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504B1 - 냉온찜질용 보호대 - Google Patents

냉온찜질용 보호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504B1
KR102416504B1 KR1020210176013A KR20210176013A KR102416504B1 KR 102416504 B1 KR102416504 B1 KR 102416504B1 KR 1020210176013 A KR1020210176013 A KR 1020210176013A KR 20210176013 A KR20210176013 A KR 20210176013A KR 102416504 B1 KR102416504 B1 KR 102416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cover sheet
hot
calf
wear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우
Original Assignee
이승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210176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5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102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 A61F5/0104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 A61F5/011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recting deformities of the limbs or for supporting them; Ortheses, e.g. with articulations without articulation for the feet or ank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3Lower leg, cal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61F2007/0045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25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 A61F2007/0228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 A61F2007/023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connected to the body or a part thereof with belt or strap, e.g. with buckle with pockets for receiving packs or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2Compresses or poultices for effecting heating or cooling
    • A61F2007/0277Other details of hot water bottles, heat packs or cold packs
    • A61F2007/0279Removable covers or slee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rmotherapy And Cooling 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되는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개시한다.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착용자의 종아리를 커버하는 종아리커버시트와, 상기 종아리커버시트의 하단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을 커버하는 발커버시트와, 상기 종아리커버시트 및 상기 발커버시트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온팩, 및 상기 종아리커버시트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종아리커버시트를 착용자의 다리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온찜질용 보호대 {PROTECTOR HAVING A FOMENTATION PACK}
본 발명은 다리에 착용하는 냉온찜질용 보호대에 관한 것이다.
우리 몸에서 발은 하중이 가장 많이 집중되는 곳으로 장시간 서있거나 걷기 또는 뛰는 활동 시 발의 피로가 가장 먼저 찾아오게 되며, 부상의 위험도 높은 부위이다. 발과 다리에 피로가 누적되거나 부상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냉찜질 또는 온찜질이 처방되고 있다.
또한, 발은 인체의 축소판이라 할 정도로 오장육부를 비롯한 다양한 신체기관에 해당하는 혈자리가 발바닥 전체에 걸쳐 분포되어 있으며, 냉찜질 또는 온찜질을 통해 발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 신체 전반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는 것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냉온찜질은 냉온팩과 같은 열원을 환부에 접촉시키는 방식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경우, 냉온팩을 직접 손으로 파지하여 환부에 접촉시킨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특허공보 제10-0899115호(이하, 종래기술)와 같은 찜질밴드가 개시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발, 발목, 종아리가 연결되는 라인은 굴곡이 많고 움직임이 많은 부위이기에, 종래기술과 같은 단순한 구조의 찜질밴드로는 냉온팩을 착용자의 다리에 효과적으로 고정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종래기술과 같은 찜질밴드는 발목 관절에 대한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어려웠고, 붓기 제거 및 혈액 순환 개선 등을 위한 충분한 압력을 착용자의 다리에 제공하지 못하였다.
등록특허공보 제10-0899115 호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리에 대한 냉온찜질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리 여러 부분에 대하여 동시에 냉온찜질을 수행할 수 있는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리에 냉온팩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발목에 충분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다리에 충분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는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착용자가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는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제공한다.
상기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착용자의 종아리를 커버하는 종아리커버시트; 상기 종아리커버시트의 하단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을 커버하는 발커버시트; 상기 종아리커버시트 및 상기 발커버시트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온팩; 및 상기 종아리커버시트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종아리커버시트를 착용자의 다리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냉온팩은 제1 내지 3 냉온팩을 포함한다.
상기 종아리커버시트는,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과, 상기 접힘선의 좌우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냉온팩이 하나씩 수납되는 제1,2 파우치를 포함한다.
상기 발커버시트는, 상기 제3 냉온팩이 수납되는 제3 파우치를 포함한다.
상기 종아리커버시트가 상기 접힘선을 따라 접힘으로써 상기 제1,2 냉온팩이 수납된 상기 제1,2 파우치는 착용자의 종아리에 밀착되고, 착용자의 발바닥 상에 배치된 상기 발커버시트가 양단이 착용자의 발등 상에 위치되도록 밴딩됨으로써 상기 제3 냉온팩이 수납된 상기 제3 파우치는 착용자의 발바닥 및 발등에 밀착된다.
상기 복수의 냉온팩은 제4 냉온팩을 더 포함하고, 상기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정강이를 커버하는 정강이커버;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정강이커버는 상기 제4 냉온팩이 수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정강이에 밀착된다.
상기 제1 내지 제4 냉온팩은, 물, 카복시메틸셀롤로스(CMC), 및 글리세롤을 포함한다.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냉온팩을 착용자의 다리에 충분히 밀착된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효과적인 냉온찜질이 수행될 수 있고 착용자는 양손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복수의 냉온팩을 이용하여 발바닥부터 종아리에 이르는 영역에 대한 냉온찜질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찜질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서로 연결되어 있는 종아리커버시트와 발커버시트가 착용자의 발목을 감싸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친 발목을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사용자는 고정 스트랩을 이용하여 다리에 충분한 세기의 압력을 가할 수 있으므로, 종아리의 붓기 제거, 혈액 순환 개선, 다리 피로 완화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사용자는 편평하게 펴진 종아리커버시트와 발커버시트를 접어 다리 형상에 맞게 변형하여 착용할 수 있고, 탈의 시에는 종아리커버시트와 발커버시트를 다시 편평하게 펴서 용이하게 벗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가 착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착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착용하는 순서를 (a),(b),(c),(d)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가 착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다양한 실시예들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상단", "하단", "좌측", "우측" 등은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이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가 착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착용자가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착용하는 순서를 (a),(b),(c),(d) 순서대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할 때, 냉온찜질용 보호대(1)는 착용자(또는, "사용자")의 종아리를 커버하는 종아리커버시트(100)와, 착용자의 발을 커버하는 발커버시트(200)와, 착용자에게 냉기 또는 온기를 공급하도록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냉온팩(410,420,430)과, 냉온찜질용 보호대(1)를 착용자의 다리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300)을 포함할 수 있다.
냉온팩(410,420,430)은 가열된 물이나 전자레인지 등을 이용하여 데우면 온팩이 되고, 냉동고에 넣어 동결시키면 냉팩이 될 수 있다. 냉온팩(410,420,430)은 냉팩으로 사용될 시 빙점을 강하시키고 저온을 장시간 유지시킬 수 있다. 냉온팩(410,420,430)은 온팩으로 사용될 시 고온을 유지할 수 있다. 냉온팩(410,420,430)은 물, 카복시메틸셀롤로스(CMC), 글리세롤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로필렌글리콜(PG) 등의 다른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온팩(410,420,430)은 플렉서블하게 마련되어 쉽게 밴딩될 수 있다. 냉온팩(410,420,430)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을 수 있고, 냉온팩(410,420,43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냉온팩(410,420,430)에 해당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냉온팩(410,420,430)은 착용자의 종아리 부분에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하는 제1 냉온팩(410) 및 제2 냉온팩(420)을 포함할 수 있고, 착용자의 발에 냉기 또는 온기를 제공하는 제3 냉온팩(430)을 포함할 수 있다.
종아리커버시트(1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착용자의 종아리를 감싸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와, 제1 냉온팩(410)이 수납되는 제1 파우치(110)와, 제2 냉온팩(420)이 수납되는 제2 파우치(120)를 포함할 수 있다.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는 대략 사각형 시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는 플렉서블하게 마련될 수 있다.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는 천연 섬유(예: 면, 울), 천연 수지(예: 고무), 및 합성 수지(예: 네오프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우치(110)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에 형성(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제1 파우치(11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와 별개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파우치(110)는 제1 수용공간(110c)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파우치(110)는 제1 파우치(1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1 수용공간(110c)과 연통되는 절개구(1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온팩(410)은 절개구(110b)를 통하여 제1 수용공간(110c)에 삽입 및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파우치(110)는 제1 파우치 시트(1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파우치(11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일면 상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제1 파우치 시트(110a)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1 파우치 시트(110a)와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 사이의 이격공간이 제1 수용공간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1 파우치 시트(110a) 상에 절개구(110b)가 배치될 수 있다.
냉각 또는 가열된 제1 냉온팩(410)은 제1 파우치(110)의 수용공간(1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냉온팩(410)은 제1 수용공간(110c) 및/또는 제1 파우치(110)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1 냉온팩(410)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1 수용공간(110c)을 채운 냉기 또는 온기가 착용자를 향해 확산될 수 있도록, 냉온찜질용 보호대(1)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제1 파우치(110)의 일면(예: 제1 파우치 시트(110a))에는 수용공간(110c)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냉기 또는 온기는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냉온팩(410)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제1 파우치(110)의 일면(예: 제1 파우치 시트(110a))을 매개로 한 전도 및/또는 대류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제2 파우치(12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에 형성(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제2 파우치(120)는 제1 파우치(110)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파우치(120)는 제1 파우치(110)와 좌우로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제2 파우치(12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와 별개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파우치(120)는 제2 수용공간(120c)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파우치(120)는 제2 파우치(12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2 수용공간(120c)과 연통되는 절개구(12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냉온팩(420)은 절개구(120b)를 통하여 제2 수용공간(120c)에 삽입 및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파우치(120)는 제2 파우치 시트(12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우치(12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일면 상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제2 파우치 시트(120a)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파우치 시트(120a)와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 사이의 이격공간이 제2 수용공간(120c)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2 파우치 시트(120a) 상에 절개구(120b)가 배치될 수 있다.
냉각 또는 가열된 제2 냉온팩(420)은 제2 파우치(120)의 수용공간(12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냉온팩(420)은 제2 수용공간(120c) 및/또는 제2 파우치(120)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2 냉온팩(420)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2 수용공간(120c)을 채운 냉기 또는 온기가 착용자를 향해 확산될 수 있도록, 냉온찜질용 보호대(1)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제2 파우치(120)의 일면(예: 제2 파우치 시트(120a))에는 수용공간(120c)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냉기 또는 온기는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냉온팩(4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제2 파우치(120)의 일면(예: 제2 파우치 시트(120a))을 매개로 한 전도 및/또는 대류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종아리커버시트(10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고 대략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중심을 지나는 접힘선(101c)을 포함할 수 있다. 접힘선(101c)은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에 형성될 수 있다. 접힘선(101c)은 접힘선(101c)을 중심으로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를 두 부분(101a,101b)으로 구획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는 제1 바디부분(101a)과 제2 바디부분(101b)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바디부분(101a)과 제2 바디부분(101b)은 접힘선(101c)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접힘선(101c)에 의하여 구획되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두 부분(또는, 제1,2 바디부분(101a,101b))은 대략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파우치(110)는 제1 바디부분(101a)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파우치(120)는 제2 바디부분(101b)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2 파우치(110,120)는 접힘선(101c)을 사이에 두고 접힘선(101c)의 좌우에 배치될 수 있다.
종아리커버시트(100)는 접힘선(101c)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가 접힘선(101c)을 따라 접힘으로써 제1,2 냉온팩(410,420)이 수납된 제1,2 파우치(110,120)는 착용자의 종아리에 밀착되거나 인접하게 마주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는 종아리커버시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는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일단에 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커버시트(200)는 종아리커버시트(100)의 하단에 밴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는 외관을 형성하고 착용자의 발을 감싸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와, 제3 냉온팩(430)이 수납되는 제3 파우치(21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커버시트 바디(201)는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발커버시트 바디(201)는 플렉서블하게 마련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 바디(201)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0)를 형성하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 바디(201)는 제3 파우치(210)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에 형성(또는, 고정)될 수 있다. 제3 파우치(210)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와 별개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발커버시트 바디(20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3 파우치(210)는 제3 수용공간(210c)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파우치(210)는 제3 파우치(210)의 일면에 배치되고 제3 수용공간(210c)과 연통되는 절개구(21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냉온팩(430)은 절개구(210b)를 통하여 제3 수용공간(210c)에 삽입 및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파우치(210)는 제3 파우치 시트(210a)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파우치(210)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일면 상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제3 파우치 시트(210a)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3 파우치 시트(210a)와 발커버시트 바디(201) 사이의 이격공간이 제3 수용공간(210c)에 해당될 수 있으며, 제3 파우치 시트(210a) 상에 절개구(210b)가 배치될 수 있다.
냉각 또는 가열된 제3 냉온팩(430)은 제3 파우치(210)의 수용공간(210c)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냉온팩(430)은 제3 수용공간(210c) 및/또는 제3 파우치(210)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3 냉온팩(430)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3 수용공간(210c)을 채운 냉기 또는 온기가 착용자를 향해 확산될 수 있도록, 냉온찜질용 보호대(1)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제3 파우치(210)의 일면(예: 제3 파우치 시트(210a))에는 수용공간(210c)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냉기 또는 온기는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냉온팩(430)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제3 파우치(210)의 일면(예: 제3 파우치 시트(210a))을 매개로 한 전도 및/또는 대류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한편, 냉온찜질용 보호대(1)(또는 종아리커버시트(100), 또는 발커버시트(200))가 사용자에게 착용될 때,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되거나 사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일면을 냉온찜질용 보호대(1)(또는 종아리커버시트(100), 또는 발커버시트(200))의 내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고, 냉온찜질용 보호대(1)(또는 종아리커버시트(100), 또는 발커버시트(200))의 내측면과 반대측에 해당되고 냉온찜질용 보호대(1)(또는 종아리커버시트(100), 또는 발커버시트(200))의 외관을 형상하는 타면을 냉온찜질용 보호대(1)(또는 종아리커버시트(100), 또는 발커버시트(200))의 외측면이라고 지칭할 수 있다. 제1 내지 3 파우치(110,120,210)는 냉온찜질용 보호대(1)(또는 종아리커버시트(100), 또는 발커버시트(200))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는 좌우 방향으로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일단 내측면에 배치되는 벨크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크로(220)는 발커버시트(200)(예: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또는, 부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일단 내측면에 배치되는 벨크로(220)는 수벨크로에 해당될 수 있고,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외측면은 암벨크로에 해당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를 발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자는 발을 감싸는 고리 형상을 이루도록 발커버시트(200)를 밴딩시킬 수 있고,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외측면과 벨크로(220)는 오버랩될 수 있으며, 벨크로(220)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300)은 종아리커버시트(100)를 착용자의 다리에 고정시키도록 마련되고 일단이 종아리커버시트(100)에 연결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300)은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스트랩(300)은 일단이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에 연결되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스트랩(311,321,331)과, 스트랩(311,321,331)의 타단에 배치되는 벨크로(312,322,3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의 스트랩(311,321,331)은 각각 제1 내지 3 스트랩(311,321,331)으로 지칭될 수 있고,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의 벨크로(312,322,332)는 각각 제1 내지 3 벨크로(312,322,332)로 지칭될 수 있다. 한편, 발커버시트(200)의 벨크로(220)는 제4 벨크로(220)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내지 3 벨크로(312,322,332)는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또는, 부착)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고정 스트랩(300)의 일단 내측면에 배치되는 제1 내지 3 벨크로(312,322,332)는 수벨크로에 해당될 수 있고,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외측면은 암벨크로에 해당될 수 있다.
제1 고정 스트랩(310)(예: 제1 스트랩(311))은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일 측단(예: 우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스트랩(320)(예: 제2 스트랩(321))은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일 측단(예: 우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고정 스트랩(320)은 상하 방향으로 제1 고정 스트랩(310)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 스트랩(320)은 제1 고정 스트랩(3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 스트랩(310)은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일 측단부 하단에 연결될 수 있고, 제2 고정 스트랩(320)은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일 측단부 상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고정 스트랩(330)(예: 제3 스트랩(331))은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좌우 방향으로의 타 측단(예: 좌측단)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고정 스트랩(330)은 상하 방향으로 제1 고정 스트랩(310)과 제2 고정 스트랩(32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2 고정 스트랩(310,320)은 제1 바디부분(101a)에 연결될 수 있고, 제3 고정 스트랩(330)은 제2 바디부분(101b)에 연결될 수 있다.
냉온찜질용 보호대(1)가 사용자의 다리에 착용될 때, 종아리커버시트(100)의 내측면이 착용자의 종아리를 마주보거나 종아리에 접촉된 상태에서,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은 착용자의 정강이를 가로질러 연장될 수 있고, 제1 내지 3 벨크로(312,322,332)가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외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됨으로써 종아리커버시트(100)는 사용자의 다리(예: 종아리)에 고정될 수 있다.
냉온찜질용 보호대(1)는 제3 고정 스트랩(330)이 연결되는 종아리커버시트(100)의 타 측단에 연결되고 상하 방향으로 제3 고정 스트랩(330)의 상부에 위치되는 파지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파지돌기(34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다. 파지돌기(340)는 제2 고정 스트랩(320)과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냉온찜질용 보호대(1)를 착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파지돌기(340)를 붙잡고 종아리커버시트(100)를 수직하게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온찜질용 보호대(1)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발커버시트(200)의 내측면 중앙부가 발바닥과 접하도록 배치한 상태에서 발커버시트(200)의 양단이 발등 상에 위치하도록 발커버시트(200)를 밴딩할 수 있고, 제4 벨크로(220)를 발커버시트(200)(또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외측면에 부착시켜 발커버시트(200)가 사용자의 발에 고정되게 만들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발커버시트(200)(예: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외측면 상에서 제4 벨크로(220)가 부착되는 지점을 조절함으로써 발커버시트(200)가 형성하는 고리의 지름을 조절할 수 있고, 발커버시트(200)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제4 벨크로(220)의 부착 지점을 변경함으로써 발커버시트 바디(201)를 졸라 매거나 느슨하게 할 수 있고 발커버시트(200)에 의하여 착용자의 발에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가 착용자의 발에 고정될 때, 제3 냉온팩(430)이 수납된 제3 파우치(210)의 중앙부는 발바닥에 밀착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할 수 있고, 제3 냉온팩(430)의 좌우 측부 및/또는 제3 파우치(210)의 좌우 측부는 발등에 밀착되어 냉기 또는 온기를 전달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가 발에 고정된 상태에서, 착용자는 제1 고정 스트랩(310)을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제2 바디부분(101b)의 외측면에 부착시키고 제3 고정 스트랩(330)을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제1 바디부분(101a))의 외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스트랩(310)을 부착하는 것과 제3 고정 스트랩(330)을 부착하는 것은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파지돌기(340)의 외측면을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제1 바디부분(101a))의 내측면 또는 제2 고정 스트랩(320)(예: 제2 스트랩(321))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배치시키고, 제2 고정 스트랩(320)이 파지돌기(340) 외측면을 덮은 상태에서 제2 고정 스트랩(320)을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제2 바디부분(101b))의 외측면에 부착시킬 수 있다.
제1 고정 스트랩(310) 및/또는 제2 고정 스트랩(320) 및/또는 제3 고정 스트랩(330)이 종아리커버시트(100)에 부착될 때, 종아리커버시트(100)는 접힘선(101c)을 따라 접힐 수 있다. 종아리커버시트(100)가 접힘선(101c)을 따라 접힘으로써 제1,2 냉온팩(410,420)이 수납된 제1,2 파우치(110,120)는 착용자의 종아리에 밀착될 수 있고, 냉기 또는 온기가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외측면 상에서 제1 내지 3 벨크로(312,322,332)가 부착되는 지점을 조절함으로써 종아리커버시트(100)와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이 형성하는 고리의 지름을 조절할 수 있고,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조임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종아리커버시트(100)에 의하여 착용자의 종아리에 가해지는 압력이 조절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을 졸라 매어 종아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킬 수도 있고,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을 느슨하게 하여 종아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제1 고정 스트랩(310)과 제3 고정 스트랩(330)을 부착시키는 단계에서, 사용자는 양손으로 제1 고정 스트랩(310)과 제3 고정 스트랩(330)을 동시에 파지하여 잡아당길 수 있다. 사용자가 제1 고정 스트랩(310)과 제3 고정 스트랩(330)을 동시에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길 때, 종아리커버시트(100)는 접힘선(101c)을 따라 접힘과 함께 종아리에 강하게 밀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즉시 제1 고정 스트랩(310)과 제3 고정 스트랩(330)은 종아리커버시트(100)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종아리커버시트(100)가 풀리지 않게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압박 강도 조절 작업과 고정 작업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종아리커버시트(100)를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가 착용자의 발에 착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6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의 구성을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6을 참조할 때, 냉온찜질용 보호대(1-1)는 착용자의 정강이를 커버하는 정강이커버(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하나의 냉온팩은 제4 냉온팩(4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는 고정 스트랩(30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는 내부에 제4 수용공간(510a)이 형성되는 파우치부(5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냉온팩(440)은 제4 수용공간(510a)에 배치될 수 있다.
파우치부(510)는 천연 섬유(예: 면, 울), 천연 수지(예: 고무), 및 합성 수지(예: 네오프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시트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부(510)는 두 개의 시트가 겹친 상태에서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하여 형성될 수 있다. 두 개의 시트 사이의 이격 공간이 제4 수용공간(510a)에 해당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는 파우치부(510)의 일면에 형성되고 제4 수용공간(510a)과 연통되는 절개구(510b)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 또는 가열된 제4 냉온팩(440)은 절개구(510b)를 통해 제4 수용공간(510a)에 삽입 및 배치될 수 있다.
제4 냉온팩(440)은 제4 수용공간(510a) 및/또는 파우치부(510)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다.
한편, 제4 냉온팩(440)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4 수용공간(510a)을 채운 냉기 또는 온기가 착용자를 향해 확산될 수 있도록, 냉온찜질용 보호대(1-1)가 착용될 때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정강이커버(500)(또는, 파우치부(510))의 내측면에는 제4 수용공간(510a)과 연통되는 복수의 배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냉기 또는 온기는 복수의 배출홀을 통해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4 냉온팩(440)에 의하여 형성되는 냉기 또는 온기는 착용자의 피부에 밀착되거나 착용자의 피부를 마주하는 정강이커버(500)의 내측면을 매개로 한 전도 및/또는 대류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는 파우치부(510) 외측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걸림고리(521)와 제2 걸림고리(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걸림고리(521)는 제2 걸림고리(522)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걸림고리(521)는 제1 고정 스트랩(310)에 의하여 관통될 수 있고, 제2 걸림고리(522)는 제3 고정 스트랩(330)에 의하여 관통될 수 있다. 제1 걸림고리(521)는 제1 고정 스트랩(310)에 걸려 고정될 수 있고, 제2 걸림고리(522)는 제3 고정 스트랩(330)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는 파우치부(5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4 고정 스트랩(5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고정 스트랩(530)은 일단(예: 하단)이 파우치부(510)의 상단에 연결되는 제4 스트랩(531)과, 제4 스트랩(531)의 타단에 배치되는 제4 벨크로(532)(또는, 수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제4 벨크로(532)는 정강이커버(500)(예: 파우치부(510))의 외측면 상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또는,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우치부(510)의 외측면 상에는 제4 벨크로(532)와 대응되는 암벨크로(533)가 배치될 수 있고, 제4 고정 스트랩(530)이 고리를 형성하도록 밴딩됨으로써 제4 벨크로(532)와 암벨크로(533)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4 고정 스트랩(530)이 형성하는 고리에는 제2 고정 스트랩(320)이 관통할 수 있다. 제4 고정 스트랩(530)은 제2 고정 스트랩(320)에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냉온찜질용 보호대(1-1)를 착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커버시트(200)는 사용자의 발에 착용될 수 있다. 발커버시트(200)를 사용자의 발에 고정시키는 방법은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정강이커버(500)는 착용자의 정강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의 내측면은 착용자의 정강이에 접촉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가 착용자의 정강이에 놓인 상태에서, 제1 고정 스트랩(310)은 제1 걸림고리(521)를 통과할 수 있고, 제1 걸리고리(521)를 통과한 제1 고정 스트랩(310)의 제1 벨크로(312)는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제2 바디부분(101b))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정강이커버(500)가 착용자의 정강이에 놓인 상태에서, 제3 고정 스트랩(330)은 제2 걸림고리(522)를 통과할 수 있고, 제2 걸림고리(522)를 통과한 제3 고정 스트랩(330)의 제3 벨크로(332)는 종아리커버시트(100)(예: 제1 바디부분(101a))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3 고정 스트랩(330)은 종아리커버시트(100)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고, 이에 대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정강이커버(500)의 제4 고정 스트랩(530)은 밴딩됨으로써 좌우 방향으로 개방된 고리를 형성할 수 있고, 종아리커버시트(100)에 부착된 상태의 제2 고정 스트랩(320)을 감쌀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제4 고정 스트랩(530)은 종아리커버시트(100)에 부착된 상태의 제2 고정 스트랩(320)에 걸릴 수 있다. 제2 고정 스트랩(320)은 제4 고정 스트랩(530)이 형성하는 고리를 관통할 수 있다. 제2 고정 스트랩(320)을 감싸는 제4 고정 스트랩(530)의 제4 벨크로(532)는 정강이커버(500)의 외측면(예: 암벨크로(533))에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냉온찜질용 보호대(1-1)는 정강이커버(500)를 통하여 착용자의 정강이 부분에 찜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강이커버(500)는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에 결합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종아리커버시트(100)를 다리에 밀착시키기 위하여(또는, 다리에 가해지는 압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제1 내지 3 고정 스트랩(310,320,330)을 단단히 졸라매는 경우 정강이커버(500)도 저절로 착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착용자는 정강이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하기 위하여 고정 스트랩(300)을 조절하는 것 외에 별다른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도 되며, 착용자의 다리에 전반적으로 고르게 가해지는 압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 및/또는 도 5 내지 6을 참조하여 상술한 설명은 후술하는 내용과 충돌하지 않는 한 도 7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도 1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의 구성 및/또는 도 5에 도시된 냉온찜질용 보호대의 구성을 전부 포함할 수 있다.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할 때, 냉온찜질용 보호대(1-2)는 냉온찜질용 보호대(1-2)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센서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냉온찜질용 보호대(1-2)는 냉온찜질용 보호대(1-2)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전극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냉온찜질용 보호대(1-2)에 의하여 착용자에게 가해지는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복수의 압력 센서(610)를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센서(610)는 압저항 효과나 압전효과를 이용하여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압력센서(610)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원리에 기반한 압력 센서에 해당될 수 있다.
센서부(600)는, 미리 센서부(600)와 일체형으로 구현된 초소형 배터리(battery)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으로 구동될 수 있다.
압력 센서(61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종아리에 밀착될 수 있다. 압력 센서(610)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발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파우치(110,120,210)의 수용공간에 냉온팩(410,420,430)이 배치될 때 냉온팩(410,420,430)의 두께에 의하여 파우치(110,120,210)의 일면은 착용자의 종아리 및/또는 발을 향하여 돌출되고 착용자의 종아리 및/또는 발에 더욱 밀착될 수 있으므로, 압력 센서(610)는 파우치(110,120,21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다.
전극부(700)는 착용자의 다리에 저주파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전극부(700)는 복수의 전극 패드(71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냉온찜질용 보호대(1-2)는 전극부(7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저주파를 발생시키는 저주파 발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저주파 발생부는 냉온찜질용 보호대(1-2)의 외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 패드(710)는 종아리커버시트 바디(101)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종아리에 밀착될 수 있다. 전극 패드(710)는 발커버시트 바디(201)의 내측면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발바닥에 밀착될 수 있다.
파우치(110,120,210)의 수용공간에 냉온팩(410,420,430)이 배치될 때 냉온팩(410,420,430)의 두께에 의하여 파우치(110,120,210)의 일면은 착용자의 종아리 및/또는 발을 향하여 돌출되고 착용자의 종아리 및/또는 발에 더욱 밀착될 수 있으므로, 전극 패드(710)는 파우치(110,120,210)의 일면 상에 배치되어 착용자에게 밀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온찜질용 보호대와 연동하여 동작하는 사용자 단말을 도시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서, 냉온찜질용 보호대(1-2)의 내측면 상에 배치되는 센서부(600)는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여 압력이 가해지는지 여부만을 감지하도록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에서 센서부(600)는,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감지하면, 미리 정의된 트리거 신호(trigger signal)를 미리 페어링(pairing)된 사용자 단말(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센서부(600)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Wireless Sensor Network, WSN)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압력 센서로 구현되거나, 압력 센서와 일체형의 센서 네트워크 통신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현재 다양한 형태의 모듈이 공개되어 있으므로, 공개된 모듈 중에서 가장 슬림한 형태로서 착용감에 영향이 적은 것을 통상의 기술자가 자유롭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트리거 신호를 수신하면, 냉온찜질용 보호대(1-2)를 착용자가 착용한 것으로 결정하고, 착용자에게 붓기 감지 개시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 단말(1000)은, 센서부(600)에 저전력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의 전환을 지시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0)은, 보호대의 착용이 감지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와 함께 붓기 감지 개시에 대한 메시지를 착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저전력 모드에서 노멀 모드로 전환되면서 압력의 크기를 지속적으로 감지하여 사용자 단말(1000)에 리포트할 수 있다.
센서부(600)는, 압력의 크기가 미리 설정된 시간동안 변화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노멀 모드에서 저전력 모드로 전환하고, 저전력 모드로의 전환을 나타내는 상태 신호(status signal)를 사용자 단말(1000)에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000)은, 제어 신호를 전송한 후부터 상태 신호를 수신받을 때 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센서부(600)로부터 리포트된 압력의 크기를 미리 설정된 산술식에 따라 붓기의 정도를 나타내는 붓기 값으로 변환하고, 전술한 시간 구간 동안의 붓기 값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생성하여 착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산술식은 통상의 기술자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예를 들어,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1000)은, 붓기 값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를 착용자에게 표시함으로써, 착용자가 보호대를 착용하였을 때 붓기가 어느 정도로 변화되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600)가 초기에 저전력 모드로만 동작하도록 셋팅되고 일정 시간 동안 압력 측정이 완료되면, 노멀 모드에서 다시 저전력 모드로 전환되기 때문에 충전이 사실상 어려운 센서부(600)의 수명을 최대한 길게 유지하고, 이를 통해 센서부(600)의 전원 방전으로 인한 주기적인 교체를 최대한 줄일 수 있어 제품 자체의 사용 수명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600)는, 압력 센서(610) 대신에 늘어난 정도를 감지하는 인장 센서로 구현됨으로써 붓기 측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압력 센서(610)의 경우 단가가 낮은 장점이 있으나, 압력의 변화를 통해 붓기 변화를 간접적으로 측정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붓기 측정의 정밀도가 다소 낮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압력 센서(610) 대신에 인장 센서로 구성하고, 압력 대신에 인장 정도를 측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냉온찜질용 보호대
100: 종아리커버시트
200: 발커버시트
300: 고정 스트랩
410,420,430: 냉온팩

Claims (5)

  1. 착용자의 종아리를 커버하는 종아리커버시트;
    상기 종아리커버시트의 하단에 연결되고, 착용자의 발을 커버하는 발커버시트;
    상기 종아리커버시트 및 상기 발커버시트에 배치되는 복수의 냉온팩; 및
    상기 종아리커버시트의 좌우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종아리커버시트를 착용자의 다리에 고정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을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냉온팩은 제1 내지 3 냉온팩을 포함하고,
    상기 종아리커버시트는,
    중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접힘선과,
    상기 접힘선의 좌우에 배치되고 상기 제1,2 냉온팩이 하나씩 수납되는 제1,2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발커버시트는,
    상기 제3 냉온팩이 수납되는 제3 파우치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냉온팩은 제4 냉온팩을 더 포함하고,
    냉온찜질용 보호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정 스트랩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고, 착용자의 정강이를 커버하는 정강이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강이커버는,
    상기 제4 냉온팩이 수납된 상태에서 착용자의 정강이에 밀착되는, 냉온찜질용 보호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아리커버시트가 상기 접힘선을 따라 접힘으로써 상기 제1,2 냉온팩이 수납된 상기 제1,2 파우치는 착용자의 종아리에 밀착되고,
    착용자의 발바닥 상에 배치된 상기 발커버시트가 양단이 착용자의 발등 상에 위치되도록 밴딩됨으로써 상기 제3 냉온팩이 수납된 상기 제3 파우치는 착용자의 발바닥 및 발등에 밀착되는, 냉온찜질용 보호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4 냉온팩은, 물, 카복시메틸셀롤로스(CMC), 및 글리세롤을 포함하는, 냉온찜질용 보호대.
KR1020210176013A 2021-12-09 2021-12-09 냉온찜질용 보호대 KR102416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13A KR102416504B1 (ko) 2021-12-09 2021-12-09 냉온찜질용 보호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13A KR102416504B1 (ko) 2021-12-09 2021-12-09 냉온찜질용 보호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504B1 true KR102416504B1 (ko) 2022-07-05

Family

ID=8240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013A KR102416504B1 (ko) 2021-12-09 2021-12-09 냉온찜질용 보호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5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703A (ko) * 2007-03-02 2008-09-05 최봉락 냉온 찜질팩
KR100899115B1 (ko) 2007-07-16 2009-05-26 최봉춘 온열밴드
KR20150128519A (ko) * 2014-05-09 2015-11-18 최성규 핫팩을 이용한 하체 찜질구
KR101687223B1 (ko) * 2015-10-02 2016-12-16 선동윤 슬관절 착용 보호대
JP2017018409A (ja) *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エムケイティタイセー 冷温装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0703A (ko) * 2007-03-02 2008-09-05 최봉락 냉온 찜질팩
KR100899115B1 (ko) 2007-07-16 2009-05-26 최봉춘 온열밴드
KR20150128519A (ko) * 2014-05-09 2015-11-18 최성규 핫팩을 이용한 하체 찜질구
JP2017018409A (ja) * 2015-07-13 2017-01-26 株式会社エムケイティタイセー 冷温装具
KR101687223B1 (ko) * 2015-10-02 2016-12-16 선동윤 슬관절 착용 보호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0121A (en) Laminated orthopedic brace
US6110135A (en) Elbow brace with movable support
US5389065A (en) Ankle brace with ATF compression
US6406450B1 (en) Orthopedic ankle brace
US6589272B1 (en) Thermal pack retaining apparatus
US8900171B2 (en) Adjustable splinting device
US6019741A (en) Orthopedic foot splint
US9387108B2 (en) Night splint with digital dorsiflexion
US20140316314A1 (en) Compression device
US20070255187A1 (en) Vibrating therapy device
AU2001217945A1 (en) Orthopedic ankle brace
US20070016275A1 (en) Health industry medical neoprene latex cooling gel around device
US11911618B2 (en) Body joint support device with inflatable airbag, electrode or both
KR20110085998A (ko) 네크 장치 및 그 사용 방법
US20130072838A1 (en) Therapy cast
KR102416504B1 (ko) 냉온찜질용 보호대
EP0970670A1 (en) Ankle brace with multiple straps
BR112014031680B1 (pt) Bloco de pressão para transferir pressão para uma estrutura anatômica e conjunto para transferir pressão para uma estrutura anatômica
KR200332838Y1 (ko) 척추 교정용 에어 벨트
KR20180007601A (ko) 허리 보호대 및 그 사용방법
KR200454409Y1 (ko) 발목보호대
KR20080005135U (ko) 허리보호대
CA2276501C (en) Elbow brace with movable support
KR200442354Y1 (ko) 보행보조 기능을 구비한 근육 인대 보호구
KR20220154307A (ko) 가변압박구조를 포함하는 손목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