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187B1 -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187B1
KR102413187B1 KR1020150034085A KR20150034085A KR102413187B1 KR 102413187 B1 KR102413187 B1 KR 102413187B1 KR 1020150034085 A KR1020150034085 A KR 1020150034085A KR 20150034085 A KR20150034085 A KR 20150034085A KR 102413187 B1 KR102413187 B1 KR 1024131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urfactant
sunscreen
composition
stabil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10760A (ko
Inventor
고원진
신현종
손남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to KR102015003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187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0.5~4.0 중량% 및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0.2~2.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발림성, 촉촉함, 부드러움 등의 우수한 사용감과 고온에서의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UV block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ionic surfactant and polymeric surfactant}
본 발명은 수중유형(Oil in Water, O/W)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피부에 홍반이나, 부종, 주근깨, 피부암을 일으키는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여, 최근 자외선에 기인한 여러 가지 피부 질병들에 대한 많은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은 그 파장에 따라, 200-280 nm의 파장은 UV-C, 280-320 nm의 파장은 UV-B, 320-400 nm의 파장은 UV-A로 분류된다. UV-C는 오존층을 통과하면서 지표면에 도달하지 못하고 소실되며, UV-B는 피부의 표피까지 침투되어 홍 반과 주근깨, 부종 등을 일으킨다. UV-A는 피부의 진피까지 침투하여 피부암과 주름, 멜라닌 형성을 촉진하는 등, 피부 노화 및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수의 역학 연구로 일광 노출과 인체 피부암의 강력한 관계가 증명되어 있으며, 자세한 관계가 토의되기도 하였다(DeSimone, 'Sunscreen and Suntan Products', Handbook of Nonpre-scription Drugs, 7th Ed., Chapter 26, pp499-511,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Washington, D.C.;1982).
일광 노출과 관련된 상기 언급된 위험의 결과로, 자외선 차단 제품에 대한 일반 대중의 관심은 증가하여 왔으며, 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SPF(자외선 차단지수)를 가지는 자외선 차단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자외선 차단 제품은 높은 SPF값을 갖도록 하기 위해 이산화티탄, 산화아연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옥토크릴렌, 부틸메톡시디벤조일메탄,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및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한다.
또한 제품의 제조방법에 따라, 수중유(Oil in water, O/W)형 유화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와 유중수(Water in oil, W/O)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로 나누어진다. 유중수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의 경우 땀이나 물에 강하여 오래 지속되는 효과는 있으나, 그 특성상 세안 시 쉽게 지워지지 않고, 무겁고 답답한 사용감인 반면, 수중유형 자외선차단 화장료의 경우 땀이나 물에는 쉽게 지워질 수 있으나 촉촉하고 가벼운 사용감으로 사용이 용이한 것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높은 SPF를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의 경우 유기 자외선 차단제 대부분이 유용성 성분이므로 고온에서 안정성이 저해되는 경우가 많다. 이를 안정화시키기 위해서는 왁스나 고급 알콜을 다량 사용하여 화장료의 점도 혹은 경도를 높여 고온 안정성을 높일 수가 있으나, 그 경우 화장료의 사용감이 두텁고 무거워지는 경향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왁스와 고급 알콜류의 사용량을 줄이면서 고온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이 필요하다.
일본공개특허 제2008-247897호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종래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 비하여 왁스나 고급 알코올류의 사용량을 줄여, 수중 유형의 가벼운 사용감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성을 갖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온에서도 안정하며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가벼운 사용감과 안정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0.5~4.0 중량% 및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0.2~2.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이눌린(inulin) 유도체이며,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이눌린 유도체는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스테아르산 이눌린, 팔미토일 이눌린(Palmitoyl Inulin), 운데실레노일 이눌린(Undecylenoyl Inulin), 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모늄 이눌린(Hydroxypropyltrimonium Inulin) 또는 그의 2 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고분자계 계면활성제의 함량이 상기 범위의 상한 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지거나 제형의 안정성을 오히려 저해할 수 있으며, 상기 범위의 하한 값을 벗어나는 경우에는 유화력이 떨어져 유화입자가 너무 크게 형성되어 유화 안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알킬 에테르 술페이트, 카르복실레이트, 아미노산 유도체, 술포네이트, 이세티오네이트, 타우레이트, 술포숙시네이트, 알킬술포아세테이트, 포스페이트 및 알킬 포스페이트, 폴리펩타이드, C10-C30 및 특히 C16-C25의 지방산의 금속염, 특히 금속 스테아레이트 및 베헤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바람직하게는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Oil in water, O/W) 조성물이다.
본 발명은 왁스나 고급 알코올을 사용하지 않고도 제형의 안정성을 높임과 동시에 발림성 등의 사용감이 우수한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으며,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이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제 5.0~30 중량%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일 실시형태에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1.0~7.5중량% 또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3.0중량%를 포함한다. 상기 함량 미만일 경우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로서 효과가 매우 미미할 수 있으며, 상기 함량 범위를 초과하여 사용시에는 제형 내의 안정성을 저해하고, 석출의 우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자외선 차단제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PABA(para-aminobenzoic acid) 유도체, 신나메이트 유도체, 살리실산 유도체, 벤조페논 및 안트라닐산염 등의 유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아연산화물, 티타늄이산화물, 철산화물, 마그네슘산화물 등의 무기 자외선 차단제, 또는 상기 2이상의 혼합물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파라아미노안식향산, 파라아미노안식향산 메틸, 파라아미노안식향산 글리세릴, 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아민, 파라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옥틸, 살리실산 에틸렌글리콜, 살리실산 페닐, 살리실산 옥틸, 살리실산 부틸 페닐, 살리실산 호모 펜틸, 메톡시 계피산 옥틸, 메톡시계피산 옥틸, 메톡시계피산 에톡시 에틸, 하이드록시 메톡시벤조페논, 디하이드록시 디메톡시 벤조페논, 부틸 메톡시벤조일 메탄, 옥틸 트리아존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안정화제, 점도조절제, 에몰리언트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화안정화제는 형성된 에멀젼의 안정도를 높이는 역할을 하며, 예를 들면, 스테아린산, 세테아릴알코올 및 베헤닐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점도조절제는 유화에 의해서 생성된 입자들이 저점도를 유지하면서도 상층부로 뜨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점도조절제로는, 잔탄검, 젤란검, 낫토검, 구아검 및 이들의 가수분해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에몰리언트는 유기 자외선 차단제 보다 낮은 극성을 가짐으로써 제형을 안정화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및 피토스쿠알란 등의 하이드로카본;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메도우폼씨 오일 및 해바라기씨 오일 등의 트리글리세라이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선크림,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은 기본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수중 유형의 가벼운 사용감을 유지하고 발림성, 촉촉함, 부드러움 등의 우수한 사용감을 갖는다. 또한 고온에서도 안정성을 갖는 등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갖는다.
도 1은 50℃에서 실시예 1(a) 및 비교예 2(b)의 조성물을 4주 동안 보관한 후 이를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5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및 비교예 1~5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원료명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Part A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7.000 7.000 7.000 7.000 7.000 7.000
에칠헥실살리실레이트 4.500 4.500 4.500 4.500 4.500 4.500
티타늄디옥사이드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C12-15알킬벤조에이트 4.000 4.000 4.000 4.000 4.000 4.000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디에칠아미노하이드록시벤조일헥실벤조에이트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피이지-100스테아레이트 - 1.500 1.500 1.500 - -
사이클로펜타실록산 3.000 3.000 3.000 3.000 3.000 3.000
Part B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트로메타민 1.600 1.600 1.600 1.600 1.600 1.600
페닐벤즈이미다졸설포닉애씨드 2.700 2.700 2.700 2.700 2.700 2.700
트리소듐이디티에이 0.020 0.020 0.020 0.020 0.020 0.020
글리세린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디프로필렌글라이콜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1,2-헥산디올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판테놀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800 - 0.800 - - 0.800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2.000 - - 2.000 2.000 -
잔탄검 0.200 0.200 0.200 0.200 0.200 0.200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400 0.400 0.400 0.400 0.400 0.400
Part C

정제수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20.000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0.200 0.200 0.200 0.200 0.200 0.20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먼저, 상기 Part A 및 B의 각 원료를 계량한 후 교반하면서, 70℃ 상에서 고르게 분산시켰다. Part B에 A를 투입하여 교반하여 유화하였다.
별도로 교반한 Part C를 상기에서 제조된 Part A 및 B의 혼합 조성물에 교반하면서 천천히 투입하여 고르게 섞었다.
실험예 1 : 점도 및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5에서 제조된 조성물의 점도를 Brookfield LVT를 이용하여 각각 측정하였으며 스핀들(spindle) 4번을 사용하였다. 측정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또한, 50℃ 온도에서 8주 동안 조성물을 보관한 후 안정성 변화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층 분리 유무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점도(단위:cPs) 7500 15800 11600 14200 10500  9000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1주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안정  약간 분리 
2주 안정 약간 분리 안정 안정 약간 분리 약간 분리
4주 안정 분리 약간 분리 약간 분리 분리 분리
8주 안정 분리 분리 분리 분리 분리
실시예 1과 비교예 1~5의 제조 후 1일차 점도를 확인한 결과,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인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만을 사용한 경우인 비교예 1이 가장 높은 점도를 보였으며,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실시예 1의 경우 가장 낮은 점도를 보였다.
또한, 50도(℃)에서의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비교하였을 때,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인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인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실시예 1이 가장 낮은 점도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8주 이상 유상과 수상이 분리되지 않고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였다. 그에 비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만 사용한 경우(비교예 1)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온계 계면활성제를 별도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비교예 2~3), 이온계 계면활성제 또는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한 경우(비교예 4~5)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유상과 수상이 분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50℃에서 실시예 1 및 비교예 2의 조성물을 4주 동안 보관한 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이를 도 1에 나타내었다(도 1 a 및 b 참조). 실시예 1의 경우 조밀한 유화입자를 유지하고 있으나 비교예 2의 경우 유상이 서로 뭉쳐 유화입자를 형성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 사용감 평가
실시예 1 및 비교예 1~5에서 얻은 각 조성물에 대하여 25-40세 여성 20명으로 구성된 패널을 이용하여 조성물의 사용감을 평가하였다. 이 때, 평가항목은 피부에 도포시에 느껴지는 발림성, 촉촉함 및 부드러움을 측정하는 것으로 하였으며 평가는 1점에서 5점까지 1점 단위로 하였고, 매우 나쁨(1점), 나쁨(2점), 보통(3점), 좋음(4점), 아주 좋음(5점)으로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발림성 4.3 3.8  4.0  4.1  4.2  4.2 
촉촉함 4.2 3.6  3.9  3.7  3.9  4.0 
부드러움 4.3 3.7  3.7  3.9  4.3  4.0 
실시예 1과 비교예 1~5 경우의 사용감 평가 결과를 비교해 보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만을 사용하거나(비교예 1),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함께 고분자계 계면활성제 또는 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경우(비교예 2 및 3)는 경도가 높아 단단한 촉감을 가지며 촉촉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실시예 1의 경우 발림성, 촉촉함 및 부드러움 측면에서 모두 4.2 이상의 평가값을 나타내어 가장 우수한 사용감을 보였다.

Claims (9)

  1.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0.5~4.0 중량% 및 이눌린라우릴카바메이트 0.2~2.0 중량%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중유형(Oil in water, O/W)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는 피이지-100 스테아레이트인 것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자외선 차단제 5.0~3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제는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이트 1.0~7.5중량% 또는 비스-에칠헥실옥시페놀메톡시페닐트리아진 0.5~3.0중량%를 포함하는 것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0150034085A 2015-03-11 2015-03-11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2413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085A KR102413187B1 (ko) 2015-03-11 2015-03-11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085A KR102413187B1 (ko) 2015-03-11 2015-03-11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760A KR20160110760A (ko) 2016-09-22
KR102413187B1 true KR102413187B1 (ko) 2022-06-27

Family

ID=57102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085A KR102413187B1 (ko) 2015-03-11 2015-03-11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1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1021B1 (ko) * 2017-02-06 2019-02-22 주식회사 퍼슨 발한억제 기능을 가지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자외선 차단제의 제조방법
KR102309639B1 (ko) * 2019-10-30 2021-10-07 코스맥스 주식회사 고함량 오일을 함유하는 안정한 수중유형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KR102358300B1 (ko) * 2021-10-28 2022-02-08 한국콜마주식회사 에어로졸 타입의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4644B2 (ja) 2007-03-08 2013-08-07 株式会社コーセー 日焼け止め化粧料
CN102026683A (zh) * 2008-05-16 2011-04-20 帝斯曼知识产权资产管理有限公司 遮光剂
KR101773095B1 (ko) * 2010-11-30 2017-08-31 (주)아모레퍼시픽 저점도의 비분리형 자외선차단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760A (ko) 2016-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61299B (zh) 改善水包油乳液的感官特性的方法
EP2575748B1 (en) Sunscreen composition
KR20090100643A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조성물
KR20120065982A (ko) 발포 우레탄 폼에 함침시켜 제조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4609A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US20110274632A1 (en) Sunscreen Cosmetic
KR20190038028A (ko) 수중유형 매크로에멀전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A2818624C (en) A high spf sunscreen composition
CN106659653A (zh) 优化形成维生素d的防晒配制剂
WO2014184228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natural organic oil and polymethylmethacrylate particles
KR102413187B1 (ko) 음이온계 계면활성제와 고분자계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KR20200055589A (ko) 수용분산성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39971B1 (ko) 수중 유형 유화 자외선 차단 화장료
JP5546140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ES2636648T3 (es) Composición cosmética que comprende un agente protector o potenciador de colágeno y partículas que comprenden sílice y dióxido de titanio
KR20230147588A (ko) 크로마틱 에멀젼 성상을 갖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0803B1 (ko)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P3122315B1 (de) Wirkstoffkombinationen aus 4-hydroxyacetophenon und einem oder mehreren glycerin- und/oder oligoglycerinester von verzweigtkettigen und/oder unverzweigtkettigen alkancarbonsäuren, sowie kosmetische oder dermatologische zubereitungen, diese wirkstoffkombinationen enthaltend
EP3878519A1 (en) Topical sun protection composition
CN105120831B (zh) 包含脂肪酸和非离子线性聚合物的防晒组合物
EP2431021A1 (en) Sunscreen composition
JP7426000B2 (ja) 局所組成物
CN114630651B (zh) 具有低粘性的防晒组合物
KR20170143097A (ko) 피토스핑고신 유도체를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6820A (ko) 자외선 c(uvc) 차단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