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741B1 -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 Google Patents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741B1
KR102414741B1 KR1020200001778A KR20200001778A KR102414741B1 KR 102414741 B1 KR102414741 B1 KR 102414741B1 KR 1020200001778 A KR1020200001778 A KR 1020200001778A KR 20200001778 A KR20200001778 A KR 20200001778A KR 102414741 B1 KR102414741 B1 KR 102414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ing device
measured
ec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17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88821A (en
Inventor
정종욱
이창호
이방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티센스
Priority to KR1020200001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741B1/en
Publication of KR20210088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88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74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25Bioelectric electrodes therefor
    • A61B5/276Protection against electrode fail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6ECG or EEG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18Heart-related electrical modalities, e.g. electrocardiography [ECG]
    • A61B5/332Portable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68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 A61B5/6801Arrangements of 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means, e.g. sensors, in relation to patient specially adapted to be attached to or worn on the body surface
    • A61B5/683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 A61B5/6832Means for maintaining contact with the body using adhesives
    • A61B5/6833Adhesive pat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2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physiological signals or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7221Determining signal validity, reliability or qua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04Operational features of power manag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sychiat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ardiology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심전도 측정기기; 및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심전도 측정이 개시되면,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한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d a firs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ECG measuring device transmits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ing device to the first device when the ECG measurement is started and, the first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Description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심전도 데이터를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는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measuring an electrocardiogram having a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d a method for measur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having a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electrocardiogram data to an external device.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는, ECG(Electrocardiogram) 전극의 갯수가 제한적이다. 예를 들면, 2개의 전극으로 하나의 채널을 구성하는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도 있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병원의 입원 환자가 사용하는 홀터(Holter)형 심전도 측정기기는 12개의 전극이 있고, 목걸이용 심전도 측정기기는 3개 내지 5개의 전극이 있다.The patch-type electrocardiogram device has a limited number of ECG (Electrocardiogram) electrodes. For example, there is also a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hat constitutes one channel with two electrodes. However, in general, a Holter-type electrocardiogram used by inpatients in a hospital has 12 electrodes, and an electrocardiogram for a necklace has 3 to 5 electrodes.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사용할 경우,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의 제한된 전극의 갯수로 인해, 환자의 심장 질환의 위치와 같은 관찰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패치를 붙이는 위치를 결정해야 한다. When using a patch-type ECG, the location of the patch must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cation to be observed, such as the location of a patient's heart disease, due to the limited number of electrodes of the patch-type ECG.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84950호 : 심전도 측정용 전극패치 및 이를 이용한 심전도 측정장치(2012년 07월 31일 공개).Korean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2-0084950: Electrode patch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using same (published on July 31, 2012).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목적이 있는 발명으로서,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의 패치가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었는 지 여부를 쉽게 모니터링할 수 있는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the purpose of solving the technic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n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a patch-type ECG measurement device that can easily monitor whether the patch of the patch-type ECG measurement device is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and The purpose is to provide the measurement method.

본 발명의 심전도 측정 시스템은, 심전도 측정기기; 및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심전도 측정이 개시되면,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d a firs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ing device, wherein the ECG measuring device transmits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ing device to the first device when the ECG measurement is started It is characterized by transmitting.

아울러,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 해당 판단 신호를 전송;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부터의 심전도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 또는,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을 중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receiv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received ECG data is normal, the first device transmits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CG measuring device; stop receiv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r, stop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t is characterized by carrying out at least one of.

바람직하게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판단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한 결과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 및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값;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Preferably, after receiving the determination signal that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is normal, the ECG measurement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ement device is norm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and a decision request signal for whether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normal may include: a capacitance value between an electrode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d the skin; an impedance value between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lternatively,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At least one of them can be used.

또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ay select a device to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by using the provided battery power remaining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disconnects the connection when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value, and stores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the internal memory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do.

아울러,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when changing a device for storing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internal memory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o the other device, on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simultaneously stored in th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본 발명의 심전도 측정 방법은, (a) 심전도 측정기기가 심전도 측정을 개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제 1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및 (c)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a) starting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by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b) transmitting,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to a first device after step (a); and (c) determining, by the first device, whether the received ECG data is normal.

아울러, 본 발명의 심전도 측정 방법은, 상기 (c) 단계에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d)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 해당 판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 1 디바이스가,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부터의 심전도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하는 단계; 또는, (f)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을 중지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n step (c), (d) transmitting, by the first device,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e) stopping, by the first device, receiv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r, (f) stopping, by the first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ECG data is normal;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또한, 본 발명의 심전도 측정 방법은, (g)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판단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한 결과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 및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값;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g) aft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receives a determination signal that determines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is normal,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easures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measured ECG data is normal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ECG data is normal, transmitting the measured ECG data and a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as to whether the measured ECG data is normal to the first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do. 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normal may include: a capacitance value between an electrode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d the skin; an impedance value between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lternatively,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At least one of them can be used.

아울러, 본 발명의 심전도 측정 방법은, (h)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h) selecting,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 device to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by using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nformation.

구체적으로, 상기 (h) 단계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pecifically, the step (h) may includ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value,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and sto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an internal memory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아울러, 본 발명의 심전도 측정 방법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stores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internal memory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o the other device, when changing a device, Simultaneously sto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on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for a preset period of tim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본 발명의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에 따르면,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의 패치가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었는 지 여부를 쉽게 모니터링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having the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asuring method thereof, it is also possible to easily monitor whether the patch of the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attached to the correct position.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0)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기기(10)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20)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30)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3 디바이스(40)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100 having a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device 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device 3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lock diagram of a third device 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 및 그 측정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having a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measuring method thereof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Of course, the following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or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o embody the present invention. What can be easily inferred by an expe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ed as belonging 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First, FIG. 1 shows the configuration of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100 having a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 시스템(100)은, 심전도 측정기기(10), 제 1 디바이스(20), 제 2 디바이스(30) 및 제 3 디바이스(40)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from FIG. 1 ,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10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a first device 20 , a second device 30 , and a third device. (40).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기기(1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Figure 2 shows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심전도 측정기기(10)는 다수의 전극(E1), 제 1 메모리(11), 데이터 처리부(12), 제 1 프로세서(13), 제 1 통신부(14) 및 채널 연결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2 ,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ncludes a plurality of electrodes E1 , a first memory 11 , a data processing unit 12 , a first processor 13 , a first communication unit 14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hannel connection unit (15).

심전도 측정기기(10)는, 형상이 패치형으로, 인체에 부착하여 다수의 전극(E1)에 의해 1 채널 이상의 심전도 데이터를 측정할 수 있다. 아울러,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외부 전극(E2)에 의해 측정된 1 채널 이상의 심전도 측정 데이터를 채널 연결부(15)를 통해 입력받는 것에 의해 심전도 측정 채널 수의 확장이 가능하다. 채널 연결부(15)로는, 외부 전극(E2)에 의한 측정 데이터를 데이터 처리부(12)의 입력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입력 단자의 형태를 예로 들 수 있다.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has a patch-like shape, is attached to the human body, and can measure electrocardiogram data of one or more channels by using a plurality of electrodes E1 . In addition, the ECG measurement device 10 can expand the number of ECG measurement channels by receiving ECG measurement data of one or more channels measured by the external electrode E2 through the channel connection unit 15 . As the channel connection unit 15 , a shape of an input terminal that allows measurement data by the external electrode E2 to be used as an input of the data processing unit 12 may be exemplified.

심전도 측정기기(10) 자체의 전극(E1) 또는 외부 전극(E2)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는 데이터 처리부(12)에 의해 증폭되고,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이를 위해 데이터 처리부(12)는, 증폭기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de E1 or the external electrode E2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tself is amplified by the data processing unit 12 and converted into a digital signal. For this purpose, the data processing unit 12 preferably includes an amplifier and an analog-to-digital converter.

아울러, 데이터 처리부(12)로부터 출력된 심전도 데이터는 제 1 프로세서(13)에 의해 심전도 데이터가 측정된 시간 정보, 즉, 타임-스탬프(Time-Stamp)가 삽입되어 제 1 통신부(14)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게 된다.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제 1 통신부(14)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로 심전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고,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는 편의상 심전도 데이터로만 설명하였지만, 데이터와 함께 필요한 제어신호가 포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아울러, 제 1 통신부(14)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electrocardiogram data output from the data processing unit 12 , information about the time at which the electrocardiogram data was measured by the first processor 13 , that is, a time-stamp is inserted, and then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 .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may transmit electrocardiogram data to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 and may receive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Although only ECG data has been described here for convenience, it is natural that necessary control signals may be included along with the data. In addition, the first communication unit 14 may include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는 심전도 측정기기(10)의 내부 메모리인 제 1 메모리(11)에 저장될 수 있다.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may be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 which is an internal memory of the electrocardiographic measuring device 10 .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1 디바이스(2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3 is a block diagram of a first device 2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디바이스(20)는, 제 2 메모리(21), 제 2 프로세서(22) 및 제 2 통신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디바이스(20)는 스마트폰, 태블릿피씨 등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3 , the first device 20 may include a second memory 21 , a second processor 22 , and a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 For example, the first device 20 may be implemented using a mobile terminal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PC.

제 2 메모리(21)는, 심전도 측정기기(10)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 1 디바이스(20)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제 2 프로세서(22)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 제 2 프로세서(22)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시되면, 제 2 메모리(21)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고, 제 1 디바이스(2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e second memory 21 may stor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An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in the first device 20 , and the second processor 22 may execute the application program.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by the second processor 22 , the ECG data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 may be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first device 20 .

아울러, 제 2 통신부(23)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부(23)는, 제 1 통신 방법에 의해 심전도 측정기기(10) 및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구체적으로, 제 2 통신부(23)는 제 1 통신 방법에 의해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제 1 통신 방법은 BLE 통신을 예로 들 수 있다. 제 2 통신부(23)에 의해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는 제 2 메모리(21)에 저장되게 된다.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는, 심전도 데이터가 측정된 시간 정보, 즉, 타임-스탬프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may include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enables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nd other external devices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Specificall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may receive the ECG data from the ECG measuring device 10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may be BLE communication as an example. The electrocardiogram data received by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 . The electrocardiogram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ncludes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ctrocardiogram data was measured, that is, a time-stamp inserted therein.

아울러 제 2 통신부(23)는, 제 1 통신 방법이 아닌 무선 혹은 유선 통신 방법에 의해 심전도 측정기기(10) 및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 2 통신부(23)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제 2 디바이스(30)와 제 1 디바이스(20)가 제 1 디바이스(20)의 USB 단자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제 2 디바이스(30)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제 2 디바이스(30)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제 2 통신부(23)를 통해 또는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심전도 측정기기(10)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심전도 데이터는 제 2 메모리(21)에 저장되게 된다.In addition,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enables data transmission/reception betwe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nd other external devices by a wireless or wired communication method oth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may use Wi-Fi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second device 30 and the first device 20 are directly connected through a USB terminal of the first device 20 to input data from the second device 30 or the second device 30 ) to output the data. ECG data input from the ECG measuring device 10 or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second communication unit 23 or through a direct connection is stored in the second memory 21 .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2 디바이스(3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4 is a block diagram of a second device 3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디바이스(30)는, 제 3 메모리(31), 제 3 프로세서(32) 및 제 3 통신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2 디바이스(30)는 동글(Dongle) 형태의 메모리에 통신 기능을 탑재하여 소형화된 디바이스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s can be seen from FIG. 4 , the second device 30 may include a third memory 31 , a third processor 32 , and a third communication unit 33 . For example, the second device 30 is preferably implemented as a miniaturized device by mounting a communication function in a dongle-type memory.

제 3 메모리(31)는, 심전도 측정기기(10)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 3 프로세서(32)는 심전도 데이터의 처리 등을 실시할 수 있다.The third memory 31 may stor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The third processor 32 may process the electrocardiogram data or the like.

제 3 통신부(33)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통신부(33)는, 제 1 통신 방법에 의해 심전도 측정기기(10)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 3 통신부(33)는 제 1 통신 방법에 의해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제 1 통신 방법은 BLE 통신을 예로 들 수 있다. 제 3 통신부(33)에 의해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는 제 3 메모리(31)에 저장되게 된다.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는, 심전도 데이터가 측정된 시간 정보, 즉, 타임-스탬프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 may include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 enables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or an external device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 receives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by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may be BLE communication as an example. The electrocardiogram data received by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 is stored in the third memory 31 . The electrocardiogram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ncludes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ctrocardiogram data was measured, that is, a time-stamp inserted therein.

아울러 제 3 통신부(33)는, 제 1 통신 방법이 아닌 무선 통신 방법에 의해 심전도 측정기기(10)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의 송수신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 3 통신부(33)는 와이파이(Wifi) 통신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제 2 디바이스(30)와 제 1 디바이스(20)가 제 1 디바이스(20)의 USB 단자 등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것에 의해 제 2 디바이스(30)로 데이터를 송수신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 enables transmission and reception of data with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or an external device by a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other than the first communication method. For example, the third communication unit 33 may use Wi-Fi communication. Of course, data can be transmitted/received to and from the second device 30 by directly connecting the second device 30 and the first device 20 through a USB terminal of the first device 20 .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제 3 디바이스(4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5 is a block diagram of a third device 40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3 디바이스(40)는, 제 4 메모리(41), 제 4 프로세서(42) 및 제 4 통신부(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3 디바이스(40)는, 서버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As can be seen from FIG. 5 , the third device 40 may include a fourth memory 41 , a fourth processor 42 , and a fourth communication unit 43 . For example, the third device 40 may be implemented using a server.

제 4 메모리(41)는, 심전도 측정기기(10)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제 3 디바이스(40)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제 4 프로세서(42)는 해당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실시할 수 있다. 제 4 프로세서(42)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실시되면, 제 4 메모리(41)에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가 처리될 수 있고, 제 3 디바이스(40)의 화면에 표시될 수 있다.The fourth memory 41 may stor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An application program is installed in the third device 40 , and the fourth processor 42 may execute the application program. When the application program is executed by the fourth processor 42 , the ECG data stored in the fourth memory 41 may be processed and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third device 40 .

제 4 통신부(43)는 다양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4 통신부(43)는, 심전도 측정기기(10) 또는 외부 디바이스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면, 제 4 통신부(43)는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제 4 통신부(43)에 의해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는 제 4 메모리(41)에 저장되게 된다.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는, 심전도 데이터가 측정된 시간 정보, 즉, 타임-스탬프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 may include various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s. For example,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 enables data transmission/reception with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or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 receives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The electrocardiogram data received by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 is stored in the fourth memory 41 . The electrocardiogram data receiv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ncludes time information at which the electrocardiogram data was measured, that is, a time-stamp inserted therein.

또한, 제 4 통신부(43)를 통해 또는 직접적인 연결을 통해 심전도 측정기기(10)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입력된 심전도 데이터는 제 4 메모리(41)에 저장되게 된다.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data input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or an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ourth communication unit 43 or through direct connection is stored in the fourth memory 41 .

하기에 심전도 측정기기(10)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처리 방법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of process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해 심전도 측정이 개시되면,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제 1 디바이스(20)로 전송한다. 아울러,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제 2 디바이스(30) 또는 제 3 디바이스(40)로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해 심전도 측정이 개시되면, 제 1 메모리(11)에도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CG measurement is started by the ECG measurement device 10 , the ECG measurement device 10 transmits the measured ECG data to the first device 20 . 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may transmit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to the second device 30 or the third device 40 . In addition, wh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is start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it is preferable that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also stored in the first memory 11 .

또한, 제 1 디바이스(20)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여, 해당 판단 신호를 심전도 측정기기(10)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device 20 determines whether the measured ECG data is normal and transmits the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CG measuring device 10 .

구체적으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는, PQRST파 중 모든 파의 존재 여부, PQRST파의 순서가 바른 지 여부, PQRST파의 모양이 바른 지(혹은 일정한지) 여부, QRS파의 인터벌이 일정한지 여부, 심전도 신호의 주기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 등을 이용하여, 제 2 프로세서(22)에 의해 판단될 수 있다. Specifically,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s determined whether all of the PQRST waves are present, whether the order of the PQRST waves is correct, whether the shape of the PQRST waves is correct (or constant), and whether the interval of the QRS waves is constant. , whether the cycle of the electrocardiogram signal is within a specified range may be determined by the second processor 22 .

심전도 측정기기(10)는 판단 신호를 수신하여, 촉각, 청각 또는 시각적 효과에 의해 해당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심전도 측정기기(10)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비정상으로 표시된 경우, 사용자는 패치의 부착 위치 등을 변경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receives the determination signal and displays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tactile, auditory, or visual effects. If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s displayed as abnormal, the user may change the attachment position of the patch and the like.

또한, 제 1 디바이스(20)는,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심전도 측정기기(10)로 해당 판단 신호를 전송하고,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을 중지할 수 있다. 물론, 설정에 따라서는, 제 1 디바이스(20)는,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의 데이터 수신은 계속하더라도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 여부의 판단을 중지할 수도 있다. 즉, 제 1 디바이스(20)는,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심전도 측정기기(10)로 해당 판단 신호를 전송;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의 심전도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을 중지; 중 하나를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한 불필요한 처리를 억제할 수 있다. Also,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the first device 20 may transmit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nd stop receiving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phic measuring device 10 . Of course, depending on the setting,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the first device 20 may stop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even if data reception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continues. That is,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CG data is normal, the first device 20 transmits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CG measuring device 10 ; stop receiv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lternativel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s stopped; It is preferable to do one of them. Thereby, unnecessary processing by the first device 20 can be suppressed.

아울러, 제 1 디바이스(20)는,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한 심전도 측정기기(10)의 정상 여부의 판단 결과 및/또는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한 심전도 측정기기(10)의 정상 여부의 판단 결과를 촉각, 청각 또는 시각적 효과에 의해 해당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device 20 determines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by the first device 20 is normal and/or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s normal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It is preferable to indicate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by tactile, auditory or visual effects as a result of the judgment.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신호를 수신하면, 판단에 사용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측정 시간 정보를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에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신호에는 판단에 사용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측정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receives a determination signal as to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20 is normal,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of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used for the determination is displayed on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t is preferable That is, the determination signal for whether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20 is normal may include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of the measured ECG data used for determination.

또한,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판단 신호를 수신한 이후,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한 결과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 및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물론,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로부터 해당 판단 신호의 수신 여부에 상관없이, 계속적으로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고, 해당 정보를 심전도 측정기기(10) 자체에 표시하거나, 제 1 디바이스(20)를 비롯한 외부 디바이스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fter receiving the determination signal that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20 is normal, the ECG measuring device 10 determines whether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ing device 10 is norm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bnormality is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the measured ECG data and a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regarding whether the measured ECG data is normal may be transmitted. Of course, the ECG measurement device 10 continuously determines whether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ement device 10 is normal, regardless of whether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20 . may be determined, and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tself, o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may be transmitted to an external device including the first device 20 .

구체적으로,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심전도 측정기기(10)에 구비된 전극(E1)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 심전도 측정기기(10)에 구비된 전극(E1) 사이의 임피던스값;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참고로, 전극(E1)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은 커패시턴스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고, 전극(E1) 사이의 임피던스값은 임피던스 센서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s normal may include: a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E1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nd the skin; an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s E1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lternatively,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At least one of them can be used. For reference, a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E1 and the skin may be measured using a capacitance sensor, and an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s E1 may be measured using an impedance sensor.

최초로 피검자에게 패치를 부착 시에,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10)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스마트폰과 같은 모니터링 기기인 제 1 디바이스(20)에 전달한다. 아울러, 일단 패치의 위치가 결정되면, 심전도 측정기기(10)에서 또 다른 저장하는 장치인 제 3 디바이스(40) 등으로 심전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즉, 심전도 측정기기(10)를 사용 중에도 심전도 데이터가 비정상임이 판단되면, 측정 개시시와 동일한 동작을 제 1 디바이스(20)가 실시할 수 있도록 한다. 비정상적인 경우로, 패치의 부착이 불량하거나, 물과 같은 불순물이 피부와 패치의 전극(E1)에 들어가는 경우이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경우, 심전도 측정기기(10)에 구비된 전극(E1)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이나 심전도 측정기기(10)에 구비된 전극(E1) 사이의 임피던스값은 정상적인 경우와 다르게 나타나게 되는 데, 이를 이용하여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를 이용하여,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즉, 정상적인 상황에서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유사한 심전도 데이터가 측정되면 해당 심전도 데이터는 정상으로, 비유사하면 비정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심전도 데이터의 유사 여부는, 심전도 데이터의 세기, 주기, QRS파의 인터벌 등의 비교를 통해 판단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제 2 프로세서(22)에 의한 판단과 동일하게,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는, PQRST파 중 모든 파의 존재 여부, PQRST파의 순서가 바른 지 여부, PQRST파의 모양이 바른 지(혹은 일정한지) 여부, QRS파의 인터벌이 일정한지 여부, 심전도 신호의 주기가 지정된 범위 이내인지 여부 등을 이용하여,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해 판단될 수도 있다. When the patch is attached to the subject for the first time,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s transmitted to the first device 20, which is a monitoring device such as a smartphone. In addition, once the location of the patch is determined, the electrocardiogram data may be transmitted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to the third device 40 which is another storage device. That is,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ECG data is abnormal even while the ECG measuring device 10 is being used, the first device 20 may perform the same operation as when the measurement is started. As an abnormal case, the patch adhesion is poor or impurities such as water enter the skin and the electrode E1 of the patch. In such an abnormal case, the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E1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device 10 and the skin or the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E1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ppears different from the normal case, Using this,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can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may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by using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the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That is, when electrocardiogram data similar to previously 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measured under normal circumstances, the electrocardiogram data may be determined to be normal, and if it is dissimilar, it may be determined to be abnormal. The similarity of the electrocardiogram data may be determined by comparing the intensity, period, and interval of the QRS wave of the electrocardiogram data. Of course, as determined by the second processor 22,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depends on whether all waves among the PQRST waves are present, whether the order of the PQRST waves is correct, and whether the shape of the PQRST waves is correct (or constant). ), whether the interval of the QRS wave is constant, whether the cycle of the ECG signal is within a specified range, etc., may be determined by the ECG measuring device 10 .

참고로,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주로 패치의 부착 불량 등의 물리적 결함에 대해 실시되며,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심전도 데이터의 파형의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실시될 수 있다. 아울러,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도 심전도 데이터의 파형의 알고리즘 분석을 통해 실시될 수도 있다.For reference,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CG data is normal by the ECG measuring device 10 is mainly performed for physical defects such as poor patch attachment, and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CG data is normal by the first device 20 is It can be carried out through algorithmic analysis of the waveform of the data. In addition,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may also be performed through algorithm analysis of a waveform of the electrocardiogram data.

아울러, 심전도 측정기기(10)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may select a device in which to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using the provided battery power remaining information.

예를 들면,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제 1 디바이스(20), 제 2 디바이스(30) 및 제 3 디바이스(40)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 제 1 메모리(11)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이다가 충전에 의해 제 1 값을 초과하는 경우, 먼저 제 1 디바이스(20)와의 연결을 통해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받은 이후,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이다가 충전에 의해 제 1 값을 초과하는 경우, 마지막으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도록 심전도 측정기기(10)를 설정해 둘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ovided battery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value, when connected to external devices such as the first device 20 , the second device 30 , and the third device 40 , the connection is released, and the second device 40 is disconnected. 1 It is preferable to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the memory 11 . 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ovided battery power exceeds the first valu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is maintained. 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value and exceeds the first value by charging, it is first determined whether the ECG data is normal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device 20 , and then another external device It would be desirable to try to connect with . Alternatively,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ovided battery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value and exceeds the first value by charging, the ECG measuring device 10 may be set to be connected to the last connected external device.

또한, 심전도 측정기기(10)가 중계기를 통해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경우, 연결이 가능한 다수의 중계기 중 신호의 수신 감도가 가장 양호한 중계기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communicates with an external device through a repeater,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repeater having the best signal reception sensitivity among a plurality of connectable repeaters.

아울러,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제 1 메모리(11)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 1 메모리(11)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거나,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외부 디바이스로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거나,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제 1 메모리(11)로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when changing a device for storing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first memory 11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the other device, for a preset period of time It is preferable to simultaneously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on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That is, a device for storage is changed from the first memory 11 to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a device for storage is changed from one external device to another external device, or from one external device to the first memory 11 . You can change the storage device.

아울러, 심전도 측정기기(10)는, 제 1 메모리(11)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의 손실 및 추후의 데이터의 결합을 쉽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when changing a device for storing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first memory 11 and the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the other device, one By simultaneously sto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th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it is possible to easily lose data and to combine data later.

또한, 제 1 메모리(11)의 잔량이 제 2 값 이하 또는 메모리 전체 용량 중 제 3 비율 이하인 경우, 제 1 메모리(11)의 데이터를 미리 설정된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memory 11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second value or less than the third ratio of the total capacity of the memory, it is preferable to transmit the data of the first memory 11 to a preset external device.

하기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상술한 본 발명의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10)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0)을 이용하므로, 별도의 설명이 없더라도 심전도 측정 시스템(100)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고 있음은 물론이다.Since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100 having the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ana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100 Of course, it includes all the features of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패치형의 심전도 측정기기(10)가 심전도 측정을 개시하는 단계(S10); 심전도 측정기기(10)가 제 1 디바이스(20)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20); 제 1 디바이스(20)가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30); 및 심전도 측정기기(10)가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신호를 수신하면, 판단에 사용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측정 시간 정보를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에 표시하는 단계(S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steps of starting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by the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S10);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transmitt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to the first device 20 (S20); determining, by the first device 20, whether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S30); and wh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receives a determination signal as to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20 is normal, measurement time information of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used for the determination is displayed on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Step (S40);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S30 단계에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가 심전도 측정기기(10)로 해당 판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50); 제 1 디바이스(20)가 심전도 측정기기(10)로부터의 심전도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하는 단계(S60); 또는, 제 1 디바이스(20)가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을 중지하는 단계(S70);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in step S30 , the first device 20 transmits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 (S50); Stopping, by the first device 20, receiv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S60); Alternatively, the first device 20 stopping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measured ECG data is normal (S70);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측정기기(10)가 제 1 디바이스(2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판단 신호를 수신한 이후, 심전도 측정기기(10)가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한 결과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 1 디바이스(20)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 및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S80); 및 심전도 측정기기(10)가,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S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receives the determination signal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20 is normal,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s normal as a result of determining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20 and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are normal transmitting a decision request signal (S80); and selecting,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 device in which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to be stored by using the provided battery power remaining information (S90).

S80 단계에서,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의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심전도 측정기기(10)에 구비된 전극(E1)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 심전도 측정기기(10)에 구비된 전극(E1) 사이의 임피던스값;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In step S80 ,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is normal may include: a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E1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nd the skin; an imped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s E1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Alternatively, the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At least one of them can be used.

S90 단계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 제 1 메모리(11)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S9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Step S90 include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value,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to the external device and sto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the first memory 11 (S91); characterized.

아울러, S90 단계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을 초과하는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의 연결을 유지하는 단계(S9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S80 단계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이다가 충전에 의해 제 1 값을 초과하는 경우, 먼저 제 1 디바이스(20)와의 연결을 통해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받은 이후, 다른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을 시도하는 단계(S93); 또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이다가 충전에 의해 제 1 값을 초과하는 경우 심전도 측정기기(10)에 설정된 정보에 따라 마지막으로 연결된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하는 단계(S94); 중 하나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In addition, step S90 may further includ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ovided battery power exceeds the first value, maintaining the connection with the external device ( S92 ). Alternatively, in step S80,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ovided battery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value and exceeds the first value by charging, after first determining whether the ECG data is normal through the connection with the first device 20, Attempting to connect with another external device (S93); or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the provided battery power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first value and exceeds the first value by charging, connecting to the last connected external device according to information set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S94); It may further include one of them.

또한, 본 발명의 심전도 측정 방법은, 심전도 측정기기(10)가 제 1 메모리(11)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S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changes a device for storing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first memory 11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to the other device.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step (S100) of simultaneously sto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on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f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S100).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10)를 구비한 심전도 측정 시스템(100) 및 그 측정 방법에 따르면,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적으로 이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패치형 심전도 측정기기(10)의 패치가 올바른 위치에 부착되었는 지 여부를 쉽게 모니터링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100 having the patch-typ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10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measuring method, a device for storing electrocardiogram data can be selectively used as well as a patch-type electrocardiographic measuring device ( It can be seen that it can also be easily monitored whether the patch in 10) is attached in the correct position.

100 : 심전도 측정 시스템
10 : 심전도 측정기기 20 : 제 1 디바이스
30 : 제 2 디바이스 40 : 제 3 디바이스
11 : 제 1 메모리 12 : 데이터 처리부
13 : 제 1 프로세서 14 : 제 1 통신부
15 : 채널 연결부 21 : 제 2 메모리
22 : 제 2 프로세서 23 : 제 2 통신부
31 : 제 3 메모리 32 : 제 3 프로세서
33 : 제 3 통신부 41 : 제 4 메모리
42 : 제 4 프로세서 43 : 제 4 통신부
100: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10: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20: first device
30: second device 40: third device
11: first memory 12: data processing unit
13: first processor 14: first communication unit
15: channel connection unit 21: second memory
22: second processor 23: second communication unit
31: third memory 32: third processor
33: third communication unit 41: fourth memory
42: fourth processor 43: fourth communication unit

Claims (20)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심전도 측정기기; 및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제 1 디바이스;를 포함하되,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심전도 측정이 개시되면,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전송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electrocardiogram; and
Including; a first device capable of receiv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ransmits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o the first device whe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is started;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ay select a device in which to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by using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nforma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disconnects the connection when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value, and stores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an internal memory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when changing a device for storing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internal memory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o the other device, one device for a preset time period and ECG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ECG data is simultaneously stored in one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According to claim 1,
The first device is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receiv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바이스는,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 해당 판단 신호를 전송;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부터의 심전도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 또는,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을 중지; 중 적어도 하나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n the first device determines that the receiv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transmitting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stop receiv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r,
Stop judging whether the receiv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An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performing at least one of.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판단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한 결과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 및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fter receiving the determination signal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is normal, it is determined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normal.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and a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for whether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are transmitt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값;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normal is,
a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 impedance value between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r,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use at least one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심전도 측정 방법에 있어서,
(a) 심전도 측정기기가 심전도 측정을 개시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 이후,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제 1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h)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하는 단계; 및
(i)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h) 단계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방법.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ethod,
(a) starting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b) transmitting,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to a first device after step (a);
(c) determining, by the first device, whether the received ECG data is normal;
(h) selecting,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 device in which to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by using the residual amount information of the provided battery power; and
(i) when the device for stor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internal memory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o the other device is chang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ne Sto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the device and the other device at the same time; including,
Step (h) is,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the first value, disconnecting the connection to an external device and sto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an internal memory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 방법은, 상기 (c) 단계에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으로 판단된 경우,
(d)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 해당 판단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로부터의 심전도 데이터의 수신을 중지하는 단계; 또는,
(f) 상기 제 1 디바이스가 수신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을 중지하는 단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ethod, in step (c),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electrocardiogram data is normal,
(d) transmitting, by the first device, a corresponding determination signal to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e) stopping, by the first device, receiving the electrocardiogram data from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r,
(f) stopping, by the first device, determining whether the received ECG data is normal;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t least one of.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 방법은,
(g)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상기 제 1 디바이스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판단 신호를 수신한 이후,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한 결과 비정상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 1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 및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에 대한 판단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방법.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ethod,
(g) after the ECG measurement device receives a determination signal that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first device is normal, the ECG measurement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ECG data measured by the ECG measurement device is normal when it is determined that , transmitting the measured ECG data and a determination request signal for whether the measured ECG data is normal to the first device; ECG measuring method further comprising a.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값;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방법.
12. The method of claim 11,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normal is,
a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 impedance value between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r,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use at least one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심전도 측정 시스템에 있어서,
심전도 측정기기;를 포함하되,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 정보를 이용하여,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할 디바이스를 선택할 수 있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구비된 배터리 전력의 잔량이 제 1 값 이하일 경우, 외부 디바이스와 연결된 경우 연결을 해제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는,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의 내부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디바이스 중 하나의 디바이스로부터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를 변경하는 경우, 미리 설정된 일정 시간 동안 하나의 디바이스와 다른 하나의 디바이스에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including; an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ay determine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normal,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may select a device in which to store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by using the remaining battery power informatio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disconnects the connection when connected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remaining amount of battery power is equal to or less than a first value, and stores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in an internal memory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when changing a device for storing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from one device among the internal memory and at least one external device of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to the other device, one device for a preset time period and ECG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easured ECG data is simultaneously stored in one device.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의한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의 정상 여부의 판단은,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과 피부 사이의 커패시턴스값;
상기 심전도 측정기기에 구비된 전극 사이의 임피던스값; 또는,
측정된 심전도 데이터를 미리 저장된 심전도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심전도 측정 시스템.
17. The method of claim 16,
The determination of whether the electrocardiogram data measured by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is normal is,
a capacitance value between the electrode and the skin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an impedance value between electrodes provided in the electrocardiogram measuring device; or,
a result of comparing the measured electrocardiogram data with pre-stored electrocardiogram data; Electrocardiogram measurement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use at least one of.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001778A 2020-01-07 2020-01-07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KR10241474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78A KR102414741B1 (en) 2020-01-07 2020-01-07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1778A KR102414741B1 (en) 2020-01-07 2020-01-07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821A KR20210088821A (en) 2021-07-15
KR102414741B1 true KR102414741B1 (en) 2022-06-29

Family

ID=76889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1778A KR102414741B1 (en) 2020-01-07 2020-01-07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741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5873A (en) * 2015-02-16 2015-08-13 株式会社東芝 sensor data record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1187A (en) * 2005-02-14 2006-08-18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 Wearable portable ECG device and ECG measurement system using same
KR20120084950A (en) 2011-01-21 2012-07-31 김재인 Electrode patch for measuring electrocardiogram and measuring device
KR101739542B1 (en) * 2015-10-07 2017-06-08 주식회사 헬스리안 Wearable and wireless 12 channel electrocardiograph system
KR20190068368A (en) * 2017-12-08 2019-06-18 주식회사 아이엠헬스케어 Apparatus and method for monitoring chest cardiac output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45873A (en) * 2015-02-16 2015-08-13 株式会社東芝 sensor data record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8821A (en)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03477B2 (en) Device for mobile electrocardiogram recording
CN100459539C (en) Wireless subject monitoring system
US5729203A (en) Emergency call system
CA3028534C (en) Method for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between a sensor system and a receiver, a system for a wireless data communication,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KR20100126107A (en) Wearable monitoring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15084797A (en)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U2012210045A1 (en) Fetal heart potential signal extraction program, fetal heart potential signal-discriminating apparatus and pregnancy monitoring system using same
US11464496B2 (en) Patient monitor, vital sign software control method, and program
US20120276894A1 (en) Measur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monitoring system and program
US20090157325A1 (en) Biosignal measuring apparatus
US10456037B2 (en) Terminal devi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KR102414741B1 (en) Ecg measurement system having patch-type ecg measurement apparatus and measurement method therefor
CN202488528U (en) Real-time electrocardiogram monitoring cellphone
US10133340B2 (en) Biological information monitoring system
CN105640512A (en) Intelligent pulse diagnostic device
CN107049295A (en) Monitor bougie and monitoring device
US20220354435A1 (en)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measurement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electrocardiographic waveform measurement device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including program recorded therein
US10888223B2 (en) Vital signs sensor, signal processing device, and identifier storage device
KR20100089053A (en) Attachable and detachable biological signal measuring pad and biological signal measu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20210298602A1 (en)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and pairing method for measurement device and information terminal
WO2022093436A1 (en) Electrocardiogram gain adjustment
KR20150042450A (en) Implantable ecg biometric sensor for transmitting ecg data to central server and ecg data transmission system using the same
JP2021078889A5 (en)
CN104622462A (en) Novel heart and blood vessel monitoring device with electrocardiosignal measuring function
WO2020202042A4 (en) Personal wearable medical emergenc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