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061B1 -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061B1
KR102415061B1 KR1020150172651A KR20150172651A KR102415061B1 KR 102415061 B1 KR102415061 B1 KR 102415061B1 KR 1020150172651 A KR1020150172651 A KR 1020150172651A KR 20150172651 A KR20150172651 A KR 20150172651A KR 102415061 B1 KR102415061 B1 KR 102415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iré
unit
image data
color
g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26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38885A (en
Inventor
미네키 타오카
스즈키 준지
Original Assignee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1388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8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06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04N5/357

Landscapes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 Facsimile Image Signal Circuit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의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현상부, 모아레 판정부, 및 모아레 제거부를 포함한다. 영상 현상부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2차원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치된 센서 어레이로부터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모아레 판정부는 영상 현상부에 의하여 생성된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을 판정한다. 모아레 제거부는, 모아레 판정부에 의한 모아레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에 따라,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를 제거한다.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eveloping unit, a moiré determining unit, and a moiré removing unit. The image developing unit generates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by developing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at different timings from a sens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Bayer array. The moir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n area in which moire occurs from at least two pieces of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developing unit. The moiré removal unit removes moiré from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iré generation region by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Figure R1020150172651
Figure R1020150172651

Description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촬영 장치{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TECHNICAL FIELD

본 발명은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등의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의 촬영에 이용되는 영상 센서(Image Sensor)에는 베이어(Bayer) 배열의 CMOS 영상 센서 또는 CCD 영상 센서가 이용되는 것이 주류이다. In imaging devices such as digital still cameras and digital video cameras, the image sensor (Image Sensor) used to capture still images or moving pictures includes a Bayer array CMOS image sensor or CCD. An image sensor is mainly used.

베이어 배열은 2 개의 녹색 화소들, 1 개의 적색 화소, 및 1 개의 청색 화소로 된 4 화소들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있는 배열이다. 원래 광을 분광하여 RGB를 별도의 센서로 수광함에 대하여, 복잡한 광학계의 설계를 경감하고 픽셀 시프트가 없도록 개발된 것이 베이어 배열이다. 이 베이어 배열은, 인간의 눈이 적색이나 청색의 해상도에는 둔하고, 녹색이나 흑백에 대하여 민감하다는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The Bayer arrangement is an arrangement in which four pixels including two green pixels, one red pixel, and one blue pixel are configured as a pair. The Bayer arrangement was developed to reduce the design of a complex optical system and to eliminate pixel shift in relation to the original light spectrum and RGB light reception by a separate sensor. This Bayer arrangement utilize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human eye is insensitive to red or blue resolution and is sensitive to green or black and white.

베이어 배열의 영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YCbCr 색 공간(color space) 또는 RGB 컬러 모델에 의한 영상을 생성(이하, 현상이라 함)할 때, 각 색의 존재 주기보다 짧은 주기의 영상의 조사에 기인하는 펄스 컬러(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 펄스 컬러(컬러 모아레)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로서의 일본 특허공개 2005-210218호 공보, 및 특허 문헌 2로서의 일본 특허공개 2010-4396호 공보 등 참조).When generating an image using the YCbCr color space or RGB color mode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of the Bayer arr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velopment”), it is due to the irradiation of the image with a period shorter than the existence period of each color Pulsed color (color moiré) may occur. A technique for removing this pulsed color (color moiré) is being developed (see, for example,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05-210218 as Patent Document 1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4396 as Patent Document 2, etc.) .

일본특허공개 2005-210218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210218 일본특허공개 2010-4396호 공보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10-4396

일본 특허공개 2005-210218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베이어 배열을 변경함으로써 컬러 모아레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이다. 또한 일본 특허공개 2010-4396호 공보(이하, 특허 문헌 2라 함)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은, 3차원 노이즈 축소 방식에 의해 노이즈를 저감할 때, 시간적으로 다른 색 보간 영상을 사용하여 컬러 모아레도 억제하는 것이다.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2005-210218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is to reduce color moiré by changing the Bayer arrangement. In addition, the technique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0-4396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uses a temporally different color interpolation image to reduce noise by a three-dimensional noise reduction method to achieve color moiré. is to suppress

그러나, 어떠한 기술도 베이어 배열 전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현상하였을 때, 컬러 모아레의 저감에는 효과가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there is a problem in that neither technique is effective in reducing color moiré when the data of the entire Bayer array is used for development.

상기와 같은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The problem of the background art as described above is the content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deriv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cannot be said that the content was known to the general public before the fil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은, 베이어 배열 전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현상하였을 때에 컬러 모아레의 제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촬영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 photographing apparatus capable of effectively removing color moiré when developed using data of the entire Bayer array.

본 발명의 제1 측면으로서의 영상 처리 장치는 영상 현상부, 모아레 판정부, 및 모아레 제거부를 포함한다.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eveloping unit, a moiré determining unit, and a moiré removing unit.

상기 영상 현상부는, 광학계를 통한 광속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2차원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치된 센서 어레이로부터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image developing unit develops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at different timings in time from a sens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that receive light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photoelectrically convert them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Bayer array, Generates two original image data.

상기 모아레 판정부는 상기 영상 현상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을 판정한다.The moir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 region in which moire is generated from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developing unit.

상기 모아레 제거부는, 상기 모아레 판정부에 의한 모아레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를 제거한다.The moiré removing unit removes moiré from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iré generation region by the moiré determining unit.

상기 모아레 판정부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에 있어서 제1 색과 제2 색의 반복 패턴들에서 차이가 발생된 영역을 모아레 발생 영역으로 판정할 수 있다.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may determine an area in which a difference occurs in the repeating patterns of the first color and the second color in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as the moiré generation area.

상기 제1 색은 상기 베이어(bayer) 배열에 있어서 화소 개수가 가장 많은 색이고, 상기 제2 색은 상기 베이어(bayer) 배열에 있어서 상기 제1 색이 아닌 색으로부터 생성되는 색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색은 녹색이고, 상기 제2 색은 마젠타일 수 있다. The first color may be a color having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n the bayer arrangement, and the second color may be a color generated from a color other than the first color in the bayer arrangement. For example, the first color may be green, and the second color may be magenta.

상기 모아레 제거부가 수행하는 모아레 제거 처리는,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원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되는 보간 처리일 수도 있다.The moiré removal process performed by the moire removal unit may be an interpolation process performed on the original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또한, 상기 모아레 제거부가 수행하는 모아레 제거 처리는, 2 개의 상기 영상 신호들에서 노이즈가 제거된 결과의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상기 판정 결과에 따른 필터 처리일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모아레 제거부가 수행하는 상기 필터 처리는 경사 방향의 화소들의 값들을 경사 방향의 인접 화소들의 값들에 각각 가산하는 처리일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ire removal processing performed by the moiré removal unit may be a filt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n the image signals obtained by removing noise from the two image signals. Here, the filter processing performed by the moire removal unit may be a process of adding values of pixels in an oblique direction to values of adjacent pixels in an oblique direction, respectively.

상기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모아레 판정부에서의 판정에 사용되는 2 개의 상기 영상 신호들에 대하여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noise removing unit that removes noise from the two image signals used for determination by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본 발명의 제2 측면으로서의 영상 처리 방법은 영상 현상 단계, 모아레 판정 단계, 및 모아레 제거 단계를 포함한다. An image processing method as a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developing step, a moiré determination step, and a moiré removal step.

상기 영상 현상 단계에서는, 광학계를 통한 광속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2차원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치된 센서 어레이로부터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이 현상되어,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가 생성된다.In the image developing step,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at different timings from a sens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that receive light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photoelectrically convert them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Bayer array are developed, At least two pieces of original image data are generated.

상기 모아레 판정 단계에서는, 상기 영상 현상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이 판정된다.In the moire determination step, an area in which moire occurs is determined from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in the image developing step.

상기 모아레 제거 단계에서는, 상기 모아레 판정 단계에 의한 모아레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를 제거한다.In the moiré removal step, moiré is removed from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iré generation region by the moiré determination step.

본 발명의 제3 측면으로서의 촬영 장치는 촬영부, 영상 현상부, 모아레 판정부, 및 모아레 제거부를 포함한다.A photographing apparatus as a thir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an image developing unit, a moiré determination unit, and a moiré removing unit.

상기 촬영부는 광학계를 통한 광속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2차원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치된 센서 어레이를 구비한다.The photographing unit includes a sensor array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that receive light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photoelectrically convert the light beam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Bayer arrangement.

상기 영상 현상부는, 상기 촬영부로부터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The image developing unit generates at least two pieces of original image data by developing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t different timings.

상기 모아레 판정부는, 상기 영상 현상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을 판정한다.The moire determination unit determines an area in which moire is generated from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developing unit.

상기 모아레 제거부는, 상기 모아레 판정부에 의한 모아레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를 제거한다.The moiré removing unit removes moiré from the video signal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iré generation region by the moiré determin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촬영 장치에 의하면,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그리고, 생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이 판정된다.According to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th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at different timings are developed to generate at least two pieces of original image data. and created An area in which moire occurs is determined from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이에 따르면, 베이어 배열 전체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현상하였을 때에 나타나는 컬러 모아레가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Accordingly, color moiré that appears when the data of the entire Bayer array is used for development can be effectively removed.

도 1은 베이어(bayer)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촬영 소스가 되는 영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영상을 촬영한 때에 컬러 모아레가 발생한 영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모습을 베이어(bayer) 배열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모습을 베이어 배열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모습을 베이어 배열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동작의 예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자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ayer arrangement.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serving as a photographing source.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in which color moiré occurs when the image shown in FIG. 2 is captured.
4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 moiré of cyan and orange occurs in a Bayer arrangement.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lor moiré of cyan and orange occurs in a Bayer arrangement.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occurrence of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in a Bayer arrangement.
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in which a part of image data of an (N-1)-th frame and an N-th frame is cut.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functional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thu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1. 배경><1. Backgroun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르게 된 배경에 대하여 설명한다.Before describing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tail, the background lea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상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카메라나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등의 촬영 장치에 있어서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의 촬영에 이용되는 센서에는 베이어 배열의 CMOS 영상 센서 또는 CCD 영상 센서가 이용되는 것이 주류이다.As described above, in a photographing apparatus such as a digital camera or a digital video camera, a Bayer array CMOS image sensor or a CCD image sensor is mainly used as a sensor used for photographing a still image or a moving image.

도 1은 베이어(bayer) 배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베이어(bayer) 배열은 녹색(G) 2 화소들에 대하여, 적색(R) 1 화소, 청색(B) 1 화소의 4 화소들이 1쌍인 구성으로 되어 있는 배열이다. 원래는 광을 분광하여 RGB를 별도의 영상 센서로 수광하던 것을, 복잡한 광학계의 설계를 경감하고, 픽셀 시프트가 없도록 개발된 것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이어(bayer) 배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bayer arrangement. The Bayer arrangement is an arrangement in which 4 pixels of 1 red (R) pixel and 1 blue (B) pixel are configured as a pair for 2 green (G) pixels. A Bayer arrangement as shown in FIG. 1 was developed to reduce the design of a complex optical system and to eliminate pixel shift, which originally received RGB by a separate image sensor by splitting light.

도 1에 도시된 베이어 배열은 인간의 눈이 적색이나 청색의 해상도에는 둔하고, 녹색이나 흑백에 대하여 민감하다는 특성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편의상 적색(R)의 행에 있는 녹색(G) 화소를 Gr, 청색(B)의 행에 있는 녹색(G) 화소를 Gb라 한다.The Bayer arrangement shown in FIG. 1 utilizes the characteristic that the human eye is insensitive to red or blue resolution and is sensitive to green or black and white. In addition, for convenience, the green (G) pixel in the red (R) row is referred to as Gr, and the green (G) pixel in the blue (B) row is referred to as Gb.

베이어(bayer) 배열이 녹색(G) 2 화소들에 대하여, 적색(R) 1 화소, 청색(B) 1 화소의 4 화소들이 1쌍인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녹색이 수평 및 수직 방향에서는 영상 센서의 수평 화소 개수 및 수직 화소 개수와 동일한 대역을 갖지만, 45O 경사 방향의 대역에서는 수평 및 수직의 절반으로 감소한다. 따라서, 휘도 신호는 경사 방향의 대역이 적다. 또한 베이어(bayer) 배열이 녹색(G) 2 화소들에 대하여, 적색(R) 1 화소, 청색(B) 1 화소의 4 화소들이 1쌍인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청색과 적색의 영역은 녹색의 절반 밖에 되지 않는다.Since the Bayer arrangement consists of a pair of 4 pixels of 1 red (R) pixel and 1 blue (B) 1 pixel for 2 green (G) pixels, green is the image sensor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It has the same band as the number of horizontal and vertical pixels, but decreases to half of the horizontal and vertical in the band in the 45 O oblique direction. Accordingly, the luminance signal has a small band in the oblique direction. Also, since the Bayer arrangement consists of a pair of 4 pixels of 1 red (R) pixel and 1 blue (B) 1 pixel for 2 green (G) pixels, the blue and red regions are of green color. only half

이러한 베이어 배열의 영상 센서로써 정상적인 영상을 얻기 위하여, 종래에는, 예를 들어 베이어 배열의 기본 4-화소 두께보다 가는 선(細線)을 해상하지 않는 필터를 영상 센서 상에 탑재하여 각 색을 흐리게 하는 것이 행해져 왔다.In order to obtain a normal image with such a Bayer array image sensor, conventionally, for example, a filter that does not resolve lines thinner than the basic 4-pixel thickness of the Bayer array is mounted on the image sensor to blur each color. thing has been done

그러나, 그러한 필터를 영상 센서에 탑재하면, 적색과 청색의 가는 선은 영상 센서로부터 출력되지 않고, 또한 휘도의 주요 성분인 녹색도 2-화소 폭 보다 가는 선은 센서로부터 출력되지 않는다.However, when such a filter is mounted on an image sensor, red and blue thin lines are not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and green, which is a major component of luminance, is also not output from the sensor if it is thinner than 2-pixel width.

그리고, 당연히 이러한 필터를 영상 센서에 탑재하는 것은 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고, 또한 실제 화소 개수에 비하여 영상의 해상도가 낮아지는 요인도 된다. 그 결과, 그 필터를 배제하고, 해상도의 개선과 비용 저하를 동시에 충족시킬 필요성이 주장되고 있고, 해상도의 개선과 비용 저하를 동시에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도 판매되고 있다.And, of course, mounting such a filter on the image sensor causes cost increase and also causes image resolution to be lowered compared to the actual number of pixels. As a result, the necessity of excluding the filter and satisfying both resolution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is argued, and products aiming to satisfy both resolution improvement and cost reduction are also sold.

그러나, 필터를 배제한 영상 센서를 이용하면, 베이어 배열의 영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YCbCr 색 공간(color space) 또는 RGB 컬러 모델에 의한 영상을 생성(현상)할 때, 각 색의 존재 주기보다 짧은 주기의 영상의 조사에 기인하는 펄스 컬러(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However, when an image sensor excluding a filter is used, when generating (developing) an image using the YCbCr color space or RGB color model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of the Bayer array, it is shorter than the existence period of each color. Pulsed color (color moiré) resulting from periodic image irradiation may occur.

필터를 배제한 영상 센서를 이용하면, 예를 들어 영상 센서의 적색의 존재 주기보다 짧은 주기의 적색 영상이 조사된다. 영상 센서의 적색의 존재 주기보다 짧은 주기의 적색 영상이 조사되는 것은 적색에 대하여 에일리어싱(aliasing)이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When the image sensor excluding the filter is used, for example, a red image of a shorter period than the red existence period of the image sensor is irradiated. Irradiating a red image with a shorter period than the red existence period of the image sensor causes aliasing for red.

이는 적색뿐만 아니라, 4화소 중에 1화소만 존재하는 청색에 대해서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녹색에 대해서도, 경사 방향으로 선명한 녹색의 영상이 조사되는 것은 녹색에 대해서는 비스듬하게 에일리어싱(aliasing)이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이 에일리어싱(aliasing)은 베이어 배열의 영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서 YCbCr 색 공간(color space) 또는 RGB 컬러 모델에 의한 영상을 생성(현상)할 때에 발생되는 컬러 모아레가 된다.This can be said to be the same not only for red, but also for blue in which only one pixel exists among four pixels. In addition, irradiating a vivid green image in an oblique direction also for green causes oblique aliasing with respect to green. This aliasing becomes color moiré that is generated when an image using the YCbCr color space or RGB color model is generated (developed) from the signal output from the image sensor of the Bayer array.

가장 큰 문제는, 경사 방향의 가는 선(細線)을 현상하였을 때 발생하는 녹색과 마젠타의 모아레(moire)이다. 이것은 경사 방향의 방해를 나타낸다. 이러한 녹색과 마젠타의 모아레 현상이 발생하는 것은 촬영 영상으로 경사 방향으로 매우 가는 선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The biggest problem is the moire of green and magenta that occurs when thin lines in the oblique direction are developed. This indicates an oblique disturbance. This green and magenta moiré phenomenon occurs because there are very thin lines in the oblique direction in the captured image.

도 2는 촬영 소스가 되는 영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영상을 촬영한 때 컬러 모아레가 발생한 영상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mage serving as a photographing source.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image in which color moiré occurs when the image shown in FIG. 2 is captured.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우 가는 백색 및 흑색의 선이 혼입된 영상을 촬영하면, 원래 영상에는 백색 및 흑색 이외의 색은 존재하지 않지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용돌이 형상의 펄스 컬러(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도 3의 부호 11은 시안과 오렌지의 소용돌이 형상의 펄스 컬러(컬러 모아레)가 발생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의 부호 12는 녹색과 마젠타의 소용돌이 형상의 펄스 컬러(컬러 모아레)가 발생한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When an image in which very thin white and black lines are mixed as shown in FIG. 2 is taken, colors other than white and black do not exist in the original image, but as shown in FIG. 3 , swirl-shaped pulse color (color moiré) may occur. Reference numeral 11 in Fig. 3 denotes a portion where cyan and orange swirl-shaped pulse colors (color moiré) are generated. Reference numeral 12 in Fig. 3 denotes a portion in which green and magenta swirl-shaped pulse colors (color moiré) are generated.

도 3의 부호 11로 표시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는 세로 또는 가로의 가는 선을 재현하고자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 4 및 도 5는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모습을 베이어 배열로 보여주는 도면이다.The color moiré of cyan and orange generated in the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1 in FIG. 3 is generated to reproduce a vertical or horizontal thin line. 4 and 5 are views showing the occurrence of cyan and orange color moiré in a Bayer arrangement.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시안과 오렌지의 경계에서 녹색 부분이 변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녹색과의 상관을 취함으로써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경우, 예를 들어 그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부분을 백색으로 연결하는 등의 방법으로 컬러 모아레를 제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4 and 5 , when the color moiré of cyan and orange occurs, it can be seen that the green part is changed at the boundary between cyan and orange. Therefore, it can be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color moiré of cyan and orange occurs by taking the correlation with green. In addition, when the color moiré of cyan and orange occurs, for example, the color moiré may be removed by connecting a portion where the color moiré occurs with white.

한편, 도 3의 부호 12로 표시한 부분에서 발생하는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는 경사 방향의 가는 선을 재현하고자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 6은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모습을 베이어 배열로 보여주는 도면이다.On the other hand,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generated in the portion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 in FIG. 3 is generated to reproduce the thin line in the oblique direction. FIG. 6 is a diagram showing the occurrence of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in a Bayer arrangement.

그러나, 이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의 경우,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와 같이 녹색과의 상관을 취함(correlate)으로써 컬러 모아레의 발생을 판정할 수 없다. 시안과 오렌지의 컬러 모아레와 달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항상 녹색이 붙어 있다고는 할 수 없기 때문이다. However, in the case of this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the occurrence of color moiré cannot be determined by correlating with green like that of cyan and orange color moiré. This is because, unlike the color moiré of cyan and orange, as shown in FIG. 6 , it cannot be said that green is always attached.

따라서, 본 발명자는, 컬러 모아레를 제거하기 위한 기술, 특히 녹색과의 상관을 취함으로써, 컬러 모아레의 발생을 판정할 수 없는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예의 검토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시간적으로 다른 적어도 2 개의 영상들을 비교함으로써, 컬러 모아레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따라 컬러 모아레를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고안하기에 이르렀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earnestly studied the technique for removing color moiré, especially the technique for effectively removing the color moiré of green and magenta in which the occurrence of color moiré cannot be determined by taking a correlation with green.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as will be described below, by comparing at least two images that are temporally different, determine whether there is color moirage, and devise a technique for removing color moiré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reached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이르게 된 배경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n the above, the background lea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Nex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2. 본 발명의 일 실시예><2.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1. 구성의 예][2.1. configuration example]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의 구성의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구성의 예를 보여준다. 이하,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photograph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7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촬영부(102), 노이즈 제거부(104), 보간 처리부(106), 코덱(codec)부(108), 통신부(110), 버스(112), 제어부(114), 및 DDR SDRAM(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11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7 ,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hotographing unit 102 , a noise removing unit 104 , an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 a codec unit 108 ,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110 , a bus 112 , a control unit 114 , and a DDR   SDRAM (Double   Data   Rate   Synchronous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116 ).

촬영부(102)는 줌 렌즈(Zoom Lens)나 포커스 렌즈(Focus Lens)를 포함하는 복수의 렌즈군이나 영상 센서 등으로 구성된다. 촬영부(102)는, 영상 센서의 수광면에 형성되는 피사체상을 광전 변환하고, 소정의 노이즈 제거 처리나 감도 조정 처리, 아날로그/디지털 변환(A/D 변환)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디지털 영상 신호를 생성한다. The photographing unit 102 includes a plurality of lens groups including a zoom lens or a focus lens, an image sensor, and the like. The photographing unit 102 photoelectrically converts a subject image formed on the light-receiving surface of the image sensor, and performs signal processing such as predetermined noise removal processing, sensitivity adjustment processing, and analog/digital conversion (A/D conversion) to digital Generate a video signal.

촬영부(102)에 설치되는 영상 센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영상 센서일 수도 있고,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영상 센서일 수도 있다. 또한, 촬영부(102)에 설치되는 영상 센서의 수광면에는 컬러 영상의 촬영을 위해 베이어(bayer) 배열의 원색 필터가 설치된다. 촬영부(102)가 생성한 디지털 영상 신호는 버스(112)를 경유하여 DDR SDRAM(116)에 저장된다. The image sensor installed in the photographing unit 102 may be a charge coupled device (CCD) image sensor or a 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CMOS) image sensor. In addition, a primary color filter of a Bayer arrangement is installed on the light receiving surface of the image sensor installed in the photographing unit 102 to capture a color image. The digital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2 is stored in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

노이즈 제거부(104)는, 촬영부(102)에서 생성되고, DDR SDRAM(116)에 저장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제거 처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제거부(104)는 촬영부(102)가 다른 시간에 생성한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DDR SDRAM(116)로부터 버스(112)를 경유하여 읽어내고, 3차원 노이즈 축소(3DNR : 3-Dimension Noise Reduction)에 의해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한 노이즈 제거를 실시한다. 3차원 노이즈 축소(3DNR)는, 시간적으로 연속된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비교함으로써 노이즈를 검출하고, 검출된 노이즈를 제거하는 노이즈 제거 처리이다. The noise removal unit 104 performs noise removal processing on the digital image signal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2 and stored in the DDR SDRAM 116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ise removing unit 104 reads out at least two digital image signals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2 at different times from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 and 3D noise Noise reduction is performed on a digital video signal by 3DNR (3-Dimension Noise Reduction). Three-dimensional noise reduction (3DNR) is a noise removal process that detects noise by comparing at least two temporally successive digital image signals and removes the detected noise.

본 실시예에 있어서, 노이즈 제거부(104)는, 노이즈 제거 처리를 위해 읽어낸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고, 컬러 모아레,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노이즈 제거 처리를 위해 읽어낸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컬러 모아레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함으로써, 컬러 모아레를 검출하기 위한 구성을 노이즈 제거 처리를 위한 구성과 공통화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oise removal unit 104 uses at least two digital image signals read out for the noise removal process, and determines whether color moiré, in particular,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is generate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color moiré is generated by using at least two digital image signals read for noise removal processing, thereby reducing a configuration for detecting color moiré as noise. It can be common to the configuration for the removal process.

노이즈 제거부(104)에 의하여 노이즈가 제거된 후에 DDR SDRAM(116)에 격납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보간 처리부(106)는 보간 처리, 예를 들어 CFA(Color Filter Array) 보간 처리를 행함으로써 현상 처리를 수행한다. 보간 처리부(106)에 의한 현상 처리를 수행하여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는 버스(112)를 경유하여 DDR SDRAM(116)에 격납된다. After the noise is removed by the noise removal unit 104,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performs interpolation processing, for example, CFA (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processing, on the digital video signal stored in the DDR SDRAM 116. Develop processing is performed. The video data obtained by performing the development process by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is stored in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

코덱(codec)부(108)는, 보간 처리부(106)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인코딩 처리나,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에 대한 디코딩 처리를 수행한다. 인코딩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총칭하여 코덱 처리라 한다. 코덱(codec)부(108)에 의해 코덱 처리된 영상 데이터는 버스(112)를 경유하여 DDR SDRAM(116)에 격납된다. The codec unit 108 performs encoding processing on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and decoding processing on the encoded image data. Encoding processing and decoding processing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codec processing. The video data subjected to the codec process by the codec unit 108 is stored in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

통신부(110)는, 외부 장치에 대한 정보의 송신 처리나, 외부 장치로부터의 정보의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코덱(codec)부(108)에 의해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장치로 송신한다. The communication unit 110 executes a process for transmitting information to an external device and a process for receiving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communication unit 110 transmits image data encoded by the codec unit 108 to an external device.

제어부(114)는,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등으로 구성되고, 촬영 장치(100)의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The control unit 114 is constituted by, for example, a CPU (Central Processing Unit) and the lik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each unit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도 7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촬영 장치(100)는 촬영부(102)에 대하여 영상의 촬영을 사용자가 지시하기 위한 셔터 버튼, 촬영 장치(10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을 받아들이는 조작 버튼, 및 보간 처리부(106)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매체 등을 구비할 수 있다. 보간 처리부(106)에 의해 생성된 영상 데이터를 보존하기 위한 기록 매체(116)는 촬영 장치(100)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한 것일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FIG. 7 ,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includes a shutter button for instructing the user to take an image with respect to the photographing unit 102 , an operation button for accepting a user's operation o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and interpolation A recording medium or the like for stor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processing unit 106 may be provided. The recording medium 116 for preserving the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may be detachable from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이상, 도 7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상세한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In the above,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 Next, an example of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구성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는 RDMA(Read Direct Memory Access) 제어기(121a, 121b), 감산부(122), 노이즈 평가부(123), 노이즈 제거부(124), 필터 처리부(125), 간이 현상부(126a, 126b), 모아레 판정부(127), 및 WDMA(Write Direct Memory Access) 제어기(12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 8 ,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RDMA (Read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s 121a and 121b, and the subtraction unit 122. ,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 the noise removal unit 124 ,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 the simple developing units 126a and 126b ,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127 , and the WDMA (Write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128 . is comprised of

RDMA 제어기(121a, 121b)는 촬영부(102)가 다른 시간에 생성한 적어도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DDR SDRAM(116)로부터 버스(112)를 경유하여 읽어낸다. 도 8에 도시된 예에 있어서, 한 RDMA 제어기(121a)는 (N-1)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DDR SDRAM(116)로부터 독출한다. 다른 한 RDMA 제어기(121b)는 (N-1)번째 프레임의 다음 프레임인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DDR SDRAM(116)로부터 읽어낸다. RDMA 제어기들(121a, 121b)은 이와 같이 연속된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DDR SDRAM(116)으로부터 독출할 수도 있고, 연속되지는 않지만 짧은 간격으로 얻어진 디지털 영상 신호를 DDR SDRAM(116)으로부터 독출할 수도 있다.The RDMA controllers 121a and 121b read at least two digital image signals generated by the photographing unit 102 at different times from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 In the example shown in Fig. 8, one RDMA controller 121a reads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1)-th frame from the DDR SDRAM 116 . Another RDMA controller 121b reads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which is the next frame of the (N-1)-th frame, from the DDR SDRAM 116 . The RDMA controllers 121a and 121b may read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continuous frame as described above from the DDR SDRAM 116, and read the digital image signal obtained at short intervals but not continuous from the DDR SDRAM 116. may be

RDMA 제어기들(121a, 121b)은 DDR SDRAM(116)으로부터 버스(112)를 경유하여 읽어낸 (N-1)번째 프레임과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각각 감산부(122) 및 간이 현상부(126a, 126b)로 보낸다. 또한, RDMA 제어기들(121a, 121b)은 디지털 영상 신호를 각각 감산부(122) 및 간이 현상부(126a, 126b)로 전송할 때, 버퍼 메모리(미도시)를 통할 수도 있다.The RDMA controllers 121a and 121b respectively subtract the digital image signals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read from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into a subtraction unit 122 and a simple developing unit. (126a, 126b). Also, when the RDMA controllers 121a and 121b transmit the digital image signal to the subtraction unit 122 and the simple developing unit 126a and 126b, respectively, they may pass through a buffer memory (not shown).

감산부(122)는 RDMA 제어기(121a, 121b)로부터 전송되는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한 감산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감산부(122)는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로부터 (N-1)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화소 단위로 감산하는 감산 처리를 수행한다. 감산부(122)는 감산 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노이즈 평가부(123)로 보낸다. The subtraction unit 122 performs subtraction processing on the digital image signals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transmitted from the RDMA controllers 121a and 121b. Specifically, the subtraction unit 122 performs a subtraction process for subtracting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1)-th frame from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in units of pixels. The subtraction unit 122 transmits the subtracted digital image signal to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

본 실시예에 있어서, 감산부(122)가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의 감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후단의 노이즈 평가부(123)에서 노이즈의 평가, 구체적으로는 노이즈 발생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발생 부분의 검지를 실시하도록 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btraction unit 122 performs the subtraction processing of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emporally successive frames, so that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at the subsequent stage evaluates noise, specifically, determines whether noise is generated, and The noise generating part can be detected.

노이즈 평가부(123)는 감산부(122)로부터 송신되는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로부터 (N-1)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화소 단위로 감산한 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의 평가를 수행한다.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performs noise evaluation on the digital image signal after subtracting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1)th frame from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transmitted from the subtraction unit 122 in units of pixels. carry out

노이즈 평가부(123)는, 노이즈의 평가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로부터 (N-1)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화소 단위로 감산한 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발생 유무의 판정 및 노이즈 발생 부분의 검색을 수행한다. 3차원 노이즈 축소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은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두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서 크게 달라지는 곳이 있다면, 그 부분을 노이즈로 판정하는 것이다. 노이즈 평가부(123)는,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로부터 (N-1)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화소 단위로 감산한 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노이즈 평가를 수행하고, 그 평가 결과를 노이즈 제거부(124)에 보낸다. In the noise evaluation, specifically,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generates noise in the digital image signal after subtracting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1)th frame from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in units of pixels. Judgment of the presence or absence and a search for a noise generating part are performed. A basic way of thinking about 3D noise reduction is to determine that if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wo consecutive frames in time, that part is considered as noise.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performs noise evaluation on the digital image signal obtained by subtracting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1)th frame from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in units of pixels, and determines the result of the evaluation as noise. It is sent to the removal unit 124 .

노이즈 제거부(124)는, 노이즈 평가부(123)로부터 송신되는 노이즈 평가 결과에 따라,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한 노이즈 제거 처리를 수행한다. 노이즈 제거부(124)는 노이즈를 제거한 후의 N번째 프레임(이하, 편의상 N'번째 프레임이라 함)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필터 처리부(125)로 보낸다. The noise removal unit 124 performs noise removal processing on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according to the noise evaluation result transmitted from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 The noise removing unit 124 transmits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N′th frame for convenience) after noise is removed to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

또한, 노이즈 제거부(124)에서의 노이즈 제거 처리는, 특정 처리에 한정되지 않으며, 3차원 노이즈 축소에 대응되는 다양한 처리가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ise removal processing in the noise removal unit 124 is not limited to a specific processing, and various processing corresponding to 3D noise reduction may be applied.

필터 처리부(125)는, 노이즈를 제거한 후의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 판정부(127)에 의한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에 따른 필터 처리를 수행한다. 필터 처리부(125)가 수행하는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에 따른 필터 처리는 컬러 모아레,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하여, 45O 경사 방향에 인접한 화소에 대한 가산 처리에 의해, 현상 결과가 흑백이 되도록 컬러 모아레를 제거하는 필터 처리를 수행한다.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고 있는 방향은, 예를 들어 각 화소의 화소값을 비교함으로써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필터 처리부(125)에 의한 필터 처리에 있어서,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를 제거하는 모든 처리가 가능하므로, 상술한 45O 경사 방향에 인접한 화소에 대한 가산 처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performs filter processing on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after noise is removed according to a result of color moiré determination by the moire determination unit 127 . The filt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lor moiré determination result performed by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is performed by adding color moiré, in particular, for a portion in which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occurs, for pixels adjacent to a 45 O oblique direction. Filter processing is performed to remove color moiré so that the development result becomes black and white. The direction in which color moiré is occurring can be detected, for example, by comparing the pixel values of each pixel. In addition, in the filter processing by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all processing for removing the color moiré of green and magenta is possible, so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ddition processing for pixels adjacent to the 45 O oblique direction.

필터 처리부(125)는, 노이즈를 제거한 후의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 판정부(127)에 의한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에 따른 필터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발생하는 컬러 모아레, 특히 녹색과 마젠타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컬러 모아레를 제거할 수 있다. 필터 처리부(125)는 컬러 모아레를 제거한 후의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WDMA 제어기(128)로 보낸다.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performs filter processing according to the color moiré determination result by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127 on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after noise has been removed, so that the digital image of the N′-th frame is performed. It is possible to remove the color moiré that occurs in the signal, especially the color moiré that appears repeatedly in green and magenta.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transmits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after color moiré has been removed to the WDMA controller 128 .

간이 현상부들(126a, 126b)은 RDMA 제어기들(121a, 121b)로부터 송신되는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한 간이 현상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간이 현상부(126a, 126b)는, 각각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간이 현상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면,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모아레 판정부(127)로 보낸다. The simple developing units 126a and 126b generate image data by performing simple developing processing on the digital image signals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transmitted from the RDMA controllers 121a and 121b. The simple developing units 126a and 126b generate image data by performing simple developing processing on the digital image signal, respectively, and send the generated image data to the moire determination unit 127 .

모아레 판정부(127)는 간이 현상부(126a, 126b)로부터 송신되는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컬러 모아레,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모아레 판정 처리는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겠지만, 일 예를 들면, 모아레 판정부(127)는, 간이 현상 후의 영상 데이터를 소정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한다.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127 determines whether or not color moiré, particularly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is generated from the image data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transmitted from the simple developing units 126a and 126b. perform processing. Although the moiré determination processing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for example,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127 divides the image data after simple development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areas, and provides color moiré for each of the areas. to determine whether the occurrence of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가 판정될 때, 컬러 모아레일 개연성을 복수의 단계, 예를 들어 1 ~ 10의 10 단계들로써 판정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숫자가 큰 쪽을 컬러 모아레일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도 있다. 모아레 판정부(127)는,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한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를, 각각의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와 관련지어 필터 처리부(125)로 보낸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occurrence or non-occurrence of color moiré is determined, the probability of color moiré may be determined in a plurality of steps, for example, 10 steps of 1 to 10. In this case, the one with a larger number may be made into a thing with a high probability of color moirail.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127 transmits to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the result of color moiré determination performed on the video data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in association with information identifying each area. .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는, 예를 들어, 축소 영상 데이터의 좌상 영역을 0으로 하여 우측 방향을 향해 값이 증가하고, 가장 우측단의 영역에 도달하면 1단 아래로 이동하며, 좌단으로부터 우측 방향을 향해 다시 값이 증가하며, 이를 우하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반복할 수도 있 있다. For example, the information for identifying the region increases in the right direction with the upper-left region of the reduced image data being 0, and moves down one stage when reaching the rightmost region, and moves from the left end to the right. The value increases again towards the end, and this may be repeated until the lower-right region is reached.

WDMA 제어기(128)는, 필터 처리부(125)에 의해 컬러 모아레가 제거된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버스(112)를 경유하여 DDR SDRAM(116)에 기록한다. The WDMA controller 128 writes the digital video signal of the N'-th frame from which the color moiré is removed by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to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시간적으로 연속된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함과 더불어, 그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고,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였다면 그 컬러 모아레를 제거할 수 있다.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7 , and thus uses two temporally consecutive digital image signals to reduce noise. In addition to the removal,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color moiré has occurred from image data obtained by developing the two digital image signals, and if color moiré has occurred, the color moiré can be removed.

이상, 도 8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상세한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An example of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Next,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2.2. 동작의 예][2.2. Example of operation]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동작의 예를 보여준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시간적으로 연속된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얻어지는 영상 데이터로부터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고, 컬러 모아레가 발생한 경우, 그 컬러 모아레를 제거한다. 이하,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의 동작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9 shows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termines whether or not color moiré occurs from image data obtained by developing two temporally consecutive digital image signals, and when color moiré occurs, the Remove color moiré.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9 .

촬영 장치(100)는 시간적으로 다른, 특히 시간적으로 연속된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DDR SDRAM(116)으로부터 버스(112)를 경유하여 읽어낸다(단계 S101). 이 단계 S101의 읽기 처리는, 예를 들어 RDMA 제어기들(121a, 121b)이 수행한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reads two digital image signals that are temporally different, particularly temporally consecutive, from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step S101). The read processing of this step S101 is performed, for example, by the RDMA controllers 121a and 121b.

상기 단계 S101에서 시간적으로 다른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DDR SDRAM(116)으로부터 읽어내면, 계속해서 촬영 장치(100)는 그 읽어낸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간이 현상하여 2 개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102). 이 단계 S102의 간이 현상 처리는, 예를 들어 간이 현상부들(126a, 126b)에서 실행한다. When two digital image signals that are different in time are read from the DDR SDRAM 116 in step S101, the photographing device 100 simply develops the two digital image signals to generate two image data ( step S102). The simple developing processing of this step S102 is executed by, for example, the simple developing units 126a and 126b.

상기 단계 S102에서 2 개의 디지털 영상 신호들을 간이 현상하고, 2 개의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면, 계속해서 촬영 장치(100)는 그 2 개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부분을 판정한다(단계 S103). 이 단계 S103의 판정 처리는, 예를 들어 모아레 판정부(127)가 실행한다. When two digital image signals are simply developed in step S102 and two image data are generated,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determines a portion in which color moiré occurs from the two image data (step S103). The determination processing of this step S103 is executed, for example, by the moire determination unit 127 .

단계 S103의 판정 처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영상 데이터를 소정수의 영역으로 분할하고, 그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할 때, 컬러 모아레일 개연성을 복수의 단계, 예를 들어 1 ~ 10의 10 단계들로써 판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숫자가 큰 쪽을 컬러 모아레일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 할 수도 있다.The determination processing in step S103 will be described in detail. In this embodiment, image data is divided into a predetermined number of regions, and in each of the regions,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color moiré occur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n determining whether or not the occurrence of color moiré occurs, the probability of color moiré may be determined using a plurality of steps, for example, 10 steps of 1 to 10. In this case, the one with a larger number may be made into a thing with a high probability of color moirail.

도 10은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일부를 자른 예를 보여준다. 도 10은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동일한 부분을 잘라 낸 것의 예를 나타낸 것이다.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a part of image data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is cut. 10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ame part is cut out with respect to the image data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도 10에 도시된 예에서는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일부에는 녹색과 마젠타의 모양이 발생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녹색과 마젠타의 모양이 정말로 컬러 모아레에 의한 것인지 여부는 이하와 같이 하여 판정된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green and magenta patterns are generated in a part of the image data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determined as follows whether the green and magenta patterns are really caused by color moiré.

도 10에 도시한 예에서는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의 일부에서 발생하는 녹색과 마젠타 모양의 위치가 다름을 알 수 있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변화가 2 개의 연속되는 프레임의 영상 사이에서 발생한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이 패턴의 가파름과, 패턴의 변화 정도로부터 컬러 모아레인지 여부를 평가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다른 영역에 비해 크게 다른 색이 나타난 영역인지 여부도, 컬러 모아레인지 여부의 평가 재료로 하고 있다. In the example shown in FIG. 10 ,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s of green and magenta shapes occurring in a part of the image data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are different. As shown in FIG. 9 , when a change occurs between images of two consecutive frames, in this embodiment, the color moa range is evaluated based on the steepness of the pattern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attern.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whether a region in which a color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appears is also used as a material for evaluating whether a color moire range is present.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컬러 모아레일 개연성은, 예를 들어 2 개의 연속되는 프레임의 영상 사이에서 모양의 위치가 다른 범위의 크기에 의해 판정될 수 있다. Also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lor moirail probability may be determined by, for example, the size of a range in which the position of the shape is different between images of two consecutive frames.

상기 단계 S103에서,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부분을 판정하면, 계속해서 촬영 장치(100)는 상기 단계 S103에서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부분의 판정 결과에 따라, N번째의 디지털 영상 신호, 특히 노이즈가 제거된 후의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한 컬러 모아레의 제거를 수행한다(단계 S104). 단계 S104의 컬러 모아레의 제거 처리는, 예를 들어 필터 처리부(125)에서 수행한다. If it is determined in step S103 that a portion in which color moiré occurs,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continuously detects the Nth digital image signal, particularly nois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portion in which color moiré occurs in step S103. Color moiré is removed on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after being removed (step S104). The color moiré removal processing in step S104 is performed, for example, by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

필터 처리부(125)는, 예를 들어 컬러 모아레,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하는 부분에 대하여, 45O 경사 방향에 인접한 화소에 대한 가산 처리에 의해, 현상 결과가 흑백이 되도록 컬러 모아레를 제거하는 필터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 단계 S104에서의 필터 처리는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를 제거하는 처리라면, 상술한 45O 경사 방향에 인접한 화소에 대한 가산 처리에 한정되지 않는다.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for example, with respect to a portion in which color moiré, particularly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occurs, adds color moiré to pixels adjacent to the 45 O oblique direction so that the development result becomes black and white. Perform filter processing to remove. In addition, as long as the filter process in step S104 is a process for removing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addition process for pixels adjacent to the 45 O oblique direction.

본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동작을 실행함으로써, 컬러 모아레,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컬러 모아레가 없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may effectively remove color moiré, particularly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and generate an image without color moiré by executing a series of operations as described above.

[2.3. 변형 예][2.3. Variation example]

상술한 촬영 장치(100)에서는 노이즈 제거부(104)가 노이즈 제거에 추가적으로 컬러 모아레의 제거를 실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노이즈 제거부(104)는 컬러 모아레 발생 부분의 판정 처리만 하고, 보간 처리부(106)가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컬러 모아레를 제거하면서 보간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도 있다.In the above-described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the noise removing unit 104 removes color moiré in addition to noise removal,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example. For example, the noise removal unit 104 may only perform a determination process on the color moiré generating portion, and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may generate image data by performing interpolation processing while removing the color moiré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구성의 예를 보여준다. 이하, 도 11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에 포함되는 노이즈 제거부(104)의 구성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11 shows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noise removing unit 104 included in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1 .

도 11에 도시된 노이즈 제거부(104)는, 도 8에 도시된 노이즈 제거부(104)와는 달리 필터 처리부(125)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The noise removing unit 104 shown in FIG. 11 does not include the filter processing unit 125 unlike the noise removing unit 104 shown in FIG. 8 .

따라서, 노이즈 제거부(124)는, 노이즈 평가부(123)로부터 송신되는 노이즈의 평가 결과에 따라,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한 노이즈의 제거 처리를 수행하고, 노이즈를 제거한 후의 N번째 프레임(이하, 편의상 N'번째 프레임이라 함)의 디지털 영상 신호를 WDMA 제어기(128)로 보낸다. Accordingly, the noise removal unit 124 performs noise removal processing on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according to the evaluation result of the noise transmitted from the noise evaluation unit 123 , and removes the noise from the Nth frame A digital image signal of (hereinafter, referred to as an N'-th frame for convenience) is transmitted to the WDMA controller 128 .

또한, 모아레 판정부(127)는 간이 현상부(126a, 126b)로부터 송신되는 (N-1)번째 프레임 및 N번째 프레임의 영상 데이터로부터 컬러 모아레,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가 발생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를 WDMA 제어기(128)로 보낸다. Further,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127 determines whether or not color moiré, particularly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is generated from the image data of the (N-1)th frame and the Nth frame transmitted from the simple developing units 126a and 126b. The process of determining is performed,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color moiré is sent to the WDMA controller 128 .

그리고 WDMA 제어기(128)는, 노이즈 제거부(124)로부터 보내진 노이즈를 제거한 후의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모아레 판정부(127)로부터 보내진 각 영역에 대한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를, 영역을 식별하는 정보와 연관지어 버스(112)를 경유하여 DDR SDRAM(116)에 기록한다. Then, the WDMA controller 128 calculates the digital video signal of the N'th frame after the noise sent from the noise removal unit 124 has been removed and the color moiré determination result for each area sent from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127 to determine the area. In association with the identifying information, it is written to the DDR SDRAM 116 via the bus 112 .

노이즈 제거부(104)가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짐에 따라, 촬영 장치(100)의 보간 처리부(106)에 있어서, DDR SDRAM(116)에 기록된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를 읽어내고, 모아레를 제거하면서 보간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As the noise removing unit 104 has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11 , in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of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recorded in the DDR  SDRAM 116 . and reading the determination result of color moiré, and performing interpolation while removing moiré to generate image data.

또한, 보간 처리부(106)에 있어서, DDR SDRAM(116)에 기록된 N'번째 프레임의 디지털 영상 신호 및 컬러 모아레의 판정 결과를 읽어내고, 모아레를 제거하면서 보간 처리를 수행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경우, 필터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에 비해 선명하고 컬러 모아레가 없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6, the digital image signal of the N'th frame and the color moiré determination result recorded in the DDR SDRAM 116 are read, and the interpolation processing is performed while removing the moiré to generate image data. . 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generate an image that is clear and has no color moiré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filter processing is performed.

<3. 정리><3. Summary>

이상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시간적으로 다른, 특히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타이밍으로 취득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비교함으로써, 컬러 모아레의 발생,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는 촬영 장치(100)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컬러 모아레의 발생,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하고, 그 판정 결과에 따라 컬러 모아레를 제거하는 처리를 수행하는 촬영 장치(100)가 제공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rrence of color moiré, in particular, occurrence of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can be determined by comparing digital image signals acquired at different temporally, in particular temporally, consecutive timings. A photographing apparatus 100 for determining is provided. Also,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hotographing apparatus 100 that determines whether or not color moiré occurs, particularly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and performs a process of removing color moiré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do.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이와 같이 시간적으로 다른, 특히 시간적으로 연속되는 타이밍으로 취득된 디지털 영상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컬러 모아레의 판정을 위한 메모리의 용량을 늘리지 않고도, 컬러 모아레의 발생, 특히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의 발생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 장치(100)는, 지금까지는 어려웠던 경사진 화소 피치 근방의 세선에 기인하는 녹색과 마젠타의 컬러 모아레를 판정하고, 그 컬러 모아레를 제거할 수 있다.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digital image signals acquired at different temporally, in particular, temporally continuous timings as described above, without increasing the memory capacity for color moiré determination.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or not moiré occurs, in particular, the occurrence of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In particular, the photograph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termine green and magenta color moiré caused by thin lines near an inclined pixel pitch, which has been difficult until now, and can remove the color moiré.

본 명세서의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각 단계는 반드시 흐름도나 순서도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적으로 처리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각 장치가 실행하는 처리에 있어서의 각 단계는 흐름도로서 기재한 순서와 다른 순서로 처리되어도 무방하고, 병렬적으로 처리되어도 무방하다. Each step in the processing executed by the apparatu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processed in a time series according to a flowchart or an order described as a flowchart. For example, each step in the processing executed by each device may be processed in a sequence different from the sequence described in the flowchart, or may be processed in parallel.

또한 상술한 각 장치의 구성과 동등한 기능을, 본 명세서의 장치에 내장되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의 하드웨어(미도시)에 발휘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도 작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시킨 기억 매체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기능 블록도로 도시한 각각의 기능 블록을 하드웨어로 구성함으로써, 일련의 처리를 하드웨어로 실현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order to exhibit the functions equivalent to the configuration of each device described above, hardware (not shown) such as CPU (Central Processing Unit), ROM (Read Only Memory) and RAM (Random Access Memory) embedded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computer program may also be written. In addition, a storage medium in which the computer program is stored may be provided. Further, by configuring each functional block shown in the functional block diagram with hardware, a series of processing can be realized with hardware.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있어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각종의 변경예 또는 수정예를 도출 가능함은 명백하며, 이에 대하여서도 당연히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In the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xamples. It is clear that various changes or modifications can be derive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described in the claims, and of course the present invention It is understood to b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본 발명은 다양한 기능의 영상 처리 장치들에 이용될 가능성이 높다.The present invention is highly likely to be used in image processing apparatuses having various functions.

100 촬영 장치
102 촬영부
104 노이즈 제거부
106 보간 처리부
108 코덱(codec)부
110 통신부
112 버스
114 제어부
116 SDRAM
121a RDMA 제어기
121b RDMA 제어기
122 감산부
123 노이즈 평가부
124 노이즈 제거부
125 필터 처리부
126a 간이 현상부
126b 간이 현상부
127 모아레 판정부
128 WDMA 제어기
100 shooting devices
102 Cinematography
104 noise canceling unit
106 interpolation processing unit
108 codec part
110 Ministry of Communications
112 bus
114 control
116 SDRAM
121a RDMA controller
121b RDMA controller
122 Production Reduction Department
123 Noise Evaluator
124 noise canceling unit
125 filter processing unit
126a simple developing unit
126b simple developing unit
127 Moiré Judgment Division
128 WDMA controller

Claims (6)

광학계를 통한 광속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2차원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치된, 필터를 배제한 센서 어레이로부터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현상부;
상기 영상 현상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을 판정하는, 모아레 판정부; 및
상기 모아레 판정부에 의한 모아레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를 제거하는, 모아레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아레 판정부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의 상기 베이어 배열에서 화소 개수가 가장 많은 색인 녹색과, 상기 베이어 배열에서 녹색이 아닌 색인 마젠타의 반복 패턴들에서 차이가 발생된 영역에 대한 패턴의 가파름, 패턴의 변화 정도, 다른 영역에 비하여 크게 다른 색상이 나타난 영역의 여부, 및 연속하는 프레임의 영상들에서 모양의 위치가 틀어진 범위의 크기를 기초로 모아레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영상 처리 장치.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at different timings in time from a sensor array excluding filters,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that receive light through the optical system and photoelectrically convert them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Bayer array, an image developing unit that generates original image data;
a moire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n area in which moire is generated from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developing unit; and
and a moiré removing unit configured to remove moiré from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iré generation region by the moiré determining unit;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The steepness of the pattern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attern for the region where the difference occurs in the repeating patterns of green,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n the Bayer array, and magenta, which is not green, in the Bayer array of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oiré generation region based on whether a region in which a color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is present, and a size of a range in which a shape is displaced in images of successive frame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아레 제거부가 수행하는 모아레 제거 처리는,
상기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원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되는 보간 처리인, 영상 처리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ire removal process performed by the moire removal unit comprises:
and interpolation processing performed on the original image data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광학계를 통한 광속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2차원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치된, 필터를 배제한 센서 어레이로부터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현상 단계;
상기 영상 현상 단계에서 생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을 판정하는, 모아레 판정 단계; 및
상기 모아레 판정 단계에 의한 모아레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를 제거하는, 모아레 제거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아레 판정 단계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의 상기 베이어 배열에서 화소 개수가 가장 많은 색인 녹색과, 상기 베이어 배열에서 녹색이 아닌 색인 마젠타의 반복 패턴들에서 차이가 발생된 영역에 대한 패턴의 가파름, 패턴의 변화 정도, 다른 영역에 비하여 크게 다른 색상이 나타난 영역의 여부, 및 연속하는 프레임의 영상들에서 모양의 위치가 틀어진 범위의 크기를 기초로 모아레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at different timings in time from a sensor array excluding filters,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that receive light through the optical system and photoelectrically convert them are arranged in a two-dimensional Bayer array, an image developing step of generating original image data;
a moire determination step of determining an area in which moire occurs from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in the image developing step; and
a moiré removal step of removing moiré from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iré generation region by the moiré determination step;
The moiré determination step is
The steepness of the pattern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attern for the region where the difference occurs in the repeating patterns of green,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n the Bayer array, and magenta, which is not green, in the Bayer array of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 an image processing method for determining a moiré generation region based on whether a region in which a color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is displayed, and a size of a range in which a shape is displaced in images of successive frames.
광학계를 통한 광속을 수광하여 광전 변환하는 복수의 수광 소자들이 2차원 베이어(bayer) 배열로 배치된, 필터를 배제한 센서 어레이를 구비하는 촬영부;
상기 촬영부로부터 시간적으로 다른 타이밍에 출력되는 적어도 2 개의 영상 신호들을 현상하여,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영상 현상부;
상기 영상 현상부에 의하여 생성된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로부터 모아레(moire)가 발생하는 영역을 판정하는, 모아레 판정부; 및
상기 모아레 판정부에 의한 모아레 발생 영역의 판정 결과에 따라, 상기 영상 신호에 대하여 모아레를 제거하는, 모아레 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아레 판정부는,
상기 적어도 2 개의 원영상 데이터의 상기 베이어 배열에서 화소 개수가 가장 많은 색인 녹색과, 상기 베이어 배열에서 녹색이 아닌 색인 마젠타의 반복 패턴들에서 차이가 발생된 영역에 대한 패턴의 가파름, 패턴의 변화 정도, 다른 영역에 비하여 크게 다른 색상이 나타난 영역의 여부, 및 연속하는 프레임의 영상들에서 모양의 위치가 틀어진 범위의 크기를 기초로 모아레 발생 영역을 판정하는, 촬영 장치.
a photographing unit having a sensor array excluding a filter, in which a plurality of light receiving elements that receive light through an optical system and photoelectrically convert them are disposed in a two-dimensional Bayer array;
an image developing unit which develops at least two image signals output from the photographing unit at different timings to generat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a moire determination unit which determines an area in which moire is generated from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generated by the image developing unit; and
and a moiré removing unit configured to remove moiré from the image signal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moiré generation region by the moiré determining unit;
The moiré determination unit,
The steepness of the pattern and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attern for the region where the difference occurs in the repeating patterns of green, which has the largest number of pixels in the Bayer array, and magenta, which is not green, in the Bayer array of the at least two original image data , a photographing apparatus for determining a moiré generation region based on whether a region in which a color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regions is present, and a size of a range in which a shape is displaced in images of successive frames.
KR1020150172651A 2015-05-26 2015-12-04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41506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06644A JP6626272B2 (en) 2015-05-26 2015-05-26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JP-P-2015-106644 2015-05-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885A KR20160138885A (en) 2016-12-06
KR102415061B1 true KR102415061B1 (en) 2022-06-30

Family

ID=57576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2651A KR102415061B1 (en) 2015-05-26 2015-12-04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626272B2 (en)
KR (1) KR102415061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9699B1 (en) * 2018-12-24 2023-08-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Appratus for generating moire removing model, method for removing moire and imaging device for removing moire
CN111340714B (en) * 2019-08-29 2023-08-08 杭州海康慧影科技有限公司 Moire patter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CN113129389A (en) * 2019-12-30 2021-07-16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Moire pattern judging method, Moire pattern inhibiting method and circuit system
KR102626327B1 (en) * 2022-02-24 2024-01-16 주식회사 오네이로스 Apparatus for removing image moire based on atten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216A (en) * 1999-11-26 2001-06-08 Casio Comput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JP2005328215A (en) * 2004-05-13 2005-11-24 Olympus Corp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9147925A (en) * 2007-11-22 2009-07-02 Nikon Corp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56102B2 (en) 2004-01-20 2010-10-06 ソニー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159461B2 (en) 2008-06-20 2013-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57216A (en) * 1999-11-26 2001-06-08 Casio Comput Co Ltd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method
JP2005328215A (en) * 2004-05-13 2005-11-24 Olympus Corp Image processor and image processing program
JP2009147925A (en) * 2007-11-22 2009-07-02 Nikon Corp Digital camera and digital camera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220176A (en) 2016-12-22
KR20160138885A (en) 2016-12-06
JP6626272B2 (en) 2019-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785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imaging apparatus
KR102415061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JP6757258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and image processing method
US9858644B2 (en) Bayer color filter array based high dynamic range video recording method and device
KR102368222B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KR102314703B1 (en) Joint dictionary generation method for image processing, interlace based high dynamic range imaging apparatus using the joint dictionary and image processing method of the same
JP63205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662248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system, signal processing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JP636673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20160044945A (en) Image photographing appratus
US9621828B2 (en) Imaging apparatus, control method for imag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2015518690A (en) Using depth information to support video coding based on motion compensation
KR10136405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age processing
JPWO2015133130A1 (en) Video imaging device, signal separation device, and video imaging method
JPWO201614313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67376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US11412164B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residual row noise removal
US1034155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467455B2 (en) IMAGING DEVICE, IT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6871795B2 (en) Imaging device, its control method,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CN105450909B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equipment
GB2563627A (en) Image processing
US11595578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sensing apparatus, methods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WO2015156045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capturing device, and image-capturing method
JP2023011342A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s well as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