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102B1 -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 Google Patents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102B1
KR102413102B1 KR1020210147271A KR20210147271A KR102413102B1 KR 102413102 B1 KR102413102 B1 KR 102413102B1 KR 1020210147271 A KR1020210147271 A KR 1020210147271A KR 20210147271 A KR20210147271 A KR 20210147271A KR 102413102 B1 KR102413102 B1 KR 102413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liding
connection housing
connection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72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조한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명
Priority to KR1020210147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102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10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15/113Boxes split longitudinally in main cable direc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08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 G01R31/081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 G01R31/085Locating faults in cables, transmission lines, or networks according to type of conductors in power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lines, e.g. overhea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50Testing of electric apparatus, lines, cables or components for short-circuits, continuity, leakage current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 G01R31/52Testing for short-circuits, leakage current or ground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8Cable junctions protected by sleeves, e.g. for communication cabl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켜 제 1, 2 케이블의 사이의 간격의 크기 및 상기 제 1, 2 케이블의 길이에 상관없이 제 1, 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과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은, 그 내부에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부재를 포함한 연결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곽 둘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연결 하우징의 타일단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와 나사체결되고, 나사체결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제 1,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distribution line capable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nd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by extending or reduc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Various embodiments related to the connection device system have been describ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includes: a connection housing having a terminal member therei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cable and a second cabl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slidably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slidabl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to extend or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first sliding housing, the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sliding housing is slidably movable;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til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second sliding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sliding housing can sl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for fixing or releasing the fixing of the sliding housing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may include, and various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Description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켜 제 1, 2 케이블의 사이의 간격의 크기 및 제 1, 2 케이블의 길이에 상관없이 제 1, 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tend or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ables regardless of the size of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nd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It is related to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in the

일반적으로, 전력공급을 위한 배전 방식은 전주를 이용하는 가공 배전 방식과 지중에 매설되는 관로를 이용하는 지중 배전 방식으로 구분된다. 위의 가공 배전 방식은 도시 경관을 해친다는 단점이 있어 시계적으로 도심지역에서는 지중 배전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In general, a distribution method for power supply is divided into an overhead distribution method using electric poles and an underground distribution method using a pipeline buried underground. The above overhead power distribution method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harms the urban landscape.

예컨대, 이러한 지중 배전 방식은 도심 등에서 미관을 고려하여 전선등을 지상에 설치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For example, in such an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method, in consideration of aesthetics in a city center, etc., electric wires are buried underground instead of being installed on the ground.

이때, 배전 선로는 변전소부터 변압된 전기를 수용가로 인입되기 위해 설치된다.At this time, the distribution line is installed to introduce the electricity transformed from the substation to the consumer.

이러하 배전 선로는 수용가까지 전기를 인입해야 하기 때문에 긴 길이를 가지도록 설치되는데, 배전 선로를 연장하기 위해 배전 선로 연결 장치를 통해 배전 케이블을 서로 연결한다.Such a distribution line is installed to have a long length because electricity must be introduced to the consumer, and the distribution cable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distribution line connecting device to extend the distribution line.

그러나, 종래의 배전 선로 연결 장치는 배전 케이블과 케이블의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분리된 경우,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배전 케이블과 추가 배선 선로 연결 장치가 필요하였고, 또한, 배전 케이블과 케이블이 서로 길게 형성될 경우, 케이블의 적어도 하나를 절단한 다음 배선 선로 연결 장치를 통해 배전 케이블과 케이블을 연결해야함으로 케이블의 절단하는 작업이 필요하였다. 이로인해, 배전 케이블과 케이블의 연결 작업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requires an additional distribution cable and an additional wiring line connecting devic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able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 distribution cable and the cable is formed large, and the distribution cable and When the cables are formed to be long from each other, it is necessary to cut at least one of the cables and then connect the distribution cables and the cables through the wiring line connecting device, so that the cutting of the cables is required. 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st of the connection work between the distribution cable and the cable increases.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8143호(2014.10.18 공고)가 있으면, 상기 선행문헌에는“지중 배전라인 설치를 위한 지중배전선 연결 장치 ”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가 있다.As a prior document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is Republic of Korea Patent Registration No. 10-1448143 (announced on Oct. 18, 2014), the prior document discloses a technology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for installing a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연장시키는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연장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은 제 1, 2 케이블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분리되어도 추가 케이블 및 추가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없이 제 1, 2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축소시키는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축소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은 제 1, 2 케이블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도 별도로 제 1, 2 케이블의 절단 작업 없이 상기 제 1, 2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by configur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that exte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according to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the extended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r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without an additional cable and an additional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even when the two cables are separated by a large gap, a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is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By configur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that are reduced in accordance with sliding movement, the reduced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can be configured to b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without separately cut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even when the length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re long. , to provide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capable of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of two cable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제 1, 2 케이블의 연결 또는 분리 상태를 작업자에게 알려주기 위해 점등되는 표시 점등을 구성한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configured to display lighting that is turned on to inform the operator of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may exis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은, 그 내부에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부재를 포함한 연결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곽 둘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연결 하우징의 타일단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와 나사체결되고, 나사체결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제 1, 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includes: a connection housing including a terminal member therei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irst cable and a second cabl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slidably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slidabl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to extend or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first sliding housing, the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sliding housing is slidably movable;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til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second sliding housing and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sliding housing can slide; and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It may include a;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for fixing or releasing the fixing of the sliding hous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축소시키거나 축소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와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연장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the first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i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to reduce or release the reduction in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It is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threaded parts, and the second fixing part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ar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to extend or release the extens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It may be screwed with the formed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의 일단은 상기 연결 하우징의 제 1, 2 고정부와 나사체결되는 제 1 나사부를 형성한 제 1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의 타일단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블과 관통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 2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의 일단은 상기 연결 하우징의 제 1, 2 고정부와 나사체결되는 제 2 나사부를 형성한 제 3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의 타일단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케이블과 관통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 4 개구부를 형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one end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forms a first opening having a first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tile end forms a second opening through-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first cable by an external force, and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forms a second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of the connection housing. A third opening may be formed, and the tile end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may form a fourth opening through which the second cable is coupled or separated by an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케이블이 상기 단자 부재에 결합 또는 분리될 경우, 상기 단자 부재에 흐르는 상기 제 1, 2 케이블의 전압을 검출하거나 미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케이블이 상기 단자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표시 하기 위해 점등되는 표시 램프;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표시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의 전압 검출 신호 또는 전압 미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it is disposed on the terminal member, and wh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r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terminal member, the voltag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flowing through the terminal member is detected or undetected. a sensor unit for detecting; an indicator lamp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nd lit to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or are electrically separated; and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display lamp, and controlling lighting of the display lamp based on a voltage detection signal or a voltage non-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연장시키는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을 구성함으로써, 연장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은 제 1, 2 케이블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분리되어도 제 1, 2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추가적인 배전 케이블과 추가 배선 선로 연결 장치가 필요없으므로, 제 1, 2 케이블의 연결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nfigur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that exte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according to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the extended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re Even i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re separated by a large gap,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ccordingly, since there is no need for an additional distribution cable and an additional wiring line connecting devic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ables, the cost of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can be reduced.

또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은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축소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은 제 1, 2 케이블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도 별도로 제 1, 2 케이블의 절단 작업 없이 상기 제 1, 2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2 케이블의 절단하는 절단 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제 1, 2 케이블의 연결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은 상기 제 1, 2 케이블과 상기 연결 하우징에 포함된 단자 부재와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re configur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according to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so that the reduced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cables Even if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is long,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without separately cut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Likewise, since a cutting operation of cut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is not required, the cost of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can be reduced.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may impro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nd the terminal member included in the connection housing.

또한, 제 1, 2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된 상태나 분리된 상태를 검출하고, 이를 신호화하여 프로세서에 인가하는 센서부, 센서부의 검출 신호에 따라 표시 램프를 제어하는 프로세서,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따라 점등되는 표시 램프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센서부,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표시 램프는 제 1, 2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된 상태나 분리된 상태를 점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 인해 상기 제 1, 2 케이블의 연결 또는 분리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로인해 제 1, 2 케이블의 연결 작업 및 교체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 sensor unit that detects the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signals it and applies it to the processor, a processor that controls the display lamp according to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and turns on according to the control of the processor By configuring the display lamp to be used, the sensor unit, the processor, and the display lamp inform the user of the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ccording to lighting,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re connected or disconnected status can be easily identified.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further facilitate the work of connecting and replac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된 사시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사시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된 사시도 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사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b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duced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duced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5A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nded state of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5B is a partially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nded state of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xtended state of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disclos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일부 실시 예들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ome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elements, but the elem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a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또한, '전면', '후면', '상면', '하면' 등과 같은 도면에 보이는 것을 기준으로 기술된 상대적인 용어들은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들로 대체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서수들에 있어서 그 순서는 언급된 순서나 임의로 정해진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임의로 변경될 수 있다. In addition, relative terms described based on what is shown in the drawings, such as 'front', 'rear', 'top', 'bottom', etc., may be replaced with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In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and 'second', the order is the mentioned order or arbitrarily determined, and may be arbitrarily changed as necessary.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erm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comprises"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the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a commonly used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es no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은, 제 1, 2 케이블(1, 2)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the connection housing 20 It may be a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various devices configured to be extended or reduced according to a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이고,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된 사시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사시도 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축소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단된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절단된 사시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의 연장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a is a coupling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Figure 2b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a reduced state,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duced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a is vario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nd FIG. 5b is a partially cu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xtended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ended state of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extended stat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10)은, 연결 하우징(20),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 제 1, 2 탄성 부재(50, 60) 및 제 1, 2 나사 고정부(70, 8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내부에는 제 1 케이블(1)과 제 2 케이블(2)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부재(11)를 배치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자 부재(11)는 원통형의 실린더 형상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단자 부재(11)의 일단은 상기 제 1 케이블(1)의 제 1 심선(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단자 부재(11)의 타일단은 상기 제 2 케이블(2)의 제 2 심선(2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1 to 7 ,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10 includes a connection housing 20 ,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50 and 60 and a second 1 and 2 screw fixing parts 70 and 80 may be included. For example, a terminal member 11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able 1 and the second cable 2 may be disposed inside the connection housing 20 . For example, the terminal member 11 may have a cylindrical cylindrical shape, and one end of the terminal member 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re wire 1a of the first cable 1 , The tile end of the terminal member 11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re wire 2a of the second cable 2 .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외곽 둘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일단의 외곽 둘레에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일단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타일단의 외곽 둘레에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타일단에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be slidably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For example,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may be coupled to an outer circumference of on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For example,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may slide from on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extend or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til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be slidably mov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For example,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may extend or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by sliding at the til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예컨대,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일단은 제 1 개구부(3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31)에는 후술하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제 1, 2 고정부(70, 80)와 나사체결되는 제 1 나사부(3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타일단은 외력(예;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블(1)과 관통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 2 개구부(32)를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one end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may form a first opening 31 . The first opening 31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screw portion 33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70 and 80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tile end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may form a second opening 32 that is coupled through or separated from the first cable 1 by an external force (eg, a user's force).

또한,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일단은 제 3 개구부(41)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부(41)에는 후술하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제 1, 2 고정부(70, 80)와 나사체결되는 제 2 나사부(43)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타일단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케이블(2)과 관통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 4 개구부(42)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may form a third opening 41 . The third opening 41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screw portion 43 that is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70 and 80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be described later. The tile end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may form a fourth opening 42 that is coupled throug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cable 2 by an external force.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4 개구부(31, 32)에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이홈(1b, 2b)에 걸리거나 이탈되는 걸이 부재(32a, 42a)가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케이블(1)을 외력(예;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제 2 개구부(32)에 관통 결합시킬 경우, 상기 제 1 케이블(1)의 걸이홈(1b, 2b)이 상기 제 2 개구부(32)에 형성된 걸이 부재(32a, 42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블(1)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제 2 개구부(3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second and fourth openings 31 and 32 have a hook member 32a that is caught in or separated from the hook grooves 1b and 2b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 , 42a) may be form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cable 1 is through-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32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by an external force (eg, a user's force), the hook of the first cable 1 is The grooves 1b and 2b may be hooked and fixed to the hook members 32a and 42a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32 . In this case, the first cable 1 may maintain a state coupled to the second opening 32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

또한, 상기 제 1 케이블(1)을 외력(예;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제 2 개구부(32)에 분리시킬 경우, 상기 제 1 케이블(1)을 사용자가 잡고 당기면, 상기 제 1 케이블(1)의 걸이홈(1b, 2b)이 상기 제 2 개구부(32)에 형성된 걸이 부재(32a, 42a)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케이블(1)은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제 2 개구부(32)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cable 1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opening 32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by an external force (eg, a user's force), the user When it is grasped and pulled, the hook grooves 1b and 2b of the first cable 1 may be separated from the hook members 32a and 42a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32 . In this case, the first cable 1 may be separated from the second opening 32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

예컨대, 상기 제 2 케이블(2)을 외력(예;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제 4 개구부(42)에 관통 결합시킬 경우, 상기 제 2 케이블(2)의 걸이홈(1b, 2b)이 상기 제 4 개구부(42)에 형성된 걸이 부재(32a, 42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케이블(2)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제 4 개구부(42)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second cable 2 is through-coupled to the fourth opening 42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by an external force (eg, a user's force), the hook of the second cable 2 is The grooves 1b and 2b may be hooked and fixed to the hook members 32a and 42a formed in the fourth opening 42 . At this time, the second cable 2 may maintain a state coupled to the fourth opening 42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

또한, 상기 제 2 케이블(2)을 외력(예; 사용자의 힘)에 의해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제 4 개구부(42)에 분리시킬 경우, 상기 제 2 케이블(2)을 사용자가 잡고 당기면, 상기 제 2 케이블(2)의 걸이홈(1b, 2b)이 상기 제 4 개구부(42)에 형성된 걸이 부재(32a, 42a)에서 이탈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케이블(2)은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제 4 개구부(42)에서 분리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cable 2 is separated from the fourth opening 42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by an external force (eg, user's force), the user When it is grasped and pulled, the hook grooves 1b and 2b of the second cable 2 may be separated from the hook members 32a and 42a formed in the fourth opening 42 . In this case, the second cable 2 may be separated from the fourth opening 42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

상기 제 1 탄성 부재(50)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일단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탄성 부재(60)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타일단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elastic member 50 may be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and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is slidably movable. can do. The second elastic member 6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til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and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 and provides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is slidably movable. can do.

상기 제 1, 2 고정부(70, 80)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고정부(70, 80)는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33, 43)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고정부(70, 80)는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와 나사체결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을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킬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0 and 80 may be formed on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0 and 80 ar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 (33, 43) can be screwed. When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70 and 80 are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r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nnecting housing 20 . It can be fixed to the surface or unfastened.

예컨대, 상기 제 1 고정부(70)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외측 둘레면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축소시키거나 축소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33, 43)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fixing part 7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and to reduce or release the reduction in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he first, 2 It may be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3 and 43 formed in the sliding housings 30 and 40 .

상기 제 2 고정부(80)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외측 둘레면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연장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33, 43)와 나사체결될 수 있다.The second fixing part 8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ortions to extend or release the extens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It may be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3 and 43 formed in the housings 30 and 40 .

예컨대, 앞서 도 5a, b 내지 도 7과 같이,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사이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이 서로 멀리 떨어져 분리될 경우, 이러한 상태의 제 1, 2 케이블(1, 2)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제 1, 2 나사부(33, 43)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제 1, 2 나사부(33, 43)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외곽 둘레의 중심부에 형성된 제 1 고정부(70)에 나사체결되어 맞물려 있으므로,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가 회전시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는 상기 제 1 고정부(70)에서 나사 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ga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is formed to be large and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separated far apart from each other as shown in FIGS. 5A and 7B , ,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be rotat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in this state. At this time, while rotat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3 and 43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also rotate together.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3 and 43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re screw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70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Since they are engaged, when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are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may be disengaged from the screws of the first fixing part 70 .

이때,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가 상기 제 1 고정부(70)에서 나사 체결이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는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과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2 탄성 부재(50, 6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가 상기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도 함께 상기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are released from the first fixing part 70 ,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 30 . , 40) and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50 and 60 disposed between the connection housing 20, it is possible t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by the elastic force.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lso sl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can

이때,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는 슬라이딩 이동 종료 위치에서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양일단에 형성된 이탈방지부재(21)에 접촉됨과 동시에 걸려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이 상기 연결 하우징(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are caught in contact with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s 21 formed at both ends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at the end position of the sliding movement and are caught at the same time as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 40 )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housing 20 .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제 1, 2 나사부(33, 43)는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제 2 고정부(80)에 맞물릴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가 상기 이탈방지부재(21)에 접촉되어 걸림과 동시에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는 상기 제 2 고정부(80)에 맞물릴 수 있다. 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3 and 43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be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ortion 80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are contacted and caught by the separation preventing member 21 ,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are engaged with the second fixing part 80 . can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고정부(8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re rotated,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are also rotated and screwed to the second fixing part 80 at the same time. can be fixed.

이때,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slide to both sides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exte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연장된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제 2 개구부(32)에 상기 제 1 케이블(1)을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케이블(1)의 제 1 심선(1a)을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이홈(1b, 2b)은 상기 제 2 개구부(32)에 형성된 걸이 부재(32a, 42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케이블(1)의 제 1 심선(1a)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serting the first cable 1 into the second opening 32 of the extended first sliding housing 30 and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first core wire 1a of the first cable 1 to the connection housing 20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disposed on the inside. In this case, the hook grooves 1b and 2b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may be hooked to and fixed to the hook members 32a and 42a formed in the second opening 32 . Accordingly, the first core wire 1a of the first cable 1 may remai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연장된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제 4 개구부(42)에 상기 제 2 케이블(2)을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케이블(2)의 제 2 심선(2a)을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내부에 배치된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외측 둘레에 형성된 걸이홈(1b, 2b)은 상기 제 4 개구부(42)에 형성된 걸이 부재(32a, 42a)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케이블(2)의 제 2 심선(2a)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serting the second cable 2 into the fourth opening 42 of the extended second sliding housing 40 and simultaneously connecting the second core wire 2a of the second cable 2 to the connection housing 20 )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disposed on the inside. In this case, the hook grooves 1b and 2b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may be hooked to and fixed to the hook members 32a and 42a formed in the fourth opening 42 . Accordingly, the second core wire 2a of the second cable 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단자 부재(11)에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이 상기 단자 부재(11)에 결합 또는 분리될 경우, 상기 단자 부재(11)에 흐르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을 검출하거나 미검출하는 센서부(91)가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제 1, 2 심선(1a, 2a)이 상기 단자 부재(11)에 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이 상기 단자 부재(11)에 흐를 경우, 상기 센서부(91)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을 검출하고, 이를 신호화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센서부(91)는 전압 검출 신호를 후술하는 프로세서(93)에 인가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in the terminal member 11, wh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coupled to or separated from the terminal member 11, the first, 2 A sensor unit 91 that detects or does not detect the voltage of the cables 1 and 2 may be disposed. 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core wires 1a and 2a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coupled to the terminal member 11,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When flowing through the terminal member 11 , the sensor unit 91 may detect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nd signal them. For example, the sensor unit 91 may apply a voltage detection signal to the processor 93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표시 램프(92)는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외측 둘레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 램프(92)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이 상기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점등될 수 있다. The display lamp 92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 For example, the display lamp 92 may be turned on to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or electrically separated from each other.

상기 프로세서(93)는 상기 센서부(91) 및 상기 표시 램프(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프로세서(93)는 상기 센서부(91)의 전압 검출 신호 또는 전압 미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램프(92)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The processor 9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91 and the display lamp 92 . For example, the processor 93 may control lighting of the display lamp 92 based on a voltage detection signal or a voltage non-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91 .

예컨대,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이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제 1, 2 심선(1a, 2a)이 상기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경우, 상기 센서부(91)는 상기 단자 부재(11)에서 흐르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을 검출하여 신호화하고, 상기 전압 검출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93)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3)는 상기 센서부(91)의 전압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램프(92)를 점등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표시 램프(92)는 켜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표시 램프(92)의 점등에 따라 상기 제 1, 2 케이블(1, 2)과 상기 단자 부재(11)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slide and move, the first and second core wires 1a and 2a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 In this case, the sensor unit 91 may detect and signal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flowing from the terminal member 11 , and apply the voltage detection signal to the processor 93 . have. The processor 93 may turn on the display lamp 92 based on the voltag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91 . For example, the display lamp 92 may maintain an on state. In this case, the user may check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nd the terminal member 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according to the lighting of the display lamp 92 .

또한,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은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제 1, 2 개구부(31, 32)에서 분리할 경우,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심선(1a, 2a)도 상기 단자 부재(11)에서 이탈되어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은 상기 단자 부재(11)에서 흐르지 않는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31 and 32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 2) are also separated from the terminal member 11 and, at the same time,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do not flow in the terminal member 11 .

이때, 상기 센서부(91)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을 미검출하고 이를 신호화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1)는 전압 미검출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93)에 인가하고, 상기 프로세서(93)는 인가받은 상기 전압 미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램프(92)를 점등시키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표시 램프(92)는 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상기 표시 램프(92)의 껴진 상태로 인해 상기 제 1, 2 케이블(1, 2)과 상기 단자 부재(11)가 서로 분리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이 상기 단자 부재(11)에 흐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ensor unit 91 may not detect the voltag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nd signal it. The sensor unit 91 applies a voltage non-detection signal to the processor 93 , and the processor 93 does not turn on the display lamp 92 based on the applied voltage non-detection signal. For example, the display lamp 92 may remain turned on. In this case, the user can confirm that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nd the terminal member 11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due to the closed state of the display lamp 92 . For example, the user may confirm that the voltag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does not flow to the terminal member 11 .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연장시킴으로써, 이렇게 연장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제 1, 2 케이블(1, 2)의 간격이 크게 형성되어 분리되어도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추가 케이블 및 추가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이 필요없으므로,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배선 연결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extend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according to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so that the extende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can facilit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even wh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separated so as to be separated. . Accordingly, sinc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do not require an additional cable and an additional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the wiring connection work cost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can be reduced.

더불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상기 제 1, 2 케이블(1, 2)과 상기 연결 하우징(20)에 포함된 단자 부재(11)의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improv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nd the terminal member 11 included in the connection housing 20 .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앞서 도 2a, b 내지 도 4와 같이,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경우,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을 절단없이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2 나사부(33, 43)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제 2 고정부(80)에서 나사체결이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when the length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is formed to be long, as shown in FIGS. 2a and b to 4 above,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cut without cutting.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be rotated for electrical connection.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33 and 43 may also rotate together and the screw fastening may be released from the second fixing part 80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을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중심 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이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일단에서 상기 중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제 1 나사부(33)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제 1 고정부(70)에 맞물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30)의 제 1 나사부(33)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나사부(33)는 상기 제 1 고정부(7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In this state,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may be slidably mov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 At this time,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slides from on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ward the center,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crew part 33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moves to the connection housing 20 )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70 of the. In this state, when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is rotated, the first screw portion 33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30 also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first screw portion 33 rotates the first high It may be screwed to the top 70 and fixed.

마찬가지로,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이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타일단에서 상기 중심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제 2 나사부(43)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제 1 고정부(70)에 맞물릴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을 회전시킬 경우,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40)의 제 2 나사부(43)도 함께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나사부(43)는 상기 제 1 고정부(70)에 나사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slides from the til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o the center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crew part 43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moves to the connection housing ( 20) can be engaged with the first fixing part 70. In this state, when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is rotated, the second screw part 43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40 also rotates,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screw part 43 rotates the first high It may be screwed to the top 70 and fixed.

이렇게,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제 1, 2 나사부(33, 43)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제 1 고정부(70)에 나사체결됨과 동시에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33 and 43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re screwed to the first fixing portion 70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and at the same time the connection housing 20 ) can be shortened.

이 상태에서, 축소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의 제 2, 4 개구부(31, 32)에 길이가 길게 형성된 제 1, 2 케이블(1, 2)을 삽입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제 1, 2 심선(1a, 2a)을 상기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In this state, while insert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having long lengths into the second and fourth openings 31 and 32 of the reduced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the The first and second core wires 1a and 2a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

마찬가지로, 상기 센서부(91)는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제 1, 2 심선(1a, 2a)이 상기 단자 부재(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압을 검출하고, 신호화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91)는 전압 검출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93)에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93)는 인가된 상기 전압 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램프(92)를 점등시킬 수 있다.Similarly, in the sensor unit 91, the first and second core wires 1a and 2a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11, and the first and second cables The voltage of (1,2) can be detected and signalized. The sensor unit 91 may apply a voltage detection signal to the processor 93 . The processor 93 may turn on the display lamp 92 based on the applied voltage detection signal.

이와 같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를 상기 연결 하우징(20)의 길이방향(①)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축소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제 1, 2 케이블(1, 2)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도 별도로 제 1, 2 케이블(1, 2)의 절단 작업 없이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제 1, 2 케이블(1, 2)의 배선 선로의 연결 작업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re configured to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according to sliding move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①) of the connection housing 20, The reduced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are the first, 2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cables (1, 2).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can reduce the cost of connecting the wiring line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

더불어, 이러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30, 40)은 상기 제 1, 2 케이블(1, 2)과 상기 연결 하우징(20)에 포함된 단자 부재(11)의 전기적 연결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30 and 40 can further improve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nd the terminal member 11 included in the connection housing 20 . have.

또한,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전기적 연결된 상태나 분리된 상태를 감지하고 표시하기 위해 점등되는 센서부(91), 표시 램프(92) 및 프로세서(93)를 구성함으로써, 이러한 상기 센서부(91), 상기 표시 램프(92) 및 상기 프로세서(93)는 제 1, 2 케이블(1, 2)의 전기적 연결된 상태나 분리된 상태를 점등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 인해 상기 제 1, 2 케이블(1, 2)의 연결 또는 분리 상태를 용이하게 알 수 있다. 이로인해 제 1, 2 케이블(1, 2)의 연결 작업 및 교체 작업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onfiguring the sensor unit 91, the display lamp 92 and the processor 93 that are turned on to detect and display the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The sensor unit 91, the display lamp 92, and the processor 93 inform the user of the electrically connected or disconnected state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according to lighting, so that the first , 2 You can easily see the connection or disconnection state of the cables (1, 2). Due to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facilitate the work of connecting and replacing the first and second cables 1 and 2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은,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of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0 :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20 : 연결 하우징 30, 40 :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
50, 60 : 제 1, 2 탄성 부재 70, 80 : 제 1, 2 고정부
1, 2 : 제 1, 2 케이블 11 : 단자 부재
제 1, 2 나사부 : 33, 43
91 : 센서부 92 : 표시 램프
93 : 프로세서
10: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20: connection housing 30, 40: first, second sliding housing
50, 60: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70, 80: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1, 2: first and second cables 11: terminal member
1st, 2nd thread part: 33, 43
91: sensor unit 92: display lamp
93: processor

Claims (4)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에 있어서,
그 내부에 제 1 케이블과 제 2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단자 부재를 포함한 연결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곽 둘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축소시키는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
상기 연결 하우징의 일단과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
상기 연결 하우징의 타일단과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2 탄성 부재; 및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와 나사체결되고, 나사체결시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을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에 고정시키거나 고정을 해제시키는 제 1, 2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는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의 중심부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축소시키거나 축소를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와 나사체결되고, 상기 제 2 고정부는 상기 연결 하우징의 외측 둘레면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연결 하우징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연장을 해제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에 형성된 제 1, 2 나사부와 나사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In the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a connection housing having a terminal member therein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cable and the second cabl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slidably coupled to the periphery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slidably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nnection housing to extend or reduc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a first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on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first sliding housing, the first elastic membe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first sliding housing is slidably movable;
a second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tile end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the second sliding hous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providing an elastic force so that the second sliding housing is slidably movable; and
It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is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arts formed o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nd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parts are screwed together when screwed. Including; first and second fixing parts for fixing or releasing the fixing of the housing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The first fixing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is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to reduce or releas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 The second fix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is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screw portions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to extend or release the length of the connection housing. Distribution line connection device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의 일단은 상기 연결 하우징의 제 1, 2 고정부와 나사체결되는 제 1 나사부를 형성한 제 1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슬라이딩 하우징의 타일단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케이블과 관통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 2 개구부를 형성하며,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의 일단은 상기 연결 하우징의 제 1, 2 고정부와 나사체결되는 제 2 나사부를 형성한 제 3 개구부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슬라이딩 하우징의 타일단은 외력에 의해 상기 제 2 케이블과 관통 결합되거나 분리되는 제 4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ne end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forms a first opening having a first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of the connection housing;
The tile end of the first sliding housing forms a second opening through-coupled or separated from the first cable by an external force,
One end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forms a third opening having a second screw portion screwed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ing portions of the connection housing,
and a tile end of the second sliding housing forms a fourth opening that is coupled through or separated from the second cable by an external for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부재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케이블이 상기 단자 부재에 결합 또는 분리될 경우, 상기 단자 부재에 흐르는 상기 제 1, 2 케이블의 전압을 검출하거나 미검출하는 센서부;
상기 제 1, 2 슬라이딩 하우징의 외측 둘레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2 케이블이 상기 단자 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 또는 전기적으로 분리된 상태를 표시 하기 위해 점등되는 표시 램프; 및
상기 센서부 및 상기 표시 램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센서부의 전압 검출 신호 또는 전압 미검출 신호를 기반으로 상기 표시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 연결 장치 시스템.
The sensor of claim 1, wherein the sensor is disposed on the terminal member and detects or does not detect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ables flowing through the terminal member when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re coupled or disconnected from the terminal member. wealth;
an indicator lamp disposed 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and second sliding housings and lit to indicate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cabl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rminal member or are electrically separated; and
and a processor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nsor unit and the display lamp, and controlling lighting of the display lamp based on a voltage detection signal or a voltage non-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unit.
KR1020210147271A 2021-10-29 2021-10-29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KR10241310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71A KR102413102B1 (en) 2021-10-29 2021-10-29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7271A KR102413102B1 (en) 2021-10-29 2021-10-29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102B1 true KR102413102B1 (en) 2022-06-24

Family

ID=822159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7271A KR102413102B1 (en) 2021-10-29 2021-10-29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102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89B1 (en) * 2011-11-10 2013-07-29 화신산업 주식회사 Cable connector with flexible sleeve
KR101403944B1 (en) * 2014-03-26 2014-06-09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Cable connecting case for apartment house electric supply line to connect wires easily
KR102117071B1 (en) * 2013-09-27 2020-06-01 한국전력공사 Contact device of power cab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0689B1 (en) * 2011-11-10 2013-07-29 화신산업 주식회사 Cable connector with flexible sleeve
KR102117071B1 (en) * 2013-09-27 2020-06-01 한국전력공사 Contact device of power cable
KR101403944B1 (en) * 2014-03-26 2014-06-09 대원포비스 주식회사 Cable connecting case for apartment house electric supply line to connect wires easi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851940B (en) Intelligent quick-connection device for electrical apparatus
KR101627142B1 (en) Safety apparatus for cable connecting platform of underground electric power distribution line
KR101052854B1 (en) Underground for wire connector
US7719436B2 (en) System, a tool and a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faulted circuit indicator using a display
US7986056B2 (en) Electrical outlet adapter with automatic power-on and power-off of peripheral outlets
KR102413102B1 (en)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CN102847980A (en) Core drilling machine
KR101040179B1 (en) Pannel for underground wired electrical line of short circuit
JP5106579B2 (en) Terminal block device
WO2016036328A1 (en) Full- auto retractable, built in extension cord and multi-outlet adaptor jack
CN216869440U (en) Magnetic induction sensor detection device
US8378690B1 (en) Test cable device for detecting an electrical fault
KR20190122444A (en) System for earth leakage circuit breaking
KR101959955B1 (en) Automatic detection of fault zone in processing distribution line
EP3188325A2 (en) Low voltage buss system
KR102413103B1 (en) Connection apparatus system of distribution line
US10746388B2 (en) Light source with integrated cable management system
US20190058353A1 (en) Electrical power restoration system and method
KR101695235B1 (en) Terminal device
CN102279626A (en) Electronic equipment chassis and power supply device thereof
KR101132388B1 (en) Connector for wiring underground power cable
US11387608B2 (en) Electrical wiring device with flexible terminal for eliminating connection to ground
WO2022004161A1 (en) Cable connection device and power feed control device
CN210608486U (en) Anti-twisting mechanism and cantilever type control box
KR200480695Y1 (en) Terminal bloc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