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582B1 -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Google Patents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582B1
KR102411582B1 KR1020210130467A KR20210130467A KR102411582B1 KR 102411582 B1 KR102411582 B1 KR 102411582B1 KR 1020210130467 A KR1020210130467 A KR 1020210130467A KR 20210130467 A KR20210130467 A KR 20210130467A KR 102411582 B1 KR102411582 B1 KR 102411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cument
information
specific
contribution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0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상영
Original Assignee
(주) 바우디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바우디움 filed Critical (주) 바우디움
Priority to KR10202101304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582B1/ko
Priority to PCT/KR2022/009002 priority patent/WO20230548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5Filtering based on additional data, e.g. user or group profiles
    • G06F16/337Profile generation, learning or mod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9Performance analysis of employees; Performance analysis of enterprise or organisation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개시서에는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문서는 상기 문서의 내용인 문서 내용 및 상기 문서 내용이 수정된 횟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고, 컴퓨팅 장치는, 기여도 산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한 정보인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련된 주체인 관여자들에 속한 개별 관여자의 상기 문서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 및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평판을 포함한 개인 기여도 산출 근거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여자들 각각의 상기 문서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며, 상기 개별 기여도 또는 상기 개별 기여도가 가공된 값을 출력한다.

Description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METHOD FOR EVALUATING CONTRIBUTION SCORES WITH RESPECT TO DOCUMENTS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개시서에는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컴퓨팅 장치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문서는 상기 문서의 내용인 문서 내용 및 상기 문서 내용이 수정된 횟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고, 컴퓨팅 장치는, 기여도 산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한 정보인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련된 주체인 관여자들에 속한 개별 관여자의 상기 문서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 및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평판을 포함한 개인 기여도 산출 근거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여자들 각각의 상기 문서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며, 상기 개별 기여도 또는 상기 개별 기여도가 가공된 값을 출력한다.
문서에 관한 소프트웨어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문서들의 수정과 배포, 및 그 추적을 다루는 기술들도 발전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미국 등록특허공보 제9,323,850호에는 어느 게시자의 콘텐츠 항목의 전파전염성 점수(viral score)를 추산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 점수는 다른 사용자가 그 콘텐츠를 또 다른 사용자에게 공유하는 행위에 의하여 누적되는 공유 횟수 및 사용자들의 그 콘텐츠에 대한 호불호의 평가 횟수 등에 의하여 산출될 뿐이며, 게시자의 콘텐츠가 타인에 의하여 수정되고 갱신될 수 있음을 전제하지 않고 있어, 콘텐츠를 수정하고 갱신한 사람들의 기여가 반영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마찬가지로, 사용자에 의하여 생성된 콘텐츠에 관한 사회적 순위(social ranks)를 다룬 미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117284호에 따르면, 소정의 방법으로 산출된 사회적 순위를 이용하여 특정 주제(topic)에 관한 믿을 만한 콘텐츠를 정기적으로 만들어내는 기여자들을 식별할 뿐이어서, 하나의 콘텐츠에 기여하고 관련된 모든 사람들 각각의 그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를 여전히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개시서에서는 전술한 종래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하여, 수정, 배포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문서들을 추적하고 그 변경 사항들 각각에 관한 기여도를 구할 수 있게 하는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
본 개시서의 일 태양에 따르면,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바, 상기 문서는, 상기 문서의 내용인 문서 내용 및 상기 문서 내용이 수정된 횟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기여도 산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한 정보인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련된 주체인 하나 이상의 관여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관여자들에 속한 개별 관여자의 상기 문서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 및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평판을 포함한 개인 기여도 산출 근거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여자들 각각의 상기 문서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는 개별 기여도 산정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개별 기여도 또는 상기 개별 기여도가 가공된 값을 출력하는 기여도 출력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여자는, 상기 문서를 생성한 주체인 생성자, 상기 문서에 기여한 주체인 기여자, 상기 문서를 수정 및 재배포한 주체인 개선자(reformer) 및 상기 문서의 적어도 일부 내용을 시행한 주체인 시행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문서는, 제3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생성자의 문서 생성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 생성 요청에 따른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3 특정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문서이거나 상기 생성된 문서의 자손 문서이다.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문서는, 제4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기여자의 문서 수정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4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으로부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상기 제4 특정 문서의 상기 수정 전의 정정 회차에 1을 더한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특정 문서를 갱신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갱신된 문서이거나 상기 갱신된 문서의 자손 문서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상기 문서는, 제2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개선자의 문서 재배포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 재배포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특정 문서로부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특정 문서의 자식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문서 또는 상기 생성된 문서의 자손 문서이다.
어느 실시 예에서, 상기 문서는, 제5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시행자의 문서 시행 표시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5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을 시행한 주체가 상기 시행자임을 나타내는 시행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5 특정 문서에서 상기 시행자에 의하여 시행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시행 기록 정보를 상기 문서 내용으로서 포함하도록 상기 제5 특정 문서의 자식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생성된 문서 또는 상기 생성된 문서의 자손 문서이다.
유리하게는, 상기 관여자는, 상기 문서를 다른 주체인 수여자에게 전달한 주체인 전달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전달자의 상기 문서에 관한 문서 전달 요청에 대한 상기 수여자의 긍정적 응답인 문서 전달 수락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전달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수여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정보를 보유하거나 소정의 저장소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관여자는, 상기 문서를 열람한 주체인 열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열람자의 상기 문서에 대한 열람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문서의 문서 내용을 표시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열람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열람 정보를 보유하거나 소정의 저장소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생성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생성 정보, 상기 기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기여 정보, 상기 개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개선 정보, 상기 시행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시행 정보, 상기 문서를 다른 주체인 수여자에게 전달한 주체인 전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추천 정보 및 상기 문서를 열람한 주체인 열람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열람 정보 중 적어도 상기 문서 생성 정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들(instructions)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도 제공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계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에 따르면,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컴퓨팅 장치가 제공되는바, 상기 문서는, 상기 문서의 내용인 문서 내용 및 상기 문서 내용이 수정된 횟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기여도 산정 요청을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기여도 산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한 정보인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련된 주체인 하나 이상의 관여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정보 획득 프로세스; 및 상기 관여자들에 속한 개별 관여자의 상기 문서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 및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평판을 포함한 개인 기여도 산출 근거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여자들 각각의 상기 문서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는 개별 기여도 산정 프로세스; 및 상기 개별 기여도 또는 상기 개별 기여도가 가공된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여도 출력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정, 배포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문서들을 추적하고 문서 각각의 변경, 전달, 열람 등에 의한 개개인의 기여도를 쉽게 산출할 수 있어, 기여도(및 이에 따른 인센티브 등)의 부여로 문서의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설명에 이용되기 위하여 첨부된 아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단지 일부일 뿐이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은 별개의 발명에 이를 정도의 노력 없이 이 도면들에 기초하여 다른 도면들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라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이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이라 함)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저장소의 예시적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에 대한 기여도로서 반영되는 개별 관여자들의 문서에 대한 행위(action)들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에 대한 기여도로서 반영되는 개별 관여자들의 문서에 대한 행위 중 전달 및 수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7은 본 개시서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에 따라 어느 문서의 개별 관여자에 대한 기여도를 구하기 위하여 그 문서와 그 문서의 조상 문서를 추적하는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목적들, 기술적 해법들 및 장점들을 분명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 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하는바, 어떠한 순서도 시사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서에서 "문서"는 서로 부모-자식 관계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개별 문서들의 묶음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편의 상, 본 개시서에서 어느 문서 A로부터 다른 문서 B가 파생되었을 때, 문서 A를 문서 B의 "부모 문서"라고 지칭하고, 문서 B를 문서 A의 "자식 문서"라고 지칭한다. 이를 확장하여, 부모 문서, 부모 문서의 부모 문서, 부모 문서의 부모 문서의 부모 문서 등을 "조상 문서"라고 지칭하고, 자식 문서, 자식 문서의 자식 문서, 자식 문서의 자식 문서의 자식 문서 등을 "자손 문서"라고 지칭한다.
또한, 본 개시서에서 "식별 정보"는 특정 데이터 항목을 식별, 추적할 수 있도록 그 특정 데이터 항목에 부여된 식별자(identifier)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식별자는 숫자, 영숫자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식별자는 소정의 저장소로부터 그 사용자의 성명, 전자메일 주소 등 개인 정보를 인출하는 데 필요한 키(key)로 이용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더욱이 본 발명은 본 개시서에 표시된 실시 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개시서에서 달리 표시되거나 분명히 문맥에 모순되지 않는 한, 단수로 지칭된 항목은, 그 문맥에서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복수의 것을 아우른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통상의 기술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예시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0)는, 통신부(110) 및 프로세서(120)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 컴퓨팅 장치(미도시)와 직간접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컴퓨팅 장치(100)는, 전형적인 컴퓨터 하드웨어(예컨대, 컴퓨터, 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storage), 입력 장치 및 출력 장치, 기타 기존의 컴퓨팅 장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는 장치; 라우터, 스위치 등과 같은 전자 통신 장치; 네트워크 부착 스토리지(NAS; network-attached storage) 및 스토리지 영역 네트워크(SAN; storage area network)와 같은 전자 정보 스토리지 시스템)와 컴퓨터 소프트웨어(즉,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특정의 방식으로 기능하게 하는 명령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원하는 시스템 성능을 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스토리지는 하드 디스크,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와 같은 기억 장치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서버와 같은 네트워크 연결 기반의 저장 장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팅 장치의 통신부(110)는 연동되는 타 컴퓨팅 장치, 예컨대 전용의 저장소, 예컨대, 데이터베이스 서버 등과의 사이에서 요청과 응답을 송수신할 수 있는바, 일 예시로서 그러한 요청과 응답은 동일한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세션(sessio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 바, 예컨대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그램(datagram)으로서 송수신될 수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모듈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를테면, 통신 인터페이스는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무선 인터넷 인터페이스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의 근거리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는 프로세서가 외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버스, 유무선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와 같이 적합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타 컴퓨팅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덧붙여, 넓은 의미에서 상기 통신부(110)는 명령어 또는 지시 등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 인쇄 장치, 디스플레이, 기타 외부 출력 장치를 포함하거나 이들과 연동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 예컨대 서버 또는 휴대 단말의 사용자에게 적절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컴퓨팅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를 내장하거나 상기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의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동될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예컨대, 그러한 디스플레이부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일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의 프로세서(120)는 MPU(micro processing unit),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NPU(neural processing unit) 또는 TPU(tensor processing unit), 캐시 메모리(cache memory), 데이터 버스(data bus) 등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체제, 특정 목적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소프트웨어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에서 다뤄지는 문서는, 그 문서의 내용인 문서 내용 및 그 문서 내용이 수정된 횟수인 정정(revision) 회차를 포함한다. 예컨대, 부모 문서 없이 신규 생성된 개별 문서의 정정 회차는 1로 설정될 수 있는바, 이 경우 그 1의 정정 회차는 해당 문서가 처음 생성되었고 지금까지 한 번도 정정된 적이 없음을 나타낸다.
이제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을 상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을 수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도시한 예시적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우선, 본 개시서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해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인 기여도 산정 요청을 수신하고, 그 기여도 산정 요청에 응하여, 컴퓨팅 장치(100), 구체적으로,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정보 획득 모듈(220)이, 상기 문서의 취급에 관한 정보인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S200)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문서 취급 정보는 후술하는 개별 기여도 산정 단계(S300)에서 기여도 산정의 근거 자료로 활용되는 정보를 지칭하는바, 구체적으로, 그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문서의 취급 행위에 관련된 주체인 하나 이상의 관여자들의 정보, 예컨대, 관여자들의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문서의 취급 행위에는 상기 문서의 "생성", 상기 문서의 수정, 정정 등에 의한 "기여", 상기 문서의 수정 및 재배포에 의한 "개선(reform)", 상기 문서의 적어도 일부 내용의 "시행"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관여자에는, 상기 문서를 생성한 주체인 생성자, 상기 문서에 기여한 주체인 기여자, 상기 문서를 개선한 주체인 개선자 및 상기 문서의 적어도 일부의 내용을 시행한 주체인 시행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저장소의 예시적 블록도이고, 도 5는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에 대한 기여도로서 반영되는 개별 관여자들의 문서에 대한 행위(action)들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문서의 생성
도 5의 예시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계(S200)에 앞서 생성자(511)가 사용자 단말(300; 미도시)을 이용하여 문서를 만드는 생성 작업을 한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그 새로 만들고자 하는 문서인 제3 특정 문서의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생성 요청이 서버(1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송신된 그 문서 생성 요청이 획득되면,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취급 모듈(210)이, 그 문서 생성 요청에 따라 상기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초깃값), 예컨대, 1의 정정 회차를 포함하는 상기 제3 특정 문서(521)를 생성하는 단계(S110)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단계(S110)에 의해 생성된 제3 특정 문서이거나 후술하는 단계들에서와 같이 그 제3 특정 문서로부터 파생된 자손 문서(522 내지 524 등)가 단계(S200)에서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할 대상이 되는 문서에 해당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S110)에서 생성된 문서는 서버(100)에 포함되거나 서버(100)와 연동하는 저장소(240)에 저장되어 보유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으로 본 개시서에서 언급되는 문서들은 저장소(240)에 포함된 문서 저장소(242)에 저장되어 보유될 수 있다.
문서의 수정에 의한 기여
한편, 기여자(512)가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제4 특정 문서(521)를 수정하는 수정 작업을 한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4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으로부터 수정된 문서의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수정 요청이 서버(1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송신된 그 문서 수정 요청이 획득되면,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취급 모듈(210)은, 그 문서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4 특정 문서로 하여금 상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수정 전의 정정 회차(직전 정정 회차)에 1을 더한 새로운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특정 문서를 갱신하는 단계(S120)를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S120)에 의해 갱신된 문서(522) 또는 그 갱신된 문서로부터 파생된 자손 문서(523 내지 524 등)가 단계(S200)에서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할 대상이 될 수도 있다. 갱신된 문서(522)는 원래 문서(521)와 동일한 문서이고 서로 부모-자식 관계에 있지 않으므로, 갱신 전의 내용을 추적하기 위하여 문서 저장소(242)에 직전 정정 회차에 대응하는 문서 내용이 따로 보관될 수 있다.
문서의 재배포에 의한 개선
한편, 개선자(513)가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제2 특정 문서를 수정하고 재배포하는 작업을 한 결과로서 사용자 단말(300)로부터 상기 제2 특정 문서(522)의 문서 내용으로부터 수정된 문서의 내용을 포함하는 문서 재배포 요청이 서버(100)로 송신될 수 있으며, 송신된 그 문서 재배포 요청이 획득되면,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취급 모듈(210)은, 그 문서 재배포 요청에 따라 상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 예컨대, 1의 정정 회차를 포함하는 상기 제2 특정 문서(522)의 자식 문서(523)를 생성하는 단계(S130)를 수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식 문서(523)는 상기 제2 특정 문서(522)로부터 파생되었으나 서로 별개로 취급될 수 있으므로 그 정정 회차는 초기화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서에서 어느 문서로부터 그 문서의 자식 문서가 생성되는 때에, 어느 자식 문서에 기초하여 그 부모 문서를 추적할 수 있도록, 상기 자식 문서에는 그 자식 문서의 부모 문서인 상기 특정 문서를 참조하는 참조(reference)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고, 이에 배타적이지 않은 대안으로서, 부모 문서에는 그 부모 문서의 자식 문서를 참조하는 참조 정보가 더 포함될 수도 있는바, 문서에 포함된 참조 정보는 문서와 함께 문서 저장소(242)에 저장될 수 있다. 또 다른 비배타적 대안으로서, 소정의 저장소(240), 더 구체적으로 부모-자식 문서 참조 저장소(244) 내에서 자식 문서와 부모 문서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참조 정보가 문서들과 별개로 저장되어 보유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참조 정보는 저장소(240)로부터 획득되어 후술하는 개별 기여도 산정 단계(S300)에서 활용될 수 있다.
단계(S130)에 따라 생성된 자식 문서(523) 또는 그 자식 문서의 자손 문서(524 등)도 단계(S200)에서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이 되는 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문서 내용의 시행
또한, 시행자(514)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제5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 중 적어도 일부를 수행했음을 나타내는 상기 제5 특정 문서(522)에 대한 문서 시행 표시 요청을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송신된 그 문서 시행 표시 요청이 획득되면,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취급 모듈(210)은, 그 문서 시행 표시 요청에 따라 상기 제5 특정 문서(522)의 문서 내용을 시행한 주체가 상기 시행자임을 나타내는 시행자 식별 정보를 상기 문서 내용으로서 포함하도록 상기 제5 특정 문서(522)의 자식 문서(524)를 생성하는 단계(S140)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자식 문서(524)는 상기 시행자 식별 정보뿐만 아니라 상기 제5 특정 문서(522)의 어느 부분을 시행하였는지를 식별할 수 있는 시행 기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5 특정 문서(522)의 문서 내용의 시행은 시행자 식별 정보 및 시행 기록 정보를 추가한 제5 특정 문서(522)의 자식 문서(524)를 생성함을 의미한다.
이때, 생성되는 상기 자식 문서(524)는 정정 회차에 관한 정보를 가지지 않을 수도 있으나, 몇 번째 시행자인지를 나타내는 정정 회차에 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정 회차가 1이면, 시행자가 최초로 시행했음을 지칭하고, 정정 회차가 2이면, 그 시행자가 2회 시행했음을 지칭할 수 있다.
단계(S140)에 따라 생성되는 자식 문서(524) 또는 그 자식 문서의 자손 문서도 단계(S200)에서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는 대상이 되는 문서에 해당할 수 있다.
문서 내용의 전달 및 수여(즉, 추천 및 수락)
한편, 단계(S200)에 관하여 위에서 언급된 관여자에는 상기 문서(524)를 다른 주체에 전달한 주체인 전달자(515; 추천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문서(524)를 전달받은 주체는 수여자(516; 수락자)로 지칭한다.
도 6은 본 개시서에 따른 문서에 대한 기여도로서 반영되는 개별 관여자들의 문서에 대한 행위 중 전달 및 수여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시퀀스 다이어그램(sequence diagram)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이 문서의 전달 및 수여에 대응하여 문서를 처리하는 단계(S150)에서, 전달자(515)는 제1 사용자 단말(300a; 미도시)을 이용하여 서버(100)로 하여금 기 생성된 특정 문서를 다른 주체인 수여자(516)에게 전달하게 하는 요청인 문서 전달 요청을 제1 사용자 단말(300a)로부터 서버(100)로 송신(S151)할 수 있으며, 송신된 그 문서 전달 요청이 획득되면,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취급 모듈(210)은, 수여자(516)의 제2 사용자 단말(300b; 미도시)에 소정의 신호를 송신(S152)함으로써 그 제2 사용자 단말(300b)로 하여금 상기 문서 전달 요청에 대한 수락 또는 거부의 선택이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S513)하게 할 수 있다.
제2 사용자 단말(300b)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상기 문서 전달 요청에 대한 수여자(516)의 수락(S154), 즉, 긍정적 응답의 선택에 의하여 제2 사용자 단말(300b)은 서버(100)에 문서 전달 수락 요청을 송신(S155)할 수 있고, 송신된 그 문서 수락 요청이 획득되면,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취급 모듈(210)은, 특정 문서(524)에 대한 식별 정보, 전달자(515)의 식별 정보 및 수여자(516)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정보를 보유하거나 서버(100)에 포함되거나 연동되는 소정의 저장소(240), 특히 문서 전달 정보 저장소(246)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S156)할 수 있다. 이 단계(S150)에서 생성된 문서 전달 정보는 단계(S200)에서 획득되는 문서 취급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반면에, 수여자(516)가 제2 사용자 단말(300b)의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문서 전달 요청에 대한 거부를 선택(S157)하는 경우, 제2 사용자 단말(300b)은 서버(100)에 문서 전달 요청 거부 신호를 송신(S158)할 수 있고, 그 결과 상기 문서 전달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바, 전달자(515)의 기여가 인정되지 않을 수도 있고, 역할 가중치에 관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달자(515)에 의한 전달 행위의 역할 가중치를 줄일 수 있도록 특정 문서(524)에 대한 식별 정보, 전달자(515)의 식별 정보 및 수여자(516)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거절 정보를 보유하거나 서버(100)에 포함되거나 연동되는 소정의 저장소(240), 특히 문서 전달 정보 저장소(246)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S159)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문서의 열람
또한, 앞에서 언급된 관여자에는 상기 문서를 열람한 주체인 열람자를 더 포함될 수 있다. 즉, 열람 행위가 문서에 관한 기여도 산정의 근거 자료에 포함될 수 있다.
이 문서의 열람에 대응하여 문서를 처리하는 단계(S160)로서, 상기 열람자는 사용자 단말(300)을 이용하여 기 생성된 특정 문서의 열람을 요청하는 신호인 열람 요청을 서버(100)로 송신할 수 있으며, 송신된 그 문서 시행 표시 요청이 획득되면,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취급 모듈(210)은, 상기 특정 문서의 내용을 사용자 단말(300)에 송신함으로써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을 표시하게 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특정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열람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열람 정보를 보유하거나 소정의 저장소(240), 특히 문서 열람 정보 저장소(248)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하는 단계(S160)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문서 열람 정보는 상기 열람자가 상기 특정 문서의 열람을 요청한 시각에 관한 정보{일시(datetime) 형식이나 타임스탬프(timestamp) 형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문서의 열람을 유지한 시간에 관한 정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 단계(S160)에서 생성된 문서 열람 정보는 단계(S200)에서 획득되는 문서 취급 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제 전술한 문서 취급 정보에 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생성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생성 정보, 상기 기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기여 정보, 상기 개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개선 정보, 상기 시행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시행 정보, 상기 전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추천 정보 및 상기 열람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열람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적어도 상기 문서 생성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문서(524)에 대한 문서 취급 정보의 예시에서, 문서 생성 정보는 문서(524) 및 상기 문서(524)의 조상 문서(521, 522)로 구성된 집합 가운데 조상 문서를 가지지 않는 문서, 즉, 시조 문서(521)의 식별 정보, 그 시조 문서의 생성자(511)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특정 문서의 문서 생성 정보는 그 특정 문서의 시조 문서(521)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문서 기여 정보는 그 기여받은 후 문서(522) 및 기여의 대상이 된 원 문서(521)의 식별 정보, 그 문서(522)의 기여자(51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 개선 정보는 개선 후 문서(523) 및 개선의 대상이 된 부모 문서(522)의 식별 정보, 그 문서(523)의 개선자(513)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 시행 정보는 시행 후 문서(524) 및 시행의 대상이 된 부모 문서(523)의 식별 정보, 그 문서(524)의 시행자(514)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문서 추천 정보 및 문서 열람 정보에 관하여는 단계들(S150, S160)에 관하여 전술한 바와 같다.
도 7은 본 개시서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에 따라 어느 문서의 개별 관여자에 대한 기여도를 구하기 위하여 그 문서와 그 문서의 조상 문서를 추적하는 예시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의 예시를 참조하여 문서(721)인 시행 문서 A의 개별 관여자들을 추적하면, 시행 문서 A(721)로부터 그 시행 문서 A(721)의 문서 시행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바, 그 문서 시행 정보로부터 그 문서(721)의 시행자의 식별 정보(711) 및 그 문서(721)의 부모 문서의 식별 정보(722)를 획득할 수 있다.
그 부모 문서(722)의 정정 회차는 2이고 초깃값이 아니므로 적어도 1회의 기여를 받았음이 파악될 수 있는바, 그 원 문서(722)의 문서 기여 정보로부터 그 문서(722)의 기여자의 식별 정보(712) 및 그 문서(722)의 원 문서의 식별 정보(723)를 획득할 수 있다.
그 원 문서(723)의 정정 회차는 1, 즉, 초깃값인데, 그 원 문서(723)의 부모 문서가 존재하므로 문서 개선 정보로부터 문서(723)의 부모 문서의 식별 정보(724) 및, 개선자의 식별 정보(713)를 획득할 수 있다.
그 후, 문서(724)는 그 문서(724)의 부모 문서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문서 생성 정보로부터 해당 문서(724)의 생성자의 식별 정보(714)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정 문서의 식별 정보(721)가 주어지면, 해당 특정 문서(721)의 모든 관여자들{즉, 도 7의 예시에서는 시행자(711), 기여자(712), 개선자(713) 및 생성자(714)}의 식별 정보를 추적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앞서 설명된 문서 정보 획득 단계(S200)의 다음으로, 본 개시서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은, 서버(100)에 의하여 구현되는 문서 기여도 산정 모듈(230)이, 상기 관여자들에 속한 개별 관여자의 상기 문서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 및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평판을 포함한 개인 기여도 산출 근거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여자들 각각의 상기 문서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는 개별 기여도 산정 단계(S300)를 더 포함한다.
여기에서 어느 관여자의 평판(의 값)은 그 관여자가 수행한 모든 역할(즉, 관여 행위 혹은 취급 행위) 각각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즉, 역할 가중치)를 더한 총합이다. 따라서 상기 관여자의 행위가 발생할 때마다 상기 관여자의 평판은 증가된다.
통상의 기술자는 관여자 또는 타인의 정해진 행위에 기초하여 그 관여자의 평판을 변동시키는 다양한 실시 예를 쉽게 상정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느 문서를 열람한 주체인 열람자의 행위에 기초하여 그 문서를 생성한 생성자(즉, 열람자의 타인)의 평판이 변동될 수 있다.
역할 가중치는 일 예시로서 다음과 같을 수 있다.
문서 취급 행위 역할 가중치 수행 회수 평판 추가분
안내 문서 생성 10 3 30
수정 3 1 3
열람 1 5 5
전달 5 10 50
수여 3 2 6
수여 거절 2 34 68
도전 문서 생성 5 13 45
수정 3 11 33
열람 1 25 25
제안 문서 수정 3 10 30
열람 1 9 9
전달 및 수여 1 7 7
역할 가중치는 문서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는바, 표 1에서는 문서의 종류로서 '안내 문서', '도전 문서', '제안 문서'가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한편, 단계(S300)에서 특정 관여자의 특정 취급 행위에 의한 기여도는, 역할 가중치로 정해진 값에 상기 역할 수행 당시의 평판을 곱한 값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단계(S300) 후, 본 개시서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은, 서버(100)가, 상기 개별 기여도 또는 상기 개별 기여도를 가공한 결과값을 출력하는 기여도 출력 단계(S400)를 더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계(S400)에서는 단계(S300)에서 산출된 특정 문서에 대한 특정 관여자의 개별 기여도를 합산한 값인 개인 기여점수, 특정 문서에 대한 모든 관여자들의 개별 기여도를 모두 합산한 값인 전체 기여점수를 산출할 수 있으며, 그 개인 기여점수 및 전체 기여점수에 기초하여 어느 특정 관여자의 개인 기여도가 산출될 수도 있다. 예컨대, 개인 기여도 = 개인 기여점수 / 전체 기여점수일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서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에 있어서 기여도 산정의 근거가 되는 개별의 문서 취급 행위 혹은 문서 관여 행위들, 즉, 문서의 생성, 수정, 재배포, 시행, 전달 및 수여(즉, 추천 및 수락), 열람 등은 그 구체적인 기술 방안이 다양한 구현체들로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바, 본 발명의 본질이 지엽적인 사항의 지나친 서술로 흐려지지 않도록 그 개개의 문서 취급 행위들에 관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개시서의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에 있어서 단계들(S110 내지 S160) 간에 필연적 선후 관계가 없음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는 단계(S200) 후에 그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S300)가 수행됨은 분명하나, 단계(S110)에서 한번 생성된 문서에 대하여 그 문서에 대한 관여 행위들은 언제든 수행될 수 있고, 이에 대한 기여도의 산정 및 출력(S200, S300)도 언제든 수행될 수 있음도 분명하다. 즉, 기여도의 산정 및 출력(S200, S300)은 1회 수행될 수도 있으나, 지속적으로, 또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지정된 시간대에 간헐적으로, 또는 지정된 시간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위 설명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기술자는 논리적 당위성이 개입하는 경우가 아닌 이상 전술된 모든 단계들이 그 단계를 지칭하기 위해 나타낸 숫자의 대소에 관계없이 서로 바뀔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생성, 수정, 재배포, 열람, 추천 등에 의해 지속적으로 변경되는 문서들을 추적하여 문서 각각에 대한 의한 개개인의 기여도를 쉽게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하여 문서의 이용을 촉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개시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관한 설명에 기초하여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의 방법 및/또는 프로세스들, 그리고 그 단계들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특정 용례에 적합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는 점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다. 상기 하드웨어는 범용 컴퓨터 및/또는 전용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 또는 특정 컴퓨팅 장치의 특별한 모습 또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스들은 내부 및/또는 외부 메모리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 컨트롤러, 예컨대, 마이크로컨트롤러, 임베디드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컴퓨터,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장치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게다가, 혹은 대안으로서, 상기 프로세스들은 주문형 집적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programmable gate array),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혹은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Programmable Array Logic; PAL) 또는 기타 명령어(instruction)를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전자 신호들을 처리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장치 또는 장치들의 조합으로 실시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어(instruction; 인스트럭션),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에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기술적 해법의 대상물 또는 선행 기술들에 기여하는 부분들은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기계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실시 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기계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 Blu-ray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전술한 장치들 중 어느 하나뿐만 아니라 프로세서, 프로세서 아키텍처 또는 상이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들의 이종 조합, 또는 다른 어떤 프로그램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는 기계 상에서 실행되기 위하여 저장 및 컴파일 또는 인터프리트될 수 있는, C와 같은 구조적 프로그래밍 언어, C++ 같은 객체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 또는 고급 또는 저급 프로그래밍 언어(어셈블리어, 하드웨어 기술 언어들 및 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 언어 및 기술들)를 사용하여 만들어질 수 있는 바, 기계어 코드, 바이트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이에 포함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일 태양에서는, 앞서 설명된 방법 및 그 조합들이 하나 이상의 컴퓨팅 장치들에 의하여 수행될 때, 그 방법 및 방법의 조합들이 각 단계들을 수행하는 실행 가능한 코드로서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일 태양에서는, 상기 방법은 상기 단계들을 수행하는 시스템들로서 실시될 수 있고, 방법들은 장치들에 걸쳐 여러 가지 방법으로 분산되거나 모든 기능들이 하나의 전용, 독립형 장치 또는 다른 하드웨어에 통합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태양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프로세스들과 연관된 단계들을 수행하는 수단들은 앞서 설명한 임의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모든 순차 결합 및 조합들은 본 개시서의 범위 내에 속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ROM/RAM 등과 같은 메모리와 결합되고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MPU, CPU, GPU, TPU와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개발자들에 의하여 작성된 명령어들을 전달받기 위한 키보드, 마우스, 기타 외부 입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본 개시서에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이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것에는,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한 것과 동일한 결과를 낼 수 있는, 논리적으로 동치(logically equivalent)인 방법이 포함될 것인 바, 본 발명의 진의 및 범위는 전술한 예시들에 의하여 제한되어서는 아니되며, 법률에 의하여 허용 가능한 가장 넓은 의미로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7)

  1. 컴퓨팅 장치에 의하여 문서들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서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내용인 문서 내용 및 상기 문서 내용이 수정된 횟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는, 소정의 문서 유형에 속하는 문서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문서들 중, 특정 문서 내용 및 특정 정정 회차를 가지는 특정 문서에 대한 기여도 산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특정 문서의 취급에 관한 정보인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로서,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특정 문서의 취급에 관련된 주체인 하나 이상의 관여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정보 획득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관여자들에 속한 개별 관여자의 상기 특정 문서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 및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평판을 포함한 개인 기여도 산출 근거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여자들 각각의 상기 특정 문서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는 개별 기여도 산정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개별 기여도 또는 상기 개별 기여도가 가공된 값을 출력하는 기여도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관여자는,
    상기 특정 문서 또는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를 생성한 주체인 생성자, 상기 특정 문서 또는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에 기여한 주체인 기여자,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를 수정 및 재배포한 주체인 개선자(reformer) 및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의 적어도 일부 내용을 시행한 주체인 시행자를 포함하며,
    상기 방법은,
    제2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개선자의 문서 재배포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 재배포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특정 문서로부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특정 문서의 자식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상기 평판은 상기 수행 당시까지 상기 개별 관여자에 의해 수행된 모든 역할들 각각에 따른 가중치들을 더한 총합이며,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생성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생성 정보, 상기 기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기여 정보, 상기 개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개선 정보, 상기 시행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시행 정보, 상기 문서를 다른 주체인 수여자에게 전달한 주체인 전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추천 정보 및 상기 문서를 열람한 주체인 열람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열람 정보 중 적어도 상기 문서 생성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관여자는,
    상기 문서를 다른 주체인 수여자에게 전달한 주체인 전달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제3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생성자의 문서 생성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 생성 요청에 따른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3 특정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제4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기여자의 문서 수정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4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으로부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상기 제4 특정 문서의 상기 수정 전의 정정 회차에 1을 더한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특정 문서를 갱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달자의 상기 문서에 관한 문서 전달 요청에 대한 상기 수여자의 긍정적 응답인 문서 전달 수락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전달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수여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정보를 보유하거나 소정의 저장소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며,
    개별의 정정 회차에 대응하는 문서 내용이 상기 저장소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제5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시행자의 문서 시행 표시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상기 제5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을 시행한 주체가 상기 시행자임을 나타내는 시행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5 특정 문서에서 상기 시행자에 의하여 시행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시행 기록 정보를 상기 문서 내용으로서 포함하도록 상기 제5 특정 문서의 자식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여자는,
    상기 문서를 열람한 주체인 열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열람자의 상기 문서에 대한 열람 요청이 획득되면, 컴퓨팅 장치가, 소정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상기 문서의 문서 내용을 표시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및 상기 열람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열람 정보를 보유하거나 소정의 저장소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문서 기여도 산정 방법.
  9. 삭제
  10. 컴퓨팅 장치로 하여금, 제1항, 제6항 및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현된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하는, 기계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1. 문서들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문서들 각각은,
    상기 각각의 내용인 문서 내용 및 상기 문서 내용이 수정된 횟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는, 소정의 문서 유형에 속하는 문서이고,
    상기 컴퓨팅 장치는,
    기여도 산정 요청을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문서들 중, 특정 문서 내용 및 특정 정정 회차를 가지는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기여도 산정 요청에 응하여 상기 특정 문서의 취급에 관한 정보인 문서 취급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로서,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특정 문서의 취급에 관련된 주체인 하나 이상의 관여자들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정보 획득 프로세스, 및 상기 관여자들에 속한 개별 관여자의 상기 특정 문서에 대한 역할에 따른 가중치 및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평판을 포함한 개인 기여도 산출 근거 자료에 기초하여, 상기 관여자들 각각의 상기 특정 문서에 대한 개별 기여도를 산정하는 개별 기여도 산정 프로세스; 및 상기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개별 기여도 또는 상기 개별 기여도가 가공된 값을 상기 통신부를 통해 출력하는 기여도 출력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관여자는,
    상기 특정 문서 또는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를 생성한 주체인 생성자, 상기 특정 문서 또는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에 기여한 주체인 기여자,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를 수정 및 재배포한 주체인 개선자(reformer) 및 상기 특정 문서의 조상 문서의 적어도 일부 내용을 시행한 주체인 시행자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제2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개선자의 문서 재배포 요청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면, 상기 문서 재배포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특정 문서로부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2 특정 문서의 자식 문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고,
    상기 개별 관여자의 상기 역할의 수행 당시의 상기 평판은 상기 수행 당시까지 상기 개별 관여자에 의해 수행된 모든 역할들 각각에 따른 가중치들을 더한 총합이고,
    상기 문서 취급 정보는,
    상기 생성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생성 정보, 상기 기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기여 정보, 상기 개선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개선 정보, 상기 시행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시행 정보, 상기 문서를 다른 주체인 수여자에게 전달한 주체인 전달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추천 정보 및 상기 문서를 열람한 주체인 열람자의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열람 정보 중 적어도 상기 문서 생성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관여자는,
    상기 문서를 다른 주체인 수여자에게 전달한 주체인 전달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제3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생성자의 문서 생성 요청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면, 상기 문서 생성 요청에 따른 문서 내용 및 소정의 정수인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3 특정 문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
    제4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기여자의 문서 수정 요청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면, 상기 문서 수정 요청에 따라 상기 제4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으로부터 수정된 문서 내용 및 상기 제4 특정 문서의 상기 수정 전의 정정 회차에 1을 더한 정정 회차를 포함하도록 상기 제4 특정 문서를 갱신하는 프로세스, 및
    상기 전달자의 상기 문서에 관한 문서 전달 요청에 대한 상기 수여자의 긍정적 응답인 문서 전달 수락 요청이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획득되면, 상기 문서에 대한 식별 정보, 상기 전달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수여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문서 전달 정보를 보유하거나 소정의 저장소로 하여금 보유하도록 지원하는 프로세스
    를 더 수행하며,
    개별의 정정 회차에 대응하는 문서 내용이 상기 저장소에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서 기여도 산정 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5 특정 문서에 대한 상기 시행자의 문서 시행 표시 요청이 상기 통신부를 통해 획득되면, 상기 제5 특정 문서의 문서 내용을 시행한 주체가 상기 시행자임을 나타내는 시행자 식별 정보 및 상기 제5 특정 문서에서 상기 시행자에 의하여 시행된 부분을 식별하기 위한 시행 기록 정보를 상기 문서 내용으로서 포함하도록 상기 제5 특정 문서의 자식 문서를 생성하는 프로세스를 더 수행하는, 문서 기여도 산정 장치.
  17. 삭제
KR1020210130467A 2021-09-30 2021-09-30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411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67A KR102411582B1 (ko) 2021-09-30 2021-09-30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CT/KR2022/009002 WO2023054847A1 (ko) 2021-09-30 2022-06-24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0467A KR102411582B1 (ko) 2021-09-30 2021-09-30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582B1 true KR102411582B1 (ko) 2022-06-22

Family

ID=82216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0467A KR102411582B1 (ko) 2021-09-30 2021-09-30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11582B1 (ko)
WO (1) WO20230548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47A1 (ko) * 2021-09-30 2023-04-06 (주) 바우디움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63900B1 (ko) * 2023-03-31 2023-08-09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를 취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648A (ko) * 2010-05-24 2011-11-30 (주) 위즈덤 베이글 사용자가 협업하여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93784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하나은행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 보상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1345B1 (ko) * 2015-10-30 2022-05-23 삼성에스디에스 주식회사 사용자 계정 정보에 기반한 복수 작성자의 컨텐츠 작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1926623B1 (ko) * 2017-10-19 2018-12-07 경상대학교 산학협력단 제품자료관리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자료기반 제품설계 참가자 기여도 평가 방법
US20190272071A1 (en) * 2018-03-02 2019-09-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utomatic generation of a hierarchically layered collaboratively edited document view
KR102411582B1 (ko) * 2021-09-30 2022-06-22 (주) 바우디움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28648A (ko) * 2010-05-24 2011-11-30 (주) 위즈덤 베이글 사용자가 협업하여 컨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00093784A (ko) * 2019-01-29 2020-08-06 주식회사 하나은행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 보상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54847A1 (ko) * 2021-09-30 2023-04-06 (주) 바우디움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KR102563900B1 (ko) * 2023-03-31 2023-08-09 (주) 바우디움 구조화 문서를 취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847A1 (ko)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1582B1 (ko) 문서에 대한 기여도를 산정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JP6811350B2 (ja) ネットワーク内の分散データベースの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10182460B2 (en) Multitenancy gaming services platform
US9436919B2 (en) System and method of tuning item classification
JP6430575B2 (ja) 分散型ストレージ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70364697A1 (en) Data interworking method and data interworking device
US10460128B2 (en) Collection flow for confidential data
US9477758B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of related entities
US20090292762A1 (e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ublishing Content
CN108369595B (zh) 可收集数据结构的可扩展性
JP2017142796A (ja) 情報の特定及び抽出
US20210058382A1 (en) Block sequencing method and system based on tree-graph structure, and data processing terminal
US20180025372A1 (en) Deriving audiences through filter activity
US11809972B2 (en) Distributed machine learning for improved privacy
US10824799B2 (en) Summary data autofill
CN117678196A (zh) 隐私安全联合标识协议
WO2017100022A1 (en) Enhanced management capabilities for collectable data structures
JP201316470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90163801A1 (en) Embeddings with multiple relationships
Wang et al. SVIR epidemic model with age structure in susceptibility, vaccination effects and relapse
US11899823B2 (en) Privacy safe anonymized identity matching
KR20230031914A (ko) 증강 현실 콘텐츠의 사용 추적
CN110489669B (zh) 一种信息推送方法及装置
US20140379446A1 (en) Information management device,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9019711A1 (zh) 行为模式数据的发布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