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0549B1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0549B1
KR102420549B1 KR1020190149983A KR20190149983A KR102420549B1 KR 102420549 B1 KR102420549 B1 KR 102420549B1 KR 1020190149983 A KR1020190149983 A KR 1020190149983A KR 20190149983 A KR20190149983 A KR 20190149983A KR 102420549 B1 KR102420549 B1 KR 102420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mentia
elderly
band
gateway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99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61900A (en
Inventor
윤여동
Original Assignee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폴스타헬스케어(주) filed Critical 폴스타헬스케어(주)
Priority to KR10201901499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0549B1/en
Publication of KR2021006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1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4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4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non-activity, e.g. of elderly pers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or social welfare, e.g. community support activities or counselling 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5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EAS] tag technology used for parent or child unit, e.g. same transmission technology, magnetic tag, RF tag, RF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노인의 위치 추적 영역을 단계 별로 구획하고,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위치 추적 방식을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행방불명을 방지할 수 있는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ore particularly, dementia that can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dividing the location tracking area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 each stage and applying different position tracking methods for each stage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Description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발명은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매노인의 위치 추적 영역을 단계 별로 구획하고,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위치 추적 방식을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행방불명을 방지할 수 있는 치매노인 관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ore particularly, dementia that can prevent the disappear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dividing the location tracking area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or each stage and applying different position tracking methods for each stage It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일반적으로 치매(dementia)는 정신지체와 마찬가지로 지능장애로서, 정신지체는 주로 지능의 발육이 늦거나 정지된 것인데 대하여, 치매는 병 전에는 정상적이던 지능이 대뇌의 질환 때문에 저하된 것을 말한다. 이러한 치매 환자들은 기억 및 이해의 장애, 계산능력의 저하, 사고의 빈곤화, 보속(일정한 언동을 실현하는 충동이 존속하여 같은 언동을 되풀이한다)의 증상 등을 나타내고 있다. 특히, 치매노인이나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경우 혼자 집 밖을 나갔을 때 기억력 저하로 인해 집을 찾아오지 못하고 행방불명 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In general, dementia, like mental retardation, is an intellectual disorder. Mental retardation mainly refers to slow or cessation of intellectual development, whereas dementia refers to a decrease in intelligence, which was normal before the disease, due to cerebral disease. These dementia patients exhibit symptoms such as impairment of memory and understanding, deterioration of computational ability, impoverishment of thinking, and reparation (the impulse to realize certain words and actions persists and repeats the same words and actions).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or patients suffering from mental disorders, when they go out alone,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y cannot return home due to memory deterioration and disappear.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The above-mentioned background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possessed by the inventor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in the process of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a known technique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위치 추적 영역을 단계 별로 구획하고,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위치 추적 방식을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egment a location tracking area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wearing a band for each step, an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by applying different location tracking methods for each step.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이 주거지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밴드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정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치매노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b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periodically measured through the band when the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wearing a band is located inside a residence.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이 설정된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밴드 내에 구비된 GPS 모듈을 동작시켜 치매노인의 위치를 추적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track the loc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by operating a GPS module provided in the band when the dementia elderly wearing the band leaves a set safe area.

본 발명의 일 과제는,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이 설정된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치매노인의 보호자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에게 치매노인의 신상정보를 전송하여 치매노인의 행방불명을 알리고 치매노인을 찾기 위해 도움을 받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join the same community as the caregiver of the dementia elderly when the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wearing the band leaves the set safe area and transmi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to other guardians living in the same residential area as the dementia elderly. It is to inform the disappear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o receive help to find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은,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로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와,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밴드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와,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questing unique information from a band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using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In accordance with the steps of generating different alarm event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band by selecting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received the alarm event, and receiving the alarm event It may include the step of requesting dispatch to the government office for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wears a band while monitoring by the selection of the guardian's terminal.

또한, 밴드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 주거지 내에 위치한 제1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실내에 있음을 식별하는 단계와,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 외부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는 단계와, 주거지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한 제3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는 단계와, 주거지로부터 제2 거리의 외부에 위치한 제4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제2 거리를 벗어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when the uniqu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first gateway located in the residence, the step of identify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doors by positioning the band in the residence; When the uniqu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second gateway located within 1 distance, the band is located withi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residence, thereby identify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went out, and inside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When uniqu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third gateway located in the step of identify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by positioning the band inside the second street, the fourth gateway located outside the second street from the residence If the uniqu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band, it may include the step of identify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out of the safe area out of the second distance.

또한, 전송하는 단계는, 밴드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 및 낙상 여부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 내지 제4 게이트웨이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와,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가 기준 생체 정보를 벗어난 경우, 또는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응급 알람 이벤트를 생성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includes: periodically acquir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fall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gateways through a band; case,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has occurred, generating an emergency alarm event and transmitting the event to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또한, 전송하는 단계는,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면, 외출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면, 안전지역 위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와,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2 거리의 외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위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ransmitting step includes the steps of,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has gone out because the band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generating an outing alarm even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if the band exists within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and thus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generating a safe area location alarm even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because the band exists outside the second street, a risk alarm even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은,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2 거리의 외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밴드에 구비된 GPS 모듈을 동작하여 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safe area because the band exists outside the second distance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the GPS module provided in the band is installed. The operation may further include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band.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장치는,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로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의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부와,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람 발생부와,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밴드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와,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dentification unit for requesting unique information to a band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using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and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An alarm generating unit that generates different alarm events according to the It may include a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dispatch to a government office for th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wears a band while monitoring, by selection of the received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또한, 식별부는, 주거지 내에 위치한 제1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실내에 있음을 식별하고,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 외부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고, 주거지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한 제3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고, 주거지로부터 제2 거리의 외부에 위치한 제4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제2 거리를 벗어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through the first gateway located in the residence, the band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doors by being located in the residence, and the second gateway located within a preset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When the uniqu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band,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by being located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residence, and is unique from the band through the third gateway located inside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When the information is obtained, the band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by being located inside the second street, and when unique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fourth gateway located outside the second street from the residence, the band Out of the second distance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safe area.

또한, 알람 발생부는, 밴드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 및 낙상 여부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 내지 제4 게이트웨이 중 하나 이상을 통해 획득하고,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가 기준 생체 정보를 벗어난 경우, 또는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응급 알람 이벤트를 생성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larm generating unit periodically acquires biometric information and fal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one or more of the first to fourth gateways through the band, an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deviates from the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has occurred, 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emergency alarm event and transmit it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또한, 알람 발생부는,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면, 외출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면, 안전지역 위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며,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2 거리의 외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위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larm generating unit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because the band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an outing alarm even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position of the band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if the band exists inside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and thus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dentified as being inside the safe area, a safe area location alarm even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If the band exists outside the second street to identify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safe area, a danger alarm even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장치는,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2 거리의 외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밴드에 구비된 GPS 모듈을 동작하여 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동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band is outside the second distance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safe area, the GPS module provided in the band It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unit that operates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band.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더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i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system, an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storing a computer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may be further provi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 의하면,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위치 추적 영역을 단계 별로 구획하고,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위치 추적 방식을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치매노인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dividing the location tracking area of the dementia elderly wearing the band for each stage, and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dementia elderly by applying different position tracking methods for each stage.

또한,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이 주거지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 밴드를 통해 주기적으로 측정한 생체 정보를 이용하여 치매노인의 건강 상태를 확인함으로써, 치매노인의 건강을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mentia elderly wearing the band is located inside the residence, the health of the dementia elderly can be managed by checking the health status of the dementia elderly using the biometric information periodically measured through the band.

또한,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이 설정된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밴드 내에 구비된 GPS 모듈을 동작시켜 치매노인의 위치를 추적함으로써 치매노인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dementia elderly wearing the band leaves the set safe area, it is possible to safely protect the dementia elderly by operating the GPS module provided in the band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dementia elderly.

또한,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이 설정된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치매노인의 보호자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에게 치매노인의 신상정보를 전송하여 치매노인의 행방불명을 알리고 치매노인을 찾기 위해 도움을 받음으로써 치매노인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wearing a band leaves the set safety area, the dementia elderly person disappears by joining the same community as the dementia elderly caregiver and transmitting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person to other guardians living in the same residential area as the dementia elderly person. We can protect the elderly with dementia safely by notifying them and receiving help to find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 중 치매노인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치매노인 관리 장치 중 치매노인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 중 보호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장치가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위치 추적 영역을 단계 별로 구획하고,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위치 추적 방식을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위치를 추적하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장치가 치매노인의 보호자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 단말기게 치매노인의 신상정보를 전송하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FIG. 1 .
FIG.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ementia management unit among th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apparatus of FIG. 2 .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aregiver terminal in the dementia management system of FIG. 1 .
FIG. 5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FIG. 1 divides the location tracking area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ing the band for each stage, and tracks the posi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applying different position tracking methods for each stage.
6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evice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FIG. 1 joins the same community as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other guardian terminals living in the same residential area as the elderly with dementia.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detailed descriptio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includes all transform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embodiments presented below are provided to complet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completely inform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n the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decide to d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1)은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 밴드(200), 보호자 단말기(300) 및 네트워크(40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 a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1 may include a device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100 , a band 200 , a guardian terminal 300 , and a network 400 .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200)로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실시간(real time)으로 식별할 수 있다.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request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uses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200 to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in real time. can

본 실시 예에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모듈(도 2의 120)을 구비할 수 있다. RFID 모듈(120)은 밴드(200)에 구비되어 있는 RFID 태그(미도시)에 접근하여 RFID 태그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획득함으로써 밴드(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밴드(200)는 서로 다른 고유 정보를 저장하고 있으며, 해당 고유 정보는 치매노인을 식별할 수 있는 ID 정보가 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include a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module ( 120 in FIG. 2 ). The RFID module 120 ma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by accessing an RFID tag (not shown) provided in the band 200 and acquiring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RFID tag. Here, the band 200 stores different unique information, and the unique information may be ID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실시 예에서 RFID 모듈(120)은 제1 게이트웨이(도 5의 510) 내지 제4 게이트웨이(도 5의 540)와 통신을 수행하여 밴드(200)의 RFID 태그(미도시)에 접근하고, RFID 태그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획득 할 수 있다. 제1 게이트웨이(510)는 주거지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제2 게이트웨이(520)는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예를 들어, 2m) 이내에 구비되어 있고, 제3 게이트웨이(530)는 주거지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예를 들어, 1km)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제4 게이트웨이(540)는 제2 거리의 외부(예를 들어, 1.1km)에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주거지 내부와, 제1 거리 내부와, 제1 거리 내지 제2 거리 내부와, 제2 거리의 외부에는 복수개의 게이트웨이가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 제1 게이트웨이(510) 내지 제4 게이트웨이(54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에 포함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RFID module 120 communicates with the first gateway (510 in FIG. 5) to the fourth gateway (540 in FIG. 5) to access the RFID tag (not shown) of the band 200, and Th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tag can be acquired. The first gateway 510 is provided inside the residence, the second gateway 520 is provid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eg, 2m) from the residence, and the third gateway 530 is the second gateway from the residence. 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distance (eg, 1 km) longer than 1 distance, and the fourth gateway 540 may be provided outside (eg, 1.1 km) of the second distance. In this embodiment, a plurality of gateways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sidence, inside the first street, inside the first to second streets, and outside the second street.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ateway 510 to the fourth gateway 540 may be included in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generate different alarm ev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location identification of the band 200 and transmit i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를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에 전송함으로써,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가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20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도록 할 수 있다.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ransmits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200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selecting the terminal 300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The guardian terminal 300 may monitor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정보 처리 장치(10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Th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100 may request dispatch to a government office for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wears the band 200 while monitoring by selection of the terminal 300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선택적 실시 예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300)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 단말기에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전송하여, 치매노인의 부재에 대응하여 찾아야 할 대상임을 공개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joins the same community as the guardian terminal 300 by selecting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and lives in the same residence as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other guardian terminals, it is possible to disclose that it is a target to be found in response to the abs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밴드(200)는 치매노인이 착용하는 액세서리로서, 통신부(미도시), RFID 태그(미도시), 메모리(미도시), 생체신호 감지 센서(미도시), 낙상 감지 센서(미도시), GPS 모듈(미도시)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band 200 is an accessory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not shown), an RFID tag (not shown), a memory (not shown),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not shown), a fall detection sensor (not shown), and a GPS. It may include a module (not shown) and a processor (not shown).

통신부는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 및 밴드(2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통신부(110)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 치매노인이 낙상했는지 여부, 치매노인의 생체 감지 신호를 송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RFID 태그는 RFID 모듈의 정보 요청 신호에 의해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 정보(치매노인 ID)를 RFID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모듈은 주기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510) 제4 게이트웨이(540)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RFID 태그로부터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제1 게이트웨이(510) 제4 게이트웨이(540)는 지정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게이트웨이(520)를 통하여 RFID 태그의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지정되어 있는 제2 게이트웨이(520)의 위치가 현재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위치 정보가 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may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to provide a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between the dementia management apparatus 100 and the band 2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by interworking with the network 400 . The communication unit 110 serves to transmit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stored in the memory is wearing the band 200,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fallen, and the biometric signa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t the request of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do. The RFID tag may transmit the unique information (ID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tored in the memory to the RFID module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request signal of the RFID module. The RFID module may periodically acquire information from the RFID tag through the first gateway 510 and the fourth gateway 540, and the first gateway 510 and the fourth gateway 540 may be provided at a designated location. have. For example, when the RFID tag information is acquired through the second gateway 520 , the designated location of the second gateway 520 may be location information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currently wearing the band 200 . .

생체신호 감지 센서로서의 온도 센서(미도시)는 주기적으로 치매노인의 온도를 측정하고,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측정 온도와 측정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생체신호 감지 센서로서의 맥박 센서(미도시)는 주기적으로 치매노인의 맥박을 측정하고,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측정 맥박과 측정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온도와 맥박과 측정 시간은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A temperature sensor (not shown) as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may periodically measure the temperatu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ay store the measured temperature and measurement time in a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A pulse sensor (not shown) as a biosignal detection sensor may periodically measure the puls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may store the measured pulse and measurement time in a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The temperature, pulse, and measurement time stored in the memory may be transmitted at the request of the dementia management apparatus 100 or periodic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낙상감지 센서는 주기적으로 치매노인의 낙상을 감지하고,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낙상 여부 및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낙상감지 센서는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치매노인의 낙상을 감지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낙상 여부 및 시간은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의 요청에 의해, 또는 주기적으로 통신부를 통해 전송될 수 있다.The fall detection sensor periodically detects a fall of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nd may store the fall status and time in the memory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The fall detection sensor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cceleration sensor, a magnetic sensor, a gravity sensor (G-sensor), a gyroscope sensor, and a motion sensor, including at least one of a fal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detect Whether the fall and the time stored in the memory may be transmitted at the request of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r periodically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GPS 모듈을 구비한 밴드(200)가 제2 거리의 외부에 위치하여,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의 GPS 수신부(도 2의 170)가 동작을 개시하면, GPS 위성(도 5의 500)으로부터 밴드(200)의 위치를 GPS 수신부(170)로 전송하여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가 밴드(2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band 200 having the GPS module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distance and the GPS receiver (170 in FIG. 2) of the dementia management apparatus 100 starts operation, the GPS satellite (500 in FIG. 5) By transmitting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to the GPS receiver 170 ,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track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는 치매노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치매노인 관리 사이트에 접속한 후 인증 과정을 통하여 치매노인의 위치를 모니터링하거나,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연락을 취하거나,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다른 보호자 단말기에 공개하기 위한 커뮤니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인증 과정을 마친 보호자 단말기(300)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를 구동하고,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dementia elderly monitors the loc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through an authentication process after accessing th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application or th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site, or contacts a government office for the care of the dementia elderly, o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ty service for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to other guardian terminals. In this embodiment, the guardian terminal 300 that has completed the authentication process may drive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본 실시 예에서 보호자 단말기(300)는 보호자가 조작하는 데스크 탑 컴퓨터(301), 스마트폰(302), 노트북(303),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4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보호자 단말기(3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시계,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보호자 단말기(3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guardian terminal 300 is a desktop computer 301, a smart phone 302, a notebook 303, a tablet PC, a smart TV, a mobile phone,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laptop, a media operated by the guardian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player, a micro server, a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device, an e-book terminal, a digital broadcast terminal, a navigation device, a kiosk, an MP4 player, a digital camera, a home appliance, and other mobile or non-mobile computing devices. In addition, the guardian terminal 300 may be a wearable terminal such as a watch, glasses, a hair band and a ring having a communication function and a data processing function. The guardian terminal 300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a terminal capable of web browsing may be borrowed without limitation.

네트워크(400)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와, 밴드(200)와 보호자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네트워크(400)는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네트워크(400)는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The network 400 may serve to connect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band 200 and the guardian terminal 300 . The network 400 is, for example, a wired network such as local area networks (LANs), wide area networks (WANs), metropolitan area networks (MANs),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ISDNs), or wireless LANs, CDMA, Bluetooth, and satellite communication. It may cover a wireless network such a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network 400 may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using short-distance communication and/or long-distance communication. Here, the short-distance communication may include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wideband (UWB), ZigBee, and wireless fidelity (Wi-Fi) technologies. Communication may include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 technology. can

네트워크(400)는 허브, 브리지, 라우터, 스위치와 같은 네트워크 요소들의 연결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는 인터넷과 같은 공용 네트워크 및 안전한 기업 사설 네트워크와 같은 사설 네트워크를 비롯한 하나 이상의 연결된 네트워크들, 예컨대 다중 네트워크 환경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400)에의 액세스는 하나 이상의 유선 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들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네트워크(400)는 사물 등 분산된 구성 요소들 간에 정보를 주고 받아 처리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망 및/또는 5G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Network 400 may include connections of network elements such as hubs, bridges, routers, and switches. Network 400 may include one or more connected networks, eg, multiple network environments, including public networks such as the Internet and private networks such as secure enterprise private networks. Access to network 400 may be provided via one or more wired or wireless access networks. Furthermore, the network 400 may support an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and/or 5G communication that exchanges and processes information between distributed components such as things.

도 2는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 중 치매노인 관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통신부(110), RFID 모듈(120), 저장 매체(130), 프로그램 저장부(140), 데이터베이스(150), 스마트 매트(160), GPS 수신부(170), 치매노인 관리부(180) 및 제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FIG.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n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FIG. 1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art overlapping with the description of FIG. 1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2 ,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es a communication unit 110 , an RFID module 120 , a storage medium 130 , a program storage unit 140 , a database 150 , a smart mat 160 , and a GPS. It may include a receiver 170 , a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 and a controller 190 .

통신부(110)는 네트워크(400)와 연동하여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와, 밴드(200)와, 보호자 단말기(300) 간의 송수신 신호를 패킷 데이터 형태로 제공하는 데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110)는 보호자 단말기(300)로부터 소정의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치매노인 관리부(180)가 처리한 정보를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망이라 함은,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와, 밴드(200)와, 보호자 단말기(300)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매개체로써, 보호자 단말기(300)가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에 접속한 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경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상술한 제1 게이트웨이(510) 내지 제4 게이트웨이(540)와 데이터 통신에 필요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통신부(110)는 밴드(200)에 요청하여, 또는 주기적으로 밴드(200)로부터,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고 있는지 여부와, 치매노인이 낙상했는지 여부와, 치매노인의 생체 감지 신호(예를 들어, 맥박, 체온 등)를 수신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110 interworks with the network 400 to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to provide a transmission/reception signal between the dementia management device 100, the band 200, and the guardian terminal 300 in the form of packet data. have. Furthermore,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serve to receive a predetermined inform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guardian terminal 300 , and may serve to transmit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 can Here, the communication network is a medium that serves to connect the dementia management device 100, the band 200, and the guardian terminal 300, and the guardian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dementia management device 100. It may include a path providing an access path so that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received after being accessed.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b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such as control signals or data signals through wired/wireless connection with other network devices.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110 may provide a communication interface necessary for data communication with the first gateway 510 to the fourth gateway 540 described above. In this embodiment, the communication unit 110 requests from the band 200, or periodically from the band 200,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wearing the band 200,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fallen, and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a biometric signal (eg, pulse, body temperature, etc.) may be received.

RFID 모듈(120)은 RFID 리더기로서, 게이트웨이를 통하여 밴드(200)에 접속하여, 밴드(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고유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제1 게이트웨이(510) 내지 제4 게이트웨이는 위치 정보가 미리 지정되어 있으므로, RFID 모듈(120)이 어느 게이트웨이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했는지에 따라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 노인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The RFID module 120 is an RFID reader, and may acquire unique information stored in the memory of the band 200 by accessing the band 200 through a gateway.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first gateways 510 to the fourth gateways is specified in advance, the loc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ing the band 200 according to the gateway from which the RFID module 120 has acquired the unique information. can be estimated.

저장 매체(130)는 제어부(19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저장 매체(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저장 매체(13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storage medium 130 performs a function of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ing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190 . Here, the storage medium 130 may include a magnetic storage medium or a flash storage medium,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storage medium 130 may include internal memory and/or external memory, volatile memory such as DRAM, SRAM, or SDRAM, one time programmable ROM (OTP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etc. , NAND flash memory, or non-volatile memory, such as NOR flash memory, SSD. It may include a flash drive such as a compact flash (CF) card, an SD card, a Micro-SD card, a Mini-SD card, an Xd card, or a memory stick, or a storage device such as an HDD.

본 실시 예에서, 저장 매체(130)가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경우, 밴드(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와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고, 치매노인의 생체 감지 정보와 측정 시간을 저장하는 저장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저장소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에 인증을 완료한 보호자 각각에게 할당되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의 일 영역으로써, 밴드(20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storage medium 130 includes a storage device such as HDD, it is possible to store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gateway, and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 measurement tim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not shown) for storing. The storage is an area of a storage device such as an HDD allocated to each guardian who has completed authentication in the dementia management device 100 , and may store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band 200 .

프로그램 저장부(140)는 밴드(200)로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식별하는 작업,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하는 작업,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밴드(20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작업,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하는 작업,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300)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 단말기에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전송하여, 치매노인의 부재에 대응하여 찾아야 할 대상임을 공개하는 작업, 치매노인 및 보호자와 관련한 정보 및 환경을 설정하는 작업, 치매노인 및 보호자가 이용하는 자원 사용량에 대응하여 과금 및 결제 처리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하고 있다.The program storage unit 140 request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and uses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200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according to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The operation of generating different alarm events and transmitting them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operation of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by the selec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the alarm By selecting the terminal 300 for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received the event, the task of requesting dispatch to the government office for th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ing the band 200 during monitoring,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By selecting the terminal 300, join the same community as the caregiver terminal 300, transmit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to another guardian terminal residing in the same residential area as the dementia elderly, and find out in response to the absence of the dementia elderly It is equipped with control software that performs tasks such as disclosing the subject to be used, setting information and environment related to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and processing billing and payment in response to resource usage used by the elderly and carers with dementia.

데이터베이스(150)는 치매노인 및 보호자의 정보를 저장하는 유저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치매노인 및 보호자의 정보는 치매노인 및 보호자의 이름, 소속, 인적 사항, 성별, 나이, 연락처, 이메일, 주소, 이미지 등 치매노인 및 보호자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와, 아이디(ID) (또는 이메일) 및 패스워드(password) 등 보호자의 인증(로그인)에 대한 정보, 접속 국가, 접속 위치, 접속에 이용한 장치에 대한 정보, 접속된 네트워크 환경 등 접속과 관련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atabase 150 may include a user database that stores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caregivers. Here, the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guardians includes basic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guardians, such as name, affiliation, personal information, gender, age, contact information, email, address, and image, ID (ID) (or email ) and password (password), information about the parent's authentication (login), access country, access location, information about the device used for access, and access-related information such as the connected network environment, etc. may be included.

또한 유저 데이터베이스에는 치매노인 및 보호자의 고유정보와, 치매노인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치매노인 관리 사이트에 접속한 보호자가 제공받은 정보 및/또는 카테고리 이력, 보호자가 설정한 환경 설정 정보, 보호자가 이용한 자원 사용량 정보, 보호자의 자원 사용량에 대응한 과금 및 결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ser database contains unique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heir guardians, information and/or category history provided by guardians accessing the dementia management application or dementia management site, environment setting information set by the guardians, and resource usage information used by the guardians. , billing and payment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esource usage of the guardian may be stored.

또한 데이터베이스(150)는 치매노인의 위치와, 생체 감지 정보 및 낙상 감지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관리 데이터베이스에는 치매노인의 위치 및 생체 감지 정보와 함께 치매노인의 고유 정보와, 생체 감지를 측정한 시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atabase 150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database that stores the loc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iometric information, and fall detection information. The management database may store unique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along with location and biometric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and time information at which biometric detection is measured.

스마트 매트(160)는 주거지 내부의 현관문 바닥에 배치되고, 압전 소자를 구비하여 치매노인이 밟았을 때, 전기적인 신호를 제어부(190)로 전송하여 치매노인이 현관문을 나갔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The smart mat 160 is disposed on the floor of the front door inside the residence, and has a piezoelectric element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to the control unit 190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steps on it to check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front door can

GPS 수신부(170)는 밴드(200)의 위치가 제2 거리를 벗어난 경우 동작을 개시하여, GPS 위성(도 5의 500)으로부터 밴드(200)의 위치를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is out of the second distance, the GPS receiver 170 may start an operation to receive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from a GPS satellite (500 in FIG. 5 ).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밴드(200)의 위치 추적 영역을 단계 별로 구획하고,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위치 추적 방식을 적용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밴드(200)로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밴드(20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may divide the location tracking area of the band 200 for each step, and track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by applying different location tracking methods for each step. 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may request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and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using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200 . 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may generate different alarm eve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200 and transmit it to the caregiver terminal 300 of the dementia elderly. 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may monitor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by selecting the terminal 300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Th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unit 180 may request an emergency dispatch to a government office for care of the dementia elderly who wears the band 200 during monitoring by selecting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dementia patient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치매노인의 보호자들을 모집하여 치매노인의 관리에 함께 참여하도록 커뮤니티를 생성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부(180)가 생성하는 커뮤니티는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보호자 들이 가입할 수 있고, 보호자에 의해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커뮤니티에 공개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함께 케어할 수 있다.The dementia senior management unit 180 may create a community to recruit caregivers of the dementia elderly and participate together in the management of the dementia elderly. The community created by 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can be joined by guardians residing in the same residential area as the dementia elderly, and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is disclosed to the community by the guardian to take care of the dementia elderly when they leave the safe area. can

본 실시 예에서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90)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고, 제어부(190) 내부에 구비되어 제어부(190)처럼 동작할 수도 있다. 이하 치매노인 관리부(180)의 상세한 내용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In this embodiment, 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may be provided outside the control unit 190 as shown in FIG. 2 , 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control unit 190 to operate like the control unit 190 . Hereinafter, details of the dementia management unit 18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

제어부(19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프로그램 저장부(14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여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어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190 is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and may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entir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driving the control software mounted on the program storage unit 140 . The controller 190 may include all kinds of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 the 'processor'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having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by, for example, a code or an instruction included in a program. As an example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the hardware as described abov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and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3은 도 2의 치매노인 관리 장치 중 치매노인 관리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치매노인 관리부(180)는 식별부(181), 알람 발생부(182), 모니터링부(183), 요청부(184), 정보 공개부(185), 동작부(186) 및 맵 표시부(187)를 포함할 수 있다.FIG. 3 is a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dementia management unit among th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apparatus of FIG. 2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and 2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3 , the dementia senior management unit 180 includes an identification unit 181 , an alarm generator 182 , a monitoring unit 183 , a request unit 184 , an information disclosure unit 185 , and an operation unit 186 . and a map display unit 187 .

식별부(181)는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200)로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unit 181 may request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using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200 .

식별부(181)는 RFID 모듈(120)을 이용하여 주거지 내에 위치한 제1 게이트웨이(51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200)가 주거지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실내에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게이트웨이(510)는 위치가 지정(주거지 내부)되어 있으므로, 식별부(181)는 제1 게이트웨이(51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주거지 내부 즉 실내에 위치해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181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irst gateway 510 located in the residence using the RFID module 120, the band 200 is located in the residence so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enter the room.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re is Here, since the location of the first gateway 510 is designated (inside the residence),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181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irst gateway 510,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residence, that is, It can be identified that it is located indoors.

식별부(181)는 RFID 모듈(120)을 이용하여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게이트웨이(52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스마트 매트(160)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되었음을 인식하면, 밴드(200)가 주거지 외부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게이트웨이(520)는 위치가 지정(주거지로부터 10m 이내)되어 있으므로, 식별부(181)는 제2 게이트웨이(52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으나, 안전지역 내부에 있다고 식별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unit 181 obtain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second gateway 520 located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using the RFID module 120 , and an electric signal from the smart mat 160 . When recognizing that , the band 200 is located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residence,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went out. Here, since the location of the second gateway 520 is designated (within 10 m from the residence), the identification unit 181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second gateway 520,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However, it can be identified as being inside the safe area.

식별부(181)는 RFID 모듈(120)을 이용하여 주거지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한 제3 게이트웨이(53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200)가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3 게이트웨이(530)는 위치가 지정(주거지로부터 1km 이내)되어 있으므로, 식별부(181)는 제3 게이트웨이(53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다고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주거지부터 제2 거리까지는 보호자가 설정한 안전지역으로서, 제2 거리는 보호자의 설정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When the identification unit 181 obtain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third gateway 530 located inside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using the RFID module 120, the band 200 By being located inside the second street,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inside the safe area. Here, since the location of the third gateway 530 is designated (within 1 km from the residence), the identification unit 181 obtains the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third gateway 530, so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safe. It can be identified as being within the area. Here,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residence is a safe area set by the guardian, and the second distance may be changed by the setting of the guardian.

식별부(181)는 RFID 모듈(120)을 이용하여 주거지로부터 제2 거리의 외부에 위치한 제4 게이트웨이(54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200)가 제2 거리를 벗어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제4 게이트웨이(540)는 위치가 지정(주거지로부터 1.1km)되어 있으므로, 식별부(181)는 제4 게이트웨이(54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안전지역을 벗어났다고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identification unit 181 obtain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ourth gateway 540 located outside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residence using the RFID module 120, the band 200 moves the second distance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moved out of the safe area. Here, since the location of the fourth gateway 540 is designated (1.1 km from the residence), the identification unit 181 says that when acquiring the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ourth gateway 540, it is out of the safe area. can be identified.

알람 발생부(182)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larm generator 182 may generate different alarm eve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200 and transmit it to the caregiver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알람 발생부(182)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주거지 내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주거지 내부에 존재하는 경우 주거지 내부 존재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the alarm generating unit 182 generates an inside dwelling alarm event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exists inside the dwelling because the band 200 is present inside the dwelling, so that the guardian terminal 300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present. ) can be transmitted.

알람 발생부(182)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면, 외출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the alarm generator 182 generates an outing alarm event to generate an outing alarm event when the band 200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and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

알람 발생부(182)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면, 안전지역 위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the alarm generating unit 182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because the band 200 exists within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a safe area location alarm event can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알람 발생부(182)는 밴드(200)(3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제2 거리의 외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위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ositions of the bands 200 and 300, the alarm generator 182 generates a dangerous alarm event when identify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safe area because the band 200 exists outside the second stree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알람 발생부(182)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와 관계없이,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치매노인이 낙상하였는지 여부, 치매노인의 생체 신호 감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510) 내지 제4 게이트웨이(540)를 통해 획득하고,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가 기준 생체 정보를 벗어난 경우, 치매노인이 낙상한 경우, 응급 알람 이벤트를 생성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The alarm generating unit 182 periodically transmits the biosignal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whether the dementia elderly wears the band 200, whether the dementia elderly has fallen, regardless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200, the first It is acquired through the gateway 510 to the fourth gateway 540, an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out of the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falls, an emergency alarm event is generated and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be sent to

또한 알람 발생부(182)는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응급 상황에 준하는 알람을 발생하여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밴드(200)의 위치 정보는 식별되나, 치매노인의 생채 정보 및/또는 낙상 정보가 획득되지 않는 경우, 알람 발생부(182)는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알람을 발생하여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 밴드(200)로부터 치매노인의 생채 정보 및/또는 낙상 정보가 NULL 값으로 획득될 수 있다.Also, the alarm generator 182 may generate an alarm equivalent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 i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even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does not wear the band 200 .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band 200 is identified, but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and/or fal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not obtained, the alarm generator 182 determin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not wearing the band 200, and an alarm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does not wear the band 200 , biometric information and/or fal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be obtained as NULL values from the band 200 .

본 실시 예에서 알람 발생부(182)는 응급 알람 이벤트 및 위험 알람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다른 알람 이벤트보다 더 긴급한 상황이므로, 더 긴급한 상황임을 나타내는 적색 경보 또는 사이렌 경보를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an emergency alarm event and a dangerous alarm event occur, the alarm generator 182 is a more urgent situation than other alarm events, so it can transmit a red alarm or a siren alarm indicating that the situation is more urgen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 have.

모니터링부(183)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밴드(200)(3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주거지 내부에 있거나, 안전지역 내부에 위치해 있더라도 보호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의해 밴드(200)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모니터링부(183)는 보호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의해, 밴드(200)가 현재 가장 근접해 있는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맵 표시부(187)를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monitoring unit 183 may monitor the positions of the bands 200 and 300 by selecting the terminal 300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 the band 200 may request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at the request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even if the band 200 is located inside the residence or inside the safe area. The monitoring unit 183 may transmit, at the request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 the location of the gateway to which the band 200 is currently closes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using the map display unit 187 .

요청부(184)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예를 들어, 소방소, 경찰서, 보건소, 병원 등)에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출동 요청을 받은 관공서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로부터 치매노인의 위치를 제공받아 출동할 수 있다.The request unit 184 selects the terminal 300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and for th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wears the band 200 while monitoring, public offices (eg, fire stations, police stations, Public health centers, hospitals, etc.) can be requested to be dispatched. The government office receiving the request for dispatch may receive the loc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be dispatched.

정보 공개부(185)는 위험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300)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 단말기에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전송하여, 치매노인의 부재에 대응하여 찾아야 할 대상임을 공개할 수 있다.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하는 경우 도착까지 시간이 걸려 치매노인이 다른 곳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그 전에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한 다른 보호자들이 치매노인을 본 경우 보호자에게 신속히 연락을 취하거나, 보호자와 다른 보호자가 함께 치매노인을 찾는데 도움을 주도록 하는데 있다.The information disclosure unit 185 joins the same community as the guardian terminal 300 by selecting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has received the risk alarm event, and is connected to another guardian terminal residing in the same residence as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possible to disclose that it is a target to be found in response to the abs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f you request a dispatch from a government office, it may take some time to arrive,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move to another place. Together, we aim to help find the elderly with dementia.

동작부(186)는 GPS 모듈을 구비한 밴드(200)가 제2 거리를 벗어난 경우, 즉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GPS 수신부(170)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GPS 수신부(170)가 동작을 개시하면, GPS 위성(500)으로부터 밴드(200)의 위치를 GPS 수신부(170)로 전송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보호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맵 표시부(187)는 맵에 밴드(200)의 위치를 표시하고, 그 결과를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하여, 보호자가 현재 치매노인의 위치를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operation unit 186 controls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170 when the band 200 having the GPS module deviates from the second distance, that is,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safe area, and the GPS receiver 170 ) starts the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is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500 to the GPS receiver 170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and the tracking result can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 At this time, the map display unit 187 may display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on the map, and transmit the resul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so that the guardian recognizes the current loc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도 4는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 중 보호자 단말기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3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보호자 단말기(300)는 통신부(310), 메모리(320), 입출력부(330), 프로그램 저장부(340), 제어부(350) 및 표시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FIG.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a caregiver terminal in the dementia management system of FIG. 1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3 will be omitted. Referring to FIG. 4 , the guardian terminal 30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310 , a memory 320 , an input/output unit 330 , a program storage unit 340 , a control unit 350 , and a display unit 360 .

통신부(310)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와 같은 다른 네트워크 장치와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근거리 통신부 또는 이동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부(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는, 블루투스 통신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부, 근거리 무선 통신부(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와이파이) 통신부, 지그비(Zigbee) 통신부, 적외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통신부, WFD(Wi-Fi Direct) 통신부, UWB(ultra wide band) 통신부, Ant+ 통신부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통신부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be a device including hardware and software necessary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such as control signals or data signals through wired/wireless connection with other network devices such as the dementia management apparatus 100 .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310 may include a short-range communication unit or a mobile communication unit.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Bluetooth communication unit, BLE (Bluetooth Low Energy) communication uni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Near Field Communication unit), WLAN (Wi-Fi) communication unit, Zigbee communication unit, infrared (IrDA, infrared) It may be a data association) communication unit, a Wi-Fi Direct (WFD) communication unit, an ultra wide band (UWB) communication unit, an Ant+ communication unit, and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mobile communication unit transmits/receives a radio signal to and from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according to transmission/reception of a voice call signal, a video call signal, or a text/multimedia message.

메모리(320)는 제어부(350)가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거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된 치매노인 위치 정보 및 생체 신호 감지 정보를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32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memory 320 may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the data processed by the controller 350 or temporarily or permanently store the location information and biosignal detection information transmitted to the caregiver terminal 300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Here, the memory 320 may include magnetic storage media or flash storage medi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입출력부(330)는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 또는 이외의 다양한 입출력 제어기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장치와 보호자 사이에 출력 인터페이스 및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전기 신호를 제어부(350)와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터치 인식 디스플레이 제어기는 보호자에게 시각적인 출력을 표시하며, 시각적 출력은 텍스트, 그래픽, 이미지, 비디오와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출력부(330)는 예를 들어 터치 인식이 가능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소정의 디스플레이 부재일 수 있다. The input/output unit 33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sensitive display controller or other various input/output controllers. As an example, a touch-sensitive display controller may provide an output interface and an input interface between the device and the caregiver. The touch recognition display controller may transmit and receive electrical signals to and from the controller 350 . In addition, the touch-sensitive display controller displays a visual output to the caregiver, and the visual output may include text, graphics, images, video, and combinations thereof. The input/output unit 330 may be, for example, a predetermined display member such a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or liquid crystal display (LCD) capable of recognizing a touch.

프로그램 저장부(340)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에 접속하여, 치매노인 위치 정보,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치매노인이 낙상하였는지 여부, 치매노인의 생체 신호 감지 정보를 생성하는 작업, 요청에 의해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로부터 알람 이벤트를 수신하는 작업, 밴드(200)의 위치 모니터링을 요청하고 결과를 수신하는 작업,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커뮤니티에 공개하는 작업,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하는 작업 등을 수행하는 제어 소프트웨어를 탑재할 수 있다.The program storage unit 340 accesses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provides location informa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s the band 200,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fallen, and biosignal detection informatio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operation of generating, the operation of receiving an alarm event from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upon request, the operation of requesting the location monitoring of the band 200 and receiving the result, the operation of disclos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to the community, It can be equipped with control software that performs tasks such as requesting dispatch to public offices.

제어부(350)는 일종의 중앙처리장치로서 프로그램 저장부(340)에 탑재된 제어 소프트웨어를 구동하고, 표시부(360)를 제어하여 보호자 단말기(300)에 소정의 정보를 표시하는 등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35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ntrol unit 350 provides various functions such as driving control software mounted on the program storage unit 340 as a kind of central processing unit and displaying predetermined information on the guardian terminal 300 by controlling the display unit 360 . can do. Here, the controller 350 may include all kinds of devices capable of processing data, such as a processor. Here, the 'processor' may refer to a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hardware, for example, having a physically structured circuit to perform a function expressed as a code or an instruction included in a program. As an example of the data processing device embedded in the hardware as described above, a microprocessor,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 processor core, a multiprocessor, an 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ASIC) circuit) and a processing device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표시부(360)는 제어부(350)의 제어 하에,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36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50 .

도 5는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장치가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위치 추적 영역을 단계 별로 구획하고, 단계 별로 서로 다른 위치 추적 방식을 적용하여 치매노인의 위치를 추적하는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5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FIG. 1 divides the location tracking area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ing the band 200 for each stage, and tracks the posi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applying different position tracking methods for each stage. .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4 will b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주거지 내에 위치한 제1 게이트웨이(51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주거지 내부에 위치해 있다고 식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when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irst gateway 510 located in the residence, it may identify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located inside the residence.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주거지 내부에 위치한 스마트 매트(160)로부터 전기 신호가 발생하고, 주거지 외부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위치한 제2 게이트웨이(52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The dementia management device 100 generat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mart mat 160 located inside the residence, and obtain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second gateway 520 located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residence. In this case,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went out.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주거지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한 제3 게이트웨이(53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third gateway 530 located inside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it is determin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can be identified.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주거지로부터 제2 거리의 외부에 위치한 제4 게이트웨이(54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200)가 제2 거리를 벗어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할 수 있다. When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ourth gateway 540 located outside the second distance from the residence, the band 200 leaves the second distance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safe It can be identified as out of the area.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GPS 위성(500)을 통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through the GPS satellite 500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safe area.

도 6은 도 1의 치매노인 관리 장치가 치매노인의 보호자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 단말기게 치매노인의 신상정보를 전송하는 예시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5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6 is an exemplary diagram in which the device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f FIG. 1 joins the same community as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ransmits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other guardian terminals residing in the same residence as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5 will be omitted.

도 6을 참조하면,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나 위험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보호자 단말기(301)는 치매노인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공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guardian terminal 301 that has received a dangerous alarm event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safe area may open th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application and disclos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다른 보호자 단말기(302, 303)는 보호자 단말기(301)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며, 보호자 단말기(301)로부터 치매노인의 사진과, 치매노인의 이름, 나이, 실종시간, 실종 위치를 포함하는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수신하여, 치매노인의 부재에 대응하여 찾아야 할 대상임을 인지하고, 치매노인을 본 경우 보호자 단말기(301)에 연락을 취하거나, 치매노인을 함께 찾을 수 있다.The other guardian terminals 302 and 303 join the same community as the guardian terminal 301, live in the same residential area as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from the guardian terminal 301, the pictu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e name, age, and disappeara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Receiv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time and location of disappearance, recognize that it is a target to be found in response to the abs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contact the guardian terminal 301 when see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or br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ogether can be found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내지 도 6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descriptions of parts overlapping with those of FIGS. 1 to 6 will be omitted.

도 7을 참조하면, S710단계에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200)로 고유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200)로부터 수신한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식별한다.Referring to FIG. 7 , in step S710 ,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requests unique information to the band 200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uses the unique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200 to control the band 200 . Identifies the location.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주거지 내에 위치한 제1 게이트웨이(51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200)가 주거지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실내에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스마트 매트(160)로부터 전기적인 신호가 수신되고,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위치한 제2 게이트웨이(52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200)가 주거지 외부로부터 제1 거리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주거지로부터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한 제3 게이트웨이(53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200)가 제2 거리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주거지로부터 제2 거리의 외부에 위치한 제4 게이트웨이(540)를 통하여 밴드(200)로부터 고유 정보를 획득하고 밴드(200)가 제2 거리를 벗어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할 수 있다.When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irst gateway 510 located in the residence, the band 200 is located in the residence, so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be identified indoors.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smart mat 160, and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second gateway 520 located within a preset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the band By being located within a first distance from the outside of the residence 200, it can be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went out. When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third gateway 530 located inside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the band 200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street. By location,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inside the safe area.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quires unique information from the band 200 through the fourth gateway 540 located outside the second street from the residence, and the band 200 deviates from the second distance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 a safe area can be identified as out of .

S720단계에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In step S720 ,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generates different alarm eve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200 and transmits them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주거지로부터 기설정된 제1 거리 이내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면, 외출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제1 거리보다 긴 제2 거리 내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면, 안전지역 위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밴드(200)(3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제2 거리의 외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위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the dementia management device 100 generates an outing alarm event when the band 200 exists within a predetermined first distance from the residence and identifies that the dementia elderly have gone out.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As a result of the identification of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the dementia management device 100 determin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 the safe area because the band 200 is present inside the second distance longer than the first distance, a safety area location alarm An even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s 200 and 300, 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generates a dangerous alarm event when the band 200 exists outside the second street and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safe area. Thus, it can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와 관계없이,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였는지 여부, 치매노인이 낙상하였는지 여부, 치매노인의 생체 신호 감지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510) 내지 제4 게이트웨이(540)를 통해 획득하고,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가 기준 생체 정보를 벗어난 경우, 치매노인이 낙상한 경우, 응급 알람 이벤트를 생성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치매노인이 밴드(200)를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도 응급 상황에 준하는 알람을 발생하여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할 수 있다.Regardless of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200,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periodically removes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s the band 200,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fallen, and the biosignal detec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acquired through the first gateway 510 to the fourth gateway 540, and 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out of the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falls, an emergency alarm event is generated and the guardian terminal 300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 can be transmitted. Also,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generate an alarm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situation and transmit i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even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does not wear the band 200 .

S730단계에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밴드(200)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여 그 결과를 보호자 단말기(300)로 전송한다.In step S730,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onitors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by the selec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and transmits the resul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밴드(200)(300)의 위치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밴드(200)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200)가 주거지 내부에 있거나, 안전지역 내부에 위치해 있더라도 보호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의해 밴드(200)의 위치를 요청할 수 있다.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보호자 단말기(300)의 요청에 의해, 밴드(200)가 현재 가장 근접해 있는 게이트웨이의 위치를 보호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monitor the positions of the bands 200 and 300 by selecting the terminal 300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 the band 200 may request the location of the band 200 at the request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even if the band 200 is located inside the residence or inside the safe area.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transmit the location of the gateway to which the band 200 is currently closest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at the request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

S740단계에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한다.In step S740, the device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100 is dispatched to a government office for th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ing the band 200 while monitoring by the selection of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request.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200)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예를 들어, 소방소, 경찰서 등)에 출동을 요청할 수 있다. 출동 요청을 받은 관공서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로부터 치매노인의 위치를 제공받아 출동할 수 있다.The device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selected by the caregiver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for th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wears the band 200 during monitoring (eg, a fire station, Police station, etc.) The government office receiving the request for dispatch may receive the loc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be dispatched.

선택적 실시 예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위험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300)의 선택에 의해, 보호자 단말기(300)와 동일한 커뮤니티에 가입하고, 치매노인과 동일한 주거지에 거주하는 다른 보호자 단말기에 치매노인의 신상 정보를 전송하여, 치매노인의 부재에 대응하여 찾아야 할 대상임을 공개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joins the same community as the guardian terminal 300 by selecting the guardian terminal 300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has received the dangerous alarm event, and resides in the same residence as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transmitting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another guardian terminal, it is possible to disclose that it is a target to be found in response to the absen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선택적 실시 예로, 치매노인 관리 장치(100)는 GPS 모듈을 구비한 밴드(200)가 제2 거리를 벗어난 경우, 즉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난 경우, GPS 수신부의 동작을 개시하도록 제어하고, GPS 수신부가 동작을 개시하면, GPS 위성(500)으로부터 밴드(200)의 위치를 GPS 수신부로 전송하여 밴드(200)의 위치를 추적하고, 추적 결과를 보호자 단말기(300)에 전송할 수 있다.In an optional embodiment, the apparatus 100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controls to start the operation of the GPS receiver when the band 200 having the GPS module deviates from the second distance, that is,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safe area, the GPS When the receiver starts operation,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is transmitted from the GPS satellite 500 to the GPS receiver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band 200 , and the tracking result may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300 .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8 is a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a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은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로 생체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와 GPS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밴드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A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requesting biometric information from a band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selectivel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and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and;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밴드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단계; 및generating different alarm events according to the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and transmitting the same to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band by selection of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and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By selection of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requesting dispatch to a government office for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wears a band while monitoring.

여기서 밴드의 위치를 식별하는 단계는,Here, the step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is,

주거지(1000) 내에 위치한 제1 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1000)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실내에 있음을 식별하는 단계;When biometric information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first gateway 1100 located in the residence 1000, identify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doors by placing the band in the residence 1000;

주거지(1000)의 현관문(1400)에 인접한 기설정된 제1 영역(A) 내에 위치한 제2 게이트웨이(1200)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RFID 신호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1000) 외부의 제1 영역(A)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는 단계;When the RFID signal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second gateway 1200 located in the preset first area A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of the residence 1000, the band moves to the first area outside the residence 1000 ( A) identify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by being located in;

밴드가 전송하는 GPS정보를 통하여 관리서버가 밴드가 주거지(1000)로부터 제1 영역(A)의 외부에 있는 기 설정된 제2 거리(B)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한 경우,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는 단계; 및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ognizes that the band is located inside the preset second distance (B) that is outside the first area (A) from the residence 1000 through the GP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nd, the management server controls the elderly with dementia identifying that it is within the safe area; and

밴드가 전송하는 GPS정보를 통하여 관리서버가 밴드가 주거지(1000)로부터 제2 거리(B)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한 경우, 관리서버는 밴드가 제2 거리(B)를 벗어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나 위험지역에 있음을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management server recognizes that the band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distance (B) from the residence 1000 through the GP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nd,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band is outside the second distance (B)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may consist of steps outside the safe area and identifying that you are in a hazardous area.

실시예에 따라서 제1 영역(A)은 주거지(1000)의 현관문(1400)에 인접한 영역으로서 침해노인이 현관문(1400)을 통하여 주거지(1000)의 외부로 나가고 있는 정보를 알 수 있도록 설정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area (A) is an area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of the residence 1000 , and is set so that the infringing elderly can know information going out of the residence 1000 through the front door 1400 . It can mean an area.

또한 제2 거리(B)는 보호자가 설정한 거리로서 안전지역과 위험지역을 나누는 경계선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econd distance (B) is a distance set by the guardian and may mean a boundary line dividing the safe area and the dangerous area.

여기서 제1 게이트웨이(1100)는 후술할 내부게이트를 의미할 수 있고, 제2 게이트웨이(1200)는 외부게이트를 의미할 수 있다.Here, the first gateway 1100 may mean an internal gat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gateway 1200 may mean an external gate.

관리서버가 밴드의 위치를 식별한 결과, 관리서버가 밴드가 주거지(1000)에서 나와 제1 영역(A)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관리서버는 제어명령을 송출하여 밴드에 구비된 GPS 모듈을 동작하여 상기 밴드의 위치를 추적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if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that the band has left the residential area 1000 and is out of the first area (A),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a control command to control the GPS module provided in the band. and tracking the position of the band in operation.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tting step includes:

밴드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낙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1100) 또는 휴대폰 통신망을 통해 획득하는 단계; 및periodically acquiring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fall is generated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the first gateway 1100 or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through the band; and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가 기준 생체 정보를 벗어난 경우, 또는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응급 알람 이벤트를 생성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deviates from the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or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has occurred, generating an emergency alarm event and transmitting the event to the guardian terminal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즉,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는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내부에 있을 때에는 제1 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수집될 수 있고, 주거지(1000)를 벗어나 외출하게 되면, 휴대폰 통신망을 통하여 직접 수집될 수 있다. 밴드가 주거지(1000) 외부에 있고, 제2 거리(B) 내부 또는 제2 거리(B) 외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밴드는 휴대폰 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직접 침해노인의 생체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That i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be collected through the first gateway 1100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residence 1000, and can be directly collected through the mobile phone network when going out of the residence 1000. have. When the band is outside the residence 1000 and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street B or outside the second street B, the band may transmit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infringing elderly directly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밴드에는 RFID태그모듈이 설치되어 있고, 주거지(1000) 외부의 현관문(140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제2 게이트웨이(1200)에는 RFID리더모듈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침해노인이 현관문(1400)을 통하여 외출하는 경우 RFID리더모듈이 밴드의 RFID태그모듈에서 송출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침해노인이 외출한 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An RFID tag module is installed in the band, and an RFID reader module is installed in the second gateway 1200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outside the residence 1000 , so the infringing elderly can pass through the front door 1400 . When going out, the RFID reader module receiv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RFID tag module of the band, so that the infringing elderly person can secure the information about going out.

실시예에 따라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transmitting step includes: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주거지(1000)로부터 기설정된 제1 영역(A) 내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면, 외출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because the band exists in the first area (A) preset from the residence 1000, generating an outing alarm event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1 영역(A)의 외부에 있는 제2 거리(B) 내부에 존재하여 관리서버가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면, 안전지역 위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if the band exists inside the second street (B) outside the first area (A) and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a safe area location alarm event is generated Transmitting to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2 거리(B)의 외부에 존재하여 관리서버가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위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상기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if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left the safe area because the band exists outside the second street (B), a risk alarm event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may include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을 설명한다.A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implements the method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은 관리서버, 밴드, 스마트매트(1300), 게이트웨이, 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웨이는 내부게이트웨이(1100)와 외부게이트웨이(1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dementia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management server, a band, a smart mat 1300, a gateway, and a guardian terminal. The gateway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internal gateway 1100 and an external gateway 1200 .

밴드는 치매노인이 착용할 수 있는 악세서리일 수 있다. 밴드에는 맥박 체온 등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될 수 있으며, RFID 태그모듈, GPS 모듈을 구비할 수 있으며, 가속도, 자이로 센서 등이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The band may be an accessory that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can wear. The band may have a built-i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such as pulse and body temperature, may include an RFID tag module and a GPS module, and may additionally include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nd the like.

본 명세서에서 밴드라고 표현했지만 이는 치매노인이 착용할 수 있는 악세사리를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손목밴드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expressed as a ban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t refers to an accessory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wear, and does not necessarily mean only a wristband.

게이트웨이는 일반적으로 단말기를 인터넷 통신망과 연결하여 정보를 전송하거나 받을 수 있도록 기능하는 기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내부게이트웨이(1100)는 집안 내부에 설치되며, 밴드는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를 내부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In general, the gateway may be a device that functions to transmit or receive information by connecting a terminal to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In this embodiment, the internal gateway 1100 is installed inside the house, and the band may transmit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ternal gateway 1100 .

치매노인이 밴드를 벋어 버리게 되면 즉 미착용하게 되면 생체정보의 수집이 중단되며, 관리서버는 생체정보의 수집 중단 상황이 확인되면 밴드 미착용 사실 정보를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게 된다. 즉,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의 생체정보의 수집 중단 정보에 기하여 치매노인의 밴드 착용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치매노인의 밴드 미착용 사정이 확인되면 보호자는 직접 치매노인에게 전화를 걸거나 주변의 커뮤니티 보호자들에게 연락하여 치매노인이 신속히 밴드를 착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breaks off the band, that is, when they do not wear it, the collec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is stopped, and the management server transmits the fact information of not wearing the band to the guardian's terminal when it is confirmed that the collec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is stopped.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can collect information on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wears a band or not based on the information on stopping the collec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By contacting community carers around you, you can encourage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wear the band quickly.

밴드는 RFID 태그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RFID 태그모듈은 실시예에 따라서 패시브칩을 포함할 수 있다. 밴드는 RFID 태그모듈을 통하여 치매노인의 위치정보를 실시간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확인하기 위한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The band may be equipped with an RFID tag module. The RFID tag module may include a passive ch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band may transmit a signal for check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real time or at regular time intervals through the RFID tag module.

관리서버는 밴드로부터 전송되는 치매노인의 생체정보 중 맥박정보를 분석하여 치매노인의 낙상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즉 관리서버는 맥박정보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맥박이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급격히 변화하는 상황 등을 수집하여 치매노인의 낙상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관리서버가 치매노인의 맥박정보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낙상 상황으로 판정한 경우 보호자단말기로 위급상황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동일 커뮤니티의 다른 보호자나 병원 등 기관으로 직접 위급상황을 알리는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The management server may determine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fallen by analyzing the pulse information among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ransmitted from the band.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can determine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falls by collecting situations in which the pulse rat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exceeds the standard value or changes rapidly through the pulse information. When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fallen through the pulse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can transmit an emergency message to the guardian's terminal. It can also transmit signals.

여기서 관리서버는 치매노인 관리서비스 제공업체에서 보유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 기관 또는 관공서에 비치된 서버일 수도 있다. 관리서버와 밴드는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Here,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a server owned by a dementia care service provider.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it may be a server provided in an institution or a government office. The management server and the band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치매노인이 거주하는 주거지(1000) 즉, 주택 내부에는 내부게이트웨이(1100)가 설치될 수 있다. 내부게이트웨이(1100)는 밴드로부터 BLE 등 근거리 통신을 통하여 밴드로부터 치매노인의 맥박정보, 체온정보 등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An internal gateway 1100 may be installed in the residential area 1000 where the elderly with dementia reside, that is, inside the house. The internal gateway 1100 may receiv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uch as pulse information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the band through short-distance communication such as BLE from the band at regular time intervals.

내부게이트웨이(1100)는 밴드로부터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은 경우에는 이를 인터넷통신망을 통하여 관리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를 수신하여 보호자단말기로 전송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가 치매노인의 건강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internal gateway 1100 receives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from the band, it may transmit it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management server may receive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and transmit it to the guardian terminal so that the guardian of the dementia elderly can understand the health status of the dementia elderly.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본 실시예에써 주거지는 주택 즉 건물을 의미한다) 내부에 있을 때에는 밴드와 관리서버가 내부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정보를 주고받게 되므로 밴드의 배터리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a residence (1000, in this embodiment, the residence means a house, that is, a building), the band and the management server exchange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al gateway 1100, so the battery consumption of the band can be reduced. .

주거지(1000)의 현관문(1400) 내측에는 스마트매트(1300)가 설치될 수 있다. 스마트매트(1300)는 압전소자를 채용하여 치매노인이 밟은 경우 전기적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A smart mat 130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ont door 1400 of the residence 1000 . The smart mat 1300 may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step on it by employing a piezoelectric element.

주거지(1000)의 현관문(1400)과 인접한 외부에는 외부게이트웨이(1200)가 설치될 수 있다. 외부게이트웨이(1200)는 RFID 리더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부게이트웨이(1200)와 스마트매트(13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현관문(1400) 밖의 현관문(14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외부게이트웨이(1200)와 현관문(1400) 내측에 현관문(1400)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스마트매트(1300)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An external gateway 1200 may be installed outside the front door 1400 and adjacent to the residence 1000 . The external gateway 1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RFID reader module. The external gateway 1200 and the smart mat 13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xternal gateway 1200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outside the front door 1400 and the smart mat 1300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inside the front door 1400 are mutually exclusive. It can be wired or wirelessly connected.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에서 현관문(1400)을 통하여 외출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에서 외출했다는 위치정보는 보호자단말기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치매노인이 현관문(1400)을 통하여 외출한 정보는 치매노인이 현관문(1400)을 통하여 주거지(1000)를 빠져 나갔을 때 1차로 스마트매트(1300)를 밟으면서 전기적인 신호가 생성되어 관리서버로 전송되며, 2차로 외부게이트웨이(1200)에 설치된 RFID 리더모듈이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에 RFID 테그를 읽어서 이 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through the front door 1400 at the residence 1000,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from the residence 1000 may be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Here, the information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went out through the front door 1400 is managed by generating an electrical signal while stepping on the smart mat 1300 as the first step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exits the residential area 1000 through the front door 1400 It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secondly, the RFID reader module installed in the external gateway 1200 reads the RFID tag on the band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and transmits this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따라서 관리서버는 1차적으로는 스마트매트(1300)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외출정보를 확보하고, 2차적으로 외부게이트웨이(1200)를 통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했다는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외부게이트웨이(1200)의 신호 인식 범위는 2-3m 정도로 짧을 수 있다. 외부게이트웨이(1200)를 현관문(1400) 외측에 현관문(1400)과 인접하여 설치함으로써 마치 톨게이트에서 차량이 지나가면서 카운트되는 것처럼 치매노인이 현관문(1400)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갈때 외부게이트웨이(1200)가 RFID 신호를 읽어들임으로써 치매노인이 외출했다는 정보를 확정할 수 있다. 즉, 스마트매트(1300)와 외부게이트웨이(1200)가 함께 치매노인을 인식해야 치매노인이 외출한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management server may firstly secure the outing information of the dementia elderly through the smart mat 1300 , and secondly determine the information that the dementia elderly go out through the external gateway 1200 .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ignal recognition range of the external gateway 1200 may be as short as 2-3 m. By installing the external gateway 1200 on the outside of the front door 1400 and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passes through the front door 1400 and goes outside, as if a vehicle passes by at a toll gate, it is counted. 1200) can confirm the information that the dementia elderly went out by reading the RFID signal. That is, the smart mat 1300 and the external gateway 1200 must both recognize the dementia elderly to determine that the dementia elderly have gone out.

스마트매트(1300)는 일반적으로 현관문(1400) 안쪽에 현관문(1400)과 인접하여 설치되지만 치매노인이 스마트매트(1300)를 밟고도 외출을 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외부게이트웨이(1200)가 RFID 신호를 수집하지 못하므로 치매노인이 외출했다는 정보를 확정하지 않는다. Although the smart mat 1300 is generally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inside the front door 1400 , there are cases where the elderly with dementia do not go out even after stepping on the smart mat 1300 . In this case, since the external gateway 1200 cannot collect the RFID signal, the information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is not confirmed.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매트(1300)와 밴드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서로 연동할 수 있다. 즉, 스마트매트(1300)는 치매노인이 밴드를 착용한 사람이 스마트매트(1300)에 올라선 경우에만 위치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주거지(1000) 내부에서 밴드를 착용하지 않은 정상적인 사람이 스마트매트(1300)를 밟을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관리서버는 스마트매트(1300)로부터 위치정보를 수집하지 않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smart mat 1300 and the band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to interwork with each other. That is, the smart mat 1300 may transmit a location signal only when a person wearing a band for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climbs on the smart mat 1300 . A normal person who does not wear a band inside the residence 1000 may step on the smart mat 1300 , and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 may not collect location information from the smart mat 1300 .

본 발명은 스마트매트(1300)와 RFID리더모듈을 포함하는 외부게이트웨이(1200) 구성을 통하여 2원적으로 치매노인의 외출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보의 정확성을 2중으로 담보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in a binary manner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external gateway 1200 including the smart mat 1300 and the RFID reader module, the accuracy of information can be double guaranteed.

치매노인이 거주하는 주거지(1000)인 주택의 주변의 설정된 영역까지는 안전지역으로 정의할 수 있다. 안전지역은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주변의 산책을 할 수 있는 지역이거나 텃밭 등 생활과 관련한 일을 할 수 있는 지역으로서 치매노인이 돌아다녀도 안전하다고 인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안전지역은 치매노인의 보호자 등이 여러 상황을 고려하여 설정할 수 있다. 안전지역의 설정은 보호자단말기를 통하여 미리 할 수 있다.Up to a set area around the house, which is the residential area 1000 in which the elderly with dementia resides, may be defined as a safe area. The safe area is an area where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take a walk around the residential area 1000 or an area where life-related work such as a vegetable garden can be performed, and may mean an area that is recognized as safe even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walk around. Here, the safe area can be set by a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consideration of various situations. The setting of the safe area can be done in advance through the guardian's terminal.

치매노인이 현관문(1400)을 벗어나 외출하게 되면 밴드에 설치된 GPS모듈이 자동적으로 작동을 개시할 수 있다. 또한 치매노인이 현관문(1400)을 통하여 집으로 들어오게 되면 자동으로 작동을 멈출 수 있다. 관리서버는 제어명령 신호를 전송하여 GPS모듈의 스위치 온 또는 스위치 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front door 1400 and goes out, the GPS module installed in the band may automatically start operation. Also,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enters the house through the front door 1400, the operation may be automatically stopped. The management server may control the switch-on or switch-off of the GPS module by transmitting a control command signal.

치매노인이 착용하고 있는 밴드는 GPS모듈을 통하여 치매노인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The band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transmi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th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through the GPS module.

GPS모듈은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내부에 거주할 때에는 스위치 오프(Off)되어 작동을 하지 않는다. 그러다가 치매노인이 현관문(1400)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면 자동으로 스위치 온(On)되어 작동하며, 치매노인의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GPS모듈은 실내에서 위치정보의 정확도가 매우 낮으므로 실내에서는 내부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를 전송받음으로써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내부에 거주하고 있다는 정보 즉 치매노인의 위치정보를 수집하게 되며, 치매노인이 외출하게 되면 밴드에 설치된 GPS모듈이 작동을 개시하여 실시간으로 위치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게 된다.The GPS module is switched off and does not operate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resides inside the residence 1000 . Then,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side through the front door 1400,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on and opera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GPS module has very low accuracy of location information indoors, it receiv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doors through the internal gateway 1100. location information is collected, and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the GPS module installed in the band starts operation and transmits the location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in real time.

GPS모듈은 치매노인이 외출하게 되면 자동으로 작동하게 된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매트(1300)와 외부게이트웨이(1200) 구성을 통하여 작동이 개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마트매트(1300)가 전송하는 치매노인의 위치정보와 외부게이트웨이(1200)의 RFID 리더모듈을 통하여 전송하는 치매노인의 위치정보는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서 치매노인이 집밖으로 외출하는 경우인지 아니면 주거지(1000)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인지를 알려줄 수 있다. 즉, 스마트매트(13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가 먼저 수집되고, 외부게이트웨이(1200)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가 나중에 수집된 경우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이 외출한 것으로 인지할 수 있으며, 밴드에 설치된 GPS모듈을 스위치 온하여 작동이 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외부게이트웨이(1200)외부게이트웨이(1200) 치매환자의위치정보가 먼저 수집되고, 스마트매트(1300)스마트매트(1300)되는 위치정보가 나중에 수집된 경우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내부로 들어온 것으로 판정하고 GPS모듈을 스위치 오프할 수 있다. The GPS module is activated automatically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operation may be started thr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mat 1300 and the external gateway 1200 .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ransmitted by the smart mat 1300 and the posi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ransmitted through the RFID reader module of the external gateway 1200 are in the chronological order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of the house It is possible to inform whether or not it is a case of entering the dwelling 1000 . That is,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at 1300 is first collected,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gateway 1200 is collected later, the management server can recognize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and the GPS installed in the band The module can be switched on to initiate operation. On the contrar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is first collected from the external gateway 1200, the external gateway 1200,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smart mat 1300 and the smart mat 1300 is collected later, the management server is the dementia elderly residence (1000). ) It is judged that it has entered the interior and the GPS module can be switched off.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는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내부에 있을때에는 내부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관리서버로 전송되지만,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외부로 외출한 경우에는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는 휴대폰 통신망을 통하여 기지국 등을 통하여 직접 관리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이 경우 게이트웨이를 거치지 않고 직접 관리서버로 생체정보가 전송될 수 있는 것이다.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the internal gateway 1100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residence 1000, but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side the residence 1000,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transferred to the mobile phone It may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ase station or the like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in this case, biometric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directly to the management server without going through a gateway.

실시예에 따라서는 생체정보가 내부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와 직접 휴대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경우 상호 전환을 통하여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도 있다. 즉 관리서버는 치매환자의 생체정보의 수집경로를 통하여 치매환자의 위치정보를 확보할 수 있다. 순서적으로 휴대폰 통신망을 통하여 생체정보가 전송되다가 내부게이트를 통하여 생체정보가 전송되는 것으로 생체정보의 전송경로가 변경된 경우에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 내부로 들어왔음을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반대로 내부게이트를 통하여 생체정보가 전송되다가 휴대폰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는 것으로 생체정보의 전송경로가 변경된 경우에는 치매노인이 외부로 외출한 것으로 판정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에서 위험지역으로 벋어나는지 모니터링 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n biometr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al gateway 1100 and when transmitted directly through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ollected through mutual conversion. 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can secure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through the collection path of the biological inform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When the transmission path of biometric information is changed such that biometric information is transmitted sequentially through the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n through the internal gate, the management server can recognize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entered the dwelling (1000). . Conversely, if the transmission path of biometric information is changed from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internal gate to being transmitted through the mobile phone network, it is determin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side and monitoring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moves from a safe area to a dangerous area. can

휴대폰 통신망은 LTE 등 장거리 무선통신망을 의미할 수도 있다. The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may refer to a long-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LTE.

치매노인이 주거지(1000)를 벋어나면 즉 외출을 하면 관리서버는 GPS모듈에게 작동을 명령하고, GPS모듈이 작동을 개시하여 이후로는 치매노인의 위치정보는 GPS모듈에 의한 GPS정보에 기반하여 수집될 수 있다. GPS모듈은 치매노인이 안전지역과 위험지역에 있는 경우에 작동할 수 있다. 이 때 안전지역과 위험지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호자 등이 보호자단말기를 통하여 개별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residence 1000, that is, when they go out, the management server commands the GPS module to operate, and the GPS module starts to operate. can be collected. The GPS module can work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in safe and dangerous areas. In this case, the safe area and the dangerous area can be individually set by the guardian or the like through the guardian terminal as described above.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에 있는 동안에는 일상적인 상황이므로 특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지만,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벋어나서 위험지역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치매노인의 위치추적이 문제가 된다. While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in a safe area, there is no need to take special measures because it is a normal situation.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벋어나서 위험지역으로 진입한 경우에는 커뮤니티 케어 시스템이 작동할 수 있다.When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leaves the safe area and enters the danger area, the community care system can operate.

커뮤니티 케어 시스템은 일정한 조건에 해당되어 인증된 가입자들의 온라인 오프라인 모임을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The community care system may be a system that enables online and offline meetings of subscribers who have been authenticated by meeting certain conditions.

치매환자의 가족, 관련 기관의 소속 직원 등은 커뮤니티 케어 시스템의 구성이 될 수 있다. 예컨대 치매환자는 양양에 거주하고 그 자녀인 보호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경우 보호자는 치매환자의 케어가 어렵다. 이 경우 치매환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함께 거주하고, 예컨대 다른 치매환자를 두고 있는 사람들의 모임을 온라인 상에서 구성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위험지역에 접근한 경우 치매노인에게 적절한 조치가 취해지도록 유도할 수 있다.A family member of a dementia patient, an employee belonging to a related institution, etc. may constitute a community care system. For example, if a dementia patient lives in Yangyang and their child, a guardian, lives in Seoul, it is difficult for the guardian to take care of the dementia patient.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induce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take appropriate measures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approaches the risk area by organizing online gatherings of people living in the area where the dementia patients live, for example, who have other dementia patients.

본 실시예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은 커뮤니티 케어 시스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뮤니티 케어 시스템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보호자단말기, 커뮤니티 케어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ty care system. Here, the community care system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ardian terminal in which a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a community care server.

실시예에 따라서 커뮤니티 케어 서버는 전술한 관리서버를 의미할 수도 있다. 치매노인을 가족으로 두고 있는 사람들이 커뮤니티 케어 서버에 접속하여 인증을 통하여 가입하면, 커뮤니티 케어 서버는 가입된 사람들을 주거지(1000)역 별로 분류하고, 해당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community care server may refer to the aforementioned management server. When people with dementia elderly as family members access the community care server and sign up through authentication, the community care server can classify the subscribed people by residential area (1000) and stor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여기서 보호자단말기는 커뮤니티 케어 시스템에 일 구성으로 가입한 가입자들의 단말기를 의미할 수 있으며, 가입자단말기에는 커뮤니티 케어 서버와 연동하는 커뮤니티 케어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guardian terminal may mean a terminal of subscribers who have subscribed to the community care system as one component, and a community care application interworking with the community care server may be installed in the subscriber terminal.

본 실시예에 따르면 치매노인이 위험지역에 진입한 경우 우선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에서는 시각적, 청각적 또는 촉각적인 방식에 의한 경고가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밴드의 표시창에는 보호자의 이름, 전화번호 등 연락처가 표시되고, 밴드의 스피커에서 현재 밴드를 착용하고 있는 치매노인을 도와달라는 음성이 송출될 수 있다. 이러한 경고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주변에 있는 사람들이 치매노인을 안전지대로 유도하거나 치매노인의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enters the danger zone, first, a warning by a visual, auditory, or tactile method may be performed on the band worn by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some embodiments, contact information such as a guardian's name and phone number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window of the band, and a voice requesting to help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who is currently wearing the band may be transmitted from the speaker of the band. Through these warnings, people around the elderly with dementia can guide the elderly with dementia to a safe zone or contact the guardian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또한, 관리서버(커뮤니티 케어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는 치매노인의 위치정보에 기하여 치매노인이 위험지역에 있음이 인지된 경우에는 커뮤니티 케어에 소속된 해당 지역의 가입자 단말기로 치매노인의 얼굴 등 사진정보와 기타 특징이 되는 정보와 보호자의 연락처 정보 등을 전송하여 해당 지역의 가입자가 치매노인을 발견하면 보호자에게 연락을 취하거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으로 돌아가도록 유도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anagement server (which may mean a community care server) is recogniz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 a risk area based o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a subscriber terminal belonging to the community care, such as the fac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etc. By sending photo information, other characteristic information, and contact information of the guardian, if a subscriber in the area finds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he or she can contact the guardian or induce the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to return to a safe area.

전술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을 구현하는 치매노인 관리 장치를 설명한다.An apparatus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that implements the system for managing the elderly with dementia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실시예에 따른 침해노인 관리 장치는,The infringing elderly manag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치매노인이 착용한 밴드로 생체 정보를 요청하고 밴드로부터 수신한 생체 정보 또는 GPS정보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밴드의 위치를 식별하는 식별부;an identification unit for requesting biometric information from a band worn by an elderly person with dementia and selectively using biometric information or GPS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band to identify the position of the band;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알람 발생부;An alarm generator for generating different alarm events according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result of the band and transmitting it to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밴드의 위치를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부; 및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the position of the band by the selection of the terminal of the caregiver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and

알람 이벤트를 수신한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의 선택에 의해, 모니터링 하는 중에 밴드를 착용한 치매노인의 케어를 위해 관공서에 출동을 요청하는 요청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By selection of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has received the alarm event,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equesting unit for requesting dispatch to a government office for the care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wears a band while monitoring.

여기서 식별부는, 주거지(1000) 내에 위치한 제1 게이트웨이(1100)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생체 정보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1000)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실내에 있음을 식별하고,Here, when the identification unit acquires biometric information from the band through the first gateway 1100 located in the residence 1000, the band is located in the residence 1000 to identify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are indoors,

주거지(1000)의 현관문(1400)에 인접한 기설정된 제1 영역(A) 내에 위치한 제2 게이트웨이(1200)를 통하여 밴드로부터 RFID 신호를 획득하면, 밴드가 주거지(1000) 외부의 제1 영역(A) 내에 위치함으로써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고,When the RFID signal is obtained from the band through the second gateway 1200 located in the preset first area A adjacent to the front door 1400 of the residence 1000, the band moves to the first area outside the residence 1000 ( A) By being located in,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went out,

밴드가 전송하는 GPS정보를 통하여 밴드가 주거지(1000)로부터 제1 영역(A)의 외부에 있는 기 설정된 제2 거리(B)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된 경우,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고,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band is located inside the preset second distance (B) outside the first area (A) from the residence 1000 through the GP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to identify,

밴드가 전송하는 GPS정보를 통하여 밴드가 주거지(1000)로부터 제2 거리(B)의 외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인지된 경우, 밴드가 제2 거리(B)를 벗어나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나 위험지역에 있음을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it is recognized that the band is located outside the second distance (B) from the residence 1000 through the GPS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band, the band departs the second distance (B) and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safe area It can be configured to identify that it is in

여기서 밴드는 RFID태그모듈을 구비하고, 제2 게이트웨이(1200)는 RFID리더모듈을 구비하며,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주거지(1000)에서 나와 제1 영역(A)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밴드에 구비된 GPS 모듈을 동작하여 밴드의 위치를 추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band includes an RFID tag module, and the second gateway 1200 includes an RFID reader module. It may be configured to track the position of the band by operating a GPS module provided in the band.

또한 알람 발생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밴드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 및 생체 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되는 낙상 여부에 대한 정보를 주기적으로 제1 게이트웨이(1100) 또는 휴대폰 통신망을 통해 획득하고,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larm generator periodically obtains information on whether or not a fall is generated based on biometric information and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hrough the band through the first gateway 1100 or a mobile phone communication network,

치매노인의 생체 정보가 기준 생체 정보를 벗어난 경우, 또는 낙상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응급 알람 이벤트를 생성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e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deviates from the reference biometric information, or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fall has occurred, an emergency alarm even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또한 알람 발생부는, 실시예에 따라서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주거지(1000)로부터 기설정된 제1 영역(A) 내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하였음을 식별하면, 외출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고,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larm generating unit generates an outing alarm event when it is identified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because the band exists in the first area (A) preset from the residence 1000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ent to the guardian's terminal,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1 영역(A)의 외부에 있는 제2 거리(B) 내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 내부에 있음을 식별하면, 안전지역 위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며,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band, if the band exists inside the second street (B) that is outside the first area (A) and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is inside the safe area, a safe area location alarm event is generated to prevent the elderly with dementia It is sent to the guardian's terminal,

밴드의 위치 식별 결과 밴드가 제2 거리(B)의 외부에 존재하여 치매노인이 안전지역을 벗어났음을 식별하면, 위험 알람 이벤트를 발생하여 치매노인의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침해노인 관리 장치는, 전술한 침해노인 관리 방법에 대응하는 장치로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미 전술한 침해노인 관리 방법의 설명에서 설명을 하였음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As a result of identifying the position of the band, if the band exists outside the second distance (B) and identifi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deviated from the safe area, a dangerous alarm event may be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ince the apparatus for managing the infringing elderl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erforms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 as the apparatus correspon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aging the infringing elderly,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since it has already been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method for managing the infringing elderly.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컴퓨터 상에서 다양한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매체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mputer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onents on a computer, and such a computer program may be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In this case, the medium includes a hard disk, a magnetic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magnetic tape, an optical recording medium such as a CD-ROM and DVD, a magneto-optical medium such as a floppy disk, and a ROM. ,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한편,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mputer progra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those skilled in the computer software field. Examples of the computer program may include not only machine cod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In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especially in the claims), the use of the term "above" and similar referential terms may be used in both the singular and the plural.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the present invention,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s including the invention to which individual values belonging to the range are applied (unless there is a description to the contrary). same as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erformed in an appropriate order, unless the order is explicitly stated or there is no description to the contrar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described.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etc.)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defined by the claims. it's not going to be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may be made in accordance with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cope of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said to belong to

100: 치매노인 관리 장치
200: 밴드
300: 보호자 단말기
400: 네트워크
100: dementia elderly management device
200: band
300: guardian terminal
400: network

Claims (10)

관리서버, 밴드, 스마트매트, 게이트웨이, 보호자단말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치매노인 관리서비스 제공업체나 관공서 또는 기관에서 보유하는 서버로서 상기 밴드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밴드는 맥박, 체온을 포함하는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가 내장되며, RFID 태그, GPS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스마트매트는 치매노인이 거주하는 주거지의 현관문 내측에는 설치되고, 압전소자를 채용하여 치매노인이 밟은 경우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위치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게이트웨이는 내부게이트웨이와 외부게이트웨이를 가지되,
상기 주거지 내부에는 상기 내부게이트웨이가 설치고, 상기 내부게이트웨이는 상기 밴드로부터 맥박정보, 체온정보를 포함하는 치매노인의 생체정보를 일정 시간 간격으로 전송받고, 전송받은 생체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외부게이트웨이는 상기 주거지의 상기 현관문 외부에 설치되되, RFID 리더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마트매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현관문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기 외부게이트웨이와 상기 현관문 내측에 상기 현관문과 인접하여 설치되는 상기 스마트매트는 서로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고,
치매노인이 상기 주거지에서 상기 현관문을 통하여 외출하는 경우, 치매노인이 상기 주거지에서 외출했다는 위치정보는 상기 보호자단말기로 전송되고,
치매노인이 상기 현관문을 통하여 외출했다는 위치정보는,
치매노인이 상기 현관문을 통하여 상기 주거지를 빠져나갔을 때 1차로 상기 스마트매트를 밟으면서 전기적인 신호가 생성되는 방식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며, 2차로 상기 외부게이트웨이에 설치된 상기 RFID 리더모듈이 치매노인이 착용한 상기 밴드에 포함된 상기 RFID 테그를 읽는 방식으로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되고,
상기 관리서버는 1차적으로는 상기 스마트매트를 통하여 치매노인의 외출했다는 위치정보를 확보하고, 2차적으로 상기 외부게이트웨이를 통하여 치매노인이 외출했다는 위치정보를 확정하며,
상기 스마트매트가 전송하는 치매노인의 위치정보와 상기 외부게이트웨이의 상기 RFID 리더모듈을 통하여 전송하는 치매노인의 위치정보는 시간적인 순서에 따라서 치매노인이 상기 주거지 밖으로 외출하는 경우인지 아니면 상기 주거지 내부로 들어오는 경우인지를 알려주되,
상기 스마트매트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가 먼저 수집되고, 상기 외부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가 나중에 수집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이 외출한 것으로 인지하여 상기 밴드에 설치된 상기 GPS모듈을 스위치 온하여 작동이 개시되도록 하고,
반대로 상기 외부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치매환자의 위치정보가 먼저 수집되고, 상기 스마트매트로부터 전송되는 위치정보가 나중에 수집된 경우, 상기 관리서버는 치매노인이 상기 주거지 내부로 들어온 것으로 판정하고 상기 GPS모듈을 스위치 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매노인 관리 시스템.
It consists of a management server, a band, a smart mat, a gateway, and a guardian terminal,
The management server is a server owned by a dementia management service provider or a government office or institution, and is connected to the band through an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band has a built-in sensor capable of measuring biometric information including pulse and body temperature, and includes an RFID tag and a GPS module,
The smart mat is installed inside the front door of the residential area where the elderly with dementia lives, and transmits location information in a manner that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steps on it by employing a piezoelectric element,
The gateway has an internal gateway and an external gateway,
The internal gateway is installed inside the dwelling, and the internal gateway receives biometric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luding pulse information and body temperature information from the band at regular time intervals, and transmits the received biometric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external gateway is installed outside the front door of the residence, is configured to include an RFID reader modul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mart mat,
The external gateway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door and the smart mat installed adjacent to the front door inside the front do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ire or wirelessly,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through the front door at the residence, location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from the residence is transmitted to the guardian terminal,
The location information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went out through the front door,
When the elderly with dementia leaves the residence through the front door, an electrical signal is firstly generated while stepping on the smart mat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and secondly, the RFID reader module installed in the external gateway causes dementia It is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by reading the RFID tag included in the band worn by the elderly,
The management server firstly secures the location information that the dementia elderly went out through the smart mat, and secondly confirms the location information that the dementia elderly went out through the external gateway,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ransmitted by the smart ma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transmitted through the RFID reader module of the external gateway depend on the chronological order whether the elderly with dementia goes out of the residence or into the residence. Let me know if it's coming in.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at is collected firs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gateway is collected later, the management server recogniz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gone out and switches on the GPS module installed in the band. to start working,
Conversely, when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dementia patient transmitted from the external gateway is collected first, and the location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smart mat is collected later, the management server determines that the elderly with dementia has entered the dwelling and uses the GPS module Dementia elderly manag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switch of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90149983A 2019-11-20 2019-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 KR1024205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83A KR102420549B1 (en) 2019-11-20 2019-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9983A KR102420549B1 (en) 2019-11-20 2019-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900A KR20210061900A (en) 2021-05-28
KR102420549B1 true KR102420549B1 (en) 2022-07-13

Family

ID=76140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9983A KR102420549B1 (en) 2019-11-20 2019-11-2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05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0262B1 (en) * 2023-01-02 2023-07-27 주식회사 애스크밀리언스 Care Elderly Health Monitor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449A (en) * 2015-03-20 2016-09-29 리니어블 주식회사 Location based service providing method of wearable device via user interface of application installed guardian terminal
KR20170000123A (en) * 2015-06-23 2017-01-02 주식회사 티지아이씨컴퓨터 Care system for patient suffering from alzheimer's disease
KR20170081023A (en) * 2015-12-31 2017-07-11 (주)누리텔레콤 User equipment for detecting break away from residen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1900A (en) 202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48434B1 (en) Safety monitoring platform
US10043373B2 (en) System for providing advance alerts
US20150119070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vice Management and Tracking
US1102398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 fencing within a controlled environment
US20180302403A1 (en) System and method for location-based biometric data collection and processing
KR101871158B1 (en) Protection person management system through shoes location tracking
JP2017045218A (en) Stray child prevention system using transmitter capable of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KR101722713B1 (en) System for managing a location in zone
JP5882426B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Park et al. Self-organizing wearable device platform for assisting and reminding humans in real time
KR102420549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of demented elderly
KR20210016664A (en) Methode of rescue request in emergency using wearable device
KR102125493B1 (en) Position provided method, position provided server, ward apparatus and guardian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KR10251018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user costomized health
KR10195444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obejct managment service based on internet of thing
KR101537814B1 (en) A detection system of user's dangeroussituationbased on location and time
TWI656502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rtable safety care
KR20140119571A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behavioral pattern of dementia patients using safety territory
KR101540330B1 (en) A detection method of user's dangeroussituationbased on location and time
KR101678902B1 (en) System for verifying person identifiaction and securing safety
KR20190100624A (en) Apparatus for Managing Health Intelligently and Dirving Method Thereof
JP2019096276A (en) Watching system
JP2016077002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240080285A (en) User protection and assistance system for dementia patients and the elderly using mobile beacons
KR102004131B1 (en) System for children safety return ho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