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771B1 -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771B1
KR102415771B1 KR1020210093318A KR20210093318A KR102415771B1 KR 102415771 B1 KR102415771 B1 KR 102415771B1 KR 1020210093318 A KR1020210093318 A KR 1020210093318A KR 20210093318 A KR20210093318 A KR 20210093318A KR 102415771 B1 KR102415771 B1 KR 102415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affiliate
server
information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3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종원
이민호
Original Assignee
세틀뱅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틀뱅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틀뱅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3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57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7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4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displayed on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제휴 할인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본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제휴 서버가, 제휴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고객 단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휴 서버가,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결제 서버가 결제 서버의 결제 서비스에 대한 고객 정보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결제 서비스에 대한 고객 정보의 가입이 확인되면, 제휴 서버가, 제휴 서버의 제휴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제휴 서버가, 고객 단말을 통해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 COMPLEX PAYMENT SYSTEM FOR PERFORMING AFFILIATE DISCOUNT AND PYAMENT AT ONCE }
본 개시는 제휴 할인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휴 서버와 결제 서버 간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하나의 절차만으로 제휴 할인 및 결제를 수행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통신사, 카드사 등 다양한 제휴사와 협약된 온/오프라인 판매점이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고객은 판매점 내 단말기 또는 판매 서버를 통해 결제를 수행하는 한편, 제휴사를 통한 제휴 할인 내지는 포인트 적립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종래의 경우, 결제 과정에서 제휴 할인 과정 및 결제 과정이 각각 별도 단계로 수행되는 경우가 많아, 고객 입장에서 불편함이 있다.
구체적으로, 고객이 특정 가게의 상품(ex. 특정 요리, 음료, 아이스크림, 빵 등)을 주문하면서 제휴 할인 및 결제를 진행하고자 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자면, 먼저, 고객은 가게 내에 비치된 가맹점 단말(ex. 주문/결제용 키오스크)을 통해 구매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한 뒤, 스마트폰을 통해 제휴 할인을 위한 바코드를 제휴 서버로부터 발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고객은 해당 바코드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의 화면을 가맹점 단말의 이미지 센서에 보여줄 수 있다. 이때, 가맹점 단말은 제휴 할인이 적용된 할인된 가격을 표시할 수 있으며, 여기서부터, 고객은 스마트폰 또는 신용 카드 등을 통해 온전한 결제 과정을 수행해야 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27457호(멤버쉽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본 개시는 제휴 할인(포인트 적립) 및 결제를 하나의 절차로 수행할 수 있는 복합 결제용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제휴 서버 및 결제 서버의 정보 공유를 통해 복합 결제의 절차를 최적화한 시스템을 제고한다.
본 개시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개시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개시의 실시 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휴 할인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제휴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고객 단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상기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서버의 결제 서비스에 대한 상기 고객 정보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비스에 대한 상기 고객 정보의 가입이 확인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의 제휴 정보 및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가맹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고객 단말에 표시된 상기 이미지를 통해 상기 코드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코드 번호 및 상기 선택된 상품을 각각 포함하는 복합 결제 정보를 상기 제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복합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에 따른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복합 결제 정보에 포함되는 결제 정보에 상기 할인 정보를 반영하여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제휴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제휴 정보가 반영된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제1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고객 단말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의 활성화와 관련된 고객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객 정보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및 상기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휴 정보 및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도록 상기 고객 단말을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
한편, 상기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 서버가, 복수의 제휴사 중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로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의 제휴 가입 정보 및 상기 특정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정보 및 상기 특정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휴사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제휴사 중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의 제휴에 따라 가장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는 제휴사를 선택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휴 할인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복수의 제휴사 중 상기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로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의 제휴 가입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정보 및 상기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휴 할인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제휴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고객 단말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고객 정보가 가입된 결제 서비스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나타내는 결제 항목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공된 결제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의 제휴 할인이 적용된 상기 상품의 결제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제휴 할인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고객 단말을 통해, 상품 및 결제 수단을 각각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상기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결제 서비스의 등록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비스에 대한 상기 결제 수단의 등록이 확인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의 제휴 할인이 적용된 상기 상품의 결제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은, 한 번의 절차만으로 제휴 할인 및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모두 반영된 바코드/QR 코드를 제공하여, 가맹점 단말을 이용하는 사용자의 복합 결제 과정을 간소화한다는 장점이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은, 제휴 서버 및 결제 서버의 연동을 통해 제휴 할인 및 결제를 하나의 절차 상에서 모두 적용하는 바, 온/오프라인 복합 결제의 효율성을 향상시킨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오프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고객 단말을 통해 오프라인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결제 서버를 복수의 제휴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온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온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오프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그리고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온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용어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나 법률적 또는 기술적 해석 및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용어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다. 이러한 용어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용어 정의가 없으면 본 명세서의 전반적인 내용 및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 상식을 토대로 해석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첨부된 각 도면에 기재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서로 다른 실시 예들에서도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즉, 복수의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를 모두 도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복수의 도면들이 하나의 실시 예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는 구성요소들 간의 구별을 위하여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수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서로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며 이러한 서수 사용으로 인하여 용어의 의미가 한정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예로, 이러한 서수와 결합된 구성요소는 그 숫자에 의해 사용 순서나 배치 순서 등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각 서수들은 서로 교체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모듈", "유닛", "부(part)" 등과 같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기 위한 용어이며, 이러한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유닛", "부(part)" 등은 각각이 개별적인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나 칩으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뿐 아니라, 다른 매체를 통한 간접적인 연결의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의미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은 고객이 가맹점 내에 위치한 가맹점 단말(20)을 통해 상품을 구매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며, 고객 단말(10), 가맹점 단말(20), 제휴 서버(100), 결제 서버(200) 등의 동작을 통해 복합 결제 과정이 개략적으로 설명된다.
가맹점은, 다양한 상품을 취급하는 영업점에 해당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와 제휴 내지는 가맹을 맺은 영업점일 수 있다.
제휴사는,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과 제휴를 맺고, 일정 조건 하에 해당 가맹점의 상품 구매와 관련된 할인 및/또는 포인트 적립 등의 혜택을 제공하는 회사일 수 있다. 제휴사는, 통신사, 카드사, 은행 등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예로, 가맹점 내에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이 해당 가맹점의 제휴사인 통신사 ABC의 이용자인 경우(고객 단말의 통신 서비스를 통신사 ABC가 제공하는 경우), 고객은 해당 상품의 구매에 있어 할인 혜택 및/또는 포인트 적립 혜택을 누릴 수 있다.
고객 단말(10)은 고객의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단말 기기에 해당할 수 있다.
가맹점 단말(20)은 영업점 내에 위치하여 주문, 결제, 제휴 처리(할인 적용, 포인트 적립 등) 등을 수행하기 위한 기기로, PoS(Point of Sales) 기기, 키오스크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가맹점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서버를 통해 제휴 서버(100), 결제 서버(200) 등과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먼저, 고객 단말(10)은 가맹점과 관련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100)와 연동될 수 있다. 일 예로, 고객 단말(10)은 제휴 서버(100)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제휴 서버(100)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서, 제휴 할인 및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고객 단말(10)은 제휴 서버(100)로 해당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제휴 서버(100)로부터 고객 정보를 수신하여 결제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입이 확인되면, 제휴 서버(100)는, 제휴 정보 및 결제 정보가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QR 코드 또는 바코드를 이미지 형태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가맹점 단말(20)은 해당 이미지를 촬영 및 인식하여 제휴 정보 및 결제 정보를 식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문/결제하고자 하는 상품이 사용자 입력(ex. 터치)을 통해 선택되면, 가맹점 단말(20)은 제휴 정보에 매칭되는 제휴 서버(100)로 제휴 정보, 결제 정보, 상품에 대한 정보(ex. 상품 종류, 상품 식별 번호, 판매 금액 등)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휴 서버(100)는 상품의 원 가격에 제휴 정보에 따른 할인을 반영하여 결제 정보를 갱신하고, 갱신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결제 서버(200)는 할인이 적용된 결제 정보에 따라 결제를 수행할 수 있으며, 결제가 수행되면, 제휴 서버(100)는 멤버십 등에 따른 포인트 적립을 등록할 수도 있다.
이렇듯, 본 개시에 따른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한 번의 요청만으로 결제 및 제휴가 모두 반영된 이미지(ex. 바코드, QR 코드 등)를 생성하여 활용되도록 하는 바, 가맹점 단말(20)을 이용하는 고객의 사용자 입력 절차를 간소화하고 결제 및 할인에 걸리는 시간을 줄여준다.
이하 도면들을 통해,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라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시스템(1000)은,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는 각각 다양한 서버, 시스템,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바,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영역 또는 규모에 따라 개인 통신망(PAN; Person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의 개방성에 따라 인트라넷(Intranet), 엑스트라넷(Extranet), 또는 인터넷(Internet) 등일 수 있다.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는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5G(5th Generation) 이동통신,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WiFi(Wi-Fi), WiFi Direct,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Zigbee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는 이더넷(Ethernet), 광 네트워크(optical network), USB(Universal Serial Bus), 선더볼트(ThunderBolt)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와 연결될 수도 있다.
제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의 서버 내지는 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제휴 서버(100)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 등을 통해 다양한 고객의 고객 단말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휴 혜택(할인, 포인트 적립, 멤버십 정보 등)에 대한 정보를 고객 별로 관리할 수 있다.
제휴 서버(100)는 결제 서버(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제휴사와 가맹 관계인 가맹점의 가맹점 단말(20)과도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휴 서버(100)는 제휴사의 서비스(ex. 통신, 카드, 계좌 등)를 이용하는 고객의 고객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제휴 서버(100)는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고객 단말(10)로 제휴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제휴 정보는, 고객 단말(10)의 고객이 받을 수 있는 혜택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휴 정보는, 할인 금액, 적립 금액, 제휴사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휴 서버(100)는 제휴 할인에 대한 정보가 반영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고객 단말(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복합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휴 서버(100)는 제휴 할인에 대한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각각 반영된 바코드 또는 QR 코드를 고객 단말(1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를 수행하기 위한 서버 내지는 시스템에 해당한다. 결제 수단은, 계좌, 카드, 선불전자지급수단, 가상화폐 등에 해당할 수 있으며, 은행이나 카드사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금융기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온라인 결제 내지는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금융기관 서버는, 은행, 증권회사, 카드사 등의 서버일 수 있으며, 이 밖에도 다양한 금융기관의 서버/시스템에 해당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제휴 서버(100)로부터 고객 단말(10)의 고객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고객 단말(10)과 연동하여 적어도 하나의 결제 서비스(ex. 간편 결제)를 등록할 수 있다. 이는, 고객 단말(10)의 고객이 해당 결제 수단을 통해 결제 서비스에 가입한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서버(200)는 고객 단말(10)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제휴 서버(100)를 통해 고객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고객 정보(성명, 생년월일 등), 결제 수단(ex. 카드사/카드번호, 은행/계좌주명/계좌번호, 가상지갑주소 등), 비밀번호/생체 데이터 등을 획득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버(200)는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금융기관 서버로 고객 정보 및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여, 해당 결제 수단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고 고객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버(2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출금 동의 과정(ex. ARS, 통화/녹취, SMS, 전자문서에 대한 전자서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버(200)는 결제 서비스(간편 결제)를 고객 정보에 대하여 등록할 수 있다(결제 서비스 가입). 그 결과, 고객 단말(10)을 통한 비밀번호/생체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결제 서버(200)의 간편 결제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제휴 서버(100)로부터 특정 고객 정보에 대한 결제 서비스 가입 여부를 문의하는 요청이 수신되면, 결제 서버(200)는 기등록된 결제 서비스의 고객 정보를 해당 고객 정보와 비교하여 결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고객 단말(10), 가맹점 단말(20), 및 제휴 서버(1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결제 정보(결제 금액, 결제 수단)가 수신되면, 결제 서버(200)는 수신된 결제 정보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금융기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휴 서버(100)는, 제휴 서버(100)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310).
구체적으로, 제휴 서버(100)는 애플리케이션에 로그인한 고개 단말(10)의 고객 정보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을 식별하고, 식별된 결제 수단 각각에 매칭되는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휴 서버(100)는 고객 정보 별로 기등록된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수신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등록할 수 있으며, 이때, 결제 서버(200)의 인증을 기반으로 결제 수단을 등록할 수도 있다.
S310 단계와 같이 결제 수단(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의 고객 정보를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S320).
여기서,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200)는,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금융기관 서버와 연동될 수 있으며,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서비스(ex. 간편 결제)가 등록될 수 있는 서버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의 고객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버(200)는, 결제 서버(200)의 결제 서비스에 대한 고객 정보의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S330).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200)는 선택된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 서비스가 고객 정보에 대하여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만약 결제 서버(200)를 통해 결제 서비스에 대한 고객 정보의 가입이 확인되면, 제휴 서버(100)는 제휴 서버(100)의 제휴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S340).
이 경우,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S350).
그 결과, 고객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본 이미지는, 상술한 코드 번호와 매칭되는 QR 코드, 바코드 등에 해당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20)이 상술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고객 단말(10)의 화면을 인식하여 코드 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
이후에는, 코드 번호를 인식한 가맹점 단말(20), 제휴 서버(100), 결제 서버(200) 간의 통신을 기반으로 제휴 할인 및 결제가 하나의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만약 S330 단계에서 고객 정보가 결제 서비스에 가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휴 서버(100)는 (선택된) 결제 수단이 현재 활용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휴 서버(100)는 제휴 정보만이 반영된 코드 번호를 생성하고,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고객 단말(10)을 통해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고객 단말(10)에 표시된 이미지가 가맹점 단말(20)을 통해 인식되더라도, 제휴 할인만이 수행될 수 있으며, 결제 절차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을 통해 수행될 필요가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오프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객 단말(10)은 제휴 서버(100)의 애플리케이션 상에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405).
그리고, 고객 단말(10)은 제휴 할인 및 결제를 포함하는 복합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410). 여기서, 고객 단말(10)은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그리고, 고객 단말(10)은 제휴 서버(100)에 바코드 생성을 요청할 수 있다(S415). 이 경우, 고객 단말(10)은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 및 고객 정보를 제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제휴 서버(100)는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 및 고객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제휴 서버(100)는 결제 서버(200)에 고객 정보의 결제 서비스(ex. 간편 결제) 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S420).
가입 여부가 확인되면(S425), 결제 서버(200)는 제휴 서버(100)로 확인 결과를 통보할 수 있다(S430).
만약, 고객 정보가 결제 서비스에 가입된 경우, 제휴 서버(100)는 제휴 정보와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각각 반영된 코드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S435).
그리고, 제휴 서버(100)는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바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S440). 그 결과, 고객 단말(10)은 해당 이미지를 화면 상에 표시할 수 있다(S445).
한편, 가맹점 단말(20)은 복수의 상품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 등으로 적어도 하나의 상품에 대한 주문/결제가 선택되면, 가맹점 단말(20)은 고객에게 제휴 정보 및/또는 결제 정보가 반영된 이미지를 요청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20)의 이미지 센서를 통해 고객 단말(10)의 화면이 촬영되면, 가맹점 단말(10)은 이미지(바코드)를 분석하여 코드 번호를 식별할 수 있다(S450, S455).
이 경우, 가맹점 단말(20)은 코드 번호에 따라 식별된 제휴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 서버(100)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20)은 제휴 서버(100)로 복합 결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S460). 복합 결제 정보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코드 번호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는, 복합 결제 정보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 제휴 정보, 결제 정보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휴 서버(100)는 해당 상품의 가격에 제휴 정보에 따른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생성된 할인 정보를 결제 정보에 반영할 수 있다(S465). 그리고, 제휴 서버(100)는 할인이 반영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하면서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470).
그 결과, 결제 서버(200)는 할인된 금액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475).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200)는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적어도 하나의 금융기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여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가 수행되면, 결제 서버(200)는 제휴 서버(100), 가맹점 단말(20) 및 고객 단말(10)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제가 수행되었음을 알리는 결과 정보를 통보할 수 있다(S480).
그에 따라, 일 예로, 고객 단말(10)은 결제 완료를 알리는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S485). 또한, 선택적으로, 제휴 서버(100)는 고객 정보에 대하여 결제에 따른 포인트 적립을 등록할 수 있다(S490).
한편, 비록 도 4에서는 하나의 제휴 서버(100)를 통한 결제 서버(200)의 결제 과정만이 도시되었으나, 결제 서버(200)는 다양한 제휴 서버로부터 결제 시스템 가입 여부의 확인을 요청받을 수 있다(상술한 S420 과정).
즉, 결제 서버(200)는 다양한 종류의 제휴 서버와 연동하여 도 4와 같은 복합 결제(제휴 할인 + 간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복수의 제휴 서버 별로 상술한 도 4의 과정과 같은 복합 결제가 수행된 이력을 분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200)는, 복수의 제휴 서버 별로, 일정 기간(ex. 최근 일주일, 최근 한 달) 동안 복합 결제가 수행된 횟수를 식별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제 서버(200)는 식별된 횟수에 따라 복수의 제휴 서버 각각과의 복합 결제에 있어 추가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200)는 복합 결제를 가장 많이 수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휴 서버에 대하여 추가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결제 서버(200)는 일정 기간 동안 임계 횟수 이상 복합 결제를 수행한 적어도 하나의 제휴 서버에 대하여 추가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최근 한 달을 기준으로, 제1 제휴 서버를 통해서는 10회의 복합 결제가 수행되었고, 제2 제휴 서버를 통해서는 5회의 복합 결제가 수행되었으며, 제3 제휴 서버를 통해서는 2회의 복합 결제가 수행된 경우를 가정한다.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제휴 서버들 중 가장 많은 수의 복합 결제를 수행한 제1 제휴 서버에 대하여 추가 할인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후, 다시금 제1 제휴 서버 및 결제 서버(200)를 통해 도 4의 복합 결제 과정이 진행되는 경우, 결제 서버(200)는 결제 수행(S475) 단계에서 추가 할인 정보에 따른 추가 할인을 반영하여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이렇듯, 복합 결제의 실적 면에서 우수한 제휴 서버를 통한 연계 혜택이 제공될 수 있는 바, 제휴 서버와의 협력이 강화되고 특정 제휴 서버(제휴사)를 자주 사용하는 고객들에게 추가적인 혜택이 제공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도 5a 내지 도 5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고객 단말을 통해 오프라인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내지 도 5c는 결제 수단을 선택하고 복합 결제를 위한 이미지를 제공하는 등의 과정에서 고객 단말(10)이 제공하는 시각적 UI(User Interface)들이 도시된 것이다.
도 5a는 고객 단말(10)에서 제휴 서버(100)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황을 가정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제휴 할인(AB 멤버십 포인트 사용)의 활성화를 위한 UI(510) 및 결제 수단(CED 은행의 계좌)의 활성화를 위한 UI(520)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도 5a의 결제 수단(CED 은행의 계좌)은, 로그인 된 고객 정보에 대하여 등록된 결제 서비스(ex. 간편 결제)에 매칭된 것일 수 있다.
제휴 할인 및 결제 수단 각각은, UI(511, 521)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활성화(ON)/비활성화(OFF)가 선택될 수 있다.
도 5a의 경우, 제휴 할인은 활성화(ON)되어 있는 반면 결제 수단은 비활성화(OFF)되어 있으므로, 제휴 서버(100)는 제휴 정보(제휴 할인)가 반영된 코드 번호(바코드)에 매칭되는 이미지(515)를 고객 단말(1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은 고객 단말(10)의 이미지(515)를 가맹점 단말(20)에 인식시켜 제휴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나, 이후 결제 과정에 대해서는 별도의 사용자 입력 과정을 통해 수행되어야 한다.
다만, 만약 도 5a의 상태에서 UI(521)를 터치하여 결제 수단을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도 5b와 같이,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결제 수단(CDE 은행의 계좌)의 활성화와 관련된 고객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UI(522)를 제공할 수 있다.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의 UI(522)를 통해 고객 인증을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입력은 도 5b의 경우처럼 지문과 같은 생체 데이터에 해당할 수 있다. 또는, 제휴 서버(100)는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사용자 입력을 기반으로 고객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고객 단말(10)을 통해 생체 데이터가 입력되면, 제휴 서버(100)는 생체 데이터, 고객 정보,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각각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생체 데이터, 고객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을 이용하여 결제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결제 서비스에 대한 인증도 수행할 수 있다.
가입 여부에 대한 확인 및 결제 서비스에 대한 인증이 수행되면, 제휴 서버(100)는 제휴 할인 및 결제 수단이 모두 반영된 코드 번호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c를 참조하면, 제휴 서버(100)는, 제휴 할인 및 결제 수단이 모두 반영된 코드 번호 및 바코드를 이미지(525)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가맹점 단말(20)이 해당 이미지(525)를 인식하기만 하면,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제휴 할인 및 결제가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를 통해 하나의 절차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비록 도 5a에서는 하나의 결제 수단만이 표시되었으나, 등록된 결제 수단이 복수 개인 경우, 복수 개의 결제 수단 각각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결제 수단 별로 별도의 UI가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듯 복수의 결제 수단이 표시되는 경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활성화된 빈도(ex. 일정 기간(최근 일주일, 한달 등) 동안 활성화된 횟수)가 높은 결제 수단일수록 더 위쪽에 표시될 수도 있다.
여기서, 만약 사용자 입력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결제 수단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하나의 결제 수단만을 선택할 것을 요청하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달리, 제휴 서버(100)는 선택된 두 개 이상의 결제 수단 각각에 대한 정보 및 고객 정보를 모두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고객 정보와 관련하여 선택된 결제 수단들 각각의 결제 서비스 가입 여부를 식별하여 통보할 수 있다. 만약, 결제 수단들이 각각 결제 서비스에 가입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각 결제수단의 결제 비율을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따라 결제 수단 A에 대해서 50%, 결제 수단 B에 대해서 50%가 각각 선택된 경우, 결제 서버(100)는 향후 결제 시 해당 비율을 반영하여 결제 수단 별로 비율에 매칭되는 금액(각 50%씩)에 대한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객 단말(10)은 결제 서버(200)의 애플리케이션/웹 페이지를 통해 하나 이상의 제휴 서버와 선택적으로 연동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결제 서버를 복수의 제휴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선택적으로 연동하여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결제 서버(200)는 결제 서버(200)의 애플리케이션 및/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고객 단말(1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해당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고객 별로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에 대한 결제 서비스를 등록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복수의 제휴 서버(100-1, 2, 3, …)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제휴 서버(100-1, 2, 3, …)는 각각 다른 제휴사의 서버에 해당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기등록된 복수의 제휴사 중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예로, 결제 서버(200)는 복수의 제휴사 중 선택된 결제 수단과의 제휴에 따라 가장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는 제휴사를 선택할 수 있다.
또는, 결제 서버(200)는 복수의 제휴사 중 단위 결제 금액당 포인트 적립이 가장 큰 제휴사를 선택할 수도 있다.
기등록된 복수의 제휴사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등록된 것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현재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제휴사들(ex. 통신사, 카드사 등)이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등록되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제 서버(2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제휴 가입 정보를 획득하여 제휴사를 등록할 수 있다.
제휴 가입 정보는, 제휴사에 가입된 고객의 제휴 정보(ex. 제휴 할인, 멤버십 포인트 등)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통신사인 제휴사의 경우, 제휴 가입 정보는 고객명 및 단말 전화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드사인 제휴사의 경우, 제휴 가입 정보는 고객명 및 카드번호를 포함할 수 있다.
기등록된 복수의 제휴사 중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가 선택되면, 결제 서버(200)는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ex. 100-3)로 고객의 제휴 가입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휴 서버(100-3)가 통신사인 경우, 결제 서버(200)는 고객명 및 고객 단말(10)의 전화번호를 포함하는 제휴 가입 정보를 제휴 서버(100-3)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휴 서버(100-3)가 카드사인 경우, 결제 서버(200)는 고객명 및 카드 번호를 포함하는 제휴 가입 정보를 제휴 서버(100-3)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휴 서버(100-3)는 해당 제휴사의 제휴 정보 및 선택된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가맹점 단말(20) 상에서 상품이 선택되고, 가맹점 단말(20)이 고객 단말(10)의 화면 상에 표시된 이미지를 인식하면, 제휴 서버(100-3) 및 결제 서버(200)를 통해 제휴 할인 및 결제가 하나의 절차로 수행될 수 있다.
이렇듯,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은, 제휴 서버(100)의 애플리케이션 뿐 아니라 결제 서버(200)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서도 고객 단말(10)로 복합 결제를 위한 이미지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결제 서버(200)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휴 서버(100-3)를 선택하는 경우, 혜택이 가장 좋은 제휴사가 자동으로 선택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개시에 따른 시스템(1000)은, 오프라인 외에 온라인 복합 결제 역시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온라인 복합 결제의 경우, 고객이 가맹점에 방문하지 않기 때문에, 가맹점 단말(20)은 활용되지 않을 수 있다.
관련하여,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온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고객 단말(10)은 제휴 서버(100)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705).
이 경우,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710, S715).
이렇듯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의 고객 정보를 결제 서버로 전송할 수 있으며, 결제 서버(200)의 결제 서비스(ex. 간편 결제)에 대한 고객 정보의 가입 여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S720).
그 결과, 결제 서버(200)는 고객 정보의 결제 서비스 가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결제 서버(200)는 고객 정보가 가입된 결제 서비스에 매칭되는 하나 이상의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제휴 서버(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즉, 결제 서버(200)는 고객 정보에 대하여 결제 서버(200) 상에 등록된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제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S730).
이 경우,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을 통해 해당 결제 수단을 각각 나타내는 하나 이상의 결제 항목을 제공할 수 있다(S735, S740). 예를 들어, 고객의 ABC 카드 및 고객의 DEF 은행 계좌 각각에 해당하는 결제 항목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항목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S745, S750), 제휴 서버(100)는, 제휴 할인이 적용된 상품의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755). 그리고, 제휴 서버(100)는 제휴 할인이 적용된 결제 정보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하여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760).
결제 서버(200)는, 제휴 서버(100)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선택된 결제 항목에 매칭되는 결제 수단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765). 그리고, 결제 서버(200)는 고객 단말(10) 및 제휴 서버(100)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제 완료를 통보할 수 있다(S770).
이 경우, 고객 단말(10)은 결제 완료를 알릴 수 있고(S775), 제휴 서버(100)는 결제 완료에 따른 포인트 적립을 등록할 수 있다(S780).
한편, 결제 서버(200)에 등록된 결제 수단을 미리 확인하여 그 중 하나가 선택되도록 항목 별로 제공한 도 7과 달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결제 수단이 결제 서버(200)에 등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온라인 복합 결제를 진행할 수도 있다.
관련하여,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이 온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고객 단말(10)은 제휴 서버(100)의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여 로그인을 수행할 수 있다(S805).
이 경우,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의 결제를 요청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제휴 서버(1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상품 외에 결제 수단까지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S810, S815).
그리고, 제휴 서버(100)는 선택된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결제 서버(200)로 고객 정보의 결제 서비스 가입 여부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S820).
이 경우, 결제 서버(200)는 고객 정보 및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결제 서비스가 결제 서버(200) 상에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S825), 확인 결과를 제휴 서버(100)로 통보할 수 있다(S830).
결제 서버(200)의 결제 서비스에 대한 고객 정보 및 결제 수단의 등록/가입이 확인된 경우, 제휴 서버(100)는 선택된 상품의 금액에 제휴 할인을 적용할 수 있다(S835).
그리고, 제휴 서버(100)는 제휴 할인이 적용된 결제 정보에 따른 결제를 요청할 수 있다(S840). 그 결과, 결제 서버(200)는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S845).
결제 서버(200)는 결제 완료를 고객 단말(10) 및/또는 제휴 서버(100)로 통보할 수 있으며(S850), 고객 단말(10)은 결제 완료를 알리는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S855). 또한, 제휴 서버(100)는 결제 완료에 따라 고객 정보(멤버십)에 대한 포인트 적립을 수행할 수 있다(S860).
한편,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 외에 적어도 하나의 중개 서버를 이용하여 온라인/오프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관련하여,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오프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중개 서버(300)는 고객 단말(10), 가맹점 단말(20), 제휴 서버(100), 결제 서버(200)와 각각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중개 서버는 중개 서버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고객 단말(10)과 연동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제휴사 및 제휴 방식을 각각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중개 서버(300)는 결제에 따른 포인트 적립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휴 방식은, 전체 포인트 결제, 일부 포인트 결제(할인), 단순 결제(제휴 할인 없음)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중개 서버(300)는 매 결제 시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제휴사의 이력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중개 서버(300)는 각 제휴사의 상황에 따라 제휴사를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휴사가 이벤트 제공 중인 경우 또는 특정 제휴사에 대하여 적립된 고객의 포인트가 일정 포인트 이상인 경우, 중개 서버(300)는 해당 제휴사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중개 서버(300)는 매 결제 시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제휴 방식의 이력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휴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휴 방식에 대한 선택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었던 경우, 중개 서버(300)는 해당 제휴 방식을 추천할 수 있다.
이렇듯 결제 수단 및 제휴사가 선택되면, 중개 서버(300)는 선택된 결제 수단 및 선택된 제휴사가 각각 반영된 코드 번호(바코드, QR 코드)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개 서버(300)는 제휴 서버(100) 및 결제 서버(200) 중 적어도 하나와의 통신을 기반으로 코드 번호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개 서버(300)는 선택된 제휴사에 매칭되는 제휴 서버(100)로 제휴 가입 정보를 전송하고, 선택된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결제 서버(200)로 고객 정보 및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개 서버(300)는 제휴 서버(100)로부터 제휴 정보를 수신하고 결제 서버(200)로부터 결제 서비스에 대한 가입 여부 확인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를 통해 고객 정보의 결제 서비스 가입이 확인되면, 중개 서버(300)는 제휴 정보(ex. 제휴 할인) 및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가 각각 반영된 코드 번호(바코드,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다만, 만약 결제 서버(200)를 통해 고객 정보의 결제 서비스 가입이 확인되지 않으면, 중개 서버(300)는 제휴 할인만이 반영된 코드 번호(바코드, QR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중개 서버(300)는 생성된 코드 번호(바코드, QR 코드)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고객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단말(20)은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으며, 고객 단말(10)의 화면을 통해 코드 번호를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가맹점 단말(20)은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 및 코드 번호를 중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중개 서버(30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 제휴 정보,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제휴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고, 제휴 서버(100)는 상품의 결제 금액에 제휴 할인을 적용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개 서버(300)는 제휴 서버(100)에서 생성된 결제 정보(할인 적용)를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 서버(200)는 할인된 금액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를 통해 결제가 수행되면, 중개 서버(300)는 제휴 서버(200)로 포인트의 차감 또는 적립을 요청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중개 서버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온라인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중개 서버(300)는 고객 단말(10), 제휴 서버(100), 결제 서버(200) 외에 적어도 하나의 가맹점 서버(2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가맹점 서버(20')는 가맹점 서버(20')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를 통해 고객 단말(10)로 쇼핑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가맹점 서버(2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서버(2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서버(20')는, 고객 단말(10)을 통해 제휴사 및 제휴 방식을 각각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가맹점 서버(20')는 결제에 따른 포인트 적립 여부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가맹점 서버(20')는 매 결제 시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제휴사의 이력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서버(20')는 각 제휴사의 상황에 따라 제휴사를 추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휴사가 이벤트 제공 중인 경우 또는 특정 제휴사에 대하여 적립된 고객의 포인트가 일정 포인트 이상인 경우, 가맹점 서버(20')는 해당 제휴사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가맹점 서버(20')는 매 결제 시마다 사용자가 선택한 제휴 방식의 이력을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휴 방식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제휴 방식에 대한 선택 비율이 임계치 이상이었던 경우, 중개 서버(300)는 해당 제휴 방식을 추천할 수 있다.
가맹점 서버(20')는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 선택된 결제 수단, 선택된 제휴사에 대한 정보를 각각 중개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중개 서버(300)는 선택된 제휴사에 매칭되는 제휴 서버(100)로 선택된 상품에 대한 정보, 선택된 결제 수단, 선택된 제휴사에 대한 정보를 각각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휴 서버(100)는 상품의 결제 금액에 제휴 할인을 적용하여 결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중개 서버(300)는 제휴 서버(100)에서 생성된 결제 정보(할인 적용)를 (선택된 결제 수단에 매칭되는) 결제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고, 결제 서버(200)는 할인된 금액에 따른 결제를 수행할 수 있다.
결제 서버(200)를 통해 결제가 수행되면, 중개 서버(300)는 제휴 서버(200)로 포인트의 차감 또는 적립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중개 서버(300)는 완료된 결제에 대한 정보, 차감/적립된 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을 가맹점 서버(20') 및/또는 고객 단말(1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서로 저촉되거나 모순되지 않는 한, 두 개 이상이 실시 예가 결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개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unit)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술한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시스템(1000) 내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에서의 처리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 또는 컴퓨터 프로그램은 특정 기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1000) 내 각 장치/서버에서의 처리 동작을 상술한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0: 시스템 100: 제휴 서버
200: 결제 서버 10: 고객 단말
20: 가맹점 단말

Claims (10)

  1. 제휴 할인과 결제를 동시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를 제공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고객 단말을 통해 제휴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제휴 정보가 반영된 제1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제1 이미지를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고객 단말에 표시된 상태에서, 상기 제휴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 정보를 상기 결제 수단과 관련된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결제 서버의 결제 서비스에 대한 상기 고객 정보의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비스에 대한 상기 고객 정보의 가입이 확인되면,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의 제휴 정보 및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제2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이미지를 대체하여 상기 제2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제2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이미지가 상기 고객 단말에 표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결제 수단 각각을 활성화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결제 수단 별로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UI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UI를 결제 수단 별로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제 수단 중 활성화된 빈도가 높은 결제 수단의 UI일수록 더 위쪽에 표시하고,
    상기 가입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는,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제1 사용자 입력에 따라 선택된 결제 수단의 활성화와 관련된 고객 인증을 수행하기 위한 제2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선택된 결제 수단, 상기 제2 사용자 입력, 및 상기 고객 정보를 기반으로 고객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가맹점 단말이, 적어도 하나의 상품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고객 단말에 표시된 상기 제2 이미지를 통해 상기 제2 코드 번호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가맹점 단말이, 상기 제2 코드 번호 및 상기 선택된 상품을 각각 포함하는 복합 결제 정보를 상기 제휴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복합 결제 정보를 기반으로 제휴에 따른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복합 결제 정보에 포함되는 결제 정보에 상기 할인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제휴 서버로부터 수신된 결제 정보에 따라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합 결제를 수행하는 단계는,
    일정 기간 동안 복수의 제휴 서버 각각을 통해 복합 결제가 수행된 횟수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제휴 서버 중 상기 제휴 서버를 통해 복합 결제가 수행된 횟수가 가장 많은 경우, 추가 할인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상기 UI를 통해 두 개 이상의 결제 수단이 동시에 선택되는 경우, 상기 제휴 서버가 상기 선택된 두 개 이상의 결제 수단 각각에 대한 정보 및 고객 정보를 상기 결제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두 개 이상의 결제 수단 각각과 매칭되는 결제 서비스에 대한 상기 고객 정보의 가입 여부를 결제 수단 별로 식별하여 상기 제휴 서버로 통보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 이상의 결제 수단 각각과 매칭되는 결제 서비스에 대한 상기 고객 정보의 가입이 모두 확인되는 경우,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두 개 이상의 결제 수단 각각의 결제 비율을 식별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은,
    상기 결제 서버의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특정 결제 수단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결제 서버가, 복수의 제휴사 중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제휴사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로 상기 고객 단말의 고객의 제휴 가입 정보 및 상기 특정 결제 수단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가,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정보 및 상기 특정 결제 수단이 각각 반영된 하나의 코드 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된 제휴사의 제휴 서버가, 상기 고객 단말을 통해, 상기 생성된 코드 번호에 매칭되는 이미지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휴사를 선택하는 단계는,
    상기 결제 서버가, 상기 복수의 제휴사 중 상기 특정 결제 수단과의 제휴에 따라 가장 높은 할인율을 제공하는 제휴사를 선택하는, 시스템의 복합 결제 제공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093318A 2021-07-16 2021-07-16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KR1024157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318A KR102415771B1 (ko) 2021-07-16 2021-07-16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3318A KR102415771B1 (ko) 2021-07-16 2021-07-16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5771B1 true KR102415771B1 (ko) 2022-07-01

Family

ID=823970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3318A KR102415771B1 (ko) 2021-07-16 2021-07-16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77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457A (ko) 2008-06-09 2009-12-14 이성 유자형 선재제품의 포장구조 및 그 포장방법
KR20150098690A (ko) * 2014-01-28 2015-08-31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모바일 단말의 멤버십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60016125A (ko) * 2014-08-04 2016-02-15 유광선 통합 전자결제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4616A (ko) * 2015-01-06 2016-07-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난수의 임시 통합 바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80048024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얍컴퍼니 통합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7457A (ko) 2008-06-09 2009-12-14 이성 유자형 선재제품의 포장구조 및 그 포장방법
KR20150098690A (ko) * 2014-01-28 2015-08-31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모바일 단말의 멤버십카드를 이용한 결제 방법
KR20160016125A (ko) * 2014-08-04 2016-02-15 유광선 통합 전자결제 지원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84616A (ko) * 2015-01-06 2016-07-14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난수의 임시 통합 바코드를 이용한 결제 서비스 시스템, 그 시스템에서의 결제 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20180048024A (ko) *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얍컴퍼니 통합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92884B2 (en) Split tender in a prepaid architecture
US9953308B2 (en) Payment, messaging, calling, and multimedia system on mobile and wearable device with haptic control for one-scan and single-touch payments
US9665865B1 (en) One-scan and one-touch payment and buying using haptic control via messaging and calling multimedia system on mobile and wearable device, currency token interface, point of sale device, and electronic payment card
US11900388B2 (en) Transaction processing using optically encoded information
US9087327B2 (en) Automatically emailing receipt at POS
AU2010300872B2 (en) Mobile device including mobile application
US10147112B2 (en) Delayed processing window in a prepaid architecture
US20140095385A1 (en) Selecting merchants for automatic payments
CA2972020C (en) Flexible electronic payment transaction process
US20230169478A1 (en) Optical-scan triggered electronic funds transfer for purchase transaction
US113018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use in enabling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ased on user interactions with the devices
EP308470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d token-based payments
EP3649598A1 (en) System and methods for accepting dual function payment credential
US20200202415A1 (en) Messaging system
KR102415771B1 (ko) 제휴 할인과 결제를 한 번에 수행하는 복합 결제 시스템
US2015019380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deeming discounts
US20160110710A1 (en) Global receipt card system and method
US2016030028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ustomized merchant produ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