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699B1 -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699B1
KR102409699B1 KR1020210173354A KR20210173354A KR102409699B1 KR 102409699 B1 KR102409699 B1 KR 102409699B1 KR 1020210173354 A KR1020210173354 A KR 1020210173354A KR 20210173354 A KR20210173354 A KR 20210173354A KR 102409699 B1 KR102409699 B1 KR 102409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assembly
disposed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3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민수
안성진
김민승
Original Assignee
구민수
안성진
김민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민수, 안성진, 김민승 filed Critical 구민수
Priority to KR1020210173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6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4Suction devices, e.g. pumps; Ejector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01N1/18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with provision for splitting samples into portio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조립되는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은, 저장공간과 연통된 제 1 개구면(101) 및 제 2 개구면(102)이 각각 배치된 채수하우징(15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1 개구면(101)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1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2 개구면(102)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20); 상기 제 1 도어(110)를 개폐시키는 제 1 구동장치(130); 상기 제 2 도어(120)를 개폐시키는 제 2 구동장치(14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수심을 감지하는 수심감지센서(160); 상기 수심감지센서(160), 제 1 구동장치(130) 및 제 2 구동장치(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채수모듈이 적층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수심이 깊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채구모듈을 개방하여 채수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채수모듈을 인양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Prefab Automatic Water Reservoir}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높이에서 다수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료 자동채수기는 호수, 바다 등의 오염도, 세균, 생물 등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수질상태를 알기 위해서는 오염된 해수나 담수를 일정량 채취하여 각종 실험을 통해 그 오염도를 측정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오염된 시료를 채취하는 채수과정을 거치게 된다.
시료 채취는 오염도 측정을 위한 시초단계로, 실험자나 작업자는 시료를 채취하기 위해 원하는 시간에 직접 해당 지역에 가서 시료를 채취하여 그 오염도를 측정한다.
이러한 채수를 위해 종래에는 관측 선박에서 메신저를 투하하여 자동채수기 두껑을 닫는 수동식 채수기 혹은 자동 채수기와 연결된 선상에서 제어기를 통해 채수신호를 보내는 반자동식 채수기를 사용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566541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672966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10794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서로 다른 높이에서 다수의 시료를 채취할 수 있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조립되는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은, 저장공간과 연통된 제 1 개구면(101) 및 제 2 개구면(102)이 각각 배치된 채수하우징(15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1 개구면(101)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1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2 개구면(102)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20); 상기 제 1 도어(110)를 개폐시키는 제 1 구동장치(130); 상기 제 2 도어(120)를 개폐시키는 제 2 구동장치(14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수심을 감지하는 수심감지센서(160); 상기 수심감지센서(160), 제 1 구동장치(130) 및 제 2 구동장치(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채수하우징(150)은 상면(151), 저면(152), 좌측면(153), 우측면(154), 정면(155) 및 배면(156)을 포함하고, 상기 채수하우징(15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기 저장공간; 상기 상면(151)에 배치되는 조립홈(180); 상기 조립홈(180)의 형상과 대응되고, 상기 저면(152)에 배치되는 조립블럭(19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수모듈의 조립홈에 상기 제 2 채수모듈의 조립블럭이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180)은, 상기 상면(151)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조립저면(181); 상기 조립저면(181)의 전방 측과 상기 상면(151)을 연결하는 제 1 조립측면(182); 상기 조립저면(181)의 후방 측과 상기 상면(151)을 연결하는 제 2 조립측면(183); 상기 상면(151)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 상측개구면(184); 상기 좌측면(153)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립저면(181),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좌측단에 배치된 좌측개구면(185); 상기 우측면(154)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립저면(181),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우측단에 배치된 우측개구면(1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립블럭(190)은, 상기 조립저면(181)에 밀착되는 블럭저면(191); 상기 제 1 조립측면(182)에 밀착되는 제 1 블럭측면(192); 상기 제 2 조립측면(183)에 밀착되는 제 2 블럭측면(193);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저면(152)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개구면(184)을 폐쇄시키는 블럭상측면(194); 상기 좌측개구면(185)을 폐쇄하는 블럭좌측면(195); 상기 우측개구면(186)을 폐쇄하는 블럭우측면(19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상기 저장공간을 좌우방향로 구획하는 파티션(10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제 1 개구면(101)과 연통되는 제 1 저장공간(105); 및 상기 제 2 개구면(102)과 연통되는 제 2 저장공간(10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장치(130)가 상기 제 1 개구면(101)을 개폐시키고, 상기 제 2 구동장치(140)가 상기 제 2 개구면(102)을 개폐시킬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복수개의 채수모듈이 적층되어 구성되기 때문에, 수심이 깊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채구모듈을 개방하여 채수를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반복적으로 채수모듈을 인양하는 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채수모듈 내부가 제 1 저장공간 및 제 2 저장공간으로 구획되고, 각 구동장치가 제 1 저장공간 및 제 2 저장공간을 개별적으로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채수모듈을 통해 2개소의 위치에서 채수를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저장공간을 폐쇄하는 도어가 구동장치의 로드에 의해 밀려서 강제로 개방되기 때문에, 높은 수압 환경에서도 작동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수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수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채수모듈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채수모듈 구동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발명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채수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채수모듈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채수모듈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채수모듈 구동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는 복수개의 채수모듈로 구성되고, 각 채수모듈이 인접한 채수모듈과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어서, 다수의 위치에서 각기 다른 시료를 채취한 후 저장할 수 있다.
복수개의 채수모듈을 구분할 필요가 있을 경우, 하단에서 배치된 것부터 제 1 채수모듈, 제 2 채수모듈, 제 3 채수모듈과 같은 방식으로 넘버링한다.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조립되는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은, 저장공간과 연통된 제 1 개구면(101) 및 제 2 개구면(102)이 각각 배치된 채수하우징(150)과,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1 개구면(101)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10)와,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2 개구면(102)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20)와, 상기 제 1 도어(110)를 개폐시키는 제 1 구동장치(130)와, 상기 제 2 도어(120)를 개폐시키는 제 2 구동장치(140)와, 수심을 감지하는 수심감지센서(160)와, 상기 수심감지센서(160), 제 1 구동장치(130) 및 제 2 구동장치(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도면을 기준으로, 상기 채수하우징(150)은 상면(151), 저면(152), 좌측면(153), 우측면(154), 정면(155) 및 배면(156)을 포함한다.
상기 채수하우징(15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저장공간과, 상면(151)에 배치되는 조립홈(180)과, 상기 조립홈(180)의 형상과 대응되고, 저면(152)에 배치되는 조립블럭(190)을 포함한다.
상기 저장공간은 원기둥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상기 저장공간은 2개로 구획된다.
상기 저장공간은 제 1 개구면(101)과 연통되는 제 1 저장공간(105)과, 상기 제 2 개구면(102)과 연통되는 제 2 저장공간(10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저장공간(105) 및 제 2 저장공간(106) 사이에 파티션(107)이 배치된다. 즉, 상기 파티션(107)이 상기 저장공간을 2개로 구획하고, 상기 파티션(107)은 상기 채수하우징(110)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저장공간(105)의 일단에 제 1 개구면(101)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저장공간(106)의 타단에 제 2 개구면(102)이 형성된다.
상기 채수하우징(150)이 상기 저장공간의 형상이 대응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조립홈(180) 및 조립블럭(190)을 용이하게 배치할 수 있도록 상기 채수하우징(15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조립홈(180)은 상기 상면(151)에서 저면(152)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고, 조립블럭(190)은 저면(152)에서 하측으로 더 돌출되게 배치된다.
상기 조립블럭(190)이 다른 채수모듈(100)의 조립홈(180)에 삽입되어 끼움결합될 수 있다.
상기 조립홈(180) 및 조립블럭(190)은 채수하우징(150)의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다.
상기 조립홈(180)은, 상기 상면(151)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조립저면(181)과, 상기 조립저면(181)의 전방 측과 상기 상면(151)을 연결하는 제 1 조립측면(182)과, 상기 조립저면(181)의 후방 측과 상기 상면(151)을 연결하는 제 2 조립측면(183)과, 상기 상면(151)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 상측개구면(184)과, 상기 좌측면(153)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립저면(181),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좌측단에 배치된 좌측개구면(185)과, 상기 우측면(154)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립저면(181),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우측단에 배치된 우측개구면(18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은 상기 조립저면(181)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상면(151)은 상측개구면(184)의 전방에 배치된 제 1 상면(151a)과, 상측개구면(184)의 후방에 배치된 제 2 상면(151b)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개구면(101) 및 제 2 개구면(102)의 중심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선을 수직중심선(C)이라 하고, 상기 제 1 개구면(101) 및 제 2 개구면(102)의 중심을 좌우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심선을 수평중심선(D)이라 정의한다.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각 상단이 상기 수직중심선(C)과 가깝고, 각 하단이 상기 수직중심선(C)과 멀게 배치된다.
그래서 상기 상측개구면(184)의 면적이 상기 조립저면(181)의 면적보다 작게 형성된다.
상기 상측개구면(184)의 전후 방향 길이(L1)가 조립저면(181)의 전후 방향 길이(L2)보다 짧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블럭(190)은 상기 조립홈(180)에 대응되는 형상이다.
상기 조립블럭(190)은, 상기 조립저면(181)에 밀착되는 블럭저면(191)과, 상기 제 1 조립측면(182)에 밀착되는 제 1 블럭측면(192)과, 상기 제 2 조립측면(183)에 밀착되는 제 2 블럭측면(193)과,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저면(152)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개구면(184)을 폐쇄시키는 블럭상측면(194)과, 상기 좌측개구면(185)을 폐쇄하는 블럭좌측면(195)과, 상기 우측개구면(186)을 폐쇄하는 블럭우측면(196)을 포함한다.
제 1 블럭측면(192) 및 제 2 블럭측면(193)의 각 상단이 상기 수직중심선(C)과 가깝고, 각 하단이 상기 수직중심선(C)과 멀게 배치된다.
상기 블럭상측면(194)의 전후 방향 길이(L3)가 상기 상측개구면(184)의 전후 방향 길이(L1)와 같거나 약간 짧을 수 있다.
상기 블럭저면(191)의 전후 방향 길이(L4)가 상기 조립저면(181)의 전후 방향 길이(L2)와 같거나 약간 짧을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10)는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좌측면(153)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면(101)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10)는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좌측면(153)에 밀착되는 제 1 아우터도어(112)와,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개구면(101)으로 삽입되는 제 1 이너도어(114)와,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 및 좌측면(153)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1 도어힌지(116)과,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구동장치(13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구동서포터(117)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 및 제 1 이너도어(114)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의 직경이 상기 제 1 이너도어(11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 및 제 1 이너도어(114)의 중심이 상기 수평중심선(D)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의 내측면에 실링(115)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어(110)의 폐쇄 시 상기 좌측면(153)에 밀착되어 상기 제 1 개구면(101)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115)은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힌지(116)는 상기 제 1 아우터도어(112)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도어힌지(116)는 상기 수평중심선(D)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도어(110)는 상기 제 1 도어힌지(116)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중심선(D)을 기준으로 상측 또는 하측에 상기 제 1 도어힌지(116)가 배치되어도 무방하다. 제 1 도어힌지(116)가 수평중심선(D)의 상측 또는 하측에 배치될 경우, 다른 채수모듈(100)의 조립블럭(190)과 충돌되어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수평중심선(D)의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되어 조립블럭(190)과의 충돌가능성을 최소화한다.
상기 제 2 도어(120)는,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우측면(154)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면(102)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20)는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우측면(154)에 밀착되는 제 2 아우터도어(122)와, 상기 제 2 아우터도어(122)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개구면(102)으로 삽입되는 제 2 이너도어(124)와, 상기 제 2 아우터도어(122) 및 우측면(154)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는 제 2 도어힌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아우터도어(122) 및 제 2 이너도어(124)는 일체로 제작된다. 상기 제 2 아우터도어(122)의 직경이 상기 제 2 이너도어(124)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기 제 2 아우터도어(122) 및 제 2 이너도어(124)의 중심이 상기 수평중심선(D)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아우터도어(122)의 내측면에 실링(125)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20)의 폐쇄 시 상기 우측면(154)에 밀착되어 상기 제 2 개구면(102)을 밀폐시킬 수 있다. 상기 실링(125)은 링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힌지는 상기 제 2 아우터도어(122)를 기준으로 전방 또는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 후방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도어힌지는 상기 수평중심선(D)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20)는 상기 제 2 도어힌지를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채수장치는 수심 깊은 곳에서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큰 수압이 제 1 도어(110) 및 제 2 도어(120)에 걸리고, 이로 인해 도어의 개방이 용이하지 않다.
본 실시예에서는 인가된 전원을 통해 작동되는 구동장치를 통해 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구조를 제안한다.
상기 제 1 구동장치(13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 1 저장공간(105)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장치(130)는, 상기 제 1 도어(11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1 도어(110)를 밀거나 당기는 제 1 로드(132)와, 상기 제 1 로드(13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1 모터(134)과, 상기 제 1 로드(13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배치된 제 1 랙기어(133)와, 상기 제 1 모터(134)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1 랙기어(133)와 치합되는 제 1 피니언기어(13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모터(134)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제 1 로드(132) 및 제 1 아우터도어(112)를 회전가능게 연결하는 제 1 로드힌지(13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132)의 끝단 및 제 1 아우터도어(112)의 내측면 사이에 제 1 로드힌지(131)가 배치된다.
상기 수직중심선(C)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도어힌지(116) 및 제 1 로드힌지(131)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1 로드(132)는 수평중심선(D)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채수하우징(15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1 로드(132)는 상기 제 1 저장공간(101) 및 정면(155)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랙기어(133)는 상기 제 1 로드(132)의 상단 또는 하단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랙기어(133)는 상기 제 1 로드(132)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랙기어(133)는 하측을 향해 돌출되고, 상기 제 1 랙기어(133)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개의 치형이 배치된다.
상기 제 1 피니언기어(135)는 상기 제 1 모터(134)의 모터축에 결합되고, 상기 제 1 랙기어(133)의 치형과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미도시되었으나 작은 전원으로 큰 토크를 제공하기 위해, 상기 제 1 랙기어(133) 및 제 1 피니언기어(135) 사이에 기어박스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모터(134)가 상기 피니언을 제 1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제 1 로드(132)가 제 1 개구면(101) 측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도어(110)를 외측으로 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도어(110)가 제 1 도어힌지(116)를 기준으로 회전되어 상기 제 1 도어(110)가 제 1 개구면(101)을 개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10)를 개방시켜 해당 수심에서 채수를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선박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 및 채수모듈(100)은 유선케이블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채수모듈(100)을 하강시키기 위한 케이블에 상기 제어부(170)와 연결되는 전원/통신케이블이 일체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제 1 도어(110)의 개방시간을 카운팅하고, 상기 제 1 도어(110)를 닫을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면(101)을 폐쇄시킬 경우, 상기 제 1 모터(134)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술한 과정의 반대로 작동되어 제 1 로드(132)가 제 2 개구면(102)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제 1 도어(110)를 닫을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랙기어(133) 및 피니언(135)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 1 모터(134)가 상기 피니언(135)의 회전을 저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 1 도어(110)가 폐쇄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장치(140)의 작동을 통해 상기 제 2 저장공간(106)을 개방 또는 폐쇄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장치(140)는, 상기 제 2 도어(120)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제 2 도어(120)를 밀거나 당기는 제 2 로드(142)와, 상기 제 2 로드(14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 2 모터(144)와, 상기 제 2 로드(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연장되게 배치된 제 2 랙기어(143)와, 상기 제 2 모터(144)에 의해 회전되고, 상기 제 2 랙기어(143)와 치합되는 제 2 피니언기어(14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2 모터(144)는 스텝모터가 사용된다.
상기 제 2 로드(142) 및 제 2 아우터도어(122)를 회전가능게 연결하는 제 2 로드힌지(141)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로드(142)의 끝단 및 제 2 아우터도어(122)의 내측면 사이에 제 2 로드힌지(141)가 배치된다.
상기 수직중심선(C)을 기준으로 제 2 도어힌지 및 제 2 로드힌지(141)가 마주보게 배치된다.
상기 제 2 로드(142)는 수평중심선(D)을 따라 길게 연장되고, 상기 채수하우징(150)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 2 로드(142)는 상기 제 2 저장공간(102) 및 정면(155) 사이의 벽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장치(140)도 제 1 구동장치(130)와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상기 수심감지센서(160)는 상기 채수하우징(150)에 배치되고, 상기 채수하우징(150)이 잠긴 깊이를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170)에 전송한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수심감지센서(160)에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구동장치(130) 또는 제 2 구동장치(140)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저장공간(105)의 상측에 상기 제 1 저장공간(105)의 물을 감지하는 제 1 수위센서(108)가 더 배치되고, 상기 제 2 저장공간(106)의 상측에 상기 제 2 저장공간(106)의 물을 감지하는 제 2 수위센서(109)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제 1 도어(110)의 개방 후에 작동되고, 상기 제 1 수위센서(108)의 신호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채수가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제 2 도어(120)의 개방 후에 작동되고, 상기 제 2 수위센서(109)의 신호를 감지하여 정상적으로 채수가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장치(130) 또는 제 2 구동장치(140)가 작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오작동 또는 수압에 의해 상기 제 1 도어(110) 또는 제 2 도어(120)가 개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수위센서(108) 또는 제 2 수위센서(109)를 통해 이와 같은 오작동 상황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위센서(108) 및 제 2 수위센서(109)가 각 저장공간의 상측면에 배치될 경우, 각 도어가 개방되더라도 에어포켓이 형성되어 물과 접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저장공간(105) 및 제 2 저장공간(106)의 에어포켓에 의한 센서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수위센서(108) 및 제 2 수위센서(109)는 상기 파티션(107)에 배치된다.
특히 제 1 수위센서(108) 및 제 2 수위센서(109)는 수평중심선(D)보다 높고 상기 파티션(107)의 상단(107a) 보다 낮게 위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수위센서(108) 및 제 2 수위센서(109)는 "(파티션 상단 - 수평중심선(D))/2"의 높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자동 채수 장치는 1개의 채수모듈(100)에서 2개 깊이의 물을 채수하여 저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는 복수개의 채수모듈(100)을 적층하여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한번이 하강 및 상승을 통해 복수개 위치에서 채수를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채수모듈(100)이 적층되어 조립된 경우, 맨 하측에 배치된 채수모듈(100)부터 시료를 저장하고, 더 하강되면 그보다 상측의 채수모듈(100)에서 시료를 채취하는 방식으로 순차적으로 채수를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채수모듈 110 : 제 1 도어
120 : 제 2 도어 130 : 제 1 구동장치
140 : 제 2 구동장치 150 : 채수하우징
160 : 수심감지센서 170 : 제어부

Claims (5)

  1. 삭제
  2. 상하 방향으로 적층되어 조립되는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수모듈 및 제 2 채수모듈은,
    저장공간과 연통된 제 1 개구면(101) 및 제 2 개구면(102)이 각각 배치된 채수하우징(15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1 개구면(101)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1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제 2 개구면(102)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20);
    상기 제 1 도어(110)를 개폐시키는 제 1 구동장치(130);
    상기 제 2 도어(120)를 개폐시키는 제 2 구동장치(140);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외부에 노출되게 배치되고, 수심을 감지하는 수심감지센서(160);
    상기 수심감지센서(160), 제 1 구동장치(130) 및 제 2 구동장치(14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하고,
    상기 채수하우징(150)은 상면(151), 저면(152), 좌측면(153), 우측면(154), 정면(155) 및 배면(156)을 포함하고,
    상기 채수하우징(150)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게 형성되는 상기 저장공간;
    상기 상면(151)에 배치되는 조립홈(180);
    상기 조립홈(180)의 형상과 대응되고, 상기 저면(152)에 배치되는 조립블럭(190);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채수모듈의 조립홈에 상기 제 2 채수모듈의 조립블럭이 삽입되어 끼움결합되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립홈(180)은,
    상기 상면(151)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조립저면(181);
    상기 조립저면(181)의 전방 측과 상기 상면(151)을 연결하는 제 1 조립측면(182);
    상기 조립저면(181)의 후방 측과 상기 상면(151)을 연결하는 제 2 조립측면(183);
    상기 상면(151)가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상단 사이에 배치된 상측개구면(184);
    상기 좌측면(153)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립저면(181),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좌측단에 배치된 좌측개구면(185);
    상기 우측면(154)이 연속되게 배치되고 상기 조립저면(181), 제 1 조립측면(182) 및 제 2 조립측면(183)의 우측단에 배치된 우측개구면(186);을 포함하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립블럭(190)은,
    상기 조립저면(181)에 밀착되는 블럭저면(191);
    상기 제 1 조립측면(182)에 밀착되는 제 1 블럭측면(192);
    상기 제 2 조립측면(183)에 밀착되는 제 2 블럭측면(193);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저면(152)에 연결되고, 상기 상측개구면(184)을 폐쇄시키는 블럭상측면(194);
    상기 좌측개구면(185)을 폐쇄하는 블럭좌측면(195);
    상기 우측개구면(186)을 폐쇄하는 블럭우측면(196);을 포함하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채수하우징(150)의 상기 저장공간을 좌우방향로 구획하는 파티션(107)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저장공간은, 상기 제 1 개구면(101)과 연통되는 제 1 저장공간(105); 및 상기 제 2 개구면(102)과 연통되는 제 2 저장공간(106);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구동장치(130)가 상기 제 1 개구면(101)을 개폐시키고,
    상기 제 2 구동장치(140)가 상기 제 2 개구면(102)을 개폐시키는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KR1020210173354A 2021-12-07 2021-12-07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KR102409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54A KR102409699B1 (ko) 2021-12-07 2021-12-07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3354A KR102409699B1 (ko) 2021-12-07 2021-12-07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9699B1 true KR102409699B1 (ko) 2022-06-16

Family

ID=82217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3354A KR102409699B1 (ko) 2021-12-07 2021-12-07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69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9963A (zh) * 2023-08-02 2023-08-29 中国煤炭地质总局勘查研究总院 一种地下水采样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541B1 (ko) 2004-12-02 2006-03-31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KR100672966B1 (ko) 2000-12-29 2007-01-22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KR20190085347A (ko) * 2018-01-10 2019-07-1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수질 채수장치
KR20190107942A (ko) 2018-03-13 2019-09-23 한국수자원공사 수심별 맞춤형 수질 측정용 채수기
CN110702466A (zh) * 2019-10-28 2020-01-17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水文监测装置
CN210894331U (zh) * 2019-10-29 2020-06-30 锦州博润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物联网水质在线测控仪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2966B1 (ko) 2000-12-29 2007-01-22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KR100566541B1 (ko) 2004-12-02 2006-03-31 한국해양연구원 자동채수기
KR20190085347A (ko) * 2018-01-10 2019-07-18 대한민국(관리부서:국립수산과학원) 수질 채수장치
KR20190107942A (ko) 2018-03-13 2019-09-23 한국수자원공사 수심별 맞춤형 수질 측정용 채수기
CN110702466A (zh) * 2019-10-28 2020-01-17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水文监测装置
CN210894331U (zh) * 2019-10-29 2020-06-30 锦州博润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物联网水质在线测控仪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59963A (zh) * 2023-08-02 2023-08-29 中国煤炭地质总局勘查研究总院 一种地下水采样装置
CN116659963B (zh) * 2023-08-02 2023-10-27 中国煤炭地质总局勘查研究总院 一种地下水采样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9699B1 (ko) 조립식 자동 채수장치
CN110617998B (zh) 伸缩式分层水样取样装置
KR20200082429A (ko) 수질 측정용 시료채취 장치
KR20210115741A (ko) 오토 샘플러
CN110538680A (zh) 一种微流控样品处理设备
EP0912881A1 (en) Sampler
CN113933094B (zh) 一种用于地质勘探的无人机用数据采集装置
JP2008275605A (ja) 水中水生生物生産呼吸測定装置
CN116519897B (zh) 水中污染物检测装置
CN211061226U (zh) 土壤采集装置
CN111983165A (zh) 一种井下水质数据采集装置及方法
KR20120085428A (ko) 콘택즈렌즈 케이스
KR102661151B1 (ko) 수층별 채수 시스템
CN214041152U (zh) 光学测定容器
CN110879283A (zh) 一种湖泊各级生态容量影响预估方法
CN117213917A (zh) 一种水生物采样用筛选箱
CN110806237A (zh) 水土保持用可调式地表径流监测装置
CN214471979U (zh) 一种可采取不同深度水样的海水检测装置
CN215727093U (zh) 一种防污型河水采样装置
CN113670657B (zh) 一种海底沉积物勘探柱状取样器
CN215065494U (zh) 一种水质在线监测装置
CN218824235U (zh) 一种基于浅海水域的压电驱动水质监测设备
CN219871022U (zh) 一种水污染治理用检测装置
CN216645987U (zh) 一种半自动深水多层采样器
CN218725545U (zh) 一种环境保护检测用水样采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