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7023B1 - 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 Google Patents

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7023B1
KR102417023B1 KR1020150167128A KR20150167128A KR102417023B1 KR 102417023 B1 KR102417023 B1 KR 102417023B1 KR 1020150167128 A KR1020150167128 A KR 1020150167128A KR 20150167128 A KR20150167128 A KR 20150167128A KR 102417023 B1 KR102417023 B1 KR 1024170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fixing pin
hinge shaft
plate
w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1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61933A (en
Inventor
양창열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50167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7023B1/en
Publication of KR20170061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193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70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70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2Thigh-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84Adjustable seat-cushion l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90Details or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995Lower-leg-rests, e.g. calf-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메인플레이트(20)의 양단에 설치된 세로 방향 힌지축(30)에 윙플레이트(4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윙플레이트(40)의 회동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고정핀(60)이 구비된다. 윙플레이트(40)를 메인플레이트(20)와 평평하게 고정하여 다리 지지 면적을 확장하거나, 수직으로 세운 상태로 고정하여 선회 주행시 다리가 메인플레이트(2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seat, wherein the wing plate 4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longitudinal hinge shafts 30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plate 20, and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wing plate 40 A fixing pin 60 for fixing and releasing is provided. The wing plate 40 is fixed flat with the main plate 20 to extend the leg support area, or by fixing it in a vertical standing state to prevent the legs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main plate 20 during turning driving.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쿠션의 앞쪽 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필요시 승객의 다리를 받쳐줌으로써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g support device for a car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eg support device for a car seat that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a seat cushion to provide comfort by supporting the legs of a passenger when necessary. it's about

일반적으로 시트에 앉았을 때 다리를 펴서 별도로 마련된 다리받침에 올려 놓으면 한결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소파의 쿠션부 앞쪽에 레그 서포트 장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할 때 종아리 부분을 받쳐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파의 편의성 및 안락함을 배가시키고 있다.In general, when sitting on the seat, you can feel more comfortable if you spread your legs and place them on a separate legrest. Therefore, in recent years, by installing a leg support device in front of the cushion part of the sofa to support the calf part when the user wants it, the convenience and comfort of the sofa are doubled.

동일한 목적으로 차량 특히 고급 승용차량의 후석 시트에도 레그 서포트 장치가 설치되었다. 그런데 차량은 정지해 있지 않고 주행 중 좌우로 선회를 반복하게 되는데 이때 레그 서포트 쿠션의 양측 방향으로 선회 관성에 의해 다리가 떨어짐으로써 편의성 및 안락함이 저해된다.For the same purpose, leg support devices have been installed in the rear seats of vehicles, especially luxury passenger cars. However, the vehicle does not stop and repeatedly turns left and right while driving. At this time, the legs fall due to the turning inertia in both directions of the leg support cushion, which impairs convenience and comfort.

따라서, 등록특허 제10-0821101호(2008.04.02. 등록, 한일이화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다리받침대)와 같이, 메인지지쿠션의 양측 단부에 가이드쿠션을 설치하고, 필요시 가이드쿠션을 회동시켜 메인지지쿠션의 단부에서 수직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선회시 메인지지쿠션으로부터 승객의 다리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Therefore, as in Patent Registration No. 10-0821101 (registered on Apr. 2, 2008, Hanilhwa Co., Ltd., vehicle seat leg rest), guide cushions are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support cushion, and when necessary, the guide cushion is rotated to rotate the main support cushion. By protruding vertically upward from the end of the support cushion, it is prevented that the passenger's legs are separated from the main support cushion when the vehicle is turning.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그 서포트 장치는 메인지지쿠션을 관통하여 파이프부재(내주면에 나사가 형성됨)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부재에 가이드쿠션을 관통한 고정부재(일종의 볼트임)가 나사 체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leg support device as described above, a pipe member (a screw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installed through the main support cushion, and a fixing member (a type of bolt) penetrating the guide cushion to the pipe member is screwed. made of structure

따라서, 가이드쿠션이 메인지지쿠션의 폭방향선에 대해 수직인 평면상에서 파이프부재를 중심으로 상향 회동하여 메인지지쿠션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다리 지지면을 형성하거나, 그 상태에서 원위치로 하향 회동하여 메인지지쿠션의 평면과 동일한 면을 형성하는 상태로 복귀된다.Therefore, the guide cushion rotates upward around the pipe member on a plane perpendicular to the width direction line of the main support cushion to form a leg support surface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main support cushion, or rotates downward to the original position in that state. It returns to the state of forming the same plane as the plane of the main support cushion.

그런데 상기 종래의 가이드쿠션은 메인지지쿠션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상방으로 회동된 사용 상태를 유지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서 주행중의 진동이나 승객의 다리에 의해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하향 회동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경우 승객의 다리를 메인지지쿠션으로부터 이탈하지 않도록 지지해줄 수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guide cushion consists of a structure that maintains the used state rotated upward by the frictional force generated between the main support cushion and the main support cushion. And, when such a phenomenon occurred, it was not possible to support the passenger's legs so as not to depart from the main support cushion.

또한 가이드쿠션은 사용하지 않는 보관 상태에서 메인지지쿠션과 벨크로테이프로 연결되어 보관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어서 그 위치 유지가 견고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주행 진동 등에 의해 회동되어 메인지지쿠션과 정확히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지 못하고 소정량 돌출됨으로써 시트의 외관미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In addition, since the guide cushion is connected to the main support cushion with Velcro tape and maintained in the storage state when not in use, its position is not maintained firmly, so it is rotated by running vibration, etc. to form exactly the same plane as the main support cushion. It became a factor which deteriorated the external appearance of a sheet|seat by protruding by a predetermined amount without being able to do it.

또한 체구가 큰 승객의 경우 메인지지쿠션의 폭 만으로 승객의 두 다리를 지지하기에 불충분한 경우가 있는데, 상기 종래의 레그 서포트 장치는 메인지지쿠션의 폭방향 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기 때문에 체구가 큰 승객은 레그 서포트 장치의 편의성을 충분히 누리지 못하고 불편함을 감수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 large passenger, there are cases where only the width of the main support cushion is insufficient to support the two legs of the passenger.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passenger did not fully enjoy the convenience of the leg support device and had to endure the inconvenience.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 위치 및 보관 위치를 견고히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차량 선회 주행시 승객의 다리가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고 보관 상태에서 시트의 외관미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되며, 다리 지지면의 폭방향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체구가 큰 승객도 정상적으로 다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by being able to firmly maintain the use position and the storage pos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assenger's legs from being separated when the vehicle is turning an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appearance of the seat in the storage stat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eg support device for a car seat that can support a leg normally even for a large passenger by being able to increase the width direction area of the leg support surfa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레버어셈블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양단의 세로 방향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윙플레이트와, 상기 윙플레이트의 회동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ain plate rotatably installed on the cushion frame of the seat through a lever assembly, a wing plate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longitudinal hinge shafts of both ends of the main plate as a medium, It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wing plate.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상/하부에 마운팅부가 돌출 형성되고, 각 마운팅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된 마운팅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윙플레이트의 기단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이 삽입 설치된다.Mounting portions are protruded from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main plate, and mounting brackets having hinge shaft holes are mounted on each mounting portion, and hinge shaft holes are formed at the base end of the wing plate, and the hinge shaft hole and the wing of the mounting bracket. The hinge shaft is inserted and installed through the hinge shaft hole of the plate.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형성된 고정핀홀과, 마운팅부의 고정핀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과, 상기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정홀과, 상기 고정핀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위치조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The positioning means includes a fixing pin hol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plate, a fixing pin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xing pin hol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formed on the same radius around the hinge shaft hole of the wing plate. and a fixing pin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by passing through the fixing pin holes.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은 힌지축홀로부터 마운팅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고정핀홀 사이의 거리는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과 위치조정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The fixing pin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inge shaft hol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hole and the fixing pin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hole and the positioning hole of the wing plate.

상기 위치조정홀은 고정핀이 삽입되면,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의 배면쪽으로 접혀진 보관 상태에 있게 하는 제1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와 평평한 제1사용 상태에 있게 하는 제2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직립된 상태에 있게 하는 제3위치조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 first positioning hole for putting the wing plate in a folded storage stat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and a second positioning adjustment for putting the wing plate in a flat first use state with the main plate It may include a hole and a third positioning hole for placing the wing plate 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plate.

상기 힌지축에 윙플레이트를 항상 메인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회동시키는 텐션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A tension spring for always rotating the wing plat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plate may be installed on the hinge shaft.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고정핀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fixing pin to its original position may be installed o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plat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윙플레이트의 보관 상태와 제1사용 상태 및 제2사용 상태의 위치가 고정핀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및 유지되는 레그 서포트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provided a leg support device in which the storage state of the wing plate and the positions of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are firmly fixed and maintained by the fixing pins.

따라서, 윙플레이트의 보관 상태 위치 오차에 의한 외관미 저하가 방지되고, 사용 상태 위치 오차에 의한 성능 저하가 방지된다. 특히 윙플레이트가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직립된 상태(제2사용 상태)가 정확하고 견고하게 유지됨으로써 차량 선회 주행시 메인플레이트로부터 승객의 다리가 이탈되는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deterioration in appearance due to the position error in the storage state of the wing plate is prevented, and deterioration in performance due to the position error in the use state is prevented. In particular, since the state in which the wing plate is erected with respect to the main plate (the second use state) is accurately and firmly maintained,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disengagement of the passenger's legs from the main plate when the vehicle is turn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서포트 장치는 메인플레이트의 양단에서 윙플레이트가 펼쳐져서 메인플레이트의 지지면적을 확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체구가 큰 승객도 협소함을 느끼지 않고 보다 여유롭게 다리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in the le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ing plates are spread at both ends of the main plate so that the support area of the main plate can be expanded, so that even passengers with a large body can support their legs more comfortably without feeling narrow.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쿠션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배면도.
도 4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서포트 장치의 저면도로서, 윙플레이트 비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윙플레이트가 90도 상향 회동된 제1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윙플레이트가 90도 상향 회동된 제2사용 상태를 도시한 도면.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leg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is removed in Figure 1;
Fig. 3 is a rear view of Fig. 2;
Figure 4 is a partially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bottom view of the le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view showing a wing plate non-use state.
Figure 6 is a view showing a first use state in which the wing plate is rotated upward by 90 degrees in the state of Figure 5;
7 is a view showing a second use state in which the wing plate is rotated upward by 90 degrees in the state of FIG. 6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ckness of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precedent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쿠션을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레그 서포트 장치는 시트의 쿠션프레임(미도시)에 레버어셈블리(10)를 매개로 연결되어 쿠션프레임에 대해 상하 회동 가능한 상태로 설치된 메인플레이트(20)와, 메인플레이트(20) 양단에 힌지축(3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윙플레이트(40)와, 윙플레이트(40)의 회동 위치를 고정 및 해제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한다.Figure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leg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cushion is removed in Figure 1, the leg suppor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ever on the cushion frame (not shown) of the seat The main plate 20 connected through the assembly 10 and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able to rotat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cushion frame, and the wing plate 40 rotatab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plate 20 through the hinge shaft 30 And, it includes a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fixing and releas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wing plate (40).

상기 메인플레이트(20)와 양측 윙플레이트(40)는 쿠션(21,41)에 둘러 싸여 승객의 다리가 접촉할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쿠션(21,41)은 발포 폼이나 스펀지와 같은 탄성재를 가죽 등의 표피재로 포장하여 이루어진 것이다.The main plate 20 and both wing plates 40 are surrounded by cushions 21 and 41 so that the passengers' legs can feel comfortable when they come into contact. The cushions 21 and 41 are made by packag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foam or sponge with a skin material such as leather.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20)는 레버어셈블리(10)의 마운팅레버(11)에 장착되어 있다. 메인플레이트(20)의 단부에는 윙플레이트(40)의 양측면과 마주보는 마운팅부(2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양측 마운팅부(21)의 사이로 윙플레이트(40)의 기단부가 삽입되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이다.3 and 4 , the main plate 20 is mounted on the mounting lever 11 of the lever assembly 10 . At the end of the main plate 20, mounting portions 21 facing both sides of the wing plate 40 are formed to protrude. The proximal end of the wing plate 40 is inserted between the mounting portions 21 on both sides to be rotatably mounted.

상기 마운팅부(21)에는 각각 직사각형 형상의 판재인 마운팅브라켓(50)이 장착된다. 마운팅브라켓(50)에는 상하 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2개의 원형 홀이 형성되는데, 아래쪽 홀은 힌지축홀(51)이고 위쪽 홀은 고정핀홀(52)이다. 즉, 마운팅브라켓(50) 설치 상태에서 메인플레이트(20)의 전면쪽에 위치한 홀이 고정핀홀(52)이고 배면쪽에 위치한 홀이 힌지축홀(51)이다.Mounting brackets 50, which are rectangular plates, are mounted on the mounting portions 21, respectively. Two circular holes are formed on the same lin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e mounting bracket 50 , the lower hole being the hinge shaft hole 51 and the upper hole being the fixing pin hole 52 . That is, in the mounting bracket 50 installed state, the hole located on the front side of the main plate 20 is the fixing pin hole 52 , and the hole located on the rear side is the hinge shaft hole 51 .

상/하 마운팅부(21)에 각각 장착된 마운팅브라켓(50)의 힌지축홀(51)에 양단이 삽입되는 상태로 힌지축(30)이 설치된다. 즉, 힌지축(30)은 메인플레이트(20)의 가로 방향 단부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다.The hinge shaft 30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hole 51 of the mounting bracket 50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lower mounting part 21 . That is, the hinge shaft 30 is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transverse end of the main plate 20 .

상기 힌지축(30)에는 윙플레이트(40)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윙플레이트(40)의 기단부 양측에는 각각 힌지축홀(4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힌지축홀(41)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30)이 설치된다.A wing plate 40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hinge shaft 30, and hinge shaft holes 41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ase end of the wing plate 40, and the hinge shaft holes 41 pass through the hinge A shaft 30 is installed.

상기 윙플레이트(40)의 기단부에는 힌지축홀(41)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 선상에 복수의 위치조정홀(42,43,44)이 형성된다. 도 4에서는 힌지축홀(41)의 좌측과 상측과 우측에 상호 90도의 위상차를 두고 제1위치조정홀(42)과 제2위치조정홀(43)과 제3위치조정홀(44)이 형성된다.A plurality of positioning holes 42 , 43 , 44 are formed on the same radial line with respect to the hinge shaft hole 41 at the base end of the wing plate 40 . 4,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 42,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43,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ment hole 44 are formed with a phase difference of 90 degrees from each other on the left side, the upper side, and the right side of the hinge shaft hole 41 .

상기 위치조정홀(42,43,44)들은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더불어 이후 설명할 고정핀(60)이 관통 삽입됨으로써 윙플레이트(40)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하는데 이용된다. 즉,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고정핀(60)과, 메인플레이트(20) 마운팅부(21)의 고정핀홀(21a; 이후 설명함.)과,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 및 윙플레이트(40)의 위치조정홀(42,43,44)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ositioning holes 42, 43, and 44 are used to fix the adjusted position of the wing plate 40 by inserting a fixing pin 60 to be described later together with the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through it. do. That is, the positioning means includes a fixing pin 60, a fixing pin hole 21a of the main plate 20 mounting part 21 (to be described later), a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and a wing. It is made to include the positioning holes (42, 43, 44) of the plate (40).

상기 윙플레이트(40)의 힌지축홀(41)과 위치조정홀(42,43,44) 사이의 거리는 마운팅브라켓(50)의 힌지축홀(51)과 고정핀홀(52)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hole 41 of the wing plate 40 and the positioning holes 42 , 43 , 44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hole 51 and the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마운팅부(21)에는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마주보는 위치에 고정핀홀(21a)이 형성된다.A fixing pin hole 21a is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21 of the main plate 20 at a position facing the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

상기 마운팅부(21)와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21a,52)에 고정핀(60)이 삽입 설치되며, 고정핀(60)의 바디 단부는 윙플레이트(40)의 위치조정홀(42,43,44)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된다.The fixing pin 60 i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s 21a and 52 of the mounting part 21 and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body end of the fixing pin 60 is a position adjustment hole of the wing plate 40 ( 42, 43, 44) is inserted into any one of.

고정핀(60)은 축방향(고정핀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전후 이동할 수 있으며, 최대한 당겨졌을 때(도 4의 화살표A 방향) 바디 단부가 윙플레이트(40)의 위치조정홀(42,43,44)로부터 이탈되나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에서 빠지지는 않도록 되어 있다.The fixing pin 60 can move back and forth in the axial direc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xing pin body), and when it is pulled to the maximum (arrow A direction in FIG. 4 ), the end of the body is the positioning hole 42 and 43 of the wing plate 40 . , 44), but does not fall out from the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고정핀(60)의 헤드는 사용자가 당기기 용이하도록 바디로부터 둥글게 확장 성형되어 있다.The head of the fixing pin 60 is formed in a round shape from the body to be easily pulled by the user.

한편, 상기 힌지축(30)에는 윙플레이트(40)를 항상 상방으로 회전(메인플레이트(20)의 전면쪽으로 회전됨을 의미함.)시키는 힘을 가하는 텐션스프링(70)이 설치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shaft 30 is provided with a tension spring 70 that applies a force to always rotate the wing plate 40 upward (meaning that it rotates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plate 20).

상기 텐션스프링(70)은 코일부의 내측으로 힌지축(30)이 삽입된 상태로 힌지축(30)상에 설치되고, 일측 단부는 메인플레이트(20)와 일체로 거동하는 마운팅레버(11)에 형성된 고정홀(11a)에 삽입 고정되며, 타측 단부는 윙플레이트(40)의 배면에 이를 상방으로 미는 상태로 접촉된다. 윙플레이트(40)의 배면에 반원형 고리 형상의 고정편이 형성되어 텐션스프링(70)의 타측 단부를 고정해줄 수 있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tension spring 70 is installed on the hinge shaft 30 with the hinge shaft 30 inserted into the coil part, and one end of the mounting lever 11 moves integrally with the main plate 20 . It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fixing hole 11a formed in the wing plate 40, and the other end is in contact with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late 40 in a state of pushing it upward. It is preferable that a fixing piece having a semicircular annular shape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wing plate 40 to fix the other end of the tension spring 70 .

또한, 상기 메인플레이트(20)의 일측(고정핀(60)이 설치되는 쪽) 마운팅부(21)에는 고정핀(60)을 당겨진 상태에서 원위치(바디 단부가 위치조정홀로 삽입되는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80)이 설치된다.In addition, the one side of the main plate 20 (the side on which the fixing pin 60 is installed) is returned to the original position (the state in which the end of the body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adjustment hole) in the state where the fixing pin 60 is pulled on the mounting part 21 . A return spring 80 is installed to

리턴스프링(80)은 상기 마운팅부(21)의 내에서 마운팅브라켓(50)과 마운팅부(21)의 벽면 사이에 배치되고, 고정핀(60)이 관통되어 고정핀(60)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일단은 고정핀(60)의 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마운팅부(21)의 내측 벽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고정핀(60)을 당기면 압축되고 놓으면 이완되는 상태로 작동된다.The return spring 80 is disposed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wall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1 in the mounting part 21 , and the fixing pin 60 passes through and is installed on the fixing pin 60 . One end is fixed to the body of the fixing pin 60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mounting part 21 . Therefore, when the fixing pin 60 is pulled, it is compressed and when released, it operates in a relaxed state.

이제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 내지 도 7에서는 고정핀(60)이 삽입되어 걸려지는 위치조정홀(42,43,44)을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마운팅브라켓(50)과 윙플레이트(40)의 개략도를 별도로 추가 도시하였다.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schematic views of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wing plate 40 are separately additionally shown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ositioning holes 42, 43, and 44 in which the fixing pins 60 are inserted and hung.

메인플레이트(20)는 전력 또는 유압을 이용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되는데, 액추에이터의 작동력은 메인플레이트(20)에 직접 작용하거나 또는 레버어셈블리(10)를 통해 작용할 수 있다. 메인플레이트(20)에 직접 작용하는 경우 레버어셈블리(10)는 메인플레이트(20)의 작동 경로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The main plate 20 is operated by an actuator using electric power or hydraulic pressure, and the operating force of the actuator may act directly on the main plate 20 or through the lever assembly 10 . When acting directly on the main plate 20 , the lever assembly 10 serves to form an operating path of the main plate 20 .

메인플레이트(20)가 상방으로 회동되어 승객의 다리를 받칠 수 있는 사용 상태가 되었을 때 윙플레이트(40)는 아직 메인플레이트(20)의 배면쪽으로 접혀진 보관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main plate 20 is rotated upward to be in a use state capable of supporting the passenger's legs, the wing plate 40 still maintains the folded storage stat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20 .

힌지축(30)은 마운팅브라켓(50)과 윙플레이트(40)의 힌지축홀(51,41)에 항상 삽입되어 있다. 즉, 마운팅브라켓(50)과 윙플레이트(40)의 힌지축홀(51,41)은 항상 마주본 상태를 유지한다.The hinge shaft 30 is always inserted into the hinge shaft holes 51 and 41 of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wing plate 40 . That is,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hinge shaft holes 51 and 41 of the wing plate 40 always maintain a facing state.

고정핀(60)은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에는 항상 삽입되어 있고, 윙플레이트(40)의 회동 위치에 따라 고정핀홀(52)과 동일 선상에 놓여지는 위치조정홀(42,43,44)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됨으로써 윙플레이트(40)의 조정된 위치를 고정 상태로 유지하게 된다.The fixing pin 60 is always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positioning hole 42, which is placed on the same line as the fixing pin hole 52 according to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wing plate 40, 43, 44) by being inserted into any one of the adjusted position of the wing plate 40 is maintained in a fixed state.

상기 보관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상태로서, 윙플레이트(40)가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하향 회동되어 있으므로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윙플레이트(40)의 제1위치조정홀(42)이 상호 일치되며, 고정핀(60)이 상기 고정핀홀(52)과 제1위치조정홀(42)에 삽입된다.The storage state is the state shown in FIG. 5 , and since the wing plate 40 is rotated downward about the hinge shaft 30 , the fixing pin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first of the wing plate 40 . The positioning holes 42 coincide with each other, and the fixing pins 60 are inserted into the fixing pin holes 52 and the first positioning holes 42 .

따라서, 윙플레이트(40)의 하향 회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메인플레이트(20)를 하향 회동시키면 윙플레이트(40)는 시트 쿠션 하측에 마련된 공간으로 삽입되어 외부에서 보이지 않는 깔끔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downwardly rotated state of the wing plate 40 is firmly maintained. When the main plate 20 is rotated downward in this state, the wing plate 40 is inserted into the space provided under the seat cushion and can be stored in a neat state that is not visible from the outside.

도 6은 제1사용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메인플레이트(20)의 좌우방향 폭을 확장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도 5의 보관 상태에서 고정핀(60)을 당기면 고정핀(60)이 제1위치조정홀(42)에서 빠지고, 텐션스프링(70)의 작용에 의해 윙플레이트(40)가 상방으로 회동된다.6 shows the first use state, and has an effect of expanding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plate 20 . When the fixing pin 60 is pulled in the storage state of FIG. 5 , the fixing pin 60 is removed from the first position adjustment hole 42 , and the wing plate 40 is rotated upward by the action of the tension spring 70 . .

이때 승객은 윙플레이트(40)를 수평 위치에서 잡고 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윙플레이트(40)의 제2위치조정홀(43)을 일치시킨 뒤 다른 손으로 잡고 있던 고정핀(60)을 놓으면 리턴스프링(80)의 복원력에 의해 고정핀(60)이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제2위치조정홀(43)에 삽입된다.At this time, the passenger holds the wing plate 40 in a horizontal position, matches the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with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43 of the wing plate 40, and then holds the fixing pin with the other hand. When (60) is released, the fixing pin 6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position adjustment hole 43 while returning to the original position by the restoring force of the return spring 80.

따라서, 윙플레이트(40)의 수평으로 회동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와 같이 메인플레이트(20)의 양측 단부에 윙플레이트(40)가 펼쳐져서 메인플레이트(20)의 좌우방향 폭을 확장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체구가 큰 승객도 보다 여유 있게 두 다리를 편안하게 받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the horizontally rotated state of the wing plate 40 is firmly maintained. In this way, the wing plates 40 are spread out at both ends of the main plate 20 to expand the width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of the main plate 20, so that even a large passenger can comfortably support both legs more comfortably. do.

마지막으로 상기 제1사용 상태에서, 고정핀(60)을 당기고 윙플레이트(40)를 상방(윙플레이트(20)의 전면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으로 회동시켜 메인플레이트(20)에 대해 직각을 이루는 직립 상태로 위치시킨 뒤(마운팅브라켓(50)의 고정핀홀(52)과 윙플레이트(40)의 제3위치조정홀(44)의 위치가 일치된다.), 고정핀(60)을 놓으면 고정핀(60)이 윙플레이트(40)의 제3위치조정홀(44)에 삽입된다.Finally, in the first use state, the fixing pin 60 is pulled and the wing plate 40 is rotated upward (the state rotated in the front direction of the wing plate 20) to form a right angle to the main plate 20 After positioning in an upright state (the positions of the fixing pin hole 52 of the mounting bracket 50 and the third position adjustment hole 44 of the wing plate 40 coincide), when the fixing pin 60 is released, the fixing pin (60) is inserted into the third position adjustment hole (44) of the wing plate (40).

따라서, 양측 윙플레이트(40)는 메인플레이트(20)의 양단부에 직립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한다. 따라서, 차량이 급격히 선회 주행하여 승객의 다리에 강한 회전 관성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윙플레이트(40)가 승객의 다리를 지지해줌으로써 승객의 다리가 메인플레이트(20)로부터 이탈하여 차량 실내 바닥으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승객은 차량 선회 주행시에도 메인플레이트(20)로부터 다리가 떨어질 걱정 없이 편안하게 다리를 받칠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both wing plates 40 firmly maintain an upright state at both ends of the main plate 20 . Therefore, even when the vehicle is rapidly turning and a strong rotational inertia acts on the passenger's leg, the wing plate 40 supports the passenger's leg so that the passenger's leg is separated from the main plate 20 to the floor inside the vehicle. No falling phenomenon Accordingly, the passenger can comfortably support his or her legs without worrying that the legs will fall from the main plate 20 even when the vehicle is turning.

상기와 같은 제1사용 상태 및 제2사용 상태에서의 사용이 끝나면 고정핀(60)을 뽑고 윙플레이트(40)를 하향 회동시켜 도 5와 같은 보관 상태로 만든 뒤, 고정핀(60)을 복귀시켜 윙플레이트(40)의 위치를 고정함으로써 보관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플레이트(20)를 하향 회동시켜 보관 위치에서 대기 상태를 유지한다.When the use in the first use state and the second use state as described above is finished, the fixing pin 60 is pulled out, the wing plate 40 is rotated downward to make the storage state as shown in FIG. 5 , and then the fixing pin 60 is returned. to maintain the storage state by fixing the position of the wing plate 40. Thereafter, as described above, the main plate 20 is rotated downward to maintain a standby state in the storage position.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ese are merely exemplar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therefrom. You will understand that it is possible.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레버어셈블리 11 : 마운팅레버
11a : 고정홀 20 : 메인플레이트
21 : 마운팅부 21a : 고정핀홀
30 : 힌지축 40 : 윙플레이트
41 : 힌지축홀 42,43,44 : 위치조정홀
50 : 마운팅브라켓 51 : 힌지축홀
52 : 고정핀홀 60 : 고정핀
70 : 텐션스프링 80 : 리턴스프링
10: lever assembly 11: mounting lever
11a: fixing hole 20: main plate
21: mounting portion 21a: fixed pin hole
30: hinge shaft 40: wing plate
41: hinge shaft hole 42, 43, 44: positioning hole
50: mounting bracket 51: hinge shaft hole
52: fixing pin hole 60: fixing pin
70: tension spring 80: return spring

Claims (7)

시트의 쿠션프레임에 레버어셈블리를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메인플레이트와,
상기 메인플레이트 양단의 세로 방향 힌지축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윙플레이트와,
상기 윙플레이트의 회동 위치를 조정하는 위치조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양측 단부 상/하부에 마운팅부가 돌출 형성되고, 각 마운팅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된 마운팅브라켓이 장착되며, 상기 윙플레이트의 기단부에 힌지축홀이 형성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관통하여 상기 힌지축이 삽입 설치되며,
상기 위치조정수단은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형성된 고정핀홀과, 마운팅부의 고정핀홀과 마주보는 위치에 형성된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과, 상기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을 중심으로 동일 반경상에 형성된 복수의 위치조정홀과, 상기 고정핀홀들을 관통하여 상기 위치조정홀에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The main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cushion frame of the seat through the lever assembly,
a wing plate installed rotatably through the longitudinal hinge axis of both ends of the main plate;
and a position adjusting means for adjusting the rotational position of the wing plate,
Mounting portions are protruded from upper and lower portions of both ends of the main plate, and mounting brackets having hinge shaft holes are mounted on each mounting portion, and hinge shaft holes are formed at the base end of the wing plate, and the hinge shaft hole and the wing of the mounting bracket. The hinge shaft is inserted and installed through the hinge shaft hole of the plate,
The positioning means includes a fixing pin hole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plate, a fixing pin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formed at a position facing the fixing pin hole of the mounting portion, and a plurality of formed on the same radius around the hinge shaft hole of the wing plate. A leg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seat, comprising: a position adjustment hole of a position adjustment hole; and a fixing pin that passes through the fixing pin holes and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adjustment ho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브라켓의 고정핀홀은 힌지축홀로부터 마운팅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이격되어 형성되고, 마운팅브라켓의 힌지축홀과 고정핀홀 사이의 거리는 윙플레이트의 힌지축홀과 위치조정홀 사이의 거리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in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is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hinge shaft hol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ounting plate,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hole of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fixing pin hole is the same as the distance between the hinge shaft hole and the positioning hole of the wing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g support device of the car sea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위치조정홀은 고정핀이 삽입되면,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의 배면쪽으로 접혀진 보관 상태에 있게 하는 제1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와 평평한 제1사용 상태에 있게 하는 제2위치조정홀과, 윙플레이트를 메인플레이트에 대해 직립된 상태에 있게 하는 제3위치조정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n the fixing pin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ing hole, a first positioning hole for putting the wing plate in a folded storage state toward the rear surface of the main plate, and a second positioning adjustment for putting the wing plate in a flat first use state with the main plate A leg support device for a vehicle seat, comprising: a hole; and a third positioning hole for placing the wing plate in an upright state with respect to the main pla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에 윙플레이트를 항상 메인플레이트의 전면쪽으로 회동시키는 텐션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leg support device for a car seat, characterized in that a tension spring for always rotating the wing plate toward the front side of the main plate is installed on the hinge shaf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플레이트의 마운팅부에 고정핀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레그 서포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vehicle seat leg suppor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return spring for returning the fixing pin to its original position is installed in the mounting portion of the main plate.
KR1020150167128A 2015-11-27 2015-11-27 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KR1024170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28A KR102417023B1 (en) 2015-11-27 2015-11-27 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128A KR102417023B1 (en) 2015-11-27 2015-11-27 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33A KR20170061933A (en) 2017-06-07
KR102417023B1 true KR102417023B1 (en) 2022-07-06

Family

ID=5922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128A KR102417023B1 (en) 2015-11-27 2015-11-27 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702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0622B1 (en) 2020-10-27 2022-07-14 주식회사 서연이화 Leg rest device of seat for veh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485A (en) 2003-09-22 2005-04-14 Tachi S Co Ltd Arm rest used for automobile seat
JP2010082099A (en) * 2008-09-30 2010-04-15 Toyota Boshoku Corp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529A (en)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Variable position seat cushion side bolster
KR19980018813U (en) * 1996-09-30 1998-07-06 양재신 Headrest of the car with adjustable angle
KR101463376B1 (en) * 2012-06-27 2014-11-18 정성래 car seat to trnsfer seat win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6485A (en) 2003-09-22 2005-04-14 Tachi S Co Ltd Arm rest used for automobile seat
JP2010082099A (en) * 2008-09-30 2010-04-15 Toyota Boshoku Corp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1933A (en)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4254B2 (en) Vehicle seat
CN106965721B (en) Adjustable headrest assembly with neck support structure
US9221370B2 (en) Vehicle seat
KR101551031B1 (en) Table apparatus for rear passenger in vehicle
JP2019085023A (en) Vehicle seat structure
JP2016210272A (en) Vehicle seat
KR102417023B1 (en) Leg support device of seat for car
KR20120031853A (en) Chair having improved hinge axis structure
JP2015073582A (en) Handrail for western-style toilet
US11628758B2 (en) Table for seat
JP5387390B2 (en) Vehicle seat
KR101073198B1 (en) Chair
JP5378689B2 (en) Chair
JP7476821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JP6745168B2 (en) Footrest device for ottoman
JP2000023782A (en) Seat mechanism
KR20190041631A (en) Seat Reg Rest adjuster
KR101679688B1 (en) Arm-rest tilting apparatus for vehicle
JP6852630B2 (en) Vehicle seat
KR101324121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the armrests of a chair and a chair including the same
KR20170024691A (en) a chair
KR20180002641U (en) Car seat that can be rotated and facing
KR20120126347A (en) Folding reclining device of semi locking structure having vehicle seat
JP5501593B2 (en) Headrest and seat
JP5727635B2 (en) Headrest and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