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8292B1 -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 Google Patents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8292B1
KR102418292B1 KR1020220023036A KR20220023036A KR102418292B1 KR 102418292 B1 KR102418292 B1 KR 102418292B1 KR 1020220023036 A KR1020220023036 A KR 1020220023036A KR 20220023036 A KR20220023036 A KR 20220023036A KR 102418292 B1 KR102418292 B1 KR 1024182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lcro
shoulder
strap
wearing
bullet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3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규
황우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이치
Priority to KR1020220023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82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82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82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00Personal protection gear
    • F41H1/02Armoured or projectile- or missile-resistant garments; Composite protection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00Garments
    • A41D1/04Vests, jerseys, sweate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44B11/1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sliding wedge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25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with two or more separable parts
    • A44B11/2503Safety buckles
    • A44B11/2507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 A44B11/2523Safety buckles actuated by a push-button acting parallel to the main plane of the buckle an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fastening action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8/00Fasteners of the touch-and-close type; Making such fasteners
    • A44B18/0069Details
    • A44B18/0088Mixed male and femal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한 전신방탄복을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하며, 전신방탄복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신방탄복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Bulletproof clothing capable of easy to wear}
본 발명은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착용한 전신방탄복을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하며, 전신방탄복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신방탄복에 관한 것이다.
방탄복은 총탄에 대하여 인명을 보호하도록 설계된 안전 장비로서, 군인, 경찰, 경비요원 등이 착용하게 되며, 교전 상황에서 총탄이나 파편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방탄복은 실제 방탄 작용을 하는 방탄재와, 이를 둘러싸면서 의복으로서의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 외피로 구성된다. 이때, 외피는 통상 조끼와 같은 형태로 이루어져 내부로 방탄재를 수용하도록 마련된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방탄복은 신체의 전면, 배면 측면을 두르는 외피가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착용 및 해체가 곤란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탄복을 벗고 긴급하게 착용하거나, 혹은 해체후 신속하게 이동하는 상황에서 기동력이 매우 떨어지게 되어, 작전 수행의 효율이 좋지 못하였으며, 이 외에도, 방탄복의 취급, 휴대 등이 용이하지 못하여 군인들은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작전시 발생하는 위급 상황에서 구명 및/또는 탈출을 위해 인체로부터 방탄복을 신속하게 분리할 필요가 있는데, 방탄복을 빠르게 해체할 수 없게 되면 인명피해가 불가피하게 되는 상황도 발생한다.
또한, 착용자가 의식이 없거나 부상 중일 경우 방탄복의 탈착 지연에 기인하여 착용자에 대한 즉각적인 응급조치가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등록실용신안 20-0263746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착용한 전신방탄복을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하며, 전신방탄복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전신방탄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체와 하체에 연이어 착용하는 방탄슈트 및 상기 방탄슈트의 외측으로 겹쳐 착용하되, 상체에만 착용하는 방탄베스트를 포함하는 전신방탄복에 있어서, 상기 방탄슈트는 상체에 착용하는 상체부와 하체에 착용하는 하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체부는, 착용자의 흉부를 사방에서 감싸며, 흉부방탄부재가 수용되는 흉부착용부재; 및 상기 흉부착용부재의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양 팔을 감싸며, 상지방탄부재가 수용되는 한 쌍의 상지착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착용부재의 전면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흉부개방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흉부개방지퍼의 주변으로는 흉부개방지퍼를 덮는 지퍼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흉부착용부재의 좌우측에는 복수 개의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탄베스트는, 전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전면에 착용되는 전면부; 배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배면에 착용되는 배면부;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허리부분에 지지되는 한 쌍의 허리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상단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어깨부분에 견착되는 한 쌍의 어깨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깨연결부 각각은, 상기 배면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며 양면에 제1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어깨스트랩; 상기 제1 어깨스트랩에 중첩되게 결합되며, 양면에 제2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어깨벨크로가 제1 어깨스트랩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어깨버클을 통해 전면부와 연결 결합되는 제2 어깨스트랩; 및 연결 결합된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제2 어깨스트랩의 외측에 상호 둘러지되, 일측면 중앙에는 상기 제1 어깨스트랩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어깨벨크로의 편심된 일측면 외곽 부분에는 상기 제2 어깨스트랩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어깨벨크로와 마주하는 타측면 외곽 부분에는 제5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어깨벨크로의 반대편의 일측면 외곽 부분에는 상기 제5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는 어깨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제2 어깨스트랩의 중첩량에 따라 어깨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상기 배면부의 상단부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보조어깨스트랩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는, 배면에 전면쿠션패드가 형성되고 전면에 제1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전면방탄부재가 수용되는 전면수용공간을 가지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전면방탄부재를 전면수용공간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되, 내측 배면에는 제2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는 전면착용부재; 일단은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내측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타단에는 상기 제2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수용공간의 하단을 전후로 가로질러 전면방탄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 전착고정스트랩; 배면에는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전면착용벨크로가, 전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좌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패치; 및 배면에는 상기 제5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을 가지는 전면웨빙스트랩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전술패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전면 하단에는 전면착용부재의 내측 배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전면착용부재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는 전면하단가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하단가림편의 일측면에는 제7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다수 회 접철된 상태로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가 제2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며,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배면 하단에는 전면착용부재의 내측 배면에 접촉되지 아니한 전면하단가림편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하단을 2차적으로 폐쇄하는 전면하단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하단고정편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8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수용공간은 전면격막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되, 상기 전면격막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전면신장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허리연결부 각각의 일단은 배면부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허리버클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연결패치에 각각 연결 결합되어 한 쌍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 중 편측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을 분해하여 신체로부터 해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면부, 배면부, 어깨연결부 및 허리연결부를 수납하는 패키징백;을 더 포함하며. 패키징백에 수납된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하로 적층되게 마련되며,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에는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면파우치는, 전면포켓; 상기 전면포켓에 결합되며 끝단이 자유단 형태로서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관통하여 전면웨빙스트랩에 매달리는 전면행거스트랩; 및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이 전면통과공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되는 전면행거홀더;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 각각의 전면행거홀더에는 견착스트랩이 상호 관통해 결착되며, 상기 전면행거홀더는, 일측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루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견착스트랩이 통과하는 전면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에 상호 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을 이격지지하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호 형태로 만곡지게 구성되어 중앙 부분의 가압에 따라 반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전면지지판; 및 상기 제2 전면고정편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상기 견착스트랩의 통과시 견착스트랩을 걸림 지지하는 전면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이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되되, 전면행거홀더가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통과할 때에는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에 형성된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전면행거스트랩에 형성된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에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로 전면통과공을 통과하며, 상기 견착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면고정홀의 일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을 타고 넘어가되, 타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면걸림수단은, 상기 전면고정홀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탄성와이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걸리는 전면스탑볼; 상기 전면스탑볼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전면고정편 하단을 관통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비탄성와이어; 및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가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제2 전면고정편 외측 하단에 걸림 지지되는 전면스탑편;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스탑편을 하부로 견인하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가 하부로 신장되면서 상기 전면스탑볼이 걸림돌기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전면스탑편에 견인력이 제거되면 전면탄성와이어가 압축되면서 전면스탑볼이 정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착용한 전신방탄복을 착용자의 신체로부터 보다 신속하고 간편하게 해체시킬 수 있도록 하여 위급상황에 보다 신속하고 능동적으로 대처 가능하도록 하며, 전신방탄복의 취급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방탄슈트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방탄슈트와 방탄베스트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방탄복의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상체부의 전면이 개방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방탄슈트의 평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제2 넥카라의 타단이 탈거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전신방탄복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상체부와 전면착용부재의 경계부위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9는 식별패치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하체부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상체부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 제2 넥카라 및 지퍼덮개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신방탄복의 일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견착패드와 어깨연결부의 경계부위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3은 방탄베스트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방탄베스트의 요부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방탄베스트의 요부 배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어깨연결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여깨연결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전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전면착용부재의 하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0은 전면행거스트랩 및 전면행거홀더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전술패치와 전면파우치의 요부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전면행거홀더가 접철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전면행거홀더가 전면웨빙스트랩을 통과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견착스트랩이 결합된 방탄베스트의 하부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25는 도 21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6은 전면걸림수단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7은 패키징백에 전술벨트가 수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8 내지 도 29는 배면부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0은 제1 배면착용부재의 하부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1은 허리연결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2는 전술패치가 탈거된 상태의 방탄베스트 전면을 도시한 도면.
도 33은 허리연결부의 길이조절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4는 도 32에 도시된 A-A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5는 긴급착용부의 단독 착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36은 전술패치 및 가림막의 분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7은 전술벨트의 전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착용자의 전방을 향하는 방향을 전면 방향으로, 이와 반대되는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배면 방향으로 특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신방탄복은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방탄슈트(1) 및 방탄베스트(2)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먼저, 방탄슈트(1)는 상체와 하체에 연이어 착용할 수 있는 구성으로, 상체에 착용하는 상체부(1100)와 하체에 착용하는 하체부(1200)가 일체로 이루어져 점프 슈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즉, 방탄슈트(1)는 착용자의 상체와 하체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되, 상체부(1100)와 하체부(1200)가 서로 따로 놀지 아니하고, 일체로 연결 구성되는 구조로 인해, 격한 신체활동시 상체부(1100) 또는 하체부(1200)가 신체로부터 쉽게 벗겨지지 아니하고, 또한, 신체에 보다 여유롭게 착용이 가능하게 되어 착용자의 신체 자유도를 보장하는 등 착용감을 대폭 개선할 수 있게 된다.
상체부(1100)는 다시,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흉부착용부재(1110), 상지착용부재(1120) 및 넥카라부재(11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흉부착용부재(1110)는 착용자의 흉부를 사방에서 감싸는 구성으로, 내부로 흉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마련되고 전면과 배면에 각각 흉부방탄부재(1111)가 수용되어 외부요인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한다. 예컨대, 흉부착용부재(1110)의 전면과 배면 외측으로 별도 도면부호를 병기하지 않은 포켓이 봉제되고, 상기 포켓 상에 흉부방탄부재(1111)가 내재되어지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특히, 흉부착용부재(1110)의 전면에 형성된 흉부방탄부재(1111)의 경우, 중앙을 기준으로 좌우로 분절 형성되도록 하고, 흉부착용부재(1110)의 전면 중앙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흉부개방지퍼(1112)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어, 방탄슈트(1)의 착용시 방탄슈트(1)의 내부를 보다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흉부개방지퍼(1112)의 주변으로는 흉부개방지퍼(1112)를 덮는 지퍼덮개(1113)가 형성될 수 있다.
지퍼덮개(1113)는 흉부착용부재(1110)의 전면에 일체로 형성되어질 수 있고, 흉부개방지퍼(1112)를 충분한 면적으로 덮어 흉부개방지퍼(1112)의 외부노출을 방지할 수 있는 선에서, 적정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흉부개방지퍼(1112)가 외부로 그대로 노출되어 오조작에 의한 상체부(1100) 전면의 임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구조를 갖춘다.
또한, 후술 될 방탄베스트(2)의 착용시에도 흉부개방지퍼(1112)가 방탄베스트(2)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간섭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흉부착용부재(1110)의 좌우측에는 복수 개의 통기구(1114)가 관통 형성되어 통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흉부착용부재(1110)의 전면과 배면에는 복수 개의 제1 스냅단추(1115)가 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 될 방탄베스트(2)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1 스냅단추(1115) 대응개소에 제1 스냅단추(1115)와 결합되는 제2 스냅단추(11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방탄베스트(2)는 신체에 기착용된 방탄슈트(1)의 외측으로 겹쳐 착용되어지는바, 전신방탄복을 착용함에 있어, 방탄슈트(1)를 먼저 착용한 다음, 그 위로 방탄베스트(2)를 착용하고, 방탄베스트(2)의 제2 스냅단추(1115')를 방탄슈트(1)의 제1 스냅단추(1115)에 결합하게 되면 방탄슈트(1)의 고정위치로 방탄베스트(2)가 착용 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격한 신체활동시에도 방탄슈트(1) 위에서 방탄베스트(2)가 헛놀지 아니하고 일체감이 부여되어질 수 있게 되는 한편, 전신방탄복을 해체하는 경우 방탄베스트(2)를 강제로 잡아 당겨 제2 스냅단추(1115')가 제1 스냅단추(1115)로부터 탈거되도록 하면 방탄슈트(1) 위에서 위치고정된 방탄베스트(2)의 구속이 풀리게 된다.
다음으로, 상지착용부재(1120)는 흉부착용부재(1110)의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양 팔을 감싸게 되는 구성으로,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팔을 수용한다.
상지착용부재(1120)에는 상지방탄부재(1121)가 수용되어 외부요인으로부터 착용자를 보호한다. 상지착용부재(1120) 역시 전술한 흉부착용부재(1110)와 마찬가지로, 외측면에 포켓이 봉제되고, 상기 포켓 상에 상지방탄부재(1121)가 내재되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상지착용부재(1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외측면에는 제1 패치부착벨크로(1122)가 형성되고, 제1 패치부착벨크로(1122)에는 아군 식별을 위한 식별패치(112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식별패치(1123)는 일정 면적을 가지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통상 전투복에 오바로크되는 국기, 부대의 마크 등이 새겨진 패치일 수 있다.
이때, 식별패치(1123)의 일측면에는 제1 패치부착벨크로(1122)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는 제2 패치부착벨크로(1124)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면에는 식별코팅층(1125)이 코팅되는 구조를 갖춘다.
식별코팅층(1125)은 야간에 아군의 용이한 식별을 위한 구성으로서, 나노물질 예컨대, 인광 염료 또는 재귀반사 물질로 코팅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야간에 반사경을 통해 식별할 수 있는 공지된 수단들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지착용부재(1120)의 끝단은 시보리처리 등을 통해 탄성적으로 수렴되어지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다음으로, 넥카라부재(1130)는 흉부착용부재(1110)의 상부에 형성되며 착용자의 목을 사방에서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넥카라부재(1130)는 흉부개방지퍼(1112)를 통해 흉부착용부재(1110)의 전면을 개폐하게될 때 전면이 이와 함께 개폐되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착용자 목의 후방을 감싸도록 상기 흉부착용부재(1110)의 배면 상부로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으로 제1 넥카라벨크로(1132)가 형성되고 내부로 넥카라방탄부재(1133)를 수용하는 제1 넥카라(1131) 및 일단은 상기 제1 넥카라(1131)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를 이루되, 외측면에 상기 제1 넥카라벨크로(113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넥카라벨크로(1135)가 형성되어 착용자 목의 전방 좌우를 가로지른 상태에서 타단이 상기 제1 넥카라(1131)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 고정되는 제2 넥카라(1134)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방탄슈트(1)를 착용하게 되면 착용자의 목 부위의 후방은 제1 넥카라(1131)에, 전방은 제2 넥카라(1134)에 각각 감싸져 보호되는 한편, 제2 넥카라(1134)의 경우 타단을 제1 넥카라(1131) 상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방탄슈트(1)의 착용 또는 해체시 보다 용이하게 방탄슈트(1)를 취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넥카라(1131)는 전술한 흉부착용부재(1110)와 같이 외측으로 포켓이 봉제되고, 상기 포켓 상에 넥카라방탄부재(1133)가 내재되도록 하여 착용자의 목부 후방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넥카라(1134)는 주름진 형태를 갖추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주름을 피거나 또는 압축시키는 방식으로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제2 넥카라(1134)의 면적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넥카라부재(1130)의 좌우 양 측에는 견착패드(1117)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견착패드(1117)의 내부에는 소프트한 재질의 완충재가 충전되어 후술 될 방탄베스트(2)의 착용시 방탄베스트(2)의 하중으로부터 착용자의 어깨 부위를 완충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하체부(1200)는 착용자의 하체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구성으로, 흉부착용부재(1110)의 하단 좌우측에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양 다리를 감싸며 하지방탄부재(1220)가 수용되는 한 쌍의 하지착용부재(1210)로 예시될 수 있다.
하지착용부재(1210)는 내부가 빈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다리를 수용할 수 있으며, 끝단은 시보리처리 등을 통해 탄성적으로 수렴되어지는 구조를 갖출 수 있다.
이때, 흉부착용부재(1110)와 하지착용부재(1210)의 경계지점에는 상체부(1100)와 하체부(1200)의 접힘을 유도하는 접힘유도라인(1300)이 형성될 수 있다.
접힘유도라인(1300)은 상체부(1100)와 하체부(1200)의 접힘작용이 보다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이에 따라, 방탄슈트(1)를 착용한 상태에서 하체 움직임의 자유도가 보장되어진다.
접힘유도라인(1300)은 상기 경계지점의 둘레방향을 추종하는 지그재그 스티치 형태의 봉제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지그재그 스티치 봉제에 의해 봉제 면적을 효과적인 방식으로 넓게 구성하게 될 수 있으며 나아가, 경계지점 부분의 강도를 보강해 반복 접힘에도 충분한 내구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체부(1100)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벨트거치대(1116)가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벨트거치대(1116) 상에 벨트부(1400)가 연속적으로 통과해 상체부(1100)에 둘러질 수 있다.
벨트부(1400)의 일단에는 제1 벨트버클(1410)이, 타단에는 제2 벨트버클(1420)이 각각 형성되어 상체부(1100)에 둘러진 상태에서 제1 벨트버클(1410)과 제2 벨트버클(1420)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벨트부(1400)의 경로 상에는 벨트부(1400)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통상의 벨트에 채용되는 길이조절수단(1430)이 마련되어 벨트부(140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방탄슈트(1)의 착용시 흉부착용부재(1110)의 폭이 신체 흉부 사이즈보다 상대적으로 클 경우 방탄슈트(1)를 착용한 후의 신체활동에 제한이 가해지거나, 외관상 좋지 못하게 되는바, 상체부(1100) 외측에서 벨트부(1400)재를 조절하여 상체부(1100)를 신체에 보다 알맞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벨트부(1400)의 외측으로는 제1 덤프파우치(14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덤프파우치(1440)는 벨트부(1400)에 매달리는 방식으로 벨트부(1400)와 결합되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벨트부(1400)에는 제1 덤프파우치(1440)를 걸 수 있는 고리, 비너 등이 형성되거나, 혹은 제1 덤프파우치(1440)로부터 연장된 끈 벨트부(1400)에 둘러 고정하는 방식으로 제1 덤프파우치(1440)를 매달하 휴대할 수 있다.
제1 덤프파우치(1440)는 지갑형태의 접이식 형태로 마련되어, 각종 엄폐용 천막 등을 수납하거나, 혹은 덤프포켓 자체가 일정 면적을 천막 형태로 말려 보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방탄베스트(2)에 대해 설명한다.
방탄베스트(2)는 방탄슈트(1)의 외측으로 겹쳐 착용함으로써 외부요인으로부터의 보호기능을 배로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각종 장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춤으로써, 작전에 필요한 각종 장구류를 용이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방탄슈트(1)를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로 방탄베스트(2)를 착용하게 되면, 상체부(1100)의 상지착용부재(1120)와 하체부(1200)는 외부로 노출될 수 있으며, 실제 총탄 피격시 치명률이 높은 흉부 위주를 방탄슈트(1)와 방탄베스트(2)가 이중으로 보호하여 안전성능을 보다 향상시킨다.
방탄베스트(2)는 방탄슈트(1)의 외측으로 겹쳐 착용되는바, 이하의 방탄베스트(2)와 관련된 설명에서는 편의를 위해, 신체와의 위치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탄베스트(2)는 크게, 전면부(100), 배면부(200), 허리연결부(400), 어깨연결부(300) 및 긴급착용부(50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전면부(100)는 전면방탄부재(110)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전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체부(1100)의 전면에 착용될 수 있으며, 배면부(200)는 배면방탄부재(210)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배면,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체부(1100)의 배면에 각각 접해 착용될 수 있다.
허리연결부(400)와 어깨연결부(300)는 전면부(100)와 배면부(200)의 좌우측을 연결하되, 허리연결부(400)는 착용자의 좌우측 허리부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체부(1100)의 좌우 양 측면으로 각각 지지될 수 있도록 한 쌍의 구성으로 마련되고, 어깨연결부(300)는 전면부(100)와 배면부(200)의 상단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어깨부분,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체부(1100)의 상단에 각각 견착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마련된다.
이때, 어깨연결부(300)는 상기 견착패드(1117) 위로 견착되도록 함으로써 방탄베스트(2)의 하중이 착용자의 양 어깨에 직접적으로 가해지지 아니하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어깨연결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어깨연결부(300) 각각은 길이를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으면서도 방탄베스트(2)의 하중에 따라 착용자의 어깨에 통증을 야기시킴으로써 착용감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크게 제1 어깨스트랩(310), 제2 어깨스트랩(320) 및 어깨패드(3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어깨스트랩(310)은 길이방향으로 일정 길이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배면부(200)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며 끝단이 자유단 형태를 이루며, 양면에 제1 어깨벨크로(31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제2 어깨스트랩(320)은 전술한 제1 어깨스트랩(310)과 마찬가지로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제1 어깨스트랩(310) 외측에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어깨스트랩(320)의 양면에는 제2 어깨벨크로(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어깨벨크로(321)는 제1 어깨스트랩(31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3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어깨스트랩(320)의 제1 단부는 제1 어깨스트랩(310)과 마찬가지로 자유단 형태를 이루어 제1 어깨스트랩(310) 상에 중첩되게 위치하고, 제1 단부의 반대측 제2 단부는 어깨버클(350)을 통해 전면부(100)와 연결 결합되는 구조를 갖춘다.
어깨버클(350)은 통상 체결 및 분리가 가능한 버클이 이용될 수 있다.
즉, 제2 어깨스트랩(320)의 제1 단부는 제1 어깨스트랩(310)에, 제2 단부는 전면부(100)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가 갖춰진다.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은 제1 어깨벨크로(311)와 제2 어깨벨크로(321)에 의해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이때,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중첩량에 따라 어깨연결부(3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중첩량을 많게 하여 서로 부착 고정하게 되면 그만큼 전면부(100)와 배면부(200)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어깨연결부(300)의 길이가 줄어들게 되는 한편,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중첩량을 작게 하여 서로 부착 고정하게 되면 그만큼 전면부(100)와 배면부(200)가 서로 이격되면서 어깨연결부(30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는 양상을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착용자의 신체조건에 맞게 어깨연결부(300)의 길이를 조절하여 방탄베스트(2)를 알맞게 착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어깨패드(330)는 연결 결합된 상기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외측에 상호 둘러지는 구성으로, 내부에 소프트한 재질의 완충재가 충전될 수 있다.
즉, 어깨패드(330)는 중첩된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의 외측을 감싸 부착 고정되어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이 상체부(1100)에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아니하도록 하며 또한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이 임의로 분리되지 아니하도록 하는 고정작용을 수행한다.
어깨패드(330)는 겹쳐진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을 동시에 감쌀 수 있을 정도의 면적을 가지며 일측면 중앙에는 상기 제1 어깨스트랩(310)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3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어깨벨크로(331)가 형성되며 제3 어깨벨크로(331)의 편심된 일측면 외곽 부분에는 상기 제2 어깨스트랩(3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어깨벨크로(32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어깨벨크로(332)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어깨벨크로(332)와 마주하는 타측면 외곽 부분에는 제5 어깨벨크로(333)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어깨벨크로(332)의 반대편의 일측면 외곽 부분에는 상기 제5 어깨벨크로(33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어깨벨크로(334)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와 같은 구조의 어깨패드(330)는 서로 부착 고정된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 외측으로 둘러지게 될 때, 먼저 제3 어깨벨크로(331)가 제1 어깨스트랩(310)의 제1 어깨벨크로(311)에 부착 고정되고, 이어서, 외곽 부분이 제2 어깨스트랩(320) 방향으로 접철되어 제4 어깨벨크로(332)가 제2 어깨스트랩(320)의 제2 어깨벨크로(321)에 부착 고정되고, 반대편 외곽 부분이 제5 어깨벨크로(333) 방향으로 접철되어 제6 어깨벨크로(334)가 제5 어깨벨크로(333)에 부착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에 상호 부착 고정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어깨연결부(300)는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이 서로 부착 고정될 때의 제1 어깨벨크로(311), 제2 어깨벨크로(321) 간의 부착 고정력에 더해, 어깨패드(330)의 제3 어깨벨크로(331), 제4 어깨벨크로(332), 제5 어깨벨크로(333) 및 제6 어깨벨크로(334)의 부착 고정력이 제1 어깨스트랩(310)과 제2 어깨스트랩(320)에 동시복합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어깨연결부(300) 구성간의 결합력이 대폭 향상되어 임의로 분해되지 아니하게 되므로 착용시 안정성이 대폭 향상되어질 수 있다.
또한, 버클 없이도 어깨연결부(300)의 길이조절이 손쉽게 가능해지므로 버클의 간섭에 의한 착용감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방탄베스트(2)를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어깨패드(330)가 착용자의 어깨를 눌러, 어깨 부분에서의 통증이나 이물감을 줄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견착패드(1117)와 어깨연결부(300)의 어깨패드(330) 사이에는 논슬립부재(1117')가 개재되도록 하여 방탄슈트(1) 위에서 어깨연결부(300)가 흘러 내리거나 위치가 바뀌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논슬립부재(1117')는 예컨대, 거친 면을 가진 사포로 예시될 수 있으며, 견착패드(1117)와 어깨연결부(300) 각각의 대면위치에 부착 고정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 예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어깨스트랩(310)과 상기 배면부(200)의 상단부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보조어깨스트랩(340)이 연결될 수 있다.
보조어깨스트랩(340)은 신축성 있는 탄성재질의 스트랩으로 구성되어 한 쌍의 어깨연결부(300) 각각을 내측으로 탄성 견인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에, 방탄베스트(2)를 착용한 상태에서 어깨연결부(300)가 어깨의 외측 방향으로 흘러 내려 착용감을 저하시키는 현상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전면부(1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8 내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00)는 흉부 전방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단에는 어깨연결부(300)가, 좌우 측면에는 허리연결부(4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전면부(100)는 크게 전면착용부재(120),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 연결패치(140) 및 전술패치(15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착용부재(120)는 흉부 전방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배면에 전면쿠션패드(128)가 형성되어 방탄슈트(1)에 밀착 접촉되었을 때의 충분한 착용감을 보장한다.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에는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가 형성되며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는 연결패치(14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별도 도면부호를 병기하진 않았으나,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 더해,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에는 각종 휘장을 착탈 가능하게 하는 벨크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소품을 수납할 수 있는 포켓이 형성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의 내부로는 전면방탄부재(110)가 수용되는 전면수용공간(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전면방탄부재(110)를 전면수용공간(121)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전면수용공간(121)은 전면격막(125)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 이원화된 공간에 전면방탄부재(110)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전면격막(125)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전면수용공간(121) 중 어느 한 곳에는 주요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판을, 다른 하나의 전면수용공간(121)에는 보조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재를 각각 내삽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방탄판 또는 방탄재 만을 내삽할 수 있다.
전면격막(125)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전면신장손잡이(125a)가 형성되어,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전면방탄부재(1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손을 집어 전면신장손잡이(125a)를 파지한 뒤 아래로 당겨 전면격막(125)을 신장시킬 수 있다.
이에, 방탄베스트(2)를 해체하지 않고서도 착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전면부(100)의 아래로 손을 넣어 전면수용공간(121)을 손쉽게 구분지은 뒤 전면방탄부재(110)를 보다 용이하게 전면수용공간(121) 내로 삽입시키는 동작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방판판과 방탄재는 방어등급에 따라 구분되어지는 방탄부재의 일례로서, 예컨대, 방탄판은 경질의 판 형태의 방탄수단으로, 방탄재는 섬유구조의 방탄수단으로 대별되어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공지된 방탄수단들로부터 적절히 채택될 수 있음을 밝힌다.
다시,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배면에는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는 후술 될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 전면하단가림편(126) 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의 상부에는 제1 전면버클(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전면버클(124)에는 후술 될 전술패치(150)의 제2 전면버클(153)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전면착용부재(120)의 내부에서 작동하며, 일단은 상기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타단에는 상기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착용벨크로(13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은 전면수용공간(121)의 내부에서 하단을 전후로 가로질러 전면수용공간(121)에 수용된 전면방탄부재(110)가 개방된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으로 임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전면수용공간(121) 내부에서 고정되지 아니한 채 흔들리거나 요동치는 것을 제한하도록 전면방탄부재(1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의 타단을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서 탈거시키게 되면 전면방탄부재(110)의 구속이 해제되어 전면방탄부재(11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전면방탄부재(110)의 고정작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방탄베스트(2)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착용감이 개선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에는 전면하단가림편(126)과 전면하단고정편(127)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하단을 단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전면방탄부재(110)를 전면수용공간(121)에 밀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먼저, 전면하단가림편(126)은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상태로,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배면을 향해 놓여 전면착용부재(1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전면하단가림편(126)의 일측면에는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형성되며, 다수 회 접철된 상태로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전면착용부재(1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전면하단가림편(126)은 적어도 'ㄴ'자 형태로 접철되어진 상태로 전면수용공간(121) 하부를 벌려 이격 지지하는 한편, 전면하단가림편(126)에 형성된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 부착 고정되어 전면하단가림편(126)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2 전면착용벨크로(123)에는 적어도, 제1 전착고정스트랩(130)의 제3 전면착용벨크로(131)와 전면하단가림편(126)의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가 동시에 부착 고정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하단고정편(127)은 부착 고정된 전면하단가림편(126)의 고정작용을 수행하여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부를 보다 견고하게 밀폐구성한다.
전면방탄부재(110)의 유무는 착용자의 안전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기 때문에, 방탄베스트(2)를 착용한 상태에서 활동시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이 임의 개방됨에 따라 전면방탄부재(110)가 전면수용공간(121)으로부터 유실되지 아니하도록 전면하단가림편(126)과 전면하단고정편(127)을 통해 개방된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을 보다 견고하게 밀폐 구성할 수 있다.
전면하단고정편(127)은 전면착용부재(120)의 배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면착용부재(120)의 내측 배면에 접촉되지 아니한 전면하단가림편(126)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전면하단가림편(126) 상에 부착 고정되는 방식으로, 전면착용부재(120)의 개방된 하단을 2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때, 전면하단고정편(127)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126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8 전면착용벨크로(127a)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착용부재(120)와 전면하단가림편(126), 그리고 전면하단가림편(126)과 전면하단고정편(127)은 서로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전면착용부재(120)의 하단을 개폐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전면착용부재(120)의 개방된 하단을 전면하단가림편(126)과 전면하단고정편(127)을 통해 이중으로 폐쇄하도록 하여 전면착용부재(120)의 밀폐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연결패치(14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얇은 판 형태로 예시되어, 배면에는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전면착용벨크로(141)가, 전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142)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착용부재(120)의 좌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제5 전면착용벨크로(142)에는 전술패치(15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연결패치(140)는 전면착용부재(120)와 전술패치(150) 사이에 개재된 상태에서 부착 고정되는 구조를 가지는 한편, 연결패치(140)에는 후술 될 허리연결부(400)가 연결 구성되어질 수 있다.
연결패치(140)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 될 허리연결부(400)의 설명에서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전술패치(150)는 전면부(100)의 최전방을 구성하며, 전술활동에 필요한 탄창, 수류탄 등과 같은 휴대용품(이하, 장구류라 함)을 수납하는 파우치를 착탈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전술패치(150)는 방탄베스트(2)를 완전 착용하였을 때에는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방에 부착 고정되는 한편, 필요에 따라 후술 될 긴급착용부(500) 상에 결합되어 사용되어질 수 있다.
전술패치(150)의 배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14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152a)을 가지는 전면웨빙스트랩(152)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구조를 갖춘다.
전면웨빙스트랩(152)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152a)이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면통과공(152a)에 파우치의 파우치스트랩이 통과하여 매달리는 방식으로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 복수 개의 파우치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전술패치(150)는 장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가지며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때, 개방된 전술패치(150)의 상단은 포켓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구조를 갖춘다. 이때, 포켓커버의 하단은 하부로 갈수록 좌우 폭이 점진적으로 줄어들게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전술패치(150) 내부로 손쉽게 삽입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에, 전술패치(150)에 수납된 장구류를 일정 부분 외부로 노출시킨 상태에서 장구류를 보다 신속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파우치는 전면파우치(160), 측면파우치(130), 덤프파우치(1440,530) 등으로 예시되나, 이는 설명의 편의에 의해, 파우치의 결합위치 또는 수납되는 장구류의 종류에 따라 구성 명칭을 다르게 구분한 것일 뿐, 설명되는 파우치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을 밝힌다.
예컨대, 전면웨빙스트랩(152)에는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16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각각의 전면파우치(160)는 크게, 전면포켓(161), 전면행거스트랩(162) 및 전면행거홀더(16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면포켓(161)은 장구류를 수납하는 역할을, 전면행거스트랩(162)은 전면포켓(161)을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다는 역할을, 전면행거홀더(163)는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서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임의로 이탈하지 아니하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각각 담당한다.
전면행거스트랩(16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일단은 전면포켓(161)에 고정 결합되고 타단인 끝단이 자유단 형태로 이루어져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전면통과공(152a)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면행거홀더(163)는 자유단인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끝단에 형성되어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임의로 전면통과공(152a)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국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 견고히 위치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필요에 따라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된 전면행거홀더(163)를 전면웨빙스트랩(152)에서 이격시킨 후 전면행거스트랩(162)에 밀착시키면 전면행거스트랩(162)과 전면행거홀더(163)가 동시에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결국 전면파우치(160)를 전면웨빙스트랩(152) 상에서 탈거시킬 수 있는 구조가 갖춰진다.
한편,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160) 각각의 전면행거홀더(163)에는 견착스트랩(170)이 상호 관통해 결착될 수 있다.
견착스트랩(170)은 신축성있는 탄성재질의 스트랩형 부재로, 착용자의 허리,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술한 벨트부(1400) 주변에 둘러지되, 둘러지는 과정에서 각각의 전면파우치(160)의 전면행거홀더(163)를 관통하게 되며 양 단에는 체결수단(171)이 마련되어 양 단을 선택적으로 이음 결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171)은 벨크로, 버클, 스냅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견착스트랩(170)을 착용하게 되면 불완전한 상태로 고정된 각각의 전면행거홀더(163)가 일제히 견착스트랩(170) 상에 고정되어, 착용자의 허리를 향해 밀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려진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전면웨빙스트랩(152)에서 임의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은 물론, 전면파우치(160)가 허리를 향해 밀착 고정되어, 전면파우치(160)의 유동을 방지해 착용감까지 개선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전면행거홀더(163)는 크게 제1 전면고정편(10), 제2 전면고정편(20), 전면지지판(30) 및 전면걸림수단(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은 서로 연결 결합되어 일체로 이루어지되, 직물재질로 이루어져 유연하게 형태변형될 수 있으며 특히,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은 서로 접철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먼저, 제1 전면고정편(10)의 일측면에는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전면고정편(10)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162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파우치(160)를 전면웨빙스트랩(152)에 착탈하는 과정에서 전면행거홀더(163)가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할 때에는 전면행거홀더(163)의 제1 전면고정편(10)에 형성된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전면행거스트랩(162)에 형성된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162a)에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로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전면행거스트랩(162)에 전면행거홀더(163)의 일부가 겹쳐진 상태의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끝단 부분 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그 결과 보다 용이하게 전면행거스트랩(162)을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전면통과공(152a)을 통과시켜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거나 혹은 전면웨빙스트랩(152)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는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152b)가 형성되어 전면행거홀더(163)의 제1 전면고정편(10)이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행거홀더(163)의 제1 전면고정편(10)이 전면웨빙스트랩(152)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되는데, 이때,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152b)에 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10)의 임의 접철이동이 제한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전면행거스트랩(162)과 전면행거홀더(163) 사이로 전면웨빙스트랩(152)을 부착 고정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려진 상태에서 상부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전면고정편(10)의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는 전면파우치(160)의 착탈동작이 이루어질 때에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162a)에 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전면행거스트랩(162)의 단부를 서로 겹쳐 취급할 수 있게 되며, 전면행거스트랩(162)이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려진 상태에서는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11)가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152b)에 부착 고정되도록 해 제1 전면고정편(10)이 임의로 접철되지 못하도록 하는 안전구조를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전면고정편(20)은 제1 전면고정편(10)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루프 또는 링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견착스트랩(170)이 통과하는 전면고정홀(21)이 형성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견착스트랩(170)은 제2 전면고정편(20)에 형성된 전면고정홀(21)을 통과한 상태로 착용자의 허리에 둘러 착용되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면지지판(30)은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의 타측면에 상호 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의 타측면을 이격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전면지지판(30)은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호 형태로 만곡지게 구성되어 중앙 부분의 가압에 따라 반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탄성변형의 성질을 이용하여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을 선택적으로 접철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전면지지판(30)은 별다른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판상의 상태로 유지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을 서로 일직선으로 연결 지지함으로써 제1 전면고정편(10)이 전면행거스트랩(162) 또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부착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한편, 중앙 부분을 가압하게 되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을 기준으로 절곡되어 제1 전면고정편(10)과 제2 전면고정편(20)의 접철을 허용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면행거스트랩(162) 또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부착 고정된 제1 전면고정편(10)을 이격시킬 때에는 전면지지판(30)을 절곡시킨 뒤 제1 전면고정편(10)을 제2 전면고정편(20) 상에서 접철시키는 방식으로 전면행거스트랩(162) 또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전면걸림수단(40)은 제2 전면고정편(20)에 결합되어 전면고정홀(21) 내로 견착스트랩(170)의 통과시 견착스트랩(170)을 걸림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견착스트랩(170)의 외측면에는 전면고정홀(21)의 일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40)을 타고 넘어가되, 타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40)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기(172)가 연속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즉, 견착스트랩(170)의 양 단을 일측 방향(도 25에 도시된 A 방향)으로 잡아 당기게 되면 견착스트랩(170)이 허리를 강하게 조이게 되는 한편, 견착스트랩(170)의 걸림돌기(172)가 전면걸림수단(40)을 별다른 걸림작용 없이 타고 넘어가게 되어 견착스트랩(170)의 양 단을 체결할 수 있되, 이때, 견착스트랩(170)의 고정위치에서는 걸림돌기(172)가 전면걸림수단(40)에 걸림 지지되어, 견착스트랩(170)이 타측 방향(도 25에 도시된 B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는 구조가 되어, 견착스트랩(170)의 임의 해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견착스트랩(170)의 조임력을 조절한다거나 견착스트랩(170)을 신체로부터 신속하게 해체할 경우엔 원터지 조작만으로, 견착스트랩(170)의 걸림돌기(172)를 전면걸림수단(40)으로부터 이격시켜 견착스트랩(170)의 타측 방향 이동을 허용하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이를 위해, 전면걸림수단(40)은 전면고정홀(21)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탄성와이어(41), 상기 전면탄성와이어(41)의 하단에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걸림돌기(172) 사이에 걸리는 전면스탑볼(42), 상기 전면스탑볼(42)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전면고정편(20) 하단을 관통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비탄성와이어(43) 및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43)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43)가 상기 전면고정홀(21)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제2 전면고정편(20) 외측 하단에 걸림 지지되는 전면스탑편(44)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전면스탑편(44)을 하부로 견인하면 탄성의 전면탄성와이어(41)가 하부로 신장되면서 상기 전면스탑볼(42)이 걸림돌기(172)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며, 전면스탑볼(42)과 걸림돌기(172)가 상하로 이격되면 견착스트랩(170)이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전면스탑편(44)에 견인력이 제거되면 전면탄성와이어(41)가 압축되면서 전면스탑볼(42)이 정위치로 복원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돌기(172)가 전면스탑볼(42) 상에 다시 걸림 지지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정리하면, 본 실시예에서의 전면파우치(160)는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게 될 때 1차적으로 전면행거홀더(163)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걸림 지지되고, 2차적으로 벨크로의 부착 고정력에 의해 부착 고정되는 동시에, 최종적으로 견착스트랩(170)에 의해 고정되는 구조로서 전술패치(150)와 일체화되도록 해 방탄베스트(2)를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를 다소 과격하게 움직이더라도 전면파우치(160)가 불측의 사유로 탈락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방탄베스트(2)는 휴대를 위하여 전면부(100), 배면부(200), 어깨연결부(300), 허리연결부(400) 및 긴급착용부(500)를 동시에 수납하는 패키징백(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키징백(600)에 수납된 전면부(100)와 배면부(200)는 상하로 적층되게 마련되고, 나머지 어깨연결부(300)와 허리연결부(400)는 적소에 수납되는 한편, 긴급착용부(500)는 패키징백(600)의 내부 외곽에 둘러지게 마련되어 패키징백(600)의 강성 보강과 패키징백(600)의 올바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후술하겠지만, 긴급착용부(500)는 크게, 서스펜더(520)와 전술벨트(510)를 포함하는데, 이때, 전술벨트(510)를 패키징백(600)의 내측 외곽 둘레를 따라 둘러줌으로써 패키징백(600)의 전체적인 강성과 형태가 부여될 수 있고, 아울러, 패키징백(600)의 내공간이 보다 직관적인 공간으로 확보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배면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28 내지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200)는 흉부 후방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며, 상단에는 어깨연결부(300)가, 좌우 측면에는 허리연결부(40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배면부(200)는 크게 제1 배면착용부재(220), 제2 배면착용부재(230), 배면백(250) 및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제1 배면착용부재(220)는 흉부 후방, 예컨대 방탄슈트(1)의 배면을 가릴 수 있을 정도의 일정 면적을 가지며 방탄슈트(1)와 접촉되는 전면에 배면쿠션패드(228)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부로는 배면방탄부재(210)가 수용되는 배면수용공간(221)을 가지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배면방탄부재(210)를 배면수용공간(221)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다.
배면수용공간(221)은 배면격막(222)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어 이원화된 공간에 배면방탄부재(210)를 선택적으로 수납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배면격막(222)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배면수용공간(221) 중 어느 한 곳에는 주요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판을, 다른 하나의 배면수용공간(221)에는 보조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재를 각각 내삽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방탄판 또는 방탄재 만을 내삽할 수 있다.
배면격막(222)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배면신장손잡이(222a)가 형성되어, 방탄베스트(2)를 착용한 상태에서도 손쉽게 배면방탄부재(210)의 개방된 하단으로 손을 집어 배면신장손잡이(222a)를 파지한 뒤 아래로 당겨 배면격막(222)을 신장시킬 수 있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전면에는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는 후술 될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 배면하단가림편(226) 등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제1 배면통과공(224a)을 가지는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에는 후술 될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이 통과하여 매달리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상단에는 제1 견인손잡이(225)가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배면착용부재(230)는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배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배면착용부재(230)에는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과 제1 착용행거홀더(23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과 제1 착용행거홀더(232)는 전술한 전술한 전면파우치(160)의 전면행거스트랩(162) 및 전면행거홀더(163)에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며,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2 배면착용부재(230)는 장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가지는 가방형태로 이루어지며 지퍼 등을 통해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1 배면착용부재(220)로부터 탈거되어 독립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다.
제1 배면착용부재(220)와 제2 배면착용부재(230)는 제1 배면웨빙스트랩(224) 상에 제1 착용행거스트랩(231)이 매달려 고정되는 결합 구조에 더해. 제1 배면착용부재(220)와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좌우 양 측은 배면지퍼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되는 구조를 더 포함한다.
이에, 제1 배면착용부재(220)와 제2 배면착용부재(230)가 2중구조로 연결 결합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되어, 양자간의 결합강도가 대폭 향상될 수 있다.
한편,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상단에는 제2 견인손잡이(233)가 형성될 수 있는데, 전시 상황에서 부상자를 견인 이송해야할 상황이 발생할 경우 제1 배면착용부(220)의 제1 견인손잡이(225)와 제2 배면착용부(230)의 제2 견인손잡이(233)를 동시에 파지한 상태에서 전신방탄복을 착용한 부상자를 견인하도록 하거나, 비부상자가 2 인 1 조를 이루어 각각의 손잡이를 파지해 부상자를 견인할 수 있도록 하여 부상자의 부상정도 내지 상황, 지형여건 등을 고려해 부상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상자의 체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부상자의 견인을 작은 힘으로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배면에는 복수 개의 제2 배면통과공(234a)을 가지는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에는 후술 될 배면백(250)의 제2 착용행거스트랩(251)이 통과하여 매달리는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배면백(250)은 제2 배면착용부재(230)의 배면에 형성된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배면백(250)에는 제2 착용행거스트랩(251)과 제2 착용행거홀더(252)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제2 착용행거스트랩(251)과 제2 착용행거홀더(252)는 전술한 전술한 전면파우치(160)의 전면행거스트랩(162) 및 전면행거홀더(163)에 대응되는 동일한 구조 및 기능을 가지며, 제2 배면웨빙스트랩(234)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배면백(250)은 장구류를 수납할 수 있도록 내공간을 가지는 가방형태로 이루어지며 지퍼 등을 통해 내부를 개폐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제2 배면착용부재(230)로부터 탈거되어 독립사용이 가능한 구조를 갖춘다.
다음으로,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은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스트랩형 부재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부에서 작동하며, 일단은 상기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타단에는 상기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배면착용벨크로(241)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춘다.
즉,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은 배면수용공간(221)의 하단을 전후로 가로질러 배면수용공간(221)에 수용된 배면방탄부재(210)가 개방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하단으로 임의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배면수용공간(221) 내부에서 고정되지 아니한 채 흔들리거나 요동치는 것을 제한하도록 배면방탄부재(210)의 하단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의 타단을 제1 배면착용벨크로(220)에서 탈거시키게 되면 배면방탄부재(210)의 구속이 해제되어 배면방탄부재(210)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하단에는 배면하단가림편(226)과 배면하단고정편(227)이 각각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하단을 단계적으로 폐쇄함으로써 배면방탄부재(210)를 배면수용공간(221)에 밀폐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춘다.
먼저, 배면하단가림편(226)은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배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된 상태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전면을 향해 놓여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배면하단가림편(226)의 일측면에는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형성되며, 다수 회 접철된 상태로 상기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게 된다.
배면하단가림편(226)은 적어도 'ㄴ'자 형태로 접철되어진 상태로 배면수용공간(221) 하부를 벌려 이격 지지하는 한편, 배면하단가림편(226)에 형성된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제1 배면착용벨크로(223)에 부착 고정되어 배면하단가림편(226)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전면착용벨크로(122)에는 적어도, 제2 전착고정스트랩(240)의 제2 배면착용벨크로(241)와 배면하단가림편(226)의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가 동시에 부착 고정되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배면하단고정편(227)은 부착 고정된 배면하단가림편(226)의 고정작용을 수행하여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하부를 보다 견고하게 밀폐구성한다.
배면하단고정편(227)은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전면 하단에서 연장 형성되되,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내측 전면에 접촉되지 아니한 배면하단가림편(226)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배면하단가림편(226) 상에 부착 고정되는 방식으로,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개방된 하단을 2차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이때, 배면하단고정편(227)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3 배면착용벨크로(226a)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배면착용벨크로(227a)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개방된 하단을 배면하단가림편(226)과 배면하단고정편(227)을 통해 이중으로 폐쇄하도록 하여 제1 배면착용부재(220)의 밀폐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배면부(200)는 독립적으로 휴대 가능한 가방 구성 예컨대, 제2 배면착용부재(230) 및 배면백(250)을 이용하여 비상 상황에서 장구류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도록 하며, 특히, 제1 견인손잡이(225)와 제2 견인손잡이(233)를 이용하여 부상자 상황, 지형여건 등을 고려해 부상자를 보다 안전하게 대피시킬 수 있도록 하고, 부상자의 체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하여 부상자의 견인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허리연결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연결부(400)는 일단은 배면부(200)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허리버클(410)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연결패치(140)에 각각 연결 결합되어, 방탄베스트(2)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허리에 둘러 지지되는 구조를 갖춘다
허리연결부(400)는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의 허리연결부(400)에 마련된 허리버클(410)을 분해하게 되면 허리연결부(400)의 타단이 전면부(100)로부터 분리되어 방탄베스트(2)를 착용하거나 또는 해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어깨연결부(300)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어깨버클(350)과 한 쌍의 허리연결부(400)에 마련된 한 쌍의 허리버클(410) 중 편측의 어깨버클(350)과 허리버클(410)을 분해하여 방탄베스트(2)를 방탄슈트(1) 위에서 해체 가능하도록 하면 방탄베스트(2)를 해체하는 과정에서 방탄베스트(2)가 신체로부터 급작스럽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허리연결부(400) 각각은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측면웨빙스트랩(420)으로 구성되어진다.
허리연결부(400)는 상체부(1100) 내지 벨트부(1400) 주변으로 밀착 지지되어지는 만큼 간섭에 의한 착용감 저하 등을 고려하여 상하 일정 간격 이격되는 복수 개의 측면웨빙스트랩(420)으로 구성하여 벨트부(1400)에 겹쳐 착용되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각각의 측면웨빙스트랩(420)은 복수 개의 측면통과공(421)을 가지는 한편, 각각의 측면웨빙스트랩(420)에는 복수 개의 측면파우치(4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측면파우치(430)는 전술한 전면파우치(160)와 동일한 구조로서, 측면웨빙스트랩(420)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허리연결부(400)의 길이조절 방식은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면착용부재(120)에서 한 쌍의 연결패치(140)의 결합 위치에 따라 허리연결부(400)의 타단 고정점의 위치가 가변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허리연결부(40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방탄베스트(2)를 착용한 상태에서 전방에서의 길이조절이 가능하며, 예컨대, 허리연결부(400)의 길이조절을 위하여, 먼저, 전술패치(150)를 탈거한 뒤 노출된 연결패치(140)를 전면착용부재(120)로부터 탈거해 위치조정 후 다시 재부착하게 되면 연결패치(140)에 연결된 허리연결부(400)의 타단 고정점 위치가 가변되는 한편, 전면부(100)와 배면부(20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혹은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다시 연결패치(140) 위로 전술패치(150)를 부착 고정하게 되면 허리연결부(400)의 타단이 완전히 고정되어지게 된다.
이때, 한 쌍의 연결패치(140) 각각의 전면에는 상하 양 단이 각각 연결패치(140)의 전면에 부착되되 양 단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상기 연결패치(140)와 이격되는 견인로프(143)가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는 전면착용부재(120)에 부착 고정된 연결패치(140)의 조작시 견인로프(143)를 파지한 상태로 연결패치(140)를 전면착용부재(120)로부터 탈거하게 되면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의 연결패치(140) 조작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방탄베스트(2)를 신체에서 해체하지 아니하고도, 착용한 그대로의 상대에서 착용자의 전방에서 착용자의 신체사이즈에 맞게 허리연결부(400)의 길이조절을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긴급착용부(500)에 대해 설명한다.
긴급착용부(500)는 전면부(100), 배면부(200), 허리연결부(400) 및 어깨연결부(300)로 이루어진 방탄베스트(2)의 주요 구조체 내부에서, 허리와 상체 부위에 상호 기착용하여 방탄베스트(2)의 흔들림이나 요동을 방지하여 착용감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경우에 따라, 상기 주요 구조체와 별개로, 방탄슈트(1) 위 또는 방탄슈트(1) 없이도 단독 착용 가능하도록 해, 방탄베스트(2) 전체를 착용할 수 없을 정도의 긴급한 상황 발생시 최소한의 장구류만을 신속하게 휴대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긴급착용부(500)는 도 3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허리에 둘러 착용하는 전술벨트(510) 및 상체에 착용하되 상기 전술벨트(510)와 연결되는 서스펜더(5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이때, 전술벨트(510)는 양 단이 체결버클(511a)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 구성되는 코어(511) 및 상기 코어(511)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되는 커버(512)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코어(511)는 착용자의 허리에 둘러질 수 있을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스트랩형 부재로 이루어지며, 커버(512)는 코어(511)의 외측을 감싸 전술벨트(510)의 착용시 착용감이 개선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512)의 내부로는 완충재가 충전되어 전술벨트(510)에 장구류 수납에 의한 하중이 가해졌을 때 허리를 가압하여 허리 부근에 발생하는 이물감 내지 통증을 방지한다.
커버(512)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허리통과공을 가지는 허리웨빙스트랩(513)이 연장되어 결합되는 한편, 허리웨빙스트랩(513)에는 제 덤프파우치(5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 덤프파우치(530)는 지갑형태의 접이식 형태로 마련되어, 각종 엄폐용 천막 등을 수납하거나, 혹은 덤프포켓 자체가 일정 면적을 천막 형태로 말려 보관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덤프파우치(530)의 구체적인 사항은 전술한 전면파우치(160)로부터 참조될 수 있으며, 허리웨빙스트랩(513)에 매달리는 방식 역시, 전면파우치(160)가 전면웨빙스트랩(152)에 매달리는 방식과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는바 이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커버(512)의 내측면에는 논슬립피막이 코팅되어 상체부(1100) 또는 벨트부(1400)의 양 측면에 충분한 마찰저항을 가지고 밀착 착용되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서스펜더(520)는 착용자의 어깨에 둘러진 상태에서 하단이 상기 커버(512)와 연결된다.
이때, 서스펜더(520)의 전방에는 제3 전면버클(5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전면버클(521)에는 전술패치(150)에 형성된 제2 전면버클(153)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 결합될 수 있다.
이에, 긴급착용부(500)의 단독 착용시, 서스펜더(520)의 전방에는 상기 전술패치(150)가 결합되어, 전면파우치(160) 및 전면파우치(160)에 수납된 장구류를 동시에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가 갖춰지게 된다.
한편, 전면착용부재(120)의 전면으로부터 탈거된 전술패치(150)의 배면에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가 그대로 외부로 노출되어지는바, 이 상태에서 긴급착용부(500)에 그대로 결합시키게 되면 방탄슈트(1)가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에 엉겨붙게 되어 전술패치(150)의 위치가 틀어지거나 착용감이 저하되는바, 이때에는 전술패치(150)의 배면에 상기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를 가리는 가림막(540)을 결합한 상태에서 사용하게 되면 제6 전면착용벨크로(151)에 의복이 엉겨붙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방탄베스트(2)는 어깨연결부의 길이조절이 손쉽게 가능해지므로 버클의 간섭에 의한 착용감 저하를 방지함과 동시에, 방탄복을 신체 사이즈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더해, 어깨패드가 착용자의 어깨에 직접적으로 맞닿게 되어, 어깨 부분에서의 통증이나 이물감을 줄여 착용감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방탄복을 해체하지 않고서도 착용한 그대로의 상태에서 전면부의 아래로 손을 넣어 전면수용공간을 손쉽게 구분지은 뒤 전면방탄부재를 보다 용이하게 전면수용공간 내로 삽입시키는 동작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전면격막에 의해 구획된 각각의 전면수용공간 중 어느 한 곳에는 주요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판을, 다른 하나의 전면수용공간에는 보조 방탄기능을 수행하는 방탄재를 각각 내삽할 수 있도록 하여, 방탄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착탈 가능한 파우치의 고정시, 행거홀더가 웨빙스트랩 상에 보다 견고하게 걸림 지지되도록 하여 방탄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신체를 다소 과격하게 움직이더라도 파우치가 불측의 사유로 탈락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방탄슈트
2: 방탄베스트

Claims (5)

  1. 상체와 하체에 연이어 착용하는 방탄슈트 및 상기 방탄슈트의 외측으로 겹쳐 착용하되, 상체에만 착용하는 방탄베스트를 포함하는 전신방탄복에 있어서,
    상기 방탄슈트는 상체에 착용하는 상체부와 하체에 착용하는 하체부가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체부는,
    착용자의 흉부를 사방에서 감싸며, 흉부방탄부재가 수용되는 흉부착용부재; 및
    상기 흉부착용부재의 좌우측으로 연장되어 착용자의 양 팔을 감싸며, 상지방탄부재가 수용되는 한 쌍의 상지착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흉부착용부재의 전면은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흉부개방지퍼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흉부개방지퍼의 주변으로는 흉부개방지퍼를 덮는 지퍼덮개가 형성되며,
    상기 흉부착용부재의 좌우측에는 복수 개의 통기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방탄베스트는,
    전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전면에 착용되는 전면부;
    배면방탄부재가 수용되며 착용자의 흉부 배면에 착용되는 배면부;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허리부분에 지지되는 한 쌍의 허리연결부; 및
    상기 전면부와 배면부의 상단 좌우측을 연결하여 착용자의 좌우측 어깨부분에 견착되는 한 쌍의 어깨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어깨연결부 각각은,
    상기 배면부에서부터 연장 형성되며 양면에 제1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어깨스트랩;
    상기 제1 어깨스트랩에 중첩되게 결합되며, 양면에 제2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되 타측면에 형성된 제2 어깨벨크로가 제1 어깨스트랩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어깨버클을 통해 전면부와 연결 결합되는 제2 어깨스트랩; 및
    연결 결합된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제2 어깨스트랩의 외측에 상호 둘러지되, 일측면 중앙에는 상기 제1 어깨스트랩의 타측면에 형성된 제1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3 어깨벨크로의 편심된 일측면 외곽 부분에는 상기 제2 어깨스트랩의 일측면에 형성된 제2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어깨벨크로와 마주하는 타측면 외곽 부분에는 제5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제4 어깨벨크로의 반대편의 일측면 외곽 부분에는 상기 제5 어깨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어깨벨크로가 형성되는 어깨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제2 어깨스트랩의 중첩량에 따라 어깨연결부의 길이가 조절되며,
    상기 제1 어깨스트랩과 상기 배면부의 상단부에는 대각선 방향으로 보조어깨스트랩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는,
    배면에 전면쿠션패드가 형성되고 전면에 제1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내부로 상기 전면방탄부재가 수용되는 전면수용공간을 가지며 하단이 개방 형성되어 상기 전면방탄부재를 전면수용공간으로 인출입시킬 수 있되, 내측 배면에는 제2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는 전면착용부재;
    일단은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내측 전면에 고정되고 타단은 자유단 형태로서 타단에는 상기 제2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수용공간의 하단을 전후로 가로질러 전면방탄부재의 하단을 지지하는 제1 전착고정스트랩;
    배면에는 상기 제1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4 전면착용벨크로가, 전면에는 제5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어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좌우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연결패치; 및
    배면에는 상기 제5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6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전면에는 복수 개의 전면통과공을 가지는 전면웨빙스트랩이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되는 전술패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전면 하단에는 전면착용부재의 내측 배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전면착용부재의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는 전면하단가림편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하단가림편의 일측면에는 제7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다수 회 접철된 상태로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가 제2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개방된 하단을 1차적으로 폐쇄하며,
    상기 전면착용부재의 배면 하단에는 전면착용부재의 내측 배면에 접촉되지 아니한 전면하단가림편의 일측면을 향해 연장 형성되어 개방된 하단을 2차적으로 폐쇄하는 전면하단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전면하단고정편의 일측면에는 상기 제7 전면착용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8 전면착용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수용공간은 전면격막에 의해 두 부분으로 구획 형성되되, 상기 전면격막은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하단에 전면신장손잡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허리연결부 각각의 일단은 배면부의 좌우측에 각각 연결되고 타단은 허리버클을 통해 상기 한 쌍의 연결패치에 각각 연결 결합되어 한 쌍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 중 편측의 어깨버클과 허리버클을 분해하여 신체로부터 해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배면부, 어깨연결부 및 허리연결부를 수납하는 패키징백;을 더 포함하며.
    패키징백에 수납된 전면부와 배면부는 상하로 적층되게 마련되며,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에는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전면파우치는,
    전면포켓;
    상기 전면포켓에 결합되며 끝단이 자유단 형태로서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관통하여 전면웨빙스트랩에 매달리는 전면행거스트랩; 및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이 전면통과공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겹쳐 고정되는 전면행거홀더;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전면파우치 각각의 전면행거홀더에는 견착스트랩이 상호 관통해 결착되며,
    상기 전면행거홀더는,
    일측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는 제1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의 외측으로 결합되며 루프 형태로 이루어져 내측으로 상기 견착스트랩이 통과하는 전면고정홀이 형성되는 제2 전면고정편;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에 상호 밀착 고정되어 제1 전면고정편과 제2 전면고정편의 타측면을 이격지지하되, 금속 박판으로 이루어지며 횡단면이 호 형태로 만곡지게 구성되어 중앙 부분의 가압에 따라 반으로 절곡되었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는 전면지지판; 및
    상기 제2 전면고정편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상기 견착스트랩의 통과시 견착스트랩을 걸림 지지하는 전면걸림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행거스트랩의 끝단에는 상기 제1 전면고정편과 마주보는 면에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며,
    상기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3 전면파우치벨크로가 형성되어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이 전면웨빙스트랩의 외측면에 부착 고정되되, 전면행거홀더가 전면웨빙스트랩의 전면통과공을 통과할 때에는 전면행거홀더의 제1 전면고정편에 형성된 제1 전면파우치벨크로가 전면행거스트랩에 형성된 제2 전면파우치벨크로에 부착 고정되어진 상태로 전면통과공을 통과하며,
    상기 견착스트랩의 외측면에는 상기 전면고정홀의 일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을 타고 넘어가되, 타측 방향 통과시 상기 전면걸림수단에 걸림 지지되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전면걸림수단은,
    상기 전면고정홀의 내측 상단에서 하부로 연장 형성되며 신축 가능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전면탄성와이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인접한 상기 걸림돌기 사이에 걸리는 전면스탑볼;
    상기 전면스탑볼에서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2 전면고정편 하단을 관통해 하부로 연장 형성되는 전면비탄성와이어; 및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전면비탄성와이어가 상기 전면고정홀 내로 완전히 삽입되지 아니하도록 제2 전면고정편 외측 하단에 걸림 지지되는 전면스탑편;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스탑편을 하부로 견인하면 상기 전면탄성와이어가 하부로 신장되면서 상기 전면스탑볼이 걸림돌기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전면스탑편에 견인력이 제거되면 전면탄성와이어가 압축되면서 전면스탑볼이 정위치로 복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KR1020220023036A 2022-02-22 2022-02-22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KR1024182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036A KR102418292B1 (ko) 2022-02-22 2022-02-22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3036A KR102418292B1 (ko) 2022-02-22 2022-02-22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8292B1 true KR102418292B1 (ko) 2022-07-08

Family

ID=82407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3036A KR102418292B1 (ko) 2022-02-22 2022-02-22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829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46Y1 (ko) 2001-10-31 2002-02-09 오리엔탈공업 주식회사 보강 방탄복
US6961958B1 (en) * 2004-09-27 2005-11-08 Kyle Seitzinger Concealable ballistic protective pants with tail bone coverage
US7992221B2 (en) * 2004-01-12 2011-08-09 Matthew Aaron Sonner Ballistic combat uniform
KR200492013Y1 (ko) * 2019-12-06 2020-07-17 김홍연 원피스형 방탄복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3746Y1 (ko) 2001-10-31 2002-02-09 오리엔탈공업 주식회사 보강 방탄복
US7992221B2 (en) * 2004-01-12 2011-08-09 Matthew Aaron Sonner Ballistic combat uniform
US6961958B1 (en) * 2004-09-27 2005-11-08 Kyle Seitzinger Concealable ballistic protective pants with tail bone coverage
KR200492013Y1 (ko) * 2019-12-06 2020-07-17 김홍연 원피스형 방탄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78948B2 (en) Modular armor supplement apparatus and system with silent fasteners and adjustability
KR102447541B1 (ko)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경량 방탄복
US5069205A (en) Quick-donning head harness assembly
US7386894B2 (en) Tactical outer protective shorts
US5188267A (en) Support arrangements for firefigher's self-contained breathing apparatus
US7665152B2 (en) Drag harness and garment combination
US20120217090A1 (en) Harness with suspension relief seat
KR100974174B1 (ko) 방탄복
KR102380551B1 (ko) 신체사이즈 조절이 용이한 방탄복
KR102418292B1 (ko) 착용 및 해체가 용이한 전신방탄복
KR102406188B1 (ko) 목 부분의 보호가 가능한 전신방탄복
KR102418282B1 (ko) 활동이 편리한 전신방탄복
KR102406185B1 (ko) 보호기능을 극대화한 전신방탄복
KR102418294B1 (ko) 어깨연결부를 구비한 전신방탄복
KR102406190B1 (ko) 방탄베스트의 착용이 가능한 전신방탄복
KR102397169B1 (ko) 외부결속용 백을 구비한 전신방탄복
KR102397181B1 (ko) 사이즈 조절이 용이한 전신방탄복
KR102418291B1 (ko) 덤프파우치가 부착된 전신방탄복
KR102418289B1 (ko) 피아 식별이 용이한 전신방탄복
US20200237379A1 (en) Tourniquet Belt
KR102380555B1 (ko) 신속해체가 가능한 방탄복
KR102407957B1 (ko) 기능성 및 통기성이 향상된 허리연결부를 구비한 방탄복
KR102389446B1 (ko) 착용감, 착용 편의 및 휴대성이 향상된 방탄복
KR102380549B1 (ko) 다양한 기능을 가지는 외부결속용 백을 구비한 방탄복
KR102407961B1 (ko) 야간 작전 수행능력이 향상된 방탄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