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129B1 - Webbing for tarp - Google Patents

Webbing for tar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129B1
KR102411129B1 KR1020220045184A KR20220045184A KR102411129B1 KR 102411129 B1 KR102411129 B1 KR 102411129B1 KR 1020220045184 A KR1020220045184 A KR 1020220045184A KR 20220045184 A KR20220045184 A KR 20220045184A KR 102411129 B1 KR102411129 B1 KR 102411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slit
stopper
groove
tar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승일
Original Assignee
이승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8221675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11129(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일 filed Critical 이승일
Priority to KR1020220045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129B1/en
Priority to KR1020220071947A priority patent/KR1026496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1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4Tent or canopy cover faste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58Closures; Awnings; Sunsha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고, 표면에는 재귀반사지가 설치되는 웨빙과, 상기 웨빙이 양 단부에 근접하여 통과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타프용 웨빙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bbing for tarp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the webbing having a retroreflector installed on the surface thereof, and a stopper having a slit through which the webbing can pass close to both ends thereof.

Description

타프용 웨빙{Webbing for tarp}Webbing for tarp

본 발명은 타프용 웨빙에 관한 것으로, 타프나 텐트 등에 사용되는 웨빙의 연결 및 고정이 용이하면서 시인성이 확보되어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타프용 웨빙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webbing for tarp, and relates to webbing for tarp that can be safely and conveniently used because it is easy to connect and fix the webbing used for tarps or tents, and to secure visibility.

일반적으로 타프는 테프런(tarpaulin)의 약자로 방수천을 의미하는 것이며, 주 기능은 비와 습기 등을 차단하는 방수 기능과 햇빛을 차단하여 하부로 열기가 전달되는 것을 막는 차광 기능을 갖는다.In general, tarp is an abbreviation of Teflon (tarpaulin) and means waterproof fabric, and its main function is to block rain and moisture, etc.

이러한 타프는 지면에 직립 설치된 폴대와 결합하여 지면에서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며, 형태에 따라 사각형 형태의 렉타타프(rectangle tarp)와 육각형 형태의 헥사타프(hexagon tarp)로 구분될 수 있는데, 헥사타프는 렉타타프보다 바람에 강하고 설치된 형태의 미관이 우수하나 제공되는 실용 공간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소수인원이 사용하는데 적합하며, 렉타타프는 설치된 형태의 미관은 비록 헥사타프에 비해 투박하고 가격이 헥사타프에 비해 비싼 단점은 있으나 제공되는 실용공간의 크기가 크기 때문에 대규모 인원이나 넓고 쾌적한 환경을 원하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주로 사용된다.Such a tarp is combined with a pole installed upright on the ground and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ground, depending on the shape, it can be divided into a rectangular tarp and a hexagonal tarp. Hexataph is stronger in wind than rectataph and has better aesthetics in the installed form, but it is suitable for use by a small number of people because the size of the practical space provided is small. Although it has the disadvantage of being expensive compared to the hexa tarp, it is mainly used among a large number of people or users who want a spacious and comfortable environment because the size of the provided practical space is large.

더불어 텐트(tent)나 타프(tarp)는 야외에서 야영을 할 때 눈이나 비를 막고 햇볕을 가리기 위해 설치되는 가림막으로서, 이들 텐트와 타프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면서 일정한 틀을 형성하기 위하여 폴대와 웨빙 또는 스트링을 사용하게 된다.In addition, a tent or tarp is a screen installed to prevent snow or rain and to block sunlight when camping outdoors. Webbing or string will be used.

즉 텐트 또는 타프의 가장자리 또는 폴대와 지면의 고정팩을 웨빙이나 스트링으로 연결하고, 스토퍼에 의해 장력을 조절 및 고정하게 된다.That is, the edge of the tent or tarp or the pole and the fixed pack on the ground are connected with webbing or string, and the tension is adjusted and fixed by the stopper.

특히 타프나 대형 텐트에는 스트링에 비하여 강한 장력과 시인성을 갖는 납작하고 좁은 폭의 띠형 단면을 갖는 웨빙을 주로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웨빙의 길이 조절과 고정을 위해 도면에서와 같은 연속적인 걸이홈이 형성된 조절구에 웨빙을 통과시켜서 사용하였는데, 웨빙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각 조절구를 들어올리면서 웨빙을 빼고 끼우는 조작이 매우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In particular, for tarps or large tents, webbing having a flat and narrow band-shaped cross section with strong tension and visibility compared to strings is mainly used. It was used by passing the webbing through the formed adjuster, but 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of the webbing, there was a problem in that it was very inconvenient to remove and insert the webbing while lifting each adjuster.

또한 야간에는 텐트나 타프 주변으로 설치된 웨빙이 눈에 잘 보이지 않아서 걸려서 넘어지거나 텐트나 타프의 설치가 훼손되는 경우가 빈번하였다.Also, at night, the webbing installed around the tent or tarp was not easily visible, so there were frequent cases of tripping or damage to the tent or tarp installation.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종래에는 시인성을 확보하기 위한 별도의 물품들을 웨빙이나 스트링에 설치하는 등의 번거로운 조치를 취하기도 하였으나, 오히려 미관을 해치거나 분실의 우려가 있어서 보다 심플하고 간편하게 확보할 수 있는 시인성이 요구되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ast, cumbersome measures were taken, such as installing separate articles on webbing or strings to secure visibility, but there is a risk of damage or loss, so visibility that can be secured more simply and conveniently this was requested

특허문헌1 :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423001호(등록일: 2014.07.17)Patent Docum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423001 (Registration Date: 2014.07.17)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물품을 부착하지 않고서도 야간에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는 타프용 웨빙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bing for tarp that can be safely used by securing sufficient visibility at night without attaching a separate articl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다른 목적으로, 납작한 띠형 단면의 웨빙을 사용함에 있어서 간편하게 길이의 조절과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된 스토퍼를 포함하는 타프용 웨빙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ebbing for tarp including a stopper that can be easily adjusted and fixed in length when using a webbing having a flat band-shaped cross-section.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타프용 웨빙에 있어서, 일정 폭과, 일정 길이를 갖고, 표면에는 재귀반사지가 설치되는 웨빙; 상기 웨빙이 양 단부에 근접하여 통과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스토퍼;를 포함한다.In the webbing for tar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the webbing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retroreflective paper is installed on the surface; and a stopper having a slit through which the webbing can pass close to both ends.

상기 웨빙은, 상기 재귀반사지가 설치되도록 상기 웨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세로로 홈이 형성되는 재귀반사지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webbing may include a retroreflector groove in which a longitudinal groove i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bing so that the retroreflector is installed.

상기 재귀반사지홈에는 상기 재귀반사지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The retroreflector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etroreflector groove, and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상기 웨빙은, 상기 재귀반사지홈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에 삽입된 웨빙을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조절할 때 웨빙의 표면이 스토퍼의 슬릿 내에서 절곡되면서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슬릿에 걸려져 웨빙을 고정시키는 슬릿홈과, 상기 슬릿홈과 슬릿홈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릿홈과 돌출부는 상기 웨빙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교차 나열되며, 상기 돌출부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일면에 상기 슬릿홈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의 타면과 상기 돌출부가 접촉 시, 상기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재귀반사지가 상기 스토퍼의 슬릿에 접촉될 수 있다.In the webbing, grooves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retroreflective groove at regular intervals,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 webbing inserted into the stopper is adjusted loosely or taut, the surface of the webbing is bent in the slit of the stopper and horizontally A slit groove formed in the direction of the slit is caught in the slit to fix the webbing, and a protrusion positioned between the slit groove and the slit groove, wherein the slit groove and the protrusion intersect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bing. The protrusion is formed to protrude, and when the other surface of the slit and the protrusio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lit in a state in which the slit groove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lit, the retroreflective paper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is placed on the slit of the stopper. can be contacted.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웨빙이 상기 슬릿에 고정 시, 상기 재귀반사지가 상기 슬릿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릿 일측에 상기 재귀반사지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대응홈을 포함할 수 있다.The stopper may include a corresponding groove in whic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etroreflective pap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t to prevent the retroreflective paper from contacting the slit when the webbing is fixed to the slit.

상기 스토퍼는, 표면에, 야간에서도 위치 확인이 가능한 발광부가 장착될 수 있다.The stopper, on the surface, may be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unit that can be positioned even at night.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폭을 가지는 띠형 단면의 웨빙에 재귀반사지를 길이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야간에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securing sufficient visibility at night by attaching the retroreflective paper to the webbing of a band-shaped cross-section having a certain wid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ensure safe use.

또한, 판 형태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스토퍼의 양 단부에 근접하여 웨빙이 통과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웨빙의 길이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having a plate-shaped stopper and forming a rectangular slit through which the webbing can pass in proximity to both ends of the stopper has the effect of enabling the length adjustment and fixing of the webbing by simple manipulation of the stopper.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용 웨빙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타프용 웨빙에서 웨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다른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타프용 웨빙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webbing for tar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ure 1;
Figure 3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ure 1;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 1 .
5 is a view showing the webbing in the tarp webbing of FIG. 1 .
Figure 6 is a view showing another angle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ure 1.
7 is a view showing a stopper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 1 .
8 is a view showing a stopper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 7 .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each figure, like reference numerals have been used for like element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it is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ertain elem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other element does not exist in the middl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at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exists,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preclude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in each figure indicate like element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well-known functions or configurations are omitted so as not to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타프용 웨빙(10)은, 웨빙(100)과, 스토퍼(200)로 구성된다.The webbing 10 for tar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ebbing 100 and a stopper 200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프용 웨빙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타프용 웨빙에서 웨빙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다른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타프용 웨빙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의 타프용 웨빙의 스토퍼를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webbing for tar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 1, and FIG.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 1 4 is a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webbing for tarps of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the webbing from the webbing for tarps of FIG. 1,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angle of the webbing for tarps of FIG. 7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of the webbing for tarp of FIG. 1, and FIG. 8 is a view showing the stopper of the webbing for the tarp of FIG.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웨빙(100)은, 납작한 끈 형태로, 소정의 폭과, 소정의 길이를 갖고, 타프(300) 또는 폴대(310)에 연결하여 지면의 팩(320)에 고정된다.1 to 8 , the webbing 100 is in the form of a flat string, has a predetermined width and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connected to a tarp 300 or a pole 310 to the pack 320 on the ground. is fixed

그리고 웨빙(100)은 길이 전체에 걸쳐 길이 방향으로 웨빙(100) 표면에 재귀반사지(110)가 설치된다.And the webbing 100 is a retroreflective sheet 110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webbing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ver the entire length.

여기서 재귀반사지(110)는 웨빙(100)의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Here, the retroreflective sheet 110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ebbing 100 .

또한 웨빙(100)은 재귀반사지(110)가 설치되도록 웨빙(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되는 재귀반사지홈(1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bbing 100 may include a retroreflective groove 120 in which a groove i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bing 100 so that the retroreflective material 110 is installed.

여기서 웨빙(100)의 길이 방향은 도 2를 참조하여 도시된 웨빙(100)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을 뜻할 수 있다.He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bing 100 may refer to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webbing 100 illustrated with reference to FIG. 2 .

또한 도 2를 참조하여, 재귀반사지홈(120)은 웨빙(100)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Also referring to FIG. 2 , the retroreflective groove 120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webbing 100 .

또한 재귀반사지홈(120)은 웨빙(100)의 양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roreflective groove 120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ebbing 100 .

즉 웨빙(100)은 양면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That is, both sides of the webbing 100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이때 재귀반사지홈(120)에는 재귀반사지(11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되, 소정의 높이로 돌출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etroreflective paper groove 120 , and may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이때 재귀반사지(110)의 소정의 높이는 재귀반사지홈(120)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고, 재귀반사지홈(120)보다 낮을 수 있다.In this case, the predetermined height of the retroreflective sheet 110 may be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retroreflective sheet groove 120 , and may be lower than the retroreflective sheet groove 120 .

또한 재귀반사지(110)는 재귀반사지홈(120)에서 다양한 모양으로 설치될 수 있는데, 이는 점선 형태나, 연속된 도형, 연결된 띠 형상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may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in the retroreflective paper groove 120 , which may be selected as a dotted line shape, a continuous figure, a connected band shape, or the like.

또한 다양한 모양으로 설치가 가능한 재귀반사지(110)는 재귀반사지홈(120)에 접착 또는 봉제에 의한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that can be installed in various shapes may be attached to the retroreflective paper groove 120 by bonding or sewing.

더불어 도시되지 않았지만, 재귀반사지홈(120)에 추가홀(미도시)이 형성되고, 웨빙(100)의 일면에는 재귀반사지(110)가 압정모양으로 형성되며, 웨빙(100)의 타측에는 재귀반사지(110)가 압정모양 중 뾰족한 부분과 결합될 수 있는 압정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되어, 각각의 재귀반사지(110)가 추가홀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an additional hole (not shown) is formed in the retroreflective groove 120 ,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is formed in a tack shape on one surface of the webbing 100 , and the retroreflective paper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webbing 100 . A tack coupling groove (not shown) capable of being coupled to a pointed portion of the shape of a thumbtack 110 is formed, so that each retroreflective paper 110 can be coupled through an additional hole.

또한 웨빙(100)은 슬릿홈(130)과,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bbing 100 may include a slit groove 130 and a protrusion 140 .

여기서 슬릿홈(130)은 재귀반사지홈(120)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어, 스토퍼(200)에서 웨빙(100) 또는 웨빙(100)에서 스토퍼(200)를 조작 시, 재귀반사지(110)가 스토퍼(200)에 형성된 슬릿(210)에 걸려져 웨빙을 고정시킬 수 있다.Here, in the slit groove 130, groove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retroreflective groove 120 as the center, and the stopper 200 from the stopper 200 to the webbing 100 or the webbing 100 to the stopper 200. During operation,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may be caught on the slit 210 formed in the stopper 200 to fix the webbing.

여기서 스토퍼(200)에서 웨빙(100) 또는 웨빙(100)에서 스토퍼(200)의 조작은, 스토퍼(200)에 삽입된 웨빙(100)을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조절할 때 웨빙(100)의 표면이 스토퍼(200)의 슬릿(210)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슬릿홈(130)이 걸려져 웨빙(100)이 스토퍼(200)에 고정되는 상태를 뜻한다.Here, when the stopper 200 to the webbing 100 or the webbing 100 to the stopper 200 is adjusted to loosen or taut the webbing 100 inserted into the stopper 200, the surface of the webbing 100 becomes the stopper. It means a state in which the slit groove 130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caught in the slit 210 of 200 and the webbing 100 is fixed to the stopper 200 .

이는, 스토퍼(200)와의 접촉시 재귀반사지(11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is can prevent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from being damaged when in contact with the stopper 200 .

돌출부(140)는 슬릿홈(130)과 슬릿홈(13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The protrusion 14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lit groove 130 and the slit groove 130 .

즉, 슬릿홈(130)과 돌출부(140)는 웨빙(100)의 소정 길이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순서대로 교차 나열될 수 있다.That is, the slit grooves 130 and the protrusions 140 may be arranged in order to cross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length of the webbing 100 .

또한 돌출부(140)는 슬릿홈(130)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 슬릿(210)의 일면에 슬릿홈(130)이 고정된 상태에서 슬릿의 타면과 돌출부(140)가 접촉 시, 돌출부(140)와 돌출부(140) 사이에 형성된 재귀반사지(100)가 스토퍼(200)의 슬릿(21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140 is formed to protrude more than the slit groove 130, and when the slit groove 130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lit 21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lit contacts the protrusion 140, the protrusion 140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troreflective paper 100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s 140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lit 210 of the stopper 200 .

여기서 돌출부(140)와 돌출부(140) 사이는 재귀반사지홈(120)을 중심으로 각각 양측에 위치한 돌출부(140)와 돌출부(140) 사이를 뜻한다.Here, between the protrusion 140 and the protrusion 140 means between the protrusions 140 and the protrusions 14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troreflective groove 120 as the center.

여기서 슬릿(210)의 일면은 슬릿(210) 내측 둘레면을 뜻하고, 슬릿(210)의 타면은 슬릿(210) 외측면을 뜻할 수 있다.Here, one surface of the slit 210 may refer to an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lit 210 ,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slit 210 may refer to an outer surface of the slit 210 .

즉, 도 2를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스토퍼(200)의 슬릿(210)에 웨빙(100)이 통과될 때 스토퍼(200)가 소정 각도로 기울기가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o explain with reference to FIG. 2 , when the webbing 100 passes through the slit 210 of the stopper 200, the stopper 200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이로 인해 슬릿(210)에 끼워진 웨빙(100)이 스토퍼(200)의 소정 각도의 기울기에 대응되게 구부러질 수 있다. 될 수 있다.As a result, the webbing 100 fitted into the slit 210 may be bent to correspond to the inclination of the stopper 200 at a predetermined angle. can be

그리고 슬릿(210) 내측 둘레면에 슬릿홈(130)이 안착되고, 슬릿(210)의 외측면에 돌출부(140)가 접촉되어 슬릿(210)에 안착된 슬릿홈(130)에 의해 웨빙(100)이 고정될 수 있다.And the slit groove 130 is seat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lit 210, the protrusion 140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slit 210, and the webbing 100 by the slit groove 130 seated on the slit 210 ) can be fixed.

더욱 자세한 설명은 하기 스토퍼(200) 설명 시 기재하도록 한다.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when the stopper 200 is described below.

스토퍼(200)는, 양 단부에 근접하여 웨빙(100)이 끼워질 수 있는 슬릿(210)이 형성된다.The stopper 200 is formed with a slit 210 into which the webbing 100 can be fitted adjacent to both ends.

또한 슬릿(210)에 웨빙(100)이 끼워질 때, 재귀반사지홈(120)을 가로질러 끼워질 수 있다.Also, when the webbing 100 is fitted into the slit 210 , it may be fitted across the retroreflective groove 120 .

또한 슬릿(210)은 웨빙(1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좁은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Also, the slit 210 may have a narrow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webbing 100 can be fitted thereinto.

이러한 스토퍼(200)는 양 단부에 각각 슬릿(210)이 형성되어, 웨빙(100)이 양 단부 중 일단부 슬릿(210)에 끼워져 타단부 슬릿(210)으로 통과될 수 있다.다만 도시되지 않았지만, 웨빙(100)은 스토퍼(200)의 일단부에 슬릿(210)에 통과될 수 있고, 타단부 슬릿(210)에는 웨빙(100)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The stopper 200 has slits 210 formed at both ends, respectively, so that the webbing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slit 210 at one end of both ends and pass through the slit 210 at the other end. , the webbing 100 may pass through the slit 210 at one end of the stopper 200 , and the webbing 100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lit 210 at the other end.

즉 웨빙(100)은 스토퍼(200)의 일단부의 슬릿(210)에서만 조작이 가능할 수도 있고, 양 단부의 슬릿(210)에서 조작이 가능할 수 있다.That is, the webbing 100 may be operated only from the slit 210 at one end of the stopper 200 , or may be operated from the slit 210 at both ends.

따라서 웨빙(100)의 일단부가 스토퍼(200)의 일단부 슬릿(210)에 끼워진 후 웨빙(100)의 단부를 매듭지어 슬릿(210)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고정하고, 웨빙(100)의 타측은 지면의 팩(320)을 경유하여 스토퍼(200)의 다른 쪽 슬릿(210)으로 끼워진 후 타프(300)나 폴대(310)에 연결된다.Therefore, after one end of the webbing 100 is fitted into the slit 210 of one end of the stopper 200, the end of the webbing 100 is knotted to fix it so as not to come out from the slit 210, and the other side of the webbing 100 is on the ground After being inserted into the other slit 210 of the stopper 200 via the pack 320 of the tarp 300 or connected to the pole 310.

이렇게 연결된 상태에서 웨빙(100)과 스토퍼(200)를 그대로 두면, 도 2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웨빙(100)의 두 겹과 스토퍼(200)가 평행을 이루려 하면서 슬릿(210) 내에서 웨빙(100)이 꺽여진 상태에 의해 스토퍼(200)와 웨빙(10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If the webbing 100 and the stopper 200 are left as they are in this connected state, as shown in FIGS. 2 to 4, the webbing ( 100) by the bent state, the stopper 200 and the webbing 100 are maintained in a fixed state.

이때 스토퍼(200)를 웨빙(100)에 대하여 직각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웨빙(100)은 슬릿(210) 내에서 쉽게 통과할 수 있는 각도로 형성되고, 이 상태에서 스토퍼(200)를 양 방향으로 이동하여 웨빙(100)을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조절하게 되며, 조절된 상태에서 그대로 두면 다시 웨빙(100)이 슬릿(210)에 꺽여진 상태로 되면서 고정된다.At this time, if the stopper 200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webbing 100, the webbing 100 is formed at an angle that can easily pass through the slit 210, and in this state, the stopper 200 is rotated in both directions. It moves to adjust the webbing 100 to be loosely or taut, and if left in the adjusted state, the webbing 100 is again fixed while being bent in the slit 210 .

즉, 웨빙(100)의 표면이 스토퍼(200)의 슬릿(210) 내에서 절곡되면서 마찰력의 증가로 고정되는 것이며, 스토퍼(200)의 각도를 조작하여 고정 또는 조절 상태로 만들게 된다.That is, the surface of the webbing 100 is bent in the slit 210 of the stopper 200 and fixed by an increase in frictional force, and the angle of the stopper 200 is manipulated to make it fixed or adjusted.

이렇게 설치된 웨빙(100)에는 재귀반사지(110)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야간에 길게 형성된 빛을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어서 안전한 통행이 이루어질 수 있다.Since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is coupled to the webbing 100 install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easily check the light formed long at night with the naked eye, so that safe passage can be made.

또한 재귀반사지(110)는 웨빙(100)에 설치되어 스토퍼(200)와의 많은 마찰에도 쉽게 표면이 훼손되지 않으므로 장시간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is installed on the webbing 100 and the surface is not easily damaged even by a lot of friction with the stopper 200, i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또한 스토퍼(200)는 스토퍼(200)의 중앙 부분이 절곡되어 있을 수 있다. 이렇게 절곡된 형태를 지닌 스토퍼(200)는 양단부에 형성된 슬릿(210)을 통과하는 웨빙(100)의 절곡 각도를 달리하여 더욱 안정적인 고정 상태를 유도할 수 있으면서, 절곡된 형태의 스토퍼(200)를 조작하기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200 may have a central portion of the stopper 200 bent. The stopper 200 having a bent shape in this way can induce a more stable fixing state by varying the bending angle of the webbing 100 passing through the slits 210 formed at both ends, and the stopper 200 in the bent shape It may be easy to manipulate.

또한 스토퍼(200)는 금속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일 뿐, 플라스틱, 고무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Also, the stopper 200 may be formed of a metal plate. However, this is only an example, and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plastic and rubber.

더불어 스토퍼(200)는 웨빙(100)이 스토퍼(200)에 고정 시, 재귀반사지(110)가 스토퍼(200)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200) 일측에 재귀반사지(110)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대응홈(22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200 corresponds to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on one side of the stopper 200 to prevent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from contacting the stopper 200 when the webbing 100 is fixed to the stopper 200 . It may include a corresponding groove 220 in which the groove is formed.

즉 대응홈(220)은 양 단부에 형성된 슬릿(210)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corresponding groove 220 may be formed in the slits 210 formed at both ends.

또한 대응홈(220)은 양 단부에 형성된 슬릿(210)에 형성되되, 웨빙(100) 양면에 설치된 재귀반사지가(110)와 대응되도록 슬릿(210)을 중심으로, 슬릿(210)의 상, 하 방향으로 각각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groove 220 is formed in the slit 210 formed at both ends, and the slit 210 is centered on the slit 210 so that the retroreflective paper 11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webbing 100 corresponds to the top of the slit 210, They can be respectively installed in the downward direction.

또한 스토퍼(200)는 야간에 웨빙(100)의 각도, 길이 등을 조절하기 위해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하도록 발광부(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pper 200 may be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part (not shown) so that it can be visually confirmed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length, etc. of the webbing 100 at night.

이때 발광부는 스티커와 같이 탈부착이 가능한 발광지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part may be a light emitting paper that is detachable like a sticker.

또한 발광부는 조명이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조명은 건전지로 사용이 가능한 조명이고, 발광부에서 테잎 등으로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equipped with lighting. In this case, the light is a light that can be used with batteries, and may be mounted with a tape or the like in the light emitting unit.

또한 발광부에는 후레쉬(flash)가 장착이 가능한 후레쉬 장착부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ight emitting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lash mounting unit to which a flash can be mounted.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타프용 웨빙을 통해 일정 폭을 가지는 띠형 단면의 웨빙에 재귀반사지를 길이 방향으로 부착함으로써 야간에 충분한 시인성을 확보하여 안전한 사용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by attaching the retroreflective paper to the webbing of a band-shaped cross-section having a certain width through the webbing for tar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ufficient visibility at night can be secured and safe use can be achieved.

또한, 판 형태의 스토퍼를 구비하고, 스토퍼의 양 단부에 근접하여 웨빙이 통과할 수 있는 직사각형의 슬릿을 형성함으로써 스토퍼의 간편한 조작에 의해 웨빙의 길이조절 및 고정이 가능하다.In addition, by providing a plate-shaped stopper and forming a rectangular slit through which the webbing can pass in proximity to both ends of the stopper, the length of the webbing can be adjusted and fixed by simple manipulation of the stopper.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Best embodiments have been disclosed in the drawings and specification. Here, although specific terms have been used, they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used to limit the meaning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Therefor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 : 타프용 웨빙
100 : 웨빙
110 : 재귀반사지
120 : 재귀반사지홈
130 : 슬릿홈
140 : 돌출부
200 : 스토퍼
210 : 슬릿
220 : 대응홈
300 : 타프
310 : 폴대
320 : 팩
10: webbing for tarp
100: webbing
110: retroreflection paper
120: retroreflection home
130: slit groove
140: protrusion
200: stopper
210: slit
220: response home
300: tarp
310: pole
320 : pack

Claims (5)

표면에는 재귀반사지가 설치되는 웨빙; 및
상기 웨빙이 양 단부에 근접하여 통과될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는 스토퍼; 를 포함하고,
상기 웨빙은,
상기 재귀반사지가 설치되도록 상기 웨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면에 홈이 형성되는 재귀반사지홈을 포함하고,
상기 재귀반사지홈에는 상기 재귀반사지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고, 상기 재귀반사지는 소정의 높이로 돌출되며,
상기 웨빙은,
상기 재귀반사지홈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일정간격으로 가로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슬릿에 가로 방향으로 형성된 홈이 끼워져 상기 웨빙을 고정시키는 슬릿홈과,
상기 슬릿홈과 슬릿홈 사이에 위치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슬릿홈과 돌출부는 상기 웨빙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일정간격으로 교차 나열되며,
상기 돌출부는,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슬릿의 일면에 상기 슬릿홈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의 타면과 상기 돌출부가 접촉 시, 상기 돌출부와 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재귀반사지가 상기 스토퍼의 슬릿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타프용 웨빙.
Webbing on which a retroreflector is installed on the surface; and
a stopper having a slit through which the webbing can pass close to both ends; including,
The webbing is
and a retroreflector groove in which grooves are form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bing so that the retroreflector is installed,
The retroreflectors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retroreflector groove, and the retroreflectors protrude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webbing is
a slit groove in which grooves are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regular intervals on both sides of the retroreflective groove as a center, and the groove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re inserted into the slit to fix the webbing;
Comprising a protrusion positioned between the slit groove and the slit groove,
The slit groove and the protrusion are arranged crosswise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ebbing,
The protrusion is
It is formed to protrude, and when the other surface of the slit and the protrusio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lit in a state in which the slit groove is fixed to one surface of the slit, the retroreflector form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protrusion prevents contact with the slit of the stopper Webbing for in tarp.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4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웨빙이 상기 슬릿에 고정되었을 때, 상기 재귀반사지가 상기 슬릿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슬릿 일측에 상기 재귀반사지와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대응홈을 포함하는 타프용 웨빙.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opper is
When the webbing is fixed to the slit, in order to prevent the retroreflective paper from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slit, a webbing for tarp including a corresponding groove in which a groove corresponding to the retroreflective paper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slit.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Claim 5 was abandoned when paying the registration fe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표면에, 야간에서도 위치 확인이 가능한 발광부가 장착되는 것인 타프용 웨빙.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stopper is
Webbing for tarp that is equipped with a light emitting part that can be positioned even at night on the surface.




KR1020220045184A 2022-04-12 2022-04-12 Webbing for tarp KR102411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84A KR102411129B1 (en) 2022-04-12 2022-04-12 Webbing for tarp
KR1020220071947A KR102649639B1 (en) 2022-04-12 2022-06-14 Webbing with retroreflectors install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184A KR102411129B1 (en) 2022-04-12 2022-04-12 Webbing for tarp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947A Division KR102649639B1 (en) 2022-04-12 2022-06-14 Webbing with retroreflectors installe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1129B1 true KR102411129B1 (en) 2022-06-22

Family

ID=8221675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184A KR102411129B1 (en) 2022-04-12 2022-04-12 Webbing for tarp
KR1020220071947A KR102649639B1 (en) 2022-04-12 2022-06-14 Webbing with retroreflectors installed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1947A KR102649639B1 (en) 2022-04-12 2022-06-14 Webbing with retroreflectors install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41112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001B1 (en) 2013-06-24 2014-07-28 서정우 Pole connect webbing
KR20210081829A (en) * 2019-12-24 2021-07-02 이승일 Tarp Webb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3001B1 (en) 2013-06-24 2014-07-28 서정우 Pole connect webbing
KR20210081829A (en) * 2019-12-24 2021-07-02 이승일 Tarp Webb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49639B1 (en) 2024-03-19
KR20230146422A (en) 2023-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063018A1 (en) Retractable Barrier Assembly
US7503336B2 (en) Umbrella featuring a vertically deployable sun shade
US5615699A (en) Base bracket for tents and poles
US5592783A (en) Gutter guard
US3525290A (en) Manhole tent
US20150211591A1 (en) Pool spring cover
NZ516323A (en) Tie down device and method of use
KR102411129B1 (en) Webbing for tarp
US6749250B1 (en) Tailgate cover
ES2690419T3 (en) Procedure and fixing element to install a sun visor on a glazed part
JP2016125275A (en) tent
EP0588748A1 (en) Device for attaching a flexible and elastic sheet, stretched between two supports, to form a ceiling
CA2108357A1 (en) Tensionable window covering
US20160326766A1 (en) Magnetic fence covering
KR102118922B1 (en) Shade apparatus for vehicles
US20070227569A1 (en) Umbrella
KR20210081829A (en) Tarp Webbing
US20190156711A1 (en) Display sign and method of disposing same
US9076353B1 (en) Flag protection assembly with flag extending device
KR200471065Y1 (en) Length adjusting tarp
GB2455887A (en) Roof ridge protective cover
US7537191B2 (en) Mounting device
KR101451175B1 (en) Vehicle cutoff
JP4474394B2 (en) Bird protection equipment
KR20030029298A (en) Multi-cover apparatus for a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3408;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21209

Effective date: 2023042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2100002473;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220901

Effective date: 2023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