 발행하는 전자태그는 특정기기에 상응하는 것일 수 있다.In addition, user B (eg, SBO) may issue (and/or create) or input the ledger recor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10 (S3), and user C (eg, deputy head of power generation) may issue the electronic tag. Approval may be made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10 (S4), and 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issue (and/or generate) an electronic tag and output the electronic tag (S5). Here, the electronic tag issued by 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correspond to a specific device.

그리고, 전기실(500)에 들어간 사용자B(예; SBO)는 전자태그가 발행(및/또는 생성) 중임을 확인하고(S6), 전기실(500)에 들어간 사용자B는 전자태그가 발행된 차단기를 오프(off)하고(S7), 관리서버(110)는 전자태그를 발행할 수 있다(S8).Then, user B (eg, SBO) entering the electrical room 500 confirms that the electronic tag is being issued (and/or generated) (S6), and user B entering the electrical room 500 blocks the circuit breaker to which the electronic tag is issued (S6). It is turned off (S7), and the management server 110 may issue an electronic tag (S8).

그리고, 현장에서 작업자가 현장작업을 수행하고(S9), 완료하면(S10), 사용자A(예; 현장감독)는 전자태그의 회수를 요청할 수 있다(S11).And, when the operator performs the field work at the site (S9) and completes it (S10), the user A (eg, the field supervisor) may request the collection of the electronic tag (S11).

그리고, 사용자B(예; SBO)는 관리서버(110)를 통하여 대장기록을 확인하고(S12), 전기실(500)에 들어간 사용자B는 전자태그가 회수 중임을 확인하고(S13), 전기실(500)에 들어간 사용자B는 전자태그가 발행(및/또는 생성)된 차단기를 온(on)하고(S14), 관리서버(110)는 대장기록을 회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S15).Then, the user B (eg, SBO) checks the book record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110 (S12), and the user B who enters the electrical room 500 confirms that the electronic tag is being retrieved (S13), and the electrical room 500 ), user B turns on the circuit breaker to which the electronic tag is issued (and/or generated) (S14), and the management server 110 can control to retrieve the ledger record (S15).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전원제어장치(10)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도어부(80)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전자태그 표시부(20)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전자태그 표시부(20)는 전자식 LED 스크린일 수 있으며,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20)는 평소에는 기기명만 표시(및/또는 출력)될 수도 있다.The power control device 10 may be provided with a door unit 80 as shown in FIG. 1A , and may include an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 Here,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may be an electronic LED screen, and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may normally display (and/or output) only the device name.

사용자A(작업감독)이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를 찾아와 특정 기기에 대한 작업을 할 예정이니, 상기 특정 기기의 차단기를 내려달라(즉, 전력/전류 off)는 요청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는 상기 차단기 조작자의 단말(예; 컴퓨터, 핸드폰)을 통하여 전자태그를 발행(및/또는 생성)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원제어장치(10)에 설치되는 전자태그 표시부(20) 및/또는 점등장치에서 발광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가 해당 차단기의 문을 열고 차단기를 내리면(즉, 전류/전력 off) 상기 전원제어장치(10)에 설치되는 전자태그 표시부(20)에서 전자태그가 표시(및/또는 출력)될 수 있다.User A (work supervisor) is going to visit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plant manager)) to work on a specific device, so You can make a request to get down (ie power/current off). And,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generation manager)) issues an electronic tag (and/or) through the terminal (eg, computer, mobile phone) of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can be created). Then, the light emission signal may be output from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and/or the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When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generator)) opens the door of the breaker and lowers the breaker (ie, current/power off), the power control device 10 The electronic tag may be displayed (and/or output) in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installed in the .

그 후에 작업(현장작업 및/또는 특정 기기에서의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A(작업감독)이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를 다시 찾아와 특정 기기에 대한 작업이 완료되었으니 차단기를 올려달라(즉, 전류/전력 on)는 요청을 할 수 있다. 그 후에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가 상기 차단기 조작자의 단말(예; 컴퓨터, 핸드폰)을 통하여 전자태그를 회수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전원제어장치(10)에 설치되는 전자태그 표시부(20) 및/또는 점등장치에서 발광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그 후에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가 와서 해당 차단기의 문(예; 도어부(80))을 열고 차단기를 올릴 수 있다(즉, 전류/전력 ON).After that, when the work (on-site work and/or work on a specific device) is completed, User A (Operation Supervisor) is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Generator)). You can request to turn on the circuit breaker (ie, turn on current/power) because the work on a specific device is completed by visiting again. Thereafter,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plant manager)) may retrieve the electronic tag through the terminal (eg, computer, mobile phone) of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Then, the light emission signal may be output from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and/or the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After that,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generator)) may come and open the door (eg, door part 80) of the circuit breaker and raise the circuit breaker ( i.e. current/power ON).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아래와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And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following features.

전원제어장치(10)에 설치되는 전자태그 표시부(20) 및/또는 점등장치에서 발광 신호가 출력될 때, 사용자가 확인 버튼(예; 제1 버튼(30), 제2 버튼(40), 또는 제3 버튼(50) 등)을 누르면 상기 발광 신호의 출력이 중단될 수 있다(즉, 깜빡깜빡 거리는 불빛이 꺼짐).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20)는 상기 발광 신호의 출력이 중단되면, 디스플레이 화면(70a)을 통하여 해당 기기명을 표시(및/또는 출력)하거나 스피커(70g)를 통하여 해당 기기명에 상응하는 사운드(예; 기 녹음된 음성, 기계음성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이는 차단기 조작자 중에 시력이 안 좋은 사람이 있거나 정신적으로 하자가 있는 사람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When the light emission signal is output from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and/or the lighting device installed in the power control device 10, the user presses a confirmation button (eg, the first button 30, the second button 40, or When the third button 50, etc.) is pressed, the output of the light emitting signal may be stopped (ie, the flickering light is turned off). When the output of the light emitting signal is stopped,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displays (and/or outputs) the device name through the display screen 70a or a sound corresponding to the device name through the speaker 70g (eg; pre-recorded voice, machine voice, etc.) can be output. This is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some circuit breaker operators may have poor eyesight or may have mental defects.

또한 차단기(예; 전원제어장치(10))에 전자식 락기능(예; 도 1a의 잠금부(93))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이때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가 와서 해당 차단기의 문(예; 도어부(80))을 열고 차단기를 내리면(OFF시키면), 전자태그 표시부(20)에 전자태그가 정상 발행(및/또는 생성)되면 전자적으로 문이 잠길 수 있다. 그 후에 작업이 완료되어 전자태그가 반납(및/또는 회수)되면 전자적으로 문이 열리도록 하는 기능할 수 있다.In addition, an electronic lock function (eg, the locking unit 93 in FIG. 1A ) may be installed in the circuit breaker (eg,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At this time, when the circuit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generator)) comes, opens the door (eg, door part 80) of the breaker and lowers the breaker (when OFF) , when the electronic tag is normally issued (and/or generated) on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the door may be electronically locked. After that, when the operation is completed and the electronic tag is returned (and/or retrieved), it may function to electronically open the door.

또한 기기가 작동하고 있는데 차단기 조작자(및/또는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가 컴퓨터 상에서 차단기(예; 도 1a의 스위치(60))를 내리려고 차단기 OFF 전자태그를 발급하려고 클릭을 하면 차단기 조작자의 단말(예; 컴퓨터, 핸드폰)에서 해당 차단기 OFF가 불가능하도록 할 수 있으며, 차단기 OFF가 불가능하다는 알람이 표시되거나 출력될 수 있다.Also, the appliance is running and the breaker operator (and/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Generator)) tries to trip the circuit breaker (eg switch 60 in FIG. 1A ) on the computer. When clicking to issue an OFF electronic tag, the circuit breaker operator's terminal (eg, computer, mobile phone) can make the circuit breaker OFF impossible, and an alarm indicating that the circuit breaker cannot be turned OFF may be displayed or output.

한편, 공기업은 망분리가 되어있어서(예; 인트라넷, 사내 네트워크 등) 사내 망용 핸드폰을 사용해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사기업은 망분리가 안되어 있어서 핸드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public enterprises have network separation (eg, intranet, in-house network, etc.), so they can use the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if they use a mobile phone for an in-house network. A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may be used.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 및 네비게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lectrical room and a navig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실(500)에는 네비게이터(510), 카메라 장치(520), 제1 전원제어장치(530), 제2 전원제어장치(540), 및 제3 전원제어장치(5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in the electrical room 5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navigator 510 , a camera device 520 , a first power control device 530 , a second power control device 540 , and a second 3 may include a power control device 550 .

네비게이터(510)는 특정 차단기가 위치하는 장소에 익숙하지 않은 인력도 상기 특정 차단기(예; 제1 전원제어장치(530), 제2 전원제어장치(540), 또는 제3 전원제어장치(550))가 어디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안내해주는 기능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전기실(500)의 내부 및/또는 입구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네비게이터(510)를 통한 2차 정보 확인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사람의 실수로 인한 에러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터(510)가 전기실(500)의 입구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전기실(500)의 입구에서부터 전체 차단기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과 비정상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도 상기 전기실(500)의 입구에서부터 사전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The navigator 510 is the specific circuit breaker (eg, the first power control device 530, the second power control device 540, or the third power control device 550) even for personnel unfamiliar with the place where the specific circuit breaker is located. ) is a device including a function for guiding whether or not it is located, and may be installed inside and/or at the entrance of the electrical room 500 .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technical effect of preventing errors due to human error by proposing a method for checking secondary information through the navigator 510 . In addition, when the navigator 510 is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electrical room 500,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heck the state of the entire circuit breaker from the entrance of the electrical room 500, and even when an abnormal situation occurs, the electrical room 500 It can be said that it is efficient in that it can grasp the prior state from the entrance of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실(500)에는 카메라 장치(5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관리서버(110)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를 통하여 촬영되는 영상 및/또는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예; 정지 이미지, 동적 이미지)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움직임(및/또는 동선)을 확인하거나 식별할 수 있다. 이는 관리서버(110)의 카메라 모듈(610)을 통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5 , a camera device 520 may be installed in the electrical room 500 , and the management server 110 provides image information and/or acquired image information ( For example, based on a still image, a dynamic image), the user's movement (and/or movement) may be identified or identified. This may be implemented through the camera module 610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FIG.

카메라 장치(520)는 다방향 카메라 및/또는 전방향 카메라(예; 어안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방향 카메라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영상 인식 장치(예; IP(Internet Protocol) 카메라 또는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카메라 등), 복수의 렌즈, 복수의 카메라 제어 장치, 복수의 조명장치 등을 포함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방향 카메라는 어안(fishey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IP 카메라는 전기실(500)의 외부에서도 상기 카메라 장치(520)가 설치된 전기실(500)의 내부 상황을 사용자 단말(예; 스마트폰, 휴대폰 등)로 확인하거나 점검하도록 할 수 있다.The camera device 520 may include a multi-directional camera and/or an omni-directional camera (eg, a fisheye camera). Here, the multi-directional camera may include a plurality of cameras, a plurality of image recognition devices (eg, Internet Protocol (IP) cameras or closed circuit television (CCTV) cameras, etc.), a plurality of lenses, a plurality of camera control devices, a plurality of It may include a lighting device of the or include a module for controlling the same. The omnidirectional camera may also include a fisheye camera. The IP camera may check or check the internal condition of the electrical room 500 in which the camera device 520 is installed with a user terminal (eg, smart phone, mobile phone, etc.) even outside the electrical room 50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10)의 제어 모듈(21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control module 210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어 모듈(210)은 카메라 모듈(610) 및 인공지능 모듈(62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6 , the control module 210 includes a camera module 610 and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620 .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카메라 장치(520)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 및/또는 이미지 정보를 분석하여 소정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610)은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520)을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및/또는 이미지 정보)에서 영상(및/또는 이미지 정보)에 포함되는 객체의 윤곽선을 추출하거나 및/또는 상기 추출되는 객체의 영역에서 소정의 글씨(또는 소정의 정보에 상응하는 윤곽선)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카메라 장치(520)을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및/또는 이미지 정보)에서 추출되는 객체에 상응하는 영역을 마스킹 처리하여 마스킹 영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마스킹 처리 과정은, 예를 들면, 차분영상 방법, GMM(Gaussian Mixture Models)을 이용하는 MOG(Model of Gaussian) 알고리즘, 코드북(Codebook) 알고리즘 등과 같은 객체와 배경을 분리하기 위한 배경 모델링을 통해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 후보 영역을 추출하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610 may generate predetermined information by analyzing the image and/o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device 520 . The camera module 610 is a 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 (local binary pattern), FAST (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such as through various algorithms for object feature extraction. , extracting an outline of an object included in an image (and/or image information) from an image (and/o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device 520 and/or a predetermined text in the area of the extracted object (or an outline corresponding to predetermined information) may be obtained. Also, the camera module 610 may generate masking image information by masking a region corresponding to an object extracted from an image (and/o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device 520 . At this time, the masking process is, for example, a differential imaging method, a Model of Gaussian (MOG) algorithm using Gaussian Mixture Models (GMM), a codebook algorithm, etc. Object through background modeling to separate an object and a background A method of extracting an object candidate region corresponding to .

또한,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카메라 장치(520)가 설치된 장소에 대한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520)을 제어할 수 있다.Also, the camera module 610 may control the camera device 520 based on information on a place where the camera device 520 is installed.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장치(520)가 설치된 전기실(500)에 대한 출입 정보를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 장치(520)가 설치된 전기실(500)에는 복수의 출입구(예; 제1 출입구, 제2 출입구 등)(예; 출입문, 비상구)가 존재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장치(520)을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및/또는 이미지 정보)에서 추출되는 객체가 사람(또는 직원)에 상응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되는 객체가 상기 제1 출입구(또는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하여 입장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610 may obtain access information for the electrical room 500 in which the camera device 520 is installed. For example, a plurality of entrances (eg, a first entrance, a second entrance, etc.) (eg, an entrance door, an emergency exit) may exist in the electrical room 500 in which the camera device 520 is installed, for example, the camera device An object extracted from the image (and/or image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520 may correspond to a person (or an employee), and the extracted object enters through the first doorway (or the second doorway) it can be recognized that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추출되는 객체가 상기 제1 출입구(또는 상기 제2 출입구)를 통하여 입장하였음이 인식되는 횟수가 소정의 횟수 임계값 이상인 경우(또는 "소정의 시간 동안" 인식되는 횟수가 상기 소정의 횟수 임계값 이상인 경우)에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에 카메라 장치(520)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출입구를 촬영하게 하거나, 상기 제1 출입구를 촬영한 영상에 대한 정보를 다른 영상보다 더 오랜 기간 동안 저장하거나(예를 들어, 저장 모듈(250)에 기록), 상기 제1 출입구를 더 고화질로 촬영하거나, 상기 제1 출입구를 촬영하는 다방향 카메라 모듈(또는 다방향 카메라 장치)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카메라 장치(또는 카메라 렌즈)를 제어하여 더 확대된 영상(예; zoom-in된 영상)을 촬영(또는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제1 조건이 만족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제어 모듈(210)(및/또는 제1 전원제어장치(530), 제2 전원제어장치(540), 및/또는 제3 전원제어장치(550))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제1 전원제어장치(530), 제2 전원제어장치(540), 및/또는 제3 전원제어장치(550) 각각에 설치된(구비된) 잠금부(93)가 잠금되도록 제어되거나, 및/또는 전자태그 표시부(20)를 통하여 소정의 알람이 표시되거나 출력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When the number of times that the extracted object is recognized that it has entered through the first doorway (or the second doorway)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number threshold value (or the number of times recognized “for a predetermined tim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when the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is equal to or greater than the threshold value).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the camera module 610 controls the camera device 520 to photograph the first doorway, or transmits information about an image captured by the first doorway to another image. A multi-directional camera module (or multi-directional camera device) that store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eg, recorded in the storage module 250), shoots the first doorway in higher quality, or captures the first doorway By controlling at least one camera device (or camera lens) provided in the , a further enlarged image (eg, a zoomed-in image) may be controlled to be photographed (or acquired). As another example, the camera module 610 transmi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first condition is satisfied to the control module 210 (and/or the first power control device 530 , the second power control device 540 , and/or Alternatively, it may be transmitted to the third power control device 550), and is installed (equipped) in each of the first power control device 530 , the second power control device 540 , and/or the third power control device 550 . ) The locking unit 93 may be controlled to be locked, and/or a predetermined alarm may be displayed or output through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

또한 카메라 모듈(610)은 기상 정보에 기반하여 카메라 장치(520)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610)을 통하여 획득된 기상 정보는 날씨에 대한 포괄적인 정보(예; 일별 날씨 정보, 날씨 예상 정보, 작년 날씨 정보 등)를 포함할 수 있다. Also, the camera module 610 may control the camera device 520 based on weather information. For example, the weather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module 610 may include comprehensive information on weather (eg, daily weather information, weather forecast information, last year's weather information, etc.).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기상 정보에 기반하여 밝기(예; 조도(lx), 광도(cd), 광속(lm), 휘도(cd/m2 또는 sb), 광속 발산도(rlx) 등)에 대한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예; 기준 값, 최적 값, 최저 값, 최대 값).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밝기에 대한 정보(예; 밝기의 변화)에 기반하여 카메라 장치(520)가 설치된 장소 및/또는 카메라 장치(520)이 촬영하는 장소의 최적 조도를 결정(또는 산출)하고, 상기 결정된 최적 조도에 따라 카메라 장치(520)이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610)은 밝기에 대한 정보에 따른 가중치를 조도에 대한 값(예; 기준 조도)에 적용하여 카메라 장치(520)가 설치된 장소 및/또는 카메라 장치(520)이 촬영하는 장소의 최적 조도를 결정(또는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610,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brightness (eg, illuminance (lx), luminance (cd), luminous flux (lm), luminance (cd/m 2 or sb), luminous flux divergence (rlx) etc.) can be set (eg, reference value, optimal valu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610 determines the optimal illuminance of a place where the camera device 520 is installed and/or a place where the camera device 520 shoots based on brightness information (eg, change in brightness) (or calculation) and control the camera device 520 to take pictures according to the determined optimal illuminance.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610 applies a weight according to the brightness information to a value for the illuminance (eg, reference illuminance), so that the location where the camera device 520 is installed and/or the camera device 520 is photographed. It is possible to determine (or calculate) the optimal illuminance of the place.

또한,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기상 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520)의 전력에 대한 값(예; 예비 전력, 소비 전력, 최소 충전 전력, 최대 충전 전력 등에 대한 값) 또는 전력 모드(예; 안전 모드, 최대 성능 모드 등)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상 정보가 금일(오늘) 뇌우가 예상된다는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 뇌우로 인하여 카메라 장치(520)(또는 카메라 모듈(610))에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또는 전원이 끊기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하여, 카메라 모듈(610)은 예비 전력에 대한 값을 소정 이상의 값으로 설정하거나 전력 모드를 안전 모드로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610 is a value for the power of the camera device 520 based on the weather information (eg, a value for reserve power, power consumption, minimum charging power, maximum charging power, etc.) or a power mode (eg ; safe mode, maximum performance mode, etc.). For example, when the weather information indicates information that a thunderstorm is expected today (today), power is not supplied (or power is cut off) to the camera device 520 (or the camera module 610) due to a thunderstorm In order to prepare for , the camera module 610 may set the value for the reserve power to a value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determined value or set the power mode to the safe mode.

또한, 카메라 모듈(610)은 카메라 장치(520)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획득된 영상에 찍힌 사람(즉, 객체)이 입은 옷에 새겨진 글씨를 추출할 수 있으며,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추출된 글씨가 나타내는 정보에 기반하여 상이한 동작을 수행하거나 카메라 모듈(11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된 글씨가 나타내는 정보가 특정 직업, 예를 들어, 차단기 조작자, 사용자B(예; SBO) 및/또는 사용자C(예; 발전차장)) 등임을 나타내는 정보인 경우,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추출된 글씨가 새겨진 객체(사람)가 촬영된 영상에 대한 특정 제어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610)은 상기 영상을 별도의 리스트로 관리하거나, 상기 객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거나(예를 들어, 상기 객체가 이동하여 다른 영상에 촬영되었는지(또는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함으로써 상기 객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할 수 있다), (전력 모드가 안전 모드로 설정된 경우) 상기 객체가 촬영된 영상의 저장 기간을 짧게 설정할 수 있다(상시 촬영의 대상이 되는 객체이므로, 전력 절약을 위한 설정일 수 있다). Also, the camera module 610 may acquire an outline of an object in an image or a text (or an outline (or outline) indicating information)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object from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520 . For example, text engraved on clothes worn by a person (ie, object) photographed in the acquired image may be extracted, and the camera module 610 may perform a different operation based 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extracted text or the camera module (110) can be controlled. In addition, when the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extracted text i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a specific occupation, for example, a circuit breaker operator, user B (eg, SBO) and/or user C (eg, electric power plant manager)), the camera module 610 ) can give specific control to the image in which the extracted text is engraved on the object (person). For example, the camera module 610 manages the image as a separate list, tracks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eg, whether the object is moved and photographed in another image (or exists)) By confirming,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can be tracked), (when the power mode is set to the safe mode), the storage period of the image captured by the object can be set to be shorter (the object is a constant photographing object, so power is saved) may be a setting for ).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모듈(610)은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520)을 통하여 획득된 영상에서 영상 내 객체의 윤곽선 또는 상기 객체에서 추출할 수 있는 글씨(또는 정보를 나타내는 윤곽선(또는 외형))를 획득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mera module 610 is configured to extract object features such as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OG),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ocal binary pattern (LBP), 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FAST), etc. Through various algorithms, the outline of the object in the image or the text (or the outline (or outline) representing information) that can be extracted from the object may be obtained from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520 .

또한, 카메라 모듈(610)은 관리 대상에 해당되는 객체가 획득된 영상에 포함되는 경우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블랙리스트와 같은 관리 대상으로 지정된 객체가 소정의 횟수 이상으로 영상에서 확인되는 경우(또는 카메라 모듈에 의해 획득된 영상에 (소정의 횟수 이상으로) 상기 관리 대상이 포함되는 경우) 소정의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소정의 이벤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예를 들면, 특정 장소에 설치된 알람 장치(예; 경고등, 스피커)가 동작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관리 대상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카메라 장치(520)을 제어하거나, 알람 또는 그에 상응하는 신호(또는 정보)를 서버실, 관리실, 및/또는 제어실에게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카메라 모듈(610)이 상기 관리 대상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카메라 장치(520)을 제어하는 것은,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장치(520)이 상기 관리 대상에 대한 고화질 영상을 획득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예를 들면, 주변 배경 또는 다른 객체보다 상기 관리 대상이 촬영된 부분에 대해서는 더 높은 화질로 카메라 모듈(610), 카메라 장치(520), 및/또는 후술하는 저장 모듈(250)에 저장 또는 관리토록 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610)이 상기 관리 대상의 영상을 획득하도록 카메라 장치(520)을 제어하는 것은, 예를 들면, 상기 카메라 장치(520)(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610)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가 제어하는 카메라)이 상기 관리 대상을 계속 촬영하도록 카메라 회전(또는 zoom-in, zoom-out)을 지시하는 명령어 및/또는 상기 관리 대상을 촬영하게 되는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영상의 편집(또는 합성)을 지시하는 명령어 등을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Also, the camera module 610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event when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management target is included in the acquired image. For example, when an object designated as a management target, such as a blacklist, is identified in an imag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or when the management target is included in a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module (more than a predetermined number of times)) By determining that the condition of is satisfied, the camera module 610 may generate a predetermined event. In this regard, the camera module 610 controls, for example, an alarm device (eg, a warning light, a speaker) installed in a specific place to operate, or controls the camera device 520 to acquire an image of the management target. Alternatively, an alarm or a corresponding signal (or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room, management room, and/or control room. Here, controlling the camera device 520 so that the camera module 610 acquires the image of the management object may control, for example, the camera apparatus 520 to acquire a high-quality image of the management object. (For example, it is stored or managed in the camera module 610, the camera device 520, and/or the storage module 250 to be described later with higher image quality for the part where the management target is captured than the surrounding background or other objects. it can be done). In addition, controlling the camera device 520 so that the camera module 610 acquires the image of the management target is, for example, the camera device 520 (or the camera module 610 and/or the camera device) A command for instructing the camera rotation (or zoom-in, zoom-out) so that the camera (controlled by 520) continues to shoot the management object and/or an image obtained by a plurality of cameras to photograph the management object may include an operation of generating a command for instructing editing (or synthesizing) of .

또한, 관리 대상(또는 감시 대상)인 객체가 제1 위치에서 제4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제1 감시 영역, 제2 감시 영역, 제3 감시 영역, 제4 감시 영역을 통과하게 되며, 각 감시 영역에 대응되어 설치된 제1 카메라 내지 제4 카메라(예; C1, C2, C3, C4)로부터 얻어지는 영상 사이에는 카메라의 스펙이나 각도 등에 의해서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카메라 내지 제4 카메라 간의 상이한 카메라의 카메라 스펙, 확대(zoom-in)된 정도(또는 축소(zoom-out)된 정도), 및/또는 촬영 각도 등에 따라 영상의 해상도, 색감, 각도 등에 차이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각 영상에서 추출된 객체가 동일한 객체이더라도 특징 정보 추출시 해상도, 색감, 각도 등에 의해 상이한 값이 산출(또는 획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610) 및/또는 카메라 장치(520)에서 서로 다른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동일 객체를 상이한 객체로 인식하여 객체 추적에 대한 신뢰성 및 효율성이 저하되며, 각 카메라의 감시 영역에 한정하여 객체 추적이 이루어지므로 객체 추적의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object to be managed (or to be monitored) moves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fourth position, it passes through the first monitoring area, the second monitoring area, the third monitoring area, and the fourth monitoring area, and each monitoring area A difference may occur between the images obtained from the first to fourth cameras (eg, C1, C2, C3, C4) installed corresponding to the , depending on the specifications or angle of the camera. For example, the resolution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camera specifications of different cameras between the first camera to the fourth camera, the degree of zoom-in (or degree of zoom-out), and/or the shooting angle, etc.; Differences occur in color, angle, and the like. Accordingly, even if the object extracted from each image is the same object, different values may be calculated (or obtained) depending on the resolution, color, angle, etc. when extracting feature information. Accordingly, the camera module 610 and/or the camera device 520 recognizes the same object as a different object in images captured by different cameras, thereby reducing the reliability and efficiency of object tracking, and is limited to the monitoring area of each camera. Therefore, object tracking is performed, so object tracking may be disconnected.

이를 해결하기 위해, 카메라 모듈(610) 및/또는 카메라 장치(520)은 상이한 감시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제1 카메라(C1)의 영상으로부터 상기 카메라 장치(520)을 통해 얻어지는 객체 특징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장치(520)은 제1 카메라(C1)의 감시 영역을 이동하는 객체를 상기 객체 특징 정보를 기초로 동일 객체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기초로 동일 객체에 대한 추적을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장치(520)은, 예를 들면, 칼만필터(Kalman Filter)를 이용한 객체 추적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여기서 칼만필터는 잡음이 섞여 있는 기존의 관측 값(예; 영상 또는 영상 정보)을 최소 제곱법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일정 시간 후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의 수학적 계산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o solve this, the camera module 610 and/or the camera device 520 may receiv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camera device 520 from the image of the first camera C1 targeting a different monitoring area. can In this case, the camera device 520 may determine whether the object moving in the monitoring area of the first camera C1 is the same object based on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may track the same object based on this. . In this case, the camera device 520 may use an object tracking method using, for example, a Kalman filter. Here, the Kalman filter may include an optimal mathematical calculation process for predicting a position after a predetermined time by analyzing an existing observation value (eg, image or image information) mixed with noise through the least squares method.

한편, 상기 카메라 모듈(610)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은 동일 객체의 다양한 자세 및 위치로부터 얻어지는 복수의 객체 특징 정보를 지속적으로 추출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6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각 객체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영상(또는 영상 정보)를 함께 상기 카메라 모듈(61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상기 카메라 모듈(610)은 객체 특징 정보와 영상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 저장 모듈(250)로부터, 입력 모듈(230)을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상기 객체 특징 정보와 영상 정보를 추출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camera module 610 and/or the camera device 520 may continuously extract a plurality of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obtained from various postures and positions of the same object and transmit it to the camera module 610, and each object An image (or imag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eature information may also be transmitted to the camera module 610 together. In this case, the camera module 610 may extract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image information selected according to a user input through the input module 230 from the storage module 250 in which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the image information are mapped and stored. .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610)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은 제1 카메라(C1)의 감시 영역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110)를 통해 지속적으로 추출되어 전송되는 객체 특징 정보를 획득(또는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610)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은 상기 저장 모듈(250)에 상기 객체 특징 정보와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 일치하는 기존 객체 특징 정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메라 모듈(610)는 상기 객체 특징 정보와 기존 객체 특징 정보를 비교하여 미리 설정된 수준 이상 일치하는 기존 객체 특징 정보가 없는 경우, 객체 특징 정보를 서버(예; 후술하는 도 3의 카메라 모듈(610))에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610) 및/또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은 객체 특징 정보에 대응되는 객체에 대한 새로운 식별자(ID; identifier)를 부여하여 상기 저장 모듈(250)에 상기 식별자와 객체 특징 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610 and/or the camera device 520 acquires (or receives)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is continuously extracted and transmitted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unit 110 in the monitoring area of the first camera C1. )can do.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610 and/or the camera device 520 may determine whether existing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matching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by a preset level or more exists in the storage module 250 . At this time, the camera module 610 compares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with the existing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when there is no existing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that matches a preset level or more, the camera module 610 transmits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to a server (eg, the camera module of FIG. 3 to be described later). (610)) may be requested. In addition, the camera module 610 and/or the camera device 520 assigns a new identifier (ID) to an object corresponding to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storage module 250 with the identifier and the object characteristic information. can be mapped and saved.

인공지능 모듈(620)은 인공지능망을 운용하는 하드웨어 모듈 및/또는 소프트웨어 모듈일 수 있으며, 상기 인공지능망에 기반하여 소정의 임계치를 결정하거나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인공지능 모듈(620)은 저장 모듈(650)에 저장된 빅데이터(big data)에 기계학습(machine learning)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결정하거나 설정할 수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620 may be a hardware module and/or a software module operat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and may determine or generate a predetermined threshold based 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Als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620 may determine or set the predetermined threshold by using machine learning on bi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650 .

또한, 인공지능 모듈(620)은 관리서버(110)의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빅데이터를 입력변수로 하여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키는데, 구체적으로는 머신러닝의 한 분야인 딥러닝(Deep Learning) 기법을 이용하여 정확한 상관 관계가 도출될 수 있도록 학습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듈(620)은 상기 카메라 장치(520)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 및/또는 이미지 정보, 소정의 임계치 등을 학습데이터로 하여 상기 인공지능망을 학습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인공지능 모듈(620)은 상기 학습된 인공지능망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임계치를 결정하거나 재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620 learns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using the big data stored in the storage module 250 of the management server 110 as an input variable, specifically, deep learning, which is a field of machine learning. Learning is performed so that an accurate correlation can be derived using the technique. 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620 may learn the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by using the image and/or imag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camera device 520 , a predetermined threshold, and the like as learning data. For examp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620 may determine or reset the predetermined threshold using the learned artificial intelligence network.

또한 인공지능 모듈(620)은 딥러닝을 통하여 상기 함수에서의 복수 개의 입력들의 가중치(weight)를 학습을 통하여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학습을 위하여 활용되는 인공지능망 모델로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DNN(Deep Neural Network) 및 DRNN(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등 다양한 모델들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Also,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ule 620 may calculate a weight of a plurality of inputs in the function through deep learning through learning. In addition, various models such as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a Deep Neural Network (DNN), and a Dynamic Recurrent Neural Network (DRNN) may be used as an AI network model used for such learning.

여기서 RNN은 현재의 데이터와 과거의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는 딥 러닝 기법으로서, 순환 신경망(RNN)은 인공 신경망을 구성하는 유닛 사이의 연결이 방향성 사이클(directed cycle)을 구성하는 신경망을 나타낸다. 나아가, 순환 신경망(RNN)을 구성할 수 있는 구조에는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데, 예컨대, 완전순환망(Fully Recurrent Network), 홉필드망(Hopfield Network), 엘만망(Elman Network), ESN(Echo state network), LSTM(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양방향(Bi-directional) RNN, CTRNN(Continuous-time RNN), 계층적 RNN, 2차 RNN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순환 신경망(RNN)을 학습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경사 하강법, Hessian Free Optimization, Global Optimization Method 등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Here, RNN is a deep learning technique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current data and past data.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represents a neural network in which connections between units constitut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constitute a directed cycle. Furthermore, various methods may be used for a structure capable of construct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for example, a fully recurrent network, a hopfield network, an Elman network, an ESN (Echo). State network), long short term memory network (LSTM), bi-directional RNN, continuous-time RNN (CTRNN), hierarchical RNN, and secondary RNN are representative examples. In addition, as a method for learning a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methods such as gradient descent, Hessian Free Optimization, and Global Optimization Method may be used.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전원제어장치(10), 시스템(100),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in order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can be implemented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each of the above embodiments may be operated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as needed. For example, al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the power control device 10 , the system 100 , the management server 110 , and/or the user terminal 120 in combination with each other in part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제어장치(10), 시스템(100), 관리서버(110), 및/또는 사용자 단말(120)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for controlling the power control device 10, the system 100, the management server 110, and/or the user terminal 12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 the form of a program command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means. It may be implemented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As suc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as computer readable code on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n a particular aspect.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is any dat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data that can be read by a computer system. Examples of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ead only memory (ROM), random access memory (RAM), and 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 ), magnetic tapes, floppy disks, optical data storage devices, and carrier waves (such as data transmission over the Internet). 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also be distributed over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so that the computer readable code is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achiev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interpreted by programmers skilled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추가적으로, 카메라 모듈(610)은 소정의 단말(예; 차단기 조작자의 단말(120), 또는 관리자 단말)을 이용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520)에 포함되는 다방향 카메라 및/또는 전방향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소정의 단말을 이하 초점기준 단말이라고 칭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amera module 610 is configured to focus the multi-directional camera and/or the omni-directional camera included in the camera device 520 by using a predetermined terminal (eg, a terminal 120 of a breaker operator, or an administrator terminal). You can control it to fit. Meanwhil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determined terminal may be referred to as a focus reference terminal hereinafter.

상기 초점기준 단말의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제1 위치 정보와 상기 카메라 장치(520)가 위치하는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위치 정보 사이의 거리 차를 나타내는 거리 정보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상기 카메라 장치(520) 및/또는 상기 카메라 모듈(610)는 초점 설정 모드로 동작하거나 설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초점기준 단말이 상기 카메라 장치(520)로부터 소정의 거리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초점 설정 모드를 수행하는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초점 설정 모드로 설정된 카메라 모듈(610)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의 다방향 카메라와 전방향 카메라가 순차적으로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초점 설정 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다방향 카메라가 제1 초점 타이밍부터 제2 초점 타이밍 사이에 상기 초점기준 단말을 기준으로 상기 다방향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전방향 카메라가 제3 초점 타이밍부터 제4 초점 타이밍 사이에 상기 초점기준 단말을 기준으로 상기 전방향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초점 타이밍은 제2 초점 타이밍보다 우선하고, 제3 초점 타이밍은 제4 초점 타이밍보다 우선할 수 있다.When the distance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distanc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ndicated b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and the second location information representing the information on which the camera device 520 is located is lower than a predetermined threshold value, the camera device ( 520) and/or the camera module 610 may operate or be set in a focus setting mode. In other words, when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is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camera device 520, it can be considered that the condition for performing the focus setting mode is satisfied. The camera module 610 set to the focus setting mode may control the multi-directional camera and the omni-directional camera of the camera device 520 to sequentially operate. For example, when the focus setting mode is set, the multi-directional camera performs an operation for focusing the multi-directional camera based on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between a first focus timing and a second focus timing, and The omni-directional camera may perform an operation for focusing the omni-directional camera with respect to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between the third focus timing and the fourth focus timing. The first focus timing may have priority over the second focus timing, and the third focus timing may have priority over the fourth focus timing.

한편, 상기 초점기준 단말은 상기 제1 초점 타이밍과 상기 제2 초점 타이밍 사이, 그리고 상기 제3 초점 타이밍과 상기 제4 초점 타이밍 사이에는 이동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초점 타이밍과 상기 제2 초점 타이밍 사이, 그리고 상기 제3 초점 타이밍과 상기 제4 초점 타이밍 사이에 상기 초점기준 단말이 소정의 기준 이상 이동하는 경우, 이는 상기 초점기준 단말의 사용자(또는 관리자)가 상기 장치 내 카메라들의 초점을 다시 맞추려는 의도가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상기 장치 내 카메라들의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다시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초점기준 단말의 제1 위치 정보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정보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근거리 통신 신호(예; 비콘(beacon) 신호)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초점기준 단말의 높이를 나타내는 높이 정보는 상기 초점기준 단말에 구비된 기압계에 의해 측정되는 기압에 기반하여 획득(및/또는 설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대한 제1 변화량이 위치 고정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높이 정보에 대한 제2 변화량이 높이 고정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장치 내 카메라들의 초점을 맞추는 동작을 다시 시작될 수 있다(또는 초점을 맞추는 프로세스가 재실행될 수 있다). 다른 예로, i)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대한 제1 변화량이 위치 고정 임계값보다 높고 상기 높이 정보에 대한 제2 변화량이 높이 고정 임계값보다 낮은 경우, ii) 상기 제1 위치 정보에 대한 제1 변화량이 위치 고정 임계값보다 낮고 상기 높이 정보에 대한 제2 변화량이 높이 고정 임계값보다 높은 경우에는, 초점기준 단말의 관리자(또는 사용자)가 초점을 다시 맞추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이 아닌, 실수로 이동하여 초점기준 단말의 위치/높이가 달라진 것으로 볼 수 있으므로, 상기 카메라 장치(520) 및/또는 카메라 모듈(610)는 상기 카메라 장치(520)로 하여금 알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초점기준 단말의 사용자(또는 관리자)는 자신이 움직여서 카메라의 초점을 맞추는데 방해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Meanwhil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does not move between the first focus timing and the second focus timing, and between the third focus timing and the fourth focus timing. However, when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moves more than a predetermined reference between the first focus timing and the second focus timing, and between the third focus timing and the fourth focus timing, it is the user ( or the administrator) may consider that the intention of refocusing the cameras in the device is to restart the focusing operation of the cameras in the device. For example,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may be obtained based on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information and/or at least one short-range communication signal (eg, a beacon signal), and the focus The height information indicating the height of the reference terminal may be obtained (and/or set) based on air pressure measured by a barometer provided in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As an example, when the first change amount of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fixed position threshold value and the second change amount of the height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fixed height threshold value, the focusing operation of the cameras in the device may be restarted. (or the focusing process can be re-run). As another example, when i) the first amount of change with respect to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is higher than a fixed position threshold and the second amount of change with respect to the height information is lower than the fixed height threshold, ii) the first change with respect to the first location information When the change amount is lower than the position fixation threshold and the second change amount for the height information is higher than the height fixation threshold, the manager (or user) of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does not intend to refocus, but moves by mistake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height of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has changed, so that the camera device 520 and/or the camera module 610 may cause the camera device 520 to output an alarm signal. Through this, the user (or the manager) of the focus reference terminal may recognize that he/she moves and interferes with focusing the camera.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21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In addi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apparatus and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in the form of hardware,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Such software may contain, for example, a volatile or non-volatile storage device such as a ROM, or a memory such as, for example, RAM, a memory chip, device or integrated circuit, whether erasable or rewritable, or For example, the storage medium may be stored in an optically or magnetically recordable storage medium such as a compact disk (CD), DVD, magnetic disk or magnetic tape, and at the same time, a machine (eg,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The method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a computer or a mobile terminal including a control unit (control module 210) and a memory, such memory including instructions for implemen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is is an example of a machine-readable storage medium suitable for storing a program or programs.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gram including code for implementing the apparatus or method describ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a machine (computer, etc.) readable storage medium storing such a program. Further, such a program may be transmitted electronically over any medium, such as a communication signal transmitted over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suitably includes the equivalent thereof.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for specific examples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exemplary, and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range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Claims (1)

전자태그 기반의 안전 시스템에 있어서,
식별번호, 특정 기기의 전원 상태, 작업 내용, 작업자, 및 감독자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태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70a),
상기 전자태그가 생성되면, 상기 전자태그가 생성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1 LED의 점등을 통하여 표시하는 제4 알람 표시부(70h), 및
상기 전자태그가 회수되면, 상기 전자태그가 회수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를 제2 LED의 점등을 통하여 표시하는 제5 알람 표시부(70i)를 포함하는 전자태그 표시부(20),
상기 특정 기기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제1 버튼(30),
상기 특정 기기에 대한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제2 버튼(40),
상기 특정 기기의 재가동을 위한 제3 버튼(50),
상기 특정 기기에 대한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회로 차단기(Circuit Breaker)를 포함하는 차단기 스위치(60),
제1 버튼, 제2 버튼, 제3 버튼 및 상기 차단기 스위치를 덮는 크기의 도어를 포함하는 도어부(80),
상기 도어부와 전원제어장치의 일 측면을 연결하는 힌지부(91, 92), 및
상기 도어부를 고정 가능한 잠금부(93)를 포함하는 상기 전원제어장치(10); 및
상기 작업 내용이 나타내는 작업을 위한 전원 차단을 요청하는 제1 메시지가 상기 작업자의 단말 또는 상기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전자태그를 생성하며 상기 전자태그가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를 통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110);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전자태그가 생성되면, 상기 제4 알람 표시부의 상기 제1 LED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잠금부가 잠금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작업 내용이 나타내는 작업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정보가 상기 작업자의 단말을 통하여 입력되고 상기 전자태그의 회수를 요청하는 제2 메시지가 상기 작업자의 단말 또는 상기 감독자의 단말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제5 알람 표시부의 상기 제2 LED가 점등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잠금부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원제어장치가 위치하는 전기실에는,
상기 차단기 스위치의 위치를 안내하는 네비게이터; 및
상기 전기실 내부를 촬영하는 카메라 장치; 가 설치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카메라 장치를 통하여 획득되는 영상에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및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를 포함하는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전기실 내에 위치하는 상기 감독자에 상응하는 객체 정보를 추출하는 카메라 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차단기 스위치의 위치 및 상기 객체 정보에 기반하여 안내 정도를 생성하여 상기 네비게이터에서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전자태그 표시부는 승인자, 감독자, 작업 내용, 작업기간, 및 작업 시행사를 표시하는, 전자태그 기반의 안전 시스템.
In the electronic tag-based safety system,
A display 70a for displaying an electronic tag including information indicating an identification number, a power state of a specific device, work contents, an operator, and a supervisor;
When the electronic tag is generated, a fourth alarm display unit 70h display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tag has been generated through lighting of a first LED; and
When the electronic tag is retrieved,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20 including a fifth alarm display unit 70i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ectronic tag has been retrieved through lighting of a second LED;
A first button 30 for cutting off the power to the specific device,
a second button 40 for connecting power to the specific device;
a third button 50 for restarting the specific device;
Circuit breaker switch (60) including a circuit breaker (Circuit Breaker) for cutting off the power to the specific device,
A door part 80 including a door sized to cover the first button, the second button, the third button, and the circuit breaker switch;
Hinges 91 and 92 for connecting the door and one side of the power control device, and
the power control device 10 including a locking part 93 capable of fixing the door part; and
generating the electronic tag and controlling the electronic tag to be displayed through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when a first message requesting power off for the task indicated by the task content is received from the operator's terminal or the supervisor's terminal management server 110; including,
The management server,
When the electronic tag is generated, the first LED of the fourth alarm display unit is controlled to light and the lock unit is locked;
Whe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work indicated by the work is completed is input through the operator's terminal and a second message requesting the collection of the electronic tag is received from the operator's terminal or the supervisor's terminal, the fifth alarm display unit Controlling the second LED of the to be turned on,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is controlled so that the lock of the lock is released,
In the electrical room where the power control device is located,
a navigat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switch; and
a camera device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the electrical room; is installed,
The management server,
Object extraction algorithm including HOG (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 (local binary pattern), and FAST (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to the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device a camera module for extracting objec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supervisor located in the electrical room by using; further comprising,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circuit breaker switch and the object information, generating a guidance degree and controlling it to be displayed in the navigator,
The electronic tag display unit displays an approver, a supervisor, a work content, a work period, and a work execution company, an electronic tag-based safety system.
KR1020200110011A 2020-04-22 2020-08-31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KR10242063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011A KR102420632B1 (en) 2020-04-22 2020-08-31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8688A KR102152795B1 (en) 2020-04-22 2020-04-22 Apparatus for publishing, displaying, and managing of eletrical tag and system thereof
KR1020200110011A KR102420632B1 (en) 2020-04-22 2020-08-31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688A Division KR102152795B1 (en) 2020-04-22 2020-04-22 Apparatus for publishing, displaying, and managing of eletrical tag and system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16A KR20210130616A (en) 2021-11-01
KR102420632B1 true KR102420632B1 (en) 2022-07-14

Family

ID=7247240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688A KR102152795B1 (en) 2020-04-22 2020-04-22 Apparatus for publishing, displaying, and managing of eletrical tag and system thereof
KR1020200110011A KR102420632B1 (en) 2020-04-22 2020-08-31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KR1020200110013A KR102423922B1 (en) 2020-04-22 2020-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nic tag for power control and providing it to manager
KR1020200110015A KR102354444B1 (en) 2020-04-22 2020-08-31 Electronic tag-linked automatic locking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8688A KR102152795B1 (en) 2020-04-22 2020-04-22 Apparatus for publishing, displaying, and managing of eletrical tag and system thereof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013A KR102423922B1 (en) 2020-04-22 2020-08-31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lectronic tag for power control and providing it to manager
KR1020200110015A KR102354444B1 (en) 2020-04-22 2020-08-31 Electronic tag-linked automatic lock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15279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2795B1 (en) * 2020-04-22 2020-09-07 디엑스랩즈 주식회사 Apparatus for publishing, displaying, and managing of eletrical tag and system thereof
CN112377007A (en) * 2020-11-04 2021-02-19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Anti-misoperation device for power grid power dispatching
US20240082095A1 (en) 2020-12-30 2024-03-14 Hexarhumancar Co., Ltd Exoskeleton-type rehabilitation robot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1365A (en) 2009-08-07 2011-02-24 Fujita Kiyotaka Power breaker
KR101379501B1 (en) 2013-11-19 2014-04-04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Safe locking equipment of distribution panel using rfid
KR101756726B1 (en) 2017-03-20 2017-07-26 주식회사 서호산전 The door lock for switchboard equipped with emergency interlock releasing devices
KR102152795B1 (en) * 2020-04-22 2020-09-07 디엑스랩즈 주식회사 Apparatus for publishing, displaying, and managing of eletrical tag and syste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1313B1 (en) * 2015-09-15 2016-10-04 (주)피엔에스 Method for controlling danger facility and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1365A (en) 2009-08-07 2011-02-24 Fujita Kiyotaka Power breaker
KR101379501B1 (en) 2013-11-19 2014-04-04 주식회사 나산전기산업 Safe locking equipment of distribution panel using rfid
KR101756726B1 (en) 2017-03-20 2017-07-26 주식회사 서호산전 The door lock for switchboard equipped with emergency interlock releasing devices
KR102152795B1 (en) * 2020-04-22 2020-09-07 디엑스랩즈 주식회사 Apparatus for publishing, displaying, and managing of eletrical tag and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0616A (en) 2021-11-01
KR20210130618A (en) 2021-11-01
KR102354444B1 (en) 2022-01-21
KR102423922B1 (en) 2022-07-22
KR20210130617A (en) 2021-11-01
KR102152795B1 (en) 2020-09-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0632B1 (en) Eletrical tag-based safty system
US20170161961A1 (en) Parking space control method and system with unmanned paired aerial vehicle (uav)
CN110428069B (en) Intelligent management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for electric power tools and appliances
CN109858358A (en) Personnel's trace tracking method and its system,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between building
US20160350583A1 (en) Image search system and image search method
CN109979059A (en) A kind of method, apparatus,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ontrolling gate
RU2713876C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larm events when interacting with self-service device
KR101989376B1 (en) Integrated track circuit total monitoring system
CN115147887A (en) Face recognition rate improving method, access control device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15063921B (en) Building site intelligent gate system and building method
CN106127903A (en) Electronic equipment detection gate inhibition's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Chen et al. Development of permit-to-work management system based on POP model for petrochemical construction safety
CN113570756B (en) Personnel count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GB2618918A (en) Vehicle maintenance method and system
CN115376069A (en) Intelligent construction site constructor safety monitoring method and system
JP4522716B2 (en) Access control device
CN111325065A (en) Security management method, device, equipment and computer storage medium
KR101702452B1 (e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viding cctv image applied augmented reality
EP3929884B1 (en) Device, method and program
KR102636339B1 (en) Safety zone activation system and method performing thereof
CN108806050A (en) Room entry/exit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KR102593585B1 (en) Safety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for Electrical Facilities
CN115546737B (en) Machine room monitoring method
US20230297897A1 (en) Decentralized parking management system
TWM639272U (en) Community Security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