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993B1 -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 Google Patents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993B1
KR102415993B1 KR1020150090336A KR20150090336A KR102415993B1 KR 102415993 B1 KR102415993 B1 KR 102415993B1 KR 1020150090336 A KR1020150090336 A KR 1020150090336A KR 20150090336 A KR20150090336 A KR 20150090336A KR 102415993 B1 KR102415993 B1 KR 1024159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ocation information
terminal
information
situ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03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1778A (en
Inventor
장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50090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993B1/en
Publication of KR20170001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77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99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41Data exchange details, e.g. data protocol
    • G08B21/025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alarm criteria uses absence of reply signal after an elapsed tim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77Communication between units on a local network, e.g. Bluetooth, piconet, zigbee, 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 [WPA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3/00Alarms responsive to un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Abstract

본 발명은 긴급 상황 판단 시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특정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의 음영 지역에서도 사용자의 조작 없이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 (a)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the emergency key when determining the emergency situation, or in the shaded area of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so that the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notified quickly and accurately without the user's operation. A method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performed by a user's terminal, (a) an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in which the inactivation holding time of the terminal is preset determining whether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it exceeds ; (b) acquir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activating all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 the correspond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through step (a); and (c)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d) a map app to capture information on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and information on an emergency message.

Description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본 발명은 긴급 상황 알림 기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의 조작 없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 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notification technology, and more particularly, to automatically activate all means for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user manipulation when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can be notified quickly and accurately , to a terminal and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일반적으로, 이동통신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하여 이동통신 단말기는 주변에서 가장 흔하게 주변에서 볼 수 있는 필수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제조업체들은 보다 좋은 성능을 가지며 다 기능성의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춰 통신 서비스 업체에서는 보다 높은 수준의 통신 서비스 및 여러 부가서비스들을 제공하고 있다.In general, due to the explosive increase of mobile communication subscribers,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are positioned as necessities most commonly seen in the vicinity. Accordingly,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manufacturers are releasing products with better performance and multi-functionality, and in line with this, communication service providers are providing higher-level communication services and various additional services.

이동통신 단말기에 제공되는 여러 기능들 중에는 긴급 상황 발생시 타인에게 이를 알리는 경보 기능이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자신에게 납치 등의 긴급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이러한 경보 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범죄자는 경보가 울리자마자 그 단말기를 빼앗고 파손시킬 것이므로 구조 요청을 위한 경보 기능은 무용지물이 되고 만다. Among the various functions provid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here is an alarm function for notifying others when an emergency situation occurs. However, if the user uses this alarm func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kidnapping occurs to him or her, the criminal will take the terminal and destroy it as soon as the alarm sounds, so the alarm function for requesting a rescue becomes useless.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긴급 상황을 알리기 위한 또 다른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이동통신 단말기 사용자가 긴급 상황을 알려야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단말기에 구비된 비상키를 조작하게 된다. 비상키가 조작되면, 이동통신 단말기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통신사에서는 긴급 상황 메시지를 수신하고, 해당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추적한다. 다음으로 이동통신사는 추적된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경찰서 등의 해당 기관에 통보한다. 그러면 경찰서 등의 해당 기관에서는 발생된 사건에 대해 신속히 착수할 수 있게 되고, 사용자는 비상키를 사용하여 긴급 상황을 통보함으로써 불안감을 상당부분 해소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또한 사용자가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긴급 상황 통보 기능이 무용지물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Looking at another prior art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using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hen the user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eds to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operates an emergency key provided in the terminal. When the emergency key is operated,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transmits an emergency message.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receives the emergency message and tracks the location of the corresponding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xt, the mobile operator notifie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cked terminal to the relevant organizations such as the police station. Then, the relevant institutions such as the police station can quickly initiate the incident, and the user can relieve a lot of anxiety by notifying the emergency situation using the emergency key. However, this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becomes useless in a situation in which the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the emergency key.

또한, 추락이나 교통사고 등과 같은 긴급상황 발생시 육체적인 충격 등으로 의식을 잃거나 혼미해져 정상적인 의식을 갖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도 이동통신 단말기를 소지하고 있더라도 버튼 조작이나 긴급상황 설명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자신에게 발생된 긴급 상황을 정상적으로 통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when an emergency situation such as a fall or a traffic accident occurs, a person may lose consciousness or become stunned due to a physical shock, etc. and may not have normal consciousness. Since it is impossible to do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not possible to normally notify the emergency situation that occurred to the user.

한국공개특허 제10-2010-0090331호(2010.08.16.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90331 (published on August 16, 20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긴급 상황 통지를 위한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특정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의 음영 지역에서도 사용자의 조작 없이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도록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the purpose of which is that when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the emergency key for notification of the emergency situation, or the user's operation is performed even in the shaded area of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so that the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acquired and notified without the ne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은,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긴급상황 판단부;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긴급상황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terminal for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inactiv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terminal exceeds a preset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emergency judgment unit for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automatically activating all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 the terminal to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when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through the emergency condition determination unit; and an emergency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information on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information 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information on a map app to capture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setting unit for sett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the emergency message.

상기 긴급상황 통지부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긴급상황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고,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may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acqui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through the emergency situation setting unit, and all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include a GPS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vement It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communication module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은,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 (a)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d)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thod for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performed by a user's terminal, (a) whether the inactiv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terminal exceeds a preset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determining whether it is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b) acquir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activating all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 the corresponding terminal when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through step (a); and (c)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d) a map app to capture information on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the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and information on an emergency message.

상기 단계 (c)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계 (d)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고,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ep (c) may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acqui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et through the step (d), and all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include a GPS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t least one of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may be provided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on a computer is recorde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pplication stored in a medium may be provided to execute the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re may be provided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mediu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in a comput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에 따르면,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가 비상키를 직접 조작할 수 없는 상황이거나 특정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의 음영 지역에서도 사용자의 조작 없이 최적의 위치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various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the user cannot directly operate the emergency key, or even in the shaded area of the specific location information acquiring means, the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obtained without the user's manipulation.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obtained and notified.

특히, 긴급 상황 판단 시 사용자의 조작 없이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위치 정보를 획득하므로,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과 같은 단말 내 다수의 위치 정보 획득 수단 중 특정한 어느 하나의 음영 지역에 속하더라도 다른 위치 정보 획득 수단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통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긴급 상황 시 기존보다 더 신속하고 정확하게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particular, when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all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are automatically activated to acquire location information without user manipulation, so it is one of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such as a GPS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ven if it belongs to any one specific shaded area, location information can be obtained and notified from other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and thus, in an emergency, the user's location can be identified more quickly and accurately than befor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말 설정 화면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emergency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erminal setting scree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 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the same components are to hav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though they are indicated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related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도로, 통신망(1) 및 사용자 단말(2)을 포함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ystem for emergency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include a communication network 1 and a user terminal 2 .

통신망(1)은 사용자 단말(1)이 유선, 무선 및/또는 인터넷 등으로 접속하여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단독 또는 복합의 어떤 망이어도 좋다.The communication network 1 may be any single or complex network that enables the user terminal 1 to perform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through wired, wireless and/or Internet access.

사용자 단말(2)은 긴급 상황을 설정 및 판단하고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망(1)을 통해 타인의 단말로 통지하기 위한 이동 단말을 나타낸 것으로, 예를 들어, 음성 통신, 영상 통신, 데이터 통신, 및 인터넷 통신 등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PDA, 스마트 폰, 테블릿 PC 등 중 하나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2 represents a mobile terminal for setting and determining an emergency situation, acquiring location information, and notifying the terminal of another person through the communication network 1,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and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capable of Internet communication, etc., a PDA, a smart phone, a tablet PC, and the lik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의 구성도로, 도 1의 사용자 단말(2)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급상황 설정부(21), 긴급상황 판단부(23), 위치정보 획득부(25), 및 긴급상황 통지부(27)를 포함할 수 있다.2 is a block diagram of a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user terminal 2 of FIG. 1 , and as shown in the drawing, an emergency setting unit 21; It may include an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3 , a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5 , and an emergency situation notification unit 27 .

긴급상황 설정부(21)는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 등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단말 사용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단말 설정 화면을 포함하는 긴급상황 설정부(21)의 UI(User Interface)를 통하여 긴급상황 자동 알림 기능을 켜고 끄거나, 긴급상황 판단 시간 정보를 시간 단위로 입력 또는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긴급 연락처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설정하거나, 구글 맵이나 네이버 맵 또는 애플 맵 등이 탑재되어 있을 경우 사용할 지도 앱을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하거나, 긴급 상황 시 위치 정보와 함께 통지할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The emergency setting unit 21 is for setting information on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information 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information on a map app to capture location information, and an emergency message, for example, a terminal user Turns on/off the automatic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through the UI (User Interface) of the emergency setting unit 21 including the terminal setting screen as shown in FIG. 4, or inputs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information in units of time or Select and set, enter or select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select or enter a map app to use when Google Maps, Naver Maps, or Apple Maps are installed, or notify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in case of emergency. You can set it by selecting or entering a text or voice message.

긴급상황 판단부(23)는 해당하는 사용자 단말(1)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즉,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입력이 없는 기간)이 긴급상황 설정부(21)를 통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입력(예컨대, 물리적 버튼 누름에 의한 입력, 화면 터치에 의한 입력 등)이 없을 시 긴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23 determines whether the inactiv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corresponding user terminal 1 (that is, the period in which there is no terminal input from the user) exceeds the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preset through the emergency setting unit 21 . It is for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It may be considered an emergency situation.

위치정보 획득부(25)는 긴급상황 판단부(23)를 통해 현재 상황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 내에 탑재된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ON)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것으로,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대표적으로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말 내에 탑재되어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것(장치나 어플리케이션 등)이면 무엇이든 가능할 것이다.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5 acqui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y automatically activating (ON) all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mounted in the terminal when the current situation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situation through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3 In order to do this, all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may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a GPS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etc. device, application, etc.) will be possible.

위치정보 획득부(25)는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 내 모든 위치정보 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조합하거나 해당 상황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하나를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다.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5 combines one or more location information data acquired from all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or selects one determined to be most reliable in the corresponding situation to obtain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data can be derived

위치정보 획득부(25)는 긴급상황 설정부(21)로부터 선택된 지도 맵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도출된 최적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대입하여 해당 최적 위치 정보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캡처하고 그 캡처된 해당 지도 화면을 현재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5 substitutes the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data derived as described above to the map map selected by the emergency setting unit 21 to capture a map screen displaying the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and capture the captured map The screen can be used a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긴급상황 통지부(27)는 적어도 위치정보 획득부(25)를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것으로, 일 예로 위치정보 획득부(25)를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긴급상황 설정부(21)를 통해 설정된 각종 정보(긴급 연락처 정보, 긴급상황 메시지 정보 등)를 조합하여 긴급 상황을 통지할 수 있다.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27 is for at least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5, for example,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25 and various informati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emergency message information, etc.) set through the emergency situation setting unit 21 may be combined to notify an emergency situa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의 흐름도로, 도 1-2의 사용자 단말(2)과 같은 장치에 적용되므로 해당 장치의 동작과 병행하여 설명한다.3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applied to the same device as the user terminal 2 of FIGS. 1-2, it will be described in parallel with the operation of the corresponding device.

먼저, 단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긴급상황 설정부(21)는 긴급 상황 관련 각종 정보를 설정하는데,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긴급상황 설정부(21)의 UI(User Interface) 화면에 표시된 긴급상황 자동 알림 기능 메뉴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단말의 긴급 상황 자동 알람 기능을 온(또는 오프) 상태로 상태로 설정하고(S301), 긴급상황판단시간 메뉴의 선택을 통해 하위 메뉴 항목에서 원하는 시간을 선택하거나 입력하여 긴급 상황 판단의 기준이 되는 해당 긴급상황판단시간 데이터를 설정하고(S303), 긴급 연락처 설정 메뉴의 선택을 통해 하위 메뉴 항목에서 긴급 상황 시 통보할 하나 이상의 전화번호 등을 포함하는 긴급 연락처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하여 설정하고(S305), 지도 앱 선택 메뉴의 선택을 통해 구글 맵이나 네이버 맵 또는 애플 맵 등과 같은 각종 맵 어플리케이션 중 긴급 상황 통지 시 사용할 지도 어플리케이션(또는 앱이라 칭함)을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하고(S307), 긴급상황 매시지 내용 메뉴를 통해 긴급 상황 시 위치 정보와 함께 통지할 문자 또는 음성 메시지를 선택 또는 입력하여 설정할 수 있다(S309).First, according to the selection of the terminal user, the emergency setting unit 21 sets various types of emergency information. For example, a UI (User Interface) screen of the emergency setting unit 21 as shown in FIG. 4 .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through the automatic emergency notification function menu displayed in One or more phone numbers to be notified in case of emergency in the sub-menu item by selecting or inputting a desired time in the item to set the corresponding emergency judgment time data, which is the standard for emergency judgment (S303), and selecting the emergency contact setting menu The map application (or app) to be used for emergency notification among various map applications, such as Google Map, Naver Map, or Apple Map, by inputting or selecting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including )) is selected or inputted (S307), and a text or voice message to be notified along with location information in an emergency situation can be selected or inputted through the emergency message content menu (S309).

전술한 단계 S301~S309와 같이 긴급상황 설정부(21)에 긴급 상황 관련 각종 정보가 설정된 상태에서, 긴급상황 판단부(23)는 단말의 입력이 없는 비활성화 시간을 카운트하여 긴급 상황 여부를 판단하는데, 예컨대 단계 S303에서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할 때까지 사용자로부터의 단말 입력(예컨대, 물리적 버튼 누름에 의한 입력, 화면 터치에 의한 입력 등)이 없는 비활성화 상태가 계속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긴급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다(S311).In a state in which various information related to the emergency situation is set in the emergency situation setting unit 21 as in the above-described steps S301 to S309, the emergency situation determination unit 23 counts the inactivation time without input from the terminal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emergency situation. , For example, when it is determined in step S303 that the inactive state in which there is no terminal input from the user (eg, input by pressing a physical button, input by touch on the screen, etc.) from the user continues until the preset emergency judgment time is exceeded in step S303 It can be determined as (S311).

이어 단계 S311에서 긴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면, 위치정보 획득부(25)는 단말 내에 탑재된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ON)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데, 일 예로 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단말 내 모든 위치정보 획득수단으로부터 획득된 하나 이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조합하거나 해당 상황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하나를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도출할 수 있고, 다른 예로 단계 S307에서 선택된 지도 맵에 전술한 바와 같이 도출된 최적의 위치정보 데이터를 대입하여 해당 최적 위치 정보가 표시된 지도 화면을 캡처하고 그 캡처된 해당 지도 화면을 현재 위치 정보로 사용할 수 있다(S313~S315).Next, if it is determined that it is an emergency in step S311,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5 automatically activates (ON) all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mounted in the terminal to acquir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for example, according to a preset program. The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data can be derived by combining one or more location information data obtained from all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or selecting one that is judged to be most reliable in the corresponding situation, as another example, the map map selected in step S307 By substituting the derived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data as described above, a map screen displaying the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may be captured, and the captured map screen may be used as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S313 to S315).

마지막으로, 긴급상황 통지부(27)는 위치정보 획득부(25)를 통해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와 긴급상황 설정부(21)를 통해 설정된 각종 정보(긴급 연락처 정보, 긴급상황 메시지 정보 등)를 조합하여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데, 예를 들어, 단계 S315에서 획득된 해당 지도 화면과 단계 S309에서 설정된 긴급상황 메시지를 MMS 메시지에 실어 단계 S305에서 설정된 긴급 연락처로 긴급 전송하여 통지할 수 있다(S317).Finally,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27 transmit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5 and various information set through the emergency setting unit 21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emergency message information, etc.) In combination, the emergency situation is notified. For example, the corresponding map screen obtained in step S315 and the emergency message set in step S309 are loaded onto the MMS message and urgently transmitted to the emergency contact set in step S305 can be notified (S317) .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또는 애플리케이션)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로컬 데이터 파일, 로컬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 매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와 같은 자기-광 매체, 및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or application) including program instructions for performing various computer-implemented operations.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local data files, local data structures, and the like alone or in combination. Th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us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ROMs, RAMs, flash memories, and the like.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such program instructions are included.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may include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s well as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통신망
2: 사용자 단말
21: 긴급상황 설정부
23: 긴급상황 판단부
25: 위치정보 획득부
27: 긴급상황 통지부
1: network
2: User terminal
21: emergency setting unit
23: Emergency judgment unit
25: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unit
27: Emergency Notification Department

Claims (11)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긴급상황 판단부;
상기 긴급상황 판단부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위치 정보 획득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조합하거나 해당 상황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하나를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위치정보 획득부; 및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긴급상황 통지부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an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the terminal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inactiv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terminal exceeds a preset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When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through the emergency determination unit, all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 the terminal are automatically activated to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ut all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 the terminal are a plurality of different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a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unit for deriving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data by combining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data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or selecting one determined to be most reliable in the corresponding situation; and
and an emergency notification unit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긴급상황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comprises an emergency setting unit for setting at least one of information on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information 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information on map app to capture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emergency message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상황 통지부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긴급상황 설정부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mergency notification unit notifies the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acquir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set through the emergency situation sett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단말.
According to claim 1,
The terminal for emergency notification,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ns for obtaining all location information in the terminal includes at least one of a GPS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사용자의 단말에서 수행하는 방법으로,
(a) 해당 단말의 비활성화 유지 시간이 기 설정된 긴급상황판단시간을 초과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긴급 상황인지의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단계;
(b) 상기 단계 (a)를 통해 긴급 상황으로 판단될 경우, 상기 해당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자동으로 활성화하여 현재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되,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서로 다른 복수개의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위치 정보 획득 수단으로부터 획득된 복수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조합하거나 해당 상황에서 가장 신뢰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하나를 선택하여 최적의 위치 정보 데이터를 도출하기 위한 단계; 및
(c)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As a method performed by the user's terminal,
(a) determining whether the terminal is in an emergency situation according to whether the inactivation maintenance time of the terminal exceeds a preset emergency determination time;
(b) when it is determined as an emergency through step (a), all the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 the terminal are automatically activated to obtain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but all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in the terminal are different Including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combining a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data obtained from the plurality of location information obtaining means or by selecting one that is judged to be the most reliable in the situation for deriving optimal location information data step; and
(c) a method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including the step of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based on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제5항에 있어서,
(d) 긴급상황판단시간에 대한 정보, 긴급 연락처에 대한 정보, 위치 정보를 캡처 할 지도 앱에 대한 정보, 및 긴급 상황 메시지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정하기 위한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setting at least one or more of information on emergency judgment time, information on emergency contact information, information on map app to capture location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emergency message method for emergency notifica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획득된 현재 위치 정보 및 상기 단계 (d)를 통해 설정된 정보를 기초로 긴급 상황을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7. The method of claim 6,
The step (c) is a method for notifying an emergency situation, characterized in that based on the obtained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and the information set through the step (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내 모든 위치 정보 획득 수단은 GPS 통신 모듈, WiFi 통신 모듈, 및 이동통신 모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All of the location information acquisition means in the terminal comprises at least one of a GPS communication module, a WiFi communication module, and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which a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for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on a computer is recorded.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하드웨어와 결합하여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An application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for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in combination with hardware.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을 위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order to execute the method for notification of an emergency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5 to 8 in a computer.

KR1020150090336A 2015-06-25 2015-06-25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KR10241599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36A KR102415993B1 (en) 2015-06-25 2015-06-25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0336A KR102415993B1 (en) 2015-06-25 2015-06-25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78A KR20170001778A (en) 2017-01-05
KR102415993B1 true KR102415993B1 (en) 2022-07-05

Family

ID=5783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0336A KR102415993B1 (en) 2015-06-25 2015-06-25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99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69B1 (en) * 2011-06-27 2012-01-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627B1 (en) 2009-02-06 2015-06-03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System for transmitting alert mess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50033227A (en) * 2013-09-24 2015-04-01 권형석 Ride, attach an external device, an emergency button and emergency notification service by the way lo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269B1 (en) * 2011-06-27 2012-01-04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emergency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on which a program therefor is record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778A (en) 2017-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249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leting smart scene
US9239726B2 (en) Misoperation-preventing method and device
US10349206B2 (en) Geofence profile management
KR10129570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ecurity information of background process
EP3113131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object finding information
EP3168747B1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a file in a system partition
CN103957322A (en) Mobile terminal and antitheft method thereof
JP6220106B2 (en) Information collecting method and apparatus,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2016532187A (en) Application deletion notification method, application deletion notification device,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377151B2 (en) Screen protection method and apparatus
CN108810949B (en) Management and control wifi hotspot processing method and terminal
US20180262873A1 (en) Secure mobile device recovery
CN105183440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temporary content on a mobile device
EP2843918B1 (en) Restricting the oper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US9197589B2 (en) Communication device having instant messaging software and method for making phone call
CN112256563A (en) Android application stability test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2415993B1 (en) Terminal and Method for Notify of Emergency State
US9773248B2 (en) Troubleshooting a problem with user equipment based on a location of a user
KR10196193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screen recoding in mobile device
US20170180968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cellular data monitoring
US20170185366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information
CN105786418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21117921A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451010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notifying critical situation of mobile user with realtime motion picture data
KR101603280B1 (en) Method, terminal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managing emergency situ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