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934B1 - A half mirror apparatus - Google Patents

A half mirror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934B1
KR102419934B1 KR1020210009596A KR20210009596A KR102419934B1 KR 102419934 B1 KR102419934 B1 KR 102419934B1 KR 1020210009596 A KR1020210009596 A KR 1020210009596A KR 20210009596 A KR20210009596 A KR 20210009596A KR 102419934 B1 KR102419934 B1 KR 102419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keup
user
video
mi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959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100011A (en
Inventor
오지선
Original Assignee
오지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선 filed Critical 오지선
Publication of KR20210100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01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3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04Pocket or handbag mirro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2/00Hand, pocket, or shaving mirrors
    • A45D42/18Manifold reflecting mirro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Operational modes, e.g. switching from manual to automatic mode or prohibiting specific ope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프 미러 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투과율과 반사율을 갖는, 하프 미러(Half Mirror)부; 사용자의 음성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하프 미러부의 배면에 상기 하프 미러부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화장품 키트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하는, 화장품 키트 인식부; 및 상기 하프 미러부, 상기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하고, 상기 화장품 키트를 이용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실시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은, 재생 시간별 동영상 내용과 부합하는 화장 영역 및 화장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동기화되어 사전 제작된 동영상으로 제한되며, 상기 센서부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센싱하여, 상기 검색 결과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선택한 동영상의 재생과 동기화하여 상기 가이드 GUI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상기 하브 미러부에 비친 상기 사용자의 화장 대상 부위와 오버랩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lf-mirror device, comprising: a half-mirror unit having prese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user's voice; a display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half mirror unit parallel to the half mirror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storage unit in which the cosmetic kit is accommodated; a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smetic kit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half mirror unit, the sensor unit, the display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receiving unit, and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including, wherein the processor recognizes the cosmetic kit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using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searches for a makeup guide video using the cosmetic kit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search result on the display unit, The makeup guide video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is limited to a pre-made video synchronized with the guide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makeup area and makeup method consistent with the video content for each playback time, and using the sensor unit, the user , selects any one of the search results, plays the selected video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synchronizes with the playback of the selected video to display the guide GUI except for the first area.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so as to overlap the makeup target part of the user reflected on the hub mirror unit.

Description

하프 미러 장치{A HALF MIRROR APPARATUS}Half mirror device {A HALF MIRROR APPARATUS}

본 명세서는 하프 미러(Half Mirror)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을 제안한다.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poses a half mirror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하프 미러는, 반사율과 투과율이 반반(즉, 약 50%)인 거울을 의미한다. A half mirror means a mirror in which the reflectance and transmittance are half and half (ie, about 50%).

하프 미러는 유리 표면에 니켈, 알루미늄, 티타늄 등의 금속을 매우 얇게 박막형태로 층을 만들어 붙인 것으로 빛이 투과되게 만든다. 이로 인해, 하프 미러 앞면은 일반 거울과 유사한 반사율을 가지나, 하프 미러 뒷면에 빛이 투사되면 빛이 하프 미러를 투과하게 된다. 그 결과, 하프 미러가 투명해져 관찰자는 하프 미러를 관통하여 내부를 볼 수 있게 된다.A half-mirror is made by attaching a very thin layer of metal such as nickel, aluminum, or titanium to the glass surface, and it allows light to pass through. For this reason, the front of the half mirror has a reflectance similar to that of a general mirror, but when light is projected on the back of the half mirror,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half mirror. As a result, the half-mirror becomes transparent, allowing the viewer to see through the half-mirror.

본 명세서는 하프 미러를 통해 다양한 감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함이 목적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pose an apparatus for providing various emotional services through a half mirr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프 미러 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투과율과 반사율을 갖는, 하프 미러(Half Mirror)부; 사용자의 음성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하프 미러부의 배면에 상기 하프 미러부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화장품 키트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하는, 화장품 키트 인식부; 및 상기 하프 미러부, 상기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하고, 상기 화장품 키트를 이용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실시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은, 재생 시간별 동영상 내용과 부합하는 화장 영역 및 화장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동기화되어 사전 제작된 동영상으로 제한되며, 상기 센서부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센싱하여, 상기 검색 결과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선택한 동영상의 재생과 동기화하여 상기 가이드 GUI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상기 하브 미러부에 비친 상기 사용자의 화장 대상 부위와 오버랩되도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alf-mirror device, comprising: a half-mirror unit having preset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user's voice; a display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half mirror unit parallel to the half mirror unit and displaying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storage unit in which the cosmetic kit is accommodated; a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smetic kit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half mirror unit, the sensor unit, the display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receiving unit, and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Including, wherein the processor recognizes the cosmetic kit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using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searches for a makeup guide video using the cosmetic kit in real time and displays the search result on the display unit, The makeup guide video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is limited to a pre-made video synchronized with the guide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makeup area and makeup method consistent with the video content for each playback time, and using the sensor unit, the user , selects any one of the search results, plays the selected video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synchronizes with the playback of the selected video to display the guide GUI except for the first area. The display may be displayed on the second area so as to overlap the makeup target part of the user reflected on the hub mirror un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프 미러 장치는 하프 미러를 포함하므로 거울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액자로서의 기능도 함께 제공한다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half mirror device includes a half mirror, it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mirror function and a function as a picture frame at the same tim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는, 응원봉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므로 별도의 응원봉 구비가 필요없어 비용이 줄어들며, 응원봉을 통한 팬들간의 통일성 및 소속감이 크게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so serves as a light stick, there is no need for a separate light stick, thereby reducing costs, and greatly improving unity and sense of belonging among fans through the light stick. hav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는, 하프 미러의 물리적 특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쉽게 화장을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guiding a user to easily put on makeup by using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lf-mirror.

이외에,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각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embodim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서버와의 관계도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응원 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화장 가이드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GUI 및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중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카메라부를 이용한 촬영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라 미리보기 기능을 실행 중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with an external device/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pport control system of a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mirror device controlled by a management server/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 mirror device controlled by a management server/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keup guide method of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mirror device displaying a guide GUI and a makeup guide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photographing using a camera unit of a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mirror device executing a preview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

이하 설명하는 기술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technology to be described below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technology described below.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bove terms, an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used only as For example, a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technology to be described below.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해석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erms of terms used herein, the singular expression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nd terms such as "comprises" include the described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and element. ,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are to be understood, but not to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numbers, step operation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의 구성부들에 대한 구분은 각 구성부가 담당하는 주기능 별로 구분한 것에 불과함을 명확히 하고자 한다. 즉, 이하에서 설명할 2개 이상의 구성부가 하나의 구성부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부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부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부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부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부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Prior t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drawings, it is intended to clarify that the classification of the constituent par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merely a division according to the main function that each constituent unit is responsible for. That is,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for each more subdivided function. In addition, each of the constituent units to be described below may additionally perform some or all of the functions of other constituent units in addition to the main function it is responsible for. Of course, it can also be performed by being dedicated to it.

또, 방법 또는 동작 방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 방법을 이루는 각 과정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과정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In addition, in performing the method or operation method, each process constituting the method may occur differently from the specified order unless a specific order is clearly described in context. That is, each process may occur in the same order as specified,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may be performed in the reverse ord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프 미러 장치(100)는 하프 미러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하프 미러 장치(100)는 하프 미러와, 하프 미러 뒷면에 빛을 투사하는 광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a half mirro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include a half mirror. The half-mirror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half mirror and a light source for projecting light to a rear surface of the half mirror.

광원이 하프 미러로 빛을 투사하지 않은 경우, 하프 미러는 빛을 반사하여 거울 역할을 수행한다(도 1(a) 참조). 이에 반해, 광원이 하프 미러로 빛을 투사한 경우, 하프 미러는 빛을 투과시켜 (반)투명하게 될 수 있다. When the light source does not project light to the half-mirror, the half-mirror acts as a mirror by reflecting the light (refer to FIG. 1(a)). On the other hand, when the light source projects light to the half mirror, the half mirror may be (semi)transparent by transmitting the light.

본 명세서에서는 이러한 하프 미러의 특징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감성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various emotional services can be provided to users by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lf mirror.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프 미러 장치(100) 내부에 특정 사진(예를 들어, 가족 사진, 반려 동물 사진, 스타 사진)을 미리 수납해 둘 수 있으며, 평소에는 하프 미러 장치(100)를 거울로 사용하다가, 광원이 하프 미러로 빛을 투사하도록 하프 미러 장치(100)를 조작함으로써 액자로도 사용(도 1(b) 참조)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may pre-store specific photos (eg, family photos, companion animal photos, star photos) inside the half-mirror device 100 , and usually use the half-mirror device 100 as a mirror. While in use, by manipulating the half-mirror device 100 so that the light source projects light to the half-mirror, it can also be used as a picture frame (refer to FIG. 1(b) ).

이하에서는 이러한 하프 미러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살펴본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half-mirror device 100 will be described.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블록도를 예시한다.2 illustrates a block diagram of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하프 미러 장치는 프로세서(210), 하프 미러부(220), LED부(230), 센서부(240), 통신부(250), 하우징부(260), 디스플레이부(270), 메모리부(280) 및/또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성 중 적어도 하나는 실시예에 따라 제외되거나 새로운 구성이 포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2 , the half mirror device includes a processor 210 , a half mirror unit 220 , an LED unit 230 , a sensor unit 240 , a communication unit 250 , a housing unit 260 , and a display unit 270 . , a memory unit 280 and/or a power supply unit (not shown). 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above components may be excluded or a new component may be includ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프로세서(210)는 하프 미러 장치의 유닛/구성들과 통신을 수행하며, 다양한 제어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이들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서(210)는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수행하도록 하프 미러 장치의 유닛/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프로세서(210)는 하프 미러 장치와 동일시하여 설명될 수 있다.The processor 210 may communicate with the units/components of the half-mirror device and control them by transmitting and receiving various control signals. In particular, the processor 210 may control units/configurations of the half-mirror apparatus to perform various embodiments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ly, in this specification, the processor 210 may be described as the same as the half-mirror device.

하프 미러부(220)는 앞서 상술한 하프 미러에 해당한다. 하프 미러부(220)의 정면이 외부로 노출되어 거울 역할을 하며, 하프 미러부(220) 배면/후면에는 하프 미러부(220)와 평행하게 하우징부(260) 및/또는 디스플레이부(270)가 배치된다.The half-mirror unit 220 corresponds to the above-described half-mirror. The front surface of the half mirror unit 220 is exposed to the outside to serve as a mirror, and the housing unit 260 and/or the display unit 270 are parallel to the half mirror unit 220 on the rear/rear side of the half mirror unit 220 . is placed

LED(Light Emitting Diode)부(230)는 하프 미러부(220)에 빛을 투사하는 광원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의 LED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LED들은 하프 미러부(220)의 뒷면(또는 내측)에 하프 미러부(220) 경계선을 따라 기설정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210)의 제어에 따라 기설정된 발광 패턴으로 발광할 수 있다. 여기서 발광 패턴은 복수의 LED들 각각의 발광 색깔, 발광 시점, 발광 주기, 및/또는 발광 간격으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LED부(230)는 하프 미러부(220)에 빛을 투사하는 광원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팬이 스타를 응원하기 위해 최근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응원봉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응원봉 실시예는 도 6 내지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LED (Light Emitting Diode) unit 230 serves as a light source for projecting light to the half mirror unit 220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LEDs. The plurality of LEDs may be disposed on the back side (or inside) of the half-mirror unit 220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boundary line of the half-mirror unit 220 , and emit light in a predetermined emission pattern under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210 . can Here, the emission pattern may be defined by the emission color, emission timing, emission period, and/or emission interval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EDs. Accordingly, the LED unit 230 not only serves as a light source for projecting light to the half-mirror unit 220, but may also function as a light rod commonly used by fans to support a star. An embodiment of the light stick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6 to 7 .

센서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입력은 터치 입력, 모션(또는 진동) 입력 및/또는 음성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센서부(240)는 사용자의 기설정된 음성 입력 및/또는 모션(또는 진동) 입력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를 프로세서(210)로 전송할 수 있다.The sensor unit 240 may sense various user inputs including at least one sensor, and transmit the sensing result to the processor 210 . Here, the user input may include a touch input, a motion (or vibration) input, and/or a voice input. In particular, the sensor unit 240 may sense a user's preset voice input and/or motion (or vibration) input, and transmit the sensing result to the processor 210 .

통신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LTE(Long Term Evolution), 5G(5 Generation),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및/또는 WiFi(Wireless Fidelity)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통신부(250)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부(270)에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및/또는 LED부(230)의 발광 패턴에 관한 제어 신호/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perform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Here, the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may include Bluetooth, Long Term Evolution (LTE), 5 Generation (5G),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and/or Wireless Fidelity (WiFi). In particular, the communication unit 250 may receive an image to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270 and/or a control signal/information regarding a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LED unit 230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하우징부(260)는 하프 미러부(220) 뒷면(또는 내측)에 하프 미러부(220)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사진을 수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하우징부(260)에는 슬라이딩 부재가 설치되어 하프 미러 장치의 내측 또는 외측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부(260)를 하프 미러 장치의 외측으로 슬라이딩함으로써 하우징부(260)를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노출된 하우징부(260)에 사진을 수납한 뒤 다시 내측으로 슬라이딩하는 방식으로 사진을 하프 미러 장치에 수납할 수 있다. The housing unit 260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ide (or inside) of the half-mirror unit 220 in parallel to the half-mirror unit 220 to perform a function of accommodating a picture. A sliding member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260 to slide inward or outward of the half-mirror device. Accordingly, the user can expose the housing unit 260 to the outside by sliding the housing unit 260 to the outside of the half-mirror device, and the picture is stored in the exposed housing unit 260 and then slides inside again. photos can be stored in the half-mirror device.

디스플레이부(270)는 하프 미러부(220) 뒷면(또는 내측)에 하프 미러부(220)와 평행하게 구비되어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외부 기기/서버에서 전송된 이미지 또는 하프 미러 장치가 직접 검색한 이미지일 수 있다. 이에 관한 상세한 실시예는 이하에서 후술한다.The display unit 270 may be provided on the back side (or inside) of the half mirror unit 220 in parallel with the half mirror unit 220 to perform a function of displaying an image. In this case, the displayed image may be an image transmitted from an external device/server or an image directly searched for by the half-mirror device. Detailed examples related thereto will be described below.

메모리부(280)는 다양한 정보/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부(28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이미지 및/또는 발광 패턴에 관한 제어 신호/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The memory unit 280 may store various information/data/signals. In particular, the memory unit 280 may store a control signal/information regarding an image and/or a light emission pattern received from the outside.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제어 방법을 예시한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trol method of a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다양한 사용자 입력을 수행하여 하프 미러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user may control the half-mirror apparatus 100 by performing various user inputs.

일 실시예로서,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기설정된 음성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하프 미러 장치(100)의 LED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예쁘니?'라는 음성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하프 미러 장치(100)는 이를 인식하여 LED부를 활성화시켜 하프 미러 내측의 이미지/사진이 하프 미러부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기설정된 음성 입력은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하프 미러 장치(100)는 기설정된 음성 입력 설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s an embodiment, referring to FIG. 3 , the user may activate the LED unit of the half-mirror device 100 by performing a preset voice input. For example, the user may perform a voice input 'Mirror, mirror, who is the prettiest in this world?' It may be exposed through the half mirror part. A preset voice input may be set by a user in advance, and the half-mirror apparatus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a preset voice input to the user.

그리고/또는, 다른 실시예로서 사용자는 기설정된 모션/진동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하프 미러 장치(100)의 LED부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하프 미러부를 노크하듯이 '톡톡' 두드릴 수 있으며, 하프 미러 장치(100)는 이를 인식하여 LED부를 활성화시켜 하프 미러 내측의 이미지/사진이 하프 미러부를 관통하여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기설정된 모션/진동 입력 역시, 기설정된 음성 입력과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할 수 있으며, 하프 미러 장치(100)는 기설정된 진동/모션 입력 설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And/or, as another embodiment, the user may activate the LED unit of the half-mirror device 100 by performing a preset motion/vibration input. For example, the user can 'knock' as if knocking on the half-mirror, and the half-mirror device 100 recognizes this and activates the LED so that the image/photo inside the half-mirror is exposed through the half-mirror. can The preset motion/vibration input may also be preset by the user like the preset voice input, and the half-mirror apparatus 100 may provide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the preset vibration/motion input to the user.

만일, 하프 미러 장치(100)에 디스플레이부가 구비된 경우, 사용자는 기설정된 음성 입력 및/또는 모션(또는 진동) 입력을 수행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 및/또는 LED부의 발광 패턴을 변경할 수도 있다. 이 역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설정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가 사전에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If the half-mirror device 100 is provided with a display unit, the user may change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or the light emission pattern of the LED unit by performing a preset voice input and/or motion (or vibration) input. . This may also be set by the user, and a user interface for setting may be provided to the user in advanc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기기/서버와의 관계도를 도식화한 도면이다.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relationship with an external device/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하프 미러 장치(100)는 통신부를 통해 외부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400) 및/또는 외부 서버(41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하프 미러 장치(100)는 특정 기기(예를 들어, 사용자/관리자 단말)(400)와 페어링되어 실시간으로 일대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half-mirror apparatus 100 may communicate with an external device (eg, a user terminal) 400 and/or an external server 410 through a communication unit. In particular, the half-mirror device 100 may be paired with a specific device (eg, a user/administrator terminal) 400 to perform one-to-one communication in real time.

하프 미러 장치(100)는 외부 기기(400)와 통신을 수행하여(또는 페어링되어) 해당 기기(400)로부터 디스플레이할 이미지 및/또는 발광 패턴에 관한 제어 신호/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LED부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이미지와 발광 패턴은 상호 동기화된 상태로 하프 미러 장치(100)에 수신될 수 있다.The half-mirror device 100 performs communication (or is paired) with the external device 400 to receive a control signal/information regarding an image to be displayed and/or a light emission pattern from the device 400 , and display based on this. It can control the part and the LED part. Here, the image and the emission pattern may be received by the half-mirror device 100 in a mutually synchronized state.

외부 기기(400)는 사용자가 제공/업데이트 받고자 하는 이미지(및/또는 발광 패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프로그램이 설치된 기기일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프로그램을 통해 제공받고자 하는 이미지의 키워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외부 기기(400)는 해당 키워드를 웹 상에서 (실시간으로) 검색하고, 검색 결과 이미지를 하프 미러 장치로 (실시간) 전송해줄 수 있다. 이때, 외부 기기(400)는 해당 검색 결과 이미지 및/또는 이와 동기화된 특정 발광 패턴을 하프 미러 장치(100)로 전송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외부 기기(400)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해 '방탄소년단'을 키워드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400)는 실시간으로 방탄소년단을 웹 상에서 검색하고 검색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하프 미러 장치(100)에 전송해줄 수 있다. The external device 400 may be a device in which an application/software/program that provides an image (and/or a light emission pattern) that the user wants to provide/update (in real time) is installed. The user can set a keyword of an image to be provided through the corresponding application/software/program, and the external device 400 searches for the keyword on the web (real-time), and uses the half-mirror device for the search result image (real-time) can send it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400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search result image and/or a specific emission pattern synchronized thereto to the half-mirror device 100 . For example, the user may set 'BTS' as a keyword through a user interface provided by a specific application of the external device 400 .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400 may search for BTS on the web in real time and transmit the searched image to the half mirror device 100 (in real time).

그리고/또는, 외부 기기(400)는 특정 컨텐츠만을 중점적으로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프로그램이 설치된 기기일 수 있다. 이 경우, 외부 기기(400)는 웹 검색을 수행하는 대신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프로그램 관리 장치/서버(410)로부터 특정 컨텐츠를 지속적으로/실시간으로 수신하고, 이를 하프 미러 장치(100)로 전달해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방탄소년단 팬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외부 기기(400)에 설치할 수 있으며, 방탄소년단과 관련된 다양한 컨텐츠가 해당 어플리케이션의 관리 서버(410)로부터 외부 기기(40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어플리케이션은 방탄소년단 연예 기획사에 의해 직접 관리될 수 있으며, 금액을 지불한 유료 회원에게만 외부 언론에 공개되지 않은 비공개 자료들을 선별적으로 제공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다. And/or, the external device 400 may be a device in which an application/software/program for providing only specific content is installed. In this case, the external device 400 continuously/real-time receives specific content from the application/software/program management device/server 410 instead of performing a web search, and delivers it to the half-mirror device 100 . have. For example, a user may install a 'BTS fan-only application' on the external device 400, and various contents related to BTS may be provided to the external device 400 from the management server 410 of the application. .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can be managed directly by the BTS entertainment agency, and can be operated in a way that selectively provides undisclosed materials that are not disclosed to the outside media only to paid members who have paid the amount.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프로그램은 외부 기기(400)가 아닌, 하프 미러 장치(100)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프 미러 장치(100)는 웹 검색을 수행하거나 어플리케이션/소프트웨어/프로그램 관리 서버(410)와 통신을 수행하여 직접 이미지 및/또는 발광 패턴을 결정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application/software/program may be directly installed on the half-mirror device 100 instead of the external device 400 . In this case, the half-mirror device 100 may directly determine an image and/or a light emission pattern by performing a web search or communicating with the application/software/program management server 410 .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하프 미러 장치(100)는 응원봉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할 수 있는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도 5 내지 7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특히, 도 5 내지 7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특정 가수의 콘서트를 방문한 상황이라고 가정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half-mirror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function as a light stick, and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later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 In particular, it is assumed that the embodiment of FIGS. 5 to 7 i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has visited a concert of a specific singer.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응원 제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이다.5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upport control system of a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하프 미러 장치들(510-1~510-N)은 하나의 관리 서버/장치와 연결/페어링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하프 미러 장치들(510-1~510-N)은 특정 콘서트(또는 공연)를 관람 중인 관람객의 하프 미러 장치들에 해당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장치(500)는 콘서트를 진행하는 관리자/관계자의 서버/장치에 해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 서버/장치(500)는 이미지 및/또는 발광 패턴에 관한 제어 신호를 실시간으로 복수의 하프 미러 장치들(510-1~510-N)로 전송할 수 있으며, 복수의 하프 미러 장치들(510-1~510-N)은 이러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이미지 및/또는 발광 패턴은 상호 동기화된 상태로 전송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제1 이미지 디스플레이 중에는 제1 발광 패턴, 제2 이미지 디스플레이 중에는 제2 발광 패턴이 투사됨). Referring to FIG. 5 , a plurality of half-mirror devices 510-1 to 510-N may be connected/paired with one management server/device. Here, the plurality of half-mirror devices 510-1 to 510-N may correspond to half-mirror devices of spectators who are watching a specific concert (or performance), and the management server/device 500 performs the concert. It may correspond to the server/device of the administrator/personnel. In this case, the management server/device 500 may transmit a control signal regarding an image and/or a light emission pattern to the plurality of half-mirror devices 510-1 to 510-N in real time, and the plurality of half-mirror devices (510-1 to 510-N) may operate based on such a control signal. In this case, the transmitted image and/or the emission pattern may be transmitted in a mutually synchronized state (eg, the first emission pattern is projected during the display of the first image and the second emission pattern is projected during the display of the second image).

도 6 및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리 서버/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6 and 7 are diagrams illustrating a half-mirror device controlled by a management server/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현재 진행중인 공연/곡 분위기와 어울리는 이미지 및/또는 발광 패턴을 결정하고, 이에 대한 제어 신호를 관람객들의 하프 미러 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곡 공연 중에는 제1 이미지(610-1) 및 제1 발광 패턴(610-2)에 관한 제어 신호가 하프 미러 장치들로, 제2 공연 중에는 제2 이미지(620-1) 및 제2 발광 패턴(620-1)에 관한 제어 신호가 하프 미러 장치들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콘서트(또는 공연) 장에 위치한 하프 미러 장치들은 통일되어 관리자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콘서트(또는 공연) 장의 심미적인 효과가 한층 향상될 뿐 아니라, 공통된 발광 패턴으로 팬들은 소속감 및 통일감을 느낄 수 있다. 이때, 관리자는 공연이 잘 보이지 않는 뒷 좌석 관람객을 위해, 현재 진행중인 공연/콘서트 생중계 화면을 상기 이미지로서 이들의 하프 미러 장치로 실시간 제공해줄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6 , the manager may determine an image and/or a light emission pattern suitable for an atmosphere of a performance/song currently in progress, and transmit a control signal therefor to the half-mirror devices of the audience. For example,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first song, the control signals for the first image 610-1 and the first emission pattern 610-2 are transmitted to the half mirror devices, and during the performance of the second song, the second image 620-1 and a control signal related to the second emission pattern 620-1 may be transmitted to the half-mirror devices. In other words, the half mirror devices located in the concert (or performance) venue can be unified and controlled by the manager. and a sense of unity. In this case, the manager may provide a live performance/concert live broadcast screen in real time to their half-mirror device as the image for the back seat spectators who cannot see the performance well.

도 7을 참조하면, 관리자는 현재 진행중인 콘서트(또는 공연)과 관련된 공지 사항 또는 알림 메세지 포함된 이미지를 관람객들의 하프 미러 장치들로 제공할 수도 있다. 콘서트(또는 공연) 장 내에 위치한 모든 하프 미러 장치들에 공지 사항 또는 알림 메세지가 제공되므로, 관람객들의 혼선 및 안전 사고가 줄어들 수 있고, 관리자는 보다 안전하고 쉽게 현장을 지휘할 수 있게 된다. Referring to FIG. 7 , the manager may provide an image including a notice or notification message related to a concert (or performance) currently in progress to the half-mirror devices of the spectators. Since a notice or notification message is provided to all half-mirror devices located in the concert (or performance) venue, confusion and safety accidents among visitors can be reduced, and the manager can more safely and easily lead the scene.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하프 미러 장치는 앞서 상술한 바와 같이 손거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화장품 케이스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The half-mirror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hand mirror as described above, but may also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osmetic case as illustrated in this figure.

도 8을 참조하면, 화장품 케이스 형태의 하프 미러 장치는, 하프 미러부, 센서부, 디스플레이부, 통신부, 수납부, 화장품 키트 인식부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화장품 케이스 형태의 하프 미러 장치에서 하프 미러부 및 디스플레이부는 본 도면에 예시한 바와 같이 상측 케이스부에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실시예에 따라 하측 케이스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수납부 및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앞서 상술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Referring to FIG. 8 , the half mirror device in the form of a cosmetic case may include a half mirror unit, a sensor unit, a display unit, a communication unit, a receiving unit, a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and a processor. In particular, in the half-mirror device in the form of a cosmetic case, the half-mirror unit and the display unit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case unit as illustrated in this draw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ase unit according to embodiments. For the rest of the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receiving unit and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the above-described description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수납부는 화장품 키트가 수납되는 영역/구성으로, 화장품 키트를 수용하기 위한 화장품 키트의 부피와 대응되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The accommodating part is an area/configuration in which the cosmetic kit is accommodated, and an internal space corresponding to the volume of the cosmetic kit for accommodating the cosmetic kit may be formed.

화장품 키트는 사용자의 화장에 사용되는 화장품이 담긴 용기/키트로서, 수납부의 내부 공간에 화장품 키트의 하부가 수납/수용되도록 수납부에 장착됨/끼워짐으로써 수납부에 수납될 수 있다. 화장품 키트는 내부에 담긴 화장품 종류에 따라 매우 다양한 종류(예를 들어, 눈 색조 화장용 화장품 키트, 눈썹 화장용 화장품 키트, 치크 화장용 화장품 키트, 입술 화장용 화장품 키트, 피부 화장용 화장품 키트 등)가 있을 수 있으며, 사용자는 화장하고자 하는 부위에 따라 화장품 키트를 선택적으로 수납부에 끼워/수납하여 사용할 수 있다. The cosmetic kit is a container/kit containing cosmetics used for user's makeup, and may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by being mounted/inserted into the receiving unit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cosmetic kit is accommodated/received in the inner space of the receiving unit. Cosmetic kits are very diverse depending on the type of cosmetics contained inside (for example, cosmetic kits for eye color makeup, cosmetic kits for eyebrow makeup, cosmetic kits for cheek makeup, cosmetic kits for lip makeup, cosmetic kits for skin makeup, etc.) There may be, and the user can use the cosmetic kit by selectively inserting / storing the cosmetic kit in the receiving part according to the part to be made up.

화장품 키트 인식부는 적어도 하나의 인식 수단을 이용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품 키트에 관한 다양한 제품 정보(예를 들어, 제품명, 제품 종류, 제품 고유 식별 번호, 제품 브랜드, 제품 판매처, 제품 제조국, 제품 제조 날짜 등)가 포함된 QR(Quick Response) 코드, 바코드 등이 화장품 키트 외면에 표시되거나,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칩에 포함되어 화장품 키트에 내장될 수 있으며, 화장품 키트 인식부는 QR 코드, 바코드 인식부, NFC 칩 인식부를 포함하여 화장품 키트를 인식할 수 있다. 즉, 화장품 키트 인식부는 특정 코드 인식부, 혹은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기초로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may recognize the cosmetic ki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using at least one recognition means. For example, a Quick Response (QR) code containing various product information about the cosmetic kit (e.g. product name, product type, product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product brand, product vendor, country of manufacture, product manufacturing date, etc.); A barcode, etc. may be displayed on the outside of the cosmetic kit, or it may be embedded in a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chip and embedded in the cosmetic kit. can That is,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may recognize the cosmetic ki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based on a specific code recognition unit or a short-range communication protocol,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이외에도, 하프 미러 장치는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의 사용 실시예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In addition, the half-mirror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for photographing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n embodiment of using the camera unit will be described below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ach drawing.

하프 미러 장치의 하프 미러부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화장하는 모습을 비춰보기 위한 거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는 이렇듯 하프 미러부에 비친 사용자의 얼굴을 기준으로 사용자가 화장을 조금 더 쉽게 그리고 더 잘 할 수 있도록 가이드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 가이드 실시예에 관하여는 도 9 내지 12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The half-mirror unit of the half-mirror device can basically serve as a mirror to reflect the user's makeup, and the display unit allows the user to apply makeup more easily and better based on the user's face reflected in the half-mirror unit. You can perform various functions to guide you so that you can do it. This makeup guid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9 to 12 .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화장 가이드 방법을 예시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 GUI 및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 중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akeup guide method of a half 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mirror device displaying a guide GUI and a makeup guide vide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우선 하프 미러 장치는,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이용하여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할 수 있으며(S901), 인식 방법에 대해서는 앞서 도 8에 상술한 바와 같다.Referring to FIG. 9 , first, the half-mirror device may recognize the cosmetic ki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using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 S901 ), and the recognition method is as described above in FIG. 8 .

다음으로, 하프 미러 장치는, 화장품 키트를 이용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실시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902). 보다 상세하게는, 하프 미러 장치는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이용하여 인식한 화장품 키트의 제품 정보(예를 들어, 제품명, 제품 종류, 제품 고유 식별 번호, 제품 브랜드, 제품 판매처, 제품 제조국 및 제품 제조 날짜 중 적어도 하나)를 동영상 플랫폼(예를 들어, 유투브, 혹은 화장 관련 동영상 제공 플랫폼 등)에서 검색할 수 있으며, 검색 결과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검색 결과는, 인기 순, 조회 순으로 정렬되어 제공될 수 있다. Next, the half-mirror device may search the makeup guide video using the cosmetic kit in real time and display the search result on the display unit (S902). More specifically, the half-mirror device includes product information (eg, product name, product type, product unique identification number, product brand, product vendor, product manufacturing country, and product manufacturing date) of the cosmetic kit recognized using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At least one) may be searched for on a video platform (eg, YouTube or a platform for providing videos related to makeup), and the search result may be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unit. In this case, the search results may be provided in order of popularity and search.

이때 검색 결과로서 제공되는 동영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안된 가이드 GUI와 동기화되어 사전 제작된 동영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 GUI는, 화장 방법 및 화장 영역 등을 사용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가이드하기 위해 제공/디스플레이되는 GUI를 의미하며, 재생 시간별 동영상의 내용과 동기화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video provided as a search result may be limited to a video that is pre-produc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guide GUI proposed in this specification. Here, the guide GUI means a GUI provided/displayed to visually guide the makeup method and makeup area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nderstand the makeup method and the makeup area, and may be display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contents of the video for each playback time.

예를 들어, 화장 가이드 동영상의 제1 재생 구간에서, 화장 키트의 2번 색상을 이용하여 눈 두덩이 꼬리 부분을 화장하는 내용이 재생되는 경우, 하프 미러 장치(1000)는 도 10에 예시한 바와 같이 눈 두덩이 꼬리 영역을 지시하는 가이드 라인(1030) 및 2번 색상 정보(1040)를 가이드 GUI로서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렇게 디스플레이부(미도시)에 디스플레이된 가이드 GUI(1030, 1040)는 하프 미러(1010)를 투과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인식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in the first playback section of the makeup guide video, when the content of applying makeup on the tail of the eyelids using the second color of the makeup kit is played, the half-mirror device 1000 displays as illustrated in FIG. 10 . The guide line 1030 indicating the tail region of the eyelids and the second color information 1040 may be displayed as a guide GUI. The guide GUIs 1030 and 1040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not shown) pass through the half mirror 1010 so that the user can recognize it from the outside.

가이드 GUI(특히, 화장 영역을 지시하는 가이드 라인)는 사용자의 실제 화장 대상 부위(예를 들어, 눈, 코, 입, 볼, 이마, 눈썹, 턱 등)로부터 추출된 외곽선을 기초로 출력될 수 있다. 화장 대상 부위의 폭, 너비, 길이, 모양 등은 사용자별로 모두 상이함에도, 동일한 화장 대상 부위의 사이즈를 가정하여 가이드 GUI를 제공하게 되면, 화장 가이드로서의 효율성/사용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하프 미러 장치는 사전에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각 화장 대상 부위(예를 들어, 눈, 코, 입, 볼, 얼굴, 이마, 눈썹, 턱 등)별 외곽선을 추출하고, 이렇게 추출한 외곽선을 기준으로 가이드 GUI를 제공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사용자 맞춤형 화장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외곽선을 기준으로 가이드 GUI를 제공함은 외곽선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이드 GUI를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뿐 아니라, 외곽선의 크기/사이즈를 기초로 가이드 GUI를 스케일링하여 제공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GUI의 초기 설정/입력 가로 사이즈가 3cm이나, 외곽선의 가로 사이즈가 5cm인 경우, 가이드 GUI의 가로 사이즈는 5cm로 스케일링되어 외곽선의 위치를 기준으로 제공될 수 있다. The guide GUI (in particular, a guide line indicating the makeup area) can be output based on the outline extracted from the user's actual makeup target area (eg, eyes, nose, mouth, cheeks, forehead, eyebrows, chin, etc.). have. Although the width, width, length, shape, etc. of the makeup target area are all different for each user, if the guide GUI is provided assuming the same size of the makeup target area, efficiency/usability as a makeup guide is inevitably reduced. Accordingly, the half-mirror device extracts an outline for each makeup target area (eg, eyes, nose, mouth, cheeks, face, forehead, eyebrows, chin, etc.) from the user's face image obtained in advance, and the extracted outline By providing a guide GUI based on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re efficient user-customized makeup guide. Providing the guide GUI based on the outline not only means providing the guide GUI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utline, but also scaling and providing the guide GUI based on the size/size of the outline. For example, if the initial setting/input horizontal size of the guide GUI is 3 cm, but the horizontal size of the outline is 5 cm, the horizontal size of the guide GUI may be scaled to 5 cm and provided based on the position of the outline.

사용자는 자신의 화장 대상 부위를 하프 미러부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추출 외곽선에 맞춰 하프 미러부에 비치도록 위치시키고, 추출 외곽선을 기준으로 제공되는 가이드 GUI를 따라서 화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프 미러부를 투과하여 표시되는 눈 추출 외곽선에 맞춰 눈이 하프 비러부 상에 비치도록 위치시킨 후, 가이드 GUI의 가이드에 따라 눈두덩이 화장 영역을 지시하는 가이드 라인 내에 화장품 키트의 2번 색상을 바름으로써 화장을 수행할 수 있다. 그 결과, 가이드 GUI는 사용자의 화장 대상 부위와 적어도 일부 오버랩되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The user may position his/her makeup target portion to be reflected on the half-mirror unit according to the extraction outline displayed through the half-mirror unit, and may apply makeup according to the guide GUI provided based on the extraction outlin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after the eyes are positioned so that the eyes are reflected on the half mirror part according to the eye extraction outline displayed through the half mirror part, the eyelid makeup area is indicated according to the guide of the guide GUI. Makeup can be performed by applying color 2 of the cosmetic kit within the guidelines. As a result, the guide GUI may be displayed at least partially overlapping the user's makeup target region.

가이드 GUI는 본 명세서에서 제공되는 실시예를 수행하기 위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통해 제작되어 화장 가이드 동영상과 동기화될 수 있다. 사용자(특히, 화장 가이드 동영상 제작자)는 이러한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을 통해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재생 시간별 내용에 따라 복수의 재생 구간으로 나누고, 각 재생 구간별 제공될 가이드 GUI를 설정함으로써 쉽게 화장 가이드 동영상과 가이드 GUI를 동기화할 수 있다. 이렇게 동기화된 화장 가이드 동영상과 가이드 GUI는 서로 동기화/연계되어 어플리케이션/프로그램의 서버에 업로드될 수 있으며, S902 단계의 검색 결과로서 제공될 수 있다. The guide GUI may be produced through an application/program implemented to perform the embodiment provided in this specification, and may be synchronized with the makeup guide video. A user (especially a makeup guide video maker) divides a makeup guide video into a plurality of playback sections according to the content of each playback time through these applications/programs, and sets a guide GUI to be provided for each playback section, making it easy to create a makeup guide video and a guide GUI. can be synchronized. The synchronized makeup guide video and the guide GUI may be uploaded to the server of the application/program in synchronization/connection with each other, and may be provided as a search result of step S902.

다음으로, 하프 미러 장치는, 센서부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센싱하여 검색 결과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할 수 있다(S903). Next, the half-mirror device may sense the user's voice by using the sensor unit to select one of the moving images from the search results (S903).

마지막으로, 하프 미러 장치는 선택한 동영상을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재생하고, 선택한 동영상의 재생과 동기화하여 가이드 GUI를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904). 예를 들어,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프 미러 장치(1000)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의 상측(제1 영역)에는 가이드 GUI(1030, 1040)(및 외곽선(1020))을, 하측(제2 영역)에는 선택한 동영상(1050)을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Finally, the half-mirror device may reproduce the selected video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display the guide GUI on the second area except for the first are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selected video (S904).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 the half-mirror apparatus 1000 includes guide GUIs 1030 and 1040 (and an outline 1020 ) on the upper sid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not shown), and the lower side of the display unit (not shown). In the (second area), the selected video 1050 may be displayed, respectively.

동영상 재생은 사용자의 음성을 기반으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의 재생, 일시 정지, 다음/이전 동영상 재생 등과 같은 동영상 재생 관련 동작은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기반으로 제어될 수 있다.Video playback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user's voice. For example, motions related to video playback, such as playback, pause, and next/previous video playback of a video, may be controlled based on a user's voice command.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의 카메라부를 이용한 촬영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실시예에 따라 미리보기 기능을 실행 중인 하프 미러 장치를 예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photographing using a camera unit of a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half-mirror device executing a preview func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FIG. 11 .

사용자(1130)의 화장 대상 부위 외곽선은 사전에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추출될 수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하프 미러 장치(1110)에 구비된 카메라부(1120)를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추출될 수도 있다. The outline of the makeup target part of the user 1130 may be extracted from the face image of the user inputted by the user in advance, but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image is captured in real time using the camera unit 1120 provided in the half-mirror device 1110 . may be extracted.

보다 상세하게는, 하프 미러 장치(1110)는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11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1120)를 활성화하여 사용자(113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하프 미러 장치(1110)는 동영상 재생 시작 시, 카메라부(1120)를 활성화하여 사용자(1130)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화장 대상 부위(1140)의 외곽선을 추출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외곽선은 앞서 상술한 가이드 GUI와 함께 출력될 수 있으며 가이드 GUI의 기준선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추출한 외곽선은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의 사이즈에 맞게 확대되어 출력될 수 있다. In more detail, the half-mirror device 1110 may further include a camera unit 1120 that captures an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activates the camera unit 1120 to obtain a face image of the user 1130 . can In particular, the half-mirror device 1110 may obtain a face image of the user 1130 by activating the camera unit 1120 when the video playback starts, and extract the outline of the makeup target region 1140 . The outline extracted in this way may be output together with the guide GUI described above, and may be used as a reference line of the guide GUI. The extracted outline may be enlarged and output to fit the size of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또한, 하프 미러 장치(1110)는 사용자(1130)가 선택한 동영상에 따라 화장 했을 때의 모습에 대한 미리보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각 동영상별로 화장이 완성된 모습에 대한 화장 결과 이미지를 사전에 각 동영상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음을 전제로 한다. 이렇게 각 동영상과 연계되어 저장되어 있는 화장 결과 이미지로부터, 하프 미러 장치(1110)는 화장 영역만을 추출하여 미리보기 GUI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장 결과 이미지는, 사용자(특히, 동영상 제작자)가 직접 각 화장 가이드의 동영상별로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하프 미러 장치(1110)는 카메라부(1120)를 활성화하여 사용자(1130)의 얼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하프 미러부 내에서의 화장 대상 부위(1140)의 상대적인 위치 좌표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 대상 부위가 눈(1140)인 경우, 하프 미러 장치(1110)는 카메라부(1120)를 활성화하여 획득한 사용자(1130)의 얼굴 이미지 중 눈(1140)을 인식하고, 전체 얼굴 이미지 내에서의 눈(1140)의 상대적인 위치 좌표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상대적인 위치 좌표에 추가로, 하프 미러 장치(1110)는 눈(1140)의 외곽선도 실시간으로 추출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half-mirror device 1110 may provide a preview function of the appearance of makeup according to the video selected by the user 1130 . To this end, it is premised that the makeup result image of the completed makeup for each video is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video in advance. From the makeup result image stored in association with each moving picture, the half-mirror device 1110 may extract only the makeup area to generate a preview GUI. The makeup result image may be stored by a user (particularly, a video maker) in association with each video of each makeup guide. Next, the half-mirror device 1110 activates the camera unit 1120 to capture the face image of the user 1130 in real time to obtain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akeup target part 1140 in the half-mirror unit. have. For example, when the makeup target part is the eye 1140 , the half-mirror device 1110 recognizes the eyes 1140 among the face images of the user 1130 obtained by activating the camera unit 1120 , and the entire face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eye 1140 in the image may be acquired in real time. In addition to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the half-mirror device 1110 may also extract the outline of the eye 1140 in real time.

하프 미러 장치(1110)는 이렇게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대적인 위치 좌표를 디스플레이부 화면 상의 상대적인 위치 좌표로 변환/스케일링하여 디스플레이부 및 하프 미러부 상에 비치는 사용자 화장 대상 부위(1140)의 상대적인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하프 미러 장치(1110)는, 이렇게 변환된 상대적인 위치 좌표에 화장 대상 부위가 있다고 가정한 후, 변환된 디스플레이 화면 좌표 상에 앞서 생성한 미리보기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하프 미러 장치(1110)는 보다 정확하게 미리보기 GUI를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화장 대상 부위(1140)의 상대적인 위치 좌표와 함께 실시간으로 추출한 외곽선도 미리보기 GUI에 사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프 미러 장치(1110)는 실시간으로 획득한 상대적인 위치 좌표에 추출한 외곽선 형태의 화장 대상 부위(1140)가 있다고 가정한 후, 외곽선에 앞서 생성한 미리보기 GUI를 적용하는 방식으로 미리보기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The half-mirror device 1110 converts/scales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btained in real time into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n the display unit screen to recogniz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user's makeup target part 1140 reflect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half mirror unit. can The half-mirror apparatus 1110 may display the previously generated preview GUI on the converted display screen coordinates after it is assumed that there is a makeup target part in the converted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In this case, the half-mirror device 1110 may use the outline extracted in real time together with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akeup target region 1140 in the preview GUI in order to more accurately apply the preview GUI. More specifically, the half-mirror device 1110 assumes that there is a makeup target area 1140 in the form of an outline extracted in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btained in real time, and then applies the preview GUI generated prior to the outline in advance. It is also possible to display a view GUI.

이렇듯, 본 실시예에 따라 하프 미러 장치(1110)가 사용자(1130)의 화장 대상 부위(1140)를 실시간으로 트래킹하여 화장 대상 부위(1140)에 미리보기 GUI를 적용한 결과,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제 사용자가 아직 화장을 하지 않았음에도 하프 미러 장치(1110)를 통해서는 사용자(1130)가 마치 화장이 된 모습으로 보일 수 있다. 사용자(1130)는 이러한 미리보기 기능을 통해 미리 각 동영상별 화장법을 적용해 봄으로써, 자신에게 어울리는 화장법을 가이드하는 동영상을 쉽게 찾고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에 사용자(1130)는 디스플레이되지 않은 채 오로지 미리보기 GUI(화장 이미지)만 디스플레이되며, 하프 미러부에 비춰지는 사용자(1130)의 얼굴과 이러한 미리보기 GUI가 상호 중첩된 결과 마치 화장을 한 것과 같은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As such,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half-mirror device 1110 tracks the makeup target part 1140 of the user 1130 in real time and applies the preview GUI to the makeup target part 1140, as shown in FIG. Likewise, even though the actual user has not yet put on makeup, the user 1130 may appear as if the makeup has been applied through the half-mirror device 1110 . The user 1130 can easily find and select a video guiding a makeup method suitable for him/her by applying a makeup method for each video in advance through such a preview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only the preview GUI (makeup image) is displayed without the user 1130 being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and the face of the user 1130 reflected on the half mirror unit and the preview GUI overlap each other. As a result, an effect similar to that of applying makeup occurs.

한편,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명세서에서 제안되는 하프 미러 장치는 화장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시간동안 사용자의 화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녹화하여 동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Meanwhi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alf-mirror device prop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record a user's makeup situation in real time during the playback time of the makeup guide video to generate a video.

화장품 및 화장법은 매우 다양하여 사용자가 구체적인 화장법을 매번 기억하기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사용자가 동일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보고 화장을 하더라도 중간에 다른 화장품을 사용했다거나 실제 동영상의 가이드 내용과 일부 다르게 응용하여 화장하는 경우 등에는 실제 화장 결과는 많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특정 날에 했던 화장과 동일하게 하고 싶어도, 그때 당시의 구체적인 화장 순서/방법 및 사용 화장품을 세세하게 기억해 내기가 어려워 동일하게 구현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는 사용자가 화장하는 동안 화장 상황을 녹화하여 동영상을 생성하고, 생성한 동영상을 현재 수납되어 있는 화장품 키트에 대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으로서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렇게 메모리부에 저장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은 추후 해당 화장품 키트에 대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 검색 결과로서 다른 동영상들과 함께 제공될 수 있다. Cosmetics and makeup methods are very diverse, so it is very difficult for a user to remember a specific makeup method every time. Therefore, even if the user sees the same makeup guide video and puts on makeup, the actual makeup result will be very different, for example, if a different cosmetic is used in the middle or if the makeup is applied by applying a part different from the guide content of the actual video. Therefore, even if the user wants to do the same makeup as on a specific day, it is difficult to remember in detail the specific makeup order/method and cosmetics used at that time, so it is very difficult to implement the sam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generates a video by recording a makeup situation while a user is putting on makeup, and uses the generated video as a makeup guide video for a currently stored cosmetic kit. It can be stored in the memory unit. The makeup guide video stored in the memory unit may be provided together with other videos as a makeup guide video search result for the corresponding cosmetic kit later.

이를 위해, 하프 미러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사용자의 화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녹화할 수 있다. 이때, 하프 미러 장치는, 사용자의 화장 상황뿐 아니라, 현재 디스플레이부에 출력 중인 가이드 GUI의 디스플레이 내역도 기록할 수 있다. 이렇게 기록된 가이드 GUI는, 현재 녹화 중인 동영상의 재생과 자동으로 동기화되어 동영상과 함께 메모리부에 저장될 수 있다. 단순히 현재 재생 중인 화장 가이드 동영상의 가이드 GUI를 그대로 추출하여 녹화한 동영상과 동기화하지 않는 이유는, 가이드 GUI는 화장 가이드 동영상의 각 재생 구간과 동기화되어 제작된 것이기 때문에, 실제 사용자의 화장 상황과는 불일치할 가능성이 매우 높기 때문이다(특히, 사용자가 일시 정지, 뒤로 돌려보기, 앞으로 돌려보기 등과 같은 재생 제어 관련 동작을 수행하면서 화장했던 경우). 이러한 불일치를 방지하기 위해, 하프 미러 장치는 실제 화장 상황에서의 가이드 GUI의 디스플레이 내역을 기록하고, 이러한 가이드 GUI 디스플레이 내역을 기초로 가이드 GUI와 녹화 동영상을 상호 동기화할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가이드 GUI는 사용자의 화장 상황이 녹화된 동영상의 재생 내용과 부합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참고하여 동일한 화장을 쉽게 구현해낼 수 있다.To this end, the half-mirror device may activate the camera unit to record the makeup situa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when the reproduction of the makeup guide video selected by the user is started. In this case, the half-mirror device may record not only the makeup situation of the user, but also the display details of the guide GUI currently being output to the display unit. The guide GUI recorded in this way may be automatically synchronized with the playback of a video currently being recorded and stored together with the video in the memory unit. The reason that the guide GUI of the currently playing makeup guide video is extracted and not synchronized with the recorded video is inconsistent with the actual user's makeup situation because the guide GUI is produced in synchronization with each playback section of the makeup guide video. This is because they are very likely to do it (especially if the user puts on makeup while performing playback control-related actions such as pause, look back, look forward, etc.). In order to prevent such discrepancy, the half-mirror device may record the display details of the guide GUI in an actual makeup situation, and mutually synchronize the guide GUI and the recorded video based on the display details of the guide GUI. The guide GUI thus completed can display the makeup situation of the user in accordance with the playback contents of the recorded video, and the user can easily implement the same makeup with reference to this.

하프 미러 장치는 사용자가 선택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의 재생 만료 시점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한 후 카메라부를 비활성화하여 녹화를 중단할 수 있으며, 녹화된 화장 상황을 동영상으로 생성할 수 있다. 하프 미러 장치는 생성한 동영상을 가이드 GUI 디스플레이 내역과 동기화한 후 동영상 재생 만료 시점에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해당 동영상에 대한 썸네일로 지정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할 수 있다.The half-mirror device may stop recording by inactivating the camera unit after acquiring the face image of the user at the end of playback of the makeup guide video selected by the user, and may generate the recorded makeup situation as a video. After synchronizing the generated video with the guide GUI display details, the half-mirror device may designate a user's face image acquired at the end of video playback as a thumbnail for the video and store it in the memory unit.

나아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프 미러 장치는, 수정 화장 필요 여부에 대해서도 판단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사용자는 얼굴 근육을 지속적으로 움직일뿐 아니라, 피부를 통해 땀, 피지 등의 분비물이 계속 분비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화장이 변형되어 수정 화장이 필요한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하프 미러 장치는 동영상의 재생 만료 시 획득했던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최종 화장 이미지로 인식하고,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특히, 하프 미러 장치가 개방될 때마다)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와 최종 화장 이미지를 화장 대상 부위별로 실시간으로 비교할 수 있다. 하프 미러 장치는 비교 결과에 따라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비매칭되는 화장 대상 부위를 수정 화장이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할 수 있으며, 인식된 영역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아이라인이 많이 번졌어요! 수정이 필요할 것 같아요 등과 같은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하프 미러 장치는, 비교 시 양 이미지의 화장 대상 부위별 채도, 화장 영역의 사이즈, 색상, 명도, 채도, 밝기 등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수정 화장 필요 여부를 판단/인식할 수 있다. Furthermore, the half-mirro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determine whether correction makeup is necessary and inform the user of the need. Since the user not only continuously moves the facial muscles, but also secretions such as sweat and sebum are continuously secreted through the skin, the makeup may be deformed over time and may be in a state requiring correction makeup. Accordingly, the half-mirror device recognizes the user's face image acquired when the video playback expires as the final makeup image, activates the camera unit (in particular, whenever the half-mirror device is opened) to acquire the user's face image, and obtains A face image of a user and a final makeup image can be compared in real time for each makeup target area. According to the comparison result, the half-mirror device can recognize a makeup target area that does not match more than a preset ratio as an area requiring correction makeup, and provides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area (eg, the eyeliner is smeared a lot! Correction) guidance message such as I think this is necessary) can be displayed using the display unit. The half-mirror device may determine/recognize whether or not correction makeup is required by comparing the saturation of each image to be makeup-targeted, the size of the makeup area, color, brightness, saturation, brightness, and the like of both images during comparis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각 도면을 나누어 설명하였으나, 각 도면에 서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병합하여 새로운 실시예를 구현하도록 설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술한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each drawing has been described separat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it is also possible to design to implement a new embodiment by merging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each drawing.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bu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configured by selectively combining all or part of each embodiment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it might be

또한,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In addition, although preferred embodiments have been illustrated and described above,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specifica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claims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by the person, of course, these modifications should not be individually understood from the technical spirit or perspectiv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210: 프로세서
220: 하프 미러부
230: LED부
240: 센서부
250: 통신부
260: 하우징부
270: 디스플레이부
280: 메모리부
210: processor
220: half mirror unit
230: LED unit
240: sensor unit
250: communication department
260: housing unit
270: display unit
280: memory unit

Claims (6)

하프 미러 장치에 있어서,
기설정된 투과율과 반사율을 갖는, 하프 미러(Half Mirror)부;
사용자의 음성을 센싱하는, 센서부;
상기 하프 미러부의 배면에 상기 하프 미러부와 평행하게 구비되며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적어도 하나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
화장품 키트가 수납되는, 수납부;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하는, 화장품 키트 인식부; 및
상기 하프 미러부, 상기 센서부, 상기 디스플레이부, 상기 통신부, 상기 수납부 및 상기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화장품 키트 인식부를 이용하여 상기 수납부에 수납된 화장품 키트를 인식하고,
상기 화장품 키트를 이용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을 실시간 검색하여 검색 결과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검색 결과에 포함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은, 재생 시간별 동영상 내용과 부합하는 화장 영역 및 화장 방법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동기화되어 사전 제작된 동영상으로 제한되며,
상기 센서부를 이용해 상기 사용자의 음성을 센싱하여, 상기 검색 결과 중 어느 하나의 동영상을 선택하고,
상기 선택한 동영상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제1 영역에 재생하고, 상기 선택한 동영상의 재생과 동기화하여 상기 가이드 GUI를 상기 제1 영역을 제외한 제2 영역에 상기 하프 미러부에 비친 상기 사용자의 화장 대상 부위와 오버랩되도록 디스플레이하는, 하프 미러 장치.
In the half mirror device,
having a predetermined transmittance and reflectance, a half mirror unit;
a sensor unit that senses the user's voice;
a display unit provided on a rear surface of the half-mirror unit in parallel to the half-mirror unit to display an image;
a communication unit for performing communication using at least one communication protocol;
A storage unit in which the cosmetic kit is accommodated;
a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for recognizing the cosmetic kit stored in the receiving unit; and
a processor for controlling the half mirror unit, the sensor unit, the display unit, the communication unit, the receiving unit, and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including,
The processor is
Recognizing the cosmetic kit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unit using the cosmetic kit recognition unit,
A makeup guide video using the cosmetic kit is searched in real time and the search resul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The makeup guide video included in the search result is limited to pre-produced videos synchronized with the guide GUI (Graphic User Interface) for guiding the makeup area and makeup method consistent with the video content for each playback time,
Sensing the user's voice using the sensor unit, selecting any one video from the search results,
The selected video is reproduced on the first area of the display unit, and the guide GUI is overlapped with the makeup target part of the user reflected on the half mirror in a second area except for the first area in synchronization with the reproduction of the selected video. A half-mirror device that displays as much as possible.
제 1 항에 있어서,
이미지를 촬영하는 카메라부; 를 더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로부터 상기 화장 대상 부위의 외곽선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외곽선 및 상기 가이드 GUI를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가이드 GUI는 상기 추출한 외곽선을 기준으로 상기 재생 시간별 동영상 내용과 부합하는 화장 영역 및 화장 방법을 가이드 하도록 디스플레이되는, 하프 미러 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camera unit for taking an image;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or is
Obtaining the face image of the user using the camera unit,
extracting the outline of the makeup target part from the user's face image,
Displaying the extracted outline and the guide GUI,
The guide GUI is displayed to guide a makeup area and a makeup method corresponding to the video content for each playback time based on the extracted outlin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촬영하여 상기 하프 미러부 내에서의 상기 화장 대상 부위의 상대적인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상기 선택한 동영상과 사전 연계되어 있는 화장 결과 이미지로부터 상기 화장 대상 부위의 화장 영역을 추출하여 미리 보기 GUI를 생성하고, 상기 획득한 상대적인 위치 좌표와 대응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영역에 상기 미리보기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하프 미러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rocessor is
By activating the camera unit to capture the face image of the user in real time to obtain the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of the makeup target in the half mirror unit,
A preview GUI is generated by extracting the makeup area of the makeup target area from the makeup result image previously linked with the selected video using the display unit, and the preview GUI is displayed in the area of the display unit corresponding to the obtained relative position coordinates. A half-mirror device that displays a viewing GUI.
제 3 항에 있어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한 동영상의 재생 시작 시,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화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녹화하고,
상기 화장 상황의 녹화와 함께 상기 가이드 GUI의 디스플레이 내역을 기록하고,
상기 선택한 동영상의 재생 만료 시점의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한 후 상기 카메라부를 비활성화하여 상기 녹화를 중단하고 녹화된 화장 상황을 동영상으로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동영상을 상기 가이드 GUI 디스플레이 내역을 동기화한 후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썸네일로 지정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하프 미러 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further comprising,
The processor is
When the playback of the selected video starts, the camera unit is activated to record the makeup situation of the user in real time,
Record the display details of the guide GUI together with the recording of the makeup situation,
After acquiring the face image of the user at the playback expiration time of the selected video, the camera unit is deactivated to stop the recording, and the recorded makeup situation is created as a video,
After synchronizing the generated video with the guide GUI display details, the obtained user's face image is designated as a thumbnail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한 동영상은, 상기 화장품 키트를 이용한 화장 가이드 동영상의 실시간 검색 결과로서 추가되는, 하프 미러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video stored in the memory unit is added as a real-time search result of a makeup guide video using the cosmetic kit, a half mirror devic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선택한 동영상의 재생 만료 시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최종 화장 이미지로 인식하고,
상기 카메라부를 활성화하여 상기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사용자의 얼굴 이미지와 상기 최종 화장 이미지를 상기 화장 대상 부위별로 실시간 비교하고,
상기 비교한 결과, 기설정된 비율 이상으로 비매칭되는 화장 대상 부위를 수정 화장이 필요한 영역으로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영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하프 미러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The processor is
Recognizing the user's face image acquired when the playback of the selected video expires as the final makeup image,
Activating the camera unit to obtain the user's face image, and comparing the obtained user's face image and the final makeup image in real time for each makeup target part,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the makeup target area that does not match more than a preset ratio is recognized as an area requiring correction makeup,
The half-mirror device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the recognized area using the display unit.
KR1020210009596A 2020-02-05 2021-01-22 A half mirror apparatus KR102419934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3789 2020-02-05
KR20200013789 2020-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011A KR20210100011A (en) 2021-08-13
KR102419934B1 true KR102419934B1 (en) 2022-07-12

Family

ID=77313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9596A KR102419934B1 (en) 2020-02-05 2021-01-22 A half mirror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93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6384B1 (en) * 2021-11-26 2024-01-16 이보람 All in one powder compac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450B1 (en) 2018-05-15 2018-09-19 주식회사 필리 LED table mirror for smart phone application interworking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9258A (en) * 2014-11-18 201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A method for controlling mirror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threrof
KR20180089196A (en) * 2017-01-31 2018-08-08 주식회사 하이 Smart Cosmetic Package
KR102189433B1 (en) * 2019-02-13 2020-12-11 서말희 Mirror with display apparatus for dementia pati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00450B1 (en) 2018-05-15 2018-09-19 주식회사 필리 LED table mirror for smart phone application interwork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011A (en) 2021-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81453B1 (en) Image processing for Head mounted display devices
US8878949B2 (en) Camera based interaction and instruction
JP5715842B2 (en)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and program
JP5418708B2 (en) Photo sealing machine, photo sealing machin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481333B1 (en) A moving image distribution system, a moving image distribution method, and a moving image distribution program for distributing a moving image including animation of a character object generated based on the movement of an actor.
JP4863476B2 (en) Imaging apparatus, program, information storage medium, photo printing apparatus, and photo printing method
CN114615486B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for generating a composite stream
WO2014181380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JP6675384B2 (en) Makeup support system, measuring device, portable terminal device and program
TW200805175A (en) Makeup simulation system, makeup simulation device, makeup simulation method and makeup simulation program
US20240061882A1 (en) Automatic video production device, automatic video production method, and video recording medium used therefor
WO2015152028A1 (en) Makeup assistance device and recording medium
WO2023134269A1 (en) Display device, and virtual fitting system and method
CN208013970U (en) A kind of living creature characteristic recognition system
KR102419934B1 (en) A half mirror apparatus
JP2014182597A (en) Virtual reality presentation system, virtual reality presentation device, and virtual reality presentation method
CN113572982A (en) Self-service sharing type travel shooting video acquisition method and system
US20120281114A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n adaptive media experience
JP2005181688A (en) Makeup presentation
JP2019133276A (en) Image processing system and terminal
ES2903439T3 (en) Data display procedure related to an event and associated system
JP2023035467A (en) Game image capturing apparatus
KR20230085994A (en) System of smart mirror for sharing hair-style based on AI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3035469A (en) Image processing device
JP2021034744A (en) Image presentation device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