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604B1 -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604B1
KR102419604B1 KR1020200188829A KR20200188829A KR102419604B1 KR 102419604 B1 KR102419604 B1 KR 102419604B1 KR 1020200188829 A KR1020200188829 A KR 1020200188829A KR 20200188829 A KR20200188829 A KR 20200188829A KR 102419604 B1 KR102419604 B1 KR 102419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p slope
information
risk
name
ste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19604B9 (ko
KR20220096417A (ko
Inventor
양동민
안경훈
Original Assignee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아에스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88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96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96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6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04B1/ko
Publication of KR10241960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60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06F16/2228Indexing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5Risk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activ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1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t coastal zones; at river basins
    • Y02A10/40Controlling or monitoring, e.g. of flood or hurricane; Forecasting, e.g. risk assessment or map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과제는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취약 핵심역량 도약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9-MOIS33-005).
본 발명은 사전에 저장된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받는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 정보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출력하되, 해당 상세 정보를 급경사지별 재해위험도 별로 구분되도록 출력하는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 및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과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의 동작을 하나의 플랫폼 상에서 관리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정보에 의하여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1만 4천 이상의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고 인구 밀집 및 재산 피해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대한 리스크 분석 및 시스템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SYSTEM FOR MANAGING DETAIL INFORMATION OF STEEP SLOPE-LAND USING DISASTER RISK ASSESSMENT PROCEDURE OF STEEP SLOPE-LAND}
본 발명은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과제는 행정안전부 재난안전 취약 핵심역량 도약기술 개발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9-MOIS33-005).
일반적으로, 급경사지는 2010년 제정된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에 따라 택지, 도로, 철도 및 공원시설 등에 부속된 자연 비탈면, 인공 비탈면(옹벽 및 축대 등을 포함함) 또는 이와 접한 산지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것으로 정의된다.
급경사지의 종류는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 따라 크게 자연 비탈면과 인공 비탈면으로 나눌 수 있으며,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50m 이상이고 경사도가 34도 이상인 것을 자연 비탈면으로 정의하고,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5m 이상이고, 경사도가 34도 이상이며 길이가 20m 이상인 것을 인공 비탈면으로 정의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전 세계적으로 데이터 통합 구축 및 활용을 통한 빅데이터 분야가 국가 경제발전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각되고 있고, 빅데이터를 이용하여 사회 구성원의 생활 및 안전을 책임지기 위한 다양한 솔루션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행정안전부에서 활용중인 국가재난관리정보시스템(NDMS,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System)의 급경사지정보는 단순 텍스트 기반의 자료로 구축 및 관리되어 급경사지 관리 및 재해 예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급경사지정보 중 지하공간정보는 연구기관별 또는 사업기관별로 조사 및 관리되고 있어 통합적인 자료로 축적되고 있지 못하므로 데이터베이스 중복 구축이 발생하고 급경사지 관리와 연관된 각 기관별 시스템 간의 상호 연계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1만 4천 이상의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 중에 있다.
이에 따라, 급경사지 관리 구역 중 인구 밀집 및 재산 피해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대한 리스크 분석 및 관리 시스템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특허등록공보 제10-1000553호 (공고일자: 2010. 12. 06) 특허등록공보 제10-1240619호 (공고일자: 2013. 02. 28)
전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 실시예들의 목적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1만 4천 이상의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고 인구 밀집 및 재산 피해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대한 리스크 분석 및 시스템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은 사전에 저장된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받는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 정보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출력하되, 해당 상세 정보를 급경사지별 재해위험도 별로 구분되도록 출력하는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 및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과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의 동작을 하나의 플랫폼 상에서 관리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정보에 의하여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은,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반정보의 등록,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일반정보 관리부;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일제조사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일제조사 관리부;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위험도 분석결과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위험도 분석부; 및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안전점검 결과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안전점검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은 상기 일반정보 관리부, 일제조사 관리부, 위험도 분석부 및 안전점검 관리부에 대한 제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여 스키마를 설계하고,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기초로, 위험도평가 점검표, 위험도평가 점검 체크, 일반정보, 일제조사 점검표, 안전점검 점검표, 안전점검 체크, 위험도평가표 붕괴위험코드(large, medium, small), 위험도 조사자의견 코드, 위험도평가기준 코드, 위험도평가표 코드 루트(root), 위험도평가표 사회적영향코드(large, medium, small) 각각에 대한 제2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여 스키마를 설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반정보 관리부는 급경사지 일반정보를 관리하며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반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 일반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급경사지의 위도, 경도를 통하여 해당 급경사지의 시도, 시군구, 읍면동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지역, 재해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제조사 관리부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일제조사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일제조사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위험도 분석부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위험도분석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위험도분석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위험도분석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점검 관리부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안전점검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안전점검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안전점검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은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에 의하여 출력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자의 선택 정보에 대응되도록 맞춤형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1만 4천 이상의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고 인구 밀집 및 재산 피해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대한 리스크 분석 및 시스템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급경사지 일제조사, 재해위험도 평가, 안전도 검사 데이터 입력 등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하고, 조사에 대한 검사 일자별 조회 및 관리 기능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의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도 1의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을 통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4i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테이블명에 따른 정의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5b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테이블명에 따른 논리/물리 ERD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a 내지 6e는 도 1의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을 통한 급경사지 관리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들과 실시예들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발명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 요소는 제 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 요소도 제 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도 1의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을 통해 설계된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내지 4i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테이블명에 따른 정의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a 내지 5b는 도 3의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구성하는 각각의 테이블명에 따른 논리/물리 ERD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a 내지 6e는 도 1의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을 통한 급경사지 관리화면들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1)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 1만 4천 이상의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실질적인 위험도 평가를 수행하고 인구 밀집 및 재산 피해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점에 대한 리스크 분석 및 시스템 전반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써,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20) 및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30)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1)은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20) 및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3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장치인 프로세서(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은 사전에 저장된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받는 장치이다. 이러한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은 각종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급경사지 지표면정보와 급경사지 지하공간정보를 포함하는 급경사지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상기 급경사지 관련 정보는 과거 특정 시점에 작성된 토질 및 지반조사보고서 기반의 정보일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급경사지 지표면정보는 관리자가 직접 급경사지의 지표면 상태를 조사하여 작성된 문서로, 예를 들어 급경사지의 위치, 관리주체, 경사, 높이, 길이 제원, 결함인자(지하수상태, 강도, 배수로상태, 절리방향), 피해인자(이격거리, 피해규모), 토석류 발생 영향성 검토 등을 포함하는 일제조사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례로, 상기 급경사지 지하공간정보는 급경사지 주변 반경 1km 이내의 지하공간정보로서, 지반정보, 관정정보, 광산정보 및 지질정보와 연관된 정적정보 및 동적정보를 포함한다. 지반정보는 공간정보(위치정보)와 속성정보(사업정보, 시추공정보, 시험정보 등)로 구성되고, 수자원 관정정보는 지하수개발 이용정보, 국가지하수관측망정보, 지하수수질망 정보로 구성되고, 농어촌 관정정보는 농촌지하수관리 측정망, 해수침투 관측망 등의 정보로 구성되고, 광산정보는 광산지질도, 광산 시추탐사도 등의 정보로 구성되며, 지질정보는 수치지질도 정보, 디지털 시추코아 및 물리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지반정보는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관리되고, 수자원 관정정보는 한국수자원공사에서 관리되고, 농어촌 관정정보는 한국농어촌공사에서 관리되고, 광산정보는 한국광물자원공사에서 관리되며, 지질정보는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관리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반정보의 등록,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일반정보 관리부(110)와,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일제조사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일제조사 관리부(120)와,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위험도 분석결과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위험도 분석부(130)와,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안전점검 결과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안전점검 관리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을 통하여 급경사지관리를 수행하기 위한 각각의 기능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우선 일반정보 관리부(110)는 급경사지 일반정보를 관리하며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반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 일반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급경사지의 위도, 경도를 통하여 해당 급경사지의 시도, 시군구, 읍면동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지역, 재해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일제조사 관리부(120)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일제조사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일제조사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된다.
상기 위험도 분석부(130)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위험도분석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위험도분석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위험도분석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전점검 관리부(140)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안전점검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안전점검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안전점검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은 일반정보 관리부(110), 일제조사 관리부(120), 위험도 분석부(130) 및 안전점검 관리부(140)에 대한 제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여 스키마를 설계한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20)은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 정보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출력하되, 해당 상세 정보를 급경사지별 재해위험도 별로 구분되도록 출력하는 장치이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20)은 제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기초로, 위험도평가 점검표, 위험도평가 점검 체크, 일반정보, 일제조사 점검표, 안전점검 점검표, 안전점검 체크, 위험도평가표 붕괴위험코드(large, medium, small), 위험도 조사자의견 코드, 위험도평가기준 코드, 위험도평가표 코드 루트(root), 위험도평가표 사회적영향코드(large, medium, small) 각각에 대한 제2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여 스키마를 설계한다.
즉,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테이블은 도 3에서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ID, 테이블스페이스 ID, 테이블 ID, 테이블명으로 분류한 다음, 각각의 ID별로 도 4a 내지 도 4i에서와 같은 테이블명을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테이블명은, 도 4a에 도시된 위험도평가 점검표(급경사지 관리번호, 평가일자, 점검구분, 평가합계)와 위험도평가 점검 체크, 도 4b에 도시된 일반정보(급경사지 고유번호, 급경사지명, 시도, 시군구, 읍면동, 상세주소, 도로명, 산주소여부, 주지번, 부지번, X좌표(경도), Y좌표(위도), 소관부서명, 시행청명, 관리주체구분, 도곽번호, 지도정보, 위험평가등급, 일제조사일, 위험도평가일, 안전점검일, 붕괴위험지구지정여부, 자료이력일자, 재해위험도평가종류코드), 도 4c 및 4d에 도시된 일제조사 점검표(급경사지고유번호, 일제조사일지, 소속, 직급, 성명, 연락처(사무실), 연락처(휴대폰), 시도, 시군구, 읍면동, 상세주소, 도로주소, 산주소여부, 주지번, 부지번, GPS 시점, GPS 종점, 관리기관, 비탈면용도, 자연비탈면, 인공비탈면, 산지, 비탈면유형, 비탈면유형 기타, 최고수직고, 종단길이, 평균경사, 산마루구축여부, 상마루구조, 붕괴이력여부, 붕괴발생년도, 인공비탈면조성연도, 조성자, 토사비탈, 비수로상태, 옹벽(콘크리트), 옹벽(콘크리트) 기타, 옹벽(석측), 옹벽(석측) 기타, 암반, 비탈형상, 식생밀도(수목), 식생밀도(초본식물), 용출수 발생, 상부외력, 상부외력 기타, 경사지와 하류인가와의 이격거리, 경사지와 공공시설물과의 이격거리, 경사지와 공공시설물과의 이격거리 주요시설물, 하류하천거리, 매몰유실피해, 주변지형구분코드, 하류하천 위험성_미터, 하류하천 위험성_하천, 하류하천 위험성, 하천피해, 계측관리필요성코드, 계측관리필요성 사유, 재해위험도평가등급코드, 위험해소방안코드, 위험해소방안 기타, 정비계획사업량내용, 정비계획사업비내용, 자연재해위험지구지정일자, 자연재해위험지구 지정여부, 붕괴위험지역 지정여부, 붕괴위험지역 지정일자, 정비사업 추진코드, 조사자종합의견내용, 점검자 소속, 점검자 직급, 점검자 성명, 점검자 연락처, 확인자 소속, 확인자 직급, 확인자 성명, 확인자 연락처, 확인자 성명, 확인자 연락처, 전경사진 아이디, 측면 세부사진 아이디), 도 4e에 도시된 안전점검 점검표(급경사지고유번호, 안점점검일시, 급경사지명, 관리주체구분, 조사자명, 조사자연락처, 시도, 시군구, 읍면동, 상세주소, 도로주소, 산주소여부, 주지번, 부지번, 높이,연장, 경사, 유형, 점검자 소속, 점검자 직급, 점검자 성명, 점검자 연락처(사무실), 점검자 연락처(휴대폰), 시설상태, 조치사항, 정밀점검필요여부, 확인자소속, 확인자 직급, 확인자 성명, 점검사진 아이디), 도 4f 내지 도 4g에 도시된 안전점검 체크(급경사지고유번호, 점검상세코드, 점검상세결과, 점검일시)와, 위험도평가표 붕괴위험코드(large, medium, small)(각각 위험도평가표 대분류코드, 붕괴위험 각 단계별 코드, 붕괴위험 각 단계별 명칭, 위험도평가표 full 코드), 위험도 조사자의견 코드, 도 4h에 도시된 위험도평가기준 코드, 위험도평가표 코드 root, 도 4i에 도시된 위험도평가표 사회적영향코드(large, medium, small)을 포함하여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데이터베이스테이블에 포함된 각각의 테이블은 도 5a 내지 5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논리/물리 ERD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30)은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10)과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20)의 동작을 하나의 플랫폼 상에서 관리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정보에 의하여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이다. 즉, 상기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30)은 급경사지 일제조사, 재해위험도 평가, 안전도 검사 데이터 입력 및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하고, 조사(즉, 안전도 검사)에 대한 검사 일자별 조회 및 관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30)은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20)에 의하여 출력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자의 선택 정보에 대응되도록 맞춤형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한다.
일 예로, 상기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30)을 통한 급경사지 관리화면들을 살펴보자면, 도 6a와 같은 급경사지 관리 화면 목록(일반정보관리 / 일제조사관리 / 위험도분석관리 / 안점점검관리)을 가지고, 도 6b와 같은 급경사지 일반정보관리화면(등록된 급경사지의 일반정보를 추가 및 수정)을 통하여 급경사지 등록, 기존에 등록되어 있는 급경사지 정보를 수정하게 하고, 도 6c와 같은 급경사지 일제조사관리화면(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를 추가 및 수정)을 통하여 선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신규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일제조사를 선택하여 결과 수정이 가능하게 하며, 도 6d와 같은 급경사지 위험도 분석관리화면(등록된 급경사지의 위험도 분석 결과를 추가 및 수정)을 통하여 선택된 급경사지의 위험도 분석 결과 신규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위험도 분석 결과를 선택하여 결과 수정이 가능하게 하고, 도 6d와 같은 급경사지 안전점검관리화면(등록된 급경사지의 안전점검 결과를 추가 및 수정)을 통하여 선택된 급경사지의 안전점검 결과 신규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안전점검 결과를 선택하여 결과 수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30)을 통하여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 분야를 플랫폼을 기반으로 정보화하여 상시 관리함으로써 급경사지 재해 예방활동에 대한 신뢰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급경사지별 재해위험도 평가의 흐름 파악에 용이하도록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첨부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10: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 20: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
30: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 40: 프로세서
110: 일반정보 관리부 120: 일제조사 관리부
130: 위험도 분석부 140: 안전점검 관리부

Claims (8)

  1. 사전에 저장된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입력받는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 정보에 대응되도록 분류하여 출력하되, 해당 상세 정보를 급경사지별 재해위험도 별로 구분되도록 출력하는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 및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과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의 동작을 하나의 플랫폼 상에서 관리하고, 사용자의 입력에 의한 조건정보에 의하여 검색기능을 제공하는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은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반정보의 등록,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일반정보 관리부;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일제조사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일제조사 관리부;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위험도 분석결과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위험도 분석부; 및
    상기 급경사지 관리 구역에 대한 상세 정보 중 등록된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의 등록, 날짜별로 출력된 안전점검 결과에 대한 결과 추가 및 수정이 가능하도록 관리하는 안전점검 관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급경사지 정보 입력모듈은 상기 일반정보 관리부, 일제조사 관리부, 위험도 분석부 및 안전점검 관리부에 대한 제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여 스키마를 설계하고,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은 상기 제1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기초로, 위험도평가 점검표, 위험도평가 점검 체크, 일반정보, 일제조사 점검표, 안전점검 점검표, 안전점검 체크, 위험도평가표 붕괴위험코드(large, medium, small), 위험도 조사자의견 코드, 위험도평가기준 코드, 위험도평가표 코드 루트(root), 위험도평가표 사회적영향코드(large, medium, small) 각각에 대한 제2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을 정의하여 스키마를 설계하고,
    상기 제2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은 데이터베이스 ID, 테이블스페이스 ID, 테이블 ID, 테이블명으로 분류되고, 상기 테이블명은 상기 위험도평가 점검표, 위험도평가 점검 체크, 일반정보, 일제조사 점검표, 안전점검 점검표, 안전점검 체크, 위험도평가표 붕괴위험코드(large, medium, small), 위험도 조사자의견 코드, 위험도평가기준 코드 및 위험도평가표 코드 루트(root), 위험도평가표 사회적영향코드(large, medium, small)을 포함하여 정의되고,
    상기 일반정보 관리부는 급경사지 일반정보를 관리하며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반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 일반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급경사지의 위도, 경도를 통하여 해당 급경사지의 시도, 시군구, 읍면동을 자동으로 등록하고, 지역, 재해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일제조사 관리부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일제조사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일제조사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일제조사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위험도 분석부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위험도분석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위험도분석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위험도분석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안전점검 관리부는 재해 위험도 등급,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붕괴위험지역 여부의 검색조건을 통하여 급경사지의 일자별 안전점검 정보를 조회하고, 급경사지의 안전점검 정보를 신규 등록 및 수정가능하며, 지역, 재해 위험도 등급, 급경사지명, 소관부처명, 시행청명, 관리주체 구분, 급경사지 종류, 붕괴위험지역 여부, 안전점검 일자 선택을 통한 급경사지 목록을 검색 및 조회가능하며, 조회 시에는 급경사지별 재해 위험도 등급별 색상이 급경사지별 선택 버튼에 표출되도록 설계되고,
    상기 급경사지 정보 처리모듈은 상기 급경사지 정보 출력모듈에 의하여 출력된 상세 정보를 사용자의 선택 또는 관리자의 선택 정보에 대응되도록 맞춤형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200188829A 2020-12-31 2020-12-31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KR102419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29A KR102419604B1 (ko) 2020-12-31 2020-12-31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29A KR102419604B1 (ko) 2020-12-31 2020-12-31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6417A KR20220096417A (ko) 2022-07-07
KR102419604B1 true KR102419604B1 (ko) 2022-07-12
KR102419604B9 KR102419604B9 (ko) 2022-12-05

Family

ID=8239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29A KR102419604B1 (ko) 2020-12-31 2020-12-31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96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53B1 (ko) * 2010-08-13 2010-12-14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지역적 강우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강우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급경사지 재해예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619B1 (ko) 2012-10-30 2013-03-11 (주)디에스정보기술 지상 및 지하시설물의 위치정보를 기록하는 지아이에스의 실시간 갱신시스템
KR20170011766A (ko) * 2015-07-24 2017-02-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0553B1 (ko) * 2010-08-13 2010-12-14 대한민국(소방방재청장) 지역적 강우특성을 고려한 실시간 강우정보 수집 및 분석을 통한 급경사지 재해예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9604B9 (ko) 2022-12-05
KR20220096417A (ko) 2022-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4399210B (zh) 一种地质灾害应急管理与决策系统、方法及可读存储介质
Eskandari et al. Landfill site selection for municipal solid wastes in mountainous areas with landslide susceptibility
Donnini et al. Impact of event landslides on road networks: a statistical analysis of two Italian case studies
Napolitano et al. LAND-deFeND–An innovative database structure for landslides and floods and their consequences
Jeon et al. Development of dam safety management system
Khamehchiyan et al. Identification of hazardous waste landfill site: a case study from Zanjan province, Iran
KR102419604B1 (ko) 급경사지 재해위험도 평가절차를 토대로 한 급경사지 상세정보 관리시스템
Snyder et al. National requirements for improved elevation data
KR20170011766A (ko)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
Mundhe et al. GIS based urban flood vulnerability analysis in Western Zone of Ahmedabad City
Van Westen et al. National Scale Landslide Susceptibility Assessment for Saint Lucia
CN113987661A (zh) 一种震害预测可视化评估系统
Gao Karst feature distribution in southeastern Minnesota: extending GIS-based database for spatial analysis and resource management
Van Westen Guidelines for the generation of 1: 50.000 scale landslide inventory, susceptibility maps, and qualitative risk maps, illustrated with case studies of the provinces Thanh Hoa and Nghe An
Li et al. Study on road damage assessment based on RS and GIS
Guzzetti et al. Information system on historical landslides and floods in Italy
Wei et al. Automatic identification of buildings vulnerable to debris flows in Sichuan Province, China, by GIS analysis and Deep Encoding Network methods
KR102379621B1 (ko) 급경사지 시공간 흐름에 따른 가상데이터 표출 시스템 및 그 표출 방법
Cardona et al. Latin American and caribbean earthquakes in the GEM’s earthquake consequences database (GEMECD)
Breault et al. A century of hydrologic data collection prepares western Long Island for current and future water-resources challenges
Yaakup et al. Assessment of urban development and landuse changes’ impact on the environment: A case study of urban development in Klang Valley Region, Malaysia
Löwenborg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o predict site representativity
da Silva et al. Geo-environmental Terrain assessments based on remote sensing tools: A review of applications to hazard mapping and control
Horiuchi Development and use of digital data technology in sabo
Zand Enabling geotechnical data for broader use by the spatial data infrastructur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