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634B1 -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 Google Patents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634B1
KR102419634B1 KR1020170140446A KR20170140446A KR102419634B1 KR 102419634 B1 KR102419634 B1 KR 102419634B1 KR 1020170140446 A KR1020170140446 A KR 1020170140446A KR 20170140446 A KR20170140446 A KR 20170140446A KR 102419634 B1 KR102419634 B1 KR 102419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sof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4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536A (ko
Inventor
우가영
최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1404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634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5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2Solder mask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0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 H05K3/32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 H05K3/34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electric components, e.g. with resist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ic components or wires to printed circuits by soldering
    • H05K3/3457Solder materials or compositions; Methods of application thereof
    • H05K3/3478Applying solder preforms; Transferring prefabricated solder patter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ic Connection Of Electric Components To Prin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은,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단위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으로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이 상부에 위치하고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이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이 하부에 위치하고,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이 상부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의 배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 레일부; 및 상기 레일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의 외주와 연결된 연결 탭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Serially Arranged Printed Circuit Board and Metal Mask}
본 발명은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최근, 노트북, 비디오 카메라, 휴대용 전화기 등과 같은 휴대용 전자 제품의 수요가 급격하게 증대되고, 전기 자동차, 에너지 저장용 축전지, 로봇, 위성 등의 개발이 본격화됨에 따라, 반복적인 충방전이 가능한 고성능 이차전지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이차전지로는 니켈 카드뮴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아연 전지, 리튬 이차전지 등이 있는데, 이 중에서 리튬 이차전지는 니켈 계열의 이차전지에 비해 메모리 효과가 거의 일어나지 않아 충방전이 자유롭고, 자가 방전율이 매우 낮으며 에너지 밀도가 높은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한편, 리튬 이차전지는 전지 케이스의 형상에 따라, 전극 조립체가 금속 캔에 내장되어 있는 캔형 이차전지와 전극 조립체가 알루미늄 라미네이트 시트의 파우치에 내장되어 있는 파우치형 이차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캔형 이차전지는 다시 금속 캔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전지와 각형 전지로 분류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이러한 파우치형 이차전지에는 각종 가연성 물질들이 내장되어 있어서, 과충전, 과전류, 기타 물리적 외부 충격 등에 의해 발열, 폭발 등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안전성에 큰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차전지에는 과충전 등의 비정상인 상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보호회로모듈(PCM)이 전지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탑재되어 있다.
이러한 보호회로모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각종 기능을 가진 전자 소자를 실장되어 있는 인쇄회로기판(PCB) 구성이 필요로 했다.
이러한 인쇄회로기판은,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복수개의 인쇄회로기판으로 구성되는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 및 타면 각각에 형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의 도체 패턴에 맞게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도록, 2종의 금속 마스크가 반드시 필요했었다. 이에 따라, 2종의 금속 마스크 제작에 따른 제조 비용 상승과, 금속 마스크의 교체 작업으로 인한 제조 시간 소요 등이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제조 공정을 간소화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은,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단위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으로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이 상부에 위치하고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이 하부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상기 제1 단위 기판부의 제1면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위 기판부의 제2면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이 상부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의 배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 레일부; 및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와 상기 레일부 사이를 결합 고정하도록 상기 레일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의 외주와 연결된 연결 탭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의 일렬로 연속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는, 상하 방향의 다른 열에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는, 상기 다수 열 사이 및 최외측 열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마스크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상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제1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1 주입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 제2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가 형성된 복수의 제2 주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는, 상기 금속 마스크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는, 상기 금속 마스크의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의 일렬로 연속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는 상하 방향의 다른 열에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주입부 및 상기 제2 주입부는, 상기 금속 마스크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단품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일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된 제1 주입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 타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된 제2 주입부가 형성된 금속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을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단계(b)에서 사용된 금속 마스크를 재사용하여,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제1 단위 기판부의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 각각의 제1면 및 제2면의 전자 소자 실장 영역에 전자 소자들을 부착하는 단계; 및
(f) 상기 연결 탭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를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은, 1종의 금속 마스크만을 사용하여, 제1 단위 기판부 및 제2 단위 기판부의 앙면에 형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의 도체 패턴에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은,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 및 타면 각각에 형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의 도체 패턴에 맞게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도록, 2종의 금속 마스크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 구성인 제1 단위 기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a) 및 후면도(b)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 구성인 제2 단위 기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a) 및 후면도(b)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 구성인 제1 단위 기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a) 및 후면도(b)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일부 구성인 제2 단위 기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도(a) 및 후면도(b)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은,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단위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단위 인쇄회로 기판은, 예를 들면, 모바일 폰에 적용되는 전지팩에 구비된 보호회로모듈의 일부 구성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은, 제1 단위 기판부(111), 제2 단위 기판부(112), 레일부(120), 및 연결 탭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111A)이 상부에 위치하고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111B)이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의 제1면(111A)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112A), 및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의 제2면(111B)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112B)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제1면(112A)이 하부에 위치하고 제2면(112B)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은, 상면에 금속 마스크를 사용하여 솔더 크림을 도포한 뒤,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의 하면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을 뒤집어 배치할 경우에도, 뒤집기 이전의 제1 단위 기판부 및 제2 단위 기판부의 배치가 동일한 배치를 가지므로, 앞서 사용했던 동일 금속 마스크를 재사용하여,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 상에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 모두의 앙면에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은, 1종의 금속 마스크를 사용하여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에 형성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 모두의 앙면에 형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의 도체 패턴에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은, 종래기술과 같이,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 및 타면 각각에 형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의 도체 패턴에 맞게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도록, 2종의 금속 마스크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 상기 레일부(120), 및 상기 연결 탭부(130)는 복수의 절연층 및 상기 복수의 절연층에 의해 분리되는 복수의 도전 물질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에 구비된 제1 단위 기판부(111)는, 양면에 도체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도체 패턴(111C)은 상기 복수의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도전 물질층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 패턴(111C)은 예를 들면, 랜드(land)일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에 구비된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양면에 도체 패턴(112C)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도체 패턴(111C)은 상기 복수의 절연층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도전 물질층의 적어도 일부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도체 패턴(112C)은 예를 들면, 랜드(land)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W)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는 일렬에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 또한 타열에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는 레일부(12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H)의 일렬로 연속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상하 방향(H)의 다른 열에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이상의 제1 단위 기판부(111)가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상하 방향(H)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고, 4개 이상의 제2 단위 기판부(112)가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상하 방향(H)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120)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의 배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레일부(120)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평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가 배열된 방향인 좌우 방향(W)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120)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평면상에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가 상하 방향(H)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레일부(120)는, 길게 연장된 바 형태일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레일부(120)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의 배열체의 주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레일부(120)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의 배열체의 상하좌우 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결 탭부(130)는, 상기 레일부(120)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의 외주와 연결된 구조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 탭부(130)는,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와 상기 레일부(120) 사이를 결합 고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B)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W) 및 상하 방향(H)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순서를 바꿔가면서 좌우 방향(W)의 열 및 상하 방향(H)의 열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중 어느 하나는, 상기 레일부(120)를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될 경우, 타측에는 제2 단위 기판부(112)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중 어느 하나는 상부 및/또는 하부에 제2 단위 기판부(112)가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이상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4개 이상의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순서를 바꿔가면서 좌우 방향(W) 및 상하 방향(H)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4개의 제1 단위 기판부(111) 중 2개는 상기 레일부(120)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제1 단위 기판부(111)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4개의 제2 단위 기판부(112) 중 2개는 상기 레일부(120)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제2 단위 기판부(112)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하나의 제1 단위 기판부(111)는 하부에 제2 단위 기판부(112)가 위치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제1 단위 기판부(111)는 상부 및 하부에 제2 단위 기판부(112)가 위치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C)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 또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열(141)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제2 단위 기판부(112)가 교번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다른 하나의 열(142)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나의 열(141)과 반대 순서로 제2 단위 기판부(112) 및 제1 단위 기판부(111)가 교번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하나의 열(143)에는 하나의 열과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제2 단위 기판부(112)가 교번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일부(120)는, 상기 다수 열(141, 142, 143) 사이 및 최외측 열(141, 143)의 외곽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레일부(120)는 제1열(141) 및 제2열(142) 사이 및 제2열(142) 및 제3열(1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레일부(120)는 최외측 열인 제1열(141)의 좌측 및 제3열(143)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5에 나타낸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C)과 비교하여, 한번에 더 많은 숫자의 단위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금속 마스크(200A)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 상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기 위해 개구(D)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금속 마스크(200A)는, 솔더 크림을 도포하기 위한 복수의 제1 주입부(211) 및 복수의 제2 주입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주입부(211)는,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제1면(111A)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D)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주입부(212)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 제2면(112B)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D)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및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는, 상기 금속 마스크(200A)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W)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는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 또한 타열에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및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는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는, 상기 금속 마스크(200A)의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H)의 일렬에서 연속 배열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는, 상하 방향(H)의 다른 열에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이상의 제1 주입부(211)가 금속 마스크(20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서 상하 방향(H)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고, 4개 이상의 제2 주입부(212)가 금속 마스크(200A)의 중심을 기준으로 우측에서 상하 방향(H)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7에 개시된 금속 마스크(200A)는, 도 4의 도시된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에 제1 단위 기판부(도 4의 111) 및 제2 단위 기판부(도 4의 112)에 형성된 도체 패턴에 솔더 크림을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주입부(211) 및 상기 제2 주입부(212)는, 상기 금속 마스크(200B)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W) 및 상하 방향(H)으로 교번 배열될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및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는 순서를 바꿔가면서 좌우 방향(W)의 일렬 및 상하 방향(H)의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중 어느 하나는, 좌우 방향(W)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배치될 경우, 타측에는 제2 주입부(212)가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중 어느 하나는 상부 및/또는 하부에 제2 주입부(212)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4개 이상의 제1 주입부(211) 및 4개 이상의 제2 주입부(212)는 순서를 바꿔가면서 좌우 방향(W) 및 상하 방향(H)으로 연속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상기 4개의 제1 주입부(211)는, 좌우 방향(W)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제1 주입부(211)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4개의 제2 주입부(212) 중, 2개는 좌우 방향(W)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2개의 제2 주입부(212)는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도 8에 개시된 금속 마스크(200B)는, 도 5에 도시된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B)에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제2 단위 기판부(112)에 형성된 도체 패턴에 솔더 크림을 효과적으로 도포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 마스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부분 평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 마스크(200C)는,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 또는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및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열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제1 주입부(211) 및 상기 복수의 제2 주입부(212)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열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하나의 열(241)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 주입부(211) 및 제2 주입부(212)가 교번 배열될 수 있고, 다른 하나의 열(242)에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하나의 열과 반대 순서로 제2 주입부(212) 및 제1 주입부(211)가 교번 배열될 수 있으며, 또 다른 하나의 열(243)에는 하나의 열과 마찬가지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제1 주입부(211) 및 제2 주입부(212)가 교번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도 8에 나타낸 금속 마스크(200C)와 비교하여, 한번에 더 많은 숫자의 단위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단품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제조방법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 상기 레일부(120), 및 상기 연결 탭부(130)를 구비한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을 준비하는 단계(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일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된 제1 주입부(211),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 타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된 제2 주입부(212)가 형성된 금속 마스크(200A)를 사용하여,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상면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b)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의 하면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을 좌우 방향(W)으로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c)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은, 뒤집기 전과 동일하게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112)가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단계(b)에서 사용된 금속 마스크(200A)를 재사용하여, 상기 단계(c)에서 뒤집어진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 상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d)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의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 각각의 제1면(111A, 112A) 및 제2면(111B, 112B)의 전자 소자 실장 영역에 전자 소자들을 부착하는 단계(e)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솔더 크림이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은 리플로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연결 탭부(130)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를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f)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와 연결된 상기 연결 탭부(130)의 일단이 절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1종의 금속 마스크(200A)를 사용하여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100A)에 형성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111)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112) 모두의 앙면에 형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의 도체 패턴에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은, 종래기술과 같이, 인쇄회로 기판의 일면 및 타면 각각에 형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의 도체 패턴에 맞게 솔더 크림을 도포할 수 있도록, 2종의 금속 마스크를 제작할 필요가 없어, 인쇄회로 기판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고 제조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상, 하, 좌, 우, 전, 후와 같은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가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용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대상이 되는 사물의 위치나 관측자의 위치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은 본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111: 제1 단위 기판부
112: 제2 단위 기판부
H: 상하 방향
W: 좌우 방향
120: 레일부
130: 연결 탭부
131, 132: 일단, 타단
141, 142, 143: 제1열, 제2열, 제3열
200A, 200B, 200C: 금속 마스크
211: 제1 주입부
212: 제2 주입부

Claims (10)

  1.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단위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으로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이 상면에 위치하고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이 하면에 위치한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상기 제1 단위 기판부의 제1면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1면이 하면에 위치하고, 상기 제1 단위 기판부의 제2면과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제2면이 상면에 위치한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의 배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된 형태로 구성된 레일부; 및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와 상기 레일부 사이를 결합 고정하도록 상기 레일부의 일측단으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제2 단위 기판부의 외주와 연결된 연결 탭부
    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을 뒤집기 이전의 제1 단위 기판부 및 제2 단위 기판부의 배치가 뒤집기 이후와 동일한 배치를 가져,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상면의 전자 소자 실장 영역과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하면의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이 서로 동일한 형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으로 교번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평면상에서 상하 방향의 일렬로 연속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는, 상하 방향의 다른 열에서 연속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는,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의 평면상에서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교번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 또는 상기 복수의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복수의 제2 단위 기판부가 일방향으로 배열된 다수 열을 가지고,
    상기 레일부는, 상기 다수 열 사이 및 최외측 열의 외곽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양면에 전자 소자 실장 영역을 가진 단품 인쇄회로 기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a)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일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된 제1 주입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 타면에 형성된 도체 패턴 상에 솔더 크림이 도포되도록 개구된 제2 주입부가 형성된 금속 마스크를 사용하여,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의 상면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이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을 뒤집어 배치하는 단계;
    (d) 상기 단계(b)에서 사용된 금속 마스크를 재사용하여,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 상에 솔더 크림을 도포하는 단계;
    (e) 상기 제1 단위 기판부의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 각각의 제1면 및 제2면의 전자 소자 실장 영역에 전자 소자들을 부착하는 단계; 및
    (f) 상기 연결 탭부를 제거하여, 상기 제1 단위 기판부 및 상기 제2 단위 기판부를 상기 연배열 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20170140446A 2017-10-26 2017-10-26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KR102419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46A KR102419634B1 (ko) 2017-10-26 2017-10-26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46A KR102419634B1 (ko) 2017-10-26 2017-10-26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536A KR20190046536A (ko) 2019-05-07
KR102419634B1 true KR102419634B1 (ko) 2022-07-08

Family

ID=6665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446A KR102419634B1 (ko) 2017-10-26 2017-10-26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6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9484A (ja) * 2011-04-25 2012-11-2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薄膜蒸着用のマスクフレームアセンブリ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761B1 (ko) * 2000-05-17 2003-12-01 주식회사 부양텔콤 플랙시블 피시비의 연배열 크림솔더 인쇄용 지그 및연배열 크림솔더 인쇄방법
KR100505672B1 (ko) * 2003-02-11 2005-08-03 삼성전자주식회사 대칭적인 레이아웃 구조를 갖는 연배열 인쇄 회로 기판
KR100955279B1 (ko) * 2008-06-10 2010-04-30 주식회사 서보 메탈 마스크
KR102041501B1 (ko) * 2013-09-13 2019-11-06 삼성전자 주식회사 연배열 인쇄회로기판, 그의 불량 단품 인쇄회로기판의 교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전자 장치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29484A (ja) * 2011-04-25 2012-11-22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薄膜蒸着用のマスクフレームアセンブリ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536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47107B2 (en) Battery pack
US10720616B2 (en) Battery pack with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ode tabs
US8815422B2 (en) Battery pack
US9716258B2 (en) Battery pack
US9685801B2 (en) Circuit board for secondary battery having current interrupter and battery pack including the same
KR102434771B1 (ko) 배터리 팩
US8440344B2 (en) Secondary battery pack
KR101116409B1 (ko) 배터리 팩
EP2905824B1 (en) Battery pack
JP6604636B2 (ja) 熱可塑性樹脂による固定構造を含む電池パック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EP2849251B1 (en) Battery pack
JP7371130B2 (ja) バッテリーラック及び電力貯蔵装置
US20140178715A1 (en) Battery pack
KR20120008456A (ko) 전지셀의 회전 지그 및 이를 이용한 전지셀 용접 방법
EP2824730B1 (en) Battery Pack
KR101002446B1 (ko) 보호회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1233624B1 (ko) 이차전지 팩
KR20130062196A (ko) 배터리 팩
US20060227521A1 (en) Rechargeable battery, printed circuit board therefor,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2419634B1 (ko) 연배열 인쇄회로 기판 및 금속 마스크
KR101678528B1 (ko) 전지 팩
KR100571270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1842032B1 (ko)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배터리 팩
KR20220064614A (ko)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배터리 장치
US9362543B2 (en) Battery pa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