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216B1 -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Google Patents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216B1
KR102414216B1 KR1020200096556A KR20200096556A KR102414216B1 KR 102414216 B1 KR102414216 B1 KR 102414216B1 KR 1020200096556 A KR1020200096556 A KR 1020200096556A KR 20200096556 A KR20200096556 A KR 20200096556A KR 102414216 B1 KR102414216 B1 KR 102414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d
wireless communication
cloud server
control devic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65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20016539A (en
Inventor
진이진
이성미
임동준
Original Assignee
타이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아(주) filed Critical 타이아(주)
Priority to KR1020200096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216B1/en
Publication of KR20220016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653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216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41Virtual LANs, VLANs, e.g. virtual private networks [VP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2Arrangements for remot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of substations or of equipment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33Interconnection of networks using encapsulation techniques, e.g. tunne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04L67/025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for remote control or remote monitoring of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100)에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직접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연결하여 외부망 통신망(20)으로 클라우드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제어장치(100) 내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인 외부망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수집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분산처리 방식으로 수행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일괄처리 방식으로 수행되고, 데이터의 규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분산처리 방식으로 구행되며, 분산처리된 1차 처리된 데이터에 대해서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2차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외부 단말에 제공되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어장치(100)로의 접속 및 관리를 위한 원격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유무선 통신장치가 자신의 관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를 유무선 통신망(WiFi, 3G, 4G, 5G 등)에 해당하는 외부 통신망에 연결하여 클라우드 서버에서 별도의 데이터 수집 서버 등의 설비 없이 직접 제어장치의 데이터를 수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In the present invention,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s directly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trol device 100 through an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to exchange data with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an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the control device (100) My data is collected by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 which i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provided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n the case of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for data, it is performed in a batch processing method for data when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provided in the cloud server 300, and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when the size of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It is implemented as a web/application service through the web/application system 400 through secondary analysis and processing in the cloud server 300 for distributed-processed primary-processed data, and is provided to an external terminal as a cloud server ( 300)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a remote system for accessing and managing the control device 100 .
Accordingly,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onnects at least one control device belonging to its management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3G, 4G, 5G, etc.) directly from the cloud server without facilities such as a separate data collection serve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of collecting and controlling the data of the control device.

Description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무선 통신장치가 자신의 관리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를 유무선 통신망(WiFi, 3G, 4G, 5G 등)에 해당하는 외부 통신망에 연결하여 클라우드 서버에서 별도의 데이터 수집 서버 등의 설비 없이 직접 제어장치의 데이터를 수집 및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at least one control device belonging to its management over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3G, 4G, 5G, etc.) as a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cloud server to directly collect and control the data of the control device without a separate data collection server from the cloud server by connecting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corresponding to 4G, 5G, etc.) It relates to a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of

종래의 공장 등의 제어장치에 대한 데이터 수집을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내부 통신망 상에 데이터 수집 서버를 구비하여 데이터 수집 서버가 데이터를 내부 통신망을 통해 제어장치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처리하고 1차 저장 후 메인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전송하며 유무선 통신을 위한 네트워크 전반의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이 발생한다. 즉,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장치를 이용 수집 모듈인 데이터 수집 서버에 저장되므로, 제어장치의 데이터를 1차 처리하고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데이터 수집 서버를 사용하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system for data collection for a control device such as a factory, a data collection server is provided on an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so that the data collection server processes the data of the control device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in real time, and after primary storage It transmits data to the main database and incurs network-wide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costs for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That is, in the prior art, data for the web/application service is stored in the data collection server, which is a collection module,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re doing

또한 기존 통신망의 경우, 외부에서 내부로 이어지는 이중구조의 망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최하위 단의 제어장까지 직접 연결할 수 없는 구조이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 서버의 자체의 비용을 절감하고, 네트워크 구성비용 및 기간을 단축하면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발전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existing communication network, it is a structure that can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ontrol station at the lowest level because it has to go through a double-structured network that connects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n advanced technology that is easy to maintain while reducing the cost of the data collection server itself and shortening the network configuration cost and period.

더욱이 최근 데이터양이 많아지고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사용자의 기대값이 상승하고, 차세대 유·무선 통신망이 발전함에 따라 변화하는 통신망의 형태와 발전된 기술 양상에 따른 진보된 데이터 수집 방식이 요구된다.Moreover, as the amount of data increases and technology develops, user expectations rise, and as the next-generation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velops, an advanced data collection method is required according to the changing network shape and advanced technology aspects.

대한민국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14-0127066(2014.09.23)호 " 공장 자동화 시스템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factory automation system,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erefor and central processor of factory automation system)"Republic of Korea Patent Application No. 10-2014-0127066 (2014.09.23) No. "Control method of factory automation system,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therefor and central processor of factory automation system"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함에 따라 첨단산업이 발전하고 고객의 요구에 따라 진보된 통신기술도 요구되고 있으므로, 차세대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선진화된 네트워크 체계를 갖춰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현장에 상주하지 않고 직접 제어장치에 접근하여 원격으로 장치를 수정 및 관리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유지보수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with the adv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dvanced industries develop and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re required according to customer needs. A control device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at not only provides better service, but also allows the administrator to directly access the control device without staying on site to modify and manage the device remotely, and to monitor and maintain it in real time. This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onnection-based cloud server.

또한, 본 발명은 제어장치에 유무선 통신장치를 연결하여 외부망에 접근할 수 있도록 "라우팅 설정 기능"을 제공하며, VPN 설정 및 구성을 위한 간편한 UI 등을 제공하여 설정된 클라우드 서버와 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outing setting function" to connect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ntrol device to access an external network, and provides a simple UI for VPN setting and configuration so that it can interwork with a set cloud server. This i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a control device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본 발명은 기존의 유·무선 통신망의 형태에서 발전된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웹/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실시간 및 신뢰성을 향상 시키고 속도와 안전성에서 우위를 가질 수 있으며 VPN 터널링 기술을 이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와 1대1 통신을 통한 효율적인 운영을 제공하도록 하며, VPN 터널링 기술을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버와 제어장치 간의 데이터 송수신 시에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데이터 압축 및 암호화하는 과정에서 보안성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현장관리자의 부재 시 부여된 관리자 권한의 클라이언트를 사용하여 클라우드 서버로 접속이 가능하며 실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 대응의 방법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application using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developed from the exist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hereby improving real-time and reliability, and having an advantage in speed and safety, and using VPN tunneling technology to It provides efficient operation through one-to-one communication, and using VPN tunneling technology, security problems that occur when sending and receiving data between the cloud server and the control device can be expected to improve security in the process of data compression and encryption, and site managers To provide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to enable access to the cloud server using a client with administrator privileges granted in the absence of an administrator and provide a method for real-time monitoring and remote response it is for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100)에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직접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연결하여 외부망 통신망(20)으로 클라우드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제어장치(100) 내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인 외부망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수집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분산처리 방식으로 수행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일괄처리 방식으로 수행되고, 데이터의 규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분산처리 방식으로 구행되며, 분산처리된 1차 처리된 데이터에 대해서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2차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외부 단말에 제공되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어장치(100)로의 접속 및 관리를 위한 원격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to at least one control device 100 directly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 . The communication device 200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 to exchange data with the cloud server 300, and the data in the control device 100 is an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 20) through the cloud server 300, and when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provided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t is performed in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for data, and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the cloud server ( 300), it is performed in a batch processing method for data, and when the size of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it is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It is provided to an external terminal as a web/application service through the web/application system 400 through analysis and processing, and supports a remote system for access and management from the cloud server 300 to the control device 100. can do.

이때,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장치(200) 설치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를 통해 간편 UI를 적용한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라우팅 설정, VPN 설정, 데이터 관리를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설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web page to which a simple UI is applied through the cloud server 400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to provide data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settings including routing settings, VPN settings, and data management. can be characterized as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100)와 외부 클라우드 서버(300) 간 데이터 송수신이 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장치(200) 상에는 내부 라우팅 설정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at an internal routing setting program is provided o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external cloud server 300 . can be characterized.

또한, 본 발명은, 초기 설정 시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제어장치(100)를 연결하면 오토 라우팅 기능이 동작하며, 제어장치(100) 및 클라우드 서버(300)의 경로를 입력 후 최적의 통신을 위한 내·외부 통신망이 자동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contro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t the time of initial setting, the auto routing function operates, and after inputting the paths of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loud server 300, optimal communication It may be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ernal/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for

또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장치(200)에서 유무선 통신망으로 클라우드 서버(300)까지의 연결은 VPN 터널링 기술을 적용하며, 터널링을 지원하는 PPTP, L2TP, IPSec, SS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줄이고 보안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VPN tunneling technology to the connection from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uses PPTP, L2TP, IPSec, and SSL protocols that support tunneling. It may be characterized by reducing data loss and improving security and safet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장치를 제어장치에 직접 연결하여 데이터의 1차 처리 및 데이터 전송을 직접하기 때문에 기존 고가의 데이터 수집 서버나 유·무선 네트워크 공사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접근성이 향상되어 실시간 관리가 가능하여 기존의 방식들과 시간적, 공간적, 비용적인 측면에서 개선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rectly connect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the control device to directly perform primary processing and data transmission. Not only does it not require a data collection server or wired/wireless network construction, but it also has the effect of providing improvements in terms of time, space, and cost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because accessibility is improved and real-time management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버가 각 유무선 통신장치에서 전송하는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망(WiFi, 3G, 4G, 5G)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수집 및 저장하고, 데이터를 2차 가공하여 사용자들에게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각각의 유무선 통신장치를 통해 개별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구성을 하여 관리자가 현장에 없더라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함으로써, 유무선 통신장치를 이용한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 방식은 기존 고가의 데이터 수집 서버 구성 및 네트워크 구축을 하지 않아 비용절감의 효과를 제공하고, 중간의 매개체들을 통하지 않고 제어장치의 데이터를 유무선 통신장치의 터널링 기술을 통해 송,수신하기 때문에 보안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ud server transmits data transmitted from eac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3G, 4G, 5G). ) to collect and store data in real time, provide web/application services to users through secondary processing of data, and configure individual remote access through eac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n real time even if the manager is not on site. By being able to respond, the method of providing web/application services using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rovides cost-saving effects by not configuring the existing expensive data collection server and network construction, and transferring the data of the control device through wired/wireless media without intermediaries. Because it transmits and receives through the tunneling technology of the communication device,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improving security and safety.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관리자 계정을 통하여 언제 어디서든지 제어장치의 원격 접근이 가능하게 되며, 현장으로 직접 이동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뿐만 아니라, 작업자에게 매뉴얼을 제공하고 교육을 통한 일반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으며, 추후 트러블슈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스템에 대한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remote access of the control device anytime and anywhere through an administrator account, and directly moves to the site. In addition to solving the hass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perator with a manual and take general measures through education, and to enable troubleshooting later, thereby providing the effect of maintaining the optimal state of the system.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장치가 단순히 통신장치로서의 기능 뿐 아니라, 제어장치의 통신드라이버(OPC UA)를 적용해 데이터 분산처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의 과부하 방지를 예방할 뿐만 아니라, 유무선 통신장치에 관리자 권한의 원격 접속이 가능하도록 허용하고 관리자 부재 시에도 실시간 대응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고, 클라우드 서버 시스템을 활용하여 데이터를 관리하고, 신속 대응 매뉴얼을 적용하여 유지보수 업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인력낭비를 최소화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not only functions as a communication device, but also a communication driver (OPC UA) of the control device. can be applied to distribute data, thereby preventing overload of the cloud server, allowing remote access with administrator rights to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providing the effect of real-time response even in the absence of an administrator. It can provide the effect of minimizing manpower waste by managing data using the server system and applying a quick response manual so that maintenance companies can utilize i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 통신망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 통신망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제어장치(100), 유무선 통신장치(200), 클라우드 서버(300)의 기능을 도표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 등이 웹(Web)을 통해서 가능한 UI 화면으로, 각 제어장치(100) 및 라우터에 해당하는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연결 상태를 간편 확인할 수 있는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 등이 웹(Web)을 통해서 가능한 UI 화면으로, 라우터에 해당하는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대한 설정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 등이 웹(Web)을 통해서 가능한 UI 화면으로, 제어장치(100)에 대한 간편 설정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ontrol device network connection-based cloud serv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functions of the control device 100,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loud server 300 in the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matic diagram of
4 is a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1 to a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analysis result collected in the cloud server 300, the manager terminal, etc. It is a UI screen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 and is a diagram showing a UI screen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control device 100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router can be easily checked.
5 is a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1 to a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analysis result collected in the cloud server 300, the manager terminal, etc. It is a UI screen available through , and is a diagram showing a setting page for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router.
6 is a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1 to a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analysis result collected in the cloud server 300, the manager terminal, etc. is a web (Web) It is a UI screen that is possible through , and is a diagram showing a simple setting page for the control device 100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well-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로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로 직접 상기 데이터 또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하여 데이터 또는 신호를 다른 구성요소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any one component 'transmits'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directly transmit the data or signal to another component, and through at least one other component This means that data or signals can be transmitted to othe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 통신망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제어장치 통신망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제어장치(100), 유무선 통신장치(200), 클라우드 서버(300)의 기능을 도표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 등이 웹(Web)을 통해서 가능한 UI 화면으로, 각 제어장치(100) 및 라우터에 해당하는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연결 상태를 간편 확인할 수 있는 UI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 등이 웹(Web)을 통해서 가능한 UI 화면으로, 라우터에 해당하는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대한 설정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클라우드 서버(300)에 수집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관리자 단말 등이 웹(Web)을 통해서 가능한 UI 화면으로, 제어장치(100)에 대한 간편 설정 페이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connectio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shows the functions of a control device 100,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a cloud server 300 in a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diagrammatic diagram of 4 is a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1 to a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analysis result collected in the cloud server 300, the manager terminal, etc. It is a UI screen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 and is a diagram showing a UI screen through which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control device 100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router can be easily checked. 5 is a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1 to a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analysis result collected in the cloud server 300, the manager terminal, etc. It is a UI screen available through the , and is a diagram showing a setting page for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router. 6 is a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1 to a cloud ser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ata analysis result collected in the cloud server 300, the manager terminal, etc. is a web (Web) It is a UI screen that is possible through , and is a diagram showing a simple setting page for the control device 100 .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어장치 통신망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은 제어장치(100), 유무선 통신장치(200), 클라우드 서버(300), 웹/어플리케이션 시스템(400) 외에 유무선 통신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는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어장치(100)와 유무선 통신장치(200) 간에는 유무선 통신 방식의 내부 통신망(10)으로 연결되며, 유무선 통신장치(200)와 클라우드 서버(300) 간에는 유무선 통신 방식으로 연결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First, referring to FIGS. 1 and 2 , a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network connection is a control device 100 ,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 a cloud server 300 , and a web/application In addition to the system 400 , a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loud server 300 may be included, and wired/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of the method,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loud server 300 may have a structure connected by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제어장치(100)는 공정제어(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이하 PLC), 컴퓨터수치제어(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이하, CNC) 등을 기반으로 하는 자동화 제어장치일 수 있다.The control device 100 may be an automated control device based on process control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hereinafter, PLC), computerized numerical control (hereinafter, CNC),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외부 통신망(20)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포함된 경우를 나타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1) 중 유무선 통신장치(200)에서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포함된 경우를 나타낸다. 1 is a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ncluded in a cloud server 300 of a system 1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an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shows a case in which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included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of the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1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s the case.

즉, 도 1 및 도 2의 구성 방안의 차별점에 있어서, 작업 환경과 규모 및 수집 데이터에 따라 시스템 구성을 다르게 적용하여 제공할 수 있으며,That is, 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figuration methods of FIGS. 1 and 2 , the system configuration can be applied differently and provided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scale, and collected data,

즉,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100)에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직접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연결하여 외부망 통신망(20)으로 클라우드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제어장치(100) 내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인 외부망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수집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분산처리 방식으로 수행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일괄처리 방식으로 수행되는 차이점이 있다. 특히, 데이터의 규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분산처리 방식으로 구행되며, 분산처리된 1차 처리된 데이터에 대해서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2차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외부 단말에 제공되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어장치(100)로의 접속 및 관리를 위한 원격시스템을 지원할 수 있다.That i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s directly connected to at least one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to exchange data with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 , and the control device 100 ) My data is collected by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 which i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provided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t is performed in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for data, and when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provided in the cloud server 300,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data is performed in a batch processing method. In particular, when the size of the data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preset threshold, it is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and through the secondary analysis and processing in the cloud server 300 for the distributed primary processed data, the web / application system 400 through It is provided to an external terminal as a web/application service, and may support a remote system for access and management from the cloud server 300 to the control device 100 .

보다 구체적으로, 먼저, 도 2와 같이 유무선 통신장치(200) 내에 통신 드라이버 모듈(30)(OPC UA)을 구성하는 경우,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제어장치(100)에 대해서 1차로 수집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300)로 2차 전송한다. More specifically, first, when configuring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OPC UA)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s shown in FIG. 2 ,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s primarily collected with respect to the control device 100 . Secondary transmission of data to the cloud server 300 .

즉, 도 1을 참조하면, 클라우드 서버(300) 상에 제어장치(100)에 대한 통신 드라이버 모듈(OPC UA)(30)을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통해 제어장치(100)의 데이터를 직접 수집할 수 있다. 이때,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와 제어장치(100)의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한다. 통신망은 유·무선 통신망(WiFi,3G,4G,5G)을 사용하고 도 2와 같이 클라우드 서버(300) 상에서 오토 라우팅 기능이 내·외부망을 구성함에 따라 데이터의 수집 및 저장, 관리까지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처리할 수 있다.That is, referring to FIG. 1 , a communication driver module (OPC UA) 30 for the control device 100 may be configured on the cloud server 300 . In this case, the cloud server 300 may directly collect data of the control device 1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 In this case,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serves as an intermediary between the cloud server 300 and the control device 100 . The communication network use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3G, 4G, 5G), and as shown in FIG. 2, as the auto routing function configures an internal/external network on the cloud server 300, data collection, storage, and management are performed on the cloud server. It can be processed at (300).

다음으로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제어장치(100)의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통신 드라이버 모듈(30)(OPC UA) 기능을 추가로 수행함으로써, 클라우드 서버(300)와 제어장치(100)의 중간 매개체 역할까지 수행하여, 각 유무선 통신장치(200) 자체에서 제어장치(10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분산하여 처리하고 즉시 클라우드 서버(300)로 전송한다. 클라우드 서버(300)는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이때의 제어장치(100), 클라우드 서버(300)와 유무선 통신장치(200) 간의 통신망 또한 유·무선 통신망(WiFi,3G,4G,5G)을 사용하고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오토 라우팅 기능을 통해 도 2와 같은 내·외부 통신망을 구성할 수 있다. Next,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dditionally performs a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OPC UA) function to fetch data of the control device 100 , thereby intervening between the cloud server 300 and the control device 100 . By performing the role of a medium, eac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tself distributes and processes the data collected from the control device 100 and immediately transmits it to the cloud server 300 . The cloud server 300 performs a data storage and management function, and the communication network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loud server 300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t this time is als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3G, 4G) , 5G) and through the auto routing function of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 internal/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as shown in FIG.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자신과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적어도 하나 이상이 연결된 제어장치(100)에 대한 외부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의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Next, referring to FIG. 3 ,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onnects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for the control device 100 to which at least one is connected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with itself. can provide

보다 구체적으로 도 2와 같이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을 구비한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어장치(100)에 대해서 제어장치(100)와 유무선 통신장치 간의 연결상태 확인, Routing 자동 설정 기능, 제어장치(100)의 PLC/CNC 타입(Type) 설정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제어장치(100)의 데이터 수집을 하기 위한 포트 설정과 내부 통신망(10) 상의 내부 IP 설정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PLC 및 CNC의 타입(Type)을 설정하는 것이다.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having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has a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each control device 100 as shown in FIG. 3 . Confirmation, automatic routing function setting function, and PLC/CNC type setting function of the control device 100 may be performed. That i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not only set a port for data collection of the control device 100 and set an internal IP on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but also set the types of PLC and CNC. will be.

또한,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제어장치(100)의 타입에 따른 PLC/CNC 포트(Port) 설정 기능, 제어장치(100)에 대해서 설정된 PLC 포트 또는 CNC 포트에 대해서 프로시저에서 설정된 시간에 따라 외부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에 대해서 개방하여 통신이 되도록 하는 포트 포워딩(Port Forwarding) 설정 기능, 내부 통신망(10)과 연결된 제어장치(100)에 대한 내부 네트워크 제어장치 목록 관리 기능, 포트 포워딩의 추가 기능에 따라 외부 통신망(20)을 통해 접속하는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어장치(100)로의 내부 통신망(10)을 거친 원격 접속 및 설정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ccording to the PLC / CNC port (Port) setting function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control device 100, the PLC port set for the control device 100 or the time set in the procedure for the CNC port A port forwarding setting function to open and communicate with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an internal network control device list management function for the control device 100 connected to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mote access and setting function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from the cloud server 300 connected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to the control device 100 according to an additional function of port forwarding.

또한,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대해서 연결 상태 확인, 내부 네트워크 제어장치(PLC, CNC) 목록 제공, 외부 통신망(20) 상에서 클라우드 서버(300)와의 VPN 자동연결 설정 기능 제공(ID, PASSWORD 관리)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provides a connection status check for the cloud server 300, a list of internal network control devices (PLC, CNC), and a VPN automatic connection setting function with the cloud server 300 on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ID, PASSWORD management) can be performed.

요약하자면,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제어장치(100)와의 클라우드 서버(300)의 직접 연결을 위한 포트 포워딩 설정, 내부 자동 라우팅 설정을 할 수 있으며, 내부 통신망(10) 상의 제어장치(100)의 장치 목록 확인을 통하여 내부 네트워크를 관리할 수 있으며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관리자가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설정을 수행함으로써, 제어장치(100)와의 통신 설정 및 클라우드 서버(300)와의 통신 설정 기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VPN 터널링 기술을 통해 제어장치(100)와 클라우드 서버(300)를 연결하기 위한 설정을 위한 UI 화면을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외부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여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유무선 통신장치(200) 내부에서는 간단한 IP 설정을 통하여 클라우드 서버(300)와 통신이 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In summary,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set port forwarding and internal automatic routing for direct connection of the cloud server 300 with the control device 100 , and the control device 100 on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 Since the internal network can be managed by checking the device list of In addition to providing a communication setting function with the user, a UI screen for setting for connecting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VPN tunneling technology can be provided to the administrator. Als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 provides a program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collected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by enabling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cloud server 300 . A program for enabling communication with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a simple IP setting is provided inside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

다음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는 각각이 내부 통신망(10) 및 외부 통신망(20)으로 접속 연결된 제어장치(100)와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인터페이스를 설정 및 관리할 수 있는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설정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Next, the cloud server 300 provides a convenient function for setting and managing the interfaces of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and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 respectively.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tting UI screen for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는 설정 UI 화면을 통해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관리하는 관리자 및 클라우드 서버(300)를 운영하는 운영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어서, 내외부 통신망(10, 20)을 통해 접속 가능한 관리자 단말을 통해 제어장치(100)와 클라우드 서버(300)의 세부 설정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loud server 300 can be used by an administrator who manage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an operator who operates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setting UI screen, so that the internal and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s 10 and 20 can be used. The detailed settings of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loud server 300 can be made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tha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 and the user can easily manage it.

또한, 클라우드 서버(300)는 제어장치(100)가 자신이 속한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거쳐 접속하는 경우 제어장치(100)의 제어에 따라 제어장치(100)로부터 다이렉트 방식으로 제공되는 데이터에 대한 분석 및 산출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device 100 connects via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to which the control device 100 belongs, the cloud server 300 receives data provided by the control device 100 in a direct manner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control device 100 . analysis and calculation can be performed.

보다 구체적으로,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장치(200)와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100)로부터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클라우드 서버(300) 내의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분석 및 산출한다. 각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관리, 관제할 수 있으며 관리자 권한을 부여하여 외부 통신망(20)인 유·무선 통신망(WiFi,3G,4G,5G)을 통한 원격접속을 허용함으로써, 원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the cloud server 300 collects data from the control device 100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n real time and stores the data in a database in the cloud server 300 . In addition, it is analyzed and calculated to provide services to users. Eac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an be managed and controlled by the cloud server 300, and by granting administrator rights, remote access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WiFi, 3G, 4G, 5G), which is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is allowed. By doing so, a remote service can be provided.

이를 위해 클라우드 서버(300)는 유무선 통신장치 목록 관리, 각 유무선 통신장치 연결상태 및 패킷량 실시간 데이터 제공, 실시간 모니터링 기능 제공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To this end, the cloud server 300 can manage a list of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provide real-time data on the connection status and packet amount of each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provide a real-time monitoring function.

즉, 클라우드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300)를 운영하는 운영자의 편의를 위해 운영자 UI 화면을 통해 유무선 연결장치(200)가 외부 통신망(20)를 통해 연결된 유무선 연결장치 네트워크 목록 관리를 할 수 있고, 실시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각 유무선 통신장치(200) 연결상태를 파악할 수 있고, 각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패킷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the cloud server 300 can manage the network list of the wired/wireless connection device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nnection device 200 through the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through the operator UI screen for the convenience of the operator who operates the cloud server 300 . And, by providing a system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ystem capable of grasping the connection state of eac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monitoring packet data of eac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in real time. .

한편,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간편 UI 제공에 있어서, 각 유무선 통신장치(200) 및 제어장치(100) 단까지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는 편의성 UI를 클라우드 서버(300)의 운영자 및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관리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 운영자 및 유무선 통신장치(200)의 관리자는 클라우드 서버(300)에 의한 네트워크 실시간 상태를 시각화하여 제공받음으로써, 편리하게 설비들의 상태 및 고장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며 신속한 유지보수를 가능하게 한다.On the other hand, in providing the simple UI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4 to 6 , a convenient UI capable of setting and controlling up to each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control device 100 is provided to the operator of the cloud server 300 and It may be provided to the manager of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 Accordingly, the cloud server 300 operator and the manager of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visualize and receive the network real-time state by the cloud server 300, so that the state of the facilities and the cause of the failure can be conveniently identified and promptly make maintenance possible.

이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300) 상에서 입출력장치부를 통해 재설정을 하고자 하는 라우터를 선택(클릭)하고 내부 네트워크 관리, 제어장치(100) 및 유무선 장치(200) 설정 등 필요한 설정을 수행하되, 재설정에 익숙하지 않은 운영자를 위해 맞춤 설정을 프로그램에 저장을 하고 간편 클릭을 통해서 쉽게 재설정을 진행할 수 있다. Accordingly, on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input/output device unit, select (click) the router to be reset and perform necessary settings such as internal network management, control device 100 and wired/wireless device 200 settings, but are familiar with resetting. For operators who have not done so, custom settings can be saved in the program and reset easily with a simple click.

또한, 본 발명에서 설비에 해당하는 제어장치(100) 및 유무선 장치(200)가 정상 작동을 하지 않는 상태일 때 자체적으로 자가 진단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엔지니어의 도움 없이 현재 설비 오작동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자가 진단 후 신속한 조치가 가능할 수 있다. In addition, by having a self-diagnosis function when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wired/wireless device 200 corresponding to the facility in the present invention do not operate normally, the cause of the current facility malfunction without the help of an engineer to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Accordingly, it may be possible to take prompt action after self-diagnosis.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implemented as computer-readable codes o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s all types of recording devices in which data readable by a computer system is stored.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ROM, RAM, CD-ROM, magnetic tape, floppy disk, optical data storage device, etc. also includes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s distributed in network-connected computer systems, and computer-readable codes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In addition,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se are on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explain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elp th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 it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 :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
10 : 내부 통신망
20 : 외부 통신망
30 : 통신 드라이버 모듈
100 : 제어장치
200 : 유무선 통신장치
300 : 클라우드 서버
400 : 웹/어플리케이션 시스템
1: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10: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20: 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
30: communication driver module
100: control device
200: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300: cloud server
400: web/application system

Claims (5)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어장치(100)가 내부 통신망(10)을 통해 직접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연결하여 외부망 통신망(20)으로 클라우드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제어장치(100) 내 데이터는 유무선 통신장치(200)를 이용하여 유무선 통신망인 외부망 통신망(20)을 통해 클라우드 서버(300)로 수집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분산처리 방식으로 수행되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이 클라우드 서버(300)에 구비되는 경우 데이터에 대한 일괄처리 방식으로 수행되고, 데이터의 규모가 미리 설정된 임계치 이상인 경우 분산처리 방식으로 수행되며, 분산처리된 1차 처리된 데이터에 대해서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2차 분석 및 가공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시스템(400)을 통해 웹/어플리케이션 서비스로 외부 단말에 제공되며, 클라우드 서버(300)에서 제어장치(100)로의 접속 및 관리를 위한 원격시스템을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통신 드라이버 모듈(30)을 구비한 유무선 통신장치(200)는 제어장치(100)의 데이터 수집을 하기 위한 포트 설정과, 내부 통신망(10) 상의 내부 IP 설정과, 제어장치(100)의 PLC 및 CNC의 타입(Type)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
At least one control device 100 directly connects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through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to exchange data with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 and within the control device 100 Data is collected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external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20, which is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ing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When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provided i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data It is performed in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for the data, and when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s provided in the cloud server 300, it is performed in a batch processing method for data, and when the size of the data is greater than a preset threshold, it is performed in a distributed processing method, The distributed-processed primary processed data is provided to an external terminal as a web/application service through the web/application system 400 through secondary analysis and processing in the cloud server 300, and is controlled by the cloud server 300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supports a remote system for accessing and managing the device 100,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having the communication driver module 30 includes a port setting for data collection of the control device 100 , an internal IP setting on the internal communication network 10 , and a PLC of the control device 100 . and a direct data providing system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setting the CNC type.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장치(200) 설치에 따라,
클라우드 서버(400)를 통해 간편 UI를 적용한 웹페이지를 제공하여, 라우팅 설정, VPN 설정, 데이터 관리를 포함한 데이터 송수신 기능 설정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ccording to the installation of the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Control device connection-based cloud server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by providing a web page to which a simple UI is applied through the cloud server 400, and providing data transmission/reception function settings including routing settings, VPN settings, and data management Direct data delivery system.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연결되어 있는 제어장치(100)와 외부 클라우드 서버(300) 간 데이터 송수신이 될 수 있도록 유무선 통신장치(200) 상에는 내부 라우팅 설정 프로그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an internal routing setting program is provided on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so that data can be transmitted/received between the control device 100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and the external cloud server 300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to the control device of
청구항 3에 있어서,
초기 설정 시 유무선 통신장치(200)에 제어장치(100)를 연결하면 오토 라우팅 기능이 동작하며, 제어장치(100) 및 클라우드 서버(300)의 경로를 입력 후 최적의 통신을 위한 내·외부 통신망이 자동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n the control device 100 is connected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during initial setting, the auto routing function operates, and after inputting the paths of the control device 100 and the cloud server 300, internal/external communication networks for optimal communication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the cloud server based on the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this is automatically set.
청구항 4에 있어서,
유무선 통신장치(200)에서 유무선 통신망으로 클라우드 서버(300)까지의 연결은 VPN 터널링 기술을 적용하며, 터널링을 지원하는 PPTP, L2TP, IPSec, SS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구성함으로써, 데이터 손실을 줄이고 보안 및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통신망으로의 제어장치 연결 기반 클라우드 서버로의 다이렉트 데이터 제공 시스템.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connection from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200 to the cloud server 300 through the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es VPN tunneling technology and is configured using PPTP, L2TP, IPSec, and SSL protocols that support tunneling, thereby reducing data loss and reducing security and security. A system for providing direct data to a cloud server based on a control device connection to a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zed in that it improves safety.
KR1020200096556A 2020-08-03 2020-08-03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KR1024142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56A KR102414216B1 (en) 2020-08-03 2020-08-03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6556A KR102414216B1 (en) 2020-08-03 2020-08-03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39A KR20220016539A (en) 2022-02-10
KR102414216B1 true KR102414216B1 (en) 2022-06-28

Family

ID=80253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6556A KR102414216B1 (en) 2020-08-03 2020-08-03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216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03044A (en) * 2012-06-29 2014-01-09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System and method for car remote control
KR102071961B1 (en) * 2018-03-12 2020-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Monitoring device for system air conntrol and monitoring system of implementing thereof
KR20190025859A (en) * 2019-02-20 2019-03-12 주식회사 씨케이엘 Method for distributed processing management using internet of things device and smart factory syste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6539A (en) 2022-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10612B2 (en) Two-factor authentication for user interface devices in process plants
US10374873B2 (en) Process control communication between a portable field maintenance tool and a process control instrument
US11012256B2 (en) Connection unit,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utomation system
US20180337948A1 (en) Method of industrial data communication with dedicated physical channel isolation and a system applying the method
US10375162B2 (en) Process control communication architecture
US7725635B2 (en) Method of determining request transmission priority subject to request channel and transmitting request subject to such request transmission priority in application of fieldbus communication framework
JP2018014104A (en) Process control communication between asset management system and portable field maintenance tools
JP2021057033A (en) Industrial control system hyperconverged architecture
US2004026040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f-configuring 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 (SCADA) system for distributed control
US848428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evice and a server
US20060089977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virtual online engineering of a production environment
EP3334098B1 (en) Method, communication web service, web server, and client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cation service between ip devices via the internet
CN112637114B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data exchange of industrial edge equipment
KR101974278B1 (en) Remote Control System for Semiconductor Equipment
CN104204973A (en) Dynamic configuration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KR102414216B1 (en) Direct data provision system to cloud server based on connection of control device to wired/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US20180167229A1 (en) Method, Communication Web Service, And Server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cation Between BACNET Devices
CN104102213B (en) A kind of tele-control system for material separation device and method
CN111788816B (en) Method for establishing network communication in automation system
KR101358131B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centralized programable logic controller using simple network management protocol
KR102406905B1 (en) Edge HMI System Based on Computing Using Industrial IoT Platform
KR201800466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data of field device in industrial control system
KR100586432B1 (en) A remote operating system and method for Water Cooling System of M·TR appling PLC ? DDC System
KR101545232B1 (en) Integrated monitoring and control system using distributed computing
KR101788825B1 (en) Smart modem enabling to field bus at lte network and tne control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