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874B1 - 포승체 발사장치 - Google Patents

포승체 발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874B1
KR102414874B1 KR1020210165025A KR20210165025A KR102414874B1 KR 102414874 B1 KR102414874 B1 KR 102414874B1 KR 1020210165025 A KR1020210165025 A KR 1020210165025A KR 20210165025 A KR20210165025 A KR 20210165025A KR 102414874 B1 KR102414874 B1 KR 102414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ed gas
coupled
firing
unit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650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상득
Original Assignee
감환경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감환경디자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감환경디자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650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HARMOUR; ARMOURED TURRETS; ARMOURED OR ARMED VEHICLES; MEANS OF ATTACK OR DEFENCE, e.g. CAMOUFLAGE, IN GENERAL
    • F41H13/00Means of attack or defenc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H13/0006Ballistically deployed systems for restraining persons or animals, e.g. ballistically deployed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BWEAPONS FOR PROJECTING MISSILES WITHOUT USE OF EXPLOSIVE OR COMBUSTIBLE PROPELLANT CHARGE; 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41B15/00Weap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nunchakus, throwing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포승체 발사장치에 대해 개시된다. 개시된 포승체 발사장치는,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되, 압축가스 주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포승체(300)를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100);
상기 발사부(100)의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발사부(100)에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부(200);
상기 발사부(100)의 전방 내측에 내장되되 양단에 위치된 바늘(314)이 포증줄로 연결된 포승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포승체 발사장치{A Launcher that Fires a String Used to Tie Up Criminals}
본 발명은 포승체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사스위치를 누르면 잠금상태에 있던 주행부몸체가 잠금 해제되어 발사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고 이와 동시에 제3 격실에 저장된 압축가스는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을 경유하여 제4 격실로 이송되어 포승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한편, 포승체 발사시 헤드부의 무게(W1)가 후방부의 무게(W2) 보다 커서 전방으로 비행시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삽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포승체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고, 발사추의 후단에 결합된 포승줄이 슬롯을 경유하여 헤드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삽입공에서 포승줄에 의한 압력손실을 줄이도록 한 포승체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찰관들은 범인을 생포하기 위하여서는 직접 도망가는 범인을 쫓아가서 잡거나 근거리에서 가스총, 전기충격기 등의 경찰용 장비를 이용하여 생포한다.
이때 직접 쫓아가서 잡는 방법은 도망자가 달리는 속도가 쫓아가는 사람의 속도보다 빠를 때에는 놓치는 경우가 허다하고, 쫓아가 체포하더라도 격투를 하여 잡아야 하므로 경찰관이 부상을 당하는 피해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가스총, 전기충격기 등과 같이 경찰용 장비를 사용하는 경우, 범인이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장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활용되지 못한다.
한편, 도주하는 범인을 제압 및 체포하는 가장 확실한 장비로는 총을 사용한다.
그러나 총은 범인에게 치명적인 상해를 주거나 생명을 잃게 할 수도 있어 그 취급 및 사용이 매우 엄격하고, 제한적이다.
특히 총탄이 범인에게 적중하지 않을 경우 그 유탄에 의하여 시민이 피해를 당할 수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때문에 범인 및 시민이 다치지 않고, 장거리에서도 목표물을 포박 가능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한 실정이다.
종래에 사용되었던 포승체는 비행시 직진성을 가지는 충분한 무게로 이루어 지지 않아, 발사 시 전방으로 비행하는 직진성이 부족하여 포승체의 방향 정확도가 저하되었다.
또한 종래의 발사장치의 경우 화약을 통해 포승체를 발사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취급 및 사용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발사시 높은 열을 동반하므로 사용자에게 부상이 동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설계된 거리까지 포승체가 비행하도록 포승체에 충분한 추진력을 제공하는 한편, 포승체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며 취급이 용이하고 안전성 있는 포승체 발사장치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0-010250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발사스위치를 누르면 잠금상태에 있던 주행부몸체가 잠금 해제되어 발사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고 이와 동시에 제3 격실에 저장된 압축가스는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을 경유하여 제4 격실로 이송되어 포승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승체 발사시 헤드부의 무게(W1)가 후방부의 무게(W2) 보다 커서 전방으로 비행시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포승체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사추의 후단에 결합된 포승줄이 슬롯을 경유하여 헤드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삽입공에서 포승줄에 의한 압력손실을 줄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목표물을 포박하는 포승체를 발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되, 압축가스 주입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포승체를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
상기 발사부의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발사부에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부;
상기 발사부의 전방 내측에 내장되되 양단에 위치된 바늘이 포증줄로 연결된 포승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사부는,
상기 발사부의 전방에 배치되되, 내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승체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탈착 가능한 커버가 결합되는 전방부몸체;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단은 상기 전방부몸체의 후방과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압축가스 주입부와 결합되는 중앙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압축가스 주입부는,
전단이 개구되고 내측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단은 상기 중앙부몸체의 후단과 나사 결합되고 내측에는 압축가스용기가 삽입되는 후방부몸체;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이 형성되되, 중앙에는 압축가스용기의 주입구를 천공하는 천공팁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부몸체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압축가스 관통브라켓;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부몸체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중앙부몸체에 결합시키면 상기 천공팁에 의해 상기 압축가스용기의 주입구가 천공되어 압축가스가 방출되고, 방출된 압축가스는 상기 제1 관통공을 통해 상기 중앙부몸체 및 후방부몸체의 내측 공간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발사부는,
상기 중앙부몸체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사스위치가 당겨지면 상기 중앙부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주행하는 주행부몸체;
상기 중앙부몸체와 주행부몸체 사이에 중앙부몸체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몸체가 발사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발사스프링;
상기 중앙부몸체와 주행부몸체 사이에 중앙부몸체를 둘러싸도록 상기 주행부몸체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후방에 위치한 제1 격실과 전방에 제2 격실로 구획하는 오링;
상기 중앙부몸체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몸체를 선택적으로 잠금 해제시키는 발사스위치;
상기 발사스위치에 결합되어 발사스위치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발사스위치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몸체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격벽에 의해 후방에 위치한 제3 격실과 전방에 위치한 제4 격실로 구획되며, 상기 제3 격실을 이루는 중앙부몸체의 외주면에는 제2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격실을 이루는 중앙부몸체의 외주면에는 제3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발사스위치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오링에 의해 제3 격실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제4 격실로 이송되지 못하고 차단되며,
상기 발사스위치를 누르면, 잠금상태에 있던 상기 주행부몸체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발사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3 격실에 저장된 압축가스는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을 경유하여 제4 격실로 이송되어 상기 포승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전방부몸체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승체를 발사하고자 하는 목표물을 조준하기 위해 상기 목표물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발사장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발사장치를 통해 상기 포승체의 발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포승체는,
전방에는 갈고리 형상의 복수 개의 바늘이 결합되되 소정 직경(D1)과 무게(W1)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직경과 무게 보다 작은 직경(D2)과 무게(W2)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의 후방에 결합된 후방부로 이뤄진 발사추;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승체 발사시 상기 헤드부의 무게(W1)가 후방부의 무게(W2) 보다 커서 전방으로 비행시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후방부의 직경(D2)은 상기 삽입공의 직경(D3)과 같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승체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발사추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사추의 후단에 결합된 포승줄이 상기 슬롯을 경유하여 상기 헤드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삽입공에서 포승줄에 의한 압력손실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는 발사스위치를 누르면 잠금상태에 있던 주행부몸체가 잠금 해제되어 발사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고 이와 동시에 제3 격실에 저장된 압축가스는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을 경유하여 제4 격실로 이송되어 포승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포승체 발사시 헤드부의 무게(W1)가 후방부의 무게(W2) 보다 커서 전방으로 비행시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포승체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사추의 후단에 결합된 포승줄이 슬롯을 경유하여 헤드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삽입공에서 포승줄에 의한 압력손실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몸체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범인이 근거리에 있는 경우에 가스총, 전기충격기 등과 같이 경찰용 장비를 사용하여 제압이 가능할 뿐, 장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활용되지 못한다.
이에 포승체(300)를 발사하여 장거리에 있는 목표물을 제압할 수 있는 포승체 발사장치가 안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의 분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의 A-A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부몸체(110)의 B-B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는 발사부(100), 압축가스 주입부(200), 포승체(30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
종래의 경우 포승체를 발사하는 동력으로 화약을 사용하였다.
그러나 화약은 취급 및 사용이 까다로울 뿐만 아니라, 발사 시 높은 열을 동반하므로 사용자에게 부상이 동반될 우려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화약 대신 압축가스를 사용하여 포승체(300)를 발사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발사부(100)는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된다.
발사부(100)는 압축가스 주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포승체(300)를 전방으로 발사한다.
압축가스 주입부(200)는 발사부(100)의 후방에 결합되어 발사부(100)에 압축가스를 주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는 전방부몸체(110), 중앙부몸체(130), 주행부몸체(120), 후방부몸체(150)로 구분된다.
압축가스 주입부(200)는 후방부몸체(150), 압축가스용기(210), 압축가스 관통브라켓(220), 천공팁(230)으로 구성된다.
후방부몸체(150)는 전단이 개구되고 내측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부몸체(150)의 전단은 중앙부몸체(130)의 후단과 나사 결합되고 내측에는 압축가스용기(210)가 삽입된다.
압축가스용기(210) 내에는 압축가스가 채워져 있으며, 압축가스로는 이산화탄소(CO2)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압축가스는 화약보다 비교적 대기에서 안정적이며, 소량 및 낮은 농도의 이산화탄소는 인체에 무해하다. 때문에 종래의 발사장치에 사용되는 화약보다 취급이 용이하다.
압축가스 관통브라켓(220)에는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222)이 형성된다.
압축가스 관통브라켓(220)의 중앙에는 압축가스용기(210)의 주입구(212)를 천공하는 천공팁(230)이 결합된다.
천공팁(230)의 단부는 압축가스용기(210)의 주입구(212)를 천공시키기 위해 뾰족하게 형성된다.
압축가스 관통브라켓(220)은 중앙부몸체(13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를 이용하여 포승체(300)를 발사시키기 위해서는 후방부몸체(15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중앙부몸체(130)에 결합시킨다.
후방부몸체(150)와 중앙부몸체(130)가 결합되면서 천공팁(230)에 의해 압축가스용기(210)의 주입구(212)가 천공되어 압축가스가 방출된다.
방출된 압축가스는 제1 관통공(222)을 통해 중앙부몸체(130) 및 후방부몸체(150)의 내측 공간부를 채운다.
본 발명은 후방부몸체(150)에 삽입되어 있던 압축가스용기(210)의 주입구(212)를 천공하여 방출된 압축가스가 중앙부몸체(130) 및 후방부몸체(150)의 내측 공간부를 채우도록 만든 다음 발사스위치(170)를 눌러 포승체(300)를 발사시키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발사부(100)의 발사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발사부(100)는 전방부몸체(110), 중앙부몸체(130), 주행부몸체(120), 발사스프링(160), 오링(140), 발사스위치(170), 발사스위치 스프링(180)을 포함한다.
전방부몸체(110)는 발사부(100)의 전방에 배치되며, 전방에는 탈착 가능한 커버(114)가 결합된다.
커버(114)는 포승체(300)가 전방으로 발사될 때 함께 분리되도록 결합된다.
전방부몸체(110)의 내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포승체(3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112)이 형성된다.
삽입공(112)에는 포승체(300)가 삽입되고, 삽입공(112)을 통해 압축가스가 포승체(300)의 후면에서 방출된다.
한 쌍의 삽입공(112)은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는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포승체(300)가 발사되면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행하도록 한다.
중앙부몸체(13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중앙부몸체(130)의 전단은 전방부몸체(110)의 후방과 결합되고, 후단은 후방부몸체(150)와 결합된다.
중앙부몸체(130)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32)에 의해 후방에 위치한 제3 격실(134)과 전방에 위치한 제4 격실(136)로 구획된다.
제3 격실(134)을 이루는 중앙부몸체(130)의 외주면에는 제2 관통공(135)이 형성된다.
제4 격실(136)을 이루는 중앙부몸체(130)의 외주면에는 제3 관통공(137)이 형성된다.
주행부몸체(120)는 중앙부몸체(130)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된다.
주행부몸체(120)는 발사스위치(170)가 당겨지면 중앙부몸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주행한다.
발사스프링(160)은 중앙부몸체(130)와 주행부몸체(120) 사이에 중앙부몸체(130)를 둘러싸도록 결합된다.
발사스프링(160)은 주행부몸체(120)가 발사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오링(140)은 중앙부몸체(130)와 주행부몸체(120) 사이에 중앙부몸체(130)를 둘러싸도록 주행부몸체(120)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오링(140)은 주행부몸체(120)의 내측에 결합되어 후방에 위치한 제1 격실(122)과 전방에 제2 격실(124)로 구획한다.
앞서 압축가스 주입부(200)로부터 방출되어 중앙부몸체(130) 및 후방부몸체(150)의 내측 공간부를 채운 압축가스가 오링(140)에 의해 전방부몸체(110)로 이송되지 못하도록 차단된다.
발사스위치(170)는 중앙부몸체(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주행부몸체(120)를 선택적으로 잠금 해제시킨다.
발사스위치(170)의 단부가 주행부몸체(120)를 붙잡고 있다가, 발사스위치(170)를 누르면 주행부몸체(120)가 잠금 해제되어 전방으로 주행하게 되는 것이다.
잠금상태일 때의 발사스프링(160)은 압축되어 있다가 발사스위치(170)에 의해 주행부몸체(120)가 잠금 해제되면, 발사스프링(160)은 인장되면서 발생되는 탄성력에 의해 주행부몸체(120)가 전방으로 주행한다.
발사스위치 스프링(180)은 발사스위치(170)에 결합되어 발사스위치(17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한다.
도 3(a)는 발사스위치(170)에 의해 주행부몸체(120)가 잠금 상태인 도면을 나타내며, 도 3(b)는 발사스위치(170)에 의해 주행부몸체(120)가 잠금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을 참조하면, 발사스위치(170)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오링(140)에 의해 제3 격실(134)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제4 격실(136)로 이송되지 못하고 차단됨을 알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사스위치(170)를 누르면, 잠금상태에 있던 주행부몸체(120)가 잠금해제되어 발사스프링(160)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된다.
이와 동시에 제3 격실(134)에 저장된 압축가스는 제2 관통공(135)과 제3 관통공(137)을 경유하여 제4 격실(136)로 이송됨으로써 포승체(300)에 추진력을 제공한다.
즉 제1 격실(122) 및 제3 격실(134)을 채우고 있던 압축가스가 주행부몸체(120)가 전방으로 주행하면서 제2 관통공(135)과 제3 관통공(137)과 연통되는 제1 격실(122)을 통해 제3 격실(134)에서 제4 격실(136)로 이송되고, 이송된 압축가스가 삽입공(112)을 통해 포승체(300)의 후면을 밀어내 포승체(300)가 전방으로 발사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는 발사스위치(170)를 누르면 포승체(300)가 압축가스와 함께 방출되어 목표물을 향해 전방으로 발사된다.
한편, 종래에 사용되었던 포승체(300)가 비행시 직진성을 가지는 충분한 무게로 이루어 지지 않아, 발사 시 전방으로 비행하는 직진성이 부족하여 포승체(300)의 방향 정확도가 저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종래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포승체(300)를 개발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300)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포승체(3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300)는 발사추(310), 바늘(314), 포승줄(32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발사추(310)의 전방에는 갈고리 형상의 복수 개의 바늘(314)이 결합된다.
발사추(310)는 헤드부(312)와 후방부(316)로 구분된다.
헤드부(312)는 소정 직경(D1)과 무게(W1)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후방부(316)는 헤드부(312)의 후방에 결합되며, 헤드부의 직경(D1)과 무게(W1) 보다 작은 직경(D2)과 무게(W2)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300)는 발사 시 목표물까지 도달 가능한 비행시 직진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포승체(300)의 전방에 헤드부(312)를 구비하였다.
포승체(300)가 기설정된 무게 이상을 가져야만 비행 시 직진성을 가질 수 있으며, 목표물을 포박하는 경우에도 포승줄(320)이 목표물에 감기도록 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은 포승체(300) 발사 시 헤드부의 무게(W1)가 후방부의 무게(W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전방으로 비행 시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후방부의 직경(D2)은 삽입공(112)의 직경(D3)과 같게 형성된다.
이는 삽입공(11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316)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포승체(300)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만일 삽입공(112)의 직경(D3)에 비해 후방부의 직경(D2)이 매우 작게 형성되어 있다면, 삽입공(11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316)에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발사추(310)와 삽입공(112) 사이의 빈 공간으로도 새어 나가게 된다.
즉 압축가스압력이 포승체(300)의 후면에 모두 작용되어야 포승체(300)가 기설정된 발사거리만큼 비행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316)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후방부의 직경(D2)과 삽입공(112)의 직경(D3)이 같게 형성함으로써 포승체(300)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발사추(310)에는 포승줄(320)이 삽입되는 슬롯(318)이 형성된다.
종래의 경우 포승줄(320)은 발사추(310)와 삽입공(112) 사이의 빈 공간에 적재되었다.
본 발명은 발사추(310)의 후방부의 직경(D2)이 삽입공(112)의 직경(D3)과 동일하게 형성됨으로 인해 포승줄(320)이 삽입 가능하도록 슬롯(318)을 형성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318)은 발사추(3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포승줄(320)은 발사추(310)의 후단에 결합되어 슬롯(318)을 경유하여 헤드부(312)로 노출된다.
슬롯(318)은 포승줄(320)이 삽입 가능한 최소한의 공간부로 형성되어 포승줄(320)로 인한 압축가스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는 삽입공(112)을 통해 방출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이 포승체(300)의 후면에 모두 작용되도록 함으로써, 압축가스의 압력손실을 최소화하고 포승체(300)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승체 발사장치에는 레이저 발사장치(400)가 구비된다.
레이저 발사장치(400)는 전방부몸체(110)의 일측에 결합된다.
레이저 발사장치(400)는 포승체(300)를 발사하고자 하는 목표물을 조준하기 위해 목표물에 레이저를 발사한다.
레이저 발사장치(400)를 온(ON)하여 목표물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포박할 부위를 표시한 다음, 발사부(100)를 통해 해당 부위에 포승체(300)가 발사된다.
본 발명은 레이저 발사장치(400)를 통해 포승체(300)의 발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포승체 발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발사스위치를 누르면 잠금상태에 있던 주행부몸체가 잠금 해제되어 발사스프링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고 이와 동시에 제3 격실에 저장된 압축가스는 제2 관통공과 제3 관통공을 경유하여 제4 격실로 이송되어 포승체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한편, 포승체 발사시 헤드부의 무게(W1)가 후방부의 무게(W2) 보다 커서 전방으로 비행시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삽입공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포승체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고, 발사추의 후단에 결합된 포승줄이 슬롯을 경유하여 헤드부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삽입공에서 포승줄에 의한 압력손실을 줄이도록 한 포승체 발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D1 : 헤드부의 직경
D2 : 후방부의 직경
D3 : 삽입공의 직경
W1 : 헤드부의 무게
W2 : 후방부의 무게
100 : 발사부
110 : 전방부몸체
112 : 삽입공
114 : 커버
120 : 주행부몸체
122 : 제1 격실
124 : 제2 격실
130 : 중앙부몸체
132 : 격벽
134 : 제3 격실
135 : 제2 관통공
136 : 제4 격실
137 : 제3 관통공
140 : 오링
150 : 후방부몸체
160 : 발사스프링
170 : 발사스위치
180 : 발사스위치 스프링
200 : 압축가스 주입부
210 : 압축가스용기
212 : 압축가스용기의 주입구
220 : 압축가스 관통브라켓
222 : 제1 관통공
230 : 천공팁
300 : 포승체
310 : 발사추
312 : 헤드부
314 : 바늘
316 : 후방부
318 : 슬롯
320 : 포승줄
400 : 레이저 발사장치

Claims (8)

  1. 수용 가능한 내부 공간부가 형성되되, 압축가스 주입부(20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가스의 압력에 의해 포승체(300)를 전방으로 발사하는 발사부(100);
    상기 발사부(100)의 후방에 결합되되 상기 발사부(100)에 압축가스를 주입하는 압축가스 주입부(200);
    상기 발사부(100)의 전방 내측에 내장되되 양단에 위치된 바늘(314)이 포증줄로 연결된 포승체(3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사부(100)는,
    상기 발사부(100)의 전방에 배치되되, 내부에는 소정 간격 이격되어 상기 포승체(300)가 삽입되는 한 쌍의 삽입공(112)이 형성되며, 전방에는 탈착 가능한 커버(114)가 결합되는 전방부몸체(110);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단은 상기 전방부몸체(110)의 후방과 결합되고 후단은 상기 압축가스 주입부(200)와 결합되는 중앙부몸체(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발사부(100)는,
    상기 중앙부몸체(130)를 둘러싸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발사스위치(170)가 당겨지면 상기 중앙부몸체(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방으로 주행하는 주행부몸체(120);
    상기 중앙부몸체(130)와 주행부몸체(120) 사이에 중앙부몸체(130)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몸체(120)가 발사 가능하도록 전방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발사스프링(160);
    상기 중앙부몸체(130)와 주행부몸체(120) 사이에 중앙부몸체(130)를 둘러싸도록 상기 주행부몸체(120)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후방에 위치한 제1 격실(122)과 전방에 제2 격실(124)로 구획하는 오링(140);
    상기 중앙부몸체(130)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주행부몸체(120)를 선택적으로 잠금 해제시키는 발사스위치(170);
    상기 발사스위치(170)에 결합되어 발사스위치(170)의 잠금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탄성력을 제공하는 발사스위치 스프링(1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중앙부몸체(130)는 내측에 폭방향으로 형성된 격벽(132)에 의해 후방에 위치한 제3 격실(134)과 전방에 위치한 제4 격실(136)로 구획되며, 상기 제3 격실(134)을 이루는 중앙부몸체(130)의 외주면에는 제2 관통공(135)이 형성되고, 상기 제4 격실(136)을 이루는 중앙부몸체(130)의 외주면에는 제3 관통공(137)이 형성되며,
    상기 발사스위치(170)가 잠금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오링(140)에 의해 제3 격실(134)에 저장된 압축가스가 제4 격실(136)로 이송되지 못하고 차단되며,
    상기 발사스위치(170)를 누르면, 잠금상태에 있던 상기 주행부몸체(120)가 잠금 해제되어 상기 발사스프링(160)에 의해 전방으로 발사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제3 격실(134)에 저장된 압축가스는 제2 관통공(135)과 제3 관통공(137)을 경유하여 제4 격실(136)로 이송되어 상기 포승체(300)에 추진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승체 발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가스 주입부(200)는,
    전단이 개구되고 내측 공간부가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전단은 상기 중앙부몸체(130)의 후단과 나사 결합되고 내측에는 압축가스용기(210)가 삽입되는 후방부몸체(150);
    하나 이상의 제1 관통공(222)이 형성되되, 중앙에는 압축가스용기(210)의 주입구(212)를 천공하는 천공팁(230)이 결합되고 상기 중앙부몸체(130)의 내측에 형성된 단턱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압축가스 관통브라켓(220);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부몸체(150)를 소정 각도로 회전하여 상기 중앙부몸체(130)에 결합시키면 상기 천공팁(230)에 의해 상기 압축가스용기(210)의 주입구(212)가 천공되어 압축가스가 방출되고, 방출된 압축가스는 상기 제1 관통공(222)을 통해 상기 중앙부몸체(130) 및 후방부몸체(150)의 내측 공간부를 채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승체 발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부몸체(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포승체(300)를 발사하고자 하는 목표물을 조준하기 위해 상기 목표물에 레이저를 발사하는 레이저 발사장치(4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레이저 발사장치(400)를 통해 상기 포승체(300)의 발사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승체 발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승체(300)는,
    전방에는 갈고리 형상의 복수 개의 바늘(314)이 결합되되 소정 직경(D1)과 무게(W1)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 헤드부(312)와, 상기 헤드부의 직경(D1)과 무게(W1) 보다 작은 직경(D2)과 무게(W2)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312)의 후방에 결합된 후방부(316)로 이뤄진 발사추(310);를 더 포함하며,
    상기 포승체(300) 발사시 상기 헤드부의 무게(W1)가 후방부의 무게(W2) 보다 커서 전방으로 비행시 직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승체 발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부의 직경(D2)은 상기 삽입공(112)의 직경(D3)과 같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112)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가스압력이 후방부(316)의 후면에 모두 작용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포승체(300)의 유효 발사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승체 발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사추(310)의 외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롯(318);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발사추(310)의 후단에 결합된 포승줄(320)이 상기 슬롯(318)을 경유하여 상기 헤드부(312)로 노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삽입공(112)에서 포승줄(320)에 의한 압력손실을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승체 발사장치
KR1020210165025A 2021-11-26 2021-11-26 포승체 발사장치 KR102414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025A KR102414874B1 (ko) 2021-11-26 2021-11-26 포승체 발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65025A KR102414874B1 (ko) 2021-11-26 2021-11-26 포승체 발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874B1 true KR102414874B1 (ko) 2022-06-30

Family

ID=822149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65025A KR102414874B1 (ko) 2021-11-26 2021-11-26 포승체 발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87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261B1 (en) * 1999-05-21 2001-06-12 David A. West, Jr. Line installation tool
KR20100102504A (ko) 2009-03-11 2010-09-24 김일열 범죄자를 포박, 검거할 수 있는 호신용 거미줄 총
US8857305B1 (en) * 2013-10-26 2014-10-14 STARJET Technologies Co., Ltd Rope projection device
KR20190011233A (ko) * 2016-03-25 2019-02-01 랩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결박용 발사체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4261B1 (en) * 1999-05-21 2001-06-12 David A. West, Jr. Line installation tool
KR20100102504A (ko) 2009-03-11 2010-09-24 김일열 범죄자를 포박, 검거할 수 있는 호신용 거미줄 총
US8857305B1 (en) * 2013-10-26 2014-10-14 STARJET Technologies Co., Ltd Rope projection device
KR20190011233A (ko) * 2016-03-25 2019-02-01 랩 테크놀로지스, 인코포레이티드 결박용 발사체 및 이를 이용하기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9609A (en) Automatic feed marking pellet gun
US7143539B2 (en) Electric discharge weapon
US7409912B2 (en) Systems and methods having a power supply in place of a round of ammunition
US8430086B2 (en) Non-lethal pistol
US9976838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isarming an explosive device
US8701325B1 (en) Duplex weapon system
US9080830B2 (en) Dart gun
US20070163164A1 (en) Holster for carrying or wearing smallarms
US8485101B2 (en) Reusable grenade
US9103623B2 (en) Cartridge gas energized gun for arrows, darts and the like
CN109477707B (zh) 缠结抛射体及用于其用途的系统
KR102414874B1 (ko) 포승체 발사장치
US11674778B1 (en) Projectile entangling device, cartridge and method
US6241634B1 (en) Self-propelled arrow
US2777391A (en) Jet dart
KR101545047B1 (ko) 범인 포획용 공기총
KR101592394B1 (ko) 액체탄
US11906260B2 (en) Compressed gas rocket dart for personal protection
KR101804390B1 (ko) 대인 저지용 비살상 탄환 발사기
CN216132345U (zh) 一种催泪弹发射枪
RU116218U1 (ru) Патрон специальный (варианты)
JP7379080B2 (ja) 捕獲装置
KR100562026B1 (ko) 화약의 압력을 이용한 다목적 인명 구조장치
CN212300094U (zh) 一种改进型转轮套索枪
JPH11193999A (ja) 模擬砲弾発射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