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902B1 - Drone sports game system - Google Patents

Drone sports game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902B1
KR102419902B1 KR1020220055804A KR20220055804A KR102419902B1 KR 102419902 B1 KR102419902 B1 KR 102419902B1 KR 1020220055804 A KR1020220055804 A KR 1020220055804A KR 20220055804 A KR20220055804 A KR 20220055804A KR 102419902 B1 KR102419902 B1 KR 102419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ones
game
cage
drone
gam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580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세영
황윤상
Original Assignee
박세영
황윤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세영, 황윤상 filed Critical 박세영
Priority to KR1020220055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9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9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22Accessories;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7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a large display in a public venue, e.g. in a movie theatre, stadium or game aren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 A63F2009/2435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with other kinds of input using a video camer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01Detail of input, input devices
    • A63F2009/2436Characteristics of the input
    • A63F2009/2442Sensors or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48Output devices
    • A63F2009/245Output devices visual
    • A63F2009/2457Display screens, e.g. monitors, video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24Electric games; Games using electronic circui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009/2483Other characteristics
    • A63F2009/2488Remotely playab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Abstract

Disclosed is a game platform system, comprising: a game platform that provides game content; an output par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game content from the game platform; a screen on which the game contents output from the output part are executed; an LCD or LED panel installed on the floor; and a plurality of drones operating to fly in spa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that allows users to enjoy sports games using drones in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on space.

Description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DRONE SPORTS GAME SYSTEM}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DRONE SPORTS GAME SYSTEM}

본 발명은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드론은, 무인 항공기로, 조종사가 탑승하지 않고, 원격 조종 또는 자동 조종을 통해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비행체이다. 이러한 드론은 인간 조종사를 태우지 않고, 공기 역학적인 힘을 사용하여 자율적 또는 원격 조종을 통해 비행을 할 수 있다.A drone is an unmanned aerial vehicle that can perform a mission through remote control or automatic control without a pilot on board. These drones can fly autonomously or remotely, using aerodynamic forces, without carrying a human pilot.

이러한 드론은 군사적 용도로 주로 사용되지만, 최근 민간에서 농업, 산불감시 및 진화, 배송, 물류, 통신, 촬영, 재난상황 대처와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또한, 드론을 이용하여 축구나 농구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에 이용되는 등 이용에 대한 범위가 점차 넓어지는 추세에 있다.These drones are mainly used for military purposes, but recently, they are being used in various fields such as agriculture, forest fire monitoring and firefighting, delivery, logistics, communication, photography, and disaster response in the civilian world. In addition, the scope of use of drones is gradually expanding, such as being used for various types of sports such as soccer and basketball using drones.

특히, 드론을 이용한 스포츠의 경우, 지상이 아닌 공간을 이용할 수 있고, 또한, 공간상에서 드론을 이용하여 경기를 수행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에 적용될 수 있고, 그에 대한 확장성이 높을 수 있다.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ports using drones, it is possible to use a space other than the ground, and also to perform a game using a drone in space, so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sports, and its scalability can be high. .

본 발명의 일측면은 증강현실 상호작용 공간에서 사용자가 드론을 이용하여 스포츠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that allows a user to enjoy a sports game using a drone in an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space.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은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플랫폼; 바닥면에 설치되는 대형 LED; 복수의 영상기기; 상기 게임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게임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게임 콘텐츠가 실행되는 스크린; 및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간을 날아다니도록 작동하며, 게임의 종류에 따라 단일 또는 복수 개 마련되는 드론;을 포함한다.A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me platform that provides game content; Large LEDs installed on the floor; a plurality of imaging devices;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game content from the game platform; a screen on which the game conten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is executed; and a drone that operates to fly through spa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and is provided in single or plural depending on the type of game.

한편,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게임 플랫폼으로 전송하고, 터치 인식 기능을 갖는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On the other hand, it detects the motion of the plurality of drones and transmits them to the game platform, and a sensing module having a touch recognition function; further comprising,

상기 감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드론이 움직이는 공간에 설치되며, 스위치 센서 및 정전식 터치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직접 접촉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 및 상기 복수의 드론이 움직이는 공간에 설치되며, 초음파 센서, IR 센서 및 이미지 인식 기능을 탑재한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The detection module may include a contact sensor installed in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rones move, and including at least one of a switch sensor and a capacitive touch sensor to detect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drones in a direct contact manner; and a non-contact sensor that is installed in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rones move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drones in a non-contact mann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R sensor, and a camera sensor equipped with an image recognition function. do,

상기 게임 플랫폼은,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고,The game platform proceeds the game content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data of the plurality of drone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module,

상기 복수의 드론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 조작 드론; 및The plurality of drones may include: a user-manipulated drone operated by a user; and

상기 게임 플랫폼에 의해 조작되는 플랫폼 조작 드론;을 포함하고,Including; platform operation drone operated by the game platform;

상기 복수의 드론은, 중앙에 중앙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기체의 무게에 따라 4 개, 6개 또는 8개의 프로펠러가 상기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조작기 또는 상기 게임 플랫폼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구동부; 다수의 링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소정 각도 범위로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원형의 홀을 형성하는 케이지; 및 상기 중앙부에 배치되며, 다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하여 소정의 색을 방출하는 발광부;를 포함하고,In the plurality of drones, a central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and 4, 6 or 8 propellers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according to the weight of the aircraft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a user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a driving unit op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manipulator possessed by the user or the game platform; a cage in which a plurality of rings are connected at a predetermined angle range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surround the driving unit, and form a circular hole in the lower portion; and a light emitting unit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and emitting a predetermined color including a light source capable of emitting a plurality of colors;

상기 케이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링을 연결하며,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중앙틀; 및 상기 중앙틀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중앙틀에 설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The cage is dispos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ring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connecting a plurality of rings dispos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central frame formed in a ring shape; and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inner side of the central frame to install the driving unit to the central frame;

상기 복수의 드론은,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의 원형의 홀에 삽입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The plurality of drones further include; a seating part inserted into a lower circular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상기 안착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저면에 복수의 접촉 돌기를 형성하는 안착 본체; 상부 직경은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상기 안착 본체의 상측면 중심에 설치하고, 직경이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The seating portion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seating body forming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on the bottom surface; The upper diameter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including the clasp formed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and has elasticity. an insert made of; and a connecting membe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body with the insertion part and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a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안착 본체에서 돌출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본체의 저면에 동심원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The contact protrusion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protruding from the seating body, and may be disposed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body.

상기 케이지는, 다수개의 정오각형프레임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축구공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ge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occer ball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regular pentagonal frames.

상기 케이지는, 하부에 원형, 사각형 또는 정오각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ge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circular shape, a square shape, or a regular pentagonal shape at the lower part.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사용자가 스포츠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re is an effect that a user can enjoy a sports game without being limited by space.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온도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and 2 are conceptual views of a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rone shown in FIG. 1 in detail.
4 is a view showing a se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ing part shown in FIG. 4 .
6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of achieving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in detail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e possessor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s"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stated elements, steps, and acts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elements, steps and acts.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의 개념도이다.1 and 2 are conceptual views of a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1)은 게임 플랫폼(10), 출력부(20), 스크린(30) 및 드론(40)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 a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game platform 10 , an output unit 20 , a screen 30 and a drone 40 . may include

게임 플랫폼(10)은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The game platform 10 may provide a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예를 들면, 게임 플랫폼(10)은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콘텐츠(이하, 게임 콘텐츠)가 출력되는 3D 상호작용 공간을 구축하고, 3D 상호작용 공간에서의 드론(40)의 동작을 인식하여 게임 콘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게임 콘텐츠는 드론 레이싱, 드론 축구, 드론 클래시 등과 같이 드론을 이용한 스포츠 게임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game platform 10 builds a 3D interaction space in which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content (hereinafter, game content) is output, and recognizes the operation of the drone 40 in the 3D interaction space to play a game. content can be executed. In this embodiment, the game content may include a sports game using a drone, such as drone racing, drone soccer, drone clash, and the like.

게임 플랫폼(10)은 서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game platform 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rver.

예를 들면, 게임 플랫폼(10)은 서버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되는 명령어 세트로 구성되는 서버 프로그램의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For example, the game platform 10 is a concept including software in the form of a server program consisting of an instruction set that is executed on a processor of the server.

출력부(20)는 게임 플랫폼(10)으로부터 게임 콘텐츠를 수신하여 스크린(30)을 향해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0 may receive game content from the game platform 10 and output it toward the screen 30 .

출력부(20)는 프로젝터 또는 디스플레이로 적용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20 may be applied as a projector or a display.

출력부(20)는 스크린(30) 상에 컴퓨터 그래픽스 영상을 정합시키는 프로젝션 매핑을 통해 사용자의 나안(bare-eye) 상태에서 증강현실이 구현될 수 있도록 게임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The output unit 20 may output game content so that augmented reality can be realized in the user's bare-eye state through projection mapping that matches the computer graphics image on the screen 30 .

스크린(30)은 출력부(20)로부터 출력되는 게임 콘텐츠가 실행되는 화면 디스플레이로서, 프로젝션 스크린, LCD 패널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creen 30 is a screen display on which game conten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20 is executed, and may be implemented as a projection screen, an LCD panel, or the like, but is not limited thereto.

드론(40)은 소정의 제어 신호 등에 따라 공간을 날아다니도록 작동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The drone 40 may operate to fly in spa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or the like. In this regard,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later.

드론(40)은 복수 개 마련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조작하는 사용자 조작 드론(40a) 및 게임 플랫폼(10)이 조작하는 플랫폼 조작 드론(40b)으로 나뉠 수 있다.A plurality of drones 40 may be provided, and may be divided into a user-manipulated drone 40a operated by a user and a platform-manipulated drone 40b operated by the game platform 10 .

또는, 드론(40) 뿐만 아니라 사람이 조종할 수 있는 RC 자동차, 보트, 호버크래프트 등의 이동체로 적용될 수도 있다.Alternatively, it may be applied not only to the drone 40 but also to a moving object such as an RC car, a boat, or a hovercraft that can be controlled by a person.

감지 모듈(50)은 스크린(30)이 설치되는 공간에서의 드론(40)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게임 플랫폼(1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게임 플랫폼(10)은 감지 모듈(50)로부터 수신하는 드론(40)의 움직임 감지 데이터에 따라 게임 콘텐츠를 진행할 수 있다.The detection module 50 may detect the motion of the drone 40 in the space where the screen 30 is installed and transmit it to the game platform 10 . In this case, the game platform 10 may proceed with the game content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data of the drone 40 received from the detection module 50 .

예를 들면, 감지 모듈(50)은 드론(40)과 직접 접촉하여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센서는 스크린(30)이 설치되는 공간에서 스크린(30), 바닥, 벽, 천정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스위치 방식의 접촉 센서, 정전식 터치 방식의 접촉 센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tection module 5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contact sensors that detect the motion of the drone 40 by making direct contact with the drone 40 . The touch sensor may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such as the screen 30, floor, wall, ceiling, etc. in the space where the screen 30 is installed, and may be applied as, for example, a switch-type touch sensor, a capacitive touch-type touch sensor, etc. have.

또는, 감지 모듈(50)은 비접촉 방식으로 드론(40)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접촉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센서는 스크린(30)이 설치되는 공간에서 스크린(30), 바닥, 벽, 천정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컨대, 초음파 센서, IR 센서, 이미지 인식 기능을 탑재한 카메라 센서 등으로 적용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detection module 50 may include at least one or more non-contact sensors for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drone 40 in a non-contact manner. The contact sensor may be installed in various locations such as the screen 30, floor, wall, and ceiling in the space where the screen 30 is installed, and may be applied to, for example, an ultrasonic sensor, an IR sensor, a camera sensor equipped with an image recognition function, etc. can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 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1)은 제한된 실내 공간에서 다양한 종류의 스포츠 게임 콘텐츠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various types of sports game contents to be implemented in a limited indoor space.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드론을 자세히 보여주는 도면이다.FIG. 3 is a view showing the drone shown in FIG. 1 in detail.

도 3을 참조하면, 드론(40)은 구동부(41), 케이지(42) 및 발광부(43)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 the drone 40 may include a driving unit 41 , a cage 42 , and a light emitting unit 43 .

구동부(41)는 드론(40)이 공간을 날아다닐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프로펠러를 포함하고, 프로펠러의 구동으로 공간상에서 비행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41 includes one or more propellers so that the drone 40 can fly in space, and can fly in space by driving the propellers.

예를 들면, 구동부(41)는 중앙에 중앙부가 배치되고, 중앙부를 기준으로 네 개의 프로펠러가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이때, 중앙부와 프로펠러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중앙부는 내부에 전원공급부 및 프로펠러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 등이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riving unit 41 has a central portion disposed in the center, and four propellers are disposed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In this case, the central portion and the propeller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central part, a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the driving of the power supply and the propeller may be disposed therein.

구동부(41)는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에 의해 프로펠러의 회전속도 및 이동 방향에 대한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조작 장치 등을 이용하여 구동부(41)를 제어함으로써, 드론(40)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41 may include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to control the rotation speed and movement direction of the propeller by the user. That is, the user may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and the moving speed of the drone 40 by controlling the driving unit 41 using a manipulation device or the like.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기 또는 게임 플랫폼(10)과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통신 모듈은 사용자의 조작기 또는 게임 플랫폼(10)에서 수신된 신호를 제어 모듈에 전송하고, 제어 모듈은 통신 모듈에서 사용자의 조작기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부(41)를 제어할 수 있다.The communication module may communicate with the user's manipulator or the game platform 10 . The communication module may transmit a signal received from the user's manipulator or the game platform 10 to the control module, and 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driving unit 41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communication module to the user's manipulator.

제어 모듈은 통신 모듈을 통해 수신된 제어 신호 등에 따라 구동부(41)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 모듈은 구동부(41)를 제어하여 드론(40)의 이동 방향이나 이동 속도를 제어한다.The control module may control the driving of the driving unit 41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received through the communication module. That is, the control module controls the driving unit 41 to control the moving direction or the moving speed of the drone 40 .

케이지(42)는 구동부(41)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cage 42 may b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driving unit 41 .

예를 들면, 케이지(42)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에 빈공간이 형성된 형상으로 외부 형상이 거의 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지(42)의 외부 형상을 보면, 수직 방향으로 다수의 링이 소정 각도 범위로 연결되어 배치되고, 수직 방향의 다수의 링을 연결하도록 수평 방향으로 링의 형상을 갖는 중앙틀(43)이 배치된다.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링은 네 개가 이용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며, 네 개의 수직 방향의 링은 평면상에서 서로 45도의 각도로 배치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케이지(42)의 형상은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은 형상을 일례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케이지(42)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 the cage 42 may have an empty space formed therein, and an outer shape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pherical shape. Looking at the outer shape of the cage 42, a plurality of rings are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angle range, and a central frame 43 having a ring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arranged to connect the plurality of r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do. Four ring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hown as being used, and the four rings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shown as being arranged at an angle of 45 degrees to each other on a plane. The shape of the cage 42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shape shown in FIG. 3 as an exampl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hape of the cage 42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케이지(42)는 내부에 배치된 구동부(41)가 구동됨에 따라 프로펠러가 회전되어 발생된 공기가 하부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는 형상이면서, 드론(40)이 외부에 충돌하더라도 구동부(41)의 구동에 간섭받지 않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cage 42 has a shape in which the air generated by rotating the propeller as the driving unit 41 disposed therein is driven can be smoothly discharged to the lower side, and even when the drone 40 collides with the outside, the driving unit 41 of It may have a shape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driving.

케이지(42)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링 형상의 중앙틀(43)의 내측에 구동부(41)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44)가 배치된다. 즉, 연결부(44)는 네 개가 형성되고, 연결부(44)의 일단은 구동부(41)와 연결되고, 타 측단은 중앙틀(43)의 내측에 연결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41)는 중앙틀(43)을 통해 케이지(42)와 결합될 수 있다.In the cage 42 , a connection part 44 for physically connecting to the driving part 41 is disposed inside the ring-shaped central frame 43 arrang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four connection parts 44 are formed, one end of the connection part 44 is connected to the driving part 41 ,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frame 43 . Accordingly, the driving unit 41 may be coupled to the cage 42 through the central frame 43 .

케이지(42)는 하부에 원형의 홀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원형의 홀은 드론(40)이 지상에 착륙했을 때, 케이지(42)가 안정적으로 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cage 42 may form a circular hole in the lower part. This circular hole is to allow the cage 42 to land stably when the drone 40 lands on the ground.

발광부(45)는 구동부(41)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다양한 색을 발광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발광부(45)는 다수의 색을 발광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하여, 다수의 색 중 하나를 방출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다수의 광원이 동시에 발광되어 또 다른 색을 방출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45 may be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driving unit 41 to emit various colors. To this end, the light emitting unit 45 may emit one of a plurality of colors, including a light source capable of emitting a plurality of colors, and if necessary, a plurality of light sources may be simultaneously emitted to emit another color. have.

발광부(45)는 드론(40)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복수의 드론(40)을 이용하여 두 팀이 스포츠 게임을 하는 경우, 발광부(45)에서 발광된 광의 색에 따라 두 팀을 구별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45 may display the state of the drone 40 , and for example, when two teams play a sports game using a plurality of drones 40 ,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5 . The two teams can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드론(40)은 도 3에 도시된 구동부(41), 케이지(42) 및 발광부(43)의 구성에 더하여 안착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drone 4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eating unit 40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of the driving unit 41 , the cage 42 and the light emitting unit 43 shown in FIG. 3 . .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안착부의 단면도이다.4 is a view showing a seating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ating part shown in FIG. 4 .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착부(400)는 지면에 접촉하는 안착 본체(410), 안착 본체(410)의 상단에 위치하는 삽입부(420) 및 안착 본체(410)와 삽입부(420)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재(43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seating part 4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ating body 410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 insertion part 420 positioned on the upper end of the seating body 410 , and a seating body 410 . ) and a connecting member 430 positioned between the insertion part 420 may be included.

안착 본체(410)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접촉 돌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ating body 4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450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접촉 돌기(450)는 안착 본체(410)에서 돌출된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착 본체(410)의 저면에 동심원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The contact protrusion 450 may have a hemispherical shape protruding from the seating body 410 , and may be disposed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body 410 .

삽입부(420)는 상협하광의 구조일 수 있으며, 케이지(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홀에 삽입될 수 있다. The insertion part 420 may have a structure of an upper and lower light, and may be inserted into a circular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42 .

삽입부(420)의 상부 직경은 케이지(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삽입부(420)의 하부는 케이지(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걸림 턱(4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삽입부(420)는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어 걸림 턱(440)이 휘어지면서 케이지(42)의 하부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upper diameter of the insertion portion 420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42,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portion 420 than the diameter of the circular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42) It may include a locking jaw 440 formed to be long. At this time, the insertion part 42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ity so that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cage 42 while the locking jaw 440 is bent.

삽입부(420)는 연결부재(430)를 통해 안착 본체(410)의 상측면 중심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430)의 직경은 케이지(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sertion part 420 may be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body 410 through the connection member 430 . In this case, the diameter of the connecting member 430 may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a circle formed under the cage 42 .

이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지(42)의 하부에 형성되는 원형의 홀에 삽입부(420)가 삽입되는 경우, 걸림 턱(440)에 걸려 고정되게 한다.Accordingly, when the insertion part 420 is inserted into the circular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42 as shown in FIG.

이와 같은 안착부(400)는 드론(40)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 드론(40)을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The seating unit 400 provides a space for stably storing the drone 40 when the drone 40 is not used.

한편, 도 4에 도시된 안착부(400)는 온도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조절부는 안착 본체(410)에 내장 설치될 수 있으며, 안착 본체(410)의 온도를 낮추어 삽입부(420)에 삽입된 드론(40)의 온도를 낮출 수 있다.Meanwhile, the seating unit 400 illustrated in FIG. 4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control unit.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seating body 410 , and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seating body 410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drone 4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unit 420 .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온도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a temperatur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온도 조절부(460)는 냉각 기둥(461), 원통 형상의 파이프(462a)를 통해 냉각 기둥(461)의 내부에 설치되되 외부로 소정 길이만큼 노출되어 있는 열전도체(462), 열전도체(462)의 외부 노출면에 접하여 설치된 열전소자(463), 열전소자(463)의 하부로 접하여 설치된 방열 플레이트(464), 방열 플레이트(464)에 인접하여 설치된 팬(465)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 the temperature control unit 46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side the cooling pillar 461 through a cooling pillar 461 and a cylindrical pipe 462a and is provided outside by a predetermined length. The heat conductor 462 exposed as much as the heat conductor 462, the thermoelectric element 463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external exposed surface of the heat conductor 462, the heat dissipation plate 464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thermoelectric element 463, the heat dissipation plate 464 It may include a fan 465 installed adjacently.

냉각 기둥(461)은 냉매를 포함할 수 있으며, 냉매는 열전도체(462)를 매개로 열전소자(463)에 의해 냉각될 수 있다. The cooling column 461 may include a refrigerant, and the refrigerant may be cool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463 via the thermal conductor 462 .

이때, 방열 플레이트(464)는 열전소자(463)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방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열전소자(463)에서 발생하는 열은 방열 플레이트(464)에 의해 1차로 방열되고, 소정 주기로 작동하는 팬(465)의 작동에 의해 2차로 방열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heat dissipation plate 464 may dissipate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463 . Specifically, the heat generat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463 may be primarily dissipated by the heat dissipation plate 464 , and may be dissipated secondarily by the operation of the fan 465 operating at a predetermined cycle.

열전소자(463)는 열전소자 제어 모듈(463a)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463 may be controlled by the thermoelectric element control module 463a.

열전소자 제어 모듈(463a)은 소정의 접촉 센서를 통해 삽입부(420)에 드론(4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드론(40)이 삽입부(420)에 장착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열전소자(463)가 작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e thermoelectric element control module 463a may detect whether the drone 4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unit 420 through a predetermined contact sensor, and when it is detected that the drone 40 is mounted on the insertion unit 420 . , the thermoelectric element 463 may be controlled to operat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realize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you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1: 신종 드론 스포츠 증강현실 게임 플랫폼 시스템
10: 게임 플랫폼
20: 출력부
30: 스크린
40: 드론
1: New drone sports augmented reality game platform system
10: Gaming Platform
20: output unit
30: screen
40: drone

Claims (3)

게임 콘텐츠를 제공하는 게임 플랫폼;
상기 게임 플랫폼으로부터 상기 게임 콘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출력부;
상기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게임 콘텐츠가 실행되는 스크린; 및
소정의 제어 신호에 따라 공간을 움직이도록 작동하는 복수의 드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게임 플랫폼으로 전송하는 감지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모듈은,
상기 복수의 드론이 움직이는 공간에 설치되며, 직접 접촉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접촉 센서; 및
상기 복수의 드론이 움직이는 공간에 설치되며, 초음파 센서, IR 센서 및 이미지 인식 기능을 탑재한 카메라 센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비접촉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비접촉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게임 플랫폼은,
상기 감지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상기 복수의 드론의 움직임 감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게임 콘텐츠를 진행하고,
상기 복수의 드론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사용자 조작 드론; 및
상기 게임 플랫폼에 의해 조작되는 플랫폼 조작 드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드론은,
중앙에 중앙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앙부를 기준으로 프로펠러가 상기 중앙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며, 통신 모듈 및 제어 모듈을 포함하여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조작기 또는 상기 게임 플랫폼으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작동하는 구동부;및
상기 구동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하부에 홀을 형성하는 케이지; 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지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링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링을 연결하는 중앙틀; 및
상기 중앙틀의 내측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를 상기 중앙틀에 설치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드론은,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의 원형의 홀에 삽입되는 안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부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저면에 복수의 접촉 돌기를 형성하는 안착 본체;
상부 직경은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고, 하부에는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보다 길게 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상협하광의 구조로 형성되고,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작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를 상기 안착 본체의 상측면 중심에 설치하고, 직경이 상기 케이지의 하부에 형성되는 홀의 직경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 돌기는,
상기 안착 본체에서 돌출된 반구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착 본체의 저면에 동심원의 형태로 배치되는, 게임 플랫폼 시스템.
game platforms that provide game content;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and outputting the game content from the game platform;
a screen on which the game content output from the output unit is executed;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drones operating to move in space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Further comprising; a detection module for detecting the motion of the plurality of drones to transmit to the game platform;
The detection module is
a contact sensor installed in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rones move, and detecting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drones in a direct contact method; and
A non-contact sensor that is installed in a space in which the plurality of drones move, and detects the movement of the plurality of drones in a non-contact manner, including at least one of an ultrasonic sensor, an IR sensor, and a camera sensor equipped with an image recognition function; and ,
The game platform is
The game content is progressed according to the motion detection data of the plurality of drones received from the detection module,
The plurality of drones,
a user-operated drone operated by a user; and
Including; platform operation drone operated by the game platform;
The plurality of drones,
A central portion is disposed in the center, a propeller is disposed to surround the central portion based on the central portion, and a driving unit operated by receiving a control signal from a user manipulator or the game platform possessed by the user, including a communication module and a control module ;and
a cage formed in a shape surrounding the driving unit and forming a hole in the lower portion; including,
The cage is
a central frame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a plurality of ring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connecting a plurality of rings arrang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ing; a connection part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central frame to install the driving unit to the central frame,
The plurality of drones,
It further comprises;
The seating part,
a seating bod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forming a plurality of contact protrusions on a bottom surface;
The upper diameter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and the lower part is formed in the structure of the upper and lower light, including the clasp formed longer than the diameter of the hol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cage, and has elasticity. an insert made of; and
and a connection member installed in the center of the upper side of the seating body with the insertion part and having a diameter equal to the diameter of a hol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age; and
The contact protrusion,
The game platform system is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protruding from the seating body, and arranged in the form of concentric circles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eating body.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20055804A 2022-05-05 2022-05-05 Drone sports game system KR1024199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04A KR102419902B1 (en) 2022-05-05 2022-05-05 Drone sports gam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5804A KR102419902B1 (en) 2022-05-05 2022-05-05 Drone sports game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902B1 true KR102419902B1 (en) 2022-07-14

Family

ID=82407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5804A KR102419902B1 (en) 2022-05-05 2022-05-05 Drone sports game syst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902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2407A1 (en) * 2015-12-27 2017-06-29 Spin Master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battery in augmented reality game system
KR20190063883A (en) * 2017-11-30 2019-06-10 로보웍스(주)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game contents using a drones
KR102001862B1 (en) * 2019-02-08 2019-07-19 (주)드론아이 Basketball stadium system with drones
KR102118606B1 (en) * 2018-10-30 2020-06-03 양동헌 Method for making space of game of robot by image and apparatus thereof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182407A1 (en) * 2015-12-27 2017-06-29 Spin Master Ltd. System and method for recharging battery in augmented reality game system
KR20190063883A (en) * 2017-11-30 2019-06-10 로보웍스(주) System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interactive game contents using a drones
KR102118606B1 (en) * 2018-10-30 2020-06-03 양동헌 Method for making space of game of robot by image and apparatus thereof method for controlling robot thereof and apparatus thereof
KR102001862B1 (en) * 2019-02-08 2019-07-19 (주)드론아이 Basketball stadium system with dro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5770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movement via environmental airflow
US10336469B2 (en) Unmanned aerial vehicle movement via environmental interactions
US20090081923A1 (en) Robotic game systems and methods
US9878258B2 (en) Reverse propulsion aerial gaming systems, methods, and devices
US10258888B2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grated real and virtual game play for multiple remotely-controlled aircraft
US10197998B2 (en) Remotely controlled motile device system
US9630100B2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game play with multiple remote-control flying carpet
US2017002493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2012509812A (en) Device for maneuvering drone
CN206325224U (en) Use the flight combat game device of many rotor type flying robots
US20180008890A1 (en) System for game play with multiple remote-control flying craft with wireless communication
KR102419902B1 (en) Drone sports game system
KR102132555B1 (en) Drone system using drone sports and drone sports game method
KR101903678B1 (en)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for UAS
JP2006034823A (en) Shooting game system
US9211472B2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program configured to control a game in which a character is moved along a shadow
KR102106730B1 (en) Drone device
US20110025542A1 (en) Integration Interface of a Remote Control Toy and an Electronic Game
JP4521540B2 (en) Flying robot
JP6943674B2 (en) Mobiles, control methods and control programs
US8721444B2 (en) Game device for performing operation object control and non-operation object control
KR102237874B1 (en) Dron flight practicing system
JP5453006B2 (en) Game device
JP5545024B2 (en) Light emit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5600033B2 (en) GAME DEVICE, GAME CONTROL METHOD, AND GAME CONTROL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