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874B1 - Columnar safety platform - Google Patents

Columnar safety platfor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874B1
KR102417874B1 KR1020200131920A KR20200131920A KR102417874B1 KR 102417874 B1 KR102417874 B1 KR 102417874B1 KR 1020200131920 A KR1020200131920 A KR 1020200131920A KR 20200131920 A KR20200131920 A KR 20200131920A KR 102417874 B1 KR102417874 B1 KR 10241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caffold
band
groov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192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48710A (en
Inventor
신재문
박기철
유철환
변광열
남종우
김재동
Original Assignee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승일전력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승일전력산업 filed Critical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1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874B1/en
Publication of KR20220048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87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87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4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or for buildings of particular shape, e.g. chimney stacks or pyl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8Scaffold boards or pl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전신주에 고정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아크부와, 상기 제1아크부에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그물망 형태의 복수개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아크부를 포함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주상 안전 발판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and portion has an annular shape, fixed to the telephone pol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And a first arc portion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and a plurality of supports in the form of a mesh extending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rc portion, and a column comprising a footrest including a second arc portion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Provides a safety platform.

Description

주상 안전 발판대{Columnar safety platform} Columnar safety platform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주상 안전 발판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신주 작업시 사용 가능한 주상 안전 발판대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lumn safety scaffold,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scaffold that can be used during telegraph pole work.

전신주에 올라간 작업자는 안전대를 착용하고, 작업시에는 추락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안전대 및 안전로프를 확실하게 체결해야 하지만,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해 전신주로부터 작업자가 추락하는 추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또한, 작업자가 안전 장치들을 착용함에도 불구하고, 작업자가 전신주의 충전부에 접촉하여 감전되었을 경우에, 작업자는 그 충격에 의해 전신주로부터 추락하는 안전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A worker who climbs on a utility pole wears a safety belt, and the safety belt and safety rope must be securely fastened to prevent a fall accident during work. In addition, even though the worker wears safety devices, when the worker is electrocuted in contact with the charging part of the electric pole, the operator may fall from the electric pole by the impac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예를 들어, 작업자가 전신주에 설치된 발판 볼트를 헛디뎌 추락사고가 발생되거나, 휴전 작업 중 역 가압된 전력선으로부터 작업자가 충전부에 접촉되어 추락하거나, 저압선을 철거하기 위해 전신주에 올라갔다가 안전 허리띠의 착용 부주의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전신주에 설치된 변압기로부터 발생된 아크 또는 절연유 분출로 작업자가 추락하거나, 작업자가 버킷 탑승 시 작업자의 버킷 오동작에 따른 작업자의 추락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For example, a fall accident occurs because a worker slips on a footrest bolt installed on a utility pole, a worker falls from a power line that has been reverse-pressurized during the cease-fire operation, or a worker falls by contact with a charging part during a truce, or careless wearing a safety belt while climbing on a utility pole to dismantle a low-voltage line Accidents of workers falling due to a malfunction of the bucket when the worker falls, the worker falls due to an arc or insulating oil spurt generated from a transformer installed on a utility pole, or when the worker boards the bucket are continuously occurring.

특히, 이러한 전신주 추락사고는 작업자의 중상 또는 사망과 같이 작업자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입히므로, 작업자의 전신주 추락사고로부터 작업자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안전장치가 개발되고 있다.In particular, since such a fall accident inflicts a fatal injury on the worker, such as serious injury or death of the worker, a safety device for minimizing the operator's injury from the operator's fall accident has been developed.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용이하게 전주 작업시 작업자가 발을 디디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주상 안전 발판대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lumn safety scaffold that can easily provide a space for an operator to step on during pole work.

실시예에 따르면, 환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전신주에 고정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아크부와, 상기 제1아크부에서 연장되는 그물망 형태의 복수개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아크부를 포함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는 주상 안전 발판대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and portion has an annular shape, fixed to the telephone pole is inserted into the interior space; and a first arc unit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unit, a plurality of mesh supports extending from the first arc unit, and a footrest including a second arc unit formed at an end of the support unit. provides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는 제1관통홈이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rotrusions having first through grooves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상기 제1아크부는 상기 돌출부에 안착될 수 있다.The first arc portion may be seated on the protrusion.

상기 제1아크부는 제2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관통홈과 상기 제1관통홈에 삽입되는 결합핀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Since the first arc portion has a second through-groove, it may be fixed through the second through-groove and a coupling pin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groove while seated on the protrusion.

상기 발판부의 중심부에는 경첩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발판부의 양측면이 상기 경첩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면접할 수 있다.A hinge par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caffold part, so that both sides of the scaffold part may be rotated around the hinge part to be interviewed.

상기 밴드부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전신주에 삽입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는 버클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band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elephone pole in an open state, and a buckle coupling portion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상기 밴드부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전신주에 삽입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는 볼트 결합부가 형성될 수 있다.One side of the band portion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elephone pole in an open state, and bolt coupling portions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상기 밴드부는 복수개의 새들(saddle) 밴드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band portion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addle bands.

상기 복수개의 새들 밴드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saddle bands may be detachably coupled.

상기 발판부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A protrusion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affold.

본 발명인 주상 안전 발판대는 설치 및 철거가 용이하다.The present inventor's column safety scaffolding is easy to install and remove.

또한, 다양한 직경의 전주에 설치 가능하다.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on electric poles of various diameters.

또한, 작업자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slipping.

또한, 다수의 발판부를 독립적으로 설치 및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ootrests can be independently installed and removed.

도1은 실시예예 따른 주상 안전 발판대의 평면도이다.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주상 안전 발판대의 밑면도이다.
도3은 실시예예 따른 주상 안전 발판대의 측면도이다.
도4 및 도5는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은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plan view of a columnar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bottom view of the column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Figure 3 is a side view of the column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4 and 5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affol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or substituted with .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explicitly. It may be interpreted as a meaning, and general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dvance may be interpreted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terminology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ngular form may also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otherwise specified in the phrase, and when it is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and) B, C", it is combined as A, B, C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by the term.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lso with the component It may also include a case of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due to another element between the other elements.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above (above) or under (below)" of each component, the top (above) or bottom (below) is one as well as when two components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Also includes a case in which the above another component is formed or disposed between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upper (upper) or lower (lower)", the meaning of not only an upper direction but also a lower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may be includ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1은 실시예예 따른 주상 안전 발판대의 평면도이고, 도2는 실시예에 따른 주상 안전 발판대의 밑면도이고, 도3은 실시예예 따른 주상 안전 발판대의 측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 columnar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 2 is a bottom view of a columnar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an embodiment, and FIG. 3 is a side view of the columnar safety scaffol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주상 안전 발판대(1)는 밴드부(10) 및 발판부(2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 the columnar safety scaffold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band unit 10 and a scaffold unit 20 .

밴드부(10)는 환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전신주에 고정될 수 있다.The band portion 10 has an annular shape and may be fixed to a telephone pol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밴드부(10)는 복수개의 새들 밴드(11)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밴드부(10)는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전신주가 내부 공간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삽입된 상태에서 밴드부(10) 일측의 양단에 마련된 체결 요소(12)가 결합됨으로써 전신주에 고정될 수 있다.The band unit 1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addle bands 11 . The band unit 10 may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with a telegraph pole in an open state on one side, and the fastening elements 12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band unit 10 in the inserted state may be coupled to the telephone pole to be fixed to the pole.

복수개의 새들 밴드(11)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각각의 새들 밴드(11)의 양측 단부에는 체결홈(13)이 마련되어 있으며, 체결홈(13)에 고정핀(14)이 삽입되어 2개의 새들 밴드(11)를 결합시킬 수 있다. 새들 밴드(11)를 추가하거나 제거함으로써 다양한 직경의 전신주에 맞추어 밴드부(10) 내부 공간의 크기를 변형시킬 수 있다. 새들 밴드(1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lurality of saddle bands 11 may be detachably coupled. A fastening groove 13 is provided at both ends of each saddle band 11 , and a fixing pin 14 is inserted into the fastening groove 13 to couple the two saddle bands 11 . By adding or removing the saddle band 11,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the inner space of the band unit 10 according to the telephone poles of various diameters. The saddle band 1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예를 들면, 밴드부(10)는 버클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전신주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band portion 10 may be coupled to a telephone pole by being fastened in a buckle coupling manner.

도4 는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4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4를 참조하면, 밴드부(10)의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는 버클 결합부(12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된 일측의 일단에는 암버클(121)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수버클(122)이 형성되어 있어, 암버클(121)과 수버클(122)이 상호 분리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the buckle coupling part 12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of the band part 10 . At one end of the open side, the female buckle 121 is formed, and the other end is formed with a male buckle 122, so that the female buckle 121 and the male buckle 122 can be configured in a mutually separable form.

암버클(121)과 수버클(122)을 결합시킬 때는 암버클(121)의 단부를 수버클(122)의 내측으로 삽입한 상태에서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밀어넣으면 암버클(121)의 단부 양측에 형성된 탄성편이 수버클(122)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걸림되면서 상호 결합될 수 있다.When combining the female buckle 121 and the male buckle 122, when the end of the female buckle 121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male buckle 122 and pushed with a pressure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on both ends of the female buckle 121 The formed elastic pieces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being caught in the hooking hol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le buckle 122 .

그리고 암버클(121)과 수버클(122)을 분리시킬 때는 수버클(122)의 걸림구멍으로 노출된 암버클(121)의 탄성편을 일정이상의 압력으로 가압하면 암버클(121)이 수버클(122)에서 이탈되면서 상호 분리될 수 있다.And when the female buckle 121 and the male buckle 122 are separated by pressing the elastic piece of the female buckle 121 exposed through the locking hole of the male buckle 122 with a pressure of more than a certain amount, the female buckle 121 is the male buckle. It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separated from (122).

버클 결합부(120)의 일측에는 스프링(123)이 마련되어 있어 결합 및 분리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A spring 12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uckle coupling part 12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during coupling and separation.

또한, 예를 들면, 밴드부(10)는 볼트 결합 방식으로 체결되어 전신주에 결합될 수 있다.Also, for example, the band portion 10 may be coupled to a telephone pole by being fastened by a bolt coupling method.

도5 는 실시예에 따른 밴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5 is a view for explaining a band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5를 참조하면, 밴드부(10)의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는 볼트 결합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개방된 일측의 일단에는 볼트(131)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어, 볼트(131)가 체결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볼트(131)의 몸통에 너트(132)가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볼트 결합부(130)의 일측에는 스프링(133)이 마련되어 있어 결합 및 분리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 bolt coupling portions 130 may be formed at both ends of one open side of the band portion 10 . A bolt 131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open side, and a fastening groove is formed at the other end. can be A spring 13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lt coupling unit 130 to provide an elastic force during coupling and separation.

다시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밴드부(10)의 외주면에는 제1관통홈(15)이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부(16)가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6)는 밴드부(10)의 외주면을 따라 복수개가 소정 간격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관통홈(15)의 사이에는 체결홈(13)이 마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새들 밴드(11)는 하나의 제1관통홈(15)과 제1관통홈(15) 양측에 마련되는 2개의 체결홈(1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Referring back to FIGS. 1 to 3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groove 15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0 . A plurality of protrusions 16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0 . In addition, a fastening groove 13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through grooves 15 . That is, one saddle band 11 may include one first through groove 15 and two fastening grooves 1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first through groove 15 .

돌출부(16)간의 이격거리는 후술하게 될 제1아크부(21)의 하면에 형성된 볼록부(211)간의 이격거리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sions 16 may b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spacing between the convex parts 211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arc part 21,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도6은 실시예에 따른 발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6 is a view for explaining a scaffol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도1 내지 도3 및 도6을 참조하면, 발판부(20)는 밴드부(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아크부(21)와, 제1아크부(21)에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대(22) 및 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대(23) 및 제1지지대(22)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아크부(24)를 포함할 수 있다.1 to 3 and 6 , the footrest part 20 includes a first arc part 21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art 10 , and a first arc part 21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rc part 21 . It may include a first support 22 and a second support 23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c, and a second arc portion 24 formed at an end of the first support 22 .

발판부(20)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아크부(21)는 돌출부(16)에 안착될 수 있다. 제1아크부(21)의 하면에는 복수개의 볼록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볼록부(211)는 제1아크부(21)가 돌출부(16)에 안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6)의 사이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The footrest 2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The first arc portion 21 may be seated on the protrusion 16 . A plurality of convex portions 211 may b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arc portion 21 . The convex part 211 may be fitted between the protrusions 16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rc part 21 is seated on the protrusion 16 .

제1아크부(21)에는 제2관통홈(26)이 형성되어 있어, 돌출부(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2관통홈(26)과 제1관통홈(15)에 삽입되는 결합핀(31)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제2관통홈(26)은 볼록부(211)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제2관통홈(26)은 볼록부(211)가 돌출부(16)의 사이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제1관통홈(15)과 동일한 수직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제1관통홈(15)과 제2관통홈(26)에는 결합핀(31)이 삽입되어, 발판부(20)를 밴드부(10)에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A second through groove 26 is formed in the first arc portion 21, and a coupling pin ( 31) can be fixed. The second through groove 26 may be formed in a region where the convex portion 211 is not formed. The second through-groove 26 may be positioned on the same vertical line as the first through-groove 15 in a state in which the convex portion 211 is fitted between the protrusions 16 . A coupling pin 31 is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groove 15 and the second through-groove 26 , so that the footrest 20 can be fixedly coupled to the band 10 .

제1아크부(21)의 호의 길이는 새들 밴드(11)의 호의 길이의 2배일 수 있다.The arc length of the first arc portion 21 may be twice the length of the arc of the saddle band 11 .

또한, 제2아크부(24)의 호의 길이는 제1아크부(21)의 호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Also, the arc length of the second arc part 24 may be longer than the arc length of the first arc part 21 .

발판부(20)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제2아크부(24)에서 제1아크부(21)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제2아크부(24)의 높이는 밴드부(10)의 높이와 소정의 오차 범위안에서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볼록부(25)가 돌출부(16)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제2아크부(24)측의 높이를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함으로서 발판부(20)의 전체 무게를 감소시킬 수 있다.When viewed from the side, the footrest part 20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height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second arc part 24 to the first arc part 21 . The height of the second arc part 24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band part 10 within a predetermined error range. Through this, the convex part 25 can be stably fixed between the protrusions 16, and the overall weight of the footrest part 20 can be reduced by forming a relatively low height of the second arc part 24 side. have.

지지대(25)는 제1아크부(21)에서 지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대(22) 및 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지지대(23)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5)는 그물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지지대(25)의 길이는 150mm 내지 300mm로 형성되어, 최소 절반 이상의 작업자의 발이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The support 25 may include a first support 22 extending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first arc portion 21 and a second support 23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rc. The support 25 may be made in the form of a mesh, and the length of the support 25 is formed in a range of 150 mm to 300 mm, so that at least half of the workers' feet can be seated.

최외곽에 배치된 2개의 지지대에는 잠금 고리(27)가 마련될 수 있다. A locking ring 27 may be provided on the two supports arranged on the outermost side.

발판부(20)의 중심부에는 경첩부(28)가 마련되어 있어 발판부(20)의 양측면이 경첩부(28)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면접할 수 있다. 경첩부(28)는 발판부(20)의 중심부에서 제1지지대(2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발판부(20)는 경첩부(28)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접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A hinge portion 28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footrest unit 20 so that both sides of the footrest unit 20 can be rotated around the hinge unit 28 for an interview. The hinge part 28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support 22 at the center of the footrest part 20 . The footrest unit 20 may have a folding structure by rotating around the hinge unit 28 .

발판부(20)의 표면에는 돌기(212)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212)는 제1아크부(21), 제2아크부(24), 제1지지대(22) 및 제2지지대(23) 표면에 모두 형성되어 작업자의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A protrusion 212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affold 20 . The protrusions 212 are formed on the surfaces of the first arc portion 21 , the second arc portion 24 , the first support 22 , and the second support 23 to prevent the operator from slipping.

또한, 복수개의 발판부(20)가 밴드부(10)의 외주면을 따라 결합될 수 있다. 복수개의 발판부(20)는 서로 인접하여 밴드부(10)에 결합되거나 또는 상호 이격하여 밴드부(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복수의 작업자가 동시에 작업을 수행하거나 발판부(20)를 이동하면서 작업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footrests 20 may be coupled alo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10). The plurality of footrest units 20 may be adjacent to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band unit 10 , or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coupled to the band unit 10 . Through this, a plurality of workers may perform the work at the same time or work while moving the footrest unit 20 .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variously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within the scop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it can be done.

1: 주상 안전 발판대
10: 밴드부
11: 새들 밴드
20: 발판부
21: 제1아크부
22: 제1지지대
23: 제2지지대
24: 제2아크부
1: Column safety scaffolding
10: band part
11: Saddle Band
20: scaffold
21: first arc unit
22: first support
23: second support
24: second arc unit

Claims (10)

환형 형상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삽입되는 전신주에 고정되는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제1아크부와, 상기 제1아크부에서 연장되는 그물망 형태의 복수개의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말단에 형성되는 제2아크부를 포함하는 발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밴드부의 외주면에는 제1관통홈이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1아크부는 상기 돌출부에 안착되며,
상기 제1아크부의 하면에는 소정 간격 상호 이격하여 복수개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1아크부가 상기 돌출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의 사이에 끼워 맞춰지며,
상기 발판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아크부에서 상기 제1아크부 방향으로 갈수록 높이가 점진적으로 높아지는 형상을 가지는 주상 안전 발판대.
a band portion having an annular shape and fixed to a telephone pole being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and
A first arc part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nd part, and a plurality of mesh-shaped supports extending from the first arc part, and a footrest part including a second arc part formed at the end of the support,
A plurality of protrusions provided with first through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and portion, and the first arc portion is seated on the protrusions,
A plurality of convex parts are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st arc part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convex parts are fitted between the protrusions while the first arc part is seated on the protrusion,
When the scaffold portion is viewed from the side, a column safety scaffold having a shape in which the height is gradually increased from the second arc portion toward the first arc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크부는 제2관통홈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관통홈과 상기 제1관통홈에 삽입되는 결합핀을 통하여 고정되는 주상 안전 발판대.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arc portion is formed with a second through-groove, and is fixed to the second through-groove and a coupling pin inserted into the first through-groove while seated on the protrus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중심부에는 경첩부가 마련되어 있어 상기 발판부의 양측면이 상기 경첩부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면접하는 주상 안전 발판대.
According to claim 1,
A hinge part is provided in the center of the scaffold part, so that both sides of the scaffold part rotate around the hinge part to interview the column safety scaff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전신주에 삽입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는 버클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상 안전 발판대.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band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elephone pole in an open state, and a buckle coupling par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의 일측이 개방된 상태로 상기 전신주에 삽입 고정되며, 개방된 일측의 양단에는 볼트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주상 안전 발판대.
According to claim 1,
One side of the band part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telephone pole in an open state, and a bolt coupling part is formed at both ends of the open si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복수개의 새들(saddle) 밴드가 결합되어 형성되는 주상 안전 발판대.
According to claim 1,
The band portion is a column safety scaffold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saddle band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새들 밴드는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주상 안전 발판대.
9. The method of claim 8,
The plurality of saddle bands are detachably coupled to a column safety scaffo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의 표면에는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주상 안전 발판대.
According to claim 1,
A columnar safety scaffold having a projection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caffold.
KR1020200131920A 2020-10-13 2020-10-13 Columnar safety platform KR10241787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920A KR102417874B1 (en) 2020-10-13 2020-10-13 Columnar safety platfor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1920A KR102417874B1 (en) 2020-10-13 2020-10-13 Columnar safety platfor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10A KR20220048710A (en) 2022-04-20
KR102417874B1 true KR102417874B1 (en) 2022-07-07

Family

ID=81403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1920A KR102417874B1 (en) 2020-10-13 2020-10-13 Columnar safety platfor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874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313B2 (en) * 1989-11-27 1996-07-31 ドーエイ外装有限会社 Flag poll
JP3216585B2 (en) * 1997-08-29 2001-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200424200Y1 (en) * 2006-06-07 2006-08-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oothold Structure to Foundation Electric Pole Equipment
JP2012180690A (en) * 2011-03-02 2012-09-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Vertical work platform
JP2014201952A (en) * 2013-04-04 2014-10-27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Scaffold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16585U (en) * 2018-03-28 2018-06-07 株式会社福岡通信工材製作所 Ai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20313B2 (en) * 1989-11-27 1996-07-31 ドーエイ外装有限会社 Flag poll
JP3216585B2 (en) * 1997-08-29 2001-10-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Air conditioner
KR200424200Y1 (en) * 2006-06-07 2006-08-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oothold Structure to Foundation Electric Pole Equipment
JP2012180690A (en) * 2011-03-02 2012-09-20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Vertical work platform
JP2014201952A (en) * 2013-04-04 2014-10-27 旭化成ホームズ株式会社 Scaffold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8710A (en) 2022-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45348C (en) Self-retracting lifeline with disconnectable lifeline
US4111280A (en) Supporting guide rail for ladder safety device
CA3048878C (en) Tolerance ring in external energy absorber
KR102417874B1 (en) Columnar safety platform
KR101209868B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fall
US20160130824A1 (en) Safe scaffold structure with guardrails
KR102045343B1 (en) Safety device with quick pin for fall prevention of steel tower
KR20210048308A (en) A preventing falling apparatus for power pole
KR20190123441A (en) Cover for a gap between scaffold planks
KR102098481B1 (en) Rope-passying type supporting apparatus
JP4524434B2 (en) Columnar lifting tool
KR20200018124A (en) Safety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safety of worker using the same
CN202478436U (en) Iron tower climbing personnel carry-on fall prevention protector
CN206667931U (en) A kind of construction safety wall
CN215886151U (en) Tower crane structure
CN214145347U (en) Anti-falling protection device for ladder high-altitude operation
CN220266282U (en) Grafting mechanism and overhaul channel bridge
KR20230101422A (en) Working bench for pruning tree to prevent ground faults in power transmission lines
KR102583071B1 (en) Fixing device for ladder protective fence
KR101622711B1 (en) Leisure sports facilities equipped whit smart descent unit on the cable configuration apparatus
EP4219865A1 (en) Aluminum pipe support
KR102528585B1 (en) Safety rope for electric pole with anti-fall function
CN210764042U (en) Tower crane platform
CN217420464U (en) Scaffold pedal connecting seat
JP5328859B2 (en) Insulator lifting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