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860B1 -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860B1
KR102409860B1 KR1020210174838A KR20210174838A KR102409860B1 KR 102409860 B1 KR102409860 B1 KR 102409860B1 KR 1020210174838 A KR1020210174838 A KR 1020210174838A KR 20210174838 A KR20210174838 A KR 20210174838A KR 102409860 B1 KR102409860 B1 KR 1024098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yment
photo printing
selfie
type
kio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해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오씨
Priority to KR102021017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8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8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860B1/ko
Priority to PCT/KR2022/019605 priority patent/WO202310675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involving a neutral party, e.g. certification authority, notary or trusted third party [TT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4Credit schemes, i.e. "pay af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7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 G06Q20/3276Short range or proximity payments by means of M-devices using a pictured code, e.g. barcode or QR-code, being read by the M-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4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cards, e.g. integrated circuit [IC] cards or magnetic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2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insuring higher security of transaction
    • G06Q20/3821Electronic credentials
    • G06Q20/38215Use of certificates or encrypted proofs of transaction righ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6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using messaging services or messaging ap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26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printing, stamping, franking, typing or teleprinting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종래 키오스크형 무인인화장치가 키오스크에서 주문 후 화면의 안내의 따라 카드 입력(IC카드, 마그네틱카드), 또는 모바일 페이 링크에 따라 결제를 진행시, 기기와의 불필요한 접촉과, 선행 주문자로 인한 주문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과, 사진인화주문시 시스템의 잦은 오류와, 어렵고 복잡한 결제방식으로 인해, 사용자 혼자서는 처리가 힘들어, 항상 상주하는 전문 인력을 투입시켜야 하는 문제점, 그리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온라인 인증 결제시 매번 민감한 개인정보 및 결제정보를 입력, 통신해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성을 개선하고자,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100),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200),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300)로 구성됨으로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화면에 생성된 QR코드에다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QR코드 스캔을 할 수 있어, 기존의 NFC 접근보다,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 및 정확도가 뛰어나고, 반응속도도 빨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사진인화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가 평상시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켜, 사진인화를 주문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를 수시로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수익율을 기존에 비해, 1.5배~2배 높일 수가 있으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QR코드 스캔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를 통해, 기기와의 불필요한 접촉과 주문 대기 시간없이, 3초~60초의 시간내에, 사진인화주문과, 결제와 사진인화를 원샷으로 완료시킬 수 있고,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사이, 또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에 관한 정보 및 신호를 암호화/복호화 진행시킬 수 있고, 이상거래를 자동탐지할 수 있어, 결제시에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 노출되는 카드정보를 최소화시키고, 이상거래를 사전에 차단시키며, 사용자 인증, 거래내역의 기밀성, 무결성, 부인방지 등의 국내외 인증평가의 보안기준을 준수하여 결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Hybrid photo printing kiosk type offline easy payment device and method consisting of QR code scanning and selpic-type web mediation control}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원샷으로 사진인화시키도록, QR코드 스캔과 결제선택, 결제하기 버튼만으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완료시킬 수 있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키오스크를 바탕으로 한 무인인화장치는 길거리에 설치하여 유료사진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매장에 설치하여 손님들의 소소한 재미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키오스크형 무인인화장치는 단순 사진인화서비스로만 활용되어, 키오스크를 통한 광고수익 및 저작권수익을 창출함과 동시에 사용자에게도 만족스러운 광고효과를 이룰 수 있는 서비스가 없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에 저장된 사진을 현장에서 다이렉트로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없어, 점점 키오스크형 무인인화시장이 위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 특허출원 제10-2020-0120323호에서 무료 및 유료를 선택하여 사용자 단말기에 내장되어 있는 사진을 출력할 수 있고, 유료로 선택한 경우, 사용자에게 광고를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 출력기반의 수익형 APC 스마트 시스템"을 제시한 바 있으나, 이는 키오스크에서 주문 후 화면의 안내의 따라 카드 입력(IC카드, 마그네틱카드), 또는 모바일 페이 링크에 따라 결제를 진행시, 기기와의 불필요한 접촉과, 선행 주문자로 인한 주문 대기 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또한, 키오스크형 무인인화장치를 사용시, 사진인화주문시 시스템의 잦은 오류와, 어렵고 복잡한 결제방식으로 인해, 사용자 혼자서는 처리가 힘들어, 항상 상주하는 전문 인력을 투입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한 온라인 인증 결제시 매번 민감한 개인정보 및 결제정보를 입력, 통신해야 하는 불편함과 위험성이 있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2177729호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화면에 생성된 QR코드에다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QR코드 스캔을 할 수 있어, 기존의 NFC 접근보다,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 및 정확도가 뛰어나고, 반응속도도 빨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사진인화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가 평상시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켜, 사진인화를 주문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를 수시로 노출시킬 수 있으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사이, 또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에 관한 정보 및 신호를 암호화/복호화 진행시킬 수 있고, 이상거래를 자동탐지할 수 있어, 결제시에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 노출되는 카드정보를 최소화시키고, 이상거래를 사전에 차단시키며, 사용자 인증, 거래내역의 기밀성, 무결성, 부인방지 등의 국내외 인증평가의 보안기준을 준수하여 결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원샷으로 사진인화시키도록, QR코드 스캔과 결제선택, 결제하기 버튼만으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완료시키도록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상기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는
보다 구체적으로,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로 이루어져, 셀프사진인화서비스를 하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고, 현재 QR코드 스캔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전송시킨 후,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상에 자동안내되는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버튼을 통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와의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완료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100)과,
직립구조로 이루어지고, 화면상에 평상시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키다가, QR코드스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결제선택이 되면, 카드삽입과 카드결제를 안내시키는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활성화시킨 후,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결제상태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키는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2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그리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과 웹(Web)망으로 연결되어 사진인화주문과 결제에 관해 중개역할을 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앱형태로 활성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모듈의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를 수신받아 저장시키고, 특정 위치에 위치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식별ID, 결제상태를 수신받아,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송시키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300)이 포함되어 구성됨으로서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방법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이 특정 위치의 식별ID가 설정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를 웹(Web)망으로 연결시키는 단계(S100)와,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다운로드받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식별ID,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DB화하여 저장시키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기준으로 VAN망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와 연결시키는 단계(S2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하였다는 QR코드스캔신호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단계(S3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사진 중 사진인화시키고자 하는 사진을 불러와서, 사진인화를 요청하는 단계(S4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사이에서, 결제인증신호, 결제승인요청신호, 결제확인신호를 거치는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S500)와,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결제상태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달시키는 단계(S600)와,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서는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키는 단계(S700)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첫째,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화면에 생성된 QR코드에다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QR코드 스캔을 할 수 있어, 기존의 NFC 접근보다, 원하는 정보에 대한 접근성 및 정확도가 뛰어나고, 반응속도도 빨라, 보다 쉽고 편리하게 사용자가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사진인화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을 활성화시킬 수가 있다.
둘째,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가 평상시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켜, 사진인화를 주문하는 사용자로 하여금 광고를 수시로 노출시킬 수 있어, 광고수익율을 기존에 비해, 1.5배~2배 높일 수가 있다.
셋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QR코드 스캔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를 통해, 기기와의 불필요한 접촉과 주문 대기 시간없이, 3초~60초의 시간내에, 사진인화주문과, 결제와 사진인화를 원샷으로 완료시킬 수 있다.
넷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사이, 또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에 관한 정보 및 신호를 암호화/복호화 진행시킬 수 있고, 이상거래를 자동탐지할 수 있어, 결제시에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 노출되는 카드정보를 최소화시키고, 이상거래를 사전에 차단시키며, 사용자 인증, 거래내역의 기밀성, 무결성, 부인방지 등의 국내외 인증평가의 보안기준을 준수하여 결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을 사진인화 뿐만 아니라, 식당이나 영화관, 은행, 관광서 등에 응용되어 무(無)키오스크환경에서도 주문시, 바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분위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로 형성된 것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스캔 액티비티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웹통신네트워크 매니저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웹중개형 암·복호화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결제·주문 관리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SM(Hardware Security Module)제어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상거래탐지부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이 특정 위치의 식별ID가 설정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를 웹(Web)망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다운로드받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식별ID,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DB화하여 저장시키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기준으로 VAN망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와 연결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하였다는 QR코드스캔신호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사진 중 사진인화시키고자 하는 사진을 불러와서, 사진인화를 요청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사진인화 주문한 결제PIN, 식별ID, 상품명이 포함된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이 에스오씨 서버의 웹 관리자인페이스 상에 표출시키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주문상태를 리포트한 주문상태 어플리케이션이 결제·주문 관리제어부로 전달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결제인증이 되었다는 결제인증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결제인증신호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로 전달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사이에,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과 결제상태 어플리케이션이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결제확인신호를 받으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서는 카드삽입을 안내시키는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로 카드가 삽입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화면상에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와 함께,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결제상태를 보내고,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결제상태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달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楮뭇?,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서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키는 것을 도시한 일실시예도.
먼저,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셀픽형에서 셀픽은 사용자가 사진을 인화시키는 의미의 Sel f print Pic ture에서 " Sel" 과 " Pic "이 합성되어 조합된 용어로서, "사용자가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사진인화시키는 것"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이지(Easy)는 "쉽다"는 뜻으로, 기존의 계좌번호, 카드번호를 입력하는 간편결제, 스피드결제를 넘어서, QR코드 스캔과 결제선택, 결제하기 버튼만으로 쉽게 결제되는 것을 말한다.
즉,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는 오프라인 매장에서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QR코드 스캔과 결제선택, 결제하기 버튼만으로 결제하는 것을 말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첨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블럭도에 관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1)의 구성요소를 도시한 구성도에 관한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원샷으로 사진인화시키도록, QR코드 스캔과 결제선택, 결제하기 버튼만으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완료시키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1)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100),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200),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300)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100)은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로 이루어져, 셀프사진인화서비스를 하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고, 현재 QR코드 스캔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전송시킨 후,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상에 자동안내되는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버튼을 통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와의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완료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부(110), QR코드스캔 액티비티부(120),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서비스제어부(130),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부(140),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콘텐츠 제어부(150), 셀픽형 사진 인화 이지(Easy) 결제 제어부(160), 암호화·복호화 라이브러리부(170), 웹통신네트워크 매니저부(18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부(1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부(110)는 스마트디바이스의 화면상에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프레그멘트(Fragments)부(111),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 라이프 사이클부(112),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구성변환부(113),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결과값수신부(114),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상태저장부(115),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권한설정부(116),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프로세스라이프사이클부(117)로 구성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프레그멘트(Fragments)부(111)는 한 화면에 다양한 인터페이스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확장 및 구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 라이프 사이클부(112)는 액티비티의 동작 상태에 따라 전체(Entire), 가시성(Visible), 이전 수명(Foreground Lifetime)으로 구분하여 사이클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구성변환부(113)는 액티비티의 환경 변화에 따라 변경시키고, 런타임 변경시 온디스트로이(onDestroy)호출과, 액티비티를 다시 시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결과값수신부(114)는 액티비티가 끝나면, 그 결과값을 반환하거나, 또는 그 결과값을 받아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상태저장부(115)는 액티비티의 동작상태, 액티비티 결과값을 저장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권한설정부(116)는 특정활동에 대한 액세스 권한 부여를 설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프로세스라이프사이클부(117)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의 메모리 부족시 오랜된 프로세스를 설정값에 따라 자동으로 제거하고,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조절시키는 역할을 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스캔 액티비티부(1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QR코드스캔 액티비티부(120)는 스마트디바이스의 화면상에 QR코드스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QR코드 매니저부(121), QRDEF 메세지부(122), QR코드 JIN 라이브러리부(123)로 구성된다.
상기 QR코드 매니저부(121)는 소켓으로부터 메세지를 받는 Recv 커맨드와, 소켓으로 메세지를 보내는 Send 커맨드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QRDEF 메세지부(122)는 QR코드로부터 수신된 QRDEF 메세지를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QRDEF(QR코드 Data Exchange Format)는 QR코드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한 포맷으로서, 사용자 스마트 디바이스가 QR코드 스캔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올 때, 이 포맷을 사용한다.
상기 QR코드 JIN 라이브러리부(123)는 네이티브(native) 명령으로 드라이버에게 Recv/Send 커맨드 전달 및 Recv된 데이터를 수신시키는 역할을 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서비스제어부(1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서비스제어부(130)는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서비스에 바인딩하여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면서, 프로세스간 통신을 수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시작과 바인드 형식을 가진다.
그리고, 사용자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중 QR코드스캔화면에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화면으로 전환하더라도 백그라운드에서 계속해서 실행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부(1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부(140)는 스마트디바이스의 시스템 이벤트가 발생시 알림의 브로드 캐스트 메시지를 화면상에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스마트디바이스의 시스템 이벤트는 기기의 충전 알림, 전원오프 알림 등의 이벤트를 말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부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않고, 시스템 앱과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브로드 캐스트 메시지를 송수신시키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매니페스트(manifest)엔 선언된 수신자 및 컨텍스트에 등록된 수신자를 통해 브로드캐스트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콘텐츠 제어부(1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콘텐츠 제어부(150)는 스마트디바이스에 저장한 사진인화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관리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또 다른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사진인화 콘텐츠를 공유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하나의 프로세스의 사진인화 콘텐츠에 다른 프로세스에서 실행 중인 코드를 연결하는 표준인터페이스로 구성된다.
또한, 스마트 디바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의 사진인화 콘텐츠에 안전하게 액세스하여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사진인화 콘텐츠 액세스 권한에 데한 세분화된 제어 기능이 구성된다.
이로 인해, 애플리케이션 내에서만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콘텐츠 제공부에 액세스하도록 제한하거나, 다른 애플리케이션에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데이터에 액세스하도록 포괄적인 권한을 부여하거나, 콘텐츠데이터 읽기 및 쓰기에 다른 권한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콘텐츠 제어부는 스마트 디바이스의 또 다른 어플리케이션에 사진 검색 추천을 구현하거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콘텐츠데이터를 위젯에 노출시킨다.
또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에서 여러 가지 데이터 소스에 액세스하기 위한 세부정보를 추상화하도록 구성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 인화 이지(Easy) 결제 제어부(1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 이지(Easy) 결제 제어부(160)는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상에 자동안내되는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버튼이 눌러지면, SE(Secure Element)에 저장돼 있는 신용카드 정보, 멤버십 정보, 카카오페이정보, 휴대폰결제정보, 쿠폰 정보의 모든 결제정보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를 통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원샷으로 전송시켜 사진 인화에 관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되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결제정보는 신용카드 정보, 멤버십 정보, 카카오페이정보, 휴대폰결제정보, 쿠폰 정보에다가 사용자의 결제 PIN, 결제금액이 포함된다.
이는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가능하기 위해서 SE에 저장된 각 정보들을 스마트 디바이스 내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제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의 중개제어하에 VAN망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와 연결되어, 결제를 위한 시스템이 구축된다.
즉,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다운로드받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식별ID,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DB화하여 저장시키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기준으로 VAN망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와 연결되어, 결제를 위한 시스템을 미리 구축시켜 놓는다.
이를 통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하였다는 QR코드스캔신호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되고, 이때,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은 QR코드스캔한 사용자 식별ID의 결제 정보를 기준으로 빠른 결제인증신호를 받기 위해, 미리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쪽으로 결제인증신호에 관한 스탠바이신호를 보낸다.
이어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결제인증이 되었다는 결제인증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결제인증신호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로 전달시킨다.
이때,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은 결제인증신호를 결제모듈로 전달시키고, 결제모듈에서는 결제인증신호가 전달되면, 바로 VAN통신모듈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쪽으로 결제승인요청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결제확인신호를 받도록 한다.
이어서, 결제확인신호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입력되면, 셀픽형 웹중개모듈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달시킨다.
여기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QR코드 스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져서,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을 거쳐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인증모듈로 전달된 결제인증신호, 결제승인요청신호, 결제인증신호를 받는데까지 걸리는 시간은 3초~60초로 설정된다.
그리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터치스크린 화면상에서 위젯방식으로 시간이 카운팅되어 표출된다.
일곱째, 본 발명에 따른 암호화·복호화 라이브러리부(17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암호화·복호화 라이브러리부(170)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및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와 통신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하고,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사이, 또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에 관한 정보 및 신호를 암호화/복호화 진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결제의 진행절차 중에서 전반부에는 동기화에 이어서 곧바로 암호화키의 전송이 이루어지는데, 암호화 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스마트디바이스에서 생성된 키로서,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및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전송된다.
모든 정보는 암호화되어서 전송 및 수신되며, 서로 공유한 암호화 키에 의해서 정보의 복호화가 진행된다.
자바 암호 아키텍쳐(JCA)와, 자바 암호 확장(JCE)은 암호 API를 제공한다.
JCA는 Java 2 Run-time environment의 일부이고, JCE는 JDK에 들어있지 않은 JCA의 확장팩이다.
JCE는 JCA에서 간단한 암호화와 복호화 API를 제공한다.
암호 관련 함수를 사용할 때마다 JCA와 JCE API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자바 라이브러리를 사용하는 다른 환경에서도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할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에 따른 웹통신네트워크 매니저부(18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웹통신네트워크 매니저부(180)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웹통신을 통해 통신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HTTP통신부(181), Socket 통신부(182)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통신부(181)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protocol)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에 적합하고, 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계속 연결된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간의 최대 연결 수보다 휠씬 많은 요청과 응답을 처리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상기 Socket 통신부(182)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특정 포트를 통해 실시간으로 양방향 통신을 수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역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쪽으로 요청을 보낼 수 있으며, 계속 연결을 유지하는 연결지향형 통신이기 때문에 실시간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자주 사용된다.
즉,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계속연결을 유지하는 양방향 통신으로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2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200)는 직립구조로 이루어지고, 화면상에 평상시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키다가, QR코드스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결제선택이 되면, 카드삽입과 카드결제를 안내시키는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활성화시킨 후,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결제상태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8 및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210), 유무선통신모듈(220), 터치스크린부(230),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240), 사진인화부(250), 스마트제어부(2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1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10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립구조의 스탠드형상으로 형성되어, 각 기기를 지지하면서 외압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전면커버와 후면커버, 그리고, 바닥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의 전면 상단에서 중단까지 터치스크린부(230)가 형성되고, 터치스크린부의 외부방향 일측에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240)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에 유무선통신모듈(220)이 형성되고, 유무선통신모듈 일측에 사진인화부(250)가 형성되며, 사진인화부가 설치된 동일선상의 외부방향으로 인화가 완료된 사진이 출력되는 사진출력부(251)가 형성되고, 터치스크린부 후단 일측에 스마트제어부(260)가 형성되며, 내부공간의 후단 일측에 전원부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사용목적과 형태에 따라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의 바닥부의 모서리면 일측에 이동바퀴가 형성된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모듈(2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유무선통신모듈(220)은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의 내부공간 일측에 위치되어, 셀픽웹중개제어모듈과 유무선통신망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무선통신모듈로서 WiFi통신모듈이 구성되고, 유선통신모듈로서 BACNET TCP/IP, BACNET MS/TP, Modbus RTU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상기 WiFi통신모듈은 무선기술을 접목한 것으로, 고성능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랜 기술로 구성된다.
상기 무선랜은 네트워크 구축시 유선을 사용하지 않고 전파나 빛등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방식으로서, 2.4G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유무선통신모듈은 무선통신모듈로서, 지그비, NFC, 블루투스의 근거리무선통신모듈과, 이동통신(5G, 4G, 3G)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지고, 유선통신모듈로서, 동선 케이블을 연결할수 있는 이더넷모듈, RS-232모듈, RS-485모듈, RS-422모듈, 또는 광케이블을 연결할수 있는 이더넷모듈, RS-232모듈, RS-485모듈, RS-422모듈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이루어진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터치스크린부(2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터치스크린부(230)는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의 전면 일측에 위치되어, 평상시에 화면상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키다가, QR코드스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결제선택이 되면, 카드삽입과 카드결제를 안내시키는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손으로 만지고 터치할 수 있는 LED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된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2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240)는 카드를 꽂거나, 긁어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진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드리더기(241), 보안모듈(242), 인증모듈(243), 결제모듈(244), VAN통신모듈(245)로 구성된다.
상기 카드리더기(241)는 카드를 꽂거나 긁었을때의 카드정보를 읽어서, VAN통신모듈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안모듈(242)은 내부의 다양한 정보에 대한 접근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는 VNA 통신 모듈을 호출하기 전에 필요한 정보 외의 스마트 디바이스 장치 내부 데이터의 접근을 차단하며, 샌드박스(Sandbox) 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인증모듈(243)은 결제시, 사용자의 인증 절차를 거쳐 결제를 인증하는 결제인증신호를 결제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자 인증요청신호를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보내면, 셀픽웹중개제어모듈에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상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상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결제인증신호를 보낸다.
이어서, 셀픽웹중개제어모듈에서는 결제인증이 되었다는 결제인증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결제인증신호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쪽으로 전달시킨다.
상기 결제모듈(244)은 보안 모듈의 플래그 정보와 인증모듈의 결제인증신호를 전달받아 결제를 진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보안 모듈의 플래그 정보와 인증모듈의 결제인증신호가 없으면, 결제가 진행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즉, VAN통신모듈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쪽으로 결제승인요청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로부터 결제인증신호를 수신받는 과정을 통해, 결제를 진행시킨다.
상기 결제모듈은 토큰형 결제처리부(244a)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토큰형 결제처리부(244a)는 보호할 데이터를 토큰(Token)으로 치환하여 원본데이터 대신 토큰을 사용하여 결제처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유출되지 않도록 보호되어야 하는 데이터를 토큰(token)으로 치환한 뒤에 원본 데이터를 토큰을 사용하는 것으로, 금융거래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보안 요구사항 및 토큰의 생성에 대한 요구사항을 반영하며, 사용자들의 ID/UUID 정보를 기반으로 8자리의 글자와 난수 24Hex 값을 384Byte의 값으로 난수 DB와 난수 발생 알고리즘엔진부를 이용하여 중복되지 않은 값으로 사용해 토큰을 생성한다.
개인 인증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NFC 플랫폼 기능별 판매자, 구매자 처리 과정을 기술하고 이를 기반으로 각 단위 화면을 구성하고,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위한 빠른 인증을 제공하고, 개인 결제 정보를 보호하는 방안을 마련하여 보다 편리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 시스템을 구현한다.
상기 난수 발생 알고리즘엔진부는 영문 대문자, 소문자, 숫자를 포함하는 난수를 원하는 길이만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선형 합동생성기를 이용하여 난수를 생성시킨다. 그리고, 토큰 생성을 필요한 난수를 생성시킨다.
상기 VAN통신모듈(245)은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와 VAN망을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공중 통신 사업자로부터 통신 회선을 임대하여 하나의 시설망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정보의 축적, 가공, 변환 처리의 부가가치를 첨가한 후,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인화부(2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사진인화부(250)는 스마트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되어, 사진을 인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제어부(2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스마트제어부(260)는 유무선통신모듈, 터치스크린부,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 사진인화부와 연결되어, 각 기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면서, 광고화면, QR코드화면,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출력제어시키고,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결제상태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키도록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PIC원칩마이컴, 마이크로프로세서, 마이크로컴퓨터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30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300)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그리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과 웹(Web)망으로 연결되어 사진인화주문과 결제에 관해 중개역할을 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앱형태로 활성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모듈의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를 수신받아 저장시키고, 특정 위치에 위치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식별ID, 결제상태를 수신받아,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웹망네트워크형성부(310), 앱사용자관리부(320), 웹중개형 암·복호화부(330), 결제·주문 관리제어부(340), HSM(Hardware Security Module)제어부(350), 사진인화커맨더부(360)로 구성된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웹망네트워크형성부(31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웹망네트워크형성부(310)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그리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과 웹(Web)망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1:1로 웹망네트워크를 형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특정장소의 지점별로 설치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 위치인식 식별 ID를 설정해 놓는다.
그리고,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에 어플형태로 활성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또한 고유의 식별 ID를 설정한다.
이러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위치인식 식별ID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식별ID를 기준으로, 1:1 웹망네트워크를 형성시킨다.
둘째, 본 발명에 따른 앱사용자관리부(32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앱사용자관리부(320)는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부터 입력되는 식별ID, 회원정보, 그리고, 신용카드 정보, 멤버십 정보, 카카오페이정보, 휴대폰결제정보, 쿠폰 정보에 관한 결제정보를 전달받아 관리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회원계정 변경, 결제 PIN 변경, 이용내역 조회, 카드사 추가/변경, 서비스 해지 등의 부가적인 관리 업무의 절차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즉, ID/패스워드 인증, 결제 PIN 인증의 사용자인증을 통해서 업무를 수행한다.
상기 회원계정변경은 회원 식별ID와 패스워드의 서비스 계정정보를 변경시키는 것을 말한다. 이는 기존 계정정보의 확인 후 변경 권한을 부여한다.
상기 결제 PIN 변경은 회원의 결제 패스워드(결제 PIN)를 변경한다. 이는 기존 패스워드의 복호화 및 폐기, 신규패스워드에 의한 암호화 과정을 진행한다.
상기 이용내역 조회는 회원의 서비스 거래인증 및 결제승인 내역을 확인한다. 이는 회원계정 로그인 세션의 유효성을 확인 후 진행한다.
상기 카드사 추가/변경은 회원이 등록한 신용카드 정보를 추가, 삭제하고, 회원의 계정권한 확인 후 고객인증서버, 승인요청서버에서 처리한다.
상기 서비스 해지는 회원의 서비스 계정해지 및 삭제 업무, 결제수단으로 등록된 신용카드가 없는 경우에 자동으로 해지한다.
셋째, 본 발명에 따른 웹중개형 암·복호화부(33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웹중개형 암·복호화부(330)는 동적 대상키에 의한 공개키를 생성시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및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암호화된 정보및 신호를 복호화시키고, 결제인증신호,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암호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칭키 알고리즘엔진부(AES)(331), 대칭키 알고리즘엔진부(AESCTR)(332)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대칭키 알고리즘엔진부(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331)는 동적 대상키에 의한 공개키를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안정성에 문제가 있는 DES를 교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 28/192/256 비트의 키 길이를 제공하고, 키 길이에 따라 10/12/14라운드를 사용한다.
상기 대칭키 알고리즘엔진부(AESCTR)(332)는 특정형태의 유일한 넌스(Nonce)와 1씩 증가하는 카운터 값을 붙인 것을 암호화하여 단일 블록 형태의 키 스트림을 생성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키 스트림을 평문 블록과 XOR 연산하여 암호문 블록을 생성한다. 스트림 암호처럼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복호화 연산이 암호화 연산과 완전히 같고, 패딩할 필요가 없는 특성을 가진다.
키 스트림의 계산을 병렬처리할 수 있으므로, 빠르게 계산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다.
넷째, 본 발명에 따른 결제·주문 관리제어부(34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결제·주문 관리제어부(340)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결제 또는 사진인화 주문에 대한 처리를 수행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드밸런싱부(341), 즉시응답캐쉬부(342), 리다이렉트설정부(343)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상기 로드밸런싱부(341)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결제 상태 어플리케이션,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주문 상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실행해둔 풀(pool)에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바로 라우팅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한 결제PIN, 식별ID, 결제금액이 포함되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결제상태 어플리케이션은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문번호, 결제완료금액, 결제상태가 포함되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진인화 주문한 결제PIN, 식별ID, 상품명이 포함되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주문상태 어플리케이션은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문번호, 고객번호, 상품명이 포함되어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즉시응답캐쉬부(342)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생기는 결제인증신호를 응답신호로 저장해서, 픽형 사진 인화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결제모듈쪽으로 즉시 응답 형태의 결제인증신호를 다이렉트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결제모듈에서는 결제인증신호가 전달되면, 바로 VAN통신모듈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쪽으로 결제승인요청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결제인증신호를 받도록 한다.
상기 리다이렉트설정부(343)는 헬쓰 체크(Health Check)를 주기적으로 해서 실행중인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결제 상태 어플리케이션,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주문 상태 어플리케이션이 장애가 발생하면, 또 다른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결제 상태 어플리케이션,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주문 상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시켜 리다이렉트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처럼, 로드밸런싱부(341), 즉시응답캐쉬부(342), 리다이렉트설정부(343)로 이루어진 결제·주문 관리제어부(340)가 구성됨으로서, 도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한 결제PIN, 식별ID, 결제금액이 포함된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로 전달된다.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결제상태를 리포트한 결제상태 어플리케이션이 결제·주문 관리제어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결제상태 어플리케이션은 주문번호, 결제완료금액, 결제상태가 포함된다.
또한, 도 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사진인화 주문한 결제PIN, 식별ID, 상품명이 포함된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이 에스오씨 서버의 웹 관리자인페이스 상에 표출된다.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주문상태를 리포트한 주문상태 어플리케이션이 결제·주문 관리제어부로 전달된다.
여기서, 주문상태 어플리케이션은 주문번호, 식별ID, 상품명이 포함된다.
다섯째, 본 발명에 따른 HSM(Hardware Security Module)제어부(35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HSM(Hardware Security Module)제어부(350)는 사진인화 주문시마다,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이상 거래를 탐지하고, 이상 거래 유무를 판단한 후, 이상거래를 차단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보관리 레이어부(351),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부(352), 이상거래탐지부(353)로 구성된다.
여기서, 이상 거래는 결제정보오류, 도난카드 사용, 평소와 다른 금융 거래 패턴을 가지는 거래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말한다.
상기 정보관리 레이어부(351)는 분석 리소스관리 영역으로 실시간 탐지 DB와 일괄처리 탐지 DB를 분리 운영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실시간 분석 DB, 거래 내역 DB, 거래환경 DB, 회원정보 DB로 구성된다.
상기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 레이어부(352)는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연결시킨 상태에서, 이상거래탐지알고리즘의 비즈니스 로직을 탑재하여, 이를 응용하여 실행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사용자 결제인증 체계를 통해서 보안요구 수준을 설정하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리스크 관리, 실시간 거래패턴 분석,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리스크를 관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상거래탐지부(353)는 이상 거래 탐지 결과를 출력하고, 실제 이상 거래를 탐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는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시간 탐지부(353a), 일괄처리탐지부(353b)로 구성된다.
상기 실시간 탐지부(353a)는 실시간으로 이상 거래를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는 탐지의 결과로 추가인증 업무처리절차가 포함되어 구성됨다.
상기 일괄처리탐지부(353b)는 3~6시간 주기로 거래내역에 대한 이상 거래를 탐지하는 역할을 한다.
여섯째, 본 발명에 따른 사진인화커맨더부(360)에 관해 설명한다.
상기 사진인화커맨더부(360)는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송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방법의 구체적인 동작과정에 관해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에 따른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이 특정 위치의 식별ID가 설정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를 웹(Web)망으로 연결시킨다(S100).
여기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는 평상시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킨다.
다음으로,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다운로드받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식별ID,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DB화하여 저장시키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기준으로 VAN망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와 연결시킨다(S200).
이는 결제를 위한 시스템을 미리 구축시켜 놓는다.
여기서, 상기 결제 정보는 신용카드 정보, 멤버십 정보, 카카오페이정보, 휴대폰결제정보, 쿠폰 정보에다가 사용자의 결제 PIN이 포함된다.
다음으로,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하였다는 QR코드스캔신호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시킨다(S300).
이때,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은 QR코드스캔한 사용자 식별ID의 결제 정보를 기준으로 빠른 결제인증신호를 받기 위해, 미리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쪽으로 결제인증신호에 관한 스탠바이신호를 보낸다.
그리고,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이 QR코드스캔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를 1:1로 웹망네트워크를 형성시킨다.
다음으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사진 중 사진인화시키고자 하는 사진을 불러와서, 사진인화를 요청한다(S400).
이때, 사진인화 요청신호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사이에서, 결제인증신호, 결제승인요청신호, 결제확인신호를 거치는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진행시킨다(S500).
여기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는 도 28에 도시한 바와 같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결제인증이 되었다는 결제인증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결제인증신호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로 전달시킨다(S510). 여기서, 결제선택은 카카오페이와 같은 모바일 페이 결제선택, 오프라인 카드 결제선택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IC카드 또는 신용카드 삽입을 통해 결제하는 오프라인 카드 결제선택가 선택된다.
이어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은 결제인증신호를 결제모듈로 전달시킨다(S520).
이어서, 도 2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모듈에서는 결제인증신호가 전달되면, 바로 VAN통신모듈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쪽으로 결제승인요청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결제확인신호를 보낸다(S530).
이때,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의 즉시응답캐쉬부(342)에서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생기는 결제인증신호를 응답신호로 저장해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인증모듈이 아닌, 결제모듈쪽으로 즉시 응답 형태의 결제인증신호를 다이렉트 전송시킨다.
이어서,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제확인신호를 받으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서는 카드삽입을 안내시키는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활성화시킨다(S540).
이어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로 카드가 삽입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화면상에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와 함께,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결제상태를 보낸다(S550).
다음으로, 도 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결제상태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달시킨다(S600).
끝으로,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서는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킨다(S700).
이때, 사용자는 인화된 사진을 수취한다.
1 :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100 :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110 :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부
120 : QR코드스캔 액티비티부
130 :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서비스제어부
140 :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부
150 :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콘텐츠 제어부
160 : 셀픽형 사진 인화 이지(Easy) 결제 제어부
170 : 암호화·복호화 라이브러리부
180 : 웹통신네트워크 매니저부
200 :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210 : 사진인화키오스크 본체
220 : 유무선통신모듈
230 : 터치스크린부
240 :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
250 : 사진인화부
260 : 스마트제어부
300 :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310 : 웹망네트워크형성부
320 : 앱사용자관리부
330 : 웹중개형 암·복호화부
340 : 결제·주문 관리제어부
350 : HSM(Hardware Security Module)제어부
360 : 사진인화커맨더부

Claims (10)

  1.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즉석에서 원샷으로 사진인화시키도록, QR코드 스캔과 결제선택, 결제하기 버튼만으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완료시키는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는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로 이루어져, 셀프사진인화서비스를 하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고, 현재 QR코드 스캔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스마트디바이스 내의 사진을 전송시킨 후,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상에 자동안내되는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버튼을 통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와의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완료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100)과,
    직립구조로 이루어지고, 화면상에 평상시에 광고화면과 함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할 수 있는 QR코드화면을 활성화시키다가, QR코드스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결제선택이 되면, 카드삽입과 카드결제를 안내시키는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활성화시킨 후,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결제상태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키는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2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그리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과 웹(Web)망으로 연결되어 사진인화주문과 결제에 관해 중개역할을 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 상에서 앱형태로 활성화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모듈의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를 수신받아 저장시키고, 특정 위치에 위치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식별ID, 결제상태를 수신받아,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송시키는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300)이 포함되어 구성되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100)은
    스마트디바이스의 화면상에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생성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액티비티부(110)와,
    스마트디바이스의 화면상에 QR코드스캔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생성시키는 QR코드스캔 액티비티부(120)와,
    백그라운드에서 실행되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의 또 다른 구성요소를 서비스에 바인딩하여 서비스와 상호작용하면서, 프로세스간 통신을 수행시키도록 제어하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서비스제어부(130)와,
    스마트디바이스의 시스템 이벤트가 발생시 알림의 브로드 캐스트 메시지를 화면상에 생성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브로드캐스트 리시버부(140)와,
    스마트디바이스에 저장한 사진인화 콘텐츠에 대한 액세스 권한을 관리하면서, 스마트 디바이스의 또 다른 앱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사진인화 콘텐츠를 공유시키도록 제어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콘텐츠 제어부(150)와,
    스마트 디바이스 화면상에 자동안내되는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버튼이 눌러지면, SE(Secure Element)에 저장돼 있는 신용카드 정보, 멤버십 정보, 카카오페이정보, 휴대폰결제정보, 쿠폰 정보의 모든 결제정보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를 통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원샷으로 전송시켜 사진 인화에 관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되도록 제어시키는 셀픽형 사진 인화 이지(Easy) 결제 제어부(160)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및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와 통신에 필요한 패킷을 생성하고,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사이, 또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식별ID, QR코드스캔신호, 결제 정보, 위치 정보, 사진인화주문신호에 관한 정보 및 신호를 암호화/복호화 진행시키는 암호화·복호화 라이브러리부(170)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웹통신을 통해 통신네트워크망을 형성시키는 웹통신네트워크 매니저부(18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QR코드스캔 액티비티부(120)는
    소켓으로부터 메세지를 받는 Recv 커맨드와, 소켓으로 메세지를 보내는 Send 커맨드를 전송시키는 QR코드 매니저부(121)와,
    QR코드로부터 수신된 QRDEF 메세지를 처리하는 QRDEF 메세지부(122)와,
    네이티브(native) 명령으로 드라이버에게 Recv/Send 커맨드 전달 및 Recv된 데이터를 수신시키는 QR코드 JIN 라이브러리부(12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300)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 그리고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과 웹(Web)망으로 연결시킨 상태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한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1:1로 웹망네트워크를 형성시키는 웹망네트워크형성부(310)와,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활성화시킨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부터 입력되는 식별ID, 회원정보, 그리고, 신용카드 정보, 멤버십 정보, 카카오페이정보, 휴대폰결제정보, 쿠폰 정보에 관한 결제정보를 전달받아 관리시키는 앱사용자관리부(320)와,
    동적 대상키에 의한 공개키를 생성시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및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암호화된 정보및 신호를 복호화시키고, 결제인증신호,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암호화시키는 웹중개형 암·복호화부(33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결제 또는 사진인화 주문에 대한 처리를 수행시키도록 제어시키는 결제·주문 관리제어부(340)와,
    사진인화 주문시마다,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의 이상 거래를 탐지하고, 이상 거래 유무를 판단한 후, 이상거래를 차단시키는 HSM(Hardware Security Module)제어부(350)와,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가 수신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송시키는 사진인화커맨더부(36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결제·주문 관리제어부(340)는
    픽형 사진 인화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결제 상태 어플리케이션,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주문 상태 어플리케이션을 미리 실행해둔 풀(pool)에 라운드로빈 방식으로 바로 라우팅시키는 로드밸런싱부(341)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생기는 결제인증신호를 응답신호로 저장해서, 픽형 사진 인화 앱 모듈에서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결제모듈쪽으로 즉시 응답 형태의 결제인증신호를 다이렉트 전송시키는 즉시응답캐쉬부(342)와,
    헬쓰 체크(Health Check)를 주기적으로 해서 실행중인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결제 상태 어플리케이션,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주문 상태 어플리케이션이 장애가 발생하면, 또 다른 결제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결제 상태 어플리케이션, 주문 대기열 어플리케이션, 주문 상태 어플리케이션을 생성시켜 리다이렉트시키는 리다이렉트설정부(34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9.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이 특정 위치의 식별ID가 설정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를 웹(Web)망으로 연결시키는 단계(S100)와,
    스마트디바이스 내에 어플형태의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다운로드받아 활성화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가 식별ID, 결제 정보를 입력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DB화하여 저장시키고, 사용자의 결제 정보를 기준으로 VAN망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와 연결시키는 단계(S2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QR코드를 스캔하면,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이 QR코드스캔하였다는 QR코드스캔신호를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시키는 단계(S3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을 통해, 스마트 디바이스 내에 저장된 사진 중 사진인화시키고자 하는 사진을 불러와서, 사진인화를 요청하는 단계(S400)와,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 사이에서, 결제인증신호, 결제승인요청신호, 결제확인신호를 거치는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를 진행시키는 단계(S500)와,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결제상태가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전달되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전달시키는 단계(S600)와,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서는 셀픽웹중개제어모듈로부터 사진인화명령신호를 수신받아, 자동으로 사진인화시키는 단계(S700)로 이루어지는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방법에 있어서,
    상기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는
    셀픽형 사진 인화·결제 앱 모듈에서 결제선택, 그리고, 결제하기 버튼이 눌러지면, 셀픽형 웹중개제어모듈에서, 결제인증이 되었다는 결제인증신호를 수신받고, 수신받은 결제인증신호를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로 전달시키는 단계(S510)와,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의 인증모듈은 결제인증신호를 결제모듈로 전달시키는 단계(S520)와,
    결제모듈에서 결제인증신호가 전달되면, 바로 VAN통신모듈을 통해 신용카드사, 은행, VAN사, PG(Payment Gateway)사의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쪽으로 결제승인요청신호를 보내고, 이에 따른 응답신호로서, 서비스 프로바이더(Service Provider)에서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쪽으로 결제확인신호를 보내는 단계(S530)와,
    결제확인신호를 받으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에서는 카드삽입과 카드결제를 안내시키는 결제안내 메세지 화면을 활성화시키는 단계(S540)와,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이지결제형 카드단말기부로 카드가 삽입되면, 셀픽형 사진인화키오스크의 화면상에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신호와 함께, 셀픽웹중개제어모듈쪽으로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가 완료되었다는 결제상태를 보내는 단계(S550)가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방법.
  10. 삭제
KR1020210174838A 2021-12-08 2021-12-08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KR1024098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838A KR102409860B1 (ko) 2021-12-08 2021-12-08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PCT/KR2022/019605 WO2023106759A1 (ko) 2021-12-08 2022-12-05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 결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4838A KR102409860B1 (ko) 2021-12-08 2021-12-08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860B1 true KR102409860B1 (ko) 2022-06-17

Family

ID=82269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4838A KR102409860B1 (ko) 2021-12-08 2021-12-08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09860B1 (ko)
WO (1) WO2023106759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759A1 (ko) *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에스오씨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 결제장치 및 방법
KR102593715B1 (ko) 2022-11-17 2023-10-24 박지호 증강 현실 사진 출력 키오스크 앱 뷰어 시스템
KR102599497B1 (ko) * 2023-03-08 2023-11-07 주식회사 다인아이앤씨 인공태닝 피부미용 무인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607559B1 (ko) 2023-01-06 2023-11-29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키오스크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667A (ko) * 2014-10-15 2016-04-26 세븐스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진 인화 시스템
KR20200109045A (ko) * 2019-03-12 2020-09-22 김만기 사진 인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255B1 (ko) * 2018-05-21 2019-03-08 주식회사 테오아 사진 인화 카메라 애플리케이션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409860B1 (ko) * 2021-12-08 2022-06-17 주식회사 에스오씨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4667A (ko) * 2014-10-15 2016-04-26 세븐스토리 주식회사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사진 인화 시스템
KR20200109045A (ko) * 2019-03-12 2020-09-22 김만기 사진 인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177729B1 (ko) 2019-03-12 2020-11-11 김만기 사진 인쇄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06759A1 (ko) * 2021-12-08 2023-06-15 주식회사 에스오씨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 결제장치 및 방법
KR102593715B1 (ko) 2022-11-17 2023-10-24 박지호 증강 현실 사진 출력 키오스크 앱 뷰어 시스템
KR102607559B1 (ko) 2023-01-06 2023-11-29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클라우드 기반의 유저 인증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키오스크 시스템
KR102599497B1 (ko) * 2023-03-08 2023-11-07 주식회사 다인아이앤씨 인공태닝 피부미용 무인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06759A1 (ko) 2023-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860B1 (ko) QR코드 스캔·셀픽형 웹중개제어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식 사진인화키오스크형 오프라인 이지(Easy) 결제장치 및 방법
JP4469376B2 (ja) 移動電話、移動電話を用いてキャッシュレス取引を行うため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
EP1209874B1 (en) A home server including proxy, for authentication and encryption instead of a user terminal, in an electronic commercial transaction
US7865431B2 (en) Private electronic value bank system
EP242003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nic ticket processing
CN107067251A (zh) 使用具有地理上受限的非本地凭据的电子设备进行交易
US2013002437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a money amount by using a two dimension image code
CN108476227A (zh) 用于设备推送供应的系统和方法
US20070033136A1 (en) Secured financial transaction device
JP2006338587A (ja) アクセス制御サーバ、利用者端末及び情報アクセス制御方法
JP2014529964A (ja) モバイル機器経由の安全なトランザクション処理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090006831A (ko) 온라인 거래 인가 방법,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램, 모바일 모듈 인증 방법, 휴대용 장치, 액세스 방법, 컴퓨팅 프레임워크, 전송 레벨 보안 통신의 설정 방법, 안전 상거래 제공 방법, 안전 상거래 수행 방법, 지불 인가 방법, 지불 인가의 유효성 검사 방법, 자동 지불 배분 방법, 지불 옵션 제시 방법
KR20080108549A (ko) 온라인 거래 인가 방법, 컴퓨터 시스템, 프로그램, 모바일 모듈 인증 방법, 휴대용 장치, 액세스 방법, 컴퓨팅 프레임워크, 전송 레벨 보안 통신의 설정 방법, 안전 상거래 제공 방법, 안전 상거래 수행 방법, 지불 인가 방법, 지불 인가의 유효성 검사 방법, 자동 지불 배분 방법, 지불 옵션 제시 방법
JP2005512234A6 (ja) 顧客中心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切換モデル
JP2005512234A (ja) 顧客中心コンテキストアウェア切換モデル
CN101697220A (zh) 保护基于pin交易的安全的系统和方法
JP2002298055A (ja) 電子商取引システム
CN112889046A (zh) 用于非接触卡的密码认证的系统和方法
CA3040776A1 (en) Coordinator managed payments
KR20200096400A (ko) 디지털 가상화폐를 qr(또는 bar)코드와 매칭시켜 전송하는 디지털 가상화폐의 전송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10065091A (ko) 비접촉식 카드의 암호화 인증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1964757B1 (ko) Otp를 이용한 인증 시스템 및 방법
CA289448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transfer of a money amount by using a two-dimension image code
JP3886964B2 (ja) 認証端末装置、認証サーバ及び認証システム
US20060173694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