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983B1 - 스플린트 - Google Patents

스플린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983B1
KR102413983B1 KR1020220024533A KR20220024533A KR102413983B1 KR 102413983 B1 KR102413983 B1 KR 102413983B1 KR 1020220024533 A KR1020220024533 A KR 1020220024533A KR 20220024533 A KR20220024533 A KR 20220024533A KR 102413983 B1 KR102413983 B1 KR 1024139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e
splint
heel
shoe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4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메디젠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메디젠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메디젠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024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9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9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9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41Splints for the limbs
    • A61F5/0585Splints for the limbs for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A61F13/041Accessories for stiffening bandages, e.g. cast liners, heel-pieces
    • A61F13/045Walking soles or he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플린트는, 적어도 발바닥과 발목의 후방을 감싸서 보호하는 원피스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하면에 접착되는 원피스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는 바디솔(20);를 포함하며, 상기 바디(10)의 뒷꿈치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편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솔(20)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부(11)를 감싸는 스테빌라이저커버부(23a)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플린트{Splint}
본 발명은 발 및 발목 등의 골절 또는 염좌시 보호 및 고정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스플린트(Splint; 부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전에 다양한 형태의 스플린트가 공지되어 있으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그 중의 하나로서, 특히 밑창의 탈착이 가능한 스플린트를 개시하고 있다.
도 13 및 도 14는 특허문헌 1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 다리 보호대(1)는 발을 받치는 바닥판부(10)와 제1 밑창(50) 및 제2 밑창(6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제1 밑창(50)은 바닥판부(10)의 하측에 구비된다. 제1 밑창(50)은 발의 앞뒤방향을 따라 다수의 굴곡이 배치된 제1 굴곡부(53)가 하면에 구비된 제1 밑창판부(52)와, 제1 밑창판부(52)의 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다수의 측면돌기(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 밑창(60)은 제1 밑창(50)의 하측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데, 제2 밑창(60)은 제1 굴곡부(53)에 대응하는 굴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2 굴곡부(63)가 상면에 구비된 제2 밑창판부(62)와, 내측면에 다수의 측면돌기(55)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돌기삽입홈(65)이 구비되는 측벽부(64)를 구비한다.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은 신축성있는 소재로 구성된다.
제1 굴곡부(53)와 제2 굴곡부(63)는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의 결합시 위치를 잡아주는데, 특히 제1 밑창(50)이 제2 밑창(60)의 상부에 동일한 위치에 정확하게 놓여진 상태가 아니더라도, 제1 밑창(50)을 하부로 가압하는 경우, 라운딩 형상으로 이뤄진 제1 굴곡부(53)의 굴곡 형상이 제2 굴곡부(63)의 굴곡 형상 위를 자연스럽게 슬라이딩 이동하여 정확한 위치로 맞추어지므로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이 용이하게 결합되는 효과를 기대한 것이다.
또한, 측면돌기(55)와 돌기삽입홈(65)은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의 결합이 이뤄지고 유지되도록 한다. 즉, 상기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의 삽입 결합시, 제2 밑창(60)의 측벽부(64)가 측면돌기(55)로 인해 외측으로 벌어지며, 제1 굴곡부(53)와 제2 굴곡부(63)가 대응하는 위치에서 면접촉됨과 동시에 측벽부(64)에 부여된 탄성력에 의해 측벽부(64)가 내측으로 가압되므로 돌기삽입홈(65)으로 측면돌기(55)의 삽입이 이뤄지게 된다.
그런데,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의 위치가 살짝 어긋나더라도 양자가 용이하게 결합되게 하기 위하여, 제1 밑창(50)의 바닥면에 제1 굴곡부(53)를 반드시 구성해야 하므로, 그만큼 제1 밑창(50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다. 실내에서는 제2 밑창(60)을 탈거하고 제1 밑창(50)의 바닥이 실내바닥과 접촉하게 되는데, 제1 굴곡부(53)등의 높이로 인하여, 실내바닥으로부터 발의 높이를 높게 하며, 보호대를 착용한 발과 보호대를 착용하지 않은 발 사이의 높이 차이가 심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서 사용자의 편안한 실내 보행을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을 결합하여 고정하는 방식으로서, 제1 밑창(50)의 측면에 구성되는 측면돌기(55)를 이용하는 방식이어서, 당연히 제1 밑창(50)이 상당한 두께를 가질 것을 요구하므로, 제1 밑창(50)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어렵기도 하다.
그리고, 제1 밑창(50)은 실내보행시의 바닥면으로 이용되고 제2 밑창(60)은 실외보행시의 바닥면으로 이용되므로, 당연히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의 모두는 신축성있는 부드러운 소재로 구성되는데, 이에 따라 제1 밑창(50)과 제2 밑창(60)을 체결할 때, 양자 모두가 신축성이 있어서, 그리고 상호간의 마찰력으로 인해서 체결이 용이하지 않으며, 체결후에도 그 신축성으로 인해서 체결유지의 견고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만약 가정하여 제1 밑창(50)을 경질로 변경한다면 이러한 문제를 일부 완화할 수는 있겠지만, 실내보행시 제1 밑창(50)을 바닥면으로 이용해야 하므로, 마찰력이 부족하여 미끄러질 확률이 증가하는 또다른 문제가 발생될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 바닥판부(10)의 상면, 특히 뒷꿈치 부분에서의 상면도 편평한데, 이는 보호대의 착용으로 민첩성이 떨어지고 불안정한 발이 자칫 넘어지는 등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편평한 평면을 이루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생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발(특히 뒷꿈치)이 바닥판부의 위에서 좌우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증가시키므로 보호대가 발목의 움직임을 제한해야 하는 고정 기능을 떨어뜨리며, 사용자로 하여금 벨크로타입인 파스너를 너무 조이게 하는 부작용을 불러온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에 대한 인식과 분석은 본 발명에 이르는 과정의 일부로서, 이를 당연한 것으로 하여 본 발명의 진보성을 판단하여서는 안된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694792,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본 발명의 목적은 뒷꿈치와의 정합성을 향상시키면서도 보행 안정성을 가진 스플린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슈즈의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실내보행시 착용한 발과 착용하지 않은 발 사이의 높이 차이를 저감할 수 있는 스플린트 및 슈즈를 포함하는 스플린트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슈즈의 탈착이 용이하면서도 체결유지의 견고함을 가진 스플린트 및 슈즈를 포함하는 스플린트 세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플린트는, 적어도 발바닥과 발목의 후방을 감싸서 보호하는 원피스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는 바디(10); 상기 바디(10)의 하면에 접착되는 원피스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는 바디솔(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스플린트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뒷꿈치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편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솔(20)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부(11)를 감싸는 스테빌라이저커버부(23a)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강성은 상기 바디솔(20)의 강성보다 크며, 상기 바디솔(20)의 마찰저항계수는 상기 바디(10)의 마찰저항계수보다 클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에 있어서, 상기 바디솔(2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되, 상기 바디(10)의 앞꿈치 부분을 커버하는 앞꿈치솔(21); 상기 바디(10)의 뒤꿈치 부분을 커버하는 뒤꿈치솔(23); 및 협폭으로 상기 앞꿈치솔(21)과 상기 뒤꿈치솔(23)을 연결하는 브릿지(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솔(21)과 상기 뒤꿈치솔(23)의 바닥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PE 및 PP가 혼합된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솔(20)은 산토프렌 또는 TPE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는, 적어도 발바닥과 발목의 후방을 감싸서 보호하는 바디(10)와, 상기 바디(10)의 하면에 접착되며 미끄럼방지를 위한 바디솔(20)을 구비하는 스플린트(1); 상기 스플린트에 탈착되는 슈즈(3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슈즈(30)의 발바닥 부분에 구성되는 복수의 결합돌기(32)가, 상기 바디솔(20)의 발바닥 부분에 구성되는 구성되는 복수의 제 1 관통공(b1)을 각각 관통하여, 상기 바디(10)의 발바닥 부분에 구성되는 복수의 결합공(a1)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플린트(1)와 상기 슈즈(30)가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스플린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2)는 기둥부(32a)와, 상기 기둥부(32a)와 단차를 형성한 후 확경된 걸림부(32b)를 구비하며, 상기 결합공(a1)의 중간 부분에는 단턱부(d1)가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a1)으로 삽입된 상기 걸림부(32b)가 걸리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스플린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기둥부(32a)와 상기 걸림부(32b)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있어서, 후방에 형성되는 단차의 폭(s1)은 전방에 형성되는 단차의 폭(s2)보다 작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슈즈(30)의 뒤꿈치 부분에 구성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키(33)가, 상기 바디솔(20)의 뒤꿈치 부분에 구성되는 구성되는 제 2 관통공(b2)을 관통하여, 상기 바디(10)의 뒤꿈치 부분에 구성되는 키공(a2)에 안착되어, 상기 스플린트(1)의 힐사이드와 상기 슈즈(30)의 힐사이드 사이의 1차 정렬이 수행될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 세트에 있어서, 발바닥 중앙 부분 또는 뒷꿈치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았을 때, 상기 슈즈(30)에서 중앙부분(f2)의 양쪽으로 구성되는 측벽부분(f1,f3)의 상면은 아크를 형성하면서 점차 기립되며, 상기 바디(10)에서 중앙부분(e2)의 양쪽으로 구성되는 날개부분(e1,e3)의 하면은 상기 측벽부분(f1,f2)의 아크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1차 정렬이 수행된 후, 상기 스플린트(1)의 토우사이드와 상기 슈즈(30)의 토우사이드를 근접시킬 때, 상기 측벽부분의 아크와 상기 날개부분의 아크를 이용하여 셀프 얼라인될 수 있다.
상기한 스플린트 세트에 있어서, 상기 슈즈(30)에서 상기 돌출키(33)의 상방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탈거손잡이(34)가 구성되며, 상기 슈즈(30)의 탈거시 상기 탈거손잡이(34)를 후방으로 당겨서 상기 키공(a2)으로부터 상기 돌출키(33)를 빼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플린트에 따르면 바디(10)의 뒷꿈치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면서도, 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편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부(11)가 형성됨으로써, 곡면인 뒷꿈치와 스플린트의 정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행 안정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플린트 세트에 따르면 바디솔을 관통하여 바디와 슈즈가 결합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플린트 세트에 따르면 발바닥부분에서 슈즈와 스플린트가 서로 결합하고 있어서 내측 부분이 처지는 문제가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플린트 세트에 따르면 측벽부분(f1,f3)의 아크와 날개부분(e1,e3)의 아크를 이용하여 셀프 얼라인(Self Align)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플린트 세트에 따르면 스플린트에 슈즈를 결착(체결)함에 있어서, 뒷부분의 1차 얼라인후 완전한 결착으로 이행되는 과정이 편리하고 쉬운 효과가 있으며, 결착후에도 결착의 견고함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플린트 세트에 따르면 결합돌기에서 후방 단차의 폭(s1)을 전방 단차의 폭(s2)보다 작게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플린트(1)로부터 슈즈(30)를 탈거하는 것을 보다 손쉽게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를 바디와 바디솔로 분해한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에 슈즈를 부탁한 상태의 스플린트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에서 슈즈를 탈거한 상태의 스플린트 세트를 도시한 것.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에서 결합공, 관통공 및 결합돌기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A-A 부분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에서 돌출키 및 키공을 확대하여 도시한 B-B 부분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에서 발바닥의 중앙부분에서 좌우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C-C 부분의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에서 스플린트와 슈즈의 뒷부분을 먼저 1차 정렬한 상태의 측면도.
도 13 및 도 14는 특허문헌 1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을 도시한 사시도.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를 바디와 바디솔로 분해한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는 바디(10)와 바디솔(20)이 상호 접착된 형태로 구성된다. 바디(10)는 발바닥의 앞꿈치 부분과 발다닥의 뒤꿈치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와 발목의 후방, 그리고 종아리의 후방을 감싸서, 골절 또는 염좌시 발과 발목을 보호하고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디(10)는 PE(polyethylene; 폴리에틸렌) 및 PP(polypropylene; 폴리프로필렌)가 혼합된 수지로 구성되고 원피스(One Piece)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된다.
바디(10)는 사용자의 발바닥을 커버하고 그 양측으로 약간 올라가 있는 발바닥부(12)와, 사용자의 발목 뒷부분과 종아리 뒷부분을 커버하는 종아리부(13)가 연결된 일체로 구성된다. 발바닥부(12)의 양측과 종아리부(13)의 양측에는 벨크로타입의 패스너를 결합시키기 위한 패스너슬릿(14)이 구성된다.
바디(10)의 발바닥부(12)는 크게 앞꿈치 부분과 뒷꿈치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뒷꿈치 부분에서 발바닥부(12)의 상면은 사용자의 발다박 곡면에 보다 순응하도록 하기 위하여 편평한 면이 아닌 곡면으로 형성된다. 뒷꿈치 부분에서 발바닥부(12)의 하면은 기본적으로 곡면으로 형성되되, 이러한 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편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부(11)가 형성된다. 따라서 바디(10)의 발바닥부(12)는 인체의 뒷꿈치와 유사한 강성 커버와 이로부터 돌출되고 넓은 주춧돌 모양의 스테빌라이저부(11)가 구성되는 것이다.
바디솔(20)은 바디(10)의 하면에 접착되며, 원피스(One Piece)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는데, 바디솔(20)은 실내보행시 미끄럼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산토프렌(Santoprene) 또는 TPE(Thermo Plastic Elastomer)와 같이 약간의 신축성과 마찰저항계수가 큰 물질로 구성된다.
바디솔(20)은 얇은 시트로 형성되고 바디(10)의 형상을 따라 커버하여 바디(10)의 하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바디(10)의 하면 전체를 커버하지는 않고, 주로 앞꿈치부분과 뒤꿈치부분을 커버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바디솔(20)은 바디(10)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되, 앞꿈치솔(21)은 바디(10)의 앞꿈치 부분을 커버하는 시트이고 뒤꿈치솔(23)은 바디(10)의 뒤꿈치 부분을 커버하는 시트이며, 브릿지(22)는 앞꿈치솔(21)과 뒤꿈치솔(23)을 연결하는 협폭의 시트로서, 이러한 부분들이 상호 연결되어 있다. 바디솔(20)은 하나의 연결된 부품으로 사출성형될 수 있어서 2개이상의 부품으로 구성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 비용과 접착공정의 비용을 절감한다.
바디솔(20)은 바디(10)의 바닥면에 접착되는 시트 형태(단순 평면이 아닌 시트임)인데, 바디(10)의 뒷꿈치 부분의 하면은 곡면과 이로부터 돌출된 스테빌라이저부(1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디솔(20)의 뒤꿈치솔(23)도 곡면과 이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을 가진다. 바디솔(20)의 뒤꿈치솔(23)은 곡면부(23b)와, 상기 곡면부(23b)로부터 돌출되어 상기한 스테빌라이저부(11)를 감싸는 스테빌라이저커버부(23a)를 구비한다. 그리고, 앞꿈치솔(21)과 뒤꿈치솔(23)의 바닥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어 미끄럼방지 특성을 강화한다.그리고 통풍을 위하여 바디의 발바닥부와 종아리부에는 다수의 통풍구(15)가 구성된다.
스플린트에 있어서 바디(10)의 강성(경도)은 바디솔(20)의 강성보다 크며, 바디솔(20)의 마찰저항계수는 바디(10)의 마찰저항계수보다 크게 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바디(10)는 고정 및 보호의 기능에 충실하고 바디솔(20)은 미끄럼방지의 기능에 충실하며, 양자의 접착결합으로 스플린트가 2가지특성을 동시에 가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10)의 뒷꿈치 부분이 곡면으로 형성되면서도, 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편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부(11)가 형성됨으로써, 스플린트가 곡면인 뒷꿈치와의 정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보행 안정성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특히, 바디솔(20)에는 돌출된 스테빌라이저부(11)를 감싸는 스테빌라이저커버부(23a)가 구성되는 특이한 형상을 함으로써(도 4 참조), 돌출된 스테빌라이저부의 상기 기능을 그대로 유지토록 한다. 얇은 스테빌라이저커버부(23a)는 커버만 하고 착지시 뒷꿈치부분의 물리적 힘은 주로 강성을 가진 바디(10)의 스테빌라이저부(23a)를 통해 전달되어 보행의 안정성이 보장된다. 그리고 이러한 보행 안정성은 스테빌라이저부를 제외한 부분을 곡면으로 유지하면서도 가능하게 되었는데, 곡면형상으로 인해서 인체의 뒷꿈치와의 정합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후술할 셀프 얼라인(Self Align) 특성에 기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플린트는 그 바닥에 종래기술과 같은 굴곡부를 가지지 않으므로, 바닥의 두께를 보다 얇게 할 수 있다. 특히 발바닥의 뒤꿈치쪽은 인체의 보행특성을 고려하여 스테빌라이저부를 구성하여 의도적으로 두껍게 하였으나, 발바닥의 앞꿈치쪽과 중앙쪽을 얇게 할 수 있어서 실내바닥으로부터의 높이 차이를 최소화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에 슈즈를 부탁한 상태의 스플린트 세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에서 슈즈를 탈거한 상태의 스플린트 세트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는 스플린트(1)와 슈즈(3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스플린트 세트에서 스플린트(1)는 상기한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설명한 스플린트(1)와 동일하므로, 많은 부분의 설명은 생략될 수 있으며 다만, 슈즈(30)와의 탈착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추가적으로 설명된다.
슈즈(30)는 실외로의 외출시 신발의 역할을 하게 되는데, 슈즈(30)는 사용자에 의해 스플린트(1)에 탈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PU(Polyurethane)로 구성되는 원피스(One Piece)의 사출성형물로서, 신발의 밑창과 유사하게 신축성과 유연성을 가지며, 미끄럼방지의 특성을 가진다.
슈즈(30)는 그 하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미끄럼방지 패턴(35)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스플린트 세트를 착용하지 않고 일반 신발을 착용한 발과의 높이를 맞추기 위하여 슈즈(30)의 발바닥부분은 상당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슈즈(30)의 상면에는 바디솔(20)의 앞꿈치솔(21)이 안착되는 제 1 리세스(g1)와, 바디솔(20)의 브릿지(22)가 안착되는 보다 얕은 제 2 리세스(g2)와, 바디솔(20)의 뒷꿈치솔(23)의 스테빌라이저커버부(23a)(따라서 바디의 스테빌라이저부)가 안착되는 제 3 리세스(g3)가 형성된다.
슈즈(30)의 상면에는 발바닥 부분에 대략 원기둥모양인 복수의 결합돌기(32)를 구성하고 뒷꿈치 부분, 구체적으로 뒤꿈치 부분의 후방으로 바닥에서 약간 올라간 높이의 위치에는 대략 사각기둥 모양을 하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키(33)를 구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 1 리세스(g1)내에 5개의 결합돌기(32)가 구성되고 제 2 리세스(g2)내에 1개의 결합돌기(32)가 구성된다.
슈즈(30)의 결합돌기(32)에 대응하여 바디(10)의 발바닥 부분에는 대략 원형의 결합공(a1)이 구성되며, 바디솔(20)에는 상기 결합공(a1)에 대응하여 대략 원형인 관통공(b1)이 구성된다. 또한, 슈즈(30)의 돌출키(33)에 대응하여 바디(10)의 뒷꿈치 후방, 구체적으로는 바닥에서 약간 올라간 높이의 위치에는 대략 사각형인 키공(a2)이 구성되고 상기 키공(a2)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기 바디솔에는 대략 사각형인 제 2 관통공(b2)이 형성된다.
슈즈의 발바닥 부분에 구성되는 결합돌기(32)의 각각은 바디솔(20)의 발바닥 부분에 구성되는 제 1 관통공(b1)을 각각 관통하여, 바디(10)의 발바닥 부분에 구성되는 결합공(a1)에 각각 결합됨으로써 스플린트(1)와 슈즈(30)가 상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스플린트의 발바닥부가 비교적 얇은 것임에도 탈착방식의 고정을 위한 유효한 구조를 가지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에서 결합공, 관통공 및 결합돌기의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A-A 부분(도 5 참조)의 단면도이다.
바디(10)의 결합공(a1)의 중간 부분(상하 방향에서의 중간 부분)에는 단턱부(d1)가 형성되는데, 결합공(a1)에 있어서 단턱부(d1)를 중심으로 아래쪽 부분의 내경은 위쪽부분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결합돌기(32)는 원기둥 모양의 기둥부(32a)와, 이러한 기둥부(32a)와 단차를 형성한 후 확경된 걸림부(32b)를 구비한다. 억지끼움방식으로 결합돌기(32)의 걸림부(32b)가 제 1 관통공(b1)을 통과하여 결합공(a1)의 단턱부(d1) 위쪽에 안착된 후에는 단차 및 단턱부로 인해서 쉽게 빠지지 않는 구조를 하고 있다. 바디(10)의 결합공(a1)의 중간 부분에는 단턱부(d1)가 형성되어 결합공(a1)으로 삽입된 슈즈의 걸림부(32b)가 걸리도록 한다.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양자가 모두 신축성이 있는 제1 밑창과 제2 밑창이 서로 결합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바디솔과 슈즈가 결합하는 것이 아니라, 바디솔을 관통하여 경질의(강성이 있는) 바디와 신축성이 있는 슈즈가 결합함으로써, 보다 견고하게 결합하여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기술에서는 제 1 밑창의 측면돌기(55)와 제 2 밑창의 돌기삽입홈(65) 사이가 결합하는 측면결합으로써 제2 밑창이 고정되는 방식인데, 이러한 방식은 측면 둘레에서만 고정됨으로써 제 2 밑창의 중앙부분을 포함하는 내측 부분은 고정이 없어서 보행시 자체 무게로 처지는 것을 반복할 수 있고 사용중 제 2 밑창이 벗겨질 우려가 있었다. 이에 반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발바닥부분에서 서로 결합하고 있어서 내측 부분이 처지는 문제가 없이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가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에서 돌출키 및 키공을 확대하여 도시한 B-B 부분(도 5 참조)의 단면도이다.
스플린트(1)에 슈즈(30)를 결합할 때에는, 슈즈(30)의 뒤꿈치 부분에 구성되고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돌출키(33)가, 바디솔(20)에 구성되는 구성되는 제 2 관통공(b2)을 관통하여, 바디(10)의 뒤꿈치 부분에 구성되는 키공(a2)에 안착됨으로써, 스플린트(1)의 힐사이드(Heel Side)와 슈즈(30)의 힐사이드(Heel Side) 사이, 즉 스플린트의 뒤쪽부분과 슈즈의 뒤쪽부분 사이의 1차 정렬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스플린트 세트는 스플린트의 토우사이드(Toe Side)와 슈즈의 토우사이드(Toe Side) 사이를 벌린 상태(즉, 스플린트의 발바닥부분과 슈즈가 옆으로 누운 'V'자 모양인 상태)에서 스플린트와 슈즈의 뒷부분을 먼저 1차 정렬하고나서(도 12 참조), 그 다음에 스플린트의 앞부분을 눌러서 슈즈와 전체적으로 결착되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플린트 세트에서 발바닥의 중앙부분에서 좌우방향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C-C 부분(도 5 참조)의 단면도이다.
스플린트 세트의 발바닥 중앙 부분 또는 뒷꿈치 부분을 좌우방향으로 절단하여 보았을 때, 슈즈(30)에서 중앙부분(f2)의 양쪽으로 구성되는 측벽부분(f1,f3)의 상면은 아크를 형성하면서 점차 기립된다. 중앙부분으로부터 수직이나 급경사로 측벽부분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중앙부부분을 벗어나면서는 아크를 가지면서 점차로 수직에 가까워지게 각도를 세우는 것이다. 그리고 바디(10)에서 중앙부분(e2)의 양쪽으로 구성되는 날개부분(e1,e3)의 하면은 측벽부분(f1,f2)의 아크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는데, 이에 따라 역시 아크를 가지면서 점차 기립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플린트와 슈즈의 뒷부분에서 1차 정렬이 수행된 후, 스플린트(1)의 토우사이드와 슈즈(30)의 토우사이드를 근접시킬 때, 본 발명에 따르면슈즈의 측벽부분(f1,f3)의 아크와 바디의 날개부분(e1,e3)의 아크를 이용하여 셀프 얼라인(Self Alig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차 정렬에 의하여 스플린트와 슈즈의 뒷부분에서는 정렬되더라도 스플린트와 슈즈 사이의 벌어진 각도를 좁히면서 스플린트의 앞부분을 슈즈의 앞부분에 근접시킬 때, 정확히 얼라인이 맞지 않고 조금 어긋나 있더라도 측벽부분(f1,f3)의 아크와 날개부분(e1,e3)의 아크를 이용하여 셀프 얼라인(Self Align)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물론 걸림부(32b)의 상단이 라운드져 있고 제 1 관통공(b1)의 입구쪽으로 갈수록 점차 넓어지고 결합공(a1)의 입구쪽의 갈수록 점차 넓어지는 구조로 하여 오정렬에 대한 약간의 허용오차를 제공 하지만, 이와 같은 허용오차를 벗어난 오정렬의 상황에서도 측벽부분(f1,f3)의 아크와 날개부분(e1,e3)의 아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자연스럽게 얼라인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바디의 뒷꿈치 부분에 대해서 인체의 뒷꿈치를 감싸는 곡면으로 한 것과 관련되며, 이러한 곡면의 잇점을 가지도록 하면서 보행시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스테빌라이저부가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플린트에 슈즈를 결착(체결)함에 있어서, 뒷부분의 1차 얼라인후 완전한 결착으로 이행되는 과정이 편리하고 쉬운 효과가 있으며, 결착후에도 결착의 견고함이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슈즈(30)에서 돌출키(33)의 상방에는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탈거손잡이(34)가 구성되는데, 이러한 탈거손잡이(34)는 스플린트(1)로부터 슈즈(30)의 탈거시 탈거손잡이(34)를 후방으로 당겨서 스플린트(1)의 키공(a2)으로부터 돌출키(33)를 빼는 용도로 사용된다.
사용자가 슈즈(30)를 탈거하고자 할 때에는 탈거손잡이(34)를 후방으로 당겨서 스플린트(1)의 키공(a2)으로부터 슈즈(30)의 돌출키(33)를 빼낸 다음, 슈즈(30)의 뒤쪽부터 시작하여 점차 앞쪽 방향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한꺼번에 분리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32)의 기둥부(32a)와 걸림부(32b)사이에 형성되는 단차에 있어서, 후방에 형성되는 단차의 폭(s1)은 전방에 형성되는 단차의 폭(s2)보다 작게 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단차의 폭에 맞추어 결합공(a1)에 형성되는 단턱부(d1)에 있어서 후방에 형성되는 단턱부의 폭(s3)은 전방에 형성되는 단턱부의 폭(s4)보다 작게 되도록 할 수 있다.
사용중 스플린트(1)와 슈즈(30) 사이의 결합력은 후방 단차와 전방 단차에 의해 거의 균등하게 영향을 받지만, 스플린트(1)로부터 슈즈(30)를 분리하는 과정에서는 후방 단차가 전방 단차보다 더 큰 영향을 미키게 되는데, 후방 단차의 폭(s1)을 전방 단차의 폭(s2)보다 작게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스플린트(1)로부터 슈즈(30)를 탈거하는 것을 보다 손쉽게하는 효과가 있다.
1 : 스플린트 10 : 바디
11 : 스테빌라이저부 12 : 발바닥부
13 : 종아리부 14 : 패스너슬릿
15 : 통풍구 20 : 바디솔
21 :암꿈치솔 22 : 브릿지
23 : 뒤꿈치솔 23a : 스테빌라이저커버부
30 : 슈즈 32 : 결합돌기
32a : 기둥부 32b : 걸림부
33 : 돌출키 34 : 탈거손잡이
35 : 미끄럼방지패턴 a1 : 결합공
a2 : 키공 b1 : 제 1 관통공
b2 : 제 2 관통공 d1 : 단턱부
e1,e3 : 날개부분 f1,f2 : 측벽부분

Claims (6)

  1. 삭제
  2. 적어도 발바닥과 발목의 후방을 감싸서 보호하는 원피스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는 바디(10); 및
    상기 바디(10)의 하면에 접착되는 원피스의 사출성형물로 구성되는 바디솔(20);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10)의 뒷꿈치 부분은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곡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편평한 바닥면을 가지는 스테빌라이저부(11)가 형성되며,
    상기 바디솔(20)에는 상기 스테빌라이저부(11)를 감싸는 스테빌라이저커버부(23a)가 구성되는,
    스플린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10)의 강성은 상기 바디솔(20)의 강성보다 크며, 상기 바디솔(20)의 마찰저항계수는 상기 바디(10)의 마찰저항계수보다 큰,
    스플린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솔(20)은 상기 바디(10)의 하면을 부분적으로 커버하되,
    상기 바디(10)의 앞꿈치 부분을 커버하는 앞꿈치솔(21);
    상기 바디(10)의 뒤꿈치 부분을 커버하는 뒤꿈치솔(23); 및
    협폭으로 상기 앞꿈치솔(21)과 상기 뒤꿈치솔(23)을 연결하는 브릿지(22);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플린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앞꿈치솔(21)과 상기 뒤꿈치솔(23)의 바닥면에는 엠보싱이 형성되는,
    스플린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바디(10)는 PE 및 PP가 혼합된 수지로 구성되고 상기 바디솔(20)은 산토프렌 또는 TPE로 구성되는,
    스플린트.
KR1020220024533A 2022-02-24 2022-02-24 스플린트 KR1024139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33A KR102413983B1 (ko) 2022-02-24 2022-02-24 스플린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4533A KR102413983B1 (ko) 2022-02-24 2022-02-24 스플린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983B1 true KR102413983B1 (ko) 2022-06-28

Family

ID=822684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4533A KR102413983B1 (ko) 2022-02-24 2022-02-24 스플린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9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9497A (ja) * 2004-01-30 2007-07-19 エアーキャスト エルエルシー 歩行用装具
KR20090044616A (ko) * 2007-11-01 2009-05-07 박문환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창
KR20120103084A (ko) * 2011-03-09 2012-09-19 백웅기 신발
KR101694792B1 (ko) 2016-03-16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JP2019048145A (ja) * 2016-03-15 2019-03-28 キム, チュンファンKIM, Choonghwan 足プロテクターおよびそのためのインソー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9497A (ja) * 2004-01-30 2007-07-19 エアーキャスト エルエルシー 歩行用装具
KR20090044616A (ko) * 2007-11-01 2009-05-07 박문환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창
KR20120103084A (ko) * 2011-03-09 2012-09-19 백웅기 신발
JP2019048145A (ja) * 2016-03-15 2019-03-28 キム, チュンファンKIM, Choonghwan 足プロテクターおよびそのためのインソール
KR101694792B1 (ko) 2016-03-16 2017-01-10 김충환 다리 보호대 및 이를 위한 신발 밑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882987B (zh) 腿部护具及用于其的鞋底
EP3454688A1 (en) Article of footwear for weightlifting
EP1212954B1 (en) A shoe horn attachment for a shoe
US20100199526A1 (en) Shoe and removably securable shoe insert
US9131747B2 (en) Shoe sole
EP3110276B1 (en) Footwear system with removable inserts
US11337489B2 (en) Modular orthotic footwear system
WO2011013940A2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KR102413990B1 (ko) 스플린트 세트
EP3742919B1 (en) Shoe with a high heel to low heel conversion
US10426225B2 (en) Shoe with a high heel to low heel conversion
US20180160768A1 (en) Comfort system for footwear
KR20150109721A (ko) 교정용 신발깔창
KR102413983B1 (ko) 스플린트
US20220183869A1 (en) Ankle foot orthopaedic apparatus
KR20220010532A (ko) 신발의 안창
EP2187771B1 (en) An article of footwear
JP2020014817A (ja) 中敷き及びこれを備えた靴
JP6912782B2 (ja) 下肢装具用部品及び下肢装具用履物
KR200464470Y1 (ko) 발바닥 압력 분산을 위한 여성용 구두 중창용 아대, 이를 가진 중창 및 구두
KR102472598B1 (ko) 다리 보호대
JPH08154701A (ja) 伸縮自在靴
WO2023102075A1 (en) Orthotic brace and clip attachment mechanism
KR20140147643A (ko) 신발용 보조체를 구비한 신발
KR20120008652A (ko) 사용편리성이 향상된 샌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