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419B1 - An electroconductive fabric of multi-lay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An electroconductive fabric of multi-lay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15419B1 KR102415419B1 KR1020200125707A KR20200125707A KR102415419B1 KR 102415419 B1 KR102415419 B1 KR 102415419B1 KR 1020200125707 A KR1020200125707 A KR 1020200125707A KR 20200125707 A KR20200125707 A KR 20200125707A KR 102415419 B1 KR102415419 B1 KR 1024154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yer
- conductive fiber
- layer structure
- present
- carb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7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 D06M11/74—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carbon or compounds thereof with carbon or graphite; with carbides; with graphitic acids or their sal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6—Physical properties antistatic; conduct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층, 제1 층에 적층되고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제2 층 및 제2 층에 적층되어 탄소나노튜브를 보호하는 제3 층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층은 곡면 또는 변형이 있는 웨어러블장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ayer, a second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and made of carbon nanotubes, and a third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to protect the carbon nanotubes, wherein the first to third layers are curved or It provides a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sists of a sensor of a wearable device with deform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조 조건에 따라 전도성을 가변시켜 제어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in which conductivity is vari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nditions.
섬유형 센서는 일반 기업과 연구소에서 섬유형 플렉서블 압력센서로 연구가 진행되어 기존에 압력측정 범위 착용시 이물감 등의 단점이 있었으나, 신축성 특수 소재 등 착용감이 향상되고 굽힘이 가능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 정부는 일본수출규제로 인한 소재부품전문기업 등의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시행령 제2조에 해당하는 전자 섬유소재 부품으로 국가 차원에서 해당 기술의 개발을 장려하고 있다.Textile sensors have been researched as fiber-type flexible pressure sensors in general companies and research institutes, and there have been disadvantages such as a feeling of foreign body when wearing the pressure measurement range. Recently, the government is encouraging the development of the technology at the national level as electronic textile material parts that fall under
기존의 개발된 제품에서 사용자의 착용 편의성과 활용도가 강조되고, IT와 소재를 융복합한 섬유형 스마트 제품들이 주목 받고 있는 실정으로, 휴대용 전자기기, 스마트 의료기기, 생체신호 측정 의류, 스마트 바닥재 등 다양한 용도로 상품 개발이 가능하다.In the existing developed products, the user's convenience and usability are emphasized, and textile-type smart products that converge IT and materials are attracting attention. It is possible to develop products for various purposes.
최근 들어,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의 활용 범위와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우수한 착용성과 외부 환경에 대한 내구성 등이 요구되게 되었다.In recent years, as the range and types of wearable devices have been diversified, excellent wearability an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environments have been required.
기존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다양한 외부환경과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으로 인해 센서의 성능저하 또는 모바일 장비와 접속 불량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많은 부분 유연하고 착용성이 우수한 플라스틱 또는 섬유소재로 대체되어 왔다.In existing wearable devices, sensor performance degradation or poor connection with mobile equipment may occur due to various external environments and situations that may occur in daily life. Accordingly, many of the existing wearable devices have been replaced with plastic or textile materials that are flexible and have excellent wearability.
하지만 센서를 구성하는 소재 중 일부는 딱딱한 재료가 복합되어 있어 곡면에서 활용이 불가능 하거나 접힘 등에 의해 성능이 저하되거나 구동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고, 세탁에도 취약한 단점이 있다.However, some of the materials constituting the sensor are complex with hard materials, so they cannot be used on curved surfaces, performance is reduced due to folding, etc.
한편, 최근 유기 압전 소재로 각광받고 있는 PVDF는 대량생산의 어려움과 높은 온도에서 압전성의 소실 문제로 상업화에 어려움이 있다.Meanwhile, PVDF, which has recently been spotlighted as an organic piezoelectric material, has difficulties in commercialization due to difficulties in mass production and loss of piezoelectricity at high temperatures.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전기방사 공법과 침전방지 분산기술을 통한 나노섬유 기반 전도성 섬유에 대한 기술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echnology for a nanofiber-based conductive fiber through a hybrid electrospinning method and an anti-settling dispersion technology.
(특허문헌 1)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09693호(2011.10.06.)(Patent Document 1)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109693 (2011.10.06.)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10-1502762호(2015.03.10.)(Patent Document 2) 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1502762 (2015.03.10.)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2 층 및 제3 층을 제조 조건에 따라 전도성을 가변시켜 제어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provide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or controlling the conductivity of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by varying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nditions.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내지 제3 층을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하여 의류를 포함한 곡면 또는 변형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로 적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착용 시 이물감을 최소화시키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minimiz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when the user wears it, even if it is applied as a sensor of a wearable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or deformation including clothes by configuring the first to third layers with a flexible material. To provide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hat improves the wearing comfor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제1 층; 상기 제1 층에 적층되고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제2 층; 및 상기 제2 층에 적층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보호하는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층은 곡면 또는 변형이 있는 웨어러블장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제공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first layer; a second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and made of carbon nanotubes; and a third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to protect the carbon nanotubes, wherein the first to third layers are configured as a sensor of a wearable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or a deformation. of conductive fib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상기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전도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ay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rols the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fiber of the multi-layer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SWCNT(Single-wall carbon nano tube), TWCNT(Thin-wall carbon nano tube) 및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층은 다층 구조의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순도가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nanotube is any one of a single-wall carbon nano tube (SWCNT), a thin-wall carbon nano tube (TWCNT), and a multi-wall carbon nano tube (MWCNT), and the second The lay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ity of the multi-wall carbon nano tube (MWCNT) of the multi-layer structure is 95% or mo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은 탄소섬유와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layer may be a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any one of carbon fiber, cellulose, polyester, nylon, and polypropylen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소섬유는 부직포의 20% 내지 40%의 함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rbon fiber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ntent of 20% to 40% of the nonwoven fabric.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층은 제1 층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스프레이법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전도성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layer may be a conductive layer formed by applying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to the first layer by a spray metho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은 상기 제2 층에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이 전기방사되어 형성되는 보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hird layer may be a protective layer formed by electrospinning a polymer nanomembrane on the second lay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에는 열가소성 소재인 폴리우레탄이 전기방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3 층은 상기 제2 층이 박리 및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olyurethane, which is a thermoplastic material, is electrospun on the third layer, and thus the third layer is a protective layer that prevents the second layer from peeling and contamination from the outside. can do.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층은 200㎛ 이내의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third layers may be formed to a thickness of 200 μm or less to improve a user's wearing comfort.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a) 고분자 화합물 내에 탄소섬유를 얽어서 제1 층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제1 층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스프레이법으로 도포하여 제2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층에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을 전기방사시켜 제3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상기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전도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In addi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comprises the steps of (a) forming a first layer by entangling carbon fibers in a polymer compound; (b) forming a second layer by applying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to the first layer by a spray method; and (c) forming a third layer by electrospinning a polymer nanomembrane on the second layer, wherein the second layer controls the conductivity of the conductive fiber of the multi-layer structure. Provided is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having a layer structur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b1) 분산제와 메탄올을 섞어 분산용매를 형성시키는 단계; (b2) 상기 분산용매를 20분간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b3) 상기 분산용매에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넣어 3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b4) 상기 제1 층에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스프레이법으로 도포하여 상기 제2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순도가 95% 이상이고, 상기 분산제의 농도는 상기 MWCNT의 30wt%이며, 상기 메탄올의 무게는 상기 MWCNT의 무게의 130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 (b) comprises: (b1) mixing a dispersing agent and methanol to form a dispersion solvent; (b2) sonicating the dispersion solvent for 20 minutes; (b3) form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by putting the carbon nanotubes in the dispersion solvent and sonicating for 3 hours; and (b4) apply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to the first layer by a spraying method to form the second layer; 95% or more,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ersant is 30wt% of the MWCNT, and the weight of the methanol may be characterized as 1300 times the weight of the MWCNT.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은 비전도성 및 비용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lymer nanomembrane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non-conductivity and non-dissolving properties.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제2 층 및 제3 층을 제조 조건에 따라 전도성을 가변시켜 제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ductivity of the second layer and the third layer can be varied and controlled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nditions.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는 본 발명의 효과는, 제1 내지 제3 층을 플렉서블한 소재로 구성하여 의류를 포함한 곡면 또는 변형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로 적용하더라도 사용자가 착용 시 이물감을 최소화시키고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is to minimize the feeling of foreign body when the user wears it, even if the first to third layers are made of a flexible material and applied as a sensor of a wearable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or deformation including clothes. It can improve wearing comfort.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nd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2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1 층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바라본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2 층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바라본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탄소나노튜브에 따른 전도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3 층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바라본 이미지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단면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 조건에 따라 전도성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압력센서로 구성한 이미지이다.
도 10 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한 압력센서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압력을 감지하는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1 is a sid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 and (b) are images viewed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first layer of the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image of a second layer of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4 is an image showing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carbon nanotube of the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image as view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third layer of the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image of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image illustrating controlling conductivity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nditions of a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n image of a pressure sensor using a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 and (b) are images showing a screen for detecting pressure in a program in a state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to a pressure sensor constructed using conductive fibers of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and thus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coupl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terposed therebetween. "Including cases wher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only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1.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100)1.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100)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나타낸 측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1 is a side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100)는 제1 층(110), 제2 층(120) 및 제3 층(130)을 포함하고, 제1 내지 제3 층(110, 120, 130)은 곡면 또는 변형이 있는 웨어러블장치의 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The
이를 위한 제1 내지 제3 층(110, 120, 130)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구성됨에 따라 접거나 펴는 등의 변형이 유연하게 구현될 수 있다.For this purpose, since the first to
도 2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1 층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바라본 이미지이다.2 (a) and (b) are images viewed through an optical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first layer of the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층(110)은 고분자 화합물 내에 탄소섬유가 얽혀서 형성된다. 다르게 설명하면, 제1 층(110)은 크게 탄소섬유 및 고분자 화합물로 이루어진 부직포로 구성된다. 여기서, 고분자 화합물은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이다.The
구체적으로 제1 층(110)은 탄소섬유와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층이다. 이때, 탄소섬유(carbon fiber)는 부직포의 20wt% 내지 40wt%의 함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상기한 제1 층(110)은 탄소섬유가 함유됨에 따라 낮은 전도성을 유지하면서 제2 층(120) 및 제3 층(13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또한, 제1 층(1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분자 화합물 중 셀룰로오스 내에 탄소섬유가 고르게 퍼져서 얽혀있는 구조이며, 이때의 탄소섬유는 1 내지 30 kΩ의 전도성을 갖기 위해 전체 부직포의 20wt% 내지 40wt%의 함량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발명의 전도성 섬유가 사용되는 환경이나 장치에 따라 탄소섬유의 함량은 제한되지 않으며, 사용자의 용도나 필요에 따라 탄소섬유의 함량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특징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후술될 것이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1 and 2 , the
도 2의 (a)는 제1 층(110)을 광학현미경(x 50)으로 바라본 이미지이고, 도 2의 (b)는 제1 층(110)을 주사전자현미경(x 200)으로 바라본 이미지이다.Fig. 2 (a) is an image of th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2 층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바라본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탄소나노튜브에 따른 전도성을 나타낸 이미지이다.3 is an image of a second layer of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4 is an image showing the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carbon nanotube of the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층(120)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층(110)에 적층되고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 tube )로 이루어진다.The
또한, 제2 층(120)은 제1 층(110)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스프레이법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전도성층이다.In addition, the
구체적으로 탄소나노튜브는 SWCNT(Single-wall carbon nano tube), TWCNT(Thin-wall carbon nano tube) 및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어느 하나이다.Specifically, the carbon nanotube is any one of a single-wall carbon nano tube (SWCNT), a thin-wall carbon nano tube (TWCNT), and a multi-wall carbon nano tube (MWCNT).
또한, 제2 층(120)은 상기한 탄소나노튜브에서 다층 구조의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순도가 95% 이상으로 구성됨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층(120)의 MWCNT의 농도에 따라 전도성을 제어한다.In addition, as 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2 층을 주사현미경(x 30,000)으로 바라본 이미지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전도성(=저항값)은 MWCNT의 농도(wt%)가 감소할수록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4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제2 층(120)은 탄소나노튜브 중 하나인 MWCNT를 함유하므로 제2 층(120)의 MWCNT의 농도에 따라 전도성을 제어할 수 있다.4 is an image of the second layer of the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viewed under a scanning microscope (x 30,000). Referring to FIG. 4, the conductivity (= resistance value) is the concentration of MWCNTs ( It can be seen that it increases as the wt%) decreases. As such, as confirmed in FIG. 4 , since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3 층을 주사전자현미경을 통해 바라본 이미지이다.5 is an image as viewed through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of the third layer of the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 층(130)은 제2 층(120)에 적층되어 탄소나노튜브를 보호한다.The
구체적으로 제3 층(130)은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층(120)에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이 전기방사되어 형성되는 보호층이다. 이를 위한 제3 층(130)에는 열가소성 소재인 폴리우레탄이 전기방사되고, 그에 따라 제3 층(130)은 제2 층(120)이 박리 및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층으로 구성된다.Specifically, the
전술한 제1 내지 제3 층(110, 120, 130)은 200㎛ 이내의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킨다.The above-described first to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단면이미지(x 1,000)이다.6 is a cross-sectional image (x 1,000) of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탄소섬유(carbon fiber)와 셀룰로오스(cellulose)로 구성되는 제1 층(110), MWCNT를 함유하는 제2 층(120) 및 나노섬유(nano fiber)를 포함하는 제3 층(130)으로 구성됨을 확인할 수 있다.6 is a
또한, 도 6에 도시된 제1 내지 제3 층(110, 120, 130)의 두께는 약 50㎛로서, 전술한 바와 같이 200㎛ 이내의 두께로 형성된다.In addition, the thickness of the first to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 조건에 따라 전도성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낸 이미지이다.7 is an image illustrating controlling conductivity according to manufacturing conditions of a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 조건인 MWCNT의 농도(wt%), MWCNT의 분산량(ml), 전기방사시간(min) 및 전도성 평균값(kΩ)을 나타낸 이미지로서, 전도성 섬유(100)의 전도성(=저항값0)이 MWCNT의 최적 농도에서 보호층의 전기방사 시간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7 shows the concentration (wt%) of MWCNTs, the dispersion amount of MWCNTs (ml), the electrospinning time (min) and the average value of conductivity ( kΩ), showing that the conductivity (=resistance value 0) of the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은 제2 층에 전기방사되는 전기방사시간이 증가할수록 함께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 it can be seen that the conductivity increases as the electrospinning time of the second layer increases.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전도성 섬유(100)의 최종 전도성(=최종 저항값) 값을 측정하고 제조 조건에 따라 전도성(=저항값)의 조절할 수 있다.By using this, the present invention can measure the final conductivity (=final resistance value) value of the
2.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2. Manufacturing method of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8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for controlling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은 (a) 고분자 화합물 내에 탄소섬유를 얽어서 제1 층(110)을 형성하는 단계(S100), (b) 제1 층(110)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스프레이법으로 도포하여 제2 층(120)을 형성시키는 단계(S300) 및 (c) 제2 층(120)에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을 전기방사시켜 제3 층(130)을 형성시키는 단계(S300)를 포함하고, 제2 층(120)의 MWCNT의 농도에 따라 전도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orming a
구체적으로 상기 (b) 단계는, (b1) 분산제와 메탄올을 섞어 분산용매를 형성시키는 단계, (b2) 분산용매를 20분간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b3) 분산용매에 탄소나노튜브를 넣어 3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b4) 제1 층(110)에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스프레이법으로 도포하여 제2 층(12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층(120)은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순도가 95% 이상이고, 분산제의 농도는 MWCNT의 30wt%이며, 메탄올의 무게는 MWCNT의 무게의 130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Specifically, step (b) includes: (b1) mixing the dispersing agent and methanol to form a dispersion solvent, (b2) ultrasonicating the dispersion solvent for 20 minutes, (b3) putting carbon nanotubes in the dispersion solvent for 3 hours Form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by ultrasonication during the process, and (b4) forming the
이때,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은 비전도성 및 비용해성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을 전기방사시키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전도성을 갖지 않고 물에 의해 쉽게 용해되지 않는 소재라면 어떠한 소재라도 적용 가능하다.In this case, the polymer nanomembrane has non-conductivity and insolubility.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polymer nanomembrane is electrospinning,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material is applicable as long as it does not have conductivity and is not easily dissolved by water.
도 9 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압력센서로 구성한 이미지이다.9 is an image of a pressure sensor using a multi-layered conductive fi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에서 전도성 섬유(100)의 상하로 유연기판을 격자로 배치하여 4 X 4 셀로 압력센서(200)를 구성하였다.In FIG. 9 , the
압력센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기기(300)(=노트북, PC 등)는 사용자에 의해 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보여주는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보여줄 수 있다.The electronic device 300 (= laptop, PC, etc.)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도 10 의 (a),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를 이용하여 구성한 압력센서에 압력을 가한 상태에서 프로그램에 압력을 감지하는 화면을 나타낸 이미지이다.10 (a) and (b) are images showing a screen for detecting pressure in a program in a state in which pressure is applied to a pressure sensor constructed using conductive fibers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의 (a)는 전도성 섬유(100)의 상하로 유연기판을 격자로 배치하여 4 X 4 셀로 구성된 압력센서(200) 위에 압력추(10)가 놓여진 것을 도시한다.Figure 10 (a) shows that the
또한, 도 10의 (b)는 압력센서(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기기(300)의 디스플레이부를 통하여 압력이 가해진 위치를 표시하는 프로그램이 실행된 화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격자영역(S)에서 4 X 4 셀의 압력센서에서 2, 2 좌표(가로방향 왼쪽부터 1, 세로방향 아래쪽부터 1) 위치에 압력을 가했을 때 프로그램에서 해당 위치의 압력 신호를 인지하는 모습을 나타낸다.In addition, (b) of FIG. 10 shows a screen on which a program for displaying a position wher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the display unit of the
상술한 바에 따른 본 발명은 섬유 부직포를 기반으로 하여 유연성이 높아 의류를 포함하여 곡면 또는 변형이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센서로 구성하는 것에 제약이 없으며, 멀티레이어 구조로 중간층인 제 2층의 전도성층과 제 3층인 보호층의 제조 방법과 제조 조건에 따라 전도성(=저항값)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어 저항 값의 범위를 자유롭게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above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nsor of the wearable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or deformation, including clothes, because of its high flexibility based on the fiber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manufacturing conditions of the third layer, the protective layer, conductivity (=resistance value) can be increased or decreased, so that the range of the resistance value can be freely controlled.
또한, 본 발명은 높은 저항에서부터 낮은 저항까지 요구되는 저항범위가 상이한 여러 장치에서 활용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devices having different required resistance ranges from high resistance to low resistance.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for illustration,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understand that it can be easily modified into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persed form, and likewise components described as distributed may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압력추
100: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110: 제1 층
120: 제2 층
130: 제3 층
200: 압력센서
300: 전자기기10: pressure weight
100: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110: first floor
120: second floor
130: third floor
200: pressure sensor
300: electronic device
Claims (12)
(b) 상기 제1 층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스프레이법으로 도포하여 제2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상기 제2 층에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을 전기방사시켜 제3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b1) 분산제와 메탄올을 섞어 분산용매를 형성시키는 단계;
(b2) 상기 분산용매를 20분간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b3) 상기 분산용매에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넣어 3시간 동안 초음파처리하여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b4) 상기 제1 층에 상기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을 스프레이법으로 도포하여 상기 제2 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층은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순도가 95% 이상이고,
상기 분산제의 농도는 상기 MWCNT의 30wt%이며,
상기 메탄올의 무게는 상기 MWCNT의 무게의 1300배이고,
상기 제2 층의 상기 MWCNT의 농도에 따라 전도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a) forming a first layer by entangling carbon fibers in a polymer compound;
(b) forming a second layer by applying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to the first layer by a spray method; and
(c) forming a third layer by electrospinning a polymer nanomembrane on the second layer;
The step (b) is,
(b1) mixing a dispersing agent and methanol to form a dispersion solvent;
(b2) sonicating the dispersion solvent for 20 minutes;
(b3) form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by putting the carbon nanotubes in the dispersion solvent and sonicating for 3 hours; and
(b4) applying the carbon nanotube dispersion to the first layer by a spray method to form the second layer;
The second layer has a purity of 95% or more in MWCNT (Multi-wall carbon nano tube),
The concentration of the dispersant is 30wt% of the MWCNT,
The weight of the methanol is 1300 times the weight of the MWCNT,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WCNTs in the second layer.
상기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은 비전도성 및 비용해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의 제조방법.
The method of claim 1 ,
The polymer nanomembrane i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non-conductivity and non-dissolving properties.
상기 제1 층;
상기 제1 층에 적층되고 상기 탄소나노튜브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2 층에 적층되어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보호하는 상기 제3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층은 곡면 또는 변형이 있는 웨어러블장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In the conductive fiber of the multi-layer structure manufactur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ductive fiber of the multi-layer structure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layer;
the second layer laminated on the first layer and made of the carbon nanotubes; and
and the third layer laminated on the second layer to protect the carbon nanotubes;
The first to third layers are conductive fibers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sensor of a wearable device having a curved surface or a deformation.
상기 제2 층의 상기 MWCNT의 농도에 따라 전도성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4. The method of claim 3,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ity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the MWCNTs in the second layer.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SWCNT(Single-wall carbon nano tube), TWCNT(Thin-wall carbon nano tube) 및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제2 층은 다층 구조의 MWCNT(Multi-wall carbon nano tube) 중 순도가 9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arbon nanotube is any one of SWCNT (Single-wall carbon nano tube), TWCNT (Thin-wall carbon nano tube) and MWCNT (Multi-wall carbon nano tube),
The second layer is a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rity of 95% or more of the multi-wall carbon nano tube (MWCNT) of the multi-layer structure.
상기 제1 층은 탄소섬유와 셀룰로오스, 폴리에스터, 나일론 및 폴리프로필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부직포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6. The method of claim 5,
The first layer is a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non-woven fabric layer made of any one of carbon fiber, cellulose, polyester, nylon and polypropylene.
상기 탄소섬유는 상기 부직포층의 20wt% 내지 40wt%의 함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7. The method of claim 6,
The carbon fiber is a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mposed of a content of 20wt% to 40wt% of the nonwoven layer.
상기 제2 층은 제1 층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액이 스프레이법으로 도포되어 형성되는 전도성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layer is a conductive fiber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duct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a carbon nanotube dispersion to the first layer by a spray method.
상기 제3 층은 상기 제2 층에 고분자 나노멤브레인이 전기방사되어 형성되는 보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4. The method of claim 3,
The third layer is a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tective layer is formed by electrospinning a polymer nanomembrane on the second layer.
상기 제3 층에는 열가소성 소재인 폴리우레탄이 전기방사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3 층은 상기 제2 층이 박리 및 외부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
10. The method of claim 9,
Polyurethane, which is a thermoplastic material, is electrospun on the third layer,
Accordingly, the third layer is a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ayer is a protective layer that prevents peeling and contamination from the outside.
상기 제1 내지 제3 층은 200㎛ 이내의 두께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레이어 구조의 전도성 섬유.4. The method of claim 3,
The conductive fiber of a multi-layer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to third layers are formed to a thickness of 200 μm or less to improve a user's wearing comfor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707A KR102415419B1 (en) | 2020-09-28 | 2020-09-28 | An electroconductive fabric of multi-lay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25707A KR102415419B1 (en) | 2020-09-28 | 2020-09-28 | An electroconductive fabric of multi-lay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2650A KR20220042650A (en) | 2022-04-05 |
KR102415419B1 true KR102415419B1 (en) | 2022-07-01 |
Family
ID=81182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25707A KR102415419B1 (en) | 2020-09-28 | 2020-09-28 | An electroconductive fabric of multi-layer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15419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60041714A (en) * | 2014-10-08 | 2016-04-18 | 나노캠텍주식회사 | Manufacturing methods of inorganic material base conducting coating solution for fabrics and anti-static non-wovens |
KR101891813B1 (en) * | 2016-08-01 | 2018-08-24 | (주)크린앤사이언스 | Conductive non-woven fabric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KR102060538B1 (en) * | 2018-03-13 | 2019-12-30 | 한국과학기술원 | Fabric-based wearable piezoelectric energy harvest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651781B1 (en) * | 2018-08-20 | 2024-03-26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A negative electrode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formed with a highly Elongated polymer protective layer,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a lithium secondary battery including the negative electrode |
-
2020
- 2020-09-28 KR KR1020200125707A patent/KR102415419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042650A (en) | 2022-04-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Ahmed et al. | Recent advances in 2D MXene integrated smart-textile interfaces for multifunctional applications | |
Hassan et al. | Significance of flexible substrates for wearable and implantable devices: recent advances and perspectives | |
Ma et al. | Multiresponsive MXene (Ti3C2T x)-decorated textiles for wearable thermal management and human motion monitoring | |
Zhang et al. | Recent progress of wearable piezoelectric nanogenerators | |
Huang et al. | All-fiber-structured triboelectric nanogenerator via one-pot electrospinning for self-powered wearable sensors | |
Liu et al. | Recent progress on smart fiber and textile based wearable strain sensors: materials, fabrications and applications | |
Liu et al. | MXene-coated air-permeable pressure-sensing fabric for smart wear | |
Dong et al. | Highly sensitive and stretchable MXene/CNTs/TPU composite strain sensor with bilayer conductive structure for human motion detection | |
Pan et al. | Stretchable and highly sensitive braided composite yarn@ polydopamine@ polypyrrole for wearable applications | |
Zheng et al. | High-performance wearable strain sensor based on graphene/cotton fabric with high durability and low detection limit | |
Yetisen et al. | Nanotechnology in textiles | |
Castano et al. | Smart fabric sensors and e-textile technologies: a review | |
Zhao et al. | A naturally integrated smart textile for wearable electronics applications | |
Hansora et al. | Performance of hybrid nanostructured conductive cotton materials as wearable devices: an overview of materials, fabrication, properties and applications | |
JP5924725B2 (en) | Strain sens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train sensor | |
Chang et al. | Wearable nanofibrous tactile sensors with fast response and wireless communication | |
Lin et al. | Superior stretchable conductors by electroless plating of copper on knitted fabrics | |
CN107710432A (en) | Piezoelectric element and use its equipment | |
Xu et al. | Encapsulated core–sheath carbon nanotube–graphene/polyurethane composite fiber for highly stable, stretchable, and sensitive strain sensor | |
Ehrmann et al. | Nanosensors and nanodevices for smart multifunctional textiles | |
WO2008012196A1 (en) | Composite | |
Du et al. | Electrospun elastic films containing AgNW-bridged MXene networks as capacitive electronic skins | |
Khalili et al. | Towards development of nanofibrous large strain flexible strain sensors with programmable shape memory properties | |
Zou et al. | Scalable fabrication of an MXene/cotton/spandex yarn for intelligent wearable applications | |
You et al. | Novel graphene planar architecture with ultrahigh stretchability and sensitivit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