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409B1 -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 Google Patents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409B1
KR102411409B1 KR1020200177613A KR20200177613A KR102411409B1 KR 102411409 B1 KR102411409 B1 KR 102411409B1 KR 1020200177613 A KR1020200177613 A KR 1020200177613A KR 20200177613 A KR20200177613 A KR 20200177613A KR 102411409 B1 KR102411409 B1 KR 102411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iron
nozzle
slag
container body
refining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761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종희
권오빈
김상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77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40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40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8Bottoms or tuyéres of conver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4653Tapholes; Opening or plugging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5/00Manufacture of carbon-steel, e.g. plain mild steel, medium carbon steel or cast steel or stainless steel
    • C21C5/28Manufacture of steel in the converter
    • C21C5/42Constructional features of converters
    • C21C5/46Details or accessories
    • C21C5/50Tilting mechanisms for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련 용기 및 용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용융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가지는 용기 몸체; 상기 공간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제1노즐; 및 상기 바닥부 쪽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고, 슬래그 제거 시 용선의 손실을 억제하여 용강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ning vess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comprising: a vessel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a molten material is accommodated; a first nozzl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o blow gas into the space; and a second nozzle formed on the side wall to blow the gas toward the bottom, and suppress the loss of molten iron when slag is removed to improve the production of molten steel.

Description

정련 용기 및 용강 제조 방법{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Refining vesse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본 발명은 정련 용기 및 용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용강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련 용기 및 용강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fining vess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fining vess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capable of improving the production of molten steel.

제강공정은 용선 예비처리공정, 전로 정련공정, 2차 정련공정, 및 연속 주조공정 순으로 진행된다. 그 중, 전로 정련 공정은 주원료인 용선(hot metal)과 고철(Scrap)을 전로에 장입하고, 전로 내로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함과 동시에 부원료를 투입하는 취련 작업을 통해 용선 중 불순 원소인 탄소(C), 규소(Si), 망간(Mn), 인(P), 유황(S), 티탄(Ti) 등을 산화 정련에 의해 제거하는 일련의 작업을 통칭한다. The steelmaking process proceeds in the order of the molten iron pretreatment process,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the secondary refining process, and the continuous casting process. Among them, in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hot metal and scrap, which are the main raw materials, are charged into the converter, and oxygen-containing gas is blown into the converter and at the same time an auxiliary material is added. C), silicon (Si), manganese (Mn), phosphorus (P), sulfur (S), titanium (Ti), etc.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eries of operations to be removed by oxidation refining.

한편, 용선의 주원료인 철광석과 유연탄 등의 가격이 급등함에 따라 비교적 저가인 저품위의 원료를 이용하여 용선을 제조하고 있다. 저품위의 원료로 제조된 용선은 다량의 불순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이러한 용선을 이용하는 전로 정련 공정에서는 다량의 슬래그가 발생하게 된다. 특히, 용선 중 Si 농도가 매우 높은 경우에는 슬래그의 발생량이 많기 때문에 전로 정련 공정 중 슬래그가 부풀어 오르는 슬로핑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용선에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에서 슬래그가 용선 중으로 혼입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용선에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1차 취련 공정을 수행하고, 전로를 경동시켜 1차 취련 공정으로 발생한 슬래그의 일부를 제거한 후, 다시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2차 취련 공정을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the prices of iron ore and bituminous coal, which are the main raw materials for molten iron, have skyrocketed, molten iron is manufactured using relatively inexpensive and low-quality raw materials. Molten iron produced from low-quality raw materials contains a large amount of impure elements, and a large amount of slag is generated in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using such molten iron. In particular, when the Si concentration in the molten iron is very high, since the amount of slag is large,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sloping phenomenon in which the slag swells during the converter refining process occurs.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lag is mixed into the molten iron in the process of blowing the oxygen-containing gas into the molten iron. Accordingly, the primary blowing process of blowing oxygen-containing gas into the molten iron is performed, and after removing a part of the slag generated in the primary blowing process by tilting the converter, the secondary blowing process of blowing oxygen-containing gas again How to perform this is being used

그런데 슬래그를 제거하기 위해 전로를 경동시키면, 슬래그는 물론, 용선도 함께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이렇게 용선이 배출되면 용강의 생산량이 저하되고, 용강을 사용하는 후속 공정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However, when the converter is tilted to remove slag, slag as well as molten iron are discharged together. When the molten iron is discharged in this way, the production of molten steel is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smoothly proceed with the subsequent process using the molten steel.

KRKR 10-170132310-1701323 BB

본 발명은 용선의 손실을 억제하고, 용강의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정련 용기 및 용강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refining vessel and a molten steel manufacturing method capable of suppressing the loss of molten iron and improving the production of molten steel.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정련 용기는, 용융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와 측벽부를 가지는 용기 몸체; 상기 공간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제1노즐; 및 상기 바닥부 쪽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제2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A refin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ssel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a molten material is accommodated; a first nozzl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o blow gas into the space; and a second nozzle formed on the side wall to blow the gas toward the bottom.

상기 용융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출강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출강구와 마주보는 쪽에 형성될 수 있다.and a tap hole formed on the side wall to discharge the melt, and 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on a side facing the tap hole.

상기 용기 몸체는 경동 가능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기 몸체를 직립시켰을 때 상기 용융물과 미접촉하고, 상기 용기 몸체를 경동시켰을 때 상기 용융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container body may be tiltable, and 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lt when the container body is uprigh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melt when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기 몸체의 높이를 1이라 했을 때, 상기 용기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에서 0.5 이상의 높이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at a height of 0.5 or more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when the height of the container body is 1.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영역과, 상기 수직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중앙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경사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vertical region connected to the bottom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clined reg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region and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wherein the second nozzle is formed in the inclined region. can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수직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스를 분사하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to inject ga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region extends.

상기 제2노즐이 형성된 쪽으로 상기 용기 몸체를 90°경동시켰을 때,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융물의 탕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by 90° toward the second nozzle, 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to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lten water surface.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기 몸체의 높이 방향 및 둘레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 at least one of a height direction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출강구의 중심과 상기 용기 몸체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30°이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nozzle may be formed in an area of 30° or les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based on a horizontal lin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center of the outlet an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용강 제조 방법은, 정련 용기에 용선과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정련 용기를 경동시키는 과정; 상기 슬래그를 배출시키는 과정; 및 상기 용선 중에 가스를 취입하여, 상기 용선 중 일부를 상기 슬래그가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Molten st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 of providing molten iron and slag in a refining vessel; inclining the refining vessel; discharging the slag; and blowing a gas in the molten iron to move some of the molten ir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ag is discharged.

상기 용선과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은, 정련 용기에 용선을 장입하는 과정; 상기 용선에 첨가재를 투입하는 과정; 상기 용선의 상부에서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상기 정련 용기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용선 중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및 상기 용선에 함유되는 불순 원소를 상기 용선의 상부로 부상시켜 슬래그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ocess of preparing the molten iron and slag is a process of charging the molten iron in the refining vessel; The process of adding an additive to the molten iron; blowing an oxygen-containing gas from the top of the molten iron;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and forming slag by floating impurity elements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lten iron.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선과 접촉하는 정련 용기의 내면을 통해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process may include blowing ga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in contact with the molten iron.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선의 탕면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process may include blowing the gas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molten iron molten iron.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가스를 상기 용선의 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process may include blowing the ga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hot water surface of the molten iron.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선 중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용선에 함유되는 불순 물질을 부상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The moving process may include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to generate bubbles, and flotation of impur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슬래그와 인접한 상기 용선의 상층부에서는 상기 슬래그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용선을 이동시키고, 상기 정련 용기의 내면과 인접하는 상기 용선의 하층부에서는 상기 슬래그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용선을 이동시켜, 용선의 회전류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In the moving process, the molten iron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lag in the upper layer of the molten iron adjacent to the slag, and in the lower layer of the molten iron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the slag moves in the same direction It may include the process of moving the molten iron to form a rotational flow of the molten iron.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정련 용기를 직립시키는 과정; 상기 용선에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및 상기 정련 용기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용선 중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after the moving process, the process of erecting the refining vessel; blowing an oxygen-containing gas into the molten iron; and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슬래그 제거 시 용융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용융물의 손실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즉, 슬래그를 제거하는 과정에서 용융물 중으로 가스를 취입하여 용융물 중 일부를 슬래그가 배출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의 손실 없이 슬래그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용융물의 생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용융물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으므로, 용융물을 이용한 후속 공정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loss of the melt by controlling the flow of the melt during slag removal. That is, in the process of removing the slag, gas may be blown into the melt to move some of the melt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ag is discharged. Therefore, since only the slag can be selectively removed without loss of the melt, the production efficiency of the mel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melt can be sufficiently secured, the subsequent process using the melt can be stably perform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정련 용기의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제2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선A-A' 및 B-B'에 따른 정련 용기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제조 방법으로 슬래그를 제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in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ining vessel taken along the line A-A' shown in Fig. 1;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cond nozzle, an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efining vessel taken along lines AA' and B-B' shown in FIG. 1;
5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molten st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lag is remov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will be implemented in a variety of different forms, and only these embodiments allow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complet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ompletely It is provided to inform you.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선A-A'에 따른 정련 용기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ining vess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refining vessel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련 용기(100)는, 용융물(M)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X)와 측벽부(Y)를 포함하는 용기 몸체(110)와, 공간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바닥부(X)에 형성되는 제1노즐(116) 및 바닥부(X)쪽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측벽부(Y)에 형성되는 제2노즐(118)을 포함할 수 있다. 정련 용기(100)는 용선, 용강 등의 용융물을 처리하기 하기 위한 전로, 래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the refining vesse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ainer body including a bottom portion (X) and a side wall portion (Y)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melt (M) is accommodated (110), a first nozzle 116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X) to blow gas into the space, and a second nozzle 118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Y) to blow gas toward the bottom portion (X) may include The refining vessel 100 may include a converter, a ladle, etc. for processing molten iron, molten steel, and the like.

용기 몸체(110)는 고온의 용융물(M)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철피(110a)와, 철피(110a) 내측에 축조된 연와 등의 내화물(110b)을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X)와, 바닥부(X)의 가장자리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측벽부(Y)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몸체(110)의 상부에는 공간으로 용융물(M)을 장입하고,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기 위한 랜스(200)를 삽입하기 위한 노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용기 몸체(110)는 상부가 개방되고, 바닥부(X)와 측벽부(Y) 사이에 용융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110 may include a refractory material (110b) such as a steel shell (110a), and a soft wad built inside the shell shell (110a) to protect it from the high-temperature melt (M). The container body 110 has an open top, and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X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idewall portion Y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an edge of the bottom portion X. A furnace hole 112 for inserting a lance 200 for injecting the molten material M into the space and blowing oxygen-containing gas may be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 Accordingly, the container body 110 has an open top, and can form a space that can accommodate the melt between the bottom portion (X) and the side wall portion (Y).

용기 몸체(110)는 제1내경을 가지는 하부 몸체(Ⅰ)와, 하부 몸체(Ⅰ)의 상부에 형성되고, 제1내경보다 작은 제2내경을 가지는 상부 몸체(Ⅱ)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 몸체(Ⅰ)의 내부는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 몸체(Ⅱ)의 내부 일부는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부 몸체(Ⅰ)는 바닥부(X)와 측벽부(Y)의 일부를 포함하고, 상부 몸체(Ⅱ)는 측벽부(Y)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110 may include a lower body (I) having a first inner diameter, and an upper body (II)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body (I) and having a second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first inner diameter. The inner portion of the lower body (I) may be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cylindrical shape, and an inner portion of the upper body (II) may be formed to have a cone shape whose diameter decreases toward the upper portion. In this case, the lower body (I) may include a bottom portion (X) and a part of the side wall portion (Y), and the upper body (II) may include a portion of the side wall portion (Y).

측벽부(Y)는 바닥부(X)와 연결되고 하부 몸체(Ⅰ)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수직 영역(Y1)과, 제1수직 영역(Y1)과 연결되고 용기 몸체(110)의 중앙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 영역(Y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경사 영역(Y2)의 상부, 즉 노구(112)가 형성되는 용기 몸체(110)의 상부쪽에 제2내경보다 작은 제3내경을 갖는 제2수직 영역(Y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1수직 영역(Y1), 경사 영역(Y2) 및 제2수직 영역(Y3)은 측벽부(Y)의 내면을 기준으로 설명하는 것으로, 측벽부(Y)의 외면은 이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제2수직 영역(Y3)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측벽부(Y)의 외면은 경사면, 수평면 및 수직면이 공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수직 영역(Y1)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측벽부(Y)의 외면은 수직면 및 곡면이 공존할 수 있으며, 트러니언(120) 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변경될 수 있다. 여기에서 경사 영역(Y2)은 용기 몸체(110)를 일방향으로 90° 기울였을 때, 용융물(M)이 용기 몸체(110)에서 배출되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수직 영역(Y3)은 슬래그(S)의 배출 경로로 사용될 수 있다. The side wall portion (Y) is connected to the bottom portion (X) and is connected to a first vertical region (Y1)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from the lower body (I), and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and is connected to the container body (110). It may include an inclined region Y2 inclined toward the center. In addition, a second vertical region Y3 having a third inner diameter smaller than the second inner diameter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clined region Y2 , that is,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in which the furnace 112 is formed. Here,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the inclined region Y2, and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are described bas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Y,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Y has a different shape. can have For example, an inclined surface, a horizontal surface, and a vertical surface may coexist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Y in the portion where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is formed. And in the portion where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is formed, the outer surface of the side wall portion Y may have both a vertical surface and a curved surface, and may be changed to have various shapes to install structures such as the trunnion 120. . Here, the inclined region Y2 may serve to block the molten material M from being discharged from the container body 110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by 90° in one direction. And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may be used as a discharge path of the slag (S).

용기 몸체(110)에 장입되는 용융물(M), 예컨대 용선을 정련하여 용강(M', 도 5의 (e) 참조)을 제조한 다음, 용강(M')을 출강할 수 있도록 용기 몸체(110)에는 출강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출강구(114)는 상부 몸체(Ⅱ)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용기 몸체(110)를 관통하며,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출강구(114)는 상부 몸체(Ⅱ)에서 제1수직 영역(Y1)과 경사 영역(Y2)이 만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용융물(M)은 용기 몸체(110)를 기울여야 출강구(114)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용기 몸체(110)를 직립시킨 경우 출강구(114)는 용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용융물(M)의 탕면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The container body 110 so that the molten material M charg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for example, molten iron is refined to manufacture molten steel (M', see FIG. 5 (e)), and then the molten steel M' can be tapped. ) may be provided with a tap hole 114 . The tap hole 114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II), penetrate the container body 110 , and may be formed to protrude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 The tap hole 114 may be formed in a portion where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and the inclined region Y2 meet in the upper body II. Since the melt (M)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10 is discharged through the outlet 114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the tap 114 is the container body 110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erected. ) may be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height of the hot water surface of the melt (M) accommodated in it.

용기 몸체(110)의 외주면에는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키기 위한 트러니언(120)이 형성될 수 있다. 트러니언(120)은 용기 몸체(110)의 둘레방향으로 출강구(114)과 직교하는 방향에 각각 하나씩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러니언(120)은 하부 몸체(Ⅰ)에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몸체(110)는 트러니언(120)을 회전축으로 이용하여 경동될 수 있다. A trunnion 120 for tilting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 One trunnion 120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tap hole 114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 respectively. The trunnion 120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body (I). The container body 110 may be tilted using the trunnion 120 as a rotation axis.

용기 몸체(110)의 바닥부(X)에는 공간으로 가스를 취입하기 위한 제1노즐(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노즐(116)은 하부 몸체(Ⅰ)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복수개가 다양한 패턴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복수개의 제1노즐(116)은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격자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노즐(116)은 제1가스공급장치(130a)로부터 아르곤(Ar)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받아 용융물(M) 중으로 공급할 수 있다. 노구(112)가 상부를 향하도록 용기 몸체(110)를 직립시키는 경우, 제1노즐(116)은 용융물(M) 중으로 가스를 취입할 수 있도록 용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용융물(M)과 접촉할 수 있다. 반면,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노구(112)가 측부를 향하도록 용기 몸체(110)를 기울이는 경우, 제1노즐(116)은 용융물(M)과 접촉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다만, 복수 개의 제1노즐(116) 대부분은 용융물과 접촉하지 않은 상태가 될 수 있으나, 용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용융물(M)의 양이나, 제1노즐(116)의 형성 위치에 따라 일부는 용융물과 접촉할 수도 있다. 이는 용융물(M)을 정련하는 동안 용융물(M) 중으로 가스를 취입하여 용융물(M)을 교반시키고, 용융물(M) 중에 기포를 발생시켜 불순 원소를 부상시켜 슬래그(S)에 혼입시키기 위함이다. A first nozzle 116 for blowing gas into the space may be formed on the bottom portion X of the container body 110 . In this case, the first nozzle 116 is formed to penetrate the lower body I, and a plurality of nozzles 116 may be disposed to have various pattern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116 may be radially disposed or may be disposed in a grid shape. The first nozzle 116 may receive an inert gas such as argon (Ar) from the first gas supply device 130a and supply it into the melt (M). When the furnace body 112 is erect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110 faces the upper part, the first nozzle 116 is the melt M that is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10 so that gas can be blown into the melt M, and can be contact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vessel body 110 is tilted to tilt the vessel body 110 so that the furnace mouth 112 faces the side, the first nozzle 116 may be in a state tha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lt (M). However, most of the plurality of first nozzles 116 may be in a state not in contact with the melt, but depending on the amount of the melt M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10 or the formation position of the first nozzle 116 . Some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lt. This is to agitate the melt (M) by blowing gas into the melt (M) while refining the melt (M), and to generate bubbles in the melt (M) to float impurity elements an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slag (S).

또한, 용기 몸체(110)의 측벽부(Y)에는 공간으로 가스를 취입하기 위한 제2노즐(11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의 바닥부(X)를 향해 가스를 분사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노즐(118)은 하나 또는 복수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노즐(118)은 슬래그(S)를 제거하는 경우 제2가스공급장치(130b)로부터 아르곤(Ar) 등과 같은 불활성 가스를 공급받아 용융물(M) 중으로 가스를 공급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제1노즐(116)과 제2노즐(118)이 서로 다른 가스공급장치로부터 가스를 공급받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가스공급장치로부터 가스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In addition, a second nozzle 118 for blowing gas into the space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Y of the container body 110 . At this time,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to inject gas toward the bottom (X) of the container body (110).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in one or a plurality, and the second nozzle 118 is supplied with an inert gas such as argon (Ar) from the second gas supply device 130b when removing the slag (S). A gas can be supplied into the melt (M). Here,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first nozzle 116 and the second nozzle 118 receive gas from different gas supply devices, gas may be supplied from the same gas supply device.

제2노즐(118)은 상부 몸체(Ⅱ)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출강구(114)와 마주보는 쪽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노즐(118)은 노구(112)와 출강구(114)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출강구(114)보다 노구(112)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즉, 노구(112)가 상부를 향하도록 용기 몸체(110)를 직립시켰을 때, 제2노즐(118)은 노구(112)보다 낮고, 출강구(114)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슬래그(S)가 노구(112)를 통해 배출되기 때문에, 슬래그(S)를 배출시킬 때 노구(112)에 인접한 쪽에서 용융물(M)에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용융물(M)이 노구(112)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함이다. The second nozzle 118 is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body II, and may be formed on a side facing the tap hole 114 . In this case,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between the furnace mouth 112 and the tap hole 114 , and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closer to the furnace hole 112 than the tap hole 114 . That is, when the furnace body 112 is erected so that the container body 110 faces the upper part,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furnace opening 112 and higher than the tap opening 114 . This is because the slag (S) is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hole (112), when discharging the slag (S) by injecting a gas into the melt (M) from the side adjacent to the furnace hole (112) the melt (M) the furnace hole (112) This is in order to prevent emissions through

이와 같이 제2노즐(118)은 출강구(114)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용기 몸체(110)를 직립시킨 경우, 용기 몸체(110)에 수용되는 용융물(M)의 탕면 높이 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어 있어 용융물(M)과 접촉하지 않고,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기울였을 때, 용융물(M)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융물(M)을 정련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슬래그(S)를 제거하기 위해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기울이는 경우, 용융물(M) 중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용융물(M)의 흐름을 조절할 수 있고, 결과적으로는 용융물(M)의 손실 없이, 슬래그(S)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econd nozzle 118 is form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tap hole 114 ,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erected, it is formed at a higher level than the molten material M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10 . It does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melt (M), and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and tilted, it can be in contact with the melt (M).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and tilted to remove the slag (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fining the melt (M) through this, an inert gas is blown into the melt (M) to control the flow of the melt (M) And, as a result, without loss of the melt (M), it is possible to easily discharge the slag (S).

도 3 및 도 4는 제2노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선A-A' 및 B-B'에 따른 정련 용기의 단면도이다. 3 and 4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econd nozzle, and are cross-sectional views of the refining vessel taken along lines A-A' and B-B' shown in FIG. 1 .

도 3을 참조하면,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 중 상부 몸체(Ⅱ)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노즐(118)은 상부 몸체(Ⅱ)의 경사 영역(Y2)에 형성되어 하부 몸체(Ⅰ)의 바닥부(X)를 향해 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였을 때, 수평 방향, 예컨대 제1수직 영역(Y1)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이면, 용기 몸체(110) 내에서 용융물(M)의 깊이 또는 용융물(M)의 탕면 높이는 제1수직 영역(Y1)에서 용기 몸체(110)의 내면과 제3수직 영역(Y3)에서 용기 몸체(110)의 내면 사이의 거리(MH)(이하에서는 제1수직 영역(Y1)과 제2수직 영역(Y2) 사이의 거리라 함), 예컨대 제2수직 영역(Y3)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얕을 수 있다. 즉,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인 경우, 용기 몸체(110) 내에서 용융물(M)의 탕면은 용기 몸체(110)의 내부에서 제2수직 영역(Y2)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선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노즐(118)은 용융물(M)의 탕면보다 낮은 위치에서 가스를 분사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즉,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였을 때, 제2노즐(118)의 높이(NH)는 제1수직 영역(Y1)과 제2수직 영역(Y2) 사이의 거리(MH)보다 짧을 수 있고(MH>NH), 용융물(M)의 탕면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노즐(118)의 높이(NH)는 제1수직 영역(Y1)에서 용기 몸체(110)의 내면으로부터 제2노즐(118)의 중심까지의 거리를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 3 ,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in the upper body II of the container body 110 .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in the inclined region Y2 of the upper body II to inject gas toward the bottom portion X of the lower body I. In this case,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to inject gas in a horizontal direction, for example,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extends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by 90°.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to tilt 90°, the depth of the melt M in the container body 110 or the hot water surface height of the melt M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in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and The distance MH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in the third vertical region Y3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and the second vertical region Y2), for example,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It may be the same as or shallower than the height of the region Y3 . That is, when the vessel body 110 is tilted to tilt 90°, the molten material M in the vessel body 110 extends in the second vertical region Y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t may be formed at a position equal to or lower than the line.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apable of injecting gas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molten material M. That is,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by 90°, the height NH of the second nozzle 118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MH between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and the second vertical region Y2. It may be short (MH>NH), and may be lower than the molten water level height of the melt (M). Here, the height NH of the second nozzle 118 means a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to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118 in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

참고로, 용기 몸체(110)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노구(112)까지의 거리를 1이라 할 때, 용융물(M)은 약 0.2 내지 0.4정도 또는 0.3 정도 장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이면, 용융물(M)의 탕면은 제2수직 영역(Y3)과 동일하거나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용기 몸체(110)에 장입되는 용융물(M)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에서 다량의 슬래그(S)가 발생하여 용기 몸체(110)의 외부로 넘치는 슬래그 포밍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몸체(110)에 적절한 양의 용융물(M)을 장입하고,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것이 좋다. For reference, when the distance from the inner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110 to the furnace port 112 is 1, the melt (M) may be charged by about 0.2 to 0.4 or about 0.3. In this case, if the vessel body 110 is tilted to tilt 90°, the molten material M may be formed at the same or lower position as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At this time, if the amount of the melt (M) charged into the container body 110 is too large, a large amount of slag (S) is generated in the process of blowing in the oxygen-containing gas, so that the slag forming phenomenon overflows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can occur Therefore, it is good to charge an appropriate amount of the melt (M) to the container body 110, and blow the oxygen-containing gas.

제2노즐(118)은 슬래그(S)를 제거할 때 용융물(M)에 가스를 취입하여, 용융물(M) 중 일부를 슬래그(S)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용융물(M)은 용기 몸체(110)에 수용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2노즐(118)에서 가스를 취입하면, 일부는 가스가 취입되는 방향으로 이동 또는 유동하고, 일부는 가스가 취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 또는 유동하게 된다. 또한, 가스가 취입되는 방향을 따라 이동한 용융물(M)은 용기 몸체(110)의 바닥부(X)에 충돌한 후 이동 방향이 전환되어 이동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용기 몸체(110)에서는 가스 취입으로 인해 용융물(M)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The second nozzle 118 may blow a gas into the melt M when removing the slag S, and move some of the melt M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moving direction of the slag S. Since the melt (M) is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container body 110, when gas is blown from the second nozzle 118, some moves or fl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is blown, and some moves or flow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is blow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move or to flow. In addition, the melt (M) moving alo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gas is blown collides with the bottom part (X) of the container body 110 and then the movement direction is changed to mov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Accordingly, in the container body 110, the melt (M) forms a rotational flow in the horizontal direction due to the gas blowing.

이러한 용융물(M)의 흐름을 이용하여, 슬래그(S)가 배출될 때 용융물(M)이 노구(112)를 통해 유출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용융물(M)의 깊이 방향으로, 슬래그(S)와 접하는 용융물(M)의 상층부에서는 용융물(M)의 흐름을 슬래그(S)의 이동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형성하고, 용기 몸체(110)의 내면과 접하는 하층부에서는 용융물(M)의 흐름을 슬래그(S)가 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용융물(M)의 흐름을 형성하기 위해 제2노즐(118)은 용융물(M)의 깊이 중간으로부터 탕면 사이에 형성하는 것이 좋다. 즉,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였을 때, 용융물의 깊이의 1/2 이상의 높이에서 가스를 분사하도록 제2노즐(118)을 형성하여, 슬래그와 접하는 상층부에서는 슬래그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용융물을 이동시키고, 용기 몸체(110)의 내면과 접하는 하층부에서는 슬래그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용융물을 이동시키는 회전류를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였을 때, 제1수직 영역(Y1)과 제3수직 영역(Y3) 사이 거리(MH)의 중간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노즐(118)은 제1수직 영역(Y1)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스를 분사하도록 측벽부, 예컨대 경사 영역(Y2)에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는, 제2노즐(118)은 제1수직 영역(Y1)이 연장되는 방향과 5°정도의 각도로 가스를 분사하도록 측벽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By using the flow of the melt (M), it is possible to suppress or prevent the melt (M)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furnace hole (112) when the slag (S) is discharged. At this time, in the depth direction of the melt (M), in the upper layer of the melt (M) in contact with the slag (S), the flow of the melt (M) is form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lag (S), the container body (110) In the lower layer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molten material (M) can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ag (S) moves. In order to form the flow of the melt (M), the second nozzle 118 is preferably formed between the middle of the depth of the melt (M) and the molten water surface. That is,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to 90°, the second nozzle 118 is formed to spray gas at a height of at least 1/2 of the depth of the melt, and in the upper layer in contact with the slag,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lag and In the lower layer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to move the melt in the opposite direction, a rotational flow to move the melt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lag may be formed. Accordingly, the second nozzle 118 is formed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middle of the distance MH between the first vertical area Y1 and the third vertical area Y3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by 90°. can In this case, the second nozzle 118 is preferably formed in the sidewall portion, for example, the inclined region Y2, to inject ga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Alternatively,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on the side wall to inject the gas at an angle of about 5° with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vertical region Y1 extends.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의 둘레 방향 및 높이 방향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second nozzles 118 may be formed in at least one of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

도 4를 참조하면, 복수개의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의 둘레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제2노즐(118)이 출강구(114) 쪽을 향해 가스를 분사하는 구조로 도시되었으나, 이해를 위해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실제는 용기 몸체(110)의 바닥부(X) 쪽을 향해 가스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복수개의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였을 때, 용융물(M)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출강구(114)의 중심(J)에서 용기 몸체(110)의 중심(C)을 통과하는 수평선(Lh)을 기준으로 수평방향으로 30°이내의 범위에 제2노즐(118)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출강구(114)의 중심(J)은 용기 몸체(110)의 내면과 접하는 쪽에서 출강구(114)의 내경의 중심을 의미한다. 즉, 복수개의 제2노즐(118) 중 수평선(Lh)의 양쪽에서 최외곽에 배치되는 제2노즐(118)의 중심에서 출강구(114)의 중심(J)을 이은 선(P1, P2)이 이루는 각도(θ1, θ2)가 30°이내가 되도록, 제2노즐(118)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노즐(118)의 중심은 용기 몸체(110)의 내면과 접하는 쪽에서 제2노즐(118)의 내경의 중심을 의미한다. 이는 용융물(M)이 장입된 용기 몸체(110)를 경동시켜 90°기울인 경우, 제2노즐(118)이 용융물(M)과 충분하게 접촉할 수 있는 범위이다. 제2노즐(118)의 중심과 수평선(Lh)이 이루는 각도(θ1, θ2)가 30°를 초과하면, 제2노즐(118)을 통해 공급되는 가스가 슬래그(S)로 취입되거나, 슬래그(S) 상부의 빈 공간으로 취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제2노즐(118)을 통해 취입되는 가스에 의해 슬래그(S)가 용융물(M) 중으로 혼입되거나, 비산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118 may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 In FIG. 4 , the second nozzle 118 is shown as a structure for injecting gas toward the tap hole 114 , but it is conceptually illustrated for understanding, and is actually the bottom (X) side of the container body 110 . It is formed to inject gas toward the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118 may b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melt (M)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s tilted by 90°.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within 3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ased on the horizontal line Lh passing from the center (J) of the tap hole 114 to the center (C) of the container body 110 . have. Here, the center J of the tap hole 114 means the center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tap hole 114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 That is, a line (P1, P2) connecting the center (J) of the tap hole 114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118 disposed on the outermost side on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line Lh among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118 .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so that the angles θ1 and θ2 formed are within 30°. Here,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118 means the center of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nozzle 118 on the side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110 . This is a range in which the second nozzle 118 can sufficiently contact the melt M when the container body 110 in which the melt M is charged is tilted 90°. When the angles θ1 and θ2 between the center of the second nozzle 118 and the horizontal line Lh exceed 30°, the gas supplied through the second nozzle 118 is blown into the slag S, or the slag ( S) This is because it can be blown into the upper empty space. In this case, problems such as mixing or scattering of the slag (S) into the melt (M) by the gas blown through the second nozzle 118 may occur.

또한,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2노즐(118)은 용기 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2노즐(118)은 상부 몸체(Ⅱ)의 경사 영역(Y2)에서 서로 이격되어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지그재그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렇게 용기 몸체(110)의 높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제2노즐(118)을 형성하면, 용융물의 흐름을 가속시켜 용기 몸체(110) 내에서 회전류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second nozzle 118 may be formed in pluralit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118 may be arranged in a lin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inclined region Y2 of the upper body II, or may be arranged in a zigzag shape. When the plurality of second nozzles 118 are form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110 in this way, a rotational flow can be easily formed in the container body 110 by accelerating the flow of the mel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제조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용융물을 용선이라 한다. 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Here, the melt is referred to as molten iron.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제조 방법으로 슬래그를 제거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5 is a view sequentially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slag is removed b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용강 제조방법은, 정련 용기에 용선과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과, 정련 용기를 경동시키는 과정과, 슬래그를 배출시키는 과정과, 용선 중에 가스를 취입하여, 용선 중 일부를 슬래그가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The molten steel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cess of providing molten iron and slag in a refining vessel, a process of inclining the refining vessel, a process of discharging slag, and blowing a gas during the molten iron to remove some of the molten iron It may include a process of moving the sla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discharged.

도 5의 (a)를 참조하면, 정련 용기(100)에 용선(M)을 장입할 수 있다. 고로(미도시)에서 출선된 용선(M)은 장입 래들(310)에 수용된 후, 용선 예비 처리 등의 과정을 거친 후, 정련 용기(100)의 노구(112)를 통해 장입될 수 있다. 용선(M) 장입 시, 노구(112)가 장입 래들(310)쪽을 향하도록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킬 수 있으며, 이 경우 출강구(114)의 반대쪽, 즉 제2노즐(118)이 형성된 쪽을 장입 래들(310)쪽으로 경동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a) of Figure 5, it is possible to charge the molten iron (M) in the refining vessel (100). Molten iron (M) drawn from the blast furnace (not shown) may be charged through the furnace port 112 of the refining vessel 100 after being accommodated in the charging ladle 310, undergoing a process such as molten iron preliminary treatment. When the molten iron (M) is charged, the refining vessel 100 may be tilted so that the furnace port 112 faces the charging ladle 310, and in this case, the opposite side of the tap hole 114, that is, the second nozzle 118 is The formed side can be tilted toward the charging ladle 310 .

정련 용기(100)에 용선(M)을 장입하기 이전에, 용강의 성분을 조정하기 위한 석회석 등과 같은 부원료가 정련 용기(100) 내에 미리 장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용선(M)이 정련 용기(100)로 장입될 때 형성된 용선류에 의해 용선(M)과 부원료가 잘 혼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정련 용기(100)에 용선(M)을 장입하기 이전에, 예열된 스크랩 등과 같은 고체 철원이 미리 장입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비교적 저가의 고체 철원을 이용함으로써 용선(M)의 사용량을 저감시키고, 정련 용기(100)에 용선(M)을 장입한 이후 고체 철원을 장입하는 것에 의해 용선(M)의 온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Before the molten iron (M) is charged in the refining vessel 100, auxiliary materials such as limestone for adjusting the components of the molten steel may be previously charged in the refining vessel 100. This is to ensure that the molten iron (M) and the auxiliary material are well mixed by the molten iron flow formed when the molten iron (M) is charged into the refining vessel (100). In addition, before charging the molten iron (M) in the refining vessel 100, a solid iron source such as preheated scrap may be charged in advance. This reduces the amount of molten iron (M) used by using a relatively inexpensive solid iron source, and by charging the solid iron source after charging the molten iron (M) in the refining vessel 100, the temperature of the molten iron (M) is lowered. is to prevent

도 5의 (b)를 참조하면, 정련 용기(100)에 용선(M)을 장입한 이후,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켜 노구(112)가 상부를 향하도록 직립시킬 수 있다. 그리고 노구(112)를 통해 랜스(200)를 정련 용기(100) 내부로 삽입하고,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1차 취련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1노즐(116)을 통해 용선(M) 중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용선(M)을 교반할 수 있다. 이에 용선(M)에 함유되는 탄소(C), 인(P) 등의 불순 원소가 제거되면서 용선(M) 상부에 슬래그(S)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노즐(116)에서 취입되는 불활성 가스는 용선(M)을 교반하며, 용선(M)에 기포를 발생시키고, 미처 부상하지 못한 불순 원소들이 기포와 함께 부상하여 슬래그(S)로 유입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5 (b), after the molten iron (M) is charged in the refining vessel 100, by tilting the refining vessel 100 can be erected so that the furnace port 112 is directed upward. And inserting the lance 200 into the refining vessel 100 through the furnace hole 112, it is possible to perform a primary blowing process of blowing oxygen-containing gas. In addition, the molten iron (M) may be stirred by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M) through the first nozzle (116). Accordingly, while impurity elements such as carbon (C) and phosphorus (P)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M) are removed, slag (S) may be formed on the molten iron (M). And the inert gas blown from the first nozzle 116 stirs the molten iron (M), generates bubbles in the molten iron (M), and impure elements that have not yet floated float together with the bubbles and flow into the slag (S). can

이러한 1차 취련 과정은 용선(M)에 취입할 산소 함유 가스의 목표량이 100인 경우, 10 내지 30정도의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할 수 있다. In this primary blowing process, when the target amount of the oxygen-containing gas to be blown into the molten iron M is 100, about 10 to 30 oxygen-containing gas can be blown.

1차 취련이 완료되면, 랜스(200)를 통해 공급되는 산소 함유 가스와, 제1노즐(116)을 통해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를 차단하고, 랜스(200)를 상승시켜 정련 용기(100)로부터 인출시킬 수 있다. When the primary blowing is completed, the oxygen-containing gas supplied through the lance 200 and the inert gas supplied through the first nozzle 116 are cut off, and the lance 200 is raised to withdraw from the refining vessel 100 . can do it

도 5의 (c)를 참조하면, 1차 취련으로 생성된 슬래그(S)의 일부를 제거하기 위해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켜 기울일 수 있다. 이때, 용선(M) 상부에 있는 슬래그(S)만 배출시키기 때문에, 용선(M)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강구(114)가 형성된 반대쪽, 즉 제2노즐(118)이 형성된 쪽으로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킬 수 있다. 슬래그(S)는 노구(112)를 통해 배출되며, 이에 노구(112)가 측부를 향하도록 정련 용기(100)는 90°까지 경동시킬 수 있다.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키기 이전에, 정련 용기(100)의 하부에 슬래그(S)를 수용할 수 있는 슬래그 포트(400)를 배치할 수 있다. 정련 용기(100)가 경동되면, 슬래그(S)는 노구(112)쪽으로 이동하여 노구(112)를 통해 슬래그 포트(400)로 배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5 (c), in order to remove a portion of the slag (S) generated by the primary blow may be tilted by tilting the refining vessel 100. At this time, since only the slag (S) in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iron (M) is discharged, in order to prevent the molten iron (M) from flowing out, the opposite side where the tap hole 114 is formed, that is, the second nozzle 118 is formed. The container 100 may be tilted. The slag (S) is discharged through the furnace 112, the furnace 112 to the side so that the refining vessel 100 can be tilted up to 90 °. Before the refining vessel 100 is tilted, a slag port 400 capable of accommodating the slag S may be dispos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refining vessel 100 . When the refining vessel 100 is tilted, the slag (S) may be discharged to the slag port 400 through the furnace port 112 by moving toward the furnace 112.

한편,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켜 90°로 기울이면, 용선(M)의 탕면은 노구(112)에 인접한 제2수직 영역(Y3)과 유사하거나 낮은 위치에 배치되고, 슬래그(S)는 용선(M) 상부에 부유한 상태로 제2수직 영역(Y3)과 유사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슬래그(S)는 노구(112)를 형성하는 제2수직 영역(Y3)과 유사하거나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아도 범람을 통해 정련 용기(100)에서 자연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그런데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킬 때 유동하는 힘에 의해 용선(M)이 슬래그(S)와 함께 정련 용기(10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노즐(118)을 통해 용선(M)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용선(M)을 슬래그(S)가 이동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흐름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용선(M)과 슬래그(S)의 계면, 즉 용선(M)의 탕면보다 낮은 위치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할 수 있으며, 정련 용기(100)의 바닥부(X) 쪽을 향해 불활성 가스를 취입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refining vessel 100 is tilted and tilted to 90°, the molten iron M is disposed at a position similar to or lower than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adjacent to the furnace 112, and the slag (S) is It may be disposed in a position similar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in a state of being floating on the molten iron (M). At this time, the slag (S) is disposed at a position similar to or higher than the second vertical region (Y3) forming the furnace hole 112, so that it is naturally discharged from the refining vessel 100 through overflow without applying a physical force. can However, when the refining vessel 100 is tilted, the molten iron M may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ining vessel 100 together with the slag S by the flowing force. Therefore, by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M) through the second nozzle (118), the molten iron (M) can form a flow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ag (S) moves. At this time, the inert gas can be blown at the interface between the molten iron (M) and the slag (S), that is, at a position lower than the molten iron (M), and the inert gas is directed toward the bottom (X) of the refining vessel 100. can be taken in

도 6을 참조하여 정련 용기(100) 내에서 슬래그(S)와 용선(M)의 흐름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노즐(118)을 통해 용선(M)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면, 용선(M) 중 일부, 예컨대 슬래그(S)와 인접한 상층부에서는 불활성 가스가 취입되는 방향으로 용선(M)이 이동하게 된다. 이때, 슬래그(S)는 노구(112)쪽으로 이동하고, 용선(M)의 상층부는 정련 용기(100)의 바닥부(X)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정련 용기(100)의 바닥부(X)쪽으로 이동한 용선(M)은 정련 용기(100)의 노바닥에 충돌한 후 방향이 전환되어 하층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하층부에서 용선(M)은 측벽부(Y)의 내면을 따라 노구(112)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흐름에 의해 용선(M)은 정련 용기(100)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정련 용기(100) 내에서 회전류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련 용기(100)에서 용선(M)의 회전류를 형성함으로써 용선(M)의 유출을 억제하면서, 슬래그(S)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용선(M) 상부에 있는 슬래그(S)는 최대한 배출시키는 것이 좋다. Looking at the flow of the slag (S) and the molten iron (M) in the refining vessel 100 with reference to FIG. 6 is as follows. When an inert gas is blown into the molten iron M through the second nozzle 118, some of the molten iron M, for example, in the upper layer adjacent to the slag S, the molten iron M mov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ert gas is blown. . At this time, the slag (S) moves toward the furnace 112, and the upper layer of the molten iron (M) is moved toward the bottom (X) of the refining vessel (100). And the molten iron (M) moved toward the bottom (X) of the refining vessel 100 is changed direction after colliding with the furnace bottom of the refining vessel 100 is to form a lower layer. At this time, the molten iron (M) in the lower layer is moved toward the furnace 112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side wall (Y). By this flow, the molten iron M is not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refining vessel 100, but forms a rotational flow in the refining vessel 100. Thus, by forming the rotational flow of the molten iron (M) in the refining vessel 100, while suppressing the outflow of the molten iron (M), it is possible to discharge the slag (S). At this time, it is good to discharge the slag (S) in the upper part of the molten iron (M) as much as possible.

또한, 제2노즐(118)을 통해 용선(M)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면, 용선(M) 중에 기포가 발생하여 용선(M)에서 미처 부상하지 못한 불순 원소가 기포와 함께 부상하여 슬래그(S)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S)를 제거하는 동안 용선(M) 중에 함유되는 불순 원소를 추가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inert gas is blown into the molten iron M through the second nozzle 118, bubbles are generated in the molten iron M, and impurity elements that have not yet floated in the molten iron M float together with the bubbles to form slag (S). ) can be introduc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additionally remove the impurity element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M) while removing the slag (S).

도 5의 (d)를 참조하면, 슬래그(S)를 제거한 다음, 제2노즐(118)로 공급되는 불활성 가스를 차단시키고,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켜 노구(112)가 상부로 배치되도록 직립시킬 수 있다. 이후, 랜스(200)를 노구(112)를 통해 정련 용기(100)의 내부로 삽입하고, 랜스(200)를 통해 목표하는 양의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2차 취련 과정을 수행하여 용강(M')을 제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 (d), after removing the slag (S), the inert gas supplied to the second nozzle 118 is blocked, and the refining vessel 100 is tilted so that the furnace hole 112 is disposed at the top. can be erected. Thereafter, the lance 20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refining vessel 100 through the furnace opening 112, and a secondary blowing process of blowing a target amount of oxygen-containing gas through the lance 200 is performed to perform a molten steel (M) ') can be produced.

이후, 도 5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200)를 상승시켜 정련 용기(100)에서 인출하고, 정련 용기(100)의 하부에 수강 래들(320)를 배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출강구(114)가 형성된 쪽으로 정련 용기(100)를 경동시켜 기울이면서, 출강구(114)를 통해 용강을 배출시켜 수강 래들(320)에 장입할 수 있다. Thereafter, as shown in (e) of FIG. 5 , the lance 200 may be raised to withdraw from the refining vessel 100 , and the receiving ladle 320 may be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refining vessel 100 . And while tilting and tilting the refining vessel 100 toward the tap-hole 114 is formed, the molten steel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tap-hole 114 to be charged into the receiving ladle 320 .

그리고 정련 용기(100)에 잔류하는 슬래그(S)는 다음 취련 과정에서 재사용하거나, 슬래그 포트로 배출시킬 수 있다. And the slag (S) remaining in the refining vessel 100 may be reused in the next blowing process or discharged to the slag port.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pecifically described according to the above embodiment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bove embodiments are for description and not limitation.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정련 용기 110: 용기 몸체
112: 노구 114: 출강구
116: 제1노즐 118: 제2노즐
120: 트러니언 130a: 제1가스공급장치
130b: 제2가스공급장치 200: 랜스
310: 장입 래들 320: 수강 래들
400: 슬래그 포트
100: refining vessel 110: vessel body
112: nogu 114: exit
116: first nozzle 118: second nozzle
120: trunnion 130a: first gas supply device
130b: second gas supply device 200: lance
310: charging ladle 320: receiving ladle
400: slag port

Claims (17)

용융물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바닥부 및 측벽부와, 상기 용융물을 배출시키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된 출강구를 가지는 용기 몸체;
상기 공간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상기 바닥부에 형성되는 제1노즐; 및
상기 바닥부 쪽으로 가스를 취입하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제2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출강구와 마주보는 쪽에 형성되는 정련 용기.
a container body having a bottom portion and a side wall portion forming a space in which the melt is accommodated, and an outlet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to discharge the melt;
a first nozzle formed in the bottom portion to blow gas into the space; and
and a second nozzle formed on the side wall to blow the gas toward the bottom.
The second nozzle is a refining vessel formed on a side facing the tap hol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용기 몸체는 경동 가능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기 몸체를 직립시켰을 때 상기 용융물과 미접촉하고, 상기 용기 몸체를 경동시켰을 때 상기 용융물과 접촉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정련 용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ainer body is tiltable,
The second nozzle is not in contact with the melt when the container body is upright, and is formed in a position in contact with the melt when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기 몸체의 높이를 1이라 했을 때, 상기 용기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저면에서 0.5 이상의 높이에 형성되는 정련 용기.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second nozzle is
When the height of the container body is 1, the refining container is formed at a height of 0.5 or more from the bottom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ontainer body.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측벽부는 상기 바닥부와 연결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 영역과, 상기 수직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용기 몸체의 중앙을 향해 기울어지는 경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노즐은 상기 경사 영역에 형성되는 정련 용기.
4. The method of claim 1 or 3,
The side wall portion includes a vertical region connected to the bottom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inclined region connected to the vertical region and inclined toward the center of the container body,
The second nozzle is a refining vessel formed in the inclined reg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수직 영역이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가스를 분사하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정련 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nozzle is a refining vessel formed on the side wall portion to inject gas in a direction parallel to a direction in which the vertical region extend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이 형성된 쪽으로 상기 용기 몸체를 90°경동시켰을 때,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융물의 탕면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상기 측벽부에 형성되는 정련 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n the container body is tilted 90° toward the side where the second nozzle is formed,
The second nozzle is a refining vessel formed in the side wall portion so as to be disposed at a lower position than the molten materia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용기 몸체의 높이 방향 및 둘레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는 정련 용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econd nozzle is a refining vessel formed in plurality in at least one of a height direction and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essel body.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노즐은, 상기 출강구의 중심과 상기 용기 몸체의 중심을 수평방향으로 연장한 수평선을 기준으로, 상기 용기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30°이하의 영역에 형성되는 정련 용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second nozzle is a refining vessel formed in an area of 30° or less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vessel body with respect to a horizontal line extend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between the center of the outlet and the center of the vessel body.
정련 용기에 용선과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정련 용기를 경동시키는 과정;
상기 슬래그를 배출시키는 과정; 및
상기 용선 중에 가스를 취입하여, 상기 용선 중 일부를 상기 슬래그가 배출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선과 접촉하는 정련 용기의 내면을 통해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제조 방법.
the process of preparing molten iron and slag in the refining vessel;
inclining the refining vessel;
discharging the slag; and
The process of blowing a gas in the molten iron and moving some of the molten iron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lag is discharged;
The moving process is
and blowing gas through the inner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in contact with the molten ir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용선과 슬래그를 마련하는 과정은,
정련 용기에 용선을 장입하는 과정;
상기 용선에 첨가재를 투입하는 과정;
상기 용선의 상부에서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상기 정련 용기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용선 중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및
상기 용선에 함유되는 불순 원소를 상기 용선의 상부로 부상시켜 슬래그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molten iron and slag,
The process of charging the molten iron into the refining vessel;
The process of adding an additive to the molten iron;
blowing an oxygen-containing gas from the top of the molten iron;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and
The process of forming slag by floating impurity elements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to an upper portion of the molten iron.
삭제delete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선의 탕면보다 낮은 위치에 상기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ving process is
Molten steel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blowing the gas to a lower position than the molten iron molten ir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가스를 상기 용선의 탕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ving process is
and blowing the gas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molten iron.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용선 중에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여 기포를 발생시켜, 상기 용선에 함유되는 불순 물질을 부상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제조 방법.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moving process is
and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to generate bubbles to float impure substances contained in the molten iron.
청구항 10, 11, 13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은,
상기 슬래그와 인접한 상기 용선의 상층부에서는 상기 슬래그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용선을 이동시키고, 상기 정련 용기의 내면과 인접하는 상기 용선의 하층부에서는 상기 슬래그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용선을 이동시켜, 용선의 회전류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제조 방법.
1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0, 11, 13 to 15,
The moving process is
In the upper layer of the molten iron adjacent to the slag, the molten iron is mov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lag, an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molten iron adjacent to the inner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the molten iron is mov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slag, A method for manufacturing molten steel comprising the process of forming a rotational flow of molten iron.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이동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정련 용기를 직립시키는 과정;
상기 용선에 산소 함유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 및
상기 정련 용기의 바닥면을 통해 상기 용선 중으로 불활성 가스를 취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용강 제조 방법.
17. The method of claim 16,
After the moving process,
erecting the refining vessel;
blowing an oxygen-containing gas into the molten iron; and
The process of blowing an inert gas into the molten iron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refining vessel; molten steel manufacturing method comprising a.
KR1020200177613A 2020-12-17 2020-12-17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KR10241140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13A KR102411409B1 (en) 2020-12-17 2020-12-17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7613A KR102411409B1 (en) 2020-12-17 2020-12-17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409B1 true KR102411409B1 (en) 2022-06-22

Family

ID=8221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7613A KR102411409B1 (en) 2020-12-17 2020-12-17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40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323B1 (en) 2014-11-20 2017-02-02 주식회사 포스코 Convertor and the refining method of molten steel using it
KR20190069088A (en)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eating molten metal And Method for slag skimm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323B1 (en) 2014-11-20 2017-02-02 주식회사 포스코 Convertor and the refining method of molten steel using it
KR20190069088A (en) * 2017-12-11 2019-06-19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treating molten metal And Method for slag skimm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960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metal and metal alloy
KR102411409B1 (en) Converter and manufacturing method of molten steel
CN104848682A (en) Smelting furnace of molten bath
TWI652350B (en) Melting iron desulfurization method and desulfurization device
JP5855477B2 (en) Hot metal refining method
KR102083534B1 (en) Apparatus for treating molten metal And Method for slag skimming
JP200616908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lag, and lance
JPH11199019A (en) Turning chute for putting in auxiliary material
US4052197A (en) Process for making steel from pig iron
JP2006219695A (en) Desulfurizing treatment method for molten iron
JP6888477B2 (en) Top bottom blown converter type refining equipment and hot metal refining method
KR101366298B1 (en) Apparatus for refining molten steel
KR20220144626A (en) Sleeve for discharge
KR102090215B1 (en) Processing apparatus for molten metal
KR102135760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irring molten material
KR101000652B1 (en) Continuous Refining Method at Blast Furnace Cast Floor and Equipment for blast furnace cast floor
JP5085094B2 (en) Continuous refining method of blast furnace cast floor
CN111801431A (en) Smelting device for steel production
JP4172304B2 (en) Method for refining molten metal
JP2018003132A (en) Refining method of molten iron
JP6327304B2 (en) Shutter door of converter refining furnace and method of operating converter refining furnace
KR20140028469A (en) Molten steel processing apparatus and the method thereof
KR20220144625A (en) Apparatus for collecting byproduct and method for collecting byproduct
JP3806385B2 (en) Cold iron source melting method with excellent heat receiving efficiency
JP2020117773A (en) Converter l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