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500B1 -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 Google Patents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500B1
KR102415500B1 KR1020200082543A KR20200082543A KR102415500B1 KR 102415500 B1 KR102415500 B1 KR 102415500B1 KR 1020200082543 A KR1020200082543 A KR 1020200082543A KR 20200082543 A KR20200082543 A KR 20200082543A KR 102415500 B1 KR102415500 B1 KR 1024155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pace
hot water
sealed spac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1143A (ko
Inventor
홍현진
Original Assignee
홍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현진 filed Critical 홍현진
Publication of KR202101111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11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5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5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67D1/0882Devices for controlling the dispensing conditions
    • B67D1/0884Means for controlling the parameters of the state of the liquid to be dispensed, e.g. temperature, pressur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1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heating liqui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Abstract

본 발명은 즉시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순간 온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는 상온의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이 연결된 제1 밀폐 공간; 상기 제1 밀폐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제1 밀폐 공간과 격벽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격벽에 형성된 유체 이동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밀폐 공간에 연통되고 가열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수관과 상기 제1 밀폐 공간 내에서 물의 가열에 따라 발생한 스팀을 제거하기 위한 증기배출관이 연결된 제2 밀폐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이동통로는 상기 제1 밀폐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밀폐 공간으로 이송되는 물과 스팀을 가속시키기 위한 직선 경로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Hot Water Instantly with Steam Emission Reduced}
본 발명은 즉시 온수를 생성하기 위한 순간 온수장치에 대한 것으로, 특히 출수부에서 온수에 증기가 포함되어 배출됨으로써 온수의 온도를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수기 등에 사용되는 온수 공급 장치는 크게 물탱크 속에 히터를 설치하는 물탱크형과, 공급되는 물에 대하여 필요시마다 히터를 이용하여 순간 가열하는 순간 온수형으로 구분된다.
물탱크형 온수 공급 장치는 온수의 사용여부와 관계없이 물탱크 내의 물의 온도를 항상 설정온도로 유지하므로 대기전력의 낭비와 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어 가전 효율이 낮고 컴팩트한 외관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하다. 따라서, 최근에는 사용자의 온수 공급 요청에 따라, 순간적으로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순간 온수 공급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순간 온수 공급장치의 경우, 사용자가 온수를 취수하고자 할 때, 정수 탱크로부터 히터 탱크로 유입되는 물을 가열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 인해, 출수되는 온수의 온도가 낮고, 사용자에게 온수를 공급하기까지의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적정 수준의 출수 온도를 맞추기 위해서는 유량이 적어질 수밖에 없어, 대량의 온수가 필요한 경우 출수 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순간 온수 공급장치의 경우, 온수 출수 시 고온수와 증기(steam)가 출수관로를 통해 합류되어 출수관로 토출부에서 온수에 포함되어 출수 온도를 낮추게 된다. 따라서 순간적인 급속 가열에 따라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증기에 의하여 순간 가열의 목적이 희석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09157호(2003년12월12일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온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순간온수 모듈의 시즈히터 및 후막히터의 운용방식에서 온수모듈 내부에 히팅 공간과 추출 공간을 별도로 구성하여 히터 가용치를 최대로 활용하여 고온수 추출이 가능하면서도, 출수부 끝단에서 증기의 비산 현상이 감소되며, 설정온도에 따라 LPM 변동이 가능한 증기의 비산 현상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는 상온의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이 연결된 제1 밀폐 공간; 상기 제1 밀폐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제1 밀폐 공간과 격벽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격벽에 형성된 유체 이동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밀폐 공간에 연통되고 가열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수관과 상기 제1 밀폐 공간 내에서 물의 가열에 따라 발생한 스팀을 제거하기 위한 증기배출관이 연결된 제2 밀폐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이동통로는 상기 제1 밀폐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밀폐 공간으로 이송되는 물과 스팀을 가속시키기 위한 직선 경로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밀폐 공간의 일면을 정의하는 제1 홈, 상기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1 홈과 분리되어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일면을 정의하는 제2 홈, 상기 제1 홈과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일면을 정의하는 연결홈이 상기 격벽에 형성된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를 덮어 상기 제1 밀폐 공간, 상기 제2 밀폐 공간, 및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타면인 상면을 정의하는 상부 바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배출관은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최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 이동통로는 상기 격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증기 이동 가속관이 상기 격벽에 수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상면은 일측이 높고 타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게 형성되어, 제2 밀폐 공간으로 유입되는 스팀이 일측 높은 위치에서 회합하고 상기 높은 위치에 설치된 증기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고, 가열된 물은 상기 증기배출관의 타측 낮은 위치에 설치된 출수관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제1 홈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밀폐 공간을 도넛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하는 중앙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도넛 형상의 공간을 감는 형태로 설치되는 시즈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에 의하면, 히터 가용치를 최대로 활용하여 신속한 고온수 추출이 가능하고, 동시에 출수부 끝단의 비산 현상이 감소되어 출수부의 온수 온도를 원하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으며, 설정온도에 따라 LPM 변동이 가능한 증기의 비산 현상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의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전감된 순간 온수장치의 정면에서 본 내부 구성도;
도 3은 도 2의 일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측면 내부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도;
도 7은 종래의 모듈과 본 발명의 모듈의 비교시험 결과 그래프 및 거품량 비교 사진;
도 8은 종래의 모듈과 본 발명의 모듈의 비교시험 결과표;
도 9는 종래의 모듈과 본 발명의 모듈의 90초 동안의 온도 설정 / 연속출수 설정 비교 그래프; 및
도 10은 종래의 모듈과 본 발명의 모듈의 제품 출수부 근접위치에서의 온도 측정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의 개략적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는 제1 밀폐 공간(S1), 히터, 제2 밀폐 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밀폐 공간(S1)은 상온의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11)이 연결되며, 유입관(11)은 아래 측에 연결되어 유입되는 물이 히터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상부로 자연대류되어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히터는 상기 제1 밀폐 공간(S1)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열원으로써 일반적으로 전기력을 열원으로 변환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열장치(후막히터, 시즈히터, 또는 이들의 혼용된 하이브리드 형태도 가능)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2 밀폐 공간(S2)은 상기 제1 밀폐 공간(S1)과 격벽(30)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격벽(30)에 형성된 유체 이동통로(400)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밀폐 공간(S1)에 연통되고 가열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수관(12)과 상기 제1 밀폐 공간(S1) 내에서 물의 가열에 따라 발생한 증기(steam)를 제거하기 위한 증기배출관(4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온수탱크를 크게 두 개의 구역으로 구분하여 하나의 구역은 온수생성 공간으로 이용하고, 다른 하나의 구역은 생성된 온수로부터 증기를 분리하기 위한 기수 분리 공간으로 이용함으로써 출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온수에 증기가 섞이지 않도록 하여 출수구에서 원하는 온도의 온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일반적으로 온수탱크에 유입되는 물은 히터에 의하여 순간 가열되는 과정에서 증기(steam)가 다량으로 생성되어 그대로 출수되는 경우 출수 온도를 저감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고온수에 포함된 증기를 출수되는 물과 분리하여 별도로 배출시켜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1 밀폐 공간(S1)에서 유체 이동통로(400)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베르누이의 원리 등 유체 역학적 이유로 유속이 가속되어 제2 밀폐 공간(S2)으로 유입되고 유체 이동통로(400)의 상단에 위치하는 증기배출관(40)을 통하여 즉시 증기가 배출되고 기수분리된 온수는 제2 밀폐 공간(S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출구관(12)을 통하여 증기가 포함되지 않은 상태로 출수된다.
또한, 상기 이동통로(400)는 상기 제1 밀폐 공간(S1)으로부터 상기 제2 밀폐 공간(S2)으로 이송되는 물과 스팀을 가속시키기 위한 직선 경로로 구성됨으로써 설정된 격벽(30)의 폭에 대한 유속의 크기를 최대로 유지할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유체 이동통로(400)의 직경은 2 내지 4φ의 범위에서 설정함으로써 유체 이동속도를 충분히 가속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체 이동통로(400)는 제2 밀폐 공간(S2)의 일측에 치우쳐 형성하고 그 상단에 증기배출관(40)을 설치하고, 출수관(12)은 유체 이동통로(400)의 반대측 끝단에 설치함으로써 출수구(12)로 이동되는 증기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른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전감된 순간 온수장치의 정면에서 본 내부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타면에서 본 분해 사시도, 및 도 5는 도 2의 측면 내부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 예는 하부 바디(100), 및 상부 바디(100)의 조립으로 제1 밀폐 공간(S1)과 제2 밀폐 공간(S2)을 구성한다.
상기 하부 바디(100)는 상기 제1 밀폐 공간(S1)의 일면을 정의하는 제1 홈(110), 상기 격벽(30)에 의하여 상기 제1 홈(110)과 분리되어 상기 제2 밀폐 공간(S2)의 일면을 정의하는 제2 홈(120), 상기 제1 홈(110)과 상기 유체 이동통로(400)의 일면을 정의하는 연결홈(130)이 상기 격벽(30)에 형성된다.
제2 홈(120)은 제1 홈(110)에서 생성되는 온수에서 증기를 분리하여 배출시키기 위하여 마련된 영역으로서 최소의 크기의 공간으로 구성될 필요가 있으므로, 다량의 물을 순간적으로 온수로 전환하기 위한 온수생성 공간인 제1 밀폐 공간(S2)을 구성하는 제1 홈(110)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충분히 작은 공간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바디(200)는 상기 하부 바디(100)를 덮어 상기 제1 밀폐 공간(S1), 상기 제2 밀폐 공간(S2), 및 상기 유체 이동통로(400)의 타면인 상면, 즉 용기의 뚜껑을 정의하고,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의 접합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금속 부재간 밀폐 접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격벽(30)은 하부 바디(100)의 제1 홈과 제2 홈 사이의 영역과 상부 바디(200)가 밀착되어 형성되는데, 밀폐의 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하부 바디(100) 측에는 수용홈(142)이 형성되고, 상부 바디(200) 측에는 수용홈(142)에 밀착 삽입되도록 구성된 밀착돌기(21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출수관에서의 증기 배출량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밀폐 공간(S1)은 상기 제2 밀폐 공간(S2)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배출관(40)은 상기 제2 밀폐 공간(S2)의 최상단에 설치되고, 출수관(12)은 최하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유체 이동통로(400)에는 상기 격벽(30)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증기 이동 가속관(300)이 상기 격벽(30)에 수직으로상기 제2 밀폐 공간(S2)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밀폐 공간(S1)에서 가열된 온수(및 증기)는 증기 이동 가속관(300)을 통하여 이동하면서 가속되고 제2 밀폐 공간(S2)의 상단 영역으로 직접 이송되고 이 중에서 증기는 그 근방에 위치하는 증기배출관(40)을 통하여 즉시 배출되고 나머지 증기가 제거된 온수만이 제2 밀폐 공간(S2)의 아래측에 위치하는 출수관(12)을 통하여 배출된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증기 이동 가속관(300)은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의 조립에 의하여 형성되는 격벽(30) 상에 결착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하부 바디(100)의 연결홈(130)에 관 고정홈(132)을 수평 방향으로 더 형성하고, 증기 이동 가속관(300)의 외주면에도 고정돌기(312)를 더 형성하여 관 고정홈(312)에 고정돌기(312)가 삽입되도록 하부 바디(100)와 상부 바디(200)를 조합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부 바디(200) 측에도 제2 관 고정홈(213)을 더 형성하여 증기 이동 가속관(300)을 안정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2 밀폐 공간(S2)의 상면은 일측이 높고 타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게 형성되어, 제2 밀폐 공간(S2)으로 유입되는 스팀이 일측 높은 위치에서 회합하고 상기 높은 위치에 설치된 증기배출관(40)을 통하여 배출되고, 가열된 물은 상기 증기배출관(40)의 타측 낮은 위치에 설치된 출수관(12)을 통하여 배출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 바디(100)는 상기 제1 홈(110)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밀폐 공간(S1)을 도넛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하는 중앙 돌출부(150)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도넛 형상의 공간을 감는 형태로 설치되는 시즈히터(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 돌출부(150)의 전방 접합면(151)은 상기 상부 바디(200)의 대응면에 접합되어 그 주위로 도넛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상부 바디(200)에도 제2 중앙 돌출부(220)를 형성하여 서로 대응면이 접하도록 하면 프레스 제작시 하부 바디(100)의 중앙 돌출부(150) 부분이 너무 얇게 제작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양 접착면(151, 221)에 서로 대응하는 요부(153)와 철부(223)의 접합 보강부를 더 형성하여 접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시즈 히터(20)는 제1 밀폐 공간에 형성된 도넛 형상의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유입구(11)를 통하여 하단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즉시 가열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2 밀폐 공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기수의 분리만을 목적으로 구성된 공간으로써 체적을 크게 할 필요가 없이 최소의 깊이(S2)(도면에서 수평 길이)를 갖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충분한 출수량을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1 밀폐 공간(S1)의 깊이보다 얕게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제1 밀폐 공간과 제2 밀폐 공간을 원통형으로 구성한 예로서, 전술한 실시 예와 형상 및 디자인의 차이만 있을 뿐이고 기능과 효과는 유사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순간 온수장치의 실시에 있어서, 모듈의 히팅 성능을 최대치로 운용할 때에 89℃ 이상의 고온을 유지하면서 연속 출수가 가능하였고, 유량치(LPM)를 기존의 운용성능치 대비 약 15 ~ 20% 개선되었고, 제2 밀폐 공간(S2)의 출수관(12)으로 출수되는 온수의 양이 초당 30cc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었다.
<비교실험>
종래의 공간의 구획이 없는 모듈과 본 발명의 모듈을 동일한 조건에서 모듈의 인가 전압, 유량에 따른 입수 온도, 출수부의 온도, 취수부의 온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출수 온도 변화에 따른 기포 발생량은 유량 및 출수 온도 변화가 진행될 때에 기포 발생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고, 출수 측 온도가 92 ~ 95℃일때에,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종래 모듈의 증기배출구에서는 증기 배출이 원활하지 않고 출수부로 증기가 혼합 배출되는 것이 확인되는 반면에, 본 발명의 모듈에서는 증기배출이 원활하여 출수부에서 혼합 배출량이 상대적으로 적고, 증기배출 라인으로 원활하게 증기가 배출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도 8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의 모듈을 사용한 결과, 종래의 모듈에 비하여 본 발명의 모듈의 출수부측의 기수분리의 정도가 개선됨에 따라 온도설정별로 출수량이 크게 증가되었음을 알 수 있고, 특히 80℃ 이상의 모드에서 유량의 증가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도 9에서 온수 온도 설정에 따른 취수 온도 비교 확인 결과, 본 발명의 모듈에 따른 온도값이 종래의 모듈에 따른 온도값에 비하여 0.1 내지 6.5℃ 높게 측정되었다. 즉, 동일한 입수 온도와 동일한 출수 시간인 90초를 유지할 때에, 유량과 취수 온도가 현저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고, 도 10에서도 80℃ 이상의 온도에서 출수부 근접 위치에서의 출수 온도 측정 결과, 온도값의 최고치는 종래의 모듈과 비교하여 약 6.5℃ 높게 측정되어 본 발명의 모듈이 종래의 모듈에 비하여 온도 가속 효율이 크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또한,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사항은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본 발명의 내용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며, 다양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S1: 제1 밀폐 공간 S2: 제2 밀폐 공간
11: 입수관 12: 출수관
30: 격벽 40: 증기배출관
100: 하부 바디 200: 상부 바디
110: 제1 홈 120: 제2 홈
130: 연결홈 300: 증기 이동 가속관
400: 유체 이동통로

Claims (5)

  1. 상온의 물을 유입하기 위한 유입관이 연결된 제1 밀폐 공간;
    상기 제1 밀폐 공간의 내부에 설치되어 내부의 물을 설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제1 밀폐 공간과 격벽에 의하여 공간적으로 분리되고 상기 격벽에 형성된 유체 이동통로를 경유하여 상기 제1 밀폐 공간에 연통되고 가열된 물을 배출하기 위한 출수관과 상기 제1 밀폐 공간 내에서 물의 가열에 따라 발생한 스팀을 제거하기 위한 증기배출관이 연결된 제2 밀폐 공간;
    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이동통로는 상기 제1 밀폐 공간으로부터 상기 제2 밀폐 공간으로 이송되는 물과 스팀을 가속시키기 위한 직선 경로로 구성되고,
    상기 유체 이동통로에는 상기 격벽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증기 이동 가속관이 상기 격벽에 수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밀폐 공간의 일면을 정의하는 제1 홈, 상기 격벽에 의하여 상기 제1 홈과 분리되어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일면을 정의하는 제2 홈, 상기 제1 홈과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일면을 정의하는 연결홈이 상기 격벽에 형성된 하부 바디; 및
    상기 하부 바디를 덮어 상기 제1 밀폐 공간, 상기 제2 밀폐 공간, 및 상기 유체 이동통로의 타면인 상면을 정의하는 상부 바디;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밀폐 공간은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아래에 배치되고,
    상기 증기배출관은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최상단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밀폐 공간의 상면은 일측이 높고 타측으로 갈수록 서서히 낮게 형성되어, 제2 밀폐 공간으로 유입되는 스팀이 일측 높은 위치에서 회합하고 상기 높은 위치에 설치된 증기배출관을 통하여 배출되고, 가열된 물은 상기 증기배출관의 타측 낮은 위치에 설치된 출수관을 통하여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바디는 상기 제1 홈의 가운데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밀폐 공간을 도넛 형상의 공간으로 구성하는 중앙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는 상기 도넛 형상의 공간을 감는 형태로 설치되는 시즈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KR1020200082543A 2020-03-02 2020-07-06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KR1024155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25735 2020-03-02
KR1020200025735 2020-03-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143A KR20210111143A (ko) 2021-09-10
KR102415500B1 true KR102415500B1 (ko) 2022-07-01

Family

ID=77777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543A KR102415500B1 (ko) 2020-03-02 2020-07-06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550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15Y1 (ko) 2002-11-29 2003-02-11 변상훈 순간 냉온수기
KR100710875B1 (ko) 2006-06-07 2007-04-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냉온수기
KR101369875B1 (ko) * 2012-03-02 2014-03-06 주식회사 에릭앤클레어랩 정수기용 순간 온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9157B1 (ko) 2001-11-19 2003-12-12 주식회사 경동보일러 온수기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80084196A (ko) * 2017-01-16 2018-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정수기용 온수 탱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015Y1 (ko) 2002-11-29 2003-02-11 변상훈 순간 냉온수기
KR100710875B1 (ko) 2006-06-07 2007-04-27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유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냉온수기
KR101369875B1 (ko) * 2012-03-02 2014-03-06 주식회사 에릭앤클레어랩 정수기용 순간 온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1143A (ko) 2021-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24177B1 (en) Pump unit and disposable cartridge for use in a beverage maker
US7713332B2 (en) Carbon dioxide separation system for fuel cell system
US6094524A (en) Hot water dispenser system
WO2004067138A3 (en) Methods for fluid separations, and devices capable of separating fluids
WO2021128957A1 (zh) 电子雾化装置及其雾化器
KR102415500B1 (ko) 출수부의 증기 배출량이 저감된 순간 온수장치
AU2020202424A1 (en) Breathing Assistance Apparatus with Liquid Containment
CN106839397A (zh) 用于加热流体的电加热装置
US6266485B1 (en) One-piece plastic tank and temperature control system for a hot water dispenser
US20210145208A1 (en) Heating device and coffee machine
DE60325749D1 (ko)
US11571639B2 (en) System for preventing gas bubbles in oil flow to enter a high-voltage device and a method for preventing gas bubbles to enter a high-voltage device
CN110614042A (zh) 热微纳米气泡液体生成系统
KR102252122B1 (ko) 증기압을 이용한 온수순환장치
CN208309236U (zh) 压力调节系统、熨烫设备和蒸汽清洁机
CN104083076A (zh) 蒸汽式馒头机和馒头制作方法
CN101501268A (zh) 蒸汽熨斗
CN113854826B (zh) 水汽分离装置及饮水机
CN113854840B (zh) 水汽分离装置及饮水机
CN218921686U (zh) 发热单元以及气溶胶产生装置
CN218609309U (zh) 一种新型玻璃反应釜结构
CN210750430U (zh) 微型气性物质转出装置
CN219942107U (zh) 一种水汽分离组件以及加热器
CN218921687U (zh) 气溶胶产生装置以及气溶胶生成系统
CN210287364U (zh) 一种微生物提取分离用温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