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664B1 -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 Google Patents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664B1
KR102411664B1 KR1020200120706A KR20200120706A KR102411664B1 KR 102411664 B1 KR102411664 B1 KR 102411664B1 KR 1020200120706 A KR1020200120706 A KR 1020200120706A KR 20200120706 A KR20200120706 A KR 20200120706A KR 102411664 B1 KR102411664 B1 KR 102411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cooling plate
cooling
cut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799A (ko
Inventor
이진규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66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6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509Multiple-component heat spreaders; Multi-component heat-conducting support plates; Multi-component non-closed heat-conducting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14Mounting supporting structure in casing or on frame or rack
    • H05K7/1422Printed circuit boards receptacles, e.g. stacked structures, electronic circuit modules or box like frames
    • H05K7/1435Expandable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들은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복수의 냉각판들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냉각판 조립체 및 복수의 냉각판들 중 일부의 상단에 조립되어 전후, 좌우 길이를 조절하여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 치구를 포함하고, 냉각판 조립체는 부품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냉각판들에 각각 고정되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통해 복수의 냉각판들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Variable cooling apparatus for fixing conductive component parts}
본 발명은 냉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종래의 전도 방식의 장비 및 입고된 발열소자(상용품, 제작품)의 경우, 성능 시험을 위해 냉각 전용 장치 위에 올려서 진행한다. 이때, 냉각 전용 장치는 전도 방식의 장비 또는 발열소자 마다 전용 장치를 제작하게 되며, 장비 또는 발열소자의 경우 성능 테스트용 냉각 치구가 고려되지 않고 장착되는 장비 내 구조 및 형상을 반영하여 제작 되기에 형상 및 크기가 다양할 수 있다.
종래의 냉각 전용 장치는 전도 방식의 장비 및 부품의 수량이 많아 짐에 따라 전용 치구를 제작하기 위해 설계 및 제작을 진행함에 따라 공수 투입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형상 및 크기에 따른 전용 방열 치구의 제작으로 타 장비와 호환성에 문제가 생겨 형상만 다른 동일 성능의 치구가 제작 됨에 따라 중복적인 투자 및 불필요 공간을 사용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원 장치의 특성상 성능 시험을 위하여 냉각판 전용 장치를 구성하게 되며 이에 따른 중복 투자, 냉각 장치를 보관하는 보관 장소의 협소함 등의 애로사항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성능 테스트를 하기 위해 냉각이 필요한 장비 및 부품에 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상과 크기의 장비 및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장비 및 부품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조립체를 가변하여 중복적인 투자 및 불필요한 공간의 사용을 최소화하는데 발명의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복수의 냉각판들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냉각판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냉각판들 중 일부의 상단에 조립되어 전후, 좌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 치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판 조립체는 상기 부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냉각판들에 각각 고정되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통해 상기 복수의 냉각판들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냉각수가 유입되는 소켓 및 상기 유입되는 냉각수가 유출되는 플러그 각각이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되는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복수의 상기 냉각판이 결합되어 체결되어 크기가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각판 조립체를 제안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본 발명은 가변형 냉각 장치 제작의 중복 투자를 막고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공용 치구로서, 활용 가치를 높임에 따라 비용을 절감하고, 공간 활용성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치구를 이용하여 전원 장비의 크기와 무관하게 흔들림 없이 고정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냉각판 조립체를 복수 개 조립하여 장비의 크기, 발열 소자의 수량에 상관없이 단시간 내 성능 시험을 진행 할 수 있으며 공간 활용성을 확보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냉각판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고정 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2개의 냉각판 조립체가 조립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2개의 냉각판 조립체가 조립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전도 방식의 장비를 방열 및 성능테스트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성능테스트를 하기 위해 냉각이 필요한 장비 및 부품에 사용하거나, 다양한 형상 및 크기의 장비를 고정하기 위해 고정 치구를 가변하여 냉각판 조립체에 고정 가능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냉각판 조립체(100) 및 고정 치구(2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냉각판 조립체(100)는 냉각판(110), 소켓(120) 및 플러그(130)를 포함한다.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도 1 및 도 2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냉각판 조립체와 고정 치구의 결합을 나타내는 입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냉각판 조립체와 고정 치구의 결합을 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의 (a)는 냉각판 조립체와 고정 치구의 결합을 나타내는 배면도이고, 도 2의 (b)는 냉각판 조립체와 고정 치구의 결합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고, 도 2의 (c)는 냉각판 조립체와 고정 치구의 결합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의 (d)는 냉각판 조립체와 고정 치구의 결합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고, 도 2의 (e)는 냉각판 조립체와 고정 치구의 결합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판 조립체(100) 및 고정 치구(20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이 열이 잘 통하는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품(12)들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복수의 냉각판(110)들이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부품(12)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냉각판(110)에 각각 고정되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통해 상기 복수의 냉각판(110)들이 체결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냉각판(110), 소켓(120) 및 플러그(130)를 포함한다.
냉각판(110)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두 측면에 각각 제1 절단면(122)과 제2 절단면(124) 및 제3 절단면(132)과 제4 절단면(134)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절단면(122), 제2 절단면(124), 제3 절단면(132) 및 제4 절단면(134)은 도 3을 참조하여 확인할 수 있다.
소켓(120)은 냉각판(110)의 제1 절단면(122)에 고정되어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다.
플러그(130)는 냉각판(110)의 제3 절단면(132)에 고정되어 유입되는 냉각수가 유출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제1 냉각판(110a) 및 제2 냉각판(110b)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냉각판(110a)은 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고정 치구(200)가 구비되고, 냉각수가 유입될 수 있다.
제2 냉각판(110b) 제1 냉각판(110a)과 같은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고, 제1 냉각판(110a)과 조립되어 냉각수를 전달받아 유출될 수 있다.
제1 냉각판(110a) 및 제2 냉각판(110b)은 사각형의 판의 일측면이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 절단면(122) 및 제2 절단면(124)을 포함하고, 사각형의 판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이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3 절단면(126) 및 제4 절단면(128)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각판(110a)은 제1 냉각판(110a)의 제1 절단면(122a)에 고정되는 제1 소켓(120a) 및 제1 냉각판(110a)의 제3 절단면(132a)에 고정되는 제1 플러그(130a)를 포함한다.
제2 냉각판(110b)은 제2 냉각판(110b)의 제1 절단면(122b)에 고정되는 제2 소켓(120b) 및 제2 냉각판(110b)의 제3 절단면(132b)에 고정되는 제2 플러그(130b)를 포함한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제1 플러그(130a) 및 제2 소켓(120b)이 블라인드 메이트(Blind Mate) 방식으로 연결되어 제1 냉각판(110a) 및 제2 냉각판(110b)을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치구(200)의 고정판(210)은 부품(12)를 고정하기 위해 제1 냉각판(110a)을 형성하는 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210)은 제1 냉각판(110a)의 4개의 면 중 3개의 면에 각각 제1 고정판(212),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노브(220)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242) 및 고정 핀(244)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210) 각각에 가공된 레일을 따라 베어링(242)에 의해 목표 위치로 이동하며, 고정 핀(244)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노브(220)는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의 양끝단에 제1 고정판(212) 및 고정 스토퍼(230) 각각을 연결시켜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치구(200)는 제1 고정판(212)에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이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고,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이 고정 노브(220)에 의해 제1 고정판(212)과 연결되어 가공된 레일을 따라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이 이동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제1 냉각판(110a)의 제1 플러그(130a)와 제2 냉각판(110b)의 제2 소켓(120b)이 서로 조립되어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이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냉각판(110a)은 제2 냉각판(110b)과 체결 시 제1 플러그(130a)와 제2 소켓(120b)의 체결 부위를 고정시켜주는 체결판(142)이 제2 소켓(120b)에 맞닿아 올라가며, 제2 냉각판(110b)과 체결 후 체결판(142)이 내려와 제2 냉각판(110b)과의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냉각판(110a)은 체결판(142)이 고정된 후 체결 노브(144)를 눌러 제2 냉각판(110b)과 최종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치구(200)는 복수의 냉각판(110)들 중 일부의 상단에 조립되어 전후, 좌우 길이를 조절하여 부품(12)를 고정할 수 있다.
고정 치구(200)는 냉각판(110)의 상단에 조립되고, 냉각판(110)의 상단에 구비되는 부품(12)를 고정하기 위해 냉각판(100)을 형성하는 면 각각에 고정판(210)으로 구비되며, 각각의 고정판(21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부품(12)에 맞게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치구(200)는 고정판(210), 고정 노브(220) 및 고정 스토퍼(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치구(200)는 도 5에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다양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210)은 부품(12)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냉각판을 형성하는 면에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노브(220)는 확장 또는 축소되는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210)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연결 부분에 복수 구비될 수 있다.
고정 노브(220)는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210)의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242) 및 고정 핀(244)과 연결되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210)에 가공된 레일을 따라 베어링(242)에 의해 목표 위치로 이동하여 고정 핀(244)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고정 스토퍼(230)는 부품(12)의 크기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된 고정판(210)의 끝단에서 고정 노브(220)에 의해 연결되어 부품(12)를 고정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냉각판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판 조립체(100)는 냉각판(110), 소켓(120) 및 플러그(130)를 포함한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부품(12)의 크기 및 발열 소자의 수량에 따라 냉각판(110)을 복수 개 결합하여 확장 및 축소하여 전용 시험치구가 아니더라도 시험을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냉각판(110)은 사각형의 양쪽 측면이 일부분 절단된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각판(110)은 사각형의 일측면에서 일부분 절단되어 제1 절단면(122) 및 제2 절단면(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소켓(120)이 제1 절단면(1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냉각판(110)은 제1 절단면(122) 및 제2 절단면(124)이 형성되는 사각형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에서 일부분 절단되어 제3 절단면(132) 및 제4 절단면(134)이 형성될 수 있으며, 플러그(130)가 제3 절단면(13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1 절단면(122)의 면적은 제3 절단면(132)의 면적과 동일하고, 제2 절단면(124)의 면적은 제4 절단면(134)의 면적과 동일하게 구현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면적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절단면(122) 및 제3 절단면(132)의 면적은 소켓(120)과 플러그(130) 각각이 고정되기 위해 소켓(120)과 플러그(130)가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절단면(122)의 면적은 소켓(120)과 맞닿아 소켓(120)이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절단면(132)의 면적은 플러그(130)와 맞닿아 플러그(130)가 고정되는 부분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켓(120)은 냉각수가 유입되는 투입구일 수 있으며, 별도의 냉각판의 플러그(13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냉각수가 유입되는 소켓(120)은 별도의 냉각판과 결합될 수 없으며, 냉각수가 유입되는 소켓(120)과 함께 냉각판(110)에 구비되는 플러그(130)와 별도의 냉각판에 구비되는 소켓이 결합되어 부품(12)이 고정되는 면적을 확장할 수 있다.
플러그(130)는 별도의 냉각판의 소켓과 결합되어 소켓(120)으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별도의 냉각판의 소켓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냉각판 조립체(100)는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이 하나로 체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크기가 확장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뿐만 아니라 복수의 냉각판이 추가적으로 더 결합되어 하나로 체결된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 4를 참조하면, 냉각판 조립체(100)는 복수의 냉각판(110)을 하나로 체결하여 면적을 확장할 수 있으며, 좌우로 확장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냉각판(110)의 소켓(120)과 플러그(130)가 구현되지 않은 측면에 소켓(120)과 플러그(130)를 더 구현하여 상하로 확장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냉각판 조립체(100)의 냉각수 Inlet/Outlet의 경우는 열 교환제어기에서 나오는 호스 조립체(미도시)를 사용하여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을 1 플러그(130a)와 제2 소켓(120b)에 의해 체결할 수 있다.
제1 플러그(130a)와 제2 소켓(120b)은 블라인드 메이트(Blind Mate) 형식으로 연결이 되어 고정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블라인드 메이트(Blind Mate) 형식은 보지 않고 결합하여 체결할 수 있는 형식으로, 회전 없이 제2 소켓(120b)에 제1 플러그(130a)가 결속되어 끼움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냉각판 조립체(100)의 냉각판(110)을 복수 개 가변 연결 후 성능 시험에 필요한 수량의 전원장치 및 발열소자를 컨택시켜 동시에 시험을 진행 할 수 있다. 여기서, 가변 연결된 복수의 냉각판(110)으로 인하여 성능시험에 들어가는 M/M 등의 단축 비용 절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사용시 분해하여 저장시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고정 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고정 치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 치구(200)는 제1 고정판(212),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을 포함하는 고정판(210), 고정 노브(220) 및 고정 스토퍼(23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치구(200)는 제1 고정판(212),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 각각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하, 좌우로 이동할 수 있으며, 제1 고정판(212),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 각각에 형성된 가이드 라인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제1 고정판(212)은 사각형의 형상으로 내부가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판(212)은 제2 고정판(214)과 제3 고정판(216)의 끝단과 고정 노브(220)에 의해 조립될 수 있으며, 제2 고정판(214)과 제3 고정판(216)의 끝단의 길이와 같은 상하 길이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하며, 제2 고정판(214)과 제3 고정판(216)이 좌우로 이동하도록 좌우 길이로 내부에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정판(212)에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내부 빈 공간은 제2 고정판(214)과 제3 고정판(216) 좌우로 움직이는 가이드 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고정판(214)은 제1 고정판(212)과 끝단에서 연결되고, 반대쪽 끝단에서는 고정 스토퍼(23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판(214)은 사각형을 형상을 형성하며, 제1 고정판(212)에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내부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술한 내부 빈 공간과 같은 길이를 형성하며, 좌우로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고정판(214)은 2개의 판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판(214)은 제1 고정판(212)과 연결되어 제1 고정판(212)에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내부 빈 공간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판과, 상술한 좌우로 이동하는 판과 연결되어 제2 고정판(214)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고정판(214)을 형성하는 2개의 판은 고정 노브(220)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며, 제2 고정판(214)의 길이를 늘이나 줄이는 판에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제2 고정판(214)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고정판(214)은 반대쪽 끝단에서는 고정 스토퍼(230)와 연결되며, 상술한 제2 고정판(214)의 길이를 늘이나 줄이는 판의 끝단에 고정 스토퍼(230)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고정 스토퍼(230)를 연결하는 별도의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판(214)은 별도의 판에 상하로 움직이는 고정 스토퍼(2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판에 고정 노브(220)를 통해 고정 스토퍼(23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스토퍼(230)는 고정 치구(200)로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의 크기에 따라 상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제3 고정판(216)은 제1 고정판(212)과 끝단에서 연결되고, 반대쪽 끝단에서는 고정 스토퍼(23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고정판(216)은 사각형을 형상을 형성하며, 제1 고정판(212)에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내부 빈 공간을 따라 이동하기 위해 상술한 내부 빈 공간과 같은 길이를 형성하며, 좌우로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3 고정판(216)은 2개의 판이 결합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고정판(216)은 제1 고정판(212)과 연결되어 제1 고정판(212)에 형성된 사각형 형상의 내부 빈 공간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는 판과, 상술한 좌우로 이동하는 판과 연결되어 제3 고정판(216)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이는 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제3 고정판(216)을 형성하는 2개의 판은 고정 노브(220)에 의해 연결되어 고정되며, 제3 고정판(216)의 길이를 늘이나 줄이는 판에 형성된 가이드라인을 따라 좌우로 이동하며 제3 고정판(216)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고정판(216)은 반대쪽 끝단에서는 고정 스토퍼(230)와 연결되며, 상술한 제3 고정판(216)의 길이를 늘이나 줄이는 판의 끝단에 고정 스토퍼(230)가 연결되어 고정되며, 고정 스토퍼(230)를 연결하는 별도의 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고정판(214)은 별도의 판에 상하로 움직이는 고정 스토퍼(2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별도의 판에 고정 노브(220)를 통해 고정 스토퍼(230)를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스토퍼(230)는 고정 치구(200)로 고정시키기 위한 부품의 크기에 따라 상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고정판(214)과 제3 고정판(216)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고정 치구(200)는 3개의 고정판(210)을 통해 하나의 고정판에 두개의 고정판이 직각으로 결합되는 형상으로 구현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고정 치구(200)가 설치되는 냉각판(100)의 형상에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고정판(210)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부품(12)이 전원 장치의 경우, 전도 방열 방식이 대부분이나 크기가 다양하여 각 크기에 맞게 전용 냉각판 및 치구를 가지고 있으나 고정 치구(200)를 이용하여 전원장치의 크기와 무관하게 전/후/좌/우 흔들림 없이 고정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치구(200)는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좌/우 이동시켜 전원 장치의 크기에 맞게 제2 고정판(214), 제3 고정판(216) 및 고정 스토퍼(230)를 위치 시킨 후 고정 노브(220)를 사용하여 흔들림 없이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슬라이딩 방식은 가공된 레일을 따라 베어링(242)으로 움직여 유격없이 고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스토퍼(230)는 우레탄 고무를 사용하여 장비에 손상없이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고정 스토퍼(230)는 우레탄 고무를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전원 장치를 외부 충격에서 보호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고정 치구의 고정 노브에 의한 체결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는 고정 치구를 측면에서 본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의 (b)는 고정 노브에 의해 고정판에 체결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노브(220)는 고정판(210)에 체결 시 2개씩 사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어도 하나 체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의 (b)는 제1 고정판(212)과 제2 고정판(214) 또는 제3 고정판(216)의 고정 노브(220)에 의한 체결을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구체적으로, 제1 고정판(212)은 제2 고정판(214) 또는 제3 고정판(216)과 체결 시 고정 노브(220)에 베어링(242) 및 고정 핀(244)을 더 포함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242) 및 고정 핀(244)은 제1 고정판(212)에 형성된 가이드라인에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라인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제1 고정판(212)과 고정 노브(220) 사이에 보강판(240)을 더 포함하여 제1 고정판(212)과 연결되는 제2 고정판(214) 또는 제3 고정판(216)의 위치를 이동을 안정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고정 노브(220)에 의한 체결은 제1 고정판(212)과 제2 고정판(214) 또는 제3 고정판(216)의 체결을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고정 노브(220)를 이용한 체결을 나타내는 것이며, 도 6의 (b)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고정 치구(200)는 냉각판(110)의 상단에 고정되며, 제1 절단면(122) 및 제3 절단면(132)의 방향을 제외한 가장자리에서 고정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고정 치구(200)는 전원공급장치의 크기에 상관없이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전/후/좌/우 슬라이딩 방식으로 고정하여 장치를 성능 시험 간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유지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2개의 냉각판 조립체가 조립된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품(12)은 발열 소자로 구현될 수 있으며, 방열 소자 시험에 사용되는 물품을 나타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제1 냉각판(110a)은 상단에 고정 치구(200)가 조립되고, 제2 냉각판(110b)과 각각의 제1 플러그(130a)와 제2 소켓(120b)이 서로 결합되어 체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 냉각판(110a)의 상단에는 제1 부품(12a)이 구비되며, 제1 부품(12a)이 고정 치구(200)에 의해 고정되어 제1 부품(12a)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고정 치구(200)는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이 제1 고정판(212)을 따라 이동하여 제1 부품(12a)의 크기에 맞게 조절하며, 제2 고정판(214) 및 제3 고정판(216) 또한 각각의 길이를 제1 부품(12a)의 크기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제1 냉각판(110a)의 상단에 제1 부품(12a)이 고정 치구(200)에 의해 고정되면, 빈 공간에 제2 부품(12b)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1 부품(12a)의 크기에 따라 제2 부품(12b)이 고정되는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제2 냉각판(110b)의 상단에는 제3 부품(12c)이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냉각판(110a)과 결합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부품(12a)은 전원 장치를 나타내고, 제2 부품(12b) 및 제3 부품(13c)은 발열 소자를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고정 치구(200)를 변형하고 발열 소자의 수량을 변경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냉각판 조립체(100)의 상단에 복수의 부품(12)의 크기와 무관하게 냉각판(110) 위에 설치 및 고정하여 각 부품(12) 별 전용 냉각 장치가 불필요해질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의 2개의 냉각판 조립체가 조립되는 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어 조립된 냉각판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b의 (a)는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어 조립된 냉각판 조립체의 배면도이고, 도 9b의 (b)는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어 조립된 냉각판 조립체의 좌측면도이고, 도 9b의 (c)는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어 조립된 냉각판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9b의 (d)는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어 조립된 냉각판 조립체의 우측면도이고, 도 9b의 (e)는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어 조립된 냉각판 조립체의 정면도이고, 도 9b의 (f)는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어 조립된 냉각판 조립체의 밑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 결합 시 제1 플러그(130a)가 구비되는 제3 절단면(132)에 체결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부(140)는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 결합 시 제1 플러그(130a)와 제2 소켓(120b)이 외부에서 확인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체결부(140)는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이 결합되는 체결부를 자세히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체결부(140)는 체결판(142), 체결 노브(144), 체결 핀(146) 및 스프링(148)을 포함한다. 체결부(140)는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 결합 시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을 고정하는 장치이다.
체결판(142)은 플러그(130)가 고정된 절단면에 구현되며, 플러그(130)가 소켓과 결합되는 공간을 제외한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판(142)의 상단은 체결 노브(144)가 구현되며, 체결 노브(144)의 크기만큼의 빈 공간을 형성하여 상술한 빈 공간을 따라 체결 노브(144)가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일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의 체결 시 체결 노브를 이용하여 고정하기 전후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냉각판(110)을 통해 확장 시 소켓(120)과 플러그(130)의 체결 부위를 고정시켜 주는 체결판(142)으로 인해 냉각판(110) 내 블라인드 메이트(Blind mate)가 가능하고 열 전달율이 향상 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의 제1 냉각판(110a) 및 제2 냉각판(110b) 체결 시 체결판(142)이 제2 소켓(120b)에 닿아 자동으로 올라가며, 제2 소켓(120b) 및 제1 플러그(130a) 체결 후 자동으로 다시 내려와 제2 소켓(120b) 및 제1 플러그(130a)의 고정을 유지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체결판(142)이 고정된 후 체결 노브(144)를 눌러 체결 핀(145)이 양측으로 벌어지면서 제1 냉각판(110a) 및 제2 냉각판(110b)이 최종 고정될 수 있다.
도 11의 (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의 체결 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의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냉각판과 제2 냉각판의 체결 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이 결합하여 체결 전에는 체결 노브(144)는 체결판(142)의 외부로 나와 있다. 여기서, 체결 노브(144)는 스프링(148)을 통해 체결 핀(146)과 연결되어 있으며, 위 또는 아래로 움직임에 따라 스프링(148)을 통해 체결 핀(146)도 같이 움직일 수 있다.
체결부(140)는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을 서로 고정하여 체결시키기 위해 체결 노브(144)를 누르면 스프링(148)이 아래로 내려가 체결 핀(146)이 눌려지게 되며, 체결 핀(146)이 양쪽으로 밀려나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체결 핀(142)은 제1 냉각판(110a)의 제1 플러그(130a)와 제2 냉각판(110b)의 제2 소켓(120b) 결합뿐만 아니라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 간의 고정을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체결 시 체결 핀(146)이 양쪽으로 밀려나오면서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의 내부 홀 각각으로 들어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냉각판(110a)과 제2 냉각판(110b)의 내부 홀 각각은 체결 핀(146)의 형상과 같은 형상으로 구현되어 빈틈없이 조립되도록 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체결 노브(144)를 누르면 스프링(148)이 눌리면서 체결 노브(144)가 양측으로 밀려 나올 수 있다. 여기서, 밀려나온 체결 핀(146)이 제1 냉각판(110a) 및 제2 냉각판(110b) 사이 홈으로 들어가 고정될 수 있다.
냉각판 조립체(100)는 제1 냉각판(110a) 및 제2 냉각판(110b)을 분리 시 체결 노브(144)를 다시 눌러 위로 빼내어 고정을 풀어야 할 수 있다.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10)는 열교환 장치에서 호스 조립체로, 호스 조립체에서 가변식 냉각판 조립체(100)로, 가변식 냉각판 조립체(100)에서 호스 조립체로, 호스 조립체에서 열교환장치로 냉각수가 순환하면서 냉각판 조립체 위에 있는 발열 소자를 냉각시켜 주는 원리이다.
열교환 장치는 두 개의 유체 간에 열을 주고받도록 하게 하는 장치로서, 열의 회수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호스 조립체는 열교환 장치와 가변식 냉각판 조립체(100)를 연결하는 호스로서, 냉각수가 열교환 장치와 가변식 냉각판 조립체(100)를 이동하도록 하는 통로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가변형 냉각 장치
100: 냉각판 조립체
110: 냉각판
120: 소켓
130: 플러그
200: 고정 치구
210: 고정판
220: 고정 노브
230: 고정 스토퍼

Claims (13)

  1.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복수의 냉각판들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냉각판 조립체; 및
    상기 복수의 냉각판들 중 일부의 상단에 조립되어 전후, 좌우 길이를 조절하여 상기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 치구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판 조립체는 상기 부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복수의 냉각판들에 각각 고정되는 소켓 또는 플러그를 통해 상기 복수의 냉각판들이 체결되고, 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상기 고정 치구가 구비되고,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냉각판; 및 상기 제1 냉각판과 같은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판과 조립되어 상기 냉각수를 전달받아 유출되는 제2 냉각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판 및 제2 냉각판은, 상기 사각형의 판의 일측면이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 절단면 및 제2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의 판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이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3 절단면 및 제4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각판은 상기 제1 냉각판의 상기 제1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1 소켓 및 상기 제1 냉각판의 제3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1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판은 상기 제2 냉각판의 상기 제1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2 소켓 및 상기 제2 냉각판의 제3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2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판 조립체는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소켓이 블라인드 메이트(Blind Mate)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냉각판과 상기 제2 냉각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다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으로 형성되는 두 측면에 각각 제1 절단면과 제2 절단면 및 제3 절단면과 제4 절단면을 형성하며,
    상기 냉각판의 제1 절단면에 고정되어 냉각수가 유입되는 소켓; 및
    상기 냉각판의 제3 절단면에 고정되어 상기 유입되는 냉각수가 유출되는 플러그를 포함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치구는,
    상기 냉각판의 상단에 조립되고, 상기 냉각판의 상단에 구비되는 상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냉각판을 형성하는 면 각각에 고정판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각의 고정판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하며 상기 부품에 맞게 확장 또는 축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치구는,
    상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냉각판을 형성하는 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
    확장 또는 축소되는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연결 부분에 복수 구비되는 고정 노브; 및
    상기 부품의 크기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된 고정판의 끝단에서 상기 고정 노브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노브는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의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 및 고정 핀과 연결되어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에 가공된 레일을 따라 상기 베어링에 의해 목표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고정 핀을 통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치구는,
    상기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냉각판을 형성하는 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
    확장 또는 축소되는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되도록 연결 부분에 복수 구비되는 고정 노브; 및
    상기 부품의 크기에 따라 확장 또는 축소된 고정판과 상기 고정 노브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부품을 고정하는 고정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은 상기 제1 냉각판의 4개의 면 중 3개의 면에 각각 제1 고정판, 제2 고정판 및 제3 고정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노브는,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의 내측에 형성되는 베어링 및 고정 핀과 연결되고,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고정판 각각에 가공된 레일을 따라 상기 베어링에 의해 목표 위치로 이동하며, 상기 고정 핀을 통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 노브는 상기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3 고정판의 양끝단에 상기 제1 고정판 및 상기 고정 스토퍼 각각을 연결시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치구는,
    상기 제1 고정판에 상기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3 고정판이 각각 수직으로 결합되고, 상기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3 고정판이 상기 고정 노브에 의해 상기 제1 고정판과 연결되어 가공된 레일을 따라 상기 제2 고정판 및 상기 제3 고정판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 조립체는,
    상기 제1 냉각판의 제1 플러그와 상기 제2 냉각판의 제2 소켓이 서로 조립되어 상기 제1 냉각판과 상기 제2 냉각판이 체결되며,
    상기 제1 냉각판은 상기 제2 냉각판과 체결 시 상기 제1 플러그와 상기 제2 소켓의 체결 부위를 고정시켜주는 체결판이 상기 제2 소켓에 닿아 올라가고, 상기 제2 냉각판과 체결 후 상기 체결판이 내려와 상기 제2 냉각판과의 고정을 유지하며, 상기 체결판이 고정된 후 체결 노브를 눌러 상기 제2 냉각판과 최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11. 가변형 냉각판 조립체에 있어서,
    냉각수가 유입되는 소켓 및 상기 유입되는 냉각수가 유출되는 플러그 각각이 마주보는 측면에 구비되는 냉각판을 포함하고,
    상단에 설치되는 복수의 부품들의 크기와 수량에 따라 복수의 상기 냉각판이 결합되어 체결되어 크기가 확장되며,
    상기 가변형 냉각판 조립체는 사각형의 판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고정 치구가 구비되고, 냉각수가 유입되는 제1 냉각판; 및 상기 제1 냉각판과 같은 형상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냉각판과 조립되어 상기 냉각수를 전달받아 유출되는 제2 냉각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냉각판 및 상기 제2 냉각판은, 사각형의 판의 일측면이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1 절단면 및 제2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사각형의 판의 일측면과 마주보는 측면이 기 설정된 형상으로 절단되어 형성되는 제3 절단면 및 제4 절단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냉각판은 상기 제1 냉각판의 상기 제1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1 소켓 및 상기 제1 냉각판의 제3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1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냉각판은 상기 제2 냉각판의 상기 제1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2 소켓 및 상기 제2 냉각판의 제3 절단면에 고정되는 제2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냉각판 조립체는 상기 제1 플러그 및 상기 제2 소켓이 블라인드 메이트(Blind Mate) 방식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냉각판과 상기 제2 냉각판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판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는,
    별도의 냉각판 조립체와 체결 시 체결 부위를 고정시켜 주는 고정판을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와 상기 별도의 냉각판 조립체의 소켓과 체결 시 상기 고정판이 상기 별도의 냉각판 조립체의 소켓에 맞닿아 올라가고, 상기 별도의 냉각판 조립체의 소켓과 체결 후 상기 고정판이 내려와 상기 별도의 냉각판 조립체와의 고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판 조립체.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판은,
    상단에 조립되어 상기 부품을 고정하고, 상기 냉각판을 형성하는 면에 복수 개로 구비되는 판을 포함하는 고정 치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로 구비되는 판은 상기 냉각판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면에 대응되어 상기 부품을 고정하도록 상기 복수 개의 면 보다 적어도 하나 적은 수보다 큰 개수의 상기 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형 냉각판 조립체.
KR1020200120706A 2020-09-18 2020-09-18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KR102411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06A KR102411664B1 (ko) 2020-09-18 2020-09-18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706A KR102411664B1 (ko) 2020-09-18 2020-09-18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799A KR20220037799A (ko) 2022-03-25
KR102411664B1 true KR102411664B1 (ko) 2022-06-21

Family

ID=80935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706A KR102411664B1 (ko) 2020-09-18 2020-09-18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6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849A (ja) * 2004-04-19 2007-09-06 リッタ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電子的なコンポーネントのための組付けプレート
JP5608787B2 (ja) 2013-05-17 2014-10-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液冷式冷却装置
JP6485372B2 (ja) * 2016-01-15 2019-03-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30282A (ko) * 2013-04-30 2014-11-10 주식회사 티제이에스리써치 변압기의 방열기 냉각성능 평가용 팬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25849A (ja) * 2004-04-19 2007-09-06 リッタル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ィトゲゼルシャフト 電子的なコンポーネントのための組付けプレート
JP5608787B2 (ja) 2013-05-17 2014-10-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液冷式冷却装置
JP6485372B2 (ja) * 2016-01-15 2019-03-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799A (ko) 2022-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55993B1 (en) Fluid connector for a cooling system
US7380409B2 (en) Isolation valve and coolant connect/disconnect assemblies and methods of fabrication for interfacing a liquid cooled electronics subsystem and an electronics housing
US10602640B1 (en) Memory coolers
CN108563297B (zh) 一种挡风组件、散热装置及服务器
CN104919914B (zh) 用于提供液体冷却的组件、系统以及移除热量的方法
TW201415206A (zh) 冷卻單元及電子設備
KR102411664B1 (ko) 전도 방식의 부품을 고정하는 가변형 냉각 장치
AU2003210908B2 (en) Wedgelock system
US20170055368A1 (en) Shutter unit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8075643A (ja) タービンエンジン構成要素
CN113811145A (zh) 用于液体冷却it服务器的连接器接口
CN209118224U (zh) 散热组件
KR20210157429A (ko) 고성능 균일 온도 냉각판
US8226050B2 (en) Clamping device for hard disk drive
US8602723B2 (en) Heat dissipating blower
WO2015110865A1 (en) Heat exchanger
KR20190118440A (ko) 변압기용 모듈형 방열기
KR102606008B1 (ko) 스위칭용 반도체 소자 및 그의 냉각장치
CN110418544B (zh) 集成有冷却部件的装置及其维护方法
CN206669876U (zh) 空调机的室内机
JP6169941B2 (ja) アレイアンテナ装置
CN107431119B (zh) 能量回收组件及其提供方法
KR200191308Y1 (ko) 펠티어소자를 이용한 냉각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냉각장치
US20080137294A1 (en) Heat-dissipating fan fixing device
US20070209781A1 (en) Heat exchanger easy mount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